KR20110018075A -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075A
KR20110018075A KR1020090075686A KR20090075686A KR20110018075A KR 20110018075 A KR20110018075 A KR 20110018075A KR 1020090075686 A KR1020090075686 A KR 1020090075686A KR 20090075686 A KR20090075686 A KR 20090075686A KR 20110018075 A KR20110018075 A KR 20110018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haracter
touch
characters
inpu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하
한의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5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8075A/ko
Priority to US12/857,007 priority patent/US20110037775A1/en
Publication of KR20110018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면이 터치될 시, 문자 입력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터치된 위치의 주변 영역에 결정된 문자 입력 모드의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정해진 영역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문자 입력이 가능하며, 단순한 방향 전환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 여러번 터치할 필요가 없고 고속의 입력이 가능하다.
문자, 문자 입력, 터치, 터치스크린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SCREEN IN PORA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이 터치되는 방향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 경박화됨에 따라 휴대의 편리성이 증가되어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특히, 많은 사용자들이 통화 기능보다 단문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이메일 및 방송메시지와 같은 메시지 관련 부가 기능들을 선호함에 따라, 문자를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들이 경쟁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모음을 '천(ㆍ), 지(ㅡ), 인(ㅣ)'의 3개의 구성원소로 분해하여 3개의 키에 할당하고, 남은 각각의 키에 2개의 자음을 할당하는 천지인 입력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천지인 입력 방식은 동일한 키에 할당된 문자를 연속적으로 입력하기 위해서 소정 시간이 경과 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방향키 혹은 공백문자가 할당된 키를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한 점을 가진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고정적인 공간을 차지하는 키패드를 축소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연구 및 제공되고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별도의 키패드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터치스크린에 키패드 자판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해당 문자를 터치하면, 해당 문자가 입력되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입력 방식은 상기 키패드 장치에서 키를 눌러 입력하는 방식을 단순히 터치스크린에서 소정 영역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전환한 것에 불과하여, 종래의 키패드의 구성으로 인한 단점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도 주변 문자가 잘못 입력될 확률이 높으며, 화면을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동일한 영역에 할당된 여러 개의 문자들 중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동일한 영역을 여러 번 터치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키 감을 느낄 수 없어 키가 입력이 되었는지 인지하기 어려우며, 자판이 고정되어 있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해당 영역을 정확하게 터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은 숫자, 한글, 영어 및 일본어 각각이 상이함으로써, 사용자가 각각의 입력방식을 익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이 터치되는 방향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영어, 일어의 입력 방식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화면이 터치될 시, 문자 입력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터치된 위치의 주변 영역에 결정된 문자 입력 모드의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고,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화면이 터치될 시, 문자 입력 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터치된 위치의 주변 영역에 결정된 문자 입력 모드의 문자들이 디스 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위치한 문자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이 터치되는 방향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정해진 영역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문자 입력이 가능하며, 단순한 방향 전환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 여러 번 터치할 필요가 없고 고속의 입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한글, 영어, 일어의 체계를 기반으로 자판을 배치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이 터치되는 방향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스크린(100), 제어 부(110), 터치 신호 수신부(120), 메모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터치스크린(100)은 상기 표시부(102)와 상기 표시부(102) 위에 설치되는 터치패널(touch pannel)(1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02)는 액정 표시창(LCD : Liquid Crystal Display)으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다양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주변 영역에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상기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주변 여러 방향의 영역에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 8 방향의 영역에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상기 문자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주변 방향 및 주변 방향의 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104)은 화면에 접촉에 따른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터치신호 수신부(120)로 전달한다.
상기 터치신호 수신부(120)는 상기 터치스크린(100)에 포함된 터치 패널(104)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를 분석하고, 화면의 접촉 위치에 따른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며, 특히 문자 UI(User Interface) 제어부(112)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른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기 문자 UI 제어부(112)는 문자 입력을 위해 화면이 터치될 시, 상기 터치신호 수신부(120)로부터 터치된 위치 데이터를 입력받고, 문자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터치된 위치 및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8방향에 문자를 상기 표시부(102)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2)는 숫자 입력 모드일 시, 상기 문자 UI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된 위치 및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8 방향에 숫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숫자들의 배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키패드의 숫자 배치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2)는 영어 입력 모드일 시, 상기 문자 UI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도 6a 혹은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8방향에 영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6a는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8방향에 대표 영어 문자들만을 디스플레이한 경우이고, 도 6b는 상기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8방향에 대표 문자와 그 서브 문자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한 경우이다. 이때, 상기 대표 영어 문자들은 사용 빈도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2)는 상기 문자 UI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한글 입력 모드일 시에는 도 9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일어 입력 모드일 시에는 도 12a 혹은 12b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도 13a 혹은 13b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도 12a 및 12b는 '히라가나'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a와 도 13b는 '가타카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문자 UI 제어부(112)는 상기 터치 신호 수신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데이터를 통해 상기 화면에 발생한 터치가 드래그(혹은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해당 방향에 디스플레이된 숫자 혹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 한다. 이때,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8방향에 대표 문자만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상기 문자 UI 제어부(112)는 상기 터치의 드래그 방향에 디스플레이된 대표 문자의 서브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터치의 드래그 방향이 변화되는지 검사하여 상기 대표 문자와 서브 문자 중 입력할 문자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 UI 제어부(112)는 상기 터치신호 수신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UI 제어부(112)는 터치 방식에 따라 문자 모드 전환 혹은 동일한 문자 모드 내에서의 키 전환을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방식에 따라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터치 방식 해당 동작
-(long key) 모드 전환(한글/영어/일어/숫자 모드간의 전환)
○(circle key) 1. 0(숫자모드)
2. space(숫자 이외의 모드)
·(short key) 1. 5(숫자모드)
2. 키 전환(영대<->영소, 히라가나<->가타카나)
··(double key) Back space(delete)
상기 표 1에서, '-(long key)'는 화면 터치를 드래그 없이 소정 시간 이상 유지할 경우, 문자 입력 모드가 전환되는 것을 의미하며, '○(circle key)'은 화면 터치가 원 형태를 이룰 경우, 숫자 모드에서는 0이 입력되고 상기 숫자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space' 키를 누르는 것과 같이 한칸을 비우고 다음 칸으로 넘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short key)'는 화면이 소정 시간 이하로 터치될 경우, 숫자 모드에서는 5가 입력되고, 영어 모드 혹은 일어 모드에서는 대문자와 소문자,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간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double key)'는 짧게 연속으로 두번 터치될 경우, 'Back space'와 같이 이전에 입력된 문자를 지우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메모리(130)는 문자 입력 모드 각각의 자판 구성 형태를 저장하고, 상기 표 1과 같은 터치 방식과 그에 따라 설정된 동작 정보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에서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고, 20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문자 입력 모드가 숫자 모드인지 혹은 영어, 한글, 일어를 입력하는 문자 모드인지 검사한다.
만일, 현재 문자 입력 모드가 숫자 모드일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화면이 터치된 위치와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 8방향에 숫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숫자들은 종래의 키패드 형태에 익숙한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키패드의 숫자 배치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이 터치된 위치에 숫자 5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주변 8방향에 상기 숫자 5를 제외한 숫자 1~9까지의 숫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숫자 0은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대신,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 형태로 터치될 경우에 입력되도록 설정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에서 상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드래그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드래그가 발생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7단계에서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을 인식하여 해당 방향에 디스플레이된 숫자를 입력하고, 상기 203단계로 되돌아간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된 후, (b)와 같이 10시 반 방향으로 드래그가 수행될 시, (c)와 같이 드래그 방향에 디스플레이된 숫자 1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숫자 1이 입력됨을 나타내기 위해 숫자 1에 강조 효과(예: 크기, 굵기 혹은 색상 변경, 밑줄 혹은 도형 추가)를 부여하고, 나머지 숫자들을 비강조 효과(예: 크기, 굵기 혹은 색상 변경, 삭제 혹은 점선 표시)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b)와 같이 8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될 시, 드래그 방향에 해당하는 숫자에 미리 강조 효과를 부여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드래그를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드래그가 발생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에서 상기 터치가 임계시간 이상의 시간동안 지속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터치가 임계시간 이상의 시간동안 지속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숫자 모드에서 한글, 영어, 일어 모드 중 하나로 전환한다. 반면, 상기 터치가 임계시간 이상의 시간동안 지속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치된 위치의 숫자 즉, 숫자 5를 입력한 후, 상기 203단계로 되돌아 간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와 같이 터치 동작에 따라 숫자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 동작으로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현재 문자 입력 모드가 문자 모드 즉, 영어, 한글, 일어 중 어느 하나의 모드일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화면이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 8 방향에 해당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자 모드가 영어 모드일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8 방향에 대표 문자로 결정된 영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6a에 디스플레이된 대표 문자들은 사용 빈도수에 따라 결정한다. 즉, 알파벳 A부터 Z의 문자들을 4개 단위의 그룹(A~D, E~H, I~L, M~P, Q~T, U~X, Y~Z)으로 분리한 후, 각 그룹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문자들을 대표 문자로 결정하고, 나머지 문자들을 서브 문자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문자 모드가 한글 모드일 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고, 상기 문자 모드가 일어 모드일 시, 도 12a 혹은 도 13a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상기 일어 모드에서는 'ぁ'단의 문자들을 대표 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21단계에서 상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드래그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221단계의 검사 결과 드래그가 발생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31단계에서 상기 터치가 임계시간 이상의 시간동안 지속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터치가 임계시간 이상의 시간동안 지속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35단계로 진행하여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영어 모드 일시, 한글, 일어, 숫자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한다. 반면, 상기 터치가 임계시간 이상의 시간동안 지속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3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문자 입력 모드 내의 키 전환을 수행한다. 즉, 현재 문자 입력 모드가 영어 모드이고 키 모드가 대문자인 경우, 상기 키 모드를 대문자에서 소문자로 전환하고, 현재 문자 입력 모드가 일어 모드이고 키 모드가 히라가나인 경우, 상기 키 모드를 가타카나로 전환한다. 여기서, 현재 문자 입력 모드가 한글인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아무 동작도 하지 않을 것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203단계로 되돌아 간다.
반면, 상기 221단계의 검사 결과 드래그가 발생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23단계에서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을 인식하여 해당 방향에 디스플레이된 대표문자의 서브문자들을 확인하고, 상기 대표문자 주변에 서브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영어, 한글, 일어 모드의 서브문자들은 도 6b, 도 9(b), 도 12b 및 도 13b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문자 입력 모드의 서브 문자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영어 모드에서는 상기 알파벳 A부터 Z의 문자들을 4개 단위의 그룹(A~D, E~H, I~L, M~P, Q~T, U~X, Y~Z)으로 분리한 후, 각 그룹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문자들이 대표 문자가 되고, 나머지 문자들이 상기 서브 문자가 된다. 또한, 상기 한글 모드에서는 대표 문자들에 하나 이상의 획을 추가하여 나타낼 수 있는 문자들과, 그 문자들의 된소리 문자들로 서브 문자들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도 9(b)에서 대표문자가 'ㄴ'인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ㄴ'에 획을 추가하여 'ㄷ','ㄹ'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ㄷ'의 된소리 문자로는 'ㄸ'이 있으므로, 상기 'ㄷ','ㄹ','ㄸ'으로 상기 'ㄴ'의 서브문자들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획 추가 혹은 된소리로 표현할 수 없는 예외적인 문자들(예: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ㄿ, ㅀ, ㅄ)이 있으므로, 이를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문자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어 모드에서는 도 12b 및 13b와 같이 'ぁ단'과 탁음(濁音)으로의 변환을 위한 탁점("), 그리고 요음(拗音)으로의 변환를 위한 기호가 대표문자가 되고, 'ぅ단, ぉ단, ぃ단, ぇ단'과 반탁음(半濁音)으로의 변환을 위한 반탁점(°)이 서브문자들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될 시에 터치 위치를 중심으로 대표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고,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그가 발생될 경우 드래그 방향의 대표 문자와 서브문자들을 디스플레이 하였으나, 상기 화면이 터치될 시에 상기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대표문자들과 서브분자들을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드래그의 방향이 변화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드래그의 방향이 변화되지 않을 시, 2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드래그 방향의 대표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드래그의 방향이 변화될 시, 변화된 방향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문자를 입력한 후, 상기 203단계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문자 모드인 경우에, 영어, 한글, 일어 문자를 입력하는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영어 모드에서 (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된 후, (b)와 같이 3시방향으로 드래그가 수행될 시, (c)와 같이 드래그 방향의 대표문자와 서브 문자들인 I, J, K 및 L를 강조 표시하고, (d)와 같이 상기 드래그의 방향이 전환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I, J, K 및 L 중 하나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드래그의 방향이 유지될 경우에는 대표문자인 I를 입력하고, 상기 드래그의 방향이 윗쪽으로 변화되면 J를 입력하고, 상기 드래그의 방향이 아랫쪽으로 변화되면 K를 입력하고, 상기 드래그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변화되면 L을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드래그 방향에 해당하는 문자들에 미리 강조 효과를 부여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드래그를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문자를 나타내기 위해 해당 문자에 강조 효과(예: 크기, 굵기 혹은 색상 변경, 밑줄 혹은 도형 추가)를 부여하고, 나머지 숫자들을 비강조 효과(예: 크기, 굵기 혹은 색상 변경, 삭제 혹은 점선 표시)를 부여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SAMSUNG'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종래의 키패드를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15번의 키입력을 수행해야하는데 비해, 상기와 같은 방식에서는 7번의 터치동작만으로 상기 'SAMSUNG'을 입력할 수 있다.
다음을, 도 11을 참조하면, 한글 모드에서 (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된 후, (b)와 같이 6시방향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다가 (c)와 같이 일정 거리 이상 드래그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위치로 돌아갈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드래그 방향의 문자를 입력하지 않고 처음 화면을 터치한 것과 같은 상태로 되돌아간다. 만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다시 상기 6시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드래그가 수행될 경우, (d)와 같이 해당 방향의 대표문자와 서브문자들이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드래그 방향이 변화하지 않으면, 상기 (d)와 같이 'ㅣ'를 입력하고, 상기 드래그 방향이 오른쪽으로 변화할 경우, (e)와 같이 'ㅏ'를 입력한다.
마지막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일어 모드이고 '히라가나' 입력 상태인 경우에 (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된 후, (b)와 같이 7시 반방향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해당 방향의 '히라가나' 대표문자와 '가타카나' 대표 문자를 동시에 보여준다. 이때, 상기 드래그가 일정거리 이상 수행되면, (c)와 같이 '히라가나'의 대표문자들만을 보여주며, (d), (e) 및 (f)와 같이 드래그의 방향 변화에 따라 해당 대표문자 혹은 서브 문자들을 강조표시하여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입력될 문자를 나타내고, 해당 문자를 입력한다.
도 15을 참조하면, 'くろい'를 입력할 경우, 종래의 키패드를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10번의 키입력을 수행해야하는데 비해, 상기와 같은 방식에서는 4번의 터치동작만으로 상기 'くろい'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화면이 터치될 경우,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8방향에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였으나, 상기 8방향의 문자들을 한꺼번에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키입력에 따라 4방향씩만을 디스플레이하여 인식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화면이 처음 터치되면, (a)와 같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이드키가 입력되면 (b)와 같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각 방향의 터치 영역을 넓혀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휴대용 단말기의 숫자 자판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숫자 입력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력 숫자에 따른 터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6a와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영어 자판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어 입력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력 영어에 따른 터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자판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확장된 한글 자판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a와 1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일어 자판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a와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일어 자판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일어 입력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력 일어에 따른 입력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식률 확장을 위한 입력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16)

  1.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화면이 터치될 시, 문자 입력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터치된 위치의 주변 영역에 결정된 문자 입력 모드의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위치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숫자 모드, 영어 모드, 한글 모드 및 일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숫자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된 위치에도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상기 영어 모드, 한글 모드 및 일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된 위치의 주변 4 방향 혹은 8 방향의 영역에 해당 문자 입력 모드의 대표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가 드래그될 시, 드래그되는 방향에 위치한 대표문자의 서브문자들을 추가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상기 영어 모드, 한글 모드 및 일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된 위치의 주변 4 방향 혹은 8 방향의 해당 문자 입력 모드의 문자들을 그룹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계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위치한 문자를 강조 표시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강조 표시는, 문자의 크기 변경, 굵기 변경, 색상 변경, 밑줄 추가, 도형 추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위치하지 않은 문자를 비강조 표시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비강조 표시는, 문자의 크기 변경, 굵기 변경, 색상 변경, 삭제 혹은 점선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고,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화면이 터치될 시, 문자 입력 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터치된 위치의 주변 영역에 결정된 문자 입력 모드의 문자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위치한 문자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숫자 모드, 영어 모드, 한글 모드 및 일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숫자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된 위치에도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상기 영어 모드, 한글 모드 및 일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터치된 위치의 주변 4 방향 혹은 8 방향의 영역에 해당 문자 입력 모드의 대표 문자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가 드래그될 시, 드래그되는 방향에 위치한 대표문자의 서브문자들이 추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상기 영어 모드, 한글 모드 및 일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터치된 위치의 주변 4 방향 혹은 8 방향의 해당 문자 입력 모드의 문자들이 그룹화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계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위치한 문자를 강조 표시하며,
    상기 강조 표시는, 문자의 크기 변경, 굵기 변경, 색상 변경, 밑줄 추가, 도형 추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위치하지 않은 문자를 비강조 표시하며,
    상기 비강조 표시는, 문자의 크기 변경, 굵기 변경, 색상 변경, 삭제 혹은 점선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90075686A 2009-08-17 2009-08-17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10018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686A KR20110018075A (ko) 2009-08-17 2009-08-17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12/857,007 US20110037775A1 (en) 2009-08-17 2010-08-16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using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686A KR20110018075A (ko) 2009-08-17 2009-08-17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075A true KR20110018075A (ko) 2011-02-23

Family

ID=4358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686A KR20110018075A (ko) 2009-08-17 2009-08-17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37775A1 (ko)
KR (1) KR2011001807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553A2 (ko) * 2011-07-22 2013-01-31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문자 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WO2015053526A1 (ko) * 2013-10-12 2015-04-16 ㈜클루소프트 숫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50043195A (ko) * 2013-10-12 2015-04-22 봉래 박 숫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7022919A1 (en) * 2015-08-05 2017-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text input method for the same
KR102253889B1 (ko) * 2020-09-16 2021-05-18 선영진 패턴입력식 다국어 가상 키패드 시스템
WO2021133050A1 (ko) * 2019-12-23 2021-07-01 선영진 패턴입력식 다국어 가상 키패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59B1 (ko) * 2007-08-23 2012-04-03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장치
US20120081297A1 (en) * 2010-10-01 2012-04-05 Google Inc. Touch keyboard with phonetic character shortcuts
WO2013002779A1 (en) * 2011-06-29 2013-01-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Character preview method and apparatus
US9535511B2 (en) * 2011-06-29 2017-01-03 Sony Corporation Character input device
US8754861B2 (en) 2011-07-06 2014-06-17 Google Inc. Touch-screen keyboard facilitating touch typing with minimal finger movement
CN102331905A (zh) * 2011-08-01 2012-01-25 张岩 一种双指手势文字输入方法
JP5700253B2 (ja) * 2011-12-27 2015-04-1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操作入力システム
JP2014060640A (ja) * 2012-09-19 2014-04-03 Sharp Corp 仮名文字入力装置
CN103076970B (zh) * 2012-12-28 2016-04-27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屏幕解锁方法
US9292101B2 (en) 2013-02-07 2016-03-2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persistent directional gestures for localization input
US20140250402A1 (en) * 2013-03-04 2014-09-04 Microsoft Corporation Efficient input mechanism for a computing device
KR20150004253A (ko) * 2013-07-02 2015-01-12 (주) 리얼밸류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애플리케이션 배포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EP2966550A1 (en) * 2014-07-11 2016-01-13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on input data
US10671181B2 (en) * 2017-04-03 2020-06-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ext entry interface
JP2019021108A (ja) * 2017-07-19 2019-02-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210016752A (ko) * 2019-08-05 2021-02-17 윤현진 중증 환자를 위한 영문 입력자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4786B2 (ja) * 1999-01-22 2008-09-24 株式会社セガ 文字入力制御装置
EP1303805B1 (de) * 2000-07-21 2010-02-10 Speedscript AG Verfahren für ein schnellschreibsystem und schnellschreibgerät
US6925611B2 (en) * 2001-01-31 2005-08-02 Microsoft Corporation Navigational interface for mobile and wearable computers
US20030197736A1 (en) * 2002-01-16 2003-10-23 Murphy Michael W. User interface for character entry using a minimum number of selection keys
US7199786B2 (en) * 2002-11-29 2007-04-03 Daniel Suraqui Reduced keyboards system using unistroke input and having automatic disambiguating and a recognition method using said system
US20050052431A1 (en) * 2003-09-05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recognition
US8797192B2 (en) * 2004-08-16 2014-08-05 Wai-Lin Maw Virtual keypad input device
KR100735554B1 (ko) * 2005-10-10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070256029A1 (en) * 2006-05-01 2007-11-01 Rpo Pty L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A User With A Touch-Screen
US20100289750A1 (en) * 2006-08-04 2010-11-18 Hyung Gi Kim Touch Type Character Input Device
BRPI0717471A2 (pt) * 2006-10-23 2014-03-11 Eui Jin Oh Dispositivo de entrada
JP2009015388A (ja) * 2007-06-29 2009-01-22 Casio Comput Co Ltd 電子式計算機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878191B1 (ko) * 2007-10-27 2009-01-13 주식회사 자코드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ES2356998T3 (es) * 2008-09-26 2011-04-15 General Algorithms Ltd.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introducción de textos.
US20100313168A1 (en) * 2009-06-05 2010-12-09 Microsoft Corporation Performing character selection and entry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553A2 (ko) * 2011-07-22 2013-01-31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문자 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WO2013015553A3 (ko) * 2011-07-22 2013-03-21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문자 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101313287B1 (ko) * 2011-07-22 2013-09-30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문자 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CN103814345A (zh) * 2011-07-22 2014-05-21 新游网络株式会社 用于输入字符的方法、终端及记录媒体
WO2015053526A1 (ko) * 2013-10-12 2015-04-16 ㈜클루소프트 숫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50043195A (ko) * 2013-10-12 2015-04-22 봉래 박 숫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7022919A1 (en) * 2015-08-05 2017-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text input method for the same
US10732817B2 (en) 2015-08-05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text input method for the same
WO2021133050A1 (ko) * 2019-12-23 2021-07-01 선영진 패턴입력식 다국어 가상 키패드 시스템
KR102253889B1 (ko) * 2020-09-16 2021-05-18 선영진 패턴입력식 다국어 가상 키패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37775A1 (en)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80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478020B1 (ko) 화면표시식키이입력장치
CN101174190B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KR101085655B1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4316687B2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US201002255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WO2010099835A1 (en) Improved text input
KR20000064556A (ko) 키이입력장치
KR20090015327A (ko) 문자 삭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7245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2169391A (zh) 触摸设备输入装置和输入方法
KR20120097836A (ko)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KR100566204B1 (ko)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43449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20100024563A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84260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단말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744124B1 (ko) 문자 출력 영역에서 입력과 출력의 듀얼 기능을 하는 문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07213615A (ja)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タッチ式キー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525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와 문자 인식 방법
KR20110082310A (ko) 문자 입력 방법
KR101074457B1 (ko)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KR2015006210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14140236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