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666A - Provid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 contents in terminal with camera - Google Patents

Provid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 contents in terminal with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666A
KR20110010666A KR1020110004240A KR20110004240A KR20110010666A KR 20110010666 A KR20110010666 A KR 20110010666A KR 1020110004240 A KR1020110004240 A KR 1020110004240A KR 20110004240 A KR20110004240 A KR 20110004240A KR 20110010666 A KR20110010666 A KR 20110010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code
image
personalize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2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희진
이계완
훈 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10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6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s in a terminal with a camera is provided to offer personalized contents with 3D contents. CONSTITUTION: A code generating unit(300) extracts specific point information from the image(100). The code generation unit generates a unique code to a personalized contents(120). If a user lights a target object or an image and code(200) through a camera mounted device(400), the device recognizes the code. A contents providing server(600) receives specific feature information, 3D contents(110), and the personalized contents(120).

Description

카메라 탑재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Provid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 Contents in Terminal with Camera}Provid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 Contents in Terminal with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코드에 대응하는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corresponding to a code in a camera built-in terminal.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의 변화된 형태로서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컴퓨터에서 생성한 가상 현실을 결합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말한다.Augmented Reality (AR) is a modified form of Virtual Reality (VR) that refers to a user interface technology that combines computer-generated virtual reality with real-life images viewed by the user.

그런데, 기존의 증강현실 기술은, 도1에서와 같이 미리 기록해 놓은 마커의 이미지 패턴을 비교해 대응하는 콘텐츠를 마커 위에 증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도2에서와 같이 마커 없이(마커리스) 영상의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정보를 그림이나 사물 위에 바로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However, the exist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using the method of augmen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on the marker by comparing the image pattern of the pre-recorded marker as shown in Figure 1, or the feature point of the image (markerless) without the marker as shown in Figure 2 Use information to express 3D information directly on a picture or object.

마커를 이용하는 경우는 구현이 쉽고 인식 속도도 빠르지만, 별도의 마커를 준비해야 하고 심미적인 표현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When using a marker, the implementation is easy and the recognition speed is fast, but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a separate marker is prepared and aesthetic expression is poor.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마커리스 방법은 별도의 마커가 필요 없고 그림이나 사물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증강현실을 사용하는 것인지 알 수가 없어서 증강현실이 적용되고 있다는 것을 별도로 알려 주어야 하며, 영상의 특징점을 비교하기 위한 데이터 연산량이 많아 비교해야할 영상의 개수가 많아지면 실시간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The markerless method of solving this problem does not require a separate marker and can use a picture or an object as it is, but it must be separately informed that augmented reality is applied because the user does not know whether a user uses augmented reality. When the number of images to be compared is large due to a large amount of data calculations for comparing the data,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real-time.

또한, 마커 방식과 마커리스 방식 모두 하나의 영상에 하나의 3차원 콘텐츠만 매칭되므로 3차원 콘텐츠의 재활용이 어렵고, 개인이 활용하기에는 3차원 콘텐츠의 구현이 어렵고 고비용이라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only one 3D content is matched to one image in both the marker method and the markerless method, it is difficult to recycle the 3D content, and it is difficult and expensive to implement the 3D content for the individual to use.

한편, 증강현실과 별도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위해 도3과 같은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2차원 바코드에 숫자, 텍스트, URL 등의 많은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고 코드 생성이 손쉬우며 인식 속도가 빨라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작은 크기의 2차원 바코드 위에 3차원 정보를 표현하기 어렵고, 코드만 보고 내용을 짐작할 수 없으며 심미적인 표현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as shown in Figure 3 for a personalized service separately from augmented reality, it is possible to include a lot of information, such as numbers, text, URL, etc. in the two-dimensional barcode, code generation is easy and recognition speed is high Although it is widely used, it is difficult to express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n a small two-dimensional bar code, and it is difficult to express content by looking only at a code, and aesthetic expression is inferior.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코드와 마커리스 증강 현실을 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에 오직 하나의 콘텐츠만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코드에 따라 각기 다른 3차원 콘텐츠와 개인화된 콘텐츠를, 스마트폰과 같은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한다.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code and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so that not only one content is connected to one image, but different 3D content and personalized content according to the code. To provide to the user in the camera built-i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the camera built-in terminal,

이미지(100)와 코드(200)가 표시된 대상물 자체 또는 이 대상물이 표시된 화면을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로 비추는 단계;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의 어플리케이션이 코드(200)를 인식하여 코드 값을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전송하는 단계; 콘텐츠 제공 서버(600)가 이 코드 값에 대응하는 이미지(100)의 특징점 정보와, 3차원 콘텐츠 정보(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와 연결된 메뉴 정보를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에 전달하는 단계;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의 어플리케이션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100)에 3차원 콘텐츠 정보(110)와 메뉴 정보를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대응하는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가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서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lluminating the object itself on which the image 100 and the code 200 are displayed or the screen on which the object is displayed to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An application of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recognizing the code 200 and transmitting the code valu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transmits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image 100 corresponding to the code value, the 3D content information 110, and the menu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to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Doing; An application of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displaying three-dimensional content information 110 and menu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in the image 100 using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corresponding to the menu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and displaying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on the scree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코드와 마커리스 증강 현실을 결합하여 스마트폰에서 3차원 콘텐츠와 함께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가능해진다.Us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mbining the code and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provides personalized content with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in the smartphon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할 이미지와 함께 개인이 사진, 동영상, 음성, 글 등의 자신의 개인화된 콘텐츠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코드를 생성하고, 코드에 따라 개인화된 콘텐츠를 이미지 위에 합성하여 표현하므로 개인화된 서비스가 가능해진다.In more detail, when an individual registers his or her own personalized content such as a picture, video, voice, or text together with the image to be used, the code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the personalized content according to the code is expressed on the image for personalization. Services become available.

또한, 미리 구현된 3차원 콘텐츠에 개인의 콘텐츠를 결합시켜 증강현실을 구현하므로, 이미 제작된 3차원 콘텐츠의 재활용성을 높이고 개인은 높은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쉽고 저렴하게 증강현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ugmented reality is realized by combining personal content with pre-implemented three-dimensional content, so that the reusability of the already produced three-dimensional content can be improved and an individual can use augmented reality easily and inexpensively without paying a high cost. do.

그리고, 이미지에 매칭되는 개인화된 콘텐츠 및 3차원 콘텐츠는 서버에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웹 또는 핸드폰에서 서버에 저장된 정보만 변경하면 클라이언트에서 변경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갱신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personalized content and three-dimensional content that matches the image are stored in the server, the user can easily update without changing the information by changing only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on the web or mobile phone.

또한, 이미지를 직접 인식하는 경우에 이미지의 개수가 많아지면 검색에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본 발명과 같이 코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드를 인식하는 순간 어떤 이미지인지 알 수 있으므로, 계산량이 현저히 줄어들어 실시간성이 보장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directly recognizing an image, if the number of images increases, the search takes a long time. However, when used with a cod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age is recognized at the moment of recognizing the code, the calculation amount is significantly reduced. Real time guaranteed.

그리고,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하므로, 사용자는 증강현실 적용 여부를 모르더라도 코드를 인식하는 순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코드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함을 인지하게 되고, 증강현실을 제공하지 않는 코드 인식 프로그램으로 인식한 경우에도 코드 내에 저장된 URL을 통해 증강현실 전용 프로그램 사용을 안내하므로 증강현실 적용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wo-dimensional bar code is already widely used, the user recognizes that a code recognition program that is generally used should be used at the moment of recognizing the code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whether the augmented reality is applied or not. Even if the program is recognized as a guide through the use of the augmented reality program through a URL stored in the code,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augmented reality is applied.

또한, 허가된 사용자 및 패스워드를 서버에서 관리가 가능하므로, 원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된다.In addition, authorized users and passwords can be managed on the server, preventing the provision of content to unwanted users, thereby protecting personal privacy.

도1은 종래기술에서 마커 기반 증강 현실을 도시함.
도2는 종래기술에서 마커리스 증강 현실을 도시함.
도3은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2차원 바코드를 도시함.
도4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코드생성부의 세부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스마트폰을 청첩장에 적용한 사례를 도시함.
도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스마트폰을 청첩장에 적용하여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흐름도를 도시함.
도8은 본 발명에서 이미지와 코드의 다양한 배치와 결합 방법을 도시함.
도9는 본 발명에서 다양한 코드의 종류, 배치 및 형태를 도시함.
도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씰이나 스티커나 우표를 도시함.
도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명함을 도시함.
1 illustrates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in the prior art.
2 illustrates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in the prior art.
Figure 3 shows a two-dimensional bar code used in the prior art.
4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de gen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a smart pho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wedding invitation.
Figure 7 shows a flow chart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by applying the smart pho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wedding invitation.
8 illustrates various arrangements and combining methods of images and code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llustrates various code types, arrangements and form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a seal or sticker or stamp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11 shows a business car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먼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종이형태 또는 전자적인 형태의 대상물(청첩장, 카드, 편지, 명함, 상품안내장, 간판, 책 등)에는, 사용자의 사진, 캐리커쳐, 스타나 상품의 이미지, 캐릭터를 이용한 아이콘을 사용하는 이미지(100)와, 코드(200)(바코드나 QR 코드 등의 2차원 코드, 커스텀 코드 등)가 인쇄(종이 형태)되거나 첨부(전자적인 형태)되게 되는데, 이 코드(200)는 이미지(100)상에 존재하거나, 이미지(100)와 인접하게 존재하게 된다.Images (100) using photographs of users, caricatures, images of stars or merchandise, and icons using characters for paper or electronic objects (wedding invitations, cards, letters, business cards, product brochures, signs, books, etc.) The code 200 (two-dimensional code such as a barcode or QR code, a custom code, etc.) is printed (paper type) or attached (electronic form), which code 200 is present on the image 100. Or adjacent to the image 100.

이 코드(1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개인화된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등록시에 생성되는 코드이다.
This code 100 is a code generated when the personalized content described below is registe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코드 생성부(300)는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는 이미지(100)와, 3차원 콘텐츠(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사진, 오디오, 동영상, 글 등)를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전송하고, 사용자가 사용할 이미지(100)에서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며, 사용자가 제공하는 개인화된 콘텐츠(120)에 대한 유일한 코드(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커스텀 코드 등)를 생성한다. 이 유일한 코드는 유일한 일련 번호(예:0987654321)나 URL형태(http://(address)/code=0987654321))도 가능하다.The code generation unit 300 provid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with the image 100, the 3D content 110, and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picture, audio, video, text, etc.) to be used by the user. And extracts feature point information from the image 100 to be used by the user, and generates unique codes (barcode two-dimensional barcodes, custom codes, etc.) for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provided by the user. This unique code can be a unique serial number (eg 0987654321) or a URL (http: // (address) / code = 0987654321).

이때, 사용자는 코드 생성부(300)에 이미지(100)를 입력하고, 입력된 이미지(10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합성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3차원 콘텐츠(110)를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가 3차원 콘텐츠(110)를 선택하는 대신에, 이미지(100)에 맞게 미리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user inputs the image 100 to the code generation unit 300 and selects the 3D content 110 that is manufactured to synthesize the input image 100 and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In this case, instead of selecting the 3D content 110, the user may be prepared in advance for the image 100 and provided to the user.

즉, 사용자가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코드 생성부(300)에 입력하면(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화된 콘텐츠가 어떤 위치에 어떤 크기로 표시될지 등을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코드 생성부(300)는 이 개인화된 콘텐츠(200)에 대하여 유일한 코드(200)를 생성하고, 생성된 코드(200)는 이미지(100)에 부착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inputs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to the code generation unit 300 (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 which size and location of the personalized content to be displayed, etc.), and generate the code. The unit 300 generates a unique code 200 for the personalized content 200, and the generated code 200 is attached to the image 100.

또한,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코드 생성부(300)에, 패스워드를 등록하게 하여 패스워드를 아는 사람만이 사용가능하게 하거나, 이용 가능 사용자 전화번호 리스트를 등록하게 하여 등록된 전화번호의 단말기만 이용가능 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otect user privacy, the code generation unit 300 allows a person who knows the password to register the password, or register a list of available user telephone numbers so that only the terminal of the registered phone number can be used. You can do that.

카메라 탑재 디바이스(400)는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의미하고,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형 단말기(예:스마트폰), 카메라와 연결된 PC, 카메라 내장형 태블릿 PC/노트북, 카메라가 연결된 고글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The camera-mounted device 400 refers to a terminal with a built-in camera, and various forms such as a portable terminal with a built-in camera (eg, a smartphone), a PC connected with a camera, a tablet PC with a built-in camera, a goggle connected with a camera, etc. It is possible.

사용자가 이 카메라 탑재 디바이스(400)를 이용하여 대상물 자체 또는 대상물이 표시된 화면의 이미지(100)와 코드(200)를 비추면, 코드(200)를 인식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전송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서 이 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특징점 정보, 3차원 콘텐츠(110),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수신하여, 카메라 탑재 디바이스(400)의 화면에는 이미지(100) 위에 3차원 콘텐츠(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가 디스플레이된다.
When the user illuminates the object itself or the image 100 and the code 200 on the screen on which the object is displayed by using the camera-mounted device 400, the code 200 is recogniz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receives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de, the 3D content 110, and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and displays the 3D image on the screen of the camera-mounted device 400 on the image 100. Content 110 and personalized content 120 are displayed.

통신망(500)은 이동통신망, 인터넷, 무선랜 등을 사용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 개인화된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600)로 전송하고, 카메라 탑재 디바이스(400)와 통신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us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net, a wireless LAN, and the like, transmits an image and personalized content input by a user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and communicates with the camera-mounted device 400.

콘텐츠 제공 서버(600)는 코드 생성부(300)에서 생성한 코드(200)와 함께 이미지(100)의 특징점 정보, 3차원 콘텐츠 정보(110), 개인화된 콘텐츠 정보(120)를 전송 받아서 이들을 데이터베이스(700)에 저장하고, 카메라 탑재 디바이스(400)가 코드(200)를 인식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요청을 하면 데이터 베이스(700)에서 이 코드(200)에 대응하는 정보(이미지의 특징점 정보, 3차원 콘텐츠 정보, 개인화된 콘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카메라 탑재 디바이스(400)에 전송한다.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receives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image 100, the 3D content information 110, and the personalized content information 120 together with the code 200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ion unit 300, and stores them in a database. Information stored in the 700 and the camera-mounted device 400 recognizes the code 200 and makes a reques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200 in the database 700 (the feature point of the image). Information, 3D content information, and personalized content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camera-mounted device 400.

이때,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저장된 개인화된 콘텐츠(120)는 사용자가 웹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접속하여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핸드폰(스마트폰)에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한 후에 싸이월드에 이미지를 올리는 방법(#4200 업로드)처럼 핸드폰에서 저장된 개인화된 콘텐츠(사진, 오디오, 동영상, 글 등)를 선택한 후에 식별자(#)와 서비스 명(MP)과 코드번호(43567)를 #MP43567과 같이 입력하여 전송하면, 서비스명(MP)과 코드번호(43567)에 해당하는 기저장된 개인화된 콘텐츠(120)가 핸드폰에 저장된 개인화된 콘텐츠(120)로 자동적으로 즉시 수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sto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may be modified by the user accessing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through the web, and after selecting an image stored in the mobile phone (smartphone) Select the personalized content (photo, audio, video, text, etc.) stored on your phone, such as how to upload an image (# 4200 upload) on your phone, and enter the identifier (#), service name (MP) and code number (43567) When inputted together and transmitted,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modify the pre-stored personalized content 120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name (MP) and code number 43567 automatically with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stored in the mobile phone.

데이터베이스(700)는 유일한 코드 정보와, 이 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특징점 정보와, 3차원 콘텐츠 정보와, 3차원 콘텐츠 정보가 이미지 상에서 보여지는데에 관계되는 정보(표시 위치, 크기 등)와, 개인화된 콘텐츠(사용자의 이름, 나이, 사진, 동영상, 음성 데이터, 인사말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database 700 includes unique code information,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de, three-dimensional content informatio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size, etc.) related to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information being displayed on the image, and personaliz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user's name, age, photo, video, voice data, greetings, etc.).

그리고, 접근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접근하도록, 억세스 권한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Then, access rights related information is stored so that only users with access rights have access.

다음으로, 코드 생성부(300)의 세부 구성을 도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de generation uni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이미 코드 값을 통해 어떤 이미지(100)가 사용되는지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인지하고 있으므로, 특징점 추출부(310)는 사용자가 이용할 이미지(100)에서 특징점을 추출한다.
Since the application software recognizes which image 100 is already used through the code value, the feature point extractor 310 extracts the feature point from the image 100 to be used by the user.

또한, 콘텐츠 입력부(320)를 통해, 사용자는 이미지(100) 상에 표시될 3차원 콘텐츠(110)를 입력(또는 선택)하고, 3차원 콘텐츠(110)가 이미지(100) 상의 어떤 위치와 높이에 얼마만한 크기로 표시되는지를 지정한다.In addition, through the content input unit 320, the user inputs (or selects) the 3D content 110 to be displayed on the image 100, and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3D content 110 on the image 100. Specifies how much to display in.

이렇게 입력된 3차원 콘텐츠(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화된 콘텐츠(120)와 링크되거나 직접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가 지정되는 형식으로 제작된다. 예를 들면, 3차원 콘텐츠(110) 중에 있는 풍선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동영상(개인화된 콘텐츠)이 재생되거나, 풍선 자체에 사용자의 얼굴(개인화된 콘텐츠)이 매핑되어 표시된다.
The input 3D content 110 is produced in a format in which a display unit that can be directly linked to or displayed with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input by the user is designated. For example, when a user touches a balloon in the 3D content 110, a video (personalized content) input by the user is played, or the user's face (personalized content) is mapped and displayed on the balloon itself.

그리고, 개인화된 콘텐츠 수집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개인화된 콘텐츠(120)(사진, 동영상, 음성 데이터,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받는데, 미리 제작된 콘텐츠를 입력 받거나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이 구비된 장비로부터 녹화하여 입력 받게 된다.
The personalized content collecting unit 330 receives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photo, video, voice data, text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receives pre-produced content, or is provided with a camera, a microphone, or the like. Recorded and input from the device.

또한, 코드 출력부(340)는 해당 이미지(100)와 3차원 콘텐츠(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에 대응하는 유일한 코드 값을 생성하여, 이 코드 값에 대응하는 바코드, 2차원 바코드, 커스텀 코드 형태로 변환하여 인쇄 가능한 이미지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 코드 이미지를 다운 받아서 사용할 이미지(100)상이나 주변에 위치 시킨다.
In addition, the code output unit 340 generates a unique code value corresponding to the image 100,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110 and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the barcode corresponding to the code value, the two-dimensional barcode, After converting the custom code into a printable image, the user downloads the code image and places it on or around the image 100 to be used.

이제, 본 발명에 따라, 코드와 마커리스 증강 현실을 결합하여 스마트폰에서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종이 형태의 청첩장에 적용한 도6의 사례와, 도7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ow,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 of FIG. 6 and the flowchart shown in FIG. 7 applied to a wedding invitation in the form of a paper for a method of providing personalized content in a smartphone by combining code and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청첩장에는 결혼 관련 내용(이미지(100))(도6의 첫 번째 도면에서 리본 문양과 Wedding Invitation이라는 글씨)이 상단에 존재하고, 하단에 청첩장 관련 3차원 콘텐츠(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나타내는 코드(200)가 인쇄되어 있다. In the wedding invit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marriage-related content (image 100) (the ribbon pattern and the letter of the wedding invitation in the first drawing of FIG. 6) is present at the top, and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110 related to the wedding invitation at the bottom is personalized. A code 200 representing the content 120 is printed.

그리고, 청첩장의 발송자는 미리 코드에 대응하는 3차원 콘텐츠(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등록시켜 놓는다. The sender of the wedding invitation registers the 3D content 110 and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corresponding to the cod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in advance.

이때, 코드 생성부(300)가 용도별 3차원 콘텐츠(110) 세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특정 3차원 콘텐츠(110)를 선택하게 하면, 특정 용도(예: 청첩장)에서는 동일한 3차원 콘텐츠(110)(예: 도6의 첫 번째 도면에서 춤추는 캐릭터)를 사용하고, 코드에 따라서 개인화된 콘텐츠(120)가 구별되므로, 사용자는 3차원 콘텐츠(110)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3D 콘텐츠(110)의 재활용성이 높아진다.
In this case, when the code generation unit 300 provides the user with a set of three-dimensional content 110 for each use, and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specific three-dimensional content 110 according to the use, the same three for the specific use (for example, a wedding invitation). Using dimensional content 110 (e.g., the dancing character in the first drawing of FIG. 6), and personalized content 120 is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code, the user does not need to create three-dimensional content 110 and the 3D content The recyclability of the 110 is increased.

그래서, 이 청첩장을 받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카메라 탑재 디바이스(4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서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청첩장을 비추면, 이 촬영된 영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이 하단에 있는 코드(200)를 인식한다(S1). Thus, when the user who received the wedding invitation is driving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martphone (camera-mounted device 400) to illuminate the wedding invitation through the camera of the smartphone, the application code at the bottom of the captured image ( 200) (S1).

이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인식된 코드(200)를 서버(600)에 전송하면(S2), 서버(600)는 코드 값에 대응하는 특징점 정보와, 3차원 콘텐츠(춤추는 캐릭터)와, 개인화된 콘텐츠(120)와 연결된 메뉴 정보(4개의 심볼)를 스마트폰으로 전달한다(S3). 이때, 한꺼번에 개인화된 콘텐츠(120)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예: 개인화된 콘텐츠의 데이터 크기가 작은 경우, 데이터 크기가 크더라도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저장 용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이 단계(S3)에서 개인화된 콘텐츠(120)도 스마트폰으로 전달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Now, when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transmits the recognized code 200 to the server 600 (S2), the server 600,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value,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dance characters), and personalized The menu information (four symbols) connected to the content 120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S3). In this case, when it is desirable to transmit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to the smartphone at once (for example, when the data size of the personalized content is small,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even if the data size is large and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martphone is sufficient). In this step (S3) it is also possible to have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delivered to the smartphone.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은 전송된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카메라 이미지(100)에서 특징점을 매칭시켜서 적절한 위치 및 방향에 3차원 콘텐츠(120)(춤추는 캐릭터)를 표시하고, 개인화된 콘텐츠와 연결된 메뉴(4개의 심볼)를 표시한다(도6의 첫 번째 도면 참고)(S4).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uses the transmitted feature point information to match the feature point in the current camera image 100 to display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120 (a dancing character) at an appropriate position and orientation, and to connect a menu connected with personalized content ( 4 symbols) (refer to the first drawing of FIG. 6) (S4).

이제, 사용자가 4개의 심볼 중에서, 신부의 사진을 보기 위해 관련 이미지 심볼을 터치(선택)하면, 스마트폰은 서버(600)에서 개인화된 콘텐츠인 신부의 사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신부의 사진을 표시하고(도6의 두 번째 도면 참고), 예식장의 위치를 보기 위해 지도 심볼을 터치하면 스마트폰은 서버(600)에서 개인화된 콘텐츠인 예식장 위치 지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예식장 관련 지도를 표시한다(도6의 세 번째 도면 참고)(S5).
Now, when the user touches (selects) a related image symbol to view the bride's picture among the four symbols, the smartphone receives the bride's picture related data, which is personalized content, from the server 600 and displays the bride's picture on the screen. Displaying a picture (see the second drawing of FIG. 6), and touching the map symbol to view the location of the wedding hall, the smartphone receives data related to the wedding hall location map, which is personalized content, from the server 600 and then related to the wedding hall on the screen. The map is displayed (see the third drawing of FIG. 6) (S5).

즉, 본 발명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비추는 청첩장을 통해, 코드(200)가 콘텐츠 제공 서버(600)로 전송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서는 이 코드값에 대응하는 특징점 정보와, 3차원 콘텐츠(춤추는 캐릭터)와, 개인화된 콘텐츠와 연결된 메뉴(4개의 심볼)를 스마트폰으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화면에는 이미지(100)와 함께 3차원 콘텐츠(춤추는 캐릭터)가 표시되고, 개인화된 콘텐츠와 연결되는 메뉴가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개인화된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게 되어, 코드와 마커리스 증강 현실을 결합하여 스마트폰에서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de 200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through the wedding invitation that the camera of the smartphone shin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may provide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value, Three-dimensional content (a dancing character) and a menu connected with personalized content (four symbols) are delivered to the smartphone, and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a dancing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together with the image 100 and personalized. The menu connected to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personalized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menu selection, and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code and the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to provide personalized content in the smartphone.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청첩장에서, 결혼 관련 내용(이미지(100))(도6의 첫 번째 도면에서 리본 문양과 Wedding Invitation이라는 글씨)이 상단에 인쇄되어 있고, 하단에 청첩장 관련 3차원 콘텐츠(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나타내는 코드(200)가 인쇄되게 하는 방식으로, 단순하게 이미지와 코드가 이격되게 배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미지와 코드는 다양한 배치와 결합을 가질 수 있기에, 도8을 참고로 하여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wedding invit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marriage-related content (image 100) (the ribbon pattern and the words Wedding Invitation in the first drawing of Figure 6) is printed on the top, the wedding invitation-related three-dimensional at the bottom Although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of a case where the image and the code are arrang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code 200 representing the content 110 and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is printed, the image and the code may have various arrangements and combinations. As such,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8의 첫 번째 도면의 상단과 같이 컬러 QR코드를 이미지와 분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첫 번째 도면의 하단과 같이 이미지 내부에 컬러 QR 코드를 합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drawing of FIG. 8, the color QR code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image, but the color QR code may be synthesized inside the image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drawing.

또한, 도8의 두 번째 도면처럼 이미지에 코드용 워터 마크를 삽입하여 Scantag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으로 해당 이미지를 비추면, 코드가 도출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second drawing of FIG. 8, a code may be derived by inserting a watermark for a code into an image to illuminate the image with an application such as a Scantag application.

그리고, 도8의 세 번째 상단과 달리, 하단처럼 이미지로서 아이콘을 사용하면, 이 아이콘에 대한 호감도가 높고 사용자가 콘텐츠의 내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And, unlike the third upper part of FIG. 8, if the icon is used as the image as the lower part, the user has a high affinity for the icon and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content of the content.

다음으로, 코드의 종류, 배치 및 형태에 대해 도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type, arrangement, and form of the c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9의 상단 도면과 하단 도면은 이미지의 형태가 그래픽 이미지 또는 사진이라는 점에서 상이하고, 코드의 종류, 배치 및 형태가 동일하다.The top and bottom views of Fig. 9 are different in that the image is in the form of a graphic image or a photograph, and the type,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codes are the same.

1-2번째 열은 QR 코드를 상단과 좌측에 배치한 것이고, 2-6 번째 열은 서비스명(MPOP)과 코드(98762) 전체를 하나의 코드로 사용하는 것이며, 5번째 열은 서비스 명과 코드를 상하에 중복 배치하는 것으로 상부 또는 하부의 어느 하나의 서비스 명과 코드가 훼손되더라도 나머지에 의해 인식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Columns 1-2 are QR codes placed on the top and left sides. Columns 2-6 use the entire service name (MPOP) and code (98762) as one code. Column 5 is the service name and code. By overlapping the above and below, the service name and code of on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can be recognized by the rest even if they are damaged.

이제, 본 발명을 적용한 다양한 비즈니스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Now, various business method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청첩장 인쇄 서비스 또는 웨딩 앨범 제작 서비스의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자는 각 서비스 컨셉에 맞는 이미지(100)(예 : 아이콘)와 증강 현실용 3차원 콘텐츠(110)(예: 춤추는 캐릭터)들의 세트를 제작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저장시켜 놓고, 사용자는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접속하여 이미지(100)와 3차원 콘텐츠(110)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개인화된 콘텐츠(120)(예 : 음성, 음악, 사전, 영상, 정보 등)를 제공하여 개인화된 코드(200)를 생성하여, 선택된 이미지(100)와 생성된 코드(200)를 종이형태의 청첩장에 인쇄하거나, 전자적인 청첩장(예: 이메일 청첩장)에 부착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a wedding invitation printing service or wedding album production service, the service provider produces a set of images 100 (e.g. icons) and augmented reality three-dimensional content 110 (e.g. dancing characters) for each service concept. Sav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the user connects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to select the desired from the image 100 and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110, the user's personalized content 120 (e.g., Providing a personalized code 200 by providing voice, music, dictionary, video, information, etc., printing the selected image 100 and the generated code 200 on a paper-type wedding invitation, or an electronic wedding invitation (eg : E-mail invitation).

이제, 이 종이 청첩장이나 전자 청첩장을 받은 수신자는 이 종이 청첩장 또는 전자 청첩장이 표시된 모니터 화면에 있는 이미지(100)와 코드(200)를 스마트폰으로 비추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은 이 코드(200)를 인식하여 이 코드(200)를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송신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600)는 이 코드에 대응하는 3차원 콘텐츠(110)인 춤추는 케릭터를 이미지(100) 위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고 개인화된 콘텐츠(120)용 메뉴를 표시하면, 수신자의 메뉴 선택에 대응하는 개인화된 콘텐츠(120)가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Now, the recipient who has received this paper wedding invitation or electronic wedding invitation illuminates the smartphone with the image 100 and the code 200 on the monitor screen on which the paper wedding invitation or electronic wedding invitation is displayed. Recognizes and transmits the code 200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displays the dancing character, which is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110 corresponding to the code, on the image 100 in augmented reality. When the menu for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is displayed,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corresponding to the menu selection of the receiv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이때, 선택 메뉴에 따라 신부 사진 등의 예식 관련 사진이나 예식장 위치 지도가 화면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신랑신부의 목소리 등의 음성이나 야외촬영 동영상을 스마트폰 화면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축의금 전송을 위한 축의금 계좌 정보를 표시하거나 축의금의 핸드폰 소액 결제 서비스와 연계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selection menu, the wedding ceremony-related photos such as the bride's photo and the map of the wedding ceremony loc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money account account information for the payment or to be associated with the money micropayment service of the money gift.

또한, 필요시 서비스 사용자(신랑, 신부)는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제공하는 기간을 설정할 수도 있고, 특정 스마트폰(특정 휴대폰 번호로 인식)에만 보여주는 메뉴 및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추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service user (groom, bride) may set a period in which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is provid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and a menu and personalized information displayed only on a specific smart phone (recognized by a specific mobile phone number). You can also add content 120.

그리고, 웨딩 서비스를 확대하여 신랑신부의 친구가 찍은 사진을 보내 주도록 하거나, 사진에 댓글을 달거나, 신랑신부가 추후 신혼 여행에서 찍은 사진을 업로드한 후 자신의 청첩장 콘텐츠를 본 사람에게만 공지를 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You can extend the wedding service to send photos taken by the bride and groom's friends, comment on the pictures, or upload a picture taken on a honeymoon later, and then only notify those who have seen your wedding invitation content. You can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또한, 도10과 같이, 본 발명을 크리스마스씰/결핵협회씰, 스타 또는 상품/회사 홍보 스티커, 우표에 적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미리 개인 선호 음악과 컨텐츠 등의 개인화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종이 형태나 전자적인 형태의 씰이나 스티커나 우표를 제작시에 이미지와 코드를 포함하도록 하고, 이 종이 형태나 전자적인 형태의 씰 /스티커/우표의 구매자가 종이 형태나 전자적인 형태의 편지나 카드나 기타 대상물(다이어리, 공책, 디바이스, 블로그 등)에 적용하여, 수신자가 스마트폰으로 종이 형태나 전자적인 형태의 씰이나 스티커나 우표를 비추면 해당하는 3차원 콘텐츠와 개인화된 콘텐츠가 표시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ristmas seal / TB tube seal, a star or a product / company promotion sticker, a stamp, and accesses a website to store personalized content such as personal preference music and content in advance, Make sure to include images and codes in the form of paper or electronic seals, stickers or stamps, and the buyers of these paper or electronic seals / stickers / stamps may be paper or electronic letters or cards. Or other objects (diaries, notebooks, devices, blogs, etc.) that allow the recipient to illuminate paper, electronically shaped seals, stickers, or stamps on their smartphones so that the corresponding three-dimensional and personalized content is displayed. It is also possible.

이때, 예를 들어 A씰/스티커/우표에는 콘텐츠 A를, B씰/스티커/우표에는 콘텐츠 B를 연계시킬 수도 있지만, A씰/스티커/우표과 B씰/스티커/우표를 함께 배치하면 C콘텐츠가 연계되게 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씰/스티커/우표 세트 전체를 비추면 D콘텐츠와 연계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for example, A seal / sticker / stamp may be associated with content A, and B seal / sticker / stamp may be associated with content B. However, if A seal / sticker / stamp and B seal / sticker / stamp are placed together, C content will be It is possible to make it linked, and to make the entire seal / sticker / stamp set reflect the D content.

그리고, 본 발명을 명함에 적용하여 도11처럼 기업로고 하단에 아이콘(이미지)과 코드(바코드)가 인쇄된 종이 형태나 전자적인 형태의 명함을 제작하면(물론, 기업로고 자체가 이미지가 될 수도 있고, 기업로고와 아이콘 모두가 이미지가 될 수도 있음), 종이형태의 명함을 스마트폰으로 비추거나 전자 명함 화면을 스마트폰에서 비추면, 해당자의 사진이나 인사말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해당자에게 전화를 걸거나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관련 기업의 홍보 콘텐츠(홍보 사진, 모바일 홈페이지 연결, 약도, 보유 솔루션 및 제품 소개 등)를 화면에 표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I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usiness card and a business card in the form of a paper or electronic form printed with an icon (image) and a code (bar code) is printed on the bottom of the corporate logo as shown in Fig. 11 (of course, the corporate logo itself may be an image. Corporate logos and icons can be images), paper business cards on smartphones, or electronic business card screens on smartphones, to provide the person's photo or greeting. You can call or text a message, or display promotional content (publicity photos, mobile homepage connections, directions, solutions and product introductions, etc.) from related companies.

또한, 종이 형태나 전자적인 형태의 영화티켓이나 관광 가이드 책자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영화티켓이나 관광 가이드 책자에 적절한 이미지와 코드를 적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종이 형태의 영화티켓이나 광광 가이드 책자를 비추거나 전자적인 형태의 영화티켓이나 관광 가이드 책자 화면을 스마트폰으로 비추면, 해당 영화나 관광지의 홍보를 위한 개인화된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스마트폰에서 해당 코드로 고유번호를 입력하여(예:#MPOP98762), 자신의 콘텐츠(예: 사진)를 전송하여 이벤트에 참여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vie ticket or a tour guide booklet in paper form or electronic form, a film ticket or light guide in paper form is applied to a smartphone by applying an appropriate image and code to the movie ticket or tour guide booklet. If you shine a booklet or screen a movie ticket or tourist guide booklet in electronic form with a smartphone, personalized content for the promotion of the movie or tourist attrac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is time, by entering a unique number (eg # MPOP98762) with the corresponding code in the smart phone, it is also possible to send their content (eg photo) to participate in the ev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들면, 이상에서는 3차원 콘텐츠에 미리 지정된 동작(특정 영역의 터치 등)을 하면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재생하는 링크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개인화된 콘텐츠와 3차원 콘텐츠를 융합하여 3차원 콘텐츠의 특정 영역 안에 사용자의 콘텐츠를 합성하여 보여주는 방법도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a method of using a link for playing a photo or a video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such as a touch of a specific area) is performed on the 3D content is described.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and display the user's content in a specific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by fusion.

또한,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코드 생성부(300)에 입력하면, 코드 생성부(300)가 이 개인화된 콘텐츠(200)에 대한 코드(200)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사용자인 기업이나 협회가 이미지(100)와 코드(200)를 발부하고 개인화된 3차원 콘텐츠(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링크를 걸어서 나오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서 제공하는 3차원 콘텐츠(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와 코드(200) 세트에서 사용자가 3차원 콘텐츠(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편집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콘텐츠 제공 서버(600)가 이미지(100)와 코드(200) 세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3차원 콘텐츠(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선택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user inputs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to the code generator 300, the code generator 300 generates the code 200 for the personalized content 200. In addition, a user or a company or an association may issue an image 100 and a code 200 and cause the personalized 3D content 110 and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to be linked to each other. It is also possible for a user to edit and use the 3D content 110 and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from the 3D content 110,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and the code 200 se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t is also possible for 600 to provide a set of images 100 and codes 200 and to allow a user to select three-dimensional content 110 and personalized content 120.

100 : 이미지
200 : 코드
300 : 코드생성부
400 : 카메라 탑재 디바이스
500 : 통신망
600 : 콘텐츠 제공 서버
700 : 데이터 베이스
100: image
200: code
300: code generation unit
400: device with camera
500: communication network
600: content providing server
700: database

Claims (15)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100)와 코드(200)가 표시된 대상물 자체 또는 이 대상물이 표시된 화면을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로 비추는 단계;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의 어플리케이션이 코드(200)를 인식하여 코드 값을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전송하는 단계;
콘텐츠 제공 서버(600)가 이 코드 값에 대응하는 이미지(100)의 특징점 정보와, 3차원 콘텐츠 정보(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와 연결된 메뉴 정보를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에 전달하는 단계;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의 어플리케이션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100)에 3차원 콘텐츠 정보(110)와 메뉴 정보를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대응하는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가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서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the camera built-in terminal,
Illuminating the object itself on which the image 100 and the code 200 are displayed or the screen on which the object is displayed to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An application of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recognizing the code 200 and transmitting the code valu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transmits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image 100 corresponding to the code value, the 3D content information 110, and the menu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to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Making;
An application of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displaying three-dimensional content information 110 and menu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in the image 100 using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And augmented reality in the camera-embedde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integrated terminal 400 receives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corresponding to the menu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contents providing server 600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How to Provide Personalized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is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the camera built-i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값은,
이미지(100)와 코드(200)와 3차원 콘텐츠(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사용자 측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de value is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a camera built-i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the image (100), code (200), three-dimensional content (110) and personalized content (120) at the us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값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코드 생성부(300)에 입력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de value is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a camera built-i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ed by inputting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provided by the user to the code generation unit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콘텐츠 정보(110)는,
사용자가 코드 생성부(300)에 이미지(100)를 입력하고, 입력된 이미지(10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합성 가능하도록 제작된 것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information 110,
In the camera built-i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nputs the image 100 to the code generation unit 300, and the user selects that the input image 100 and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can be synthesized How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제1항이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콘텐츠(120)는, 사용자가 웹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접속하여 수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through the web, characterized in that to modify,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the camera built-in terminal.
제1항이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콘텐츠(120)는, 사용자가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에 저장된 개인화된 콘텐츠를 선택한 후에 식별자와 함께 서비스 명과 코드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여 자동적으로 수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after the user selects the personalized content stored in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and enters the service name and code number with an identifier to be transmitted automatically modifi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built-in terminal How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제1항이 있어서,
상기 이미지(100)와 코드(200)는 코드를 이미지와 분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100 and the code 200 is formed by separating the code from the image,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a built-in camera terminal.
제1항이 있어서,
상기 이미지(100)와 코드(200)는 이미지 내부에 컬러 QR 코드를 합성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100) and the code (200) is formed by synthesizing a color QR code inside the image,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a camera built-in terminal.
제1항이 있어서,
상기 이미지(100)와 코드(200)는 이미지에 코드용 워터 마크를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100) and the code (200) is formed by inserting a watermark for the code in the image,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a built-in camera terminal.
제1항이 있어서,
상기 이미지(100)는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100 is an icon,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a built-in camera terminal.
제1항이 있어서,
상기 대상물이 종이 형태 또는 전자적인 형태의 청첩장이고,
상기 개인화된 콘텐츠(120)는 예식 관련 사진, 예식장 위치 지도, 신랑신부의 음성, 야외촬영 동영상, 축의금 전송을 위한 축의금 계좌 정보, 축의금의 핸드폰 결제 연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 is a wedding invitation in paper or electronic form,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is at least one of the wedding ceremony-related photos, the wedding ceremony location map, the bride and groom's voice, outdoor shooting video, celebration money account information for the celebration of the celebrations, mobile payments associated with celebrations How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제1항이 있어서,
상기 대상물이 상기 이미지(100)와 코드(200)가 존재하는 종이 형태 또는 전자적인 형태의 씰이나 스티커나 우표가 부착된 종이 형태 또는 전자적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 is an augmented reality in the camera built-i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aper form or the electronic form of the seal or sticker or stamp attached to the paper form or the electronic form of the image 100 and the code 200 is present How to Provide Personalized Content.
제1항이 있어서,
상기 대상물이 종이 형태 또는 전자적인 형태의 명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 is a paper or electronic form of a business card,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the camera built-in terminal.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100)와 코드(200)가 표시된 대상물 자체 또는 이 대상물이 표시된 화면을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로 비추는 단계;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의 어플리케이션이 코드(200)를 인식하여 코드 값을 콘텐츠 제공 서버(600)에 전송하는 단계;
콘텐츠 제공 서버(600)가 이 코드 값에 대응하는 이미지(100)의 특징점 정보와, 3차원 콘텐츠 정보(11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와, 개인화된 콘텐츠(120)와 연결된 메뉴 정보를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에 전달하는 단계;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의 어플리케이션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100)에 3차원 콘텐츠(110)와 메뉴 정보를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대응하는 개인화된 콘텐츠(120)를 카메라 내장 단말기(400)가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내장 단말기에서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the camera built-in terminal,
Illuminating the object itself on which the image 100 and the code 200 are displayed or the screen on which the object is displayed to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An application of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recognizing the code 200 and transmitting the code valu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600 stores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image 100 corresponding to the code value, the 3D content information 110,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and menu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Transmitting to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An application of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displaying three-dimensional content 110 and menu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in the image 100 using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personalized content 120 corresponding to the menu selected by the user on the screen by the camera built-in terminal 400. The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ized content in the built-in camera terminal.

KR1020110004240A 2010-12-14 2011-01-14 Provid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 contents in terminal with camera KR2011001066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300A KR20100138863A (en) 2010-12-14 2010-12-14 Provid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 contents corresponding to code in terminal with camera
KR1020100127300 2010-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666A true KR20110010666A (en) 2011-02-01

Family

ID=435121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300A KR20100138863A (en) 2010-12-14 2010-12-14 Provid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 contents corresponding to code in terminal with camera
KR1020110004240A KR20110010666A (en) 2010-12-14 2011-01-14 Provid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 contents in terminal with camera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300A KR20100138863A (en) 2010-12-14 2010-12-14 Provid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 contents corresponding to code in terminal with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00138863A (en)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721B1 (en) * 2011-10-31 2013-06-27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US8704939B1 (en) 2013-03-20 2014-04-22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098553A1 (en) * 2012-12-18 2014-06-26 Rodríguez Chavana Rubén Librado System for the interaction of customized graphic articles in real time by detecting a printed reference marker
WO2014107681A1 (en) * 2013-01-04 2014-07-10 Awys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on mobile devices
WO2014148741A1 (en) * 2013-03-20 2014-09-25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866953B2 (en) 2013-03-20 2014-10-21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21489B2 (en) 2011-03-21 2017-08-01 HJ Laboratories, LLC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third party information
JP2018067315A (en) * 2016-10-18 2018-04-26 ディーエス グローバルDs Global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using user-edited image
KR20180058326A (en) *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Augmented reality display method of game card
KR101869848B1 (en) * 2017-06-13 2018-06-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n augmented reality template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00360A (en) * 2018-12-24 2019-01-02 주식회사 펀웨이브 System sign language and s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translation application
KR20190075596A (en) * 2017-12-21 2019-07-01 김일식 Method for crea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method for using the content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90099110A (en) 2018-02-02 2019-08-26 김대정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service based on cloud
KR20200134487A (en)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유니드캐릭터 Method for providing compliment rewards service connecting ar play sticker to ar contents
KR20220016583A (en) 2020-08-03 2022-02-10 배영민 Customized marketing contents providing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KR20220105967A (en) * 2021-01-21 2022-07-2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AR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based on paper toy
KR102619198B1 (en) * 2023-08-10 2023-12-29 주식회사 지인들 Server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business card optimized to business based on customized virtual ima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929B1 (en) * 2011-01-04 2011-09-07 (주)올라웍스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collection of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which is taken
KR101147040B1 (en) * 2011-06-07 2012-05-17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iting information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KR101601921B1 (en) * 2014-06-09 2016-03-11 한상선 Goods augmented reality system
US10571793B2 (en) * 2016-06-17 2020-02-25 Moonlite World Inc. Image projection device
US10295898B2 (en) 2016-06-17 2019-05-21 Moonlite World Inc. Image projection device
US10298727B2 (en) 2016-06-17 2019-05-21 Spin Master Ltd. Clip for mounting external device to electronic device
KR102043995B1 (en) * 2017-11-27 2019-11-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ugmenting reality device providing video capture and marker function and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using it
KR102089392B1 (en) * 2019-08-12 2020-03-16 라이프앤사이언스주식회사 Augmented Reality Based Computer Coding Education Omni-Edu System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1489B2 (en) 2011-03-21 2017-08-01 HJ Laboratories, LLC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third party information
KR101279721B1 (en) * 2011-10-31 2013-06-27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WO2014098553A1 (en) * 2012-12-18 2014-06-26 Rodríguez Chavana Rubén Librado System for the interaction of customized graphic articles in real time by detecting a printed reference marker
WO2014107681A1 (en) * 2013-01-04 2014-07-10 Awys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on mobile devices
WO2014148691A1 (en) * 2013-03-20 2014-09-25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69984B2 (en) 2013-03-20 2018-09-04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148741A1 (en) * 2013-03-20 2014-09-25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15243A (en) * 2013-03-20 2014-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8866953B2 (en) 2013-03-20 2014-10-21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941767B2 (en) 2013-03-20 2015-01-27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704939B1 (en) 2013-03-20 2014-04-22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813567B2 (en) 2013-03-20 2017-11-07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804026B1 (en) 2013-03-20 2014-08-12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067315A (en) * 2016-10-18 2018-04-26 ディーエス グローバルDs Global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using user-edited image
KR20180058326A (en) *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Augmented reality display method of game card
KR101869848B1 (en) * 2017-06-13 2018-06-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n augmented reality template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75596A (en) * 2017-12-21 2019-07-01 김일식 Method for crea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method for using the content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90099110A (en) 2018-02-02 2019-08-26 김대정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service based on cloud
KR20190000360A (en) * 2018-12-24 2019-01-02 주식회사 펀웨이브 System sign language and s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translation application
KR20200134487A (en)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유니드캐릭터 Method for providing compliment rewards service connecting ar play sticker to ar contents
KR20220016583A (en) 2020-08-03 2022-02-10 배영민 Customized marketing contents providing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KR20220105967A (en) * 2021-01-21 2022-07-2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AR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based on paper toy
KR102619198B1 (en) * 2023-08-10 2023-12-29 주식회사 지인들 Server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business card optimized to business based on customized virtual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863A (en)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0666A (en) Provid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and personal contents in terminal with camera
US201800957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universally compatible application development system
US9158770B1 (en) Memorytag hybrid multidimensional bar text code
CN10362060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virtual tags
US20150008257A1 (en) Display card with memory tag- hybrid multidimensional bar text code
US11069379B2 (en) Intelligent print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US20150008256A1 (en) Display card with memory tag- hybrid multidimensional bar text code
US20190332912A1 (en) Web based applications linked to near field communication tags
US20180018651A1 (en) Gift creation
US201600262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delivery of reveal videos for online gifting
US9607094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JP2017138957A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2018035012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expressive animation based upon specific environments
TW201237784A (en) Commod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2017033128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puter program, and printed matter
TWM480729U (en) Augmentation reality system integrated with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2D augmentation reality
KR101907885B1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20908B1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additional contents for pamphlet through a mobi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JP2010244499A (en) System for virtually receiving and chang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items, by digital screen or the like and existing on printed space, in real time
TWM458037U (en) Audio/video interaction system and operation carrier for the audio/video interaction system
KR20200008359A (en) System for providing mixed reality contents and method thereof
JP7473758B1 (en) Dot Pattern
JP2018092659A (en) Display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unit
US1071321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image entries
KR20200031460A (en) AR content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