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476A -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476A
KR20100043476A KR1020080102525A KR20080102525A KR20100043476A KR 20100043476 A KR20100043476 A KR 20100043476A KR 1020080102525 A KR1020080102525 A KR 1020080102525A KR 20080102525 A KR20080102525 A KR 20080102525A KR 20100043476 A KR20100043476 A KR 20100043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xternal device
function
unit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7598B1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2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598B1/ko
Priority to US12/509,386 priority patent/US8630681B2/en
Priority to CN2009101705117A priority patent/CN101729659B/zh
Priority to EP09013108.7A priority patent/EP2178282B1/en
Publication of KR2010004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젝터를 통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젝터로 투사되는 화면을 통하여 외부장치와 자유로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공유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WITH AN IMAGE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고,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또는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 통신 기능 이외에 멀티미디어 기능의 비중이 점차 커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를 구비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의 공유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구비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편리하게 공유하기 위한 단말기 및 이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제 1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외부면에 제 1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제 2 디스플레이를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 모듈; 사용자 입력부;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를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콘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선택될 때 상기 외부장치와 관련된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의 아이콘을 다양하게 표시하거나, 상기 선택을 알리는 시각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제어권한 및 커서를 부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외부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다양하게 표시, 공유 및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제어 방법은, 디스 플레이부에 제 1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프로젝터 모듈에 의해 제 1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제 2 디스플레이가 외부면에 투사되는 단계;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가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이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선택될 때 상기 외부장치와 관련된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터를 통해 투사되는 투사면을 통하여 보다 큰 화면으로 편리하게 외부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둘째, 연결된 외부장치를 통하여, 프로젝터가 사용중인 단말기를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하고 편리한 제어가 가능하다.
셋째, 다수의 제어권한으로 동시제어가 가능하므로, 다수의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한 화면에서 게임을 즐기는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 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 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 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 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 또는 소정의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는 외부장치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 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를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51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도 2b 참조)를 통하여 소프트키(151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51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펜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 깊이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56,157)가 오버랩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 개시된 단말기는 본체에 대해 폴더부가 폴딩(folding) 가능하게 연결된 폴더 형태의 단말기이다. 폴더부에 장착된 제1 디스플레이부(156)는 TOLED 와 같은 광투과형 또는 투명 형이나, 본체에 장착된 제2 디스플레이부(157)는 LCD와 같이 빛이 투과하지 않는 형태여도 무방하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6 및 157)는 각각 터치 입력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또는 TOLED(156)에 대한 터치{접촉 터치(contact touch) 또는 근접 터치(proximity-touch)}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터치의 종류 및 터치 시간에 따라 TOLED(156)에 표시된 이미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select)되거나 실행(run)되게 할 수 있다.
이하, 오버랩(overlap)된 형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TOLED(156)에 대한 터치 시 다른 디스플레이부 또는 LCD(157)에 표시된 정보가 제어되는 방식에 대하여, 터치, 롱터치, 롱터치 & 드래그(drag) 등으로 구분된 입력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오버랩된 상태(이동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TOLED(156)는 LCD(157)의 하 측에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앞서 TOLED(156)에 표시된 이미지의 제어를 위한 터치와 다른 방식의 터치, 예를 들어 롱터치(예를 들어, 2초 내지 3초 이상 지속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LCD(157))에 표시된 이미지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게 한다.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실행에 따른 결과는 상기 TOLED(156)에 표시된다.
상기 롱터치는 LCD(157)에 표시된 개체들 중 원하는 개체를 (그에 대한 실행 동작 없이) 선택적으로 TOLED(156)로 옮길 때도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LCD(157)의 특정 개체에 대응하는 TOLED(156)의 일 영역을 롱터치할 경우, 제어 부(180)는 해당 개체가 TOLED(156)로 옮겨져서 표시되게 한다. 한편, TOLED(155)에 표시되어 있는 개체 역시, TOLED(156)에 대한 소정 터치입력, 예를 들어 플리킹(flicking), 스월링(swirling) 등에 따라 LCD(157)로 옮겨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LCD(156)에 표시된 2번 메뉴가 TOLED(156)로 옮겨져서 표시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롱터치와 함께 다른 입력, 예를 들어 드래그가 추가로 감지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롱터치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와 관련된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이 TOLED(156)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2번 메뉴(이미지 파일)에 대한 미리보기(남자 사진)가 행하여진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미리보기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롱터치를 유지하면서 추가로 TOLED(156)에 다른 이미지를 향한 드래그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는 LCD(157)의 선택커서(혹은 선택바)를 움직이고, 상기 선택커서가 선택한 이미지를 미리보기 화면(여자 사진)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롱터치 및 드래그)가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롱터치에 의해 선택된 처음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터치 동작 (롱터치 및 드래그)은 TOLED(156)에 대한 롱 근접터치(적어도 2초 내지 3초 이상 지속되는 근접터치)와 함께 슬라이드(상기 드래그에 대응되는 근접터치의 동작)가 감지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상 언급된 것 이외의 터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일반적인 터치 제어 방법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오버랩(overlap)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은 싱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형태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폴더 형태와 다른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근접 신호가 검출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촉각 효과가 발생하는 햅틱 영역에 대한 설명에 참조 되는 도면이다.
도 6a는 아이콘이나 메뉴 항목 등과 같은 오브젝트를 설명의 편의상 원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역은, 도 6a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제1 영역(A)과 그를 감싸는 제2 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은 서로 다른 세기나 패턴을 갖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역(B)을 터치한 경우 제1 진동을 출력하고, 제1 영역(A)을 터치한 경우 제1 진동보다 큰 제2 진동을 출력하도록 2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에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햅틱 영역을 동시에 설정해야 하는 경우라면, 촉각 효과가 발생하는 햅틱 영역과 근접신호가 검출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햅틱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보다 좁게 설정하거나 혹은 햅틱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a의 (a)에서,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을 포함하는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으로 하고, 제1 영역(A)을 햅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3개의 영역(A, B, C)으로 구분하거나, 혹은 도 6a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N(N>4) 개의 영역으 로 구분할 수도 있다. 구분된 각 영역은 서로 다른 세기나 패턴을 갖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3개 혹은 그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경우에도, 햅틱 영역과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은 사용환경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 깊이에 따라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6b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에 따라 대응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C', 'B', 'A'로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에 따라 대응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점차 커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햅틱 영역은, 도 6b의 (b)에 도시한 'H'영역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와 무관하게 일정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햅틱 영역이나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의 설정을 위해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분할하는 경우,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심원 형태의 분할 외에,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의 분할, 방사형 분할, 및 이들을 조합한 방식의 분할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바 형태의 이동 단말기(100)에, 앞서 설명한 프로젝터 모듈이 구비되는 구성에 대해 도 7a 및 도 7b를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인 바디(101)에는, 프로젝터 모듈이 구비된 프로젝터 모듈(155)이 구비되는 프로젝터 바디(105)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젝터 바디(105)는 상기 메인 바디(101)에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터 바디(105)에 구비된 프로젝터(155)를 이용하여 영상의 투사 시에 그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프로젝터 바디(105)에는 상기 프로젝터(155)에 의해 투사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12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a는 상기 메인 바디(10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젝터 바디(105)가 회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7b는 상기 프로젝터 바디(105)가 회동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서 보이는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 1 디스플레이"라고 호칭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 의해 투사되는 투사 디스플레이를 "제 2 디스플레이"라고 호칭하겠다.
한편, 일반적으로 포인터라 함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기 위한 수단(예를 들면, 스타일러스펜 또는 손가락)을 뜻하기도 하고, 마우스 또는 터치 패드 등의 조작에 따라 움직이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특정 모양(예를 들면, 화살표, 모래시계)의 표시를 뜻하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양자를 상호 구분하기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기 위한 수단을 "포인터"라 칭하고, 마우스,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조작에 따라 움직이는 특정 모양의 표시를 "커서"라고 칭하겠다. 상기 커서는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을 통하여 외부 스크린상에 소정의 이미지가 투사되고 있을 때, 상기 스크린상의 특정 위치를 가리키기 위한 포인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서 투사되는 빛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포인터의 그림자가 상기 스크린상에 생기게 된다. 이 때, 상기 포인터와 상기 포인터에 의한 그림자가 포함된 영상이,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의 이미지 투사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121)을 통하여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을 통하여 인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포인터 및 상기 그림자 사이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파악된 거리의 정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중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지점에 대한 터치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터치 지점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은, 전술된 방법에 의해 행하여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장치를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를 나타내는 소정의 아이콘을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 또는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를 통한 입력으로 선택하면,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와 관련된 소정의 기능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젝터 모듈(155)을 구비한 단말기(100)가 무선통신부 (110)를 통하여 외부장치들, 예를 들면, 디지털카메라(2), 외부 이동단말기(3)를 검색하고 그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을 통하여, 투사면(10)에 상기 외부장치와의 관련된 기능을 보여주는 제 2 디스플레이를 투사하고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상에서, 외부 디지털카메라(2)는 일정 영역에(21) 카메라 아이콘(20)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에서는 관련된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어 상기 디지털카메라(2)에 내장된 사진들(25)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상기 투사면(10)에 투사되는 영상은, 상기 영상을 투사하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에도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고 이하 전제한다. 그리고, 외부 이동단말기(3) 역시 일정 영역에(31) 단말기 아이콘(3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소정의 관련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 단말기를, 크게 ⅰ)외부장치와 연결되어 표시되는 소정의 아이콘; ⅱ)상기 아이콘의 선택 및 연결된 외부장치와 관련된 소정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권한과 커서; 및 ⅲ)상기 소정의 아이콘이 선택되어 실행되는 소정의 관련된 기능;으로 나누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1.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표시되는 소정의 아이콘
먼저, 프로젝터 모듈(155)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가 준비된다. 본 단말기는 외부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10)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Fi 및 Wibro 등 근거리통신 및 무선 인터넷을 포함하는 방식을 통하여 외부장치와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장치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치로, 전술된 이동단말기 외에도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단말기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절한 메뉴 조작을 통하여 외부장치 연결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그에 따른 소정의 실행화면이 제 1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고, 제 1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제 2 디스플레이가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을 통하여 외부 투사면에 투사될 수 있다.
외부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준비를 마치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아이콘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a)와 같이 텍스트로 표시하거나, 도 9의 (b)와 같이 연결된 외부장치를 단순화시킨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c)와 같이 외부장치의 실제 이미지 또는 도 9의 (d)와 같이 동영상의 형태로 표현할 수도 있다. 상기 나열된 형태 중에서 적어도 둘을 조합(e)하여 표현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빈도, 연결 순서, 기 설정된 연결 우선순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술한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추가로 효 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0의 (a)와 같이 아이콘을 변형시키거나, 도 10의 (b)와 같이 아이콘 주위에 강조이미지를 부가할 수 있으며, 도 10의 (c)와 같이 아이콘이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의 색상과 차별되는 색상을 상기 텍스트 주변에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가 블루투스(BT) 등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은, 상기 단말기(100)에 대한 상기 외부장치의 물리적인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00)의 우측 근거리에 제 1 외부장치가 위치하고, 블루투스(BT)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100)에 연결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때, 상기 제 1 외부장치를 표시하는 아이콘은,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중심에서 우측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제 1 외부장치와, 우측에 위치한 제 2 외부장치가 동시에 블루투스(BT)를 통하여 연결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 1 외부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은 디스플레이의 중심에서 좌측에 위치하도록 표시되고, 상기 제 2 외부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은 디스플레이의 중심에서 우측에 위치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콘의 표시위치는 좌우(左右)방향 뿐 아니라 전후(前後)방향 및 그 조합된 방향에 대하여도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전술된 시각적 효과의 부여와 함께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방법으로 아이콘이 표시되면,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와 관련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이 문제되는데, 이에 대하여 제어권한 및 커서로 이하 설명한다.
2. 연결된 외부장치와 관련된 소정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권한 및 커서
여기서 제어권한이란, 소정의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연결된 장치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제어행위를 유효하게 하는 권한을 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소정의 아이콘을 선택 또는 선택해제하는 행위 또는 소정의 관련된 기능을 선택/실행/종료하는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제어를 위한 커서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커서를 조작할 수 있는 권한 등이 이에 속한다. 그리고, 커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우스,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조작에 따라 움직이는 특정 모양의 표시를 뜻한다.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 및 연결된 외부장치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뿐 아니라 연결된 외부장치에도 제어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제어권한은, 상기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상기 외부장치를 통한 소정의 입력을 조건으로,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으로, 제어권한 관련 메뉴를 조작하여 연결된 특정 외부장치를 지정하여 제어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연결된 한 외부장치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특정 키가 입력되거나,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경우 터치, 롱터치, 및 근접터치 등이 입력되면 해당 외부장치에 제어권한이 부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본 단말기와 연결되어 수행되는 소정의 관련 된 기능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부가 따로 구비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외부장치에 상기 관련된 기능의 제어와 관계없는 타용도의 사용자 입력부의 특정키에 제어기능을 매핑(mapping)하여 제어입력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된 외부장치가 재생, 정지, 녹음, 빨리감기, 빨리되감기의 다섯 개의 버튼만이 구비된 MP3 플레이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다섯 개의 버튼 중 임의의 네 개를 각각 상하좌우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기능(네비게이션 키)에 매핑하고, 나머지 하나를 선택 기능에 매핑하여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에 의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터치스크린이 사용자 입력부(130)으로 사용된다면 상기 터치스크린의 LCD가 꺼진 상태에서도 터치의 감지는 활성화시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권한에 따르는 소정의 커서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한 곳에 표시되어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의 커서 외에도,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가 제어권한을 상술한 방법으로 획득함에 따라, 동시에 다수의 커서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반응하는 커서를 "제 1 커서"라 하고,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를 통한 입력에 반응하는 커서를 "제 2 커서"라 칭한다. 상기 제 1 커서 및 제 2 커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동시에 표시되어 각각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커서의 구분을 위하여, 커서마다 서로 다른 형태 또는 색상이 부여될 수 있다. 이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상태 도를 나타낸다. 도 11을 포함하여 이하 참조되는 모든 디스플레이의 상태도는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에 반응하는 제 1 커서(17)가 화살표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우측하단에 표시된 아이콘(30)에 해당하는 외부장치를 통한 입력에 반응하는 제 2 커서가 화살표 형태의 제 1 커서(17)와는 구별되도록 펜 형태(37)로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디스플레이 상에서 각 커서가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도 11의 (b)와 같이 틀린 그림 찾기 등의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위에서는 상기 커서의 기능 및 표시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번에는 상기 커서의 제어방법의 일례들을 설명한다. 제어권한을 획득한 장치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경우, 터치스크린(즉, 제 1 디스플레이) 상에서 포인터로 터치 또는 근접 터치된 지점에 상응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터를 드래그하거나 근접 드래그하여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가능하다. 키패드가 구비된 경우에는, 제 2 디스플레이가 복수의 영역들로 나누어지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각각은 상기 키패드의 대응되는 위치의 키에 맵핑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또한 키패드의 특정 키들을 각각 상하좌우 방향에 할당하여 네비게이션 키로 동작하게 하여 커서를 조작하는 방법 또한 가능하다. 만일 상기 커서를 획득한 외부장치에 기울기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모듈이 있다면, 도 12의 (a)와 같이 흔드는 세기, (b)와 같이 기울어진 각도 또는 (c)와 같이 움직임의 패턴을 감지하여 상기 커서의 제어가 가능하다.
만일 상기 단말기만(100)에 의한 제 1 커서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커서가 외부장치를 표시하는 소정의 영역에 들어가면 상기 영역에 들어왔음을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커서의 형태를 바꾸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도 13에 도시된 각 디스플레이 상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에 반응하는 제 1 커서(17)가 표시되어 있다. 만일, 상기 제 1 커서(17)가, 도 13의 (b)와 같이 연결된 외부 단말기 아이콘(30)을 표시하는 소정의 영역(31) 내에 들어가면, 이를 알리기 위하여 상기 영역(31)에 머무는 동안 상기 외부 단말기에 대응되는 커서(18)로 형태가 바뀌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대응되는 커서(18)는 상기 외부단말기가 제어권한을 얻는 경우 표시되는 제 2 커서의 형태로 바뀔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커서는 상기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이 일정시간 없는 경우, 그리고 상기 제 2 커서는 해당 외부장치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입력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서 각각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어권한 및 그에 따른 커서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외부장치와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알아본다.
3. 상기 소정의 아이콘이 선택되어 실행되는 소정의 관련된 기능
도 14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서 연결된 외부장치와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는 일례를 이하 설명한다.
먼저, 연결된 외부장치가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관련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제어권한을 갖는 장치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전에 선택됨을 알리기 위해 상기 아이콘의 형태를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연결된 외부장치의 아이콘(20)이 선택되면, 도 14의 (a)와 같이 상기 아이콘(20)의 주변에 물결 무늬가 나타나거나, 도 14의 (b)와 같이 소정의 아이콘 표시영역(21) 내에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의 바탕화면(200)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c)와 같이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저장된 파일들이 다수의 썸네일(thumbnail)(201)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d)와 같이 다수의 외부장치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각 표시되는 영역에 상술한 효과(썸네일 표시)가 동시에 표현(201,301)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선택된 외부장치와 관련되어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을 설명한다.
그 첫번째 예로, 상기 단말기(100) 또는 외부장치가 전술된 방법으로 제어권한을 부여받고 해당 장치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을 받아, 상기 선택된 외부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배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배열은 미리보기가 적용된 오브젝트의 랜덤흩뿌리기, 텍스트(text)형태의 파일 리스트(file list), 콘텐츠를 아이콘 형태로 가지런히 배열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도 15의 각 디스플레이 상태도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의 (a)와 같이 연결된 외부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 (20)이 선택되면, 상기 외부장치에 저장된 사진들(25)이 미리보기 또는 썸네일 형식의 오브젝트로 랜덤(random)하게 흩뿌려진 배열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상기 사진들(25)은 한 번에 모두가 표시될 수도 있고, 도 15의 (b)와 같이, 데이터 수신순서 또는 설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일부(25a)를 먼저 보여준 다음 전체(25)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다른 형태로 재배열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상기 단말기(100) 또는 연결된 다른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도 16의 각 디스플레이 상태도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의 (a)와 같이 하나의 오브젝트(25b)를 선택한 후 튕기면 (flicking)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고, 도 16의 (b)와 같이 오브젝트(25b)를 선택한 후 이동시켜(drag & drop) 디스플레이 상에서 재배열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16의 (c)와 같이, 한 외부장치 아이콘(20)에서 다른 외부장치 아이콘(30)으로 오브젝트(25b)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하는 등의 입력으로 전송하거나 복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관련된 소정의 기능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도 17의 각 디스플레이 상태도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17의 (a)와 같이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는 외부장치의 아이콘(20)이, 표시되는 소정의 영역(21)과 함께되어 확대표시되거나, 도 17의 (b)와 같이 기존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던 화면이 모두 사라지고 오브젝트만이 전체화 면으로 표시(clean view)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c)와 같이 기존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고 있던 화면 위에 관련된 기능의 화면(210)을 겹쳐서 표시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OSD)의 형태도 가능하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관련된 기능은,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에 저장된 콘텐츠의 형식에 따라서 확대, 축소, 회전, 재생, 전체보기, 전체보기 해제 및 볼륨조절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의 수행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된 콘텐츠의 형식이 이미지라면 확대, 축소, 회전, 전체보기, 전체보기 해제 등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고, 동영상이라면 재생, 정지, 빠른탐색 기능이 더욱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콘텐츠가 음향을 포함하는 형식이라면 재생, 정지 및 볼륨조절 등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은 배열된 오브젝트 또는 아이콘 상에 제어메뉴를 표시하여 바로 실행될 수도 있고, 소정의 재생기를 별도로 디스플레이에 활성화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으로 이미지 및 동영상 파일을 재생시키거나, 조작에 따라 전체화면 표시 및 해제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 또는 제어권한을 획득한 외부장치가 터치스크린을 사용자 입력부로 구비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오브젝트의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하여 오브젝트 상의 두 지점(일례로, 좌측 하단과 우측 상단)을 멀티터치한 후, 안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크기 축소, 바깥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크기가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오브젝트 상의 두 지점(예를 들면, 좌측 하단과 우측 상단)을 멀티터치한 후, 두 지점을 같은 방향으로 돌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은, 동일한 형식을 갖는 다수의 콘텐츠가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경우, 보다 특화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포토앨범, 동영상 앨범 또는 뮤직앨범의 기능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이미지 콘텐츠가 다수 존재한다면 보다 이미지를 표시하는데 특화된 환경(포토앨범)을 제공하여 이미지전용 뷰어(IMAGE VIEWER)가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대신 음악콘텐츠가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다수 존재하면 음악 재생에 특화된 환경(뮤직앨범)을 제공하여 음악전용 재생기가 실행될 수 있다. 이를 도 18의 각 디스플레이 상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연결된 외부장치의 아이콘(20) 주변에 관련된 기능이 뮤직앨범의 형태로 실행되어 음악파일 오브젝트(210,211)가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의 재생기(50)를 활성화시키고 한 오브젝트(210)를 드래그해서 상기 재생기(50)에 드롭하면(drag and drop) 상기 음악파일을 재생하거나 정지, 또는 볼륨조절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련된 기능은 지도(map)의 공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장치의 아이콘(20)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외부장치에 저장된 지도 정보를 수신하여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지도화면(400)을 통하여 특정 지점을 지정하여 즐겨찾기 또는 최단경로를 검색하거나, 맵의 배율 변경 및 맵정보를 다른 연결된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는 중에 상기 기능의 실행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이 수행되는 외부장치의 아이콘을 다시 한 번 선택하는 방법으로 기능을 종료시키거나,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도 20의 각 디스플레이 상태도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20의 (a)의 경우 외부장치와 관련된 기능으로 상기 외부장치의 바탕화면(200)의 디스플레이가 실행되고 있을 때, 해당 아이콘(20)을 선택하면 상기 바탕화면(200)이 사라지게 된다. 도 20의 (b)를 보면, 외부장치와 관련된 기능으로 사진들(25)이 나열되어 포토앨범이 실행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해당 외부장치의 아이콘(20)을 선택하게 되면 포토앨범 기능이 중단되고 상기 사진들(25)이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라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송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들이 오버랩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근접신호가 검출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촉각 효과를 발생하는 햅틱 영역에 대한 설명을 위한 개념도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일실시예에 대한 개념도.
도 9는 연결된 외부장치를 표시하는 아이콘 형태의 예시도.
도 10은 도 9의 아이콘에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부여되는 시각효과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제어권한 및 그에 의한 커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2는 센싱부를 구비하는 장치를 통한 입력의 예시도.
도 13은 특정 영역에서의 커서 형태 변경의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부장치의 선택을 알리는 아이콘의 형태변경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15는 포토앨범의 오브젝트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16은 표시된 오브젝트의 제어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17은 선택된 외부장치와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는 형태의 상태도.
도 18은 선택된 외부장치와 관련된 기능으로 뮤직앨범이 실행되는 상태도.
도 19는 선택된 외부장치와 관련된 기능으로 지도 정보의 공유가 실행되는 상태도.
도 20은 선택된 외부장치와 관련된 기능의 종료를 나타내는 상태도.

Claims (19)

  1. 제 1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외부면에 제 1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제 2 디스플레이를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 모듈;
    사용자 입력부;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를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콘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선택될 때 상기 외부장치와 관련된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이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써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빈도, 연결 순서, 연결 우선 순위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한 물리적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시각적으로 구별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은,
    상기 외부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선택될 때에도 상기 소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반응하는 제 1 커서와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를 통한 입력에 반응하는 제 2 커서가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아이콘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커서와 제 2 커서가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이 소정 시간 동안 없는 경우, 제 1 커서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를 통한 입력이 소정 시간 동안 없는 경우, 제 2 커서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를 통한 입력에 반응하는 제 2 커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센싱부에서 감지된 상기 외부 장치에 움직임에 따라서도 제 2 커서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 또는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를 통한 입력으로 선택될 때, 상기 아이콘의 형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들을 썸네일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들을 재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들 중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소정의 표시 영역 내에서 확대 표시되거나,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거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은, 콘텐츠의 형식에 따라서 확대 기능, 축소 기능, 회전 기능, 재생 기능, 전체보기 기능, 전체보기 해제 기능, 및 볼륨조절 기능 중 적어도 한 기능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은, 상기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또는 또다른 연결된 외부장치로 전송되는 기능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기능은,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조작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은, 상기 외부장치에 저장된 지도 정보 보기 기능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이 재선택될 때 상기 소정 기능의 실행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디스플레이부에 제 1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프로젝터 모듈에 의해 제 1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제 2 디스플레이가 외부면에 투사되는 단계;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가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이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선택될 때 상기 외부장치와 관련된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80102525A 2008-10-20 2008-10-20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7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525A KR101537598B1 (ko) 2008-10-20 2008-10-20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2/509,386 US8630681B2 (en) 2008-10-20 2009-07-24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related to external devices
CN2009101705117A CN101729659B (zh) 2008-10-20 2009-09-04 移动终端和用于控制与外部设备相关的功能的方法
EP09013108.7A EP2178282B1 (en) 2008-10-20 2009-10-16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related to external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525A KR101537598B1 (ko) 2008-10-20 2008-10-20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476A true KR20100043476A (ko) 2010-04-29
KR101537598B1 KR101537598B1 (ko) 2015-07-20

Family

ID=4156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525A KR101537598B1 (ko) 2008-10-20 2008-10-20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30681B2 (ko)
EP (1) EP2178282B1 (ko)
KR (1) KR101537598B1 (ko)
CN (1) CN10172965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889A1 (de) 2010-05-10 2011-11-10 Hyundai Motor Co. Synchronisiervorrichtung für ein Getriebe
WO2016035908A1 (ko) * 2014-09-03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형 이동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380B1 (ko) * 2008-10-24 2015-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433993B2 (en) * 2009-06-24 2013-04-30 Yahoo! Inc. Context aware image representation
JP5442393B2 (ja) * 2009-10-29 2014-03-12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10071326A (ko) * 2009-12-21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 키 출력 방법 및 장치
TW201137742A (en) * 2010-04-21 2011-1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prompting method thereof
US8954099B2 (en) * 2010-06-16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Layout design of proximity sensors to enable shortcuts
US9586147B2 (en) * 2010-06-23 2017-03-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ordinating device interaction to enhance user experience
US8634848B1 (en) * 2010-09-29 2014-01-21 Amazon Technologies, Inc. Inter-device location determinations
CN102479023A (zh) * 2010-11-22 2012-05-3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终端
KR101742578B1 (ko) * 2011-01-14 2017-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256829A1 (en) * 2011-04-05 2012-10-11 Qnx Software Systems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2750067B (zh) * 2011-04-19 2015-04-22 中国科学院软件研究所 一种基于手持设备的大屏幕交互方法
JP5879738B2 (ja) * 2011-04-25 2016-03-0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74931B2 (ja) * 2011-07-25 2015-09-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71996B1 (ko) 2011-09-02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기기 리스트 제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US10523804B2 (en) 2011-09-16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for object in network
KR101930510B1 (ko) * 2011-09-16 2018-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상의 객체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1932270B1 (ko) * 2012-01-04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215132A1 (en) * 2012-02-22 2013-08-22 Ming Fong System for reproducing virtual objects
CN102707894A (zh) * 2012-05-22 2012-10-03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多屏互动的输入方法及装置
KR20130130453A (ko) * 2012-05-22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3455238B (zh) * 2012-06-04 2017-04-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2830906B (zh) * 2012-07-04 2016-08-03 华为终端有限公司 基于用户界面进行文件处理的方法及终端设备
KR20140026887A (ko) * 2012-08-23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장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목록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49737B1 (ko) * 2012-08-28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WO2014037992A1 (ja) * 2012-09-04 2014-03-13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機器
US20140075377A1 (en) * 2012-09-10 201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isplay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US20140267077A1 (en) * 2013-03-15 2014-09-18 Amazon Technologies, Inc. User Device with a Primary Display and a Substantially Transparent Secondary Display
US9374841B2 (en) * 2013-07-22 2016-06-21 Htc Corporation Communicative connection method among multiple devices
KR102071579B1 (ko) * 2013-09-02 2020-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03533164B (zh) * 2013-10-09 2016-04-2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无线终端控制文档展示的方法及装置
US9423927B2 (en) * 2013-12-04 2016-08-23 Cellco Partnership Managing user interface elements using gestures
KR20150095120A (ko) * 2014-02-12 2015-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EP2966560B1 (en) * 2014-07-08 2020-01-22 Nokia Technologies Oy Determination of an apparatus display region
CN104333650A (zh) * 2014-09-12 2015-02-04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共享方法、系统和移动终端
CN104284120A (zh) * 2014-09-24 2015-01-14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投影仪的智能投影系统
CN105592279B (zh) * 2014-10-22 2019-04-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后台投影方法及装置
TWI578797B (zh) * 2015-01-20 2017-04-11 Awind Inc A system and method for screening a screen projection electronic device
JP6503771B2 (ja) * 2015-02-10 2019-04-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制御方法
CN105094803A (zh) * 2015-06-17 2015-11-25 深圳市美贝壳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可视化的图片编辑系统及其方法
KR20170037424A (ko) * 2015-09-25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224200A (zh) * 2015-09-25 2016-01-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卸载外接存储设备的方法及移动终端
KR102465643B1 (ko) * 2015-09-30 202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US10764528B2 (en) * 2016-01-27 2020-09-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121000A1 (en) * 2016-10-27 2018-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ing pressure to direct user input
CN107621967B (zh) * 2017-09-27 2021-06-18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系统用户界面的实现方法和装置
USD895664S1 (en) * 2018-08-24 2020-09-0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3079S1 (en) 2018-08-24 2021-10-12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5451S1 (en) 2018-08-24 2021-04-0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96263S1 (en) * 2018-12-11 2020-09-15 Beijing Microlive Vision Technology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96268S1 (en) * 2018-12-11 2020-09-15 Beijing Microlive Vision Technology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04432S1 (en) * 2019-01-04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04431S1 (en) * 2019-01-04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0997S1 (en) * 2019-01-04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856120B2 (en) * 2019-01-11 2023-12-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11653330B (zh) * 2020-06-05 2024-01-30 上海杏脉信息科技有限公司 医学图像显示和诊断信息生成方法、系统、终端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9106B2 (ja) * 1999-10-25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投射表示装置、投射表示システム
US7397476B2 (en) * 2000-05-31 2008-07-08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projection display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6489934B1 (en) * 2000-07-07 2002-12-03 Judah Klausner Cellular phone with built in optical projector for display of data
JP2002064418A (ja) * 2000-08-23 2002-02-28 Casio Comput Co Ltd プレゼンテーション装置、プレゼンテーション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JP3944824B2 (ja) * 2001-11-09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AU2003260321A1 (en) 2002-09-06 2004-03-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provided with a projector
CN1484136A (zh) 2003-07-31 2004-03-24 磊 毕 双光标计算机系统
US6764185B1 (en) * 2003-08-07 2004-07-20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Projector as an input and output device
KR100606060B1 (ko) * 2004-02-21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TW200601063A (en) * 2004-06-17 2006-01-01 Mitac Technology Corp Interactive access right control system of computer device and its method
US20060079214A1 (en) * 2004-10-12 2006-04-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owing wireless mobile device data content on an external viewer
JP4612853B2 (ja) * 2005-03-29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指示位置認識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情報入力装置
JP2007312179A (ja) * 2006-05-19 2007-11-29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当該画像表示システムの画像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確立方法
KR20080003959A (ko) 2006-07-04 2008-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파일의 선택이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 및 그의 데이터전송 방법
US20080018591A1 (en) 2006-07-20 2008-01-24 Arkady Pittel User Interfac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889A1 (de) 2010-05-10 2011-11-10 Hyundai Motor Co. Synchronisiervorrichtung für ein Getriebe
WO2016035908A1 (ko) * 2014-09-03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형 이동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685629B2 (en) 2014-09-03 2020-06-16 Lg Electronics Inc. Module-typ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29659B (zh) 2013-05-15
EP2178282A1 (en) 2010-04-21
US20100099456A1 (en) 2010-04-22
KR101537598B1 (ko) 2015-07-20
US8630681B2 (en) 2014-01-14
CN101729659A (zh) 2010-06-09
EP2178282B1 (en)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598B1 (ko)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427511B2 (en) Mobile terminal with image projection
KR10152701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8744521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module for projecting images on a projection surface exter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5206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스크롤 방법
KR201000390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100444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92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4905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3985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그룹 동작 제어 방법
KR20100042406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
KR2010005309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명력 입력 방법
KR2013009096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14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명령 입력방법
KR2011011638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퀵 액세스 동작 제어 방법
KR20100042107A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표시정보 제어방법
KR1015270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846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통화 제어 방법
KR101542386B1 (ko)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196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1003420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4200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133100A (ko) 이동 단말기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5604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업로드 방법
KR201100342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