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548A - A joy stic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 Google Patents

A joy stic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548A
KR20100023548A KR1020080082383A KR20080082383A KR20100023548A KR 20100023548 A KR20100023548 A KR 20100023548A KR 1020080082383 A KR1020080082383 A KR 1020080082383A KR 20080082383 A KR20080082383 A KR 20080082383A KR 20100023548 A KR20100023548 A KR 20100023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function
unit
joystick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종수
박형득
전용주
전병훈
Original Assignee
(주)모이텍
정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이텍, 정종수 filed Critical (주)모이텍
Priority to KR1020080082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3548A/en
Publication of KR2010002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54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PURPOSE: A joy stick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is provided to make the disabled to easily use a mouse function and a text input function. CONSTITUTION: A function selecting unit(30) selects and displays a mouse function and a keyboard input function. An input unit(50) receives input information per a function selected in the function selecting unit. A sensing unit(60) senses an operation of the input unit and receives input information. A controller(70) controls to display a function selected by the function selecting unit. The controller displays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sensing unit on a display device.

Description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A joy stic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A joy stic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본 발명은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ystick-type input system for the disabl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joystick-type input system for a disabled person whose finger movement is unnatural.

현대인에게 있어서 컴퓨터와 전자제품은 생필품이 된지 오래이며, 생활 전반에 걸쳐서 컴퓨터와 같은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는 불편함이 많아지고 있다.For modern people, computers and electronic products have been a necessity for a long time, and there is a great deal of inconvenience in the whole life without using electronic products such as computers.

따라서 대부분의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는 개인용 컴퓨터 사용이 일반회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컴퓨터와 같은 전자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자판기와 마우스가 구비되어 있다.Therefore, in most homes and workplaces, the use of personal computers is generally held. In order to us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computers, a keyboard vending machine and a mouse are provided as input devices.

그런데, 기존의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하는 입력장치들은 대부분이 정상인을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되어 제공되고 있다.By the way, the input devices including the existing keyboard and mouse are provided and manufactured to be able to use most of the normal people.

따라서 손가락을 자유롭게 사용하기 힘들고,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자의 경우에는 현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정상인을 위한 키보드 자판기 및 마우스를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se a finger freely, and in the case of a disorder in which a finger movement is unnatural, it is difficult to use a keyboard vending machine and a mouse for a normal person who are currently widely used.

따라서 마우스 및 키보드의 입력기능을 가지면서도 손가락의 움직임이 불편한 장애인을 위한 입력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n input system for the handicapped, which has an input function of a mouse and a keyboard but is inconvenient for finger mov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이 마우스기능과 문자 등의 입력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이스틱 형태를 가지는 입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system having a joystick shape so that a disabled person with an unnatural finger movement can easily perform input functions such as a mouse function and a character.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은,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마우스기능 및 키보드 입력기능을 선택하고 표시하기 위한 기능선택부와;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선택된 기능별 입력정보를 입력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동작을 감지하여 입력정보를 입력받는 감지부; 및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선택된 기능을 표시되게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입력받은 정보를 근거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joystick-type input system for the handicappe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joystick-type input system for the handicapped with an unnatural movement of a finger, the apparatus main body; A function selection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a mouse function and a keyboard input function; An input unit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to input input information for each function selected by the function selection unit; And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put information by sensing an operation of the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display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function selection unit and displaying the function on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detection unit.

여기서,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라서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할 수 있는 입력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는 화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screen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so that the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input unit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function selection unit.

또한, 상기 입력부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복수의 분할된 방향으로 이동과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하며,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선택된 기능상태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방향으로의 움직임별로 서로 다른 입력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조이스틱부; 및 상기 조이스틱부에 설치되며, 눌림동작에 의해 상기 선택된 기능별로 설정된 입력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푸쉬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input unit may move in a plurality of divided directions and move in a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x-axis and the y-axis, and the input unit may move in the respectiv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function state selected by the function selection unit. A joystick unit for inputting different input information for each movement; And a push button installed in the joystick part and configured to input input information set for each selected function by a pressing operation.

또한, 상기 기능 선택부는,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한글, 영문, 숫자, 마우스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선택버튼과; 상기 입력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되는 기능을 점등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된 복수의 LED 표시등; 및 마우스 기능 선택시 클릭 기능을 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마우스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function selector may include: an input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Korean, English, numbers, and mouse func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ing; A plurality of LED indicators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light up and display a function selected by the input selection button; And a plurality of mouse buttons provided to perform a click function when the mouse function is selected.

또한, 상기 입력선택버튼의 작동에 의해 마우스 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조이스틱부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의 포인터가 움직이고, 상기 푸쉬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조이스틱부를 이동시 스크롤 기능을 하도록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when a mouse function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selection button, the pointer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apparatus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unit,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croll function when the joystick unit is moved while pressing the push button. Good to do.

또한, 상기 입력선택버튼의 작동에 의해 한글 입력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조이스틱부의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설정된 문자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when the Hangul input function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selection butt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receive a character se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joystick unit to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입력선택버튼의 작동에 의해 숫자 입력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조이스틱부의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설정된 숫자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input function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selection butt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to receive a number se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joystick unit to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입력선택버튼의 작동에 의해서 영문 입력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영문 입력기능 선택된 경우 소문자 또는 대문자를 기본설정으로, 상기 본체에 마련된 대소문자 변경버튼을 눌러 대소문자로 전환되며, 상기 조이스틱부의 움직 이는 방향에 따라 설정된 문자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when the English input function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selection button, when the English input function is selected, by changing the lowercase or uppercase to the default setting, pressing the case change button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switch to the upper and lower case, the joystick unit The controller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receive a character set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and display the character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에 따르면, 조이스틱형 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이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입력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joystick-type input system for the disable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joystick-type input unit, a disabled person with an unnatural movement of a finger can easily perform input functions such as a mouse and a keyboard.

따라서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들도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를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people with disabilities whose finger movements are unnatural can use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joystick-type input system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은, 1 and 2, a joystick-type input system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장치 본체(10)와, 장치 본체(10)에 마련되는 화면표시부(20)와, 상기 장치 본체(10)에 마련되는 기능 선택부(30)와, 상기 기능 선택부(30)에서 선택된 기능을 표시해주는 기능 표시부(40)와, 상기 기능선택부(30)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라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50) 및 상기 입력부(50)의 동작을 감지하여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60) 및 상기 감지부(60)에서 감지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화면표시부(20) 또는 디스플레이장치(80)에 나타나도록 하는 제어부(70)를 구비한다.The device main body 10, the screen display unit 20 provided in the device main body 10, the function selection unit 30 provided in the device main body 10 and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function selection unit 30 A function display unit 40 for displaying and an input unit 50 for inpu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function selection unit 30 and a detection unit 60 for detecting information by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input unit 50. And a controller 70 that receives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or 60 and appears on the screen display 20 or the display device 80.

상기 장치 본체(10)는 케이스 또는 하우징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각종 전자부품 등이 설치될 수 있다.The device body 10 may be formed in a case or a housing shape, an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installed therein.

상기 화면표시부(20)는 장치 본체(10)의 상부에 소정 넓이로 마련되며, LCD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화면표시부(20)에는 선택된 기능(모드)별로 상기 입력부(5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정보(문자,숫자 포함)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부(50)의 기능을 숙지하지 못하더라도 화면표시부(20)에 표시되는 내용을 확인하면서 입력부(50)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The screen display unit 2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10, and preferably includes an LCD. The screen display unit 20 displays information (including letters and numbers) that can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50 for each selected function (mode). Therefore, the user can input the desired information by operating the input unit 50 while checking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20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50.

상기 기능선택부(30)는 장치 본체(1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기능선택부(30)는 복수의 기능 각각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선택버튼(31)과, 선택된 기능을 표시하도록 하는 복수의 LED 표시등(32,33,34,35) 및 마우스 버튼(36,37)을 구비한다.The function selection unit 30 is installed to be ex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10. The function selection unit 30 includes an input selection button 31 for selecting each of a plurality of functions, a plurality of LED indicators 32, 33, 34, 35 and a mouse button 36 for displaying the selected function. 37).

상기 입력선택버튼(31)은 누르는 순번 즉,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한글, 영문, 숫자, 마우스 기능이 차례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LED 표시등(32,33,34,35) 중에서 선택된 LED 표시등이 발광되어 선택된 기능을 알 수 있게 된다.The input selection button 31 may be selected in order of pressing, that is, Korean, English, numbers, mouse functions in sequence, and at this time, the LED indicator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LED indicators (32, 33, 34, 35) The light is emitted to know the selected function.

이와 같이 상기 기능선택버튼(31)을 눌러서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mode by pressing the function selection button 31.

상기 마우스 버튼(36,37)의 마우스의 클릭버튼에 해당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본체(10)에 설치된다.The mouse buttons 36 and 37 hav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lick buttons of the mouse, and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상기 입력부(50)는 상기 기능 선택부(30)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라서 마우스 기능(클릭, 포인트 이동 및 스크롤 기능), 한글 입력, 숫자 입력, 영문 입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부(50)는 도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이스틱부(51)와, 푸쉬버튼(53) 및 엔터버튼(55)을 구비한다.The input unit 50 performs mouse functions (click, point movement and scroll functions), Korean input, numeric input, and English input according to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function selector 30.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input unit 50 includes a joystick 51, a push button 53, and an enter button 55.

상기 조이스틱부(51)는 일반적인 조이스틱과 같이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하여 8방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며, 시계방향(A1) 및 반시계방향(A2) 각각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장치 본체(10)에 설치된다.The joystick part 51 is movable to each of eight directions based on the x-axis and the y-axis as in the general joystick, and moves to the apparatus main body 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A1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2, respectively. Is installed.

상기 조이스틱부(51)에는 상기 푸쉬버튼(53)이 설치된다. 상기 조이스틱부(51)와 푸쉬버튼(53)의 조작을 조합하여 상기 복수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이스틱부(51)는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8방 방향(a1,a2,a3,a4,a5,a6,a7,a8)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8방 방향(a1 ~ a8) 각각으로 조이스틱부(51)의 움직임에 의해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8방방향(a1 ~ a8) 각각으로의 조이스틱부(51)의 움직임을 상기 감지부(60)에서 감지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The push button 53 is installed in the joystick part 51.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unit 51 and the push button 53 may be combined to perform the plurality of functions. The joystick 51 may be moved in eight directions (a1, a2, a3, a4, a5, a6, a7, a8) on the basis of the x-axis and the y-axis, and each of the eight-directions a1 to a8. The information can be input by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51. 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unit 6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unit 51 in each of the eight directions a1 to a8 to input information.

상기 엔터버튼(55)은 장치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엔터버튼(55)은 동작시 마우스의 클릭기능, 문서작성시 엔터키(enter-key)기능을 할 수 있다.The enter button 55 is installed outside the apparatus main body 10. The enter button 55 may function as a click function of a mouse during operation and an enter-key function when writing a document.

이하에서는 상기 기능선택부(30)에서 선택된 기능(모드)별도 조이스틱부(51)와 푸쉬버튼(53)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s of the joystick unit 51 and the push button 53 for each function (mode) selected by the function selection unit 30 will be described.

1). 먼저, 상기 입력선택버튼(31)을 4번 눌러서 마우스기능(모드) 상태인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조이스틱부(51)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80)의 화면상의 포인터가 움직인다. 또한 스크롤을 하고 싶을 때는 조이스틱부(51)에 마련된 푸쉬버튼(53)을 누른 상태로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이면 된다.One). First, the case in which the input function button 31 is pressed four times will be a mouse function (mode) state. In this case, the pointer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80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unit 51. 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scroll, the push button 53 provided on the joystick unit 51 may be pushed up or down.

2). 다음으로 마우스모드에서 입력선택버튼(31)을 한번 누르면 한글입력기 능(모드) 상태인 경우를 설명한다. 한글의 경우 자음과 모음을 합쳐서 24개가 되므로, 이를 4개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2). Next, the case where the input mode selection button 31 is pressed once in the mouse mode will be described as the Hangul input function (mode) state. In the case of Hangul, 24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so it can be divided into four groups.

그룹1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Group 1: a, b, c, d, ㅁ, ㅂ, ㅅ, ㅇ

그룹2 : ㅈ, ㅊ, ㅋ, ㅌ, ㅍ, ㅎGroup 2: K, K, K, K, K, K

그룹3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Group 3: ㅏ, ㅑ, ㅓ, ㅕ, ㅗ, ㅛ, TT, ㅠ

그룹4 : ㅡ, ㅣGroup 4: ㅡ, ㅣ

여기 각 그룹의 선택은 상기 푸쉬버튼(53)을 눌러서 선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1회 누르면 그룹1, 2번째 누르면 그룹2, 세번째 누르면 그룹3, 네번째 누르면 그룹4가 차례로 바뀌게 된다. 즉, 푸쉬버튼(53)을 누를 때마다 그룹1->그룹2->그룹3->그룹4->그룹1...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그룹1을 선택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능 표시부(20)에는 도 4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4의 도면부호 21과 같이 기능 표시부(20)에는 조이스틱부(51)를 이동시켜서 선택할 수 있는 그룹1에 해당하는 한글 모음이 8방향 각각에 대한 형태로 표시되고, 도면부호 22 및 23 각각과 같이 현재의 선택된 모드 및 그룹에 대한 안내글(문자)이 표시된다.Here, the selection of each group can be selected by pressing the push button 53. For example, if you press 1 time, group 1, the second time, group 2, the third time, group 3, and the fourth time, group 4 changes. That is, each time the push button 53 is pressed, the display changes to Group 1-> Group 2-> Group 3-> Group 4-> Group 1 .... When the group 1 is selected, the screen as shown in FIG. 4 may be displayed on the function display unit 20. That is,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21 in FIG. 4, the Korean vowel corresponding to Group 1, which can be selected by moving the joystick 51, is displayed in the form of each of the eight directions. As shown, the text (text) for the currently selected mode and group is displayed.

3). 다음에는 상기 한글 입력모드에서 입력선택버튼(31)을 2번 눌러서 숫자 입려기능(모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숫자 0부터 9까지를 그룹 1과 그룹2로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3). Next, in the Korean input mode, the input selection button 31 may be pressed twice to enter a number input function (mode). In this case, the numbers 0 through 9 can be divided into Group 1 and Group 2 as follows.

그룹 1 : 0, 1, 2, 3, 4, 5, 6, 7Group 1: 0, 1, 2, 3, 4, 5, 6, 7

그룹 2 : 8, 9Group 2: 8, 9

따라서 그룹1과 그룹2는 푸쉬버튼(53)을 눌러서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 어 그룹1을 선택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표시부(20)에 조이스틱부(51)를 이동시켜 선택할 수 있는 숫자들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숫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Group 1 and Group 2 can be selected by pressing the push button 53, for example, when selecting the Group 1, as shown in Figure 5, by moving the joystick unit 51 to the function display unit 20 to select Numbers ar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nter numbers.

4). 다음으로 상기 숫자 입력모드에서 입력선택버튼(31)을 3번 연속 누르게 되면, 영문 입력기능(모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영문 알파벳이 모두 26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4개의 그룹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이 가능하며, 각 그룹으로의 이동은 푸쉬버튼(53)을 눌러서 선택할 수 있다.4). Next, when the input selection button 31 is pressed three times in the numeric input mode, it may be in the English input function (mode) state. In this case, since the English alphabet consists of all 26, four groups can be divided as follows. Movement to each group can be selected by pressing a push button 53.

그룹 1 : A, B, C, D, E, F, G, HGroup 1: A, B, C, D, E, F, G, H

그룹 2 : I, J, K, L, M, N, O, PGroup 2: I, J, K, L, M, N, O, P

그룹 3 : Q, R, S, T, U, V, W, XGroup 3: Q, R, S, T, U, V, W, X

그룹 4 : Y, ZGroup 4: Y, Z

영문 입력기능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푸쉬버튼(53)을 2회 눌러서 그룹 2를 선택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21과 같이 그룹 2에 해당되는 8개의 알파벳이 8방 방향 각각의 위치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이스틱부(51)를 이동시켜 그룹2에 해당되는 알파벳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English input function, for example, if the group 2 is selected by pressing the push button 53 twice, as shown in FIG. 6, eight alphabets corresponding to the group 2 are shown as shown in FIG. By being displayed at each position of the direction, the user can move the joystick 51 to easily select and input the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group 2.

5). 또한, 별도의 영문 대소문자 선택버튼(56)을 더마련하여 영문의 소문자 입력기능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영문 입력모드에서 초기에는 대문자로 설정되고, 상기 영문 대소무자 선택버튼(56)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소문자와 대문자로 반복해서 변하도록 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영문 소문자는 26개 이므로, 이들을 4개의 그룹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게 된다.5). In addition, a separate English letter case select button 56 may be further provided to select and execute an English letter case input function. In this case, in the English input mode, it is initially set to a capital letter, and can be inputted by repeatedly changing the lowercase letter and the uppercase lett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English large operator selection button 56 is pressed. In this case, since the lowercase letters are 26 letters, they can be divided into four groups as follows.

그룹 1 : a, b, c, d, e, f, g, hGroup 1: a, b, c, d, e, f, g, h

그룹 2 : i, j, k, l, m, n, o, pGroup 2: i, j, k, l, m, n, o, p

그룹 3 : q, r, s, t, u, v, w, xGroup 3: q, r, s, t, u, v, w, x

그룹 4 : y, zGroup 4: y, z

소문자 입력기능(모드) 상태에서, 예를 들어 푸쉬버튼(53)을 3번 눌러서 그룹 3을 선택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표시부(20)에는 그룹3에 해당되는 8개의 영문 소문자가 8방 방향으로 도면부호 21과 같이 표시되고, 도면 부호 22 및 23과 같이 현재 기능상태 및 선택된 그룹이 표시된다.In the lower case input function (mode) state, for example, pressing the push button 53 three times to select the group 3, as shown in Figure 7, the function display unit 20 in the English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group 3 Lowercase letters are indicated in eight directions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21, and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s 22 and 23, the current function status and the selected group.

6). 또한, 상기 입력선택버튼(31)을 눌러서 각각의 입력기능을 수행시, 커서의 위치이동을 위해서는 조이스틱부(51)를 도 1에서와 같이 시계방향(A1) 또는 반시계방향(A2)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이스틱부(51)를 시계방향(A1)으로 회전시키면 커서가 전진하는 스페이스(space) 기능을 하게 되고, 반시계방향(A2)으로 회전시키면 커서가 뒤로 후퇴하는 백스페이스(backspace)(삭제)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6). In addition, when performing the respective input function by pressing the input selection button 31, in order to move the position of the cursor to rotate the joystick unit 51 clockwise (A1) or counterclockwise (A2) as shown in FIG. You can. For example, when the joystick 51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1, the cursor functions as a space for advancing, and when the joystick 51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2, the backspace in which the cursor retreats backward. (Delete) function is available.

상기와 같은 조이스틱부(51) 및 푸쉬버튼(53)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조이스틱 콘트롤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조이스틱부(51)의 x축 및 y축의 가변저항을 상기 감지부(60)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가변 저항에 따른 전압레벨을 ADC 변환하여 조이스틱부(51)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The joystick unit 51 and the push button 53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a generally known joystick controller, and the variable resistance of the x-axis and the y-axis of the joystick unit 51 may b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60. After sensing, the ADC converts the voltage level according to the sensed variable resistor into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unit 51.

이와 같이, 상기 조이스틱부(51) 및 푸쉬버튼(53)을 포함하는 입력부(50)와, 감지부(60)는 일반적으로 산업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조이스틱 콘트롤러의 구성 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uch, the input unit 50 including the joystick unit 51 and the push button 53 and the sensing unit 60 can be understoo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joystick controller which is generally widely used in the industry.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감지부(60)는 상기와 같이 조이스틱부(51)의 움직이는 방향에 따른 가변저항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입력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감지부(60)는 상기 푸쉬버튼(53)의 푸쉬동작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기능(모드) 상태에 따른 입력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The sensing unit 60 can receive a preset input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variable resistance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joystick unit 51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60 may sense the push operation signal of the push button 53 to receive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each function (mode) state.

상기와 같이, 감지부(60)에서 감지된 입력들은 상기 제어부(70)로 전달되고, 제어부(70)에서는 입력된 정보(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화면표시부(20)에 기능(모드)별, 그룹별, 정보(신호)들이 나타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상기 LED 표시등(32,33,34,35)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LED 표시등이 점등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상기 조이스틱부(51)와 푸쉬버튼(53)의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해당되는 문자, 숫자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80)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puts sensed by the sensing unit 60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0, and the control unit 70 separates the function (mode) into the screen display unit 20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signal). Control the information (signals) to appear, by group. In addition, the controller 70 causes any one of the LED indicators selected from the LED indicators 32, 33, 34, and 35 to light up. In addition, the controller 70 may display letters, numbers,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signals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unit 51 and the push button 53 on the display device 80.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장치의 경우에는, 종래의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조이스틱부(51)와 푸쉬버튼(53) 및 기능선택부(30) 등을 이용하여 표현 및 문서작성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들에게는 매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a joystick input device for a handicapped person having an unnatural movement of a fi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joystick unit 51 and the push button 53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mouse or keyboard and By using the function selection unit 30 and the like to be able to express and write the document,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used very conveniently for people with unnatural disabiliti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joystick type input system for a disabled person whose finger movement is unnatur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Figure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joystick-type input system for the handicapped people unnatural movement of the f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Figure 3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joystick-type input system for the handicapped person unnatural movement of the f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7 각각은 입력기능별로 화면표시부에 나타나는 입력가능한 정보를 나타낸 상태를 보인 도면.4 to 7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inputtable information displayed on a screen display unit for each input function is show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장치 본체 20..화면표시부10. Device body 20. Display unit

30..기능선택부 50..입력부30. Function selector 50. Input unit

51..조이스틱부 53..푸쉬버튼51. Joystick 53. Push button

55..엔터버튼 60..감지부55. Enter 60. Detecting part

70..제어부 80..디스플레이 장치70. Control unit 80. Display device

Claims (8)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에 있어서,In the joystick type input system for the handicapped,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unnatural, 장치 본체와;A device body;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마우스기능 및 키보드 입력기능을 선택하고 표시하기 위한 기능선택부와;A function selection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a mouse function and a keyboard input function;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선택된 기능별 입력정보를 입력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입력부; 및An input unit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to input input information for each function selected by the function selection unit; And 상기 입력부의 동작을 감지하여 입력정보를 입력받는 감지부; 및A sensing unit which receives input information by sensing an operation of the input unit; And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선택된 기능을 표시되게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입력받은 정보를 근거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function selection unit to be displayed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detection unit. Inpu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라서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할 수 있는 입력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는 화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The disabled person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creen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to display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function selection unit. Joystick type input syste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input unit,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복수의 분할된 방향으로 이동과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하며,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선택된 기능상태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방향으로의 움직임별로 서로 다른 입력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조이스틱부; 및It is possible to move in a plurality of divided directions and to mov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x-axis and y-axis, and different input information for each movement in each direc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state selected by the function selection unit. A joystick portion to enable input; And 상기 조이스틱부에 설치되며, 눌림동작에 의해 상기 선택된 기능별로 설정된 입력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푸쉬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And a push button installed in the joystick unit and configured to input input information set for each selected function by a pressing oper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선택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unction selection unit,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한글, 영문, 숫자, 마우스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선택버튼과;An input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Korean, English, numbers, and mouse func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상기 입력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되는 기능을 점등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된 복수의 LED 표시등; 및A plurality of LED indicators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light up and display a function selected by the input selection button; And 마우스 기능 선택시 클릭 기능을 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마우스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Joystick-type input system for the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plurality of mouse buttons provided to perform a click function when selecting a mouse fun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선택버튼의 작동에 의해 마우스 기능이 선택된 경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he mouse function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selection button, 상기 조이스틱부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의 포인터가 움직이고, 상기 푸쉬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조이스틱부를 이동시 스크롤 기능을 하도록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The joystick type for the disabl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moves the pointer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croll function when the joystick is moved while the push button is pressed. Input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선택버튼의 작동에 의해 한글 입력기능이 선택된 경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he Hangul input function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selection button, 상기 조이스틱부의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설정된 문자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Joystick-type input system for the disabled,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unnatur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receive the character se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joystick unit to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선택버튼의 작동에 의해 숫자 입력기능이 선택된 경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umeric input function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selection button. 상기 조이스틱부의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설정된 숫자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Joystick-type input system for the disabled, the finger movement is unnatural,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receive the number se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joystick unit to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선택버튼의 작동에 의해서 영문 입력기능이 선택된 경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nglish input function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selection button. 상기 영문 입력기능 선택된 경우 소문자 또는 대문자를 기본설정으로, 상기 본체에 마련된 대소문자 변경버튼을 눌러 대소문자로 전환되며, 상기 조이스틱부의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설정된 문자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위한 조이스틱형 입력시스템.When the English input function is selected, a lowercase letter or a capital letter is set as a default setting, and the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are switched to upper and lowercase by pressing a case change button provided on the main body. Joystick type input system for the disabled,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KR1020080082383A 2008-08-22 2008-08-22 A joy stic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KR201000235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383A KR20100023548A (en) 2008-08-22 2008-08-22 A joy stic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383A KR20100023548A (en) 2008-08-22 2008-08-22 A joy stic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548A true KR20100023548A (en) 2010-03-04

Family

ID=4217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383A KR20100023548A (en) 2008-08-22 2008-08-22 A joy stic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354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459B1 (en) * 2010-12-17 2012-06-15 아이프로스 아이앤씨 주식회사 Multi Function Signal Input Device for Computer
KR20170063061A (en)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민토시스 Computer auxiliary input apparatus for the disabled person
KR20230085016A (en) * 2021-12-06 2023-06-1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Game Controller Apparatus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Disabled Peop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459B1 (en) * 2010-12-17 2012-06-15 아이프로스 아이앤씨 주식회사 Multi Function Signal Input Device for Computer
KR20170063061A (en)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민토시스 Computer auxiliary input apparatus for the disabled person
KR20230085016A (en) * 2021-12-06 2023-06-1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Game Controller Apparatus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Disabled Peop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073B1 (en) Touchpad having fine and coarse input resolution
KR101695174B1 (en) Ergonomic motion detection for receiving character input to electronic devices
KR1013910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KR100478020B1 (en) On-screen key input device
EP2960752A1 (en) Character entry for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position sensing keyboard
JP55563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A2667276A1 (en) Input device
KR200900917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a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53547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action method for the same
KR20100023548A (en) A joy stic type input system for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KR101039284B1 (en) Touch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20080095811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1248752B1 (en) Text Input Method of Touch Screen And a Device For The Same
US7626570B2 (en) Input device
KR100893978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JP4907296B2 (en) Input device
KR101568716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using using drag type
KR101925065B1 (en) Keyboard for smart devices
CN110543248B (en) electronic device
KR201200041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touch-screen
KR1012536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thereof
KR101263013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KR102253889B1 (en) Pattern Input Type Multi-language Virtual Key Pad System
KR10113692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KR1011522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acter input window using touch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