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7963A - 저수조 및 저수조의 유출구 크기 결정 부재를 구비한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저수조 및 저수조의 유출구 크기 결정 부재를 구비한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7963A
KR20100017963A KR1020097027411A KR20097027411A KR20100017963A KR 20100017963 A KR20100017963 A KR 20100017963A KR 1020097027411 A KR1020097027411 A KR 1020097027411A KR 20097027411 A KR20097027411 A KR 20097027411A KR 20100017963 A KR20100017963 A KR 20100017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outlet
reservoir
holder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즈 디. 히딩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0001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75Hot water outlets for drip coffee mak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제조 장치는 저수조(1); 및 필터에 수용되든 되지 않든 상관없이 상당한 양의 음료 추출물로 충진되도록 구성되며, 상당한 양의 유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음료를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4)를 가지며, 상기 저수조(1)의 유출구(3)로부터 물을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되는 음료 추출물 홀더(2)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 제조 장치는 또한 상기 음료 추출물 홀더(2)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물 흐름 제한 부재(6)를 포함하며, 따라서 음료 추출물 홀더(2)의 무게 증가는 저수조(1)의 유출구(3)의 제한 증가를 초래한다. 필요할 경우, 저수조(1)의 유출구(3)는 음료 추출물 홀더(2)의 흘러넘침을 방지하도록 완전히 차단될 수도 있다.
저수조, 음료 추출물 홀더, 물 흐름 제한 부재, 기계적 구조물, 원추형 부분, 레버, 스프링

Description

저수조 및 저수조의 유출구 크기 결정 부재를 구비한 음료 제조기{BEVERAGE MAKER HAVING A WATER RESERVOIR AND A MEMBER FOR DETERMINING A SIZE OF AN OUTLET OPENING OF THE WATER RESERVOIR}
본 발명은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를 갖는 저수조; 및 필터에 수용되든 되지 않든 상관없이 상당한 양의 음료 추출물로 충진되도록 구성되며, 상당한 양의 유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음료를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저수조의 유출구로부터 물을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되는 음료 추출물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수조와 음료 추출물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는 주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제조기는 물과 상당한 양의 분쇄 커피 빈(ground coffee beans) 형태의 커피 추출물(extract)에 기초하여 뜨거운 커피를 제조하도록 구성되고 저수조 내에 존재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커피 제조기일 수 있다. 또한, 커피 추출물은 일회용 필터 내에 제공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음료 추출물 홀더를 필터 홀더로 지칭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제조기가 커피를 제조할 목적으로 작동될 때는, 후술하는 단계들이 이루어진다.
먼저, 커피 제조기의 사용자가 준비 작업을 수행한다. 특히, 사용자는 일회 용 필터에 적당한 양의 커피 추출물을 충진하고 필터를 음료 추출물 홀더에 배치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커피 제조기의 저수조에 충분한 양의 물이 충진되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필터 홀더에 관해서는, 필터 홀더가 커피 제조기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고, 필터 홀더를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부분이 피봇가능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한 커피 제조기의 실시예들이 존재함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당한 양의 커피가 충진된 필터를 필터 홀더 내에 배치하는 단계에 앞서, 전술한 하우징 부분을 하우징이 개방되고 필터 홀더에 자유롭게 접근가능한 위치로 피봇시키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그 과정에서, 사용자는 필터 홀더 내에 필터를 배치하기 위해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필터 홀더를 제거하고 이후 필터 홀더를 다시 하우징 부분 내의 적소에 배치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어쨌든, 커피 제조기가 전술한 피봇가능하게 배치된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고 이 하우징 부분에 필터 홀더와 필터의 조립체가 배치될 때, 사용자는 하우징 부분을 하우징이 폐쇄되는 위치로 피봇시킴으로써 필터 홀더와 필터를 커피 제조기 내의 작동 위치에 배치한다.
준비 작업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커피 제조기를 작동시키는 바, 가열 수단이 스위치 온되어 물을 가열한다. 저수조의 유출구로부터 뜨거운 물이 떨어져 필터에 수용된다. 전체 저수조가 필터 홀더 위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커피 제조기의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저수조의 주요 부분이 필터 홀더와 대략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저수조가 유출 튜브를 포함하며, 유출구를 갖는 튜브의 단부만 필터 홀더 위에 위치한다.
커피는 뜨거운 물과 필터 내에 존재하는 커피 추출물의 양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얻어진다. 특히, 물은 중력의 영향 하에 커피 추출물의 양 때문에 이동하며, 추가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커피는 필터 홀더의 유출구를 통해서 필터 홀더를 빠져나간다.
실제로, 전술한 커피 제조기가 사용될 때는, 여러가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들 문제는 저수조의 유출구가 좁아서 막히기 쉽다는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 첫째로, 저수조의 유출구는 물때 입자들(scale particles) 및/또는 기타 오염 입자들로 막힐 수 있으며, 따라서 적정 양의 물이 저수조로부터 필터 홀더로 흐르는데 비교적 긴 시간이 걸린다. 또한, 그 결과, 커피의 맛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둘째로, 필터 홀더의 유출구는 먼지로 막히거나 어떤 점에서는 필터에 의해 차단될 수도 있다. 이런 일이 생기면, 커피 제조기로부터 커피가 나오는데 긴 시간이 걸리거나 전혀 나오지 않아서 사용자가 짜증나게 될 뿐 아니라, 필터 홀더로부터의 음료 유출보다 필터 홀더 내로의 물 유입이 많아서 필터 홀더가 흘러넘칠 가능성이 크다. 필터 홀더의 흘러넘침(overflow)은 또한 비교적 높은 흐름 저항으로 인해 필터에 커피가 과잉투여(overdosing)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수조와 음료 추출물 홀더를 구비하며, 물때 입자들에 의한 저수조 유출구의 막힘이 방지되고 및/또는 음료 추출물 홀더의 흘러넘침이 발생할 수 없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저수조에 대한 그 위치에 기초하여 저수조의 유출구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물 흐름 제한 부재, 및 상기 물 흐름 제한 부재를 음료 추출물 홀더에 연결하기 위한 기계적 구조물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음료 추출물 홀더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물 흐름 제한 부재를 포함한다. 음료 추출물 홀더의 무게가 음료 추출물 홀더의 유체 충진 정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음료 추출물 홀더의 흘러넘침은 모든 환경 하에서 회피될 수 있는 바, 즉 물 흐름 제한 부재와 음료 추출물 홀더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음료 추출물 홀더의 무게가 증가하면 물 흐름 제한 부재가 저수조의 유출구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질 때 회피될 수 있다. 유리하게, 물 흐름 제한 부재는 저수조의 유출구의 크기를 이 유출구가 완전히 차단될 때까지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음료 추출물 홀더의 무게와 물 흐름 제한 부재의 위치 사이의 관계는 음료 추출물 홀더의 유체 충진 정도가 100%이기 전에 저수조의 유출구의 차단된 상태가 얻어지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물 흐름 제한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저수조의 유출구를 통해서 이동가능하며, 이 경우 물 흐름 제한 부재는 또한 저수조의 유출구에 오염 입자들이 존재할 경우 저수조의 유출구로부터 이들 오염 입자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실제 실시예에서, 물 흐름 제한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원추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추형 부분은 저수조의 유출구를 통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물 흐름 제한 부재의 전술한 오염 입자 제거 기능은 매우 양호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원추의 직경이 그 높이를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원추가 통과 이동하는 개구의 크기는 개구 내의 원추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쉽게 조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추가 그 선단이 전방 위치에 있는 상태로 이동하고 개구를 통해서 더 깊이 이동하면, 개구의 크기는 감소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물 흐름 제한 부재를 음료 추출물 홀더에 연결하기 위한 기계적 구조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물은, 그 단부들 사이의 위치에 위치하는 회전 지점 주위로 회전가능한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추출물 홀더와 상기 물 흐름 제한 부재는 상기 회전 지점의 양 쪽에서(at different sides) 레버에 연결된다. 이런 확실한 방식으로, 음료 추출물 홀더의 무게가 증가하면, 레버의 한 쪽에 작용하는 음료 추출물 홀더의 견인(pulling) 력이 증가하여, 레버가 회전 지점 주위로 회전하도록 경사지며, 물 흐름 제한 부재가 위치하는 쪽인 레버의 다른 쪽에서는 미는(pushing) 힘이 얻어진다. 따라서, 음료 추출물 홀더의 유체 충진 정도가 증가하면, 물 흐름 제한 부재가 저수조의 유출구를 통해서 더 밀고들어가며, 이 유출구를 통해서 이동하는 물 흐름 제한 부재의 부분이 전술한 원추형과 같은 적절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가정할 때 이는 유출구의 크기의 감소를 초래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레버를 고정 지점에 연결함으로써 레버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프링과 같은 탄성 소자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 소자의 적용에 기초하여, 레버의 자유 이동이 방지되며, 음료 추출물 홀더의 무게 변화의 영향 하에서 물 흐름 제한 부재의 변위가 허용가능한 한계 이내로 유지될 수 있다. 음료 추출물 홀더의 최대 유체 충진 정도는 탄성 소자의 특징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탄성 소자의 강성이 높을수록 최대 유체 충진 정도가 높다.
물 흐름 제한 부재의 형상, 및 물 흐름 제한 부재를 음료 추출물 홀더에 연결하기 위한 기계적 구조물의 특징은, 저수조의 유출구를 통한 물의 흐름이 음료 추출물 홀더의 유출구를 통한 음료의 흐름과 사실상 동일한 평형 상태를 실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런 식으로, 음료 추출물 홀더를 통한 물의 최고 가능 유량이 달성될 수 있는 반면에, 음료 추출물 홀더의 흘러넘침은 방지된다. 전술한 최고 가능 유량의 중요한 장점은, 음료의 제조 과정에서, 추출 시간이 가능한 한 짧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음료가 예를 들어 커피이고 물이 상당한 양의 분쇄 커피 빈을 통해서 흐르는 경우에, 짧은 추출 시간은 커피의 바람직한 부드러운 맛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 및 기타 양태들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에 대한 하기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자명해지고 명료해질 것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다수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전체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다수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음료 제조기는 커피 제조기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음료 제조기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커피 제조기는 저수조(1) 및 필터 홀더(2)를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통상 배향에서는 필터 홀더(2)는 저수조(1)의 아래에 위치한다. 저수조(1)는, 커피 제조기의 작동 중에 가열되고 유출구(3)를 통해서 필터 홀더(2)에 공급되는 물을 담아두는 역할을 한다. 커피 제조기의 작동 중에, 필터 홀더(2) 내에는 상당한 양의 분쇄 커피 빈이 담긴 일회용 필터(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고, 뜨거운 물과 분쇄 커피 빈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커피가 얻어지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커피가 필터 홀더(2)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터 홀더(2)는 필터 홀더(2)의 바닥(5)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4)를 포함한다.
커피 제조기는 또한 원추형 부분(7)을 갖는 물 흐름 제한 부재(6), 및 상기 물 흐름 제한 부재(6)를 필터 홀더(2)에 연결하기 위한 기계적 구조물(8)을 포함한다. 상기 기계적 구조물(8)은 레버(9)를 포함하며, 이 레버(9)의 일 단부에는 필터 홀더(2)가 연결되고 레버(9)의 타 단부에는 물 흐름 제한 부재(6)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레버(9)는 회전 지점(10) 주위로 회전이 가능하며, 레버(9)는 그 양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이 회전 지점(10)에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회전 지점(10)은 저수조(1)에 고정 연결된 서스펜션 소자(11) 상에 위치한다. 회전 지점(10)으로의 연결부와 상기 물 흐름 제한 부재(6)를 지지하는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레버(9)는 스프링(13)을 통해서 고정 지점(12)에 연결되며, 이 예에서, 고정 지점(12)은 저수조(1) 상에 위치한다.
이어서, 필터 홀더(2)가 레버(9)에 연결되는 쪽에서, 필터 홀더(2)는 저수 조(1)에 매달려 있다. 도 1은 다른 쪽에서 필터 홀더(2)가 커피 제조기의 지지체(14)에 지지되어 있음을 도시한다.
커피 제조기의 작동 중에, 후술하는 과정이 발생한다. 커피 제조기의 작동의 시작 시에, 필터 홀더(2)는 일정 양의 분쇄 커피 빈이 충진된 필터를 수용하고 있고, 저수조(1)는 물과 분쇄 커피 빈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커피를 제조하기에 충분한 양의 물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저수조(1) 내에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유출구(3)를 통한 물 흐름을 차단하고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유출구(3)를 통한 물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존재한다. 물을 가열하는 과정 중에, 밸브는 폐쇄 위치로 유지된다. 또한, 커피 제조기는 저수조(1) 내의 수온을 검출하고 밸브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센서/스위칭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수온이 적절한 값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나면, 즉 물이 충분히 뜨거워진 것으로 나타나면, 밸브가 개방 위치에 놓이게 되고, 따라서 유출구(3)가 개방되어 물이 유출구(3)를 통해서 필터 홀더(2) 내의 상당한 양의 분쇄 커피 빈이 충진되어 있는 필터 안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 과정의 시작 시에, 물 흐름 제한 부재(6)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놓여있으며, 이 위치에서 물 흐름 제한 부재(6)는 저수조(1)의 유출구(3)의 크기를 전혀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은 최대 유량으로 필터 홀더(2)에 공급된다.
물이 필터 홀더(2)의 바닥(5)에 설치된 유출구(4)를 통해서 자유롭게 흐를 수 없지만 먼저 분쇄 커피 빈과 필터를 통해서 흐를 필요가 있다는 사실로 인해, 필터 홀더(2) 내의 물 유입이 필터 홀더(2)로부터의 커피 유출보다 큰 상황이 실현 된다. 필터 홀더(2) 내에 상당한 양의 유체가 존재하는 것은 필터 홀더(2)의 무게의 증가를 초래한다. 특정 시점에서, 필터 홀더(2)에 의해 레버(9)에 가해지는 견인력이 높아지면 레버(9)는 스프링(13)의 작용에 대항하여 회전하며, 물 흐름 제한 부재(6)를 지지하는 레버(9)의 단부는 상방으로, 즉 저수조(1)의 유출구(3)를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과정에서,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원추형 부분(7)의 선단이 저수조(1)의 유출구(3)에 진입하며, 원추형 부분(7)의 상부는 새로운 평형 상태가 실현될 때까지 유출구(3)를 통해서 이동한다.
새로운 평형 상태에서는, 저수조(1)의 유출구(3)가 부분적으로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원추형 부분(7)의 상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충진되므로, 저수조(1)로부터 필터 홀더(2)로의 물 흐름이 제한된다. 스프링(13)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기계적 구조물(8)의 특징들 및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원추형 부분의 형상은, 필터 홀더(2) 내로의 물 유입이 필터 홀더(2)로부터의 커피 유출과 사실상 동일한 상황이 실현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필터 홀더(2)의 흘러넘침이 발생할 수 없으며, 물의 가능한 최고 유량이 유지된다. 후자는 추출 시간이 가능한 한 짧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유리하며, 이는 커피의 맛/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필터 홀더(2) 내로의 물 유입이 필터 홀더(2)로부터의 음료 유출과 다를 때마다, 레버(9)는 새로운 평형 상태가 실현되도록 회전하며, 이는 유출구(3) 내에서의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원추형 부분(7) 위치의 적절한 조절에 기초한 저수조(1) 유출구(3)로부터의 물 흐름의 적절한 조절로 이어진다. 여전히 100% 미만인 필터 홀더(2)의 특정 유체 충진 정도에 따라 필터 홀더(2)의 무게가 무거워서 저수조(1)의 유출구(3)가 물 흐름 제한 부재(6)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므로, 필터 홀더(2)의 흘러넘침은 항상 방지된다.
종합적으로 말해서, 유체 충진 정도와 필터 홀더(2)의 무게가 증가하면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원추형 부분(7)은 저수조(1)의 유출구(3)를 통해서 더 이동하여 저수조(1)로부터의 물 흐름을 더 제한하고, 유체 충진 정도와 필터 홀더(2)의 무게가 감소하면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원추형 부분(7)은 후퇴하여 저수조(1)로부터의 물 흐름을 덜 제한한다. 필터 홀더(2)에 대한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기계적 연결로 인해, 물 흐름 제한 부재(6)는 필터 홀더(2)의 무게에 반응하고, 홀더(2)의 유체 충진 정도와 저수조(1)의 유출구(3)의 크기 사이의 관계가 실현된다. 스프링(13)의 강성은 필터 홀더(2)의 최대 허용가능한 유체 충진 정도, 즉 저수조(1)의 유출구(3)의 완전한 차단에 관한 필터 홀더(2)의 무게의 임계값에 대한 결정 인자이다.
필터 홀더(2)의 흘러넘침 방지 및 최적 물 유량의 실현뿐 아니라, 다른 장점을 언급하자면, 즉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원추형 부분(7)이 저수조(1)의 유출구(3)를 오염으로부터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는 사실이다. 특히, 커피 제조기의 사용 중에, 유입구(3)에는 물때 입자들이 퇴적될 수 있다. 그러나,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원추형 부분(7)의 상부가 유출구(3)에 진입할 때, 가능한 물때 입자들이 분리되어 유출구(3)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에 관하여 실시된 실험들에서는, 저수조(1)의 유출구(3)를 통해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적용의 이러한 유리한 효과에 기초하여, 유출구(3)가 적어도 800회의 커피 제조 사이클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평균 추출 시간이 3분인 다양한 양의 커피에 대해서 1.4%의 커피 추출 값이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매우 양호한 결과이다. 추출 값이란 커피에 용해된 고체의 백분율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범위가 전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그 다양한 수정예 및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면들과 명세서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도시하고 설명했지만, 이러한 도시 및 설명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비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들은 도면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청구된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 및 달성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이란 단어는 다른 단계들이나 소자들을 배제하지 않으며, 부정관사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특정한 수단들이 서로 다른 종속항들에서 인용된다는 사실만으로 이들 수단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내의 임의의 인용 부호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이상에서는, 저수조(1); 및 필터에 수용되든 되지 않든 상관없이 상당한 양의 음료 추출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당한 양의 유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음료를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4)를 가지며, 저수조(1)의 유출구(3) 로부터 물을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되는 음료 추출물 홀더(2)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음료 제조기는 저수조(1)의 유출구(3)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물 흐름 제한 부재(6)를 포함한다. 물 흐름 제한 부재(6)는 음료 추출물 홀더(2)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음료 추출물 홀더(2)의 유체 충진 정도의 증가에 따라 음료 추출물 홀더(2)의 무게가 증가되면 저수조(1)의 유출구(3)의 제한의 증가가 초래된다. 결국, 음료 추출물 홀더(2)로부터의 음료 유출이 음료 추출물 홀더 내로의 물 유입보다 상당히 적거나 심지어 음료 추출물 홀더(2)의 유출구(4)가 막히는 경우에, 저수조(1)의 유출구(3)는 음료 추출물 홀더(2)가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전히 차단될 수도 있다. 또한,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적용은 음료 추출물 홀더(2) 내로의 물 유입이 음료 추출물 홀더(2)로부터의 음료 유출과 사실상 동일한 상황을 달성할 가능성을 제공하며, 따라서 가능한 한 짧은 추출 시간이 실현될 수 있다. 음료가 커피인 경우, 이는 커피의 맛/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물 흐름 제한 부재(6)는 저수조(1)의 유출구(3)의 내외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추형 부분(7)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물 흐름 제한 부재(6)가 사용될 때의 또 다른 장점은, 물 흐름 제한 부재(6)가 유출구(3)를 물때 입자들 및/또는 기타 오염 입자들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Claims (6)

  1. 음료 제조 장치로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3)를 갖는 저수조(1),
    필터에 수용되든 되지 않든 상관없이 상당한 양의 음료 추출물로 충진되도록 구성되며, 상당한 양의 유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음료를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4)를 가지며, 상기 저수조(1)의 유출구(3)로부터 물을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되는 음료 추출물 홀더(2),
    상기 저수조(1)에 대한 그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저수조(1)의 유출구(3)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물 흐름 제한 부재(6), 및
    상기 물 흐름 제한 부재(6)를 상기 음료 추출물 홀더(2)에 연결하기 위한 기계적 구조물(8)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적어도 일부(7)는 상기 저수조(1)의 유출구(3)를 통해서 이동가능한, 음료 제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적어도 일부(7)는 원추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추형 부분(7)은 상기 저수조(1)의 유출구(3)를 통해서 이동가능한, 음료 제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흐름 제한 부재(6)를 상기 음료 추출물 홀더(2)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기계적 구조물(8)은 그 단부들 사이의 위치에 위치하는 회전 지점(10) 주위로 회전가능한 레버(9)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추출물 홀더(2)와 상기 물 흐름 제한 부재(6)는 상기 회전 지점(10)의 양 쪽에서 상기 레버(9)에 연결되는, 음료 제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9)를 고정 지점(12)에 연결함으로써 레버(9)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프링(13)과 같은 탄성 소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흐름 제한 부재(6)의 형상, 및 상기 물 흐름 제한 부재(6)를 상기 음료 추출물 홀더(2)에 연결하기 위한 기계적 구조물(8)의 특징들은, 저수조(1)의 유출구(3)를 통한 물의 흐름이 상기 음료 추출물 홀더(2)의 유출구(4)를 통한 음료의 흐름과 사실상 동일한 평형 상태를 실현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제조 장치.
KR1020097027411A 2007-05-31 2008-05-26 저수조 및 저수조의 유출구 크기 결정 부재를 구비한 음료 제조기 KR201000179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09265 2007-05-31
EP07109265.4 2007-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963A true KR20100017963A (ko) 2010-02-16

Family

ID=3974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411A KR20100017963A (ko) 2007-05-31 2008-05-26 저수조 및 저수조의 유출구 크기 결정 부재를 구비한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850961B2 (ko)
EP (1) EP2155024B1 (ko)
JP (1) JP5451597B2 (ko)
KR (1) KR20100017963A (ko)
CN (1) CN101677713B (ko)
AT (1) ATE519405T1 (ko)
BR (1) BRPI0813315A8 (ko)
ES (1) ES2371303T3 (ko)
RU (1) RU2463943C2 (ko)
WO (1) WO2008146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V20130173A1 (it) * 2013-10-18 2015-04-19 San Remo S R L Macchina per produrre ed erogare bevande a base di caff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8530A (en) 1955-05-25 1960-02-17 Jonas Geoffrey Jesse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making and dispensing beverages
US2873031A (en) * 1956-05-18 1959-02-10 William T Boyce Coffee percolator strainer support
US3423209A (en) * 1965-11-23 1969-01-21 Robert L Weber Brewing selectable variable quantities of coffee
US3918355A (en) * 1972-08-24 1975-11-11 Robert L Weber Infusion apparatus and method
GB1463009A (en) 1974-04-16 1977-02-02 Weber R L Heate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4165681A (en) * 1977-05-16 1979-08-28 Kidde Consumer Durables, Corp. Electrical water heater and dispenser
US4376447A (en) 1979-08-20 1983-03-15 Umc Industries, Inc. Hot water valve
JPS58188413A (ja) * 1982-04-26 1983-11-02 株式会社東芝 コ−ヒ−抽出器
EP0246746A1 (en) * 1986-05-15 1987-11-25 Black & Decker Inc. Coffee maker
DE8708082U1 (ko) * 1987-06-06 1987-07-23 Melitta-Werke Bentz & Sohn, 4950 Minden, De
FR2625893B1 (fr) * 1988-01-14 1994-06-10 Moulinex Sa Cafetiere menagere
FR2628963A1 (fr) * 1988-03-24 1989-09-29 Seib Sarl Chaudiere pour machine a cafe
DE59001147D1 (de) * 1989-02-09 1993-05-13 Timm Eberhard Vorrichtung zum zubereiten heisser getraenke.
US5285717A (en) * 1990-07-19 1994-02-15 Bunn-O-Matic Corporation Brewer control
DE9013838U1 (ko) * 1990-10-04 1992-02-06 Timm, Eberhard, 2114 Appel, De
DE4401722A1 (de) * 1994-01-21 1995-07-27 Rudolf Neumann Wasserradbetriebene Kaffeemaschine
FR2725120B1 (fr) * 1994-09-30 1998-06-19 Moulinex Sa Cafetier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selection du mode d'arrosage de la poudre de cafe
AU5565496A (en) * 1995-04-28 1996-11-18 Health O Meter, Inc. Automatic tea brewing device and tea pot receptacle
JP3059087B2 (ja) * 1995-10-26 2000-07-04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飲料抽出器
US5901635A (en) 1997-07-08 1999-05-11 Signature Brands, Inc. Flow control and flow rate control mechanisms for use in brewing machines with fluidly connected chambers
CN2377969Y (zh) * 1999-03-12 2000-05-17 深圳新世纪饮水科技有限公司 用于饮水机的进水自动控制装置
NL1018247C2 (nl) * 2001-06-08 2002-12-10 Sara Lee De Nv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een voor consumptie geschikte drank zoals koffie.
DE102004002004A1 (de) * 2004-01-14 2005-08-11 Schifferle, René Kaffeemaschine zum Aufbrühen von in einer Kapsel abgepacktem Pulverkaffee
CN2720954Y (zh) * 2004-08-30 2005-08-31 邵成庆 无源自动定量出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63943C2 (ru) 2012-10-20
US8850961B2 (en) 2014-10-07
JP2010527730A (ja) 2010-08-19
BRPI0813315A8 (pt) 2015-09-29
WO2008146233A1 (en) 2008-12-04
EP2155024B1 (en) 2011-08-10
RU2009149459A (ru) 2011-07-10
CN101677713A (zh) 2010-03-24
ATE519405T1 (de) 2011-08-15
ES2371303T3 (es) 2011-12-29
EP2155024A1 (en) 2010-02-24
US20140377427A1 (en) 2014-12-25
JP5451597B2 (ja) 2014-03-26
BRPI0813315A2 (pt) 2014-12-23
CN101677713B (zh) 2012-04-11
US20100242739A1 (en)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7506A (en) Apparatus for automatic coffee brewing
US11297971B2 (en) Beverage brewing method
JP5599125B2 (ja) 飲み物を作る装置および方法
EP1631176B1 (en) A brewing receptacle and a foam unit and a beverage maker comprising such a brewing receptacle
US4911067A (en) Infusion beverage maker
US20070137493A1 (en) Beverage maker with adjustable brew chamber
RU2394626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ования воды и вообще жидкостей
KR101382254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US5434392A (en) Microwave drip coffee maker
JP2007503274A5 (ko)
CN107205570A (zh) 自动咖啡机和制备调制饮料的方法
CN111655089B (zh) 用于制备饮料的机器和方法
JP2013508004A (ja) コーヒー抽出用の抽出ユニット
EP2109386A1 (en) Coffee-maker structure for preparation of hot beverages
US20180168388A1 (en) Cold brew coffee maker with water drip supply unit and coffee extraction guide member
KR20100017963A (ko) 저수조 및 저수조의 유출구 크기 결정 부재를 구비한 음료 제조기
KR101824522B1 (ko)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CN107105932B (zh) 用于制备饮料的设备和方法
WO2019232109A1 (en) Stovetop coffee brewing device
JP2021504006A (ja)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2283676B1 (ko) 드립커피장치
WO2016126991A1 (en) Automatic coffee machine with ejection mechanism
BR112020025860A2 (pt) cabeça de filtro de gotejamento para um aparelho de bebida, método para preparar uma bebida, e, aparelho de filtro de gotejamento
EP0383439A1 (en) Microwave drip coffee maker
EP1813173A1 (en) Coffee maker for preparing infu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