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054A -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054A
KR20090097054A KR1020080022213A KR20080022213A KR20090097054A KR 20090097054 A KR20090097054 A KR 20090097054A KR 1020080022213 A KR1020080022213 A KR 1020080022213A KR 20080022213 A KR20080022213 A KR 20080022213A KR 20090097054 A KR20090097054 A KR 20090097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
learning content
mobil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19751B1 (en
Inventor
김병훈
Original Assignee
김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훈 filed Critical 김병훈
Priority to KR102008002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751B1/en
Publication of KR2009009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0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751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learning contents provid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through wired and wireless network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re provided to manage information about learning result and query response by managing the learning history about learning contents. A mobile contents management server(11) provides the study contents for a portable terminal(15) through wireless network. A web contents management server(12) provides the study content through PSTN to a PC. A database server(13) stores the attending history information through PC. The attending history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mobile contents managing server to the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PORTABLE TERMINAL}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 통신망의 연동을 통하여 학습 콘텐츠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학습 콘텐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contents that can be integratedly managed through interworking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인터넷과 같은 정보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많은 분야에서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제공서비스산업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초고속통신망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정보인프라가 확산되면서 인터넷교육이 사교육비 문제까지 해결해 줄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왜냐하면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강의는 전통적인 대학교육, 직업교육, 세미나 또는 전문교육기관에 의한 조직적 교육 등 기존교육시스템이 발생시키는 비용이나 시간대에 대한 제약에 비하여 다소 유연하다는 점이다.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are rapidly developed, the information service industry using the Internet is increasing in many fields. In particular, as the spread of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s has spread,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has been spreading, and thus, Internet education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This is because online lectures using the Internet are somewhat more flexible than the cost and time constraints of existing education systems such as traditional university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seminars, or organizational education by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즉, 온라인 강의의 이용자들은 수강시간대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으며, 강 의에 들이는 비용이 적게 들지만 학습효과는 전통적인 교육기관에서 받는 것보다 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온라인 강의 제공업체로서도 온라인 교육사이트를 개발해 인터넷에 올리는 초기비용이 낮기 때문에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온라인강좌를 제공할 수 있음도 간과할 수 없다.That is, users of online lectures can freely adjust the time period, and the cost of lectures is less, but the learning effect is not lower than that of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In addition, even as an online lecture provider, the initial cost of developing and uploading an online education site to the Internet is low, and it can not be overlooked that a variety of online courses can be provided to users.

그러나, 위와 같은 온라인 강의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가 설치된 장소에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데 제한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PC)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운 강의 자료가 업로드되었는지 또는 온라인 강의 내용에 대하여 사용자가 질의한 내용에 대한 답변이 이루어졌는지 즉시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the user wants to use the online lectur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has to visit a place where a personal computer (PC) is installed. In addition, when the user is not using a personal computer (PC),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immediately known whether new lecture material is uploaded or whether an answer to the user's question about the online lecture contents is made.

특히, IT 분야와 같이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이 짧으면서도 다양한 모델의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서는, 제품의 판매점 또는 고객 불만 처리 센터에 종사하는 종업원들이 새로운 제품에 대한 제품 매뉴얼, 가격 정책, 회사 지침 또는 공지사항을 신속히 숙지하고 있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종업원들이 여러 지역에 산재하여 집체교육 참여가 어렵고 신속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로 인하여 고객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particular, for companies with short life cycles and various models of products and services, such as IT, employees in their retail stores or customer complaint centers can use product manuals, pricing policies, Despite having to be familiar with company guidelines or announcements, employees may be scattered in various location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participate in collective training, and they may not be able to respond appropriately to customer need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 하여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새로운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아울러 유무선 통신망을 연동하여 학습자의 학습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결과 및 질의 응답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learn a new learning content quickly and easily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lso learner by managing the learner's learning history by interwork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a mobile terminal that can easily manage information regarding a learning result and a query respons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바일 컨텐츠 관리 서버와,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PC)에 상기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컨텐츠 관리 서버, 및 상기 개인용 컴퓨터(PC)를 통하여 상기 소정의 학습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출력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수강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수강 이력 정보를 상기 모바일 컨텐츠 관리 서버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학습 컨텐츠 중 상기 개인용 컴퓨터(PC)를 통하여 출력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 가능하게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포함한다.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at least one learning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ersonal computer (PC)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providing the learning content, and course history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learning content is output through the personal computer (PC), and the course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obile. And a database server configured to provide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content management server so that a portion of the learning content that is not output through the personal computer is output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모바일 컨텐츠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학습 컨텐츠에 대한 패킷의 전송량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에 대한 학습 진도율을 판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재생이 중단된 경우 상기 재생이 중단된 시점 이후의 학습 컨텐츠에 해당하는 패킷만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학습 컨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a learning progress rate for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amount of the packet for the learning content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playback is stopped while the learning content is being 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etrieval function for the learning content by transmitting only the packet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content after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reproduction is stopped to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개인용 컴퓨터(PC)로 전송되는 상기 학습 컨텐츠는 복수의 서브 컨텐츠로 구분되고, 상기 각각의 서브 컨텐츠의 말미에는 퀴즈 데이터가 삽입되며, 상기 웹 컨텐츠 관리 서버는 상기 퀴즈 데이터에 대한 학습자의 답변이 상기 개인용 컴퓨터(PC)에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에 대한 학습 진도율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arning content transmitted to the personal computer (PC)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contents, the quiz data is inserted at the end of each of the sub-contents,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is the learner of the quiz data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a learning progress rate for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whether an answer is input to the personal computer (PC).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새로운 학습 콘텐츠가 등록되었거나, 상기 학습 컨텐츠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학습 평가 결과, 성적, 질의에 대한 응답 및 퀴즈에 관한 정보를 푸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학습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징 서버, 및 상기 학습 콘텐츠의 메타데이터와 연계되어 상기 학습 콘텐츠의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 성적관리, 질의 응답, 통계 정보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us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new learning content is registered in the database server, or pushes the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s learning evaluation results, grades, answers to the questions and quiz about the learning content A messaging server for notifying learners to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 message,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evaluation, grade management, question answering,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n learning results of the learning content in association with metadata of the learning content; It may include.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은, 소정의 학습 콘텐츠가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푸시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학습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유선 통신망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를 통하여 이루어진 웹 수강에 대한 웹 수강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웹 수강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상기 학습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이루어진 모바일 수강에 대한 모바일 수강 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4 단계,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한 수강을 독촉하기 위한 독려 메시지, 상기 웹 수강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성적에 관한 정보, 상기 모바일 수강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성적에 관한 정보, 및 질의 응답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푸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problem, the first step of transmitting a push message that the predetermined learning content is registered in the database server to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web course information about a web course made through a personal computer connected to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for at least a part of the learning content to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web cours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 fourth step of transmitting mobile course information about the mobile course made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at least a portion of the learning content, an incentive message for encouraging the course for the learn content, and the web course Information about the evaluation and grades of the results, awards And a fifth step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n evaluation and a grade of the result of the mobile enrollment, and information on a question and answer to the mobile terminal using a push message.

나아가,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콘텐츠 서버로부터 학습 동영상과 교안 슬라이드를 갖는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한번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컨텐츠 제공 서버에 바로 접속하기 위한 핫 키,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학습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미리 정해진 시각에 도달하거나 상기 핫 키 또는 입력부를 통하여 화면 전환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교안 슬라이더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안 슬라이더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은 상기 학습 콘텐츠에 인덱싱 타임(indexing time) 정보 형태로 기록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재생 시간을 계산하고 있다가, 상기 인덱싱 타임 정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교안 슬라이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proble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learning content having the learning video and instructional slides from the mobile content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isplay the learning video for the learning content A display unit, a hot key for directly accessing the mobile content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by one touch input, and a predetermined time or reaching the hot key while the learning video is played on the display unit. O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structional slider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a screen switching input signal is input through an input unit, wherein the time when the instructional slid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indexed to the learning content. g time)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playing time while the learning video is played, and controls the teaching slid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indexing time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DB)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와 웹 콘텐츠 관리 서버를 연동시켜 학습자의 학습 진도 및 학습 이력에 대한 정보를 동기화시킴으로써, 학습자가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학습 콘텐츠를 수강하거나 개인용 컴퓨터(PC)를 통하여 학습 콘텐츠를 수강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 진도 및 학습 이력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업의 종업원 및 대리점 직원과 같이 여러 지역에 산재하여 집체교육 참여가 어렵고, 새로운 제품 매뉴얼, 가격 정책 또는 회사 지침과 같이 신속한 전달을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er learns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by synchronizing the learning progress and the learning history of the learner by interworking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by using one database serve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students take a learning content through a personal computer (PC), the learning progress and learning history of the learning content may be integrated. As a result, when it is difficult to participate in collective training, such as employees and distributors in large corporations, and needs to deliver quickly, such as new product manuals, pricing policies or company guidelines, the learning content is available to users anytime, anywhere. It can be us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같은 푸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휴대 단말기로 새로운 학습 콘텐츠가 등록되었음을 알리거나, 미리 정해진 시간에 학습 콘텐츠에 대한 수강을 독촉하기 위한 독려 메시지, 웹 수강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성적에 관한 정보, 모바일 수강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성적에 관한 정보, 및 질의 응답에 관한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학습자는 인터넷 등에 접속하지 않고서도 새로운 학습 콘텐츠의 제공 여부 및 자신의 수강 결과 등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push message, such as a short message or a multimedia message, to the learner's portable terminal to inform that the new learning content has been registered, or to encourage the attendance of the learning content at a predetermined time, Web, By providing information on evaluation and grades of the course results, information on evaluation and grades of the mobile course results, and information on questions and answers, the learner can provide new learning contents without accessing the Internet and the like. You can easil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results of their course, etc.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콘텐츠 제공 서버 측에서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학습된 학습 콘텐츠의 전송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학습 콘텐츠 제공자 또는 모바일 서비스 운영자는 학습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된 패킷량에 따라 비용을 차등하여 청구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학습자는 하나의 학습 콘텐츠 중 자신이 원하는 양만큼만 학습하고 그에 따를 비용만을 지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학습 콘텐츠를 일정 분량으로 구분하고 제공된 패킷량에 따라 비용을 부과시킴으로써, 무선 통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학습 콘텐츠 제공자 또는 모바일 서비스 운영자는 다양한 과금 정책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는 하나의 학습 콘텐츠에 대한 서브 콘텐츠별 이어 보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실제 학습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bile content providing server side can easily grasp the transmission amount of the learning content learn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learning content provider or the mobile service operator adjusts the cost according to the amount of packet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learner. In addition, the learner may request a difference, and the learner may learn only as much as one of the desired learning contents and pay only the cost thereof.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viding a learning content into a certain amount and charging a fee according to the amount of packet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aste of wireless communication resources, and the learning content provider or the mobile service operator may apply various charging policies. There is an advantage to us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er can not only view the content for each sub-content for a learning content, but also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unnecessary expenses for the part that he / she did not actually learn.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학습한 학습 이력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에 구성된 소형의 화면에 학습 동영상과 상기 학습 동영상에 관련된 교안 슬라이더를 서로 전환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소형의 화면을 통하여 용이하게 교안 슬라이더의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earning history learned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but also the learning video and the instructional slider related to the learning video are switched on a small screen configured in the mobile terminal. By display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ents of the instructional slider can be easily learned through the small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와, 데이터 베이스 서버(13: 이하 'DB 서버'라 한다), 학습 콘텐츠 저작 서버(14), 및 통합 관리 서버(17)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a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a database server 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B server”), and learning. A content authoring server 14,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7.

여기서, 학습 콘텐츠란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으로 학습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학습 관련 강의 자료뿐만 아니라, 제품 매뉴얼, 가격 정책, 회사 지침, 공지사항 또는 뉴스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각종 컨텐츠를 포함하며, 비디오, 오디오, 그래픽,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에는, 기업 대표의 신년사, 취임사, 경영마인드, 사내방송, 뉴스, 홍보자료 등에 대한 동영상, 또는 세일즈토크 교육, 세일즈 프로세스, 애프터 서비스(AS) 및 고객 불만 처리 방법, 신제품 소개 및 매뉴얼, 매장성공사례 및 노하우 등의 세일즈 강화를 위한 교육 동영상, 또는 공지사항, 전달사항, 긴급 메시지 등과 같은 전달 문서, 이들에 대한 보조 자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learning content includes not only learning-related lecture materials that can be provided to the learners through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network, but also various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such as product manuals, pricing policies, company guidelines, notices, or news. Video, audio, graphics, text,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any representative's New Year's greeting, inaugural address, management mind, in-house broadcasting, news, promotional materials, videos, sales talk training, sales process, after-sales service (AS), and customer complaint handling. Training videos to enhance sales, such as methods, new product introductions and manuals, buried case studies and know-how, or delivery documents such as announcements, notices, and urgent messages, and supporting materials.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에 의하여 학습자의 휴대 단말기(15)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 단말기(15)로 출력되는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활용 여부, 학습 진도 또는 상기 학습 콘텐츠와 관련하여 학습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와 같은 학습 결과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DB 서버(13)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는 상기 DB 서버(13)로부터 제공된 학습 콘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15)와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 통신 규약(예를 들어, WAP)에 따라 변환한 후, 상기 휴대 단말기(15)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5)에는 사용자의 학습 결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형성되고, 상기 학습 결과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로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 모듈이 탑재된다.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may not only provide the learning content to the learner's portable terminal 15 by a streaming method or a download metho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ut also provide the learning content output to the portable terminal 15. Learning result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learner is utilized, learning progress, or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learner in relation to the learning content,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ed to the DB server 13. To this end,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converts the learning content provided from the DB server 13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WAP)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terminal 15, and then carries the portable content. Transfer to the terminal 15.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5 is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UI) such as a keypad, a touch pad, and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learning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learning resul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는 학습자에게 유선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16)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개인용 컴퓨터(PC)(16)로 출력되는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활용 여부, 학습 진도 또는 상기 학습 콘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와 같은 학습 결과 정보를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DB 서버(13)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개인용 컴퓨터(PC)(16)에는 사용자의 학습 결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형성되고, 상기 학습 결과 정보를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 모듈이 탑재된다.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may not only provide learning contents to a personal computer (PC) 16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red Internet, but also to the personal computer (PC) 16. The learning result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learner uses the learning content, the learning progress or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in relation to the learning content is received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ed to the DB server 13. Accordingly, the personal computer (PC) 16 is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UI) such as a keyboard, a mouse, and a touch pad for inputting the learning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and uses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s the learning result information. A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to transmit the data through.

상기 DB 서버(13)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15) 및 개인용 컴퓨터(PC)(16)를 통하여 학습자에게 제공될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 및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DB 서버(13)는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 및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로부터 사용자의 학습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아울러 상기 학습 결과 정보로부터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이력(History)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The DB server 13 stores learning content to be provided to learners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5 and the personal computer (PC) 1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s the learning content in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and Provided to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In addition, the DB server 13 receives and stores the learning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and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and further, the learner of the learning content from the learning result information.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history.

상기 도 1에서는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 및 DB 서버(13)를 각각의 기능상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상기 DB 서버(13)는 상기 모바일 컨텐츠 관리 서버(11) 또는 웹 컨텐츠 관리 서버(12) 내에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 및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이 서로 구분되는 한 하나의 서버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In FIG. 1,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and the DB server 1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functional terms, but the DB server 13 is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or the like. It may be configured in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In addition,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and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may be formed as one server as long as blocks for performing respective functio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학습 콘텐츠 저작 서버(14)는 비디오, 오디오, 그래픽, 텍스트 또는 이들을 조합한 형태의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 또한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진도 체크를 위한 퀴즈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생성된 학습 콘텐츠 및 퀴즈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 또는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를 통하여 상기 DB 서버(13)로 제공된다. The learning content authoring server 14 produces learning content in the form of video, audio, graphic, text,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also generates quiz data for the learner's progress check on the learning content. In addition, the generated learning content and quiz data are provided to the DB server 13 through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or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휴대 단말기(15)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 인터넷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에 접속하여,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로부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통신단말기로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UMPC(Ultra-Mobile 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5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wireless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ltimedia communication that can receive and output the learning content from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The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 ultra-mobile PC (UMPC), or the like.

또한, 개인용 컴퓨터(PC)(16)는 유선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통신단말기이다. In addition, a personal computer (PC) 16 is a multimedi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nd outputting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red Internet.

통합 관리 서버(17)는 상기 학습 콘텐츠 저작 서버(14)에 의해 제작된 학습 콘텐츠를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 및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로 전송하고, 상기 DB 서버(13)에 저장된 학습자의 학습 이력으로부터 학습자 현황 및 성적 관리와 같은 학습자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아울러 콘텐츠 현황, 일별 이용율에 대한 수강 통계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 서버(17)는 상기 생성된 수강자 관리 정보 및 수강 통계 자료로부터 학습 내용 평가, 시즌별 평가, 학습 대상자별 평가 및 설문 조사 등과 같은 평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학습자 관리 정보, 수강 통계 자료 및 평가 관리 정보는 DB 서버(13)로 제공되어, 상기 DB 서버(13)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 서버(17)에는 휴대 단말기(15) 및 개인용 컴퓨터(PC)(16)로부터 입력되는 질의 응답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질의 응답에 대한 관리자의 답변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7 transmits the learning content produced by the learning content authoring server 14 to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and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and stored in the DB server 13. Learner management information such as learner status and grade management can be generated from the learning history of the student, and the attendance statistics on the content status and daily usage rate can be generated. 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7 may generate evaluation management information, such as learning content evaluation, season evaluation, learning subject evaluation, survey, and the like, from the generated learner management information and enrollment statistics. The generated learner management information, course statistics and evalua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DB server 13 and stored in the DB server 13. 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7 is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not shown) for outputting a query response input from the mobile terminal 15 and the personal computer (PC) 16, and the manager for the query response. An input device (not shown) for inputting an answer is provided.

메시징 서버(18)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학습 콘텐츠가 새롭게 등록되었음을 알리거나,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한 평가, 성적관리, 질의 응답 및 퀴즈와 같은 각종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5)로 알리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시징 서버(18)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에 따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같은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5)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ssaging server 18 notifies that the learning content is newly registe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push message, or transmits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evaluation, grade management, question answer and quiz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nforms the mobile terminal 15 through the function. To this end, the messaging server 18 generates a push message such as a short message based on a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a multimedia message based on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to generate the push message. ) Can be sen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의 학습 진도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2 is a view illustrating a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는 휴대 단말기(15)로 전송되는 다수의 학습 콘텐츠 중 학습자가 특정 학습 콘텐츠를 수강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 보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학습 콘텐츠(20)를 복수의 서브 콘텐츠(21 내지 25)로 구분하여 학습자가 하나의 학습 콘텐츠(20)를 어느 정도까지 학습하였는지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information on whether a learner has taken a particular learning content among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5, but also as shown in FIG. 2. The learning content 2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contents 21 to 25 to manage how much the learner has learned one learning content 20.

즉,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15)로 전송되는 패킷(packet) 전송량에 따라 하나의 학습 콘텐츠(20)에 대한 진도율을 관리할 수 있다. That is,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may manage the progress rate for one learning content 20 according to the packet transmission amount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5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정보는 패킷(packet) 단위로 구분되며,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는 하나의 학습 콘텐츠(20)에 대응하는 전체 패킷 중 휴대 단말기(15)로 제공된 패킷 전송량을 측정하여 상기 DB 서버(13)로 제공한다.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divided into packets, and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is a packet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5 among all packets corresponding to one learning content 20. The transmission amount is measured and provided to the DB server 13.

예를 들어, 하나의 학습 콘텐츠(20)가 동일한 크기를 갖는 5개의 서브 콘텐츠(21 내지 25: 동영상1/5 내지 동영상 5/5)로 이루어지고, 휴대 단말기(15)로 제1 서브 콘텐츠(21: 동영상1/5)만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는 상기 학습 콘텐츠(20)에 대한 학습 진도가 20%만 진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 진도에 대한 정보를 DB 서버(13)에 제공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5)로 제1 서브 콘텐츠(21: 동영상1/5) 및 제2 서브 콘텐츠(22: 동영상2/5)가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는 상기 학습 콘텐츠(20)에 대한 학습 진도가 40% 진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 진도에 대한 정보를 DB 서버(13)에 제공한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15)로 제1 서브 콘텐츠(21: 동영상1/5) 내지 제5 서브 콘텐츠(25: 동영상5/5)가 모두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콘텐 츠 관리 서버(11)는 상기 학습 콘텐츠(20)에 대한 학습 진도가 100% 진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 진도에 대한 정보를 DB 서버(13)에 제공한다. For example, one learning content 20 is composed of five sub contents 21 to 25 (video 1/5 to video 5/5) having the same size, and the mobile terminal 15 uses the first sub content ( 21: When only the video 1/5) is transmitted,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determines that only 20% of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ing content 20 has been progressed,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progress to the DB server. Provide to (13). In addition, when the first sub content 21 (video 1/5) and the second sub content 22 (video 2/5)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5,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performs the learning.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gress of learning about the content 20 is 40%,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progress is provided to the DB server 13. In addition, when all of the first sub content 21 (video 1/5) to the fifth sub content 25: video 5/5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5,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ing content 20 is determined to be 100% progressed, and information on the learning progress is provided to the DB server 13.

이와 같이,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는 휴대 단말기(15)로 전송되는 학습 콘텐츠(20)에 대한 패킷의 전송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학습 콘텐츠(20)에 대한 학습 진도를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휴대 단말기(15)를 이용하여 하나의 학습 콘텐츠(20) 중 제1 서브 콘텐츠(21: 동영상1/5)만 학습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 서브 콘텐츠(22: 동영상2/5)부터 학습을 개시할 수 있다. As such,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may check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ing content 20 by measuring the amount of packet transmission for the learning content 20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5. Accordingly, the learner learns only the first sub content 21 (1/5 video) of one learning content 20 using the mobile terminal 15,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second sub content 22 : You can start learning from the video 2/5).

또한,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의 운영자는 학습자의 휴대 단말기(15)로 전송된 패킷량에 따라 비용을 차등하여 청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자는 하나의 학습 콘텐츠(20) 중 자신이 원하는 양만큼만 학습하고 그에 따를 비용만을 지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학습 콘텐츠(20)를 일정 분량으로 구분하고 제공된 패킷량에 따라 비용을 부과시킴으로써, 무선 통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의 운영자는 다양한 과금 정책을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는 하나의 학습 콘텐츠(20)에 대한 서브 콘텐츠(21 내지 25)별 이어 보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실제 학습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or of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may charge a fee according to the amount of packets transmitted to the learner's portable terminal 15. In addition, the learner can learn as much as the desired amount of one of the learning content 20 and pay only the cost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viding a learning content 20 into a certain amount and charging a fee according to the amount of packet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aste of wireless communication resources and to operate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Can utilize a variety of billing polici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er can not only view the sub contents 21 to 25 for one learning content 20 but also prevent unnecessary expenses for the part which he / she did not actually lear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의 학습 진도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3 is a view illustrating a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ethod in a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는 개인용 컴퓨터(PC)(16)로 전송되는 다수의 학습 콘텐츠 중 학습자가 특정 학습 콘텐츠를 수강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학습 콘텐츠(30)를 복수의 서브 콘텐츠(31 내지 35)로 구분하여 학습자가 하나의 학습 콘텐츠(30)를 어느 정도까지 학습하였는지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as well as information on whether a learner has taken a particular learning content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 transmitted to the personal computer (PC) 16 The learning content 3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contents 31 to 35 to manage how much the learner has learned the learning content 30.

즉, 상기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는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PC)(16)로 출력되는 하나의 학습 콘텐츠(30)를 복수의 서브 콘텐츠(31 내지 35)로 구분하고, 각각의 서브 콘텐츠(31 내지 35) 말미에 학습 내용과 관련된 퀴즈 데이터(31-1 내지 35-1)를 삽입하여 학습 진도를 체크하여, 상기 학습 진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DB 서버(13)로 제공한다. That is,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divides one learning content 30 outputted to a personal computer (PC) 16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nto a plurality of sub contents 31 to 35, and each sub content. At the end of the contents 31 to 35, quiz data 31-1 to 35-1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are inserted to check the learning progress, and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progress is provided to the DB server 13.

예를 들어, 하나의 학습 콘텐츠(30)가 동일한 크기를 갖는 5개의 서브 콘텐츠(31 내지 35: 동영상1/5 내지 동영상 5/5)로 이루어지고, 개인용 컴퓨터(PC)(16)로 제1 서브 콘텐츠(31: 동영상1/5)가 모두 출력되면, 제2 서브 콘텐츠(32: 동영상2/5)가 출력되기 이전에 상기 제1 서브 콘텐츠(31: 동영상1/5)에 관련된 퀴즈1(31-1)를 개인용 컴퓨터(PC)(16)로 출력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상기 퀴즈1(31-1)에 대한 답변을 상기 개인용 컴퓨터(PC)(16)에 입력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PC)(16)는 상기 답변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정보를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는 상기 학습 콘텐츠(30)에 대한 학습 진도가 20% 진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 진도에 대한 정보를 DB 서버(13)에 제공한다. For example, one learning content 30 is composed of five sub-contents 31 to 35 (video 1/5 to video 5/5) having the same size, and the first personal computer (PC) 16 is used as the first. When all sub content 31: video 1/5 is outputted, quiz 1 related to the first sub content 31: video 1/5 before the second sub content 32: video 2/5 is outputted. 31-1) is output to the personal computer (PC) 16. In addition, when a learner inputs an answer to the quiz 1 (31-1) into the personal computer (PC) 16, the personal computer (PC) 16 provi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answer has been made. Transfer to management server 12. Accordingly,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determines that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ing content 30 is 20%, and provides the DB server 13 with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progress.

또한, 개인용 컴퓨터(PC)(16)로 제2 서브 콘텐츠(32: 동영상2/5)가 모두 출력되면, 제3 서브 콘텐츠(33: 동영상3/5)가 출력되기 이전에 상기 제2 서브 콘텐츠(32: 동영상2/5)에 관련된 퀴즈2(32-1)를 개인용 컴퓨터(PC)(16)로 출력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상기 퀴즈2(32-1)에 대한 답변을 상기 개인용 컴퓨터(PC)(16)에 입력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PC)(16)는 상기 답변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정보를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는 상기 학습 콘텐츠(30)에 대한 학습 진도가 40% 진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 진도에 대한 정보를 DB 서버(13)에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all of the second sub content 32 (video 2/5) is output to the personal computer (PC) 16, the second sub content before the third sub content 33: video 3/5 is output. The quiz 2 (32-1) related to (32: video 2/5) is outputted to the personal computer (PC) 16. FIG. When the learner inputs an answer to the quiz 2 (32-1) into the personal computer (PC) 16, the personal computer (PC) 16 provi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answer has been made. Transfer to management server 12. Accordingly,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determines that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ing content 30 has been progressed by 40%, and provides the DB server 13 with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progress.

아울러, 상기 개인용 컴퓨터(PC)(16)로 제1 서브 콘텐츠(31: 동영상1/5) 내지 제5 서브 콘텐츠(35: 동영상5/5)가 모두 출력되면, 상기 제5 서브 콘텐츠(35: 동영상5/5)에 관련된 퀴즈5(35-1)를 개인용 컴퓨터(PC)(16)로 출력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상기 퀴즈5(35-1)에 대한 답변을 상기 개인용 컴퓨터(PC)(16)에 입력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PC)(16)는 상기 답변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정보를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는 상기 학습 콘텐츠(30)에 대한 학습 진도가 100% 진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 진도에 대한 정보를 DB 서버(13)에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all of the first sub content 31 (video 1/5) to the fifth sub content 35 (video 5/5) are output to the personal computer (PC) 16, the fifth sub content 35: The quiz 5 (35-1) related to the video 5/5 is outputted to the personal computer (PC) 16. FIG. When the learner inputs an answer to the quiz 5 (35-1) into the personal computer (PC) 16, the personal computer (PC) 16 provi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answer has been made. Transfer to management server 12. Accordingly,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determines that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ing content 30 is 100% and provides the DB server 13 with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progress.

이와 같이, 상기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는 개인용 컴퓨터(16)로 전송되는 학습 콘텐츠(30)에 대한 학습 진도를 체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학습자는 개인용 컴퓨터(16)를 이용하여 하나의 학습 콘텐츠(30) 중 제1 서브 콘텐츠(31: 동영상1/5)만 학습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 서브 콘텐츠(32: 동영상2/5)부 터 학습을 개시할 수 있다. As such,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may check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ing content 30 transmitted to the personal computer 16, and thus, the learner may use one personal computer 16 to check the learning progress. Only the first sub content 31 (video 1/5) of the learning content 30 may be learned,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learning may start from the second sub content 32 (video 2/5).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학습 진도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4 is a view illustrating a wired and wireless interworking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 및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는 하나의 DB 서버(13)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로부터 제공되는 휴대 단말기(15)를 통한 학습 진도에 관한 정보와,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로부터 제공되는 개인용 컴퓨터(PC)(16)를 통한 학습 진도에 관한 정보가 상기 DB 서버(13)에 저장된다.As shown in FIG. 4,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and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one DB server 13. Accordingly,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gress of learning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5 provided from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and the progress of learning through the personal computer (PC) 16 provided from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Information about is stored in the DB server (13).

이에 따라, 상기 DB 서버(13)는 동일한 학습 콘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15) 및 개인용 컴퓨터(PC)(16)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휴대 단말기(15) 및 개인용 컴퓨터(PC)(16)를 통하여 수신되는 학습자의 학습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DB 서버(13)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와 웹 콘텐츠 관리 서버(12)를 연동시켜 학습자의 학습 진도 및 학습 이력에 대한 정보를 동기화시킴으로써, 학습자가 휴대 단말기(15)를 통하여 학습 콘텐츠를 수강하거나 개인용 컴퓨터(PC)(16)를 통하여 학습 콘텐츠를 수강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 진도 및 학습 이력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B server 13 may provide the sam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5 and the personal computer (PC) 16, and the portable terminal 15 and the personal computer (PC) ( 16) can integrate and manage the learner's learn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rlocking the information on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and learning history by interlocking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and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using the DB server 13, Regardless of whether learning content is take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5 or learning content through a personal computer (PC) 16, the learning progress and learning history for the learning content can be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개인용 컴퓨터(PC)(16)를 통하여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 리스트와 휴대 단말기(15)를 통하여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 리스트가 서로 연동되도 록 형성함으로써, 수강자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PC)(16)를 통하여 일부 수강한 학습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그 학습 결과를 향후 휴대 단말기(15)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중복 수강 및 수강 여부 확인을 위하여 다시 해당 학습 콘텐츠를 재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learning content list provided through the personal computer (PC) 16 and the learning content list provid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5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attendees have the personal computer (PC) ( 16)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5 can check the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results of the part of the learning content taken through the future, thereby preventing the hassle of having to play the learning content again in order to check whether or not to take the course again and again. can do.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학습자가 개인용 컴퓨터(PC)(16) 또는 휴대 단말기(15)를 번갈아 가며 학습 콘텐츠를 수강하더라도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개인용 컴퓨터(PC)(16)를 통하여 출력되는 학습 콘텐츠 및 공지사항 등에 대한 배열 순서와 상기 휴대 단말기(15)를 통하여 출력되는 학습 콘텐츠 및 공지사항 등에 대한 배열 순서를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content output through the personal computer (PC) 16 so that no confusion occurs even if the learner takes the learning content alternately between the personal computer (PC) 16 or the portable terminal 15. And the arrangement order for the announcements and the like for the learning content and announcements output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5.

아울러, 개인용 컴퓨터(PC)(16) 및 휴대 단말기(15)를 통하여 이루어진 학습자의 학습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17)로 제공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17)는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학습된 통계 자료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는 학습통계, 수강통계 또는 설문통계 등을 관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통계 자료에 근거하여 새로운 학습 콘텐츠 구성하거나, 미수강 학습 콘텐츠를 수강할 것을 독촉하는 푸시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er's learning information through the personal computer (PC) 16 and the portable terminal 15 is provid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7 i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generating the statistical data learned through the provided to the administrator, the administrator can manage the learning statistics, course statistics or survey statistics, etc. Also,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to configure new learning content, or take a non-learning learning content You can configure a push message that encourages you to do i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코칭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mobile coaching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코칭 서비스를 위하여 코치 역할을 하는 관리자(이하, '모바일 코치'라 한다)는 통합 관리 서버(17)를 통하 여 학습자의 수강 이력을 관리하고, 학습자의 휴대 단말기(15)로 특정 학습 콘텐츠가 DB 서버(13)에 등록되었음을 알리고, 미수강 학습 콘텐츠를 수강할 것을 독려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5, a manag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bile coach”) serving as a coach for the mobile coach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the learner's course history through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7, The learner's portable terminal 15 may be notified that the specific learning content is registered in the DB server 13, and may be encouraged to take the non-learning learning content.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DB 서버(13)에 새로운 학습 콘텐츠가 등록되면 새로운 학습 콘텐츠가 등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푸시 메시지, 즉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구성하여 메시징 서버(18)에 입력한다(S50). 이어서, 상기 메시징 서버(18)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강 대상자, 즉 학습자의 휴대 단말기(15)로 상기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한다(S51).Referring to FIG. 5, when new learning content is registered in the DB server 13, a push message, that is, a short message or a multimedia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new learning content is registered, is input to the messaging server 18 (S50). . Subsequently, the messaging server 18 transmits the short message or the multimedia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15 of the student, that is, the learn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51).

그러면, 상기 학습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15)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부터 새로운 학습 콘텐츠가 등록되었음을 인지하고(S52), 학습자의 편의에 따라 휴대 단말기(15)를 통하여 학습 콘텐츠를 수강할 수 있다(S53). 여기서, 학습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학습자가 이미 개인용 컴퓨터(PC)(16)를 이용하여 일부 또는 전부 수강한 웹 수강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웹 수강 정보도 상기 휴대 단말기(15)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학습자는 자신이 이미 수강한 학습 콘텐츠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일부 미수강된 서브 콘텐츠부터 이어 보기 기능에 의하여 수강이 가능하다.Then, the learner recognizes that the new learning content is registered from the short message or the multimedia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5 (S52), and can take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5 at the convenience of the learner. There is (S53). Here, in the case where the web course information that the learner has already taken part or all of using the personal computer (PC) 16 exists for the learning content, the web course information is also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5 to provide the web content. The learn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learning content he or she has already taken, and can be taken by the subsequent viewing function starting from some un-taken sub-content.

이와 같이, 학습자가 휴대 단말기(15)를 통하여 상기 학습 콘텐츠를 수강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5)는 학습자가 휴대 단말기(15)를 통하여 상기 학습 콘텐츠를 수강하였음을 알리는 모바일 수강 정보를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로 전송한다(S54). 그러면,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는 상기 학습자의 수강 현 황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17)로 전송한다(S55). As such, when a learner takes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5, the mobile terminal 15 receives mobile cours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earner has taken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5. It transmits to the management server 11 (S54). Then,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s course status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7 (S55).

반면에, 상기 단계(S52)에서 학습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15)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부터 새로운 학습 콘텐츠가 등록되었음을 인지한 후, 학습자의 편의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PC)(16)를 통하여 학습 콘텐츠를 수강한 경우에는(S56), 상기 개인용 컴퓨터(PC)(16)는 학습자가 개인용 컴퓨터(PC)(16)를 통하여 상기 학습 콘텐츠를 수강하였음을 알리는 웹 수강 정보를 웹 콘텐츠 관리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통합 관리 서버(17)로 전송한다(S57).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웹 수강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15)로 제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52, after the learner recognizes that the new learning content is registered from the short message or the multimedia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5, the personal computer (PC) 16 is operated at the convenience of the learner. In the case of taking the learning content via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S56), the personal computer (PC) 16 informs the web cours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earner has taken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personal computer (PC) 16. Transfer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7 through the (not shown) (S57). As described above, the web attendanc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5.

또한, 상기 모바일 코치는 강의 운영 방식에 따라 학습 콘텐츠의 메타데이터와 연계되어 상기 학습 콘텐츠의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 성적관리, 질의 응답 및 퀴즈 등과 같은 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17)를 통하여 관리하며, 상기 학습 평가 결과, 성적, 질의에 대한 응답 및 퀴즈를 상기 학습자에게 알리기 위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구성하여 메시징 서버(18)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5)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시징 서버(18)는 상기 새로운 학습 콘텐츠 또는 특정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가 수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새로운 학습 콘텐츠 또는 특정 학습 콘텐츠를 학습할 것을 독촉하는 독려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15)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ach is linked with the metadata of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lecture management method to manage the information such as the evaluation of the learning results of the learning content, grade management, question and answer and quiz through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7 In addition, a short message or a multimedia message for notifying the learner of the learning evaluation result, grades, responses to questions, and quizzes may be configur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5 through the messaging server 18. In addition, when the learner has not taken the new learning content or the specific learning content, the messaging server 18 transmits an encouragemen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15 to encourage learning of the new learning content or the specific learning content. Can b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이력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동 관리하는 한편, 새로운 학습 콘텐츠의 등록,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 성적관리, 질의 응답 및 퀴즈 등과 같은 정보를 휴대 단말기(15)를 통하여 학습자에게 신속하 게 알림으로써, 상기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새로운 학습 콘텐츠의 등록,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 성적관리, 질의 응답 및 퀴즈 등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알기 위하여 굳이 개인용 컴퓨터(PC)(16)를 통하여 인터넷 접속을 하지 않더라도, 항시 접속 또는 대기 상태에 있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15)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학습 관련 정보를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history of the learner is linked and manag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le the mobile terminal 15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registration of new learning content, evaluation of learning results, grade management, question answering, quiz, and the like. By quickly notifying the learner, the learner can easily grasp his learning result. Therefore, the learner always accesses the Internet even through the personal computer (PC) 16 in order to know whether the registration of the new learning content, the evaluation of the learning result, the grade management, the Q & A and the quiz occurred, etc. 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learn th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by using its mobile terminal 15 in the standby state.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새로운 학습 콘텐츠의 등록,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 성적관리, 질의 응답 및 퀴즈 등을 알리기 위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상기 모바일 코치의 강의 운영 방식에 따라 즉시 발송되거나 또는 미리 예약된 시간에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학습 이력을 통하여 얻어진 통계 자료로부터 사용자가 빈번하게 학습 콘텐츠를 이용하는 시간에 맞추어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rt message or a multimedia message for notifying the registration of new learning content, evaluation of learning results, grade management, Q & A and quiz, etc. may be immediately sent or previously receiv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ng the lecture of the mobile coach. It may be set to be transmitted at a scheduled time, it may also be set to be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 the user frequently uses the learning content from the statistical data obtained through the user's learning history.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 및 교안 슬라이드를 전환하는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displaying a video and teaching slide on a screen by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본 발명에 따른 한 번의 터치 조작으로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에 접속하기 위한 핫 키(Hot Key)(15-2)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5-3)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mobile terminal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5-1 displaying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single touch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t key 15-2 for connecting to 11) and an input unit 15-3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are formed.

상기 학습 콘텐츠는 소정의 학습을 위한 동영상과 상기 동영상을 통하여 학습될 내용을 설명하거나 보충하기 위한 교안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earning content may include a moving picture slide for explaining or supplementing a moving picture for a predetermined learning and content to be learned through the moving picture.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5)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의해 형성되는 화면에 상기 동영상을 표시하는 도중, 학습자가 상기 입력부(15-3) 또는 핫 키(15-2)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에 교안 슬라이드가 표시되도록 화면 전환을 할 수 있다. 이는, 학습자가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는 도중 상기 동영상에 관련된 교안을 보고자 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5)의 화면은 일반적으로 소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화면에 상기 학습 동영상 및 교안을 동시에 표시하려면 상기 학습 동영상 및 교안의 크기를 축소해야 하고, 이로 인하여 학습자가 상기 학습 동영상 및 교안의 내용을 인식함에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Accordingly, while the mobile terminal 15 displays the video on the screen formed by the display unit 15-1, the learner uses the input unit 15-3 or the hot key 15-2. The screen can be switched so that instructional slide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is is because when the learner wants to see the teaching material related to the video while watching the learning video, since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15 is generally small,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display the learning video and teaching material on one screen. The size of the learning video and teaching material should be reduced,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learners in recognizing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video and teaching material.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15)에 학습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학습자가 상기 입력부(15-3) 또는 핫 키(15-2)를 이용하여 화면 전환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에 교안 슬라이드가 표시되도록 화면을 전환시킴으로써 학습자가 용이하게 원하는 교안 슬라이드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화면 전환시에는 상기 학습 동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라지고, 상기 교안 슬라이더만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확보될 경우에는 상기 학습 동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 상기 교안 슬라이더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of FIG. 6, while the learning video is 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15, the learner may input the input unit 15-3 or the hot key 15-2. When a screen switching command is input using the above method, as illustrated in FIG. 6B, the screen can be switched so that the instructional slide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by allowing the learner to easily use the desired instructional slide. . When the screen is switched,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rning video disappears from the display unit 15-1, and only the instructional slid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5-1 is secured to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he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displayed on the partial region of the display unit 15-1 while the training video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You can also display the syllabus.

또한, 상기 교안 슬라이드는 상기 학습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미리 정해진 시각에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eaching slide may be se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t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learning video is being play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입력부(15-2)와, 제어부(15-3)와, 메모리(15-4)와, 오디오부(15-5), 및 무선 통신부(15-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mobile terminal 1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input unit 15-2, a controller 15-3, and a memory 15-4. And an audio unit 15-5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5.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본 발명에 따라 화면에 동영상 및 교안 슬라이드를 포함한 학습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learning content including a moving picture and instructional slides on a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핫 키(Hot Key)(15-2)는 한 번의 터치 조작으로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다.The hot key 15-2 is input with a user command for accessing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by one touch operation.

상기 입력부(15-3)는 키패드 또는 터치 패드 등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숫자, 문자 또는 특수 기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및 상기 오디오부(15-5)로 출력되는 음성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다. The input unit 15-3 may include a keypad or a touch pad, and may input a plurality of numbers, letters, or special symbols. In particular, the image and the audio unit 15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 voice output to -5) is input.

상기 제어부(15-3)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5)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핫 키(15-2) 또는 입력부(15-3)에 입력되는 선택신호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동영상 또는 교안 슬라이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5-3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splay unit (3) by a selection signal input to the hot key 15-2 or the input unit 15-3. 15-1) controls to display the learning video or teaching sl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제어부(15-3)는 본 발명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PC)(16)를 통하여 사용자가 학습 콘텐츠를 수강한 학습 이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15)를 통하여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미처 학습하지 못한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여 학습하거나, 하나의 학습 콘텐츠 중 학습하지 못한 서브 콘텐츠만을 학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3 may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5-1, a learning history of a user taking learning content through a personal computer (PC) 1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learner may select and learn the learning content that has not been learned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5, or may learn only the sub content that has not been learned among one learning content.

상기 제어부(15-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의 학습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동영상 재생부(15-3a)와, 상기 학습 동영상에 대한 교안 슬라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교안 재생부(15-3b)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15-3 displays a video player 15-3a for playing a learning video of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structional slide for the learning video on the display unit 15-1. And teaching lesson reproducing unit 15-3b.

특히, 상기 학습 동영상과 교안 슬라이더는 상기 핫 키(15-2) 또는 입력부(15-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기본적으로 학습 동영상만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교안 슬라이드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learning video and instructional slider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hot key 15-2 or the input unit 15-3.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1 may basically display only a learning video and display only a teaching slide according to a user comman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학습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미리 정해진 시각에 상기 교안 슬라이더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안 슬라이더가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은 미리 상기 학습 동영상 및 교안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의 제작 단계에서 상기 학습 콘텐츠에 인덱싱 타임(indexing time) 정보 형태로 기록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ructional slid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t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video is reproduced on the display unit 15-1. In detail, the time when the instructional slider is displayed may be recorded in the form of indexing time information in the learning content in the production of the learning content including the learning video and the instructional slider in advance.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3)는 상기 학습 동영상과, 상기 교안 슬라이더의 인덱싱 타임 정보가 담긴 인덱싱 파일, 및 상기 교안 슬라이더를 순차적으로 불러들이며, 상기 학습 동영상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인덱싱 파일에서 포함된 상기 교안 슬라이더의 재생 시각 정보에 맞추어 상기 교안 슬라이더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교안 재생부(15-3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학습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그 재생 시각을 계산하고 있다가, 상기 인덱싱 타임 정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교안 슬라이드가 상기 디스프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5-3 sequentially loads the learning video, an indexing file containing the indexing time inform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 slider, and the teaching material slider, and the learning video is streamed in real time to display the display unit ( 15-1), the instructional slid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n accordance with the reproduction time information of the instructional slider included in the indexing file. To this end, the teaching instruction playback unit 15-3b calculates the playing time while the learning video is 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and then the teaching instruction at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indexing time information. The slide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또한, 상기 학습 콘텐츠의 제작 또는 편집 단계에서, 위와 같이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학습 동영상과 교안 슬라이더를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교안 슬라이더의 재생 시각 정보에 맞추어 상기 교안 슬라이더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학습 콘텐츠에 태그(tag) 형태로 삽입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producing or editing the learning content, the learning video and instructional slider are switch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as described above, or in accordance with the playback time information of the instructional slider. Information for selecting whether or not to display the instructional slider o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inserted into the learning content in the form of a tag.

아울러, 상기 제어부(15-3)는 교안 슬라이더의 일부 영역에 기재된 내용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3 may control the contents of a part of the teaching aid slider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상기 메모리(15-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상기 휴대 단말기(15)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제어부(15-3)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15)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The memory 15-4 is a program for reproducing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5, and the controller 15-3 of the portable terminal 15. When the overall operation is performed, data input / output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set area.

상기 오디오부(15-5)는 제어부(15-3)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부(15-5)는 무선 통신부(15-6)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The audio unit 15-5 converts an analog voice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MIC into a digital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3. In addition, the audio unit 15-5 converts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6 into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peaker SPK as a voice signal.

상기 무선 통신부(15-6)는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제공 서버(11)과 통신을 수행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6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content providing server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 antenna ANT.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학습자가 학습 콘텐츠를 수강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15)의 입력부(15-3)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숫자, 특수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핫넘버를 입력하면 즉시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에 접속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15)에 구성된 다수의 메뉴를 차례대로 검색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learner inputs a hot number consisting of predetermined numbers, special characters, or a combination thereof using the input unit 15-3 of the mobile terminal 15 to take learning content,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immediately. By connecting to the server 1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rner from having to search a plurality of menus 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15 in order to access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학습자의 휴대 단말기(15)에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 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최신 학습 콘텐츠가 업로드되었거나, 학습 결과, 퀴즈 및 긴급한 공지 사항 등이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5)가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에 접속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5)에 형성된 '확인키' 또는 특정 버튼을 누르면 상기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11)로 바로 연결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다수의 메뉴를 수회 검색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form the user that the latest learning content has been uploaded to the learner's portable terminal 15 using a short message or a multimedia message, or a learning result, quiz, urgent announcement, or the like has occurred. At this time, in the short message and the multimedia message,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5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Included. 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a 'confirmation key' or a specific button formed on the mobile terminal 15, the user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1, thereby preventing the trouble of searching a plurality of menus several times. have.

또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for the limitation thereof.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의 학습 진도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2 is a view illustrating a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의 학습 진도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3 is a view illustrating a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ethod in a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학습 진도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4 is a view illustrating a wired and wireless interworking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코칭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mobile coach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 및 교안 슬라이드를 전환하는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displaying on the screen by switching the video and teaching slid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7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모바일 콘텐츠 관리 서버 12: 웹 콘텐츠 관리 서버11: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12: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13: DB 서버 14: 학습 콘텐츠 저작 서버13: DB Server 14: Learning Contents Authoring Server

15: 휴대 단말기 16: 개인용 컴퓨터(PC)15: Mobile terminal 16: Personal computer (PC)

17: 통합 관리 서버 18: 메시징 서버17: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8: Messaging Server

Claims (6)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바일 컨텐츠 관리 서버:A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at least one learning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PC)에 상기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컨텐츠 관리 서버; 및A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providing the learning content to a personal computer (PC)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상기 개인용 컴퓨터(PC)를 통하여 상기 소정의 학습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출력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수강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수강 이력 정보를 상기 모바일 컨텐츠 관리 서버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학습 컨텐츠 중 상기 개인용 컴퓨터(PC)를 통하여 출력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 가능하게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Storing the course history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learning content has been output through the personal computer (PC), and providing the course history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a database server which can be outputt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to a portion which is not outputted through the personal computer among the personal computer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바일 컨텐츠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학습 컨텐츠에 대한 패킷의 전송량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에 대한 학습 진도율을 판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재생이 중단된 경우 상기 재생이 중단된 시점 이후의 학습 컨텐츠에 해당하는 패킷만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학습 컨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The mobile content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a learning progress rate for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amount of the packet for the learning content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playback is stopped while the learning content is being 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resume function for the learning content by transmitting only the packet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content after the point at which the reproduction is stopp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인용 컴퓨터(PC)로 전송되는 상기 학습 컨텐츠는 복수의 서브 컨텐츠로 구분되고, 상기 각각의 서브 컨텐츠의 말미에는 퀴즈 데이터가 삽입되며, The learning content transmitted to the personal computer (PC)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contents, quiz data is inserted at the end of each sub content, 상기 웹 컨텐츠 관리 서버는 상기 퀴즈 데이터에 대한 학습자의 답변이 상기 개인용 컴퓨터(PC)에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에 대한 학습 진도율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And the web content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a learning progress rate for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whether a learner's answer to the quiz data is input to the personal compu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새로운 학습 콘텐츠가 등록되었거나, 상기 학습 컨텐츠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학습 평가 결과, 성적, 질의에 대한 응답 및 퀴즈에 관한 정보를 푸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학습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징 서버; 및 Messaging to notify the learner to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a push message a new learning content is registered in the database server, or the learner's learning evaluation results, grades, responses to questions, and quizzes about the learning content. server; And 상기 학습 콘텐츠의 메타데이터와 연계되어 상기 학습 콘텐츠의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 성적관리, 질의 응답, 통계 정보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evaluation, grade management, query response,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learning result of the learning content in association with the metadata of the learning content. 소정의 학습 콘텐츠가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푸시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transmitting a push message informing that the predetermined learning content is registered in the database server to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학습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유선 통신망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를 통하여 이루어진 웹 수강에 대한 웹 수강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Transmitting web attendance information on web attendance made through a personal computer connected to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for at least a portion of the learning content to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상기 웹 수강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 단계;Transmitting the web cours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학습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이루어진 모바일 수강에 대한 모바일 수강 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A fourth step of transmitting mobile course information on a mobile course made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learning content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한 수강을 독촉하기 위한 독려 메시지, 상기 웹 수강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성적에 관한 정보, 상기 모바일 수강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성적에 관한 정보, 및 질의 응답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푸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Push at least one of an inspirational message for encouraging attendance on the learning content, information on evaluation and grades of the web course results, information on evaluation and grades of the mobile course results, and questions and answers And a fifth step of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 message.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콘텐츠 서버로부터 학습 동영상과 교안 슬라이드를 갖는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learning content having a learning video and instructional slides from a mobile content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learning video about the learning content; 한번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컨텐츠 제공 서버에 바로 접속하기 위한 핫 키; 및A hot key for directly accessing the mobile content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by one touch input; And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학습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미리 정해진 시각에 도달하거나 상기 핫 키 또는 입력부를 통하여 화면 전환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교안 슬라이더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structional slider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or a screen switching input signal is input through the hot key or the input unit while the learning video is being 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교안 슬라이더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은 상기 학습 콘텐츠에 인덱싱 타임(indexing time) 정보 형태로 기록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재생 시간을 계산하고 있다가, 상기 인덱싱 타임 정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교안 슬라이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ime when the instructional slid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recorded in the form of indexing time information in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playing time while the learning video is played. And the teaching sli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information.
KR1020080022213A 2008-03-10 2008-03-10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portable terminal KR1009197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213A KR100919751B1 (en) 2008-03-10 2008-03-10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213A KR100919751B1 (en) 2008-03-10 2008-03-10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054A true KR20090097054A (en) 2009-09-15
KR100919751B1 KR100919751B1 (en) 2009-09-29

Family

ID=4135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213A KR100919751B1 (en) 2008-03-10 2008-03-10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75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9020A1 (en) * 2012-05-11 2013-11-14 (주)형아소프트 Integrat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learn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KR20180103190A (en) * 2010-09-22 2018-09-18 로제타 스톤 엘티디. Performing a computerized task with diverse devices
KR102180357B1 (en) * 2019-06-05 2020-11-18 주식회사 누날 Method for video curation service
WO2022039301A1 (en) * 2020-08-20 2022-02-24 주식회사 누날 Video curation service method
WO2024029820A1 (en) * 2022-08-05 2024-02-08 (주)로완 Remi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compliance with learning digital therapeutic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1484A (en) * 2002-03-15 2003-09-26 Cec:Kk Web contents storing system, service server used in the system and program for small-siz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1162188B1 (en) * 2004-05-06 2012-07-05 한민규 A mobile education method us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 system thereof
KR20060109567A (en) * 2005-04-16 2006-10-23 김영운 System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tailored foreign language learning services
KR20070056804A (en) * 2005-11-30 2007-06-04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on-line education content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190A (en) * 2010-09-22 2018-09-18 로제타 스톤 엘티디. Performing a computerized task with diverse devices
US10812575B2 (en) 2010-09-22 2020-10-20 Rosetta Stone, Ltd. Performing a computerized language teaching lesson using a main computer and a mobile device
WO2013169020A1 (en) * 2012-05-11 2013-11-14 (주)형아소프트 Integrat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learn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KR101451161B1 (en) * 2012-05-11 2014-10-23 (주)형아소프트 Integrated managing system for learning, application system for learning, and method thereof
KR102180357B1 (en) * 2019-06-05 2020-11-18 주식회사 누날 Method for video curation service
WO2022039301A1 (en) * 2020-08-20 2022-02-24 주식회사 누날 Video curation service method
WO2024029820A1 (en) * 2022-08-05 2024-02-08 (주)로완 Remi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compliance with learning digital therapeu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751B1 (en) 200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voula et al. Myartspace: Design and evaluation of support for learning with multimedia phones between classrooms and museums
Chen Mobile technology in educational services
Abas et al. A study on learner readiness for mobile learning at Open University Malaysia
Bhargava et al. Radiology education 2.0—on the cusp of change: part 1. Tablet computers, online curriculums, remote meeting tools and audience response systems
CN102254462A (en) Online interactive teaching management system
KR100919751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portable terminal
Baharom Designing mobile learning activities in the Malaysian HE context: A social constructivist approach
JP2009048381A (en) Feedback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feedback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W201818340A (en) Teaching system with improved learning convenience including a teaching material management module, a learning record module, a reward review module, and a student information note module
Bethell Journalism students' experience of mobile phone technology: Implications for journalism education
KR20140057906A (en) User&#39;s terminal, server and methods thereof for providing contents to be learned
Gregson et al. Exploring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m-learning within an international distance education programme
KR101126440B1 (en) Reactio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for operating the system
Liu Solving the puzzle of mobile learning adoption
CN113158114A (en) Online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server
KR102071133B1 (en) Method for and management server implementing the same
CA2354721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business messages
Helge et al. The teaching librarian: Web 2.0, technology, and legal aspects
KR20190063622A (en) Class matching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class thereby
KR20220127611A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 using mobile devices
KR20160011769A (en) On-line lecture system having notification giving incentives for lecture evalu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lecture service using the system
Mishra Mobile technologies in open schools
Prasanna Kumar Muduli et al. E-learning platforms for transforming higher education through distance learning
Lynch et al. Pushing content to mobile phones: What do students want
Liu et al. Supporting distance users of mobile learning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