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769A - On-line lecture system having notification giving incentives for lecture evalu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lecture service using the system - Google Patents

On-line lecture system having notification giving incentives for lecture evalu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lecture service using th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769A
KR20160011769A KR1020140092708A KR20140092708A KR20160011769A KR 20160011769 A KR20160011769 A KR 20160011769A KR 1020140092708 A KR1020140092708 A KR 1020140092708A KR 20140092708 A KR20140092708 A KR 20140092708A KR 20160011769 A KR20160011769 A KR 20160011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learner
terminal
evaluation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주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와이즈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와이즈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와이즈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4009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1769A/en
Publication of KR20160011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7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lecture system through a lecture content providing server which provides lecture content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nline lecture system in which a manager terminal analyzes a lecture evaluation when the lecture evaluation is transmitted from a terminal of a learner who has taken a lecture, and in which a lecture content providing terminal provides a predetermined incentive to the terminal of the learner selected according to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s that are received from a manger terminal, and to a method for providing the online lecture ser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ystem offers a predetermined incentive to a learner having provided an excellent lecture evaluation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the lecture evaluation can be objective, which enables active feedback with a lecturer so as to enhance the quality of lectures.

Description

강의 평가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ON-LINE LECTURE SYSTEM HAVING NOTIFICATION GIVING INCENTIVES FOR LECTURE EVALU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LECTURE SERVICE USING THE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lecture system for providing an incentive for lecture evaluation, and an on-line lectur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온라인 강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하여 강의 콘텐츠를 제공받는 학습자로부터의 강의 평가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우수한 강의 평가를 제공한 학습자에게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lectur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n-line lecture system and an on-line lecture system for providing an appropriate incentive to a learner who evaluates lectures objectively from a learner who receives lecture content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lecture service using the system.

통신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종래의 대면식 오프-라인 강의를 대신하여,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하여 비-대면식으로 학습 내용을 전달하는 온라인 강의가 보급되고 있다. 온라인 강의는 강의자와 학습자가 동일한 시간대에 동일한 장소에 있지 않아도 되고, 학습자는 자신이 편한 시간에 학습 내용을 수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communication technology continues to evolve, on-line lectures that deliver learning contents non-face-to-fa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re becoming popular instead of conventional face-to-face off-line lectures. Online lectures do not require lecturers and learners to be in the same place at the same time, and learner has the advantage that they can take the contents of learning at their own convenience.

온라인 강의에 있어서 학습자는 사전에 강의자의 강의 능력이나 강의 내용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해당 강의가 수강할 만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어렵다. 대부분의 온라인 강의를 청취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수강료를 지불하여야 한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강의자의 능력이나 강의 내용의 품질을 알지 못한다면, 학습자에게는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수 있다. In the online lecture, the learner does not know the instructor's lecture ability or lecture contents beforehand, so it is difficult to judge whether the lecture is appropriate for the lecture. Given the fact that students must pay tuition in advance to listen to most online lectures, it can be a burden to learners if they do not know the lecturer's abilities or the quality of lecture contents.

물론, 학습자는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의 웹 페이지 등에서 자신이 수강하고자 하는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적이 있는 다른 학습자로부터의 강의 평가를 참고해서, 해당 강의의 수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온라인 강의에 대하여 다른 선행 학습자로부터의 강의 평가는 형식적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실제로 해당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강의자 역시 성의 있는 강의 평가가 거의 없기 때문에, 자신이 가르치는 강의에 대한 문제점이나 미비점이 있는지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문제점이 일부 있는 강의임에도 불구하고, 그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므로, 양질의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Of course, the learner can decide whether or not to take the lecture by referring to lecture evaluation from another learner who has taken an online lecture that he intends to take on a web page of a server providing lecture contents. However, the evaluation of lectures from other proactive learners about online lectures is often formal. Therefore, it does not really help the learners who want to take the online course. Also, lecturers are also less likely to know precisely whether there is a problem or defect in the lecture they teach because there is little evaluation of the lecture. Therefore, although the lecture has some problems, the problem can not be solved, and it becomes difficult to provide contents of high quality lectur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객관적인 강의 평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온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n-line lecture system having objective lecture evaluation means and a method of providing an on-line lecture service using the on-line lectur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뒤 우수한 강의 평가를 제공한 학습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이를 강의자와 후발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강의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온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lecture system which can provide incentives to lecturers who have provided excellent lecture evaluation after taking lectures online and provide them to lecturers and later learners to improve lecture quality, And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lecture servic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하는 도면을 통해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전술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하여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으로서, 강의 콘텐츠 서버로부터 강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강의 콘텐츠에 대한 강의 평가를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학습자 단말;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강의 평가 내역을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를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 및 제작된 강의 콘텐츠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별된 학습자 단말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n-line lecture system for providing lecture content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on-line lecture system can receive lecture contents from a lecture contents server, A learner terminal for transmitting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of the lecture; An administrator terminal for analyzing the learner evaluation history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analysis resul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And a lecture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contents of the produced lecture to the learner terminal and providing an incentive to the selected learner terminal based on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receiv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학습자 단말 및 상기 관리자 단말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학습자 단말로의 강의 콘텐츠의 전송을 관리하는 강의 관리 모듈과,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강의에 대한 수강료 수납을 관리하는 수강료 결제 모듈과, 학습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는 강의 콘텐츠, 학습자 및 강의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과,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강의 평가 데이터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시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별된 학습자 단말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강의 평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comprises an interface module for providing an interface to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a lecture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transmission of lecture contents to the learner terminal, a lecture management module for lecturing requested by the learner terminal, A database module for storing lecture contents, learner information, and lecture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and a lecture evaluation module for presenting lecture evalu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d a lecture evaluation module for providing an incentive to the selected learner terminal based on the learner evaluation analysis result transmitt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이때, 상기 강의 관리 모듈은 상기 학습자 단말로 수강 가능한 과목을 표시할 수 있게 하는 강의 선택부, 학습자 단말에서 선택한 강의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강의 재생부,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에서 각각 전송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질문 및 답변을 관리하는 질문/답변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cture management module includes a lecture selecting unit for displaying lectures available to the learner terminal, a lecture reproducing unit for transmitting a lecture selected by the learner terminal to the learner terminal, And a question / answer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questions and answers to the lecture contents.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학습자 단말은 컴퓨터 단말기 및 휴대형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learner terminal may include a computer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되는 인센티브는 모바일 문화상품권, 수강료 할인권 및 수강기간 연장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incentive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the learner terminal may be at least one of a mobile cultural gift certificate, a tuition discount ticket, and a study period extension ticket.

예를 들어, 학습자 단말로부터 제시된 강의 평가를 분석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강의 평가 내역을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 파일의 크기에 기초하여 강의 평가 내역을 분석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analyze the evaluation of the lecture presen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the manager terminal converts the lecture evaluation history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into a text file, and records the lecture evaluation history on the basis of the size of the converted text file Can be analyzed.

이때,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변환된 텍스트 파일의 크기에 따라 다른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각각의 다른 강의 평가 분석 결과에 따라 차등화 된 인센티브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 terminal transmit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different lectures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verted text file, and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stores the incentive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different lectures To the learner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하여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학습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의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학습자 단말로 강의 콘텐츠가 전송되는 단계; (b) 학습자 단말로부터 수강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질문이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c) 강의 콘텐츠를 수신한 학습자 단말로부터 해당 강의에 대한 강의 평가 데이터가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d)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된 강의 평가에 대하여 관리자 단말에서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별된 학습자 단말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nline lectur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lecture content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transmitting lecture contents from a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via a communication network to a learner terminal ; (b) a question about the lecture contents taken from the learn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c) transmitting lecture evaluation data on the lecture from the learner terminal receiving the lecture conten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d) generating an analysis result by the administrator terminal for the lecture sen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And (e) providing an incentive to the selected learner terminal based on the learner evalu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예시적으로,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되는 인센티브는 모바일 문화상품권, 수강료 할인권 및 수강기간 연장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llustratively, the incentive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from the lectur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be at least one of a mobile cultural gift certificate, a tuition discount ticket, and a lecture period extension ticket.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강의 평가 내역이 텍스트 파일로 변환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텍스트 파일의 크기에 기초하여 강의 평가 내역이 분석되는 단계와, 상기 강의 평가 분석 결과가 데이터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converting the learner's assessment history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by the administrator terminal into a text file; analyzing the learner evaluation history based on the size of the converted text file; And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lecture may be transmitt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이때,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변환된 텍스트 파일의 크기에 따라 다른 강의 평가 내역을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각각의 다른 강의 평가 내역에 따라 차등화 된 인센티브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 terminal transmits the evaluation details of different lectures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verted text file, and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incentive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details of the different lectures to the learner terminal .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서는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전송된 강의 평가를 분석하고, 선별된 강의 평가를 제공한 학습자 단말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In the onlin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the method of providing online lecture contents using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er terminal analyzing the lecture sent from the learner's terminal who took online lectures, and providing a selected lecture evaluation Provide incentives.

소정의 인센티브를 수신하기 위해서, 온라인 강의를 이미 수강한 학습자는 자신이 수강한 강의에 대하여 일정 기준을 넘은 평가를 제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미 강의를 수강한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이 수강한 강의에 대하여 성의 있고 객관적인 강의 평가를 유도할 수 있다. To receive a certain incentive, a learner who has already taken an on-line lecture should present an assessment that exceeds a certain level for the lecture he / she has taken. Therefore, the learner who has already taken the lecture can induce a gentle and objective lecture evaluation on the lecture that he took.

선별된 강의 평가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운영하는 웹 페이지 등에 게시되어, 추후에 해당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고, 강의자는 객관적인 강의 평가를 토대로 추후 해당 강의의 내용을 향상시키는데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valuation of the selected lecture is posted on a web page operated by a server providing online lecture contents, and it can be helpful to the learner who intends to take the lecture in the future, and the lecturer can learn the contents of the lecture in future based on the objective lecture evaluation It can be reflected in the improv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과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온라인 강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과 서버를 구성하는 모듈과 컴포넌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온라인 강의 시스템에서 학습자 단말과 관리자 단말을 중개하는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구성하는 모듈을 구성하는 컴포넌트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온라인 강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과 서버 사이에서 정보 및 데이터의 흐름을 통하여 온라인 강의가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nd a server that constitute an online lecture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dule and components constituting a terminal and a server constituting an onlin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a component of a module constituting a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mediating between a learner terminal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in an onlin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online lecturing is performed through flow of information and data between a terminal and a server that constitute an onlin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과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nd a server that constitute an online lecture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강의 시스템(100)은 통신망을 통하여 강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학습자 단말(200),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강의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업무를 실질적으로 관리하고, 학습자 단말(200)에서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된 강의 평가 내역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는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1, the online lectur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rner terminal 200 that can receive lecture content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lecture contents to a learn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 learner's request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and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to analyze the lecture evaluation history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200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400 for providing a resul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강의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학습자 단말(200),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 및 관리자 단말(400) 사이의 데이터 또는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망은 인터넷이 대표적이지만, 그 외에도 3G나 LTE와 같은 데이터 통신망, 무선 인터넷 통신망, 단문 메시지와 같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the Internet is a typical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r information between the learner terminal 200,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constituting the online lectur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or LTE, a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uch as a short message.

통신망을 통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원하는 수강 과목을 선택하여 해당 강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학습자 단말(200)로는 개인컴퓨터(PC), 노트북, 스마트 TV와 같은 컴퓨터 단말기(202)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 또는 피처폰, PDA와 같은 휴대형 단말기(204)를 포함한다.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200), 예를 들어 컴퓨터 단말기(202)를 사용하여 강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특정 강의를 수강한 이후에 해당 강의 콘텐츠와 관련한 강의 평가를 작성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자신이 작성한 강의 평가에 대한 분석 결과 우수한 강의 평가로 분석된 경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컴퓨터 단말기(202) 또는 휴대형 단말기(204)를 통하여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선택적으로 학습자는 휴대형 단말기(204)만을 사용하여 강의 콘텐츠의 수신, 강의 콘텐츠에 대한 강의 평가 전송 및 인센티브의 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The learner terminal 200, which is connected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selects a desired lecture course and is able to receive contents of the lecture, is provided with a computer terminal 202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nd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or tablet PCs or portable terminals 204 such as feature phones and PDAs. The learner can receive lecture contents using the learner terminal 200, for example, the computer terminal 202. After taking a lecture, the learner can create a lecture evaluation related to the lecture contents and transmit the lecture contents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 On the other hand, if the lecture content is analyzed by the lectur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s an excellent lecture evaluation result, it is possible to receive an appropriate incentive through the computer terminal 202 or the portable terminal 204. Alternatively, the learner can use the portable terminal 204 alone to receive the lecture content, transmit the lecture evaluation to the lecture content, and receive the incentive.

관리자 단말(400)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업체의 업무 담당자가 운영하는 단말이다. 통상적으로 관리자 단말(400)은 개인컴퓨터(PC), 노트북, 스마트 TV와 같은 컴퓨터 단말기이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관리자 단말(400)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 또는 피처폰, PDA와 같은 휴대형 단말기일 수 있다. 학습자 단말(200)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강의 콘텐츠에 대한 강의 평가 데이터가 전송되고,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해당 강의 평가를 수신하면, 관리자 단말(400)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강의 평가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is a terminal operated by a person in charge of business of a company that operates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Typically,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is a computer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or a smart TV.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may be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tablet PC, or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feature phone or PDA. The lecture evaluation data on the lecture contents is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200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lecture evaluation, Analyzing the lecture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transmitting the lecture evaluation data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온라인 강의 시스템(100)을 구성할 수 있는 다른 요소로서, 자신이 담당하는 강의와 관련하여 학습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작성하고,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답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강의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s another element that can constitute the online lectur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question sent from the learner terminal 200 in association with a lecture And a lecture terminal for connecting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and transmitting answer data.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강의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학습자 단말(200),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 및 관리자 단말(400)을 구성하는 모듈 및 컴포넌트에 대해서 첨부하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온라인 강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과 서버를 구성하는 모듈과 컴포넌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온라인 강의 시스템에서 학습자 단말과 관리자 단말을 중개하는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구성하는 모듈을 구성하는 컴포넌트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2 and 3, which are attached to modules and components constituting the learner terminal 200,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constituting the online lectur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dule and a component constituting a terminal and a server constituting an onlin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nline lecture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components constituting a module constituting a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for mediating between a learner terminal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in the system.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강의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학습자 단말(200)에는 입력부(210), 디스플레이(220), 통신부(230), 동영상 재생부(240) 및 수식편집기(250)를 가질 수 있다. 학습자는 입력부(210)를 사용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요구하는 각종 정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강하고자 하는 강의 과목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200)을 구성하는 입력부(210)를 사용하여 자신의 인적 정보, 단말 정보, 결제 수단 정보는 물론이고, 수강한 강의 콘텐츠에 대한 질문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200)의 입력부(210)를 통하여 자신이 수강한 강의 콘텐츠에 대한 강의 평가 내역을 작성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200)을 구성하는 입력부(210)의 예로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The learner terminal 200 constituting the online lectur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210, a display 220, a communication unit 230, a moving picture playback unit 240, 250). The learner can use the input unit 210 to select various items of information and data required by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a lecture subject to be taken,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learner can input his / her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ayment means information, and a question about the lecture contents taken by using the input unit 210 constituting the learner terminal 200. Also, the learner can create the lecture evaluation history of the lecture contents which he / she took through the input unit 210 of the learner terminal 200. [ Examples of the input unit 210 constituting the learner terminal 200 include a keyboard, a mouse, a touch panel, and the like.

또한, 학습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액정표시소자(LCD)나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220)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220)를 통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업체의 웹 페이지를 통하여 구현되는 입력 인터페이스는 물론이고, 강의 콘텐츠가 표시된다. 학습자 단말(200)은 통신부(230)를 구비하고 있어서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강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강한 강의 콘텐츠와 관련한 질문이나 강의 평가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arner terminal 200 includes a display 220 which can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or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LED). An input interfac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interfaces provided from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display 220, for example, a web page of a company that operates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do. The learner terminal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30 to access a web page operated by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to receive lecture contents and to provide question and lecture evaluations related to lecture contents To the server (300).

학습자 단말(200)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전송되는 강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동영상 재생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 재생부(240)로서 미디어플레이어나, 곰(GOM) 플레이어와 같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동영상 재생기일 수도 있고, 또는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독자적으로 제공하는 특정한 동영상 재생기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학습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 강의를 재생할 수 있다. The learn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moving picture reproducing unit 240 that can play the lecture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 The moving picture reproducing unit 240 may be a moving picture player generally used such as a media player or a GOM player or may be a specific moving picture player provided independently by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 In the latter case, the learner terminal 200 can download the application provided in the web page of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or the mobile application and reproduce the lecture video transmitted from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

선택적으로, 학습자 단말(200)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수식 편집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학계열의 강의를 수강하고 질문이 있을 경우에 복잡한 수식을 입력할 필요가 있다. 오프라인에서 수식을 입력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에서 수식을 입력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울 수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웹 페이지 등을 통하여 수식 편집기(250)를 다운받고, 이를 실행하여 복잡한 수식을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learn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mathematical expression editor 250 that may be provided from the lectur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For example, you need to take a course in engineering and enter complex formulas when you have questions. Compared to entering formulas offline, entering formulas in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can be quite cumbersome. In order to solve this hassle, for example, the formula editor 250 may be downloaded through a web page of the lectur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nd the formula editor 250 may be executed to easily input a complex formula.

도면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학습자 단말(200)에는 전술한 컴포넌트 이외에도, RAM 또는 ROM일 수 있는 메모리,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으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각종 강의 자료를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learner terminal 200 may be loaded with a memory or other application program, which may be a RAM or a ROM,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outputs various lecture materials provided by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The printer can be connected wirelessly or by wire.

관리자 단말(400)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강의 콘텐츠의 전송이나 수강료 결제 등과 관련한 업무 등의 처리와 관련한 데이터나 정보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10)를 가질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을 구성하는 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 업무 담당자는 관리자 단말(400)에서 처리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 데이터를 입력부(410)에서 입력하고, 그 분석 결과 데이터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includes an input unit 410 for inputting data and information related to processing such as transmission of lecture contents and payment of tuition fees provided by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Lt; / RTI > The input unit constituting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may be, for example, a keyboard, a mouse, or a touch panel. If necessary, the person in charge of the task may input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data processed in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at the input unit 410, and provide the analysis result data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그 외에도 관리자 단말(400)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관리자 전용 페이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20),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의 접속에 의하여 예를 들어 강의 평가 분석 데이터의 전송을 매개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는 통신부(430)를 포함한다.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may display a web page provided by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or a display 420 for displaying a page dedicated to the administrator or a connection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And a communication unit 430 that can be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mediating transmission of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data.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400)은 강의 평가 분석부(440)를 포함하고 있다. 강의를 수강한 수강자의 학습자 단말(200)로부터 해당 강의 콘텐츠에 대한 강의 평가 데이터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되면, 관리자 단말(400)의 강의 평가 분석부(440)는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전송된 강의 평가 데이터를 분석, 평가하고, 그 결과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업무 담당자가 관리자 단말(400)을 통하여 임의로 강의 평가를 분석하기 보다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강의 평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includes a learner evaluation and analysis unit 440. When the lecture evaluation data of the lecture contents is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200 of the lecturer who took the lecture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unit 440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acquires lecture contents Analyzes and evaluates the lecture evaluation data transmitted via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At this time, the task manager can analyze the lecture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a certain criterion rather than arbitrarily analyzing the lecture evaluation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400. [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강의 평가 분석부(440)는 강의 평가 내역의 양(amount)나 크기(size)에 따라 강의 평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 평가 분석부(440)는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관리자 단말(400)로 제시된 강의 평가 내역 데이터를 파일, 예를 들어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변환된 강의 평가 텍스트 파일의 크기에 기초하여 강의 평가 내역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된 텍스트 파일의 크기가 1 kb 이상인 경우에, 강의 평가 분석부(440)는 해당 강의 평가는 우수한 것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lecture evaluation and analysis unit 440 can analyze the lecture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the amount or size of the lecture evaluation history. For example, the lecture evaluation and analysis unit 440 converts the lecture evaluation history data present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via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into a file, for example, a text file, The evaluation history of the lecture can be analyzed based on the size of the file.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converted text file is 1 kb or more, the lecture evaluation and analysis unit 440 analyzes the lecture evaluation as superior and transmits the analysis resul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이때, 강의 평가 분석부(440)는 변환된 강의 평가 텍스트 파일의 크기에 따라 다른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된 강의 평가 텍스트 파일의 크기가 1 kb 미만인 경우에는 '보통' 강의 평가로 분석하고, 1 kb 이상 ~ 2 kb 미만인 경우에는 '우수'강의 평가로 분석하고, 변환된 강의 평가 텍스트 파일의 크기가 2 kb 이상인 경우에는 '최우수'강의 평가로 분석하고, 차별화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cture evaluation and analysis unit 440 can transmit evaluation results of different lectures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verted lecture text file. For example, if the size of the converted lecture text file is less than 1 kb, it is analyzed by 'normal' lecture evaluation. If the size of the lecture text file is less than 1 kb, If the size of the file is 2 kb or more, it is analyzed as 'best' lecture evaluation, and the differentiated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can be transmitted to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이때, 강의 평가 분석부(440)는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와 연계되어, 강의 평가를 전송한 학습자가 해당 강의를 모두 수강한 학습자이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강의 평가가 중복적으로 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의 평가 분석부(440)는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기-저장된 강의 평가 DB(342, 도 3 참조)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강의 평가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강의 평가에 대해서는 별도로 분석하지 않고, '동일 또는 유사한 강의 평가가 기존에 있음'과 같은 취지의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lecture evaluation and analysis unit 440 may be implemented to verify whether the learner who has transmitted the lecture evaluation is a learner who has taken all the lectures in connection with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ame lecture evaluation from being presented redundantly, the lecture evaluation and analysis unit 440 compares the lecture evaluation DB 342 (see Fig. 3) stored in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If there is an evaluation of the same or similar lecture, the lecture evaluation server may transmit the result of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that the same or similar lecture evaluation is already existing without analyzing the lecture evaluation separately will be.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학습자가 해당 강의를 수강한 학습자였는지의 여부 및/또는 동일, 유사한 강의 평가가 존재하였는지의 여부는 관리자 단말(400)을 구성하는 강의 평가 분석부(440)가 아니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구성하는 강의 평가 모듈(350)을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에, 관리자 단말(400)로 메모리, 동영상 재생기 또는 기타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400)에 프린터가 연결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whether or not the learner was the learner who took the lecture and / or whether there was the same or similar lecture evaluation is not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unit 440 constituting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Or may be performed through a lecture evaluation module 350 constituting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f necessary, a memory, a moving picture player, or other application program may be installed in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and a printer may be connect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학습자 단말(200) 및/또는 관리자 단말(400)과 통신망을 통하여 다양한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학습자 단말(200)과 관리자 단말(300) 사이에서 강의 평가와 관련된 프로세스를 중개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인터페이스 모듈(310), 강의 관리 모듈(320), 수강료 결제 모듈(330), 데이터베이스 모듈(DB 모듈, 340), 강의 평가 모듈(350) 및 이들 모듈의 기능을 컨트롤하는 CPU와 같은 제어부(36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can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to / from the learner terminal 200 and / or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 / RTI >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n interface module 310, a lecture management module 320, a tuition payment module 330, a database module (DB module) 340, a lecture evaluation module 350, And a control unit 360 such as a CPU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these modules.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접속한 학습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400)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하여 학습자 단말(200)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운영하는 웹 페이지로 접속하고, 필요한 정보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강의 콘텐츠의 재생이나 질문을 입력하기 위하여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강의 평가 내역을 제공받고, 해당 강의 평가 내역을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그 크기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웹 접속부(312)와 입력창 설정부(314)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terface module 310 provides an interface to the learner terminal 20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connected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For example, the learner terminal 200 accesses a web page operated by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310, and inputs necessary information and data, or plays a lecture content or inputs a question You can download the necessary applications.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is connected to a web page operated by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lecture evaluation history, converts the evaluation lecture of the lecture into a text file, analyzes the size thereof, And download the application necessary for transfer to the server 300. For example, the interface module 310 may include a web connection unit 312 and an input window setting unit 314 as shown in FIG.

웹 접속부(312)는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한 학습자 단말(200)로 웹 페이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제시되는 웹 페이지에는 강사진 소개, 수강 가능한 과목이나 학습 지원센터 등을 상단 메뉴 형태로 제공하고, 회원 가입이나 로그인 등을 위한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웹 페이지의 좌측으로 수강 후기, 기출문제, 연습문제, 개인정보업데이트 등의 메뉴를 제시하고,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동영상 재생기 어플리케이션이나 기출문제, 연습문제 등의 자료를 학습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220, 도 2 참조)에 표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수식 편집기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 메뉴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웹 접속부(312)를 통하여 학습자 단말(200)로 표시될 수 있다. The web connection unit 31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mplement a web page with the learner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For example, a web page presented through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may provide an introduction of a lecturer, a possible course or a learning support center in the form of an upper menu, and may display an input window for membership or login . If necessary, a menu such as a lecture and a lecture, a presentation problem, an exercise problem, and personal information update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a web page, and a video player application for reproducing video contents, An application such as an application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20 (FIG. 2) of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or an application such as a formula editor can be downloaded through the web connection unit 312 of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 ≪ / RTI >

한편, 입력창 설정부(314)는 학습자 단말(200)이나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각종 정보나 데이터 등을 입력하기 위한 창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학습자는 입력창 설정부(314)에 의하여 학습자 단말(200)로 표시되는 입력창을 이용하여 자신의 인적 정보, 단말 정보, 결제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The input window setting unit 314 is for setting a window for inputting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from the learner terminal 200 or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 For example, the learner can input his / her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etc. by using th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learner terminal 200 by the input window setting unit 314.

이때, 웹 접속부(312)를 통하여 학습자 단말(200) 및/또는 관리자 단말(400)로 제시되는 웹 페이지 중에 수강 가능한 과목은 메인 카테고리와 서브 카테고리로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강의 선택의 메인 카테고리로 공학계열, 상경계열, 자연과학, 대학수학, 전공임용수학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메인 카테고리에 적절한 서브 카테고리가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강의 과목 중에서 메인 카테고리로 공학계열을 선택한 경우에, 서브 카테고리로서 회로이론, 전자회로, 전자기학, 컴퓨터구조, 동역학, 정역학, 유체역학 등에 대한 개략적인 강의 내용(강의자, 수강료, 강의 시간, 수강 가능 기간 등)이 표시된다. 필요하다면 동일한 과목 중에서도 기초과정, 핵심과정, 상세과정, 단과과정, 통합과정 등으로 구분하여 학습자가 적절한 강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At this time, courses that can be taken on the web page presented to the learner terminal 200 and / or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through the web connection unit 312 can be displayed to be divided into the main category and the sub-category. By way of example, the main categories of lecture selection can be classified into Engineering, Commerce, Natural Science, University Mathematics, Major Math, etc., and subcategories appropriate to each main category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if you select engineering category as the main category among the lecture courses, you will be provided with a rough lecture on circuit theory, electronic circuit, electromagnetism, computer structure, dynamics, statics and hydrodynamics as subcategories (lecture, tuition, , Available period, etc.) are displayed. If necessary, they can be divided into basic courses, core courses, detailed courses, short courses, and integration courses among the same subjects so that the learner can select appropriate lectures.

강의 관리 모듈(320)은 학습자 단말(200)로 전송되는 강의 콘텐츠의 재생, 강의 콘텐츠와 관련한 자료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강의 콘텐츠와 관련한 질문 및 답변 등을 제어, 관리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강의 관리 모듈(320)은 강의 선택부(322), 강의 재생부(324) 및 선택적으로 질문/답변 관리부(326)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ecture management module 320 controls and manages the playback of lecture contents transmitted to the learner terminal 200, the uploading and downloading of data related to the lecture contents, and the questions and answers related to the lecture contents. 3, the lecture management module 320 may be comprised of a lecture selector 322, a lecture regenerator 324 and optionally a question / answer manager 326. [

강의 선택부(322)는 학습자가 수강하고자 하는 강의가, 소정의 수수료를 납부한 강의로서 수강 가능한 기간 내인지의 강의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선택적으로,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하면, 해당 학습자가 수강 가능한 강의를 해당 학습자 단말(200)로 별도로 표시하거나, 해당 강의에 대해서만 재생 가능하다는 표시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필요하다면 수강 가능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남은 기간을 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lecture selecting unit 322 determines whether the lecture the learner intends to take is a lecture indicating whether the lecture is a le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fee has been paid. Alternatively, when the learner accesses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by using the learner terminal 200 and logs in, the learner can display the lectures that the learner can take in the learner terminal 200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give an indication that it is possible. In this case, you may be able to indicate the remaining period for taking the lecture if necessary.

강의 재생부(324)는 강의 선택부(322)에 의해 선택된 강의와 관련된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200)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한다. 즉, 강의 재생부(324)는 강의 DB(344)에 저장되어 있는 강의 콘텐츠 중에서 학습자 단말에서 선택된 강의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스트림을 재생하여 학습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필요하다면, 강의 재생부(324)를 통해 재생되는 강의 콘텐츠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재생은 물론이고, 빨리 감기, 되감기, 일시정지, 정지, 소리 크기 조절 등을 학습자 단말(200)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lecture playback unit 324 transmits the content related to the lecture selected by the lecture selecting unit 322 to the learner terminal 200 in a streaming manner. That is, the lecture playback unit 324 reproduces a data stream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lecture selected by the learner terminal among the lecture contents stored in the lecture DB 344, and provides the data stream to the learner terminal 200. If necessary, the user can control not only the data stream of the contents of the lecture reproduced through the lecture reproducing unit 324 but also the lecture terminal 200 through fast forward, rewind, pause, stop, . ≪ / RTI >

질문/답변 관리부(326)는 학습자 단말(200)로 전송된 강의 콘텐츠와 관련하여, 학습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질문 내역과, 도시하지 않은 강의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답변 내역을 해당 강의 콘텐츠와 연계, 관리한다. 이때, 학습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질문과 관련하여, 강의자 단말을 통하여 강의자가 선택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 그 선택한 질문과 연계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e question / answer management unit 326 correlates the question history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200 and the response details transmitted from the lecture terminal, not shown, with the lectur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the lecture contents transmitted to the learner terminal 200 . At this time, regarding the question sent from the learner terminal 200, an answer to the question selected by the lecturer through the lectur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so as to be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question.

수강료 결제 모듈(330)은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선택한 강의에 대한 수강료의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강의에 대한 강의 회수, 기초과정/핵심과정/상세과정인지의 여부 등에 따라 수강료는 차별화될 수 있으며, 강의 회수에 따라 학습자 단말(200)을 통하여 수강 가능한 기간(예컨대 90일, 100일, 150일, 200일 등) 역시 달라질 수 있다.
The tuition payment module 330 performs the payment process of the tuition fee for the lecture selected by the learner using the learner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tuition may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lectures for each lecture, whether it is a basic course, a core course, a detailed course, and the like. 100 days, 150 days, 200 days, etc.).

한편, DB 모듈(340)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학습자 단말(200)로 전송되는 강의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학습자 정보 및 강의자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DB 모듈(340)은 강의 평가 DB(342), 강의 DB(344), 학습자 DB(346) 및 도시하지 않은 강의자 DB로 구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B module 340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related to lecture contents, learner information, and lectur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learner terminal 200 through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3,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DB module 340 can be divided into a lecture evaluation DB 342, a lecture DB 344, a learner DB 346, and a lecture DB (not shown).

예를 들어, 강의 평가 DB(342)는 특정 강의 콘텐츠를 수강한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200)을 통하여 전송한 강의 평가 내용을 저장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강의 평가 DB(342)는 전술한 관리자 단말(400)의 강의 평가 분석부(440)로부터 제공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가 또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강의 평가 DB(342)는 특정 강의 평가를 작성한 학습자 정보 및 특정 강의 콘텐츠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the lecture evaluation DB 342 stores the lecture evaluation contents transmitted by the learner who took the content of the lecture through the learner terminal 200. [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lecture evaluation DB 342 can also store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provided from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unit 440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lecture evaluation DB 342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learner information that created the evaluation of the specific lecture and the content of the specific lecture.

강의 DB(344)는 강의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로서 강의 과목, 강의 콘텐츠 등을 저장한다. 학습자 DB(346)는 학습자의 성명,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 내에서의 학습자의 ID나 비밀번호와 같은 학습자의 인적 정보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학습자 단말 번호와 같은 학습자 단말 정보 등을 저장한다. 한편, 도 4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강의자 DB는 특정 강의를 담당하는 강의자의 성명, 이력사항, 담당 강의,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 내에서의 강의자의 ID나 비밀번호와 같은 강의자의 인적 정보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강의자 단말 번호와 같은 강의자 단말 정보 등을 저장한다. The lecture DB 344 stores lecture subjects, lecture contents, and the like as information related to lecture contents. The learner DB 346 stores the learner'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learner's name, learner's ID and password in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learner's terminal information such as the learner's terminal number capable of receiving the short message, . 4, the lecture DB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of a lecturer such as the lecturer's name, history, lecture in charge, lecture person ID and password in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 Lecturer terminal information such as a lecture terminal number capable of receiving a short message, and the like.

이때, 강의 DB(344)는 강의 평가 DB(342), 학습자 DB(346) 및 강의자 DB(미도시)와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강의 DB(340)는 강의 콘텐츠에 대한 담당 강의자 정보 및 강의자 단말 정보, 해당 강의 콘텐츠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 정보 및 학습자 단말 정보 및 학습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강의 평가 정보와 연동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강의를 수강하는 학습자의 전체 수강 가능 기간과, 남아 있는 수강 가능 기간과 같은 정보가 연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cture DB 344 is associated with the lecture evaluation DB 342, the learner DB 346 and the lecture DB (not shown). Therefore, the lecture DB 340 can be implemented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lecture attendance information on lecture contents, lecturer's terminal information, learner information on lecture contents, learner's terminal information, and lecture eval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learner terminal 200 .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the total attendance period of a learner taking a specific lecture and the remaining attendance period can be linked.

아울러, 강의 DB(344)에는 특정 강의 콘텐츠와 연계하여 학습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질문 내역과, 강의자 단말(400)로부터 전송된 답변 내역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질문을 제기한 학습자 정보 및 학습자 단말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여, 강의자로부터 답변이 완료되면 질문을 제기한 학습자 단말(200)로 답변이 전송되었다는 사실을 통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학습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어 저장된 많은 질문 정보와 관련해서, 관리자 단말(400)을 통하여 강의자가 선택한 질문 정보와, 그 선택된 질문에 대한 답변 정보가 서로 연계될 수 있도록 저장,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lecture DB 344, a question history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200 and an answer sent from the lecturer terminal 400 can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nts of a specific lecture. In this case, the learner information and the learner's terminal information having raised the question may be separately stored, and when the answer is completed, the lecturer may be notified that the answer has been sent to the learner terminal 200 that raised the question.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a large number of ques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d stored in the learner terminal 200, the ques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lecturer and the answer information of the selected question can be stored and manag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400 have.

본 발명에 따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구성하는 강의 평가 모듈(350)은 학습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강의 평가를 관리자 단말(400)로 제시하고,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학습자 단말(200)로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강의 평가 모듈(350)은 강의 평가 관리부(352)와, 인센티브 제공부(354)로 구분될 수 있다. The lecture evaluation module 350 constituting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the lecture evaluation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200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and transmits the lecture receiv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And to provide a predetermined incentive to the learner terminal 200 based on the evaluation analysis result. As shown in FIG. 3, the lecture evaluation module 350 can be divided into a lecture evaluation management section 352 and an incentive supply section 354.

학습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수강한 뒤, 학습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강의 평가를 작성하고 이를 전송한다. 전송된 강의 평가 내역은 강의 평가 DB(342)에 저장되는데, 강의 평가 관리부(352)는 새로 저장된 강의 평가 내역을 관리자 단말(400)로 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의 강의 평가 분석부(440)에 의해 수행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는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된다. 강의 평가 분석 결과는 강의 평가 DB(342)에 저장된다. After taking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by using learner terminal 200, lecture evaluation is created using learner terminal 200 and transmitted. The transmitted lecture evaluation history is stored in the lecture evaluation DB 342. The lecture evaluation management unit 352 can present the newly stored lecture evaluation history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performed by the learner evaluation and analysis unit 440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is transmitted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is stored in the lecture evaluation DB 342.

특히, 경우에 따라서 강의 평가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제공한 학습자가 해당 강의를 수강한 학습자인지의 여부 및/또는 전송된 강의 평가와 관련해서 기존에 작성, 저장된 강의 평가 데이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서 강의 평가 관리부(352)는 데이터베이스 모듈(340)에 저장된 학습자 정보, 강의 평가 정보 등을 토대로 판단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the learner who provided the lecture evaluation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is the learner who took the lecture and / or the lecture evaluation data prepared and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lecture evaluation transmitted, or The lecture evaluation management section 352 can judge whether or not it is similar based on the learner information and the lecture evalu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340. [

한편, 인센티브 제공부(354)는 강의 평가 DB(342)에 저장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수한 강의 평가를 작성한 학습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학습자 단말(200)로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centive provider 354 can provide an appropriate incentive to the learner terminal 200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learner who has created the lecture evaluation based on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stored in the lecture evaluation DB 342. [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센티브 제공부(354)는 학습자 단말(200)로 기프티콘 형태의 모바일 문화상품권,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강의 콘텐츠에 대한 수강료 할인권, 현재 수강하고 있는 강의 콘텐츠에 대한 수강기간 연장권과 같은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incentive provider 354 transmits a mobile cultural gift certificate in the form of a gift card to the learner terminal 200, a discount ticket for the lecture contents provided by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Such as an extension of the length of the course.

전술한 것과 같이, 관리자 단말(400)의 강의 평가 분석부(440)는 예를 들어 변환된 강의 평가 텍스트 파일의 크기에 따라 차별화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인센티브 제공부(354)는 차별화된 인센티브를 학습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 평가 분석부(440)에서 '우수'강의 평가로 분석된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200)로는 1만원 상당의 모바일 문화상품권, 5% 수강료 할인권 및/또는 수강기간 5일 연장권을 인센티브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최우수' 강의 평가로 분석된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200)로는 3만원 상당의 모바일 문화상품권, 20% 수강료 할인권 및/또는 수강기간 10일 연장권을 인센티브로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earner evaluation and analysis unit 440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can transmit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verted lecture text file, for example,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 In response, the incentive provider 354 can provide differentiated incentives to the learner terminal. For example, the learner terminal 200 of the learner analyzed by the 'lecture' lecture evaluation in the lecture evaluation and analysis unit 440 receives a mobile cultural gift certificate worth 5,000 won, a 5% tuition discount voucher, and / It can be provided as an incentive. On the other hand, as a learner's terminal 200 analyzed by the evaluation of the 'best' lecture, a mobile cultural gift certificate worth 20,000 won, a discount coupon of 20% and / or a 10-day extension period can be provided as an incentive.

선택적으로, '최우수'강의 평가로 분석된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인센티브 중 어느 하나가 '우수' 강의 평가로 분석된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인센티브와 차등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우수' 강의 평가로 분석된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200)로 3만원 상당의 모바일 문화상품권, 10% 수강료 할인권 및/또는 수강기간 5일 연장권을 인센티브로 제공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ny one of the incentive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200 of the learner analyzed as the 'best' lecture evaluation may be differentiated from the incentive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200 of the learner analyzed as the 'excellent' lecture evaluation . For example, an incentive can be provided to a learner's terminal 200 of a learner analyzed by evaluation of a 'best' lecture, a mobile cultural gift certificate worth KRW 30,000, a discount voucher of 10%, and / or a 5-day extension ticke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형식적인 강의 평가를 작성한 학습자에게는 아무런 인센티브가 제공되지 않지만, 성의 있게 강의 평가를 작성한 학습자에게는 소정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따라서 특정 강의 콘텐츠를 수강한 학습자는 성의 있고 객관적인 강의 평가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게 될 것이다. 특히 우수한 강의 평가 내역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운영하는 업체의 웹 페이지 등에 게시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 incentives are provided to the learner who has prepared the formal lecture evaluation, but a predetermined incentive is provided to the learner who has made the lecture evaluation with good care. Therefore, the learner who has taken the contents of the specific lecture will send the lecture evaluation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Particularly, an excellent lecture evaluation history is posted on a web page of a company that operates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따라서 추후에 해당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은 성의 있게 작성된 강의 평가를 토대로 수강하고자 하는 강의가 자신에게 적절한 것인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강의자 역시 관리자 단말(미도시)을 이용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한 뒤, 성의 있게 작성된 우수한 강의 평가 내역을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강의자는, 강의자 자신이 미처 알지 못했던 강의 콘텐츠에 대한 문제점이나 미비점들을 보완하여 보다 양질의 강의 콘텐츠를 추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learners who want to take the lecture in the future can objectively judge whether the lecture they want to take is appropriate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lecture. The lecturer can access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00 by using an administrator terminal (not shown), and can know the evaluation history of the lecture which is prepared with good quality. Based on this, the lecturer complements the problems or deficiencies of the lecture contents that the lecturer himself / herself has not known before, so that the lecture contents of better quality can be provided to the learner in the future.

계속해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온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온라인 강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과 서버 사이에서 정보 및 데이터의 흐름을 통하여 온라인 강의가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Next, a method of providing an online lecture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online lecturing is performed through flow of information and data between a terminal and a server that constitute an onlin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강의자가 자신이 담당하기로 된 강의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 등의 촬영장치 등을 이용하여 촬영한다. 이어서, 촬영된 강의 내용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운영하는 업체의 담당자가 관리자 단말 등을 이용하여 동영상 및 음성의 데이터스트림 형태로 변환되고, 이와 같이 변환된 강의 콘텐츠는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저장된다(S410). 저장된 강의 콘텐츠는 강의자 정보와 연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카테고리 분류에 따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First, a lecturer photographs a lecture to be taken by the lecturer using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or a camcorder. Then, the contents of the taken lecture are converted into a data stream type of video and audio using a manager terminal of a company operating a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and the lecture contents thus converted are stored in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S410). The stored lecture content may be associated with lecture information and may be stored in a lecture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ategory classification.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강의 콘텐츠가 제작, 저장되기 전에, 강의자의 이력 등을 토대로 해당 강의자의 담당 강의 및 강의료 등이 협의되어, 강의자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운영하는 업체 사이의 계약이 이루어진다. 강의자는 예를 들어 강의자 단말을 이용하여 인적 정보(성명, 주소, 이력, 담당 강의), 단말 정보(강의자 단말 번호) 등을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고,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강의자 단말을 통하여 입력된 강의자 인적 정보와 강의자 단말 정보 등을 저장한다. 강의자는 강의자 단말을 이용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각각의 강의자를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운영하는 업체의 관리자는 각각의 강의자에게 사전에 설정된 규칙에 따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운영하는 업체의 관리자는 강의자로부터 오프라인으로 통지된 강의자의 이력, 인적 정보 및 단말 정보 등을 관리자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하여 이들 정보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4, before lecture contents are produced and stored, lectures and lectures of the lecturers are negotiated based on the lecturer's history and the like, and a contract is made between the lecturer and the company that operates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The lecturer provides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with personal information (name, address, history, lecture) and terminal information (lecturer terminal number) using the lecturer terminal, and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inputs The lecturer person information and lecturer terminal information are stored. The lecturer can register an ID and a password for identifying each lecturer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using the lecturer terminal. Alternatively, the administrator of the company that operates the lectur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assign IDs and passwords according to the rules set in advance to the respective lecturers.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an administrator of a company that operates a lecture content providing server inputs history of a lecturer notified offline from a lecturer,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etc. using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a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It will be possible.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통하여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전송, 재생받기 위하여, 즉, 강의를 수강하기 위하여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인적 정보(성명, 주소)와 단말 정보(학습자 단말 번호) 등을 제공하고, 회원 ID와 비밀번호 등 학습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등록한다(S415). The learner uses the learner terminal to acquire the learner's personal information (name, address)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learner terminal number), etc. in order to transmit and play the online lecture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And register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learner such as a member ID and a password (S415).

계속해서,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통하여 학습자 단말로 표시되는 웹 페이지 등을 참고하여 자신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의를 선택한다(S420).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는 강의자 정보와 해당 강의자가 담당하는 강의 과목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다. 예시적으로 강의 선택의 메인 카테고리로 공학계열, 상경계열, 자연과학, 대학수학, 전공임용수학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메인 카테고리에 적절한 서브 카테고리가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Subsequently, a lecture to be taken is selected by referring to a web page or the like displayed on the learner terminal through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S420).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lecture information and the lectures subject to the lecturer are displayed in a list form on the web page operated by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By way of example, the main categories of lecture selection can be classified into Engineering, Commerce, Natural Science, University Mathematics, Major Math, etc., and subcategories appropriate to each main category may be displayed.

예를 들어, 강의 과목 중에서 메인 카테고리로 공학계열을 선택한 경우에, 서브 카테고리로서 회로이론, 전자회로, 전자기학, 컴퓨터구조, 동역학, 정역학, 유체역학 등에 대한 개략적인 강의 내용(강의자, 수강료, 강의 시간, 수강 가능 기간 등)이 표시된다. 필요하다면 동일한 과목 중에서도 기초과정, 핵심과정, 상세과정, 단과과정, 통합과정 등으로 구분하여 학습자가 적절한 강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you select engineering category as the main category among the lecture courses, you will be provided with a rough lecture on circuit theory, electronic circuit, electromagnetism, computer structure, dynamics, statics and hydrodynamics as subcategories (lecture, tuition, , Available period, etc.) are displayed. If necessary, they can be divided into basic courses, core courses, detailed courses, short courses, and integration courses among the same subjects so that the learner can select appropriate lectures.

이때, 각각의 강의 과목과 관련하여 전체 강의 회수, 수강 가능 기간 등이 함께 명시되어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 진도를 설계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자가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을 선택하면,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해당 강의의 수강과 관련한 수강료 결제를 위한 입력창을 학습자 단말로 표시한다.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이용하여 수강료를 지불하기 위한 적절한 결제 수단, 예컨대 계좌이체나 신용카드 등을 선택하면,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해당 수강료에 대한 전자 결제 처리를 진행한다(S425). 수강료 결제가 완료되면, 학습자 정보가 해당 강의 콘텐츠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을 이용하여 결제가 완료된 강의 과목을 선택하여 강의 콘텐츠의 제공을 요청한다(S430).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design the learner to design the progress of the learner by specifying the total number of lectures and the possible lecture periods together with each lecture course. When the learner selects a course to be taken,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displays an input window for payment of the tuition related to the lecture of the lecture to the learner terminal. When the learner selects an appropriate payment means such as a bank transfer or a credit card for paying the tuition using the learner terminal,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proceeds electronic payment processing for the tuition fee (S425). When the payment of the tuition is completed, the learner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lecture content information. The learner selects the lecture subject to be paid using the learner terminal, and requests the lecture contents to be provided (S430).

이때, 필요하다면 동일한 강의 중에서도 학습자가 수강한 강좌 부분과 수강하지 않은 강좌 부분이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해당 학습자가 해당 강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전체 기간 중에서 남아 있는 기간(예를 들어 90일 동안 수강 가능한 강의에 대한 수강료를 지불한 날로부터 60일이 경과하였다면 30일)을 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해당 강의에 대한 수강 계획을 조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if necessary, it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lecture portion of the learner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lecture portion of the same lecture. Preferably, the learner indicates the remaining period of the entire period during which the lecturer can receive the contents of the lecture (for example, 30 days if 60 days have elapsed since the lecture fee payable for 90 days) The learner will be able to induce the learner to plan the lecture.

이와 같이, 학습자 단말에 의한 선택, 요청에 의하여, 강의 콘텐츠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학습자 단말로 전송된다(S435). 이때,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강의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과 별도로, 선택된 강의와 관련하여 기출문제나 연습문제, 해설 및 정답과 같은 데이터를 웹 페이지에 표시하고, 학습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강의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동영상 재생기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나, 기출문제 등을 판독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웹 페이지에 표시하고,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the lecture contents are transmitted to the learner terminal in a streaming manner by selection and request by the learner terminal (S435). At this time, besides transmitting the lecture contents,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can be implemented so that data such as a lecture problem, an exercise question, an explanation, and a correct answer can be displayed on a web page and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 In addition, an application such as a video player for playing back lecture contents, or an application capable of reading out an issue or the like can be displayed on a web page, and the learner can be guided to download the application using the learner terminal.

수강료를 결제한 강의 콘텐츠를 모두 수강한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강의 콘텐츠와 관련한 강의 평가 내역을 입력하고, 이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S440A).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강의 평가 내역과 관련해서 학습자 정보와 강의 콘텐츠 정보와 연계하여 이를 저장하고, 해당 강의 평가 내역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 제시한다(S440B). The learner who has taken all the lecture contents for which the tuition has been paid inputs the lecture evaluation history related to the lecture contents using the learner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S440A).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stores the lectur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the learner information and the lecture contents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lecture evaluation history, and transmits the lecture evaluation history data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S440B).

관리자 단말은 제시된 강의 평가에 대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고(S445), 그 분석 결과를 생성한 뒤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전송한다(S450).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관리자 단말은 학습자 단말로부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통하여 제시된 강의 평가 내역을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파일의 크기에 기초하여 강의 평가 내역을 분석하고,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리자 단말은 변환된 텍스트 파일의 크기에 따라 차별화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이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alyzes the presented lectur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S445), generates the analysis result, and transmits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S450).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dministrator terminal converts the evaluation history of the lectures presented through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from the learner terminal into a text file, analyzes the lecture evaluation history based on the size of the converted text file,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Preferably, the administrator terminal can generate a differentiated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verted text file, and transmit the evaluation resul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별된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소정의 인센티브를 학습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우수한 강의 평가로 분석된 학습자 단말로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통지하고, 소정의 인센티브를 선택하도록 요청한다(S455). 예시적으로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학습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인센티브는 문화상품권, 수강료 할인권 및 수강기간 연장권일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이용하여 소정의 인센티브를 선택하면(S460), 콘텐츠 제공 서버는 학습자 단말에서 선택된 인센티브를 학습자 단말에 제공한다(S465).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can provide the learner terminal with a predetermined incentive that can be selected by the learner based on the learner evaluation analysis result transmitt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In order to do this,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notifies the learner analysis result to the learner terminal analyzed by the excellent lecture evaluation and requests to select a predetermined incentive (S455). Illustratively, the incentive that can be provided from the lectur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the learner terminal may be a cultural gift certificate, a tuition discount ticket, and a lecture period extension ticket. When the learner selects a predetermined incentive using the learner terminal (S46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rovides the learner terminal with the incentive selected by the learner terminal (S465).

전술한 것과 같이 관리자 단말은 강의 평가 내역이 변환된 텍스트 파일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차별화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 예를 들어 '우수' 강의 평가 분석 결과와'최우수'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다른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성의 있게 작성되었다고 분석된 강의 평가를 작성한 학습자 단말로 인센티브를 제공할 때, 이와 같이 차별화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에 대응하여 차별화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우수' 강의 평가 분석 결과가 도출된 학습자 단말과 '최우수' 강의 평가 분석 결과가 도출된 학습자 단말에 대하여 각기 다른 금액 상당의 모바일 문화상품권, 할인율이 상이한 수강료 할인권, 연장 기간이 상이한 수강기간 연장권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administrator terminal generates, for example, 'excellent'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and 'best'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analysis of the differentiated lecture based on the size of the text file in which the lecture evaluation history is converted, Likewise, evaluation results of other lectures can be transmitted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When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provides the incentive to the learner terminal that has created the lecture evaluation analyzed as having been prepared with goodness, the incentiv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ed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can be provided. For example, a mobile cultural gift certificate corresponding to different amounts of the learner terminal derived from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excellent' lecture and a learner terminal derived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best' lecture, a discount ticket having a different discount rate, You will be able to provide an extension of the course length.

선택적으로, '최우수'강의 평가로 분석된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인센티브 중 어느 하나가 '우수' 강의 평가로 분석된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인센티브와 차등화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우수' 강의 평가 분석 결과가 도출된 학습자 단말과 '최우수' 강의 평가 분석 결과가 도출된 학습자 단말로, 할인율이 동일한 수강료 할인권, 연장 기간이 동일한 수강기간 연장권을 제공하되, '최우수' 강의 평가 분석 결과가 도출된 학습자 단말에 대해서는 다른 금액 상당의 모바일 문화상품권이 제공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ny one of the incentive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200 of the learner analyzed as the 'best' lecture evaluation may be differentiated from the incentive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200 of the learner analyzed as the 'excellent' lecture evaluation . For example, the learner terminal with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excellent' lecture and the learner terminal with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best' lecture provide the discount ticket with the same discount rate and the extension period with the same extension period, The learner terminal for which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best" lecture is derived may be provided with a mobile cultural gift certificate equivalent to another amoun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도 성의 있는 강의 평가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에 해당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강의자 역시 성의 있는 강의 평가를 토대로 문제점을 보완하여 양질의 강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nline lecture contents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the evaluation of lecture, it can greatly help the learner who intends to take the lecture in the future. In addition, lecturers will be able to provide quality lecture contents by complementing problems based on evaluation of lectur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s.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however, that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온라인 강의 시스템 200 : 학습자 단말
202 : 컴퓨터 단말기 204 : 휴대형 단말기
300 :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 310 : 인터페이스 모듈
320 : 강의 관리 모듈 330 : 수강료 결제 모듈
340 : 데이터베이스 모듈 350 : 강의 평가 모듈
360 : 제어부 400 : 관리자 단말
100: online lecture system 200: learner terminal
202: computer terminal 204: portable terminal
300: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310: Interface module
320: Lecture management module 330: Tuition payment module
340: Database module 350: Lecture evaluation module
360: control unit 400:

Claims (11)

통신망을 통하여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으로서,
강의 콘텐츠 서버로부터 강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강의 콘텐츠에 대한 강의 평가를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학습자 단말;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강의 평가 내역을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를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 및
제작된 강의 콘텐츠를 상기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별된 학습자 단말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An online lecture system for providing lecture content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learner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lecture contents from a lecture contents server and transmitting a lecture evaluation of the lecture contents received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An administrator terminal for analyzing the learner evaluation history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analysis resul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And
And a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incentives to the selected learner terminals based on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receiv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학습자 단말 및 상기 관리자 단말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학습자 단말로의 강의 콘텐츠의 전송을 관리하는 강의 관리 모듈과,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강의에 대한 수강료 수납을 관리하는 수강료 결제 모듈과, 학습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는 강의 콘텐츠, 학습자 및 강의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과,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강의 평가 데이터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시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별된 학습자 단말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강의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2. The learner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comprises: an interface module for providing an interface to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a lecture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transmission of lecture contents to the learner terminal; A database module that stores information on lecture contents, learner, and lecturer that can be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and a lecture management module that stores lecture evalu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to the manager And a lecture evaluation module that presents the incentive to the selected learner terminal based on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result transmitt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관리 모듈은 상기 학습자 단말로 수강 가능한 과목을 표시할 수 있게 하는 강의 선택부, 학습자 단말에서 선택한 강의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강의 재생부, 상기 학습자 단말 및 강의자 단말에서 각각 전송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질문 및 답변을 관리하는 질문/답변 관리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3. The learner termina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ecture management module comprises: a lecture selection unit for displaying lectures available to the learner terminal; a lecture reproducing unit for transmitting a lecture selected by the learner terminal to the learner terminal; And a question / answer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questions and answers about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respectively transmitted from the lecture system.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은 컴퓨터 단말기 및 휴대형 단말기를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The onlin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earner terminal includes a computer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되는 인센티브는 모바일 문화상품권, 수강료 할인권 및 수강기간 연장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incentive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is at least one of a mobile cultural gift certificate, a tuition discount ticket, Lecture system.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강의 평가 내역을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 파일의 크기에 기초하여 강의 평가 내역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The learner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administrator terminal converts the learner's evaluation history transferred from the learner terminal into a text file, analyzes the learner evaluation history based on the size of the converted text file Wherein the online lecture system comprise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변환된 텍스트 파일의 크기에 따라 다른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각각의 다른 강의 평가 분석 결과에 따라 차등화 된 인센티브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7. The system of claim 6, wherein the administrator terminal transmits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a lecture evaluation result of another lectur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verted text file, and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performs differentiating And provides the incentive to the learner terminal.
통신망을 통하여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학습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의하여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학습자 단말로 강의 콘텐츠가 전송되는 단계;
(b) 학습자 단말로부터 수강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질문이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c) 강의 콘텐츠를 수신한 학습자 단말로부터 해당 강의에 대한 강의 평가 데이터가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d)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된 강의 평가에 대하여 관리자 단말에서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강의 평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별된 학습자 단말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An online lectur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lecture content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transmitting lecture contents from a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to a learn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by a request from a learner terminal;
(b) a question about the lecture contents taken from the learn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c) transmitting lecture evaluation data on the lecture from the learner terminal receiving the lecture conten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d) generating an analysis result by the administrator terminal for the lecture sen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And
(e) providing an incentive to the selected learner terminal based on the learner evalu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되는 인센티브는 모바일 문화상품권, 수강료 할인권 및 수강기간 연장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9.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8, wherein the incentive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the learner terminal is at least one of a mobile cultural gift certificate, a discount ticket, and a license for extending a lecture period.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강의 평가 내역이 텍스트 파일로 변환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텍스트 파일의 크기에 기초하여 강의 평가 내역이 분석되는 단계와, 상기 강의 평가 분석 결과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step (d) includes the steps of: converting a learner's evaluation sent from the learner terminal by the administrator terminal into a text file; Analyzing the evaluation history, and transmitting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lecture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변환된 텍스트 파일의 크기에 따라 다른 강의 평가 분석 결과를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는 각각의 다른 강의 평가 내역에 따라 차등화 된 인센티브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administrator terminal transmits to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the result of the lecture evalu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verted text file, and th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evaluation results And providing an incentive that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earner's terminal to the learner terminal.
KR1020140092708A 2014-07-22 2014-07-22 On-line lecture system having notification giving incentives for lecture evalu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lecture service using the system KR201600117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708A KR20160011769A (en) 2014-07-22 2014-07-22 On-line lecture system having notification giving incentives for lecture evalu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lecture service using th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708A KR20160011769A (en) 2014-07-22 2014-07-22 On-line lecture system having notification giving incentives for lecture evalu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lecture service using th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769A true KR20160011769A (en) 2016-02-02

Family

ID=5535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708A KR20160011769A (en) 2014-07-22 2014-07-22 On-line lecture system having notification giving incentives for lecture evalu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lecture service using th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176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698B1 (en) * 2022-06-13 2022-10-12 주식회사 그로스체인 Marketing education system
KR20230135897A (en) 2022-03-17 2023-09-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lecture evalu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897A (en) 2022-03-17 2023-09-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lecture evaluation system
KR102453698B1 (en) * 2022-06-13 2022-10-12 주식회사 그로스체인 Marketing edu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256B1 (en) A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loud-based digital item authoring solu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104318817B (en) Interactive learning platform and method
US8021164B2 (en) Method for teaching
US20150242977A1 (en) Electronic system, method and device operable to facilitate education
US8751408B2 (en) Managemen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s and user portfolios
US201600638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learning
KR101899038B1 (en) on-line study and authoring system for eduction contents using analysis of big data
WO2013025428A2 (en) Prescription of electronic resources based on observational assessments
US201000049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Education
US20140322692A1 (en) Methods for online education
JP2014512587A (en) System and method for reserving someone else's time for a correspondence class
KR1023222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learning contents
US11410567B1 (en) Online classes and learning compliance systems and methods
US202401534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KR20130082728A (en) On-lin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orof
US201401788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learning contents
KR102071133B1 (en) Method for and management server implementing the same
KR20160011769A (en) On-line lecture system having notification giving incentives for lecture evalu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lecture service using the system
KR102011255B1 (en) Class matching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class thereby
KR101750172B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lecture room operation service
KR20160126730A (en) On-lin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ystem possible to identify learner terminals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lecture contents using the system
King et al. Advanced technology empowering MOOCs
KR20160126731A (en) On-line lecture contents providing system possible to authenticate learner terminals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lecture contents using the system
KR20160011504A (en) On-line lecture system having notification means for questions and answers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lecture service using the system
Mishra Mobile technologies in open sch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