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756A - Laundry treating machine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756A
KR20090069756A KR1020070137533A KR20070137533A KR20090069756A KR 20090069756 A KR20090069756 A KR 20090069756A KR 1020070137533 A KR1020070137533 A KR 1020070137533A KR 20070137533 A KR20070137533 A KR 20070137533A KR 20090069756 A KR20090069756 A KR 20090069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steam generator
drainage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5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35823B1 (en
Inventor
김종석
박대윤
김동원
홍석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823B1/en
Publication of KR2009006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8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8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condensation, e.g. condensate water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A clothes treating device is provided to have a draining unit to make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out automatically or manually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 installation. A clothes treating device comprises a cabinet, a steam generator and a draining unit(100). The cabinet has a clothes containing chamber. The steam generator generates the steam in order to supply to the clothes containing chamber. The draining unit discharges he condensed water generated within the clothes containing chamber and includes a drainage chamber(80) and a drainage connector(120). The drainage chamber makes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side drained out. The drainage connector makes the condensed water within the clothes containing chamber directly discharged out or collected in the drainage chamber.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MACHINE}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LAUNDRY TREATING MACHINE}

본 발명은 수납실 내에 수납되는 의류에 스팀과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steam and hot air to clothes stored in a storage compartment to remove odors, wrinkles, and moisture remaining in the clothes.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넷 내부의 수납실 내에 수납되는 의류에 스팀과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means a device for supplying steam and hot air to clothes stored in a storage compartment inside a cabinet forming an external shape to remove odors, wrinkles, or moisture remaining in the clothes.

1회 이상 동일한 의류를 착용하면, 의류에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이 잔류하게 된다.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등은 동일한 옷을 다시 착용하려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의류를 불필요한 세탁과정을 수행하여, 의류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의류의 유지 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If the same clothing is worn more than once, odors, wrinkles, or moisture remain in the clothing. The smell and the like remaining in the clothing may be unpleasant for the user who tries to wear the same clothes again. In order to eliminate this, the user performs an unnecessary washing process of clothing, causing a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clothing and increasing the cost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of the clothing.

또한, 세탁후 건조가 완료된 옷이라도 구김이 잔류하는 경우가 있으며, 그러한 의류를 즉시 착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다림질 작업 등을 수행해야 한다.In addition, wrinkles may remain even in clothes that have been dried after washi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clothes cannot be worn immediately. Therefore, the user must perform a separate ironing operation or the lik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 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may be used to remove odors, wrinkles, or moisture remaining in clothes.

의류처리장치는 수납된 의류의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고, 분사된 스팀에 의하여 습기가 함유된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열풍 또는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may use hot air or air to inject steam into clothes to remove odors, wrinkles, or moisture of the clothes stored therein, and to dry clothes containing moisture by the injected steam.

의류를 바람 또는 열풍에 노출시키는 것만으로도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스팀을 사용할 수 있다.Exposing clothing to wind or hot air may have the effect of removing odors, wrinkles or moisture, but steam may be used to maximize the effect.

의류처리장치에 수납된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면, 미세한 물입자가 섬유조직 깊숙한 곳에 잔류하는 냄새입자와 결합하게 되고, 냄새입자와 결합한 물입자는 건조과정에서 의류와 분리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를 제거하게 된다.When steam is sprayed on the clothes stored in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he fine water particles are combined with the odor particles remaining deep in the fiber tissue, and the water particles combined with the odor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the clothes in the drying process and discharged. In this way, the odor remaining in the garment is removed.

그리고, 의류처리장치에서 수납된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면, 의류에 잔류하는 구김 등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공급된 스팀에 의하여 젖은 의류는 건조과정에서 구김이 완화 또는 제거되는 것이다.When steam is supplied to the clothes stored i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wrinkles, etc. remaining in the clothes may be alleviated. Clothes supplied by steam are to reduce or eliminate wrinkles during drying.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의류의 사용자는 보다 쾌적한 상태로 의류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Through such a process, odors, wrinkles, or moisture remaining in the clothes can be removed, and the user of the clothes can wear the clothes in a more comfortable state.

한편, 상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에 물이 급수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고,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needs to be provided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it is necessary to be provided to drain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to the outside.

본 출원은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거나,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allowing the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inside to be manually drain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r automatically drained to the outside.

또한, 본 출원은 스팀발생기로 급수되는 물이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to be supplied manually, or to be suppli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selection.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이 구비되는 캐비닛;상기 수납실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및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장치는 선택에 따라 상기 응축수가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비되거나, 수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clothes;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for supplying the storage chamber; And a drainage device for draining the condensate generated inside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to the outside, wherein the drainage device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drain the condensate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 selection, or to be drained to the outside manually. It features.

다른 측면에서의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수납실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및 상기 스팀발생기로 급수되기 위한 물이 선택에 따라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거나, 수동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물공급장치;를 포함한다.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other aspect is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clothes; 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for supplying to the storage chamber; And a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or to be supplied manually.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수납실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상기 스팀발생기로 급수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급수통; 및 자동모드시 외부 급수원의 물이 상기 스팀발생기로 직접 공급되도록 하고, 수동모드시 상기 급수통에 저 장된 물이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장치;를 포함한다.Clothes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other aspect is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clothes; 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for supplying the storage chamber; a water supply tank for storing wat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And a water supply device for directly supplying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the steam generator in the automatic mode, and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steam generator in the manual mode.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설치시에 선택에 따라 응축수가 수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배수장치를 구비하거나,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배수장치를 구비할 수 있어서 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According to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 may have a drainage device to manually drain the condensate to the outside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r may include a drainage device to automatically drain the water to the outside. Do.

또한,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설치시에 선택에 따라 스팀발생기로 급수되는 물이 수동적으로 공급되도록 물공급장치를 구비하거나,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물공급장치를 구비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 may have a water supply device to manually supply the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r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device to automatically supply , It is convenient.

또한,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설치한 후에도 선택에 따라 스팀발생기로 급수되는 물이 수동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변경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change the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to be supplied manually or to be automatically supplied even after installation.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도 1은 본 출원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11)이 구비되는 캐비닛(10), 상기 수납실(11)을 개폐하는 도어(20), 상기 수납실(11)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미도시)가 구비된 전장실(30), 상기 스팀발생기(미도시)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수납실(11) 로 분사시키는 스팀분사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cabinet 10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11 in which clothes are stored, a door 20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11, and the The electric chamber 30 is provided with a steam generator (not shown) for generating steam for supplying steam to the storage chamber 11, and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steam generator (not shown) is injected into the storage chamber 11. Steam injection unit (not shown) to include.

도 1에는 상기 스팀분사유닛(미도시)이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스팀분사유닛은 상기 수납실(11)의 소정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분사유닛(미도시)은 상기 스팀발생기(미도시)에서 발생된 스팀이 원하는 곳에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실(11)의 어느 위치에라도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the steam spray unit (not shown) is not illustrated in FIG. 1, the steam spray unit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orage chamber 11. That is, the steam injection unit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of the storage chamber 11 so that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or (not shown) can be injected to a desired place.

상기 전장실(30)은 상기 캐비닛(10)의 하부 즉, 상기 수납실(11)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납실(11)과 전장실(30)은 각각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장실(30) 내부의 설치 또는 보수를 위하여 상기 격벽의 일부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제1커버(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30 is preferably provided under the cabinet 10,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hamber 11, wherein the storage chamber 11 and the electrical equipment chamber 30 partition each space. It can be separated by a parti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cover 40 is provided to detachably attach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for installation or maintenance of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compartment 30.

한편,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전장실(30)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실(11)에 수납된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납실(11)에 수납된 의류는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스팀과 상기 열풍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열풍에 의해서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hot air supply device (not shown) which is provid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30 to supply hot air for drying the clothes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11 It may include. In this case, the clothes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11 may be more effectively removed from the smell, wrinkles or moisture by the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supply device and the hot air supplied from the hot air supply device.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전장실(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30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전장실 내부의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interior of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장실(30) 내부에는 열풍공급장치(50), 스팀발생기(60),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급수통(70),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배수통(80)이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hot water supply device 50, a steam generator 60, a water supply tank 70 in which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is stored, and a clothes treatment device are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 compartment 30.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drain can be provided (80).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장실(30)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의 부품들 즉, 열풍공급장치(50), 스팀발생기(60), 급수통(70) 및 배수통(80)은 베이스플레이트(90)에 장착되고, 상기 캐비닛(30)에는 상기 전장실(30)의 후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캐비닛(30)의 일부를 착탈가능하게 하는 제2커버(41)가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2, a variety of component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chamber 30, that is, the hot air supply device 50, steam generator 60, water supply tank 70 and the drain container 80 ) Is mounted on the base plate 90, and the cabinet 3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ver 41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electric compartment 30 to detach a portion of the cabinet 30. Can be.

도 1에 도시된 제1커버(40)는 전장실(30)에 접근이 용이하지만, 상기 전장실(30)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의 교체 등과 같은 작업을 하기에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2커버(4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Although the first cover 40 illustrated in FIG. 1 is easily accessible to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30, it is inconvenient to perform work such as replacement of components install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30. This is becau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ver 41 is further provided.

따라서, 상기 전장실(30) 내부의 재설치 및 수리 등이 필요한 경우에, 작업자는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커버(40) 또는 제2커버(41)를 제거하고, 상기 각종의 부품들이 장착된 베이스플레이트(90)를 캐비닛(4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Therefore, when re-installation and repair of the interior of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30 is necessary, the operator removes the first cover 40 or the second cover 41 according to the selection, and the base on which the various components are mounted. The plate 90 can be separated from the cabinet 40 and is convenient.

한편, 상기 스팀발생기(60)는 스팀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팀발생기(60)는 상기 급수통(70)으로부터 급수된 물이 저장되는 케이스(미도시)와, 상기 케이스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물이 통과하는 급수 호스의 둘레에 직접 히터를 설치하여, 즉 물을 소정 공간에 수용하지 않고 가열하는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eam generator 60 may be used any device that can generate steam. For example, the steam generator 60 may include a case (not shown) in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tank 70 is stored, and a heater (not shown) for heating the water stored in the case. Of course, a method of directly installing a heater around the water supply hose through which water passes, that is, heating the water without accommodating the water in a predetermined space may also be used.

상기 열풍공급장치(50)는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수납실(11)로 공급시키는데, 유입된 공기를 먼저 제습하고, 제습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수납실(11)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한 공기를 가열하여 발생된 열풍이 더욱 건조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The hot air supply device 50 heats the introduced air and supplies it to the storage chamber 11, which dehumidifies the introduced air first, and heats the dehumidified air to supply the storage chamber 11. desirable. This is because the hot air generated by heating the dry air is more effective for drying.

이를 위해, 상기 열풍공급장치(5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압축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유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에 의해 응축되며, 응축되어 건조해진 공기는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hot air supply device 50 may be formed of a heat pump including an evaporator, a compressor and a condenser in which a refrigerant circulates. In this case, the introduced air is condensed by heat exchange with the evaporator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d and dried air may be he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condenser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또한, 상기 열풍공급장치(50)는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응축부와, 제습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열풍공급장치(50)가 히트펌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별도의 히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t air supply device 50 may be composed of a condenser for dehumidifying the introduced air,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dehumidified air. Of course, a separate heater may be further provided when the hot air supply device 50 is formed of a heat pump.

도 2에는 상기 열풍공급장치(50)가 히트펌프로 구비된 것이 도시된다.2 shows that the hot air supply device 50 is provided as a heat pump.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열풍공급장치(50)는 히트펌프를 이루는 증발기, 압축기 및 응축기 중에서 증발기(미도시) 및 응축기(미도시)는 케이스(51)에 모듈화되어 구비되고, 압축기(52)는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와 냉매가 순환되도록 상기 케이스(51)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51)는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모듈화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가 흐르는 통로의 기능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2, the hot air supply device 50 includes an evaporator (not shown) and a condenser (not shown) that are modularized in the case 51 among the evaporator,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forming the heat pump, and the compressor 52. )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ase 51 to circulate the evaporator, the condenser and the refrigerant. Here, the case 51 not only modularizes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but also functions a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한편, 상기 열풍공급장치(50)는 상기 수납실(11)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하고, 제습된 공기를 다시 상기 수납실(11)로 공급하는 순환식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수납실(11)에서 배출된 공기가 아닌 외부 공기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제습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수납실(11)로 공급하는 배기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순환식 및 배기식 타입 모두 적용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hot air supply device 50 is made of a circulation type for dehumidify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chamber 11, and supplies the dehumidified air back to the storage chamber 11, or the storage chamber 11 It may be made of an exhaust type to dehumidif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no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and to supply the dehumidified air to the storage compartment (11). That is,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cable to both the circulation type and the exhaust typ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풍공급장치(50)가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열풍공급장치(50)로 유입된 공기가 제습되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스팀발생기(60)에서 발생된 스팀을 수납실(11)로 공급되도록 하는 과정에서도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실(11)에는 상기 수납실(11)로 공급된 스팀에 의해서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실(11)에는 상기 수납실(11)에 수납된 의류에 포함된 물기에 의해서도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t air supply device 50 is provided to dehumidify and heat the introduced air, condensed water may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humidify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t air supply device 50. In addition, condensed water may also be generated in a process of supplying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60 to the storage chamber 11, and condensed water may be generated in the storage chamber 11 by steam supplied to the storage chamber 11. May be generated. In addition, condensed water may also be generated in the storage chamber 11 by water contained in clothes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11.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장치를 더 포함한다. Therefore,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further includes a drainage device for draining the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상기 배수장치는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배수통(80)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배수통(80)에 응축수가 가득 채워진 경우에 직접 상기 배수통(80)을 비워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 As shown in FIG. 2, the drainage device may include only the drainage container 80 in which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s collected, but in this case, the user directly the condensate when the drainage container 80 is filled with the condensate. It is inconvenient because the drain box 80 must be emptied.

또한, 상기 배수장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직접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의류처리장치는 응축수가 직접 외부로 배수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설치시에 외부와 연통하는 배수관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In addition, the drainage device may be provided to directly drain the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 this case,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s not only to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densate can be directly drained to the outside, at the time of installation It is inconvenient because the drai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따라서, 의류처리장치가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직접 배수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장치는 응축수가 외부로 직접 배수되도록 구비되며,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위치가 그러한 위치가 아니라면, 상기 배수장치는 응축수가 사용자가 직접 비울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수통(80)으로 배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inside is easily drained to the outside, the drainage device is provided to drain the condensate directly to the outside, and the position where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s installed is such a position. If not, the drainage is preferably provided to drain the condensate drain 80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be emptied directly.

즉,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설치 위치에 따라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자동적으로 외부로 직접 배수되도록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배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장치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at is,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provided to directly drain the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inside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to the outside, and manually drained to the outside by the user. It includes a drain that can be provided to b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rainage device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가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상기 물공급장치는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급수통(70)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급수통(70)이 비워진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물을 채워야 하므로 불편하다.As shown in Figure 2, the water supply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tank 70 for stor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in this case the user when the water supply tank 70 is empty It is inconvenient because you need to fill the water yourself.

또한,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는 물이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의 급수원에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설치시에 상기 외부의 급수원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devic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is automatically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uch as a faucet, in this case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suppli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uch as the faucet In addition to being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can be connected, it is inconvenient because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install a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ource at the time of installation.

따라서, 의류처리장치가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하기에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물공급장치는 외부 급수원의 물이 스팀발생기(60)로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며,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위치가 그러한 위치가 아니라면, 상기 물공급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채울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스팀공급관(60)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whe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s installed at an easy position to connect with an external water source such as a faucet, the water supply device is provided so that water from the external water source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and the garment If the position where the treatment device is installed is not such a position, the water supply device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fill the steam supply pipe (60).

즉,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설치 위치에 따라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는 물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물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물공급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at is,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not only be provided so that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is automatically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t includes a water supply device that can be provided to be supplied by.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배수장치 및 상기 물공급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rainage device and the water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 및 도 4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장치와 물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drainage device and a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배수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에 따른 배수장치(100)는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택에 따라 상기 응축수가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비되거나, 수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rainag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drain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o the outside, the condensate is provided to be automatically drain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r to be manually drained to the outside Can be.

이를 위해, 상기 배수장치(100)는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비되는 배수통(80)과,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선택적으로 상기 배수통(80)으로 저장되도록 하거나, 외부로 직접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커넥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rainage device 100 is a drain container 80 is provided so that the condensed water stored therein is manually drained to the outside by the user, and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selectively to the drain container (80) It may include a drain connector 120 to be stored, or to be directly drained to the outside.

상기 배수통(80)은 사용자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통(80)은 캐비닛(1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커넥터(120)에 의해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배수통(80)으로 저장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배수통(80)을 비워야 하는데, 이때 상기 배수통(80)이 상기 캐비닛(1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면 사용자가 쉽게 상기 배수통(80)을 비울 수 있기 때문이다.The drain container 80 is provided to allow the condensed water stored therein to be drained to the outside by the user. Preferably, the drain container 80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the cabinet 10. When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side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by the drain connector 120 is stored in the drain container 80, the user must empty the drain container 80 directly. This is because if the cabinet 10 is detachably provided, the user can easily empty the drain box 80.

상기 배수커넥터(120)는 외부와 연통하는 제1배수연결관(130)(도3 참조) 또는 상기 배수통(80)에 연결되는 제2배수연결관(140)(도4 참조)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drain connector 120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connection pipe 130 (see FIG. 3) or the second drain connection pipe 140 (see FIG. 4) connected to the drain box 8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Can be connected.

상기 배수커넥터(120)가 상기 제1배수연결관(13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외부로 자동적으로 배수될 수 있고, 상기 배수커넥터(120)가 상기 제2배수연결관(14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응축수는 상기 배수통(80)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When the drain connector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connection pipe 130,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may be automatically drained to the outside, and the drain connector 1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When connected to the tube 140, the condensed water may be stored in the drain container 80 to be manually drained to the outside by the user.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를 응축수가 외부로 직접 배수시키기에 용이한 위치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커넥터(120)를 상기 제1배수연결관(130)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배수장치(100)가 상기 응축수를 외부로 자동적으 로 배수시키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install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n a position where it is easy to drain the condensate directly to the outside, by connecting the drainage connector 120 to the first drainage connecting pipe 130, the drainage device 100 ) Can automatically drain the condensate to the outside.

또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를 응축수가 외부로 직접 배수시키기에 용이하지 않은 위치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커넥터(120)를 상기 제2배수연결관(140)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배수장치(100)가 상기 응축수를 상기 배수통(80)으로 배수되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install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 a position where it is not easy to directly drain the condensate to the outside, the drainage connector 1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age connecting pipe 140, thereby providing the drainage device ( 100 may allow the condensate to be drained and stored in the drain container 80.

또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의 설치위치에 상관없이 선택에 따라 상기 배수커넥터(120)를 상기 제1배수연결관(130) 또는 제2배수연결관(140)에 연결시킴으로써,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거나, 상기 배수통(8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connection pipe 130 or the second drain connection pipe 140 according to the selection, irrespective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he occurrence occurs in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he condensed water may be automatically drained to the outside or stored in the drain container 80.

즉, 본 출원에 따른 배수장치(100)에 의하면,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거나, 상기 배수통(8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That is, according to the drainag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 can automatically drain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to the outside, or the drain box 80 It can be stored in a convenient way.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상기 배수커넥터(120)가 상기 제1배수연결관(130)과 제2배수연결관(14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이후에도, 제1커버(40) 또는 제2커버(41)(도1 및 도2 참조)를 열어 상기 배수커넥터(120)가 상기 제1배수연결관(140)과 제2배수연결관(130)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도록 쉽게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install the first cover 40 or the second cover even after the drainage connector 12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drain connection pipe 130 and the second drain connection pipe 140. 41) (see FIGS. 1 and 2), the drainage connector 120 can be easily change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first drain connection pipe 140 and the second drain connection pipe 130.

즉, 본 출원에 따른 배수장치(100)에 의하면,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외부로 자동적으로 배수되도록 하거나, 상기 배수통(80)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drainag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to be automatically drained to the outside or stored in the drain box 80.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커넥터(120)는 도3 및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굴곡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배수커넥터(120)가 제1배수연결관(130) 또는 제2배수연결관(140)에 연결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drain connector 120, as shown in Figures 3 and 4, may be made of a bent pipe. Then,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drainage connector 120 to the first drain connection pipe 130 or the second drain connection pipe 140 may be facilitated.

한편, 상기 배수커넥터(120)의 일측은 수납실(11)의 소정위치에 연결되거나, 상기 스팀발생기(60)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수납실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미도시)의 소정위치에 연결되거나, 상기 열풍공급장치(50)의 케이스(51)의 소정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drain connector 120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orage chamber 11, or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steam supply pipe (not shown) for guiding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60 to the storage chamber. Or, it may b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se 51 of the hot air supply device (50).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응축수는 상기 수납실(11)에서 발생되거나, 상기 스팀공급관(미도시)에서 발생되거나, 상기 케이스(51)에서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배수커넥터(120)는 상기 위치 외에도 응축수가 발생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어느 위치에도 연결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condensed water i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gener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11, in the steam supply pipe (not shown), or in the case 51. Of course, the drain connector 120 may be connected to any position of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condensate is generated in addition to the position.

바람직하게는, 도3 및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장치(100)는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10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커넥터(120)는 일측이 상기 집수부(101)에 연결된 제3배수연결관(102)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배수연결관(130) 또는 제2배수연결관(140)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101)는 수납실(11), 스팀공급관(미도시), 케이스(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drainage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water collecting portion 101 for collecting condensate generated in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he drainage connector 120 is one side It is connected to the third drain connection pipe 102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101, the other side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connection pipe 130 or the second drain connection pipe 140. Here, the water collecting part 101 may be provided to collec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storage chamber 11, the steam supply pipe (not shown), and the case 51.

이와 같이, 상기 배수장치(100)가 집수부(101)를 포함하면,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여러 곳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상기 집수부(101)에 집수되고, 상기 배수커넥터(120)의 일측은 상기 집수부(101)에 연결된 제3배수연결관(102)에 연결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상기 집수부(101)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의류처리장치의 여러 곳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여러 곳 각각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수커넥터(120)가 필요하기 때문이다.As such, when the drainage device 100 includes the water collecting part 101, condensate generated in various places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s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01, and one side of the drain connector 120 is forme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since it only needs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drain connection pipe 102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101. If the water collecting unit 101 is not provided, a plurality of draining connectors 120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various places in order to allow the condensate generated in various places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to be drained to the outside.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장치(100)는 상기 집수부(101)에 집수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drainag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ump 110 for pumping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101.

상기 펌프(110)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상기 집수부(101)에 집수된 응축수가 상기 배수통(80)에 저장되도록 하거나 또는 외부로 직접 배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수커넥터(120)와 배수통(80)은 상기 집수부(101)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계상에 제약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전장실(30)에는 각종 부품들이 내장되기 때문에, 상기 배수통(80)과 배수커넥터(120)가 상기 집수부(101)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If the pump 110 is not provided, in order to allow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by the water collecting unit 101 to be stored in the drain container 80 or to be directly drained to the outside, the drain connector 120 and the drain container 80 ) Should be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101,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re is a restriction in design. In general, since the various components are built in the electric compartment 30, it is not easy to allow the drain container 80 and the drain connector 120 to be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water collecting part 101.

또한, 상기 배수통(80)이 상기 집수부(101)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면, 사용자가 상기 배수통(80)에 저장된 물을 비우기 위해서는 몸을 그만큼 많이 숙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 In addition, if the drain box 80 is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water collecting unit 101, it is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 must lean so much to empty the water stored in the drain box (80).

그러나, 도3 및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장치(100)가 집수부(101) 외에 펌프(110)를 더 포함한다면, 상기 배수통(80)과 배수커넥터(120)는 상기 집수부(101)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장실(30) 내에 각종 부품을 설치하는 설계상의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통(80)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배수통(80)을 비우기 위해 몸을 많이 숙일 필요가 없어서 편리하다.However, as shown in FIGS. 3 and 4, if the drainage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pump 110 in addition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101, the drain container 80 and the drain connector 120 may be dispos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Since it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101, the design convenience of installing various components in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30 can be provided. In addition, since the drain container 80 may be install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the user does not need to bow much to empty the drain container 80, which is convenient.

여기서, 상기 펌프(110)의 작동은 소정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 기 집수부(101)에 응축수가 펌핑되기에 용이할 정도로 집수된 경우에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pump 110 may be controlled to be opera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when the condensate is coll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101 so as to be easily pumped. This may be perform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한편, 본 출원에 따른 배수장치(100)는 상기 스팀발생기(60) 내의 잔수가 상기 집수부(101)로 선택적으로 집수되도록 하는 밸브(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ainag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valve 150 to selectively collect the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60 to the collecting portion 101.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기(60) 내의 잔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밸브(150)를 개방하여 상기 스팀발생기(60) 내의 잔수가 상기 집수부(101)로 집수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drain the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60 to the outside, the valve 150 is opened so that the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60 is collected by the water collecting part 101. Can be drain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출원에 따른 배수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데, 도 3은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배수커넥터(120)가 제1배수연결관(130)에 연결된 것을 나타내고, 도 4는 상기 배수커넥터(120)가 제2배수연결관(140)에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ainag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ures 3 and 4, Figure 3 is a drain connector 120 so that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s automatically drained to the outside ) Is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connection pipe 130, Figure 4 shows that the drain connector 1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connection pipe 140.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물공급장치(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ater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본 출원에 따른 물공급장치(200)는 스팀발생기(60)에 급수되기 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기 위한 물이 선택에 따라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거나, 수동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The water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upply wat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60, and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60 according to a selection, or manually. It is provided to be supplied.

이를 위해, 상기 물공급장치(200)는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기 위한 물이 수동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급수통(70)과, 선택적으로 상기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도록 하거나, 외부 급수원의 물이 직접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도록 하는 급수커넥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water supply device 200 is a water supply tank 70 is provided so that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is manually supplied, and optionall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is the steam generator It may include a water supply connector 210 to supply water to the 60, or to directly supply water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the steam generator (60).

상기 급수통(70)은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기 위한 물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통(70)은 캐비닛(1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커넥터(210)에 의해 상기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급수통(70)에 물을 채워야 하는데, 이때 상기 급수통(70)이 상기 캐비닛(1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면 사용자가 쉽게 상기 급수통(70)에 물을 채울 수 있기 때문이다.The water supply tank 70 is provided so that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can be manually filled by the user, preferably the water supply tank 70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cabinet 10. have.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by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0, the user must fill the water supply tank 70 with water directly, in which case the water supply tank 70 is provided. This is because if the cabinet 10 is detachably provided, the user can easily fill the water container 70 with water.

상기 급수커넥터(210)는 일측이 상기 스팀발생기(60)의 급수구(미도시)에 직접 연결되거나, 도3 및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급수구에 연결되는 제3급수연결관(250)에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 급수원에 연결되는 제1급수연결관(220)(도3 참조) 또는 상기 급수통(70)에 연결되는 제2급수연결관(250)(도4 참조)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0 is one sid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not shown) of the steam generator 60, or 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thir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5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20 (see FIG. 3) or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50 (see FIG. 4)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70. May be optionally connected.

상기 급수커넥터(210)가 상기 제1급수연결관(22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외부 급수원의 물이 스팀발생기(60)로 직접 급수될 수 있고, 상기 급수커넥터(210)가 상기 제2급수연결관(25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될 수 있다. When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20,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and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0 may supply the second water supply. Whe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250,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may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를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기에 용이한 위치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커넥터(210)를 상기 제1급수연결관(220)에 연결시킴으로써, 외부 급수원의 물이 스팀발생기(60)로 자동적으로 급수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install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t a position easy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20 so that the water of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i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feed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60).

또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를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기에 용이하지 않은 위 치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커넥터(210)를 상기 제2급수연결관(250)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install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n a location that is not easy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by connecting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0 to the second water supply connector 250, the water supply container ( The water stored in 70 may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또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의 설치위치에 상관없이 선택에 따라 상기 급수커넥터(210)를 상기 제1급수연결관(220) 또는 제2급수연결관(250)에 연결시킴으로써, 외부 급수원의 물 또는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connect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0 to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ing pipe 220 or the second water supply connecting pipe 250 according to the selection irrespective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so that the water of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lternativel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may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즉, 본 출원에 따른 물공급장치(200)에 의하면,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기 위한 물이 외부 급수원에 의해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급수통(70)에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채우게 되는 물에 의해 공급되도록 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That is,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 to automatically supply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according to the selection o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by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or , The us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container 70 by the water to be manually filled, it is convenient.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상기 급수커넥터(210)가 상기 제1급수연결관(220)과 제2급수연결관(25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이후에도, 제1커버(40) 또는 제2커버(41)(도1 및 도2 참조)를 열어 상기 급수커넥터(120)가 상기 제1급수연결관(220)과 제2급수연결관(250)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도록 쉽게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have the first cover 40 or the second cover even after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or 220 and the second water supply connector 250. 41) (see FIGS. 1 and 2), the water supply connector 120 can be easily change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20 and the secon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50.

즉, 본 출원에 따른 물공급장치(200)에 의하면, 사용자는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기 위한 물이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수동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to be automatically supplied, or to be supplied manually.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커넥터(210)는 도3 및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굴곡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급수커넥터(210)가 제1급수연결 관(220) 또는 제2급수연결관(250)에 연결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0 may be formed of a bent tub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n,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0 to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20 or the secon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50 may be facilitated.

한편, 상기 물공급장치(200)는 제1급수연결관(22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외부 급수원의 물이 선택적으로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도록 하는 제1급수밸브(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물공급장치(200)가 외부 급수원의 물이 직접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즉, 상기 급수커넥터(210)가 제1급수연결관(220)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supply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first water supply valve 230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20 to selectively supply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the steam generator 60. It may include. Then, when the water supply device 200 is provided so that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is directly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that is,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or 220.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물공급장치(200)는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도록 펌핑하는 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물공급장치(200)가 상기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즉, 상기 급수커넥터(210)가 제2급수연결관(220)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급수통(70)의 위치가 상기 스팀발생기(60)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pump (not shown) for pump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to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Then, when the water supply device 200 is provided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that is,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0 to the secon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20 When connected, not only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can be adjusted, but also when th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tank 70 is lower than the steam generator 60, the water supply tank 70 ) May be provided to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바람직하게는, 도3 및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급수통(70)은 상기 스팀발생기(6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은 높이차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될 수 있어서 별도의 펌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급수통(70)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급수통(70)에 쉽게 물을 채울 수 있다. 만약, 상기 급수통(70)이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면, 사용자는 그만큼 몸을 숙여야 하 기 때문에 불편하다.Preferably,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water supply tank 7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team generator (60). T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can be naturally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by the height differe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pump.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70 can be install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ll the water supply container 70 with water. If the water container 70 is installed in a low position, the user is uncomfortable because he has to lean so much.

이 경우, 상기 물공급장치(200)는 제2급수연결관(22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선택적으로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도록 하는 제2급수밸브(2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통(70)으로부터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device 20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con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20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the second water supply valve ( It is preferred to further include 240).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tank 70 to the steam generator 6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출원에 따른 물공급장치(20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데, 도 3은 외부 급수원의 물이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도록 급수커넥터(210)가 제1급수연결관(220)에 연결된 것을 나타내고, 도 4는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도록 급수커넥터(210)가 제2급수연결관(220)에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On the other han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ures 3 and 4, Figure 3 is a water supply connector (so that the water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the steam generator 60) It is shown that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or 220, Figure 4 is the water supply connector 210 is the second water supply connector 220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Indicates that it is connected to.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물공급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급수커넥터에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그 외의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부호와 설명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도면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However, since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only in the water supply connector in comparison with the above embodiment, th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for other components use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in the above embodiments.

본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300)는 자동모드시 외부 급수원의 물이 스팀발생기(60)로 직접 공급되도록 하고, 수동모드시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supply the water of the external water source directly to the steam generator 60 in the automatic mod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in the manual mode is the steam generator 60 It may be provided to be supplied to.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3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기 위한 물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at is, the water suppl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can be supplied manually or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통(70)은 캐비닛(1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 다. 수동모드시에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급수통(70)에 물을 채워야 하는데, 이때 상기 급수통(70)이 상기 캐비닛(1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면 사용자가 쉽게 상기 급수통(70)에 물을 채울 수 있기 때문이다.Preferably, the water container 70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cabinet (10). In the manual mode, the user needs to fill the water tank 70 directly. At this time, if the water tank 70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cabinet 10, the user can easily supply water to the water tank 70. Because it can fill.

상기 물공급장치(300)는 급수커넥터(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connector 310.

상기 급수커넥터(310)의 일형태는 도 5에 도시되는데,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급수커넥터(310)에는 내부가 물이 흐르도록 소정이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314), 상기 몸체부(314)의 측방으로 분지되는 제1연결부(311)와 제2연결부(312), 상기 몸체부(314)의 상방으로 분지되는 제3연결부(31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커넥터(310)는 3개의 급수관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시키는 소정의 연결관이다. One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connector 310 is shown in Figure 5, as shown in Figure 5, the water supply connector 310, the body portion 314,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so that the water flows inside, the body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12 branched to the side of the 314,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313 branched above the body part 314 may be provided. That is, the water supply connector 310 is a predetermined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three water supply pip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한편,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311)는 외부 급수원에 연결된 제1급수연결관(220)과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312)는 급수통(70)에 연결된 제2급수연결관(250)과 연결되고, 상기 제3연결부(313)는 스팀발생기(60)의 급수구(미도시)에 연결된 제3급수연결관(215)과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연결부(313)는 상기 급수구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first connector 311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he second connector 312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70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250, the third connector 313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water supply pipe 215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not shown) of the steam generator (60). Of course, the third connector 313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따라서, 자동모드시 외부 급수원의 물은 제1급수연결관(220), 제1연결부(311), 몸체부(314), 제3연결부(313) 및 제3급수연결관(215)을 통해 스팀발생기(60)로 공급될 수 있고, 수동모드시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은 제2급수연결관(250), 제2연결부(312), 몸체부(314), 제3연결부(313) 및 제3급수연결관(215)을 통해 스팀발생기(60)로 공급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automatic mode, the water of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20, the first connection part 311, the body part 314, the third connection part 313, and the thir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15. Can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in the manual mode is the second water supply connector 250,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2, the body portion 314,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313 And it may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through the thir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15.

이와 같이, 상기 물공급장치(300)가 상기 급수커넥터(310)를 포함되면, 스팀발생기(60)의 구조가 간단해 질 수 있다. 왜냐하면, 외부 급수원의 물이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와,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팀발생기(60)의 공급구(미도시)가 2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급수커넥터(310)가 구비되면, 상기 제1,2,3급수연결관(220,250,215)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As such, when the water supply device 300 includes the water supply connector 310, the structure of the steam generator 60 may be simplified. This is because, when the structure for allowing water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to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and the structure for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70 to the steam generator 60 are provided separately, This is because two supply ports (not shown) of the steam generator 60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when the water supply connector 310 is provid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s 220, 250 and 215 may be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급수연결관(215)의 위치또는 스팀발생기(60)의 급수구(미도시)는 상기 제1,2급수연결관(220,25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제1급수연결관(220)과 제2급수연결관(250)을 통해 각각 공급되는 물은 높이차에 의해 상기 제3급수연결관(215) 또는 상기 급수구(미도시)로 자연적으로 흘러갈 수 있다.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6, the position of the thir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15 or the water inlet (not shown) of the steam generator 60 is less than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s (220, 250) It is desirable to be provided at a low position. Then,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20 and the secon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50, respectively, to the thir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15 or the water supply port (not shown) by the height difference. Can flow to

또한, 상기 제3연결부(313)가 상기 몸체부(314)로부터 분지되는 위치는 상기 제1,2연결부(311,312)가 상기 몸체부(214)로부터 분지되는 위치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제1,2연결부(311,312)를 통해 공급된 물은 자연적으로 상기 제3연결부(313)에 연결되는 제3급수연결관(215) 또는 스팀발생기(60)의 급수구로 용이하게 흘러갈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where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313 is branched from the body portion 314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311 and 312 are branched from the body portion 214. Then,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311 and 312 easily flows into the water supply port of the third water supply connector 215 or the steam generator 60 that is natur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313. Can be.

한편, 상기 물공급장치(300)는 제1급수연결관(22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외부 급수원의 물이 선택적으로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도록 하는 제1급수밸브(230)와, 제2급수연결관(25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선택적으로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도록 하는 제2급수밸브(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device 30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20 and the first water supply valve 230 to selectively feed water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the steam generator 60, A second water supply valve 240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con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250 to selectively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to the steam generator 60.

자동모드시 외부 급수원의 물이 스팀발생기(60)로 공급되는 경우나, 수도모두시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스팀발생기(60)로 공급되는 경우에도, 상기 스팀발생기(60)로 공급되는 물은 조절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When the water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in the automatic mode, or even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the steam generator 60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This is because the water to be supplied needs to be adjus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공급장치(300)는 자동모드시 상기 제1급수밸브(230)가 작동되도록 하며, 수동모드시 상기 제2급수밸브(240)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water supply device 300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not shown) to operate the first water supply valve 230 in the automatic mode, and to operate the second water supply valve 240 in the manual mode. It may include.

이 경우,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의 선택 및 전환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소정위치에는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자동모드와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 In this case, an operation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binet 10 so that selection and switching of the automatic mode or the manual mode can be made by the user.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automatic mode and the manual mode or change the selected one to another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not shown).

한편,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1급수밸브(230) 또는 제2급수밸브(24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동모드시 급수통(70)에 저장된 물이 비워진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자동모드로 전환하여 외부 급수원의 물이 스팀발생기(60)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급수밸브(23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irst water supply valve 230 or the second water supply valve 240 to operate automatically, not by the user's selection. For example,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70 in the manual mode is empty, the control unit switches to the automatic mode so that the water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60, the first water supply valve 230 Can be controlled to work.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물공급장치(200)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스팀발생기(60)로 급수되기 위한 물이 공급될 수 있어서, 편리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wat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60 can be supplied automatically or manually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t is convenient.

도 1은 본 출원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전장실 내부의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interior of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 및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수장치와 물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3 and 4 is a view showing the drainage and the water supply of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도 5 및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물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 : 캐비닛 11 : 수납실10 cabinet 11: storage room

30 : 전장실 50 : 열풍공급장치30: electric field room 50: hot air supply device

60 : 스팀발생기 70 : 급수통60: steam generator 70: water supply tank

80 : 배수통 100 : 배수장치80: drain container 100: drainage device

200 : 물공급장치200: water supply device

Claims (20)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이 구비되는 캐비닛;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clothes; 상기 수납실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및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for supplying to the storage chamber; And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하고,It includes; drainage for draining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o the outside, 상기 배수장치는 선택에 따라 상기 응축수가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비되거나, 수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drainage device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the condensate to be automatically drained to the outside, or manually drain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수장치는,The drainage device,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가 수동적으로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비되는 배수통과, A drain container provided to allow the condensate stored therein to be manually drained to the outside; 의류처리장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선택적으로 상기 배수통으로 저장되도록 하거나, 외부로 직접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a drainage connector configured to selectively store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n the drain box, or directly drain the water to the outsid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배수통은 상기 캐비닛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drain container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provided in the cabine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배수커넥터는 외부와 연통하는 제1배수연결관 또는 상기 배수통에 연결되는 제2배수연결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drainage connector is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drainage conne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r a second drainag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drainag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를 더 포함하고,The drainage device further includes a water collecting portion for collecting the condensate, 상기 배수커넥터는 일측이 상기 집수부에 연결된 제3배수연결관과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와 연통하는 제1배수연결관 또는 상기 배수통에 연결되는 제2배수연결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drainage connector is connected to a third drainage pip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and the other side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 first drainage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r a second drainage pipe connected to the drainage pip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made of.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응축수를 펌핑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drainage device further comprises a pump for pumping the condensat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배수커넥터는 굴곡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drainage connector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ip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 내의 잔수가 상기 집수부로 선택적으로 집 수되도록 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drainage device further comprises a valve for selectively collecting the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이 구비되는 캐비닛;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clothes; 상기 수납실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및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for supplying to the storage chamber; And 상기 스팀발생기로 급수되기 위한 물이 선택에 따라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거나, 수동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물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And a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or to be supplied manually.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물공급장치는,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스팀발생기로 급수되기 위한 물이 수동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급수통과,A water supply pail provided to passively supply wat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선택적으로 상기 급수통에 저장된 물이 상기 스팀발생기로 급수되도록 하거나, 외부 급수원의 물이 직접 상기 스팀발생기로 급수되도록 하는 급수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a water supply connector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steam generator, or directly supplying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to the steam generator.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급수커넥터는 외부 급수원에 연결되는 제1급수연결관 또는 상기 급수통에 연결되는 제2급수연결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water supply connector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or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급수케넥터는 굴곡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water supply connector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ip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제1급수연결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외부 급수원의 물이 선택적으로 상기 스팀발생기로 급수되도록 하는 제1급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water supply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first water supply valv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to selectively supply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the steam generator.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급수통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로 펌핑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water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es a pump for pump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steam generator.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급수통은 저장된 물이 높이차에 의해 상기 스팀발생기로 급수되도록 상기 스팀발생기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고, The water container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team generator so that the stored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by the height difference,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제2급수연결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통에 저장된 물이 선택적으로 상기 스팀발생기로 급수되도록 하는 제2급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water supply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econd water supply valv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con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to selectively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steam generator.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이 구비되는 캐비닛;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clothes; 상기 수납실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for supplying to the storage chamber; 상기 스팀발생기로 급수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급수통; 및A water supply tank storing wat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And 자동모드시 외부 급수원의 물이 상기 스팀발생기로 직접 공급되도록 하고, 수동모드시 상기 급수통에 저장된 물이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And a water supply device for directly supplying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the steam generator in the automatic mode and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steam generator in the manual mode.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물공급장치는 외부 급수원에 연결되는 제1급수연결관, 상기 급수통에 연결되는 제2급수연결관 및 상기 스팀발생기의 급수구에 연결된 제3급수연결관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시키는 급수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water supply device is a water supply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first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third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of the steam generato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제1급수연결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외부 급수원의 물이 선택적으로 상기 스팀발생기로 급수되도록 하는 제1급수밸브와, The water supply device includes a first water supply valve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to selectively supply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the steam generator; 상기 제2급수연결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통에 저장된 물이 선택적으로 상기 스팀발생기로 급수되도록 하는 제2급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a second water supply valv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cond water supply connection pipe to selectively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steam generator.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물공급장치는 자동모드시 상기 제1급수밸브가 작동되도록 하며, 수동모드시 상기 제2급수밸브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의류처리장치.The water supply device is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to operate the first water supply valve in the automatic mode, the second water supply valve in the manual mode.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사용자가 자동모드와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하거나, 선택된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로 변경되도록 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a manipulation unit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one of an automatic mode and a manual mode, or changing the selected one to another.
KR1020070137533A 2007-12-26 2007-12-26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358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33A KR101435823B1 (en) 2007-12-26 2007-12-26 Laundry trea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33A KR101435823B1 (en) 2007-12-26 2007-12-26 Laundry treat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756A true KR20090069756A (en) 2009-07-01
KR101435823B1 KR101435823B1 (en) 2014-09-23

Family

ID=4132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533A KR101435823B1 (en) 2007-12-26 2007-12-26 Laundry treat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8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382B1 (en) * 2011-09-08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men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9371E1 (en) 2014-12-19 2023-01-17 Lg Electronics Inc. Fabric treating apparatus
KR20210128260A (en) 2020-04-16 2021-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drying machine
KR102352402B1 (en) * 2020-04-17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Fabric treating apparatus
KR20210129870A (en) 2020-04-21 2021-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dry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662B1 (en) * 2002-07-23 2008-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 managing device
KR100662364B1 (en) * 2004-11-01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clothes
ES2281239B1 (en) * 2005-03-23 2008-08-16 Ibai, S. Coop. CLOTHING AND DRYING CLOTHING CLOTH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382B1 (en) * 2011-09-08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823B1 (en)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822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67773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2107148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295579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EP2055824B1 (en) Dryer
US823061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435810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CN111936690B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CA2659256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EP3792388A1 (e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comprising a recirculation module
KR100587360B1 (en) Washing device
KR101435823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US822552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967640B1 (en)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221378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2213779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30459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67775B1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86358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542375B1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KR101572884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67774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