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358B1 - Cloth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358B1
KR101486358B1 KR20080067943A KR20080067943A KR101486358B1 KR 101486358 B1 KR101486358 B1 KR 101486358B1 KR 20080067943 A KR20080067943 A KR 20080067943A KR 20080067943 A KR20080067943 A KR 20080067943A KR 101486358 B1 KR101486358 B1 KR 10148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steam generator
suppli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67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7342A (en
Inventor
유승규
문정욱
이광희
박혜용
최창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6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358B1/en
Priority to ES09798065.0T priority patent/ES2638006T3/en
Priority to AU2009271889A priority patent/AU2009271889B2/en
Priority to US13/003,838 priority patent/US8966943B2/en
Priority to EP09798065.0A priority patent/EP2310564B1/en
Priority to PCT/KR2009/003820 priority patent/WO2010008162A2/en
Priority to CN2009801277841A priority patent/CN102099523B/en
Publication of KR2010000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3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3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06F2105/40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using water or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상기 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물이 높이차에 의해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도록 상기 스팀발생장치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용이하게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forming a housing space in which clothes are housed; A hot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accommodation space; A steam generator for supplying steam to the space;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tor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provid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team generator so that the stored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by a height difference. According to such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water.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 treating apparatus}[0001] Cloth treat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water easily.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넷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In recent years, various kinds of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have been used together with washing machines for washing clothes. For example, there have been developed drum type driers for drying clothes that have been washed, cabinet-type dryers for hanging clothes and drying them, and refreshers for refreshing clothes by supplying hot air to clothes.

상기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셔, 또는 건조기 등은 주로 히터를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히터는 가스를 연소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가스식 히터와, 전기저항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식 히터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설치가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전기식 히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Among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a refresher, a dryer, or the like mainly uses a heater to heat the air to supply hot air to clothes. Such a heater includes a gas heater that heats the gas by burning gas to generate air, and an electric heater that heats the air by electric resistance. In recent years, an electric heater that is easy to install and has a simple structure is widely us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전기식 히터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게 되면, 히터의 고온의 열이 직접 의류로 전달될 수 있어 의류가 손상되거나, 나아가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air is heated by the electric heater, the heat of the heater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clothes, which may damage the clothes or cause a fire insid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또한, 전기식 히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게 되므로, 원하는 온도까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전기 소모량이 많아져서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heater heats the air using electricity, in order to heat the air up to a desired temperature, the electric consumption increases, which causes a problem that a large maintenance cost is required.

본 발명은 보관되는 의류에 열풍 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보다 용이하게 의류를 리프레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freshing clothes by supplying hot air or steam to clothes to be stor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freshing clothes more easily.

상기와 같은 목적은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상기 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물이 높이차에 의해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도록 상기 스팀발생장치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lso achieved by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clothes therein; A hot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accommodation space; A steam generator for supplying steam to the space;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tor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team generator so that the stored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by a height difference. Processing apparatus.

한편,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의 일측에는 저장된 물이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급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부는 부착시 상기 급수구가 열려지도록 하며, 이탈시 상기 급수구가 닫혀지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abinet. A water supply por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to supply the stored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and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unit for opening the water supply port when the water supply unit is attached, can do.

한편, 상기 개폐부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급수구를 막도록 구비되는 막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음부재에는 상기 물공급부가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여 상기 급수구가 열려지도록 하는 지지바가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and a blocking member provided to block the water inlet by the elastic member. In addition, the block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bar for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to open the water supply port when the water supply unit is attached.

나아가, 상기 물공급부와 스팀발생장치 사이에는 상기 급수구가 열려진 경우에 상기 물공급부에 저장된 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도록 하는 매개공간이 더 포함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wat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space between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steam generating unit to temporarily store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unit and supply the water to the steam generating unit when the water supply port is opened.

여기서, 상기 매개공간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물공급부가 부착된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여 상기 급수구가 열려지도록 하는 지지바가 구비될 수 있다.Here, a support bar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space to compress the elastic member to open the water supply port when the water supply unit is attached.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와 물공급부 사이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구는 상기 물공급부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valve between the steam generator and the water supply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The water supply port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스팀발생장치의 상부에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장치없이 용이하게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i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am generator,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water without a separate apparatu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를 리프레쉬하며 열풍을 공급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의류처리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refresher for refreshing clothes and supplying hot air is described a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hav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내부에 의류(1)를 수 용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 캐비넷(10), 수용공간(12)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도 2 참조, 22), 수용공간(12)으로 선택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장치(도 2 참조, 30) 및 스팀발생장치(30)로 높이차에 의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부(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 having a housing space 12 for accommodating clothes 1 therein, a hot air supplying hot air to the housing space 12, (See FIG. 2) for selectively supplying steam to the accommodation space 12 and a water supply device 30 for supplying water by height difference to the steam generating device 30 And may include a supply unit 60.

캐비넷(10)에는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12)은 도어(14)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된다. 또한, 수용공간(12)에는 의류(1)를 걸어둘 수 있는 각종 지지대(16) 등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의류(1)를 지지하는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cabinet 10 is provided with various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and a receiving space 12 in which clothes are received is formed in the cabinet 10. The accommodation space 12 is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by the door 14. [ 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space 12 is provided with various supports 16 for hanging the clothes 1. Th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clothes 1 is widely known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한편, 캐비넷(10)의 일측에는 수용공간(12)으로 열풍 및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가 수용되는 기계실(20)이 형성된다. 기계실(20)은 바람직하게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전술한 열풍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 등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는 이유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 등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를 향하여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A hot air supply device 22 for selectively supplying hot air and steam to the accommodation space 12 and a machine room 20 accommodating the steam generating device 30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cabinet 10. The machine room 20 is preferably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 and the hot air supply device 22 and the steam generator 30 described above are located inside. The reason why the machine room 20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is that the hot air and steam supplied to the housing space 12 have a property of ascending so that the machine room 20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Because it is preferable to supply them.

도 2는 기계실(20) 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히트펌프(22) 및 스팀발생장치(30)의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배관라인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side the machine room 20. In FIG. 2, only the components of the heat pump 22 and the steam generator 30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iping line connecting the components is not shown.

도 2를 참조하면,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도 1 참조, 12)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로써 히트펌프(22) 및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30)가 위치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a hot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accommodation space (see FIG. 1) 12 is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20, and a heat pump 22 and a steam generator 30 for supplying steam are located do.

본 발명의 열풍공급장치에 해당하는 히트펌프(22)는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와 유사하다. 즉, 히트펌프(22)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24), 압축기(26), 응축기(28)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24)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26)를 거쳐 응축기(28)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24)와 응축기(28)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응축기(28)를 거쳐 제습 및 가열되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The heat pump 22 corresponding to the hot ai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heat pump used in an air conditioner or the like. That is, the heat pump 22 is provided with an evaporator 24, a compressor 26, a condenser 28 and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irculates, thereby dehumidifying and heating the air. That is, the refrigerant evaporates in the evaporator 24 to absorb the latent heat of the surrounding air, and the air is cooled to condense and remove moisture in the air. Further, when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condenser 28 through the compressor 26, the ambient air is heated by releasing latent heat toward the surrounding air. Accordingly, the evaporator 24 and the condenser 28 function as a heat exchanger,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chine room 20 is dehumidified and heated through the evaporator 24 and the condenser 28, .

이와 같이 히트펌프(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22)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트펌프(2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heated by the heat pump 22 can be slightly lower in temperature than the air heated using the conventional heater, but it is possible to dehumidify the air without using a separate dehumidifying device. Therefore, the air supplied back to the accommodation space 12 by the heat pump 22 is relatively 'low temperature dry air' (here, 'low temperature' does not mean that the temperature is absolutely low, Which means that the temperature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eated air). Therefore, although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by the heat pump 2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 than the hot air of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dehumidified air is supplied without a separate dehumidifying device, .

구체적으로,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는 수용공간(12)의 공기가 기계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1)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21)와 증발기(24), 응축기(28) 및 팬(32)을 연결하는 덕트(29)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29)에 의해 공기유입구(21)를 통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히트펌프(22)를 지나면서 제습 및 가열되어 팬(32)에 의해 다시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An air inlet 21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machine room 2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chine room 20 and an air inlet 21 and an evaporator 24, 28 and the fan 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duct 29.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chine room 20 through the air inlet 21 by the duct 29 is dehumidified and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pump 22 and is suppli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12 again by the fan 32 .

여기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유입구(21)에는 바람직하게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21)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수용공간(12)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air inlet 21 may preferably be provided with a filter. By providing the filter in the air inlet 21, it becomes possible to filter various foreign substances or the like that may be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chine room 20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12, and to supply only fresh air to the accommodation space 12.

한편, 기계실(20)에는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30)를 구비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공급함에 따라 의류 등에 생길 수 있는 주름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의류 옷감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스팀을 분사하는 시기는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히트펌프(22)에 의해 열풍을 공급하기에 앞서서 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고 난 후,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In the meantime, the machine room 20 is provided with a steam generator 30 for selectively supplying steam to the accommodation space 12. It is possible to remove wrinkles and the like which may occur in the clothes or the like due to the supply of the steam to the accommodation space 12 by the steam generating device 30 and further to the effect of sterilization by the high temperature steam, Effect can be expected. As described above, the timing of spraying the steam by the steam generator 30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Preferably, the steam is sprayed before the hot air is supplied by the heat pump 22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it is preferable to dry clothes by supplying hot air after spraying high temperature steam.

스팀발생장치(30)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하게 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20)의 일측에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물공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타입의 물공급부는 바람직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물공급부를 기계실(2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steam generator 30 includes a heater (not shown) for heating water, and generates steam by supplying water to the storage space 12. An external faucet or the like may be used as a wate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30 or a container type water supply unit may be used at one side of the machine room 20. [ This container type water supply portion is preferably detachably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separate the water supply portion from the machine room 20 to fill and reinstall the water.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물공급부(6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unit 60 detachably provided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물공급부(60)는 기계실(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기계실(2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3, the water supply unit 60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chine room 20, preferably at the front of the machine room 20.

구체적으로 물공급부(60)는 물탱크(도 4 참조, 70) 및 물탱크(7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65)을 형성하는 케이스(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62)는 기계실(2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기계실(20)의 전면에서 슬라이딩가능한 드로워타입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20)의 전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portion 60 may include a case 62 forming a water storage tank (see FIG. 4) 70 and a seating space 65 where the water tank 70 is seated. The case 62 is detach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chine room 20 and may be formed as a drawer type slidable on the front side of the machine room 20 or may be formed on the machine room 20 as shown in FIG. And may be formed as a pivoting type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즉, 케이스(62)는 하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기계실(2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물공급부(60)에 물을 채우고자 하는 경우에 케이스(62)를 회동시켜 기계실(20)의 외부로 물탱크(70)를 빼내어 물을 공급하게 된다.That is, the case 62 i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2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lower part. When the user wants to fill the water supply part 60 with water, the case 62 rotates, The water tank 70 is pulled out to supply water.

한편, 케이스(62)의 내측에는 물탱크(7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65)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62)는 안착공간(65)이 구비되는 바디패널(64)과, 바디패널(64)과 일체로 형성되어 캐비넷(10)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면패널(63)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물이 저장된 물탱크(70)는 안착공간(65)에 안착되어 스팀발생장치(30)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 바,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 seating space 65 in which the water tank 70 is seated is formed inside the case 62. Specifically, the case 62 includes a body panel 64 having a seating space 65 and a front panel 63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nel 64 and form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 In this case, the water tank 70 in which the water is stored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65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3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또한, 케이스(62)의 바디패널(64)에는 안착공간(65)과 별도의 저장공간(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66)은 기계실(20)의 내부에서 발생한 오수 등을 집수하여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열풍공급장치(22)로 히트펌프를 채용하는 경우, 히트펌프에서 열교환에 의해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응축수를 히트펌프에 그대로 보관하게 되면 응축수의 오염에 의해 악취 및 고장의 원인이 된다.In addition, the body panel 64 of the case 62 may be formed with a storage space 66 separate from the seating space 65. The storage space 66 provides a space for collecting and storing wastewater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20. In particular, when a heat pump is used as the hot air supply device 22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by heat exchange in the heat pump. If such condensed water is stored in the heat pump as it is, It may cause malfunction.

따라서, 히트펌프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저장공간(66)으로 집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저장공간(66)에 안착되는 별도의 저장용기(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용기로 응축수와 같은 오수를 집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응축수를 저장공간(66)으로 보내는 경우, 저장공간(66)이 히트펌프에 비하여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펌프를 구비하여 응축수를 펌핑하여 저장공간(66)으로 보낼 수 있다. 결국,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에 의해 저장공간(66)에 오수가 집수되는 경우, 사용자는 케이스(60)를 회동시켜 기계실(20)에서 분리한 다음, 저장용기의 오수를 버릴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pump is collected in the storage space 66, preferably having a separate storage vessel (not shown) seated in the storage space 66 and collecting wastewater such as condensate in the storage vessel . In addition, when the condensed water is sent to the storage space 66, if the storage space 66 is located above the heat pump, the condensed water can be pumped to the storage space 66 with a pump. As a result, when wastewater is collected in the storage space 66 by driving the garment processing device, the user can rotate the case 60 to separate it from the machine room 20, and then can throw away the waste water in the storage container.

이하에서는 물공급부(60)에 의해 스팀발생장치(30)로 물을 공급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30 by the water supply unit 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물공급부(60)가 기계실(20)에 장착되어 스팀발생장치(30)로 물을 공급하는 구성을 나타낸다.4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ater supply unit 60 is mounted in the machine room 20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30. [

도 4를 참조하면, 물공급부(60)의 케이스(62)의 안착공간(65)에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70)가 수용된다. 물탱크(7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하부에는 물탱크(7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스팀발생장치(30)로 공급되는 급수구(72)가 형성되며, 급수구(72)에는 물공급부(60)가 캐비넷(10)에 부착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물을 급수하는 개폐부(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water tank 70, in which water is stored, is accommodated in a seating space 65 of a case 62 of the water supply unit 60. A water supply port 72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70 to the steam generator 3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water tank 70 and preferably at a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70, 60 may be attached to the cabinet 10, and may include an opening / closing part 80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구체적으로, 안착공간(65)의 하부에는 개구부(63)가 형성되며, 물탱크(70)의 하부에 탭(71)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탱크(70)가 안착공간(65)에 안착되는 경우에 탭(71)이 개구부(63)를 통하여 돌출하게 된다. 한편, 탭(71)의 단부에 급수를 위한 급수구(72)가 형성될 수 있다.An opening 63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space 65 and a tab 71 is detachab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70 so that the water tank 7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65 The tab 71 protrudes through the opening 63 when it is seated. On the other hand, a water supply port 72 for water supply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tab 71.

한편, 급수구(72)에는 물공급부(60)가 캐비넷(10)에 장착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물을 급수하는 개폐부(80)를 포함하는데, 개폐부(80)는 급수구(7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막음부재(82)와, 막음부재(82)에 대해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84)를 포함한다.The water supply port 72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unit 80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when the water supply unit 60 is installed in the cabinet 10.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8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water supply port 72 A blocking member 82 movably provided to open and close, and an elastic member 84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blocking member 82. [

즉, 급수구(72)에 인접하여 지지부재(86)가 구비되고, 탄성부재(84)는 일단이 지지부재(86)에 의해 지지되며 타단에는 막음부재(82)가 연결된다. 이러한 탄성부재(84)는 지지부재(86)에 의해 지지되어, 막음부재(82)에 대해서 급수구(72)를 향하여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물공급부(60)가 캐비넷(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탄성부재(84)의 탄성력에 의해 막음부재(82)가 급수구(72)를 폐쇄하여 물이 물탱크(70)의 외부로 공급되지 않는다.That is, a support member 86 is provided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port 72,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8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86, and the blocking member 8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 elastic member 8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86 so as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blocking member 82 toward the water inlet 72. Therefore, when the water supply portion 60 is not mounted on the cabinet 10, the blocking member 82 closes the water supply port 7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4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70 .

그런데, 물공급부(60)가 캐비넷(10)에 장착되는 경우, 캐비넷(10)의 일측에 는 막음부재(82)에 대응하는 지지바(9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부(60)를 캐비넷(10)에 장착하는 경우, 지지바(90)가 막음부재(82)를 밀게 되어 막음부재(82)는 탄성력을 이기고 밀리게 되어 급수구(72)를 개방하게 된다. 급수구(72)가 개방됨에 따라 물탱크(70) 내부의 물이 급수구(72)를 통하여 공급된다. 또한, 지지바(90)가 막음부재(82)를 미는 경우에, 보다 정확하게 막음부재(82)를 밀 수 있도록 막음부재(82)에는 지지바(90)의 홈(92)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83)를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water supply unit 60 is mounted on the cabinet 10, a support bar 90 corresponding to the blocking member 8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10. Therefore, when the water supply part 60 is mounted on the cabinet 10, the support bar 90 pushes the blocking member 82, so that the blocking member 82 is pushed against the elastic force to open the water supply port 72 . The water in the water tank 70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72 as the water supply port 72 is opened. In addition, when the support bar 90 pushes the stopper member 82, a part of the stopper member 8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92 of the support bar 90 so as to more accurately push the stopper member 82 The protruding portion 83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83. [

한편, 도면에서는 지지바가 캐비넷(10)의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바가 막음부재(82)에 형성되어 급수구(72)를 통하여 돌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물공급부(60)가 장착되는 경우에 막음부재(82)에 형성된 지지바가 캐비넷(10)의 일측에 의해 지지되어 막음부재(82)는 탄성력을 이기고 급수구(72)에서 이격되어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although the support bar is shown as be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10 in the drawing, the support bar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bar may be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82 and protrud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72. That is, when the water supply part 60 is mounted, the support bar formed on the blocking member 82 is supported by one side of the cabinet 10 so that the blocking member 82 has elasticity and is separated from the water supply port 72,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공급부(60)에서 스팀발생장치(30)로 급수하는 경우에 물공급부(60)는 스팀발생장치(3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물공급부(60)가 캐비넷(10)에 장착되는 경우에 스팀발생장치(3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물공급부(60)의 물을 스팀발생장치(30)로 끌어올려 공급하는 별도의 펌프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부(60)가 캐비넷(10)에 장착되는 경우에 스팀발생장치(3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펌프와 같은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순히 높이차에 의해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water supply unit 60 may be installed on the steam generator 30 whe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30 from the water supply unit 60 as described above. If the water supply unit 60 is installed in the cabinet 10 and the water supply unit 60 is positioned below the steam generator 30, . Therefore, when the water supply unit 60 is mounted on the cabinet 1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water supply unit 60 is positioned above the steam generator 30, a member such as a pump is not required, Can be supplied.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부(80)에 의해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 급수 구(72)가 개방된 경우에 물이 바로 스팀발생장치(30)로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급수구(72)에서 공급되는 물이 스팀발생장치(30)로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나아가 스팀발생장치(30)에서 물이 넘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water is supplied by the opening / closing part 80, water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30 when the water inlet 72 is opened. In this case, 72 may be excessively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30, or water may overflow the steam generator 30.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는 물공급부(60)에서 공급되는 물이 스팀발생장치(30)로 공급되기에 앞서서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개공간(68)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space 68 in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ection 60 can be temporarily stored before being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ing apparatus 30. [

이러한 매개공간(68)은 물공급부(60)의 안착공간(65)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캐비넷(10)에 스팀발생장치(30)의 상부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매개공간(68)은 소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의 형상을 가지게 되며, 일측에 스팀발생장치(30)와 연결되는 유로(9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부(60)가 캐비넷(10)에 장착되어 급수구(72)를 통하여 물이 급수되면, 급수된 물은 매개공간(68)에 먼저 저장되며, 유로(92)를 통하여 스팀발생장치(30)로 공급된다. 이 경우, 유로(92)를 통하여 스팀발생장치(3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로(92)에 밸브(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유로(92)를 통하여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매개공간(68)의 바닥면은 유로(92)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Such an intermediate space 68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ating space 65 of the water supply part 60 but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am generator 30 in the cabinet 10. 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space 68 may have a recessed shape capable of recei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may include a flow path 92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30 at one side thereof. Accordingly, when the water supply unit 60 is installed in the cabinet 10 and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72, the water is first stored in the intermediate space 68, (30). In this case, a valve (not shown) may further be provided in the flow path 92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30 through the flow path 92.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pace 68 may be inclined toward the flow path 92 so that water is smoothly supplied through the flow path 92.

한편, 이와 같이 매개공간(68)을 구비하는 경우, 전술한 캐비넷(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바(90)는 매개공간(68)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가 막음부재(82)에 형성되는 경우, 매개공간(68)의 바닥에 의해 지지바가 지지되어 막음부재(82)가 개방될 수 있다.The supporting bar 9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binet 10 may be protruded from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space 68. In this case, Further, when the support bar is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82, the blocking bar 82 can be opened by supporting the supporting bar by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space 68. [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방법에 따라 스팀발생장치(30)로 물이 공급되면 스팀발생장치(30)의 히터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스팀을 생성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36) 및 스팀노즐(40)을 통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스팀호스(36)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또는 스팀이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호스(36)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계실(20)이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팀노즐(40)은 기계실(20)의 상부, 즉 수용공간(12)의 하부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again to FIG. 2,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3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water is heated by the heater of the steam generator 30 to generate steam.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or 30 is suppli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12 through the steam hose 36 and the steam nozzle 40. In this case, the shorter the length of the steam hose 36 is, in order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from being lowered or the steam to be condensed while the steam moves along the steam hose 36, the shorter the length of the steam hose 36 is. The steam nozzle 40 preferably supplies steam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machine room 20,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12, when the machine room 20 is located below the accommodating space 12 .

또한, 기계실(20)의 배면부에는 순환팬(34)을 구비할 수 있다. 순환팬(34)은 기계실(20)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2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전술한 히트펌프(22) 및 스팀발생장치(30)가 구동을 하여 기계실(20)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circulation fan 34 may be provided on the backside of the machine room 20. [ The circulating fan 34 supplies the air outside the machine room 20 to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20 so that the heat pump 22 and the steam generator 30 are driven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machine room 20 is excessively high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ascend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기계실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chine room in Fig. 1,

도 3은 도 1에서 물공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unit in Fig. 1, and Fig.

도 4는 물공급부와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unit and a steam generator.

Claims (10)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A cabinet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A hot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A steam generator for supplying steam to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높이차에 의해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도록 상기 스팀발생장치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물공급부; 그리고,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a case for forming a seating space in which the water tank is seated, wherei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A water supply unit provid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team generator; And, 상기 안착공간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매개공간;을 포함하고,And an intermediate spac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space and having a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water befor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상기 매개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와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termediate sp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s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abinet.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물공급부의 일측에는 저장된 물이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급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부는 부착시 상기 급수구가 열려지도록 하며, 이탈시 상기 급수구가 닫혀지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 water supply port through which the stored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section and the water supply port opens the water supply port when the water supply unit is attached and the water supply port is closed when the water supply unit is detach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개폐부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급수구를 막도록 구비되는 막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Wherein the opening / closing part includes an elastic member and a blocking member provided to close the water supply port by the elastic member.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막음부재에는 상기 물공급부가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여 상기 급수구가 열려지도록 하는 지지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Wherein the blocking member is formed with a support bar for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to open the water supply port when the water supply unit is attached.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매개공간에는 상기 급수구가 열려진 경우에 상기 물공급부에 저장된 물이 급수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상기 매개공간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물은 상기 유로를 통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Characterized in that water is temporarily supplied and stored in the water supply portion when the water supply port is opened in the intermediate space and water temporarily stored in the intermediate space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through the flow path. Process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매개공간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물공급부가 부착된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여 상기 급수구가 열려지도록 하는 지지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a support bar for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to open the water supply port when the water supply unit is attached to the predetermined space of the intermediate spac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유로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Wherein the flow path is provided with a valv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7, 상기 급수구는 상기 물공급부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Wherein the water supply port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케이스는 하부를 중심으로 상기 캐비넷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Wherein the case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around a lower portion thereof.
KR20080067943A 2008-07-14 2008-07-14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4863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7943A KR101486358B1 (en) 2008-07-14 2008-07-14 Cloth treating apparatus
ES09798065.0T ES2638006T3 (en) 2008-07-14 2009-07-13 Casting Treatment Apparatus
AU2009271889A AU2009271889B2 (en) 2008-07-14 2009-07-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3/003,838 US8966943B2 (en) 2008-07-14 2009-07-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a rotatable water supply part
EP09798065.0A EP2310564B1 (en) 2008-07-14 2009-07-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09/003820 WO2010008162A2 (en) 2008-07-14 2009-07-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09801277841A CN102099523B (en) 2008-07-14 2009-07-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7943A KR101486358B1 (en) 2008-07-14 2008-07-14 Cloth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342A KR20100007342A (en) 2010-01-22
KR101486358B1 true KR101486358B1 (en) 2015-01-26

Family

ID=4181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7943A KR101486358B1 (en) 2008-07-14 2008-07-14 Cloth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3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584B1 (en) 2014-12-19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EP3832003A4 (en) * 2018-07-30 2022-05-25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ing apparatus
KR102138540B1 (en) * 2019-11-05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1191A1 (en) * 2003-06-25 2005-01-0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070025660A (en) * 2005-09-05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KR20070105580A (en) * 2006-04-27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1191A1 (en) * 2003-06-25 2005-01-0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070025660A (en) * 2005-09-05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KR20070105580A (en) * 2006-04-27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342A (en)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1055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8037626B2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366273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20210124123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31056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809965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87360B1 (en) Washing device
KR10115500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191205B1 (en) Control method of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090105085A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486358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295381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542375B1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KR101486382B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430458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128813B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090102399A (en) Device for cloth treating
KR101397033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155005B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090100804A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20110127426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366275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0987454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20090123493A (en) Door for cloth tre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