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834A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834A
KR20090050834A KR1020070117483A KR20070117483A KR20090050834A KR 20090050834 A KR20090050834 A KR 20090050834A KR 1020070117483 A KR1020070117483 A KR 1020070117483A KR 20070117483 A KR20070117483 A KR 20070117483A KR 20090050834 A KR20090050834 A KR 20090050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nector
inclined support
terminal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20876B1 (en
Inventor
박형수
변창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876B1/en
Priority to US12/260,634 priority patent/US7929291B2/en
Priority to EP08168847A priority patent/EP2060962A3/en
Priority to CN2008101763141A priority patent/CN101436872B/en
Publication of KR2009005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8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8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가 거치된 때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대; 및 일부분이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단말기가 거치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베이스나 경사 지지대에 대하여 커넥터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단말기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거치대에 연결된 케이블과 멀티 소켓을 추가로 설치하여 충전, 외부 스피커나 이어폰 연결, 외장 하드 디스크나 휴대용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ase; An inclined support mounted on the base and supporting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And a connector, a portion of which protrudes to one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and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connector of the terminal at the same time, wherein the connector discloses a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rotates on the inclined support. The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or detached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connector so that the connector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or the inclined support, so that the user is convenient and adds a cable and a multi socket connected to the cradle. By installing it to provide charging, external speaker or earphone connection, external hard disk or portable flash memory, etc.,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efficiently utilize the multimedia functions of the terminal.

단말기, 거치대, 커넥터, 회동, 탈착, 멀티 소켓 Terminal, Cradle, Connector, Rotating, Detachable, Multi Socket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RADLE FOR PORTABLE TERMINAL}Cradle for mobile terminal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전자수첩, 휴대용 게임기,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폰, 게임 폰, 채팅 폰, 카메라 폰, MP3 폰,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PCS), 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 Hand Held Phone(HHP)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거나 다른 기기와의 접속을 위해 제공되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notebook, portable game conso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hone, game phone, chat phone, camera phone, MP3 phone, cellular phone (cellular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C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hand held phone (HHP)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der provided for charging a portable terminal or connecting to another device.

근래에는 이동통신 기능이 아니더라도, 스케줄 관리 등의 기능으로 특화된 전자수첩,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재생기 기능으로 특화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 특정 기능만을 탑재한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equipped with specific functions such as an electronic organizer specialized for schedule management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specialized for games or multimedia players have been used, even if they are not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s. The term "portable terminal" in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회로 장치의 집적도가 향상되고, 고속, 대용량 정보 전송이 가능한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하나의 기기에 전자수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뿐만 아니라 소액 결제와 같은 금융 기능 등이 탑재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With the increased integration of circuit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capable of high-speed and high-capacity information transmission, such portable terminals are not only functions of electronic organizers, multimedia player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ut also finance such as micropayments. It is evolving into the form equipped with function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단말기는 힌지 장치에 의해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한 쌍의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슬라이딩형 단말기가 폴더형 단말기와 함께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스윙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사용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고 있다.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terminal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in the bar-type, the flip-type terminal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shaped housing, the folder-typ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hinge device Means that the fold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ngle bar-shaped housing and configured in a folding manner. In addition, a sliding type terminal coupled to a pair of housings to be slidably movable occupies a high market share with a folding type terminal, and swing type terminals appear to satisfy various tastes of users.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이를 이용한 상업용 서비스, 예를 들면, 게임, 동영상 재생, 음악 파일 재생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어 사용자에게는 다양한 목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이동통신 서비스 업자에게는 새로운 수익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use of portable terminals has become more common, commercial services using them, such as games, video playback, and music file playback, have been enhanced to enable users to use portable terminals for various purposes. Is providing new revenue opportunities.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으나, 휴대용 단말기만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 Although multimedia services are provided through such portable terminals,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in using various types of multimedia services with only the portable terminals.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으로 제작되는데, 이는 방송 시청이나 동영상을 감상하는데 요구되는 충분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방송 시청이나 동영상 감상뿐만 아니라, 음악 감상에 있어서도 고음질의 음향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소형화된 단말기 내에서는 고용량, 고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스피커 장치를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a portable terminal is made compac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which is an obstacle to mounting a display device of sufficient size required for watching a broadcast or watching a video.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high-quality sound not only for broadcasting and watching videos but also for listening to music. That is, it is difficult to mount a speaker device of a sufficient size to provide high capacity and high sound quality in a miniaturized terminal.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 자체가 소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설치되는 저장 매체의 용량이 제한되어 대용량의 동영상 파일 등을 저장하는데에도 한계가 있다. 즉, 고용량의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반도체형 저장 매체를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하는 경우 그 가격이 상승하게 되며, 하드 디스크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용량이 큰 저장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무게와 크기가 증가되어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downsized, the capacity of the storage medium installed therein is limited, and thus there is a limit to storing a large sized video file. In other words, when a semiconductor storage medium such as a high-capacity flash memory is mounted in a portable terminal, the price thereof increases, and when the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isk, is used that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has a large capacity, the weight of the terminal is increased. And the size is increas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rtability is reduced.

결국, 휴대용 단말기는 그 자체로서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기능이 탑재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나 스피커 장치와 같은 출력 장치의 제한과 저장 용량의 제한으로 인하여 그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As a result, even though the portab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function of the multimedia player itsel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fully utilize the functio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output device such as the display device or the speaker device and the limitation of the storage capacity.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capable of using variously and efficiently multimedia functions of a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외부 스피커 장치, 외장 하드 디스크와 같은 다양한 매체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for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to various media such as an external speaker device and an external hard disk.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한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easy to mount and detach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충전과 동시에 외부 스피커 장치, 외장 하드 디스크와 같은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capable of providing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external speaker device, an external hard disk while charging.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가 거치된 때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대; 및 일부분이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단말기가 거치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개시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ase; An inclined support mounted on the base and supporting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And a connector, a portion of which protrudes to one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and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connector of the terminal at the same time, wherein the connector discloses a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rotates on the inclined support.

이때, 상기 경사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하단면에 대면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대면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지지부 상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clined support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first support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support part inclinedly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part and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wherein a part of the connector is installed to protrude onto the first support part.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 몸체; 및 상기 회전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은 상기 접속 부재임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is a rotating body which is installed in a rotatable state on the inclined support; And a connect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rotating body, wherein a part of the connector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is the connecting member.

또한, 상기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경사 지지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 몸체에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 몸체를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inclined support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rotating body, and the elastic member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in one direction.

아울러, 상기 거치대는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제공되는 멀티 소켓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멀티 소켓은 직류 전원 소켓, 음향/영상 출력 소켓, 또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adle is a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a multi socket provided at an end of the cable, wherein the multi socket may include a DC power socket, an audio / video output socket, or a universal serial bus (USB) socket.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경사 지지대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와 베이스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경사 지지대에 체결되는 스크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와 제1 하우징 부재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lder is a first housing member moun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a screw fastened to the inclined support by sequentially passing the first housing member and the base in a state where the inclined support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wherein the connector includes the inclined support and the first It is preferable to be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housing members.

이때, 상기 거치대는 상기 경사 지지대에 형성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사 지지대와 제1 하우징 부재가 각각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때, 상기 제1, 제2 개구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 개구에 수용되면서 그 일부분을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경 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holder is a first opening formed in the inclined support; And a second opening formed in the first housing memb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inclined support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are mounted to the base, respectively, and the connector Received in the second opening to project a portion of the inclined support through the first opening.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경사 지지대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지지 리브; 상기 지지 리브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지지홈; 상기 제2 개구의 양측 내벽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지지홈; 및 상기 커넥터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지지 돌기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지지홈이 상기 지지 돌기를 감싸는 상태로 서로 대면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를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rad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the support ribs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opening; First support groov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support ribs; Second support groove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inner walls of the second opening; And supporting protrusions extending from both side ends of the connector,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grooves face to each other in a state of wrapping the supporting protrusion, so that the connecto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clined support. It will provide a means to.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베이스나 경사 지지대에 대하여 커넥터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단말기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거치대에 연결된 케이블과 멀티 소켓을 이용하여, 충전, 외부 스피커나 이어폰 연결, 외장 하드 디스크나 휴대용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이용하여 외부 스피커, 모니터나 TV와 연결함으로써 단말기를 통해 재생되는 음악이나 동영상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으며, 외장 하드 디스크와 같은 외부 저장 매체를 연결함으로써 단말기 자체의 한정된 저장 용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저장 매체 자체로는 재생 기능이 제한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재생할 수 있으므로, 가정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자체로서 가정용 오디오나 비디오 플레이어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venient installation because the connector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base or the inclined support so that the user can mount or detach the terminal in a desired direction. In addition, by using a cable and a multi-socket connected to the cradle, it provides charging, connection of external speakers or earphones, external hard disk or portable flash memory, etc., thereby enabling various and efficient use of the multimedia functions of the terminal. That is, by using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speaker, a monitor or a TV, the user can conveniently watch music or a video played through the terminal, and by connecting an external storage medium such as an external hard disk, limited storage of the terminal itself. Capacity limitations can be overcome. In addition, although the playback function is limited to the external storage medium itself, since the playback function can be play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can replace the function of the home audio or video player.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200)에 장착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한 형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그 일면의 일부분이 개폐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11)와 키패드(1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스피커 장치(106)가 설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개폐된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후면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피커 장치(106)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에서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First, FIGS. 1 to 3 illustrate a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at can be mounted to the holder 2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th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housing 101 and a second housing 102, and the second housing 102 slides on the first housing 101. By moving, a part of the one surface is opened and closed. A display device 111 and a keypad 113 ar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1, and a speaker device 106 is installed on the second housing 102 to slide the second housing 102. It opens and closes as it moves. That is, the second housing 102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1 and slides, and as the second housing 102 slides, the speaker device 106 moves to the first housing ( Selectively open at the top of 101).

한편,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하단면에는 인터페이스 커넥터(203)(119)가 설치되어, 충전기, 데이터 케이블 등과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1 is provided with interface connectors 203 and 119,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charger, a data cable, and the lik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 분리되는 동작은 도 5 등을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2, the terminal 100 may be mounted on the cradle 200 by moving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operation of mounting and detaching the terminal 100 to the holder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거치대(20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단말기(100)와 접속되는 커넥터(203)가 베이스(201)나 경사 지지대(20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된 구성이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er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As shown in FIGS. 4 to 6, the holder 200 has a connector 203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pivo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base 201 or the inclined support 202. to be.

상기 베이스(201)는 상기 거치대(200)의 주요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상면이 곡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1)의 일면, 구체적으로는 상부면에 상기 경사 지지대(202)가 장착되며, 상기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경사 지지대(202)에 대면한 상태로 지지된다. The base 201 is to form the main appearance of the cradle 200, the upper surface may be manufactured in a curved shape. The inclined support 202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201,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erminal 100 is supported while facing the inclined support 202.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 지지대(202)는 상기 단말기(100)의 하단면과 후면에 각각 대면하는 제1 지지부(223)와 제2 지지부(22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지지부(223)는 상기 베이스(201)에 장착, 고정되며, 상기 제2 지지부(221)는 상기 제1 지지부(223)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되면, 그의 하단면은 상기 제1 지지부(223)에 대면한 상태로 밀착되고, 후면은 상기 제2 지지부(221)에 대면한 상태로 밀착된다.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support 202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 223 and a second support 221 facing the bottom and rear surfaces of the terminal 100, respectively. The first support part 223 is mounted and fixed to the base 20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21 extends incline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223. When the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holder 200, its low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223 and the rea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221. .

상기 커넥터(203)는 상기 베이스(201), 구체적으로는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203)를 설치함에 있어서, 그의 일부분은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 커넥터(203)가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으로 돌출된 상기 커넥터(203)의 일부분에 접속된다. The connector 203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201, specifically, the inclined support 202. In installing the connector 203, a portion of the connector 203 protrudes onto the inclined support 202 so that the interface connector 203 of the terminal 100 protrudes onto the inclined support 202. 203).

상기 커넥터(203)는 회전 몸체(231)와 접속 부재(2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 부재(233)는 상기 회전 몸체(231)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형상이며, 상기 회전 몸체(231)가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접속 부재(233)는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으로 돌출되는 상기 커넥터(203)의 일부분은 상기 접속 부재(233)이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03)는 상기 접속 부재(233)에 결속된다. 상기 회전 몸체(231)를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은 도 6과 도 7을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The connector 203 is composed of a rotating body 231 and a connecting member 233. The connecting member 233 has a shape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31, the connecting member 233 is inclined by being installed rotatably on the inclined support 202. It is rotated on the support 202.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connector 203 protruding onto the inclined support 202 is the connection member 233, and as mentioned above, the interface connector 203 is bound to the connection member 233. .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tatable body 23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clined support 20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200) 상에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에서, 상기 커넥터(203)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접속 부재(233)가 연장된 방향과 위치에 따라 그 장착, 분리되는 방향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 부재(233)는 상기 제2 지지부(221)에 거의 평행하게 위치되며,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화살표 A(도 5에 도시됨)으로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03)가 상기 접속 부재(233)와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를 상기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말기(100)를 당겨 분리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커넥터(203)가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화살표 D 방향 또는 화살표 D' 방향으로 상기 단말기(100)를 당겨 상기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는 상기 단말기(100)를 분리하는 방향이 화살표 D, D' 방향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커넥터(203)가 회동하는 범위 내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어떠한 방향으로도 상기 단말기(100)를 당겨 분리할 수 있다. 4 and 5, on the holder 200, specifically on the inclined support 202, the connector 203 is rotatably installed, and the terminal 100 includes the connection member ( The direction in which the 233 is extended and mounted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extended direction and position.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00 is separated, the connection member 233 is position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cond support part 221, where the terminal 100 is indicated by arrow A (shown in FIG. 5). The interface connector 203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233 at the same time as being mounted to the holder 200. Meanwhile, when the terminal 10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the terminal 100 may be pulled out in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connector 203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clined support 202. That is, when detaching from the holder 200, the terminal 100 can be pulled out in the arrow D direction or the arrow D 'direction to separate it from the holder 200. In FIG. 5,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100 is separated is shown only in the directions of arrows D and D ', but the terminal 100 is pulled in any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connector 203 is rotated. Can be separated.

한편, 상기 거치대(200)는 케이블(251)과 멀티 소켓(206)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를 외부 스피커 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 외장형 하드 디스크 등 다양한 외부 기기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251)은 상기 커넥터(2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 상기 멀티 소켓(20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멀티 소켓(206)은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되는 단말기(100)의 충전을 위한 직류 전원 소켓, 음향이나 영상 출력을 위한 소켓, 외장형 하드 디스크 등의 매체를 접속시키기 위한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칭함) 소켓 등 다양한 소켓들(26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되는 단말기(100)가 USB 호스트(host) 기능을 가진다면, 상기 거치대(200)를 통해 외장형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 등을 재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holder 200 may include a cable 251 and a multi-socket 206 to connect the terminal 100 to various external devices such as an external speaker device, a display device, or an external hard disk. The cable 2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3, and the multi-socket 206 is installed at an end thereof. The multi-socket 206 is a universal serial bus for connecting media such as a DC power socket for charging the terminal 100 mounted on the holder 200, a socket for outputting sound or video, an external hard disk, and the like. serial b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B”) socket; and various sockets 261. In this case, if the terminal 100 mounted on the holder 200 has a USB host function, it is usefully used to play a video file stor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n external hard disk through the holder 200. Can be.

상기 케이블(251)은 다수의 도선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도선의 일단은 상기 소켓들(261)에, 타단은 상기 거치대(200) 내에서 회로 기판(253; 도 6에 도시됨), 가요성 인쇄회로(239; 도 5, 도 6에 도시됨) 등을 통해 상기 커넥터(203)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회로 기판(253)은 상기 커넥터(203)의 핀(pin)들에 각각 할당된 기능에 맞게 상기 소켓들(261)과 연결시키는 분배기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The cable 25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ires, one end of each wire is connected to the sockets 261 and the other end is a circuit board 253 (shown in FIG. 6) within the holder 200.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3 through a sexual printed circuit 239 (shown in FIGS. 5 and 6)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circuit board 253 provides a function of a distributor that connects the sockets 261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pins of the connector 203.

이하에서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거치대(200)의 구성을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베이스(201), 경사 지지대(202) 및 커넥터(203) 외에도, 상기 커넥터(203)로의 신호 전달 및 분배를 위한 회로 장치들과 이들을 보호하는 하우징 부재들을 구비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203)로의 신호 전달 및 분배를 위하여, 상기 거치대(200)는 회로 기판(253)과 가요성 인쇄회로(239)를 구비하며, 상기 회로 기판(253)과 가요성 인쇄회로(239)는 제1, 제2 하우징 부재(204, 205)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201)의 하부면에 위치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er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In addition to the base 201, the inclined support 202, and the connector 203, the holder 200 includes circuit device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to the connector 203 and housing members for protecting them. As mentioned above, the cradle 200 includes a circuit board 253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239 for signal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to the connector 203, and is flexible with the circuit board 253. The sexual printed circuit 239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01 in a state surrounded by the first and second housing members 204 and 205.

우선, 상기 경사 지지대(202)는 상기 베이스(201)의 상면에 장착됨을 앞서 언급한 바 있으며, 상기 베이스(201)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가 장착된다. First, as mentioned above, the inclined support 20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01,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01.

상기 경사 지지대(202)의 제1 지지부(223)는 상기 베이스(201)에 장착, 고정되며, 상기 제2 지지부(221)는 상기 베이스(20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부(223)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는 상기 베이스(201)의 하부면에 장착되며,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가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와 베이스(20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경사 지지대(202),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지지부(223)에 체결된다. 이로써,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가 상기 베이스(201)에 장착, 고정된다.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 베이스(201) 및 경사 지지대(202)를 스크류로 체결,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들 각각에는 스크류 홀들(219, 245)과 체결 돌기들(226)이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support part 223 of the inclined support 202 is mounted and fixed to the base 20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2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223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201. Is extended.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01, and a screw (not shown)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and the base 201 so that the inclined support 202 is provided. Specifically, it is fasten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223. As a result, the inclined support 202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are mounted and fixed to the base 201. In order to fasten and fix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the base 201, and the inclined support 202 with screws, screw holes 219 and 245 and fastening protrusions 226 are formed in each of them.

이때, 상기 커넥터(203)는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가 상기 베이스(201)에 장착,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커넥터(203)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 지지대(202)에는 제1 개구(225)가,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에는 제2 개구(24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가 상기 베이스(201)에 장착되면, 상기 제1, 제2 개구(225, 241)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203)는 상기 제2 개구(241)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1 개구(225)를 통해 상기 접속 부재(233)를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In this case, the connector 203 is mounted and fixed to the base 201 with the inclined support 202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and between the inclined support 202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It is assembled to be rotatable. In order to accommodate the connector 203, a first opening 225 is formed in the inclined support 202, and a second opening 241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respectively. When the inclined support 202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are mounted to the base 201,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225 and 24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or 203 is connected to the second. The connection member 233 protrudes onto the inclined support 202 through the first opening 225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opening 241.

상기 경사 지지대(202)는 상기 베이스(201)의 상면에,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의 하부면에 각각 장착되면서, 상기 제1, 제2 개구(225, 241)가 서로 연결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베이스(201)에 관통홀(211)이 형성되어야 함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201)에 형성되는 스크류 홀들(219)은 상기 관통홀(211) 주변에 배치된다. 다만, 상기 스크류의 나사 머리 부분이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에 지지되고, 나사 몸통 부분이 상기 경사 지지대(202)에 체결되면, 상기 스크류가 상기 베이스(201)에 직접 체결되지 않더라도 상기 베이스(201)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와 경사 지지대(202)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201)에는 상기 스크류 홀들(219)을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상기 베이스(201)에 상기 스크류 홀들(219)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통홀(211)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연장하여 상기 스크류들이 지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해야 함 에 유의한다. The inclined supporter 20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01,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respectively. , 24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hrough hole 211 should be formed in the base 201. In addition, screw holes 219 formed in the base 201 to fasten the screw are disposed around the through hole 211. However, when the screw head portion of the screw is supported by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and the screw body portion is fastened to the inclined support 202, even if the screw is not directly fastened to the base 201, the base 201 may be firmly fixed between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and the inclined support 202.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screw holes 219 in the base 201. When the screw holes 219 are not formed in the base 201, the edg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11 should be extended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screws can pass.

상기 커넥터(203)는 그 양측단에 형성된 지지 돌기(232)를 통해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 돌기(232)는 상기 회전 몸체(231)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The connector 203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inclined support 202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through support protrusions 232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he support protrusions 232 protrude from both side ends of the rotating body 231, respectively.

상기 경사 지지대(202)에는 제1 지지홈(229)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에는 제2 지지홈(2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가 상기 베이스(201)에 결합되면, 상기 제1, 제2 지지홈(229, 243)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203)는 상기 제1, 제2 개구(225, 241) 상에 위치된 상태이며, 상기 제1, 제2 지지홈(229, 243)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 돌기(232)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이로써, 상기 지지 돌기(232)는 상기 제1, 제2 지지홈(229, 243) 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몸체(231), 궁극적으로는 상기 커넥터(20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A first support groove 229 is formed in the inclined support 202, a second support groove 243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and the inclined support 202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are formed. When the 204 is coupled to the base 201,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229 and 243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In this case, the connector 203 is positioned o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225 and 241,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229 and 243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and thus the support protrusion ( I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232). As a result, the support protrusion 232 rotates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229 and 243 to rotatably support the rotating body 231 and ultimately the connector 203.

상기 경사 지지대(202)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 개구(225)의 양측에 위치되는 지지 리브(227)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리브(227)들의 일부분에 반원 형상의 상기 제1 지지홈(229)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홈(243)은 상기 제2 개구(241)의 양측 내벽에 각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지지홈(243)의 양측 내벽은 각각 단차진 형상이다.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가 상기 베이스(201)에 장착되면, 상기 지지 리브(227)는 상기 제1 개구(225)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2 개구(241)의 양측 내벽에 밀착된다. 이로써, 상기 제1, 제2 지지홈(229, 243)이 상기 지지 돌기(232)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 태로 결합되며, 상기 지지 리브(227)들은 상기 제2 개구(241) 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2 개구(241)의 단차와 상기 지지 리브(227)들의 두께가 서로 같다면, 상기 지지 리브(227)들에 의해 상기 제2 개구(241)의 양측 내벽은 상기 제1, 제2 지지홈(229, 243)에 의해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평면 형상을 이루게 될 것이다. Support ribs 227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opening 225 ar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202, and the first support grooves having a semicircular shape are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ribs 227. 229) is formed. The second supporting grooves 243 are formed in semicircular shapes on both inner walls of the second opening 241, respectively, and both inner walls of the second supporting grooves 243 are stepped. When the inclined support 202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are mounted to the base 201, the support ribs 227 are positioned in the first opening 225 and both sides of the second opening 241. It adheres to the inner wall.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229 and 243 are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232, and the support ribs 227 are positioned in the second opening 241. At this time, if the step of the second opening 241 and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ribs 227 are equal to each other, both inner walls of the second opening 241 are formed by the support ribs 227. 2 will have a planar shape including a hole formed by the support grooves (229, 243).

한편, 상기 커넥터(203)의 불필요한 유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203)는 탄성 부재(20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09)는 그의 일단이 상기 경사 지지대(202)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203)의 외주면,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 몸체(231)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커넥터(203)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상기 탄성 부재(209)의 탄성력은 상기 접속 부재(233)를 상기 제2 지지부(221)에 근접하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203)를 회동시키게 되며, 상기 접속 부재(233)는 상기 제1 개구(225)의 내벽에 간섭되어 상기 커넥터(203)를 정지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209)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기 커넥터(203)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접속 부재(233)는 상기 제2 지지부(221)에 거의 평행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203)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접속 부재(233)의 위치가 반드시 상기 제2 지지부(221)에 평행할 필요는 없으며, 제조업자가 최적의 사용환경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환경에 따라 상기 접속 부재(233)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in order to limit unnecessary flow of the connector 203, the connector 203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209.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209 is supported by the inclined support 202,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203, specifical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31, the connector 203 I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rotate in one direction. If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09 rotates the connector 203 in a direction to bring the connection member 233 closer to the second support part 221, and the connection member 233 ) Interferes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opening 225 to keep the connector 203 stationary. While the connector 203 is stationary while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09, the connection member 233 is position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cond support 221.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233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arallel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1 while the connector 203 is in a stopped state, and the manufacturer sets an optimum use environment and sets th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233 may be variously changed.

상기 탄성 부재(209)는 코일부(291)와 제1, 제2 자유단(291, 293)을 구비한다. 상기 코일부(291)는 상기 지지 돌기(232)의 외주면에 권선되며 상기 커넥터(203)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자유단(291)은 상기 코일부(29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사 지지대(202)의 하부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자유단(293)은 상기 코일부(29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203)의 외주면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코일부(291)는 상기 회전 몸체(231)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코일부(291)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2 자유단(293)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상기 회전 몸체(231)의 외주면에 지지하게 결합시킨 구성이다. The elastic member 209 includes a coil portion 291 and first and second free ends 291 and 293. The coil unit 291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232 and generates an elastic force that rotates the connector 203 in one direction. The first free end 291 extends from the coil part 291 to be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202, and the second free end 293 extends from the coil part 291 to the It is supported b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203.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portion 291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body 231, and the second free ends 293 extending from each of the coil portions 29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being coupled to suppo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31.

이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20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233)는 상기 제2 지지부(221)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상기 단말기(100)를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상기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커넥터(203)가 회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말기(1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connection member 233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support part 22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09 in the state that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 user may use the arrow A as shown in FIG. 5. The terminal 100 may be mounted to the holder 200 in a direction. When the user detaches the terminal 100 from the cradle 200, the connector 203 rotates to detach the terminal 100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05)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를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201)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05)의 내측에는 상기 회로 기판(25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로 기판(253)은 상기 케이블(251)을 구성하는 다수의 도선들 각각을 상기 커넥터(203)의 각 핀에 연결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회로 기판(253)의 회로 패턴은 상기 멀티 소켓(206)의 직류 전원 소켓을 상기 커넥터(203)의 충전용 핀들과 연결시키고, 음향/영상 출력 소켓을 상기 커넥터(203)의 출력 핀들과 연결시키며, USB 소켓을 상기 커넥터(203)의 USB 핀들과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로 기판(253)에는 상기 케이블(251)의 도선들이 연결되는 접속 단자(255)가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커넥터(203)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인쇄회로(239)가 접속되는 또 다른 접속 단자(257)가 장착되어 있다. The second housing member 205 is moun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201 while surrounding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The circuit board 253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member 205. The circuit board 253 has a circuit pattern for connec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wires constituting the cable 251 to each pin of the connector 203. That is, the circuit pattern of the circuit board 253 connects the DC power socket of the multi-socket 206 with the charging pins of the connector 203, and connects the audio / video output socket to the output pins of the connector 203. And a USB socket to the USB pins of the connector 203. In this case, the circuit board 253 is equipp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255 to which the conductive wires of the cable 251 are connected,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239 extending from the connector 203 is connected thereto. Another connection terminal 257 is attached.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05)가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베이스(201)에 밀착되면,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 등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05)를 고정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와 제2 하우징(102) 부재의 모서리 부근에는 각각 체결홀들(247, 259)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05)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는 상기 경사 지지대(20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와 경사 지지대(202) 사이에 상기 베이스(201)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When the second housing member 20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201 while surrounding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the second housing member 205 is fixed by fastening a screw or the like not shown. . In the present embodiment, fastening holes 247 and 259 are formed near edges of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and the second housing 102, respectively. That is, the second housing member 205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is fastened to the inclined support 202 so that the first housing member 204 is fastened. ) And the base 201 is firmly fixed between the inclined support 202.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거치대(200)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만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단말기(100) 자체는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 재생기로 사용되면서, 상기 거치대(200)를 통해 별도의 스피커 장치와, 모니터 또는 TV에 연결되어 영상과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 자체에 탑재된 저장 매체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더라도 상기 거치대(200)를 통해 USB 접속 방식의 외장형 하드 디스크나 디브이디-롬(DVD-ROM)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s mentioned above, by using the holder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onveniently enjoy various types of multimedia content with only the terminal 100. That is, the terminal 100 itself is used as a music or video file player, and is connected to a separate speaker device, a monitor or a TV through the holder 200 to output an image and a sound. In addition, even if the capacity of the storage medium mounted on the terminal 100 itself is not sufficient, the external hard disk or DVD-ROM of a USB connection method can be connected and used through the holder 200.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거치대(200)의 멀티 소켓(206)은 직류 전원 소켓, USB 소켓, 음향/영상 출력 소켓을 포함한다고만 언급하고 있으나, 제품의 활용 방안에 따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접속하여 모뎀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의 소켓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멀티 소켓(206)이라 칭하더라도, 직류 전원 소켓, USB 소켓, 음향/영상 출력 소켓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선택된 두 개의 소켓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당업자가 제품의 사양과 사용환경, 제작 비용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상기 멀티 소켓(206)에 탑재되는 소켓의 종류와 수를 결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multi-socket 206 of the cradle 200 only mentions that it includes a DC power socket, a USB socket and an audio / video output socket.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additional sockets to provide. In addition, the multi-socket 206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ly one of a DC power socket, a USB socket, and an audio / video output socket, or may include two selected sockets. As a result, it will be desira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determine the type and number of sockets mounted in the multi-socket 206 appropriately in consideration of product specifications, usage environment, and manufacturing cos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에 장착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form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mounted to a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a holder;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대로부터 분리하여 그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separated from the holder;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shown in Figure 2,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거치대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 portion of the cradle shown in FIG.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거치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radle shown in FIG. 4;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거치대의 경사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clined support of the cradle shown in FIG.

Claims (16)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있어서,In the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베이스;Base;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가 거치된 때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대; 및An inclined support mounted on the base and supporting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And 일부분이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단말기가 거치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A part protrudes to one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and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which is connected to an interface connector of the terminal while the terminal is mounted;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The connector is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on the inclined suppo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지지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clined support,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하단면에 대면하는 제1 지지부; 및A first support part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facing a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And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대면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A second support part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first support part and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지지부 상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A portion of the connector protrudes onto the first suppo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 몸체; 및A rotating body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clined support; And 상기 회전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하고,A connect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rotating body,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은 상기 접속 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A portion of the connector protruding to one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is a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memb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or, 일단이 상기 경사 지지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 몸체에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One end is further supported by the inclined support, the other end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supported by the rotating body,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 몸체를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The elastic member is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rotate the rotating body in one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 및A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제공되는 멀티 소켓을 더 구비하고,Further provided with a multi-socket provided at the end of the cable, 상기 멀티 소켓은 직류 전원 소켓, 음향/영상 출력 소켓, 또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소켓 중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 말기의 거치대. And the multi-socket comprises one of a DC power socket, an audio / video output socket, or a universal serial bus (USB) sock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그의 상면이 곡면 형상이고, 상기 경사 지지대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The cradle of claim 1, wherein the base has a curved top surface and the inclined support is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ase.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제1 하우징 부재; 및A first housing member moun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상기 경사 지지대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와 베이스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경사 지지대에 체결되는 스크류를 더 구비하고,In the state that the inclined support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further through the first housing member and the base to be further provided with a screw fastened to the inclined support,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와 제1 하우징 부재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The connector is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inclined support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제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 하우징 부재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제2 하우징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And a second housing member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while surrounding the first housing member. 제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경사 지지대에 형성되는 제1 개구; 및A first opening formed in the inclined support; And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더 구비하고,And a second opening formed in the first housing member, 상기 경사 지지대와 제1 하우징 부재가 각각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때, 상기 제1, 제2 개구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 개구에 수용되면서 그 일부분을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When the inclined support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are mounted to the base,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or is received in the second opening and a portion thereof is inclined through the first opening. The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upport. 제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경사 지지대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지지 리브;Support rib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and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opening; 상기 지지 리브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지지홈;First support groov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support ribs; 상기 제2 개구의 양측 내벽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지지홈; 및Second support groove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inner walls of the second opening; And 상기 커넥터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지지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Further comprising support protrusions extending from both side ends of the connector, 상기 경사 지지대와 제1 하우징 부재가 각각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때, 상기 제1, 제2 지지홈이 상기 지지 돌기를 감싸는 상태로 서로 대면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가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When the inclined support and the first housing member are mounted on the base,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in a state of enclosing the support protrusion, so that the connector rotates on the inclined support. Holder of portable terminal.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nector, 일단이 상기 경사 지지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 몸체에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One end is further supported by the inclined support, the other end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supported by the rotating body,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커넥터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The elastic member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rotate the connector in one direction.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elastic member, 상기 지지 돌기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부;A coil part wou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사 지지대에 지지되는 제1 자유단; 및A first free end extending from the coil part and supported by the inclined support; And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제2 자유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And a second free end extending from the coil part and suppor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nector,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 몸체; 및A rotating body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clined support; And 상기 회전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하고,A connect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rotating body,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회전 몸체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은 상기 접속 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The support protrusions extend from both side ends of the rotatable body, and a portion of the connector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is a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지지대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inclined support,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하단면에 대면하는 제1 지지부; 및A first support part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facing a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And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대면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A second support part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first support part and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 상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The connecting member is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onto the first support.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nnector, 일단이 상기 경사 지지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 몸체에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One end is further supported by the inclined support, the other end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supported by the rotating body,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접속 부재를 상기 제2 지지부에 근접하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몸체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The elastic member is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in a direction to bring the connection member close to the second support.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elastic member, 상기 지지 돌기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부;A coil part wou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사 지지대에 지지되는 제1 자유단; 및A first free end extending from the coil part and supported by the inclined support; And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제2 자유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And a second free end extending from the coil part and suppor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KR1020070117483A 2007-11-16 2007-11-16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KR1014208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83A KR101420876B1 (en) 2007-11-16 2007-11-16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US12/260,634 US7929291B2 (en) 2007-11-16 2008-10-29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EP08168847A EP2060962A3 (en) 2007-11-16 2008-11-11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CN2008101763141A CN101436872B (en) 2007-11-16 2008-11-14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83A KR101420876B1 (en) 2007-11-16 2007-11-16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834A true KR20090050834A (en) 2009-05-20
KR101420876B1 KR101420876B1 (en) 2014-07-17

Family

ID=4032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483A KR101420876B1 (en) 2007-11-16 2007-11-16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29291B2 (en)
EP (1) EP2060962A3 (en)
KR (1) KR101420876B1 (en)
CN (1) CN101436872B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164A (en) * 2009-11-17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D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101041103B1 (en) * 2009-12-04 2011-06-13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Stand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1398763B1 (en) * 2011-06-30 2014-05-27 블랙베리 리미티드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05788B1 (en) * 2011-06-30 2014-06-12 블랙베리 리미티드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06161B1 (en) * 2014-04-18 2015-03-26 주식회사 에어로시스템 Pivotable cradle
KR20160003806U (en)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Holding module
WO2019177360A1 (en) * 2018-03-13 2019-09-19 하인크코리아(주) Mobile device accesso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3802B1 (en) * 2011-11-03 2013-11-26 John E. Strauser Tri-holder/organizer system
US9423844B2 (en) 2007-02-20 2016-08-23 Dok Solution Llc Cradles having hinged back walls
US9685803B2 (en) 2007-02-20 2017-06-20 Dok Solution Llc Adap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 cradle
US9425651B2 (en) 2007-02-20 2016-08-23 Dok Solution Llc Staggered charging system
BRPI0901010A2 (en) * 2008-05-02 2015-06-23 Norman R Byrne Docking station for charging or transmitting or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to or from an electronic device.
CN101742843B (en) * 2008-11-12 2013-06-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Power unit
JP5443934B2 (en) * 2009-10-06 2014-03-19 ヤマハ株式会社 Connected equipment
CN102076200B (en) * 2009-11-24 2014-1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Electronic equipment
US8737064B2 (en) * 2010-01-12 2014-05-27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stand
WO2012083564A1 (en) * 2010-12-24 2012-06-28 天津九安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Human physiological parameter measurement device
US8780547B2 (en) * 2010-12-27 2014-07-15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JP5724495B2 (en) * 2011-03-17 2015-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projector
USD680515S1 (en) * 2011-01-04 2013-04-23 Gingo Biloba, S.A. Audio/video recorder/player equipment
US20120188687A1 (en) * 2011-01-20 2012-07-26 Ever Win International Corporation Dock with USB Port
CN102683970B (en) * 2011-03-08 2016-01-2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Base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with base
CN103430119A (en) * 2011-03-18 2013-12-04 皇家飞利浦有限公司 System for connecting portable device, apparatus comprising said system
US8599563B2 (en) * 2011-03-28 2013-12-03 Cyber Power Systems, Inc. Control panel having a pivotable connector
CN102856755B (en) * 2011-06-28 2016-04-2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Base
DE202011107782U1 (en) * 2011-11-11 2012-01-24 Marcus Kuchler Modular linear fixture and connector for Apple devices with "dock connector"
KR20130094402A (en) * 2012-02-16 2013-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Desk top-type universal dock
EP2708972B1 (en) * 2012-09-12 2015-05-06 BlackBerry Limited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032130B2 (en) 2012-09-12 2015-05-12 Blackberry Limited Dock for data transfer to and from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637567B2 (en) * 2012-09-26 2014-12-10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Cradle device
GB2508331B (en) * 2012-10-03 2019-12-18 B & W Group Ltd Docking station
US9836086B2 (en) 2013-08-02 2017-12-05 Belkin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docking stand with ejector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WO2015017827A1 (en) * 2013-08-02 2015-02-05 Belkin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docking stand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CN104423424A (en) * 2013-08-20 2015-03-18 系统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Mobile device multimedia base
US20150092329A1 (en) * 2013-09-28 2015-04-02 Sai P. Balasundaram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an embedded display unit
US9429995B2 (en) 2014-05-15 2016-08-30 Norman R. Byrne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s
KR102230076B1 (en) * 2014-09-01 2021-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KR20160105669A (en) * 2015-02-27 2016-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Connecter Module and Lock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6183664A1 (en) * 2015-05-15 2016-11-24 Spyder Digital Research Inc. Removable ca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CN210838302U (en) * 2016-10-07 2020-06-23 菲力尔系统公司 Electronic module
JP6511178B1 (en) * 2018-03-02 2019-05-15 任天堂株式会社 Power-on device
JP7247000B2 (en) * 2019-04-05 2023-03-28 任天堂株式会社 Energiz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1424A (en) * 1997-03-03 1998-11-24 Lextron Systems, Inc. USB to multiple connect and support bays for peripheral devices
TW471643U (en) * 2000-08-18 2002-01-01 Darfon Electronics Corp Carrier structure of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US6614649B1 (en) * 2000-09-14 2003-09-02 Sen-Cheng Wang Keyboard structure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U2002239817A1 (en) * 2001-01-04 2002-07-16 Cirque Corporation Connector and support system for a touchpad keyboard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s
US6457996B1 (en) * 2001-06-22 2002-10-01 Jess-Link Products Co., Ltd. Connector to PDA external keyboard
US6632037B2 (en) * 2001-08-21 2003-10-14 Silitek Corporation Keyboard assembly with positioning function
US20030095380A1 (en) * 2001-11-16 2003-05-22 Compal Electronics, Inc. Expansion statio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US6674636B2 (en) * 2002-01-22 2004-01-06 Jyh-Tsung Lin Keyboard device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US20040066611A1 (en) * 2002-10-04 2004-04-08 Michael Wu Computer keyboard with backup battery
TW549737U (en) * 2002-10-08 2003-08-21 Lite On Technology Corp Modularized and common-used PDA connector
TWM245470U (en) * 2002-10-09 2004-10-01 Hann Hwa Ind Co Ltd Storing rack with infrared transmission function
US6877919B2 (en) * 2003-02-03 2005-04-12 Minebea Co., Ltd. Foldable keyboard
TWM268757U (en) * 2004-12-07 2005-06-21 High Tech Comp Corp Recoverable connector structure and cradle having the connector structure
US20080285213A1 (en) * 2005-12-07 2008-11-20 Min-Liang Tan Keyboard With Media Device Docking Statio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164A (en) * 2009-11-17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D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US9509087B2 (en) 2009-11-17 2016-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101041103B1 (en) * 2009-12-04 2011-06-13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Stand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1398763B1 (en) * 2011-06-30 2014-05-27 블랙베리 리미티드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05788B1 (en) * 2011-06-30 2014-06-12 블랙베리 리미티드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853998B2 (en) 2011-06-30 2014-10-07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ck having a connector movable in response to a magnetic force
KR101506161B1 (en) * 2014-04-18 2015-03-26 주식회사 에어로시스템 Pivotable cradle
KR20160003806U (en)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Holding module
WO2019177360A1 (en) * 2018-03-13 2019-09-19 하인크코리아(주) Mobile device accessory
KR20190108017A (en) * 2018-03-13 2019-09-23 하인크코리아(주) Mobile device access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29010A1 (en) 2009-05-21
CN101436872B (en) 2012-09-05
EP2060962A2 (en) 2009-05-20
EP2060962A3 (en) 2011-08-17
US7929291B2 (en) 2011-04-19
KR101420876B1 (en) 2014-07-17
CN101436872A (en)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0834A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US8867770B2 (en) Speaker-connector modul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70174645A1 (en) Multimedia video and audio player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U2013278222B2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terminal
US20080125171A1 (en) Portable terminal with protrusion type mic module
KR101927201B1 (en)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US20110128511A1 (en) Folding-type portable device
US6829365B1 (en) MP-3 player
US7574242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replaceable modules
US11431181B2 (en)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with charging function
JP2003229938A (en) Foldable portable telephone system
KR101756476B1 (en) Contact terminal for portable terminal
CN101754606A (en) Electronic device
KR20110076278A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693880B1 (en) Connector of Portable Device for Multimedia
KR100802617B1 (en) Connec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CN217721326U (en) Television set
GB2435958A (en) Multimedia video and audio player
KR200327727Y1 (en) Terminal device of mobile phone
KR101788874B1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KR20100000940U (en) The multi-function gender that have an antenna
KR200372530Y1 (en) Ear-phone device
TW201019084A (en) Power device
KR101764428B1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