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428B1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428B1
KR101764428B1 KR1020110012473A KR20110012473A KR101764428B1 KR 101764428 B1 KR101764428 B1 KR 101764428B1 KR 1020110012473 A KR1020110012473 A KR 1020110012473A KR 20110012473 A KR20110012473 A KR 20110012473A KR 101764428 B1 KR101764428 B1 KR 101764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lay device
circuit board
frame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4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2425A (en
Inventor
정상혁
백승협
이승현
최승휘
송현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2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428B1/en
Publication of KR2012009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4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통해 결합되어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결속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둘러싸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하우징의 일면을 개방하여 다른 부품들을 조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터치스크린 패널로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폐쇄함으로써, 그 구성을 간소화하여 단말기의 무게를 줄이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coupled through an open 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ound to an inner wall of the housing;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housing in a state surrounded by the frame; And a touch screen panel coupled to the frame and having an edge to close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space in which one side of the housing is opened to assemble other components and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is closed by the touch screen panel to simplify the structure thereof, .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PORTABLE TERMINAL}[0001] PORTAB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형, 경량화가 용이한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mpact and lightweight structure.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통신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기로서, 바형,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전자 수첩, 전자 사전, 이동통신 단말기 등 특정 기능에 특화된 단말기들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서비스가 보편화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들이 탑재되고 있고 있다. 더욱이, 스마트 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피씨(personal computer; PC)가 상용화되면서, 일반 컴퓨터에 준하는 성능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일반 사용자들에게도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portable terminal is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arry and use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while being carried by a user, and is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bar type, a flip type, a folder type, In addition, the terminal can be classified into terminals specialized for specific functions such as a portable game machin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 electronic organizer, an electronic dictionary,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recent year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have become popular, and various functions have been install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Furthermore,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smart phones and personal computers (PC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performance comparable to ordinary computers are rapidly spreading to general users as well.

한편, 스마트 폰의 경우, 초기의 음성통화 위주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반하여 발전된 형태이기 때문에, 비교적 휴대가 용이하고 한 손으로 들고 사용하기에도 불편함이 없다. 따라서 개인의 음성통화 기능 위주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대체로 스마트 폰은 바형 단말기의 형태로 제작되며,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키패드 등의 입력 장치를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 폰은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할 수 있는 화면의 크기도 제한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mart phone, since it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an initial voice call-orien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relatively easy to carry and does not inconvenience to use with one hand.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multimedi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ly for the voice call function of the individual, the smart phone is general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ar-shaped terminal, and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pad is implemented using the touch screen. Since the size of such a smart phone is limited in order to facilitate portability, the size of the screen that the display device can implement is also limited.

따라서 멀티미디어 기능이나 인터넷 접속 등의 기능을 이용하기에는 스마트 폰보다는 더 큰 화면을 제공하는 태블릿 피씨가 더 적합한 편이다. 스마트 폰의 경우, 일반적으로 4인치 정도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태블릿 피씨는 10인치 내외, 최소 7인치 정도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태블릿 피씨는 스마트 폰보다는 비교적 더 넓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기는 하지만, 별도의 핸즈프리 장치나 헤드 셋 장치를 통하지 않는다면 음성통화에는 다소 불편하다. 또한, 태블릿 피씨는 스마트 폰보다 더 큰 크기와 무게를 가지기 때문에 휴대성에서는 스마트 폰에 비해 불편한 실정이다. Therefore, tablet PCs, which provide a larger screen than smartphones, are more suitable for using multimedia functions or Internet access. In the case of a smart phone, generally, a display device having a size of about 4 inches is provided, and a tablet PC has a display device having a size of about 10 inches and a size of at least 7 inches. However, although the tablet PC can implement a relatively wider screen than a smart phone, it is somewhat inconvenient for a voice call unless it is through a separate hands-free device or a headset device. In addition, since Tablet PC has larger size and weight than smart phone, portability is inconvenient compared to smart phone.

이러한 스마트 폰과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슬림화, 경량화하기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have been trying to keep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constant and slimmer and lighter in order to improve portability.

이에, 본 발명은 소형화, 경량화에 적합한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tructure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Therefore,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A housing having an open side;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통해 결합되어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결속되는 프레임;A frame coupled through an open 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ound to an inner wall of the housing;

상기 프레임에 둘러싸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housing in a state surrounded by the frame; And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And an edge is coupled to the frame to close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 소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적어도 둘레를 감싸게 결합되는 샤시(sash)를 포함하며, 상기 샤시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후면을 더 감싸게 제공되면서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후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flat panel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screen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And a chassis coupled to at least a periphery of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chassis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so as to be at least partially opened, thereby partially expos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샤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체결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편들이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다.Further,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iece extending outwardly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hassis, and the fastening pieces may be fastened to the frame.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개재되는 안테나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antenna module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개재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개재되면서 상기 회로 기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배터리 팩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may include a circuit board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display device; And a battery pack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display device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ircuit board.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배터리 팩 사이로 배선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단부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terminal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xtending from the circuit board and wir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battery pack. And an interface connector provided at an end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interface connector can be dispos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housing.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배선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배선 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order to secure a space for wir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wiring groove form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배터리 팩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peaker module disposed adjacent to the battery pack in the housing.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배터리 팩 사이로 배선되어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xtending from the touch screen panel,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by being wired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battery pack.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배터리 팩 사이로 배선되어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될 수 있다.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xtending from the display device,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wired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battery pack and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결속 돌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 중 다른 한쪽에 형성되는 결속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결속 홈에 맞물려 상기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결속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one of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ame.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of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peripheral face of the fram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engages with the coupling groove to bind the frame to the hous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하우징의 일면을 개방하여 다른 부품들을 조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터치스크린 패널로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폐쇄함으로써, 그 구성을 간소화하여 단말기의 무게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의 내벽에 프레임을 배치하여 터치스크린 판넬의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결국, 별도의 케이스나 커버를 하우징에 결합하지 않고 터치스크린 패널 자체로서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게 함으로써, 단말기의 경량화에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회로 기판과 배터리 팩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space in which one side of the housing is opened to assemble other components, and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is closed by the touch screen panel,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contributing to reducing the weight of the terminal . At this time, a frame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to provide means for fixing the edge of the touch screen panel. As a result, the touch screen panel itself closes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without attaching a separate case or cover to the housing, contributing to weight reduc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and the battery pack are disposed side by s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reby preventing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being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분이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일부분 중 스피커 모듈 등이 하우징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일부분이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각 부분이 서로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assemble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peaker module or the like among other parts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3,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3 assembl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pective parts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and FIG. 3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하우징(101), 프레임(102), 디스플레이 장치(104) 및 터치스크린 패널(103)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01)은 일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03)이 상기 프레임(102)을 통해 상기 하우징(101)의 개방된 면에 장착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03)은 상기 하우징(101)과 함께 상기 단말기(100) 외관을 완성하게 된다. 1 to 3, a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1, a frame 102, a display device 104, and a touch screen panel 103 The housing 101 is formed with one side open and the touch screen panel 103 is mounted on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101 through the frame 102. [ In other words, the touch screen panel 103 completes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100 together with the housing 101.

상기 단말기(100)는 바형의 단말기 형태로 제작된 구성이 예시되고 있지만, 상기 하우징(101)이 다른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면, 폴더형 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로도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우징(101)은 전원 스위치나 볼륨 조절, 메뉴 이동 등에 이용되는 2-방향 키 등을 설치하기 위한 스위치 홀들(115a, 115b),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 매체 삽입을 위한 슬롯(181), 이어 폰 접속을 위한 잭 홀(jack hole)(173), 스피커 장치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홀(171)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홀들은 대체로 상기 하우징(101)의 측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하우징(101)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게 된다. However, if the housing 101 is pivotably or slidably coupled to another housing, it may be a foldable or sliding type terminal. There will be. The housing 101 includes switch holes 115a and 115b for installing a two-directional key used for power switch, volume control, menu movement, etc., a slot 181 for inserting a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card, A jack hole 173 for connection, a speaker hole 171 for outputting sound of the speaker device, and the like. These holes are generally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1 and pass through the housing 101 to connect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1.

상기 하우징(101)은 내부에 수용공간(111)을 형성하게 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의 일면은 개방된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하기에서 설명될 회로 기판(106)이나 스피커 모듈(107) 등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배선을 위한 배선 홈(113)이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을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한다면,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회로 기판 등을 지지, 고정하는 구조물이나 배선 홈을 형성하기 용이할 것이다. The housing 101 forms a receiving space 111 therein. As mentioned above, one side of the housing 101 has an open shape. Structures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circuit board 106 and the speaker module 107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01. In addition, (113)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f the housing 101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it is easy to form a structure or a wiring groove for supporting and fixing a circuit board or the like in the housing 101.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는 평판형 디스플레이 소자(141)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41)를 감싸게 결합되는 샤시(sash)(143)로 이루어진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샤시는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41)의 둘레를 감싸게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41)의 후면까지 감싸게 제공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후면에서 상기 샤시(143)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41)의 후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41)의 후면 중, 노출된 부분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등을 배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41)를 회로 장치와 접속시키기 위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상기 샤시(143)의 개방된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The display device 104 includes a flat display device 141 and a sash 143 that surrounds the display device 141. 4, the chassis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at least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device 141, and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wrapp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41. [ At this time, a part of the chassis 143 is open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4,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41 can be partially exposed. The exposed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41 may provide a space for wir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like. That i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141 to the circuit device can be disposed in an open part of the chassis 143. [

상기 프레임(102)은 상기 하우징(101)의 개방된 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101)에 수용되며, 그의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101)의 내벽에 결속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프레임(102)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101)의 내벽을 결속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102)의 외주면에는 결속 돌기들이, 상기 하우징(101)의 내벽에는 결속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2)이 상기 하우징(101)에 수용되면, 상기 결속 돌기와 결속 홈이 서로 맞물려, 상기 프레임(102)을 상기 하우징(101) 내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하우징(101)의 내벽에, 상기 결속 홈이 상기 프레임(10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이러한 돌기와 홈 구조가 아니더라도, 상기 프레임(102)을 상기 하우징(101)에 고정하기 위해 스크루(screw)와 같은 체결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The frame 102 is received in the housing 101 through the open face of the housing 101 and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is boun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1.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bi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102 and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1, bind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102 and bind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1 . When the frame 102 is received in the housing 101,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the coupling grooves engage with each other to fix the frame 102 in the housing 101. 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1, and the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102. In addition,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may be used to fix the frame 102 to the housing 101, even if it is not a protrusion or a groove structure.

상기 프레임(102)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를 수용할 수 있는 개구(12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는 상기 프레임(102)에 둘러싸인 상태로 하우징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를 상기 프레임(102)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샤시(143)는 그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체결편(145)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편(145)들은 상기 프레임(102) 상에 위치되어 스크루(screw) 등을 체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편(145)들은 상기 프레임(102)과 상기 하우징(101)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03)과 상기 프레임(10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체결편(145)이 상기 프레임(102)과 상기 하우징(101)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된 구성이 예시된다. The frame 102 forms an opening 121 capable of receiving the display device 104 so that the display device 104 is installed in the housing surrounded by the frame 102. [ In order to secure the display device 104 to the frame 102, the chassis 143 may have fasteners 145 that extend outwardly from the outer periphery thereof. The fastening pieces 145 are positioned on the frame 102 to provide a means for fastening a screw or the like. The fastening pieces 14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10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1 or between the touch screen panel 103 and the frame 102. 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piece 145 is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10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1.

한편,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면, 상기 단말기(100)는 안테나 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와 프레임(102) 사이에 개재되는 안테나 모듈들(123a, 123b)을 구비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안테나 모듈들(123a, 123b)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외주면과 상기 프레임(102)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프레임(102)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안테나 모듈들(123a, 123b)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안테나 모듈들(123a, 123b)은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의 안테나 모듈(123a)은 무선 랜 주파수 대역이나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게 구성하고, 제2의 안테나 모듈(123b)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이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게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terminal 100, the terminal 100 must include an antenna device. The terminal 100 includes antenna modules 123a and 123b interposed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4 and the frame 102. [ More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antenna modules 123a and 123b ar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4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102, and a groove is formed in the frame 102 And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antenna modules 123a and 123b. It is preferable that the antenna modules 123a and 123b operate in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example, the first antenna module 123a may operate in a wireless LAN frequency band or a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antenna module 123b may operate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such as Bluetooth or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requency band Band. ≪ / RTI >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03)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와 조합되어, 화면상에 가상의 키패드를 구현하게 되며, 키패드를 구현하지 않더라도 화면으로 출력되는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03)은 그 후면의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102)에 부착된다. 이로써,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03)은 상기 하우징(101)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면서 상기 하우징(101)과 함께 상기 단말기(100)의 외관을 완성하게 된다. The touch screen panel 103 is combined with the display device 104 to implement a virtual keypad on the screen, and even if the keypad is not implemented, the touch screen panel 103 may implement operations such as selecting or moving icons displayed on the screen do. The touch screen panel 103 is attached to the frame 102 with its rear edge. Thus, the touch screen panel 103 completes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100 together with the housing 101 while closing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101. [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03)을 회로 장치와 접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제1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31)을 구비한다. 상기 제1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31)은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03)로부터 연장되며, 그 단부에는 커넥터(133)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33)는 하기에서 설명될 회로 기판(104)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3)는 제2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9)을 통해 회로 장치와 접속된다. In order to connect the touch screen panel 103 with a circuit device, th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1. The first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1 extends from the touch screen panel 103 and a connector 133 is provided at an end thereof. The connector 133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0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Likewise, the display device 103 is connected to the circuit device via the seco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49.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하우징(101)에 수용되는 회로 기판(106)과 배터리 팩(105) 등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음향 출력을 위한 스피커 모듈(107), 메모리 카드 등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108), 이어 폰(ear phone) 등을 접속하기 위한 이어 잭(ear jack)(177)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소켓(108)이나 이어 잭(177)을 상기 하우징(101)에 고정하기 위한 커버류(189, 179)가 상기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9)은 도 4와 도 6에 각각 도시되고 있으며, 이는 서로 동일한 것임에 유의한다. 3, 5 and 6, the terminal 100 includes a circuit board 106, a battery pack 105, and the lik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1. The terminal 100 includes a speaker module 107 for outputting sound, a socket 108 for connecting a memory card or the like, an ear jack 177 for connecting an earphone or the like, Respectively. In addition, covers 189 and 179 for fixing the socket 108 and the ear jack 177 to the housing 101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eco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49 is shown in FIGS. 4 and 6, which are identical to each other.

상기 회로 기판(106)은 상기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회로, 각종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등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소켓(108)은 상기 회로 기판(106) 상에 장착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슬롯(181)과 상응하게 위치된다. 상기 회로 기판(106)에는 전원 스위치나 2-방향 키 등에 상응하는 돔 시트(dome sheet)들(169a, 169b)이 연결되는데, 상기 회로 기판(106)이 상기 하우징(101)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돔 시트들(169a, 169b)은 상기 하우징(101)의 내벽에 대면하되 상기 하우징(101)에 형성된 스위치 홀들(115a, 115b)과 각각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6에서는 상기 돔 시트들(169a, 169b)이 상기 하우징(101)의 내벽에 대면하게 배치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The circuit board 106 includes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a communication circuit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 memory for storing various programs and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socket 108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06 and corresponds to a slot 181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0. Dome sheets 169a and 169b corresponding to a power switch and a two-way key ar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06. When the circuit board 106 is disposed in the housing 101, The dome sheets 169a and 169b face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1 and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witch holes 115a and 115b formed in the housing 101, respectively. FIG. 6 shows a state before the dome sheets 169a and 169b are arranged to face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1 in a face-to-face manner.

상기 배터리 팩(105)은 상기 회로 기판(106)과 나란하면서 도 3에서 볼 때, 상기 회로 기판(106)의 아래쪽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 팩(105)과 회로 기판(106)을 서로 중첩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결국, 상기 배터리 팩(105)과 회로 기판(106)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와 상기 하우징(101)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 팩(105)에는 상기 회로 기판(106)과 접속되는 커넥터 부재(151)가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 부재(151)는 상기 배터리 팩(105)으로부터 상기 회로 기판(106)으로 전원을 제공하게 됨과 아울러, 충전하는 동안에는 상기 회로 기판(106)으로부터 제공되는 충전 전원을 상기 배터리 팩(105)으로 전달하게 된다. The battery pack 105 is disposed below the circuit board 106, as viewed in FIG. 3, parallel to the circuit board 106.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100 is prevented from being increased by preventing the battery pack 105 and the circuit board 106 from overlapping each other. As a result, the battery pack 105 and the circuit board 106 ar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1 while being arranged side by side. The battery pack 105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151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06. The connector member 151 provides power to the circuit board 106 from the battery pack 105 and the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circuit board 106 to the battery pack 105 .

상기 단말기(100)는 충전기 등 외부 기기와의 직접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 커넥터(119b)를 구비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119b)는 제3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19a)을 통해 상기 회로 기판(106)과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서 일단부 벽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119b)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101)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119b)를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하는 추가의 슬롯이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 제3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19a)은 상기 배선 홈(113)을 통해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 팩(105)과 상기 하우징(101)의 내측면 사이로 배선된다. The terminal 100 includes an interface connector 119b for direct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harger. The interface connector 119b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06 via a thir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19a and is arranged adjacent to the one end wall in the housing 101. [ It is obvious that an additional slot for exposing the interface connector 119b to the outside should be formed in the housing 101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terface connector 119b. The thir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19a is disposed through the wiring groove 113 and is wired between the battery pack 10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1. [

음향 출력을 위한 스피커 모듈(107)은 상기 배터리 팩에 인접하게, 더 구체적으로, 양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마주보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홀(171)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피커 모듈(107)은 한 쌍이 설치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하나만 설치되거나 셋 이상의 스피커 모듈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02)이 상기 하우징(101)에 결합되면, 상기 스피커 모듈(107)들은 상기 프레임(102)과 상기 하우징(101)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101) 또는 프레임(102)에 상기 스피커 모듈(107)들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 모듈(107)의 일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후면까지 연장되는데, 이때, 상기 스피커 모듈(107)의 외주면 일부분에 안착면(179)을 형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후면을 지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가 설치되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후면은 상기 배터리 팩(105), 상기 스피커 모듈(107)의 안착면(179)에 지지될 수 있다. The speaker module 107 for sound outpu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attery pack, more specifically, facing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on both sides, and the speaker hole 171 is also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eaker modules 107 are provided as a pair, but only one speaker module or one or more speaker modules may be installed. When the frame 102 is coupled to the housing 101, the speaker modules 107 are fixed between the frame 102 and the housing 101. Of course, structures for fixing the speaker modules 107 to the housing 101 or the frame 102 may be formed. A part of the speaker module 107 extends to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4. At this time, a seating surface 179 is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eaker module 107, So that the rear surface can be supported.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4 may be supported on the seating surface 179 of the battery pack 105 and the speaker module 107 when the display device 104 is installed.

상기 단말기(100)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03)과 디스플레이 장치(104)를 프레임(102)에 선 조립하고,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기판(106)과 배터리 팩(105), 스피커 모듈(107) 등을 상기 하우징(101)에 선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9)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와 상기 회로 기판(106) 중 어느 한쪽에 접속된 상태로 설치됨에 유의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03), 디스플레이 장치(104)가 조립된 프레임(102)을 상기 하우징(101)에 결합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완성된다. 2 and 4, the touch screen panel 103 and the display device 104 are pre-assembled to the frame 102, and as shown in FIGS. 3 and 6, The circuit board 106, the battery pack 105, the speaker module 107, and the like are assembled to the housing 101 as shown in FIG. Note that the seco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49 is connected to either the display device 104 or the circuit board 106. 7, the terminal 100 is completed by coupling the frame 102 with the touch screen panel 103 and the display device 104 to the housing 101. As shown in FIG.

상기 제1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31)은 상기 프레임(102)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후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와 배터리 팩(105) 사이로 배선된다. 상기 제1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31)의 단부에 제공된 커넥터(133)는 상기 회로 기판(106)에 접속되어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03)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03)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회로 기판(106)으로 전달하게 된다. The first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1 extends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4 through the frame 102 and is wired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4 and the battery pack 105. The connector 133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1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06 and supplies power to the touch screen panel 103, And transmits an input signal to the circuit board 106.

상기 제2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9)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4)와 상기 배터리 팩(105) 사이로 배선된다. 상기 제2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9)의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41)에, 타단은 상기 회로 기판(106)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회로 기판(106)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41)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The seco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49 is also wired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4 and the battery pack 105. One end of the seco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49 is connected to the display element 14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06.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49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06,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19a)은 상기 배터리 팩(105)과 상기 하우징(101)의 내측면 사이로 배선되어 상기 회로 기판(106)이 외부 기기와 접속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3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19a)을 통해 접속될 수 있는 외부 기기로는, 충전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외장형 하드 디스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The thir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19a is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pack 10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1 so that the circuit board 106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Lt; / RTI > Examples of the external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thir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19a include a charger,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camera, and an external hard disk.

상기 제1, 제2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31, 149) 각각은 상기 배터리 팩(105)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선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확보함으로써, 조립 공정에서, 작업자가 제1, 제2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31, 149)의 양단을 각각 상기 회로 기판(106), 터치스크린 패널(103), 디스플레이 소자(141)에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103), 디스플레이 소자(141)는 모두 평판 형태이기 때문에, 제1, 제2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31, 149)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상기 회로 기판(106)과 연결하는 작업에서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141)와 회로 기판(106)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31 and 149 is provided with a sufficient length so as to be wired across the battery pack 105 so that in the assembly process, So that both ends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31 and 149 can be easily bound to the circuit board 106, the touch screen panel 103, and the display device 141, respectively. That is, since the touch screen panel 103 and the display device 141 are all in the form of a flat plate,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131 and 149 are sufficiently secured, A sufficient space can be secured between the display device 141 and the circuit board 106 in the connecting operation.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0: 휴대용 단말기 101: 하우징
102: 프레임 103: 터치스크린 패널
104: 디스플레이 장치 105: 배터리 팩
106: 회로 기판
100: portable terminal 101: housing
102: frame 103: touch screen panel
104: Display device 105: Battery pack
106: circuit board

Claims (16)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통해 결합되어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결속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둘러싸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개재되는 회로 기판;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개재되면서 상기 회로 기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배터리 팩;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및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각각 연장된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배터리 팩 사이로 배선되어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In a portable terminal,
A housing having an open side;
A frame coupled through an open 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ound to an inner wall of the housing;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housing in a state surrounded by the frame;
A circuit board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display device;
A battery pack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display device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ircuit board;
A touch screen panel coupled to the frame with an edge to close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And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xtending from the touch screen panel and the display device, respectivel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is wired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battery pack and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 소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적어도 둘레를 감싸게 결합되는 샤시(sash)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flat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screen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And
And a chassis coupled to at least a periphery of the display device so as to surround the display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후면을 더 감싸게 제공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의 후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2, wherein the chassis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ssis is open so that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is partially expose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샤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체결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편들이 상기 프레임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fastening pieces extending outwardly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hassis,
And the fastening pieces are fastened to the fr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개재되는 안테나 모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ntenna module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display device.
삭제delete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통해 결합되어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결속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둘러싸인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개재되는 회로 기판;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개재되면서 상기 회로 기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배터리 팩;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배터리 팩 사이로 배선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단부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In a portable terminal,
A housing having an open side;
A frame coupled through an open 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ound to an inner wall of the housing;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housing in a state surrounded by the frame;
A circuit board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display device;
A battery pack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display device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ircuit board;
A touch screen panel coupled to the frame with an edge to close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xtending from the circuit board and wir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battery pack; And
And an interface connector provided at an end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interface connector is dispos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housing.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배선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상기 배선 홈을 통해 배선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wiring groove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wired through the wiring groov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배터리 팩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모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speaker module disposed adjacent to the battery pack in the housing.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스피커 홀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은 상기 배터리 팩의 양측에 각각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speaker hole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Wherein the speaker module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pack.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모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안착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부분이 상기 안착면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surfac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eaker module,
And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is supported on the seating su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돔 시트(dome sheet)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돔 시트는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 측면에 대면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dome sheet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Wherein the dome sheet is disposed to face one side of the housing.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는 스위치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돔 시트는 상기 스위치 홀에 상응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switc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Wherein the dome sheet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switch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결속 돌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 중 다른 한쪽에 형성되는 결속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 돌기가 상기 결속 홈에 맞물려 상기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결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one of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ame; And
Further comprising a bind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of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peripheral face of the fram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engages with the coupling groove to bind the frame to the housing.
KR1020110012473A 2011-02-11 2011-02-11 Portable terminal KR1017644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473A KR101764428B1 (en) 2011-02-11 2011-02-11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473A KR101764428B1 (en) 2011-02-11 2011-02-11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25A KR20120092425A (en) 2012-08-21
KR101764428B1 true KR101764428B1 (en) 2017-08-03

Family

ID=4688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473A KR101764428B1 (en) 2011-02-11 2011-02-11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42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448B1 (en) * 2006-07-14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JP2007537503A (en) * 2004-03-15 2007-12-20 オリンパス・テクノロジーズ・シンガポール・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Portable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7503A (en) * 2004-03-15 2007-12-20 オリンパス・テクノロジーズ・シンガポール・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757448B1 (en) * 2006-07-14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25A (en)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201B1 (en)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TWI437869B (en) Mechanical layout and component placement for thin clamshell phone
EP172032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two bodies being both foldable and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CN103427224B (en) Mobile terminal
US20130077213A1 (en) Peripheral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128511A1 (en) Folding-type portable device
US9223339B2 (en) Portable terminal with detachable protection cover
US20070184882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KR100754605B1 (en) Mobile phone for game with folding-type keypad
JP4566181B2 (en) Folding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terminal using the folding hinge device
US8599073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20140048648A (en) Mobile terminal and pouch for a mobile terminal
KR101764428B1 (en) Portable terminal
KR100598121B1 (en) Portable display apparatus
KR20010000388U (en) Folding hand phone
KR100663490B1 (en) Spearker for mobile phone using antenna mounting space
KR101429277B1 (en)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 cover
KR100790187B1 (en) Hinge unit for game/mobile phone combination device
KR100658207B1 (en) Personal portable device
KR100703304B1 (en)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20020078373A (en) 3nd for folder handyphone
KR100800828B1 (en) Portable terminal with battery cover device
KR100690828B1 (en) Mobil phone of a two pcb type
KR100845222B1 (en) Flip type lid of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