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642A -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emplate-based user created content, and apparatus to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emplate-based user created content, and apparatus to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642A
KR20090041642A KR1020070107262A KR20070107262A KR20090041642A KR 20090041642 A KR20090041642 A KR 20090041642A KR 1020070107262 A KR1020070107262 A KR 1020070107262A KR 20070107262 A KR20070107262 A KR 20070107262A KR 20090041642 A KR20090041642 A KR 20090041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uthoring
template
authoring content
pro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2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63397B1 (en
Inventor
이중윤
황병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7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397B1/en
Publication of KR2009004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6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3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n authorized contents manufacturing system, a method thereof and an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based on a template for automatically authorized contents through simple data input are provided to implement the authorized contents of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manufacturer. A database unit(210) stores a template for supporting the manufacture establishment of an authoring contents which especially exposes the commodity advertisement at the playing interval of the moving picture. An interfacing unit(220) connects a first terminal device for one or more second terminal apparatus for providing the authoring contents. An authorized contents forming unit(230) forms the authoring contents by providing a manufacturer input window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An authorized contents manager(240) matches the authorizing contents with manufacture information. The authoring contents the director information and the authoring contents management unit manages. An authorized contents provider provides the output pictures of the authoring contents.

Description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EMPLATE-BASED USER CREATED CONTENT, AND APPARATUS TO THE SAME}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EMPLATE-BASED USER CREATED CONTENT, AND APPARATUS TO THE SAME}

본 발명은 컨텐츠 제작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영상의 재생구간 별로 상품광고를 노출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를 제작자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 복잡한 프로그래밍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이를 대체하여 기 형성된 템플릿에 기반하는 제작자 입력창을 통한 제작자의 간단한 데이터 입력으로 저작 컨텐츠를 자동 형성하기 위한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content creation,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producing the authoring content by the producer to expose the product advertisement for each playback section of the video, the template is formed by replacing it without going through a complicated programming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orming authoring content by simple data input by a producer through a creator input window, and an apparatus applied thereto.

초고속 인터넷 유선 통신망 또는 IMT 2000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통한 통신 시스템에 기반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주목되고 있다.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based on a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a high speed internet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IMT 2000 has been noted.

특히, 유선 또는 무선 단말장치를 통해 음성 및 문자만을 송수신할 뿐만 아 니라,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 MP3 파일과 같은 음악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이 단말장치에 추가되거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구현됨으로써, 유선 또는 무선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기술적 기반이 마련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소비자들이 스스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제작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유포하기 위한 기술적 기반도 마련되어 지고 있다. In particular, not only the voice and tex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wired or wireless terminal devices, but also the functions of sending and receiving still images and videos, and the ability to send and receive music files such as MP3 files are added to the terminal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By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Internet, the technical found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content files by wire or wireless is being prepared. In addition, the technical basis for producing and distributing multimedia contents files on the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lso provided. have.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은 음성 및 화상 통화 시에 음악, 특정 기업의 상품 등의 홍보 목적의 광고 문장, 이미지, 사운드 클립, 그외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의 광고 영상이나 음성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삽입하여 서비스함으로써 광고주에게는 광고의 기회를 제공하고 일반 사용자에게는 통신 요금을 감면해 주는 방안이 있다. In the related art, a multimedia content including advertisement texts, images, sound clips, other still images, and advertisement images or voices for advertisement purposes such as music and products of a specific company is inserted in a voice and video call. As a service, there is a method of providing advertisement opportunities to advertisers and reducing communication charges to general users.

하지만, 이러한 기술을 통하여는 소비자 간의 음성 및 화상 통화 시 미리 준비된 광고 내용을 삽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 고객이 독자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하여 다른 소비자에게 서로 통화중이 아닐 때에도 자유롭게 전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rough this technology, since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prepared in advance during voice and video calls between consumers, the consumer can produce the multimedia content independently and cannot freely transmit it to other consumers even when they are not talking to each other.

상기 문제점과 관련하여, 이동통신 기술에 기반하는 휴대용 단말장치에서 착신이 있을 시 음악이나 멜로디가 발생하는 동안 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하여 뮤직 비디오 기능을 구현하는 부가 기술이 있으며, 이 역시도 착발신 간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착신음 발생시 미리 준비된 영상을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종래 기술과 차별화된 기술이 아닐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멀티미디어 파일을 독자적으로 제작하여 다른 소비자에게 전송하지 못하고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problem, there is an additional technology for implementing a music video function by displaying an image associated with music or melody while it is received in a mobile terminal device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not differentiated from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n that the multimedia function is realized by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prepared image at the time of the incoming call, but it is not possible to produce the multimedia file independently and transmit it to other consumers. have.

이러한 종래 기술과 더불어,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소비자 스스로 제작하여 유포할 수 있는 기술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 스스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즉, '저작 컨텐츠'라 함)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LASeR, BIFS, Flash와 같은 복잡한 저작도구를 사용하거나 제작하는 소비자 스스로가 프로그래밍을 하듯이 일일이 XML 형태의 컨텐츠를 만들어야 하므로, 컨텐츠 제작기술에 밝지 않은 일반적인 제작자는 소정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형성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In addition to these conventional technologies, recently, technologies and researches for actively distributing and distributing multimedia content fil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in order to produce multimedia content files (ie, 'authored content') by consumers, they must use XML-based content as if they are programming by themselves or using complex authoring tools such as LASeR, BIFS, and Flash. Therefore, a general producer who is not bright in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could not but feel difficulty in forming predetermined multimedia contents.

더더욱, 동영상의 일정 재생구간 별로 상품광고를 삽입하는 것과 같은 적어도 둘 이상의 매체를 결합하여 형성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는 그 형성 과정이 복잡하여 일반적인 제작자에 의한 컨텐츠 생산의 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Moreover, the authoring content for combining and forming at least two or more media such as inserting a product advertisement for each play period of a video ha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content production by a general producer is significantly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영상의 재생구간 별로 상품광고를 노출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를 제작자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 복잡한 프로그래밍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이를 대체하여 기 형성된 템플릿에 기반하는 제작자 입력창을 통한 제작자의 간단한 데이터 입력으로 저작 컨텐츠를 자동 형성하기 위한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lace the work without the complicated programming process when producing the authoring content to expose the product advertisement for each playback period of the vide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orming authoring content by simple data input of a producer through a creator input window based on a pre-formed template, and an apparatus appli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영상의 일정 재생구간 별로 텍스트, 이미지, 슬라이드 및 음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부가 데이터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저작 컨텐츠를 구현할 있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combine the multimedia additional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ext, image, slide and sound for a certain playback period of the video to implement various types of authoring conten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roducer To provide a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동영상의 재생구간 별로 상품광고를 노출하는 저작 컨텐츠의 제작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템플릿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제 1 단말장치 및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와 네트워크 연결하는 인터페이싱부, 상기 템플릿을 토대로 하는 제작자 입력창을 상기 제 1 단말장치에 제공하여 입력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저작 컨텐츠를 형성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 형성부,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작자 정보와 매칭하여 관리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제 2 단말장치의 접속에 응답하여 상기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atabase unit for storing a template for supporting the production setting of the authoring content to expose the product advertisement for each playback period of the video, the An interfacing unit for network connection with a first terminal device for producing an authoring content and at least one or more second terminal devices for receiving the authoring content, and a producer input window based on the template for input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An output screen of the authoring content in response to access of the authoring content forming unit for forming the authoring content through the content producing data, the authoring content manager for matching and managing the authoring content with author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Includes authoring content provider to provid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바람직하게는, 상기 템플릿은 제작자의 제어입력을 토대로 상기 동영상을 지정하기 위한 세션, 상기 동영상의 재생구간을 특정하여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광고를 설정하기 위한 세션 및 상기 상품광고를 이루기 위한 세션을 포함하여 상기 제작자 입력창을 형성하기 위한 토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emplate includes a session for designating the video, a session for setting at least one product advertisement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section of the video, and a session for achieving the product advertisement based on a control input of a produc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for forming the producer input window.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품광고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oduct advertis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ext, images and videos.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는 상기 템플릿을 이루는 각 세션과 대응하여 상기 제작자 입력창에 형성되는 부분에 제작자의 제어입력으로 입력 설정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ent production data is input data set as a control input of a producer in a portion formed in the producer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each session constituting the templ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싱부는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제 1 단말장치 및 상기 제 2 단말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네트워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rface uni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via a wired Internet or a wireless Interne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작 컨텐츠 형성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제공받아 상기 제작자 입력창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단말장치에 전달한 후,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상기 저작 컨텐츠를 자동 형성하기 위한 제작 서버 및 상기 저작 컨텐츠를 이루는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uthoring content forming unit receives the template from the database unit, forms the producer input window, delivers the author input window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then automatically forms the authoring content through the input of the content production data.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duction server and a media server for providing the video constituting the authoring cont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동영상을 업-로드받아 저장한 후 제공하거나, 상기 동영상을 기 저장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dia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vided by uploading and storing the video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or to provide the previously stored video.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작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하기 위한 컨텐츠 저장소 및 상기 저작 컨텐츠를 상기 제작자 정보와 매칭하여 관리하며, 상기 제 2 단말장치의 접속에 의한 컨텐츠 제공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저작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컨텐츠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uthoring content management unit manages the content repository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authoring content and the authoring content by matching the author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by accessing the second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ent management server for extracting the work cont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저장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ent repository is included in the database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작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을 형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싱부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전송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uthoring content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transmission server for forming an output screen of the authoring content and delivering i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through the interfacing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은 상기 동영상의 재생화면, 상기 상품광고의 노출화면 및 상기 상품광고에 대한 댓글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utput screen of the authoring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layback screen of the video, the exposure screen of the product advertisement and the comment screen for the product advertisemen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저작 컨텐츠 형성장치는, 동영상의 재생구간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광고를 노출하는 저작 컨텐츠의 제작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템플릿을 기초로 형성되는 제작자 입력창을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제 1 단말장치에 제공한 후, 상기 제작자 입력창에 대한 제작자의 제어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저작 컨텐츠를 자동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horing content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based on a template for supporting the production setting of the authoring content that exposes at least one or more product advertisements for each playback period of the video. And providing a producer input window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for producing the authoring content, and automatically forming the authoring content based on content production data input through a producer's control input to the producer input window. .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작 컨텐츠 형성장치는 상기 템플릿을 로딩하여 제작자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상기 제작자 입력창을 형성한 후, 상기 제 1 단말장치에 전달하여 제작자의 제어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저작 컨텐츠를 자동 형성하기 위한 제작 서버 및 상기 저작 컨텐츠를 이루는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uthoring content forming apparatus loads the template to form the producer input window for interfacing with the producer, and then transfers the content production data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to be input through a producer's control input. And a production server for automatically forming the authoring content and a media server for providing the video forming the authoring content.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방법은, (가) 동영상의 재생구간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광고를 노출하는 저작 컨텐츠의 제작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템플릿을 기 형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나) 상기 템플릿을 기초로 하여 제작자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제작자 입력창을 형성한 후,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접속하는 제 1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다) 상기 제작자 입력창에 대한 제작자의 제어입력으로 형성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저작 컨텐츠를 형성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의 접속에 응답하여 상기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to support the production setting of the authoring content to expose at least one or more product advertising for each playback period of the video; Pre-forming and storing a template; (b) forming a producer input window for interfacing with a producer based on the template, and then delivering the template to a first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produce the authoring content; (C) forming and managing the authoring content based on content production data formed by a producer's control input to the producer input window; and (d) responsive to access of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device; Providing an output screen.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 단계는 (다-1) 상기 제 1 단말장치의 단말화면에 상기 제작자 입력창을 활성화하는 단계, (다-2) 상기 제작자 입력창에서의 상기 동영상을 지정하기 위한 세션, 상기 동영상의 재생구간을 특정하여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광고를 설정하기 위한 세션 및 상기 상품광고를 이루기 위한 세션을 포함하는 세션들에 대한 제작자의 제어입력이 실행되는 단계, (다-3) 상기 컨텐 츠 제작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행하여 상기 저작 컨텐츠를 형성하는 단계 및 (다-4)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작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c) comprises (c-1) activating the producer input window on the terminal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c-2) for designating the video in the producer input window. Executing a control input of a producer for sessions including a session, a session for setting at least one product advertisement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section of the video, and a session for forming the product advertisement, (c-3 Receiving the content production data and performing matching with the template to form the authoring content; and (c-4) matching and storing the authoring content with creator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의 재생구간 별로 상품광고를 노출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를 제작자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 복잡한 프로그래밍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이를 대체하여 기 형성된 템플릿에 기반하는 제작자 입력창을 통한 제작자의 간단한 데이터 입력으로 저작 컨텐츠를 자동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기술을 습득하지 않은 제작자에 의해서도 효율적으로 저작 컨텐츠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thoring content produced by the producer to expose the product advertisement for each playback period of the video, the producer's simple data through the producer input window based on the template formed by replacing it without going through a complicated programming process By implementing the authoring content to be automatically formed as an inp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iciently form the authoring content even by a producer who has not acquired a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2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200)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200)은 제작자에 의해 일일이 수행되던 컨텐츠 프로그래밍을 대체하여 동영상의 재생구간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광고를 노출하는 저작 컨텐츠의 제작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템플릿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210), 유 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토대로 저작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접속하는 제작자의 제 1 단말장치(100) 및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와 네트워크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싱부(220),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10)로부터 제 1 단말장치(100)의 제공 요청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제공받은 후 제공받은 템플릿을 토대로 하여 제작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작자 입력창을 형성하고, 형성한 제작자 입력창을 제 1 단말장치(100)에 제공하여 제작자의 제어입력에 따라 형성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저작 컨텐츠를 형성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 형성부(230), 형성한 저작 컨텐츠를 제작자 정보와 매칭하여 관리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 관리부(240), 및 제 1 단말장치(100)에 의해 형성된 저작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접속하는 제 2 단말장치(300)에 응답하여 상기 저작 컨텐츠 관리부(240)에서 관리되는 상기 저작 컨텐츠를 추출한 후, 추출한 저작 컨텐츠에 대한 출력화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단말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 제공부(25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by way of example only in FIG. 1, the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200 replaces the content programming that was performed by the producer to produce at least one product advertisement for each play period of the video. Database unit 210 for storing the template for supporting the setting,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of the creator to access to create the authoring content based on the wired or wireless Internet and at least one for receiving the authoring content Based on the template received after receiving the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for provision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from the interface unit 220 and the database unit 210 for network connec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above. The producer input window for the interface with the producer is formed, and the creator input window is Authoring content forming unit 230 for forming the authoring content through the content production data provided to the speech device 100 formed according to the control input of the producer, authoring for matching and managing the formed authoring content with the producer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40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connected to receive the work content formed by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the work content managed by the work content management unit 240 is extracted. Subsequently, the method may include an authoring content providing unit 250 for forming an output screen of the extracted authoring content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저작 컨텐츠 형성부(230)는 제 1 단말장치(100)의 컨텐츠 제작 요청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부(210)로부터 해당하는 템플릿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템플릿에 기초하여 제작자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제작자 입력창을 형성한 후 제 1 단말장치(100)로 전달하며, 이후 제 1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저작 컨텐츠를 자동 형성하기 위한 제작 서버, 및 상기 저작 컨텐츠를 이루는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를 포함한다.The authoring content forming unit 230 receives a corresponding template from the database unit 210 in response to a content production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and a producer input window for interfacing with the producer based on the received template. A production server for automatically forming the authoring content through the content production data inputt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and then transmitting the video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and a video forming the authoring content. It includes a media server for providing.

여기서, 상기 템플릿은 동영상을 지정하기 위한 세션, 동영상의 재생구간을 특정하여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광고를 설정하기 위한 세션, 및 상품광고를 형성하기 위한 세션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이다.Here, the template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session for specifying a video, a session for setting at least one product advertisement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section of the video, and a session for forming a product advertisement.

이러한 템플릿에 기초하는 제작자 입력창은 제 1 단말장치(100)의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포맷으로 형성된다.The producer input window based on the template is formed in a format for being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또한,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는 템플릿을 이루는 각 세션과 대응하여 제작자 입력창에 형성되는 부분에 제작자의 제어입력으로 설정되는 데이터인 것을 지칭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duction data refers to data that is set as the control input of the producer in the portion formed in the producer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each session constituting the template.

상기 미디어 서버는 제 1 단말장치(100)의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작자 입력창을 통해 지정되는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media server is for providing a video designated through a producer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이러한 동영상은 제 1 단말장치(100)로부터 업-로드되어 제공되는 것이거나, 미디어 서버에 기 저장되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Such a video may be provided by being uploaded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or may be stored and provided in a media server.

저작 컨텐츠 관리부(240)는 상기 저작 컨텐츠 형성부(230)로부터 형성되는 저작 컨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하기 위한 컨텐츠 저장소, 및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작자 정보와 매칭하여 관리함에 따라 제 2 단말장치(300)의 접속에 의한 컨텐츠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저작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컨텐츠 관리서버를 포함한다.The authoring content manager 240 controls a content repository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authoring content formed from the authoring content forming unit 230, and managing the authoring content by matching the author information with that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And a content management server for extracting the authoring content in response to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by access.

상기 컨텐츠 저장소는 데이터베이스부(210)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ent repository may be implemented by being included in the database unit 210.

더 나아가, 저작 컨텐츠 제공부(250)는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을 형성하여 인터페이싱부(220)를 통해 제 2 단말장치(300)로 전달하기 위한 전송 서버를 포함 한다.In addition, the authoring content providing unit 250 includes a transmission server for forming an output screen of the authoring content and delivering it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through the interfacing unit 22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200)을 통해 형성되는 제작자 입력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장치(100)의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작자 입력창은 제작자가 동영상을 지정하기 위한 세션메뉴(C), 지정한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세션메뉴(B), 제작자가 동영상을 열람하기 위한 세션메뉴(A), 동영상의 재생구간을 특정하여 상품광고의 노출을 설정하기 위한 세션메뉴(D) 및 상기 노출하기 위한 상품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세션메뉴(E)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FIG. 2 illustrates a creator input window formed through the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200 illustrated in FIG. 1. As shown only as an example in FIG. 2, the producer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session menu C for the producer to designate a video and a session menu for playing the designated video. B), a session menu (A) for the producer to view the video, a session menu (D) for setting the exposure of the product advertisement by specifying the playback section of the video, and a session menu for forming the product information for the exposure ( E).

상기 상품광고는 상품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세션메뉴에 대한 제작자의 제어입력(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구현되는 것을 일컫는 것이다.The product advertisement refers to a product advertisement implemented according to a control input (at least one of text, an image, and a video) of a producer for a session menu for forming product informa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작자 입력창에서의 동영상 지정을 위한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제작자 입력창의 동영상을 지정하기 위한 세션메뉴를 활성화한 경우의 도면이며, 기존의 동영상을 교체하거나 기존의 동영상의 새로운 동영상을 이어 붙여 연속 재생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동영상을 지정하는 위치는 미디어 서버에 저장중인 동영상을 지정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for designating a video in the creator input window illustrated in FIG. 2. As shown only as an example in FIG. 3, this is a diagram of a case where the session menu for designating a video of the creator input window is activated, and it is set to continuously play by replacing an existing video or by connecting a new video of the existing video. It is possible. Here, the location for designating a video is preferably implemented to designate a video being stored in the media server.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작자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기초로 형성되는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말장치(300)로 전달하기위한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은 상기 제 2 단말장치(300)의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포맷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화면구성은 동영상의 재생화면(가), 동영상의 재생구간 별로 노출되는 상품광고의 노출화면(나), 동영상의 재상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다) 및 상품광고에 대한 댓글화면(라)이 포함된다. 더 나아가,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에 대한 구성에는 별도의 광고를 삽입하기 위한 화면부분(마)도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screen of authoring content formed based on content production data input through a creator input window illustrated in FIG. 2. As shown only as an example in FIG. 4, the output screen of the authoring content for delivery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is formed in a format for display on the terminal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The composition includes a video play screen (a), a video display screen (b) of the product advertisement exposed for each playback section (b), a screen for executing the video replay (c) and a comment screen (d) for the product advertising (d) . Furthermore, the configuration of the output screen of the authoring content may also include a screen portion (e) for inserting a separate advertisement.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200)의 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200)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방법은 상기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200)에서의 데이터베이스부(210)에 동영상의 재생구간 별로 상품광고를 노출하는 저작 컨텐츠의 제작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템플릿을 기 저장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200 shown in FIG. 1. As shown only as an example in FIG. 5, the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method includes authoring content exposing a product advertisement for each playback section of a video to the database unit 210 in the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200. In operation S100, a template for supporting a production setting is prestored.

이후로, 제작자의 제 1 단말장치(100)가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소정의 저작 컨텐츠의 제작을 요청하면(S102), 시스템(200)은 이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부(210)로부터 해당하는 템플릿을 로딩하고(S104), 로딩한 템플릿을 기초로 하는 제작자 입력창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106 및 S108).Subsequently, after the producer's first terminal device 100 accesses the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200 based on the wired or wireless Internet, and requests the production of a predetermined authoring content (S102), In response, the system 200 loads a corresponding template from the database unit 210 (S104), forms a producer input window based on the loaded template, and provides it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S106). And S108).

이에, 제 1 단말장치(100)는 단말화면에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작자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제작자로 하여금 컨텐츠 제작 데이터의 입력을 실행하도록 하고, 입력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시스템(200)으로 전달한다(S110).Accordingly, as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 displays the producer input window provided from the system 200 on the terminal screen, the producer executes the input of the content production data and outputs the input content production data to the system 200. Transfer to (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토대로 저작 컨텐츠를 형성하여 저장/관리하게 된다(S112). The authoring content is formed and stored / managed based on the content production data provided in step S110 (S112).

이후로, 제 2 단말장치(300)가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시스템(200)에 접속함에 따라 저작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게 되면(S114), 상기 제 2 단말장치(300)의 요청에 대응하는 저작 컨텐츠를 추출한 후, 추출한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단말장치(300)로 전달한다(S116 및 S118).Subsequently, when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requests the provision of the authoring content as it accesses the system 200 based on the wired or wireless Internet (S114), the request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is made. After extracting the author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orm of the output screen of the extracted authoring content and transmits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300) (S116 and S118).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의 재생구간 별로 상품광고를 노출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를 제작자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 복잡한 프로그래밍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이를 대체하여 기 형성된 템플릿에 기반하는 제작자 입력창을 통한 제작자의 간단한 데 이터 입력으로 저작 컨텐츠를 자동 형성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method of the producer through the producer input window based on the template is formed by replacing the content instead of going through a complicated programming process when producing the authoring content to expose the product advertisement for each playback period of the video In order to automatically form the authoring content by data input, it is an invention that is industrially applicable because not only the possibility of marketing or sales is sufficient, but also the degree that can be clearly realized in rea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통해 형성되는 제작자 입력창을 도시한 도면,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ducer input window formed through the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작자 입력창에서의 동영상 지정을 위한 메뉴를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for designating a video in the creator input window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작자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기초로 형성되는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을 도시한 도면, 및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screen of an authoring content that is formed based on content creation data input through a creator input window illustrated in FIG. 2;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shown in FIG.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제 1 단말장치 200 :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100: first terminal device 200: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210 : 데이터베이스부 220 : 인터페이싱부210: database unit 220: interface unit

230 : 저작 컨텐츠 형성부 240 : 저작 컨텐츠 관리부230: authoring content forming unit 240: authoring content management unit

250 : 저작 컨텐츠 제공부 300 : 제 2 단말장치250: authoring content provider 300: second terminal device

Claims (15)

동영상의 재생구간 별로 상품광고를 노출하는 저작 컨텐츠의 제작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템플릿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A database unit for storing a template for supporting a production setting of an authoring content exposing a product advertisement for each play period of a video;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제 1 단말장치 및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와 네트워크 연결하는 인터페이싱부;An interface unit for network connection with a first terminal device for producing the work content and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device for receiving the work content; 상기 템플릿을 토대로 하는 제작자 입력창을 상기 제 1 단말장치에 제공하여 입력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저작 컨텐츠를 형성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 형성부;An authoring content form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the author input window based on the template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to form the authoring content through the content production data input;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작자 정보와 매칭하여 관리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 관리부; 및An authoring content manager for managing the authoring content by matching the author information; And 상기 제 2 단말장치의 접속에 응답하여 상기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저작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And an authoring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output screen of the authoring content in response to the access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mplate 제작자의 제어입력을 토대로 상기 동영상을 지정하기 위한 세션, 상기 동영상의 재생구간을 특정하여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광고를 설정하기 위한 세션 및 상기 상품광고를 형성하기 위한 세션을 포함하여 상기 제작자 입력창을 형 성하기 위한 토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The producer input window including a session for designating the video based on a control input of a producer, a session for setting at least one product advertisement corresponding to a playback section of the video, and a session for forming the product advertisement.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is for form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광고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duct advertisement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text, an image and a video.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ent creation data is 상기 템플릿을 이루는 각 세션과 대응하여 상기 제작자 입력창에 형성되는 부분에 제작자의 제어입력으로 입력 설정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set as input to the control input of the producer in the portion formed in the producer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each session constituting the tem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rface unit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제 1 단말장치 및 상기 제 2 단말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네트워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work connec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via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컨텐츠 형성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thoring content forming unit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제공받아 상기 제작자 입력창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단말장치에 전달한 후,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의 입력을 통 해 상기 저작 컨텐츠를 자동 형성하기 위한 제작 서버; 및A production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template from the database unit, form the producer input window, deliver it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automatically form the authoring content through input of the content production data; And 상기 저작 컨텐츠를 이루는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dia server for providing the video forming the authoring cont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edia server 상기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동영상을 업-로드받아 저장한 후 제공하거나, 상기 동영상을 기 저장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y uploading and storing the video from the first terminal device, and to provide or save the vide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컨텐츠 관리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thoring content management unit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하기 위한 컨텐츠 저장소; 및A content repository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authoring content; And 상기 저작 컨텐츠를 상기 제작자 정보와 매칭하여 관리하며, 상기 제 2 단말장치의 접속에 의한 컨텐츠 제공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저작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컨텐츠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And a content management server configured to manage the authoring content by matching the author information and extract the authoring content in response to a content providing request by access of the second terminal device. Production syste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저장소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ent store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data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컨텐츠 제공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thoring content providing unit 상기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을 형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싱부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전송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And a transmission server configured to form an output screen of the authoring content and transmit the screen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through the interfacing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output screen of the authoring content 상기 동영상의 재생화면, 상기 상품광고의 노출화면 및 상기 상품광고에 대한 댓글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시스템.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layback screen of the video, the exposure screen of the product advertisement and the comment screen for the product advertisement. 동영상의 재생구간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광고를 노출하는 저작 컨텐츠의 제작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템플릿을 기초로 형성되는 제작자 입력창을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제 1 단말장치에 제공한 후, 상기 제작자 입력창에 대한 제작자의 제어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저작 컨텐츠를 자동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컨텐츠 형성장치.After providing a producer input window formed on the basis of a template for supporting production setting of the authoring content exposing at least one product advertisement for each playback period of the video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for producing the authoring content, the producer Authoring content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automatically forming the authoring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production data input through the control input of the producer for the input window.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컨텐츠 형성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authoring content forming apparatus is 상기 템플릿을 로딩하여 제작자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상기 제작자 입력창을 형성한 후, 상기 제 1 단말장치에 전달하여 제작자의 제어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저작 컨텐츠를 자동 형성하기 위한 제작 서버; 및After loading the template to form the producer input window for interfacing with the producer, the templat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to automatically form the authoring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production data input through the producer's control input. Production server; And 상기 저작 컨텐츠를 이루는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 컨텐츠 형성장치.And a media server for providing the video forming the authoring content. (가) 동영상의 재생구간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광고를 노출하는 저작 컨텐츠의 제작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템플릿을 기 형성하여 저장하는 단계;(A) pre-forming and storing a template for supporting the production setting of the authoring content that exposes at least one product advertisement for each playback period of the video; (나) 상기 템플릿을 기초로 하여 제작자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제작자 입력창을 형성한 후,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접속하는 제 1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단계;(B) forming a producer input window for interfacing with a producer based on the templat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first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produce the authoring content; (다) 상기 제작자 입력창에 대한 제작자의 제어입력으로 형성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저작 컨텐츠를 형성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C) forming and managing the authoring content based on content production data formed by a producer's control input to the producer input window; And (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의 접속에 응답하여 상기 저작 컨텐츠의 출력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방법.(D) providing a output screen of the authoring content in response to access of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devi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 단계는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c) (다-1) 상기 제 1 단말장치의 단말화면에 상기 제작자 입력창을 활성화하는 단계;(C-1) activating the producer input window on the terminal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다-2) 상기 제작자 입력창에서의 상기 동영상을 지정하기 위한 세션, 상기 동영상의 재생구간을 특정하여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광고를 설정하기 위한 세션 및 상기 상품광고를 이루기 위한 세션을 포함하는 세션들에 대한 제작자의 제어입력이 실행되는 단계;(C-2) a session for specifying the video in the producer input window, a session for setting at least one product advertisement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section of the video, and a session for achieving the product advertisement; Executing a manufacturer's control input for the sessions; (다-3)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행하여 상기 저작 컨텐츠를 형성하는 단계; 및(C-3) receiving the content creation data and performing matching with the template to form the authoring content; And (다-4) 상기 저작 컨텐츠를 제작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기반의 저작 컨텐츠 제작 방법.(C-4) Template-based authoring content prod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the authoring content to match the author information.
KR1020070107262A 2007-10-24 2007-10-24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emplate-based user created content, and apparatus to the same KR1009633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262A KR100963397B1 (en) 2007-10-24 2007-10-24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emplate-based user created content, and apparatus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262A KR100963397B1 (en) 2007-10-24 2007-10-24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emplate-based user created content, and apparatus to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642A true KR20090041642A (en) 2009-04-29
KR100963397B1 KR100963397B1 (en) 2010-06-14

Family

ID=4076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262A KR100963397B1 (en) 2007-10-24 2007-10-24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emplate-based user created content, and apparatus to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39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165A (en) * 2013-05-28 2014-12-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authoring
CN110909154A (en) * 2019-11-20 2020-03-2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Abstract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WO2021100989A1 (en) * 2019-11-22 2021-05-27 주식회사 포시에스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interactive and document-type electronic docu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document that may be created interactive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807A (en) * 1999-12-16 2000-04-06 김강욱 A advertisement operating system based on network and advertisement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00017815A (en) * 1999-12-17 2000-04-06 김강욱 A generation system for time varing image based on network and generation method thereof
KR20020024426A (en) * 2000-09-25 2002-03-30 조동근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ip multi-cast, and media for storing program source thereof
KR20040089276A (en) * 2003-04-11 2004-10-21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Editing system for moving picture of live broadcasting in home shopping and its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165A (en) * 2013-05-28 2014-12-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authoring
CN110909154A (en) * 2019-11-20 2020-03-2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Abstract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WO2021100989A1 (en) * 2019-11-22 2021-05-27 주식회사 포시에스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interactive and document-type electronic docu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document that may be created interactive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397B1 (en) 201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1509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erve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180167686A1 (en) Interactive distributed multimedia system
US201703394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With Time Based Metadata
US20070118801A1 (en) Generation and playback of multimedia presentations
US20100122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reading
US20090254633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istributing profile-based advertisement content and user identification-tagged media content
CN106537925A (en) System and methods that enable embedding, streaming, and displaying video advertisements and content on internet webpages accessed via mobile devices
CN1053250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rming content viewing
KR101463773B1 (en) A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s and the system thereof
US201401086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time-sensitive, event-relevant interactive digital content to a user during a separate event being experienced by the user
WO2002007414A1 (en) Method for information service using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1034304A (en) Terminal device, coupon attribute change method and coupon attribute change program
KR1009633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emplate-based user created content, and apparatus to the same
JP5557325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display system
JP5355013B2 (en) Image providing system, image providing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image providing method
US20080162650A1 (en) User-chosen media content
KR20090097750A (en) Digital contents display device, digital contents display method and digital contents display system
KR20180041879A (en) Method for editing and apparatus thereof
JP2007199494A (en) Karaoke system
JP2009017417A (en) Server, program and system for content distribution
KR20230035679A (en) Content delivery system and content delivery method
KR1014982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moving picture based on web
KR20170120074A (en) Method, user terminal, server and program for providing online advertising contents
JP2009193304A (en) Information viewing system, information viewing method and information viewing program
JP4471946B2 (en) Karaok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