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732A -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에서 배터리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에서 배터리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732A
KR20090018732A KR1020097002040A KR20097002040A KR20090018732A KR 20090018732 A KR20090018732 A KR 20090018732A KR 1020097002040 A KR1020097002040 A KR 1020097002040A KR 20097002040 A KR20097002040 A KR 20097002040A KR 20090018732 A KR20090018732 A KR 20090018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
battery management
power state
unit
stat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601B1 (ko
Inventor
카테린 리베
광 루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18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융합형 WTRU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력 소모는 융합형 WTRU에 의해 지원되는 다양한 RAT들의 배터리 관리를 조율함으로써 최소화된다. 조율형 다중 RAT 배터리 관리(CMRBM) 유닛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융합형 WTRU에 의해 사용된다. CMRBM 유닛은 융합형 WTRU에 의해 지원되는 다양한 RAT의 다양한 전력 및 링크 메트릭을 모니터링하고, 융합형 WTRU의 전력 상태를 조율한다.

Description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에서 배터리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MANAGEMENT IN A CONVERGED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본 발명은 대체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걸쳐 동작할 수 있는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의 전력 관리에 관한 것이다.
융합형 WTRU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이다. 융합형 WTRU는, 음성, 전자메일 및 개인 정보에 대한 모바일 액세스, 웹 브라우징, 오디오 및 비디오 재생, 및 스트리밍, 게이밍 등을 포함하는 풍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복수의 RAT을 통한 통신은 상당한 양의 전력을 요구하므로, 융합형 WTRU의 배터리의 빠른 고갈을 초래한다.
융합형 WTRU에서, 복수의 RAT을 통한 통신은 융합형 WTRU가 복수의 RAT들 각각에서 송수신할 것을 요구한다. 이 문제를 더 해결하기 위해, 융합형 WTRU는 복수의 RF 체인을 가지거나, 복수의 RAT을 통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융합형 WTRU는 일반적으로 휴대형 장치이기 때문에 배터리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전력 요 구를 만족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융합형 WTRU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합형 WTRU의 모든 컴포넌트들 중에서, 트랜시버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은 전력을 끌어 쓴다. 따라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가장 쉬운 방법은,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트랜시버를 턴오프하거나 그 활동을 줄이는 것이다. 이것은 WTRU를 휴면 상태 또는 불연속 수신(DRX) 모드에 둠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기술(RAT)마다 그들 자신의 배터리 절감 메커니즘을 갖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2가지 상태가 고려된다(때때로 이하에서 기술되는 용어와는 상이한 용어가 사용된다).
제1 상태는 WTRU의 무선장치가 켜져 있는 지각 상태(Awake state)이다. 이 상태에서, WTRU는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또는, WTRU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을 수 있다. 이 모드에서는, WTRU는 무선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어 트래픽을 발생하고, 필요하다면, 데이터의 능동적 전송 및 수신을 위해 신속하게 전환한다. 제2 상태는 휴면(sleep)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WTRU의 무선장치는 주기적으로 턴오프된다. WTRU는 간헐적으로 깨어나서, 예를 들어, IEEE 802.11 RAT에서의 비컨,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 RAT에서의 파일럿 채널 등과 같은, 네트워크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한다. 네트워크측은 휴면중인 WTRU로 향하는 어드레싱된 패킷들을 버퍼에 저장하고, WTRU가 지각 상태에 있을 때 그 패킷들을 전달할 수 있다.
RAT 프로토콜은 주어진 기술에 대해 요구되는 선택사항적 전력 관리 모드들을 정의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시하자면,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에서, 무선 클라이언트의 배터리 소모를 절감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무선 장치는 2개의 상태: (1) 무선 클라이언트가 지속적으로 전력공급받으며 능동적으로 송수신하는 활성 상태와 (2) 무선 클라이언트가 간헐적으로 휴면할 때 발생하는 전력 절감 상태 사이에서 교대할 것이다.
인프라구조 네트워크에서 WLAN 액세스 포인트들은 모든 연관된 WTRU의 상태를 추적할 것이다. 이들 액세스 포인트들은 휴면 상태의 WTRU를 목적지로 하는 트래픽을 버퍼링할 것이다. 고정된 간격으로, AP는, 어느 휴면 WTRU가 액세스 포인트에서 대기중인 트래픽을 버퍼링했는지를 가리키는 TIM(Traffic Indication Map) 프레임을 내보낼 것이다. 휴면 상태의 WTRU는 그 수신기를 간헐적으로 파워온하여 TIM을 수신할 것이다. 만일 WTRU가 대기중인 트래픽을 갖고 있다면, 패킷전환형(PS) 폴링 프레임을 AP에게 전송할 것이다. WTRU는 수신될때까지 트래픽을 기다리거나, 또는, AP는 더 이상의 버퍼링된 트래픽이 없다는 것을 가리키는 또 다른 TIM 프레임을 전송할 것이다.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 기술에서, WTRU는 2가지 기본 상태, 즉 유휴상태 또는 접속상태 중 어느 하나에 있을 것이다. 유휴 상태에서, WTRU는 "셀 상에서 캠핑중"에 있다. 그러나, WTRU는 페이징과 같은 시그널링 정보를 여전히 수신할 수 있다. WTRU는 무선 자원 제어기(RRC) 접속이 확립될때까지 유휴 상태에 머무를 것이다. UMTS에서는, 각각 변동하는 정도의 통신 능력과 전력 절감 혜택을 갖고 있는, 셀 전용 채널(CELL_DCH), 셀 포워드 액세스 채널(CELL_FACH), 셀 페이징 채널(CELL_PCH), 및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기술(UTRAN) 등록 영역 페이징 채 널(URA_PCH)을 포함한 다양한 접속 상태 모드가 정의되어 있다.
기타의 액세스 기술들은 그들 자신의 각각의 전력 관리 상태 및 모드들을 갖고 있다. 전술한 WLAN과 UMTS 전력 모드들은 단지 예에 불과하며, 원한다면 임의의 무선 액세스 기술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하는 의미는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WTRU(110)가 다중-RAT 무선 환경(100)에 도시되어 있다. 그들 각각의 프로토콜을 통한 통신을 위해 다양한 RAT들(RAT1, RAT2,..., RATN)이 이용가능하다. 융합형 WTRU(110)는 각각의 RAT1, RAT2,..., RATN과 통신하기 위해, 각각 복수의 RAT 처리 유닛들(1201, 1202,..., 120N)을 포함한다. 각각의 RAT 처리 유닛(1201, 1202,..., 120N)의 전력 상태는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1301, 1302, ..., 130N)에 의해 제어된다. 이들 RAT 배터리 관리 유닛들(1301, 1302, ..., 130N)은 그들 각각의 RAT 프로토콜에 따라 전력과 자원을 관리한다. 따라서, 융합형 WTRU(110)은, 복수의 RAT을 통한 통신 기능과, 각각의 RAT의 프로토콜 및 전력 모드에 따라 전력과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한다. 기타의 WTRU 컴포넌트(140)는 디스플레이, 입력 장치, 전송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와 기능을 포함한다. 예시하자면, 융합형 WTRU(110)이 RAT1을 사용할 때, RAT1 처리 유닛(1201)은 기타의 WTRU 컴포넌트(140)과 연계하여 RAT 고 유의 프로토콜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 RAT1 배터리 관리 유닛(1301)은 전력 자원 및 전력 모드를 관리한다.
그러나, 융합형 WTRU(110)는 각각의 RAT 처리 유닛(1201, 1202,..., 120N)과, 연관된 RAT 배터리 관리 유닛(1301, 1302, ..., 130N)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한다는 점에 있어서 조율(coordination)이 결핍되어 있다. 따라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회가 소실된다. 따라서, 융합형 WTRU에서 다중-RAT 배터리 관리를 조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융합형 WTRU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력 소모는 융합형 WTRU에 의해 지원되는 다양한 RAT의 배터리 관리를 조율함으로써 최소화된다. 조율된 다중 RAT 배터리 관리(CMRBM) 유닛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융합형 WTRU에 의해 사용된다. CMRBM 유닛은 융합형 WTRU에 의해 지원되는 다양한 RAT들의 다양한 전력 및 링크 메트릭들을 모니터링하며, 융합형 WTRU의 전력 상태를 조율한다.
융합형 WTRU에서 다중-RAT 배터리 관리를 조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요소들이 특정한 조합의 양호한 실시예들에서 기술된 다. 각각의 특징 또는 요소는 (양호한 실시예의 다른 특징들 및 요소들 없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요소들과 함께 또는 이들 없이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WTRU는 사용자 장비(UE), 모바일 스테이션, 고정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 페이저,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기타 임의 타입의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CMRBM 유닛(220)을 포함하는 융합형 WTRU(210)를 도시한다. CMRBM 유닛(220)은 각각의 RAT 처리 유닛(2401, 2402, ..., 240N)(여기서는, 집합적으로 참조번호 240으로 지칭)의 전력 및 자원 관리를 차례로 제어하는 다양한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1, 2302, ..., 230N)(여기서는, 집합적으로 참조번호 230으로 지칭)을 조율한다. 다중 RAT 무선 통신 환경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방식이 아니라 순전히 예로서의,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네트워크,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네트워크,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GERAN(GSM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EDGE) radio access network), 및 IEEE 802.11x 호환형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일 수 있는, RAT1, RAT2, ..., RATN을 포함한다. 융합형 WTRU(210)는, 트랜시버, 메모리, 디스플레이등을 포함한 기타의 WTRU 컴포넌트(250)를 포함한다.
CMRBM 유닛(220)은, 융합형 WTRU(210)의 다양한 RAT 배터리 관리 유닛(2401, 2402, ..., 240N)을 조율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CMRBM 유닛(220)에 의해 양호하게는 3개의 일반적인 전력 상태가 이용된다. 지각 상태에서, 융합형 WTRU(210)는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CMRBM 지각 상태는, 전술한 WLAN 활성 상태 및 UMTS 접속 상태와 유사하다. 제2 전력 상태는 휴면 상태이다. 이 휴면 상태에서, RAT는 축소된 기능 및 절감된 전력 소모와 더불어, 전형적으로는 주기적으로만 전력공급되며 동작한다. 휴면 전력 상태는 전술한 UMTS 유휴 상태와 유사하다. 제3 전력 상태는 오프 상태이다. 이 오프 상태에서, RAT는 완전히 파워 다운되며,트래픽을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을 제어하기 위해 도 2의 융합형 WTRU(210)의 CMRBM 유닛(220)에 의해 이용되는 상태 머신(300)이 도시되어 있다. 오프 상태(310)에서, 주어진 RAT 처리 유닛은 완전히 파워 오프된다. 온 상태(320)에서, 주어진 RAT 처리 유닛은 전력공급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작한다. 온 상태(320)는 지각 모드(330) 및 휴면 모드(340)를 더 포함한다. 지각 모드(330)에서, RAT 처리 유닛은 완전히 동작하며 능동적으로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휴면 모드(340)에서, RAT 처리 유닛은 축소된 기능과 함께 동작한다. 전형적으로, 휴면 모드(340)에서, RAT 처리 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트랜시버를 주기적으로 파워 오프할 것이며 제어 메시징을 감소시킬 것이다.
CMRBM 유닛(220) 전력 상태는 다중 RAT 배터리 관리를 조율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일반화된 전력 상태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주어진 RAT 프로토콜은 주어진 CMRBM 전력 상태의 다양한 부상태 또는 모드들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MTS 액세스 기술에서의 활성 상태는 적어도 4개의 부상태들(전술한 URA_PCH, CELL_DCH, CELL_PCH, 및 CELL_FACH)을 포함한다. CMRBM 유닛(220)이 배터리 관리를 전반적으로 조율하는 반면,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한 부상태는, 궁극적으로, 그 각각의 RAT 프로토콜에 따라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 의해 결정된다. 이것은 지각 모드(330)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개개의 RAT 프로토콜에 대해 고유한 다양한 다른 전력 관리 세부사항 뿐만 아니라 CMRBM 휴면 모드(340)를 포함한다.
여전히 도 3을 참조하면, 상태 변경은 대시 라인에 의해 표시된다.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상태 변경 요청의 수신을 통해, 오프 상태(310)에서 온 상태(320)로 변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도 변할 수 있다. 온 상태에 있는 동안,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상태 변경 요청에 의해, 지각 모드(330) 및 휴면 모드(340) 사이에서 교대할 것이다. 대안으로서,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그 각각의 RAT 프로토콜 및 배터리 관리 구성에 기초하여 그 상태나 모드를 일방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CMRBM 유닛(220)은 양호하게는, 이하의 테이블 1에서 예를 들어 상세히 기술된 메시징 프리미티브를 통해 융합형 WTRU(210)의 다양한 RAT 배터리 관리 유닛들(2401, 2402, ..., 240N)과 통신한다. 다른 프리미티브들도 역시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논의되는 프리미티브들은, 원한다면, 설명란에서 명시적으로 인용하고 있는 것보다 더 추가된 정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미티브 방향 설명
상태 변경 요청 CMRBM 유닛 -> RAT 배터리 관리 유닛 CMRBM 유닛은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게 전력 상태를 변경하도록 요청한다. 주목할 점은, 그 요청을 실행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UMTS RAT에서, WTRU는 자발적으로 휴면 상태에 진입할 수 없다; 그것은 네트워크의 결정이다. 만일 부상태가 존재한다면, 그 부상태도 역시 표시된다.
상태 변경 표시 CMRBM 유닛 <- RAT 배터리 관리 유닛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그 상태가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상태 변경은 CMRBM 유닛으로부터의 상태 변경 요청의 결과이거나, RAT 프로토콜에 기초한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 의해 개시된 자발적인 상태 변경일 것이다. 새로운 상태는 메시지 내에 표시된다.
상태 정보 요청 CMRBM 유닛 <- RAT 배터리 관리 유닛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자발적으로 새로운 상태에 진입하기 이전에, CMRBM 유닛에게 상태 변경의 확인을 요청한다. 새로운 상태는 메시지 내에 표시된다.
상태 정보 응답 CMRBM 유닛 -> RAT 배터리 관리 유닛 상태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CMRBM 유닛은 확인된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응답한다. 주목할 점은, 궁극적인 상태 결정은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게 달려있다는 것이다.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양호하게는 CMRBM 유닛에게 상태 변경 표시 메시지를 통해 선택된 상태를 통보한다.
턴온 요청 CMRBM 유닛 -> RAT 배터리 관리 유닛 이 명령은 CMRBM 유닛이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을 턴온하고, 이어서 RAT 처리 유닛을 턴온하도록 허용한다.
턴오프 요청 CMRBM 유닛 -> RAT 배터리 관리 유닛 이 명령은 CMRBM 유닛이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을 턴오프하고, 이어서 RAT 처리 유닛을 턴오프하도록 허용한다.
구성 보고 CMRBM 유닛 <- RAT 배터리 관리 유닛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그 현재의 전력 상태에 관한 내부 구성 파라미터들을 CMRBM 유닛에게 제공한다.
구성 요청 CMRBM 유닛 -> RAT 배터리 관리 유닛 CMRBM 유닛은 전력 소모가 최적화되도록 RAT의 전력 상태 파라미터를 맞춤화하기 위해 이 프리미티브를 이용한다.
도 4는 도 2의 융합형 WTRU에서 다중 RAT 배터리 관리를 조율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400)이다. CMRBM 유닛(220)은, RAT의 다양한 신호 및 링크 메트릭뿐만 아니라, 융합형 WTRU(210)에 포함된 다양한 RAT 배터리 관리 유닛(2401, 2402,..., 204N)을 모니터링한다(단계 410). 이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CMRBM 유닛(220)은 RAT 배터리 관리 유닛들 중 임의의 유닛의 상태 또는 모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420). 이러한 판정은 융합형 WTRU(220)의 배터리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임의의 원리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T1과 같은, 이용가능한 주어진 RAT의 네트워크가 없을 때에는,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대응하는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1) 및 RAT 처리 유닛(2401)을 오프 모드로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만일 네트워크가 이용가능하게 되면,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1) 및 RAT 처리 유닛(2401)은 온 모드에 놓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융합형 WTRU(210)가 낮은 배터리 전력 레벨을 감지할 때,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영구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오프 모드에 놓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융합형 WTRU(210)의 사용자는 전력 모드 및 상태를 원하는 대로 조절하기 위해 CMRB 유닛(220)을 구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CMRBM 유닛(220)은, 휴면 모드로부터 지각 모드로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의 상태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 RAT로의 핸드오버가 임박할 때, 그 각각의 전력 관리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의 휴면 모드로의 변경을 거절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CMRBM은 임의의 RAT의 상태 변경에 영향을 주기 위해 링크 품질 메트릭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TRU(210)가 수개의 RAT들에 접속되고 이들 RAT들 상에서 링크 품질이 양호할 때, CMRBM은 RAT가 그 상태를 휴면 모드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CMRBM 유닛(220)이 상태 또는 모드 변경이 요구된다고 판정하는 경우, CMRBM 유닛(220)은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이 상태 또는 모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한다(단계 430). 양호하게는, CMRBM 유닛(220)은 상태 변경의 요청을 위해 상기 테이블 1에 정의된 프리미티브들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CMRBM 유닛(220)은, 상태 또는 모드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에 "상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상태 변경 요청의 수신시에,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은 그 RAT 고유의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그 요청을 따를지의 여부를 표시하고, 양호하게는 그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변경 표시"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440).
특정한 RAT가 모드를 변경할 때(예를 들어, 지각 모드로부터 휴면 모드로, 또는 그 반대로), 네트워크는 통상, 그 융합형 WTRU(210)로 향하는 트래픽이, 전술 한 바와 같이 또는 기타의 이유 때문에, 그 네트워크에 의해 버퍼링되도록, 그 모드 또는 상태 변경을 통보받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력 모드를 그 네트워크와 동기화하기 위한 RAT 고유의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만일 단계(420)에서 CMRBM 유닛(220)에 의해 어떠한 상태 변경도 희망되지 않는다면, 임의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이 상태 변경을 원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450).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은 RAT 고유의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그 상태에 관한 독립된 결정을 내린다. 만일 어떠한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도 상태 변경을 원하지 않는다면, 방법은 추가의 모니터링을 위해 단계(410)로 되돌아간다. 만일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이 상태 변경을 원한다면,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은 상태 변경에 대한 허용을 CMRBM 유닛(220)에게 요청한다(단계 460). 양호하게는, 그 요청은 상기 테이블 1에 상세히 나타낸 "상태 정보 요청" 프리미티브이다. 이 상태 변경 요청의 수신시에, CMRBM 유닛(220)은 그 상태 변경 요청을 허용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에 따라, 요청하는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에게 시그널링한다(단계 470). 양호하게는, CMRBM 유닛(220)은, 상기 테이블 1에서 상세히 나타낸 "상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요청하는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에게 시그널링한다. CMRBM 유닛(220)은 요청된 상태 변경을 허용하거나 불허할 수 있고, 그 요청하는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은, CMRBM 유닛(220)에 의해 허용이 주어지든지 거부되든지에 관계없이, 그 요청된 상태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면, 융합형 WTRU(210)에서 다중 RAT 배터 리 관리를 조율하기 위한 한 방법의 흐름도(500)가 도시되어 있다. 융합형 WTRU(210)가 파워 온될 때(단계 510),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은 CMRBM 유닛(220)에게 그 각각의 배터리 관리 구성을 통보한다(단계 520). 양호하게는, RAT 배터리 관리 유니(230)은 앞선 테이블 1에 정의된 "구성 보고" 메시지를 CMRBM 유닛(220)에게 전송한다. 주목할 점은, 초기 배터리 관리 구성은 특정한 RAT 프로토콜에 의해 지정된다는 점이다. 그 다음, CMRBM 유닛(220)은 그 보고서를 편집하고, 전력 소모가 최소화되도록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들 중 임의의 유닛의 상태 변경을 요청할 필요성을 판정한다(단계 530). 만일 CMRBM 유닛(210)이 어떠한 상태 변경도 요구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즉, 융합형 WTRU(210)가 현재 최적의 전력 구성에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 방법은 단계(550)로 진행한다. 반면, 만일 CMRBM 유닛(220)이 상태 변경이 희망된다고 판정하면(즉, 융합형 WTRU(210)가 더 효율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고 판정), CMRBM 유닛(220)은 상태를 변경할 것을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에게 요청한다(단계 540). 양호하게는, 이 요청은 상기 테이블 1에 정의된 "구성 요청" 메시지의 형태이다. 상태 변경을 요청한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은, 자발적으로, 그 고유 RAT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태를 변경할지의 여부에 관해 판정할 수 있다. 선택된 상태는, 다음 구성 보고서에서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에 의해 표시될 것이다. 선택사항으로서, 다양한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은 구성 보고를 주기적으로 반복한다(단계 550). 이 주기적인 보고는 고정된 간격이거나, 사용자 제어 또는 CMRBM 유닛(220)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전술된 방법들 외에도, CMRBM 유닛(220)은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에게 완전히 파워 다운하여 그 각각의 RAT 처리 유닛(240)을 셧다운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것은 양호하게는 상기 테이블 1에서 정의된 "턴오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달성된다. 마찬가지로, CMRBM 유닛(220)은 파워 다운 상태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에게 턴온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것은 양호하게는 상기 테이블 1에서 정의된 "턴온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달성된다. 융합형 WTRU(210)는, 전력 절감을 위해 다양한 상황에서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을, 그에 따라, 대응하는 RAT 처리 유닛(240)을, 파워 온/파워 오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할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 전원 공급이 미리결정된 임계치 아래에 있을 때, 또는 사용자가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특정한 RAT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CMRBM 유닛(220)은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과 대응하는 RAT 처리 유닛(240)을 턴오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CMRBM 유닛(220)은, RAT간 핸드오버 동안에 융합형 WTRU(210)의 다양한 액세스 기술들의 효율적인 전력 관리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CMRBM 유닛(220)은, 핸드오버 지연을 저감시킴으로써 RAT간 핸드오버의 실행을 개선하기 위해 융합형 WTRU(210)의 RAT간 핸드오버 정책 기능과 연계하여 동작한다. 융합형 WTRU(210)의 CMRBM 유닛(220)은 다양한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 및 RAT 신호 품질 및 전력 관리 메트릭을 모니터링한다(단계 610). 융합형 WTRU(210)의 RAT간 핸드오버 정책에 기초하여, RAT간 핸드오버가 희망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620). 예를 들어, 낮거나 줄어드는 링크 품질을 갖는 RAT 네트워크로부터 강하거나 개선되고 있는 링크 품질을 갖는 RAT 네트워크로 활성 세션을 전이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계(620)에서 핸드오버가 희망된다고 판정될 때, 타겟 RAT 처리 유닛(들)(240)이 지각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630). 만일 타겟 RAT 처리 유닛(들)이 지각 상태에 있지 않다면, CMRBM 유닛(220)은, 타겟 RAT(들) 처리 유닛(들)(240)을 핸드오버를 위한 적절한 지각 상태에 두도록 타겟 RAT(들) 배터리 관리 유닛(들)(230)에게 시그널링한다(단계 640). 이것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즉, 개별적인 RAT 시그널링 또는 구성 보고)에 의해 달성가능하다. 타겟 RAT 처리 유닛(들)이 지각 상태에 있을 때, 융합형 WTRU(210)는 RAT간 핸드오버를 수행한다(단계 650). 마지막으로, CMRBM 유닛(220)은, 최소한의 전력 소모 구성이 달성되도록 융합형 WTRU(210)내의 다양한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에게 시그널링한다(단계 660).
예를 들어, 융합형 WTRU(210)가 제1 RAT 처리 유닛(2101)을 이용하여 활성 상태에 있으나, CMRBM 유닛(220)이 감소하는 링크 품질을 감지할 때(즉, 핸드오버를 가리키는 미리결정된 기준), CMRBM 유닛(220)은, 현재 휴면 상태에 있는 제2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2) 또는 복수의 다른 RAT 배터리 관리 유닛(2302, ... , 230N), 및 대응하는 RAT 처리 유닛들(2402, ..., 240N)에게 지각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한다. CMRBM 유닛(220)은 제1 RAT 처리 유닛(2401)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트래픽의 유형을 처리하기에 가장 적합한 RAT 처리 유닛들(2402, ... , 240N) 또는 최 상의 링크 품질을 갖는 RAT 처리 유닛들(2402, ..., 240N)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핸드오버 타겟 RAT는 지각 상태에 있게 되고 트래픽을 수신할 준비가 됨으로써, 핸드오버 지연을 최소화한다.
실시예들
1.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WTRU의 복수의 RAT들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RAT 고유의 배터리 관리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2. 실시예 1에 있어서, 복수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구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3. 실시예 2에 있어서,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4. 실시예 3에 있어서, 상기 전력 상태 변경은 상기 WTRU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희망되는 것인,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5. 실시예 3 또는 실시예 4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6. 실시예 5에 있어서,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서 상기 전력 상태 변경 요청 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7. 실시예 6에 있어서,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배터리 관리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요청된 전력 상태 변경을 실행할지의 여부를,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8. 실시예 5-7에 있어서, 상기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이 상기 전력 상태 변경 요청에 대한 순응을 가리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9. 실시예 3-8에 있어서,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추가로 링크 품질 메트릭에 기초하는 것인,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0. 실시예 9에 있어서, 만일 RAT의 링크 품질 메트릭이 미리결정된 임계치 아래에 있다면, 상기 RAT와 연관된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상태에서의 변경이 요청되는 것인,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1. 실시예 3-10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이 그 전력 관리 구성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고에 기초하는 것인,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보고는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 의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인,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3. 실시예 1-12에 있어서,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서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이 긍정인 때에 전력 상태 변경에 대한 허용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4. 실시예 13에 있어서, 허용의 수신시에 상태 변경을 희망하는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서 전력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5. 실시예 3-14에 있어서, 전력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은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는 것인,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6. 실시예 3-15에 있어서, 전력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은 복수의 RAT의 데이터 레이트에 기초하는 것인,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7. 실시예 3-16에 있어서, 전력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은 상기 융합형 WTRU의 RAT간 핸드오버 정책에 기초하는 것인,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8.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 있어서,
트랜시버; 및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 처리 유닛으로서, 각각의 RAT 처리 유닛은 상이한 RAT을 통해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와 연계되는 것인, 상기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
을 포함하는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19. 실시예 18에 있어서, 각각의 RAT 처리 유닛에 대해 하나씩, 복수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20. 실시예 1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RAT 관리 유닛들 각각은 각각의 RAT 처리 유닛의 전력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21. 실시예 18-20에 있어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을 각각을 조율하도록 구성된 조율형의 다중 RAT 배터리 관리(CMRBM) 유닛을 더 포함하는,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CMRBM 유닛은 상기 복수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구성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23.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CMRBM 유닛은 상기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상기 WTRU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24.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CMRBM 유닛은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상태 변경을 요청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25. 실시예 21-24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상기 CMRBM 유닛으로부터 전력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26. 실시예 25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상기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요청된 전력 상태 변경을 실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27. 실시예 25 또는 실시예 26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상기 전력 상태 변경 요청에 대한 순응을 상기 SMRBM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28. 실시예 21-24에 있어서, 상기 CMRBM 유닛은 링크 품질 메트릭에 기초하여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29. 실시예 21-24,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CMRBM 유닛은, 주어진 RAT의 링크 품질 메트릭이 미리결정된 임계치 아래일 때 상기 주어진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상태에서의 변경을 요청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30. 실시예 21-24 또는 28-29에 있어서, 상기 CMRBM 유닛은 상기 보고에 기초하여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31. 실시예 25-27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그 전력 관리 구성을 보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32.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보고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33. 실시예 25-27, 또는 31-32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34. 실시예 25-27, 또는 31-33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상기 판정이 긍정일 때 전력 상태 변경에 대한 허용을 상기 CMRBM 유닛에게 요청하도록 구성된 것인,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본 발명의 더 상세한 이해는,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이해될 수 있는, 예로서 주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도 1은 융합형 WTRU에서의 종래의 배터리 관리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조율형 다중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을 포함하는 융합형 WTRU를 예시한다.
도 3은 도 2의 융합형 WTRU의 가능한 전력 모드들의 상태 머신도이다.
도 4는 도 2의 융합형 WTRU에서 다중 RAT 배터리 관리를 조율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구성 보고서를 이용한 다중 RAT 배터리 관리를 조율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RAT간 핸드오버 동안에 다중 RAT 배터리 관리를 조율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33)

  1.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융합형 무선 송수신기(WTRU)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WTRU는 상기 복수의 RAT들 각각에 대한 RAT 고유의 배터리 관리 유닛을 갖는 것인, 상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구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상기 WTRU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서 상기 전력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배터리 관리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전력 상태 변경을 실행할지의 여부를 상기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서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이 상기 전력 상태 변경 요청에 대한 순응을 가리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링크 품질 메트릭에 추가로 기초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만일 RAT의 링크 품질 메트릭이 미리결정된 임계치 아래에 있다면, 상기 RAT와 연관된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상태에서의 변경이 요청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이 그 전력 관리 구성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고에 기초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는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 의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이 긍정일 때 전력 상태 변경에 대한 허용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허용의 수신시에 상태 변경을 희망하는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서 전력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전력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은,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전력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은, 복수의 RAT의 데이터 레이트에 기초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전력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은, 상기 융합형 WTRU의 RAT간 핸드오버 정책에 기초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3.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 있어서,
    트랜시버;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 처리 유닛들로서, 각각의 RAT 처리 유닛은 상이한 RAT을 통해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상기 트랜시버와 연계되는 것인, 상기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 처리 유닛;
    각각의 RAT 처리 유닛에 대해 하나씩의 복수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으로서, 각각의 RAT 처리 유닛의 전력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상기 복수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
    상기 복수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들의 전력 구성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상기 WTRU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상태 변경을 요청하도록 구성된 조율형 다중 RAT 배터리 관리(CMRBM) 유닛
    을 포함하는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상기 CMRBM 유닛으로부터 전력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전력 상태 변경의 실행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상기 전력 상태 변경 요청 에 대한 순응을 상기 CMRBM 유닛에게 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MRBM 유닛은 링크 품질 메트릭에 기초하여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MRBM 유닛은, 주어진 RAT의 링크 품질 메트릭이 미리결정된 임계치 아래일 때 상기 주어진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상태에서의 변경을 요청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그 전력 관리 구성을 보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CMRBM 유닛은 상기 보고에 기초하여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은,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이 긍정일 때 전력 상태 변경에 대한 허용을 상기 CMRBM 유닛에게 요청
    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소모 최소화 방법.
  22. 조율형 다중 무선 액세스 기술 배터리 관리를 제공하기 위해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 의해 실행가능한 저장된 한세트의 명령어를 갖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는,
    복수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구성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상기 WTRU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3. 제22항에 있어서,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서 상기 전력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배터리 관리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전력 상태 변경을 실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이 상기 전력 상태 변경 요청에 대한 순응을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은 링크 품질 메트릭에 기초하는 것인,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6. 제25항에 있어서, RAT의 링크 품질 메트릭이 미리결정된 임계치 아래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이 긍정일 때 상기 RAT와 연관된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의 전력 상태에서의 변경을 요청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7. 제22항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이 그 전력 관리 구성을 보고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고,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은 상기 보고에 기초하는 것인,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8. 제27항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이 전력 관리 구성을 주기적으로 보고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29. 제22항에 있어서, 각각의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이 전력 상태 변경이 희망되 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이 긍정일 때 RAT 배터리 관리 유닛이 전력 상태 변경에 대한 허용을 조율형 다중 RAT 배터리 관리(CMRBM) 유닛에게 요청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CMRBM 유닛으로부터 허용의 수신시에 상태 변경을 희망하는 RAT 배터리 관리 유닛에서 전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은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는 것인,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은 상기 복수의 RAT들의 데이터 레이트에 기초하는 것인,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상태 변경이 요구되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정은 상기 융합형 WTRU의 RAT간 핸드오버 정책에 기초하는 것인,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097002040A 2006-05-10 2007-05-08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에서 배터리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89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919606P 2006-05-10 2006-05-10
US60/799,196 2006-05-10
US82756806P 2006-09-29 2006-09-29
US60/827,568 2006-09-29
PCT/US2007/011076 WO2007133526A2 (en) 2006-05-10 2007-05-08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management in a converged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109A Division KR20090014201A (ko) 2006-05-10 2007-05-08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에서 배터리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732A true KR20090018732A (ko) 2009-02-20
KR101289601B1 KR101289601B1 (ko) 2013-08-07

Family

ID=386944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109A KR20090014201A (ko) 2006-05-10 2007-05-08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에서 배터리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097002040A KR101289601B1 (ko) 2006-05-10 2007-05-08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에서 배터리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109A KR20090014201A (ko) 2006-05-10 2007-05-08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에서 배터리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027732A2 (ko)
JP (1) JP5036808B2 (ko)
KR (2) KR20090014201A (ko)
CN (1) CN101444131B (ko)
TW (2) TWI423704B (ko)
WO (1) WO20071335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8608B2 (en) 2005-04-28 2015-12-01 Proteus Digital Health, Inc. Communication system incorporated in a container
CN101287411B (zh) 2005-04-28 2013-03-06 普罗秋斯生物医学公司 药物信息系统及其用途
CA2650920C (en) 2006-05-02 2016-10-18 Proteus Biomedical, Inc. Patient customized therapeutic regimens
SG175681A1 (en) 2006-10-25 2011-11-28 Proteus Biomedical Inc Controlled activation ingestible identifier
WO2008063626A2 (en) 2006-11-20 2008-05-29 Proteus Biomedical, Inc. Active signal processing personal health signal receivers
EP2107883A4 (en) 2007-02-01 2013-07-03 Proteus Digital Health Inc SYSTEMS WITH EFFECTIVE EVENT MARKERS
US8956288B2 (en) 2007-02-14 2015-02-17 Proteus Digital Health, Inc. In-body power source having high surface area electrode
EP2124725A1 (en) 2007-03-09 2009-12-02 Proteus Biomedical, Inc. In-body device having a multi-directional transmitter
US8540632B2 (en) 2007-05-24 2013-09-24 Proteus Digital Health, Inc. Low profile antenna for in body device
FI2192946T3 (fi) 2007-09-25 2022-11-30 Elimistön sisäinen laite, jossa on virtuaalinen dipolisignaalinvahvistus
EP2215726B1 (en) 2007-11-27 2018-01-10 Proteus Digital Health, Inc. Transbody communication systems employing communication channels
EP3235491B1 (en) 2008-03-05 2020-11-04 Proteus Digital Health, Inc. Multi-mode communication ingestible event markers and systems
US7979097B2 (en) * 2008-03-18 2011-07-12 Kyocera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for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Y154234A (en) 2008-07-08 2015-05-15 Proteus Digital Health Inc Ingestible event marker data framework
SG196787A1 (en) 2009-01-06 2014-02-13 Proteus Digital Health Inc Ingestion-related biofeedback and personalized medical therapy method and system
TWI517050B (zh) 2009-11-04 2016-01-11 普羅托斯數位健康公司 供應鏈管理之系統
US9655044B2 (en) * 2009-11-25 2017-05-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adio device
US9391853B2 (en) 2009-12-23 2016-07-12 Apple Inc. Efficient service advertisement and discovery in a peer-to-peer networking environment with dynamic advertisement and discovery periods based on operating conditions
US8543659B2 (en) * 2010-03-02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equipment battery information reporting
US9854007B2 (en) 2010-05-05 2017-12-26 Htc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packet switched data transmiss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TWI557672B (zh) 2010-05-19 2016-11-11 波提亞斯數位康健公司 用於從製造商跟蹤藥物直到患者之電腦系統及電腦實施之方法、用於確認將藥物給予患者的設備及方法、患者介面裝置
CN103026317B (zh) * 2010-07-30 2016-02-2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控制聚合i/o端口的功率消耗的方法和系统
WO2015112603A1 (en) 2014-01-21 2015-07-30 Proteus Digital Health, Inc. Masticable ingestible product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US9756874B2 (en) 2011-07-11 2017-09-12 Proteus Digital Health, Inc. Masticable ingestible product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BR112014001397A2 (pt) 2011-07-21 2017-02-21 Proteus Biomedical Inc dispositivo, sistema e método de comunicação móvel
US9235683B2 (en) 2011-11-09 2016-01-12 Proteus Digital Health,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dherence to a regimen
EP2613592B1 (en) 2012-01-09 2019-04-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radio access technology
US9648636B2 (en) * 2012-12-10 2017-05-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lligent M2M energy optimization algorithm
EP3005281A4 (en) 2013-06-04 2017-06-28 Proteus Digital Health,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data collection and assessing outcomes
US10084880B2 (en) 2013-11-04 2018-09-25 Proteus Digital Health, Inc. Social media networking based on physiologic information
US10098181B2 (en) 2014-03-19 2018-10-09 Apple Inc. Select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mode based on current conditions
DE102015203265B4 (de) * 2014-03-19 2020-09-24 Apple Inc. Auswählen eines Funkzugangstechnologie-Modus basierend auf gegenwärtigen Bedingungen
CA3031663C (en) 2016-07-22 2021-07-20 Proteus Digital Health, Inc. Electromagnetic sensing and detection of ingestible event markers
EP3383096A1 (en) * 2017-03-30 2018-10-03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radio access technology capabilities
CN116774629B (zh) * 2023-06-16 2024-01-23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泰州供电分公司 一种继电器保护出口回路数智化监视模块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0476B1 (en) * 1998-10-15 2002-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riable sleep mode for mobile st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s
JP3406867B2 (ja) * 1999-09-29 2003-05-19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端末装置
JP2002111686A (ja) * 2000-10-04 2002-04-12 Sony Corp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US20020173303A1 (en) 2001-05-16 2002-11-21 Docomo Communications Laboratories Usa,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220929B (en) * 2001-07-25 2004-09-11 Handsun Electronic Entpr Co Lt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of the whole region battery capacity
JP3906169B2 (ja) * 2003-03-05 2007-04-18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放送受信機能の制御プログラム
US7010329B2 (en) * 2003-03-11 2006-03-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onservation with assistance from the network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US20050198257A1 (en) * 2003-12-29 2005-09-08 Gupta Ajay 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201A (ko) 2009-02-06
WO2007133526A3 (en) 2008-03-06
TWI423704B (zh) 2014-01-11
JP5036808B2 (ja) 2012-09-26
WO2007133526A2 (en) 2007-11-22
TW200947888A (en) 2009-11-16
CN101444131B (zh) 2012-04-18
CN101444131A (zh) 2009-05-27
JP2009536804A (ja) 2009-10-15
TWI364918B (en) 2012-05-21
TW200814557A (en) 2008-03-16
KR101289601B1 (ko) 2013-08-07
EP2027732A2 (en)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601B1 (ko) 융합형 무선 송수신 유닛에서 배터리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303311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management in a converged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RU2414067C2 (ru) Способ для перехода между множественными уровнями приема
US7020477B2 (en) Paging incommunication systems
EP2574136B1 (en) Implicit DRX cycle length adjustment control in LTE active mode
US8755848B2 (en) Mobile device power management
US72159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frequency channels for handoff candidates while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KR101571279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전력 보존을 위한 데이터 재개 표시자
US7916687B2 (en) Standby time improvements
US956552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onfiguring search operations in a multi-mode device
US20190364503A1 (en) Power-save mode for wireless device
EP20735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ndover of heterogeneous network paging terminal equipments
US20210051767A1 (en) Traffic-Rate Based Branch Deactivation for UE Power Efficiency in a Dual-Connectivity Mode
JP2006518973A (ja) 無線ローカル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検出及び選択
JP2011061823A (ja) 無線ローカル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検出及び選択
KR20080058701A (ko)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49958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수면 모드 관리 장치 및 그방법
WO2023201747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ower saving in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