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452A - Navigation having guiding function for lane change, guiding system for lane change, and guiding method for lane change - Google Patents

Navigation having guiding function for lane change, guiding system for lane change, and guiding method for lane cha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452A
KR20080084452A KR1020070026213A KR20070026213A KR20080084452A KR 20080084452 A KR20080084452 A KR 20080084452A KR 1020070026213 A KR1020070026213 A KR 1020070026213A KR 20070026213 A KR20070026213 A KR 20070026213A KR 20080084452 A KR20080084452 A KR 20080084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change
vehicle
distance
lane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07109B1 (en
Inventor
주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109B1/en
Publication of KR20080084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4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1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8Lan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A navigation device having a lane change guiding function, a lane change gui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lane change guid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nform a driver of a lane change by considering a corresponding state between a lane to be changed and a set path and comparing the distance to the vehicle behind with the set condition. A navigation device(10) having a lane change guiding function comprises a GPS module(12), a storage(14), an interface part(18), and a controller(19). The GPS module receives a satellite signal and calculates a position thereof. The storage stores map information and a set condition for displaying the position. The interface part communicates with a vehicle control system.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lane change is available based on the set path and compares the distance to the vehicle behind with the set condition to judge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A sensor(30) detects an object which is adjacent to the vehicle. A vehicle control system(20) linked with the navigation device transmits the sensed result to the navigation device.

Description

차선변경 안내 기능을 갖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차선변경 안내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 { Navigation having guiding function for lane change, guiding system for lane change, and guiding method for lane change }Navigation device with lane change guiding function, lane change guiding system including same and lane change guiding method using same {Navigation having guiding function for lane change, guiding system for lane change, and guiding method for lane change}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선변경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ne change guide system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ne change guiding metho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 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차선 변경 신호를 입력하는 모습이 도시된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inputting a lane change signal through an input unit of a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차선변경 가능 여부 판별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ane chang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네비게이션장치 12 : GPS 모듈10: navigation device 12: GPS module

14 : 저장부 16 : 입력부14: storage unit 16: input unit

18 : 인터페이스부 19 : 제어부18: interface unit 19: control unit

20 : 차량제어 시스템 22 : 인터페이스장치20: vehicle control system 22: interface device

30 : 감지센서 40 : 운전자 조작부30: detection sensor 40: driver control panel

50 : 활성화 아이콘50: Activation Ic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선 변경시에 후방의 차량과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차선변경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그리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device, a system, and a method including the same for informing a user of information on a lane change by using a rear vehicle and a set route when the user changes a lane.

종래의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위치의 도로정보(좌회전 또는 직진 차선인지 여부 등)만을 안내하고, 사용자가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이 설정된 경로와 부합하는지에 대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The conventional navigation device only guides road information of the vehicle location (whether it is a left turn or a straight lane, etc.), and when a user wants to change a lane, a service is not provided regarding whether the lane to be changed corresponds to a set route. have.

또한, 최근 차량에 구비된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있으나, 이는 차선변경시 변결될 차선에 위치한 차량과의 관계를 고려한 안전 여부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 In addition, although a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a vehicle has recently been provided, it does not play a role of informing whether safety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a relationship with a vehicle located in a lane to be changed when a lane is change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사용자가 차선변경을 위해서는 변경하려는 차선이 설정된 경로와 부합되는 차선인지 여부를 직접 확인해야 하고, 다시 사이드 미러 또는 룸 미러를 통해 후방 차량의 위치 등을 확인한 후에 차선을 변경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운전상의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change lanes, the user needs to directly check whether the lane to be changed is the lane corresponding to the set route, and change the lane afte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rear vehicle through the side mirror or the room mirror again. There was a problem causing driving inconvenien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변경될 차선이 설정된 경로와 부합되는지 여부와 후방 차량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차선 변경이 안전하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네비게이션 장치, 시스템 또는 이들을 이용한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lane to be changed corresponds to a set route and the rear vehicle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lanes. In consideration of this, a navigation device, a system for informing a user whether a lane change is safe, or a guidance method using the same is provid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위성신호를 수신받아 위치를 산출하는 GPS 모듈과; 위치 표시를 위한 맵 정보와 설정조건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차량에 구비된 차량제어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차선 변경 신호를 수신받고, 설정된 경로에 따라 차선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제어 시스템으로부터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수신받아 상기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차선변경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module for receiving a satellite signal and calculating the posi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map information and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location; An interface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control system provided in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lane change signal from a user, determine whether lane change is possible according to a set route, and receive a distance from a vehicle behind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control system, and determine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by comparing with the setting condi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이때, 상기 제어부는 후방 차량과의 상대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차선변경 안전 여부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상기 상대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판별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relative speed with the rear vehicle; The lane change safety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distance from the rear vehicle with the setting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speed.

그리고, 상기 설정조건은, 차선변경이 불가능한 경우, 가능하지만 주의를 요하는 경우 및 안전한 경우로 구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tting condition may be divided into a case where it is impossible to change lanes, but a case requiring attention and a case where it is safe.

또한, 상기 차선변경 가능여부는, 변경될 차선을 설정된 경로와 비교하여 판별됨을 산출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whether the lane change is possible or not, by comparing the lane to be changed with a set route.

그리고, 상기 차선 변경 신호는 상기 네비게이션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고; 차량에 구비된 방향 지시등을 통해 입력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lane change signal may be received through an input device provided in the navigation; It may be input through a direction indicator provided in the vehicle,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한편, 본 발명은 위성신호를 수신받아 위치를 산출하는 GPS 모듈과, 위치 표시를 위한 맵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차량에 구비된 차량제어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차선 변경 신호를 수신받고, 설정된 경로에 따라 차선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제어 시스템으로부터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수신받아 차선변경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비게이션 장치와: 차량의 인접한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그리고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결과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 전달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 변경 안내 시스템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GPS module for receiving a satellite signal to calculate the location,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ap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location; An interface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control system provided in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lane change signal from a user, determine whether lane change is possible according to a set route, and receive a distance from a vehicle behind the vehicle control system to determine lane safety. And: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adjacent object of the vehicle: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provided in the vehicle to control an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and transferr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sensor to the navigation device in association with the navigation device. Lane change guidance system using navigation.

이때, 상기 차량제어 시스템은, 차선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를 구동시켜 후방 물체와 차량 후미와의 거리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vehicle control system receives a lane change signal, the vehicle control system may drive the detection sensor to transmit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rear object and the rear of the vehicle to the navigation device.

한편, 상기 네비게이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상기 차선변경 입력신호의 입력을 위한 입력메뉴를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 아이콘이 구비되고; 상기 활성 아이콘을 통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메뉴를 활성화하여 상기 입력메뉴의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차선변경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screen of the navigation, the active icon for activating the input menu for the input of the lane change input signal is provided; When a touch input through the active icon is detected, the input menu may be activated by sensing the touch of the input menu by activating the input menu.

그리고 본 발명은, (A) 차선 변경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B) 설정된 경로 와 차량의 위치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후방 감지기를 이용하여 후방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와; (D) 상기 후방 감지기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차선변경 안전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차선변경 가능 여부 및 차선변경 안전 여부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을 포함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ing a lane change signal; (B) determining whether the lane can be changed using the set route and the position of the vehicle; (C) detecting a distance to the rear object using a rear detector; (D) determining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rear detector; And (E) a lane change guiding method using a navigation including a step of guiding a user whether the lane change is possible and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이때, 상기 (B) 단계는,(B1) 네비게이션 상에 진행경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B2) 상기 진행 경로가 설정된 경우, 변경된 차선의 진행방향이 상기 진행경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B3) 상기 진행방향이 상기 진행경로와 일치하는 경우, 차선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step (B) may include: (B1) determining whether a progress path is set on the navigation; (B2) determining, when the traveling path is set, whether the changed direction of the changed lane coincides with the traveling path; (B3) if the traveling direction coincides with the traveling path, it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lane change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D1)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D2) 상기 거리를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안전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And (D)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vehicle behind (D1); (D2) comparing the distance with a set condition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safety.

또는 상기 (D) 단계는, (D1') 후방 차량과의 거리 및 상대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D2') 상기 거리를 상기 상대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안전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Or (D) comprises: calculating a distance and a relative speed with the vehicle behind (D1 ′); (D2 ') It may also compris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afety by comparing the distance with the set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speed.

다르게는, 상기 (D) 단계는, (D1'') 후방 차량과의 거리, 상대속도 및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D2'') 상기 거리를 상기 상대속도 및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안전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step (D) may include calculating a distance, a relative speed, and a speed of the vehicle with the rear vehicle (D1 ″); (D2 ") comparing the distance with the setting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speed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distance is safe.

이때, 상기 설정조건은, 차량의 속도와 후방 물체와의 상대속도에 따라 구분 되어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된 안전거리일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etting condition may be a safety distanc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rear object and stored in a table form.

그리고 상기 안전여부의 판별은, 상기 거리를 상기 상대속도 및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보정 후, 보정된 값을 상기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The safety status may be determined by correcting the distance using the relative speed and the vehicle speed, and then comparing the corrected value with the setting condition.

이때, 상기 보정에 사용되는 보정식은,

Figure 112007021462950-PAT00001
이고, 여기서, L2는 보정 후 거리; L1은 보정 전 거리; A는 상대속도; a는 상대속도 보정계수; V는 차량속도; v는 차량속도 보정계수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rrection formula used for the correction,
Figure 112007021462950-PAT00001
Where L2 is the distance after correction; L1 is the distance before correction; A is relative velocity; a is the relative speed correction coefficient; V is vehicle speed; v may be a vehicle speed correction coefficient.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은 (F) 상기 네비게 이션 장치가 차량 제어 시스템으로 종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G) 상기 종료 신호를 수신한 차량 제어 시스템이 감지센서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ane change guide method using the navig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 the navigation device transmitting a termination signal to the vehicle control system; (G) The vehicle control system receiving the end signal may further include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ensor.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차선 변경시, 차선 변경에 대한 정보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lane change from the navigation system when the lane changes.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네비게이션 장치 그리고 이의 안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lane change guide system using a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navigation device used therein, and a guidance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선변경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ne change guide system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진행 경로를 탐색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네비게이션장치(1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avigation device 10 for searching and informing a user of a traveling path of a vehicle.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는, 위성 신호를 수신받아 위치를 산출하는 GPS 모듈(12)을 구비한다. 상기 GPS 모듈(12)은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다수 개의 위성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GPS 모듈(12)의 위도,경도,높이 및 시간을 산출한다. The navigation device 10 includes a GPS module 12 that receives a satellite signal and calculates a location. The GPS module 12 receives a plurality of satellite signals transmitted from GPS satellites, and calculates the latitude, longitude, height, and time of the GPS module 12 from the received signals.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는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맵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4)에는 맵정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설정조건이 저장된다. 상기 설정조건은 차량의 차선 변경에 대한 안전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조건으로 예를 들어, 차선 변경 시,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의 후방 물체와의 거리가 3m 이상이면 안전한 것으로 3m 미만인 경우에는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3m가 설정조건이 된다.In addition, the navigation device 10 includes a storage unit 14 that stores map information for displaying a user's location and movement path.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14 stores not only map information but also setting conditions for realiz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condition is a condition for indicating whether the vehicle is safe to change lanes. For example, when the lane is changed, when the distance to the rear object in the direction to be changed is 3 m or more, it is considered safe and less than 3 m. In this case, the 3m is a setting condition.

상기 설정조건은 위의 예와 같이, 안전과 위험으로 나누는 하나의 기준 거리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좀 더 세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두 개의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 setting condition may be set to one reference distance value divided into safety and risk as in the above example, or may be set to two values to provide more granular service.

예를 들면,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의 후방 물체와의 거리가 1m 미만인 경우에는 위험으로, 2m 이상 4m이하 인 경우에는 주의(가능)로, 4m 보다 큰 경우에는 안전으로 단단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2m 및 4m가 두 개의 설정 조건 값이 된다.For example, if the distance to the rear object in the direction to change lanes is less than 1m, it is dangerous, if it is more than 2m and less than 4m, it is possible to be careful, and if it is larger than 4m, it is 2m. And 4m are two setting condition values.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예에서는 2 개의 설정조건 값이 설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상기 설정조건 값의 개수는 적절한 개수로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wo setting condition valu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number of setting condition values may be freely set to an appropriate number.

한편,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6)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6)는 키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터치스크린이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navigation device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unit 16 for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user. The input unit 16 may be applied to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a key button or a touch screen, but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input unit 16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입력부(16)는 상기 네비게이션을 작동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부분으로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차선 변경 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6 is a part for receiving various commands for operating the navigation from a user, and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serve to receive a lane change signal from the user.

물론, 상기 차선변경 신호는 차량의 방향 표사등의 작동 레버를 통해 후술할 차량 제어 시스템(20)으로부터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로 전달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lane change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control system 20 to the navigation device 1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n operation lever such as a direction indicator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에는 후술할 차량 제어 시스템(20)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8)는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적인 차량에 구비되는 RS232 시리얼 인터페이스가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In addition, the navigation device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terface unit 18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control system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interface unit 18 is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example of applying an RS232 serial interface provided in a general vehicle will be described.

한편,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에는, 전술한 GPS 모듈(12), 제어부(19), 입력부(16) 및 인터페이스부(18)를 제어하는 제어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9)는 차선변경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에 설정된 경로를 고려하여 차선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the navigation device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9 for controlling the above-described GPS module 12, the control unit 19, the input unit 16 and the interface unit 18. When the control unit 19 receives the lane change signal, the controller 19 determines whether to change the lane in consideration of the path set in the navigation device 10.

즉,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의 진행방향이, 설정된 경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차선방향이 상기 설정된 경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차변 변경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별한다. 상기 차변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방법은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ane to be changed coincides with the set path, and when the lane direction does not coincide with the set path, it is determined that the debit change is impossible.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debit can be changed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for example, in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제어부(19)는 후술할 차량 제어 시스템(20)으로부터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 쪽의 후방 물체(이하 '후방 차량'이라 한다)와 거리를 수신받아 차선변경 안전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차선변경 안전여부는 상기 제어부(19)가 상기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상기 저장부(14)에 저장된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판별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후방차량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판별하는는 것도 가능하고, 다르게는 더욱 세필한 판별을 위하여 후방 차량과의 상대속도 또는 차량의 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9 receives a rear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ar vehicle") and a distance to the lane side to be changed from the vehicle control system 20 to be described later to determine whether the lane change safety. The lane change safety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9 by comparing the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with the setting conditio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as described above by simply determining the distance with the rear vehicle.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discriminate by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he relative speed with the rear vehicle or the speed of the vehicle for more detailed discrimination.

상기 차선변경 안전여부의 판별 방법은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or no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장치(10)와 통신가능한 인터페이스장치(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20)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control system 20 configured to include an interface device 22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navigation device 10 including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20)은 차량의 운행정보를 취합하여 사용자와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에 알려주는 부분으로, 상기 네비게이션과의 통신을 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8)와 동일한 형식의 인터페이스장치(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ehicle control system 20 collects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informs the user and the navigation device 10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20. The interface device 22 of the same type as the interface unit 18 for communication with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이때, 상기 차량 운행정보라 함은, 차량의 계기판에 표시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후술할 감지센서(30)로부터 수신되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정보를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and further includes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rear vehicle received from the sensor 30 to be described later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후방 차량과 차량 후미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감지센서(3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30)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차량 제어 시 스템(20)으로 전송하고 이는 다시 상기 인터페이스장치(22)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부(18)로 전송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sensor 30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vehicle and the rear of the vehicle. The sensor 30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and transmits it to the vehicle control system 20, which is then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unit 18 through the interface device 22.

한편, 본 발명은 차선 변경 신호를 입력받는 운전자 조작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선 변경 신호는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를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에 알려주기 위한 신호로, 상기 운전자 조작부(40)는 상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운전자 조작부(40)는 차량에 별도로 구비된 입력키로 형서될 수도 있으나, 기존에 구비된 방향 지시등을 이용하여 상기 방향 지시등의 점등시 이를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20)이 감지하여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로 전달하는 것이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필요하지 않아 더욱 효과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driver operation unit 40 for receiving a lane change signal. The lane change signal is a signal for notifying the navigation device 10 of a user who wants to change lanes, and the driver manipulation unit 40 generates the signal. The driver manipulation unit 40 may be formatted as an input key provided separately to the vehicle, but the vehicle control system 20 detects this when the direction indicator is turned on by using the existing direction indicator lamp and the navigation device 10. ) Is more effective because no additional components are required.

물론,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를 이용하여 상기 차선 변경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운전자 조작부(40)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사용자는 상기 네비게이션에 구비된 입력부(16)를 통해 차선 변경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Of course, when the lane change signal is input using the navigation device 10, the driver manipulation unit 40 may not be provided, and the user may receive the lane change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16 provided in the navigation. Will be enter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시스템의 작용을 차선 안내 방법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ane change system using the navig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lane guidance method.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네비게이션장치(10)의 입력부(16)를 통해 차선 변경 신호를 입력하는 모습이 도시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차선변경 가능 여부 판별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ne chang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3 is a state in which a lane change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 of the navig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lane change is possibl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차선변경 안내 는, 먼저 사용자로부터 차선변경 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S100). 상기 차선 변경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것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으나,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이 포함되어야 한다.As shown in FIG. 2, the lane change guid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gins with receiving a lane change signal from a user first (S100). As described above, the lane change signal may be input by a user and may be input in various ways, but the direction to be changed should be included.

이하에서는 대표적인 상기 차선 변경 방법으로 네비게이션장치(10)의 입력부(16)를 이용하는 방법과 차량에 구비된 운전자 조작부(40)를 통해 입력하는 두 가지의 방법을 살피기로 한다.Hereinafter, two methods of inputting through the input unit 16 of the navigation device 10 and the driver manipulation unit 40 provided in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as representative lane changing methods.

- 네비게이션장치(10)의 입력부(16)를 통해 차선변경 신호를 입력받는 방법-A method for receiving a lane change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16 of the navigation device 10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의 입력부(16)는 키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선변경 신호는 별도로 구비된 키버튼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6 of the navigation device 10 includes a key button or a touch screen. Therefore, the lane change signal may be input using a key button provided separately.

다르게는, 네비게이션장치(10)의 입력부(16)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선변경신호를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입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input unit 16 of the navigation device 1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3, the lane change signal may be input by a user's touch.

이 경우, 화면상에 구비된 활성 아이콘(50)을 터치 입력하면, 제어부(19)는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메뉴를 활성화한다. 이후 사용자는 활성화된 입력메뉴에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의 방향을 터치 입력하여 차선 변경 신호를 입력한다.In this case, when a touch input of the active icon 50 provided on the screen, the controller 19 activates the input menu as shown. Thereafter, the user inputs a lane change signal by touching a direction of a lane to be changed in the activated input menu.

- 차량의 운전자 조작부(40)를 통해 차선변경 신호를 입력받는 방법How to receive the lane change signal through the driver control unit 40 of the vehicle

한편, 상기 차선 변경 신호는 차량에 구비된 운전자 조작부(4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운전자 조작부(40)는 핸들 또는 운전석 주변에 구비된 별도의 입력장치일 수도 있다.The lane change signal may be input through the driver manipulation unit 40 provided in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driver manipulation unit 40 may be a separate input device provided around a steering wheel or a driver's seat.

그러나 별도의 입력 장치를 따로 구비하지 않고, 기존의 방향 지시등 레버가 상기 운전자 조작부(4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차선 변경을 위하여 방향 지시등을 점등하는 경우, 이를 차량 제어 시스템(20)이 감지하고, 이를 차선변경 신호로 인터페이스장치(22)를 통해 상기 제어부(19)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without a separate input device, an existing turn indicator lever may serve as the driver manipulation unit 40. That is, when the user turns on the turn signal to change lanes, the vehicle control system 20 may detect the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19 through the interface device 22 as a lane change signal.

한편, 상기 제어부(19)가 상기 차선변경 신호를 감지한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에 진행 경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110).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ler 19 detects the lane change signal, it is checked whether a traveling path is set in the navigation device 10 (S110).

그리고, 상기 진행 경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설정된 진행 경로를 검색한다(S120).When the progress path is set, the controller 19 searches for the set progress path (S120).

이후, 상기 제어부(19)는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의 차선이, 상기 설정된 진행 경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변경 가능한 차선인지 판단한다(S130).Thereafter, the controller 19 determines whether the lane in the direction that the user wants to change corresponds to the set progress path and determines whether the lane is changeable (S130).

상기 변경 가능한 차선인지에 대한 판단은, 변경될 차선을 통해 상기 설정된 진행 경로를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차로를 생각해 볼 수 있다.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the lane is changeable is to determine whether the set traveling path can be moved through the lane to be changed. For example, an intersection as shown in FIG. 4 may be considered.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차량의 위치가 X지점이고, 설정된 진행방향이 한 블럭 진행 이후에 좌회전하는 것(설정경로 1)이라 가정한다. As shown, it is assumed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is the X point, and the set traveling direction is to turn left after the one-block progression (setting path 1).

이 경우 사용자가 우측으로의 차선변경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변경될 우측 차선의 도로 진행 방향은 직진이고, 설정된 경로 역시 직진이므로 상기 제어부(19)는 이 경우 변경 가능한 차선으로 판별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inputs a lane change signal to the right, the road traveling direction of the right lane to be changed is straight and the set path is straight, so the controller 19 determines that the lane can be changed in this case.

그러나 사용자가 좌측으로의 차선 변경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변경될 좌측 차선의 도로진행방향은 좌회전인반면, 설정된 경로는 직진이므로 상기 제어부(19)는 이 경우 변경 불가능한 차선으로 판별한다.However, when the user inputs a lane change signal to the left, the road proceeding direction of the left lane to be changed is left turn, while the set path is straight, so the controller 19 determines that the lane cannot be changed in this case.

한편, 현재 차량의 위치가 Y지점이고, 설정된 진행방향이 우회전이라(설정경로2) 가정하자. On the other hand, assume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is point Y and the set traveling direction is the right turn (set path 2).

이때, 사용자로부터 좌측으로의 차선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상기 제어부(19)는 이를 진행 불가능한 차선으로 판별한다.At this time, when the lane change signal from the user to the left is input, by the principle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9 determines this as a lane that can not proceed.

그러나, 남아있는 직진 거리를 고려하여 교통의 혼잡 등을 피하여 불가피하게 차선을 변경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설정된 경로 중에 일정한 거리만을 상기 변경 가능 차선여부 판단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9)는 설정된 경로 중 일정 거리만큼 만을 고려하여 상기 변경 가능 차선의 판단에 이용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설정 경로 상의 교차로 또는 분기점을 구분 단위로 하여 상기 변경 가능 차선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However, it is necessary to change lanes inevitably to avoid traffic conges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maining straight distance. In preparation for such a cas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nly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set route in the determination of the changeable lane. To this end, the controller 19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changeable lane in consideration of only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set route, or determine whether the changeable lane is available based on the intersection or the branch point on the set route as a division unit. .

이때, 고속도로와 같이, 교차로 또는 분기점의 개수가 적고, 상대적으로 직선 구간이 긴 도로를 고려한다고 하면, 특정 거리만큼의 설정경로만을 고려하여 상기 변경 가능 차선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At this time, when considering a road having a small number of intersections or branching points and a relatively straight section, such as a highway, it is efficient to determine whether the changeable lane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only a predetermined path for a specific distance.

물론 상기 제110 단계의 판단 결과, 네비게이션장치(10)에 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변경 차선 가능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변경이 가능한 차선으로 간주하고 차선변경 안전 여부를 판단한다.Of course, if the path is not set in the navigation apparatus 1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110, the vehicle does not determine whether the change lane is possible, and it is regarded as a changeable lane and determines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또한, 상기 제 130 단계의 판단 결과,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이 차선 변경이 불가능한 차선이라면, 상기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은 차선 변경이 불가능한 차선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안내 메세지 1'을 송출한 후에 작동을 중지한다(S140).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30 that the lane to be changed is a lane that cannot be changed, the lane to be changed is stopped after transmitting a 'message message 1' informing the user that the lane to be changed is impossible. (S140).

그러나 상기 제 130 단계의 판단 결과,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이 차선 변경이 가능한 차선이라면, 차선변경 안전 여부를 판단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30 that the lane to be changed is a lane capable of changing lan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상기 차선변경 안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9)는 감지센서(30)를 구동시켜, 후방 차량의 거리를 감지한다(S150).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the controller 19 drives the sensor 30 to detect the distance of the rear vehicle (S150).

이후, 감지된 후방 차량의 거리는 차량 제어 시스템(20)으로 전달되고,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20)은 상기 거리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의 제어부(19)로 전송한다.Thereafter, the sensed distance of the rear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control system 20, and the vehicle control system 20 transmits the distanc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9 of the navigation device 10.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차선변경 안전여부를 판별함에 있어 상기 거리정보만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즉, 거리가 일정 값 이상이면 안전한 것으로 판별함) 더욱 세밀한 판별을 위하여 후방 차량과의 상대속도 및 사용자 차량의 운행 차량의 속도(이하 '차량속도'라 함)를 고려하여 차선변경 안전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9 may use only the distance information in determining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or not (that is, determine that the distance is safe if the distan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but the relative speed with the rear vehicle and the user vehicle for more detailed determina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in consideration of the speed of the driving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vehicle speed').

상기 후방 차량과의 거리, 상대속도 및 차량속도를 고려하여 차선변경 안전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방법 중 아래와 같은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re may be various methods for determining lane change safety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rear vehicle, the relative speed, and the vehicle speed.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20)으로부터 상기 거리 정보 이외에, 사용자가 운행인 차량(이하 '본 차량'이라 함)의 속도를 함께 수신받는다. 물론,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 자체에서도 이동 속도는 산출되므로, 상기 차량 속도를 수신받지 않고 상기 네비게이션장치(10)에서 계산된 차량 속도를 이용할 수 있 다. 또한, 후방차량의 상대속도는 일정 시간 동안, 본 차량과에 대한 후방차량의 거리 변화율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S160).The control unit 19 receives the speed of a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vehicle') in which the user operates, in addition to th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control system 20. Of course, since the moving speed is calculated even in the navigation device 10 itself, the vehicle speed calculated by the navigation device 10 may be used without receiving the vehicle speed. In addition, the relative speed of the rear vehicle may be calculated from the distance change rate of the rear vehicle with respect to the present vehicle for a predetermined time (S160).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후방 차량과의 거리, 상대 속도 및 본 차량의 차량속도 정보가 모두 산출되면 이들을 이용하여 차선변경 안전 여부를 판별한다(S170). When the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the relative speed, and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of the present vehicle are all calculat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is determined whether lane change safety is performed using these (S170).

상기 변수들 과의 안전 여부를 살펴보면,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동일한 경우, 본 차량과 후방차량의 상대속도가 양수를 갖는다고 하면, 이는 후방차량과 본 차량의 거리가 멀어지고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더욱 안전하게 차선을 변경할 수 있다.Looking at the safety of the variable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vehicle is the same, if the relativ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has a positive number, this mean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vehicle and the vehicle is far away You can safely change lanes.

그러나 상기 상대속도가 음수를 갖는다고 하면, 이는 후방차량과 본 차량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차선 변경에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함을 의미한다.However, if the relative speed is negative, this mean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vehicle and the vehicle is getting closer, which means more attention must be given to changing lanes.

물론, 이때 상기 상대속도의 절대치가 클수록 영향을 미치는 크기가 큼도 알 수 있다.Of course,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greater the magnitude of the relative speed of the relative speed.

한편, 상기 본 차량의 차량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제동 거리가 짧아지고 사고의 피해도 크므로, 상기 차량속도가 커질수록 안전도를 높이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aster the vehicle speed of the present vehicle, the shorter the braking distance and the greater the damage of the accid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higher the vehicle speed is set to increase the safety.

이와 같이, 차선 변경시 영향을 미치는 상기 상대속도 및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수신된 상기 거리 정보를 수정하여 보정된 거리정보를 산출한다.In this way, the corrected distance information is calculated by modifying the received distance information by using the relative speed and the vehicle speed which affect the lane change.

이를 위해 본 명세서는 하나의 보정식을 제안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poses a correction formula.

상기 보정식은, The correction formula is

Figure 112007021462950-PAT00002
Figure 112007021462950-PAT00002

이다. to be.

이때, L2는 보정 후 거리이고, L1은 보정 전 거리이며, A는 상대속도이고, a는 상대속도 보정계수이며, V는 차량속도이고, v는 차량속도 보정계수이다.At this time, L2 is the distance after correction, L1 is the distance before correction, A is the relative speed, a is the relative speed correction coefficient, V is the vehicle speed, and v is the vehicle speed correction coefficient.

상기 수학식 1을 살펴보면, 상대속도 A가 커질수록 보정된 거리 L2는 커지고, 본 차량의 속도 V가 커질수록, 보정된 거리 L2는 작아짐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1, as the relative speed A increases, the corrected distance L2 increases, and as the speed V of the vehicle increases, the corrected distance L2 decreases.

이와 같이, 산출된 L2를 상기 저장부(14)에 저장된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차선변경 안전여부를 판별한다. In this way, the calculated L2 is compared with the setting conditio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to determine whether the lane change safety.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상대속도 및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르게는, 상기 상대속도 및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설정조건을 보정하고 보정된 설정조건과 실제 측정된 거리정보를 비교하여 차선 변경 안전여부를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orrect the distance with the rear vehicle measured as described above using the relative speed and the vehicle speed, otherwise, the setting condition is corrected using the relative speed and the vehicle spe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by comparing the actually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상기 설정조건을 보정하는 경우에 보정식은, 상대속도가 증가할수록 설정 조건의 설정 거리가 작아지도록, 상기 차량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설정거리가 커지도록 하는 보정식이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case of correcting the setting condition, the correction equation should be used so that the setting distance becomes larger as the vehicle speed increases, so that the setting distance of the setting condition becomes smaller as the relative speed increases.

이때, 상기 설정조건은 단계별로 구분되도록 하는 설정거리를 갖는데, 2단계로 구분되는 경우 1 개의 설정거리를 갖고, 3 단계로 구분되는 경우에는 2개의 설 정거리를 갖는다(즉, n단계로 구분되는 경우 n-1 개의 설정거리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setting condition has a setting distance to be divided in stages, and if it is divided into two stages, it has one setting distance, and if it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it has two setting distances (that is, divided into n stages). In case of n-1 set distances).

예를 들어 차선변경 안전 여부가 "안전" 과 "위험"의 두 단계로 구분되는 경우 하나의 설정거리(예를 들어 4m라 한다)를 갖는데, 후방 차량과의 보정된 거리 L2가 5m 미만이면 위험으로 판별하고, 4m 이상이면 안전으로 판별한다.For example, if lane change safety is divided into two stages, “safety” and “dangerous”, it has one set distance (for example, 4m), and if the corrected distance L2 with the rear vehicle is less than 5m, it is dangerous. If it is 4m or more, it is determined as safety.

만약 차선변경 안전 여부가 "안전", "주의" 및 "위험"의 세 단계로 구분되는 경우 두 개의 설정거리(예를 들어 3m 및 5m라 한다)를 갖는데, 후방 차량과의 보정된 거리 L2가 3m 미만이면 위험으로 판별하고, 3m 이상 5m 미만이면 주의로 판별하며, 5m 이상이면 안전으로 판별한다.If the lane change safety is divided into three levels of "safety", "caution" and "danger", it has two set distances (for example, 3m and 5m), and the corrected distance L2 from the rear vehicle is If it is less than 3m, it is determined as a danger, if it is more than 3m and less than 5m, it is determined with caution, and if it is more than 5m, it is determined as safety.

한편, 상기 차선변경 안전여부는 상기 상대속도 및 차량 속도에 따라 각각 다르게 구분되어 저장된 설정조건과 수신된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비교하여 판정될 수 있다.Meanwhile,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or not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tored setting condition and the received rear vehicle separate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lative speed and the vehicle speed.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14)에 저장되는 설정조건은 아래 표1 과 같은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tting conditio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may be stored in a table form as shown in Table 1 below.

-30<A≤-20-30 <A≤-20 -20<A≤-10-20 <A≤-10 -10<A<0-10 <A <0 A=0A = 0 0<A≤100 <A≤10 10<A≤2010 <A≤20 20<A≤3020 <A≤30 V≤20V≤20 m1m1 1818 1010 55 33 22 1One 1One m2m2 2020 1212 77 55 44 33 22 20<V≤4020 <V≤40 m1m1 1919 1111 66 44 33 22 1One m2m2 2121 1313 88 66 55 44 33

여기서, A는 상대속도(Km/h)이고, V는 차량속도(Km/h)이며, m1 및 m2는 설정거리(m)이다.Where A is the relative speed (Km / h), V is the vehicle speed (Km / h), and m1 and m2 are the set distances (m).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9)는 해당하는 차량 속도와 상대속도에 해당하는 m1 및m2 값을 산출하고, 이들 m1 및m2 값을 이용하여 차선 변경 안전여부를 판단한다. 즉, 수신된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m1 이하인 경우 "위험:으로 판단하고, m1 내지 m2 사이의 값인 경우 "주의"로 판단하며, m2 이상인 경우에는 "안전"으로 판단한다.Using the table, the controller 19 calculates m1 and m2 values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speed and the relative spe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using the m1 and m2 values. 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ived rear vehicle is m1 or less, it is determined as "danger:" and when it is a value between m1 and m2, it is determined as "caution", and when it is more than m2, it is determined as "safety".

한편, 상기 차선변경 안전여부를 판별한 이후에는 상기 차선변경 안전여부에 대한 결과(인내 메세지2)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180). 상기 안내 메세지2는 음성 형식의 메세지일 수도 있고, 네비게이션장치(10)의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영상 메세지일 수도 있다.Meanwhile,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or not, the user is informed of a result (endurance message 2) regarding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S180). The guide message 2 may be a voice message or a video message through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navigation apparatus 10.

상기 안내 메세지 2를 송출한 이후에, 상기 제어부(19)는 종료신호를 차량 제어 시스템(20)으로 송신하고, 상기 종료신호를 수신한 차량 제어 시스템(20)은 감지센서(30)의 작동을 중지한다(S190).After transmitting the guide message 2, the control unit 19 transmits an end signal to the vehicle control system 20, and the vehicle control system 20 that has received the end signal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nsor 30. Stop (S190).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변경 안내 기능을 갖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차선변경 안내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navigation apparatus having a lane change guid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ne change guid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lane change guide method using the sam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이 설정된 경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변 경 가능한 차선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장점이 있다.That is, it has an advantage of notifying the user of whether the lane to be changed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lane to be changed matches the set route.

그리고 본 발명은 후방 물체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차선변경을 할 수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더욱이 사용자가 확인하는 것보다 정확도가 높은 감지센서로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므로 좀 더 정밀하게 안전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forms the user whether the lane change can be safely performed using the distance from the rear object. In addition, since the sensor measures the distance from the rear vehicle with a higher accuracy than the user confirm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form the user whether the safety is more precise.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선 변경시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의 안내만으로 안전하게 차선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의 운전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afely change the lane only by guiding the navig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hanging the lane, thereby increasing the driving convenience of the user.

Claims (22)

위성신호를 수신받아 위치를 산출하는 GPS 모듈과;A GPS module for receiving a satellite signal and calculating a position; 위치 표시를 위한 맵 정보와 설정조건이 저장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map information and setting conditions for displaying a location; 차량에 구비된 차량제어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그리고An interface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control system provided in the vehicle; And 사용자로부터 차선 변경 신호를 수신받고, 설정된 경로에 따라 차선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제어 시스템으로부터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수신받아 상기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차선변경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lane change signal from a user, determine whether lane change is possible according to a set route, and receive a distance from a vehicle behind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control system, and determine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by comparing with the setting condition. Navigation apparatus having a lane chang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후방 차량과의 상대속도를 산출하고;Calculate a relative speed with the rear vehicle; 상기 차선변경 안전여부는,Whether the lane change safety,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상기 상대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And a distance change function for determining a distance from a rear vehicle in comparison with the set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spe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설정조건은,The setting condition is 차선변경이 불가능한 경우, 가능하지만 주의를 요하는 경우 및 안전항 경우 로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When the lane change is impossible, it is possible, but the navigation device with a lane chang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the case of needing attention and the safety port ca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선변경 가능여부는,Whether the lane can be changed, 변경될 차선을 설정된 경로와 비교하여 판별됨을 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And a lane change function, which is determined by comparing a lane to be changed with a set path.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차선 변경 신호는,The lane change signal, 상기 네비게이션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apparatus having a lane chang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received through the input device provided in the navigation. 제 1 항 내지 네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차선 변경 신호는 차량에 구비된 방향 지시등을 통해 입력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변경 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The lane change signal is input through a direction indicator light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 navigation device having a lane chang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via the interface. 위성신호를 수신받아 위치를 산출하는 GPS 모듈과, 위치 표시를 위한 맵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차량에 구비된 차량제어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차선 변경 신호를 수신받고, 설정된 경로에 따라 차선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제어 시스템으로부터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수신받아 차선변경 안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비게이션 장치와:A GPS module for receiving a satellite signal and calculating a location,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map information for displaying a location; An interface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control system provided in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lane change signal from a user, determine whether lane change is possible according to a set route, and receive a distance from a vehicle behind the vehicle control system to determine lane change safety. Wow: 차량에 인접한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그리고Sensor for detecting objects near the vehicle: And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결과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 전달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 변경 안내 시스템.And a vehicle control system provided in the vehicle to control an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and transfer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sensor to the navigation device in association with the navigation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후방 차량과의 상대속도를 산출하고, 후방차량의 거리 및 상대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차선변경 안전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 변경 안내 시스템.And calculating a relative speed with a rear vehicl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and the relative speed of the rear vehicl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변경될 차선과 상기 네비게이션에 설정된 경로를 비교하여 차선변경 가능여부를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 변경 안내 시스템.The lane change guidance system using navig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lanes by comparing a lane to be changed with a route set in the navigation.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상기 차량제어 시스템은,The vehicle control system, 차선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를 구동시켜 후방 물체와 차량 후미와의 거리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 변경 안내 시스템.And receiving a lane change signal, driving the detection sensor to transmit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 rear object and the rear of the vehicle to the navigation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차선 변경 신호는 차량의 방향 지시등을 통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 변경 안내 시스템.And the lane change signal is input through a direction indicator of a vehicle.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차선 변경 신호는 네비게이션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 변경 안내 시스템.And the lane change signal is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provided in the navigation.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네비게이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On the display screen of the navigation, 상기 차선변경 입력신호의 입력을 위한 입력메뉴를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 아이콘이 구비되고;An active icon for activating an input menu for inputting the lane change input signal; 상기 활성 아이콘을 통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메뉴를 활성화하여 상기 입력메뉴의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차선변경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시스템.And detecting a touch of the input menu to receive a lane change signal by activating the input menu when the touch input through the active icon is detected. (A) 차선 변경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A) receiving a lane change signal; (B) 설정된 경로와 차량의 위치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B) determining whether the lane can be changed using the set route and the position of the vehicle; (C) 후방 감지기를 이용하여 후방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와;(C) detecting a distance to the rear object using a rear detector; (D) 상기 후방 감지기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차선변경 안전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D) determining whether the lane change is safe us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rear detector; And (E) 상기 차선변경 가능 여부 및 차선변경 안전 여부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E) lane change guidance method using the navigation comprising the step of guiding the user whether the lane change is possible and whether lane change safety.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B) 단계는,Step (B) is, (B1) 네비게이션 상에 진행경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B1) determining whether a progress path is set on the navigation; (B2) 상기 진행 경로가 설정된 경우, 변경된 차선의 진행방향이 상기 진행경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B2) determining, when the traveling path is set, whether the changed direction of the changed lane coincides with the traveling path; (B3) 상기 진행방향이 상기 진행경로와 일치하는 경우, 차선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B3) a lane change guide method using navig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lane change is possible when the progress direction coincides with the progress path.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D) 단계는,Step (D), (D1)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D1) calculating a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D2) 상기 거리를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안전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And (D2) comparing the distance with a set condition to determine whether safety is included.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D) 단계는,Step (D), (D1') 후방 차량과의 거리 및 상대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D1 ') calculating a distance and a relative speed with the rear vehicle; (D2') 상기 거리를 상기 상대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안전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And (D2 ')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safe by comparing the distance with the set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speed.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D) 단계는,Step (D), (D1'') 후방 차량과의 거리, 상대속도 및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와;(D1 &quot;) calculating a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a relative speed and a speed of the vehicle; (D2'') 상기 거리를 상기 상대속도 및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안전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D2 '') comparing the distance with the set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speed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safety.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설정조건은,The setting conditions, 차량의 속도와 후방 물체와의 상대속도에 따라 구분되어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된 안전거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 A lane change guidance method using navig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 distance is stored in a table form divid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relative speed between the rear object.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안전여부의 판별은,The determination of safety or not, 상기 거리를 상기 상대속도 및 차량속도를 이용하여 보정 후, 보정된 값을 상기 설정조건과 비교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And correcting the distance using the relative speed and the vehicle speed, and comparing the corrected value with the set condition.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보정에 사용되는 보정식은,The correction formula used for the correction is,
Figure 112007021462950-PAT00003
이고,
Figure 112007021462950-PAT00003
ego,
여기서, L2는 보정 후 거리; L1은 보정 전 거리; A는 상대속도; a는 상대속도 보정계수; V는 차량속도; v는 차량속도 보정계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Where L2 is the distance after correction; L1 is the distance before correction; A is relative velocity; a is the relative speed correction coefficient; V is vehicle speed; The lane change guidance method using the navigation, characterized in that v is the vehicle speed correction coefficient.
제 14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21, (F) 상기 네비게 이션 장치가 차량 제어 시스템으로 종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F) the navigation device sending an end signal to the vehicle control system; (G) 상기 종료 신 호를 수신한 차량 제어 시스템이 상기 감지센서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차선변경 안내 방법.And (G)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ensor by the vehicle control system receiving the end signal.
KR1020070026213A 2007-03-16 2007-03-16 Navigation having guiding function for lane change, guiding system for lane change, and guiding method for lane change KR1013071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13A KR101307109B1 (en) 2007-03-16 2007-03-16 Navigation having guiding function for lane change, guiding system for lane change, and guiding method for lane ch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13A KR101307109B1 (en) 2007-03-16 2007-03-16 Navigation having guiding function for lane change, guiding system for lane change, and guiding method for lane chan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452A true KR20080084452A (en) 2008-09-19
KR101307109B1 KR101307109B1 (en) 2013-09-11

Family

ID=4002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213A KR101307109B1 (en) 2007-03-16 2007-03-16 Navigation having guiding function for lane change, guiding system for lane change, and guiding method for lane chan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10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4919B2 (en) 2013-04-11 2015-04-2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hange of lane
KR20150067496A (en) 2013-12-10 2015-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Vehicle for Improving Lane Change Safety
US9251705B2 (en) 2012-05-31 2016-02-02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oving-object around vehicle
KR20170046902A (en) * 2015-10-22 2017-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112692A (en) *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디젠 Lane change guiding system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059B1 (en) 2020-11-13 2022-12-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e changing of driving vehicle
KR102378313B1 (en) 2021-07-23 2022-03-2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autonomous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409B1 (en) 1999-09-09 2002-11-18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Automatic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ing device indicating how cars navigat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705B2 (en) 2012-05-31 2016-02-02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oving-object around vehicle
US9014919B2 (en) 2013-04-11 2015-04-2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hange of lane
KR20150067496A (en) 2013-12-10 2015-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Vehicle for Improving Lane Change Safety
KR20170046902A (en) * 2015-10-22 2017-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69399B2 (en) 2015-10-22 2018-05-15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KR20170112692A (en) * 2016-04-01 2017-10-12 주식회사 디젠 Lane change guiding system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109B1 (en)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109B1 (en) Navigation having guiding function for lane change, guiding system for lane change, and guiding method for lane change
KR101245101B1 (en) Cruis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07009B1 (en) Augmented Reality Head Up Display Navigation
US9218739B2 (en) Method for analyzing traffic flow at an intersection
JP4628583B2 (en) Curve approach control device
US8718858B2 (en) GPS navigation system
JP3494395B2 (en) Vehicle motion control device
US20090088959A1 (en) Parking support systems, parking support methods, and parking support programs
EP108166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n interactive product
US20200242938A1 (en)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JPH04236699A (en) Travel system of automobile
EP4216189A1 (en) Automated-vehicle safe-stop-zone mapping system
EP2079066B1 (en) O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automotive communication system
EP2703780A2 (en) Navigation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30304364A1 (en) Method for Analyzing Traffic Flow at an Intersection
JP2011103080A (en) Vehicle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US10632912B2 (en) Alarm device
US20090212934A1 (en) Inter-vehicle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other vehicle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vehicles
JP2007055365A (en) Vehicular display device
JP2009008646A (en) Onboard navigation device
JP4305842B2 (en) Signal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JP2006218959A (en) Level difference learning system
JP2006079356A (en) Traffic lane guide device
KR201600094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driving status of a driver
KR20060096237A (en) Safe driving automation systems and method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