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013A - Mobile terminal apparatus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013A
KR20080080013A KR1020080016582A KR20080016582A KR20080080013A KR 20080080013 A KR20080080013 A KR 20080080013A KR 1020080016582 A KR1020080016582 A KR 1020080016582A KR 20080016582 A KR20080016582 A KR 20080016582A KR 20080080013 A KR20080080013 A KR 20080080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orm data
key
sound source
terminal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까히로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0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10H5/005Voice controlled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portable terminal device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pronounce waveform data or tone data written in a user's directly inputted voice signal or a received call signal, according to a pressing action of an operation key, thereby remarkably increasing a degree of freedom for a tone. A voice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an A/D(Analog to Digital) converter(11) by being inputted from a microphone(10) becomes waveform data(22) in a sampler(21). The waveform data is registered as tone data by a sound source unit(12) by a tone controller(23). When a number key is pressed, the key is detected from a number key allocator(24). An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controller(25) outputs an MIDI message for instructing a sound to be pronounced by a musical interval or tone assigned to the number key, to the sound source unit.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 {MOBILE TERMINAL APPARATUS}Mobile terminal device {MOBILE TERMINAL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 전화나 PHS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HS.

종래, 연주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Conventionally,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having a playing function has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1).

이 휴대 전화 장치에 따르면, 숫자 키나「#」키,「*」키가 눌러져 있는 동안, 그 키에 할당된 소리의 높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용 데이터를 음원에 보내, 그 동안만큼 지정된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 장치를 악기로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ellular phone device, while the numeric key, the "#" key, and the "*" key are pressed, the sound source data including the height data of the sound assigned to the key is sent to the sound source, and the sound specified during that time is output. can do. Thereby, the mobile telephone apparatus can be used also as a musical instrument.

또한, 내장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샘플링하는 기능, 상기 샘플링된 음성 신호를 소재로 하여 음색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능 및 장기간에 걸쳐 샘플링된 음성 신호로 이루어지는 롱스트림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 등을 갖는 휴대 통신 단말도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2).Further, portable communication has a function of sampling a voice input from the built-in microphone, a function of creating tone data based on the sampled voice signal, and a function of reproducing long-stream data composed of the voice signal sampl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terminal is also proposed (patent document 2).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35677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56770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41872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341872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휴대 전화 장치는 악기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사용할 수 있는 음색은 미리 정해져 있어, 제한된 음색으로의 연주밖에 할 수 없었다.Although the mobile telephone apparatus described in the patent document 1 can be used also as a musical instrument, the tone which can be used is determined in advance, and only a limited tone can be played.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휴대 통신 단말에 따르면, 샘플링한 음성을 소재로 하여 작성한 음색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지만, 악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although the tone data created by using the sampled voice can be used, it cannot be used as a musical instrument.

그래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다채로운 음색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주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파형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device capable of playing using, for example, various tone data created by a user, or reproducing waveform data generated by a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복수의 조작 키와, 파형 데이터가 등록되는 기억부를 갖고, 상기 기억부에 등록되어 있는 파형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악음(樂音) 신호를 생성하는 음원부와, 입력 음성 신호를 샘플링하여 파형 데이터를 작성하는 파형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파형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 상기 조작 키의 누름 및 뗌을 검출하는 키 조작 검출 수단과, 상기 키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 키의 누름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음원부에 대해 그 조작 키에 할당되어 있는 형태로의 악음 신호의 생성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r example,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and a storage unit in which waveform data is registered, and a sound tone based on waveform data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A sound source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waveform data creating means for sampling the input audio signal to create waveform data, a registration means for registering the waveform data in the storage unit, and a key for detecting the press and release of the operation key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message instructing generation of a musical sound signal in a form assigned to the operation key to the sound source unit when the operation detection means and the press of the operation key are detected by the key operation detection means; To have.

그리고, 상기 복수의 조작 키 각각에 대해 음높이가 할당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 키의 누름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음원부에 대해 그 조작 키에 할당되어 있는 음높이로의 악음 신호의 생성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A pitch i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keys, and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a press of the operation key, the control means generates the sound signal at the pitch assigned to the operation key to the sound source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message instructing.

혹은, 상기 복수의 조작 키 각각에 대해 파형 데이터가 할당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 키의 누름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음원부에 대해 그 조작 키에 할당되어 있는 파형 데이터를 지정하는 메시지와 악음 신호의 생성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Alternatively, waveform data i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keys, and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message for designating a waveform data assigned to the operation key to the sound source unit when a press of the operation key is detected.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message instructing generation of a sound signal.

혹은, 다른 단말 장치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입력 음성 신호는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이라도 좋다.Alternativel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call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with another terminal device to make a call, and the input voice signal may be a voice received from the other terminal device.

혹은, 다른 단말 장치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음원이 생성한 악음 신호를 상기 통화 수단을 통해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송신해도 좋다.Alternativel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all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with another terminal device to make a call, and the control means may transmit the sound signal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to the other terminal device via the call means.

혹은, 다른 단말 장치와의 통신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소정의 서버로부터 상기 파형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기억부에 등록해도 좋다.Alternatively, the control means may further have a communication means with another terminal device, and the control means may download the waveform data from a predetermined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means and register it in the storage unit.

혹은, 상기 제어 수단은 MIDI 형식의 익스클루시브 메시지에 의해 등록된 상기 파형 데이터의 재생을 지시해도 좋다.Alternatively, the control means may instruct the reproduction of the waveform data registered by the exclusive message of the MIDI format.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음성 신호나 수신한 통화 신호 등으로 작성한 음색 데이터나 파형 데이터를 조작 키의 누름에 따라서 발음시킬 수 있어, 종래의 연주를 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와 비교하여 음색에 대한 자유도가 현격하게 높아진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e data or waveform data created by the user's directly input voice signal or the received call signal can be pronounced as the operation keys are pressed, so that the conventional performance can be performed. Compared to the terminal device, the degree of freedom for the tone is significantly increased.

또한, 임의의 단어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은 음성 등을 파형 데이터로서 기억시키고, 조작 키의 조작에 따라서 발음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 장치의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In addition, an arbitrary word or sentence can be stored as waveform data and sound can be pronounc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s, thereby increasing the range of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예인, 휴대 단말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여기서는 휴대 전화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which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is portable terminal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a case of the portable telephone will be described here.

이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이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CPU : central processing unit), 부호 2는 통신용 프로그램 및 악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등의 각종 처리 프로그램이나 각종 정수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는 ROM(read only memory), 부호 3은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부호 4는 액정 표시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 부호 5는 번호 키나 통화 키 등의 각종 조작 키를 갖는 조작부, 부호 6은 변복조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 부호 7은 무선 통신부(6)에 접속되는 안테나, 부호 8은 음성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를 행하는 음성 처리부, 부호 9는 음성 처리부(8)에 접속되는 수화용 스피커, 부호 10은 음성 처리부(8)에 접속되는 송화용 마이크로폰, 부호 11은 마이크로폰(1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 등을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본 예에서는, 음성 처리부(8) 내에 설치되어 있음]이다.In this figure,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control unit (CPU: central processing unit) which controls the entire apparatus, and reference numeral 2 denotes various processing programs such as a program for communication and a program for generating sound, various constant data, and the like. ROM (read only memory), code 3 is a random access memory (RAM) which is used as a work area and stores various data, code 4 is a display portion mad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etc., code 5 is a number An operation unit having various operation keys such as a key and a call key, a reference numeral 6 denot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modulator / demodulation unit, a reference numeral 7 denotes an antenna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 a 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voice processing unit that encodes and decodes a voice signal, Reference numeral 9 denotes a speaker for a sign language connected to the voice processor 8,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microphone for a call that is connected to the voice processor 8, and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microphone. An A / D converter (in this example, provided in the voice processing section 8) that converts a voice signal or the like input from the phone 10 into a digital voice signal.

또한, 부호 12는 복수의 발음 채널을 갖는 음원부, 부호 13은 음원부(12)에 의해 생성된 악음 데이터를 아날로그의 악음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 부호 14는 상기 악음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이다. 상기 음원부(12)는 상기 제어부(1)의 연산에 의한 소프트웨어 방식이라도 좋고, 전용 하드웨어를 사용해도 좋다. 음원 방식은 지정하지 않지만, 파형 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한 기억부가 설치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sound source unit having a plurality of pronunciation channels, reference numeral 13 denotes a D / A converter for converting sound data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unit 12 into an analog tone signal, and reference 14 reproduces the sound signal. It is a speaker. The sound source unit 12 may be a software system by calculation of the control unit 1, or may use dedicated hardware. Although no sound source system is specified, a storage unit for registering waveform data is provided.

또한, 부호 15는 부하가 높은 처리를 행하기 위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부호 16은 상기 각 구성 요소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스(데이터 버스 및 어드레스 버스)이다. 상기 DSP(15)는 옵션으로, 예를 들어 메모리 용량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녹음한 파형 데이터를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등의 적절한 포맷으로 압축 신장하는 것 등의 부하가 높은 처리에 사용된다.Reference numeral 15 denotes a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performing a high load process, and 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bus (data bus and address bus)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the components. The DSP 15 is optionally used for high-load processing such as compressing and expanding recorded waveform data into an appropriate format such as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ADPCM) to effectively use memory capacity. .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마이크로폰(1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나 통화 상대 등으로부터 수신한 통화 신호를 상기 A/D 컨버터(11)에 의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AM(3) 등에 기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녹음한 디지털 음성 신호를 기초로 하여 음원부(12)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형 데이터 또는 음색 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파형 데이터 또는 음색 데이터를 상기 음원부(12)의 기억부에 등록하고,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작부(5)의 조작 키의 누름 조작에 따라서, 그 조작 키에 할당된 음높이로 상기 작성한 음색의 악음 신호를 발음시키거나(멜로디 악기로서의 동작), 혹은 그 조작 키에 할당된 음색 데이터 또는 파형 데이터를 발음시킬 수 있다(드럼 음색의 악기 또는 음성 재생기로서의 동작). 또한, 음원부(12)에서 발음된 신호를 통화 상대에게 송신할 수도 있다.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A / D converter 11 convert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10, a call signal received from a call partner, etc. into a digital voice signal, and the RAM (3) and the like can be stored. Then, based on the recorded digital audio signal, waveform data or timbre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sound source unit 12 is created, and the waveform data or timbre data is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sound source unit 12,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operation key of the operation unit 5 by the user, the sound signal of the created tone is pronounced at the pitch assigned to the operation key (operation as a melody instrument) or the tone assigned to the operation key. Data or waveform data can be pronounced (operation as a musical instrument or voice player of a drum timbre). In addition, a signal pronounced by the sound source unit 12 may be transmitted to the call counterpart.

도2는 상술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마이크로폰(10), A/D 컨버터(11), 음원부(12), D/A 컨버터(13) 및 스피커(14)는 상기 도1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샘플러 모듈(이하「샘플러」라 함)(21), 음색 제어부(23), 번호 키 할당부(24) 및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제어부(25)는, 상기 제어부(1)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실현된다. 음원부(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한 것이라도 좋고, 전용 하드웨어를 사용해도 좋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execut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n this figure, the microphone 10, the A / D converter 11, the sound source unit 12, the D / A converter 13, and the speaker 14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The sampler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ampler") 21, tone control unit 23, number key assignment unit 24, and 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control unit 25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 respectively. It is realized by software processing. The sound source unit 12 may be a software process as described above, or may use dedicated hardware.

도2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10) 또는 상기 무선 통신부(6)에서 수신되어 음성 처리부(8)에서 음성 신호 처리된 통화 신호(27)는, 상기 A/D 컨버터(11)에 의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샘플러 모듈(21)에 입력된다.In Fig. 2, a call signal 27 received by the microphone 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 and processed by a voice signal by the voice processing unit 8 is a digital voice signal by the A / D converter 11. Is converted to and input to the sampler module 21.

샘플러(21)는 입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소재로 하여 상기 음원부(12)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형 데이터(또는 음색 데이터)(22)를 작성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압축 데이터 형식으로 인코드하기 위한 CODEC[coder/decoder, 상기 DSP(15)]를 탑재하여, 적절한 압축 데이터(ADPCM 등)로 변환해도 좋다.The sampler 21 creates waveform data (or timbre data) 22 that can be used by the sound source unit 12 using the input digital voice signal as a material. At this time, if necessary, a codec (coder / decoder, DSP 15) for encoding in a compressed data format may be mounted and converted into appropriate compressed data (ADPCM, etc.).

샘플러(21)에서는 입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에 대해, 필요에 따라서 트리밍 처리나 루프 재생을 위한 설정을 행한다. 트리밍이라 함은 녹음한 파형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부분만을 취출하는 처리를 말하고, 루프 재생이라 함은 파형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한 후 종료 포인트에 도달할 때까지 재생하고, 그 후 루프 포인트로 복귀하여, 다시 종료 포인트까지 재생하는 것을 반복하는 재생 방법을 말한다.The sampler 21 sets the input digital audio signal for trimming processing or loop reproduction as necessary. Trimming refers to a process of taking out only necessary portions from the recorded waveform data. Loop playback refers to a process of starting playback of the waveform data until the end point is reached, and then returning to the loop point, and then again. A playback method that repeats playback to the end point.

도3을 참조하여, 루프 포인트와 종료 포인트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the loop point and the end point will be described.

도3에 있어서, 부호 30은 디지털 음성 신호(파형 샘플), 부호 31은 루프 포인트(LP), 부호 32는 종료 포인트(EP)이며, 본 예에서는 루프 포인트(31)의 위치가 300, 종료 포인트의 위치가 500으로 되어 있다. 이 파형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0(개시 포인트)부터 500(종료 포인트)까지 재생하고, 다음에 300(루프 포인트)까지 복귀하고, 이후에는 300에서 500 사이를 반복하여 재생한다. 또한, 트리밍이라 함은, 500(종료 포인트)보다 이후의 파형 샘플은 재생 처리에 불필요하므로 삭제해 버리는 처리이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 digital voice signal (waveform sample), reference numeral 31 denotes a loop point LP, reference numeral 32 denotes an end point EP, and in this example, the position of the loop point 31 is 300 and the termination point. Has a position of 500. When the waveform data is reproduced, playback is performed from 0 (starting point) to 500 (end point), and then returned to 300 (loop point), after which 300 to 500 are repeatedly played. In addition, the trimming is a process in which waveform samples after 500 (end point) are unnecessary for the reproduction process and are deleted.

이와 같이, 입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에 대해, 필요에 따라서 루프 포인트와 종료 포인트의 설정을 행하거나, 불필요한 부위를 삭제함으로써, 파형 데이터(22)가 작성된다. 또한, 음색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또한 원하는 인벨로프(envelop)를 부여하기 위한 인벨로프 파라미터를 결정한다.Thus, the waveform data 22 is created by setting a loop point and an end point, or deleting an unnecessary part with respect to the input digital audio signal as needed. In addition, when creating the timbre data, envelope parameters for giving a desired envelope are also determined.

작성된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22)에는 파형 데이터 자체(상기 개시 포인트로부터 종료 포인트까지의 파형 샘플), 루프 포인트(LP) 및 종료 포인트(EP)의 정보, 인벨로프 파라미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The generated waveform data (voice data) 22 includes waveform data itself (waveform samples from the start point to the end point), information of the loop point LP and the end point EP, envelope parameters, and the like. .

또한, 이와 같이 작성한 파형 데이터(22)를 라이브러리화하여, 상기 RAM(3) 등에 저장해 둔다.In addition, the waveform data 22 created in this way is converted into a library and stored in the RAM 3 or the like.

음색 제어부(23)는 상기 음원부(12)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하여 작성된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22)를 이용하여 악음을 생성할 수 있도록, 음원부(12)에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22)를 등록하는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이 파형 데이터의 등록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tone control unit 23 uses the waveform data (tone data) 22 created as described above in the sound source unit 12 to generate a musical sound, so that the waveform data (tone data) in the sound source unit 12 can be generated. It is a program module which performs the process of registering (22). The details of the registration processing of the waveform data will be described later.

번호 키 할당부(24)는, 사용자가 이 휴대 전화를 이용하여 연주를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5)의 12개의 조작 키(본 실시 형태에서는,「0」내지「9」,「#」및「*」의 번호 키)에 상기 음원부(12)에 의한 발음의 형태를 할당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멜로디 악기로서, 혹은 드럼 음색의 악기 또는 음성 데이터의 재생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그 동작 형태에 따라서, 번호 키 할당부(24)는 상기 12개의 번호 키에, 멜로디 악기의 기본음인 12음(예를 들어,「도」내지「시」), 혹은 드럼 악기의 음색 또는 파형 데이터를 할당한다.The number key assignment unit 24 includes twelve operation keys of the operation unit 5 (in the present embodiment, "0" to "9", "#") so that a user can play using this mobile phone. And number form of " * "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elody musical instrument, or as a musical instrument of a drum timbre or a player of voice data. To the number keys are assigned 12 tones (e.g., "degrees" to "hours"), which are the basic sounds of a melody instrument, or tones or waveform data of a drum instrument.

또한, 멜로디 악기로서 동작시킬지, 드럼 음색의 악기 또는 음성 재생기로서 동작시킬지의 설정 및 각 번호 키에 어떠한 음높이를 할당할지, 혹은 어떠한 파형 데이터를 할당할지의 설정은, 상기 표시부(4)와 조작부(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ting of whether to operate as a melody musical instrument, a musical instrument of a drum timbre or a voice player, and the setting of which pitch is assigned to each number key or which waveform data is assigned, is performed by the display unit 4 and the operation unit ( 5) can be set by the user.

MIDI 제어부(2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멜로디 악기 혹은 드럼 음색의 악기 또는 음성 재생기의 번호 키 정보를, 대응하는 MIDI 메시지로 치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휴대 전화의 번호 키가 눌러졌을 때에 노트 온을 발행하고, 떼어 졌을 때에 노트 오프를 발행한다. 또한, 모든 음색에 대해 노트 온을 식별할 필요가 있지만, 노트 오프의 식별은 음색에 의존한다.The MIDI control unit 25 has a function of replacing the number key information of the melody musical instrument or drum musical instrument or voice player assigned to the user interface with a corresponding MIDI message. It issues a note on when the mobile phone's number key is pressed, and issues a note off when it is released. It is also necessary to identify the note on for all the tones, but the identification of the note off depends on the tones.

음원부(12)는 상기 MIDI 제어부(25)로부터 출력되는 MIDI 메시지를 받아, 해당하는 음색의 악음을 생성한다. 또한, 파형 데이터 또는 음색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를 내장하여,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는 파형 데이터나 음색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unit 12 receives a MIDI message output from the MIDI control unit 25 to generate a musical sound of a corresponding timbre. In addi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waveform data or timbre data can be incorporated to change the waveform data or timbr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D/A 컨버터(13)는 음원부(12)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스피커(14)에 의해 재생된다. 또한, 이 아날로그 신호를 무선 통신부의 송신측(28)에 공급하여, 통화 송신 신호로 해도 좋다.The D / A converter 13 converts the digital data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unit 12 into an analog signal, which is reproduced by the speaker 14. In addition, this analog signal may be supplied to the transmission side 28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form a call transmission signal.

도4는 상기 음원부(12)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ound source unit 12.

음원부(12)는 MlDI 메시지를 받아, 해당하는 음색의 악음을 생성한다. MIDI 이벤트는 노트 온/노트 오프나 프로그램 체인지(음색 변경), 컨트롤 체인지(음량 변경 등), 피치 벤드(음정 변경) 등이 있고, 음원부(12)는 이들에 따라서 동작을 한다. 음원 출력은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고, 스피커(14)에 의해 실음이 된다.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원부(12)에는 디폴트 음색 데이터를 저장하는 ROM 영역(41), 상기 샘플러(21)에서 작성된 파형 데이터 또는 음색 데이터(22)를 저장하는 RAM 영역(42), 복수의 독립된 음색을 발음하기 위한 복수의 발음자(보이스)(43 내지 46) 및 각 발음자에 의해 발생된 악음을 혼합하는 가산기(4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음자(43 내지 46)는, 음원 사양의 최대 동시 발음수로 나타내어지는 개수로 설치되어 있다.The sound source unit 12 receives the MlDI message and generates a musical sound of a corresponding timbre. MIDI events include note on / note off, program change (tone change), control change (volume change, etc.), pitch bend (pitch change), and the like. The sound source unit 12 operates accordingly. The sound source output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and made into a real sound by the speaker 14. As shown in Fig. 4, the sound source unit 12 includes a ROM area 41 for storing default tone data, a RAM area 42 for storing waveform data or tone data 22 created by the sampler 21, A plurality of pronunciations (voices) 43 to 46 for sound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tones and an adder 47 for mixing musical sounds generated by each sounder are provided. The sounders 43 to 46 are provided in the number represented by the maximum number of simultaneous pronunciations of the sound source specification.

MIDI의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에 의해 각각의 발음자(43 내지 46)에 악기 음색이 할당되고, MIDI의 노트 온/노트 오프 메시지에 따라서 각각의 발음자(43 내지 46)가 발음/소음되고, 컨트롤 체인지 메시지나 피치 벤드 메시지에 의해 각각의 발음자의 음량이나 음정을 조작할 수 있다. 이들 발음자(43 내지 46)가 MIDI 메시지에 의해 컨트롤되고, 각각의 발음자(43 내지 46)에서 발음된 악음이 가산기(47)에 의해 혼합됨으로써 최종적인 악음이 된다.Instrument voices are assigned to each of the speakers 43 through 46 by a program change message of MIDI, and each speaker 43 through 46 is pronounced / sounded according to the MIDI note on / note off message. The volume or pitch of each speaker can be manipulated by the message or the pitch bend message. These sounders 43 to 46 are controlled by MIDI messages, and the sound sounded at each sounder 43 to 46 is mixed by the adder 47 to become the final sound.

음원부(12)가 PCM 음원인 경우에는, 미리 준비된 샘플링 데이터(파형 데이터)를 바탕으로, 음색 데이터로서, 피치 EG(Envelope Generator)나 필터 EG나 앰플리튜드(amplitude) EG를 부가할 수 있어, 악곡에 맞는 다양한 음색으로 가공할 수 있다.When the sound source unit 12 is a PCM sound source, pitch EG (envelope generator), filter EG, or amplitude EG can be added as tone data based on previously prepared sampling data (waveform data), Can be processed into various tones to suit the music.

미리 GM(General MIDI) 규격으로서 정의된 음색 맵이 있고, 상기 ROM 영역(41) 중에는, 상기 음색 맵상의 음색을 재현하기 위한 음색 데이터나 샘플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There is a tone map previously defined as a GM (General MIDI) standard, and in the ROM area 41, tone data or sampling data for reproducing the tone on the tone map is stored.

또한, 상기 RAM 영역(42) 중에는, 상기 음색 제어부(23)에 의해 상기 샘플러(21)에 의해 작성된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22)가 저장된다.In the RAM area 42, waveform data (tone data) 22 generated by the sampler 21 is stored by the tone control unit 23.

도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 컨트롤 체인지 메시지 및 익스클루시브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program change message, a control change message, and an exclusive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에 의해 프로그램 번호(음색 번호)를 지정하고, (b) 컨트롤 체인지의 뱅크 셀렉트 메시지에 의해 뱅크 셀렉트 번호를 지정한다.(a) The program number (tone number) is designated by the program change message, and (b) The bank select number is specified by the bank select message of the control change.

상기 음색 제어부(23)는, 음원부(12)에 파형 데이터(22)를 등록할 때에는 (c) 및 (d)에 나타내는 익스클루시브 메시지에 의해, 음색 데이터열과 파형 데이터열의 2가지를 음원부(12)로 송신한다.When the waveform control unit 23 registers the waveform data 22 to the sound source unit 12, the tone control unit 23 uses the exclusive messages shown in (c) and (d) to display two types of tone data streams and waveform data streams. Send to (12).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색 데이터열(列)에는, 음색과 관련짓기 위한 뱅크 셀렉트 번호와 프로그램 번호, 음색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각종 EG(피치 EG, 필터 EG, 앰플리튜드 EG) 및 파형 데이터열을 관련짓기 위한 파형 데이터 ID가 포함되어 있다.As shown in (c), the tone data sequence includes bank select numbers, program numbers, and various EGs (pitch EG, filter EG, ampli- tual EG) and waveform data sequences constituting the tone parameters. Waveform data IDs for association are included.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형 데이터열에는, 음색 데이터열과 관련시키기 위한 파형 데이터 ID와, 재생 피치(MIDI 키의 C3으로 재생하기 위한 피치)나 샘플링 주파수, 파형 데이터 형식의 정보 등을 갖는 파형 정보 및 실제 파형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As shown in (d), the waveform data string includes a waveform data ID for associating with the tone data stream, a reproduction pitch (pitch for reproduction with C3 of the MIDI key), a sampling frequency, information in waveform data format, and the like. Information and actual waveform data are included.

상기 음색 제어부(23)로부터 (c) 및 (d)에 나타내는 익스클루시브 메시지를 음원부(12)에 송신함으로써, 음원부(12) 내의 RAM 영역(42) 내에, 상기 익스클루시브 메시지로 보내져 온 음색 데이터열과 파형 데이터열이 저장된다. 이에 의해, 음색 데이터 또는 파형 데이터가 음원부(12)에 등록된 것으로 된다.By sending the exclusive message shown in (c) and (d) from the timbre control unit 23 to the sound source unit 12, it is sent as the exclusive message in the RAM area 42 in the sound source unit 12. The on tone data sequence and the waveform data sequence are stored. As a result, the tone data or waveform data is registered in the sound source unit 12.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를 지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MIDI 제어부(25)로부터, 연주하는 채널에 대해 사용하고자 하는 파형 데이터의 뱅크 셀렉트 번호를 지정하는 (b) 뱅크 셀렉트 메시지와, 그 파형 데이터의 프로그램 번호를 지정하는 (a)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를 음원부(12)에 대해 송신한다. 이에 의해, 그 채널에서 사용하는 파형 데이터(또는 음색 데이터)가 지정된다.In the case of specifying waveform data (voice data), the MIDI control unit 25 specifies the bank select number of the waveform data to be used for the channel to be played, and (b) a bank select message and a program of the waveform data. (A) A program change message specifying the number is transmitted to the sound source unit 12. FIG. As a result, waveform data (or timbre data) used in the channel is specifi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는, 멜로디 악기로서 의 동작(제1 경우)과, 드럼 음색의 악기 또는 음성 재생기로서의 동작(제2 경우)의 2가지의 동작 형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wo types of operation, an operation as a melody musical instrument (first case) and an operation as a musical instrument or a voice player (drum case) of a drum tone.

이들 각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ach of these cas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6은 상기 제1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6의 (a)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를 멜로디 음색으로서 활용할 때의 상기 12개의 번호 키에의 음높이의 할당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의 (b)는 휴대 단말의 번호 키와 상기 번호 키에 할당된 음높이의 관련을 도시하는 외관도이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first case, and Fig. 6A is a pitch assignment to the twelve number keys when utilizing waveform data (voice data) created by a user as a melody tone. Fig. 6B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key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itch assigned to the number key.

이 경우에는, 각 번호 키를 누르고 있을 때에, 선택된 1종류의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가, 그 번호 키에 할당되어 있는 음높이로 발음되고, 도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0」내지「9」,「*」및「#」의 12개의 번호 키에,「도」내지「시」까지의 12음이 할당되어 있다.In this case, one type of waveform data (voice data) selected when each number key is pressed is pronounced at the pitch assigned to that number ke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0" to "9" Twelve notes from "degree" to "hour" are assigned to twelve number keys of "*" and "#".

도7은 상기 제2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는,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를 드럼 음색, 퍼커션 음색, 사운드 이펙트 음색으로서 활용한다. 또한, 개개의 번호 키에 각각 다른 파형 데이터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 장치를 음성 재생기로서 활용할 수 있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econd case. In this case, waveform data (voice data) is utilized as a drum tone, percussion tone, and sound effect tone. In addition, when assigning different waveform data to each number key,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an be utilized as a voice reproducer.

도7의 (a)는 드럼 음색으로서 활용하는 경우의 번호 키에 대한 음색 데이터의 할당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ssigning tone data to a number key when utilizing as a drum tone.

도7의 (a)의 경우에는, 각각의 번호 키가 개별 파형 데이터가 된다. 이 중에서,「Tom」등은, 동일 파형 데이터에서 음높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좋다.In the case of Fig. 7A, each number key becomes individual waveform data. Among these, "Tom" and the like may be simply changed in pitch in the same waveform data.

또한, 도7의 (b)는 음성 재생기로서 활용하는 경우의 번호 키에 대한 파형 데이터의 할당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ssigning waveform data to a number key in the case of utilizing as a voice reproducer.

도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번호 키에 개별 파형 데이터가 할당되어 있어, 각 번호 키를 누르면 그 키에 대응하는 음성이 재생되게 된다. 예를 들어, 번호 키「5」가 눌러지면「안녕하세요」라고 발음되고, 번호 키「8」이 눌러지면「그렇지」라고 발음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를 눌러진 키에 따라서 다른 음성을 발음하는 음성 재생기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B, individual waveform data is assigned to each number key, and when each number key is pressed,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key is reproduced. For example, when the number key "5" is pressed, it is pronounced "hello", and when the number key "8" is pressed, it is pronounced "yes". In this way, it can also be used as a voice player that pronounces different voices according to the key pressed 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상기 제1 경우(멜로디 악기로서의 동작)에 의해 연주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in FIG. 8. Here, a case of playing in the first case (operation as a melody musical instrument) will be described.

(1) 사용자가, 어떠한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주하고자 하는지의 선택 지시(61)를 내리면, 시스템측은 상기 음원부(12)에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의 등록을 행한다(S1). 즉, 상기 음색 제어부(23)에 의해, 선택된 파형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도5의 (c) 및 (d)의 익스클루시브 메시지를 음원부(12)에 출력하고, 상기 음원부(12)의 RAM 영역(42)에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를 저장한다.(1) When the user issues a selection instruction 61 on which waveform data (voice data) to play, the system side registers waveform data (voice data) to the sound source unit 12 (S1). . That is, the tone control unit 23 outputs the exclusive message of FIGS. 5C and 5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waveform data to the sound source unit 12, Waveform data (voice data) is stored in the RAM area 42.

또한, 그 파형 데이터로 발음하기 위해, MIDI 제어부(25)는 음원부(12)에 대해 연주하기 위한 채널을 지정하여(통상은, 채널 1), 사용자가 연주하고자 하는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의 뱅크 셀렉트 번호와 프로그램 번호를 포함하는 (b) 뱅크 셀렉트 메시지와 (a)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를 출력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nounce the waveform data, the MIDI control unit 25 designates a channel to be played on the sound source unit 12 (usually, channel 1), so that the waveform data (voice data) to be played by the user is specified. Outputs the (b) bank select message and (a) program change message including the bank select number and the program number.

(2) 사용자가, 번호 키를 누르거나 뗌으로써(62), 연주를 개시한다. 즉, 번호 키 할당부(24)는, 어떠한 번호 키가 눌러졌는지 떼어졌는지를 항상 스캔한 다(S2).(2) The user starts playing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number key (62). That is, the number key assignment unit 24 always scans which number key is pressed or released (S2).

(3) 눌러진 키가 있으면(S3이 "예"), 상기 MlDI 제어부(25)가, 그 키에 할당된 음높이에 대응하는 노트 번호를 포함하는 노트 온 메시지를 발행한다(S4).(3) If there is a key pressed (S3 is YES), the MlDI control unit 25 issues a note on message including a not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itch assigned to the key (S4).

(4) 떼어진 키가 있으면(S5가 "예"), 상기 MIDI 제어부(25)가, 그 키에 할당된 노트 번호를 포함하는 노트 오프 메시지를 발행한다(S6).(4) If there is a released key (S5 is YES), the MIDI control unit 25 issues a note off message including the note number assigned to the key (S6).

(5) (2) 내지 (4)를 연주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한다(S7).(5) Repeat (2) to (4) until the end of the playing (S7).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음색 데이터(파형 데이터)를 이용한 연주를 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erformance using the tone data (waveform data) created by the user can be performed.

도9는, 상술한 제1 경우(멜로디 악기로서의 동작)와 제2 경우(드럼 음색의 악기 또는 음성 재생기로서의 동작)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더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for further explaining the operations in each of the first case (operation as a melody musical instrument) and the second case (operation as a musical instrument or a voice player of a drum tone) described above.

도9의 (a)는 상기 제1 경우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9A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case.

상기 도8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파형 데이터 선택 조작(61)에 의해, 선택된 음색 데이터(파형 데이터)가 익스클루시브 메시지에 의해 음원부(12)에 등록된다. 그리고, 연주하기 위한 채널에 대해 등록한 파형 데이터의 뱅크 셀렉트 번호와 프로그램 번호를 지정하는 뱅크 셀렉트 메시지와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가 음원부(12)에 출력된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in this case, the selected tone data (waveform data) is registered in the sound source unit 12 by an exclusive message by the waveform data selection operation 61 of the user. Then, the bank select message and the program change message specifying the bank select number and program number of the waveform data registered for the channel to be played are output to the sound source unit 12.

그 후, 번호 키가 눌러질 때마다, 그 번호 키에 대응한 노트 번호를 갖는 노트 온 메시지가 출력되고, 떼어지면 그에 대응한 노트 오프 메시지가 출력된다.Then, each time the number key is pressed, a note on message having a note number corresponding to that number key is output, and when released, a note off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key is output.

도9의 (b)는 상기 제2 경우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번호 키를 누름으로써, 그 번호 키에 할당된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가 발음된다.Fig. 9B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 case.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by pressing the number key, the waveform data (voice data) assigned to the number key is pronounced.

여기서, 상기 음색 제어부(23)에 의해, 음원부(12)에 도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Here, it is assumed that the waveform control unit 23 registers each waveform data (tone data) in the sound source unit 12 as shown in Fig. 9C.

이 제2 경우에는, 번호 키가 눌러지면(62), 그 번호 키에 할당되어 있는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에 대응하는 뱅크 셀렉트 번호를 지정하는 뱅크 셀렉트 메시지와, 그 파형 데이터의 프로그램 번호를 지정하는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와, 발음을 지시하는 노트 온 메시지가 발행된다. 상기 뱅크 셀렉트 메시지와 상기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에 의해 발음에 사용되는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가 정해지고, 노트 온 메시지로부터 발음이 지시된다. 이에 의해, 눌러진 번호 키에 대응하는 파형 데이터(음색 데이터)가 발음된다. 또한, 번호 키의 뗌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대응하는 노트 오프 메시지만이 발행된다.In this second case, when the number key is pressed (62), a bank select message specifying a bank select number corresponding to the waveform data (voice data) assigned to the number key and a program number of the waveform data are designated. A program change message and a note-on message indicating a pronunciation are issued. The waveform data (tone data) used for pronunciation is determined by the bank select message and the program change message, and the pronunciation is instructed from the note on message. As a result, the waveform data (tone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number key is pronounced. In addition, when a jam of the number key is detected, only the corresponding note-off message is issued.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파형 데이터를 마이크로폰 등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로부터 작성하고 있었지만, 휴대 단말 장치가 갖는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소정의 서버로부터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although waveform data was created from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etc., you may make it acquire from a predetermined server us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which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has.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송화용 마이크로폰(10)을, 파형 데이터를 작성할 때의 음성 신호의 입력용으로 이용하고 있었지만, 전용 마이크로폰을 별도 설치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although the microphone 10 for a talk was used for the input of the audio signal at the time of creating waveform data, you may provide a dedicated microphone separately.

또한, 통화 중에, 상대로부터의 음성 신호(디지털 데이터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파형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통화 상대의 소 리나 음성을 샘플링 소재로 하여 연주에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a call, the audio signal (digital data or analog signal) from the other party may be converted into waveform data. In this way, the voice and voice of the other party can be used as the sampling material for performance.

또한, 파형 데이터를 등록하는 RAM 영역(42)은 반드시 음원부(12)에 있을 필요는 없고, RAM(3)의 소정 영역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Note that the RAM area 42 for registering the waveform data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in the sound source unit 12, and a predetermined area of the RAM 3 may be us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작성한 파형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가 갖는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 장치로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전화 단말 장치와 통화 상태에 있을 때에, 미리 파형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번호 키를 누름으로써, 그 파형 데이터의 음성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대화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도 상대에게 음성으로 의지를 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the waveform data crea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terminal device using a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When in a call state with another telephone terminal device, the voice signal of the waveform data is transmitted by pressing the number key in which the waveform data is registered in advance, so as to convey the will to the other party by voice even in a situation where a conversation cannot be performed. It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제1 경우의 동작(멜로디 악기로서의 동작)과 상기 제2 경우의 동작(드럼 음색의 악기 또는 음성 재생기로서의 동작)을 동시에 행하도록 해도 좋다. 즉, 예를 들어 조작 키「1」내지「7」에 의해 멜로디 악기로서의 발음이 이루어지고, 조작 키의「8」내지「9」,「*」,「0」,「#」에 의해 음성 재생기로서의 발음이 이루어지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연주 표현이 가능해진다.Further, the operation in the first case (operation as a melody musical instrument) and the operation in the second case (operation as a musical instrument or a voice player of a drum tone)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at is, for example, the sound as a melody instrument is made by the operation keys "1" to "7", and the audio player is made by the operation keys "8" to "9", "*", "0", and "#". The pronunciation as may be made. By doing in this way, more various performance expressions become possible.

또한, 상기 도7의 (b)와 같이 각각의 번호 키에 개별의 파형 데이터가 할당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자동차 등의 엔진음, 시냇물의 흐름 등의 자연음, 동물이나 새의 울음소리 등의 다양한 소리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MIDI 이외의 데이터 형식을 이용해도 좋다.In addition, when individual waveform data is assigned to each number key as shown in Fig. 7B, for example, engine sounds such as automobiles, natural sounds such as streams of streams, and the like, such as animal or bird cries, etc. You can also use a variety of sounds. In the above portable terminal device, a data format other than MIDI may be used.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악음을 입력, 등록, 연주하는 등의 경우에, 다양한 연주 기호 등을 입력 가능하게 해도 좋다. 예를 들어, 포르테는「1 」과「2」키를 동시에 누른다, 메조 피아노는「2」와「3」키를 동시에 누른다 등과 같이 미리 설정해도 좋다.Moreover, in the sai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you may make it possible to input various performance symbols etc., in the case of inputting, registering, and playing a musical sound. For example, the forte may press the "1" and "2" keys simultaneously, and the meso piano may be set in advance, such as pressing the "2" and "3" keys simultaneously.

또한, 악음의 입력이나 재생에 동기하여, 액정 표시 장치(4) 상에 화상이나 동화상을 표시해도 좋다. 또한, 악음에 맞추어 액정 표시 장치(4)에 캐릭터를 표시시키고, 동작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도7의 (b)와 같이「안녕하세요」라고 하는 발음시에는, 화면상의 캐릭터가 인사를 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해도 좋다. 또한, 이러한 화상이나 동화상, 캐릭터 등을 악음과 함께 다른 휴대 단말로 송신 가능하게 해도 좋다.In addition, an image or a moving picture may b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4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ound input or reproduction. In addition, a character may b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4 in accordance with the sound. For example, during the pronunciation of "hello" as shown in FIG. 7B, the characters on the screen may be greeted by greetings. In addition, such an image, a moving picture, a character, or the like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portable terminal together with the sound.

또한, 악음의 입수원으로서는,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나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녹음, 사용자의 수동 입력 등에 한정되지 않고, CD, MD, DVD, USB 메모리나 휴대 전화 등에 기록, 저장된 것을 I/F 경유로 입수하는 것과, 가정 내(퍼스널 컴퓨터나 DVD 등)에 축적된 것을 인터넷 경유로 입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방송파를 수신하여 입수해도 좋다.In addition, the source of the sound is not limited to downloads from a network, recording using a microphone, manual input by a user, and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what has accumulated in a home (a personal computer, a DVD, etc.) via the Internet. In addition, you may receive and obtain broadcast waves, such as a television and a radio.

도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도.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루프 포인트와 종료 포인트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oop point and an end point.

도4는 음원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ound source unit.

도5는 프로그램 체인지 메시지, 컨트롤 체인지 메시지 및 익스클루시브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5 illustrates a program change message, a control change message and an exclusive message.

도6은 파형 데이터를 멜로디 음색으로서 활용할 때의 번호 키에의 음높이의 할당예를 도시하는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ssigning pitches to number keys when utilizing waveform data as melody timbres.

도7은 파형 데이터를 드럼 음색으로서 활용하는 경우 및 음성 재생에 활용하는 경우의 번호 키에의 파형 데이터의 할당예를 도시하는 도면.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ssigning waveform data to a number key in the case where waveform data is utilized as a drum tone and used for voice reproduction;

도8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파형 데이터의 선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election of waveform data.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제어부(CPU)1: Control unit (CPU)

2 : ROM2: ROM

3 : RAM3: RAM

4 : 표시부4: display unit

5 : 조작부5: control panel

6 : 무선 통신부6: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 : 안테나7: antenna

8 : 음성 처리부8: voice processing unit

9 : 수화용 스피커9: speaker for sign language

10 : 마이크로폰10: microphone

11 : A/D 컨버터11: A / D Converter

12 : 음원부12: sound source

13 : D/A 컨버터13: D / A Converter

14 : 스피커14: Speaker

15 : DSP15: DSP

16 : 버스16: bus

21 : 샘플러 모듈21: sampler module

22 : 파형 데이터22: waveform data

23 : 음색 제어부23: tone control unit

24 : 번호 키 할당부24: number key assignment unit

25 : MlDI 제어부25: MlDI control unit

41 : ROM 영역41: ROM area

42 : RAM 영역42: RAM area

43 내지 46 : 발음자(보이스)43 to 46: Pronunciation (voice)

47 : 가산기47: adder

51 : 피치 EG51: pitch EG

52 : 필터 EG52: filter EG

53 : 앰플리튜드 EG53: Amplitude EG

Claims (7)

복수의 조작 키와,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파형 데이터가 등록되는 기억부를 갖고, 상기 기억부에 등록되어 있는 파형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악음(樂音) 신호를 생성하는 음원부와,A sound source unit having a storage unit in which waveform data is registered, which generates a sound signal based on the waveform data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입력 음성 신호를 샘플링하여 파형 데이터를 작성하는 파형 데이터 작성 수단과,Waveform data creating means for sampling the input audio signal to create waveform data; 상기 파형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Registration means for registering the waveform data in the storage unit; 상기 조작 키의 누름 및 뗌을 검출하는 키 조작 검출 수단과,Key oper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press and release of the operation key; 상기 키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 키의 누름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음원부에 대해 그 조작 키에 할당되어 있는 형태로의 악음 신호의 생성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And a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message instructing generation of a sound signal in the form assigned to the operation key to the sound source unit when the key operation detection means detects the press of the operation key. Portable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키 각각에 대해 음높이가 할당되어 있고,A pitch i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keys,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 키의 누름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음원부에 대해 그 조작 키에 할당되어 있는 음높이로의 악음 신호의 생성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And the control means outputs a message instructing the sound source portion to generate a musical tone signal at a pitch assigned to the operation key when the pressing of the operation key is det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키 각각에 대해 파형 데이터가 할당되어 있고,2. The waveform of claim 1, wherein waveform data i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keys,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 키의 누름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음원부에 대해, 그 조작 키에 할당되어 있는 파형 데이터를 지정하는 메시지와 악음 신호의 생성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The control means outputs a message specifying waveform data assigned to the operation key and a message instructing generation of a sound signal to the sound source unit when the pressing of the operation key is detected. A portable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다른 단말 장치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 수단을 더 갖고,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call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with another terminal device to make a call, 상기 입력 음성 신호는,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The input audio signal is a voice received from the other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다른 단말 장치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 수단을 더 갖고,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call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with another terminal device to make a call,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음원이 생성한 악음 신호를 상기 통화 수단을 통해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And the control means transmits the sound signal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to the other terminal device via the call means. 제1항에 있어서, 다른 단말 장치와의 통신 수단을 더 갖고,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means with another terminal device,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소정의 서버로부터 상기 파형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기억부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And the control means downloads the waveform data from a predetermined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means and registers the waveform data in the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MIDI 형식의 익스클루시브 메시지로서 등 록된 상기 파형 데이터의 재생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control means instructs reproduction of said waveform data registered as an exclusive message in MIDI format.
KR1020080016582A 2007-02-28 2008-02-25 Mobile terminal apparatus KR2008008001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48580A JP2008209826A (en) 2007-02-28 2007-02-28 Mobile terminal device
JPJP-P-2007-00048580 2007-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013A true KR20080080013A (en) 2008-09-02

Family

ID=3978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582A KR20080080013A (en) 2007-02-28 2008-02-25 Mobile terminal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209826A (en)
KR (1) KR20080080013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6955B2 (en) * 2013-07-03 2017-08-30 ヤマハ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program for realizing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8504A (en) * 2000-04-12 2001-10-26 Casio Comput Co Ltd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1356770A (en) * 2000-06-13 2001-12-26 Nec Mobiling Ltd Portable telephone device with playing function
JP3700599B2 (en) * 2001-03-29 2005-09-28 ヤマハ株式会社 Tone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3722005B2 (en) * 2001-04-03 2005-11-30 ヤマハ株式会社 Electronic mus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JP3620467B2 (en) * 2001-05-18 2005-02-16 ヤマハ株式会社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233379A (en) * 2002-02-13 2003-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waveform synthesis
JP2006195215A (en) * 2005-01-14 2006-07-27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usical performan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09826A (en)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52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voice in synchronism with music piece
US7161081B2 (en) Portable telephony apparatus with music tone generator
JP2001077931A (en) Telephone terminal
JP2000224269A (en) Telephone set and telephone system
KR100619826B1 (en) Music and audio synthesize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38714A (en) Downloading service system of self music file using radio internet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10050622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and playing music
TW529018B (en) Terminal apparatus, guide voice reproduc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0731232B1 (en) Musical data edit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refor
JP2001195068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music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KR100509126B1 (en) Audio melody tune gener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it
KR20080080013A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KR10062805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uto-generation of digital music information and method of auto-generation of digital music information using same
JP378828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97569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48317Y1 (en) KARAOKE by cellular phone
TWI223536B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433772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3592373B2 (en) Karaoke equipment
JP4345603B2 (en) Telephone terminal device
JP3893894B2 (en) Mobile terminal device
JP4153453B2 (en) Music player
JP2002341872A (en) Communication terminal
JP3933147B2 (en) Pronunciation control device
JP2001042867A (en) Sound generation control device, and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