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126B1 - Audio melody tune gener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it - Google Patents

Audio melody tune gener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126B1
KR100509126B1 KR10-2003-0006215A KR20030006215A KR100509126B1 KR 100509126 B1 KR100509126 B1 KR 100509126B1 KR 20030006215 A KR20030006215 A KR 20030006215A KR 100509126 B1 KR100509126 B1 KR 100509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lody
music
tex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66403A (en
Inventor
가와시마다까히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4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12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에서는, 소정의 연주 조건(리듬 선택 정보, 곡조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멜로디 데이터 및 반주음 데이터를 포함하는 악곡 데이터가 생성되고, 별도로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가 멜로디 데이터에 자동적으로 할당된다. 이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는 포만트 합성 방법에 의해 음성 멜로디 신호로 변환되는 한편, 반주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주음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한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를 휴대 단말 장치에 이용한 경우, 음성 멜로디 악곡과 반주음을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텍스트를 입력한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해당 텍스트를 자동적으로 원하는 악곡의 멜로디에 할당한 음성 멜로디 악곡을 생성 및 재생할 수가 있어, 그에 따라, 청취 시의 음성 명료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voice melody mus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sic data including melody data and accompaniment sound data is generated based on predetermined playing conditions (rhythm selection information and tune selection information), and separately input text data is melody data. Are automatically assigned to. Melody data having this text is converted into a voice melody signal by the formant synthesis method, while an accompaniment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When the voice melody music creation apparatus is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e voice melody music and the accompaniment sound can be reproduced. In this manner,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an generate and play back a voice melody piece in which the text is automatically assigned to the melody of the desired piece of music by a simple operation of inputting text, thereby improving voice clarity at the time of listening. Can be.

Description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휴대 단말 장치{AUDIO MELODY TUNE GENER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IT} AUDIO MELODY TUNE GENER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IT}

본 발명은,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발음하거나, 원하는 악곡을 재생하는 기능을 탑재한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device equipped with a function of converting input text data into voice and pronunciation or playing back desired music.

종래, 포만트(formant) 합성 방법에 의해 음성을 생성하는 기술은 잘 알려져 있으며(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번호 2754965호), 또한, 소정의 문자 정보나 텍스트 데이터를 음정(또는 음고) 정보나 사전 데이터를 참조하여 포만트 합성 방법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한편, 리듬 선택 및 곡조 선택에 의해 가사 데이터에 적합한 악곡을 자동적으로 작성(작곡)하는 장치도 알려져 있다(특개평9-50278호).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technique for generating speech by a formant synthesis method is well know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2754965). Furthermore, predetermined character information or text data can be used for pitch (or pitch) information. Techniques for converting speech into speech by formant synthesis methods with reference to prior data are also known. On the other hand, a device for automatically creating (composing) music pieces suitable for lyrics data by rhythm selection and tune selection is also know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50278).

그러나,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음성만으로는 단조로와 흥미감이 부족하며, 또한, 해당 음성의 발음의 명료도가 낮은 경우에는, 청취자가 언어로서 판단 및 이해하는 것이 곤란하여, 휴대 단말 장치 등에서는 실용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악곡을 자동 작성하는 경우, 그 악곡이 기계적이고 단조로운 음악으로 되어, 청취자가 쉽게 싫증을 느낀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 작성된 악곡과 포만트 합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음성을 휴대 단말 장치 등의 사용자가 믹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경우, 사용자에 의한 믹싱 작업이 번잡하게 된다.However, only the voice converted from the text data lacks monotone and interest, and when the clarity of the pronunciation of the voice is low, it is difficult for the listener to judge and understand it as a language.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when the music is automatically cre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usic is mechanical and monotonous music, and the listener is easily tired. In addition, although it is also possible for a user, such as a portable terminal device, to mix the automatically produced music and the sound produced by the formant synthesis method, mixing work by the user becomes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음성과 멜로디 악곡이 조합된 음성 멜로디 악곡을 생성할 수 있는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voice melody music production apparatus capable of generating a voice melody music in which voice and melody music are combined by a simple operation, and a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will be.

또한, 음성 멜로디 악곡(audio melody tune)이란, 음성에 멜로디가 부여된 악곡만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반주음도 음성에 부수시키도록 한 악곡도 포함된다. In addition, an audio melody tune includes not only the music to which a melody is given to a voice, but also the music which accompanies the accompaniment sound as needed.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에서는, 소정의 연주 조건(리듬 선택 정보, 곡조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멜로디 데이터 및 반주음 데이터를 포함하는 악곡 데이터가 생성되고, 별도로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가 멜로디 데이터에 자동적으로 할당된다. 이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는 포만트 합성 방법에 의해 음성 멜로디 신호로 변환되는 한편, 반주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주음 신호가 생성된다. In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voice melody mus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sic data including melody data and accompaniment sound data is generated based on predetermined playing conditions (rhythm selection information and tune selection information), and separately input text data is melody data. Are automatically assigned to. Melody data having this text is converted into a voice melody signal by the formant synthesis method, while an accompaniment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상기한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를 휴대 단말 장치에 이용한 경우, 음성 멜로디 악곡 및 반주음을 재생할 수 있다. When the above-mentioned voice melody music production apparatus is used for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e voice melody music and the accompaniment sound can be reproduced.

이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텍스트를 입력한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해당 텍스트를 자동적으로 원하는 악곡의 멜로디에 할당한 음성 멜로디 악곡을 생성 및 재생할 수 있다. 음성의 명료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도, 멜로디를 부여함으로써 청취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오락성이 있는 악곡을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an generate and reproduce a voice melody piece of music which has been automatically assigned to the melody of the desired piece of music by a simple operation of inputting text. Even when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is relatively low, by providing a melody, not only the listening is easy but also the musical pieces with entertainment can be produced.

또한, 텍스트 데이터는 반드시 사용자가 휴대 단말 장치를 조작하여 입력할 필요는 없으며, 인터넷 경유로 소정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사용되는 악곡에 대해서도 미리 기억된 악곡 중에서 원하는 악곡을 선택할 수 있다. Further, the text data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input by the user by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but may be downloaded from a predetermined server via the Internet. Moreover, about the piece of music used, a desired piece of music can be selected from the pieces of music previously memorized.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와 함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단말 장치(1)는 휴대 전화(portable telephones, cellphones, 등)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 분야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에도 적용 가능하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having a voice melody music gen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 in this embodiment corresponds to portable telephones (portable telephones, cellphones, etc.) o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In addition, the application field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For example, it is applicable to a personal computer and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한, 도 1에 도시한 휴대 단말 장치(1)는 종래에는 볼 수 없던 독특한 기능, 즉, 사용자가 입력 또는 수신한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멜로디 악곡을 자동 생성하는 기능 및 해당 음성 멜로디 악곡을 착신 멜로디로서 사용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회로 블록은 이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이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 shown in FIG. 1 has a unique function that has not been seen in the past, that is,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voice melody music on the basis of text data input or received by a user, and the voice melody music received. It has a function used as a melody, and the circuit block shown in Fig. 1 is configured to realize these functions.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realizing these functions.

도 1에서, 참조 부호(2)는 중앙 처리 장치(CPU)를 나타내고, 휴대 단말 장치(1)의 각 블록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시퀀서(도 2 참조) 기능도 갖고 있다. 참조 부호(3)는 CPU(2)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ROM(Read-Only Memory)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4)는 각종 데이터 기억용의 불휘발성 RAM (Random-Access Memory)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5)는 휴대 단말 장치(1)와 소정의 기지국을 무선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6)는 휴대 단말 장치(1)를 접속 코드(도시 생략)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 등에 접속하기 위한 직렬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In FIG. 1,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not only controls each block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 but also has a sequencer (see FIG. 2) function described later.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 ROM (Read-Only Memory) in which a program executed by the CPU 2 is stored, and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RAM) for storing various data. . Reference numeral 5 denote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apparatus 1 and a predetermined base station, and reference numeral 6 denotes a personal computer or the like via the connection code (not shown). Represents a serial interface for connection.

참조 부호(7)는 액정 표시기(liquid crystal display) 및 표시 구동 회로로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나타내고, 상기 CPU(2)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표시를 행한다. 참조 부호(8)는 텐키(numeric keypads), 기능 키 및 키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지는 조작부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9)는 포만트(formant) 합성 회로를 나타내고, 텍스트 데이터가 부가된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1 Interface) 데이터(음고 데이터, 음량 데이터, 타이밍 데이터를 포함함)가 공급된다. 이 포만트 합성 회로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만트 합성 방법에 의해 음성 신호로 변환함과 함께, 해당 음성 신호와 MIDI 데이터를 혼합하여 음성 멜로디 신호(audio melody signal, 즉, 멜로디를 갖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도시 생략)로 출력한다. 또한, 포만트 합성 방법에 따른 알고리즘은 임의로 설정된다. 또한, 음성 합성 방법은 포만트 합성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파형 합성 방법에 의해 음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참조 부호(10)는 음원 회로를 나타내고, 버스 라인 B를 통하여 공급되는 반주음을 나타내는 MIDI 데이터에 따라서 반주음 신호를 형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Reference numeral 7 denotes a display portion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display driving circuit, and performs image display based on the display data supplied from the CPU 2. Reference numeral 8 denotes an operation portion consisting of numeric keypads, function keys and a key interface. Reference numeral 9 denotes a formant synthesis circuit, and is supplied with 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1 Interface) data (including pitch data, volume data, and timing data) to which text data is added. This formant synthesis circuit converts text data into a speech signal by the formant synthesis method, and then mixes the corresponding speech signal and MIDI data to generate an audio melody signal (that is, a speech signal having a melody). To a speaker (not shown). In addition,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formant synthesis method is arbitrarily set. The speech synthesis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formant synthesis method. For example, a speech signal may be generated by the waveform synthesis method.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sound source circuit, and forms an accompaniment signal in accordance with MIDI data representing the accompaniment sound supplied through bus line B,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이 음원 회로(10)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원하는 악음 신호를 합성하는 것으로, 그 변조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주지의 FM(Frequency Modulation) 방법이나 PCM(Pulse Code Modulation)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The sound source circuit 10 synthesizes a desired sound signal by any method, and for example, a known FM (Frequency Modulation) method or a PCM (Pulse Code Modulation) method can be used.

다음에,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휴대 단말 장치(1)의 주요부의 상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휴대 단말 장치(1)의 통신/통화 기능은 종래의 휴대 전화나 PHS 등의 통신/통화 기능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2-4,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 movement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above-mentione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are demonstrated. In addition, since the communication / call function of this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is the same as the communication / call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mobile telephone, PHS, etc.,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2는 상기 음성 멜로디 악곡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주요부는 상기 CPU(2)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는 것이다. 여기서, 참조 부호(13)는 휴대 단말 장치(1)의 사용자가 조작부(8)를 조작함으로써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나타내고, 상기 CPU(2)에 의해 실행되는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합성부(14)로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8)를 조작함으로써 리듬 선택 정보 및 곡조 선택 정보를 생성되는 악곡의 연주 조건으로서 입력할 수가 있어, 이들 정보는 CPU(2)에 의해 실행되는 악곡 생성부(15)로 공급된다. 악곡 생성부(15)는 해당 리듬 선택 정보 및 곡조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원하는 패턴, 즉, 미리 메모리 (ROM(3))에 기억되어 있는 리듬 패턴, 베이스 패턴 및 코드(chord) 진행 패턴으로부터 각각 적합한 패턴을 읽어 내어 멜로디 데이터(즉, MIDI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멜로디 데이터는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합성부(14)로 출력되는 한편, 리듬 패턴 및 버스 패턴은 반주음 데이터로서 혼합 회로(17)로 출력된다. Fig. 2 shows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the voice melody music, the main part of which is realized in software by the CPU 2. Here, reference numeral 13 denotes text data input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pparatus 1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8, and is sent to the melody synthesis unit 14 having the text executed by the CPU 2; Is output. Further, the user can input the rhythm selection information and the tune selection information as the playing condition of the generated music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8, and these information are supplied to the music generation unit 15 executed by the CPU 2 do. The music generation section 15 is adapted from the desired pattern, i.e., the rhythm pattern, the base pattern and the chord progression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ROM 3) based on the rhythm selection information and the tune selection information. Read the pattern to produce melody data (ie MIDI data). The generated melody data is output to the melody synthesis section 14 having the text, while the rhythm pattern and the bus pattern are output to the mixing circuit 17 as accompaniment sound data.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합성부(14)는, 최적의 가창을 실현하기 위해 텍스트 데이터(13)를 멜로디 데이터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할당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할당 방법으로서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멜로디의 최초의 음표에 최초의 음성을 할당하고, 최후의 음표에는 최후의 음성을 할당하여, 그 사이의 음표에 대해서는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음성을 적절하게 할당하도록 한 방법이 채용된다. 이 소정 룰에 대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면, 긴 음표에 대해서는 비교적 많은 음성을 할당하는 한편, 짧은 음표에 대해서는 비교적 적은 음성을 할당한다. 이 경우, 복수의 음표에 1개의 음성이 할당되거나, 혹은, 복수의 음표에 다른 수의 음성이 할당되는 경우도 있다. The melody synthesizing unit 14 having the text performs a process of automatically allocating the text data 13 to the melody data in order to realize an optimal song. As this allocation method,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For example, the first voice is assigned to the first note of the melody, the last voice is assigned to the last note, and based on a predetermined rule for the notes in between. One method is adopted to properly allocate voice. This predetermined rule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voices are allocated to long notes while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voices are allocated to short notes. In this case, one voice may be allocated to a plurality of notes, or a different number of voices may be allocated to a plurality of notes.

상술한 바와 같이,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합성 회로(14)에 의해 자동 음성 할당 처리가 실행되어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혼합 회로(17)로 출력된다. 혼합 회로(17)는 상기한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와 상기 악곡 생성부(15)로부터 출력되는 반주음 데이터를 합성하여 음성 멜로디 악곡 데이터를 생성하고, 착신 멜로디 데이터로서 메모리(18)(즉, RAM(4))에 기억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voice allocation process is executed by the melody synthesis circuit 14 having the text to generate the melody data having the text, and output to the mixing circuit 17. The mixing circuit 17 synthesizes the melody data having the above text and the accompaniment data output from the music generation unit 15 to generate voice melody music data, and the memory 18 (ie, RAM) as the incoming melody data. (4)).

도 3은 상기한 음성 멜로디 악곡 데이터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단계 Sa1은 휴대 단말 장치(1)의 사용자에 의한 리듬 선택 정보 및 곡조 선택 정보의 입력 처리를 나타내며, 단계 Sa2는 상기 악곡 생성부(15)에 의한 멜로디 데이터 및 반주음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나타낸다. 또한, 단계 Sa3은 사용자에 의한 텍스트 데이터에 입력 처리를 나타내고, 단계 Sa4는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합성부(14)에 의한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나타낸다. 단계 Sa5는 혼합 회로에 의한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와 반주음 데이터와의 혼합 처리를 나타낸다. 이 혼합 처리에 의해 얻어진 음성 멜로디 악곡 데이터는 메모리(18)에 기억되고, 그 후,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적절하게 재생된다. 또한, 음성 멜로디 악곡 데이터의 재생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재생 결과가「OK」인지의 여부가 사용자에 의해 판정되고(단계 Sa6),「OK」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처리를 종료한다. 재생 결과가「OK」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한 단계 Sa1 내지 Sa5가 반복되고, 이에 따라, 원하는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a1에서 지정한 연주 조건(즉, 리듬 선택 정보 및 곡조 선택 정보)이나 단계 Sa3에서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를 변경하여 상기한 단계 Sa1 내지 Sa5를 반복하도록 하여도 된다.Fig. 3 show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above-described generation process of voice melody music data, wherein step Sa1 indicates an input process of rhythm selection information and tune selection information by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and step Sa2 The process of generating melody data and accompaniment sound data by the music generation unit 15 is shown. In addition, step Sa3 represents an input process for text data by the user, and step Sa4 represents a process of generating melody data having text by the melody synthesizing unit 14 having text. Step Sa5 represents the mixing process of the melody data having the text by the mixing circuit and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The voice melody music data obtained by this mixing process is stored in the memory 18, and then appropriately reproduced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In addition, the detail of the reproduction | regeneration process of audio | voice melody music data is mentioned later. Further, it is determined by the user whether or not the reproduction result is "OK" (step Sa6), and when it is "OK", the voice melody music generation process shown in Fig. 3 is terminated. If the reproduction result is not "OK", the above-described steps Sa1 to Sa5 are repeated, whereby melody data having a desired text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steps Sa1 to Sa5 may be repeated by changing the playing condition (that is, rhythm selection information and tune selection information) specified in step Sa1 or the text data input in step Sa3.

다음에, 메모리(18)에 기억된 음성 멜로디 악곡 데이터의 재생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지국으로부터의 착신(incoming call)을 받아 휴대 단말 장치(1)에 의해 착신 멜로디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CPU(2)에 의해 실행되는 시퀀서(20)가 메모리(18)로부터 상기 음성 멜로디 악곡 데이터를 그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읽어 내며, 또한,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를 상기 포만트 합성 회로(9)로 출력함과 함께, 반주음 데이터를 상기 음원 회로(10)로 출력한다. 포만트 합성 회로(9)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만트 합성 방법에 의해 음성 신호로 변환함과 함께, 해당 음성 신호와 멜로디 데이터(즉, MIDI 규격에 준거한 데이터)로부터 음성 멜로디 신호(즉, 멜로디를 갖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혼합 회로(21)로 출력한다. Next, the reproduction process of the voice melody music data stored in the memory 18 will be described. When receiving an incoming call from the base station and playing the incoming melody by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 the sequencer 20 executed by the CPU 2 receives the voice melody music data from the memory 18. It reads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timing data, outputs melody data having text to the formant synthesis circuit 9, and outputs accompaniment sound data to the sound source circuit 10. FIG. The formant synthesizing circuit 9 converts the text data into a speech signal by the formant synthesizing method, and converts the speech melody signal (i.e., melody) from the corresponding speech signal and melody data (i.e., data conforming to the MIDI standard). Voice signal) to be generated and output to the mixing circuit 21.

또한, 음원 회로(10)는 시퀀서(20)로부터 공급되는 반주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주음 신호를 형성하여 혼합 회로(21)로 출력한다. 혼합 회로(21)는 상기한 음성 멜로디 신호 및 반주음 신호를 혼합하여 스피커(23)로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sound source circuit 10 forms an accompaniment sound signal based on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supplied from the sequencer 20 and outputs it to the mixing circuit 21. The mixing circuit 21 mixes the voice melody signal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as described above and outputs them to the speaker 23.

도 4는 상기한 음성 멜로디 악곡 재생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단계 Sb1은 시퀀서(20)가 메모리(18)로부터 음성 멜로디 악곡을 읽어 내어,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와 반주음 데이터로 분리하는 처리를 나타내고, 단계 Sb2는 시퀀서(20)가 해당 음성 멜로디 악곡의 재생을 개시하는 처리를 나타내며, 단계 Sb3은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가 포만트 합성 회로(9)로 공급되는 처리를 나타내고, 단계 Sb4는 포만트 합성 회로(9)가 음성 멜로디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를 나타내며, 단계 Sb5는 반주음 데이터가 음원 회로(10)로 공급되는 처리를 나타내고, 단계 Sb6은 음원 회로(10)가 반주음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를 나타내며, 단계 Sb7은 음성 멜로디 신호와 반주음 신호를 혼합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또한, 단계 Sb8에서 사용자에 의한 악곡 재생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악곡 재생을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Sb3 내지 Sb7이 반복되는 한편, 악곡 재생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음성 멜로디 악곡 재생 처리를 종료한다.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above-described voice melody music reproduction process. Here, step Sb1 indicates a process in which the sequencer 20 reads the voice melody music from the memory 18 and separates it into melody data having text and accompaniment data, and in step Sb2, the sequencer 20 performs the voice melody music. Shows the process of starting the reproduction of the form, step Sb3 shows the process in which the melody data having the text is supplied to the formant synthesis circuit 9, and step Sb4 shows the process in which the formant synthesis circuit 9 generates the voice melody signal. Where step Sb5 indicates a process in which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is supplied to the sound source circuit 10, step Sb6 indicates a process in which the sound source circuit 10 generates an accompaniment sound signal, and step Sb7 indicates a voice melody signal and an accompaniment sound The process of mixing signals is shown.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end of music reproduction by the user has been instructed in step Sb8. When the music reproduction is not finished, the above steps Sb3 to Sb7 are repeated, while when the music reproduction is terminated, the voice melody music reproduction processing shown in FIG. 4 ends.

상기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 장치(1)에 의해 오리지널리티(originarity)가 있는 음성 멜로디 악곡을 자동적으로 생성 및 재생할 수가 있어, 해당 음성 멜로디 악곡은 착신 멜로디로서 이용하여도 적합하며, 또한, 전자 메일 등의 첨부 파일로서 다른 휴대 단말 장치에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소정의 지인(知人), 혹은, 친구 사이에서 공통의 음성 멜로디 악곡을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작성한 음성 멜로디 악곡을 인터넷 등을 통하여 소정의 사이트로 업로드하거나, 혹은, 소정의 사이트에서 새로운 음성 멜로디 악곡을 다운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can automatically generate and reproduce the voice melody piece with the originality (originarity), and the voice melody piece is suitable for use as an incoming melody. Since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to another portable terminal device as an attached file such as an e-mail, it is also possible to share a common voice melody piece among predetermined acquaintances or friends.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pload the created voice melody pieces to a predetermined site via the Internet or to download new voice melody pieces from the predetermined site.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악곡 재생부(15)(도 2 참조)에서 새로운 멜로디가 자동 작곡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 대신에, 상기 RAM(4)에 복수의 악곡을 나타내는 악곡 데이터(MIDI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고, 악곡 재생부(15)가 휴대 단말 장치(1)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곡에 따른 멜로디 데이터를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합성부(14)로 출력하며, 또한, 그 반주음 데이터를 혼합 회로(17)로 출력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원하는 악곡의 멜로디가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 입력된 가사에 맞춰 연주되게 된다. 여기서, RAM(4)에 기억된 악곡 데이터는 유명한 악곡의 멜로디를 나타내는 것이어도, 그 밖의 악곡의 멜로디를 나타내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RAM(4)에 미리 기억된 악곡 데이터에 대하여 리듬이나 곡조 등의 연주 조건을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 조작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텍스트 데이터는 반드시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입력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미리 기억된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하여도 되고, 또한, 전자 메일 등으로 전송된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하여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a new melody is automatically composed by the music reproducing section 15 (refer to FIG. 2). Instead, music data (MIDI data) representing a plurality of music pieces is stored in the RAM 4 instead. The music reproducing section 15 stores the melody data corresponding to the music selected by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 to the melody synthesizing section 14 having the text, and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is mixed with the circuit. You may output to (17). In this case, the melody of the desired piece of music is 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text input by the user. Here, the music data stored in the RAM 4 may represent the melody of the famous music or may represent the melody of the other music.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uitably change performance conditions such as rhythm and tune to the music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RAM 4 by an input operation by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Note that the text data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input by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example, the text data stored in advance may be used, or the text data transmitted by electronic mail or the like may be us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갖고 있으며, 이하에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technical features and effects, and will be described below.

(1)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에서는, 소정의 연주 조건에 기초하여 멜로디 데이터 및 반주음 데이터를 포함하는 악곡 데이터가 생성되고, 별도로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가 멜로디 데이터에 자동적으로 할당된다. 이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는 포만트 합성 방법에 의해 음성 멜로디 신호로 변환되는 한편, 반주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주음 신호가 생성된다. 이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를 휴대 단말 장치에 이용한 경우, 음성 멜로디 악곡 및 반주음을 재생할 수 있다. (1) In the voice melody music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sic data including melody data and accompaniment sound data is generated based on predetermined playing conditions, and separately input text data is automatically assigned to the melody data. Melody data having this text is converted into a voice melody signal by the formant synthesis method, while an accompaniment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When the voice melody music production apparatus is used for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e voice melody music and the accompaniment sound can be reproduced.

(2)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텍스트를 입력한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해당 텍스트를 자동적으로 원하는 악곡의 멜로디에 할당한 음성 멜로디 악곡을 생성 및 재생할 수 있다. 음성의 명료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도, 멜로디를 부여함으로써 청취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오락성이 있는 악곡을 생성할 수 있다. (2) As described above,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an generate and reproduce a voice melody piece of music which has been automatically assigned to the melody of a desired piece of music by a simple operation of inputting text. Even when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is relatively low, by providing a melody, not only the listening is easy but also the musical pieces with entertainment can be produced.

(3) 종래와 같이 단순히 자동 작곡된 악곡에 비하여 음성 멜로디 악곡에서는 음성에 멜로디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청취자에게 있어서 재미가 증대되어, 오락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휴대 전화 등의 착신 멜로디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3)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ly composed music automatically composed of voice melody, since the melody is provided to the voice, the enjoyment is increased for the listener and entertainment can be provided. In particular, it is suitable for use as an incoming melody of a cellular phone.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add various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having a voice melody music cre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기능을 실현하는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realizing a voice melody music generation function.

도 3은 음성 멜로디 악곡 데이터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voice melody music data.

도 4는 음성 멜로디 악곡 데이터의 재생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reproduction process of voice melody music data.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휴대 단말 장치1: mobile terminal device

2 : CPU2: CPU

3 : ROM3: ROM

4 : RAM4: RAM

5 : 통신 인터페이스(통신 I/F)5: communication interface (communication I / F)

6 : 직렬 인터페이스(직렬 I/F)6: Serial Interface (Serial I / F)

7 : 표시부7 display unit

8 : 조작부8: control panel

9 : 포만트 합성 회로9: formant synthesis circuit

10 : 음원 회로10: sound source circuit

Claims (10)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생성할 악곡의 연주 조건을 나타내는 연주 조건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An input unit for inputting performance condition data and text data indicative of a performance condition of a piece of music to be created,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생성할 악곡의 상기 연주 조건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멜로디를 자동 작곡하고, 상기 새로운 멜로디를 나타내는 멜로디 데이터를 포함하는 악곡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악곡 생성부와, A music generation unit for automatically composing a new melody on the basis of data representing the playing condition of the music to be generated,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music data including melody data representing the new melody;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상기 멜로디 데이터를 구성하는 음표에 할당하여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를 생성하는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 합성부와, A melody data synthesizing unit having a text for automatically assigning the text data to a musical note constituting the melody data to generate melody data having a text; 상기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A storage unit for storing melody data having the text;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 낸 상기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A reproduction unit for reproducing melody data having the text read out from the storage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 Voice melody music gene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생성할 악곡의 연주 조건을 나타내는 연주 조건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An input unit for inputting performance condition data and text data indicative of a performance condition of a piece of music to be created,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상기 연주 조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멜로디를 자동 작곡하여, 상기 새로운 멜로디를 나타내는 멜로디 데이터 및 반주음 데이터를 포함하는 악곡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악곡 생성부와, A music generation unit for automatically composing a new melody based on the playing condition data,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music data including melody data representing the new melody and accompaniment sound data;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상기 멜로디 데이터를 구성하는 음표에 할당하여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를 생성하는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 합성부와, A melody data synthesizing unit having a text for automatically assigning the text data to a musical note constituting the melody data to generate melody data having a text; 상기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와 상기 반주음 데이터를 혼합하여 악곡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과, Means for generating music data by mixing the melody data having the text and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상기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usic data; 상기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A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the music dat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 Voice melody music gene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재생부는, The regeneration unit, 상기 기억부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읽어 내어 상기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와 상기 반주음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시퀀서와, A sequencer which reads out music data from the storage section and separates the melody data having the text into the accompaniment data; 상기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멜로디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Means for generating a speech melody signal based on the melody data with the text; 상기 반주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주음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Means for generating an accompaniment signal based on the accompaniment sound data; 상기 음성 멜로디 신호와 상기 반주음 신호를 혼합하는 수단과,Means for mixing the voice melody signal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상기 혼합 수단의 출력이 공급되는 스피커Speaker to which the output of the mixing means is supplie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 Voice melody music gene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기억부의 데이터를 외부의 데이터 처리 장치로 송신하고, 또한, 외부의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입하도록 한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 An audio melody music generation apparatus configured to transmit data of the storage unit to an extern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to receive transmission data from an extern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write the data to the storage uni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기억부의 데이터를 통신 회선을 통하여 외부의 서버로 송신하고, 또한, 외부의 서버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통신 회선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입하도록 한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 An audio melody music production apparatus, configured to transmit data of the storage unit to an external server via a communication line, and to receive transmission data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and write the data to the storage uni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연주 조건 데이터는 악곡에 대하여 원하는 리듬을 지정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 And the playing condition data is data for designating a desired rhythm with respect to a piece of music.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연주 조건 데이터는 악곡에 대하여 원하는 곡조를 지정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 And the playing condition data is data for designating a desired tune with respect to a piece of music.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재생부는 포만트(formant) 합성 방법에 의해 상기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 And the reproducing unit converts melody data having the text into a voice signal by a formant synthesis metho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재생부는 파형 합성 방법에 의해 상기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 And the reproducing unit converts melody data having the text into a voice signal by a waveform synthesizing metho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음성 멜로디 악곡 생성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부 내의 텍스트를 갖는 멜로디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신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A portable terminal device comprising the voice melody music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ring tone is generated based on melody data having a text in the storage unit.
KR10-2003-0006215A 2002-02-01 2003-01-30 Audio melody tune gener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it KR1005091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25377 2002-02-01
JP2002025377A JP3646703B2 (en) 2002-02-01 2002-02-01 Voice melody music gener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403A KR20030066403A (en) 2003-08-09
KR100509126B1 true KR100509126B1 (en) 2005-08-19

Family

ID=2774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215A KR100509126B1 (en) 2002-02-01 2003-01-30 Audio melody tune gener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i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46703B2 (en)
KR (1) KR100509126B1 (en)
HK (1) HK1055500A1 (en)
TW (1) TWI284314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4698B2 (en) * 2003-01-22 2005-09-14 オムロン株式会社 Music data generation system, music data generation server device
JP4514510B2 (en) * 2004-05-14 2010-07-28 株式会社エクシング Music mail output method, music mail output system, and music providing apparatus
JP4514513B2 (en) * 2004-05-21 2010-07-28 株式会社エクシング Music mail output method, music mail output system, and music output device
US20060003813A1 (en) * 2004-06-30 2006-01-05 Seligmann Doree D Intelligent ringtones
JP2007232783A (en) * 2006-02-27 2007-09-13 Kenwood Corp Audio device, call melody supply program, and call melody supply program
JP5413245B2 (en) * 2010-03-02 2014-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Lyric syllable number presentation device and progra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4490A (en) * 1997-12-25 1999-07-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Singing synthesizing method by rule voice synthesis
JP2000105595A (en) * 1998-09-30 2000-04-11 Victor Co Of Japan Ltd Sing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010088951A (en) * 2001-08-22 2001-09-29 백종관 System of sing embodiment using data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JP2002132281A (en) * 2000-10-26 2002-05-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of forming and delivering singing voice message and system for the same
US20020126830A1 (en) * 2000-12-28 2002-09-12 Laurent Lucat Phone apparatus having a ringing device
KR20030058708A (en) * 2001-12-31 2003-07-07 에스엘투(주) Voice recording device using text to speech convers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4940B2 (en) * 1991-12-30 2003-01-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Automatic composer
JP3265995B2 (en) * 1996-07-24 2002-03-18 ヤマハ株式会社 Singing voice synthesis apparatus and method
JPH11352981A (en) * 1998-06-05 1999-12-24 Nippon Dorekkusuhiru Technology Kk Sound device, and toy with the same built-in
JP3687375B2 (en) * 1998-11-26 2005-08-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Voice assignment apparatus, voice assign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voice assignment processing progra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4490A (en) * 1997-12-25 1999-07-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Singing synthesizing method by rule voice synthesis
JP2000105595A (en) * 1998-09-30 2000-04-11 Victor Co Of Japan Ltd Sing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2002132281A (en) * 2000-10-26 2002-05-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of forming and delivering singing voice message and system for the same
US20020126830A1 (en) * 2000-12-28 2002-09-12 Laurent Lucat Phone apparatus having a ringing device
KR20010088951A (en) * 2001-08-22 2001-09-29 백종관 System of sing embodiment using data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KR20030058708A (en) * 2001-12-31 2003-07-07 에스엘투(주) Voice recording device using text to speech conver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46703B2 (en) 2005-05-11
HK1055500A1 (en) 2004-01-09
TWI284314B (en) 2007-07-21
KR20030066403A (en) 2003-08-09
JP2003228369A (en) 2003-08-15
TW200303009A (en) 200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6052B2 (en) Telephone terminal
US7069058B2 (en) Musical composition reproducing apparatus portable terminal musical composition reproduc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01061682A1 (en) Portable phone equipped with composing function
KR100586365B1 (en) Portable telephone and portable telephone system
KR100578588B1 (en) Music reproducing apparatus
CN1316447C (en) Sound melody music generat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said device
KR100509126B1 (en) Audio melody tune gener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it
KR100731232B1 (en) Musical data edit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refor
JP2005208394A (en) Singing voice generating unit, its program and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singing voice generating function
KR100574808B1 (en) Musical tone signal generating apparatus
KR100535428B1 (en) Sound source circuit and telephone terminal comprising thereof
JP3279298B2 (en) Music playing device, mobile phone device having music playing function, and music playing method
KR1007752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melody
KR100612780B1 (en) Speech and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KR100554005B1 (en) Portable melody editor for mobile terminal
JP3893894B2 (en) Mobile terminal device
JP2005229511A (en) Musical sound generation apparatus
JP3945351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0862126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88951A (en) System of sing embodiment using data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KR20080080013A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JP2003228385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650938B1 (en) A noraebang system on digital audio device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1245020A (en)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or, method for updating sound source data and recording medium
JP4153453B2 (en) Music p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