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0632A - 프로그램 실행 장치 및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그램 실행 장치 및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0632A
KR20080020632A KR1020077029784A KR20077029784A KR20080020632A KR 20080020632 A KR20080020632 A KR 20080020632A KR 1020077029784 A KR1020077029784 A KR 1020077029784A KR 20077029784 A KR20077029784 A KR 20077029784A KR 20080020632 A KR20080020632 A KR 2008002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unit
reproduction
conten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호리이
시게아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7Implementing a Virtual Machine [V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8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cable transmission, e.g. using a cable mod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Abstract

복수의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을 병렬로 사용하는 복수의 방송 시스템의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할 때 지정된 채널이 속하는 방송 시스템을 판정하여, 채널을 재생하는 재생 환경을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으로 전환한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는 키 입력이 사용자로부터 배송될 때 현재 재생중인 채널이 속하는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을 판정하여, 키입력의 배송 목적지를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으로 전환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램 실행 장치 및 실행 방법{PROGRAM EXECUTION APPARATUS AND EXECUTION METHOD}
본 발명은 방송파에 포함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방송파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방송파에 포함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단일 방송 시스템에 기초한 방송파만을 취급하여 왔다. 그러므로, 방송파에 포함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일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만을 갖추고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은 소정의 방송 시스템의 사양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은, 방송파에 포함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소정의 사양에 기초하여 이러한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기 위해서는, 방송 수신장치가 사양에 기초한 방송의 재생 환경을 구비하는 것과, 재생 환경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재생 환경을 사용한다는 것은, 하드웨어를 초기화하여, 재생 환경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를 활성화하여, 콘텐츠를 수신 및 재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다음의 사양이 정의된다: 위성 방송 시스템에서 DVB-MHP(Digital Video Broadcasting-Multimedia Home Platform) ETSIES 201812V1.1.1(2003-12) 사양 등;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OC-SP-OCAP 1.0-I14-050119 사양 등;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그러나, 다른 사양에 기초하는 복수의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방송파가 동일한 영역에서 방송되는 경우에, 단일 방송 수신 장치가 각각의 방송파에 포함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2-238003는, 복수의 방송 시스템에 대한 재생 환경을 구비하는 단일 방송 수신 장치가, 다른 사양에 기초한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2-238003는, 복수의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방송파에 포함된 콘텐츠를 수신 및 재생하도록 복수의 방송 시스템에 대한 재생 환경을 구비하는 단일 방송 수신 장치가, 수신 및 재생하고자 하는 방송 시스템에 의존하는 재생 환경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2-238003에서, 재생 환경을 구성하는 하드웨어의 초기화 및 소프트웨어의 활성화는 재생 환경을 전환할 때마다 실행된다.
OCAP 사양은 재생 환경 사용의 시작시 처음으로 활성화되고, 재생 환경이 사용중인 동안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을 정의한다. 예를 들면, OCAP 사양에 기초한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에서 실행되는 채널 전환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 가능하다. 재생 환경이 실행되기 시작할 때, 이러한 채널 전환 애플리케이션은 처음에 시작되고, 재생 환경의 실행 동안 항상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2-238003에서 서술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OCAP 사양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양에 기초하여 방송시스템의 재생 환경을 구비한 방송 수신 장치가 실행가능하다. 이 경우, OCAP 사양의 채널과 다른 방송 시스템이 전환될 때 재생 환경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OCAP 사양에 기초하는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재생 환경이 전환될 때마다 종료되거나 실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동안의 시간 손실로 인해, 이 방법에서 원활한 채널 전환을 실현하는 것이 어렵다.
각각의 사양에 기초한 복수의 방송 시스템이 동시에 항상 이용가능한 상태를 실현함으로써, 이 방송 수신 장치에서 원활한 채널 전환을 실현하기 위해,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거나 실행할 필요가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이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을 사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채널을 재생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요구 사항이 충족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채널의 재생이 사용자에 의해 특정될 때 특정 채널이 속하는 방송 시스템을 결정하여, 채널 재생 환경을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으로 전환하는 메카니 즘이 필요하다. 또한, 키 입력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될 때 현재 재생중인 채널이 속하는 방송 환경을 결정하여, 키 입력의 배송 목적지를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으로 전환하는 메카니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활한 채널 전환, 즉, 원활한 콘텐츠 전환을 행할 수 있는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서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는 각각 서로 다른 복수의 방송 사양에 따라서 각 콘텐츠를 재생한다.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는, 서로 다른 콘텐츠를 각각 재생하기 위해 병렬로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재생 환경; 상기 복수의 재생 환경 중에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제1 재생 환경 식별 유닛; 및 상기 제1 재생 환경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된 재생 환경에 명령의 상세를 나타내는 키 입력 정보를 배송하는 배송 유닛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는, 복수의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을 병렬로 실행하여, 복수의 방송 시스템의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키입력이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경우에,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는 현재 재생 중인 채널이 속하는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을 식별하여,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으로 키 입력의 배송 목적지를 전환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재생 환경은 병렬로 사용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콘텐츠를 재생중인 재생 환경이 전환되는 경우라도,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여 다른 것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들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여 활성화하는데 손실되는 시간을 없앨 수 있다. 즉, 채널을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를 재생중인 재생 환경으로 키 입력 정보를 정확하게 배송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는, 복수의 방송 사양에 따라서 각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를 선택하는 선택 유닛; 복수의 재생 환경 중에서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되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제2 재생 환경 식별 유닛; 상기 제2 재생 환경 판정 유닛에 의해 식별된 재생 환경이,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재생 환경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는 복수의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에서 병렬로 실행하여, 복수의 방송 시스템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할 때,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는 현재 재생중인 채널이 속하는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을 식별하고, 채널을 재생중인 재생 환경을 방송 시스템의 재생 환경으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재생 환경은 병렬로 사용가능한 상태에 있는다. 그러므로, 콘텐츠 중에서 어떠한 콘텐츠가 선택되고, 콘텐츠를 재생중인 재생 환경이 전환되는 경우라도,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다른 것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들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활성화하는데 손실되는 시간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방송 사양에 따라서 재생 환경에서 콘텐츠를 적절히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된 콘텐츠 재생 장치뿐 아니라 예를 들면, 방송 콘텐츠 재생 방법, 그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기록매체로서 실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대한 기술 배경에 대한 더 많은 정보에 대해서는, 2005년 6월 23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693,040이, 명세서, 도면 및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그 전체를 참고로 하여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징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해진 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진다.
도 1은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방송국측 시스템과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방송국측 시스템과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방송국측 시스템과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MPEG-2 사양으로 기술된 TS 패킷의 구성도이다.
도 6은 MPEG-2 전송 스트림의 개략도이다.
도 7은 MPEG-2 사양으로 기술된 PES 패킷이 TS 패킷을 사용하여 송신될 때 분할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MPEG-2 사양으로 기술된 MPEG-2 섹션이 TS 패킷을 사용하여 송신될 때 분할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MPEG-2 사양으로 기술된 MPEG-2 섹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MPEG-2 사양으로 기술된 MPEG-2 섹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MPEG-2 사양으로 기술된 PMT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MPEG-2 사양으로 기술된 PAT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방송 수신 장치(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단말 장치의 입력 유닛의 프런트 패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가 수신될 때 각 장치 등의 물리적 접속 시퀀스를 표현하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가 수신될 때 각 장치 등의 물리적 접속 시퀀스를 표현하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이 공존하는 방송 수신 단말의 프로그램의 구성도이다.
도 18은 라이브러리가 구비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AM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라이브러리에 보유된 정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라이브러리에 보유된 방송 시스템 정보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AIT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다운로드된 파일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에 의해 보유된 채널 식별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사용자에게 TV 쇼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하는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예이다.
도 26은 사용자에게 TV 쇼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하는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예이다.
도 27은 채널 식별자 식별 유닛이 서비스의 재생 요구를 수신할 때 처리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28은 이벤트 배송 유닛이 키입력 유닛으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때 처리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29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이 공존하는 방송 수신 단말의 프로그램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이 공존하는 방송 수신 단말의 프로그램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이벤트 관리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AM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XAIT 정보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XAIT 정보와 파일 시스템이 연관되는 방식으로 보유되어 있는 상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송 사양에 따라서 각각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복수의 재생 환경을 병렬로 실행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는,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재생 환경 식별 유닛; 실행 중인 복수의 재생 환경 중에서, 상기 재생 환경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되는 재생 환경에서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환경 설정 유닛;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배송될 때, TV 쇼 프로그램을 현재 재생하고 있는 재생 환경에 따라서 키 입력이 배송되는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현재 재생 환경 식별 유닛; 및 현재 재생 환경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되는 재생 환경이 재생되는 TV 쇼 프로그램 콘텐츠에 키 입력을 배송하는 키 입력 배송 유닛을 포함한다.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는 다른 사양에 따라서 TV 쇼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환경을 심리스하게 전환하고, TV 쇼 프로그램이 현재 재생중인 재생 환경으로 키입력을 배송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장치 및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TV 쇼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기술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매체를 사용하여 송수신된 콘텐츠를 재생하고자 한다. 이용 가능한 방송 시스템은, 방송 신호를 방송 재생 장치에 위성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예로서 위성 방송 시스템; 방송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에 지상파 신호 송신 장치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예로서 지상파 방송 시스템; 방송 신호를 방 송 수신 장치에 헤드 엔드 등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예로서 케이블 방송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러나,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이 공존하는 실시예를 본 실시예에서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는 일반적으로 단말장치라고 불려진다.
도 1은 방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상기 방송 시스템은 방송국측 시스템(헤드엔드)(101) 및, 단말 장치 A(111), 단말 장치 B(112) 및 단말 장치 C(113)의 3개의 단말 장치로 구성된다. 방송국측 시스템과 각 단말 장치 간의 접속(121)은, 유무선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국측 시스템과 각 단말 장치는 유선으로 연결된다. 한편, 위성 및 지상파 시스템에서, 아웃-바운드 방향(방송국측 시스템에서 각 단말 장치로)으로의 방송국측 시스템과 각 단말 장치 사이에 유선 접속은 없고, 방송 신호는 무선파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인-바운드 방향(각 단말 장치에서 방송국측 시스템으로)에 대해서는, 전화선, 유선 인터넷 등의 유선 접속과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 접속이 모두 가능하고, 각 단말 장치는 사용자 입력 등의 정보를 방송국측 시스템에 송신한다. 도 1에서, 1개의 방송국측 시스템은 3개의 단말 장치와 결합되지만, 단말 장치의 수는 임의적이다.
방송국측 시스템(101)은 방송 신호로 데이터 방송을 위한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등의 정보를 복수의 단말 장치로 송신한다. 방송 신호는 방송 시스템의 운용 규칙(operational regulations)에 의해 정의된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와, 방송 시스템이 운용되는 영역/나라의 법규 등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예를 들면,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대해서 여기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의하면, 방송 신호 송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각 데이터 콘텐츠 및 송신 방향(인바운드, 아웃바운드)에 대해 구분되고, 구분된 주파수 대역이 거기에 지정된다. 도 2는 주파수 대역의 구분의 일례를 나타낸 챠트이다. 주파수 대역은 대략 2개의 유형, 즉 내역외(약어, OOB) 및 대역내로 구분된다. 5MHz ~ 130MHz는 OOB로서 지정되고, 주로 방송국측 시스템(101)과 단말 장치 A(111), 단말 장치 B(112) 및 단말 장치 C(113) 간의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방향의 데이터 교환에 이용된다. 130MHz ~ 864MHz는 대역내로서 지정되고, 주로 비디오와 오디오를 포함하는 아웃바운드만의 방송 채널에 이용된다. QPSK 변조 방식은 OOB에서 이용되고, QAM64 또는 QAM256 변조 방식은 대역내에서 이용된다. 변조 방식 기술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고, 본 발명과는 거의 관계가 없어,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된다.
도 3은 OOB 주파수 대역의 더욱 상세한 이용의 일례이다. 70MHz ~ 74MHz는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송신하는 아웃바운드 데이터에 이용되고, 단말 장치 A(111), 단말 장치 B(112) 및 단말 장치 C(113)의 모두는 방송국측 시스템(101)으로부터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10.0MHz ~ 10.1MHz는 단말 장치 A(111)에서 방송국측 시스템(101)으로의 인바운드 데이터 송신에 이용되고; 10.1MHz ~ 10.2MHz는 단말 장치 B(112)에서 방송국측 시스템(101)으로의 인바운드 데이터 송신에 이용되며; 10.2MHz ~ 10.3MHz는 단말 장치 C(113)에서 방송국측 시스템(101)으로 인바운드 데이터 송신에 이용된다. 이를 통해, 각 단말 장치 A(111), B(112) 및 (C113)로부터 방송국측 시스템(101)으로 고유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대역내 주파수 대역의 이용의 일례이다. 150MHz ~ 156MHz 및 156MHz ~ 162MHz는 각각 TV 채널 1 및 TV 채널 2에 지정되며, 그 후, TV 채널은 6MHz 구간에 지정된다. 무선 채널은 310MHz로부터 1MHz 단위로 지정된다. 이들 채널의 각각은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경우에, MPEG-2 규격에 기초한 TS 패킷 포맷이 송신에 사용되고, 또한, 오디오 및 비디오에 추가하여, 각종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 및, EPG를 구성하기 위한 TV 쇼 합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방송국측 시스템(101)은 상술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적절한 방송 신호를 단말 장치로 송신하며, 그래서, QPSK 변조 유닛, QAM 변조 유닛 등을 갖는다. 게다가, 방송국측 시스템(101)은 단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QPSK 복조기를 갖는다. 더욱이, 방송국측 시스템(101)은 변조 유닛 및 복조 유닛에 관계된 여러 장치를 갖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주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한편, 단말 장치 A(111), B(112) 및(C113)는 각각 방송국측 시스템(101)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기 위해 QAM 복조 유닛 및 QPSK 복조 유닛을 갖는다. 게다가, 각 단말 장치는 QPSK 복조 유닛을 가지고, 장치 고유의 데이터를 방송국 시스템측(101)으로 송신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이며, 그 구성은 후술된다.
방송국측 시스템(101)은 MPEG-2 전송 스트림을 변조하여, 이 스트림을 방송 신호 내에 송신한다. 각 단말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MPEG-2 전송 스트림을 재생하도록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이것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정보를 이용한다. 단말 장치 내에 제공된 장치 기능 및 접속 구조를 기술하기 위해, MPEG-2 전송 스트림의 구조가 먼저 간단한 방식으로 기술된다.
도 5는 TS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TS 패킷(500)은 188 바이트의 길이를 가지며, 헤더(501), 적응 필드(502) 및 페이로드(503)로 구성된다. 헤더(501)는 TS 패킷의 제어 정보를 보유한다. 헤더는 4 바이트의 길이를 가지며, (504)로 도시된 구조를 갖는다. 헤더는, "Packet ID" (이하, PID)로 나타낸 필드가 있으며, TS 패킷은 이 PID의 값을 통해 식별된다. 적응 필드(502)는 시간 정보와 같은 부가 정보를 보유한다. 적응 필드(502)가 반드시 제공될 필요가 없으며, 적응 필드(502)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페이로드(503)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방송 데이터와 같이 TS 패킷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보유한다.
도 6은 MPEG-2 전송 스트림의 개략도이다. TS 패킷은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방송에 이용된 데이터 등과 같이, 페이로드 내에 여러 정보를 보유한다. TS 패킷(601) 및 TS 패킷(603)은 헤더 내에 PID(100)를 보유하고, 페이로드 내에서 비디오 1에 관한 정보를 보유한다. TS 패킷(602) 및 TS 패킷(605)은 헤더 내에 PID(200)를 보유하고, 페이로드 내에 데이터 1에 관한 정보를 보유한다. TS 패킷(604)은 헤더 내에 PID(300)를 보유하고, 페이로드 내에 오디오 1에 관한 정보를 보유한다. 페이로드 내에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보유한 TS 패킷을 혼합하여, 이들 을 연속적인 시퀀스로 믹싱하는 것을 다중화라고 한다. MPEG-2 전송 스트림(600)은 TS 패킷(601 ~ 605)이 다중화되는 구성의 일례이다.
동일한 PID를 가진 TS 패킷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보유한다. 그래서, 단말 장치는, 다중화된 TS 패킷을 수신하여, PID마다, TS 패킷이 보유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비디오, 오디오 및 TV 쇼 합성 정보를 재생한다. 도 6에서, TS 패킷(601) 및 TS 패킷(603)은 각각 비디오 1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고, TS 패킷(602) 및 TS 패킷(605)은 각각 데이터 1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페이로드 내에 포함된 각 유형의 데이터의 포맷에 관한 설명이 제공된다. 비디오 및 오디오는 Packetized Elementary Stream(PES) 패킷이라 하는 포맷으로 나타낸다. PES 패킷은 소정의 시간 주기의 비디오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고, PES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방송 수신 장치는 PES 패킷 내에 포함된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를 스크린 및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방송국은 연속하여 PES 패킷을 송신하므로, 방송 수신 장치가 멈춤 없이 비디오 및 오디오를 연속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PES 패킷이 실제로 송신되면, PES 패킷은 구분되어, PES 패킷이 하나의 TS 패킷의 페이로드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경우에 복수의 TS 패킷의 페이로드에 저장된다.
도 7은 PES 패킷이 송신될 때에 구분의 일례를 도시한다. PES 패킷(701)은 너무 커서 저장되지 않고, 단일 TS 패킷의 페이로드로 송신되며, 그래서, PES 패킷(701)은 PES 패킷 구분 A(702a), PES 패킷 구분 B(702b) 및 PES 패킷 구분 C(702c)로 구분되어, 동일한 PID를 가진 3개의 TS 패킷(703 ~ 705)에 의해 송신된 다. 실제로, 비디오 및 오디오는 복수의 PES 패킷의 페이로드 내에 포함된 데이터를 연결시킴으로써 획득되는 기초 스트림(ES)으로서 획득된다. 이 기초 스트림은 비디오 및 오디오를 디지털화하는 형태이며, MPEG-2 비디오 표준, MPEG-1 및 2 오디오 표준 등으로 규정된다.
한편, TV 쇼 합성 정보 및 데이터 방송에 이용된 데이터와 같은 정보는 MPEG-2 섹션이라 하는 포맷을 이용하여 표현된다. MPEG-2 섹션이 실제로 전송되면, MPEG-2 섹션은 구분되어, MPEG-2 섹션이 하나의 TS 패킷의 페이로드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경우에 복수의 TS 패킷의 페이로드에 저장된다. 도 8은 MPEG-2 섹션이 전송될 때에 구분의 일례를 도시한다. MPEG-2 섹션(801)이 너무 커서 저장되지 않고, 단일 TS 패킷의 페이로드로 전송될 때에, MPEG-2 섹션(801)은 섹션 구분 A(802a), 섹션 구분 B(802b) 및 섹션 구분 C(802c)로 구분되어, 동일한 PID를 가진 3개의 TS 패킷(803 ~ 805)에 의해 전송된다.
도 9는 이 MPEG-2 섹션의 구조를 도시한다. MPEG-2 섹션(900)은 헤더(901) 및 페이로드(902)로 구성된다. 헤더(901)는 MPEG-2 섹션의 제어 정보를 보유한다. 헤더(901)의 구조는 헤더 구성(903)으로 나타낸다. 페이로드(902)는 MPEG-2 섹션(900)에 송신된 데이터를 보유한다. 헤더 구성(903)에 제공된 table_id는 MPEG-2 섹션의 유형을 나타내고, table_id_extension은 동일한 table_id을 가진 MPEG-2 섹션을 구별할 때에 이용되는 확장 식별자이다. TV 쇼 합성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를 MPEG-2 섹션의 이용의 일례로서 도 10에 나타낸다. 이 예에서, 행(1004)에 기입된 것같이,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헤더 구조(903) 내의 64의 table_id을 가진 MPEG-2 섹션에 기입되고, 이 MPEG-2 섹션은 16의 PID를 가진 TS 패킷으로 송신된다.
PES 포맷은 MPEG-2 섹션의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이유로, 기초 스트림(ES)은 MPEG-2 전송 스트림 내에서 동일한 PID에 의해 식별되는 TS 패킷의 페이로드를 연결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8에서, MPEG-2 섹션(801)이 구분되어 전송되는 TS 패킷(803 ~ 805)은 모두 200의 PID로 식별된다. 이것은 MPEG-2 섹션(801)을 송신하는 ES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라 하는 개념은 MPEG-2 전송 스트림에 존재한다. 프로그램은 ES의 수집(collection)으로서 나타내고, 복수의 ES를 모두 함께 처리하는 것이 소망되는 경우에 이용된다. 프로그램이 이용되면, 비디오, 오디오뿐만 아니라, 수반하는 데이터 방송 데이터를 모두 함께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생하고자 하는 비디오, 오디오를 병렬로 함께 처리하는 경우에, ES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서 그룹화함으로써, 방송 수신 장치가 2개의 비디오 ES 및 오디오 ES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서 병렬로 재생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을 나타내기 위해, Program Map Table (PMT) 및 Program Association Table (PAT)라 하는 2개의 테이블이 MPEG-2에 이용된다. 상세한 설명은 ISO/IEC 13818-1, "MPEG-2 Systems"의 사양을 참조한다. PMT 및 PAT를 간략하게 후술한다.
PMT는, 프로그램과 동일한 넘버로 MPEG-2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테이블이다. PMT는 MPEG-2 섹션으로서 구성되고, 2의 table_id를 갖는다. PMT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에 속하는 ES에 관한 정보를 식별할 때에 이용되는 프로그램 넘버를 보유한다. PMT의 일례는 도 11에 제공된다. 1100은 프로그램 넘버이다. 프로그램 넘버는 동일한 전송 스트림의 프로그램에 고유 지정되어, PMT를 식별할 때에 이용된다. 행(1111 ~ 1114)은 개별 ES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열(1101)은, "video", "audio", "data" 등이 특정되는 ES의 유형이다. 열(1102)은 ES를 구성하는 TS 패킷의 PID이다. 열(1103)은 ES에 관한 부가 정보이다. 예를 들면, 행(1111)에 도시된 ES는 오디오 ES이고, 5011의 PID를 가진 TS 패킷으로 송신된다.
PAT는 MPEG-2 전송 스트림에 유일하게 제공되는 테이블이다. PAT는 MPEG-2 섹션으로서 구성되고, 0의 table_id을 가지며, 0의 PID를 가진 TS 패킷에 의해 송신된다. PAT는 MPEG-2 전송 스트림의 식별에 이용되는 transport_stream_id 및, MPEG-2 전송 스트림에서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모든 PMT에 관한 정보를 보유한다. PAT의 일례는 도 12에 제공된다. 1200은 transport_stream_id이다. transport_stream_id은 MPEG-2 전송 스트림을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행(1211 ~ 1213)은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열(1201)은, 프로그램 넘버이다. 열(1202)은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PMT를 송신하는 TS 패킷의 PID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행(1211)에 도시된 프로그램의 PMT는 101의 프로그램 넘버를 가지고, 대응하는 PMT는 501의 PID를 가진 TS 패킷으로 송신된다.
단말 장치가 어떤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경우에, 단말 장치는 PAT 및 PMT를 참조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지정하여, 그 비디오 및 오디오를 재생한다. 예를 들면, 도 12의 PAT 및 도 11의 PMT를 송신하는 MPEG-2 전송 스트림에 관하여, 다음의 과정이 101의 프로그램 넘버를 가지는 프로그램에 속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가 재생되는 경우에 취해진다. 먼저, "0"의 table_id을 가진 MPEG-2 섹션으로서 송신되는 PAT는 "0"의 PID를 가진 TS 패킷으로부터 획득된다. PAT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넘버 "101"를 갖는 프로그램이 탐색되며, 행(1211)이 획득된다. 행(1211)으로부터, 프로그램 넘버 "101"를 갖는 프로그램의 PMT를 송신하는 TS 패킷의 PID "501"이 획득된다. 다음에, "2"의 table_id을 가진 MPEG-2 섹션으로서 송신되는 PMT는 "501"의 PID를 가진 TS 패킷으로부터 획득된다. 오디오 ES 정보인 행(1111) 및, 비디오 ES 정보인 행(1112)이 PMT로부터 획득된다. 오디오 ES를 송신하는 TS 패킷의 PID "5011"은 행(1111)으로부터 획득된다. 게다가, 비디오 ES를 송신하는 TS 패킷의 PID "5012"은 행(1112)으로부터 획득된다.
그 다음, 오디오 PES 패킷은 PID "5011"을 가진 TS 패킷으로부터 획득되고, 비디오 PES 패킷은 PID "5012"을 가진 TS 패킷으로부터 획득된다. 이를 통해, 재생될 비디오 및 오디오의 ES 패킷을 획득할 수 있게 되고, 프로그램 넘버 101를 구성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가 재생될 수 있다.
MPEG-2 전송 스트림이 스크램블되는 경우가 있음에 주목한다. 이것은 조건 부(conditional) 액세스 시스템이라 불리는 매커니즘이다. 예를 들면, 특정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를 송신하는 PES 패킷을 스크램블함으로써, 이들을 디스크램블(descramble)할 수 있는 지정된 시청자(viewer)만이 그 비디오 및 오디오를 관찰할 수 있다. 비디오 및 오디오를 디스크램블하여 관찰하기 위해, 관찰자는 이들을 디스크램블러라 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해야 한다. 예를 들면, OCAP 호환성 단말 장치에서, 디스크램블러를 내장한 카드형 어댑터가 이용된다. 케이블 텔레비전 오퍼레이터는 지정된 프로그램을 디스크램블할 수 있도록 설정된 어댑터를 각 시청자에게 분배하고, 시청자는 그 어댑터를 단말 장치에 삽입한다. 그렇게 행할 때에, 어댑터는 각 계약 보유자(contract holder)의 디스크램블링 키 및 계약 정보와 같은 디스크램블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지정된 프로그램에 대해서 디스크램블한다. 디스크램블링 방법, 디스크램블링 키를 획득하는 방법 등은 어댑터에 의존적이고, 본 발명의 구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가 상기 서술된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유사하게 MPEG-2 규격에 기초한 TS 패킷의 형태로 송신된다. 따라서,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유사한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 단말장치는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는 일반적인 하드 웨어 구성에 의해 수신되어 재생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가정하였다. 그러나,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가 스크램블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므로,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하드웨어 구성에 어댑터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때의 하드웨어 접속을 후술한다.
지금까지, MPEG-2 규격에 관한 간단한 설명이 주어졌고, 이하, 용어를 상세하게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2 유형의 용어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하나는 MPEG-2 규격에 나타나 있는 "프로그램"이고, 다른 하나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의 집합(assemblage)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이다. 전자가 운용 규칙에 이용되는 용어 "서비스"와 동일한 의미임에 따라, 이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전자는 "서비스"라 칭하고, 후자는 간단히 "프로그램"이라 칭한다. 더욱이, 후자에 관해, 특히 Java 언어로 기록된 "프로그램"은 "Java 프로그램"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MPEG-2 규격에 지정된 여러 종류의 일반 정보에 관한 설명이 상기 주어졌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이용되는 방송 수신 단말이 상세히 기술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일반적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즉,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111, 112 및 113)의 특정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300)은 대역내 튜너(1301); TS 디코더(TS 디멀티플렉서)(1302); AV 디코더(1303); 스피커(1304); 디스플레이(1305); CPU(1306); 제2 저장 유닛(1307); 제1 저장 유닛(1308); ROM(1309); 입력 유닛(1310); 어댑터(1311)로 구성된 방송 수신 장치이다. 본 실시예는 OCAP/OCAP-DVR 규격에 의해 실현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확장함으로써 획득되고, 기본 하드웨어 구성은 OCAP/OCAP-DVR 규 격에 의해 요구되는 것과 거의 동일하다.
튜너(1301)는, CPU(1306)가 규정하는 주파수를 포함하는 동조(tuning) 정보에 따라, 방송국측 시스템(101)으로부터 송신되는 변조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튜너(1301)에 대해 적절한 변조 및 복조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단일 튜너(1301)가 케이블 방송과 지상파 방송을 복조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튜너(1301)에 의해 실행된 복조의 결과로서 획득된 MPEG-2 전송 스트림은 디스크램블링 기능을 갖는 어댑터(1311)를 통해, TS 디코더(1302)에 송신된다. 한편,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튜너(1301)에 의해 실행된 복조의 결과로서 획득된 MPEG-2 전송 스트림은 디스크램블링 기능을 갖는 어댑터(1311)를 통하지 않고, TS 디코더(1302)에 직접 송신된다.
TS 디코더(1302)는 CPU(1306)가 규정하는 PID, 섹션 필터 조건 등에 기초하여, 지정된 조건에 따르는 PES 패킷 및 MPEG-2 섹션을 MPEG-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이다. 케이블 방송이 수신되고, 서비스가 재생되는 경우에, 어댑터(1311)가 출력하는 MPEG-2 전송 스트림은 TS 디코더(1302)로 입력된다. 한편, 지상파 방송이 수신되고, 서비스가 재생되는 경우에, 튜너(1301)가 출력하는 MPEG-2 전송 스트림은 TS 디코더(1302)로 입력된다.
TS 디코더(1302)가 분리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의 PES 패킷은 AV 디코더(1303)로 출력된다. 게다가, TS 디코더(1302)가 분리하는 MPEG-2 섹션은 Direct Memory Access(DMA)를 통해 제1 저장 유닛(1308)으로 전송되고, CPU(1306)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이용된다.
AV 디코더(1303)는 부호화된 비디오 ES 및 오디오 ES를 복호화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이다. AV 디코더는 TS 디코더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정보를 송신하는 PES 패킷으로부터 ES를 인출하여, ES를 복호화한다. AV 디코더(1303)에 의해 실행되는 복호화를 통해 획득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는 서비스 재생 시에 스피커(1304) 및 디스플레이(1305)로 출력되고, 스피커(1304)는 AV 디코더(1303)로부터 출력된 오디오를 재생한다.
디스플레이(1305)는 AV 디코더(1303)로부터 출력된 비디오를 재생한다.
CPU(1306)는 방송 수신 장치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CPU(1306)는 ROM(1309)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선택적으로, CPU(1306)는 방송 신호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제1 저장 유닛(1308)에 보유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선택적으로, CPU는 방송 신호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제2 저장 유닛(1307)에 보유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튜너(1301), TS 디코더(1302), AV 디코더(1303), 스피커(1304), 디스플레이(1305), 제2 저장 유닛(1307), 제1 저장 유닛(1308), ROM(1309), 입력 유닛(1310), 어댑터(1311), AV 인코더(1312) 및 멀티플렉서(1313)는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방향에 따라 제어된다. 게다가, CPU(1306)는 단말 장치(1300) 내에 제공된 장치뿐만 아니라, 어댑터(1311) 내의 장치와도 통신하여, 어댑터(13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저장 유닛(1307)은 장치로의 전원이 차단될 때에도 삭제되지 않는 메모 리 장치이다. 이 제2 저장 유닛(1307)은 단말 장치(1300)로의 전력이 차단될 때에도 정보가 삭제되지 않는 장치; 예를 들면, FLASH-ROM, Hard Disk Drive(HDD)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CD-R 및 DVD-R과 같은 재기록 가능한 매체로 구성된다. 제2 저장 유닛(1307)은 CPU(1306)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정보를 저장한다.
제1 저장 유닛(1308)은, CPU(1306), DMA 전송 가능한(transferrable) 장치 등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이고, RAM 등으로 구성된다.
ROM(1309)은 재기록 가능하지 않은 메모리 장치이며, 특히, ROM, CD-ROM, DVD 등으로 구성된다. CPU(1306)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ROM(1309)에 저장된다.
입력 유닛(1310)은, 특히 프론트 패널 또는 원격 제어 수신기로 구성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한다. 도 14는 입력 유닛(1310)이 프론트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의 일례이다. 프론트 패널(1400)은 7개의 버튼: 업 커서 버튼(1401), 다운 커서 버튼(1402), 좌측 커서 버튼(1403), 우측 커서 버튼(1404), OK 버튼(1405), 취소 버튼(1406) 및 EPG 버튼(1407)을 갖는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눌려진 버튼의 식별자는 CPU(1306)로 통지된다.
어댑터(1311)는 대역내 주파수 범위에서 송신되는 스크램블된 MPEG-2 전송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하는 장치이고, 하나 이상의 디스크램블러를 포함한다. 튜너(1301a)에 의해 출력된 MPEG-2 전송 스트림은 어댑터(1311)에 입력되고, CPU(1306)가 지정하는 PID를 가진 TS 패킷이 디스크램블된다. 어댑터(1311)는 디스크램블된 MPEG-2 전송 스트림을 TS 디코더(1302)로 출력한다.
더욱이, 어댑터(1311)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때에 OOB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포맷 변환을 실행한다. OOB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QPSK 변조 방식으로 변조될 수 있다. 아웃바운드 송신에 대해서, QPSK 복조기(1301b)는 방송국측 시스템(101)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어댑터(1311)에 입력한다. 어댑터(1311)는 비트 스트림에 포함된 각종 정보 중에서 CPU(1306)가 지정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이 정보를 CPU(1306)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이를 CPU(1306)에 제공한다. 한편, 인바운드 송신에 대해서, CPU(1306)는 방송국측 시스템(101)으로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를 어댑터(1311)에 입력한다. 어댑터(1311)는 CPU(1306)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방송국측 시스템(101)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이를 QPSK 변조기(1301c)에 입력한다. QPSK 변조기(1301c)는, 어댑터(1311)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QPSK 변조하여, 이를 방송국측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미국 케이블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전에 Point of Deployment (POD)라고 불린 CableCARD가 어댑터(1311)의 특정예로서 주어질 수 있다.
상기 서술된 방송 수신 장치가 방송파에 포함된 서비스의 재생을 행하는 방법을 이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가 수신될 때 각 장치의 물리적 접속 시퀀스, 처리 상세 사항 및 입력 및 출력 데이터 포맷을 나타내는 개념적 도면이다. 1500은 단말 장치이며, 튜너(1301); 어댑터(1311); 디스크램블러(1501); TS 디코더(1302); PID 필터(1502); 섹션 필터(1503); AV 디코더(1303); 스피커(1304); 디스플레이(1305); 및 제1 저장 유닛(1308)을 포함한다. 도 13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가진 도 15의 구성 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된다.
케이블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튜너(1301)는 CPU(1306)에 의해 제공된 동조 명령에 따라 방송파의 동조를 실행한다. 튜너(1301)는 방송파를 복조하여, MPEG-2 전송 스트림을 어댑터(1311)에 입력한다.
어댑터(1311) 내에 있는 디스크램블러(1501)는 각 시청자에 대한 조건부 액세스 정보를 기초로 하여 MPEG-2 전송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한다. 디스크램블된 MPEG-2 전송 스트림은 TS 디코더에 입력된다.
MPEG-2 전송 스트림을 처리하는 2가지 유형의 장치가 TS 디코더(1302): PID 필터(1502) 및 섹션 필터(1503) 내에 제공된다.
PID 필터(1502)는, 입력된 MPEG-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CPU(1306)가 지정하는 PID를 가진 TS 패킷을 추출하여, 그 페이로드 내에 제공된 MPEG-2 섹션 및 PES패킷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도 6의 MPEG-2 전송 스트림이, CPU(1306)가 PID = 100을 가진 TS 패킷을 추출하는 PID 필터링을 명령한 경우에 입력되면, 패킷(601 및 603)은 추출되고, 연결되어, 비디오 1의 PES 패킷이 재구성된다. 한편, 도 6의 MPEG-2 전송 스트림이, CPU(1306)가 PID = 200을 가진 TS 패킷을 추출하는 PID 필터링을 명령한 경우에 입력되면, 패킷(602 및 605)은 추출되고, 연결되어, 데이터 1의 MPEG-2 섹션이 재구성된다.
섹션 필터(1503)는, 입력된 MPEG-2 섹션 중에서, CPU(1306)가 지정하는 섹션 필터 조건에 순응하는 MPEG-2 섹션을 추출하여, 이 MPEG-2 섹션을 제1 저장 유닛(1308)으로 DMA 전송한다. 예를 들면, CPU(1306)가 PID = 200을 가진 TS 패킷을 추출하는 PID 필터링 및, 64의 table_id를 가진 섹션을 추출하는 섹션 필터링을 섹션 필터(1403)에 지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1의 MPEG-2 섹션이 재구성된 후, 섹션 필터(1503)는 이들 MPEG-2 섹션 중에서 64의 table_id를 가진 섹션만을 추출하여, 이를 제1 저장 유닛(1308)으로 DMA 전송한다.
제1 저장 유닛(1308)으로 입력되는 MPEG-2 섹션은 CPU(1316)로 적절히 입력된다.
TS 디코더(1302)에 의해 추출되는 비디오 PES 패킷 및 오디오 PES 패킷은 AV 디코더(1303)로 입력된다.
AV 디코더(1303)에 입력되는 비디오 PES 패킷 및 오디오 PES 패킷은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로서 복호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1305) 및 스피커(1304)에 입력되어, 오디오 및 비디오가 재생된다.
도 16은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각 장치의 물리적 접속 시퀀스, 처리 상세 사항 및 입, 출력 데이터 포맷을 나타내는 개념적 도면이다. 도 16의 구성 요소 중에서, 도 15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제공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각 장치의 물리적 접속 시퀀스, 처리 상세 사항 및 입, 출력 데이터 포맷은 또한 생략되고, 그 차이만이 설명된다.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튜너(1301)는 우선 CPU(1306)가 특정한 동조 명령에 따라서 방송파의 동조를 행한다. 튜너(1301)는 방송파를 복조하여, TS 디코더(1302)에 MPEG-2 전송 스트림을 입력한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각 장치의 접속 시퀀스, 처리 상세 사항은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에 따라서 전환된다. 즉,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CPU(1306)는 도 13에 나타낸 하드웨어 구성 요소의 설정을 행하므로, 원하는 서비스가 도 15에 나타낸 각 장치의 접속 시퀀스, 처리 상세 사항에 따라서 재생된다. 한편,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CPU(1306)는 도 13에 나타낸 하드웨어 구성 요소의 설정을 행하므로, 원하는 서비스가 도 16에 나타낸 각 장치의 접속 시퀀스, 처리 상세 사항에 따라서 재생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관한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가 기술되었다. 이 후, 본 발명의 주요 기능인, Java 프로그램에 의한 서비스의 재생 제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의 재생은,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는, 방송파에 포함된 비디오, 오디오, Java 프로그램의 실행과 재생을 의미한다.
도 17은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이 공존하는 방송 수신 단말에서 서비스의 재생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구성도이고, ROM(1309) 내에 기록된 소프트웨어이다.
프로그램(1700)은 OS(1701), EPG(1702), Java VM(1703), Java 라이브러리(1704) 및 지상파 네비게이터(1705)로 구성되며, 이들은 서브 프로그램이다.
OS(1701)는 예로서 Linux, Windows 등이 있는 운용 체계이다. OS(1701)는, EPG(1702) 및 Java VM(1703) 등의 다른 서브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커널(1701a) 및, 서브 프로그램이 단말 장치(130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라이브러리(1701b)로 구성된다. 커널(1701a)은 대중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라이브러리(1701b)가 제공된 구성 요소중에서, 도 18은 본 발명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구성 요소만을 나타낸다. 라이브러리(1701b)는 케이블용 하드웨어 설정 유닛(1821a), 지상파용 하드웨어 설정 유닛(1821b), 키입력 유닛(1822), 하드웨어 설정정보 보유 유닛(1823) 및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1824)를 포함한다.
케이블용 하드웨어 설정 유닛(1821a)은 도 13에 나타낸 하드웨어 구성 요소간의 접속의 설정을 행하므로, 채널 재생 유닛(1812)이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서비스를 재생하는 요구를 할 때마다, 서비스는 도 15에 나타낸 채널을 통해 재생된다.
지상파용 하드웨어 설정 유닛(1821b)은 지상파 채널 재생 유닛(1831b)으로부터 채널 식별자와 PID를 수신한다.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서비스가 재생되도록, 하드웨어 설정 유닛(1821b)이 하드웨어 접속과 값 설정을 행하도록 요구될 때마다,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 간의 접속 설정, 서비스가 도 16에 나타낸 채널에서 재생되도록, 도 13에 도시된 PID를 TS 디코더에 설정하는 것과 동조 정보를 튜너에 설정하는 것을 행한다. 또한, 하드웨어 설정 정보 보유 유닛(1823)이 각 하드웨어 구성 요소에 공급된 설정 상세를 보유하도록 한다. 설정 상세는 튜너에 설정되어 있는 동조 정보와 TS 디코더에 설정되어 있는 PID를 포함한다.
키입력 유닛(1822)은 입력 유닛(1310)으로부터 키입력을 수신하여, 이벤트 관리자(1704m)의 이벤트 배송 유닛(1801)에게,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이벤트를 배송할 것을 요구한다. 이벤트 배송 유닛(1801)에 의한 이벤트 배송을 후술한다.
하드웨어 설정 정보 보유 유닛(1823)은 케이블용 하드웨어 설정 유닛(1821a), JMF(1704a), 튜너(1704c) 및 지상파용 하드웨어 설정유닛이 하드웨어에 설정한 값을 보유한다. 현채널 판정 유닛(1801)으로부터 문의를 수신하면, TS 디코더에 설정되어 있는 PID, 튜너에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정보 등의 각 하드웨어 구성 요소에 제공된 설정 상세를 리턴한다.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1824)은 채널 재생 유닛(1812) 또는 지상파 채널 재생유닛(1831b)에 의해 특정된 채널 식별자를 보유한다.
더 구체적으로, 채널 식별자 "1"이 도 24를 참조하여, 채널 재생 유닛(1812)으로부터 특정되고, 도 24에서 (1)에 나타낸 것같이 "1"을 보유한다. 따라서, 채널 식별자 "101"이 지상파 채널 재생유닛(1831b)으로부터 특정되는 경우에, 도 24의 (2)에 나타낸 것같이 "101"을 보유한다. 현채널 판정 유닛으로부터 문의를 받으면,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1824)은 현재 보유된 채널 식별자를 리턴한다.
라이브러리(1701b)는 이들 기능에 추가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각종 기능이 제공된다. 라이브러리(1701b)는 예를 들면 튜너를 제어하는 동조 기능을 제공한다. 라이브러리(1701b)는 다른 서브-프로그램으로부터 주파수를 포함하는 동조 정보를 수용하여, 그 정보를 튜너(1301)에 전달한다. 튜너(1301)는 제공된 동조 정보에 기초하여 복조 처리를 행하고, 복조된 MPEG-2 전송 스트림을 TS 디코더(1302) 에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다른 서브-프로그램이 라이브러리(1701b)를 통해서 튜너(130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라이브러리(1701b)는 채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채널 정보를 제공한다. 채널 정보의 예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채널 정보는 OOB 또는 대역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고, 어댑터(1311)에 의해 테이블 포맷으로 변환되어, 라이브러리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임시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다.. 열(2001)은 채널 식별자이고, 예를 들면, SCTE65 Service Information Delivered Out-Of-Band For Digital Cable Television에 의해 정의된 source_ID와 동등하다. 열 2002은 채널명으로, SCTE65 표준에 의해 정의된 source_name과 동등하다. 열 2003은 튜너에 제공되는 동조 정보이고, 주파수, 전송 레이트, 변조 방식 등의 정보이다. 열 2004는 PMT를 특정하는 프로그램 넘버이다. 예를 들면, 라인 2011은 채널 식별자 "1", 채널 명 "channel 1", "150Mhz…"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동조 정보를 갖는 서비스 정보의 그룹이다.
또한, 라이브러리(1701b)는 채널 식별자가 속하는 방송 시스템의 정보를 제공한다. 도 21은 라이브러리(1701b)가 보유하는 방송 시스템 정보의 리스트이다. 열 2101은 채널 식별자이고, 열 2102은 채널 식별자가 속하는 방송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라인 2115은 채널 식별자 "101"이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더하여, 라이브러리(1701b)는 도 13에 나타낸 하드웨어 구성 요소의 제어용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개별적인 기능은 후술한다.
Java VM(1703)은 Java(TM) 언어로 기록된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실행하는 Java 가상 머신이다. Java 언어로 기록된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에 의존하지 않는 바이트코드로 불리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된다. Java 가상 머신은 이 바이트코드를 실행하는 인터프리터(interpreter)이다. Java VM(1703)은 Java 언어로 기록되는 Java 라이브러리(1704)를 실행한다. Java 언어 및 Java VM에 대한 상세 사항은 "Java Language Specification" (ISBN0-201-63451-1) 및 "Java Virtual Machine Specification" (ISBN0-201-63451-X) 등의 공보를 참조한다. 게다가, Java Native Interface (JNI)를 통해 Java 언어로 기록되지 않는 다른 서브 프로그램을 호출하거나 이 보조 프로그램에 의해 호출될 수 있다. JNI에 관한 상세 사항은 책 "Java Native Interface" 등을 참조한다.
Java 라이브러리(1704)는, 방송 수신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Java 프로그램에 의해 호출되는 Java 언어로 기록된 라이브러리이다. 그러나, 또한, OS(1701)의 라이브러리(1701b)와 같이 Java 언어로 기록되지 않은 서브 프로그램이 필요 시 이용되는 상황이 존재한다. Java 프로그램은, Java 라이브러리(1704)에 의해 보유된 Java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호출함으로써 Java 라이브러리(1704)에 의해 제공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튜너(1704c)는 방송 수신 단말 내의 대역내 수신 튜너(1301a)를 제어하는 Java 라이브러리이다. 채널 재생 유닛(1812) 등의 Java 프로그램이 주파수를 포함하는 동조 정보를 튜너(1704c)로 전달하면, 튜너(1704c)는 라이브러리(1701b)를 통해 튜너(1301)의 수신된 동조 정보를 설정한다. 그 결과로서, 방송 수신 단말 내의 대역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튜너(1301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튜너(1704c)는 하드웨어 설정 정보 보유 유닛(1823)이 튜너(1301)에 설정된 동조 정보, 예를 들면 튜너에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정보를 보유하게 한다.
SF(1704e)는 방송 수신 단말의 PID 필터(1502) 및 섹션 필터(1503)의 기능을 제어하는 Java 라이브러리이다. Java 프로그램이 PID, table_id 등과 같은 필터링 조건을 SF(1704e)로 전송하면, SF(1704e)는 전송된 필터 조건에 기초하여, 라이브러리(1701b)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PID 필터(1502) 및 섹션 필터(1503)의 필터 조건을 설정하여, PID 필터(1502) 및 섹션 필터(1503)를 제어하도록 하고, 원하는 필터 조건을 충족하는 MPEG-2 섹션을 획득하여, MPEG-2 섹션을 필터 조건을 설정한 Java 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
DSM-CC (1704d)는 DSM-CC 객체 주기 전송(object carousel)의 파일 시스템을 액세스하는 Java 라이브러리이다. DSMCC 객체 주기 전송은 SF(1704e)에 의해 획득되는 MPEG-2 섹션 내에 포함된다. DSMCC는 ISO/IEC 13818-6 표준으로 규정되고, MPEG-2 섹션을 이용하여 임의 파일을 송신하는 메카니즘이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방송국으로부터 단말로 파일을 송신할 수 있다. DSM-CC(1704d)는 Java 프로그램이 규정한 필터 식별자에 기초하여, SF(1704e)를 사용하여 MPEG-2 섹션을 획득하고, ISO/IEC 13818-6 표준에 기초하여 파일을 인출하여, 제1 저장 유닛(1308)에 출력한다. DSM-CC를 구현하는 상세한 방법은 본 발명과 관련이 없어,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AM(1704b)은 케이블 방송파로부터 다운로드된 Java 프로그램의 실행과 종료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자이다. 케이블 방송파로부터 다운로드된 Java 프로그램은: 서비스에 포함되어, 서비스가 선택될 때 실행되는 Java 프로그램; 서비스에 포함되지 않고, 서비스의 선택에 상관없이 실행되는 Java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즉, 후자의 Java 프로그램은 서비스가 전환되어도 종료되지 않는다. 전자의 Java 프로그램은 XAIT에 기술되어 있는 정보에 따라서 다운로드되고, 실행된다. AIT 및 XAIT를 후술한다.
우선, AIT에 서술된 정보에 따라서, 서비스에 포함된 Java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실행 및 종료할 때, AM(1704b)의 기능을 서술한다.
AM(1704b)은 어댑터(1311)로부터 출력된 케이블 방송의 MPEG-2 전송 스트림의 지정된 채널 상으로 다중화되는 Java 프로그램을 추출한다. 개별적으로 다중화된 동기화 정보에 따라서, 추출된 Java 프로그램의 실행 또는 종료를 행한다. Java 프로그램의 Java 클래스 파일은 상술한 DSM-CC 포맷의 MPEG-2 전송 스트림으로 다중화된다. 게다가, Java 프로그램의 동기화 정보는 AIT라 불리는 포맷의 MPEG-2 전송 스트림으로 다중화된다. AIT는, DVB-MHP 표준(ETSITS 101812 DVB-MHP specification V1.0.2)의 챕터 10에 규정된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의 머리글자이고, "0x74"의 table_id를 가진 MPEG-2 섹션이다. 본 실시예에서, DVB-MHP 표준에 의해 규정된 AIT는 사용을 위해 변경된다.
AM(1704b)의 내부 구성요소중에서, 서비스에 포함되어 있는 Java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실행 및 종료시의 기능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요소만이 도 19에 표시되어 있다. AM(1704b)은 AIT 모니터링 유닛(1931)과 응용 상태 관리 유닛(1932)으로 구성된다.
AIT 모니터링 유닛(1931)은 입력으로서 케이블 방송의 MPEG-2 전송 스트림과 채널 식별자를 가지고, AIT의 업데이트 상태를 모니터한다. 우선, JMF(1704b)는 키로서 특정 채널 식별자를 사용하여 채널 정보에 대해 라이브러리(1701b)를 검색하여, 프로그램 넘버를 획득한다. 다음에, SF(1704e) 등을 사용하여, PAT가 MPEG-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다. 또한, 획득된 프로그램 넘버에 대응하는 PMT의 PID가 PMT의 정보로부터 획득된다. 도 11에 도시된 것같은 포맷으로, 스트림 유형으로서 "data", 추가 정보로서 "AIT"를 갖는 기초 스트림의 PID가 SF(1704e)를 사용하여 다시 기입된다. 또한, 필러팅 조건으로서 새롭게 획득된 AIT의 "0x74"의 table_ID와 PID를 SF(1701e)에 공급하면, AIT의 상세가 획득될 수 있다.
도 22는 AIT 정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챠트이다. AIT 버전 2200은 그 AIT의 버전을 나타낸다. AIT의 버전이 높을수록, AIT는 더욱 새로운 것이다. 동일한 AIT 버전의 AIT가 반복적으로 수신될지라도, AM(1704b)은, 이미 분석된 AIT와 동일한 AIT 버전을 갖는 AIT를 분석하지 않고, 이미 분석된 AIT보다 더 새로운 AIT만을 분석하여,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열 2201는 Java 프로그램의 식별자이다. 열 2202는 Java 프로그램의 제어정보이다. 제어 정보에는, "autostart", "present", "kill" 등이 존재하며; "autostart"은 단말 장치(1300)가 Java 프로그램을 즉시 자동으로 실행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present"는 자동 실행을 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리고 "kill"은 Java 프로그램을 종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열 2203은 DSMCC 포맷의 Java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PID를 추출하는 DSMCC 식별자이다. 열 2204는 Java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이다. 열2211, 2212, 2213 및 2214는 Java 프로그램의 정보의 그룹이다. 열 2211에 의해 규정된 Java 프로그램은 Java 프로그램 식별자 "0x3221", 제어 정보 "autostart", DSMCC 식별자 "1" 및 프로그램명 "a/TopXlet"를 포함하는 그룹이다. 마찬가지로, 열 2212으로 규정된 Java 프로그램은 Java 프로그램 식별자 "0x3222", 제어 정보 "present", DSMCC 식별자 "1" 및 프로그램명 "a/GameXlet"을 포함하는 그룹이다.
여기서, 라인 2211, 라인 2212 및 라인 2214에 의해 규정된 3개의 Java 프로그램은 동일한 DSMCC 식별자를 갖는다. 이것은, 3개의 Java 프로그램이 DSMCC 포맷으로 부호화된 하나의 파일 시스템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4개의 유형의 정보는 Java 프로그램에 대해 규정되지만, 실제로는 더욱 많은 유형의 정보가 규정된다. 상세 사항은 DVB-MHP 규격에서 발견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상태 관리 유닛(1932)은 갱신된 AIT 콘텐츠를 분석하여, AIT의 상세에 기초하여 Java 프로그램의 실행 상태를 관리한다.
우선, Java 프로그램의 상태를 관리하는 동작을 아래에 서술한다. 애플리케이션 상태 관리 유닛(1932)은 AIT 중에서 제어 정보가 "autostart"인 Java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대응하는 DSMCC 식별자 및 Java 프로그램명을 추출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AM(1704b)은 라인(2211)으로부터 Java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DSMCC 식별 자 "1" 및 Java 프로그램명 "a/TopXlet"을 획득한다. 그 다음, AM(1704b)은 AIT로부터 획득된 DSMCC 식별자를 이용하여, PMT로부터, DSMCC 포맷의 Java 프로그램을 저장한 TS 패킷의 PID를 획득한다.
특히, "data"의 스트림 유형을 가지고, 부가 정보의 적합성(conforming) DSMCC 식별자에 따르는 기초 스트림의 PID가 PMT 중에서 획득된다. 여기서, DSMCC 식별자가 "1"이고, PMT는 도 11에서와 같다고 가정하면, 라인 1114의 기초 스트림이 적합하여, PID "5014"는 인출된다.
AM(1704b)은, SF(1704e)에, 섹션 필터 조건 및, DSMCC 포맷으로 데이터가 삽입(embedded)된 MPEG-2 섹션을 송신하는 TS 패킷의 PID를 규정한다. 여기서, PID "5014"가 제공된다. 그 결과, AM(1704b)은 필요한 DSMCC MPEG-2 섹션을 수집할 수 있다. AM(1704b)은 DSMCC 포맷에 따라서, 수집된 MPEG-2 섹션으로부터 파일 시스템을 재구성하여, 파일 시스템을 제1 저장 유닛(1308)에 저장한다. MPEG-2 전송 스트림의 TS 패킷으로부터 파일 시스템과 같은 데이터를 인출하여, 이 데이터를 제1 저장 유닛(1308) 및 제2 저장 유닛(1307)과 같은 저장 수단 내에 저장하는 것을 이하 다운로드라고 칭한다.
도 23은 다운로드된 파일 시스템의 일례이다. 이 도면에서, 원형은 디렉터리를 나타내고, 사각형은 파일을 나타낸다. 2301은 루트 디렉터리이고, 2302는 디렉터리 "a"이며, 2303은 디렉터리 "b"이고, 2304는 파일 "TopXlet.class"이며, 2305는 파일 "GameXlet.class"이고, 2206은 디렉터리 "z"이며, 2207은 파일 "MusicXlet.class"이고, 2208은 파일 "StudyXlet.class"이다.
그 다음, 제1 저장 유닛(1308) 내의 다운로드된 파일 시스템 중에서, AM(1704b)은 Java VM(1703)으로 실행되도록 Java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여기서, 실행될 Java 프로그램명이 "a/TopXlet"이라고 가정면, Java 프로그램명의 끝에 ".class"가 추가된 파일 "a/TopXlet.class"가 실행될 파일이다. "/"은 디렉터리 및 파일명 구분이고, 도 23을 참조하여, 파일(2304)이 실행되어야 하는 Java 프로그램이다. 다음에, AM(1704b)은 파일(2304)을 Java VM(1703)에 전달하여, 파일이 Java 프로그램으로서 Java VM에서 실행된다.
AM(1704b)가 새로운 AIT 버전을 가진 AIT를 수신할 때마다, AIT를 분석하여, Java 프로그램의 실행 상태를 변경한다.
상기 서술된 기능은 서비스에 포함된 Java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실행 및 종료할 때, AIT에 서술된 정보에 따라서 AM(1704b)이 행하는 기능이다.
다음에 설명할 기능은 서비스에 포함되지 않고, 서비스의 선택에 상관없이 행해지는, 즉, 서비스가 전환되어도 종료되지 않는, Java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실행 및 종료할 때, XAIT에 서술된 정보에 따라서 AM(1704b)이 행하는 기능이다.
AM(1704b)의 내부 구성요소 중에서, 도 32는, 서비스에 포함되지 않고, 서비스의 선택에 상관없이 행해지는, 즉, 서비스가 전환되어도 종료되지 않는, Java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실행 및 종료하는 기능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구성 요소만을 나타낸다. AM(1704b)은 XAIT 모니터링 유닛(3231) 및 서비스 무관 응용 상태 관리 유닛(3232)으로 구성된다.
XAIT 모니터링 유닛(3231)은 라이브러리(1701b)를 통해 방송국측 시스 템(101)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2방식 통신은 OS(1701)의 라이브러리(1701b)를 통해 QPSK 복조 유닛(502)과 어댑터(1311)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XAIT 모니터링 유닛(3231)은, 실행되어야 하거나 또는 단말 장치(1300)가 제2 저장 유닛(1307)에 저장하는 Java(TM) 프로그램의 정보를 이 통신을 이용하여 방송국측 시스템(101)으로부터 수신한다. 이 정보는 XAIT 정보라고 칭해진다. XAIT 정보는 방송국측 시스템(101)과 어댑터(1311) 사이에서 임의의 포맷으로 송신된다. 본 발명은, XAIT 정보에 대해 요구된 정보가 함유되어 있기만 하면, 어느 송신 포맷이 사용되는지에 상관없이 실행될 수 있다.
도 33은 방송국측 시스템(101)으로부터 획득된 XAIT 정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열 3301은 Java(TM) 프로그램의 식별자이다. 열 3302는 Java(TM) 프로그램의 제어 정보이다. 제어 정보는, "autostart", "present" 등을 포함하며; "autostart"은 전원이 오프되었을 때 단말 장치(1300)가 이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present"는 자동 실행을 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열 3303은 DSMCC 포맷의 Java(TM)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패킷 ID를 추출하는 DSMCC 식별자이다. 열 3304는 Java(TM)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이다. 열 3305는 Java(TM) 프로그램의 우선도를 기술한다. 우선도는 실행 가능한 Java(TM) 프로그램상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 실행되는 Java(TM) 프로그램을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열 2007은 Java(TM) 프로그램의 애플리케이션 명을 기술한다. 애플리케이션 명은 사용자가 Java(TM) 프로그램을 식별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라인 2011, 2012은 Java(TM) 프로그램의 정보의 그룹이다. 라인 2011에 의해 규정된 Java(TM) 프로그램은 식별자 "701", 제어 정보 "autostart", DSMCC 식별자 "1" 및 프로그램명 "a/APP1Xlet", 우선도 "200" 및 애프리케이션 명 "APPI"를 포함하는 그룹이다. 여기서, 6 유형의 정보만이 Java(TM) 프로그램에 대해 규정되지만, 더 많은 유형의 정보가 규정되어도 본 발명은 실행가능하다.
열 3307의 애플리케이션 명은,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XAIT 정보에 기술된 각 Java(TM) 프로그램을 식별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명이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Java(TM) 프로그램의 식별을 허용하는 충분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시되어 있는 조건에서, 어떠한 애플리케이션명없이 본 발명은 실행가능한 것에 주의하다.
애플리케이션 상태 관리 유닛(3232)은 XAIT의 갱신된 상세를 분석하여, Java 프로그램의 실행 상태를, XAIT의 상세에 기초하여 관리한다.
서비스 무관 응용상태 관리 유닛(3232)은, 케이블 방송의 MPEG-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XAIT 정보에 기술된 Java(TM) 프로그램을 추출, 다운로드 및 실행한다. XAIT 정보를 획득하면, 애플리케이션 상태 관리 유닛(1932)이 AIT 정보로부터 Java(TM)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 때에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따라서, 서비스 무관 응용상태 관리 유닛(3232)은 MPEG-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파일 시스템을 제1 저장 유닛(1308)에 저장한다. 따라서, 제1 저장 유닛(1308)에 저장된 파일 시스템이 제2 저장 유닛(1307)에 복사된다. 제1 저장 유닛(1308)을 거치지 않고, 제2 저장 유닛(1307)에 파일 시스템을 직접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음에, 서비스 무관 응용상태 관리 유닛(3232)은 다운로드된 파일 시스템의 저장 위치를 XAIT 정보와 관련시키고 파일 시스템을 제2 저장 유닛(1307)에 저장한다.
도 34는 다운로드된 파일 시스템이 제2 저장 유닛(510)의 XAIT 정보와 관련되어 저장되어 있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34의 구성 요소에는 도 34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열 3401은 각 Java(TM)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다운로드된 파일 시스템의 저장 위치를 저장한다. 도면에서, 이러한 저장 위치는 화살표로 표시된다. 3410은 탑 디렉토리(3411), 디렉토리 "a"(3412), 디렉토리 "b"(3413), 파일 "APP1Xlet.class"(3414), 파일 "APP2Xlet.class"(3415)를 저장하는 다운로드된 파일 시스템이다.
여기서, XAIT 정보는 Java(TM) 프로그램이 저장된 이후에 저장되지만, Java(TM) 프로그램이 저장되기 전에 저장될 수 있다. XAIT 정보는 제2 저장 유닛(1307)에 저장되지만, 제1 저장 유닛(1308)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제1 저장 유닛(1308)에 저장하는 경우, 모든 저장된 XAIT 정보는 전원 OFF시에 삭제된다.
다음에, 제1 저장 유닛(1308) 또는 제2 저장 유닛(1307)에 저장된 XAIT 정보를 참조하여, 서비스 무관 응용상태 관리 유닛(3232)은,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autostart"로 특정된 애플리케이션의 Java(TM) 프로그램을 Java VM(1703)에 전달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라인 2011에 의해 규정된 애플리케이션 "APP1"의 Java(TM) 프로그램 "a/APP1Xlet"은 VM(1703)에 전달된다. 여기서, 실행될 Java 프로그램명이 "a/APP1Xlet"일 때, Java 프로그램명의 뒤에 ".class"를 붙인 파일 "a/APP1Xlet.class"가 실행될 파일이다. Java VM(1703)은 전달된 애플리케이션의 Java(TM)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상기 서술된 기능은 서비스에 포함된 Java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실행 및 종료할 때 XAIT에 서술된 정보에 따라서 AM(1704b)이 행하는 기능이다.
JMF(1704a)는 케이블 방송의 서비스에 포함된 비디오 및 오디오의 재생 제어를 취급한다. 더 구체적으로, JMF(1704a)는 MPEG-2 전송 스트림의 특정 채널상에 다중화된 비디오 ES 및 오디오 ES를 재생용 AV 디코더에 입력한다.
우선, 채널 식별자가 입력될 때, JMF(1704a)는 키로서 특정 채널 식별자를 사용하여 채널 정보에 대해 라이브러리(1701b)를 검색하여, 프로그램 넘버를 얻는다. 다음에, SF(1704e) 등을 사용하여, PAT는 MPEG-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다. 또한, 획득된 프로그램 넘버에 대응하는 PMT의 PID가 PAT의 정보로부터 획득된다. SF(1704e)를 다시 사용하여, PMT의 상세가 획득된다. 획득된 PMT는 도 11에 나타낸 것같은 포맷이고, 기초 스트림의 PID는 기초 스트림의 스트림 유형인 "video" 및 "audio"로 기입된다.
따라서, JMF(1704a)는 라이브러리(1701b)를 통해 TS 디코더(1311)의 PID 필터(1502)의 이들 PID를 설정한다. 그 결과, 도 15에 나타낸 것같이, 이들 PID로 다중화된 비디오 ES 및 오디오 ES가 AV 디코더(1303), 스피커(1304) 및 디스플레이(1305)를 통해 재생된다. 또한, JMF(1704e)는 하드웨어 설정 정보 보유 유닛(1823)이, TS 디코더에 설정되어 있는 "video" PID 등의 PID를 보유하게 한다.
서비스 관리자(1704f)는 케이블 방송의 MPEG-2 전송 스트림의 서비스의 재생을 관리한다. 아래에 서술되는 실시예는 MPEG-2 전송 스트림내의 서비스의 재생을 관리하는 실시예이다.
도 18은 서비스 관리자(1704f)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서비스 관리자(1704f)는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과 채널 재생 유닛(1812)을 포함한다.
서비스 관리자(1704f)의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은 입력으로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채널 식별자를 갖는다. 서비스 관리자(1704f)의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은,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여 EPG로부터 서비스 재생 요구를 받는다. 도 21에 나타낸 라이브러리(1701b)에 의해 보유된 방송 시스템 정보의 리스트를 참조하면,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은 특정 채널 식별자가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판정한다.
따라서, 특정 채널 식별자의 판정 결과가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경우에,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은 채널 식별자를 채널 재생 유닛(1812)에 배송하고 서비스를 재생할 것을 요구한다. 한편, 특정 채널 식별자의 판정 결과가 지상파 시스템을 나타내면,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은 지상파 서비스 관리자(1831)의 지상파 채널 재생유닛(1831b)에 서비스를 재생할 것을 요구하는 채널 식별자를 전달하고,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서비스의 재생 요구를 한다.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 또는 지상파 채널 식별자(1831a)로부터 특정 채널 식별자를 갖는 서비스의 재생 요구를 수신하면, 채널 재생 유닛(1812)은 라이브러리(1701b)의 케이블용 하드웨어 설정유닛(1821a)에 하드웨어 접속 설정을 요구하여, 도 15에 나타낸 채널을 사용하여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서비스를 재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라이브러리(1701b)에 의해 보유된 도 20에 나타낸 가이드를 참조하면, 채널 재생 유닛(1812)은 특정 채널 식별자에 대응하는 동조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동조 정보를 튜너(1704c)에 특정한다. 따라서, 채널 재생 유닛(1812)은 특정 채널 식별자를 JMF(1704a)에 제공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를 재생할 것을 요구한다. 그 후, 상기 서술된 동작을 통해, JMF(1704a)는 케이블 방송의 MPEG-2 전송 스트림내에 멀티플렉스된 오디오와 비디오의 재생을 시작한다. 또한, AM(1704b)은 케이블 방송의 MPEG-2 전송 스트림에서 재생될 오디오와 비디오의 채널 식별자가 공급된다. 그 후, MPEG-2 전송 스트림에 멀티플렉스된 AIT에 따르면, AM(1704b)은 케이블 방송의 MPEG-2 전송 스트림내에 멀티플렉스된 Java 프로그램의 실행과 종료를 시작한다.
따라서, 채널 재생 유닛(1812)은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1824)에게 특정 채널 식별자를 유지할 것을 요구한다. 그 후, 디스플레이(1305)에서,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지상파 네비게이터 GUI를 포함하는 모든 프로그램을 숨긴다. 그 후, 채널 재생 유닛(1812)은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EPG(1702)를 포함하는 Java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1305)상에 표시하고, Java 프로그램중 하나에 초점을 맞춘다.
이벤트 관리자(1705m)는 라이브러리의 키입력 유닛에서의 키입력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를 수신하여,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속하는 방송 시스템에 기초하여, 키 이벤트를 재송한다.
더 구체적으로,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서비스가 재생되는 경우에, 키 이벤트를 EPG(1702)에 배송한다.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서비스가 재생되는 경우에, 키 이벤트를 지상파 네비게이터(1705)에 배송한다.
도 18은 이벤트 관리자(1705m)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이벤트 관리자(1705m)는 현채널 판정 유닛(1801)과 이벤트 배송 유닛(1802)에 의해 구성된다.
이벤트 배송 유닛(1802)으로부터 문의(inquiry)를 수신하면,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 중에서 어디에 속하는지를 결정하여, 그 결과를 이벤트 배송 유닛(1802)에 통지한다.
여기서, 현채널 판정 유닛(1801)에 의한 방송 시스템의 판정은, 본 실시예에서 다음의 방법에 의해 실현된다.
이벤트 배송 유닛(1802)으로부터 문의를 수신하면,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에게 지정되어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의 채널 식별자에 대해 문의한다.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획득된 채널 식별자를 키로 사용하여 도 21에 나타낸 방송 시스템 정보의 리스트를 검색하여,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중에서 어디에 속하는지를 판정한다. 이 방법에서, 현재 재생중이고,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1824)에 의해 보유된 서비스의 채널 식별자는 방송 시스템의 판정의 기초이다.
이벤트 배송 유닛(1802)은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의 판정에 기초한 키 이벤트를 배송한다. 더 구체적으로, 라이브러리의 입력 유닛(1822)으로부터 키 이벤트를 수신하면, 이벤트 배송 유닛(1802)은 현채널 판정 유닛(1801)에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속하는 방송 시스템에 대해서 문의한다.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서 비스가 재생중인 경우에, 키 이벤트를 Java AWT에 의해 정의된 키 이벤트로 변환하여,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속하고, 케이블 방송 재생용 환경에서 실행중이고, 포커스가 제공되는 Java 프로그램으로 배송한다.
한편,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서비스가 재생중인 경우에, 키 이벤트를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지상파 네비게이터 GUI(1832)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키 이벤트로 변환하여,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 속하고, 즉, 지상파 방송 재생용 환경에서 실행중이고, 포커스가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 배송한다.
여기서, 이벤트 포맷이 배송 목적지에 의해 해석될 수 있기만 하면, 이벤트 배송 유닛(1802)에 의한 키 이벤트의 변환 포맷이 다른 포맷이어도, 본 발명은 실행가능하다.
EPG(1702)(EPG는 Electric Program Guide의 약어)는 사용자가 재생되는 TV 쇼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하는 기능이다. EPG(1702)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속하고, 다운로드되어 XAIT 정보에 따라서 실행되는 Java 프로그램이다. 이것은 서비스의 선택과 별개로 실행되고, 즉, 서비스가 전환되어도 종료되지 않는다. EPG(1702)의 GUI에 의해 선택되는 TV 쇼 프로그램의 재생이 채널 식별자가 서비스 관리자(1704f)의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에 전달되고, 서비스의 재생이 요구되는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
EPG(1702)는 방송 TV 쇼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TV 쇼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한다. 도 25는 사용자에게 재생되는 TV 쇼 프로 그램을 선택하게 하는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예이다. 시간(2501)과 채널(2502, 2503)이 격자 형태로 표시되고, 각각의 시간에서 각 기록가능한 채널의 TV 쇼 프로그램을 체크할 수 있다. EPG는 이벤트 배송 유닛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단말 장치(1300)의 입력 유닛(1310)에 포함되는 위, 아래, 좌측, 우측 커서 버튼(1401)을 사용하여 스크린내에서 포커스(2530)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OK 버튼(1405)이 눌러질 때, 포커스의 TV 쇼 프로그램이 재생되도록 선택된다.
EPG(1702)는 라이브러리로부터 TV 쇼 프로그램의 채널 식별자를 획득하고, 재생되는 TV 쇼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TV 쇼 프로그램의 채널 식별자를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에 전달하여, 서비스를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지상파 네비게이터(1705)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지상파 네비게이터(1705)는 지상파 서비스 관리자(1831)와 지상파 네비게이터 GUI(1832)로 구성된다. 또한, 지상파 서비스 관리자(1831)는 지상파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31a)과 지상파 채널 재생 유닛(1831b)를 포함한다.
지상파 네비게이터 GUI(1832)는 전기 프로그램 가이드이고, 사용자에게 재생되는 TV 쇼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한다. 지상파 네비게이터 GUI(1832)는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프로그램이다. 채널 식별자를 지상파 서비스 관리자(1831)의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31a)에 전달하여 서비스의 재생을 요구함으로써, TV 쇼 프로그램이 재생된다.
지상파 네비게이터 GUI(1832)는 방송 TV 쇼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에게 원하는 TV 쇼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한다. 도 26은 사용자에게 재생할 TV 쇼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하는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예이다. 시간(2601), 채널(2602, 2603)이 격자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각 기록가능한 채널의 TV 쇼 프로그램을 각각의 시간에 체크할 수 있다.
지상파 네비게이터 GUI(1832)는 이벤트 배송 유닛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단말 장치(1300)의 입력 유닛(1310)에 포함되는 위, 아래, 좌측, 우측 커서 버튼(1401~1404)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내에서 포커스(2830)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OK 버튼(1405)이 눌러질 때, 포커스의 TV 쇼 프로그램이 재생되도록 선택된다. 지상파 네비게이터 GUI(1832)는 라이브러리로부터 TV 쇼 프로그램의 채널 식별자를 획득하여, 알고 있다. 재생될 TV 쇼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TV 쇼 프로그램의 채널 식별자를 지상파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31a)에 전달하여, 서비스를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도 21에 나타낸 방송 시스템 정보의 리스트에 대해서, 지상파 네비게이터 GUI(1832)로부터 서비스 재생 요구를 수신할 때, 지상파 서비스 관리자(1831)의 지상파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31)은 특정 채널 식별자가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중에서 어디에 속하는지를 판정한다.
따라서, 지상파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31a)에 의한 판정 결과가 지상파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경우에, 지상파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31a)은 지상파 채널 재생 유닛(1831b)에 채널 식별자를 배송하고, 서비스를 재생할 것을 요구한 다. 한편, 지상파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31a)에 의한 판정 결과의 경우에, 지상파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31a)은 서비스 관리자(1704f)의 채널 재생 유닛(1812)에 서비스 재생용 채널 식별자를 전달하여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서비스를 재생할 것을 요구한다.
지상파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31a) 또는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으로부터 특정 채널 식별자를 갖는 서비스의 재생 요구를 수신하면, 지상파 채널 재생 유닛(1831b)은 라이브러리(1701b)에 의해 보유된 도 20에 나타낸 가이드를 참조하여 특정 채널 식별자에 대응하는 동조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특정 채널 식별자를 키로서 사용하여 채널 정보에 대한 라이브러리(1701b)를 탐색한다. 다음에, SF(1704e) 등을 사용하여, PAT는 MPEG-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다. 또한, 획득된 프로그램 넘버에 대응하는 PMT의 PID는 PMT의 정보에서 획득된다. SF(1704e)를 다시 사용하여, PMT의 상세를 획득한다. 획득된 PMT는 도 11의 포맷을 갖고, 기초(elementary) 스트림의 PID는 기초 스트림의 스트림 유형인 "비디오" 및 "오디오"로서 기입된다.
따라서, 지상파 채널 재생 유닛(1831b)은 획득된 동조 정보와 PID를 라이브러리(1701b)의 지상파용 하드웨어 설정부에 특정한다. 지상파 채널 재생 유닛(1831b)은 지상파용 하드웨어 설정 유닛에게 하드웨어 접속을 요구하므로,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서비스가 도 16에 나타낸 채널, 튜너 및 TS 디코더에 대한 값의 설정을 통해 재생된다.
따라서, 지상파 채널 재생 유닛(1831b)은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1824)에게 특정 채널 식별자를 유지할 것을 요구한다. 그 후,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EPG(1702)를 포함하는 Java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1305)로부터 숨긴다. 한편, 지상파 채널 재생 유닛(1831b)은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지상파 네비게이터 GUI를 디스플레이(1305)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프로그램중 하나에 포커스를 제공한다.
상기 서술된 구성의 본 실시예에서 특징적인 동작은 플로우도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27은 채널 식별자가 EPG(1702)에 의해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으로 전달되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EPG(1702)로부터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고, 서비스의 재생 요구를 수신하면(S2701),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은 채널 식별자가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 중에서 어디에 속하는지를 판정한다(S2702).
판정 결과가 케이블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경우(S2703),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은 채널 식별자를 채널 재생 유닛(1812)에 배송하여, 서비스 재생을 요구한다(S2704). 채널 식별자가 특정되고, 서비스의 재생이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에 의해 요구될 때, 채널 재생 유닛(1812)은 라이브러리(1701b)의 케이블용 하드웨어 설정 유닛(1821a)에 채널 식별자를 특정하고, 하드웨어 접속 설정을 요구하므로,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서비스가 도 15에 나타낸 채널을 통해 재생된다(S2705).
따라서, 채널 재생 유닛(1812)은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1824)에 특정 채널 식별자를 유지할 것을 요구한다(S2706).
채널 재생 유닛(1812)은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숨겨서,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Java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고, 포커스를 제공한다(S2707).
한편,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의 S1703에서 판정 결과가 지상파 시스템인 경우에,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은 서비스 재생용 채널 식별자를 지상파 채널 재생 유닛(1831b)에 전달하고,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서비스를 재생할 것을 요구한다(S2708).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11)으로부터 특정 채널 식별자를 갖는 서비스의 재생 요구를 수신하면, 지상파 채널 재생 유닛(1831b)은 라이브러리(1701b)의 지상파용 하드웨어 설정 유닛(1821b)에 채널 식별자를 특정하고, 하드웨어 접속 설정을 요구하므로, 지상파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 속하는 서비스가 도 16에 나타낸 채널을 통해 재생된다(S2709).
따라서, 지상파 채널 재생 유닛(1831b)은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1824)에 특정 채널 식별자를 유지할 것을 요구한다(S2710).
지상파 채널 재생 유닛(1831b)은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숨기고,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여, 포커스를 제공한다(S2711).
도 28은 이벤트 배송 유닛(1802)이 키입력 유닛(1822)으로부터 키입력을 수신할 때의 처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여기서, EPG는 케이블 방송이 재생될 때 포커스를 갖고, 지상파 네비게이터 GUI는 지상파 방송이 재생될 때 포커스를 갖는다.
키입력 유닛(1822)으로부터 키입력을 수신하면(S2801), 이벤트 배송 유닛(1802)은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속하는 방송 시스템에 대해서 현채널 판정 유닛(1801)에 문의한다(S2802).
문의를 수신하면,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속하는 것을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중에서 하나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이벤트 배송 유닛(1802)에 통지한다(S2803).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의 판정 결과가 케이블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경우(S2804), 이벤트 배송 유닛(1802)은 키 이벤트를 Java AWT로 정의될 수 있는 이벤트로 변환하여 EPG(1702)에 배송한다(S2805).
한편, 판정 결과가 지상파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경우(S2804), 이벤트 배송 유닛(1802)은 키 이벤트를 지상파 네비게이터(1705)의 지상파 네비게이터 GUI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이벤트로 변환하여, 지상파 네비게이터(1705)의 지상파 네비게이터 GUI에 배송한다(S2806).
상기 서술된 실시예에서, 다음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프로그램이 속하는 복수의 방송 시스템과 병렬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송 수신장치는, 서비스를 선택할 때에, 제2 방송 시스템의 채널 식별자가 제1 방송 시스템의 전기 프로그램 가이드에 의해 특정될 때, 특정 채널 식별자를 판정하고, 이 채널 식별자를 적절한 방송 시스템의 서비스 재생 기능에 분배함으로써, 복수의 방송 시스템의 서비스들을 심리스하게 전환할 수 있고, 이들 서비스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라이브러리에서 현재 특정되고 있는 채널 식별자를 키로 사용하여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속하는 방송 시스템을 판정하고, 키입력시에 입력된 키 이벤트의 배송 목적지를 전환하여, 복수의 방송 시스템의 전기 프로그램 가이드가 병렬로 실행중인 상태라도, 방송 수신 장치는 키 이벤트를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속하는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가이드에 배송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구성, 각종 유형의 데이터 포맷은 도 18이외에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도 1 ~ 도 17, 도 19 ~ 도 28 및 도 32 ~ 도 34가 사용된다. 이들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가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그 설명을 반복하지는 않는다.
도 29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이 공존하는 본 실시예의 방송 수신 단말에서 서비스 재생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고려되는 프로그램의 구성에서, 본 실시예에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을 나타낸다. 도 29에서, 현채널 판정 유닛(1801) 이외의 구성 요소는 동일한 명칭과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되는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지만, 방송 시스템의 판정 방법만이 다르다. 방송 시스템의 판정은 다음의 방법에 따 라서 실현된다.
이벤트 배송 유닛(1802)으로부터 문의를 수신하면,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라이브러리(1701b)의 하드웨어 설정 정보 보유 유닛(1823)에 현재 튜너(1901) 및 복조 방법에 특정된 주파수 등의 동조 정보에 대해서 문의한다. 따라서, 라이브러리(1701b)에 의해 보유된 도 21에 나타낸 방송 정보의 리스트를 참조하면,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중에서, 현재 동조중인 MPEG-2 전송 스트림이 속하는 것을 판정한다. 이 방법에서, 튜너에 특정된 동조 정보는 방송 시스템의 판정 기초가 된다.
상기 서술된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복수의 방송 시스템중에서 서비스를 전환하여, 이 서비스들을 재생할 수 있는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프로그램이 속하는 복수의 방송 시스템에 의해서 병렬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키 입력시에, 현재 튜너에 특정된 동조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시스템을 결정한다. 따라서, 입력된 키 이벤트의 배송 목적지를 전환함으로써, 방송 수신 장치는, 복수의 방송 시스템의 전기 프로그램 가이드가 병렬로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동조중인 MPEG-2 전송 스트림이 속하는 방송 시스템의 전기 프로그램 가이드 또는 프로그램에 키 이벤트를 배송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구성, 각종 유형의 데이터 포맷은 도 18이외에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도 1 ~ 도 17, 도 19 ~ 도 28 및 도 32 ~ 도 34가 사용된다. 이들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가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그 설명을 반복하지는 않는다.
도 29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이 공존하는 본 실시예의 방송 수신 단말에서 서비스 재생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고려되는 프로그램의 구성에서, 본 실시예에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을 나타낸다. 도 29에서, 현채널 판정 유닛(1801) 이외의 구성 요소는 동일한 명칭과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되는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지만, 방송 시스템의 판정 방법만이 다르다. 방송 시스템의 판정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서 실현된다.
이벤트 배송 유닛(1802)으로부터 문의를 수신하면,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JMF(1704a)에 TS 디코더(1902)에 특정된 PID에 대해서 문의한다. 따라서, 라이브러리(1701b)에 의해 보유된 도 20에 나타낸 가이드를 참조하면, 얻어진 PID에 대응하는 채널 식별자를 문의를 통해 구한다. 또한, 라이브러리(1701b)에 의해 보유된 도 21에 나타낸 방송 정보의 리스트를 참조하고, 채널 식별자를 키로 사용하여, 대응하는 방송 시스템을 구한다. 이로 인해,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 스템중에서, 현재 복호중인 PES 패킷 또는 MPEG-2 섹션이 속하는 것을 판정한다. 이 방법에서, TS 디코더에 특정된 PID는 방송 시스템의 판정 기초가 된다.
TS 디코더(1902)에 현재 특정되고 있는 PID에 대해서 라이브러리(1701b)의 하드웨어 설정 정보 보유 유닛(1823)에 문의하여,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중에서 현재 복호중인 PES 패킷 또는 MPEG-2 섹션이 속하는 것을 판정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이 실행된다.
상기 서술된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복수의 방송 시스템중에서 서비스를 전환하여, 이 서비스들을 재생할 수 있는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TV 쇼 프로그램이 속하는 복수의 방송 시스템에 의해서 병렬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복수의 방송 시스템의 전기 프로그램 가이드가 병렬로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키 입력시에, 현재 복호중인 PES 패킷 또는 MPEG-2 섹션이 속하는 방송 시스템을 결정하여, 현재 복호중인 PES 패킷 또는 MPEG-2 섹션이 속하는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 가이드 또는 프로그램에 키 이벤트를 배송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구성, 각종 유형의 데이터 포맷은 제1 실시예 ~ 제3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 ~ 제3 실시예에 서 사용된 도 1 ~ 도 16, 도 19 ~ 도 28 및 도 32 ~ 도 34가 사용된다. 이들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가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그 설명을 반복하지는 않는다.
도 30 및 31은, 본 실시예의 프로그램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고, 그 프로그램은 ROM(13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이다. 이들 도면에서 나타낸 구성 요소들 중에서, 이벤트 관리자(1704m)와 이벤트 필터 관리자(3004n) 이외에 다른 구성 요소는 동일한 명칭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30은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이 공존하고, ROM(1309)에 기록된 소프트웨어인, 본 실시예의 방송 수신 단말에서 서비스 재생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고려되는 프로그램의 구성도이다. 도 30의 이들 구성 요소중에서, 제1 실시예에서 서술된 도 17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갖는 구성 요소들은 도 17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의 프로그램에서의 프로그램(1700)의 Java 라이브러리(1704)는 제1 실시예에서 서술된 도 17의 이들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이벤트 필터 관리자(3004n)을 더 포함한다.
도 31은 본 실시예의 이벤트 관리자(1705m)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이벤트 관리자(1705m)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현채널 판정 유닛(1801)과 이벤트 배송 유닛(1802)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벤트 배송 유닛(1802)은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서술된 이벤트 배송 유닛(1802)의 기능을 갖는다. 이에 부가하여, 채널 식별자와 키 이벤트를 전달함으로써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속하는 방송 시스템에 대해서 현채널 판정 유닛(1801)에 문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벤트 배송 유닛(1802)으로부터 문의를 받으면,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현재 재생 서비스가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중에서 어디에 속하는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이벤트 배송 유닛에 통지한다.
현채널 판정 유닛(1801)에 의한 방송 시스템의 판정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실현된다.
이벤트 배송 유닛(1802)으로부터 키 이벤트를 수신하고, 이벤트 배송 유닛(1802)으로부터 문의를 받으면,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특정되어 있고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의 채널 식별자에 대해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1824)에 문의한다. 따라서,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획득된 채널 식별자를 뒤에 설명할 이벤트 필터 관리자(3004n)에 전달하고,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속하는 방송 시스템, 즉 키 이벤트가 배송되어야 하는 방송 시스템에 대해서 문의한다.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이벤트 필터 관리자(3004n)에 대한 문의 결과를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속하는 방송 시스템 즉, 키 이벤트가 배송되어야 하는 방송 시스템으로서 간주한다. 제3 실시예에서, 이벤트 필터 관리자(3004n)에 대한 문의의 결과는 방송 시스템의 판정의 기초이다.
이벤트 필터 관리자(3004n)는 키 입력시에 현채널 판정 유닛(1801)으로부터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의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여, 이벤트 필터를 사용하여 키 입력이 배송되어야 하는 방송 시스템을 결정한다. 도 31은 이벤트 필터 관리자(3004n) 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이벤트 필터 관리자(3004n)는 이벤트 필터 콜링 유닛(3101)과 이벤트 필터 등록 유닛(3102)로 구성된다.
이벤트 필터 등록 유닛(3102)은 이벤트 필터를 등록하기 위한 Java API를 공급한다. Java API는 setEventFilter(EventFilterf) 포맷으로 표현되고, 이벤트 필터는 f로 특정된다. API가 Java 프로그램으로 불릴 때, 특정된 이벤트 필터는 제1 저장 유닛(1308)에 저장된다.
이벤트 필터는 다운로드된 Java 프로그램의 일부이고, Java 언어로 쓰여진 프로그램 코드이다. 이벤트 필터는 리턴값으로서 SystemID를 갖는 방법 EventFilter.filter(Eventevt, Locator I)이다. 리턴값의 SystemID는 키이벤트의 배송 목적지인 방송 시스템의 배송 목적지인 방송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한 ID이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SystemID=1은 케이블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고, SystemID=2는 지상파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한다. 파라미터 evt는 키 이벤트이고, I는 채널 식별자이다. 이들 파라미터는 현채널 판정 유닛(1801)으로부터 이벤트 필터 콜링 유닛(3101)으로 통신된다. 다운로드된 Java 프로그램인 이벤트 필터는 이들 파라미터의 정보를 참조하여, 입력된 키 이벤트가 배송되는 방송 시스템을 리턴한다.
리턴 값 0은 이벤트 필터가 키 이벤트가 배송되어야 하는 방송 시스템을 특별히 지정하지는 않는 것을 의미하고, 현채널 판정 유닛(1801)에, 키 이벤트가 배송되어야 하는 방송 시스템의 결정을 남긴다. 제3 경우에,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특정되어 있고, 제1 실시예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서 비스의 채널 식별자에 대해서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에 문의한다. 도 21에 나타낸 방송 시스템 정보의 리스트에 대해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서비스를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중에서 판정한다.
이벤트 필터 콜링 유닛(3101)은 현채널 판정 유닛(1801)으로부터 전달된 키 이벤트를 수신하고, 재생중인 서비스의 채널 식별자를 현채널 판정 유닛(1801)으로부터 수신한다. 따라서, 제1 메모리 유닛에 등록되어 있는 이벤트 필터의 filterEvent 방법으로 부른다. 다음에, 이벤트 필터로부터의 리턴값인 키 이벤트의 배송 목적지를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1801)에 통지한다.
이벤트 필터 관리자(3004n)에 의해 복귀된 판정 결과는 반드시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속하는 방송 시스템일 필요는 없다. 이 경우라도,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이벤트 필터 관리자(3004n)의 문의 결과를 키 이벤트가 배송되어야 하는 방송 시스템으로 간주한다.
이벤트 필터가 이벤트 관리자에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지정되어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의 채널 식별자에 대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1801)에 문의한다. 도 21에 나타낸 방송 시스템 정보의 리스트에 대해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서비스를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중에서 판정한다.
상기 서술된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에 부가하여,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프로그램이 속하는 복수의 방송 시스템에 의해 병렬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키 입력시에 키 이벤트가 배송 되어야 하는 방송 시스템을 판정하고, 복수의 방송 시스템의 전기 프로그램 가이드가 병렬로 실행중인 상태에서도, 키 이벤트를 전기 프로그램 가이드 또는 Java 프로그램에 의해 등록되는 필터 다음의 방송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배송한다. 특히,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 및 동조되고 있는 MPEG 전송 스트림과 별개로, Java 프로그램이 키배송 목적지를 강제로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서술된 실시예에서, 상기 효과를 유지하는 변형예가 가능하다.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재생되는 서비스의 채널 식별자에 대해서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에 문의하여, 판정 결과를 얻도록 키이벤트와 획득된 채널 식별자를 이벤트 필터 콜링 유닛(3101)에 전달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배송 목적지인 방송 시스템을 판정하기에 정보가 충분하기만 하면, 이벤트 필터 콜링 유닛(3101)에 다른 파라미터를 전달함으로써 문의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의 채널 식별자에 대해서 채널 식별자 보유 유닛을 문의할 뿐 아니라, 이벤트 필터 콜링 유닛(3101)에 키 이벤트를 전달함으로써,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이 판정 결과를 획득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실행가능하고, 이벤트 필터는 리턴 값으로서 키이벤트의 배송 목적지를 갖는 방법 EventFilter.filter(Eventevt)을 갖는다.
따라서, 리턴값이 0인 경우에, 제2 실시예의 방법 또는 제3 실시예의 방법과 유사하게,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판정하도록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 서술된 몇몇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행 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 의 요지가 실현되기만 하면 다른 실행 예는 실행가능하다.
현채널 판정 유닛(1801)은 키입력시에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속하는 방송 시스템을 판정하고, 이벤트 배송 유닛(1802)이 입력된 키 이벤트의 배송 목적지를 전환하는 것을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현채널 판정 유닛(1801)에 의해 전환 목표로서 판정되고, 이벤트 배송 유닛(1802)에 의해 전환되는 배송 목적지가 키이벤트의 배송 목적지가 아니라, 임의의 이벤트의 배송 목적지이고, 임의의 리소스의 지정 목적지인 경우라도, 본 발명은 적용가능한 것에 주의해야 한다.
상기 서술된 실시예에서, 현채널 판정 유닛은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의 동작과 독립하여, 현재 재생중인 서비스가 케이블 방송의 서비스인지 지상파 방송의 서비스인지 판정한다. 그러나, 이 대신에, 현채널 판정 유닛이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의 판정 결과를 사용하도록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채널 식별자 판정 유닛의 판정 결과가 임시로 저장되고, 현채널 판정 유닛은 이것을 판독하여 판정결과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용 구성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의 유형과 별개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위성 시스템, 지상파 시스템, IP 네트워크 등을 사용하는 TV 쇼 프로그램 배송 시스템에 쉽게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방송 시스템 사이의 차이에 대해 직접적인 관계를 갖지 않고, 방송 시스템에 상관없이 임의의 송신 매체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시스템이 유선 또는 무선 시스템인지에 상관없이 또한 적용가능하다.
AV 디코더가 비디오와 오디오를 동시에 복호하는 것이 필요하지는 않다. AV 디코더가 별개의 비디오와 오디오 디코더로 구성되어도 본 발명은 실행가능하다. 또한, AV 디코더는 클로즈드캡션 등의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을 제어하는 어댑터가 도입되는 예가 제공되었지만, 어댑터는 본 발명의 실행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어댑터는 임의의 포맷일 수 있고, 어댑터없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도 15에서, 튜너로부터 MPEG-2 전송 스트림이 TS 디코더에 직접 입력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어댑터에 의한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의 해제가 TS 디코더전에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어댑터가 임의의 위치에 있고,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을 해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이 쉽게 실행가능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는 방송수신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외부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는 방송수신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와 스피커의 위치와 수에 상관없이, 본 발명은 적용가능하다.
CPU 자체가 TS 디코딩 및 AV 디코딩의 하나 또는 모두의 처리를 행하는 시스템이어도, 본 발명은 실행가능하다.
몇몇 Java 머신은 바이트코드를, CPU에 의해 해석가능한 실행 가능한 형태로 번역하여, 그 결과를 CPU에 전달하여, 그것을 실행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을 이들 실시예에서 기재하였다. 그러나, ROM에 미리-저장된 프로그램으로 시작하는 것, 제2 저장 유닛 에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시작하는 것 등의 방법도 가능하다.
DSMCC 파일 시스템 및 AIT 파일의 기록 포맷은 임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일의 DSMCC 섹션을 독특한 포맷으로 기록하는 방법으로 MPEG-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AIT 섹션을 필터링하여 획득하는 방법을 결합하는 경우라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일의 AIT 섹션을 독특한 포맷으로 기록하는 방법으로 MPEG-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DSMCC 섹션을 필터링하여 획득하는 방법을 결합하는 경우라도 실행될 수 있다.
단말장치가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케이블 방송 시스템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이들 방송 신호가 단일의 일반적인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수신 및 재생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장치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용 하드웨어 구성과 지상파 방송 시스템용 하드웨어 구성의 2개의 별개의 하드웨어 구성을 준비할 수 있다.
오직 몇 개의 실시예만이 상기에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지만, 본 기술에서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의 진의와 장점을 벗어나지 않으면 보기의 실시예에서 많은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즉시 알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이러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소비자 장치 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케이블 STB, 디지털 TV 등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장치, 예를 들면 휴대폰 등에 또한 적용가능하다.

Claims (10)

  1. 각각 서로 다른 복수의 방송 사양에 따라서 각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로서,
    서로 다른 콘텐츠를 각각 재생하기 위해 병렬로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재생 환경;
    상기 복수의 재생 환경 중에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제1 재생 환경 식별 유닛; 및
    상기 제1 재생 환경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된 상기 재생 환경에 명령의 상세를 나타내는 키 입력 정보를 배송하는 배송 유닛을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방송 사양에 따르는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를 선택하는 선택 유닛;
    상기 복수의 재생 환경 중에서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제2 재생 환경 식별 유닛; 및
    상기 제2 재생 환경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된 상기 재생 환경으로 하여금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재생 환경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 환경 식별 유닛은, 각각의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복수의 콘텐츠 식별자에 복수의 방송 사양을 각각 관련시킨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재생 환경 중에서,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자와 관련되는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주파수를 나타내는 하나의 동조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재생 환경 식별 유닛은, 주파수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동조 정보에 복수의 방송 사양을 각각 관련시킨 테이블을 참조하여, 방송 사양에 따르는 상기 재생 환경 중에서,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동조 정보와 관련되는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콘텐츠를 재생하는데 적용되고 있는 패킷 식별자를 나타내는 하나의 복호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재생 환경 식별 유닛은, 패킷 식별자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복호 정보에 복수의 방송 사양을 각각 관련시킨 테이블을 참조하여, 방송 사양에 따르는 상기 재생 환경 중에서,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복호 정보와 관련되는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자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재생 환경 식별 유닛은, 콘텐츠를 각각 식별하는 복수의 콘텐츠 식별자에 복수의 방송 사양을 각각 관련시킨 테이블을 참조하여, 방송 사양에 따르는 상기 재생 환경 중에서,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콘텐츠 식별자와 관련되는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환경 중에서 키 입력 정보가 배송된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배송 목적지 식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송 유닛은 상기 배송 목적지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된 상기 재생 환경에 상기 키 입력 정보를 배송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
  8. 각각 서로 다른 복수의 방송 사양에 따라서 각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로서,
    서로 다른 콘텐츠를 각각 재생하기 위해 병렬로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재생 환경;
    복수의 방송 사양에 따르는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를 선택하는 선택 유닛;
    상기 복수의 재생 환경 중에서,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재생 환경 식별 유닛; 및
    상기 재생 환경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된 상기 재생 환경으로 하여금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재생 환경 설정 유닛을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장치.
  9. 각각 서로 다른 복수의 방송 사양에 따라서 각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콘텐츠를 각각 재생하기 위해 병렬로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재생 환경 중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재생 환경 식별 단계; 및
    명령의 상세를 나타내는 키 입력 정보를 상기 재생 환경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재생 환경에 배송하는 배송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방법.
  10. 각각 서로 다른 복수의 방송 사양에 따라서 각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의도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서로 다른 콘텐츠를 각각 재생하기 위해 병렬로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재생 환경 중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재생 환경을 식별하는 재생 환경 식별 단계; 및
    명령의 상세를 나타내는 키 입력 정보를 상기 재생 환경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재생 환경에 배송하는 배송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KR1020077029784A 2005-06-23 2006-06-15 프로그램 실행 장치 및 실행 방법 KR200800206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304005P 2005-06-23 2005-06-23
US60/693,040 2005-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632A true KR20080020632A (ko) 2008-03-05

Family

ID=3702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784A KR20080020632A (ko) 2005-06-23 2006-06-15 프로그램 실행 장치 및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90775A1 (ko)
KR (1) KR20080020632A (ko)
CA (1) CA2609827A1 (ko)
WO (1) WO20061374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5099250A1 (ja) * 2004-04-06 2008-03-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実行装置
CN101208750B (zh) * 2005-05-31 2011-12-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和再现装置以及记录和再现方法
JP2009520380A (ja) * 2005-12-19 2009-05-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
US20070140651A1 (en) * 2005-12-19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pparatus
CA2633007A1 (en) * 2005-12-19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US7803998B2 (en) * 2005-12-21 2010-09-28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ifying flower development
KR20070074782A (ko) * 2006-01-10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tv와 디지털 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04061A (ko) *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이 가능한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방송 신호 처리방법
EP2259591A4 (en) * 2008-03-28 2013-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ATA FOR APPLICATIONS PROVIDING AN IP TELEVISION COMMUNICATIONS SERVICE
BRPI0803717A2 (pt) * 2008-09-03 2010-06-15 Tqtvd Software Ltda sistema de execução de aplicativos para televisão digital, aparato de execução de aplicativos para televisão digital e método para implementar tal sistema
US8374180B2 (en) * 2009-10-26 2013-02-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N103220479B (zh) * 2013-04-08 2016-08-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处理的方法和装置
KR20150017973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설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1121A (en) * 1985-10-16 1991-02-05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display system
US20030142955A1 (en) * 1997-09-12 2003-07-31 Aki Hashizume Apparatus for correcting an abnormality of video signal of a video system, it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method
JP2000358217A (ja) * 1999-06-14 2000-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ビデオ記録再生装置
JP2002238003A (ja) * 2000-12-07 2002-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再生用ミドルウェア選択実行装置および方法
JP3818575B2 (ja) * 2001-09-19 2006-09-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3747884B2 (ja) * 2002-05-23 2006-02-22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記録再生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657152B2 (en) * 2002-05-28 2010-02-02 Panasonic Corporation Broadcast playback and/or recording apparatus
US20040210949A1 (en) * 2003-04-21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reception and playback apparatus, data reception and playback method, and data reception and playback processing program
EP1526714A1 (en) * 2003-08-06 2005-04-27 Matsu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7760757B2 (en) * 2003-08-06 2010-07-20 Panasonic Corporation Service executing apparatus
JP4124110B2 (ja) * 2003-11-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視聴支援装置及びコンテンツ視聴支援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25449B2 (ja) * 2004-03-19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記録媒体
US7831728B2 (en) * 2005-01-14 2010-11-09 Citrix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al-time seeking during real-time playback of a presentation layer protocol data stream
CN101185326A (zh) * 2005-05-27 2008-05-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广播记录和再现装置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90775A1 (en) 2006-12-28
WO2006137463A1 (en) 2006-12-28
CA2609827A1 (en)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0632A (ko) 프로그램 실행 장치 및 실행 방법
US7962001B2 (en)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US7590331B2 (en) Broadcast recording apparatus
US8745632B2 (en)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nd program execution method for resource reservation
US7840116B2 (en)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US20060280443A1 (en) Broadcast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9264757B2 (en) Service executing apparatus
US20070157263A1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US20070140651A1 (en) Recording apparatus
US20070140650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20070022208A1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US200500442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70011357A1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US20070154172A1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MX2007014828A (es) Aparato de ejecucion de programas y metodo de ejecucion.
JP2006345505A (ja) 放送蓄積端末
MX2007008411A (es) Aparato de grabacion de transmisi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