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083A - 기록 및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및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083A
KR20080015083A KR1020077026643A KR20077026643A KR20080015083A KR 20080015083 A KR20080015083 A KR 20080015083A KR 1020077026643 A KR1020077026643 A KR 1020077026643A KR 20077026643 A KR20077026643 A KR 20077026643A KR 20080015083 A KR20080015083 A KR 20080015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rogram
playback
content
program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가와카미
시게아키 와타나베
유키 호리이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5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7Implementing a Virtual Machine [V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3Digital Storage Media - Command and Control Protocol [DSM-C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5Content authoring for genera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Abstract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에, 각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 다른 트릭 플레이를 명령하면, 각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기대되는 이상적인 재생 상태와 실제의 재생 상태 사이에 차이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정상 재생 또는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에 대응하여, 규칙에 따라서 명령을 수용할 것인지 아닌지 판정하고, 명령을 수용하는 경우에, 명령에 의해 특정된 상세를 보유하는 동화상 트릭 플레이 재생 관리부(2501), 및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에 의해 보유된 상세에 기초하여 동화상을 재생하는 동화상 재생 처리부(2502)를 포함하여, 정상 재생 또는 트릭 플레이가 수용되지 않는 한 재생 상태가 변경되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기록 및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방법{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콘텐츠를 축적하여, 축적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트릭 플레이 처리에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사용하는 독점적인 트릭 플레이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콘텐츠가 방송국에서 송신된 방송파에 포함된다. 통상적인 텔레비젼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와 다르게, 데이터가 콘텐츠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데이터를 송신하는 몇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는 데이터를 시간상으로 송신하는 방법과 세트 간격당 데이터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데이터를 시간상으로 송신하는 전자의 방법에서, 예를 들면, 연속되는 데이터가 시간이 지나면서 순차적인 순서로 송신된다. 이 방법은 대량의 데이터를 장기간에 걸쳐 송신하는데 적합하지만, 송신된 시각에 수신될 수 없었던 데이터는 다시 수신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데이터를 세트 간격으로 반복하여 송신하는 후자의 방법에서, 동일한 데이터가 고정된 구간 동안 임의의 횟수 반복하여 송신된다. 이 방법은 동일한 데이터가 송신되는 구간 동안, 반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중 하나를 수신하는 것이 허용되는 이점을 가지므로, 수신 시각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BML로 대표되는 데이터 방송, DSMCC 데이터 주기전송(carousel)이 이 방법의 예이다. 특히, 방송에서는, 언제 수신자가 채널을 선택하여, 수신을 시작할 지 알려져 있지 않다. 데이터를 시간상으로 송신하는 방법에서는, 송신 시각 이후 수신이 개시되어 데이터의 획득이 실패할 때, 데이터는 재획득될 수 없다. 그러므로, 방송파로 비디오 및 오디오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 세트 간격당 데이터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현재, 상기 방법에서와 같이, 비디오, 오디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비디오 및 오디오와 동기하여 실행하는 사양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송신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단말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로드하여, 정상적인 비디오 및 오디오를 단순히 시청하기보다는 로드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송신하여, 단말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것을 "다운로딩"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브로드캐스팅 - 멀티미디어 홈 플랫폼(DVB-MHP) ETSI ES 201 812 V1.1.1(2003-12)으로 불리는 사양이 유럽에서 개발되고, 이 사양에 따르는 연산들이 이미 시작되어 왔다.
또한, 미국에서 케이블 방송 환경에서 동일한 사양을 제공하는, OCAP 1.0(Open Cabel Application Platform OC-SP-OCAP1.0-I14-050119) 사양은 미국에서 개발되고, 실제로 연산들이 설정되어 2005년에 시작되었다. 이들 사양들에서, 애플리케이션은 Java 언어로 작성된다. 단말에서, 튜닝과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위한 각종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가 제공되므로, Java 애플리케 이션은 API를 호출하여 이들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북미에서, OCAP 사양에 콘텐츠를 기록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 OCAP-DVR 사양(OC-SP-OCAP-DVR-I01-040524)이 개발중에 있다. 이것은 방송되는 콘텐츠(비디오, 오디오 및 애플리케이션)를 기록하고, 방송되는 콘텐츠뿐 아니라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OCAP-DVR에 있어서, 하드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과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가능한 저장 매체에 방송 콘텐츠를 기록함으로써 콘텐츠의 트릭 플레이가 실행된다. 여기서, 트릭 플레이란, 임의의 속도로, 임의의 위치로부터, 고속 감기(fast-forward), 되감기, 슬로우 모션, 포즈 및 스킵과 같이,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기능을 참조한다.
OCAP-DVR에 있어서, 방송파로부터 단말에 얻어진 애플리케이션은 기록 및 트릭 플레이를 위해 단말에 API를 정의함으로써, 기록 및 콘텐츠의 트릭 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JMP(Java Media Framework)가 트릭 플레이에 대해 사용된다. JMF는, Java 언어로 설계되고, 비디오 및 오디오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 API이다. 각종 명령을 플레이어라고 불리는 클래스에 송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은 트릭 플레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트릭 플레이를 실행하는 기술은 특허 번호 "EP 0 692 123"에 기술되어 있다. 특히, 이것은 비디오 및 오디오(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주로 소프트웨어)를 쉽게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간 개념을 물리적 및 개념적으로 적분함으로써, 콘텐츠의 원래의 시간 축과 재생 장치에 의해 사용된 실제의 시간 축 사이의 일치를 쉽게 실행할 수 있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시간에 실행되는 경우에,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 콘텐츠에서 다른 트릭플레이를 실행할 것을 명령하면, 각각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의도된 이상적인 재생 상태와 실제의 재생상태 사이에 차이가 생긴다.
특정 프로그램이 링크된 애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램이 링크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에, 이 문제는 분명하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에 링크된 애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의 트릭 플레이의 최적의 명령 시각을 알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최적의 명령 시각에 트릭 플레이를 실행할 것을 명령하는 동안, 프로그램에 링크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트릭 플레이에 대해 다른 명령을 송신하면, 최적의 트릭 플레이 결과가 얻어질 수 없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별도로 동일한 비디오 및 오디오에서, JMF로 표현되는 주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트릭 플레이를 실행할 것을 명령하는 경우에,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송신된 트릭 플레이 명령을 방지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기대하지 못한 재생 상태가 만들어진다. 그 결과, 애플리케이션의 기대하지 못한 동작 및 단점이 생겨서 최적의 트릭 플레이 결과가 얻어질 수 없다.
상기 서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록 및 재생 장치는, 방송파에 포함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과 함께 소정의 서비스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이다.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수신된 콘텐츠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되는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수신하여, 수신된 재생 속도에 있도록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재생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미 수용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정상 재생으로 요구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새로운 재생 속도를 요구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에, 새로운 재생 속도 요구를 받으면, 상기 재생 속도 제어부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새로운 재생 속도 요구를 수용한다.
따라서, 트릭 재생을 수신하지 않는 한 재생 상태는 변경될 수 없다. 그러므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대하지 못한 동작 또는 단점이 방지될 수 있고, 최적의 트릭 플레이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혼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록 및 재생 장치는 방송파에 포함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과 함께 소정의 서비스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이다.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수신된 콘텐츠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수신하여, 수신된 재생 속도에 있도록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재생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미 수용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정상 재생으로 요구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새로운 재생 속도를 요구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른 경우에, 새로운 재생 속도 요구를 받으면, 상기 재생 속도 제어부는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과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을 비교하여, 더 높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된 재생 속도에 있도록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재생 속도가 변할 때, 낮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재생 상태가 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대하지 못한 동작 또는 단점이 방지될 수 있고, 최적의 트릭 플레이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혼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재생 속도 제어부는,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속하는 서비스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와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속하는 서비스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른 서비스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고,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서비스에 속하지 않은 경우에,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재생 속도 변경 요구를 거절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재생 속도를 바꿀 때,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동일한 서비스에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만이 재생 상태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재생 속도 제어부는,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속하는 서비스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와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속하는 서비스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른 서비스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고,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서비스에 속하는 경우에,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이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보다 높을 때,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된 재생 속도에 있도록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재생 속도를 변경하는 동안, 낮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그 재생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이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과 동일한 경우에,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된 재생 속도에 있도록 재생 속도 제어부는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동일한 우선도 레벨을 갖는 경우라도 시청자가 혼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되고 있는, 이미 수용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는 정상 재생에 대한 재생 속도와 다른 재생 속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록 및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방법 또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실현될 수 있다.
[이 출원의 기술 배경에 관한 더 많은 정보]
2005년 5월 3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685377와 2005년 12월 23일에 출원된 번호 60/752887의 개시는, 명세서, 도면 및 청구범위를 각각 포함하여 그 전체가 여기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이익 및 특징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분명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케이블 텔레비젼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 텔레비젼 시스템의 헤드 및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의 일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 텔레비젼 시스템의 헤드 및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의 일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 텔레비젼 시스템의 헤드 및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의 일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 텔레비젼 시스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 텔레비젼 시스템의 단말 장치의 외관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프런트 패널 형태로 구성된 경우에 입력부(513)의 외관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MPEG 표준에서 규정된 패킷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MPEG-2 전송 스트림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서, 단말 장치(5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서, 디스플레이(509)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스크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2 저장부(510)에 저장된 정보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저장부(511)에 저장된 정보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서, 디스플레이(509)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스크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저장부(511)에 저장된 정보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서, 디스플레이(509)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스크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서, MPEG-2 표준에 규정된 PAT의 상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서, MPEG-2 표준에 규정된 PMT의 상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서, OCAP1.0 표준에 규정된 AIT의 상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서, DSMCC 포맷으로 송신된 파일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서, XAIT의 상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서, 디스플레이(509)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스크린의 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저장부(511)에 저장된 정보 예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저장부(511)에 저장된 정보 예를 나타낸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서, JMF(1205a)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저장부(511)에 저장된 정보 예를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라서, 동화상 발생 속도 관리부의 특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라서, 동화상 재생 처리부의 특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도 30은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도 31은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저장부(511)에 저장된 정보 예를 나타낸다.
도 33은 제2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도 34는 제3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도 35는 제4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도 36은 제4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도 37은 제5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도 38은 제5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저장부(511)에 저장된 정보 예를 나타낸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저장부(511)에 저장된 정보 예를 나타낸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저장부(511)에 저장된 정보 예를 나타낸다.
도 42는 제6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도 43은 제6 실시예에 따르는 기록 예약 처리의 특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제7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도 45는 제7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도 46은 제7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저장부(511)에 저장된 정보 예를 나타낸다.
도 48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저장부(511)에 저장된 정보 예를 나타낸다.
도 49는 제8 실시예에 따르는 케이블 텔레비젼 시스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은 제8 실시예에 따르는 AIT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제8 실시예에 따르는 XAIT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2는 제8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우도이다.
종래의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 나에 대한 명령에 따라서, 명령을 수용할 것인지 아닌지, 규칙에 따라서 결정하고, 명령을 수용하는 경우에, 수용된 명령에 의해 특정된 상세를 보유하는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 및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에 의해 보유된 상세에 기초하여 동화상을 재생하는 동화상 재생 처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를 수신하지 않는 한, 재생 상태는 변경될 수 없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을 더 수용하고, 수용된 명령에 의해 특정된 상세를 보유하면서, 다른 프로그램에 의한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은 수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재생 속도가 변경되는 동안, 재생 상태가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을 더 수용하고, 수용된 명령에 의해 특정된 상세를 보유하면서, 그 프로그램과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른 프로그램에 의한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은 수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재생 속도가 변경되는 동안, 그 프로그램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프로그램만이 재생상태를 바꿀 수 있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을 더 수용하고, 수용된 명령에 의해 특정된 상세를 보유하면서, 그 프로그램과 다른 서비스에 속하는 다른 프로그램에 의한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은 수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재생 속 도가 변경되는 동안, 그 프로그램과 동일한 서비스에 속하는 프로그램만이 재생상태를 바꿀 수 있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을 더 수용하고, 수용된 명령에 의해 특정된 상세를 보유하면서, 그 프로그램과 다른 식별자를 갖는 다른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은 수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재생 속도가 변경되는 동안, 그 프로그램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프로그램만이 재생상태를 바꿀 수 있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을 더 수용하고, 수용된 명령에 의해 특정된 상세를 보유하면서, 그 프로그램보다 낮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다른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은 수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재생 속도가 변경되는 동안, 더 낮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프로그램이 그 재생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을 더 수용하고, 수용된 명령에 의해 특정된 상세를 보유하면서, 다른 서비스에 속하고, 그 프로그램보다 낮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다른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은 수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재생 속도를 변경하는 동안, 동일한 서비스에 속하고 더 높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프로그램만이 그 재생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하나 이상의 소정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만을 또한 수용한다. 따라서, 특정 프로그램과는 다른 프로그램이 재생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방송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소정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만을 더 수용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재생 속도를 변경하는 동안, 방송되는 특정 콘텐츠와 다른 콘텐츠에 포함된 프로그램이 재생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기록된 콘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소정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만을 또한 수용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재생 속도를 변경하는 동안, 기록되는 특정 콘텐츠와 다른 콘텐츠에 포함된 프로그램이 재생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추상 서비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소정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만을 또한 수용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재생 속도를 변경하는 동안, 특정 추상 서비스와 다른 콘텐츠에 포함된 프로그램이 재생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특정 범위 내의 식별자를 갖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만을 또한 수용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재생 속도를 변경하는 동안, 특정 범위의 식별자를 갖는 프로그램만이 그 재생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에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을 송신하는 권한을 관리하는 예약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예약 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권한을 갖는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만을 수용한다. 따라서, 권한을 가지지 않는 프로그램이 재생 속도를 변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프로그램으로부터 트릭 플레이에 대한 명령을 더 수용하고, 수용된 명령에 의해 특정된 상세를 보유하면서, 다른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정상 재생 및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은 수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트릭 플레이를 행하는 동안, 다른 프로그램이 재생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화상 재생 처리부에 동화상을 재생할 것을 명령하는 프로그램에 트릭 플레이에 대한 명령을 주는 권한을 제공하고, 프로그램이 동화상 재생 처리부에 동화상의 재생을 정지할 것을 명령하는 경우에, 트릭 플레이에 대한 명령을 주는 권한을 제거하는 기록 예약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예약 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권한을 갖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 및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만을 수용한다. 따라서, 콘텐츠 재생을 명령한 프로그램이 트릭 플레이를 행하는 동안, 다른 프로그램이 재생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화상 재생 처리부에 동화상을 재생할 것을 명령하는 프로그램에 트릭 플레이에 대한 명령을 주는 권한을 제공하고, 프로그램이 동화상 재생 처리부에 동화상의 재생을 정지할 것을 명령하는 경우에, 트릭 플레이에 대한 명령 을 주는 권한을 제거하는 기록 예약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예약 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권한을 갖는 프로그램에 포함된 서비스에서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 및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만을 수용한다. 따라서, 콘텐츠 재생을 명령한 프로그램이 트릭 플레이를 행하는 동안, 다른 프로그램이 재생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되는 동화상을 식별하는 프로그램에 트릭 플레이에 대한 명령을 주는 권한을 제공하기 위해, 재생되는 동화상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용하고, 프로그램이 동화상의 선택을 취소할 것을 명령하는 경우에, 트릭 플레이에 대한 명령을 주는 권한을 제거하는 동화상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동화상 선택부에 의해 관리되는 권한을 갖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 및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만을 수용한다. 따라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선택을 명령한 프로그램이 트릭 플레이를 행하는 동안, 다른 프로그램이 재생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되는 동화상을 식별하는 프로그램에 트릭 플레이에 대한 명령을 주는 권한을 제공하기 위해, 재생되는 동화상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용하고, 프로그램이 동화상의 선택을 취소할 것을 명령하는 경우에, 트릭 플레이에 대한 명령을 주는 권한을 제거하는 동화상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는 동화상 선택부에 의해 관리되는 권한을 갖는 프로그램에 포함된 서비스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정상 재생 및 트릭 플레이 중 하나에 대한 명령만을 수용한다. 따라서, 콘텐츠 재생을 명령한 프로그램이 트릭 플레이를 행하는 동안, 다른 프로그램이 재생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동화상 재생 장치로서, 이 동화상 재생 장치에 포함된 특징부를 단계로서 갖는 프로그램 실행 방법으로서, 또는 컴퓨터가 이러한 단계들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CD-ROM 등의 기록 매체 및 인터넷 등의 전송 매체를 통해 배포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동화상 재생 장치는 정상 재생 또는 트릭 플레이가 수신되지 않으면 재생 속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트릭 플레이 결과가 얻어질 수 없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대하지 못한 동작 및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하고, 시청자의 유용성을 증가시키고, 프로그램 생성기가 예상해야 하는 상황의 발생을 감소시키므로, 프로그램이 쉽게 생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헤드 엔드(101)와, 기록 및 재생 장치들인 3개의 단말 장치들: 단말 장치 A(111), 단말 장치 B(112) 및 단말 장치 C(113)인 케이블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3개의 단말 장치들은 하나의 헤드 엔드에 접속되어 있지만, 임의의 수의 단말 장치가 헤드 엔드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헤드 엔드(101)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와 같은 방송 신호를 복수의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헤드 엔드(101)와 단말 장치 A(111), 단말 장치 B(112) 및 단말 장치 C(113)와의 사이의 데이터 송신의 사용을 위해 주파수 대역이 분할된다. 도 2는 분할된 주파수 대역의 일례를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대역외(OOB로 축약)와 대역내의 2유형으로 주파수 대역은 나뉜다. 5∼130㎒의 주파수 대역이 헤드 엔드(101)와 단말 장치 A(111), 단말 장치 B(112) 및 단말 장치 C(113)와의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주로 사용되도록 OOB에 할당된다. 130㎒∼864㎒의 주파수 대역은 비디오 및 오디오를 포함하는 방송 채널용으로 주로 사용되도록 대역내에 할당된다. QPSK는 OOB로 사용되지만, QAM64는 변조 방식은 대역내로 사용된다. 변조 방식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관련이 적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OOB 주파수 대역의 더욱 구체적인 사용예를 도시한다. 70㎒∼74㎒의 주파수 대역은 헤드 엔드(101)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에, 모든 단말 장치 A(111), 단말 장치 B(112), 및 단말 장치 C(113)는 헤드 엔드(101)로부터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10.0㎒∼10.1㎒의 주파수 대역은 단말 장치 A(111)로부터 헤드 엔드(10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10.1㎒∼10.2㎒의 주파수 대역은 단말 장치 B(112)로부터 헤드 엔드(10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10.2㎒∼10.3㎒의 주파수 대역은 단말 장치 C(113)로부터 헤드 엔드(10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단말 장치 A(111), 단말 장치 B(112) 및 단말 장치 C(113)로부터 헤드 엔드(101)에 각 단말 장치에 고유한 데 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대역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150∼156㎒ 및 156∼162㎒의 주파수 대역이 각각 텔레비전 채널 1 및 텔레비전 채널 2에 할당되고, 이후의 주파수들이 6㎒ 간격으로 텔레비전 채널들에 할당된다. 310㎒ 및 이후의 주파수들은 1㎒ 간격으로 라디오 채널들에 할당된다. 상기 채널들은 각각 아날로그 방송이나 디지털 방송 중 어느 하나에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의 경우에, 데이터가 MPEG2 규격에 부합하는 전송 패킷 포맷으로 송신되고, 그러한 경우에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부가하여 여러 가지 데이터 방송 시스템용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헤드 엔드(101)에는 각각의 주파수 범위에 적합한 방송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QPSK 변조부, QAM 변조부 등이 설치된다. 또한, 헤드 엔드(101)에는 단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QPSK 복조부가 설치된다. 또한, 헤드 엔드(101)에는 상기 변조부들과 복조부에 관련된 여러 가지 장치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주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 장치 A(111), 단말 장치 B(112), 및 단말 장치 C(113)는 헤드 엔드(101)로부터 송신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또한, 단말 장치 A(111), 단말 장치 B(112), 및 단말 장치 C(113)는 각 단말 장치의 고유한 데이터를 헤드 엔드(101)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3개의 단말 장치는 동일한 구성을 가져야 한다.
도 5는 방송되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기능과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500은 QAM 복조부(501), QPSK 복조부(502), QPSK 변조부(503), TS 디코더(505), 오디오 디코더(506), 스피커(507), 비디오 디코더(508), 디스플레이(509), 2차 기억부(510), 1차 기억부(511), ROM(512), 입력부(513), CPU(514), 오디오 인코더(520), 비디오 인코더(521), 및 멀티플렉서(522)로 구성되어 있는 단말 장치이다. 또한, POD(504)는 단말 장치(500)에 탈착 가능하다.
도 6은 단말 장치(500)의 외관의 일례인 박형 텔레비전을 도시한다.
601은 박형 텔레비전의 하우징이며, 여기에 POD(504)를 제외한 단말 장치(5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내장된다.
602는 도 5의 디스플레이(509)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이다.
603은 도 5의 입력부(513)에 대응하고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정면 패널부이다.
604는 헤드 엔드(101)로부터 신호들을 송/수신하기 위해 케이블선이 접속되는 신호 입력 단자이다. 신호 입력 단자는 도 5에 도시되는 QAM 복조부(501), QPSK 복조부(502), 및 QPSK 변조부(503)에 접속된다.
605는 도 5의 POD(504)에 대응하는 POD 카드이다. POD(504)는 단말 장치(500)와 무관하게 구현되고, 도 6의 POD 카드(605)의 경우에서와 같이, 단말 장치(500)에 탈착 가능하다. POD(504)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606은 POD 카드(605)가 삽입되는 삽입 슬롯이다.
도 5를 참조하면, QAM 복조부(501)는 CPU(514)에 의해 특정되는 주파수를 포함하는 튜닝(tuning) 정보에 따라, 헤드 엔드(101)에서 QAM 변조되어 송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그 결과를 POD(504)에 전달한다.
QPSK 복조부(502)는 CPU(514)에 의해 특정되는 주파수를 포함하는 튜닝 정보에 따라 헤드 엔드(101)에서 QPSK 변조되어 송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그 결과를 POD(504)에 전달한다.
QPSK 변조부(503)는 CPU(514)에 의해 특정되는 주파수를 포함하는 변조 정보에 따라 POD(504)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QPSK 변조하여, 그 결과를 헤드 엔드(101)에 송신한다.
도 6의 605에서와 같이, POD(504)는 단말 장치(500)의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단말 장치(500)의 본체와 POD(504) 사이의 접속 인터페이스의 정의는 OpenCable(TM) HOST-POD Interface Specification (OC-SP-HOST-POD-IF-I12-030210) 및 이러한 사양을 참조하는 사양으로 부여된다. POD는 일반적으로 CableCARD라고 불린다. POD(504)는 헤드 엔드(101)로부터 송신된 부호화된 신호에 주로 복호화처리(일반적으로 조건 접속 즉, CA라고 칭한다)를 행하고, 헤드 엔드(101)와 단말 장치(500) 사이의 쌍방향 통신에 대한 중간 처리를 행한다. 헤드 엔드(101)로부터 송신된 부호화된 신호의 복호화에 있어서, POD(504)는 QAM 복조부(50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가 부호화되어 있는 경우에 수신된 신호를 복호한다. POD(504)는 복호화된 신호를 단말 장치(500)의 TS 디코더(505)에 송신한다.
어떠한 복호화 방법도 이용가능하지만, 사용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알려지 지 않은 것으로 단말 장치(500)의 제조자라도 사용된 방법을 모르는 경우도 일반적이다. 또한, 헤드 엔드(101)와 단말 장치(500) 사이의 쌍방향 통신에 대한 중간 처리에서, 단말의 메인 바디(500)는, POD(504)의 접속 인터페이스로 정의되는 기능을 사용하여 헤드 엔드(101)와 쌍방향 통신을 간접적으로 허용하는 처리를 행한다. POD(504)와 헤드 엔드(101) 사이의 쌍방향 통신을 허용하는 방법은 사양에 규정되어 있는 방법과, POD(504)와 헤드 엔드(101) 각각의 제조자(각각의 제조자가 동일한 경우가 있다) 사이의 특별한 계약에 의해 규정된 방법으로서 결정된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과 관계가 적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S 디코더(505)는 POD(504)로부터 수용된 신호에 대해 필터링을 실행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CPU(514)에 의해 특정된 출력 목적지에 출력한다. 출력 목적지는 오디오 디코더(506), 비디오 디코더(508) 및 CPU(514)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에서, POD(504)로부터 전송된 신호는 MPEG2 전송 스트림이다. MPEG2 전송 스트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MPEG 규격 ISO/IEC138181-1에서 제공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서 생략한다. MPEG2 전송 스트림은 복수의 고정 길이 패킷으로 구성되며, 패킷 ID가 각 패킷에 할당되어 있다.
도 8은 패킷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800은 고정 길이 188바이트를 갖는 패킷이다. 상위 4바이트는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헤더(801)이고, 나머지 184바이트는 송신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802)이다. 803은 헤더(801)의 명세를 도시한다. 패킷 ID는 제1 비트로부터 제12∼제24 비트까지의 13비트에 포함된다.
도 9는 송신될 복수의 패킷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패킷(901)은 헤더에 패킷 ID "1"을 갖고, 페이로드에 비디오 A의 제1 정보를 포함한다. 패킷(902)은 헤더에 패킷 ID "2"를 갖고, 페이로드에 오디오 A의 제1 정보를 포함한다. 패킷(903)은 헤더에 패킷 ID "3"을 갖고, 페이로드에 오디오 B의 제1 정보를 포함한다. 패킷(904)은 헤더에 패킷 ID "1"을 갖고, 페이로드에 비디오 A의 제2 정보를 포함하며, 이것은 패킷(901)의 후속 정보이다. 유사하게, 패킷들(905, 926, 927)은 다른 패킷들의 후속 데이터를 갖고 있다. 상기 방법으로 동일한 패킷 ID를 갖는 패킷들의 페이로드의 콘텐츠를 연결함으로써, 연속적으로 비디오 및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CPU(514)가 패킷 ID "1" 뿐만 아니라 출력 수신지로서 "비디오 디코더(508)"를 TS 디코더(505)에 나타낼 때, TS 디코더(505)는 POD(504)로부터 수신된 MPEG2 전송 스트림에서 패킷 ID "1"을 갖는 패킷들을 추출하여, 이것을 비디오 디코더(508)에 전달한다. 따라서, 도 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만이 비디오 디코더(508)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도 5에서, 비디오 데이터만이 비디오 디코더(508)에 전달된다. 동시에, CPU(514)가 패킷 ID "2" 뿐만 아니라 "오디오 디코더(506)"을 TS 디코더(505)에 나타낼 때, TS 디코더(505)는 POD(504)로부터 수신된 MPEG2 전송 스트림에서 패킷 ID "2"를 갖는 패킷들을 추출하여, 이들을 오디오 디코더(506)에 전달한다. 그러므로, 도 5에서, 오디오 데이터만이 오디오 디코더(506)와 CPU(514)로 전달된다.
이러한 패킷 ID에 따르는 필요한 패킷들만 추출하는 처리는 TS 디코더(505) 에 의해 실행되는 필터링에 대응한다. TS 디코더(505)는 CPU(514)로부터의 명령 시에 따라서 동시에 하나 이상의 필터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오디오 디코더(506)는 TS 디코더(505)에 의해 제공되는 MPEG2 전송 스트림의 패킷들에 매립된 오디오 데이터를 연결하고, 그 결과를 소정의 출력 목적지 또는 CPU(154)에 의해 표시된 출력 목적지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는 MPEG 오디오 사양 ISO/IEC13818-3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MPEG 오디오이다. 오디오 디코더는 MPEG 오디오 디코더로서 실장되어, 정상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CPU(154)는 출력 목적지로서, 스피커(507) 또는 오디오 인코더(506)를 지정한다.
스피커(507)는 오디오 디코더(506)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를 오디오로서 출력한다.
비디오 디코더(508)는 TS 디코더(505)에 의해 제공되는 MPEG2 전송 스트림의 패킷에 매립된 비디오 데이터를 연결하고, 연결된 데이터에 대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을 실행하며, 그 결과를 소정의 출력 목적지 또는 CPU(154)에 의해 표시된 출력 수신지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는 MPEG 비디오 사양 ISO/IEC13818-2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MPEG 비디오이고, 비디오 디코더는 MPEG 비디오 디코더로서 실장되어, 통상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CPU(154)는 출력 목적지로서, 디스플레이(509) 또는 비디오 인코더(2102)를 지정한다.
디스플레이(509)는, 더 구체적으로, CRT나 액정 등으로 구성되고, 비디오 디코더(508)에 의해 제공되는 비디오를 출력(표시)하고, CPU(514) 등에 의해 특정된 메시지를 표시한다.
2차 기억부(510)는, 더 구체적으로,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고, CPU(514)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 또는 MPEG 전송 스트림을 저장 및 삭제한다. 또한, 저장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은 CPU(514) 및 TS 디코더(505)에 출력된다. 저장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은 단말 장치(500)가 전원 오프되는 동안에도 기억부 내에 유지된다.
1차 기억부(511)는, 더 구체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고, CPU(514)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삭제한다. 저장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은 CPU(514)에 의해 참조된다. 저장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은 단말 장치(500)가 전원 오프될 때 삭제된다.
ROM(512)은 판독 전용 메모리 장치로서, 더 구체적으로, ROM(Read Only Memory), CD-ROM 및 DVD 등으로 구성된다. ROM(512)은 CPU(514)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입력부(513)는, 더 구체적으로, 정면 패널 또는 원격 제어기로 구성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한다. 도 7은 입력부(513)가 정면 패널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다. 700은 도 6에 도시된 정면 패널부(603)에 대응하는 정면 패널이다. 정면 패널(700)은, 업커서 버튼(701), 다운커서 버튼(702), 레프트커서 버튼(703), 라이트커서 버튼(704), OK 버튼(705), 취소 버튼(706), 및 EPG 버튼(707)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버튼을 아래로 누를 때, 그 눌러진 버튼의 식별자가 CPU(514)에 통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CPU(514)는 ROM(5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CPU(514)는 QAM 복조부(501), QPSK 복조부(502), QPSK 변조부(503), POD(504), TS 디코더(505), 디스플레이(509), 2차 기억부(510), 1차 기억부(511), ROM(512), 오디오 인코더(520), 비디오 인코더(521) 및 멀티플렉서(522)를 제어한다.
오디오 인코더(520)는 오디오 디코더(506)로부터 출력을 수신하여, 소정의 포맷 또는 CPU(514)에 의해 특정된 포맷으로 수신된 출력을 부호화하여, 그 결과를 소정의 출력 목적지 또는 CPU(154)에 의해 특정된 출력 목적지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는 MPEG 오디오 사양 ISO/IEC13818-3에 따라서 부호화된 MPEG 오디오이다. 오디오 인코더(520)는 MPEG 오디오 인코더로서 실장되어, 정상의 오디오 신호를 MPEG 오디오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비디오 인코더(521)는 비디오 디코더(508)로부터 출력을 수신하여, 소정의 포맷 또는 CPU(514)에 의해 특정된 포맷으로 수신된 출력을 부호화하여, 그 결과를 소정의 출력 목적지 또는 CPU(154)에 의해 특정된 출력 목적지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는 MPEG 비디오 사양 ISO/IEC13818-2에 따라서 부호화된 MPEG 비디오이다. 비디오 인코더(521)는 MPEG 비디오 인코더로서 실장되어, 정상의 비디오 신호를 MPEG 비디오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멀티플렉서(522)는 수신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여, 그 결과를 소정의 출력 목적지 또는 CPU(154)에 의해 특정된 출력 목적지에 출력한다. 주지의 기술이 특정 멀티플렉싱 방법에 대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상세는 MPEG 사 양을 참조한다. 예를 들면, 멀티플렉싱은 MPEG 시스템 사양 ISO/IEC13818-1에 따라서 멀티플렉스된 MPEG 전송 스트림이다. 멀티플렉서(522)는 MPEG 전송 스트림 멀티플렉서로서 실장되어, MPEG 오디오 데이터 및 MPEG 비디오 데이터를 MPEG 전송 스트림 포맷으로 멀티플렉스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각각의 상기 구성 소자의 출력 목적지는 예상되는 동작 결과에 기초하여 CPU(514)에 의해 특정된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ROM(51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그룹에 의해 특정되어 CPU(514)에 의해 실행된다.
예를 들면, 방송중인 콘텐츠가 재생되는 경우에, CPU(514)는 하기에 서술되어 있는 것같은 데이터 흐름을 가지도록, 출력 목적지를 각 구성 요소에 나타낸다. 우선, QAM 복조부(501)로부터의 출력은 POD(504)에 입력되고, POD(504)로부터의 출력은 TS 디코더(505)에 입력된다. 그 후, TS 디코더(505)로부터의 오디오 패킷 출력은 오디오 디코더(506)에 입력되고, 오디오 디코더(506)로부터의 오디오 출력은 스피커(507)에 입력되고, 오디오는 스피커(507)로부터 재생된다. 한편, TS 디코더(505)로부터의 비디오 패킷 출력은 비디오 디코더(508)에 입력되고, 비디오 디코더(508)로부터의 비디오 출력은 비디오 디스플레이(509)에 입력되고, 비디오는 디스플레이(509)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동작을 통해, 방송중인 콘텐츠가 스피커로부터 또한 디스플레이 상에 재생된다.
예를 들면, 방송중인 콘텐츠가 기록되는 경우에, CPU(514)는 하기에 서술되어 있는 것같은 데이터 흐름을 가지도록, 출력 목적지를 각 구성 요소에 나타낸다. 우선, QAM 복조부(501)로부터의 출력은 POD(504)에 입력되고, POD(504)로부터의 출 력은 TS 디코더(505)에 입력된다. 그 후, TS 디코더(505)로부터의 오디오 패킷 출력은 오디오 디코더(506)에 입력되고, 오디오 디코더(506)로부터의 오디오 출력은 오디오 인코더(520)에 입력되고, 오디오 인코더(520)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 출력은 멀티플렉서(522)에 입력된다. 한편, TS 디코더(505)로부터의 비디오 패킷 출력은 비디오 디코더(508)에 입력되고, 비디오 디코더(508)로부터의 비디오 출력은 비디오 인코더(521)에 입력되고, 비디오 인코더(521)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 출력은 멀티플렉서(522)에 입력된다. 멀티플렉서(522)는 입력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MPEG 전송 스트림 포맷으로 멀티플렉스하여, 그 결과를 2차 기억부에 출력한다. 상기 동작을 통해, 방송되는 콘텐츠는 2차 기억부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2차 기억부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가 재생되는 경우에, 하기에 서술되는 것같이 데이터를 가지도록, CPU(514)는 각 구성 요소에, 출력 목적지를 표시한다. 우선, 2차 기억부로부터의 MPEG 전송 스트림 출력은 TS 디코더(505)에 입력된다. 그 후, TS 디코더(505)로부터의 오디오 패킷 출력은 오디오 디코더(506)에 입력되고, 오디오 디코더(506)로부터의 오디오 출력은 스피커(507)에 입력되고, 오디오는 스피커(507)로부터 재생된다. 한편, TS 디코더(505)로부터의 비디오 패킷 출력은 비디오 디코더(508)에 입력되고, 비디오 디코더(508)로부터의 비디오 출력은 디스플레이(509)에 입력되고, 비디오는 디스플레이(509)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동작을 통해, 2차 기억부에 저장된 콘텐츠가 재생된다.
상기에 하드웨어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후,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은 ROM(512)에 저장되어 CPU(514)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구성의 일례이다.
프로그램(1000)은 복수의 서브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1000)은 OS(1001), EPG(1002), Java(TM)VM(1003), 서비스 관리자(1004), Java(TM) 라이브러리(1005) 및 기록 관리자(1010)로 구성된다.
OS(1001)는 운영체계의 약어이고, 그 일례로서는 리눅스 등이 있다. OS(1001)는 병렬로 서브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커널(1001a) 및 라이브러리(1001b)로 구성되는 공지된 기술의 총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OS(1001)의 커널(1001a)이 서브 프로그램으로서 EPG(1002) 및 Java(TM)VM(1003)을 실행한다. 한편, 라이브러리(1001b)는 이들 서브 프로그램에 단말 장치(500)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복수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그러한 기능의 일례로서 튜닝을 소개한다. 튜닝 기능에서, 주파수를 포함하는 튜닝 정보가 다른 서브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된 후 QAM 복조부(501)에 전달된다. 따라서, QAM 복조부(501)가 제공된 튜닝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고, 복조된 데이터를 POD(504)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다른 서브 프로그램들은 라이브러리(1001b)를 통해 QAM 복조부를 제어할 수 있다.
EPG(1002)는 사용자에게 방송되는 콘텐츠 또는 기록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선택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EPG(1002)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표시부(1002a)와, 콘텐츠 재생 에 대한 명령을 나타내는 재생부(1102b)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EPG는 Electric Program Guide의 약어이다.
우선, EPG(1002)가 방송되는 콘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 장치(500)의 전원이 온될 때, EPG(1002)는 커널(1001a)에 의해 시작된다. 시작된 EPG(1002) 내에서, 프로그램 표시부(1002a)는 단말 장치(500)의 입력부(51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 여기에서, 입력부(513)가 도 7에 도시된 정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부(513) 상의 EPG 버튼(707)을 누를 때, CPU(514)에 그러한 EPG 버튼의 식별자가 통지된다. CPU(514) 상에서 실행되는 서브 프로그램인 EPG(1002)의 프로그램 표시부(1002a)는 이러한 식별자를 수용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디스플레이(509) 상에 나타낸다.
도 11A 및 도 11B는 디스플레이(509) 상에 표시된 프로그램 테이블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프로그램 정보가 디스플레이(509) 상에 격자 패턴으로 표시된다. 시간 정보는 칼럼(1101)에 표시된다. 칼럼(1101)에 기재된 각각의 시간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 방송되는 채널명 "채널 1" 및 프로그램들이 칼럼(1102)에 표시된다. "채널 1"에서 9:00에서 10:30까지 프로그램 "뉴스 9"가 방송되고, 10:30에서 12:00까지 "영화 AAA"가 방송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칼럼(1102)에서와 같이, 칼럼(1101)의 시간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 도시된 채널명 "채널 2" 및 프로그램이 칼럼(1103)에 표시된다. 9:00에서 11:00까지 "영화 BBB"가 방송되고, 11:00에서 12:00까지 "뉴스 11"이 방송된다.
1101은 스크린상에 표시된 상세가 메시지로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프로그램 선택"은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선택할 것을 촉구하기 위해 표시된다. 1130은 커서이다. 커서(1130)는 정면 패널(1100) 상의 레프트커서(703) 또는 라이트커서(704)를 누를 때 이동한다. 라이트커서(704)가 도 11A에 도시된 상태로 아래로 눌러질 때, 커서(113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을 향해 이동한다. 한편, 레프트커서(703)가 도 11B에 도시된 상태로 아래로 눌러질 때, 커서(113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을 향해 이동한다.
정면 패널(700) 상의 OK 버튼(705)이 도 11A에 도시된 상태로 아래로 눌러질 때, 프로그램 표시부(1002a)는 재생부(1002b)에 "채널 1"의 식별자를 통지한다. 한편, 정면 패널(700) 상의 OK 버튼(705)이 도 11B에 도시된 상태로 아래로 눌러질 때, 프로그램 표시부(1002a)는 재생부(1002b)에 "채널 2"의 식별자를 통지한다.
또한, 프로그램 표시부(1002a)는 POD(504)를 통해 헤드 엔드(101)로부터 1차 기억부(511)로 표시될 프로그램 정보를 정기적으로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헤드 엔드로부터 프로그램 정보를 얻는데는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입력부(513)의 EPG 버튼(707)을 누를 때 1차 기억부(51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프로그램 테이블을 빠르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신된 정보가 방송되는 콘텐츠인 경우에, 재생부(1002b)는 수신된 채널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방송될 콘텐츠를 재생하라는 명령을 보낸다. 채널 식별자와 채널 사이의 관계는 2차 기억부(510)에 채널 정보로서 미리 저장된다.
도 12는 2차 기억부(510)에 저장된 채널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다. 채널 정 보는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 칼럼(1201)은 채널들의 식별자들을 기재한다. 칼럼(1202)은 채널명들을 기재한다. 칼럼(1203)은 튜닝 정보를 기재한다. 여기에서, 튜닝 정보는 주파수, 전송 레이트 및 부호화율과 같은 QAM 복호부(501)에 제공되는 값에 의해 표시된다. 칼럼(1204)은 프로그램 번호들을 기재한다. 프로그램 번호들은 MPEG2 표준에 의해 정의되는 PMT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번호이다. PMT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각각의 칼럼(1211∼1214)은 각 채널의 식별자, 채널명 및 튜닝 정보의 세트를 나타낸다. 칼럼(1211)은 "1"의 식별자, "채널 1"의 채널명, 튜닝 정보로서 "150㎒"의 주파수 및 "101"의 프로그램 번호를 포함하는 세트를 기재한다. 재생부(1002b)는 채널의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서비스 관리자(1004)에게 직접 수신된 채널의 식별자를 전달한다.
여기에 나타낸 것같이, 채널은 주파수 밴드를 나타내고, 채널 정보는 채널이 존재하는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기 위한 정보이고, 방송되는 콘텐츠는 채널에 포함되는 비디오, 오디오 및 애플리케이션의 집합이다.
또한, 채널의 콘텐츠의 재생이 행해지는 동안 사용자가 정면 패널(700) 상의 업커서(701) 및 다운커서(702)를 누를 때, 재생부(1002b)는 CPU(514)를 통해 입력부(513)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누름에 대한 통지를 수신하고, 재생 중인 채널을 다른 채널로 전환한다. 우선, 재생부(1002b)는 현재 재생 중인 채널의 식별자를 1차 기억부(511)에 저장한다.
도 13A, 13B 및 13C는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된 채널의 식별자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A에서, 채널 식별자 "3"이 저장되고, 도 12를 참조하여 채널명 "TV3" 을 갖는 채널이 재생되는 것을 도시한다. 사용자가 도 13A에 도시된 상태로 업커서(701)를 누를 때, 재생부(1002b)는 도 12에 도시된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채널 2"의 채널명을 갖는 채널의 식별자 "2"를 서비스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테이블에서의 이전의 채널인 "채널 2"의 채널명을 갖는 채널을 새롭게 재생한다. 동시에, 재생부(1002b)는 식별자를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된 채널 식별자 "2"에 재기입한다. 도 13B는 채널 식별자가 재기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13A에 도시된 상태에서 다운커서(702)를 누를 때, 재생부(1002b)는 도 12에 도시된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TV Japan"의 채널명을 갖는 채널의 식별자 "4"를 서비스 관리자(1004)에게 전달하여, 테이블에서의 이후의 채널인 "TV Japan"의 채널명을 갖는 채널을 새롭게 재생한다. 동시에, 재생부(1102b)는 식별자를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된 채널 식별자 "4"에 재기입한다. 도 13C는 채널 식별자가 재기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다음에, EPG(1002)가 방송되는 콘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의 기록 예약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해 기재한다. 여기서, 입력부(513)가 도 7에 나타낸 정면 패널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부(513)의 REC 버튼(708)을 누를 때, CPU(514)에 이 REC 버튼의 식별자가 통지된다. CPU(514)상에서 진행하는 서브프로그램인 EPG(1002)의 프로그램 표시부(1002a)가 이 식별자를 수용하고 디스플레이(509) 상에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한다. 프로그램 표시부(1002a)는, EPG 버튼(707)의 식별자가 수신되는 경우와 대조하여, 방송되는 콘텐츠의 기록 예약을 실행하기 위해 스크린에 표시한다.
도 14는 디스플레이(509) 상에 표시된 기록 예약을 실행하기 위한 스크린의 예이다. 도 1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커서(1130)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서 스크린 상을 이동한다. 예를 들면, 커서(1130)가 "채널 2"의 "영화 888"의 위치에 놓여져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정면 패널(700) 상의 OK 버튼(705)을 누르면, 프로그램 표시부(1002a)는 기록 관리자(1010)에게 "영화 888"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록 관리자(1010)는 기록 예약을 관리하여, 기록 예약에 따라서 콘텐츠를 기록할 것을 명령하여, 기록된 콘텐츠를 관리한다.
우선, 기록 예약에 대해 기재한다. 예를 들면, EPG(1002)의 프로그램 표시부(1002a)로부터 기록 예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때, 기록 관리자(1010)는 수신된 정보를 1차 기억부(511)에 저장한다. 도 15는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된 상세의 예를 나타낸다. 칼럼(1501)은 각 기록 예약을 식별하는 예약 식별자를 기재한다. 칼럼(1502)은 기록 예약에 포함된 채널 명을 기재한다. 칼럼(1503)은 기록의 개시 시간을 기재한다. 칼럼(1504)은 기록의 종료 시간을 기재한다. 칼럼(1505)은 기록 예약에 첨부된 부가 정보를 기재한다.
칼럼(1506)은 기록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기록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재한다. 예를 들면, "1"은 기록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고, "0"은 기록이 종료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로우(1511)와 로우(1512)는 각각 기록 예약을 나타낸다. 여기서, 로우(1511)는 "1"의 예약 식별자(1501), "채널2"의 채널명(1502), "09:00"의 개시 시간(1503), "11:00"의 종료 시간(1504), "영화 BBB"의 부가 정보(1505), 및 "0"의 기록 상태(1506)을 갖는 기록 예약을 나타낸다. 또한, 로우(1512)는 "2"의 예약 식별자(1501), "채널1"의 채널명(1502), "20:00"의 개시 시간(1503), "21:00"의 종료 시간(1504), "드라마 C"의 부가 정보(1505), 및 "1"의 기록 상태(1506)를 갖는 기록 예약을 나타낸다.
또한, 기록 관리자(1010)는 기록 예약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2차 기억부(510)에, 현재의 채널 명에 대응하는 채널의 콘텐츠, 즉, 저장된 기록 예약중 하나의 개시 시간일 때 비디오, 오디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의 부가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할 것을 명령하고, 기록 예약의 종료 시간 일때 기록을 종료할 것을 명령한다. 채널명에 대응하는 채널 식별자가 도 12를 참조하여 구해진다. 기록이 완료될 때, 기록 상태(1506)가 "0"에서 "1"로 변경된다. 기록 콘텐츠에 관한 정보와, 정보가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되어 있는 포맷 등이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새로운 콘텐츠가 기록될 때마다 기입의 한 행이 도 23에 나타낸 포맷에 추가된다.
도 23에서, 2311 및 2312는 서로 다른 기록된 콘텐츠에 관한 각각의 기입이다. 기록된 데이터 식별자(2301)는 기록된 콘텐츠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ID이다. 기록 관리자(1010)는 고유 값을 각 콘텐츠에 할당한다. 채널명(2302)은 각 콘텐츠에 대한 채널명이고, 도 15에서 채널명과 동일하다. 저장 정보(2303)는 각각의 기록된 콘텐츠가 저장되는 파일 경로명이다.
다음에, EPG(1002)가 기록된 콘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에 대해 기재한다. 프로그램 표시부(1002a)는 기록 관리 자(1010)로부터 기록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도 16은 디스플레이(509) 상에 표시된 기록된 콘텐츠 선택의 예이다. 도 1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칼럼(1601)은 기록된 콘텐츠의 프로그램명을 기재한다. 칼럼(1602)은 기록된 콘텐츠가 방송되는 채널명을 기재한다. 칼럼(1603)은 기록된 콘텐츠의 길이(시간)를 기재한다. 사용자가 입력부(513)를 사용하여 커서(1130)를 이동시키고, 기록된 콘텐츠 중 하나를 선택할 때, 프로그램 표시부(1002a)는 재생부(1002b)에 선택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수신된 정보가 기록된 콘텐츠인 경우에, 재생부(1002b)는 서비스 관리자(1004)에게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것을 명령한다.
전달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도 15의 칼럼(1511)에 그 상세가 나타나 있다. 또한, 콘텐츠가 기록되는 장소(예를 들면, 파일명) 등은 기록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도 15에서 예약 식별자(1501) 만이 전달되고, 서비스 관리자(1004)는 기록 관리자(1010)로부터, 예약 식별자(1501)에 기초하여 재생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Java(TM)VM(1003)은 Java(TM) 언어로 기입된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분석 및 실행하는 Java 가상 머신이다. Java(TM) 언어로 기입된 프로그램들은 하드웨어에 의존하지 않는, 바이트 코드라고 불리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된다. Java(TM) 가상 머신은 이 바이트 코드를 실행하는 번역기이다. Java(TM) 가상 머신의 일부는 CPU(514)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형태로 바이트 코드를 번역하여 그 결과를 CPU(514)에 전달하여 그것을 실행한다. Java(TM)VM(1003)은 커널(1201a)에 의해 특정되는 실행될 Java(TM) 프로그램에 의해 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널(1001a)은 실행될 Java(TM) 프로그램으로 서비스 관리자(1004)를 특정한다. Java 언어의 상세는 "Java(TM) 언어 사양"(ISBN 0-201-63451-1)" 등의 다수의 서적에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Java(TM)VM 자체의 상세한 동작은 "Java(TM) 가상 머신 사양"(ISBN 0-201-63451-X)" 등의 다수의 서적에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Java(TM) 언어로 기입된 Java(TM) 프로그램인 서비스 관리자(1004)는 JavaVM(1003)에 의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서비스 관리자(1204)가 JNI(Java(TM) Native Interface)를 통해 Java 언어로 기입되지 않은 다른 서브 프로그램을 호출하거나 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JNI는 "Java(TM) Native Interface" 등의 다수의 서적에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비스 관리자(1204)는 JNI를 통해 재생부(1102b)로부터 채널의 식별자 등의 재생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서비스 관리자(1004)는 서비스 관리자에 대해 재생되는 채널 식별자를 식별하기 위해 다른 Java 프로그램에 대한 Java API를 제공한다. 특히, 선택(int 채널)이라고 불리는 Java 방법을 제공한다. 즉, 다른 Java 프로그램은, 채널 파라미터에 채널의 식별자를 식별하고, 이 방법을 호출함으 로써 재생되는 콘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서술되는 것같이, 재생되는 콘텐츠는 JNI를 통해 서비스 관리자에게 표시되거나 Java 방법의 방법을 선택한다. 재생되는 콘텐츠가 방송되는 콘텐츠인 경우에, 서비스 관리자(1004)는 Java(TM) 라이브러리(1005) 내의 튜너(1005c)에 채널의 식별자를 전달하여, 튜닝을 요구한다. 튜너(1005c)는 2차 기억부(510)에 저장된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튜닝 정보를 획득한다. 서비스 관리자(1004)가 채널의 식별자 "2"를 튜너(1005c)에 전달한다고 가정하면, 튜너(1005c)는 도 12에 도시된 로우(1212)를 참조하여 채널에 대응하는 튜닝 정보 "156㎒"를 획득한다. 튜너(1005c)는 OS(1001)의 라이브러리(1001b)를 통해 튜닝 정보를 QAM 복조부(501)에 전달한다. QAM 복조부(501)는 QAM 복조부(501)에 제공되는 튜닝 정보에 따라 헤드 엔드(101)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복조하여, 그 결과 신호를 POD(504)에 전달한다.
이어서, 서비스 관리자(1004)는 Java(TM) 라이브러리(1005) 내부의 CA(1005d)에 디스크램블링을 실행하도록 요구한다. CA(1005d)는 OS(1001) 내의 라이브러리(1001b)를 통해 디스크램블링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POD(504)에 제공한다. 이러한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POD(504)는 QAM 복조부(501)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를 디스크램블하여, 결과 신호를 TS 디코더(505)에 전달한다. 디스크램블링을 실행하는 것이 불필요하다고 결정되는 경우(즉, 스크램블링이 행해지지 않은)에, CA(1005d)는 디스크램블링에 관한 처리를 반드시 행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서비스 관리자(1004)는 Java(TM) 라이브러리(1005) 내부의 JMF(1005a)에 채널의 식별자를 제공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의 재생을 요구한다.
먼저, JMF(1005a)는 PAT 및 PMT로부터, 재생될 비디오 및 오디오를 특정하기 위한 패킷 ID를 획득한다. PAT 및 PMT는 MPEG2 전송 스트림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라인업을 나타내는 MPEG2 표준에 의해 규정된 테이블이다. PAT 및 PMT는 오디오 및 비디오와 함께 MPEG2 전송 스트림에 포함되는 패킷의 페이로드로 반송된다. PAT 및 PMT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사양을 참조한다. 여기에서는, PAT 및 PMT의 개관만을 설명한다. PAT는 Program Association Table의 약어이고, 패킷 ID "0"의 패킷으로 반송된다. PAT를 취득하기 위해, JMF(1005a)는 OS(1001)의 라이브러리(1001b)를 통해 패킷 ID "0"과 CPU(514)를 TS 디코더(505)에 나타낸다. 그 후, TS 디코더(505)는 패킷 ID "0"에 기초하여 필터링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CPU(514)에 전달한다. 따라서, JMF(1205a)는 PAT 패킷들을 수집할 수 있다.
도 17은 수집된 PAT 정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테이블을 도시한다. 칼럼(1601)은 프로그램 번호를 기재한다. 칼럼(1701)은 프로그램 번호를 기재한다. 칼럼(1702)은 패킷 ID를 기재한다. 칼럼(1702)에 도시된 패킷 ID는 PMT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각의 로우(1711∼1713)은 채널의 프로그램 번호와 그에 대응하는 패킷 ID의 쌍이다. 여기에서는, 3개의 채널이 정의된다. 로우(1711)은 프로그램 번호 "101"과 패킷 ID "501"의 쌍을 정의한다. JMF(1005a)에 제공된 채널 식별자가 "2"라고 가정하면, JMF(1005a)는 도 12의 로우(1212)를 참조하여, 이러한 채널 식별자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번호 "102"를 취득한 후, 도 17에 도시된 PAT 내의 라인(1712)를 참조하여, 프로그램 번호 "102"에 대응하는 패킷 ID "502"를 취득한다. Program Map Table의 약어인 PMT는 PAT에 특정된 패킷 ID를 갖는 패 킷으로 반송된다. PMT를 취득하기 위해, JMF(1005a)는 OS(1001)의 라이브러리(1001b)를 통해 패킷 ID와 CPU(514)를 TS 디코더(505)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특정되는 패킷 ID는 "502"이다. 그 후, TS 디코더(505)는 패킷 ID "502"에 기초하여 필터링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CPU(514)에 전달한다. 따라서, JMF(1005a)는 PMT 패킷을 수집할 수 있다.
도 18은 수집된 PMT 정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테이블을 도시한다. 칼럼(1801)은 스트림 유형을 기재한다. 칼럼(1802)은 패킷 ID를 기재한다. 각각의 스트림 유형에 의해 특정된 정보는 칼럼(1802)에 특정된 패킷 ID를 갖는 패킷의 페이로드로 반송된다. 칼럼(1803)은 부가 정보를 기재한다. 각각의 로우(1811∼1814)는 기본 스트림으로 공지되어 있는 패킷 ID와 송신되는 정보의 유형의 쌍이다. 스트림 유형 "오디오"와 패킷 ID "5011"의 쌍인 로우(1811)는 오디오 데이터가 패킷 ID "5011"을 갖는 패킷의 페이로드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JMF(1005a)는 PMT로부터, 재생될 비디오 및 오디오의 패킷 ID를 획득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JMF(1005a)는 로우(1811)로부터 오디오 패킷 ID "5011"을 획득하고, 로우(1812)로부터 비디오 패킷 ID "5012"를 획득한다.
그 후, JMF(1005a)는 출력 목적지로서 획득된 오디오 패킷 ID와 오디오 디코더(506)의 쌍 뿐만 아니라 출력 목적지로서 비디오 패킷 ID와 비디오 디코더(508)를 OS(1001)의 라이브러리(1001b)를 통해 TS 디코더(505)에 제공한다. TS 디코더(505)는 이러한 제공된 패킷 ID와 출력 목적지에 기초하여 필터링을 실행한다. 여기에서는, 패킷 ID "5011"을 갖는 패킷이 오디오 디코더(506)에 전달되고, 패킷 ID "5012"를 갖는 패킷이 비디오 디코더(508)에 전달된다. 오디오 디코더(506)는 제공된 패킷에 대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을 실행하여, 스피커(507)를 통해 오디오를 재생한다. 비디오 디코더(508)는 제공된 패킷에 대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509)에 비디오를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관리자(1204)는 Java(TM) 라이브러리(1005) 내의 AM(1005b)에 채널 식별자를 제공하여, 데이터 방송 재생을 요구한다. 여기에서, 데이터 방송 재생은 MPEG2 전송 스트림에 포함되는 Java(TM)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그것을 Java(TM)VM(1003)이 실행하게 하는 것을 나타낸다. Java(TM) 프로그램을 MPEG2 전송 스트림에 매립하는 방식으로서, MPEG 규격 ISO/IEC138181-6에 기술되어 있는 DSMCC로 불리는 포맷이 사용된다. DSMCC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DSMCC 표준은 MPEG2 전송 스트림 내의 패킷에서 컴퓨터에 의해 사용되는 파일 및 디렉토리로 구성된 파일 시스템을 인코딩하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실행될 Java(TM)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AIT의 형태로 MPEG2 전송 스트림의 패킷으로 반송된다. 여기서, AIT는 OCAP 1.0 표준에 의해 정의된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의 약어이다.
먼저, AIT를 취득하기 위해, AM(1005b)은 JMF(1005a)의 경우에서와 같이, PAT 및 PMT를 획득하여, AIT를 저장하는 패킷의 패킷 ID를 획득한다. 제공된 채널 식별자가 "2"이고, 도 17에 도시된 PAT와 도 18에 도시된 PMT가 송신되고 있다고 가정하면, AM(1005b)은 JMF(1005a)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 도 18에 도시된 PMT를 획 득한다. AM(1005b)은 PMT로부터 스트림 유형이 "데이터"이고 부가 정보로서 "AIT"를 갖는 기본 스트림의 패킷 ID를 추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1813)의 기본 스트림은 이러한 기본 스트림에 대응하며, 그러므로 AM(1005b)은 그것으로부터 패킷 ID "5013"을 획득한다.
AM(1005b)은 OS(1001)의 라이브러리(1001b)를 통해 출력 목적지로서 CPU(514)와 AIT의 패킷 ID를 TS 디코더(505)에 제공한다. 그 후, TS 디코더(505)는 이러한 제공된 패킷 ID에 기초하여 필터링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CPU(514)에 전달한다. 따라서, AM(1005b)은 AIT의 패킷을 수집할 수 있다. 도 19는 수집된 AIT 정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칼럼(1901)은 Java(TM)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기재한다. 칼럼(1902)은 Java(TM)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기재한다. 제어 정보는 "autostart", "present", 및 "kill"을 포함한다. "autostart"는 단말 장치(500)가 즉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present"는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kill"은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것을 의미한다.
칼럼(1903)은 Java(TM) 프로그램을 DSMCC 포맷으로 포함하는 패킷 ID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DSMCC 식별자를 기재한다. 칼럼(1904)은 Java(TM)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을 기재한다. 칼럼(1905)은 우선도를 기재한다. 우선도는 처리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가운데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로우(1911 및 1912)은 Java(TM)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의 세트이다. 로우(1911)에 정의된 Java(TM) 프로그램은 식별자 "301", 제어 정보 "autostart", DSMCC 식별자 "1", 프 로그램명 "a/TopXlet" 및 우선도 레벨"100"의 세트이다. 라인(1912)에 정의된 Java(TM) 프로그램은 식별자 "302", 제어 정보 "present", DSMCC 식별자 "1" , 프로그램명 "b/GameXlet" 및 우선도 레벨 "50"의 세트이다. 여기에서, 이들 2개의 Java(TM) 프로그램은 동일한 DSMCC 식별자를 갖고, 2개의 Java(TM) 프로그램이 동일한 DSMCC 방식에 따라서 인코딩된 파일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단지 4 아이템의 정보만이 각각의 Java(TM) 프로그램에 대해 특정되어 있지만, 더 많은 아이템의 정보가 특정된다. 상세에 대해서는 OCAP 1.0 사양을 참조하라.
AM(1005b)은 AIT로부터 "autostart" Java(TM) 프로그램을 찾아내서, 대응하는 DSMCC 식별자 및 Java(TM) 프로그램명을 추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AM(1005b)은 로우(1911)에서 Java(TM)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DSMCC 식별자 "1" 및 Java(TM) 프로그램명 "a/TopXlet"을 획득한다.
이어서, AM(1005b)은 AIT로부터 획득된 DSMCC 식별자를 사용하여 Java(TM) 프로그램을 DSMCC 포맷으로 저장하는 패킷의 패킷 ID를 PMT로부터 획득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AM(1005b)은 "데이터"의 스트림 유형을 갖고, 부가 정보 내의 DSMCC 식별자가 일치하는 기본 스트림에 포함되는 패킷 ID를 PMT로부터 획득한다.
여기에서, 이러한 DSMCC 식별자가 "1"이고 PMT가 도 18에 도시된 것이라고 가정하면, 로우(1814) 내의 기본 스트림은 상기 조건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패킷 ID "5014"가 추출될 것이다.
AM(1005b)은 OS(1001)의 라이브러리(1001b)를 통해 출력 목적지로서 CPU(514)뿐 아니라 데이터가 DSMCC 포맷으로 내장되어 있는 패킷의 패킷 ID를 TS 디코더(505)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패킷 ID "5014"가 제공된다. 그 후, TS 디코더(505)는 제공된 패킷 ID에 기초하여 필터링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CPU(514)에 전달한다. 따라서, AM(1005b)은 필요한 패킷을 수집할 수 있다. AM(1005b)은 DSMCC 방식에 따라 수집된 패킷으로부터 파일 시스템을 재구성하여, 재구성된 파일 시스템을 1차 기억부(511)에 저장한다. MPEG2 전송 스트림의 패킷으로부터 파일 시스템과 같은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데이터를 1차 기억부(511)와 같은 기억부에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이하 다운로드라고 한다.
도 20은 다운로드된 파일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원은 디렉토리를 나타내고, 사각형은 파일을 나타내며, 2001은 루트 디렉토리이고, 2000은 디렉토리 "a"이며, 2003은 디렉토리 "b"이고, 2004는 파일 "TopXlet. class"이며, 2005는 파일 "GameXlet. class"이다.
다음에, AM(1005b)은 1차 기억부(511)에 다운로드된 파일 시스템 중에서 실행될 Java(TM) 프로그램을 Java(TM)VM(1003)에 전달한다. 실행될 Java 프로그램명이 "a/TopXlet"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Java 프로그램명의 끝에 ". class"를 첨부한 결과인 파일 "a/TopXlet. class"가 실행될 파일이다. "/"은 디렉토리와 파일명을 나누는 것이고, 도 20을 참조하면, 파일(2004)은 실행되어야 하는 Java 프로그램이다. 이어서, AM(1005b)은, 파일(2004)을 Java(TM)VM(1003)에 전달한다.
Java(TM)VM(1003)은 이러한 수신된 Java(TM)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다른 채널의 식별자의 수신 시에, 서비스 관리자(1004)는 Java(TM) 라이브러 리(1005)에 포함되는 동일한 각 라이브러리를 통한 비디오 및 오디오의 재생과 Java(TM) 프로그램의 실행을, Java(TM) 라이브러리(1005)에 포함되는 각 라이브러리를 통해 종료한 후, 새롭게 수신된 채널 식별자에 기초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의 재생과 Java(TM) 프로그램의 실행을 행한다.
상기 AIT에 기초하여 AM(1005b)에 의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이 Java 프로그램의 유형이므로, 서비스 관리자(1004)에 의해 제공되는 선택(int 채널) 방법을 호출하여 재생될 콘텐츠가 지정될 수 있다.
OCAP 1.0 표준에서, EPG 1002 등의 단말에 미리 준비되는 프로그램 대신에, 단말 장치의 외부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과정이 규정되어 있다. 이후,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으로 칭한다.
도 21은 헤드 엔드(101)로부터 획득된 특별한 프로그램 정보(XAIT라고 칭한다)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테이블을 도시한다. XAIT의 구조는 도 19에 도시한 AIT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붙이고,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칼럼(2105)은 각각이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 속하는 추상 서비스를 나타내는 추상 서비스 식별자를 기재한다. 여기서, 추상 서비스는 애플리케이션 설정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그 특징은, 비디오 및 오디오에 관한 것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에만 관계하는 점에서 방송되는 콘텐츠와 다르다. 즉, 서비스 관리자(1004)는 비디오 및 오디오에 관한 처리(특히, CA 1005d 및 JMF 1005a를 호출하는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칼럼 2106은 추상 서비스 자동 선택 식별자를 기재한다. 이러한 식별자에 따라서, 현재의 추상 서비스가 선택되는지 아닌지가 판정된 다. 예를 들면, 추상 서비스 자동 선택 식별자(2106)가 1일 때, 추상 서비스가 자동 선택되고, 그 결과 추상 서비스에 속하는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된다. 추상 서비스 자동 선택 식별자(2106)가 1일 때를 제외하고, 추상 서비스는 자동적으로 선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추상 서비스가 선택되지 않으면, 추상 서비스에 속하는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지 않는다.
로우(2111) 및 로우(2112)는 각각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의 세트를 기재한다. 로우(2111)에 의해 정의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Java 프로그램 식별자 "401", 제어 정보 "autostart", DSMCC 식별자 "1", 프로그램 명 "a/MA1", 우선도 레벨 "255", 추상 서비스 식별자 "100", 및 추상 서비스 자동 선택 식별자 "1"의 세트이다. 로우(2112)에 의해 정의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식별자 "402", 제어 정보 "present", DSMCC 식별자 "1", 프로그램 명 "b/MA2", 우선도 레벨 "210", 추상 서비스 식별자 "200", 및 추상 서비스 자동 선택 식별자 "0"의 세트이다.
OS 1001에 의해 시작된 후, 서비스 관리자(1004)는 XAIT를 얻는다. XAIT가 임의의 유형의 방법에 의해 송신되어 취득되는 반면, 예를 들면, OOB를 사용하는 표준에 의해 미리 판정되는 장소에 저장됨으로써 송신된다. 도 21에 도시된 XAIT를 취득할 때, 서비스 관리자(1004)는 그 상세를 분석하면서, 추상 서비스 자동 선택 식별자(2106)가 1인 추상 서비스를 검색한다. 그 추상 서비스 자동 선택 식별자(2106)가 1인 추상 서비스가 발견될 때, 서비스 관리자(1004)는 추상 서비스를 재생한다. 방송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서와 다르게, 서비스 관리자(1004) 는, 처리로서, 튜너(1005c), CA(1005d), 및 JMF(1005a)에 송신하지 않고,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AM(1005b)에 송신한다. AM(1005b)에서의 처리는 콘텐츠가 방송되는 채널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시작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Java 라이브러리(1005)를 사용하여 단말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작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 EPG(1002) 대신에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에, EPG(1002)가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와 동일한 처리가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 Java 라이브러리(1005)를 호출함으로써 실행된다.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은 Java 프로그램의 유형이기 때문에, 서비스 관리자(1003)에 의해 제공되는 Java 방법인 선택(int 채널) 방법을 호출함으로써 서비스 관리자를 통해 채널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채널에 관계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서비스 관리자(1004)는 동시에 2개 이상의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즉, 콘텐츠가 방송되는 채널 및 추상 서비스).
그러나, 특정 제한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한은 방송되는 콘텐츠 중 하나만이 한번에 관리될 수 있는 제한인 것으로 가정된다. 이 제한은, 방송되는 콘텐츠가 현재 재생되는 경우에(즉, 콘텐츠가 시청중일 때), 방송되는 다른 콘텐츠를 재생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면,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가 관리로부터 배제되고(즉, 재생이 정지되고), 다른 콘텐츠가 재생 및 관리(즉, 다른 콘텐츠가 시청될 수 있다)되도록 한다.
여기서, AM(1005b)에 의해 시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예를 기재한다.
도 22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용하기 위해, 기록된 콘텐츠에 포함되는 비 디오 및 오디오의 트릭 플레이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디스플레이(509) 상에 표시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예를 나타낸다. 2201 내지 2207은 각각, 입력부(513)를 사용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JMF(1005a)가 비디오 및 오디오의 트릭 플레이 또는 정상 재생을 행하게 명령하는 기능을 갖는다. 특히, 2201은 소정의 선택을 위해 재생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갖고, 2202는 재생을 되감기하는 기능을 갖고, 2203은 재생을 일시 중지하는 기능을 갖고, 2204는 재생을 정지하는 기능을 갖고, 2205는 정상 재생의 기능을 갖고, 2206은 재생을 고속 감기(fast-forward)하는 기능을 갖고, 2207은 소정의 선택을 위해 재생 위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소정의 선택을 위해 패스트 포워드의 이러한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 및 JMF(1005a)를 사용한 재생에 관한 상세는 JMF(1005a)의 설명에 기재한다.
여기서, 상기 기재된 것같이, 서비스 관리자(1004)는 방송중인 콘텐츠 및 추상 서비스에 대한 재생 명령뿐 아니라 2차 기억부(510)에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명령을 수용할 수 있다. 방송 콘텐츠의 재생 명령과 유사하게, JNI를 통해 기록된 데이터 식별자(2301)를 서비스 관리자에게 제공하거나 기록된 데이터 식별자를 서비스 관리자(1004)에 의해 제공되는 Java 방법인 선택(int 채널) 방법의 채널 파라미터에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관리자(1004)는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을 명령할 수 있다. 기록된 데이터 식별자는 도 23에 도시된 기록된 데이터 식별자(2301)의 값이며, 기록 관리자(1210)에 의해 할당된다. 기록 관리자(1210)에 의해 발생되는 기록 데이터의 포맷과 기록 데이터 식별자(2301)에 관한 상세는 뒤에 설명한다.
서비스 관리자(1004)가 상기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명령을 수용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해 기재한다.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명령을 수용하면, 서비스 관리자(1004)는 MPEG 전송 스트림 출력을 2차 기억부(510)로부터 TS 디코더(505)에 전달한다. 기록 시에 콘텐츠를 디스크램블링함으로써 CA1005d가 디스크램블링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오디오의 재생에 대해 요구하도록, 서비스 관리자(1004)는 Java(TM) 라이브러리(1005) 내의 JMF(1005a)에 기록된 데이터 식별자(2301)를 제공한다.
우선, JMF(1005a)는 기록 관리자(1210)에 저장된 데이터(도 23)로부터 기록된 데이터 식별자(2301)에 대응하는 저장 정보(2303)를 얻는다. 저장 정보는 기록된 콘텐츠, 즉, 비디오, 오디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의 부가 데이터의 파일 위치를 나타내는 파일 경로명이다. JMF(1005a)는 저장 정보(2303)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재생될 비디오/오디오를 판정하여, 판정된 비디오/오디오를 재생한다. 재생 방법은 콘텐츠가 방송되는 채널의 경우에 나타낸 상기 기재된 방법이나 공지의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과 관련이 적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PAT 및 PMT는 기록된 콘텐츠로부터 구해질 수 있고, 비디오 및 오디오는 구해진 PMT에 기재된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된다.
결국, 서비스 관리자(1004)는 Java(TM) 라이브러리(1005)의 AM(1005b)에 채널 식별자를 제공하므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구한다.
우선, AM(1005b)는 기록 관리자(1210)에 저장된 데이터(도 23)로부터 기록된 데이터 식별자(2301)에 대응하는 저장 정보(2303)를 구한다. 그러나, 저장 정 보(2303)는 AM(1005b)에 의해 구해지는 대신에, 서비스 관리자(1004)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AM(1005b)은 저장 정보(2303)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구한다.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과 AIT를 취득하는 방법은 기록시에 사용된 기록 방법에 의존하는 반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은 방송되는 채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 나타낸 방법이나 주지의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과 관련이 적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된 채널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만 하면, 임의의 유형의 기록 방법이나 취득 및 분석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서비스 관리자(1004)는 2개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상기 기재되어 있지만, 방송되는 콘텐츠가 기록되거나 재생될 수 있는 경우에, 서비스 관리자(1004)는 3가지 유형의 서비스(즉, 방송되는 콘텐츠, 추상 서비스, 및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명령을 수용할 수 있고, 수용된 명령에 대응하는 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4를 참조하여, 서비스 관리자(1004)에 의해 실행되는 관리 방법에 대한 예에 관해 기재한다.
서비스 관리자(1004)는 도 24에 나타낸 1차 기억부(511)의 데이터 구조를 보유한다. 칼럼(2401)은 서비스 유형을 기재하고, 각각은 재생 및 관리되는 서비스의 유형(즉, 상기 기재된 3가지 유형 중 하나)을 나타낸다. 칼럼(2402)은 서비스 식별자를 기재하고, 각각은 서비스 유형에 따라서, 유형 중 하나에 의해 식별된 식별자 이다. 로우(2411) 및 로우(2412)는 각각 재생 및 관리되는 서비스를 나타낸다. 로우(2411)에 나타낸 서비스는 서비스 유형(2401)으로서 "기록된 콘텐츠"와 서비스 식별자(2402)로서 "채널 1"을 갖는다. 또한, 로우(2412)에 표시된 서비스는 서비스 유형(2401)으로서 "추상 서비스", 서비스 식별자(2402)로서 "100"을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로우(2411)에 나타낸 서비스는 도 12에 나타낸 로우(1211)에 나타낸 채널을 기록한 것이다. 서비스는 도 18에 나타낸 비디오, 오디오, 애플리케이션(원래 DSMCC 방법으로 전송된 것) 및 AIT의 구성 요소를 갖는다. 로우(2411)에 나타낸 서비스가 재생 및 관리되는 상태는 비디오 및 오디오가 재생되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더 구체적으로, AIT는 도 19에 나타낸 것이고, Java 프로그램 식별자로서 301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이후, 방송 인터라킹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칭한다)은 상기 기재된 과정에 따라서 실행된다. 또한, 로우(2412)에 표시된 서비스는 도 21에 나타낸 XAIT에 기초하여 재생 및 관리되는 추상 서비스이다. 로우(2412)에 나타낸 서비스가 재생 및 관리되는 상태는, 도 21에 나타낸 것같이 Java 프로그램 식별자로서 401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이후,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칭한다)이 실행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후, 대표적인 예로서 이 상태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와 그 해결방법을 기재한다.
방송 인터라킹 애플리케이션은 JMF(1005a)를 사용하여, 방송 인터라킹 애플리케이션 자체와 관련하여 재생되는 비디오/오디오의 트릭 플레이를 실행할 수 있다. 방송 인터라킹 애플리케이션은 시청자와의 쌍방향 결합에 의해, 미리 추측된 상황에서 선호도 상세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 JMF(1005a)를 사용하는 방송 인터라킹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비디오/오디오의 트릭 플레이를 유사하게 행하면, 방송 인터라킹 애플리케이션은 고려될 수 있는 만큼 재생상태를 처리해야 한다. 그러므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것과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는 프로그램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반대로,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 EPG 등의 주요 역할을 하는 경우에,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트릭 플레이에 대한 명령이 방송 인터라킹 애플리케이션으로 간섭될 가능성이 있다.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트릭 플레이에 대한 명령이 시청자에 의한 원격 제어 동작에 기초한 명령인 경우에, 시청자가 혼동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모니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 모니터 애플리케이션 중에 트릭 플레이 명령에 대해 모순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JMF 표준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프레임워크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기재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트릭 플레이 명령에 대한 제어 메카니즘 만을 도입한다.
도 25는 JMF(1005a)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JMF(1005a)는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와 동화상 재생 처리부(2502)를 포함한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JMF(1005a)에서 동화상을 재생하는 속도(재생 속도)와 시간 정보를 보유 및 관리한다. 또한, 재생 속도 및 시간은 애플리케이션, Java(TM) 라이브러리(1005)에서의 구성 요소 또는 서비스 관리자(1004)(이후 이들을 합쳐서 외부 장치라고 칭한다)로부터 설정되고 취득될 수 있 다.
재생 속도는 예를 들면 1.0의 값에서 정상 재생, 1.0보다 큰 값에서 패스트-포워드, 0.0의 값에서 정지, 0.0 초과 및 1.0 미만에서 저속 재생(슬로우), 0.0 미만의 값에서 되감기를 나타낸다. 즉, 정상 재생은 그 값이 1.0일 때에만 적용되고, 트릭 플레이는 1.0 이외의 값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6A, 26B, 26C는 상기 경우에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에 의해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된 재생 속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는 정상 재생을 나타내는 1.0이 보유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된 패스트-포워드에 대한 명령으로서 2.0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상태는 도 26B에 나타낸 상태로 변경된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된 되감기에 대한 명령으로서 -1.0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상태는 도 26C에 나타낸 상태로 변경된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여러 종류의 재생 속도를 항상 보유한다. 즉, 초기값으로서 여러 종류의 재생 속도를 갖는다. 예를 들면, 재생 속도가 외부 장치에 의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1.0의 값을 보유한다. 본 발명은, 정상 재생과 트릭 플레이가 식별될 수 있기만 하면, 상기 이외의 수치값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재생 또는 트릭 플레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이 이후 특정 수치 값 대신에 사용된다. 또한, 재생 속도의 설정은 정상 재생 또는 트릭 플레이를 명령한다.
시간 정보는 비디오/오디오의 시간 축 상의 시간이다. 특히, 예를 들면, 비디오/오디오의 길이가 60분인 경우에, 0분은 비디오/오디오의 처음을 나타내고, 60 분은 끝을 나타내고, 30분은 중간점을 나타낸다. 재생 속도뿐 아니라 시간 정보가 또한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된다.
도 25를 참조하면, 동화상 재생 처리부(2502)는 재생되는 비디오/오디오를 재생하여, 2차 기억부(510), 오디오 디코더(506) 또는 비디오 디코더(508)에,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에 의해 얻어진 또는 명령된 재생 속도 및 시간 정보를 명령한다. 명령된 속도 및 시간에서 2차 기억부가 MPEG 전송 스트림을 출력한 결과로서, 오디오 디코더(506) 또는 비디오 디코더(508)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명령된 속도 및 시간에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Java(TM) 라이브러리(1005)의 구성 요소, 또는 서비스 관리자(1004)는 재생되는 비디오/오디오의 지정과 재생 상태(재생 상태, 정지 상태 등)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재생 처리부(2502)는 어떤 종류의 명령이 현재 오디오 디코더(506) 또는 비디오 디코더(508)에 송신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유하므로(이후 재생 상태로 칭한다), 외부 장치 또는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보유된 상세를 응답할 수 있다.
도 27은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의 일 예를 나타내는 Java 방법이다. setMediaTime 방법은 현재 시간으로서 사용되는 시간을 받는다. 예를 들면, 재생 위치를 시간 0을 측정함으로써 콘텐츠의 정상까지 움직일 수 있다. getMediaTime 방법은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에 의해 보유된 시간을 구하는 요구를 받아서, 시간을 반송한다. setRate 방법은 재생 속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받는다. 예를 들면, -1은 되감기를 나타내고, 2는 더블 속도 재생을 나타낸다. getRate 방법은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에 의해 보유된 재생 속도를 구하는 요구를 받아서 재생 속도를 반송한다.
도 28은 동화상 재생 처리부(2502)의 일 예를 나타내는 Java 방법이다. 시작 방법은 비디오/오디오의 재생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상기 명령을 받으면, 도 27에 setMediaTime 또는 setRate에 의해 특정된 정보가 사용된다. 또한, 종료 방법이 재생을 종료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도 29는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외부 장치로부터 재생 속도를 설정하는 명령을 수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외부 장치로부터 재생 속도를 설정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명령의 상세를 얻고(이후, 얻어진 상세는 TA로 칭한다)(S2901),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되어 있는 재생 속도를 얻어서(이후, 얻어진 상세를 TB라고 칭한다)(S2902), TA와 TB의 차이를 비교한다(S2903). TA와 TB가 동일하면, 변경에 대한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처리는 종료한다. TA와 TB가 다를 때, TB가 정상 재생을 나타내는지 판정된다(S2904). TB가 정상 재생을 나타내지 않을 때(즉, 트릭 플레이), 변경 허용 판정이 실행된다(S2905). 변경 허용 판정 방법을 이후 상세하게 기재한다. 변경 허용 판정의 결과로서 "변경 거부"로 판정될 때(S2906), 처리가 종료된다. "변경 허용"으로 판정될 때,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된 상세는 TA로 교체된다(S2907). TB가 정상 재생을 나타내는 경우에, S2904에서,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된 상세는 TA로 교체된다(S2907).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동화상 재생 처리부(2502)에 재생 상태 에 대해 문의하여, 그 결과가 재생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2908). 재생 상태를 나타내지 않을 때, 처리가 종료된다. 재생중인 상태인 것을 나타낼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재생 속도를 동화상 재생 처리부(2502)에 나타낸다(S2909). 따라서, 외부 장치로부터 재생 속도를 설정하라는 명령이 비디오 및 오디오의 재생 상태에 반영된다.
S2906에서 "변경 거부"로 판정될 때, 변경 거부는 재생 속도의 설정 명령을 한 명령 설정자에게 통지될 수 있다. 통지 방법에 대해, 본 발명은 주지의 기술인 Java(TM) 언어로 예외적인 메카니즘 등의 방법의 임의의 유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0은 "변경 허용 판정(S2905)"의 상세한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TB를 보유하도록 하는 설정자(애플리케이션, Java(TM) 라이브러리(1005)의 구성 요소 또는 서비스 관리자(1004))를 특정한다. 이후, S3001에 특정된 설정자는 "구 설정자"로서 칭해진다. 설정자를 특정하는 특정 방법은 본 발명과 관계가 적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설정자가 조작하는 처리 또는 쓰레드를 사용하는 방법 등의 주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1차 기억부(511)에 특정 설정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1A 및 도 31B는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자에 관한 정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A에서, 1차 기억부(511)는 Java 프로그램 식별자로서 "301"을 보유한다. 이것은 현재의 재생 속도가 "301"의 Java 프로그램 식별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1차 기억부(511)가 "401"의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재생 속도의 설정 명령을 받는 경우에, 도 31B에 나타낸 상태가 얻어진다. 또한, 설정자가 애플리케이션 이외인 경우에(예를 들면, 서비스 관리자(1004), 부가 정보 또는 특정 값(예를 들면, "-1")이 보유될 수 있다. 보유되는 정보의 유형에 상관없이, 설정자를 특정하기에 충분한 정보가 보유될 수 있으면 본 발명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재생 속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재생 명령을 JMF(1005a)에 송신하는 명령 설정자(예를 들면, 서비스 관리자(1004) 또는 애플리케이션)가 구 설정자 또는 구 설정자가 없는 것으로 취급되어 판정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재생 속도를 설정하도록 명령한 설정자를 특정한다(S3002). 이후, S3002에서 특정된 설정자를 "신 설정자"라고 칭한다. 다음에, 구 설정자와 신 설정자 사이의 친화성 검증이 실행된다(S3003). 친화성 검증의 상세는 이후에 설명한다. 친화성 검증의 판정(S3004)은, 친화성이 없다고 판정될 때(S3004),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변경 거부"의 판정 결과를 반송하고(S3007), 처리를 종료한다. 친화성이 있다고 판정될 때(S3004),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신 설정자에 관한 정보를 1차 기억부(511)에 저장하고(S3005), "변경 허용"의 판정 결과를 반송하고(S3006),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친화성 검증 처리(S3003)를 기재한다. 도 32는 친화성 검증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구 설정자에 관한 정보와 신 설정자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그 유사도를 판정한다(S3201). 동일하다고 판정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친화성 있음"을 반송하고(S3202), 처리를 종료한다. 서로 다르다고 판정될 때, "친화성 없음"을 반송하고(S3203),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2차 기억부(510)가 ROM(512)에 의해 보유된 상세를 보유하게 함으로써 ROM(512)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2차 기억부(510)는 각각 다른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서브 2차 기억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닝 정보만이 서브 2차 기억부 중 하나에 저장되고, OS(1001)의 라이브러리(1001b)가 다른 서브 2차 기억부에 저장되고, 다운로드된 Java(TM) 프로그램이 또 다른 서브 2차 기억부에 저장되는 등과 같이 서브 2차 기억부는 서브 2차 기억부를 정밀하게 나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등록된 Java(TM) 프로그램과 콘텐츠는 2차 기억부(510)에 저장되어 있지만, 1차 기억부(511)에 저장할 수 있다.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모든 저장된 정보는 전원이 오프될 때에 사라진다.
따라서, 정상 재생이 설정되는 상태에서, 임의의 설정자로부터 요구를 받는 것이 실현될 수 있고, 구 설정자로부터만 재생 속도/시간을 설정하는 명령을 받는 것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구 설정자가 트릭 플레이를 실행하는 동안 다른 새로운 설정자에 의해 재생 상태가 변화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다.
도 15에 나타낸 상세는 거기에 표시된 상세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기록 처리에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세는 복수의 테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세는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그것을 2차 기억부(510)에 저장함으로써 전원이 오프된 후라도, 기록 예약에 관한 정보는 보유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기재된 "친화성 검증"의 절차와 다른 절차가 기재된다.
본 실시예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5에 나타낸 하드웨어 구성이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10에 나타낸 소프트웨어 구성이 사용된다. 또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동작은 "친화성 검증" 동작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26을 사용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동일한 서비스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에, 그 애플리케이션은 그 존재를 인식하고 서로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동일한 서비스의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트릭 플레이에 관한 처리만을 행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서, 구 설정자와 신 설정자 가 그들이 서로 일치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해 비교되지만, 본 실시예는 각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3은 본 실시예의 친화성 검증의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구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를 특정한다(S3301). 특정을 위한 특정 방법에 대한 상세는 본 발명과는 관계가 적으므로 여기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보유된 정보를 얻는 것을 허용하도록 서비스 관리자(1004)에 의해 AM(1005b)에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와 AM(1005b)에 의해 시작된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관계를 AM(1005b)가 보유함으로써 특정이 실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도 30의 S3001의 설명에 기재된 과정에 따라서 실현될 수 있다.
다음에,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신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를 특정한다(S3302).
그 후,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구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와 신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를 비교하여, 그들이 동일한 서비스인지를 판정한다(S3303). 비교 방법에 대해, 본 발명은 임의의 유형의 방법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낸 서비스 식별자(2402)와 서비스 유형을 비교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S3303에서, 그들이 동일한 서비스라고 판정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친화성 있음"의 판정 결과를 반송하고(S3304), 그 처리를 종료한다. 그들이 동일한 서비스가 아니라고 판정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친화성 없음"의 판정 결과를 반송하고(S3305), 그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도 30에 나타낸 과정 S3005에서 설정자에 관한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으므로, 도 33에 나타낸 과정 S3301에서, 서비스를 특정하는 수단으로서 보유된 상세를 얻는 것만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상 재생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임의의 설정자로부터 요구를 받는 것이 구현되고, 트릭 플레이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 설정자와 동일한 서비스에 속하는 설정자로부터만 재생 속도/시간 설정 명령을 받는 것이 실현된다. 그래서, 구 설정자가 트릭 플레이를 행하는 동안, 구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 이외의 서비스에 속하는 신 설정자가 재생 상태를 변경하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에 기재된 "친화성 검증"의 과정과 다른 과정이 기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드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5에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10에 소프트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동작은 "친화성 검증" 과정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26을 사용하여 설명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 구 설정자와 신 설정자가 비교되어 그들이 서로 완전히 일치하는지 판정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각 설정자에 주어진 우선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4는 본 실시예에서 친화성 검증의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신 설정자와 구 설정자에게 각각 주어진 우선도를 비교한다(S3401).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우선도 레벨은 도 19에 나타낸 AIT 또는 도 21에 나타낸 XAIT에 포함된 정보이고, 각 애플리케이션에 주어진다. 또한, Java(TM) 라이브러리(1005)의 구성 요소 또는 서비스 관리자(1004)의 경우에, 소정의 임의의 수가 우선도 레벨로서 미리 주어진다. S3401에서, 예를 들면, 더 높은 우선도 레벨이 선호되는 경우에, 구 설정자의 우선도 레벨이 신 설정자보다 높으면, 우선도 레벨이 높은 것으로 판정된다. 신 설정자의 우선도 레벨이 구 설정자의 우선도 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판정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친화성 있음"의 판정 결과를 반송하고(S3402),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신 설정자의 우선도 레벨이 구 설정자의 우선도 레벨보다 낮은 것으로 판정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친화성 없음"의 판정 결과를 반송하고(S3403), 처리를 종료한다. S3401에서, 우선도 레벨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 판정 결과중 어느 하나가 만들어져도 본 발명은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재생이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임의의 설정자로부터 요구를 수신하는 것이 실현되고, 트릭 플레이가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구 설정자보다 높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설정자로부터만, 재생 속도/시간의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것이 실현된다. 따라서, 구 설정자가 트릭 플레이를 행하는 동안, 구 설정자보다 낮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신 설정자가 재생 상태를 변경하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제2 및 제3 실시예에 기재된 특성의 조합인 "친화성 검증"의 새로운 과정이 기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드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5에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10에 소프트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동작은 "친화성 검증" 과정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26을 사용하여 설명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서, 변경 허용은 서비스가 동일한지 아닌지의 판정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제3 실시예에서, 변경 허용은 우선도를 비교하여 판정된다. 반대로, 본 실시예는 동일한 서비스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설정자를 비교하고, 또한 우선도를 비교함으로써 변경 허용이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5는 본 실시예에서 친화성 검증의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33 및 도 34에서 동일한 과정에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붙여지므로, 동일한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3303에서, 각 구 설정자 및 신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가 서로 다를 때, "친화성 있음"의 판정 결과가 반송되고(S3403), 처리가 종료된다. 서비스가 동일할 때, 각각 구 설정자 및 신 설정자의 우선도가 비교된다(S3401). 신 설정자의 우선도 레벨이 구 설정자보다 높으면, "친화성 있음"의 판정 결과가 반송되고(S3203),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 또한 우선도 레벨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 판정 결과 중 어느 하나가 만들어질 때, 본 발명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5에서, 서비스가 동일한지 아닌지에 관한 판정이 행해진 후, 우선도의 비교가 행해진다. 그러나, 과정의 순서가 예약될 수 있다. 도 36은 예약된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각각의 구 설정자 및 신 설정자의 우선도가 비교되는 경우에(S3401), 신 설정자의 우선도 레벨이 구 설정자보다 높을 때, "친화성 있음"의 판정 결과가 반송되고(S3305),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신 설정자의 우선도 레벨이 구 설정자보다 높을 때, 구 설정자가 속하는(S3301) 서비스의 표준과 신 설정자가 속하는(S3302) 서비스의 표준이 실행되고, 특정된 서비스가 동일한 서비스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S3303). 각 구 설정자 및 신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가 서로 다를 때, "친화성 없음"의 판정 결과가 반송되고(S3305), 처리가 종료된다. 서비스가 동일할 때, "친화성 있음"의 판정 결과가 반송되고(S3304), 처리가 종료된다.
따라서, 정상 재생이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임의의 설정자로부터 요구를 수신하는 것이 실현되고, 트릭 플레이가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구 설정자와 동일한 서비스에 속하고, 구 설정자보다 높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설정자로부터만, 재생 속도/시간의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것이 실현된다. 따라서, 구 설정자가 트릭 플레이를 행하는 동안, 구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와 다른 서비스에 속하는 신 설정자에 의해 재생 속도/시간이 변경되는 상황의 발생과, 구 설정자보다 낮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신 설정자에 의해 재생 상태가 변경되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에 기재된 "변경 허용 판정"의 과정과 다른 과정이 기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드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5에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10에 소프트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동작은 "변경 허용 판정" 과정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26을 사용하여 설명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에 나타낸 것같이, 제1 실시예에서, 구 설정자와 신 설정자를 특정하고, 그들 사이의 친화성을 검증함으로써 변경 허용이 판정된다. 본 실시예는 신 설정자를 특정함으로써만 친화성 검증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7은 본 실시예에서 "변경 허용 판정"의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30에서 동일한 과정에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붙여지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 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신 설정자를 특정하고(S3002), 신 설정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친화성 검증을 행한다(S3702). 친화성 검증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다음에, 친화성 검증의 복귀 값이 결정된다(S3703). 친화성 검증의 결과 친화성 없다고 판정될 때, "변경 거부"의 판정 결과가 반송되고(S3705), 처리를 종료한다. 친화성 있다고 판정될 때, "변경 허용"의 판정 결과가 반송되고(S3704),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재생 속도를 설정하라는 명령을 받은 설정자를 식별하는 리스트(이후, 판정 리스트라고 한다)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판정 리스트의 상세는 후술한다.
다음에, 친화성 검증(S3702)의 처리에 대해 기재한다.
도 38은 친화성 검증의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30에서 동일한 과정에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붙여지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신 설정자에 관한 정보를 특정한다(S3801). 특정된 정보가 판정 리스트에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S3802). 특정된 정보가 판정 리스트에 있는 정보와 일치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친화성 있음"의 판정 결과를 반송하고(S3803), 처리를 종료한다. 특정된 정보가 판정 리스트에 있는 정보와 일치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친화성 없음"의 판정 결과를 반송하고(S3804),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에 의해 보유된 판정 리스트에 대 한 상세를 기재한다. 판정 리스트에 포함된 상세는 S3801에서 특정된 정보가 일치하는지 아닌지에 관한 판정에 필요한 정보이다.
도 39는 S3801에서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와 판정이 특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의 판정 리스트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기록된 콘텐츠"는 서비스 유형(3901)으로서 보유된다. 이 경우, 도 38을 참조하면, S3801의 처리에서, 신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 유형이 "기록된 콘텐츠"인 경우에만, 특정된 정보가 판정 리스트에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기록된 콘텐츠"만이 여기서 서비스 유형으로서 보유되고 있는 동안, 복수의 서비스 유형이 보유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자(1003)가 식별할 수 있기만 하면, "기록된 콘텐츠"와 다른 서비스 유형이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서비스 유형이 보유되는 경우, 정보가 거기에 포함된 서비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면 특정된 정보가 판정 리스트에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도 40은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에 의해 보유된 판정 리스트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칼럼 4001은 서비스 유형을 기재하고, 칼럼 4002는 서비스 식별자를 기재한다. 로우 4011와 로우 4012는 재생중이고 관리중인 서비스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로우 4011에 나타낸 서비스는 서비스 유형 4001으로서 "기록된 콘텐츠", 서비스 식별자 4002로서 "채널 1"을 갖는다. 또한, 로우 4012에 표시된 서비스는 서비스 유형 4001으로서 "기록된 콘텐츠", 서비스 식별자 4002로서 "채널 2"를 갖는다.
이 경우, 도 38을 참조하면, S3801의 처리에서, 신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 유형이 "기록된 콘텐츠"이고, 서비스 식별자가 "채널 1" 또는 "채널 2"인 경우에만, 정보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판정 리스트는 서비스 유형 또는 서비스 식별자 이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S3801의 처리에서, 리스트의 상세에 따라서 리스트의 상세가 변경하는 동안, 정보가 판정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관한 판정이 동일하게 남아 있다.
다음에, 신 설정자에 관한 정보로서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사용하여 판정이 실행되는 예가 기재된다. 도 41은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사용하여 행해지는 판정을 위해 사용된 판정 리스트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판정 리스트는 Java 프로그램 식별자 4101로서 "301"을 보유한다. 이 경우, 도 38을 참조하면, S3801의 처리에서, 신 설정자에 관한 Java 프로그램 식별자가 "301"인 경우에만, 특정된 정보가 판정 리스트에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이 경우, Java 프로그램 식별자로서 "301"이 보유되어 있는 동안, 복수의 Java 프로그램 식별자가 보유될 수 있고, 또한, 범위가 특정될 수 있다(예를 들면, 범위 301 내지 310).
미리 판정된 값이 이미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에 의해 보유된 판정리스트의 상세가 업데이트될 수 없는 경우라도 본 발명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를 통해 상세가 절반 정도 갱신될 때라도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를 통해 상세가 절반 정도 갱신하는 경우와 같이, 예를 들면, 서비스 관리자(1004)로부터 JMF(1005a)에 명령된 서비스의 정보를 추가하거나 대체 할 수 있다.
또한, 판정 리스트에 임의의 것을 입력함으로써 모든 설정 명령을 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세는 예를 들면 판정 리스트에, AM(1005b)에 의해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이 속하는 서비스를 설정함으로써 동작 상황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판정 리스트의 상세를 참조하거나 갱신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몇가지 제한(예를 들면, 우선도 레벨, Java 프로그램 식별자,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보유된 권한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재생이 설정되는 상태에서, 임의의 설정자로부터 요구를 수신하는 것이 실현되고, 트릭 플레이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판정 리스트에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 설정자로부터만 재생 속도/시간의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것이 실현된다. 그러므로, 구 설정자가 트릭 플레이를 행하는 동안 다른 신 설정자에 의해 재생 상태가 변경되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제1 내지 제 5실시예와는 다르게, 본 실시예는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도 29에 나타낸 외부 장치로부터 재생 속도를 설정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보유된 재생 속도(TB)의 상세에 상관없이 변경 허용 판정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드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5에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10에 소프트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동작은, 외부 장치로부터 재생 속도의 설정 명령을 수신할 때 행해지는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의 동작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26을 사용하여 설명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도 42는 본 실시예에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외부 장치로부터 재생 속도의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29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붙여지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외부 장치로부터 재생 속도의 설정 명령을 수신하여, 변경이 허용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2905). 변경 허용 판정에 관한 상세는 제1 내지 제 5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과정에 적용가능하므로, 그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S2905에서 복귀값을 판정하고(S2906), S2905에서 변경이 허용되지 않았다고 판정될 때, 처리를 종료한다. 변경이 허용되었다고 판정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재생 속도의 설정 명령의 상세를 얻고(S2901),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되어 있는 재생 속도를 얻고(S2902), 그들이 동일한지 아닌지 판정하기 위해 얻어진 상세와 재생 속도를 비교한다(S2903). 그들이 동일할 때, 처리가 종료된다. 그들이 서로 다를 때,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되어 있는 상세는 S2902에서 얻 어진 상세로 대체된다(S2907). 다음에,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동화상 재생 처리부(2502)에 재생 상태에 대해 문의하고, 결과가 재생이 행해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지 판정한다(S2908). 재생이 행해지고 있는지를 나타내지 않을 때, 처리는 종료된다. 재생이 행해지고 있는지를 나타낼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동화상 재생 처리부(2502)에 재생 속도를 명령한다(S2909). 따라서, 외부 장치로부터 재생 속도를 설정하라는 명령이 비디오 및 오디오의 재생 상태에 반영된다.
따라서, 정상 재생이 설정되어 있는지에 상관없이,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기재된 변경 허용 판정을 실행함으로써, 기대하지 않은 신 설정자가 재생 상태를 변경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7 실시예)
제1 내지 제 6실시예와는 다르게, 본 실시예는 재생 속도 설정 명령이 수용되었는지 아닌지가 재생 속도 설정 명령이 행해지기 전에 미리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드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5에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10에 소프트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동작은,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기록 예약 허용 판정 처리를 행하고, 재생 속 도의 변경 허용 판정의 다른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26을 사용하여 설명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도 43은 기록 예약 요구를 처리하는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Java 방법이다. 예약 방법은 기록 예약 요구를 수용한다. 해제 방법은 기록 예약 상태를 해제하는 요구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도 43의 예로서 도시된 장치를 가지는 경우에 대해 기재한다.
도 44는 재생 속도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지 아닌지를 미리 결정하기 위해 설정자가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에 기록 예약 요구를 하는 경우에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에 의해 행해진 기록 예약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설정자로부터 기록 예약 요구를 받아서 기록 예약 허용 판정을 행한다(S4401). 다음에, 기록 예약 허용 판정의 복귀 값을 판정한다(S4402). 기록 예약 허용 판정의 상세는 후술한다. 기록 예약 허용 판정의 결과로서, "예약 거부"의 판정 결과가 반송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기록 예약 요구를 송신한 설정자가 기록을 프로그램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 S4401에서, "예약 허용"의 판정 결과가 반송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기록 예약 상태를 변경하고(S4403),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기록 예약 요구를 송신한 설정자가 기록을 프로그램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기록 예약 요구를 송신한 설정자(즉, 기록을 프로그램할 수 있는 설정자)를 예약 홀더로 칭한다. 이 경우는 기록 예약을 미리 프로그램한 예약 홀더 대신에, 기록 예약이 다른 새로운 예약 홀더에 의해 취해진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기록 예약이 다른 예약 홀더에 의해 취해진 것이 이전 예약 홀더에 통지될 수 있다.
S4403에서, 설정자는 기록을 프로그램한 설정자를 나타내므로, S4403이 제1 실시예에 따라서 기록을 프로그램한 설정자에 관한 정보가 S3005에 보유되어 있는 경우와 동일하다.
기록 예약이 프로그램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관한 결과는 기록 예약 요구를 송신한 설정자에게 통지될 수 있다. 통지 방법에 대해, 본 발명은 공지된 기술인 Java(TM) 언어의 특별한 메카니즘 등의 임의의 유형의 방법과 방법의 복귀 값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도 45는 "기록 예약 허용 판정(S4401)"의 상세한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친화성 검증을 행한다(S4501). 친화성 검증에 대한 상세는 제1 내지 제 6실시예에 기재된 친화성 검증 중 하나를 적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S4501의 결과로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친화성 있음"의 판정 결과가 반송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S4502), "친화성 있음"의 경우에는 "예약 허용"을 반송하고(S4503), 처리를 종료한다. "친화성 없음"의 경우에는 "예약 거부"를 반송하고(S4504),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외부 장치로부 터 재생 속도를 설정하라는 명령을 수신했을 때 행해진 과정에 대해 기재한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외부 장치로부터 재생 속도를 설정하라는 명령을 수신했을 때 행해진 과정은 제1 실시예에서 도 29 및 제 6실시예에서 도 42의 플로우도와 같이 진행한다. 그러나, 도 29 및 도 42에서 "변경 허용 판정"은 본 실시예와 다르다.
도 46은 본 실시예에서 "변경 허용 판정(S2905)"의 상세한 과정을 나나태는 플로우도이다.
우선,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재생 속도를 변경하라고 명령한 설정자를 특정한다(S4601). 설정자를 특정하는 특정 방법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특정된 설정자가 예약 홀더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4602). 특정 판정 방법이 예를 들면, 예약 홀더의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S3305에서 1차 기억부(511)에 저장하고, 저장된 예약 홀더의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S4601에서 설정자의 Java 프로그램 식별자와 비교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 47은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1차 기억부(511)에 예약 홀더의 Java 프로그램 식별자로서 "301"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의 일 예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S4602에서, 설정자가 예약 홀더라고 판정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변경 허용"을 반송하고(S4603), 처리를 종료한다. 설정자가 예약 홀더가 아니라고 판정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변경 거부"를 반송하고(S4604), 처리를 종료한다.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사용한 판정 처리의 예가 상기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정보가 S4502의 판정처리에 충분하기만 하면, 설정자에 부착된 임의의 유형의 정보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포맷으로서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에 기초하여 판정이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 기재한다.
이 경우에, S4602에서,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취득되어, 비교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1차 기억부(511)에, S3005에서 예약 홀더가 속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식별자를 미리 저장하고, 저장된 예약 홀더의 서비스 식별자와 S4601에서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 48은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1차 기억부(511)에 예약 홀더가 속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식별자로서 "채널 1"을 저장하는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 이외의 다른 장치(즉, 도 43에 예로서 나타낸 장치가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 이외의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가 기록 예약 처리(도 44 및 도 45에 나타낸 기록 예약 처리 또는 그 처리의 일부)와 S4602에서 판정을 행하는 동안,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S4602에서 장치에 판정을 행할 것을 요구하여, 판정 결과만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Java 라이브러리(1005)에 새로운 예약 관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새로운 예약 관리 장치가 기록 예약 처리와 S4602에서 판정을 행한다. 도 49는 예 약 관리 장치(4905f)가 Java 라이브러리(1005)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의 블록도이다. 이 경우, 재생 속도를 설정하라는 명령이 미리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설정자는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아니라 예약 관리 장치(4905f)에 기록 예약 요구를 송신한다. 설정자로부터 기록 예약 요구를 수신하면, 예약 관리 장치(4905f)는 도 44 및 도 45에 나타낸 플로우도에 계속되는 처리를 행한다.
JMF(1005a)로부터 명령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 관리자(1004)와 기록 관리자(1210) 등의 프로그램의 경우에, 프로그램에 예약 관리 장치(4905f)의 처리를 포함시키고, 예약 관리 장치(4905f)가 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본 발명은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예약 처리를 할 수 있는 설정자는 재생 속도를 언제나 변경할 수 있고, 기록 예약이 다른 설정자에 의해 취해지지 않으면 다른 설정자에 의해 재생 상태가 변경되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8 실시예)
본 발명은 AIT 또는 XAIT가 재생 속도의 변경을 허용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드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5에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10에 소프트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동작은, AIT 및 XAIT의 구성이 다르고,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에 의한 재생 속도의 변경 허용 판정 과정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26을 사용하여 설명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도 50은 도 19에 나타낸 AIT의 상세에 추가하여 재생 속도 변경 허용 플래그(5001)를 포함하는 AIT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1은 도 21에 나타낸 XAIT의 상세에 추가하여 재생 속도 변경 허용 플래그(5001)를 포함하는 XAIT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시작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도 50 또는 도 51에 나타낸 정보에 기초하여 AM(1005b)에 의해 모두 시작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외부 장치로부터 재생 속도를 설정하라는 명령을 수신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도 29 또는 도 42에 나타낸 처리를 행하는 동안, "변경 허용 판정(S2905)"의 처리는 본 실시예에서는 다르다.
도 52는 본 실시예에서 "변경 허용 판정(S2905)"의 상세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도 30에서 동일한 처리에 사용되므로, 그 동일한 처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설정자에 관한 변경 허용 플래그를 취득하여, 취득된 변경 허용 플래그가 1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5201). 상기 판단이 1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동안, 변경 허용 판정을 위해 정보가 사용될 수 있기만 하면, 1과는 다른 임의의 유형의 정보가 상기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변경 허용 플래그가 1일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설정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S3005), "변경 허용"의 판정 결과를 반송하고(S3006), 처리를 종료한다. 변경 허용 플래그가 1이 아닐때, 동는 "변경 거부"의 판정 결과를 반송하고(S3007),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AIT 또는 XAIT에포함된 변경 허용 플래그에 따라서 재생 속도를 설정하라는 명령이 허용될 수 있는지 아닌지가 판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재생 속도가 다른 신 설정자에 의해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지 아닌지를 미리 알 수 있고, 어느 설정치로 재생 속도가 변경되는지를 미리 알 수 있다.
(제 9 실시예)
본 실시예는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시작을 명령함으로써 재생 속도의 변경이 명령될 수 있고,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정지를 명령함으로써 재생 속도의 변경이 명령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드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5에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10에 소프트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동작은, 재생 시작 및 종료 명령시에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의 동작이 다르고, 재생 속도에 대한 변경 허용 판정에 대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의 동작들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애플리케이션이 동화상 트릭 플레이 처리부(2502)의 시작 방법에 의해 비디오/오디오 재생을 명령할 때, 제1 실시예에 기재된 동작에 추가하여,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시작 방법이라고 불리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1차 기억부에 저장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시작 방법에 의해 재생이 시작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설정하라는 명령을 예약하고, 즉,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변경할 권한을 가진다. 한편,
상기 시작 방법이라고 불리는 애플리케이션이 동화상 트릭 플레이 처리부(2502)의 종료 방법에 의해 비디오/오디오 재생의 종료를 명령할 때, 제1 실시예에 기재된 동작에 추가하여, 동화상 트릭 플레이 처리부(2502)는 1차 기억부에 저장된 시작 방법이라고 불리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삭제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시작 방법에 의해 재생을 시작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설정하라는 명령의 예약을 해제하고, 즉,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변경할 권한을 포기한다. 동화상 트릭 플레이 처리부(2502)의 다른 동작은 제1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도 46은 본 실시예에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에 의해 행해지는 "변경 허용 판정(S2905)"의 상세한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변경 허용 판정의 동작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제1 실시예의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와 동일하다. 도 46이 제7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본 실시예에서 다시 사용된다.
우선,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재생 속도를 변경하라고 명령한 설정자 즉,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한다(S4601). 설정자를 특정하는 특정 방법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특정된 설정자가 예약 홀더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4602). 특정 판정 방법은 예를 들면, 동화상 처리부(2502)를 움직임으로써,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된 예약 홀더의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S4601에서 식별된 설정자의 Java 프로그램 식별자와 비교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S4602에서, 식별된 설정자가 예약 홀더라고 판정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변경 허용"을 반송하고(S4603), 처리를 종료한다.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사용한 판정 처리의 예가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정보가 S4502의 판정처리에 충분하기만 하면, 설정자에 부착된 임의의 유형의 정보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방법으로서,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에 기초하여 판정이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 기재한다.
이 경우에, S4602에서,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취득되어, 비교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1차 기억부(511)에, 예약 홀더가 속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식별자를 미리 저장하고,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S4601에서, 이 서비스 식별자와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의 재생 시작 명령에 의한 기록 예약을 성공적으로 행한 설정 자만이 재생 속도를 변경할 수 있고, 예약이 다른 설정자에 의해 취해지지 않는 한, 다른 설정자에 의해 재생 상태가 변경되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
본 실시예는 서비스 관리자에게 기록된 콘텐츠를 선택할 것을 명령함으로써 재생 속도의 변경이 명령될 수 있고, 서비스 관리자에게 기록된 콘텐츠의 선택을 취소할 것을 명령함으로써 재생 속도의 변경이 명령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드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5에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 10에 소프트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동작은,
콘텐츠를 선택한 뒤에 서비스 관리자(1004)의 동작과 재생 속도의 변경 허용 판정에 대한 동화상 트릭 플레이 재생 관리부(2501)의 동작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서비스 관리자(1004)의 선택(int 채널) 방법에 의해 기록된 콘텐츠를 선택하여 명령할 때, 제1 실시예에 기재된 동작에 추가하여, 서비스 관리자(1004)는 선택 방법이라고 불리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1차 기억부에 저장한다. 따라서, 현재의 애플리케이션은 선택 방법에 의해 재생이 시작된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설정하라는 명령을 예약하고, 즉,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변경할 권한을 가진다. 한편,
한편, 상기 기재된 선택이라고 불리는 애플리케이션이 서비스 관리자(1004)의 선택(int 채널)의 채널 파라미터에 널(null)을 명령함으로써 비디오/오디오의 선택을 취소하라고 명령할 때, 제1 실시예에 기재된 동작에 추가하여, 서비스 관리자(1004)는 1차 기억부에 저장된 선택 방법이라고 불리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삭제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선택 방법에 의해 재생을 시작한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설정하라는 명령의 예약을 해제하고, 즉,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변경할 권한을 포기한다. 서비스 관리자(1004)의 다른 동작은 제1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도 46은 본 실시예에서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에 의해 행해지는 "변경 허용 판정(S2905)"의 상세한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변경 허용 판정의 동작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제1 실시예의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와 동일하다. 도 46이 제7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본 실시예에서 다시 사용된다.
우선,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재생 속도를 변경하라고 명령한 설정자 즉,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한다(S4601). 설정자를 특정하는 특정 방법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특정된 설정자가 예약 홀더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4602). 특정 판정 방법은 예를 들면, 서비스 관리자(1004)에 의해, 즉, 선택 방법이라고 불리고, "기록된 콘텐츠"를 선택할 것을 명령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1차 기억부(511)에 저장된 예약 홀 더의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S4601에서 식별된 설정자의 Java 프로그램 식별자와 비교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S4602에서, 식별된 설정자가 예약 홀더라고 판정할 때,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는 "변경 허용"을 반송하고(S4603), 처리를 종료한다.
Java 프로그램 식별자를 사용한 판정 처리의 예가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정보가 S4502의 판정처리에 충분하기만 하면, 설정자에 부착된 임의의 유형의 정보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방법으로서,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에 기초하여 판정이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 기재한다.
이 경우에, S4602에서,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취득되어, 비교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서비스 관리자(1004)가 1차 기억부(511)에, 예약 홀더가 속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식별자를 미리 저장하고,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2501)가 S4601에서, 상기 서비스 식별자와 설정자가 속하는 서비스 식별자를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의 재생 시작 명령에 의한 기록 예약을 성공적으로 행한 설정자만이 재생 속도를 변경할 수 있고, 예약이 다른 설정자에 의해 취해지지 않는 한, 다른 설정자에 의해 재생 상태가 변경되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9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1 내지 제9 실시예에서,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할 때 기록된 콘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및 오디오가 재생되고, 비디오 및 오디오가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있 는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만 하면, 본 발명은 임의의 유형의 기록 장치와 재생 장치를 적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서술된 실시예에서, 다른 기록 방법으로서, 오디오 인코더(2101) 및 비디오 인코더(2102)로부터의 출력이 2차 기억부(5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다음의 처리중 하나가 취해진다: 오디오 인코더(2101) 및 비디오 인코더(2102)의 출력 목적지가 2차 기억부(510)로서 미리 판정되고; CPU(154)는 오디오 인코더(2101) 및 비디오 인코더(2102)에 출력 목적지로서 2차 기억부(510)를 명령한다.
또한, 다른 기록 방법으로서, CPU(154)는 오디오 인코더(2101) 및 비디오 인코더(2102)에 대한 출력 목적지로서 멀티플렉서(2103)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기록 방법으로서, QAM 복조부(501)로부터의 출력은 POD(504)를 통하지 않고 직접 2차 기억부(510)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기록 방법으로서, QAM 복조부(501)로부터의 출력은 POD(504)를 통하지 않고 TS 디코더(505)에 출력될 수 있고, TS 디코더(505)로부터의 출력은 멀티플렉서(2103)에 입력될 수 있고, 멀티플렉서(2103)로부터의 출력은 2차 기억부(510)에 기록될 수 있다.
POD(504)를 통하지 않고 콘텐츠가 기록되는 경우에(즉, 부호화될 콘텐츠가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에서 POD(504)를 바이패스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록 방법으로서, 멀티플렉서(2103)로부터의 출력은 2차 기억부(510)에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의 처리중 하나가 취해진다: 멀티플렉서(2103)의 출력 목적지가 미리 2차 기억부(510)로서 판정되고, CPU(154)는 멀티플렉서(2103)의 출력 목적지로서 2차 기억부(510)를 지정한다.
또한, 다른 기록 방법으로서, CPU(154)는 TS 디코더(505)의 출력 목적지로서 2차 기억부(510)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기록 방법으로서, CPU(154)는 멀티플렉서(2103)를 TS 디코더(505)의 출력 목적지로서 지정할 수 있고, 멀티플렉서(2103)의 출력 목적지로서 2차 기억부(510)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및 오디오 이외의 정보,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DSMCC의 상세가 기록되는 경우에, TS 디코더(505)로부터의 출력 중에서 저장되는 데이터는 CPU(514)에 의해 처리된 후, 2차 기억부(510)에 직접 저장된다.
또한, TS 디코더(505)로부터의 출력 중에서 저장되는 데이터는 멀티플렉서(2103)에 출력되고, 그 출력은 오디오 인코더(2101) 및 비디오 인코더(2102)로부터의 출력과 함께 멀티플렉서(2103)에 의해 멀티플렉스되고, 그 결과가 2차 기억부(510)에 저장되나.
하드 디스크 및 DVD-RAM 등의 대용량 매체가 2차 기억부(510)로서 선호되지만, 어떠한 매체라도 기록가능하면 적용될 수 있다.
TS 디코더(505), 오디오 디코더(506), 비디오 디코더(508), 오디오 인코더(2101), 비디오 인코더(2102) 및 멀티플렉서(2103)로부터의 입출력으로서 처리되는 데이터는 임의의 단계에서 임의로 부호화될 수 있다.
기록된 콘텐츠는 그 검색 능력과 동시에 원래의 콘텐츠에 포함된 상세(즉, 비디오,오디오, 애플리케이션 등)와 부가 정보(예를 들면, 시간 및 프로그램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에 상관없이, 기록된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으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신규 특징 및 이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남없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기록 및 재생 장치(동화상 재생 장치)는 정상 재생 또는 트릭 플레이에 대한 명령에 대응하여, 규칙에 따라서 수용되는 명령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명령을 수용하는 경우에, 동화상 재생 장치는 명령의 상세를 보유하는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 및 동화상 트릭 플레이 관리부에 의해 보유된 상세에 기초하여 동화상을 재생하는 동화상 재생 처리부를 포함하므로,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장치에 의한 동화상 재생에서,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예상되지 않은 재생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의 안정도를 증가시키는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젼뿐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 및 휴대폰 등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되는 정보 장치의 동작의 안정도를 증가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1. 방송파에 포함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과 함께 소정의 서비스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로서,
    수신된 콘텐츠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되는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수신하여, 수신된 재생 속도로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재생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미 수용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정상 재생으로 요구한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새로운 재생 속도를 요구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에, 새로운 재생 속도 요구를 받으면, 상기 재생 속도 제어부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새로운 재생 속도 요구를 수용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
  2. 방송파에 포함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과 함께 소정의 서비스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로서,
    수신된 콘텐츠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수신하여, 수신된 재생 속도로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재생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미 수용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정상 재생으로 요구한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새로운 재생 속도를 요구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른 경우에, 새로운 재생 속도 요구를 받으면, 상기 재생 속도 제어부는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과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을 비교하여, 더 높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된 재생 속도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재생 속도 제어부는,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속하는 서비스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와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속하는 서비스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른 서비스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서비스에 속하지 않은 경우에,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재생 속도 변경 요구를 거절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재생 속도 제어부는,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속하는 서비스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와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속하는 서비스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른 서비스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서비스에 속하는 경우에,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이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보다 높으면,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된 재생 속도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이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재생 속도 제어부는,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된 재생 속도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되어 온 이미 수용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는 정상 재생에 대한 재생 속도와 다른 재생 속도인, 기록 및 재생 장치.
  7. 방송파에 포함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과 함께 소정의 서비스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록 및 재생 방법으로서,
    수신된 콘텐츠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되는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수신하여, 수신된 재생 속도로 상기 재생 단계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미 수용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정상 재생으로 요구한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새로운 재생 속도를 요구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에, 새로운 재생 속도 요구를 받으면,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새로운 재생 속도 요구를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 방법.
  8. 방송파에 포함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과 함께 소정의 서비스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록 및 재생 방법으로서,
    수신된 콘텐츠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요구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수신하여, 수신된 재생 속도로 상기 재생 단계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미 수용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정상 재생으로 요구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새로운 재생 속도를 요구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른 경우에, 새로운 재생 속도 요구를 받으면, 상기 제어 단계는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과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우선도 레벨을 비교하여, 더 높은 우선도 레벨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된 재생 속도로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기록 및 재생 방법.
KR1020077026643A 2005-05-31 2006-05-29 기록 및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방법 KR200800150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537705P 2005-05-31 2005-05-31
US60/685,377 2005-05-31
US75288705P 2005-12-23 2005-12-23
US60/752,887 2005-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083A true KR20080015083A (ko) 2008-02-18

Family

ID=3693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643A KR20080015083A (ko) 2005-05-31 2006-05-29 기록 및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894710B2 (ko)
JP (1) JP2008543121A (ko)
KR (1) KR20080015083A (ko)
CN (1) CN101208750B (ko)
CA (1) CA2609967A1 (ko)
WO (1) WO20061298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4213B2 (en) 2012-07-31 2020-06-02 Saturn Licensing Llc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1825B (en) * 2005-10-18 2007-05-21 Univ Nat Taiwan Righ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US20070140651A1 (en) * 2005-12-19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pparatus
CA2633007A1 (en) * 2005-12-19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2009520380A (ja) * 2005-12-19 2009-05-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
US7803998B2 (en) * 2005-12-21 2010-09-28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ifying flower development
JP2008135135A (ja) * 2006-11-29 2008-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テーブル作成方法、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ならびにこれを利用したデジタル音響機器
EP2051253A4 (en) * 2007-02-28 2010-12-29 Panasonic Corp PLAYING DEVICE, PLAY PROCESS AND SYSTEM LSI
JP5211569B2 (ja) * 2007-07-26 2013-06-12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9016759A1 (ja) * 2007-08-02 2009-02-05 Fujitsu Limited 情報機器、プログラム、媒体、および方法
JP5282383B2 (ja) * 2007-09-06 2013-09-04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US8687938B2 (en) * 2008-03-31 2014-04-01 Panasonic Corporation Video recording system,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video recording method
JP6148825B2 (ja) * 2011-05-20 2017-06-14 日本放送協会 受信機
BR112013033878A2 (pt) 2012-05-10 2017-02-14 Sony Corp aparelho de recepção, método de recepção de um aparelho de recepção, programa, aparelho de transmissão, e, método de transmissão de um aparelho de transmissão
CN107210828A (zh) * 2015-01-12 2017-09-26 Lg电子株式会社 广播信号发送装置、广播信号接收装置、广播信号发送方法和广播信号接收方法
US10504552B2 (en) * 2015-09-07 2019-12-10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2435A (en) 1993-03-31 1995-09-19 Kaleida Labs, Inc. Synchronized clocks and media players
US5732217A (en) * 1995-12-01 1998-03-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on-demand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high-speed playback at a correct speed
JP2000358217A (ja) * 1999-06-14 2000-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ビデオ記録再生装置
US7046911B2 (en) * 2001-09-29 2006-05-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reduced playback of recorded video based on video segment priority
US7657152B2 (en) * 2002-05-28 2010-02-02 Panasonic Corporation Broadcast playback and/or recording apparatus
US20040210949A1 (en) * 2003-04-21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reception and playback apparatus, data reception and playback method, and data reception and playback processing program
US7760757B2 (en) * 2003-08-06 2010-07-20 Panasonic Corporation Service executing apparatus
KR100840851B1 (ko) * 2003-11-10 2008-06-2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기록매체, 재생장치, 재생방법, 시스템 집적회로
JP4048223B2 (ja) 2004-05-11 2008-0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再生装置
WO2006085667A1 (en) 2005-02-10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 recording apparatus
WO2006123799A1 (en) 2005-05-18 2006-1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N101185326A (zh) 2005-05-27 2008-05-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广播记录和再现装置及其方法
WO2006129813A1 (en) 2005-05-31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with expiration date management unit
WO2006129818A1 (en) 2005-05-31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WO2006129819A1 (en) 2005-05-31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nd program execution method
CA2609827A1 (en) 2005-06-23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gram execution apparatus and execution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4213B2 (en) 2012-07-31 2020-06-02 Saturn Licensing Llc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KR20200123277A (ko) * 2012-07-31 2020-10-28 소니 주식회사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94710B2 (en) 2011-02-22
US20060280444A1 (en) 2006-12-14
JP2008543121A (ja) 2008-11-27
US8571385B2 (en) 2013-10-29
CN101208750B (zh) 2011-12-28
CN101208750A (zh) 2008-06-25
CA2609967A1 (en) 2006-12-07
US20110135274A1 (en) 2011-06-09
WO2006129815A1 (en)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5083A (ko) 기록 및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방법
US66012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cheduling program conflicts in a virtual channel scheduling gap
RU2390965C2 (ru) Приемник телевизионных сигналов
US7840116B2 (en)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KR20080015087A (ko) 방송 기록 및 재생 장치와 그 방법
KR20080027821A (ko) 기록 및 재생 장치
KR20080012293A (ko) 콘텐트 재생 장치
KR20080077991A (ko)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20080078836A (ko) 잔여 용량 검출 유닛을 갖는 기록 장치
KR20050021970A (ko) 방송 수신 장치
WO2009050901A1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and content processing method
KR20080015096A (ko) 기록 및 재생 장치
US20070154172A1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2009094702A (ja) 操作履歴を記憶する情報処理装置
MX2007013716A (es) Aparato de grabacion y reproduccion y metodo de grabacion y reproduccion.
MX2007013880A (es) Aparato de grabacion y reproduccion.
JP2006345505A (ja) 放送蓄積端末
MX2007016502A (es) Aparato de grabacion y reproduccion.
MX2007013537A (es) Aparato y metodo para la grabacion y reproduccion de transmisi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