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060A - Signal detector and signal det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Signal detector and signal dete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060A
KR20070098060A KR1020060029224A KR20060029224A KR20070098060A KR 20070098060 A KR20070098060 A KR 20070098060A KR 1020060029224 A KR1020060029224 A KR 1020060029224A KR 20060029224 A KR20060029224 A KR 20060029224A KR 20070098060 A KR20070098060 A KR 2007009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ltage
irregular
valu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78052B1 (en
Inventor
야스오 다카다
츠요히로 이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Priority to KR1020060029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052B1/en
Publication of KR2007009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0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0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3Electrical testing of internal connections or -isolation, e.g. latch-up or chip-to-lead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2Measuring rate of chan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A signal detector and a signal detection system are provided to exactly detect a jittered signal accompanied with a sudden change in voltage by judging whether voltage components correspond to the jittered signal or not, on the basis of the change rate of time. A signal detector(1) for detecting a jittered signal accompanied with the sudden change of voltage, included in an electric signal generated by a test device inspec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is composed of a component extracting unit(9) extracting voltage components whose absolute value of a voltage value is over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electric signal; a change rate deriving unit(11) deriving time change rate of the voltage value in the voltage components extracted by the component extracting unit; a judging unit(13) judging whether the voltage components correspond to the jittered signal or not, on the basis of the time change rate of the voltage value; and an informing unit(14) informing a user of the judgment result if the judging unit determines that at least the voltage components correspond to the jittered signal.

Description

신호 검출장치 및 신호 검출시스템{SIGNAL DETECTOR AND SIGNAL DETECTION SYSTEM} SIGNAL DETECTOR AND SIGNAL DETECTION SYSTEM}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의 사용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use mode of a sign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도 2는 신호 검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블럭도,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gnal detection apparatus;

도 3은 신호 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도 4는 전원 전압신호 및 그 시간 변화율의 시계열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4 is a graph showing time series data of a power supply voltage signal and a time change rate thereof;

도 5는 실시형태 2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블럭도,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6은 실시형태 3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블럭도,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7은 실시형태 4에 관한 신호 검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신호 검출장치 2 : 검사대상1: Signal detection device 2: Inspection object

3 : 검사장치 4 : 검사장치 본체3: Inspection device 4: Inspection device body

5 : 테스트 헤드 6 : 케이블 배선5: test head 6: cable wiring

6a : 카드선 6b : 센스선6a: card line 6b: sense line

6c : 포스선 6d : 리턴선6c: force line 6d: return line

6e : HGND선 8 : 신호 입력부6e: HGND line 8: Signal input part

9 : 성분 추출부 10 : 강도 필터9 component extraction unit 10 strength filter

11 : 변화율 도출부 12 : 계시부(計時部)11: change rate derivation unit 12: time zone (부 時 部)

13 : 판정부 14 : 고지부13 judgment unit 14 notice

15 : 제어부 16 : 상승 검출부15 control unit 16 rise detection unit

17 : 하강 검출부 20 : 신호 검출장치17: falling detection unit 20: signal detection device

21 : 패턴 데이터베이스 21 : 발생 패턴 데이터베이스21: pattern database 21: occurrence pattern database

22 : 불량 추정부 23 : 제어부 22: defective estimation unit 23: control unit

25 : 신호 검출장치 26 : 발생 이력 기록부25: signal detection device 26: generation history record

27 : 수리 판정부 28 : 제어부 27: repair determination unit 28: control unit

30 : 신호 검출장치 31 : 네트워크30: signal detection device 31: network

32 : 관리서버32: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은 소정의 검사대상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장치가 생성한 전기신호 중에 혼입할 수 있는 신호로서 돌발적인 전압 변동을 수반하는 불규칙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장치 및 신호 검출장치를 사용한 신호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gnal detection device and a signal detection device using a signal detection device and a signal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n irregular signal accompanied by a sudden voltage change as a signal that can be mixed in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predetermined inspection target It is about the system.

종래, 반도체장치 등의 검사대상의 전기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검사장치의 구성으로서는 검사대상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신호나 검사신호 등의 소정의 전기신호를 생성·출력하는 검사장치 본체와, 검사장치 본체와 소정의 배선 케이블을 거쳐 접속됨과 동시에, 검사대상과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검사장치 본체로부터 출력된 검사신호 등의 전기신호를 검사대상에 대하여 전송함과 동시에, 검사대상으로부터의 응답신호를 검사장치 본체에 전송하는 테스트 헤드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inspection apparatuses for inspec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inspection targets, such as semiconductor devices, are known. The configuration of such an inspection apparatus includes an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that generates and outputs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such as a power signal or an inspection signal for driving an inspection object, and is connected to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via a predetermined wiring cable,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est object to have a test head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such as a test signal output from the test apparatus main body to the test object,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s a response signal from the test object to the test apparatus body. It is general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검사장치 본체는 전기신호의 생성·출력을 행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미리 검사신호에 대응한 응답신호의 패턴을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검사장치본체는 기억한 응답신호의 패턴과, 실제로 검사대상으로부터 얻어진 응답신호의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검사대상의 전기 특성을 검사하여 양품 또는 불량품의 판단 등을 행하고 있다.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has a function of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and also has a function of previously storing a pattern of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spection signal. And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compares the pattern of the response signal memorize | stored with the pattern of the response signal actually obtained from the inspection object, and test | inspects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an inspection object, and judges the good or defective product.

[특허문헌 1][Patent Document 1]

일본국 특개평11-03064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030647

그러나 종래의 검사장치는 검사장치 본체로부터 검사대상에 대하여 출력되는 전원 전압신호 등의 전기신호 중에 돌발적인 전압 변화를 수반하는 이른바 스파이크전압 등의 불규칙 신호가 혼입한 경우에 검사대상에 대하여 악영향을 준다는 과제를 가진다. 이하, 이와 같은 과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inspection apparatus adversely affects the inspection object when an irregular signal such as a spike voltage accompanied by a sudden voltage change is mixed in an electrical signal such as a power supply voltage signal outputted from the inspection apparatus body to the inspection object. Have a task Hereinafter, such a su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돌발적인 전압 변화를 수반하는 불규칙 신호가 검사대상에 입력된 경우에는 예를 들면 검사대상의 정격전압보다도 높은 피크전압을 가지는 불규칙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검사대상의 전기 특성이 열화·파괴되게 된다. 특히 최근의 검사대상은 미세화에 따라 내압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정격전압도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 불규칙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파괴될 염려가 있다. 또 파괴에 이르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무엇인가의 영향을 검사대상에 미치게 할 가능성은 높고, 예를 들면 검사장치를 사용한 검사시에는 특성의 저하 등이 검출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제품으로서의 수명이 현저하게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When an irregular signal accompanied by a sudden voltage change is input to the inspection object, for example, an irregular signal having a peak voltage higher than the rated voltage of the inspection object is input, thereby deteriorating and destro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spection object. In particular, recent inspection targets have a tendency to decrease the breakdown voltage with miniaturization, so the rated voltage is also set to a low value, which may be easily broken by input of an irregular signal. In addition, even if the damage is not reach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xerting a certain influence on the inspection object. For example, when the inspection using the inspection device is not detected, the deterioration of characteristics, etc.,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 is a possibility of problems such as.

물론 종래의 검사장치에서도 검사장치 본체가 생성하는 전기신호 중에 돌발적인 전압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미리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검사장치 본체의 구동을 제어하여 생성하는 전기신호의 내용을 정하는 프로그램 중에 오류가 생기는 것이나 검사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전자회로의 경년열화 등에 의하여 검사장치 본체가 생성하는 전기신호 중에 불규칙 신호가 생기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은매우 곤란하다. Of course, in the conventional inspection apparatus, it is generally designed in advance so that no sudden voltage change occurs in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However, an error occurs during a program that determines the contents of the electric signal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or an irregular signal occurs in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due to aging of electronic circuits constituting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It is very difficult to prevent completely.

따라서 종래의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상에 고장 등의 불편이 생긴 경우에 불규칙 신호에 기인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적으로 오실로스코프 등에 의하여 전기신호의 파형을 관찰하여 불규칙 신호의 발생을 검출하고 있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소정의 검사장치에 있어서 불규칙 신호를 발생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이와 같은 검사장치에 의하여 전기특성의 검사가 행하여진 검사대상을 다른 검사장치에 의하여 다시 검사하는 등의 대응이 취해지고 있었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inspection apparatus, 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it is caused by an irregular signal when a problem such as a failure occurs in the inspection object, the occurrence of the irregular signal was detected by observing the waveform of the electrical signal with an oscilloscope or the like afterwards. .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irregular signal has been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inspection apparatus, a countermeasure such as re-inspecting another inspection apparatus for an inspection object whose electrical characteristics have been inspected by such an inspection apparatus is taken. I was losing.

그러나, 이와 같은 대응으로도 충분하지는 않다. 즉, 불규칙 신호의 파형 등에 따라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검사대상의 파괴까지 이르지 않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처음부터 사후적으로 오실로스코프에 의한 확인이 행하여지지는 않아 불규칙 신호의 발생을 확인하는 것이 아주 곤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검사방법에서는 검사대상이 파괴된 경우에만, 또한 사후적으로 불규칙 신호가 발생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는 아주 한정된 효과를 얻는 것만 가능하였다.However, such a response is not enough.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waveform of the irregular signal or the like, the inspection object may not be destroyed as described above. In such a case, the oscilloscope is not checked from the beginning after the fact and confirms the occurrence of the irregular signal.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inspection method, it was only possible to obtain a very limited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only that the inspection object is destroyed and that an irregular signal has occurred after the fact.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검사장치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기신호 중에 포함될 수 있는 불규칙 신호를 검사대상의 파괴의 유무에 관계 없이 신속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신호 검출장치 및 신호 검출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realizes a signal detection device and a signal detection system capable of quickly detecting an irregular signal that may be included in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an inspection device regardless of whether an inspection object is destroyed. For the purpose of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소정의 검사대상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장치가 생성한 전기신호 중에 혼입할 수 있는 신호로서 돌발적인 전압 변동을 수반하는 불규칙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 중으로부터 전압값의 절대값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전압성분을 추출하는 성분 추출수단과, 상기 성분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전압성분에 있어서의 전압값의 시간 변화율을 도출하는 변화율 도출수단과, 상기 변화율 도출수단에 의하여 도출된 전압값의 시간 변화율에 의거하여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적어도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고 상기 판정수단에 의하여 판정되었을 때에, 판정결과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고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chieve the object, the sign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is a signal that can be mixed in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an inspection device that inspects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a predetermined inspection object, and is accompanied by an unexpected voltage fluctuation. A signal detecting apparatus for detecting an irregular signal, comprising: component extracting means for extracting a voltage component whose absolute value of a voltag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electrical signal, and a voltage component extracted by the component extracting means; Change rate deriving means for deriving a rate of change in time of the voltage value of?, And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based on the time change rate of the voltage value derived by the change rate deriving means, and at least th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means that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the irregular signal, the determination result i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notice means for the user to notice.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전기신호 중으로부터 추출한 전압성분에 관하여 시간 변화율을 도출하고, 시간 변화율에 의거하여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구성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전기신호 중에 본래적으로 포함되는 통상 성분과 달리 돌발적인 전압 변동을 수반하는 불규칙 신호를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since the time change rate is derived for the voltage component extracted from the electric signal, and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or not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based on the time change rate. It is possible to reliably detect an irregular signal accompanying sudden voltage fluctuations unlike ordinary components originally included in the process.

또, 청구항 2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는 검사시에 상기 검사장치로부터 상기 검사대상에 대하여 출력되어 상기 검사장치의 구동전력으로서 기능하는 전원 전압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ign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 is the power supply sign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erein the electric signal is output from the inspection device to the inspection object at the time of inspection and functions as a driving power of the inspection apparatus. It is done.

또, 청구항 3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시간 변화율이 양(+)의 값이 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이밍과, 음(-)의 값이 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 간격에 의거하여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signal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rmining means has a predetermined timing and a negative value in a period in which the time change rate becomes a positive value.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on the basis of a time interval between a predetermined timing in a period.

또, 청구항 4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간 변화율의 0 부터 양의 값으로의 변화를 검출하는 상승 검출수단과, 상기 시간 변화율의 0 부터 음의 값으로의 변화를 검출하는 하강 검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상승 변화 검출수단의 검출 타이밍과, 상기 하강 변화 검출수단의 검출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 간격에 의거하여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 당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signal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includes ris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change from 0 to a positive value of the time change rate, and a change from 0 to a negative value of the time change rate. Further comprising fall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wherein the determining means is configured to correct the voltage component by the irregular signal based on a time interval between the detection timing of the rising change detecting means and the detection timing of the falling change detect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또, 청구항 5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전기신호 중의 통상 성분에 있어서의 시간 간격의 최소값보다도 작은 소정의 문턱값 이하가 된 경우에,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ignal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i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determining means is used when the time interval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small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time interval in the normal component of the electric signal.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at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또, 청구항 6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에 의하여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고 판정된 상기 전압성분의 발생 패턴에 의거하여 상기 검사장치 중의 불량 부분을 추측하는 불량 추측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signal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is a defective guessing means for guessing a defective portion in the inspection apparatus on the basis of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voltage component determined to correspond to an irregular signal by the determin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또, 청구항 7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규칙 신호의 발생 패턴과 상기 검사장치의 불량 부분과의 대응관계를 기록한 발생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불량 추측수단은, 상기 판정수단에 의하여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고 판정된 전압성분의 발생 패턴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대응관계를 참조하면서 상기 검사장치의 불량 부분을 추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sign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includes a generation pattern database which record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irregular signal and the defective portion of the inspection apparatus, wherein the failure estimation means includes: Based on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voltage component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irregular signal by the determination means, the defective portion of the inspection apparatus is estimated while referring to the correspondence recorded in the database.

또, 청구항 8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불규칙 신호의 발생 이력을 기록하는 발생 이력 기록부와, 상기 발생 이력 기록부에 기록된 불규칙 신호의 발생 이력에 의거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수리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수리 판정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signal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includes a generation history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a generation history of an irregular signal, and a repair of the inspection apparatus based on a generation history of an irregular signal recorded in the generation history recor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pair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need.

또, 청구항 9에 관한 신호 검출 시스템은, 소정의 검사대상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복수의 검사장치가 생성한 전기신호 중에 혼입할 수 있는 신호로서 돌발적인 전압 변동을 수반하는 불규칙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검사장치의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전기신호 중으로부터 소정값 이상의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성분을 추출하는 성분 추출수단과, 상기 성분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전압성분에 있어서의 전압값의 시간 변화율을 도출하는 변화율 도출수단과, 상기 변화율 도출수단에 의하여 도출된 전압값의 시간 변화율에 의거하여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신호 검출장치와, 복수의 상기 신호 검출장치에 의하여 얻어진 판정결과를 입력하여 적어도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는 취지의 판정결과가 얻어진 경우에 판정결과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고지수단을 구비한 관리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9 is a signal that can be mixed in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by a plurality of inspection apparatuses for inspec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predetermined inspection object, and a signal for detecting an irregular signal accompanied by a sudden voltage change. A detection system comprising: component extraction means for extracting a voltage component disposed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the inspection apparatuses, the voltage component having a voltage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electrical signal, and the voltage component extracted by the component extraction means; Change rate deriving means for deriving a rate of change of the voltage value in the apparatus, and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based on the time change rate of the voltage value derived by the change rate deriving means. Input a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devices and determination results obtained by the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devices W at least and in that it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provided with a notice means for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effect that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random signal notice the determination result obtained in the case the user is characterized.

상기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신호 검출장치를 구비한 경우에 각 신호 검출장치에 의하여 얻어진 판정결과를 입력하여 판정결과를 고지하는 관리서버를 구비함으로써 관리서버가 복수의 신호 검출장치에 의하여 얻어진 판정결과의 고지를 일괄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9,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apparatuses are provided, the management serv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apparatuses by providing a management server for input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btained by each signal detection apparatus and repor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perform the notification of the obtained determination result.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 및 신호 검출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이하, 단지「실시형태」라고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the best form (henceforth only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and signal detection system which concern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addition, of cours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embodiment shown below.

(실시형태 1) (Embodiment 1)

먼저 실시형태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 태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의 사용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1)는, 검사대상(2)에 대하여 전기 특성 등의 검사를 행하는 검사장치(3)가 생성하는 전기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돌발적인 전압 변동을 수반하는 불규칙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First, the sign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use form of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As shown in FIG. 1, the signal de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 sudden occurrence that may be included in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inspection device 3 that performs inspection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or the like on the inspection object 2. It is for detecting an irregular signal accompanied by a voltage variation.

구체적으로는 검사장치(3)는, 전기신호의 생성을 행하는 검사장치 본체(4)와, 검사대상(2)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고, 검사장치 본체(4)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신호를 검사대상(2)에 대하여 출력하기 위한 테스트 헤드(5)와, 검사장치 본체(4)와 테스트 헤드(5)와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 배선(6)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검사장치(3)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1)는 케이블 배선(6)의 위에 배치됨으로써, 검사장치 본체(4)로부터 테스트 헤드(5)에 대하여 출력되는 전기신호, 본 실시형태 1에서는 검사대상(2)의 구동전력으로서 기능하는 전원 전압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불규칙 신호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Specifically, the inspection apparatus 3 has the function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4 which produces |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inspection object 2, and the electrical signal produced | generated by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4 The test head 5 and the cable wiring 6 which electrically connect between the test |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4 and the test head 5 for outputting to the test | inspection object 2 are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inspection apparatus 3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disposed above the cable wiring 6, so that it is output from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4 to the test head 5. In the first embodiment, the electric signal has a function of detecting an irregular signal that can be included in a power supply voltage signal functioning as a driving power of the inspection target 2.

검사장치 본체(4)는 검사시에 필요하게 되는 전기신호를 생성·출력하는 기능과, 검사대상(2)으로부터 출력된 응답신호의 분석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검사장치 본체(4)는 검사시에 필요한 전기신호로서 적어도 검사대상(2)의 구동전력으로서 사용되는 전원 전압신호를 생성·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4 has a function of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necessary for inspection, and a function of analyzing a response signal output from the inspection object 2 and the lik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4 generates and outputs a power supply voltage signal which is at least used as driving power of the inspection object 2 as an electrical signal required for inspection.

테스트 헤드(5)는 검사대상(2)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프로브(도시 생략)를 구비함과 동시에 케이블 배선(6)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테스트 헤드(5)는 케이블 배선(6)을 거쳐 검사장치 본체(4)와 검사대상과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검사대상(2)에 대한 전기신호의 입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The test head 5 is provided with a probe (not show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the inspection object 2 and has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cable wiring 6.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test head 5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4 and the inspection object via the cable wiring 6 to enable input and output of electrical signals to the inspection object 2. Let's do it.

케이블 배선(6)은, 검사장치 본체(4)와 테스트 헤드(5)와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블 배선(6)은 적어도 검사장치 본체(4)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신호를 전파하는 기능을 가지나,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케이블 배선(6)은 검사장치 본체(4)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신호 중, 검사시에 검사대상(2)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원 전압신호를 적어도 전파하는 것으로 한다. The cable wiring 6 i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between the tester main body 4 and the test head 5. The cable wiring 6 has a function of propagating at least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4, bu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able wiring 6 is one of the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by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4; At the time of inspection, at least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used to drive the inspection object 2 is propagated.

다음에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신호 검출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블럭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검출장치(1)는 검사장치 본체(4)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신호의 일례인 전원 전압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8)와, 소정 강도의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성분을 추출하는 성분 추출부(9)를 구비한다. 또 신호 검출장치(1)는, 성분 추출부(9)에 의하여 추출된 전압성분에 있어서의 전압값의 시간 변화율을 도출하는 변화율 도출부(11)와, 변화율 도출부(11)에 의하여 도출된 시간 변화율이 양의 값을 가지는 기간 동안의 소정의 타이밍과, 시간 변화율이 음의 값을 가지는 기간 동안의 소정의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 간격을 도출하는 계시부(12)와, 계시부(12)에 의하여 도출된 시간 간격에 의거하여 추출된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13)와, 판정결과를 고지하는 고지부(14)와, 신호 입력부(8)∼고지부(14)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5)를 구비한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1 is demonstrated.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1. As shown in FIG. 2, the signal detection device 1 includes a signal input unit 8 for inputting a power supply voltage signal, which is an example of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inspection device main body 4, and a voltage component having a voltage value having a predetermined intensity. A component extraction part 9 which extracts this is provided. In addition, the signal detection device 1 includes a change rate derivation unit 11 which derives a time change rate of the voltage value in the voltage component extracted by the component extraction unit 9 and a change rate derivation unit 11. The time portion 12 derives a time interval between the predetermined timing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rate of time change is positive, and the predetermined timing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time rate of change has a negative value. A judging section 13 for judging whether the extracted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a notifying section 14 for notifying the judgment result, and a signal input section 8 to a notifying section The control part 15 which controls the drive state of 14 is provided.

신호 입력부(8)는 검사장치 본체(4)에 의하여 생성되고, 케이블 배선(6)을 경유하여 검사대상(2)에 대하여 출력되는 전원 전압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실현하는 구성으로서는 여러가지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예를 들면 케이블 배선(6)의 위에 미리 신호 분기기구가 배치되고, 신호 입력부(8)는 일반적인 신호 입출력용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케이블 배선(6)의 구조에 대응한 형태로 신호입력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신호 입력부(8)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배선(6)에 구비되는 가이드선(6a), 센스선(6b), 포스선(6c), 리턴선(6d) 및 HGND선(6e) 중 센스선(6b) 및 리턴선(6d)을 전파하는 전기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전원 전압신호를 입력한다. The signal input unit 8 is for inputting a power supply voltage signal generated by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4 and output to the inspection object 2 via the cable wiring 6.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used as the configuration for realizing such a function. In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a signal branching mechanism is arranged in advance on the cable wiring 6, and the signal input section 8 is used for general signal input / output. It is assumed that an interface is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signal input is per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able wiring 6. Specifically, the signal input unit 8 is a guide provided in the cable wiring 6 as shown in FIG. 2. By inputting an electric signal propagating through the sense line 6b and the return line 6d among the line 6a, sense line 6b, force line 6c, return line 6d, and HGND line 6e, Input the voltage signal.

성분 추출부(9)는, 소정의 문턱값 전압보다도 절대값이 크다고 판정된 전압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성분 추출부(9)는, 신호 입력부(8)를 거쳐 입력된 전원 전압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문턱값 전압값보다도 절대값이 큰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강도 필터(10)를 구비하고 있고, 성분 추출부(9)는, 강도 필터(10)를 통과한 전압성분을 제어부(15)에 대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강도 필터(10)의 문턱값 전압값은, 예를 들면 검사대상(2)에 대하여 무엇인가의 영향, 즉 검사대상(2)의 파괴에 이르지 않더라도 제품수명이 저하하는 등의 무엇인가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검사대상(2)에 따라 개별 독립으로 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성분 추출부(9)에서 입력한 전기신호(전원 전압신호)를 불규칙 신호인지의 여부의 판정에 적합한 전압값이 되도록 증폭처리를 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The component extraction unit 9 is for extracting a voltage component that is determined to have an absolute valu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oltage. Specifically, the component extraction section 9 includes an intensity filter 10 that allows only a component whose absolute val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oltage value to pass through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input through the signal input section 8. The component extraction unit 9 has a function of outputting the voltage compone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tensity filter 10 to the control unit 15. The threshold voltage value of the intensity filter 10 may affect, for example, the influence of something on the inspection object 2, that is, the product life decreases even if the inspection object 2 is not destroyed.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a value which can be extended, and you may set it as independent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test | inspection object (2). It is also preferable to perform an amplification process so that the electric signal (power supply voltage signal) input by the component extraction section 9 becomes a voltage value suitabl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an irregular signal.

변화율 도출부(11)는, 성분 추출부(9)에 의하여 추출된 전압성분에 있어서의 전압값의 시간 변화율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출하는 변화율로서는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도 되나,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변화율 도출부(11)는 시간 변화율의 일례로서 전압성분의 시간 미분값을 도출하는 것으로 한다. The change rate derivation section 11 is for deriving a time change rate of the voltage value in the voltage component extracted by the component extraction section 9. Although any arbitrary thing may be used as a change rate to derive, in this Embodiment 1, the change rate derivation part 11 shall derive the time differential value of a voltage component as an example of time change rate.

계시부(12)는 변화율 도출부(11)에 의하여 도출된 전압성분의 시간 변화율에 관하여 시간 변화율이 양의 값이 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이밍과, 시간 변화율이 음의 값이 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 간격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계시부(12)는 변화율 도출부(11)에 의하여 도출된 전압성분의 전압값의 시간 변화율을 시계열 데이터로서 순차 입력하는 구성을 가짐과 동시에, 이와 같은 시간 변화율의 시계열 데이터의 상승 타이밍(즉, 시간 변화율이 0부터 양의 값으로 변화하는 타이밍)을 검출하는 상승 검출부(16)와, 시계열 데이터의 하강 타이밍(즉, 시간 변화율이 0부터 음의 값으로 변화하는 타이밍)을 검출하는 하강 검출부(17)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하에 계시부(12)는 시간 변화율이 양의 값이 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이밍으로서 시간 변화율의 상승 타이밍을 파악하고, 시간 변화율이 음의 값이 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이밍으로서 시간 변화율의 하강 타이밍을 파악하여 양자 간의 시간 간격을 도출하고, 도출 결과를 제어부(15)에 대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승 검출부(16) 및 하강 검출부(17)는 각각 소정의 비교기(컴퍼레이터)에 의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timekeeping section 12 has a predetermined timing in a period in which the time change rate becomes a positive value with respect to the time change rate of the voltage component derived by the change rate derivation unit 11, and in a period in which the time change rate becomes a negative value. It is for deriving a time interval between and with a predetermined timing. Specifically, the timekeeping unit 12 has a configuration of sequentially inputting the time change rate of the voltage value of the voltage component derived by the change rate derivation unit 11 as time series data, and at the same time, the timing of the rise of time series data of such time change rate ( That is, the rising detector 16 detects the timing at which the rate of change of time changes from 0 to a positive value, and the falling detects the timing of falling of the time series data (ie, the timing at which the rate of change of time changes from 0 to a negative value). The detector 17 is provided. Under such a configuration, the timekeeping unit 12 grasps the timing of the rise of the time change rate as a predetermined timing in the period in which the time change rate becomes a positive value, and as the predetermined timing in the period in which the time change rate becomes a negative value. It has a function of grasping the timing of falling of the rate of change of time, deriving a time interval between them, and outputting the derivation result to the controller 15. In addition, the rise detection part 16 and the fall detection part 17 can be implement | achieved with a predetermined comparator (comparator), respectively.

판정부(13)는, 성분 추출부(9)에 의하여 추출된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전압값의 시간 변화율에 의거하여 판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판정부(13)는, 계시부(12)에 의하여 도출된 시간 변화율에 관한 시간 간격에 의거하여 판정동작을 행하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간 간격이 소정의 전원 전압신호에 포함되는 통상 신호에 있어서의 시간 간격의 최소값보다도 작은 소정의 문턱값 이하의 경우에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고 판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The determination unit 13 ha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oltage component extracted by the component extraction unit 9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based on the time change rate of the voltage value. Specifically, the judging section 1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performs the judging operation based on the time interval relating to the rate of change of time derived by the timekeeping section 12. More specifically, the time interval has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It has a function of judging that a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in the case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small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time interval in the normal signal contained in a voltage signal.

고지부(14)는 판정부(13)에 의한 판정결과를 고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판정부(13)에 의하여 소정의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는 취지의 판정결과가 얻어진 경우에 상기 신호 검출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불규칙 신호가 생긴 취지의의 고지를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고지부(14)는 예를 들면 판정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에 의하여 구성하여도 되고, 소정의 경고음에 의하여 판정결과를 고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대하여 접속되어, 고지부(14)는 이와 같은 네트워크를 거쳐 사용자의 단말에 대하여 판정결과를 기재한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구성의 것으로 하여도 된다. The notification unit 14 is for notifying the determination result by the determination unit 13. For example, when the determination unit 13 obtains a determination result indicating that a predetermined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It has a function of notifying the user of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that an irregular signal has occurred. The notification unit 14 may be configured by, for example, a display that visually displays the determination result, or may be configured to notify the determination result by a predetermined warning sound. For example,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the notification unit 14 transmits an e-mail including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user's terminal via such a network. It may be of.

다음에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신호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4는 신호 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그래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적절하게 참조하면서 신호 검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4 is a schematic graph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3 and 4, the operation of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신호 검출장치는 성분 추출부(9)에 의하여 전원 전압신호 중으로부터 전압값의 절대값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전압성분을 추출하고(단계 S 101), 변화율 도출부(11)에 의하여 추출한 전압성분에 있어서의 전압값의 시간 변화율을 도출한다(단계 S102). 그리고 신호 검출장치는, 계시부(12)에 의하여 시간 변화율이 양의 값이 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이밍과, 시간 변화율이 음의 값이 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 간격을 도출한다(단계 S103).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타이밍은 각각 시간 변화율의 상승 타이밍 및 하강 타이밍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이들 타이밍은 상승 검출부(16) 및 하강 검출부(17)에 의하여 검출되는 것으로 한다. First, the signal detecting device extracts a voltage component whos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by the component extraction unit 9 (step S 101), and is extracted by the change rate derivation unit 11. The rate of time change of the voltage value in the voltage component is derived (step S102). And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is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predetermined timing in the period by which the time change rate becomes a positive value by the time display part 12, and the predetermined timing in the period in which the time change rate becomes a negative value. (Step S103). In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uch timings use rising timings and falling timings of time change rates, respectively, and these timings are detected by the rising detection unit 16 and the falling detection unit 17.

그후 신호 검출장치는, 판정부(13)에 의하여 단계 S103에서 도출된 시간 간격이 소정의 문턱값 이하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단계 S104). 시간 간격이 문턱값 이하인 경우에는(단계 S104, Yes), 판정부(13)는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S105), 판정결과가 고지부(14)에 의하여 고지된다. 한편으로, 시간 간격이 문턱값보다도 큰 경우에는(단계 S104, No), 판정부(13)는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 이외의 것, 예를 들면 전원 전압신호를 구성하는 통상 성분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106), 판정결과가 고지부(14)에 의하여 고지된다. Thereafter, the signal detect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me interval derived in step S103 by the determination unit 13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step S104). If the time interv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step S104, Yes), the determination unit 13 determines that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the irregular signal (step S105),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otified by the notification unit 14. On the other hand, when the time interval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step S104, No), the determination unit 13 determines that the voltage component is other than the irregular signal, for example, the normal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step S106),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otified by the notification unit 14.

단계 S101의 처리는, 전원 전압신호 중으로부터 검사대상(2)에 대하여 유의한 작용을 하지 않는 노이즈성분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검사대상(2)에 대하여 파괴 또는 파괴에 이르지 않더라도 제품수명의 저하 등의 영향을 미치게 할 정도의 전압 변화를 수반하는 불규칙 신호를 검 출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값의 절대값이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낮은 미소 전압성분에 대하여 해석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The processing in step S101 is for excluding noise components that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spection object 2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The sign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for detecting an irregular signal accompanied by a voltage change such that the inspection object 2 does not have a breakdown or breakdown even if the breakdown or breakdown does not occur. This is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analyze the minute voltage component whose absolute valu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또,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단계 Sl02∼S1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한 전압성분의 시간 변화율이 양의 값이 되는 기간의 소정의 타이밍과 음의 값이 되는 기간의 소정의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 간격을 사용하여 불규칙 신호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하, 이와 같은 판정 메카니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signal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a predetermined timing in a period in which the time change rate of the extracted voltage component becomes a positive value and a predetermined timing in a period in which a negative value is obtained, as shown in steps S10-S104.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rregular signal is determined us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and. Hereinafter, such a determination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전원 전압신호의 전압값의 시간변동 및 전원 전압신호의 시간 변화율의 시간변동에 대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있어서의 곡선(l1)은 전원 전압신호의 시간변동을 나타내고, 곡선(l2)은 전원 전압신호의 시간 변화율의 시간 변동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전원 전압신호의 통상 성분은 펄스신호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검출대상인 불규칙 신호는 이와 같은 펄스 신호 중에 돌발적인 전압 변동을 수반한 형태로 발생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곡선(l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t1, t3)에 각각 통상 성분인 펄스신호의 상승 및 하강이 생기는 한편으로, 시각(t2)에 돌발적인 전압 변동을 수반하는 불규칙 신호가 발생하고 있다. 4 is a graph showing the time variation of the voltage valu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and the time variation of the rate of chang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Specifically, the curve l 1 in FIG. 4 shows the time variation of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and the curve l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time variation of the rate of chang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The normal component of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is generally formed by a pulse signal, and the irregular signal to be detected is generated in the form of an unexpected voltage fluctuation among such pulse signals. In the example shown in Figure 4 with the other hand the rise and fall of the pulse signal is the normal component each at time (t 1, t 3), as shown in curve (l 1) occurs, an abrupt voltage change at the time (t 2) An accompanying irregular signal is occurring.

이와 같은 구성의 전원 전압신호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전압성분의 시간 변화율을 활용함으로써 불규칙 신호와 통상 성분을 분리하여 불규칙 신호만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의 곡선(l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압성분의 시간 변화율의 그래프에서는 통상 성분(펄스신호)의 상승 및 하강에 기인한 피크(시각 t1, t3)와, 불규칙 신호에 대응한 피크(시각 t2)가 발생한다. 여기서 곡선(l2)에 있어서의 각각의 피크를 비교하면, 통상 성분에 대응한 시간부분에서는 양의 값 또는 음의 값만을 가지는 피크 사이의 시간 간격이 어느 정도 큰 값[도 4의 예에서는 (t3 - t1)]이 되는 한편으로, 불규칙 신호에 기인한 부분에서는 양의 값의 피크와 음의 값의 피크와의 사이의 시간 간격은 아주 작은 값이 된다. 이와 같이 불규칙 신호는 돌발적인 전압 변동, 즉 순간적으로 전압값이 변화하여 직후에 원래의 값으로 되돌아간다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불규칙 신호의 시간 변화율은 양의 값이 되는 기간과 음의 값이 되는 기간과의 사이의 시간 간격이 아주 작은 값이 된다. With respect to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embodiment makes it possible to detect the irregular signal by separating the irregular signal from the normal component by utilizing the time change rate of the voltage component. As shown in the curve l 2 of FIG. 4, in the graph of the temporal change rate of the voltage component, peaks (times t 1 and t 3 ) attributable to rising and falling of the normal component (pulse signal) and peaks corresponding to an irregular signal are shown. (Time t 2 ) occurs. Here, when the peaks in the curve l 2 are compared, the time intervals between peaks having only positive or negative values in the tim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normal component are somewhat larger than those in the example of FIG. t 3 -t 1 )], on the other hand, in the portion due to the irregular signal,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positive peak and the negative peak is very small. In this way, the irregular signal has a characteristic of sudden voltage fluctuation, that is, the voltage value changes instantaneously and returns to its original value immediately, so that the rate of change of the irregular signal becomes a positive period and a negative period. The time interval between and is very small.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이와 같은 시간 간격의 상위를 이용하여 불규칙 신호의 검출을 행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시간 변화율이 양의 값이 되는 기간의 소정의 타이밍과, 음의 값이 되는 기간의 소정의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 간격을 통상 성분에 관하여 미리 도출하여 두고, 도출한 시간 간격보다도 작은 값을 문턱값으로서 판정부(13)는 미리 기억한다. 그리고 단계 S104에 있어서 판정부(13)는 미리 설정한 문턱값과, 단계 S103에서 도출된 전압성분의 시간 변화율에 있어서의 시간 간격을 비교함으로써, 판정대상의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인지 통상 성분 등인지의 판정을 행한다.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tects an irregular signal by using the difference of such time intervals. That is, in Embodiment 1,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predetermined timing of the period in which the rate of change of time becomes a positive value and the predetermined timing of the period in which the time period becomes a negative value is derived in advance with respect to the normal component and derived. The determination unit 13 stores in advance a value smaller than the time interval as a threshold. In step S104, the determination unit 13 compares the threshold set in advance and the time interval in the rate of change of the voltage component derived in step S103 to determine whether the voltage component to be determined is an irregular signal, a normal component, or the like. Is judged.

이와 같은 형태로 불규칙 신호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기 때문 에,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확실도가 높은 불규칙 신호 검출이 가능하다. 도 4의 곡선(l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발적인 전압 변동을 수반하는 불규칙 신호는 펄스신호 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원 전압신호의 통상 성분과 비교하여 시간 변화율의 시계열 변화 패턴이 현저하게 다르기 때문에, 양자의 판별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간이한 구성으로 확실도가 높은 불규칙 신호 검출이 가능하다. Since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in this manner, the sign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detect irregular signals with high accuracy. As shown in the curve l 2 of FIG. 4, since the irregular signal accompanied by sudden voltage fluctuations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ime series variation pattern of the rate of change in time compared with the normal component of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formed by the pulse signal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easily discriminate both,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irregular signals with high accurac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실시형태 2) (Embodiment 2)

다음에 실시형태 2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검출한 불규칙 신호의 발생 패턴에 의거하여 불규칙 신호가 혼입한 전기신호를 생성한 검사장치 본체 중의 불량부분을 추측하는 기구를 새롭게 구비한다. Next, a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mechanism for estimating a defective portion of the inspection apparatus main body that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in which the irregular signal is mixed based on the detected pattern of the irregular signal.

도 5는 실시형태 2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블럭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20)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신호 검출장치(1)와 마찬가지로 신호 입력부(8), 성분 추출부(9),강도 필터(10), 변화율 도출부(11), 계시부(12), 판정부(13), 고지부(14), 상승 검출부(16) 및 하강 검출부(17)를 구비하는 한편으로, 불규칙 신호의 발생 패턴과 검사장치 본체 중의 불량부분과의 대응관계를 기록한 발생 패턴 데이터베이스(21)와, 검출된 불규칙 신호의 파형에 의거하여 발생 패턴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된 정보를 참조하면서 불량부분의 추정을 행하는 불량 추정부(22)와, 이들을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23)를 새롭게 구비한다.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signal detection device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signal de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ignal input unit 8, the component extraction unit 9, and the intensity filter 10. ), A change rate derivation unit 11, a timekeeping unit 12, a determination unit 13, a notice unit 14, a rise detection unit 16, and a fall detection unit 17. A defect estimator for estimating a defective portion while referring to the occurrence pattern database 21 which record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ith the defective portion i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occurrence pattern database 21 based on the detected irregular signal waveform. (22) and a control unit (23)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each component including them.

발생 패턴 데이터베이스(21)는, 예를 들면 동일구성의 검사장치에 관하여 과거에 생긴 불규칙 신호의 발생 패턴과, 검사장치 중의 불량 부분과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기록한 것이다. 또한 발생 패턴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되는 불규칙 신호의 발생 패턴으로서는 예를 들면 불규칙 신호의 발생 간격 외에 검출된 불규칙 신호의 파형에 관한 파라미터, 예를 들면 피크전압, 반값 폭 등의 데이터나, 파형 그 자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데이터이어도 검출된 불규칙 신호로부터 도출되는 정보로서, 불량 부분의 추정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발생 패턴으로서 발생 패턴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The occurrence pattern database 21 records, for example,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pattern of irregular signals generated in the past with respect to th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defective part of the inspection apparatus. As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irregular signal recorded in the occurrence pattern database 21, for example, parameters related to the waveform of the irregular signal detected in addition to the occurrence interval of the irregular signal, for example, data such as peak voltage, half value width, Itself. The data derived from the detected irregular signal may be recorded as the generation pattern in the generation pattern database 21 as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detected irregular signal even if data other than these are used.

불량 추정부(22)는 불규칙 신호의 발생 패턴에 의거하여 불규칙 신호의 발생원인인 검사장치 중의 불량 부분을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불량 추정부(22)는 판정부(13)에 의하여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고 판정된 전압성분의 발생 패턴을 파악하여 발생 패턴 데이터베이스(21) 중에 기록된 정보 중으로부터 파악한 발생 패턴과 동일 또는 유사의 것을 검색하고, 발생 패턴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된 정보 중으로부터 검색한 발생 패턴에 대응한 불량 부분의 정보를 취득하여 제어부(23)에 대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취득된 불량 부분의 정보는 제어부(23)를 경유하여 고지부(14)에 대하여 출력되고, 검출된 불규칙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 추정된 불량 부분에 관한 정보가 고지부(14)에 의하여 고지된다.The failure estimating unit 22 is for estimating a defective portion of the inspection apparatus that is the source of the irregular signal based on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irregular signal. Specifically, the failure estimating unit 22 grasps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voltage component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13 to correspond to the irregular signal, and is the same as the occurrence pattern detected from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generation pattern database 21. It has a function of searching for a similar thing, acquiring the information of the defective par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occurrence pattern from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occurrence pattern database 21 and outputting it to the control unit 23. The acquired defective part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notification part 14 via the control part 23,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defective part estimated to correspond to the detected irregular signal is notified by the notification part 14. As shown in FIG.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불규칙 신호는 생성하는 전기신호의 내용을 정하는 프로그램의 오류나,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전자회로의 경년열화 등을 원인으로 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발생원인에 따라 다른 발생 패턴의 불규칙 신호가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동종의 검사장치에서 과거에 생긴 불규칙 신호의 발생 패턴과 불량 부분과의 대응관계를 미리 발생 패턴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하여 둠으로써 불규칙 신호의 검출 뿐만 아니라, 검사장치에서 생긴 불량 부분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발생 패턴 데이터베이스(21) 및 불량 추정부(22)를 새롭게 구비함으로써 실시형태 2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이점에 더하여 불규칙 신호가 검출되었을 때에 검사장치의 불량 부분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수리 등에 요하는 수고를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irregular signals are caused by errors in a program that determines the contents of electrical signals to be generated, or aged deterioration of electronic circuits constituting an inspection device. It is thought to be. Therefore, by record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irregular signal generated in the past and the defective part in the same kind of inspection device in the occurrence pattern database 21, not only the detection of the irregular signal but also the defective portion generated by the inspection device are estimated. It is possible to do By providing the occurrence pattern database 21 and the failure estimating unit 22 in this manner, the sign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in the first embodiment, detects a defective portion of the inspection device when an irregular signal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estimate, which has the advantage of greatly reducing the effort required for repair and the like.

(실시형태 3) (Embodiment 3)

다음에 실시형태 3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3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불규칙 신호의 발생 이력에 의거하여 검사장치의 수리의 필요 여부를 추정하는 기구를 가진다. Next, a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 mechanism for estimating whether the inspection apparatus needs to be repaired based on the occurrence history of the irregular signal.

도 6은 실시형태 3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블럭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25)는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신호 입력부(8), 성분 추출부(9), 강도 필터(10), 변화율 도출부(11), 계시부(12), 판정부(13), 고지부(14), 상승 검출부(16) 및 하강 검출부(17)를 구비하는 한편으로, 검출된 불규칙 신호의 발생 이력을 기록하는 발생 이력 기록부(26)와, 발생 이력 기록부(26)에 기록된 불규칙 신호의 발생 이력에 의거하여 검사장치(3)의 수리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수리 판정부(27)와, 이들을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28)를 구비한다.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 25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3 is the signal input part 8, the component extraction part 9, the intensity filter 10, the change rate derivation part 11, and the time signal part similarly to Embodiment 1. (12), the determination section 13, the notice section 14, the rise detection section 16 and the fall detection section 17, while the generation history recording section 26 for recording the occurrence history of the detected irregular signal and And a repair determination unit 27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nspection apparatus 3 needs to be repaired based on the occurrence history of the irregular signal recorded in the occurrence history recording unit 26, and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each component including the same. The control unit 28 is provided.

발생 이력 기록부(26)는, 판정부(13)에 의하여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고 판정된 전압성분의 발생 이력을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발생 이력 기록부(26)에 기록되는 발생 이력의 구체적인 내용으로서는, 불규칙 신호의 발생시만을 기록한 것으로 하여도 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생한 불규칙 신호의 파형 등에 대해서도 아울러 기록하는 것으로 한다. The generation history recording unit 26 is for recording the generation history of the voltage component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13 to correspond to the irregular signal.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occurrence history recorded in the occurrence history recording section 26 may be recorded only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irregular signal, but more preferably the waveform of the generated irregular signal is also recorded.

수리 판정부(27)는, 발생 이력 기록부(26)에 기록된 불규칙 신호의 발생 이력에 의거하여 검사장치의 수리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수리 판정부(27)는, 기록된 불규칙 신호의 발생 이력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불규칙 신호의 발생 빈도의 시간변화를 파악하여 검사장치 내부의 전자회로 등에 수리를 필요로 하는 불량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수리 판정부(27)에 의하여 얻어진 판정결과는, 제어부(28)를 경유하여 고지부(14)에 대하여 출력되고, 사용자는 고지부(14)에 의한 고지내용에 의하여 검사장치(3)의 수리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인식한다. The repair determination unit 27 ha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spection apparatus needs to be repaired based on the occurrence history of the irregular signal recorded in the occurrence history recording unit 26. Specifically, the repair determination unit 27 grasps the time change i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irregular signal, for example, on the basis of the recorded occurrence of the irregular signal, so that a defective part requiring repair, for example, in an electronic circuit inside the inspection apparatus. It has a function of judging whether or not it exists. The determination result obtained by the repair determination unit 27 is output to the notification unit 14 via the control unit 28, and the user repairs the inspection apparatus 3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contents by the notification unit 14. Recognize whether it is necessary.

본 실시형태 3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의 기능에 더하여, 불규칙 신호의 검출대상인 검사장치(3)의 수리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불규칙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 일률적으로 검사장치(3)를 수리하는 것으로 하여도 되나, 실제의 검사장치(3)의 운용상에서는 이와 같은 대응은 운용 비용면에 문제가 있다. 즉, 아주 드물게 불규칙 신호가 생기는 검사장치(3)의 경우에는 불규칙 신호가 검출되었을 때의 검사대상(2)의 열화의 유무 등을 면밀하게 검사할 필요가 있는 것은 물론이나, 반드시 신속한 수리는 필요없고, 운용 비 용의 관점으로부터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판단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한편으로, 불규칙 신호가 빈발하는 검사장치(3)의 경우에는 검사대상(2)의 제품수명의 저하 등의 빈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검사장치(3)는 신속하게 수리하거나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된다.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the sign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ign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repair of the inspection device 3 that is the detection target of the irregular signal is necessary. Although the inspection apparatus 3 may be repaired uniformly when an irregular signal is detected, in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actual inspection apparatus 3, such correspondence has a problem in operation cost. That is, in the case of the inspection apparatus 3 which rarely generates an irregular signal, it is necessary not only to closely insp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terioration of the inspection object 2 when the irregular signal is detected, but also to be surely promptly repaired. There is also a case where it is judged to continue to use from the viewpoint of operating cos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nspection apparatus 3 in which irregular signals frequently occur, the inspection apparatus 3 leads to frequent occurrences such as deterioration of the product life of the inspection object 2, and thus the inspection apparatus 3 can be quickly repaired or replaced with a new one. Is preferable.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 3에서는 실시형태 1의 구성에 더하여, 불규칙 신호의 발생 이력에 의거하여 검사장치(3)의 수리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수리 판정부(27) 등을 새롭게 구비함으로써 검사장치(3)의 수리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수리 판정부(27)는 발생 이력 기록부(26)에 기록된 발생 이력 중, 예를 들면 불규칙 신호의 발생시각의 시계열 데이터에 의거하여 불규칙 신호의 발생빈도를 파악하여, 발생 빈도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된 경우에 수리가 필요한다고 판정한다. 또한 수리 판정부(27)의 판정 메카니즘으로서는 발생 빈도만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발생 이력 기록부(26)에 발생한 불규칙 신호의 피크 전압 등에 관해서도 기록하고, 피크 전압의 값 등도 가미하여 수리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For this reason, in the third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 repair apparatus 27 or the like that newly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spection apparatus 3 needs to be repaired based on the occurrence history of the irregular signal is newly provided. It is decided whether the repair of 3) is necessary. The repair determination unit 27 grasps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irregular signal based on time series data of, for example, the occurrence time of the irregular signal among the occurrence histories recorded in the occurrence history recording unit 26, so that the occurrence frequenc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repair is necessary. As the determination mechanism of the repair determination unit 27, not only the occurrence frequency is used, but also the peak voltage of the irregular signal generated in the generation history recording unit 26, for example, is also recorded, and the repair is required by adding the peak voltage valu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실시형태 4) (Embodiment 4)

다음에 실시형태 4에 관한 신호 검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4에 관한 신호 검출 시스템은, 예를 들면 반도체기기 제조공장과 같이, 대량의 검사대상(2)의 검사를 행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복수의 검사장치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실시형태 1 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복수의 신호 검출장치를 관리서버에 의하여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에 의하여 실현 된다. Next, a 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used when a plurality of inspection apparatuses are used simultaneously to cope with an environment in which a large amount of inspection targets 2 are inspected, such as a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lant. The first embodiment is realized by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device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like are managed by a management server.

도 7은 본 실시형태 4에 관한 신호 검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4에 관한 신호 검출 시스템은, 복수의 검사장치(3-1∼3-n)(n : 2 이상의 자연수)에 대하여 적용되는 것으로, 검사장치(3-1∼3-n)의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된 신호 검출장치(30-1∼30-n)와, 신호 검출장치(30-1∼30-n)의 각각이 접속된 네트워크(31)와, 네트워크(31)와 접속되어 네트워크(31)를 거쳐 신호 검출장치(30-1∼30-n)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신호 검출장치(30-1∼30-n)의 관리를 행하는 관리서버(32)를 구비한다.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inspection apparatuses 3-1 to 3-n (n: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nd the inspection apparatuses 3-1 to The signal detection devices 30-1 to 30-n arrang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3-n), the network 31 to which each of the signal detection devices 30-1 to 30-n are connected, and a network ( 31, the management server which acquires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signal detection devices 30-1 to 30-n via the network 31 and manages the signal detection devices 30-1 to 30-n. (32) is provided.

신호 검출장치(30-1∼30-n)는, 실시형태 1 ∼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와 동일한 기본구성을 가짐과 동시에, 네트워크(31)와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따라서 실시형태 1 ∼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 전압신호 중으로부터 소정 강도의 전압성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전압성분의 시간 변화율을 도출하여 시간 변화율에 의거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도출한 후에, 시간 간격에 의거하는 판정처리를 행함으로써, 불규칙 신호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The signal detecting apparatuses 30-1 to 30-n have the same basic configuration as the signal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have a predetermined interface for connecting to the network 31. Equipped. Therefore, as described in Embodiments 1 to 3, after extracting a voltage component having a predetermined intensity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deriving a time variation rate of the extracted voltage component, and deriv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based on the time variation rate, The judgment processing based on the interval has a function of detecting an irregular signal.

네트워크(31)는, 신호 검출장치(30-1∼30-n)와 관리서버(32)와의 사이의 정보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네트워크(31)의 구체예로서는 이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인터넷, 무선 LAN 등, 임의의 구성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network 31 is for enabling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es 30-1 to 30-n and the management server 32. Therefore,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network 31, it is only necessary to realize such a function, and any configuration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the Internet, or a wireless LAN can be used.

관리서버(32)는, 복수로 배치된 신호 검출장치(30-1∼30-n)를 일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관리서버(32)는, 신호 검출장치(30-1∼30-n)로부터 출력된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에 의거하여 검사장치(3-1∼3-n) 중 어느 하나에서 불규칙 신호가 생긴 경우에 불규칙 신호의 발생을 사용자에 대하여 고지하는 기능을 최저한 구비한다. The management server 32 is for unitarily managing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es 30-1 to 30-n arranged in plurality. Specifically, the management server 32 inputs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es 30-1 to 30-n, and either of the inspection apparatuses 3-1 to 3-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In the case where the irregular signal is generated at the minimum has a function to notify the user of the occurrence of the irregular signal.

다음에 본 실시형태 4에 관한 신호 검출 시스템의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반도체기기의 제조공장에서는 실시형태 1 ∼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신호 검출장치는, 단체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복수의 신호 검출장치를 병행하여 동작시키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복수의 신호 검출장치의 각각을 단독으로 동작시킨 경우, 사용자는 각각의 신호검출장치에 대하여 불규칙 신호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차례로 확인할 필요가 있어, 신호 검출장치의 운용이 매우 번잡한 것이 된다. Next, the advantages of the 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in the manufacturing facilitie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signal detection apparatuses described in Embodiments 1 to 3 are generally us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apparatuses are operated in parallel instead of being used alone. In such a case, when each of the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devices is operated alone, the user needs to sequentially check whether or not an irregular signal is detected for each signal detection device, and the operation of the signal detection device is very complicated. It becomes.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 4에 관한 신호 검출 시스템에서는 관리서버(32)를 새롭게 설치하고, 네트워크(31)를 거쳐 복수의 신호 검출장치(30-1∼30-n)에서 취득한 정보를 관리서버(32)가 일원적으로 관리하여, 불규칙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의 고지를 일원적으로 행하는 구성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4에 관한 신호 검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는 신호 검출장치(30-1∼30-n)의 각각을 차례로 확인할 필요는 없고, 관리서버(32)의 구동상황만을 확인함으로써 신호 검출장치(30-1∼30-n)의 구동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4에 관한 신호 검출 시스템은 사용자의 관리상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호 검출장 치(30-1∼30-n)에 대응한 검사장치(3-1∼3-n)에서 불규칙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In contrast, in the 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32 is newly installed, and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devices 30-1 to 30-n via the network 31 is managed. (32) manages unitarily, and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announces when the irregular signal generate | occur | produced unitarily. Therefore, in the 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user does not need to sequentially check each of the signal detection devices 30-1 to 30-n, but only by checking the driving status of the management server 32.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riving situation of -1 to 30-n). Therefore, the signal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can reduce the management burden of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the inspection apparatuses 3-1 to 3-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detection devices 30-1 to 30-n. )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pe quickly in the event of an irregular signal.

이상, 실시형태 1 ∼ 실시형태 4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하여 해석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이면 여러가지 실시예, 변형예 등에 상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1 ∼ 실시예 4에서는 불규칙 신호의 혼입을 검출하는 대상인 전기신호로서, 전원 전압신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전원 전압신호 이외에 관하여 불규칙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도 유효하다. 예를 들면 검사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전기신호에 있어서도 돌발적인 전압 변동을 수반하는 불규칙 신호가 혼입함으로써 검사장치 내부의 전자회로에 손상을 주는 등의 폐해가 있기 때문에, 불규칙 신호를 검출하는 것이 유용하기 때문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to Embodiment 1-4,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t is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conceive various examples, modifications, etc. For example, in Embodiments 1 to 4, although a power supply voltage signal is used as an electric signal for detecting the mixing of irregular signals, a configuration for detecting an irregular signal in addition to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is also effective. For example, it is useful to detect an irregular signal because there is a harmful effect such as damage to the electronic circuit inside the inspection apparatus due to the incorporation of an irregular signal accompanied by a sudden voltage change even in the electrical signal used inside the inspection apparatus. Because.

또, 시간 간격을 도출할 때에 기준이 되는 시간 변화율이 양의 값이 되는 기간의 소정의 타이밍 및 음의 값이 되는 기간의 소정의 타이밍은, 반드시 상기한 상승 타이밍 및 하강 타이밍이 아니어도 된다. 상기한 불규칙 신호의 판정 메카니즘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판정에 사용하는 시간 간격은 시간 변화율이 양의 값이 되는 기간과 음의 값이 되는 기간과의 사이의 시간 간격이면 되고, 예를 들면 양의 값의 피크가 되는 타이밍과, 음의 값의 피크가 되는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 간격을 판정에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Further, when deriving the time interval, the predetermined timing of the period in which the reference time change rate becomes a positive value and the predetermined timing of the period in which the negative value is not necessarily the above-mentioned rising timing and falling timing. As is also apparent from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mechanism of the irregular signal, the time interval used for the determination may be a time interval between a period in which the rate of change of time is a positive value and a period in which a negative value is used.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timing of the peak of the value and the timing of the peak of the negative value may be used for the determination.

또한 상기한 판정 메카니즘에 더하여, 전원 전압신호 등의 전기신호의 예정 패턴과, 실제로 생성된 전기신호의 패턴을 비교하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유효하 다. 즉, 예정 패턴과 다른 위치에 피크가 형성된 경우에는, 이와 같은 피크는 불규칙 신호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한 판정 메카니즘과는 별도로 예정 패턴과 실제의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불규칙 신호 검출을 행하는 기구를 병설함에 의하여 더욱 확실도가 높은 불규칙 신호 검출을 실현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mechanism, it is also effective to provide a mechanism for comparing the predetermined pattern of the electrical signal such as the power supply voltage signal with the pattern of the actually generated electrical signal. That is, when a peak is form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predetermined pattern, since such a peak is likely to correspond to an irregular signal, a mechanism for performing irregular signal detection by comparing the predetermined pattern with the actual pattern separately from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mechanism. The parallelism has the advantage that irregular signal detection with higher certainty can be realized.

본 발명에 관한 신호 검출장치 및 신호 검출 시스템은, 전기신호 중으로부터 추출한 전압성분에 관하여 시간 변화율을 도출하고, 시간 변화율에 의거하여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구성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전기신호 중에 본래적으로 포함되는 통상 성분과 달리 돌발적인 전압 변동을 수반하는 불규칙 신호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The signal detecting apparatus and the signal dete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 a configuration for deriving a rate of change of time with respect to a voltage component extracted from an electric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based on the rate of change of time. As a result, unlike the usual components originally included in the electric signal, it has the effect of reliably detecting an irregular signal accompanied by an unexpected voltage fluctuation.

또, 본 발명에 관한 신호 검출 시스템은, 복수의 신호 검출장치를 구비한 경우에 각 신호 검출장치에 의하여 얻어진 판정결과를 입력하여 판정결과를 고지하는 관리서버를 구비함으로써 관리서버가 복수의 신호 검출장치에 의하여 얻어진 판정결과의 고지를 일괄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는 복수의 신호 검출장치의 각각 에 있어서의 판정결과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Moreover, the signal detection system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management server which inputs the determination result obtained by each signal detection apparatus, and informs a determination result, when a several signal detection apparatus is provided, and a management server detects several signal. The notification of the determination result obtained by the apparatus can be collectively performed, and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determination resul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apparatuses.

Claims (9)

소정의 검사대상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장치가 생성한 전기신호 중에 혼입할 수 있는 신호로서 돌발적인 전압 변동을 수반하는 불규칙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장치에 있어서, In the signal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n irregular signal accompanied by a sudden voltage change as a signal that can be mixed in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determined inspection object, 상기 전기신호 중으로부터 전압값의 절대값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전압성분을 추출하는 성분 추출수단과, Component extraction means for extracting a voltage component whos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electric signal; 상기 성분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전압성분에 있어서의 전압값의 시간 변화율을 도출하는 변화율 도출수단과,Change rate derivation means for deriving a rate of change of the voltage value in the voltage component extracted by the component extraction means; 상기 변화율 도출수단에 의하여 도출된 전압값의 시간 변화율에 의거하여,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based on a time change rate of the voltage value derived by the change rate derivation means; 적어도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고 상기 판정수단에 의하여 판정되었을 때에, 판정결과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고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검출장치. And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determination result when at least the voltage component determines that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기신호는, 검사시에 상기 검사장치로부터 상기 검사대상에 대하여 출력되고, 상기 검사장치의 구동전력으로서 기능하는 전원 전압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검출장치. And the electric signal is a power supply voltage signal which is output from the inspection apparatus to the inspection object at the time of inspection and functions as a driving power of the inspection apparatu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시간 변화율이 양의 값이 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이밍과, 음의 값이 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이밍 사이의 시간 간격에 의거하여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검출장치. The judging means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based on a time interval between a predetermined timing in a period in which the rate of change of time becomes a positive value and a predetermined timing in a period in which the time change rate becomes a negative valu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ignal is detect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간 변화율의 0부터 양의 값으로의 변화를 검출하는 상승 검출수단과,Ris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change from zero to a positive value of the time change rate; 상기 시간 변화율의 0부터 음의 값으로의 변화를 검출하는 하강 검출수단을 더 구비하고, Further comprising fall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change from said time change rate from 0 to a negative value,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상승 검출수단의 검출 타이밍과, 상기 하강 검출수단의 검출 타이밍과의 사이의 시간 간격에 의거하여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검출장치. The determination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based on a time interval between the detection timing of the rise detection means and the detection timing of the fall detection means. Device.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전기신호 중의 통상 성분에 있어서의 시간 간격의 최소값보다도 작은 소정의 문턱값 이하가 된 경우에,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검출장치. And the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that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when the time interval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small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time interval in the normal component of the electric signal. Detec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판정수단에 의하여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고 판정된 상기 전압성분의 발생 패턴에 의거하여 상기 검사장치 중의 불량 부분을 추측하는 불량 추측수단을 더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검출장치. And a failure estimating means for estimating a defective portion of the inspection apparatus based on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voltage component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irregular signal by the determination means.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불규칙 신호의 발생 패턴과 상기 검사장치의 불량 부분과의 대응관계를 기록한 발생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And a generation pattern database which record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irregular signal and the defective part of the inspection apparatus. 상기 불량 추측수단은, 상기 판정수단에 의하여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고 판정된 전압성분의 발생 패턴에 의거하여, 상기 발생 패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대응관계를 참조하면서 상기 검사장치의 불량 부분을 추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검출장치. And the failure estimating means estimates a defective portion of the inspection apparatus while referring to the correspondence recorded in the occurrence pattern database based on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voltage component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irregular signal by the determination means. A signal detec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불규칙 신호의 발생 이력을 기록하는 발생 이력 기록부와, A generation history recorder for recording a generation history of the irregular signal; 상기 발생 이력 기록부에 기록된 불규칙 신호의 발생 이력에 의거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수리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수리 판정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검출장치. And a repair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nspection apparatus needs to be repaired based on the occurrence history of the irregular signal recorded in the occurrence history recording section. 소정의 검사대상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복수의 검사장치가 생성한 전기신호 중에 혼입할 수 있는 신호로서 돌발적인 전압 변동을 수반하는 불규칙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signal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an irregular signal accompanied by a sudden voltage change as a signal that can be mixed in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a plurality of inspection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predetermined inspection object, 복수의 상기 검사장치의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전기신호 중으로부터 소정값 이상의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성분을 추출하는 성분 추출수단과, 상기 성분 추출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전압성분에 있어서의 전압값의 시간 변화율을 도출하는 변화율 도출수단과, 상기 변화율 도출수단에 의하여 도출된 전압값의 시간 변화율에 의거하여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신호 검출장치와, Component extraction means for extracting a voltage component having a voltage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electric signa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devices, and the voltage value in the voltage component extracted by the component extraction means; A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s comprising: a rate of change derivation means for deriving a rate of change of time; and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on the basis of the rate of change of voltage value derived by the rate of change derivation means; Device, 복수의 상기 신호 검출장치에 의하여 얻어진 판정결과를 입력하여, 적어도 상기 전압성분이 불규칙 신호에 해당한다는 취지의 판정결과가 얻어진 경우에 판정결과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고지수단을 구비한 관리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검출 시스템. And a management server having a notification means for inputting determination results obtained by the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apparatuses and informing the user of the determination results when at least a determination result is obtained that the voltage component corresponds to an irregular signal. Signal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60029224A 2006-03-30 2006-03-30 Signal detector and signal detection system KR1007780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24A KR100778052B1 (en) 2006-03-30 2006-03-30 Signal detector and signal det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24A KR100778052B1 (en) 2006-03-30 2006-03-30 Signal detector and signal detec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060A true KR20070098060A (en) 2007-10-05
KR100778052B1 KR100778052B1 (en) 2007-11-21

Family

ID=3880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224A KR100778052B1 (en) 2006-03-30 2006-03-30 Signal detector and signal detec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052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3300B2 (en) * 1994-11-24 2003-06-03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Board operation visual analysis device
KR0169928B1 (en) * 1996-09-24 1999-03-20 배순훈 Parts inspection apparatus with watt detection
JP3589835B2 (en) 1997-07-29 2004-11-17 富士通株式会社 Electronic circuit assembly test method, test apparatus, and test adapter
US7194668B2 (en) * 2003-04-11 2007-03-20 Advantest Corp. Event based test method for debugging timing related failures in integrated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052B1 (en)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1443B2 (en) Method to extract parameters from in-situ monitored signals for prognostics
KR100755955B1 (en) System for fault diagnosing of receiving and distributing electricity equipment
US20080061796A1 (en) Signal detecting apparatus and signal detecting system
US6958619B2 (en) Inspecting apparatus and inspecting method for circuit board
US20120330871A1 (en) Using values of prpd envelope to classify single and multiple partial discharge (pd) defects in hv equipment
WO200802469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active fault monitoring in interconnects
WO2014006662A1 (en) Method for diagnosing an electric device
JP2006218618A (en) Inspection method of device for working instruments
US1159881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diagnostic processes with reduced processing time
KR101045036B1 (en) Ic tester
JP5085275B2 (en) Insulation inspection equipment
JP2020511217A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strument component analysis of device and context specific signal patterns for diagnostic and predictive maintenance
US8140277B2 (en) Enhanced characterization of electrical connection degradation
CN111504627A (en) Method for detecting defective parts of circuit breaker
IL2666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failures in direct current circuits
JP20121499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degradation of printed wiring board
JP5451183B2 (en) Electrical test system and electrical test method
JP5231295B2 (en)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JP2014235060A (en) Failure detection device
US9551744B2 (en) Detecting early failures in printed wiring boards
KR20070098060A (en) Signal detector and signal detection system
JP6153844B2 (en) Arrestor failure determination system and failure determination program
JP2006194732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signal
KR20190027164A (en) Intermittent contact poor inspecting apparatus of a switch contact
JP2015152515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ailure diagnosi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