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384A -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384A
KR20070049384A KR1020050106493A KR20050106493A KR20070049384A KR 20070049384 A KR20070049384 A KR 20070049384A KR 1020050106493 A KR1020050106493 A KR 1020050106493A KR 20050106493 A KR20050106493 A KR 20050106493A KR 20070049384 A KR20070049384 A KR 20070049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video
calling terminal
termi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4581B1 (ko
Inventor
이준혁
김호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6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581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5Notifying, informing or entertaining a held party while on hold, e.g. Music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음성/영상 다중 통화 기능(Voice/Video Multicall)을 사용하여 발신 단말기가 음성 통화를 시도한 상태에서도 착신측에 의해 지정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영상 호 채널이 열리도록 하고, 그 영상 호 채널을 통해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발신 단말기에서 통화 대기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유사하게 음성 통화 연결 직전까지 발신 단말기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영상이 착신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멀티미디어 영상, 다중 통화 기능, 통화대기

Description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OF PROVIDING A MULTIMEDIA VIDEO SERVICE ON CALL WAITING}
도 1은 종래의 단말기 간의 호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기능을 구현하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수행을 위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수행을 위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통화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통화 연결 직전까지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단말기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가 증대되면서, 단말기에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착신이 있을 때 출력되는 벨 소리나 화면, 통화대기 중에 표시되는 화면의 이미지 등의 차별화를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통화대기음(RBT: Ring Back Tone) 서비스는 발신측 중심의 서비스로써, 발신자가 전화를 거는 경우 착신자가 전화를 받기 전까지 착신자가 지정한 통화연결음이 발신측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통화대기음 서비스는 일명 컬러링 서비스로서 대부분의 유무선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통화 직전의 시점에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다양한 통화대기음이 자동으로 표출된다. 따라서, 컬러링 통화대기음(CRBT: Coloring Ring Back Tone) 서비스는 통화 연결음을 기존의 단순한 기계음이 아닌 음악이나 음향 효과음으로 대체한 서비스이다.
이러한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는 가운데 이동 통신 단말기도 화면이 점점 커지면서 컬러수도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공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그 화면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접목시키는 활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활용의 한 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화면은 그 효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동화상 디스플레이까지 제공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통화대기음 서비스는 음악, 멜로디, 목소리, 노래, 효과음 등 오디오와 관련된 통화연결음 지정을 통해서만 충족되는 실정이므로, 착신자가 뮤직비디오, 동영상, 사진, 아바타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이용해서는 본인의 개성을 표현할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즉, 통화 연결 시 발신측 단말기에서 단순히 통화대기음이 출력되거나 통화연결 상태를 알리는 통화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뿐이며,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영상에 따라 발신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변하지는 않았다.
한편,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영상과 음성을 주고 받기 위해서는 영상 통화에 필요한 정보 교환 과정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을 기반으로 하는 화상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의 경우에 있어서는, 영상과 음성을 전달하기 위해 H.324m negotiation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한다.
이와 같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의 호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종래의 단말기 간의 호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자에 의해 통화 연결이 시도되면 발신 단말기(10)는 100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20)로 발호 요구(Call Set up)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러면 코어 네트워크(20)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105단계에서 그 메시지를 해당 착신 단말기(30)에 전달한다. 그러면 코어 네트워크(20)는 110단계에서 그 절차 상태를 알리는 호 절차(Call Proceeding)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0)에 전달한다. 그리고나서 코어 네트워크(20)는 115단계에서 착신 단말기(30)로부터 호 확인(Call Confirm) 메시지를 전달받고, 이어 120단계에서 알림(Alerting)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125단계로 진행하여 그 알림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0)에 전달한다.
한편, 착신 단말기(30)는 130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20)로부터 전달되는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 착호에 응답한 통화 연결(Connect)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20)로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코어 네트워크(20)가 135단계에서 통화 연결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0)에 전송함으로써 140단계에서와 같이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에 H.324m 프로토콜에 따른 통화 연결 과정이 시작된다. 이 때, 통화 연결 과정이 수행됨과 동시에 145단계에서와 같이 발신 단말기(10)는 코어 네트워크(20)를 통해 착신 단말기(30)와의 화상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 통화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30) 간에 화상 통화를 위한 호 채널이 열려진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화상 통화가 아닌 일반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채널이 설정된 상태에서는 영상 전송이 가능한 화상 통화용 호 채널을 다시 연결할 수는 없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할 방법이 없다.
한편, 이동 단말기 사용자들이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서비스에 많 은 흥미를 가지고 있어 일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서도 욕구 충족을 위한 보다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즉,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다양한 영상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일수록 자신만의 개성있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거나 제공받기를 요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화상 통화가 아닌 음성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되기 전까지 생동감있는 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에는 화상 통화를 위한 호 채널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통화 대기음만 제공 가능한 실정이다. 게다가 기존의 통화대기음을 제공하는 서버에서도 오디오와 관련된 통화연결음을 지원하는 기능만이 구현되어 있을 뿐, 멀티미디어 영상을 직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발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통화 대기 서비스가 오디오와 관련된 통화연결음만으로 제한되므로 착신자가 다른 사람들과 보다 차별되게 자신을 나타낼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화상 통화를 위한 호 채널이 연결되지 않고서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통화 대기 시 뮤직비디오, 동영상, 사진, 아바타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이용해서 자신의 취향을 개성적으로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게다가 통화 대기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착신 단말기에서만 서비스 지정을 할 수 있을 뿐 발신자가 그 서비스 지정에 관여할 수 없어서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는 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영상을 보
따라서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연결 직전까지 발신 단말기 또는 착신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교환국이 발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호 설정을 요구받는 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음성 호 설정 요구에 따른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영상 호 채널을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영상 호 채널을 통해 외부의 영상서비스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통화대기 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발신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가 이동교환국에 대해 소정의 착신 단말기에 대한 음성 호 설정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호 설정 요구에 따른 착신 단말기의 영상 서비스 제공 여부에 관한 정보를 확인받아 그에 따른 영상 호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영상 호를 통해 외부의 영상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통화대기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교환국이 발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호 설정을 요구받는 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음성 호 설정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음성 호 설정 요구에 따른 소정의 착신 단말기에 대한 영상 호 채널을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영상 호 채널을 통해 외부의 영상서비스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통화대기 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착신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음성/영상 다중 통화 기능(Voice/Video Multicall)을 사용하여 발신 단말기가 음성 통화를 시도한 상태에서도 착신측에 의해 지정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영상 호 채널이 열리도록 하고, 그 영상 호 채널을 통해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발신 단말기에서 통화 대기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유사하게 음성 통화 연결 직전까지 발신 단말기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영상이 착신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서는 음성 통화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도 상대방과의 통화가 연결되기 전에는 느긋하게 생동감있는 영상을 즐기고 통화 연결된 후에는 전화를 귀에 대고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구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호 접속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 이동 단말기는 전화통화를 위해 발신하는 발신 단말기(200)와 그 발신에 대응하는 호를 착신하는 착신 단말기(210)로 구분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200), 착신 단말기(210), 기지국(BS: Base Transceiver Station/Base Station Controller)(215),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220),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25), 이동통신망(230), 영상서비스 서버(240) 및 데이터베이스(DB: Databse)(2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기지국(215)은 각 단말기(200, 210)와 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각 단말기(200, 210)와 함께 무선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동교환국(220)은 각 단말기(200, 210)로부터 착/발신 요구를 처리하기 위하여 다른 이동교환국과 망연동을 하고, 홈위치등록기(225)로 단말기 사용 자에 대한 조회를 실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교환국(220)은 발신 단말기(200)에서 음성 호 시도가 있으면 홈위치등록기(225)를 통해 그 발신 단말기(200)에 대한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 가입 조회를 요청한다. 그리고 홈위치등록기(225)에 의해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임이 확인되면 이미 음성 호 시도에 따른 연결이 시작된 상태이므로 이동교환국(220)은 다른 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200)에 전달한다. 이 페이징 메시지는 음성 통화를 위한 연결이 시작된 상황이므로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 발신 단말기(200)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영상을 받을 준비를 하라고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연결이 시작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호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영상 다중 통화 기능(Voice/Video Multicall)이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나서 이동교환국(220)은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연결 진행 중에 발신 단말기(200)에게 영상 서비스 설정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발신 단말기(200)로 하여금 자체적으로 링백톤 즉, 전화벨이 울리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200)에서는 음성/영상 다중 통화 기능을 지원하므로 음성 호와는 별개로 영상서비스 서버(240)와의 H.324m Negotiation을 시작하여 영상서비스 서버(240)에 접속한 상태에서 지정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동교환국(2200에서는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리기 위해 착신 단말기(210)에 음성 호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며, 링백톤은 송출하지 않는다. 그러면 호 착신을 인지한 착신 단말기(210)에서 전화를 받는 순간에 영상 호는 끊어지고 음성 호가 연결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발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착신 단말기(210)에 표시하기 위한 이동 교환국(220)에서의 동작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유사하게 이루어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발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착신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통화대기 영상 푸쉬(Push) 서비스라고 한다.
홈위치등록기(225)는 단말기 사용자를 관리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중형급 컴퓨터로서, 사용자 정보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착신 호에 대한 경로 지정을 할 수 있다. 또한, 홈위치등록기(225)는 발신 및 착신 단말기(200, 210)의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이 프로파일(profile) 정보에는 가입된 서비스 정보 예컨대, 통화대기 영상서비스 가입 여부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영상서비스 서버(240)는 이동교환국(220) 및 홈위치등록기(225)와 연동하여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 연결음 대신에 가입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보여준다. 이 때, 영상서비스 서버(240)는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인지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인지의 구분에 따라 발신 단말기(200) 또는 착신 단말기(210)에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서비스 서버(240)는 H.324m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착신 단말기(210)에 의해 설정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에 관한 정보를 DB(235)에 저장한다. 또한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발신 단말기(200)에 의해 설정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에 관한 정보를 DB(235)에 저장한다. 이 때, 서버(240)와 연결되는 DB(235)는 유무선 통신사 또는 통화 대기 영상 제작업체 등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식의 영상을 저장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영상의 예로서는 뮤직비디오, 아바타, 동영상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기능을 구현하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설명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기(200) 및 착신 단말기(210)의 내부 블록 구성도는 동일하며, 각 구성부에서의 동작도 동일하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3를 참조하여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 또는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 수행 시 발신측을 기준으로 발신 단말기(200)의 각 구성부의 역할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300)는 각 단말기(200, 2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200)의 제어부(300)는 통화 연결 직전까지 발신 단말기 상에 착신자가 원하는 형태의 멀티미디어 영상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발신 단말기(200)의 제어부(300)는 발신자로부터 착신번호를 입력받아 발신을 수행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300)는 이동교환국(220)으로부터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준비를 하라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영상서비스 서버(240)와의 H.324m negotiation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 는 영상서비스 서버(240)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이 실행될 수 있도록 표시부(320) 및 음성 처리부(350)를 제어한다. 즉, 멀티미디어 영상 실행에 따라 표시부(320) 상에는 해당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음성 처리부(350)의 스피커를 통해서는 해당 영상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착신 단말기(210)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먼저, 발신자에 의해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시도가 있으면, 착신 단말기(210)의 제어부(300)는 이동교환국(220)로부터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를 제공받을 준비를 하라는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영상서비스 서버(240)와 연결되어 발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영상이 실행되게 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200)의 표시부(320) 상에는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영상이 표시되게 되게 되고, 착신 단말기(210)의 표시부(320) 상에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특화 욕구가 부여된 개성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표시부(310)는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키입력부(320)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거나, 각 단말기(200, 210)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310)는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구동시킴에 있어 그 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310)에는 통화 연결 직전까지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영상이 표시된 다.
그리고 키입력부(320)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300)에 제공한다. 즉, 키입력부(320)는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키입력부(320)에서 출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는 제어부(300)에 인가되어 이러한 키입력 데이터가 어떠한 키 입력에 따른 키입력 데이터가 되는지가 검출되어,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30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키입력부(320)는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위해 착신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선택하거나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를 위해 발신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또한 제어부(3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330)는 각 단말기(200, 21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신 단말기(200) 또는 착신 단말기(210) 내의 메모리부(330)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멀티미디어 영상이 편집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이러한 멀티미디어 영상은 영상서비스 서버(240)로 업로드할 수 있다.
무선부(340)는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안테나(ANT)를 통해 이동교환국(220)과 RF신호를 송/수신하며, H.324m 프로토콜에 따른 절차가 수행되면 영상서비스 서버(240)로부터 멀티미디어 영상을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300)와 연결된 음성처리부(Voiceband Signal Processor)(350) 는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300)로 출력하고,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통화 대기 시 영상서비스 서버(240)로부터 전달된 멀티미디어 영상이 실행될 때 그 멀티미디어 영상에 음성, 음악 등의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에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 음악 등이 출력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 수행 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간의 메시지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수행을 위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인 도 4를 참조한다.
먼저, 착신 단말기(210)는 소정 경로를 통해 영상서비스 서버(240)에 접속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영상 중 원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선택하여 통화대기 영상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착신 단말기(210)에 의해 설정된 통화대기 영상은 착신 단말기(210)에 대한 정보와 함께 영상서비스 서버(240)에 저장되게 된다. 이 때, 착신자는 모든 발신 단말기에 대해 통화대기 영상으로 하나의 멀티미디어 영상을 지정할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각각의 발신 단말기마다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영상을 지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신 단말기(200)에서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를 상세히 설명한다.
발신 단말기(200)는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착신번호로 통화연결 시도가 있으면, 400단계에서와 같이 이동교환국(220)으로 음성 호 설정 메시지(Voice Call Setup message)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200)와 이동교환국(220) 간에는 음성 호 통화 연결을 위한 채널 형성이 시작된다. 한편 이동교환국(220)에서는 발신 단말기(200)로부터의 메시지에 대응하여 착신자가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405단계에서 영상서비스 가입자 확인 요청을 홈위치등록기(225)로 보낸다. 그러면 홈위치등록기(225)는 410단계에서 착신 단말기(210)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참조하여 그 영상 서비스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415단계에서 확인 메시지를 이동교환국(220)에 전달한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교환국(220)은 그 확인 메시지를 근거로 착신자가 그 영상 서비스 가입자라고 인지하여 420단계에서 발신 단말기(200)로 영상 호 페이징 메시지(Paging Video Call Message)를 전송한다. 이 영상 호 페이징 메시지는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상황이므로 그 채널을 형성하면서 영상 호가 왔음을 알리는 즉, 영상 통화를 준비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이다. 그리고나서 발신 단말기(200)가 425단계에서 페이징 응답 메시지(Paging Response Message)를 전송하면, 이동교환국(220)은 430단계에서 영상 호 설정 메시지(Video Call Setup Messgae)를 발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 때, 일반적인 호 설정 메시지(Call Setup Message)는 전화를 건 발신자측에서 전송되어 발신자측에 전화요금이 과금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교환국(220)이 영상 호 설정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발신 단말기(200)가 멀티미디어 영상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과금을 물지 않도 록 한다.
이어, 발신 단말기(200)는 435단계에서 이동교환국(220)으로 호 절차 메시지(Call Proceeding Message)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이동교환국(220)은 440단계에서 영상서비스 설정 알림메시지(Setup Notification Message)를 발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 때, 이동교환국(220)이 영상 호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여 발신 단말기(200)에 전화를 건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이동교환국(220)은 영상서비스 설정 알림메시지를 이용하여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를 위한 영상 호임을 알려주어 전화벨이 울이지 않도록 한다. 즉, 발신 단말기(200) 자체적으로 링백톤(ringback tone)을 송출하지 않는다. 또한 이동교환국(220)은 이 영상서비스 설정 알림메시지를 통해 발신 단말기(200)에서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가 곧 시작될 것임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대해 발신 단말기(200)에서는 445단계에서 영상서비스 서버(240)와 접속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Alert Message)를 이동교환국(220)으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영상을 전송할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음성/영상 다중 통화 기능(Multi Call)이 구현된 발신 단말기임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하나의 채널이 형성되기 시작했을 때에도 다른 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다중 통화 기능은 3G WCDMA 서비스의 Circuit Domain에서 표준으로 제공되는 기능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200)는 다중 통화 기능을 지원하므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는 음성 호와는 별개로 450단계에서 영상서 비스 서버(240)와의 H.324m negotiation 과정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200)는 영상서비스 서버(240)에 접속하여 H.324m 프로토콜에 따른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를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발신 단말기(200)는 영상서비스 서버(240)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교환국(220)을 통해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를 위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화면에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그 영상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멀티미티어 영상이 발신 단말기(200)에 통화연결음 및 통화연결화면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동교환국(220)은 455단계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 형성을 위해 착신 단말기(210)로 호 착신을 알리는 음성 호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이동교환국(220)은 링백톤을 송출하지 않는다. 그리고 착신 단말기(210)는 호 착신에 대응하여 460단계에서 호 절차 메시지(Call Proceeding Message)에 이어 465단계에서 알림 메시지(Alert Message)를 전송한다. 이후, 호 착신을 인지한 착신자에 의해 통화연결키가 눌려지면 착신 단말기(210)는 470단계에서 통화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 메시지(Connect Message)를 이동교환국(220)에 전달한다.
이 후, 착신 단말기(210)에서 전화를 받는 순간 발신 단말기(200)에서 영상 호는 끊어지고 음성 호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교환국(220)에서는 통화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475단계에서 영상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Video CS Data End Message)를 발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즉, 영상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영상 호 채널이 열렸던 것을 닫혀지도록 한다.
그러면 발신 단말기(200)는 착신 단말기(210)와 음성 통화가 연결되었음을 인지하여 480단계에서 H.324m 프로토콜에 따라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종료함으로써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던 영상서비스 서버(240)와의 접속을 끊는다. 그리고나서 이동교환국(220)은 485단계에서 음성 연결 메시지(Voice Connect Message)를 발신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발신 단말기(200)는 490단계에서 음성 연결 확인 메시지(Voice Connect-Ack Message)를 이동교환국(22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200)와 착신 단말기(210) 간에는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채널이 연결되어 495단계에서와 같이 음성 통화가 수행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측 전화번호로 발신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를 시도했을 때 통화가 연결되기 직전까지 발신자는 착신자에 의해 지정된 멀티미디어 영상을 생동감있게 보다가 통화가 연결된 후에는 귀에 대고 음성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를 착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 수행을 위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에서와 마찬가지로 발신자는 영상서비스 서버(240)에 미리 착신 단말기별로 자신이 원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지정해놓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도 음성/영상 다중 통화 기능이 가능하다는 전제를 두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기(200)는 착신번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통화 연결키가 눌리면 500단계에서 음성 호 설정 메시지(Voice Call Setup message)를 이동 교환국(22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교환국(220)는 505단계에서 홈위치등록기(225)로 발신자가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홈위치등록기(225)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전달되면 이동교환국(220)은 515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호가 있음을 알리는 영상 호 페이징 메시지(Paging Video Call Message)를 착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그 전송에 대응하여 520단계에서 착신 단말기(210)로부터 페이징 응답 메시지(Paging Response Message)가 수신되면 이동교환국(220)은 525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호 설정 메시지(Video Call Setup Message)를 착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기(210)는 530단계에서 호 확인 메시지(Call Confirm Message)를 이동교환국(220)으로 전송하고, 이동교환국(220)은 535단계에서 영상서비스 설정 알림메시지(Setup Notification Message) 착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착신 단말기(210)가 영상 서비스 설정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자체의 링백톤을 송출하지 않는다. 이에 대응하여 이동교환국(220)은 540단계에서 착신 단말기(210)로부터 영상서비스 서버(240)와 접속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Alert Message)가 수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신 단말기(210)는 다중 통화 기능을 지원하므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는 음성 호와는 별개로 545단계에서 영상서비스 서버(240)와의 H.324m negotiation 과정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 착신 단말기(210)는 영상서비스 서버(240)에 접속하여 H.324m 프로토콜에 따른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를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착신 단말기(210)는 영상서비스 서버(240)에 연결된 상태로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를 위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화면에 발신자에 의해 설정된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그 영상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착신 단말기에도 발신자에 의해 지정된 다양한 멀티미디어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착신 단말기(210)가 영상서비스 서버(240)로부터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이동교환국(220)에서는 550단계에서 음성 호 설정 메시지(Voice Call Setup Message)를 착신 단말기(210)로 전송하여 555단계에서 이에 대응하는 호 절차 메시지(Call Proceeding Message)에 이어 560단계에서 알림 메시지(Alert Message)를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에 따른 멀티미디어 영상이 착신 단말기(210)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호 착신을 인지한 착신자에 의해 통화연결키가 눌리게 되면 착신 단말기(210)에서는 565단계에서와 같이 통화 연결 메시지(Connect Messgae)가 이동교환국(220)에 전송된다. 그러면 이동교환국(220)은 570단계에서 영상 호를 끊고 음성 호를 연결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Video CS Data Message)를 착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이동교환국(220)가 580단계에서 음성 연결 메시지(Voice Connect Message)를 발신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585단계에서 이에 대응하는 음성 연결 확인 메시지(Voice Connect-Ack Message)를 수신하게 되면, 발신 단말기(200)와 착신 단말기(210) 간에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이 열려서 590단계에서와 같이 음성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화대기 영상 서비스 또는 통화대기 영상 푸쉬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음성 통화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도 상대방과의 통화가 연결되기 전에는 느긋하게 생동감있는 영상을 즐기고 통화 연결된 후에는 전화를 귀에 대고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만 영상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를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까지 확대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관점에서는 일관성있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 연결 직전까지 실행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음성/영상 호와 무관한 대표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교환국이 발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호 설정을 요구받는 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음성 호 설정 요구에 따른 착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영상 호 채널을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영상 호 채널을 통해 외부의 영상서비스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통화대기 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발신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국은 상기 발신 단말기의 음성 호 설정 요구에 따른 착신 단말기에 대한 음성 호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의 음성 호 연결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상기 영상 호 설정을 종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호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 교환국이,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한 영상 호를 페이징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된 영상 호를 수신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페이징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응답에 대해, 상기 영상 호를 설정하는 영상 호 설정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호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호 절차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호 절차 메시지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영상 서비스 설정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에 대한 응답으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는
    3G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음 성/영상 다중 통화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음성 호 설정 요구에 따른 착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 서비스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근거로 한 가입자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가 이동교환국에 대해 소정의 착신 단말기에 대한 음성 호 설정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호 설정 요구에 따른 착신 단말기의 영상 서비스 제공 여부에 관한 정보를 확인받아 그에 따른 영상 호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영상 호를 통해 외부의 영상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통화대기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소정의 착신 단말기 간의 음성 호 연결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 호 연결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호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영상 호에 대한 페이징(Paging Video Call)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된 영상 호가 수신되면 상기 페이징에 대한 응답(Paging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이동교환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응답에 대해,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영상 호를 설정하는 영상 호 설정(Video Call Setup)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 호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호 절차(Call Proceeding) 메시지 전송에 따라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영상 서비스 설정 알림(Setup Notification)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알림 메시지(Alert)를 상기 이동교환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는
    3G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음 성/영상 다중 통화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교환국이 발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호 설정을 요구받는 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음성 호 설정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음성 호 설정 요구에 따른 소정의 착신 단말기에 대한 영상 호 채널을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영상 호 채널을 통해 외부의 영상서비스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통화대기 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착신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국은 상기 발신 단말기의 음성 호 설정 요구에 따른 착신 단말기에 대한 음성 호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의 음성 호 연결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상기 영상 호 설정을 종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호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 교환국이,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영상 호를 페이징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된 영상 호를 수신한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페이징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응답에 대해, 상기 영상 호를 설정하는 영상 호 설정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호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호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호 확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영상 서비스 설정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에 대한 응답으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는
    3G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음성/영상 다중 통화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 서비스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홈위치등록기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근거로 한 가입자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106493A 2005-11-08 2005-11-08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754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493A KR100754581B1 (ko) 2005-11-08 2005-11-08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493A KR100754581B1 (ko) 2005-11-08 2005-11-08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384A true KR20070049384A (ko) 2007-05-11
KR100754581B1 KR100754581B1 (ko) 2007-09-05

Family

ID=3827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493A KR100754581B1 (ko) 2005-11-08 2005-11-08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5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453B1 (ko) * 2007-01-18 2008-06-30 텔코웨어 주식회사 3g-324m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KR100911504B1 (ko) * 2007-11-08 2009-08-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을 위한 단말기, 서버 및시스템과 그 방법
KR100932350B1 (ko) * 2006-08-11 2009-12-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비디오 통신 방법, 비디오 통신 시스템, 및 통합 미디어자원 서버
KR100971609B1 (ko) * 2008-03-05 2010-07-20 주식회사 팬택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시스템
KR101103428B1 (ko) * 2008-01-10 2012-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통화 연결 중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버퍼링시스템 및 방법
KR101425820B1 (ko) * 2009-02-26 2014-08-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연결 대기 중 디지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81A1 (ko) * 2015-10-19 2017-04-27 이재훈 통화대기 중 안내 제공방법
KR101815391B1 (ko) 2015-10-19 2018-01-05 이재훈 통화대기 중 안내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439B1 (ko) * 2004-01-13 2006-03-14 문영백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350B1 (ko) * 2006-08-11 2009-12-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비디오 통신 방법, 비디오 통신 시스템, 및 통합 미디어자원 서버
US8339437B2 (en) 2006-08-11 2012-12-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Video communication method, video communication system and integrated media resource server
KR100839453B1 (ko) * 2007-01-18 2008-06-30 텔코웨어 주식회사 3g-324m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KR100911504B1 (ko) * 2007-11-08 2009-08-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실시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을 위한 단말기, 서버 및시스템과 그 방법
KR101103428B1 (ko) * 2008-01-10 2012-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통화 연결 중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버퍼링시스템 및 방법
KR100971609B1 (ko) * 2008-03-05 2010-07-20 주식회사 팬택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시스템
US8320534B2 (en) 2008-03-05 2012-11-27 Pantech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connection to called terminal
KR101425820B1 (ko) * 2009-02-26 2014-08-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연결 대기 중 디지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581B1 (ko)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36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CN101156425B (zh) 主叫终端控制个性化信息的方法及终端设备
KR100754581B1 (ko)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EP230295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color ring selecting and apparatus thereof
EP1914969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KR20080102242A (ko) 통화 연결음을 사용하여 존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69072A (ko) 착신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동으로 내려 받는 이동전화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267583A (zh) 一种移动通信系统中个性化多媒体振铃业务的实现方法
CN101521861B (zh) 一种实现彩铃业务的方法、系统和设备
JP2007318681A (ja) 携帯電話システム、テレビ電話制御装置、携帯電話機及びテレビ電話制御方法
KR20060117163A (ko)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JP2005159567A (ja) 電話端末の通話モード切替方式
EP1398943A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JP4763037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20060089795A (ko) 링백톤 방식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KR20050000173A (ko) 발신자 벨소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78912B1 (ko) 발신 이미지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12681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CN101945504B (zh) 彩铃切换方法、多媒体彩铃服务器及用户设备
KR100637593B1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70028139A (ko) 컬러링 음원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22850A (ko) 휴대폰 벨소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9723B1 (ko) 에스브이디를 이용한 착신측 벨소리 변경 서비스 방법
KR20080092217A (ko) 선택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KR101028121B1 (ko) 통화응답 알림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