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439B1 -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439B1
KR100560439B1 KR20040002277A KR20040002277A KR100560439B1 KR 100560439 B1 KR100560439 B1 KR 100560439B1 KR 20040002277 A KR20040002277 A KR 20040002277A KR 20040002277 A KR20040002277 A KR 20040002277A KR 100560439 B1 KR100560439 B1 KR 100560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till image
service
call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0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4059A (ko
Inventor
문영백
Original Assignee
문영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백 filed Critical 문영백
Priority to KR2004000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439B1/ko
Publication of KR2005007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43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인터넷) 화상전화, 이동전화 등을 이용하는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신자가 전화서비스 사업자의 교환기로 호접속 요청을 하면 착신자가 서비스 제공자 또는 가입자 지정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통화연결대기 상태에서 지정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발신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따른 소정의 혜택을 사용자에게 부여함으로써, 광고주들은 자사 및 제품의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고 사용자들은 설정방법에 따라 유무선 화상전화 또는 휴대폰 요금의 감면이나 일정한 금액지급 등의 혜택을 받게 되어 쌍방향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무선 (인터넷) 화상전화, 이동전화 등을 이용하는 광고장치에 있어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메시지를 전송받기 위한 서비스에 가입을 원하는 자가 가입, 설정 및 등록을 하는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 상기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에 연결되어 가입자 접속제어 및 가입자 통화연결제어를 하는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 상기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에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에서 설정된 영상을 송출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 홈 위치를 등록하고 단문 문자서비스를 제공하는 HLR/SMS부(600) 및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관리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300)에 각각 연결된 것으로서,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의 요청이나 인터넷(700)(800)을 통해 접속한 가입자(801)(802) 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의 등록, 삭제, 지정 또는 변경을 하고 변경된 정보를 상기 HLR/SMS부(600) 및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 전달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관리서버(200); 그리고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관리서버(200)에 연결되어 서비스에 대한 과금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과금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화연결 대기음, 통화연결 대기영상, 통화연결 동영상, 통화연결 정지영상, 서비스 사업자,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 가입자(이용자), 동영상 자동응답(VRS)

Description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Advertising Apparatus and Method, which Provides Moving Picture and Fixed Pictur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을 나타내는 서비스 처리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의 송출 및 절단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의 서비스 사업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 지정 영상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의 영상송출을 위한 파일의 지정 및 등록을 나타내는 처리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의 영상 자동응답 서비스의 송출 및 절단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 101: 호 처리기능부
102: 서비스 제어기능부 103: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기능부
104: 가입자, 동영상 및 정지영상 D/B부
200: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관리서버
300: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 400: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
500: 과금서버 600: HLR/SMS부
700,800: 인터넷 801,802: 가입자
본 발명은 유무선 (인터넷) 화상전화, 이동전화 등을 이용하는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자가 전화서비스 사업자의 교환기로 호접속 요청을 하면 착신자가 서비스 제공자 또는 가입자 지정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통화연결대기 상태에서 지정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발신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따른 소정의 혜택을 사용자에게 부여함으로써, 광고주들은 자사 및 제품의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고 사용자들은 설정방법에 따라 유무선 화상전화 또는 휴대폰 요금의 감면이나 일정한 금액지급 등의 혜택을 받게 되어 쌍방향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온라인 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진 광고방법으로는 인터넷상의 배너광고를 들 수 있는데, 배너광고는 사용자가 관련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여 배너의 위치를 찾아서 클릭하여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광고주나 일반 소비자들에게 점차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한편 최근 휴대폰 이용자의 급속한 증가와 인터넷을 사용한 인터넷전화(VOIP) 이용자의 증가에 따라 휴대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은 고객의 유치 및 사용자의 서비스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를 통한 종래의 광고방법으로는 주로 단문메시지(SMS)의 문자를 이용하거나 음성위주의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음성 또는 문자를 통한 광고 전달 방식은 광고 전달력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의 주의를 끄는데 특별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광고 매체로서 인정을 받지 못하였고, 자연스럽게 영상매체로 그 관심을 돌리게 되었는데 휴대폰에서의 VOD서비스 및 휴대용 화상전화 서비스 등 그 범위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기존의 통신망에 있어서의 통화연결 대기음은 발신자가 전화통화를 시도할 경우 착신가입자의 교환기에서 ITU-T스펙에 따라 획일적인 링백톤을 발신자에게 들려주거나 링백톤 대신에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미리 지정된 대체음을 발신가입자에게 청취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의 링백톤 또는 대체음 방식을 벗어나서 통화연결 대기중의 광고방법으로 대체영상 서비스 방식을 적용하여, 발신가입자가 통화연결시 링백톤 또는 대체음 대신에 개인 또는 기업의 광고 홍보성 동영상, 정지영상 또는 가입자의 지정 동영상, 정지영상을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음성자동응답기능(ARS)에서는 통화연결시 음원위주의 안 내 및 자동응답을 하였는데, 여기에서 탈피하여 동영상 자동응답기술(VRS)을 적용하고 IP기법의 망을 통해 화상전화시 자동으로 동영상응답을 하여 사용자가 화상으로 편리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은 물론 기업의 광고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시스템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신자가 전화서비스 사업자의 교환기로 호접속 요청을 하면 착신자가 서비스 제공자 지정 또는 서비스 가입자 지정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제공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통화연결대기 상태에서 지정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발신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따른 소정의 혜택을 사용자에게 부여함으로써, 광고주들은 자사 및 제품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고 사용자들은 설정방법에 따라 유무선 화상전화 또는 휴대폰 요금의 감면이나 일정한 금액지급 등의 혜택을 받게 되어 쌍방향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통화연결 대기중 광고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업이 동영상 자동응답 안내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시각적으로 보다 편리하고 쉬운 안내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해당기업 또한 홍보 및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광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광고장치는 유무선 (인터넷) 화상전화, 이동전화 등을 이용하는 광고 장치에 있어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메시지를 전송받기 위한 서비스에 가입을 원하는 자가 가입, 설정 및 등록을 하는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 상기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에 연결되어 가입자 접속제어 및 가입자 통화연결제어를 하는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 상기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에서 설정된 영상을 송출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 홈 위치를 등록하고 단문 문자서비스를 제공하는 HLR/SMS부 및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관리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에 각각 연결된 것으로서,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의 요청이나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의 등록, 삭제, 지정 또는 변경을 하고 변경된 정보를 상기 HLR/SMS부 및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에 전달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관리서버; 그리고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관리서버에 연결되어 서비스에 대한 과금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과금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는 호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기능부, 송출관련 모든 부분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기능부, 서비스 가입자 D/B 및 가입자가 설정 및 저장해 놓은 영상 D/B를 관리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DB부, 그리고 영상을 송출처리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기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는 부서안내를 동영상으로 하는 동영상자동응답(VRS) 서비스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정 동영상 및 정지영상은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영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광고방법은 발신가입자가 착신가입자에게 호 접속을 요구하는 단계;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에서 착신가입자에게 착신요구를 함과 동시에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로 영상접속요구를 하는 단계; 상기 영상접속요구에 의해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와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 간에 통화로를 구성하고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가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에 영상접속을 하면,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에서 응답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는 영상을 송출하며, 발신가입자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보게 되는 단계; 착신가입자가 전화가 온 것을 인지하고 수화기를 들거나 통화키를 눌러서 착신응답을 하는 단계; 상기 착신응답에 의한 통화가 이루어지고 이를 인지한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가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에 연결해제요구를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연결해제요구에 의해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가 송출해제함으로써 송출과정이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무선 (인터넷) 화상전화, 이동전화를 이용하는 광고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가 영상을 송출하는 단계에서 착신가입자가 기본 동영상 설정 이용자인지 지정통화 연결 동영상 설정 이용자인지를 구분하고, 기본 동영상 설정 이용자가 아니고 지정통화연결 동영상 설정 이용자인 경우에 발신가입자에게 착신가입자의 지정 광고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을 나타내는 서비스 처리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광고장치는 본 발명은 유무선 (인터넷) 화상전화, 이동전화 등을 이용하는 광고장치에 있어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메시지를 전송받기 위한 서비스에 가입을 원하는 자가 가입, 설정 및 등록을 하는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 상기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에 연결되어 가입자 접속제어 및 가입자 통화연결제어를 하는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 상기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에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에서 설정된 영상을 송출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 홈 위치를 등록하고 단문 문자서비스를 제공하는 HLR/SMS부(600) 및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관리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300)에 각각 연결된 것으로서,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의 요청이나 인터넷(700)(800)을 통해 접속한 가입자(801)(802)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의 등록, 삭제, 지정 또는 변경을 하고 변경된 정보를 상기 HLR/SMS부(600) 및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 전달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관리서버(200); 그리고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관리서버(200)에 연결되어 서비스에 대한 과금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과금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는 호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기능부(101), 송출관련 모든 부분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기능부(102), 서비스 가입자 D/B 및 가입자가 설정 및 저장해 놓은 영상 D/B를 관리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DB부(104), 그리고 영상을 송출처리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기능부(10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는 부서안내를 동영상으 로 하는 동영상자동응답(VRS) 서비스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정 동영상 및 정지영상은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은 동영상 및 정지영상 메시지를 전송받기 위한 서비스에 가입을 원하는 자가 가입, 설정 및 등록을 하는 시스템으로서, 유무선 (인터넷) 전화의 서비스 사업자의 교환기(400)와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폰, PC, 화상전화기를 포함한다.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는 가입자 접속제어 및 가입자 통화연결제어를 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 HLR/SMS부(600),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 및 유무선 인터넷 망(800)에 연결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혼용망(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간에는 데이터의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일반서버와 연동되는 WAP서버(이동통신업체서버)가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는 상기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에서 설정된 영상을 송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에 연결되어 있고, 호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기능부(101), 송출관련 모든 부분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기능부(102), 서비스 가입자 D/B 및 가입자가 설정 및 저장해 놓은 영상 D/B를 관리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DB부(104), 그리고 영상을 송출처리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기능부(10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정 동영상 및 정지영상은 서비스 제공자나 서비스 이용자의 명함이나 개인적인 광고내용을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으로 송출하여 발신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영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동영상 및 정지영상은 HDML(Handset Device Markup Language) 포맷 등으로 작성되며, 동영상은 용량이 작은 비트맵 형태의 이미지를 동영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거나 MPEG 형태의 동영상 광고 데이터를 제작,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는 부서안내를 동영상으로 하는 동영상자동응답(VRS) 서비스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의 요청이나 인터넷(700)(800)을 통해 접속한 가입자(801)(802)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의 등록, 삭제, 지정 또는 변경을 하고 변경된 정보를 상기 HLR/SMS부(600) 및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홈 위치를 등록하고 단문 문자서비스를 제공하는 HLR/SMS부(600) 및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관리하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30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과금서버(500)는 서비스에 대한 과금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나중에 서비스 이용자에게 유무선 화상전화 또는 휴대폰 요금의 감면이나 일정한 금액지급 등의 혜택을 받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관리서버(200)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광고방법은 유무선 (인터넷) 화상전화, 이동전화 등을 이용하는 광고방법에 있어서, 발신가입자가 착신가입자에게 호 접속을 요구하는 단계(S10);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에서 상기 발신자의 호 접속요구를 분석하여 서비스 이용자인 착신가입자에게 착신요구를 함(S20)과 동시에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300)로 영상접속요구를 하는 단계(S30); 상기 영상접속요구에 의해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와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300) 간에 통화로를 구성하고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300)가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 영상접속을 하면,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서 응답함과 동시에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에서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로 발신가입자, 착신가입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40); 상기 가입자 또는 이용자 정보를 전달받은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는 발신가입자에게 송출할 동영상 및 정지영상 정보를 찾아서 영상을 송출하며, 발신가입자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보게 되는 단계(S50); 착신가입자가 전화가 온 것을 인지하고 수화기를 들거나 통화키를 눌러서 착신응답을 하는 단계(S60); 상기 착신응답에 의한 통화가 이루어지고 이를 인지한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가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 연결해제요구를 하는 단계(S70); 그리고 상기 연결해제요구에 의해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가 송출해제함으로써 송출과정이 종료되는 단계(S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의 송출 및 절단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발신가입자가 착신가입자에게 호 접속을 요구하게 되면(S10),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에서 상기 발신자의 호 접속요구를 분석하여 서비스 이용자인 착신가입자에게 착신요구를 함으로써(S20) 착신가입자에게는 링이 울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는 착신가입자가 서비스 이용자임을 인지하여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300)로 영상접속요구를 하게 된다(S30).
그리고 상기 영상접속요구에 의해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와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300) 간에 통화로를 구성하고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300)가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 영상접속을 하면,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서 응답함과 동시에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에서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로 발신가입자, 착신가입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S40).
다음에 상기 가입자 또는 이용자 정보를 전달받은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는 발신가입자에게 송출할 동영상 및 정지영상 정보를 찾아서 영상을 송출하며, 발신가입자는 착신가입자가 수화기를 들거나 통화키를 눌러서 응답하기 전까지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보게 된다(S50).
그리고 착신가입자가 전화가 온 것을 인지하고 수화기를 들거나 통화키를 눌러서 착신응답을 하게 되면(S60), 상기 착신응답에 의한 통화가 이루어지고 이를 인지한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가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 연결해제요구를 하게 되며(S70), 상기 연결해제요구에 의해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가 송출해제함으로써 송출과정이 종료된다(S8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의 서비스 사업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 지정 영상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에서 호발신(S401)이 이루어지면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는 이를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 통보하게 된다.
그리고 착신자가 서비스 이용자임을 확인한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는 본 발명의 부가적인 광고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이용하지 않는 이용자에게는 일반적인 링백톤을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에 발생시켜 발신자에게 통보하게 된다(S402)(S403).
만약 착신자가 본 발명의 부가적인 광고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의 이용자라면 기본 동영상 설정(S404) 이용자인지 지정통화연결 동영상 설정 이용자인지 구분(S405)하고,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와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간에 통화로를 구성하여 발신자에게 기본 또는 지정 광고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송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의 영상송출을 위한 파일의 지정 및 등록을 나타내는 처리흐름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700)(800)을 통하여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 또는 가입자(801)(802)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가입 및 로그인(S201)을 하여 서비스 설정(S202)을 진행한다.
이 때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 또는 가입자(801)(802)에게 현재 설정내용을 화면을 통해 표시(S204)해 준다.
그러면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은 유무선 (인터넷) 화상전화, 이동전화 서비스 사업자의 기본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설정(S205)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된다.
만일 서비스 사업자의 기본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설정(S205)하게 되면 해당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파일(S206)이 화면에 표시되면서 설정이 종료되게 된다.
한편 서비스 가입자 시스템(900) 지정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설정(S208)하고자 할 때에는 상황선택 및 정보를 입력(S209)하고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관리서버(200)를 통해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 지정 동영상 및 정지영상파일을 업로드(S11)함으로써 종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의 영상 자동응답 서비스의 송출 및 절단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가입자(A)가 착신가입자(B)에게 발신키 또는 다이얼 을 통해 화상호 접속요구(S100)를 시도하면 동영상 자동응답기는 가입자의 호접속 요구에 대하여 화상호 접속응답(S110)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관리서버(200)에 응답처리 및 내력기록을 요구(S111)하고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D/B송출을 요구(S120) 하며, 이에 대해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는 동영상 자동응답기에 동영상 D/B를 제공(S130)하게 된다.
그러면 동영상 자동응답기는 이 D/B를 이용하여 발신가입자((A)에게 동영상 안내(S140)를 하게 되고, 발신가입자(A)는 동영상 안내에 따라 1~4자리의 각 부서에 따른 디지트 키를 입력(S150)하면 동영상 자동응답기는 다시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 해당 디지트의 동영상 D/B를 요구(S160)하게 된다.
이 때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송출서버(100)는 해당 디지트의 동영상 D/B를 동영상 자동응답기에 제공(S170)하며 동영상 자동응답기는 이 동영상 D/B를 이용하여 발신가입자(A)에게 다시 해당 디지트에 따른 부서의 동영상 안내를 하게 된다.
다음에 발신가입자(A)는 해당디지트의 동영상 안내를 받고 다시 해당 부서에 접속하기 위한 새로운 디지트 키를 입력(S190)하면 동영상 자동응답기는 해당 디지트에 대하여 착신요구(S191)를 하게 된다.
해당 디지트의 착신가입자(B)가 전화가 온 것을 인지하고 수화기를 들거나 통화키를 누르면 착신응답 및 화상 통화로가 구성(S192)되고 이를 인지한 교환기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와의 연결해제 요구(S193)를 하고, 이 해제요구에 의해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는 송출해제(S194)함으로써 송출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은 발신자가 전화서비스 사업자의 교환기로 호접속 요청을 하면 착신자가 서비스 제공자 지정 또는 서비스 가입자 지정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제공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통화연결대기 상태에서 지정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발신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따른 소정의 혜택을 사용자에게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통화연결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광고주들은 기존의 단문 문자서비스(SMS)나 음성서비스에 비해 자사 및 제품광고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고 사용자들은 설정방법에 따라 유무선 화상전화 또는 휴대폰 요금의 감면이나 일정한 금액지급 등의 혜택을 받게 되어 쌍방향 모두가 만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업이 동영상 자동응답 안내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사안에 따라 알맞은 각 부서를 시각적으로 보다 편리하고 쉽게 안내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해당기업 또한 홍보 및 광고의 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은 발신자가 전화서비스 사업자의 교환기로 호접속 요청을 하면 착신자가 서비스 제공자 지정 또는 서비스 가입자 지정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제공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통화연결대기 상태에서 지정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발신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따른 소정의 혜택을 사용자에게 부여함으로써, 광고주들은 자사 및 제품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고 사용자들은 설정방법에 따라 유무선 화상전화 또는 휴대폰 요금의 감면이나 일정한 금액지급 등의 혜택을 받게 되어 쌍방향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기업이 동영상 자동응답 안내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시각적으로 보다 편리하고 쉬운 안내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해당기업 또한 홍보 및 광고의 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발신가입자가 착신가입자에게 호 접속을 요구하는 단계(S10);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에서 착신가입자에게 착신요구를 함(S20)과 동시에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300)로 영상접속요구를 하는 단계(S30); 상기 영상접속요구에 의해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와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300) 간에 통화로를 구성하고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관리서버(300)가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 영상접속을 하면,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서 응답하는 단계(S40);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는 영상을 송출하며, 발신가입자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보게 되는 단계(S50); 착신가입자가 전화가 온 것을 인지하고 수화기를 들거나 통화키를 눌러서 착신응답을 하는 단계(S60); 상기 착신응답에 의한 통화가 이루어지고 이를 인지한 서비스 사업자 교환기(400)가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에 연결해제요구를 하는 단계(S70); 그리고 상기 연결해제요구에 의해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가 송출해제함으로써 송출과정이 종료되는 단계(S80)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무선 (인터넷) 화상전화, 이동전화를 이용하는 광고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및 정지영상 송출서버(100)가 영상을 송출하는 단계에서 착신가입자가 기본 동영상 설정 이용자인지 지정통화 연결 동영상 설정 이용자인지를 구분하고, 기본 동영상 설정 이용자가 아니고 지정통화연결 동영상 설정 이용자인 경우에 발신가입자에게 착신가입자의 지정 광고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 광고방법.
KR20040002277A 2004-01-13 2004-01-13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KR100560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2277A KR100560439B1 (ko) 2004-01-13 2004-01-13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2277A KR100560439B1 (ko) 2004-01-13 2004-01-13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059A KR20050074059A (ko) 2005-07-18
KR100560439B1 true KR100560439B1 (ko) 2006-03-14

Family

ID=3726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02277A KR100560439B1 (ko) 2004-01-13 2004-01-13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4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54B1 (ko) 2007-07-19 2009-01-15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영상통화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KR100943522B1 (ko) 2008-05-08 2010-02-22 (주)자이네스 영상통신 연결대기 상태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그 방법
WO2012018369A2 (en) * 2010-08-06 2012-02-09 Joseph Wagner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targeted advertisements in ip telecommunications
KR101240661B1 (ko) 2008-10-10 2013-03-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광고링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광고링 제공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81B1 (ko) * 2005-11-08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729927B1 (ko) * 2005-12-29 2007-06-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 대기 시간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시스템
KR101051458B1 (ko) * 2008-07-02 2011-07-22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통화 협상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발착신 가입자에게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
KR101138595B1 (ko) * 2010-11-17 2012-05-03 주식회사 미르도르 스마트폰의 통화 발신 대기 상태에 광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373023B1 (ko) * 2011-12-15 2014-03-11 김한석 스마트폰 발신자정보 안내 시스템
KR101434016B1 (ko) * 2012-04-11 2014-08-27 최재용 스마트폰 통화 시 팝업창을 통한 정보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29708A (ko) 2015-04-30 2016-11-09 김시환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60129680A (ko) 2015-04-30 2016-11-09 김시환 통화연결 중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60129706A (ko) 2015-04-30 2016-11-09 김시환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60129679A (ko) 2015-04-30 2016-11-09 김시환 통화연결 중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60133357A (ko) 2015-05-12 2016-11-22 김시환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60133783A (ko) 2015-05-13 2016-11-23 김시환 통화연결 중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60134467A (ko) 2015-05-13 2016-11-23 김시환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70039982A (ko) 2015-10-02 2017-04-12 김시환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70039973A (ko) 2015-10-02 2017-04-12 김시환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70039964A (ko) 2015-10-02 2017-04-12 김시환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70039954A (ko) 2015-10-02 2017-04-12 김시환 휴대 단말기에서의 광고 제공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54B1 (ko) 2007-07-19 2009-01-15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영상통화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KR100943522B1 (ko) 2008-05-08 2010-02-22 (주)자이네스 영상통신 연결대기 상태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240661B1 (ko) 2008-10-10 2013-03-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광고링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광고링 제공 서비스 방법
WO2012018369A2 (en) * 2010-08-06 2012-02-09 Joseph Wagner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targeted advertisements in ip telecommunications
WO2012018369A3 (en) * 2010-08-06 2012-04-26 Joseph Wagner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targeted advertisements in ip tele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059A (ko)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439B1 (ko)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US9892428B2 (en) Electronic short messaging and advertising method and means
EP1467581A2 (en) Authentication and non-interfering sms-messaging in gsm telephone communication
US20050073999A1 (en) Delivery of profile-based third party content associated with an incoming communication
KR20030036210A (ko) 전기 통신 광고 방법 및 장치
KR20060052916A (ko) 통신시스템, 교환장치 및 유저 스테이션에서 추가 정보전송방법
JP2003535509A (ja) 電気通信広告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455864B1 (ko) 발신자 확인을 위한 캐릭터 및 문자 전송 서비스 시스템
KR20010093612A (ko) 휴대폰의 초기화면을 통한 광고서비스 시스템
JP3838514B2 (ja) 通話中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100722564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24296A (ko) 착신번호를 이용한 타겟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0797373B1 (ko) 화상 통화에서의 영상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장치
KR20020013350A (ko)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KR20000030902A (ko) 웹폰 사용 시 발신음 및 착신음을 이용한 광고방법
KR20010035984A (ko) 인터넷 통합 메시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1047264A2 (en) Automatic connection of telephone calls with concurrent advertisement display
KR101217328B1 (ko) 유선전화 가입자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0032B1 (ko) 발/착신 트리거와 전화를 이용한 통합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97069B1 (ko)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93027B1 (ko) 단문메시지 전송방식을 이용한 통화중 타인 전화번호제공방법
KR20060034023A (ko) 통화대기시간을 이용한 광고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080407A1 (ru)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нацеленной рекламной информации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20040061674A (ko) 과금체계 변경이 가능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과금 변경 방법
KR20040079869A (ko) 발신자에 의하여 선택된 광고컨텐츠가 수신자와 통화 전에전송되는 광고서비스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