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3593A -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3593A
KR20070003593A KR1020060058139A KR20060058139A KR20070003593A KR 20070003593 A KR20070003593 A KR 20070003593A KR 1020060058139 A KR1020060058139 A KR 1020060058139A KR 20060058139 A KR20060058139 A KR 20060058139A KR 20070003593 A KR20070003593 A KR 20070003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clipping
audio signal
signal
downm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희석
오현오
김동수
임재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680029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243491B/zh
Priority to US11/994,311 priority patent/US8073702B2/en
Priority to TW95124113A priority patent/TWI319868B/zh
Priority to TW098105155A priority patent/TWI409803B/zh
Priority to TW95124112A priority patent/TWI314722B/zh
Priority to MYPI20063145A priority patent/MY157901A/en
Priority to TW95124111A priority patent/TWI376107B/zh
Priority to PCT/KR2006/002579 priority patent/WO2007004830A1/en
Priority to CA2613731A priority patent/CA2613731C/en
Priority to CN2006800293985A priority patent/CN101243488B/zh
Priority to US11/994,315 priority patent/US8494667B2/en
Priority to EP06757748A priority patent/EP1946294A2/en
Priority to AU2006266655A priority patent/AU2006266655B2/en
Priority to JP2008519180A priority patent/JP5227794B2/ja
Priority to EP06757751A priority patent/EP1913576A2/en
Priority to PCT/KR2006/002578 priority patent/WO2007004829A2/en
Priority to MYPI20063144 priority patent/MY145249A/en
Priority to EP06757752.8A priority patent/EP1913577B1/en
Priority to MYPI20063141 priority patent/MY149615A/en
Priority to PCT/KR2006/002575 priority patent/WO2007004828A2/en
Priority to JP2008519178A priority patent/JP2009500656A/ja
Priority to JP2008519179A priority patent/JP2009500657A/ja
Priority to CN2006800292910A priority patent/CN101297352B/zh
Publication of KR20070003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593A/ko
Priority to HK09101392.3A priority patent/HK1123623A1/xx
Priority to HK09103907.7A priority patent/HK1127664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67Audio streaming, i.e. formatting and decoding of an encoded audio signal representation into a data stream for transmission or storage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26Pre-filtering or post-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공간 정보에 대한 부호-복호화(encoding-decoding)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한 클리핑복원방법을 갖는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간 정보를 부호-복호화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믹스하여 생성된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고,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에 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에 포함하며, 디코딩과정에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의 클리핑된 부분을 복원함으로써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한 클리핑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코딩 과정에서 미리 결정된 다양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적용할 클리핑방지게인을 구성함으로써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한 클리핑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멀티채널, 공간 정보, 클리핑

Description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ENCODING AND DECODING METHOD OF MULTI-CHANNEL AUDIO SIGNAL}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오디오 신호에 대한 공간 정보를 인간이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클리핑 발생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믹스하는 중에 발생되는 클리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서 클리핑방지게인을 비트스트림에 삽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과정에서 클리핑된 부분을 복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적용할 클리핑방지게인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적용할 클리핑방지게인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화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적용할 클리핑방지게인을 구성하는 방법을 확장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믹스하는 중에 발생하는 클리핑을 방지하기 위한 인코딩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발생한 클리핑된 부분을 복원하기 위한 디코딩 방법에 대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원거리 음원 102.직접적인 음파
104.반사된 음파 301.멀티채널 오디오 신호
302.다운믹스부 303.클리핑빈도측정부
304.클리핑정도측정부 305.게인팩터결정부
306.게인조절부 307.코어코덱인코더
308.부가정보추출부 309.부가정보인코딩부
310.비트스트림포맷터 401.다운믹스신호
402.부가정보신호 405.헤더
501.비트스트림 502.비트스트림디코더
504.게인팩터결정부 505.부가정보디코더
506.멀티채널생성부
본 발명은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공간 정보에 대한 부호-복호화(encoding- decoding)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한 클리핑복원방법을 갖는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대한 다양한 코딩기술 및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또한 심리음향 모델(Psychoacoustic model)을 이용한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multi-channel audio signal)의 코딩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 심리음향 모델은 인간이 소리를 인식하는 방식, 예를 들면 큰 소리 다음에 오는 작은 소리는 들리지 않으며, 20Hz 내지 20000Hz의 주파수에 해당되는 소리만 들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코딩과정에서 불필요한 부분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필요한 데이터의 양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현재 MPEG-1 오디오(MEPG-1 레이어 Ⅲ), MPEG-4 AAC(Advanced Audio Coding) 및 MPEG-4 HE-AAC(High-Efficiency AAC)와 같은 오디오 표준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공간 정보를 이용하는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코딩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코딩방법은 압축된 오디오 신호(예를 들면, 모노 또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및 낮은 비트-레이트의 부가정보(low-rate side information)(예를 들면, 공간 정보) 채널을 이용하여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전송 효율을 매우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비트스트림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종래에는 멀티채널을 모노 또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로 다운믹스하면 클리핑(Clipping) 문제가 발생하였었다. 특히 부호화된 신호는 16비트 등으로 크기가 제한되어야하므로, 상기 부호화된 신호는 코어 코덱 인코딩 이후에도 클리핑이 지속된다. 상기 클리핑은 오디오 신호의 출력에도 영향을 주며, 음질 저하의 원인이 되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적용하는 클리핑방지게인에 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에 삽입함으로써,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서 일어나는 클리핑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코딩 과정에서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적용하는 클리핑방지게인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에 대한 다운믹스 신호 및 부가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클리핑 빈도와 클리핑 정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여 클리핑방지게인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다운믹스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믹스 신호를 디코딩한 후에, 상기 다운믹스 신호에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에 대한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다운믹스부;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부가 정보 신호를 추출하는 부가정보추출부; 상기 다운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클리핑 빈도 및 클리핑 정도에 따라 클리핑방지게인을 결정하고,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비트스트림에 포함하는 게인팩터결정부; 및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상기 다운믹스 신호에 적용하는 게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다운믹스 신호 및 부가 정보 신호를 분리하는 비트스트림디코더; 상기 다운믹스 신호에 적용할 클리핑방지게인을 결정하는 게인팩터결정부; 및 상기 다운믹스 신호에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는 게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서의 오디오 신호에 대한 공간 정보를 인간이 인식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한 코딩방법은 인간이 오디오 신호를 3차원적 공간으로 인지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복수의 파라미터 세트(parameter sets)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3차원적 공간 정보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용한다.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공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 파라미터"라고 불리는 상기 파라미터에는 ICLD(Inter Channel level differences), ICC(Inter Channel Coherences) 및 ICTD(Inter Channel Time Difference)등이 있다. 상기 ICLD는 두 채널간의 에너지 차이를 의미하고, 상기 ICC는 두 채널 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를 의미하며, ICTD는 두 채널간의 시간 차이를 의미한다.
인간이 오디오 신호를 어떻게 공간적으로 인식하며, 상기 공간 파라미터의 개념이 어떻게 생성되는지가 도 1에 도시된다. 원거리에 있는 음원(105)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음파(direct sound wave)(103)가 인간의 왼쪽 귀(107)에 도달하고, 또 다른 직접적인 음파(102)는 머리 주위에서 회절되어 오른쪽 귀(106)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두 음파(102 및 103)는 도달시간 및 에너지 레벨에서 차이를 보이게 되며, 이와 같은 차이가 상기 CLD, CPC 및 CTD 파라미터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만일 반사된 음파(104 및 105)가 양 귀에 도달되거나, 또는 상기 음원(105)이 분산되어 있다면, 서로 상관관계가 없는 음파가 양 귀에 도달될 것이고, 이것이 상기 ICC 파라미터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리로 생성된 공간 파라미터들은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모노 또는 스테레오 신호로 전송한 후 다시 멀티채널로 출력하는데 있어서, 강력한 비트 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공간 정보를 이용하는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있어서, 멀티채널을 다운믹스하여 코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클리핑(Clipp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도 2는 클리핑 발생과정을 도시한다. 클리핑은 주로 두 가지 원인으로 발생한다. 첫 번째는 원래 신호(original signal)의 음량(sound level)이 높은 경우에 발생한다. 두 번째는 다운믹스 과정 중에 입력 채널(input channel)의 수가 많은 경우에 발생한다. 예를 들면, 3개의 채널을 1개의 채널도 다운믹스하는 경우보다, 7개의 채널을 1개의 채널도 다운믹스하는 경우에 클리핑이 더 자주 발생한다. 도 2의 클리핑 발생과정은 5개 채널을 1개의 채널로 다운믹스하는 경우를 도시하나, 본 발명은 이 경우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의 (a)는 5개의 채널로 구성된 원래 신호의 음량을 도시한다. 각각의 채널은 제한된 크기(예를 들면, 16비트)의 거의 전 범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의 (b)는 상기 5개의 채널을 다운믹스하여 생성된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를 도시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는 많은 클리핑 지점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의 (c)는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를 코어 코덱(예를 들면, AAC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디코딩한 오디오 신호를 도시한다. 상기 코어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도 제한된 크기(예를 들면, 16비트)로 표현되므로, 클리핑이 지속될 수 있다. 상기 클리핑은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재생부에서의 출력에도 영향을 주며, 음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믹스하는 중에 발생되는 클리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시된 것처럼, 먼저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301)가 다운믹스부(302)에 입력된 후에, 다운믹스 과정을 통해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는 모노, 스테레오, 또는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부가정보추출부(308)는 상기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부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에는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한 공간 정보(spatial information)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정 보(spatial information)란 멀티채널(예를 들면, Left, Right, Center, Left surround, Right surround 등) 오디오 신호를 다운믹스하고,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전송된 다운믹스 신호를 다시 멀티채널로 업믹스 할 때 사용되는 오디오 신호 채널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클리핑빈도측정부(303)는 상기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믹스하는 중에 발생하는 클리핑 빈도를 측정하고, 클리핑정도측정부(304)는 상기 클리핑의 영향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클리핑빈도측정부(303)와 클리핑정도측정부(304)는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부분에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동일한 부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인팩터결정부(305)는 상기 클리핑빈도측정부(303) 및 클리핑정도측정부(304)에서 측정된 클리핑 빈도 및 클리핑 영향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적용할 클리핑방지게인(Clipping Prevention Gain)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전체 신호에 대하여 계산되거나,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일정 구간에 대하여 계산되거나, 또는 매 프레임별로 계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1 이하의 값이 될 수 있다. 게인제어부(306)는 상기 게인팩터결정부(305)에서 결정된 클리핑방지게인을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는 코어코덱인코더(307)에서 코어 코덱 코딩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예를 들면, 코어 코덱 비트스트림)을 형성한다. 상기 부가 정보는 부가정보인코딩부(309)에서 부가 정보 신호를 형성한다. 상기 코어 코덱은 부가 정보가 아닌 오디오 신호를 코딩하는 코덱을 지칭하며, 상기 코어 코덱에는 MP3, AC-3, DTS 또는 AAC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코덱 기능을 수행한다면 기존에 개발된 코덱뿐만 아니라 향후 개발될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인팩터결정부(305)에서 결정된 클리핑방지게인은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 및 부가 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는데, 구체적인 방법은 도 4에서 기술한다. 그 다음에, 비트스트림포맷터(Bitstream Formatter, 310)에서 상기 부호화된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 및 부가 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311)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서 클리핑방지게인을 비트스트림에 삽입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도 4의 (a)에 도시되는 것처럼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401) 및 부가 정보 신호(402)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 중 부가 정보 신호에 프레임별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도 4의 (b)에 도시되는 것처럼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프레임별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상기 부가 정보 신호 또는 다운믹스 신호에 매 프레임별로 삽입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복수의 프레임마다 한 번씩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상기 비트스트림 내에서 동일한 값을 가지거나, 또는 매 프레임별로 변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도 4의 (c)에 도시되는 것처럼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 정보 등이 포함된 상기 비트스트림의 헤더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으로는 예를 들면
Figure 112006045846052-PAT00001
,
Figure 112006045846052-PAT00002
, 2, 3, 또는 4 등의 수, 또는 이 값들의 역수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상기 헤더에 독립적인 값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각 채널별 다운믹스 게인 등의 다른 값들과 묶어서 하나의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별도의 비트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비트스트림 중 예비 영역(Reserved field)을 사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과정에서 클리핑된 부분을 복원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시된 것처럼, 먼저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 및 부가 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501)이 비트스트림디코더(502)에 입력되고, 상기 비트스트림디코더(502)는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와 상기 부가 정보 신호를 분리한다. 부가정보디코더(505)는 상기 부가 정보 신호를 디코딩하여 부가 정보, 예를 들면, 공간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게인팩터결정부(504)는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적용할 클리핑방지게인을 결정할 수 있는데,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1보다 큰 값이 될 수 있다.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상기 부가 정보 신호 또는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서 추출된 값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미리 정해진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결정하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다. 게인제어부(503)는 상기 게인팩터결정부(504)에서 결정된 클리핑방지게인을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멀티채널생성부(506)는 상기 부가정보디코더(505)에서 추출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클리핑방지게인이 적용된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를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507)로 변환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적용할 클리핑방지게인을 테이블로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도 6의 (a)에 도시되는 것처럼 게인팩터(Gain factor, 601)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게인팩터(601)"는 클리핑방지게인의 적용여부에 관한 인덱스 정보를 말한다. 또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도 6의 (b)에 도시되는 것처럼 게인팩터(602) 및 게인팩터값(Gain factor value, 6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게인팩터값"은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적용될 클리핑방지게인 값을 말한다. 상기 게인팩터값은 비트스트림 중 특정 비트(예를 들면, M비트)를 읽은 후,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적용할 클리핑방지게인을 테이블로 구성하는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다.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도 7에 도시되는 것처럼 1비트의 게인팩터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인팩터가 0이면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고(즉,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지 않고), 상기 게인팩터가 1이면 a만큼의 스케일링을 수행한다(즉,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한다). 상기 a는 예를 들면 2,
Figure 112006045846052-PAT00003
,
Figure 112006045846052-PAT00004
, 1.5, 또는 1.2 등의 미리 정해진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도 8에 도시되는 것처럼 1비트의 게인팩터와 이어지는 게인팩터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8의 (a)에 도시되는 것처럼 상기 게인팩터가 0이면 스케일링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게인팩터가 1이면 이어지는 게인팩터값을 이용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도 8의 (b)에 도시되는 것처럼 상기 게인팩터값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게인팩터값이 0이면 a만큼의 스케 일링을 수행하고, 상기 게인팩터값이 1이면 b만큼의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도 8의 (c)에 도시되는 것처럼 상기 게인팩터값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게인팩터값이 0이면 a만큼의 스케일링을 수행하고, 상기 게인팩터값이 1로 시작하는 N+1개의 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면 미리 정해진 N비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된 값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도 8의 (d)에 도시되는 것처럼 상기 게인팩터값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게인팩터값은 N비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N비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된 값으로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 및 b는 예를 들면 2, 2.5, 3, 4,
Figure 112006045846052-PAT00005
,
Figure 112006045846052-PAT00006
, 1.5, 또는 1.2 등의 미리 정해진 값을 가지며, a<b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적용할 클리핑방지게인을 테이블로 구성하는 확장된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도 9에 도시되는 것처럼 M비트의 게인팩터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인팩터가 0 내지 2M-1의 값을 가짐에 따라,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각각 a1 내지 a2M -1의 값을 갖는다. 이때, a1 내지 a2M -1의 값들은 a1<a2<…<a2M -1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이용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도 10에 도시되는 것처럼 M비트의 게인팩터와 N비트의 게인팩터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상기 게인팩터가 0 내지 2M-2의 값을 가짐에 따라,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각각 a1 내지 a2M -2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a1 내지 a2M -2의 값은 a1<a2<…<a2M -2의 관계를 만족한다. 그 다음에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이용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게인팩터가 2M-1의 값을 가지는 경우, 미리 정해진 N비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비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N개의 스케일링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믹스하는 중에 발생하는 클리핑을 방지하기 위한 인코딩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1101)를 다운믹스하여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를 생성(1102)하고, 상기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부가 정보를 추출(1103)한다. 그 다음에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중에 발생되는 클리핑 빈도 및 클리핑 영향 정도를 측정(1104)한다. 측정된 상기 클리핑 빈도 및 클리핑 영향 정도를 이용하여 클리핑방지게인을 결정(1105)하고,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적용(1107)한다.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 신호를 생성(1106)하고, 상기 부가 정보 신호내에 상기 클리핑방지게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한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 및 부가 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전송(1108)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발생한 클리핑된 부분을 복원하기 위한 디코딩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 및 부가 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수신(1201)하고,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다 운믹스 오디오 신호 및 부가 정보 신호를 추출(1202 및 1203)한다.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1204)한 후에,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한다.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상기 부가 정보 신호를 디코딩하여 추출한 값을 이용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부가 정보 신호를 이용하여 클리핑방지게인이 적용된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를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로 변환(1207)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몇몇 실시예들을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설명을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코딩하는데 있어서,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믹스하여 생성된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고,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에 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에 포함하고, 디코딩과정에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의 클리핑된 부분을 복원함으로써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한 클리핑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코딩 과정에서 미리 결정된 다양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적용할 클리핑방지게인을 구성함으로써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한 클리핑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7)

  1. 오디오 신호에 대한 다운믹스 신호 및 부가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다운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클리핑 빈도와 클리핑 정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여 클리핑방지게인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상기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방법은,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상기 부가 정보 신호에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방법은,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상기 다운믹스 신호에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프레임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 호의 인코딩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프레임별로 가변적인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방법은,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상기 부가 정보 신호에 복수의 프레임마다 한 번씩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방법은,
    상기 다운믹스 신호 및 부가 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의 헤더에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독립적인 값으로 상기 헤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상기 헤더내의 다른 값들과 묶어서 하나의 값으로 상기 헤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방법은,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상기 부가 정보 신호 중 예비영역(Reserved field)에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상기 다운믹스 신호 전체에 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상기 다운믹스 신호의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결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은 상기 다운믹스 신호의 매 프레임에 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방법.
  15. (a) 오디오 신호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다운믹스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다운믹스 신호를 디코딩한 후에, 상기 다운믹스 신호에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게인팩터(Gain Factor)로 구성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팩터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게인팩터가 0이면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지 않고, 상기 게인팩터가 1이면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팩터는 M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게인팩터가 0 내지 2M-1까지의 값을 가짐에 따라, 각각 a1 내지 a2M -1까지 값을 이용하여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a1<a2<…<a2M - 1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게인팩터 및 게인팩터값(Gain Factor Value)으로 구성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팩터값은 상기 부가 정보 신호로부터 특정 비트의 데이터를 읽은 후,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팩터는 1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게인팩터가 0이면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지 않고, 상기 게인팩터가 1이면 상기 게인팩터값을 이용하여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팩터는 M비트로 구성되고, 상기 게인팩터값은 N비트로 구성되며, 상기 게인팩터가 0 내지 2M-2의 값을 가짐에 따라, 각각 a1 내지 a2M -2의 값을 이용하여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a1<a2<…<a2M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팩터가 2M-1의 값을 가질 때에는, 상기 N비트의 게인팩터값을 이용하여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방법.
  26. 오디오 신호에 대한 다운믹스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다운믹스부;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부가 정보 신호를 추출하는 부가정보추출부;
    상기 다운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클리핑 빈도 및 클리핑 정도에 따라 클리핑방지게인을 결정하고,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비트스트림에 포함하는 게인팩터결정부; 및
    상기 클리핑방지게인을 상기 다운믹스 신호에 적용하는 게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장치.
  27. 오디오 신호의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다운믹스 신호 및 부가 정보 신호를 분리하는 비트스트림디코더;
    상기 다운믹스 신호에 적용할 클리핑방지게인을 결정하는 게인팩터결정부; 및
    상기 다운믹스 신호에 클리핑방지게인을 적용하는 게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장치.
KR1020060058139A 2005-06-30 2006-06-27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20070003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2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757748A EP1946294A2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JP2008519180A JP5227794B2 (ja) 2005-06-30 2006-06-30 オーディオ信号をエンコーディング及びデコーディングするための装置とその方法
US11/994,311 US8073702B2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EP06757751A EP1913576A2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TW95124112A TWI314722B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MYPI20063145A MY157901A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TW95124111A TWI376107B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PCT/KR2006/002579 WO2007004830A1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CA2613731A CA2613731C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CN2006800293985A CN101243488B (zh) 2005-06-30 2006-06-30 用于编码和解码音频信号的装置及其方法
US11/994,315 US8494667B2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CN200680029607.6A CN101243491B (zh) 2005-06-30 2006-06-30 用于编码和解码音频信号的装置及其方法
AU2006266655A AU2006266655B2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TW95124113A TWI319868B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TW098105155A TWI409803B (zh) 2005-06-30 2006-06-30 音頻訊號之編碼及解碼方法及其裝置
PCT/KR2006/002578 WO2007004829A2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MYPI20063144 MY145249A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EP06757752.8A EP1913577B1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MYPI20063141 MY149615A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PCT/KR2006/002575 WO2007004828A2 (en) 2005-06-30 2006-06-30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JP2008519178A JP2009500656A (ja) 2005-06-30 2006-06-30 オーディオ信号をエンコーディング及びデコーディングするための装置とその方法
JP2008519179A JP2009500657A (ja) 2005-06-30 2006-06-30 オーディオ信号をエンコーディング及びデコーディングするための装置とその方法
CN2006800292910A CN101297352B (zh) 2005-06-30 2006-06-30 用于编码和解码音频信号的装置及其方法
HK09101392.3A HK1123623A1 (en) 2005-06-30 2009-02-13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HK09103907.7A HK1127664A1 (en) 2005-06-30 2009-04-28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500705P 2005-06-30 2005-06-30
US60/695,007 2005-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593A true KR20070003593A (ko) 2007-01-05

Family

ID=378703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139A KR20070003593A (ko) 2005-06-30 2006-06-27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1020060058140A KR20070003594A (ko) 2005-06-30 2006-06-27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서 클리핑된 신호의 복원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140A KR20070003594A (ko) 2005-06-30 2006-06-27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서 클리핑된 신호의 복원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070003593A (ko)
CN (3) CN101297352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2158B2 (en) 2010-08-06 2014-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coding method and decoding apparatus therefor
US8948403B2 (en) 2010-08-06 2015-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cessing signal, encoding apparatus thereof, decoding apparatus thereof, and signal processing system
US8948406B2 (en) 2010-08-06 2015-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processing method, encoding apparatus using the signal processing method, decoding apparatus using th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9514768B2 (en) 2010-08-06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reproducing method, audio reproducing apparatus therefor,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9408B2 (en) * 2008-12-29 2012-07-10 Motorola Mobility, Inc. Audio signal decod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scaled reconstructed audio signal
EP2475116A4 (en) * 2009-09-01 2013-11-06 Panasonic Corp DIGITAL BROADCAST TRANSMITTING DEVICE,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DIGITAL BROADCAST RECEIVING SYSTEM
TWI557723B (zh) * 2010-02-18 2016-11-11 杜比實驗室特許公司 解碼方法及系統
TWI462087B (zh) * 2010-11-12 2014-11-21 Dolby Lab Licensing Corp 複數音頻信號之降混方法、編解碼方法及混合系統
EP2477188A1 (en) * 2011-01-18 2012-07-1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ncoding and decoding of slot positions of events in an audio signal frame
TWI517142B (zh) 2012-07-02 2016-01-11 Sony Corp Audio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audio 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AU2013284705B2 (en) 2012-07-02 2018-11-29 Sony Corporation Decoding device and method, encod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BR112014004127A2 (pt) 2012-07-02 2017-04-04 Sony Corp dispositivo e método de decodificação, programa, e, dispositivo e método de codificação
WO2016049106A1 (en) * 2014-09-25 2016-03-31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Insertion of sound objects into a downmixed audio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2496A (ja) * 1998-03-30 1999-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復号装置
JPH11330980A (ja) * 1998-05-13 1999-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復号装置及びその復号方法、並びにその復号の手順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536305B2 (en) * 2002-09-04 2009-05-19 Microsoft Corporation Mixed lossless audio compress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2158B2 (en) 2010-08-06 2014-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coding method and decoding apparatus therefor
US8948403B2 (en) 2010-08-06 2015-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cessing signal, encoding apparatus thereof, decoding apparatus thereof, and signal processing system
US8948406B2 (en) 2010-08-06 2015-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processing method, encoding apparatus using the signal processing method, decoding apparatus using th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9514768B2 (en) 2010-08-06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reproducing method, audio reproducing apparatus therefor,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43491B (zh) 2014-03-05
CN101297352A (zh) 2008-10-29
CN101297352B (zh) 2013-02-13
CN101243490B (zh) 2013-01-09
CN101243491A (zh) 2008-08-13
KR20070003594A (ko) 2007-01-05
CN101243490A (zh)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3593A (ko)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JP4601669B2 (ja) マルチチャネル信号またはパラメータデータセットを生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0946688B1 (ko) 멀티 채널 오디오 디코더, 멀티 채널 인코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상기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253699B1 (ko) 주파수 영역 위너 필터링을 사용한 공간 오디오 코딩을위한 시간적 엔벨로프 정형화
US8073702B2 (en)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US8082157B2 (en)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KR101506837B1 (ko) 다객체 오디오 신호의 부가정보 비트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TWI404429B (zh) 用於將多頻道音訊信號編碼/解碼之方法與裝置
TW201523585A (zh) 根據空間脈衝響應處理音源訊號之方法、訊號處理單元、音源編碼器、音源解碼器以及立體聲轉譯器
JP7035154B2 (ja) マルチチャネル信号符号化方法、マルチチャネル信号復号化方法、符号器、及び復号器
KR20070003545A (ko) 멀티채널 오디오 코딩에서 클리핑 복원방법
KR20060109299A (ko)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한 서브밴드별 공간 정보들의부호-복호화 방법
TWI483619B (zh) 一種媒體訊號的編碼/解碼方法及其裝置
KR102288111B1 (ko) 스테레오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과,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JP5113151B2 (ja) メディア信号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TWI409803B (zh) 音頻訊號之編碼及解碼方法及其裝置
KR20070075237A (ko)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20070044352A (ko)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위한 장치
KR20070031212A (ko)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20080035448A (ko) 다채널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70025904A (ko) 멀티채널 오디오 코딩에서 효과적인 lfe채널의 파라미터밴드 수 비트스트림 구성방법
KR20070076363A (ko)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20070108312A (ko)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20070037974A (ko) 멀티채널 오디오 코딩에서 효과적인 넌가이디드 코딩의파라미터 밴드 수 비트스트림 구성방법
KR20070041335A (ko)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