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375A - 거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거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375A
KR20060124375A KR1020050046270A KR20050046270A KR20060124375A KR 20060124375 A KR20060124375 A KR 20060124375A KR 1020050046270 A KR1020050046270 A KR 1020050046270A KR 20050046270 A KR20050046270 A KR 20050046270A KR 20060124375 A KR20060124375 A KR 20060124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yer
seller
terminal
authentica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진
Original Assignee
김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진 filed Critical 김현진
Priority to KR102005004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4375A/ko
Publication of KR2006012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the neutral party being a clearing 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용카드를 통한 전자상거래에 있어, 바람직하게는 상품/서비스를 구입하고자 하는 구매자와 이를 판매하는 판매자를 인증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전자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된 전자상거래 시스템 내지는 중개 시스템은 카드결제를 통하여 상품/서비스를 구입하고자 하는 구매자 및 이를 판매하는 판매자 양자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거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of Authenticating Users Using Thereof}
도 1은 종래 카드 결제를 통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에스크로(escrow) 서비스를 통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구성하는 판매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 시스템이 제휴기관 서버와 직접 연결된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소액승인 금액 방식'을 통하여 구매자 인증 및 상품/서비스 배송까지의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 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중개 시스템이 포함된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분할승인 금액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 및 상품/서비스 배송까지의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 인증 수단이 구비된 거래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서비스 배송 후 판매자 인증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 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가 상품/서비스를 구매하기 이전에 구매자가 제시한 결제수단에 대응되는 구매자 인증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 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 전자상거래 시스템 110, 310 : 구매자 단말
120, 330 : 제휴기관 서버 130, 340 : 배송회사 서버
200 : 판매자 시스템 202 : 웹 서버
210 : 관리 서버 220 : 관리 모듈
230 : 데이터베이스 240, 440 : 구매자 인증 모듈
270, 470 : 결제 모듈 280, 480 : 배송관리 모듈
320 : 판매자 단말 400 : 거래 중개 시스템
410 : 중개 관리 서버 420 : 중개 관리 모듈
430 : 중개 데이터베이스 모듈 450 : 거래정보 송신부
460 : 판매자 인증 모듈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매자 및 구매자가 보다 안전하게 전자상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거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거래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광범위한 이용에 의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상품을 구매/판매하는 전자 상거래(Electronic Commerce)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물품 또는 서비스를 구입하고자 하는 구매자는 다양한 지불 수단, 예를 들어 직접적인 현금 이체 또는 카드 등의 지불 수단을 통하여 물품 대금 에 대하여 결제를 행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또는 통신망(미도시)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매자(10)와, 물품 정보 등이 게시되어 있는 쇼핑몰과 같은 웹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판매자(20) 및 구매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카드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고 있는 카드회사(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대금 지불이 신용카드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구매자(10)는 단말(미도시)을 통하여 판매자(20)의 웹 사이트에 게시된 물품 정보로부터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고(①), 판매자(20)는 구매자(10)가 입력한 신용카드 번호, 배송지 등의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회사(30)에 구매 승인을 요청하며(②), 카드회사(30)는 판매자(20)가 요청한 구매 승인에 대하여 구매자(10)의 신용 한도 등을 조회하여 구매승인번호를 부여한다(③). 판매자(20)는 카드회사(30)로부터 구매 승인이 있은 뒤에 구매자(10)가 요청한 물품을 구매자(10)가 요청한 주소로 배송하고(④), 배송이 완료되고 구매자로부터 환불 요청이 없으면 카드회사(30)에 판매대금의 결제를 요청한다(⑤). 카드회사(20)는 판매자(20)의 결제 요청에 대하여 판매대금을 결제하고(⑥), 구매자(10)와 계약에 의하여 정해진 기일에 구매자(10)의 계좌로부터 대금을 인출한다(⑦).
그러나, 종래 카드결제를 통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구매자는 주문한 물품 또는 서비스를 직접 배송받기 전에 구매대금을 먼저 판매자에 지불하기 때문에, 주문한 물품/서비스가 이른바 '배송사고'에 의하여 전달받지 못하거나 물품에 하자가 있어 반품한다 하더라도 환불을 받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판매자 역시 구매자에게 상품/서비스를 정당하게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거래에 사용된 카드가 추후 도난카드로 판명되어 거래대금이 카드회사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환불되는 이른바 '차지백(Chargeback)'의 발생 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의 문제가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이른바 에스크로 서비스(Escrow Service)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를 수행하는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에스크로란 전자상거래에서 판매자와 구매자가 거래합의 후 거래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거래대금의 입출금을 제 3의 회사(에스크로 서비스 사업자)가 관리하여 거래안전을 도모하는 서비스로서, 도 2는 종래 카드결제를 통하여 에스크로 서비스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에스크로 서비스에 있어서, 구매자(10)는 판매자(20)의 웹 사이트에 게시된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한 상품/서비스를 선택한 뒤, 에스크로 서비스 사업자(40)로 상품/서비스 정보 및 구매자(20)의 신용카드 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하고(a), 에스크로 서비스 사업자(40)는 구매자(20)가 입력한 결제정보에 기초하여 구매자(10)가 가입한 카드회사(30)에 구매 승인을 요청한 뒤(b), 카드회사(30)로부터 구매승인번호가 부여되면 구매자(10)가 요청한 구매대금을 일시적으 로 맡아둔다(c). 에스크로 서비스 사업자(40)는 카드회사(30)로부터 구매승인번호가 부여되면, 판매자(20)에 상품/서비스를 배송하도록 의뢰한다(d). 판매자(20)가 구매자(10)가 요청한 주소로 상품/서비스를 배송하여(e),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에스크로 서비스 사업자(40)에 알려주면(f), 에스크로 서비스 사업자(40)는 임시 보관하고 있던 상품/서비스의 구입대금을 판매자에게 송금(g)한다. 이어서, 에스크로 서비스 사업자(40)가 카드회사(30)에 해당 거래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하고(h), 카드회사(30)는 구매자(10)의 계좌를 통하여 대금을 결제한다(i).
이와 같은 에스크로 서비스를 이용하면 구매자로서는 판매자로부터 상품/서비스가 배송되지 않거나, 배송된 상품/서비스가 거래 내용과 다른 경우에는 거래를 취소하여 에스크로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대금을 환급받을 수 있어 거래의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다.
하지만 에스크로 서비스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구매자가 판매자 사이에 실질적인 거래가 이루어지기 전에 에스크로 서비스를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 어떤 에스크로 서비스를 사용할 것인지의 합의, 특히 누가 에스크로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을 부담할 것인지의 합의, 공동부담이라면 어떤 비율로 부담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는 이와 같은 합의 과정에서 초래되는 적지 않은 불편과 에스크로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별도의 추가 비용이 요구된다. 특히, 판매자와 에스크로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거래의 안전을 보장받 는 구매자와 달리 지불수단으로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여전히 차지백의 발생 가능성이 남아 있다.
이처럼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상거래 시스템 뿐 아니라, 에스크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도 지불수단으로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판매자는 구매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거래의 안전을 보장받을 수 없다. 따라서 판매자에게 거래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즉 도난카드나 도용된 신용카드 정보를 사용한 주문으로부터 발생하는 차지백을 극소화시키기 위해서 상품/서비스를 구매 요청한 구매자가 정당한 소지자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현재, 구매자가 카드의 정당한 소지자인지를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구매자의 주문 내역에서 청구지 주소(Billing Address)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신용카드에 의한 상품 주문시 배달 주소(Shipping Address) 만을 요구하는 국내의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달리 대다수 해외 사이트의 경우에는 신용카드를 통한 전자상거래 주문에 있어 주문 내역에 청구지 주소와 배달 주소를 엄격히 구분하여 기재토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이용하여, 인터넷 판매자들은 이른바 AVS(Address Verification Service)를 통하여 구매자가 정당한 카드 소지자인지의 여부를 실시간에 확인한다.
그러나, AVS는 북미와 일부 유럽 국가에서 발급된 카드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어 글로벌한 인증 방식으로 사용할 수 없다. 종종, AVS가 작동하지 않는 국가에서 발급된 카드를 받아야 하는 일부 판매자들은 구매자에게 카드 뒷면에 기재된 카 드 발급사의 연락처 정보를 요구하거나 혹은 BIN(Bank Identification Number, 카드 번호 중에서 카드의 발급사를 나타내는 첫 6 자리수) 정보를 통해, 구매자의 주문 내역 중 청구지 주소의 사실 여부를 카드 발급사에 유선으로 직접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부 국가의 경우 카드 발급사는 구매자에 대한 어떤 정보도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없도록 법률로 규정하고 있어 AVS를 글로벌한 인증 방식으로 일괄 적용하기에는 여전히 곤란한 문제가 있다. 더욱이 AVS의 경우 우편번호와 카드 청구지 주소의 숫자 부분을 체크하게 되는데, 도용된 카드번호와 소지자의 이름을 정확히 알 경우 인터넷을 통하여 소지자의 전화번호, 청구지 주소, 우편번호를 알아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운로드 방식으로 디지털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나 카드 청구지 주소와 배달 주소가 다른 주문을 받는 경우에 AVS는 인증 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전혀 수행하지 못한다.
다른 인증 방식으로서, 특히 고가의 상품/서비스를 해외로 판매하는 판매자들이나 에스크로 서비스 사업자들이 구매자가 카드의 정당한 소지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카드 승인 이후 판매자가 미리 준비한 양식에 카드의 앞뒷면 및 청구지 주소가 기재된 신분증의 포토카피를 요구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강력한 차지백 정책을 사용하고 있는 Worldpay.com은 자체의 사기 경보 시스템을 통하여 사기 주문의 가능성이 포착된 경우, 가령 구매자의 카드가 발급된 국가와 주문한 상품이 배달될 국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판매자로 하여금 구매자에게 문서상의 결제승인(Written Authorization)을 요청하도록 한다. 이 때 문서상의 결제승인에는 구매자의 서명, 카드 앞뒷면의 포토카피 그리고 여권 등의 신분증 포토카피가 포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포토카피 인증 방식은 정당한 카드 소지자에게는 적지 않은 수고가 될 뿐만 아니라, 도난카드나 위조카드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 근본적인 인증 방식이라고 할 수 없다.
사실, 전자상거래가 발달한 대다수의 국가들에서는 자국 내에서 통용되는 자체 인증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상술한 AVS방식이, 한국에서는 주민등록번호와 카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 혹은 인터넷안전결제(ISP) 방식 등이 구매자의 인증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들은 주로 해당 국가 내에서만 유효한 방식으로서, 국제적으로 통일되게 적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현재로서 구매자와 판매자의 국적이 서로 다른 거래 상황은 카드를 지불 수단으로 사용하는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여전히 가장 위험한 사각지대의 하나로 평가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특히 신용카드의 결제를 통하여 상품/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에 있어, 보다 경제적인 비용으로 안전하게 거래 인증이 가능한 거래 시스템 또는 판매자 시스템 및 이와 같은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 방법 내지는 전자상거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거래 중개 시스템 내지는 판매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처리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전자상거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매자가 가지고 있는 카드의 종류, 구매자와 판매자의 국적 등에 무관하게 통일되게 적용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전자상거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목적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첨부하는 도면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매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구매자가 제시한 결제수단을 인증할 수 있는 중개 시스템 또는 판매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 단말과, 상기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요청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승인하는 제휴기관 서버와 각각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판매자 시스템으로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웹 서버와;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와 구매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의 승인을 요청하고 이를 저장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과 상기 저장된 안전 금액을 비교, 검증하여 이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저장된 구매자 인증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구매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판매자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 및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구매를 승인하는 제휴기관 서버와 각각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거래 중개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와 구매자 인증을 위한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웹 서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상품 또는 서비스와, 상기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중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구매자가 제시한 결제수단을 통하여 구매자를 인증하거나 및/또는 판매자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 수단을 구비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거래 중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래 중개 시스템은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제시한 결제수단에 대하여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의 승인을 요청하고 이를 저장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과 상기 저장된 안전 금액을 비교, 검증하여 이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저장된 구매자 인증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구매자 인증 수단 또는 상기 구매자 단말로 거래 정보 및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자료와 상기 저장된 판매자 인증 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판매자 인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는 상술한 판매자 시스템 및 거래 중개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거래 시스템이 제공된다. 특히, 하나 이상의 판매자 시스템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구매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인증 시스템이 본 발명의 거래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래 시스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과, 구매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결제수단을 관리하는 제휴기관 서버와 배송회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구매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게시하고 있는 판매자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a) 상기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상기 판매자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구매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d) 상기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요청한 결제수단을 관리하는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이 승인되는 단계; (e)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구매자의 어드레스로 승인된 안전 금액이 통지되는 단계; (f)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금액이 입력되는 단계; (g) 상기 승인된 안전 금액과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이 비교, 검증되는 단계; (h) 상기 (g) 단계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게시하고 있 는 거래 중개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a)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을 통하여 판매자가 상기 거래 중개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와; (b) 상기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구매자가 상기 거래 중개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와; (c)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구매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d) 상기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요청한 결제수단을 관리하는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이 승인되는 단계; (e)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구매자의 어드레스로 승인된 안전 금액이 통지되는 단계; (f)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금액이 입력되는 단계; (g) 상기 승인된 안전 금액과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이 비교, 검증되는 단계; (h) 상기 (g) 단계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 안전 금액의 통지는 SMS 또는 구매자의 e-메일로의 통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승인되는 안전 금액은 구매자가 요청한 구매가격을 임의로 분할한 금액이거나 또는 구매자가 요청한 구매가격보다 적은 액수의 금액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게시하고 있는 거래 중개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a) 상기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상기 거래 중개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와; (b)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결제수단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와; (c) 상기 거래 중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결제수단으로 관리하는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이 승인되는 단계; (d)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구매자의 어드레스로 승인된 안전 금액이 통지되는 단계; (e)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금액이 입력되는 단계; (f) 상기 승인된 안전 금액과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이 비교, 검증되는 단계; (g) 상기 (g) 단계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술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거래 정보"라는 용어는 구매자가 판매자 시스템 또는 중개 시스템으로부터 선택한 상품/서비스의 종류, 수량, 단가 및 총 구매대금과 같은 구매 정보와 판매자 정보(판매자 e-메일 등)를 포함하며, 일례로 구매자 인증 완료 후 구매자 및/또는 판매자에게 전송되는 정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안전 금액" 또는 "안전승인 금액"이라는 용어는 구매자가 신용카드를 통하여 거래를 요청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 또는 중개 시스템에 의하여 임의의 범위 내에서 생성되어 제휴기관(예컨대 카드회사)으로 승인 요청되는 소액 금액 또는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에 대하여 본 발명의 판매자 시스템 또는 중개 시스템이 이를 임의로 n 분할하여 분할된 거래에 대한 각각의 분할 거래 금액 또는 분할 거래 금액 모두를 의미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소액금액" 또는 "소액승인 금액"이라는 용어는 구매자가 신용카드를 통하여 요청한 거래가 있으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여 임의의 범위 내에서 제휴기관으로 승인이 요청되는 적은 액수의 금액으로서, 본 발명의 중개 시스템에 의하여 제휴기관으로 청구되지 않는 금액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분할금액" 또는 "분할승인 금액"이라는 용어는 구매자가 신용카드를 통하여 요청한 거래에 대하여 본 발명의 중개 시스템이 이를 임의로 n 분할(예컨대 2 분할) 한 경우, 각각의 분할된 거래에 대하여 제휴기관으로 승인이 요청되는 금액을 의미한다. '분할 (승인) 금액'의 합계는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 금액과 일치하며, 상술한 '소액 (승인) 금액'과 달리 '분할 (승인) 금액'은 각각 분할된 거래로서 제휴기관으로 청구된다.
본 명세서에서 "가변적 구매자 인증 코드"라는 용어는 구매자가 요청한 결제수단인 신용카드 번호에 대응하여 다수의 번호마다 각각 다른 구매자 인증 코드가 부여되고, 구매자가 인증된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상품/서비스의 거래를 요청할 때마다 상기 다수의 번호 중 임의로 선택된 번호의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판매자 시스템"또는 "판매자 서버"라는 용어는 구매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품 또는 서비스를 게시하고 있는 온라인상의 서버로서 예를 들어 인터넷 쇼핑몰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중개 시스템" 또는 "거래 중개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를 발급, 관리하는 제휴기관 서버와 판매자 서버 또는 판매자 단말을 연결하여 전자상거래를 수행하는 업체 내지는 기관으로서, 예컨대 에스크로 서비스 사업자 또는 온라인상의 경매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휴기관 서버"라는 용어는 구매자가 구매대금 결제를 위하여 제시한 결제수단을 발급, 관리하고 있는 금융기관(예컨대 카드발급회사)은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 중개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과 가맹점 계약을 체결하거나 가맹점을 허락한 금융기관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하,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판매자 시스템이 직접 제휴기관 서버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100)은 구매자 단말(110)과, 상기 구매자 단말(110)과 인터넷(102)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매자 단말(110)을 통하여 구매할 수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게시하고 있는 판매자 시스템(200)과, 상기 판매자 시스템(2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제휴기관 서버(120) 및 배송회사 서버(130)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구매자 단말(110)은 판매자 시스템(200)의 웹 사이트 등에 게시된 상품/서비스를 구입하고자 하는 구매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단말로서, 구매자가 결제수단으로 채택한 신용카드 정보 등의 구매 정보와 또는 후술하는 안전 금액 및 구매자 인증 코드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미도시)과, 판매자 시스템(200)에 게시된 상품/서비스의 정보 및 인증 페이지와 같은 웹 페이지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하여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메모리 수단, 제어 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 PDA 단말 또는 휴대전화 단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휴기관 서버(120)는 구매자가 상기 판매자 시스템(200)의 웹사이트를 통하여 게시되어 있는 상품/서비스를 구매 요청 후 구매대금의 결제 처리 등을 관리하기 위하여,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110)을 통하여 지불수단으로 제시한 신용카드를 발급, 관리하는 카드회사 서버와 같은 금융기관 서버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휴기관 서버(120)에는 구매자에게 발급한 카드 번호와 카드를 발급받은 카드 소지자의 인적사항과 같은 구매자의 개인 정보, 예를 들어 카드 청구 주소, 경우에 따라서는 발급자의 배송주소, 및 결제일 등과 같은 카드 발급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있는 결제정보 데이터베이스(122)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거래 시스템(100)에는 구매자가 상기 판매자 시스템(200)에 게시된 상품/서비스를 선택하고, 판매자 시스템(200)에서의 구매자 인증 결과, 구매자가 상기 제휴기관 서버(120)에서 발급한 신용카드의 정당한 소지자인 것으로 판명되면, 구매자가 주문한 상품/서비스를 구매자가 요청한 주소로 배송할 수 있도록 배송회사 서버(13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판매자 시스템(20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송회사 서버(130)는 또한 실질적으로 상품/서비스 등을 배송하는 각 배송자의 단말(132)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판매자 시스템(200)은 상품/서비스와 같은 물품 정보가 게시된 페이지 및 구매자가 제시한 결제수단을 인증하기 위한 구매자 인증 페이지와 같은 웹 사이트를 구매자 단말(110)로 전송하는 웹 서버(202)와, 상품/서비스 정보,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서비스 정보, 구매자 정보 및 구매자 인증 등을 관리, 수행하기 위한 관리 서버(210)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웹 서버(202)는 통상의 쇼핑몰 사이트와 같은 상품/서비스 정보를 게시하고 있는 웹 페이지는 물론, 구매자가 판매자 시스템(200)에 게시된 상품/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서비스를 선택하면, 구매자가 요청한 주문을 처리하기 전에 구매자가 진정한 신용카드 소지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110)을 통하여 신용카드 번호와 배송 주소 등을 입력하거나 후술하는 소액 금액 암호 및 구매자 인증 코드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특정 페이지(인증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하여 보여준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200)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110)을 통하여 구매자 식별번호(ID, 패스워드 등)를 등록/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구매자가 판매자 시스템(200)의 웹 사이트를 통하여 상품/서비스를 선택하면, 상기 웹 서버(202)는 구매자가 제시한 결제수단을 인증할 수 있는 구매자 인증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즉, 상기 웹 서버(202)는 HTTP 등의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에 의하여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구매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부로 상품/서비스 정보 페이지, 구매자 인증을 위한 자료 또는 구매자 인증 코드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를 개설한다. 따라서 구매자가 결제수단으로서 신용카드를 선택하였을 경우, 구매자는 상기 웹 서버(202)에 의하여 구매자 단말(110)로 전송된 인증 페이지에서 신용카드 정보와 배송 주소 및/또는 청구지 주소를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신용카드에 대응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판매자 시스템(200)에는 구매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다양한 상품/서비스 정보와, 구매자 정보와,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 정보와, 결제 정보와, 구매자 인증 정보 등을 관리,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관리 서버(210)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10)에는 상품/서비스 정보, 구매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230)와, 구매자 인증 수단으로서의 구매자 인증 모듈(240)과, 구매대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모듈(270)과,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 배송을 관리하는 배송관리 모듈(280)과, 상술한 다양한 기능의 모듈 내지는 수단을 제어,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있는 관리 모듈(220)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 서버(2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21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우선 상기 데이터베이스(2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 (200)에 게시된 상품/서비스 정보, 구매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30)는 판매자 시스템(200)을 통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서비스 정보(상품/서비스의 종류, 수량, 재고량, 단가 등)를 저장, 관리하는 상품/서비스 관리 데이터베이스(232)와, 구매자가 구매 요청한 상품/서비스와 관련된 구매 정보(구매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종류, 수량, 총 구매대금 등)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234)와, 판매자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상품/서비스를 선택한 구매자 정보(구매자의 인적사항, 구매자가 요청한 배송 주소, 및 구매자가 결제를 위하여 제시한 신용카드 정보, 회원제인 경우 각 구매자의 식별번호 등)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236)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110)을 통하여 판매자 시스템(200)에 접속하고, 판매자 시스템(200)의 웹 서버(202)를 통하여 상기 상품/서비스 관리 데이터베이스(232)에 의하여 관리되어 웹 사이트 등에 게시된 상품/서비스 중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서비스를 선택을 완료하면(예컨대 선택 완료 버튼 클릭),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서비스는 상품/서비스 배송을 위하여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234)에 저장된다. 이어서 상기 웹 서버(202)는 구매자가 결제수단으로 제시한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결제 인증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매자 단말(110)로 결제 인증 페이지가 전송되면, 구매자는 신용카드 번호와 상품/서비스의 배송 주소와 같은 구매자 정보를 입력하는 데, 이와 같은 구매자 정보는 후술하는 구매자 인증을 위하여 구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236)에 저장, 관리 된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210)를 구성하는 구매자 인증 수단의 일예로 도시된 구매자 인증 모듈(240)은 판매자 시스템(200)에 게시된 상품/서비스의 구매를 요청한 구매자가 제시한 결제수단인 신용카드를 인증하기 위한 것이다. 즉, 구매자가 상품/서비스를 선택하면 선택한 상품/서비스에 대한 구매 정보가 저장됨과 동시에, 웹 서버(202)에 의하여 구매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웹 페이지가 구매자 단말(110)로 전송되는데, 이 때 구매자가 결제수단으로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그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230)와 연계되어 있는 구매자 인증 모듈(240)에서는 구매자가 제휴기관(120)에서 발급한 정당한 소지자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240)에는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가 본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200)에 의하여 인증된 바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구매자 인증 확인부(241)와,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에 대응되어 구매자에게 발급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242)와,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에 구매자가 진정한 신용카드 소지자인지의 여부를 비교, 검증하기 위한 구매자 검증부(243), 구매자에게 발급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구매자 인증부(24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매자 인증 확인부(241)는 구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242)와 연결되어 있으며, 구매자가 인증 페이지에서 입력한 신용카드 번호에 기초하여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가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10)에 의하여 사전에 인증을 받았는지, 또는 인증을 받은 바 있더라도 유효기간이 경과되었는지, 이로 인하여 구매자로부터 갱신 요청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즉, 구매자가 결제수단으로 제시한 신용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상기 구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242)에서 검색되어, 상기 신용카드가 유효한 인증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면, 별도의 구매자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 구매자 인증 코드 입력 페이지가 웹 서버(202)에 의하여 구매자 단말(110)로 전송되어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110)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구매자 인증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가 신용카드에 대응되어 통지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여, 저장된 구매자 인증 코드와 일치하면, 구매자의 신용카드 번호를 토대로 제휴기관 서버(120)로 거래 승인이 요청된다.
따라서 구매자 단말(110)을 통하여 상품/서비스 거래를 요청한 구매자가 입력한 신용카드 번호를 토대로 그 신용카드가 본 거래 이전에 이미 상기 관리 서버(210))에 의하여 인증되어,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된 경우라면, 상기 구매자 인증 확인부(241)는 이를 확인하고, 웹 서버(202)를 통하여 인증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웹 페이지로 이동시키고, 구매자는 인증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여 거래 절차를 속행할 수 있다. 구매자 인증코드 입력 페이지를 별 도로 구성하지 않고,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는 페이지와 함께 구매자 인증코드를 입력하는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받은 적이 없는 경우에는 신용카드 정보 입력 페이지에 포함된 구매자 인증 코드 등록 버튼 등을 클릭하고 후술하는 구매자 인증 코드 발급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만약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가 상기 구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242)에서 검색되지 않거나(즉,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받은 적이 없는 신용카드이거나) 또는 구매자 인증 코드의 유효기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바로 거래 승인이 진행되지 않고, 별도의 구매자 인증 코드 발급/갱신 절차가 수행된다. 특히,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구매자 인증 확인부(241)는 이를 확인하여, 웹 서버(202)에 의하여 구매자의 단말(110)로 구매자 인증 코드의 갱신 여부를 묻는 웹 페이지(갱신여부 페이지)를 보여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110)을 통하여 구매자 인증 코드 갱신 여부에 대하여 답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에 매칭되는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검색되지 않으면, 구매자 검증부(243)에 의하여 상품/서비스의 주문을 요청한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의 정당한 소지자인지의 여부가 검증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매자 검증부(243)에는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존재하지 않거나 구매자 인증 코드의 유효기간이 경과하는 등의 이유로 구매자로부터 구매자 인증 코드 갱신 요청이 있으면, 임의 범위의 안전 금액을 생성하여 판매자 시스템(2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제휴기관 서버(120)로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 정보에 대하여 임의로 생성된 안전 금액의 승인을 받기 위한 안전 금액 승인부(244)와, 상기 승인된 안전 금액을 임시로 저장, 관리하는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246)와, 상기 승인된 안전 금액을 제휴기관 서버(120)로부터 통지받은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110)로 입력한 금액과 상기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246)에 저장된 안전 금액을 비교, 검증하는 안전 금액 검증부(245)가 포함되어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안전 금액 승인부(244)에는 매 거래마다 임의의 안전 금액을 생성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라 안전금액 승인부(244)에서 임의로 생성되는 금액은 "소액승인 금액" 또는 "분할승인 금액"이 될 수 있는데, 일례로 소액승인 금액을 설명한다.
상기 안전금액 승인부(244)에 의하여 임의로 생성되어 승인이 요청되는 안전 금액은 임의 범위 내의 소액 금액으로서, 예를 들어 0.00~50.00의 범위에 속하는 임의의 금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구매자가 요청한 총 구매대금보다 훨씬 적은 소액의 금액으로서, 이와 같은 소액 승인 금액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안전 금액의 일예로서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정보와 함께 소액 금액에 대하여 제휴기관 서버(120)로 승인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제휴기관 서버(120)는 요청된 안전 금액에 대한 승인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승인 요청된 안전 금액은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246)에 저장되며, 웹 서버(202)는 승인 요청된 안전 금액을 입력하는 페이지(안전금액 입력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110)로 전송함으로써, 구매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안전금액 입력페이지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휴기관 서버(120)는 통지받은 신용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정보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 관리되는 신용카드 발급자(이는 원칙적으로 구매자이나, 도난, 분실 또는 해킹 등에 의하여 악의적으로 상품/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 구매자는 정당한 신용카드 발급자가 아니다. 따라서 이 경우 구매자와 진정한 신용카드 발급자는 일치하지 않는다.)의 어드레스로 소액 승인 금액을 통지한다.
이때, 상기 제휴기관 서버(120)로부터 구매자의 어드레스로 소액 승인 금액을 통지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신용카드에 의한 거래 승인이 발생할 경우, 신용카드회사는 거래대금에 해당되는 금액을 카드 발급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이른바 SMS(단문 서비스,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제휴기관 서버(120)로 통지된 안전 금액으로의 소액 승인 금액은 제휴기관 서버(120)로부터 제휴기관 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발급자의 휴대용 단말(휴대전화 단말, PDA 단말 등)로 SMS를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제휴기관 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발급자의 e-mail로 소액 금액을 통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곤란한 경우라면, 신용카드 정보와 청구지 주소 및/또는 배송 주소를 입력한 구매자는 발급된 카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제휴기관 서버(120)에 접속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거나 또는 제휴기관(신용카드 회사)에 전화로 연락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친 뒤, 제휴기관 서버(120)로 승인 요청된 소액 승인 금액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어서, 구매자는 통지받은 소액 승인 금액에 기초하여 구매자 단말(11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안전 금액 입력 페이지에서 통지받은 금액을 입력한다. 입력된 금액을 수신하는 안전 금액 수신부(미도시)가 상기 구매자 검증부(243) 내에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매자로부터 금액이 입력되면, 구매자 검증부(243)의 안전 금액 검증부(245)는 상기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246)에 저장된 안전 금액으로서의 소액승인 금액과 구매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금액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안전 금액 검증부(245)에서 검증에 따라 저장된 소액승인 금액과 구매자가 입력한 금액이 일치하면, 일시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은 삭제될 수 있다. 즉, 소액 승인 금액은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거래가 현재 진정한 카드 발급자에 의하여 요청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관리 서버(210)에 의하여 청구되지 않는다.
상기 구매자 검증부(243),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전 금액 검증부(245)에서의 검증 결과, 상품/서비스의 구입을 요청한 구매자가 진정한 신용카드 소지자인 것으로 판명되면, 구매자 인증부(247)는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110)로 해당 신용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만약 기 발급된 구매자 인증 코드의 유효기간이 경과하여 구매자가 갱신을 요청한 경우라면 새로운 구매자 인증 코드 또는 갱신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매자 인증부(247)는 요청된 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를 생성(또는 갱신)하여, 구매자 단말(110)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구매자 인증 코드 전송부(24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매자 인증 코드 전송부(248)로부터 구매자 단말(110)로 전송된 구매자 인증 코드는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 번호와 연동 또는 매칭되어 구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 관리된다. 또한, 상기 구매자 인증부(247)에는 구매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코드를 수신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구매자 인증 코드 검증부(249)를 포함한다. 상기 구매자 인증 코드 검증부(249)는 구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242)에 저장, 관리되고 있는 구매자 인증코드와 구매자가 입력한 코드를 비교,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구매자 단말(110)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전송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200)의 웹 서버(202)는 구매자가 발급받은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구매자 인증코드 입력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현시되도록 하고,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110)을 통하여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면, 상기 구매자 인증 코드 검증부(249)에서의 비교, 검증에 의하여 구매자 사전 인증절차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구매자 인증 코드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정당한 신용카드 소지자인 것으로 판명되어 신용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정확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입력되면, 구매자 단말(110)로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 정보(주문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종류, 단가, 총 구매대금 등)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 관리 서버(210) 내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거래 정보 전송 수단(미도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230)의 구매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234)와 연계되어 구매자 인증 모듈(240) 내, 또는 구매자 인증 모듈(240)과 독립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관리 모듈(220)내에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전송하는 방법으로는 구매자 단말(110)로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에 1:1로 대응되는 단일의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하는 방법과, 상기 신용카드에 1:N으로 대응되는 다수의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하는 방법("가변적 구매자 인증 코드")이 있다. 예를 들어, 텔레뱅킹이나 인터넷 뱅킹과 같 은 금융거래에 있어서, 대략 1~50 번까지 각각의 번호에 따라 서로 다른 코드가 입력된 코드표를 부여한 뒤, 각각의 거래가 있을 때마다 1~50번 중 임의로 선택된 번호의 코드를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이 다수의 번호(예를 들어 1~50)에 각각 다른 구매자 인증 코드를 표시한 코드표를 이미지 파일이나 텍스트 파일의 형태로 전송하고, 각각의 거래에 따라 임의로 선택된 번호의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용카드를 통한 상품/서비스의 구매를 요청한 구매자가 신용카드의 정당한 소지자인 경우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이나 e-메일 등으로 통지된 소액 승인 금액(안전 금액)을 정확히 입력할 수 있으나, 분실되거나 도난당하거나 해킹된 신용카드를 통하여 거래를 주문하는 구매자는 통지된 소액 승인 금액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소액 승인 금액을 입력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승인,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과 구매자 단말(110)로부터 입력한 금액이 일정 횟수, 예를 들어 3회 이내에 일치하지 않으면 해당 거래를 취소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구매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구매자의 구매 요청에 대하여 임의 범위의 소액 금액을 안전 금액으로 승인처리하고, 구매자로부터 입력된 금액과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을 비교, 검증하여, 구매자가 지급수단으로 제시한 신용카드를 통한 거래 승인에 앞서 구매자가 진정한 신용카드 소지자인지의 여부를 사전에 검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모듈(270)은 상술한 것과 같이 구매자 인증모듈(240)에서의 구매자 인증/검증에 의하여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에 대응되는 올바른 구매자 인증코드가 입력되면,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 금액에 대하여 제휴기관 서버(120)로 해당 거래의 승인을 요청하고, 거래가 종료된 후에 대금 정산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제모듈(270)에는 구매자 인증모듈(240)에서의 인증 결과 구매자가 정당한 카드 소지자인 것으로 판명되면, 구매자가 제시한 카드회사 등의 제휴기관 서버(120)로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의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제휴기관 서버(120)로부터 해당 거래에 대한 승인을 받는 거래 승인부(272)와,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이 완료된 뒤에 제휴기관 서버(120)와의 거래대금 처리를 위한 결제 정산부(274)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제휴기관 서버(120)로부터의 거래대금 등을 관리하는 결제 관리부(27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술된 '소액 승인 금액'에 따른 안전 금액을 승인받는 경우, 소액 승인 금액은 실질적인 거래대금이 아니라 구매자 인증을 위한 것이므로, 소액 승인 금액에 대해서 상기 결제 모듈(270)을 통한 청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246)에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과 구매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금액이 일치하면,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은 바로 삭제되도록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210)에는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240)의 검증 및 제휴기관 서버(120)로부터 거래 승인이 있으면, 상술한 데이터베이스(230)의 구매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234) 및 구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236)에 각각 저장, 관리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회사 서버(130)로 구매자가 제시한 배송주로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를 배송할 것을 지시하고 배송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배송관리모듈(28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송관리모듈(280)에는 배송회사 서버(130)로 상품/서비스의 배송을 지시하기 위한 배송 지시부(272)와, 상기 배송회사 서버(130)로부터 배달 증명서(Proof of Delivery), 화물 추적 번호 등의 배송정보를 입력받는 배송정보 수신부(284) 및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배송정보 추적부(28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210)에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230), 구매자 인증 모듈(240), 결제 모듈(270), 및 배송관리 모듈(280)과 각각 연계되어 각 모듈에 저장, 관리되는 각종 데이터의 저장 및 추출 여부를 포함하는 판매자 시스템(200)의 각종 관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관리 모듈(220)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모듈(220)은 일례로 각각의 모듈과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22), 인증 관리부(224), 결제 관리부(226), 및 배송 관리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모듈(220)은 관리 서버(210)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작동시킴으로써 기능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240)의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정확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면, 구매자 단말(110)로 구매자가 요청한 구매 정보(상품/서비스의 종류, 수량, 단가 및 총 구매대금)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인증 관리부(224)에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인증 관리부(224)는 구매자의 e-mail로 구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별도의 메일 서버와 연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200)을 회원제로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자는 판매자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구매자 정보 및 구매자 식별번호(ID) 및 패스워드를 등록한다. 이어서 구매자는 판매자 시스템(200)에 의하여 각각의 구매자별로 부여된 식별번호(ID)와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여 로그인을 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200)에 게시되어 있는 상품/서비스를 선택한 후에 상술한 구매자 인증 절차를 통하여 부여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고, 구매자 인증 코드의 검증 이후에 상품/서비스를 구매자가 요청한 주소로 배송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상술한 판매자 시스템(200)에서는 구매자가 판매자의 웹 사이트를 통하여 상품/서비스를 선택한 후에 구매자가 지불수단으로 선택한 신용카드의 인증 여부 절차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구매자가 구매 시점 이전에 장래의 구매를 위하여 사전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200)에 접속하고, 상품/서비스를 선택하지 않은 채 바로 구매자 인증 코드 페이지로 이동하여 구매자 단말(110)을 통하여 신용카드 번호 등의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한다. 구매자가 신용카드 정보와 배송 주소 및/또는 청구지 주소를 입력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200)은 상술한 소액 금액 승인 절차와 유사한 절차를 따라 실질적인 상품/서비스의 구매 이전에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번호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구매자 인증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질적인 거래가 있는 경우는 아니지만, 본 발명의 판매자 시스템(200)은 예컨대 50.00 이하의 임의의 금액을 소액 승인 금액으로 생성하고, 위에서 설명한 절차를 따라 구매자가 통지된 것과 동일한 금액을 입력하면 해당 신용카드에 대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구매자 인증 코드가 구매 이전에 발급될 수 있다. 소액 승인 금액은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되는 즉시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되도록 구성하여 별도로 청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라 해당 신용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된 이후에, 구매자는 판매자 시스템(200)에 게시된 상품/서비스를 선택하고, 바로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된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별도의 소액 승인 절차 없이 바로 통지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구매자 인증 절차를 간단하게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휴기관 서버(120)와 직접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체의 구매자 인증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판매자 시스템(200)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판매자 단말과 구매자 단말 사이에 구성되어 판매자, 구매자, 제휴기관 서버를 연계할 수 있는 중개 시스템을 통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 구매자 사이를 연계하는 중개 시스템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300)은 상품/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구매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구매자 단말(310)과, 상품/서비스를 판매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판매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판매자 단말(320)과, 상기 구매자 단말(310)을 통하여 거래대금을 결제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결제 요청에 대하여 해당 거래의 승인을 수행하는 제휴기관 서버(330)와, 상기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를 배송하기 위하여 판매자 단말(32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배송회사 서버(340)와, 구매자 단말(310), 판매자 단말(320) 및 제휴기관 서버(330) 등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중개 시스템(400)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판매자 단말(320)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서비스를 중개 시스템(400)에 등록하는 판매자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는 단말로서 중개 시스템(400)에 상품/서비스 정보 및/또는 중개 시스템(400)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에 각각의 판매자 식별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미도시)과, 중개 시스템 (400)에 등록된 상품/서비스 정보를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미도시), 메모리 수단 및 제어 수단을 갖추고 있는 임의의 단말기로서, 일례로 컴퓨터 단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구매자 단말(3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중개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서비스를 구입하는 구매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단말로서, 중개 시스템(400)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 각각의 구매자별로 부여된 구매자 식별번호(ID, 패스워드 등), 결제수단으로 채택한 신용카드 정보 등의 구매 정보, 안전 금액 및 구매자 인증 코드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미도시)과, 중개 시스템(200)에 게시된 상품/서비스의 정보 및 인증 페이지 등의 웹 페이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메모리 수단, 제어 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 PDA 단말 또는 휴대전화 단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휴기관 서버(330)는 도 3에서 제시된 것과 유사하게 구매자가 지불수단으로 제시한 신용카드를 발급, 관리하는 카드회사 서버와 같은 금융기관 서버로서, 이를 위하여 카드 발급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결제정보 데이터베이스(33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구매자가 중개 시스템(400)에 게시된 상품/서비스를 선택하고 중개 시스템(400)의 구매자 인증 결과 정당한 신용카드 발급자인 것으로 판명되면 구매자 가 요청한 상품/서비스를 배송할 수 있도록 배송회사 서버(34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판매자 단말(320) 및 중개 시스템(40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송회사 서버(340)는 또한 실질적으로 상품/서비스 등을 배송하는 각 배송자의 단말(342)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400)은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서비스 정보가 게시된 페이지 및 구매자 인증 페이지와 같은 웹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310), 판매자 단말(320) 등에 전송하는 웹 서버(402)와, 상품/서비스 관리, 구매자 또는 판매자와 같은 사용자 관리, 구매자 인증, 구매대금 결제 처리 등을 수행하기 위한 중개 서버(410)가 포함된다.
도 3을 통하여 기술된 판매자 시스템(200)에서 설명한 웹 서버(202)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웹 서버(402)는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320)을 통하여 중개 시스템(400)에 등록(업로드)한 상품/서비스 정보를 게시하고 있는 웹 페이지, 판매자 식별번호 등을 등록/입력하는 페이지, 구매자 식별번호 등을 등록/입력하는 페이지, 구매자 또는 판매자 인증을 위한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310) 및/또는 판매자 단말(32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웹 서버(402)는 HTTP 등의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에 의하여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페이지를 개설하는데, 구매자 단말(310) 또는 판매자 단말(320)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웹 서버(402)에 의하여 개설된 각각의 페이지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구매자 단말(310) 또는 판매자 단말(320)은 각 페이지에서 사용자(구매자/판매자) 식별번호 또는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400)에는 상기 웹 서버(402)에 의하여 구축된 웹 페이지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각종 기능, 예를 들어 상품/서비스 정보, 사용자 정보, 구매 정보, 결제 정보 또는 사용자 인증 정보 등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하는 관리 서버(410)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 서버(410)는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서비스 정보 및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서비스에 대한 구매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430)와, 사용자 인증 수단으로서, 일례로 구매자를 인증하기 위한 구매자 인증 모듈(440)과, 구매대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모듈(470)과,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 배송을 관리하는 배송관리 모듈(480)과, 상술한 다양한 기능의 모듈 내지는 수단을 제어,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있는 관리 모듈(420)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 서버(4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400)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410)의 개략적인 구성으로서, 사용자 인증 수단으로서 구매자 인증 모듈(440)을 구비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30)는 중개 시스템(400)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판매자가 중개 시스템(400)에 등록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서비스 정보(상품/서비스의 종류, 수량, 재고량, 단가 등)를 저장, 관리하는 상품/서비스 관리 데 이터베이스(432)와, 각각의 판매자에 대한 정보(판매자 식별번호, 판매자 계좌 등)를 저장, 관리하는 판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434)와, 중개 시스템(400)에 등록된 상품/서비스 중에서 구매자가 선택하여 구매 요청한 상품 서비스와 관련된 구매 정보(구매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종류, 수량, 총 구매대금 등)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436)와, 중개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상품/서비스를 선택한 구매자 정보(구매자 인적사항, 구매자가 요청한 배송 주소, 구매자가 제시한 결제수단, 예컨대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438)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구매자와 판매자 등의 사용자와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서비스 또는 판매자가 구매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400)이 회원제로 운영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판매자 또는 사용자는 독립적인 식별번호 정보(ID, 패스워드)를 등록하거나 입력하는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400)에서 운영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320)을 통하여 중개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중개 시스템(400)으로 상품/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서 판매자는 자신의 고유한 판매자 식별번호 정보를 등록 또는 입력하도록 하고,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310)을 통하여 중개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등록된 상품/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서 판매자 역시 자신의 고유한 구매자 식별번호 정보를 등록 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서비스 관련 정보와 판매자 정보는 각각 상품/서비스 관리 데이터베이스(432)와 판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434)에 저장될 수 있으나, 그 둘 사이의 정보는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가 주문 요청한 구매 정보와 구매자 정보는 각각 구매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436)와 구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438)에 저장될 수 있으나 그 둘 사이의 정보는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310)을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400)에 게시되어 있는 상품/서비스 중에서 특정 상품/서비스를 선택하면 구매자가 선택한 구매 정보가 상술한 구매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436)에 저장됨과 동시에 관리 서버(41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연산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구매자가 상품/서비스의 선택을 완료하면 웹 서버(402)는 구매자가 결제수단으로 제시한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결제정보 입력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구매자 단말(110)로 결제 인증 페이지가 전송되면, 구매자는 신용카드 번호와 상품/서비스의 배송 주소와 같은 구매자 정보를 입력하는 데, 이와 같은 구매자 정보는 후술하는 구매자 승인 및 상품/서비스 배송을 위하여 구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438)에 저장, 관리된다.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결제정보 입력 페이지에서 신용카드 정보와 함께 구매자 인증코드를 함께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구매자 인증코드가 발급된 경우라면 구매자는 해당 신용카드 정보와 함께 구매자 인증코드를 함께 입력할 수 있고, 구매자 인증코드를 발급받지 못한 경우에는 해당 결제정보 입력페이지에 포함된 구매자 인증코드 등록/발급 버튼을 클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 중에서 구매자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의 일예로서 구매자 인증 모듈(440)을 도시하고 있는데, 그 구성과 기능은 도 4에를 통하여 기술된 구매자 인증 모듈(24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인증 모듈(440) 역시 구매자가 결제수단으로 제시한 신용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자가 제휴기관 서버(330)에서 관리하고 있는 진정한 신용카드 발급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매자가 상품/서비스 선택을 완료하면, 상기 웹 서버(402)에 의하여 구매자 단말(110)로 전송되는 구매자 인증 페이지로 입력한 신용카드 정보 및/또는 구매자 인증 코드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인증 모듈(440)에는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신용카드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400)에 의하여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발급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구매자 인증 확인부(441)와, 신용카드에 매칭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구매자 인증코드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자 인증코드 데이터베이스(442)와, 구매자가 진정한 신용카드 발급자인지의 여부를 검증하는 구매자 검증부(443) 및 구매자 인증 코드 자체를 비교, 검증하는 구매 자 인증부(447)를 포함한다.
상기 구매자 인증 확인부(441)에서의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는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만을 입력하는 것으로 구매자 인증을 종료하거나 또는 이른바 '안전금액'의 검증을 거쳐 부여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를 발급받지 못한 구매자가 진정한 신용카드 발급자인지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구매자 검증부(443)에는 구매자의 구매 요청에 대하여 임의 범위의 안전 금액을 생성하여 제휴기관 서버(330)로 생성된 안전 금액(및 신용카드 정보)에 대하여 승인을 받기 위한 안전 금액 승인부(444)와, 상기 승인된 안전 금액을 임시로 저장, 관리하는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446)와, 상기 승인된 안전 금액을 제휴기관 서버(330)로부터 통지받은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310)을 통하여 입력한 금액과 상기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446)에 저장된 안전 금액을 비교, 검증하는 안전 금액 검증부(445)가 포함되어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안전 금액 승인부(444)에는 매 거래마다 임의의 안전 금액을 생성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금액의 승인 및 구매자 어드레스로의 통지 및 구매자로부터 입력된 안전 금액의 검증을 위한 구성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구매자 인증모듈(440)의 구매자 인증부(447)에는 안전금액의 검증 결과에 따라서 카드번호에 매칭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구매자 인증코드를 생성 하여 구매자 단말(310)로 전송하는 구매자 인증 코드 전송부(448)와, 구매자 단말(310)로부터 입력된 코드를 수신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구매자 인증 코드 검증부(449)가 포함된다.
한편, 도면으로 정확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구매자 인증 코드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정당한 신용카드 소지자인 것으로 판명되어 신용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정확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입력되면, 구매자 단말(310)로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 정보(주문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종류, 단가, 총 구매대금 등)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 관리 서버(410) 내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거래 정보 전송 수단(미도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구매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구매자 인증 모듈(440) 내, 또는 구매자 인증 모듈과 독립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관리 모듈(420)내에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모듈(470)은 구매자 인증 모듈(440)에서의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선택한 거래 대금의 결제 관리를 위한 것으로, 구매자가 검증 완료 후 제휴기관 서버(330)로 거래 승인을 요청하고 해당 거래에 대한 승인을 받은 거래 승인부(472)와,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이 완료된 뒤에 판매자와 거래대금을 정산하기 위한 제 1 결제 정산부(474)와, 거래 완료 후 제휴기관 서버(330)와의 거래대금을 정산하기 위한 제 2 결제 정산부(476)를 포함하고, 특히 거래 승인부(472), 제 1 결제 정산부(474) 및 제 2 결제 정산부(476)를 관리하기 위한 결제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410)에는 구매자 인증 모듈(440)의 검증 및 제휴기관 서버(330)로부터 거래 승인 후에,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판매자 단말(320)로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을 지시, 관리하는 배송관리 모듈(480)을 포함한다. 상기 배송관리모듈(480)에는 판매자 단말(320)로 상품/서비스의 배송을 지시하기 위한 배송 지시부(482)와, 배송회사 서버(340)로부터 판매자 단말(320)을 통하여 배달 증명서, 화물 추적 번호 등의 배송정보를 입력받는 배송정보 수신부(484) 및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배송정보 추적부(48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410)에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430), 구매자 인증 모듈(440), 결제 모듈(470), 및 배송관리 모듈(480)과 각각 연계되어 각 모듈에 저장, 관리되는 각종 데이터의 저장 및 추출 여부를 포함하는 중개 시스템(400)의 각종 관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관리 모듈(42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 모듈(420)은 각각의 모듈과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22), 인증 관리부(424), 결제 관리부(426), 및 배송 관리부(4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상기 인증 관리부(424)의 내부에는 구매자 인증 모듈(440)에서의 검증에 따라 구매자 단말(310)로 구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구매자의 e-메일로 구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메일 서버와 연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400)의 경우에도 구매자는 중개 시스템(400)에 개시된 상품/서비스를 구매하기 전에 별도로 지불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신 용카드에 대한 인증 절차만을 속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6에서는 판매자와 구매자로 구성되는 사용자 중에서 상품/서비스를 구입하고자 하는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인증을 통하여 구매자를 인증할 수 있는 구매자 인증 수단이 포함된 관리 서버를 기술하였다. 그러나, 구매자 인증 수단 대신에 판매자 인증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중개 시스템이 또한 가능한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 인증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중개 시스템(7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700)은 도 5에 도시된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같이 구매자 단말, 판매자 단말, 제휴기관 서버 및 배송회사 서버 등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개 시스템(700)은 판매자 단말을 통하여 등록된 상품/서비스 정보를 게시하고 있는 웹 페이지와, 사용자 정보를 등록 또는 입력하는 페이지, 판매자 인증을 위한 페이지 등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웹 서버(702)와, 상기 웹 서버(702)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중개 시스템(70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 서버(710)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서버(710)는 바람직하게는 판매자가 중개 시스템(700)에 접속하여 등록한 상품/서비스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상품/서비스 관리 데이터베이스(732)와, 판매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판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734)와, 구매자가 주 문 요청한 상품 서비스와 관련된 구매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736)와 구매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738)를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730)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700) 역시 회원제로 운영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 구매자 및 판매자는 식별번호를 통하여 구분되어 각각 판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734) 및 구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738)에 각각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한편, 구매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700)에 접속하여 상품/서비스를 선택하면, 구매 정보가 구매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736)에 저장되고, 상기 웹 서버(702)에 의하여 구매자 단말로 전송되는 결제정보 입력페이지에서 구매자가 결제수단으로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거래에 대하여 제휴기관 서버를 통하여 승인을 받고, 저장된 구매자 정보와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중개 시스템(700)은 판매자 단말로 상품, 서비스의 배송을 지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710)에는 구매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을 통한 결제 처리를 위하여 제휴기관 서버와 연결된 결제 모듈(770)과 상품, 서비스의 배송을 관리할 수 있도록 판매자 단말 및/또는 배송회사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배송관리 모듈(780)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결제 모듈(770)은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등의 결제수단에 대하여 제휴기관 서버로 해당 거래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고, 거래 승인을 받는 거래 승인부(772)와, 상품/배송 완료 후에 판매자 와의 거래대금을 정산하기 위한 제 1 결제 정산부(774)와, 거래 완료 후 제휴기관 서버와의 거래대금을 정산하기 위한 제 2 결제 정산부(77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배송관리 모듈(780)은 거래 승인 후, 데이터베이스(73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판매자 단말로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을 지시하기 위한 배송 지시부(782)와, 배송회사 서버 또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배달 증명서, 화물 추적 번호 등의 배송정보를 입력받는 배송정보 수신부(784) 및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배송정보 추적부(786)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710)에는 해당 거래에 대하여 판매자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판매자 인증 모듈(760)이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판매자 인증 모듈(76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700)으로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서비스를 선택한 구매자가 결제수단으로 제시한 신용카드에 대하여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거래 승인이 있으면, 구매자 단말로 구매 정보(구매 요청한 상품/서비스 수량, 단가, 총 구매가격)와 판매자 정보(e-메일 주소, 연락처 등)가 기록된 송장과 함께 해당 거래에 따라 임의로 부가된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 저장, 검증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판매자 인증 모듈(760)에는 구매자 단말로 구매 정보 및 판매자 정보가 기록된 송장과 함께 해당 거래에 대한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고, 판매자로부터 입력된 자료와 전송된 인증 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판매자 인증부(761)와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저장, 관리하는 판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76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판매자 인증부(761)는 거래 승인 후, 구매자 단말로 구매 정보 및 판매자 정보와 같은 거래 정보가 기재된 송장과 함께 판매자 정보 및 해당 거래에 대하여 임의로 생성된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거래정보 송신부(764)와, 상품/서비스의 배송 완료 후에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판매자 인증코드를 판매자 단말로 통지하면,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자료와 상기 판매자 인증코드 데이터베이스(762)에 저장된 판매자 인증 코드의 일치 여부를 비교, 검증하는 판매자 인증코드 검증부(766)를 포함하고 있다. 판매자 인증 코드 검증부(76)에서 검증결과에 따라 상술한 결제 모듈(770)의 제 1 결제 정산부(774)를 통하여 판매자의 계좌로 해당 거래에 대한 거래 대금이 정산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거래정보 송신부(764)는 독립된 메일 서버와 연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매자 인증부(761)에는 상술한 배송관리모듈(780)을 통하여 배송 완료가 통지된 후,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 인증 코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 단말로 판매자 인증 코드가 통지/송신되지 않은 경우에 판매자 단말로 이런 사실을 통지하기 위한 판매자 인증 코드 확인부(768)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710)에는 각 모듈과 연계되어 각 모듈에 저장, 관리되는 각종 데이터의 저장 및 추출 여부를 포함하는 중개 시스템(700)의 각종 관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관리 모듈(72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 모듈(720)은 각각의 모듈과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722), 인증 관리부(724), 결제 관리부(726), 및 배송 관리부(7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구매자 단말, 판매자 단말, 제휴기관 서버 및 배송회사 서버와 각각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는 중개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가 구매자 인증 수단 및 판매자 인증 수단 중 하나만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에 구매자 인증 수단 및 판매자 인증 수단을 모두 구비하고 있는 중개 시스템이 가능하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 인증 수단 및 판매자 인증 수단을 모두 구비하고 있는 중개 시스템(8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중개 시스템(800)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중개 시스템(800)이 각각 구매자 단말, 판매자 단말, 제휴기관 서버 및 배송회사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은 상기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800)에는 사용자 단말로 상품/서비스 정보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다수의 웹 페이지를 개설, 전송하는 웹 서버(802)와, 상기 웹 서버(802)에 의하여 구축된 웹 페이지에서 서비스를 관리하 기 위한 관리 서버(810)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810)에는 중개 시스템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서비스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83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830)는 중개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로서 바람직하게는 판매자 정보와 연동되어 있는 상품/서비스 관리 데이터베이스(832)와, 상품/서비스를 등록한 판매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판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834)와, 중개 시스템에 등록된 상품/서비스 중에서 구매자가 주문 요청한 상품/서비스에 대한 구매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836)와, 구매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838)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 구매자 정보 및 판매자 정보는 회원 등록 절차를 통하여 사용자 식별번호에 매칭되어 각각 판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734) 또는 구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738)에 저장,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개 서버(810)에는 상품/서비스의 구매를 요청한 구매자가 결제수단으로 신용카드를 선택하였을 경우, 구매자가 진정한 카드 발급자인지의 여부를 검증,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휴기관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구매자 확인/인증 수단으로서의 구매자 인증 모듈(840)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810)에서는 구매자 인증 모듈(840)의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 단말로 해당 거래 에 대한 송장 및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거래 정보 송신 모듈(850)이 구매자 인증 모듈(840)과 판매자 인증 모듈(860)과 독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개 서버(810)에는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판매자 인증 코드를 통지받은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자료와 저장된 판매자 인증 코드를 검증, 확인하는 판매자 확인 수단으로서의 판매자 인증 모듈(86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거래중개 서버(810)에는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840)의 검증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진정한 카드 발급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카드를 발급한 제휴기관 서버로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의 승인을 요청하기 위한 결제모듈(870)과,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을 지시, 관리하기 위한 배송관리모듈(88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제모듈(870)은 제휴기관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배송관리모듈(880)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판매자 단말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을 통하여 중개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품/서비스를 등록한 뒤,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중개 시스템에 등록된 상품/서비스를 선택하면, 구매 정보 및 판매자 정보가 데이터베이스(830)에 저장됨과 동시에 웹 서버(802)에 의하여 구축된 인증 페이지가 구매자 단말로 전송된다. 이어서 구매자는 인증 페이지에서 결제수단으로 선택한 신용카드 정보 (신용카드 번호 또는 상품/서비스의 배송 주소 등) 등을 입력한다. 만약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800)이 비회원제인 경우라면 구매자가 입력한 신용카드 정보 및 구매자 정보는 이 과정에서 상기 판매자 관리 데이터베이스(738)에 저장, 관리되어 후술하는 구매자 승인 및 상품/서비스 배송 관리에 이용된다.
이와 같이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830)와 연동되어 있는 구매자 인증 모듈(840)을 통하여 상품/서비스의 구매를 요청한 구매자가 제휴기관에서 발급한 카드의 정당한 소지자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840)에는 상품/서비스 주문 요청을 한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의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구매자 인증 확인부(841)와,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에 대응되어 구매자에게 발급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842)와, 상기 구매자가 진정한 신용카드 소지자인지의 여부를 비교, 검증하기 위한 구매자 검증부(843), 구매자에게 발급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구매자 인증부(84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매자 인증 확인부(841)는 구매자 인증코드 데이터베이스(842)와 연동되어 인증 페이지에서 구매자가 입력한 신용카드 번호에 기초하여 그 신용카드가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810)에 의하여 사전에 인증을 받았는지, 또는 인증을 받은 바 있더라도 유효기간이 경과되었는지, 이로 인하여 구매자로부터 갱신 요청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번호에 대응되는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구매자 인증 절차 없이,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해당 거래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해당 신용카드에 대응되는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없는 경우에는 구매자는 상술한 것과 같은 '안전금액 승인' 절차를 거쳐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받아야 한다. 이와 같이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검색되지 않으면, 구매자 검증부(843)에 의하여 구매자가 정당한 신용카드 소지자인지의 여부가 검증된다.
상기 구매자 검증부(843)에는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없는 경우에 임의 범위의 안전금액(소액 승인 금액)을 생성하여 제휴기관 서버로 생성된 안전금액(및 신용카드 번호)에 대한 승인을 받는 안전금액 승인부(844)와, 상기 생성된 안전금액을 저장, 관리하는 안전금액 데이터베이스(846)와, 저장된 안전금액과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을 비교, 검증하는 안전금액 검증부(845)가 포함된다. 상기 안전금액 승인부(844)에는 매 거래마다 임의의 안전금액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미도시)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금액 승인부(844)에 의하여 생성된 안전금액(예컨대 소액금액)에 대하여 제휴기관 서버로 승인 요청이 있으면 제휴기관 서버는 안전금액에 대한 승인을 처리한다. 한편, 생성된 안전금액은 안전금액 데이터베이스(846)에 저장되고, 웹 서버(미도시)는 승인 요청된 안전금액을 입력하는 페이지(안전금액 입력페이지)를 구매자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제휴기관 서버는 통지받은 신용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되는 신용카드 발급자(이는 원칙적으로 구매자이나, 도난, 분실 또는 해킹 등에 의하여 악의적으로 상품/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 구매자는 정당한 신용카드 발급자가 아니므로 구매자가 아닐 수 있다.)의 어드레스로 소액 승인 금액을 통지한다. 이와 같은 통지 방법으로 "SMS"서비스 또는 구매자의 E-메일로 전송 또는 구매자가 제휴기관으로 유선 접촉을 통한 방법이 있다.
구매자는 제휴기관으로부터 통지받은 승인 금액에 기초하여 구매자 단말에 현시된 안전금액 입력페이지에서 통지받은 금액을 입력한다. 구매자 검증부(843)에서는 입력된 금액을 수신하고(이를 위하여 안전금액 수신부가 구매자 검증부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안전금액 검증부(845)는 저장된 안전금액과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안전 금액 검증부(845)에서 검증에 따라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과 구매자가 입력한 금액이 일치하면, 일시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은 삭제될 수 있다. 즉, 소액 승인 금액은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거래가 현재 진정한 카드 발급자에 의하여 요청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거래 중개 서버(810)에 의하여 청구되지 않는다.
안전금액 검증부(845)에서 검증결과가 일치하면 구매자 인증부(847)는 해당 신용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코드(기 발급된 구매자 인증 코드의 유효기간이 경과하여 구매자가 갱신을 요청 한 경우라면 새로운 구매자 인증 코드 또는 갱신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매자 인증부(847)는 요청된 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를 생성(또는 갱신)하여,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구매자 인증 코드 전송부(84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구매자 인증 코드 전송부(848)로부터 전송된 구매자 인증 코드는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 번호와 매칭될 수 있도록 구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842)에 저장, 관리된다. 또한, 상기 구매자 인증부(847)에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코드를 수신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구매자 인증 코드 검증부(849)를 포함한다. 상기 구매자 인증 코드 검증부(849)는 구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842)에 저장, 관리되고 있는 구매자 인증코드와 구매자가 입력한 코드를 비교,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코드가 발급되면, 웹 서버는 구매자가 발급받은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구매자 인증코드 입력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현시되도록 하고,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면, 상기 구매자 인증 코드 검증부(849)에서의 비교, 검증에 의하여 구매자 사전 인증절차가 종료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결제정보 입력페이지 중에 신용카드 정보와 함께 구매자 인증코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구매자 단말(110)로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에 1:1로 대응되는 단일의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하는 방법과, 상기 신용카드에 1:N으로 대응되는 다수의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하는 방법("가변적 구매자 인증 코드")이 있을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용카드를 통한 상품/서비스의 구입을 요청한 구매자가 신용카드의 정당한 소지자인 경우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이나 e-메일 등으로 통지된 소액 승인 금액(안전 금액)을 정확히 입력할 수 있으나, 분실되거나 도난당하거나 해킹된 신용카드를 통하여 거래를 주문하는 구매자는 통지된 소액 승인 금액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소액 승인 금액을 입력할 수 없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구매자의 구매 요청에 대하여 임의 범위의 소액 금액을 안전 금액으로 승인처리하고, 구매자로부터 입력된 금액과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을 비교, 검증하여, 구매자가 지급수단으로 제시한 신용카드를 통한 거래 승인에 앞서 구매자가 진정한 신용카드 소지자인지의 여부를 사전에 검증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810)는 상기 구매자 인증모듈(840)에서의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진정한 신용카드 소지자인 것으로 판명된 후에 구매자 단말로 상기 데이터베이스(830)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 정보, 즉 구매자가 거래를 요청한 상품/서비스 수량, 가격, 총 구매가격 및 판매자의 e-mail 주소, 기타 연락 번호와 같은 판매자 정보 등의 거래 정보가 기록된 송장과 함께 각각의 거래에 따라 임의적으로 부가되는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거래정보 송신부(850)가 구매자 인증 모듈(840) 및 후술하는 판매자 인증 모듈(860)과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810)는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840)과 대응하여 판매자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독립적인 판매자 인증 모듈(86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판매자 인증 모듈(860)은 상기 거래정보 송신부(850)로부터 구매자 단말로 전송된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저장, 관리하고 있는 판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862)와, 저장된 판매자 인증 코드와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자료를 비교, 검증하여 판매자를 확인하는 판매자 인증부(861)를 포함한다.
즉, 구매자 검증 모듈(840)에서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배송관리모듈(880)에 의하여 상품/서비스가 구매자가 요청한 주소로 배송되면,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로 전송된 구매 정보가 포함된 송장을 토대로 배송된 상품/서비스가 자신이 주문한 상품/서비스와 일치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이상이 없으면 구매자는 거래정보 전송부(850)로부터 전송된 바 있는 판매자 인증 코드를 판매자의 e-메일 또는 다른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판매자에게 송신/통지한다.
이때,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이 완료된 후에 판매자는 구매자 정보 등에 기초하여 구매자 주소(e-메일이나 전화 번호)로 직접 구매자에게 전송된 해당거래에 대한 판매자 인증코드를 문의, 확인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판매자 단말은 구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 인증 코드를 수신한 뒤, 본 발명에 따른 중개 시스템에 접속하여 웹 서버에 의하여 구축되는 판매자 인증 코드 입력 페이지를 통하여 수신된 판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판매자 인증 모듈에는 별도의 판매자 인증 코드 수신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 인증 코드로 인식되는 암호가 입력되면 상기 판매자 인증부(861)의 판매자 인증코드 검증부(866)에서는 판매자 인증코드 데이터베이스(862)에 저장되어 있는 판매자 인증 코드와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저장된 판매자 인증 코드와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제모듈(870)을 통하여 판매자 단말을 운영하고 있는 판매자의 계좌로 해당거래에 대한 정산이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매자 인증부(861)는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배송관리모듈(880)로 배송이 완료되었다는 통지가 접수된 후, 해당 거래에 대한 판매자 인증 코드가 판매자 단말로 통지되었는지의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한 판매자 인증코드 확인부(868)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요청한 주소로 상품/서비스가 배송이 완료되었음에도 구매자가 고의적으로 또는 불가피한 사정에 의하여 판매자 또는 판매자 단말로 판매자 인증 코드를 통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매자 단말은 소정의 기일 안에도 구매자로부터 판매자 인증 코드가 전송되지 않았음을 상기 판매자 인증 코드 확인부(868)로 통지한다. 또는 상기 판매자 인증코드 확인부(868)는 배송 완료 통지 후 소정의 기일이 경과되었음에도 판매자 인증 코드가 입력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판매자 단말로 판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매자 인증 코드 확인부(868)를 통하여 소정의 기일 안에 판매자 인증 코드가 판매자 단말로 전송되지 않았음이 확인되면, 상기 배송관리모듈(880)의 배송정보 추적부(876)는 배송정보 수신부(874)로 접수된 배달증명서 등의 배송정보와 구매자와의 직접 접촉을 통하여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이 구매자의 주소지로 정확히 배달된 것으로 판명되면 해당 거래에 대한 판매자가 인증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모듈(870)은 상술한 것과 같이 구매자 인증모듈(840)에서의 구매자 인증/검증에 의하여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에 대응되는 올바른 구매자 인증코드가 입력되면,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 금액에 대하여 제휴기관 서버로 해당 거래의 승인을 요청하고, 거래가 종료된 후에 대금 정산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제모듈(870)에는 구매자 인증모듈(840)에서의 인증 결과 구매자가 정당한 카드 소지자인 것으로 판명되면, 구매자가 제시한 카드회사 등의 제휴기관 서버로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의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해당 거래에 대한 승인을 받는 거래 승인부(872)와,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이 완료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 단말로 판매자 인증 코드가 통지된 뒤, 판매자 단말로부터 기 저장되어 있던 판매자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코드가 입력되면 판매자 단말에 대하여 거래대금을 정산하기 위한 제 1 결제 정산부(874)와, 거래 완료 후 제휴기관 서버와의 거래대금을 정산하기 위한 제 2 결제 정산부(87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술된 '소액 승인 금액'에 따른 안전 금액을 승인받는 경우, 소액 승인 금액은 실질적인 거래대금이 아니라 구매자 인증을 위한 것이므로, 소액 승인 금액에 대해서 상기 결제 모듈(870)을 통한 청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846)에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과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이 일치하면,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은 바로 삭제되도록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810)에는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840)의 검증 및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거래 승인이 있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830)에 저장된 구매자 정보(배송 주소) 및 구매 정보(상품/서비스 정보)를 토대로 판매자 단말로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를 구매자가 요청한 주소로 배송할 것을 지시하고 배송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배송관리모듈(88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송관리모듈(880)에는 판매자 단말로 상품/서비스의 배송을 지시하기 위한 배송 지시부(872)와, 상기 판매자 단말 또는 배송회사 서버로부터 배달 증명서(Proof of Delivery), 화물 추적 번호 등의 배송정보를 입력받는 배송정보 수신부(884) 및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배송정보 추적부(88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810)에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830), 사용자 인증수단인 구매자 인증 모듈(440)/거래정보 송신부(850)/판매자 인증 모듈(860), 결제 모듈(870), 및 배송관리 모듈(880)과 각각 연계되어 각 모듈에 저장, 관리되는 각종 데이터의 저장 및 추출 여부를 포함하는 중개 시스템(800)의 각종 관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관리 모듈(82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 모듈(820)은 각각의 모듈과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822), 인증 관리부(824), 결제 관리부(826), 및 배송 관리부(8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증 관리부(824)에는 각각 구매자 인증 관리 수단(미도시), 판매자 인증 관리 수단(미도시), 거래정보 송신 관리 수단(미도시)을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810)에서는 구매자가 중개 시스템에 등록된 상품/서비스를 선택한 후에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를 인증하는 방법을 기술하였으나, 구매자는 상품/서비스 선택과 무관하게 결제수단인 신용카드에 대하여 사전에 인증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구매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800)에 접속하여 웹 서버(802)에 의하여 구매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는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는 "구매자 인증코드 발급/재발급 페이지"를 통하여 소액 승인 절차와 유사한 절차를 따라 신용카드에 매칭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가변적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이때, 실질적인 거래가 있는 경우는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800)은 예컨대 50.00 이하의 임의의 금액을 소액 승인 금액으로 생성하고, 위에서 설명한 절차를 따라 구매자가 통지된 것과 동일한 금액을 입력하면 해당 신용카드에 대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구매자 인증 코드가 구매 이전에 발급될 수 있다. 소액 승인 금액은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되는 즉시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되도록 구성하여 별도로 청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라 해당 신용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적법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된 이후에, 구매자는 중개 시스템(800)에 게시된 상품/서비스를 선택한 하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된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별도의 소액 승인 절차 없이 바로 통지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구매자 인증 절차를 간단하게 종료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인증 절차 완료 후에 구매자 단말로 구매 정보가 기록된 송장과 함께 해당 거래에 대한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수단이 구매자 인증 모듈 또는 판매자 인증 모듈 내에 구성될 수 있는데, 도 8b는 판매자 인증 코드를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 판매자 인증 모듈 내에 구성되어 있는 중개 시스템(800)의 개략적인 구성이다. 도 8b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구매자 인증을 위한 안전금액 승인이 '분할승인 금액'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고, 도 8a에 기술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800)에는 사용자 단말로 상품/서비스 정보 및 인증 페이지를 전송하기 위한 웹 서버(802)와, 판매자 단말을 통한 상품/서비스 등록, 구매자 단말을 통한 상품/서비스 선택 및 결제 처리 및 사용자 인증 등을 수행하는 관리 서버(810)가 포함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810)는 상품/서비스 정보, 구매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각각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830)와, 구매자 인증 수단인 구매자 인증 모듈(840), 판매자 인증 수단인 판매자 인증 모듈(840), 결제 모듈(870) 및 배송관리모듈(880)을 포함하고 있다.
구매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800)에 접속하여 각각의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서비스를 선택하고,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구매자 인증 모듈(840)에서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가자 진정한 신용카드 소지자인지의 여부가 검증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840)에는 신용카드에 매칭되는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 발급 여부를 비교, 검증하는 구매자 인증확인부(841)와, 구매자 인증코드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자 인증코드 데이터베이스(842)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840)은 상기 구매자 인증 확인부(841)의 검증 결과,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가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받지 못한 경우에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를 임의로 n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 거래에 대한 분할 금액을 안전 금액으로 하여 이를 제휴기관 서버로 승인을 수행하는 구매자 검증부(843)와, 상기 구매자 검증부(843)의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코드를 발급, 전송, 관리하는 구매자 인증부(847)를 포함한다.
상기 구매자 검증부(843)는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서비스의 거래에 대하여 임의로 이를 n 분할(예를 들어 2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거래에 대응되는 분할 금액을 안전 금액으로 한 뒤, 그 각각의 분할 금액(안전 금액)에 대하여 제휴기관 서버로 승인을 요청하는 안전 금액 승인부(844)와, 승인 요청된 각각의 분할 금액을 저장, 관리하는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846)와,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금액과 상기 저장된 각각의 분할 승인 금액의 일치 여부를 비교, 검증하는 안전 금액 검증부(845)를 포함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구매자 검증부(843)에는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를 임의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 금액을 안전 금액으로 생성시키기 위한 수단과,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을 수신하기 위한 안전 금액 수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자 인증부(847)는 상기 구매자 검증부(843)의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구매자 단말로 발급하는 구매자 인증 코드 전송부(848)와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코드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된 인증 코드와 비교, 검토하는 구매자 인증 코드 검증부(84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가 신용카드를 통하여 거래대금을 결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구매자 인증 확인부(841)는 구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842)에 저장된 자료를 토대로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에 대응되는 유효한 구매자 인 증코드가 발급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발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를 임의로 n 분할(바람직하게는 2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거래로 분할 금액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요청한 구매대금이 총 100불이고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없는 경우, 구매자 인증 모듈(440)내의 분할 금액 생성 수단에서는 이를 임의로 2분할하여 각각 37.85와 62.15로 분할된 금액을 생성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생성된 분할 금액의 합계는 구매자가 요청한 구매금액과 일치한다.) 생성된 각각의 분할 금액은 안전 금액으로 처리되어 제휴기관 서버에서 분할 금액에 대하여 n번의 승인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에 대하여 분할된 거래 각각에 할당된 분할 금액(요청한 신용카드 정보와 함께)에 대하여 제휴기관 서버로 승인 요청이 수행된다. 제휴기관 서버는 요청된 분할 금액에 대한 승인이 있으면, 이를 후술하는 결제 모듈(870)의 거래 승인부(872)로 통지한다. 한편, 구매자 인증 모듈(840)에서 임의로 생성되어 승인 요청된 분할 금액은 안전 금액으로서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846)에 저장되고, 웹 서버(802)는 승인 요청된 안전 금액을 입력하는 페이지(안전 금액 입력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로 전송한다.
제휴기관 서버는 분할 거래에 대하여 할당된 분할 금액을 승인하고, 통지받은 신용카드 번호에 기초하여 결제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되는 신용카드 발급자(이는 원칙적으로 구매자이나, 도난, 분실 또는 해킹 등에 의하여 악의적으로 상품/서비스를 주문하는 경우 위 구매자는 정당한 신용카드 발급자가 아닐 수 있다.)의 어드레스로 승인된 분할 금액을 통지한다. 이와 같은 분할 금액 통지 방법은 상술한 바 있는 소액 금액 통지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구매자는 통지받은 분할 승인 금액에 기초하여 구매자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웹 서버(802)에 의하여 현시된 안전 금액 입력 페이지에서 통지받은 금액을 입력한다. 입력된 금액을 수신하는 분할 승인 금액 수신부(미도시)가 상기 구매자 검증부(843) 내에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매자로부터 금액이 입력되면, 구매자 검증부(843)의 안전 금액 검증부(845)는 상기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846)에 저장된 승인 요청된 안전 금액으로서의 분할 승인 금액과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안전 금액 검증부(845)에서 검증 결과 상품/서비스의 구매를 요청한 구매자가 결제수단으로 채택한 신용카드의 진정한 소지자인 것으로 판명되면, 구매자 인증부(847)는 구매자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로 해당 신용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만약 기 발급된 구매자 인증 코드의 유효기간이 경과하여 구매자가 갱신을 요청한 경우라면 새로운 구매자 인증 코드 또는 갱신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매자 인증부(847)는 요청된 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를 생성(또는 갱신)하여,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구매자 인증 코드 전송부(84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구매자 인증 코드 전송부(848)로부터 전송된 구매자 인증 코드는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 번호와 매칭될 수 있도록 구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842)에 저장, 관리된다. 또한, 상기 구매자 인증부(847)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코드를 수신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구매자 인증 코드 검증부(849)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800)의 웹 서버(802)는 구매자가 발급받은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구매자 인증코드 입력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현시되도록 하고,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면, 상기 구매자 인증 코드 검증부(849)에서의 비교, 검증에 의하여 구매자 사전 인증절차가 종료된다. 이 때, 구매자 단말로 발급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는 상술한 것과 같이 구매자가 요청한 신용카드에 1:1로 대응되는 경우와, 이른바 '가변적 구매자 인증 코드' 방식에 의하여 1:N으로 대응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음은 상술한 것과 같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검증 모듈(840)을 통하여 임의로 생성된 분할 금액의 합계는 구매자가 요청한 실질 구매 금액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은 분할 승인 금액 방법에 따라 구매자를 인증하고자 하는 경우,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승인된 분할 승인 금액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결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결제 모듈(870)은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840)에서의 구매자 인증 코드의 검증 결과가 일치하면, 상기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846)에 저장된 각각의 분할 금액을 수신하고, 제휴기관 서버에 의하여 행해진 각각의 분할 거래에 대한 승인 번호를 부여받는 거래 승인부(872)와, 판매자 단말서버로부터 입력된 판매자 인증 코드 검증 결과에 따라 판매자 단말에 대하여 거래대금을 정산하기 위한 제 1 결제 정산부(874)와, 해당 거래 완료 후 제휴기관 서버와의 거래대금을 정산하기 위한 제 2 결제 정산부(876)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분할 거래에 대하여 할당된 분할 금액은 구매자 인증 코드의 검증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결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810)에는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840)에서의 검증 및 제휴기관 서버에서의 거래 승인 후에 데이터베이스(830)에 저장된 구매 정보 및 구매자가 요청한 배송 주소를 기초로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를 배송 주소지로 배송할 것을 지시하는 배송 지시부(882)와, 배달 증명서, 화물 추적 번호 등의 배송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배송정보 수신부(884)와, 배송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배송정보 추적부(886)를 포함하고 있는 배송관리모듈(880)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송관리모듈(880)은 판매자 단말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배송회사 서버 및/또는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를 직접 배송하는 각 배송자의 단말과도 네트워크로 상호연결됨으로써, 배송정보의 입력이나 추적은 판매자 단말을 경유하지 않고, 본 발명의 상기 배송관리모듈(880)과 배송회사 서버/배송자 단말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840)에서의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 단말로 송장 및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판매자 인증 수단으로서의 판매자 인증 모듈(860) 내에 포함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판매자 인증 모듈(860)은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840)의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신용카드의 진정한 소지자인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 정보 및 판매자 정보가 기재된 송장 및 해당 거래에 대한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고, 판매자로부터 입력된 자료와 전송된 인증 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판매자 인증부(861)와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저장, 관리하는 판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86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판매자 인증부(861)는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840)에서의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가 정당한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받은 것으로 검증되면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 정보(즉, 구매 정보) 및 판매자 정보 등의 거래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송장 및 각각의 거래마다 임의적으로 형성되는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거래정보 송신부(864)와,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이 완료되고 구매자가 배송된 상품/서비스에 만족한 경우, 상기 구매자로부터 판매자 단말에 통지되어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자료와 상기 판매자 인증 코드 데이터베이스(862)에 저장되어 있는 판매자 인증 코드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비교, 검증하기 위한 판매자 인증코드 검증부(866)를 포함하고 있다. 판 매자 인증 코드 검증부(866)에서 검증결과에 따라 판매자 단말을 운영하는 판매자의 계좌로 거래대금이 정산 처리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매자 인증부(861)에는 배송관리모듈(880)을 통하여 배송 완료가 통지된 후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 인증 코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 단말로 판매자 인증 코드가 통지/송신되지 않은 경우에 판매자 단말이 중개 시스템(800)으로 그런 사실을 통지하기 위한 판매자 인증 코드 확인부(868)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가 요청한 구매 정보와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송장 및 해당 거래에 대한 판매자 인증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거래 정보 송신부(864)가 판매자 인증 모듈(860) 내에 위치하고 있으나, 구매자 인증 모듈(840) 내에 상기 거래 정보 송신부가 포함되도록 하고, 구매자 인증 코드 검증 결과에 따라 송장 및 판매자 인증 코드를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도 또한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800) 역시 구매자가 상품/서비스를 선택하기 전에, 즉 실질적인 구매 시점 이전에 장래의 구매를 위하여 사전 구매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매자가 중개 시스템(800)에 접속하면 웹 서버(802)에 의하여 '구매자 인증코드 발급/재발급 페이지'가 구매자 단말의 디스 플레이부로 현시되고, 구매자가 신용카드 정보 등을 입력하면 상술한 분할 금액 승인 절차와 유사한 절차를 따라 해당 신용카드에 대응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가 사전에 발급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실질적인 거래가 없는 경우이므로, 분할 승인 금액은 단순히 구매자를 인증하기 위한 것에 사용되고, 청구가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846)에 저장된 분할 승인 금액은 거래 승인부(832)로 전송되지 않고, 바로 삭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라 해당 신용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적법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된 이후에, 구매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800)에 게시된 상품/서비스를 선택한 하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된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면 별도의 소액 승인 절차 없이 바로 통지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구매자 인증 절차를 간단하게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810)에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830), 구매자 인증 모듈(840), 결제 모듈(870), 및 배송관리 모듈(880)과 각각 연계되어 각 모듈에 저장, 관리되는 각종 데이터의 저장 및 추출 여부를 포함하는 중개 시스템(800)의 각종 관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관리 모듈(82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 모듈(820)은 각각의 모듈과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822), 인증 관리부(824), 결제 관리부(826), 및 배송 관리부(8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관리부는 독립적인 구매자 인증 관리 수단(미도시)과 판매자 인증 관리 수단(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내지는 전자상거래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기술된 판매자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통한 전자상거래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차트로서, '소액승인 금액' 방식에 따라 상품/서비스의 선택부터 배송까지의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 차트(flow chart)이다.
우선,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휴기관 서버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의 상품/서비스 정보를 게시하고 있는 쇼핑몰과 같은 웹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판매자 시스템의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S900). 판매자 시스템이 회원제로 운영되고 있는 경우,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자신의 고유한 식별번호 정보(ID, 패스워드 등)를 등록/입력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이어서,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판매자 시스템에 게시되어 있는 상품/서비스를 선택한다(S902). 구매자가 판매자 시스템의 페이지에서 상품/서비스를 선택한 뒤, 상품/서비스 선택 완료 버튼을 클릭하면 구매자가 선택한 구매 정보가 판매자 시스템에 저장됨과 동시에 구매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는 구매자의 결제정보를 입력하는 페이지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거래대금의 결제수단으로 채택한 신용카드 정보와 배송 주소 및/또는 청구지 주소와 같은 구매정보를 입력한다(S904).
구매자로부터 구매정보가 입력되면 구매자가 선택한 신용카드가 본 실시예에 다른 판매자 시스템에 의하여 인증되어 해당 신용카드 번호에 대응되는 구매자 인 증 코드가 발급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906).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가 인증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거래 중개 시스템은 임의 범위 이내의 금액, 예를 들어 0.00 ~ 50.00 범위에 포함되는 소액 금액을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뒤, 제휴기관 서버로 승인 요청하고, 제휴기관 서버에서는 소액 금액에 대하여 승인을 수행한다((S908). 이 때, 본 발명에 따라 구매자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 일예로 기술된 '소액 승인 금액'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매자가 상품/서비스를 선택하고, 결제수단으로 제시한 신용카드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을 통하여 유효한 인증을 얻지 못한 상태에서 구매자가 요구한 총 거래대금을 승인 처리하는 것은 차후에 발생하는 '차지백'과 같은 문제로 인하여 큰 모험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대금을 승인하기에 앞서 비교적 적은 범위에 속하는 임의의 소액 금액을 생성하고, 생성된 소액 금액에 대한 승인 요청과 함께 구매자가 신용카드의 진정한 소지자인지의 여부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생성되는 소액 금액은 적절한 범위 내의 금액으로서, 일례로서 0.00 내지 50.00 사이에 속하는 임의의 소액 금액이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요청한 구매대금의 총계가 100 달러라면 위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선택된 3.27이 '소액 금액'으로 생성되고 생성된 소액 금액에 대하여 제휴기관 서버를 통하여 사전 승인이 이루어진다. 다만, 이와 같이 승인된 소액 금액은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대금과 전혀 무관한 것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별도로 대금 청구나 대금 정산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은 구매자 인증 절차 완료 후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여 삭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휴기관 서버는 승인된 소액 금액을 거래 요청한 신용카드 소지자의 휴대용 단말로 SMS 방식에 의하여 송신하는 방법과 카드 소지자의 e-mali로 전송하는 방법 또는 구매자가 제휴기관에 문의하여 본인 인증 후에 승인된 소액 금액을 알아내는 방법 등을 통하여 구매자의 어드레스로 소액 승인 금액을 통지한다(S910).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소액 승인 금액을 통지받은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통지받은 소액 금액을 입력하면(S912), 판매자 시스템은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과 구매자가 입력한 금액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비교, 검증한다(S914). 소액 승인 금액의 검증 결과, 구매자가 입력한 금액이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과 일치하지 않으면 다시 입력하도록 하고, 구매자가 입력한 금액이 예를 들어 3회에 걸쳐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과 일치하지 않으면 해당 거래는 취소될 수 있다(S918).
소액 승인 금액 검증 결과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과 구매자가 입력한 금액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판매자 시스템은 구매자 단말로 해당 신용카드 번호에 대응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예를 들어 "HSKN-8256-7389-2745")를 발급하고, 해당 신용카드 번호와 이에 대응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를 저장한다(S916). 이 때, 구매자에게 발급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는 단일 인증 코드가 아니라 다수의 번호에 따라 별개의 인증 코드가 명시된 파일 형태로서, 구매자가 차후에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경우마다 다수의 번호 중 임의로 선택된 번호의 인증 코드를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구매자가 발급(전송)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면(S922), 판매자 시스템은 해당 신용카드 번호에 대응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S924), 구매자 사전 인증 절차가 종료된다.
한편,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의 검증 결과(S906), 이미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된 신용카드로 판단되면, 해당 신용카드에 대응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의 유효기간이 경과된 것인지 또는 구매자가 갱신을 요청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920). 구매자 인증 코드의 유효기간은 예를 들어 최초로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받은 날로부터 1년일 수 있는데, 구매자 인증 코드의 유효기간 경과를 검증한 결과 유효기간이 경과되었거나 또는 구매자로부터 갱신 요청이 있으면,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소액 금액이 생성되어 제휴기관 서버에 의하여 소액 금액에 대한 승인(S908) 및 구매자 어드레스로의 통지(S910), 소액 금액 입력(S912), 소액 금액 검증(S914) 등의 절차를 거쳐 새로운 구매자 인증 코드의 발급 또는 발급된 구매자 인증 코드의 갱신 절차가 수행된다.
한편, 구매자 인증 코드 유효기간 검증 결과(S920),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된 신용카드인 것으로 판명되면 소액 금액 승인(S908), 통지(S910), 입력 (S912), 검증(S914)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구매자가 바로 해당 신용카드 번호에 대응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S922)하면, 저장된 구매자 인증 코드와 구매자가 입력한 자료를 비교, 검증함으로써(S924) 구매자 인증 절차가 종료된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최초로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받거나 유효기간이 경과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중개 시스템에 의하여 임의로 생성된 소액 승인 금액을 비교, 검증하는 단계가 필요하지만, 유효기간 내의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된 신용카드로 결제하고자 하는 구매자는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발급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구매자 인증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가 입력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정당한 것으로 판명되면, 판매자 시스템은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를 발급, 관리하고 있는 제휴기관 서버로 해당 거래의 승인을 요청하고(S926), 제휴기관 서버는 구매자의 신용도, 계좌 잔액 등의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거래의 승인 번호를 판매자 시스템으로 통지한다(S928).
해당 거래에 대한 승인이 통지되면 판매자 시스템은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 수량, 단가, 총 구매대금과 같은 구매 정보와 판매자 정보(예컨대 판매자 e-메일 또는 연락 번호 등)가 게시되어 있는 송장을 송신한다(S930). 이와 동시에 판매자 시스템은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수량 및 구매자가 요청한 배송주소 등의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회사 서버로 배송을 지시하여, 상품 /서비스가 배송된다(S932). 이어서, 배송회사 서버 또는 각 배송자는 판매자 시스템으로 배송 정보(배달증명원, 화물 운송 번호 등)를 입력하여(S934) 판매자 시스템이 배송 상태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품/서비스가 구매자의 주소로 배송된 후에 절차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에서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9에서는 판매자 시스템에서'소액 금액'의 승인 절차를 통하여 구매자를 인증하는 절차를 도시하였으나, '분할 금액'의 승인 절차를 통하여 구매자를 인증하는 방법도 가능한데, 도 10은 판매자 단말 및 구매자 단말과 각각 연결되어 있는 중개 시스템에서 '분할금액 승인'절차를 통하여 구매자를 인증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거래 중개 방법 내지는 거래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에 대응하여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발급되지 않은 경우만을 도시하였다.
우선,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서비스를 관리하고 있는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을 통하여 중개 시스템에 접속한다(S1000).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에 판매자는 중개 시스템에 접속하여 판매자 식별정보(ID, 패스워드, 기타 판매자 정보)를 등록하거나 입력하는 등의 회원 등록 내지는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판매자는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상품/서비스의 형태, 이름, 단가, 수량 등)를 중개 시스템에 등록한다(S1002).
한편, 구매를 원하는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중개 시스템에 접속하고(S1004), 중개 시스템에 게시된 상품/서비스 중 구입을 원하는 상품/서비스를 선택한다(S1006). 판매자와 마찬가지로 구매자 역시 중개 시스템에 접속하고, 상품/서비스를 선택하기 전에 구매자 식별정보(ID, 패스워드, 기타 구매자 정보)를 등록하거나 입력하는 회원 등록 내지는 로그인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중개 시스템에 게시된 상품/서비스를 선택한 뒤, 구매자가 선택 완료 버튼을 클릭하면 구매자가 선택한 구매 정보가 중개 시스템에 저장되며, 중개 시스템의 웹 서버는 구매자의 단말로 결제 정보를 입력하는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로 전송한다. 구매자는 거래대금의 결제수단으로 채택한 신용카드 정보와 배송 주소 및/또는 청구지 주소와 같은 구매정보를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입력한다(S1008).
구매자로부터 구매정보가 입력되면 구매자가 선택한 신용카드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에 의하여 인증되어 해당 신용카드 번호에 대응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10). 인증 여부 판단 결과,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중개 시스템은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대금을 임의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금액을 안전 금액으로 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뒤, 제휴기관 서버로 분할 금액 각각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면, 제휴기관 서버에서는 분할 금액을 승인 처리한다(S1012). 이와 같이 제휴기관 서버로 승인 요청된 각각의 분할 금액은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구매자의 어드레스로 통지된다(S1014).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할 금액 승인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서비스의 총 거래금액이 300 달러로서, 구매자가 결제수단으로 선택한 신용카드에 대하여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발급되지 않은 경우, 본 실시예의 중개 시스템은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금액을 임의로 n 분할, 예컨대 2분할하여 129.58과 170.42와 같이 분할 금액을 생성한다. 이어서 생성된 분할 금액 각각에 대하여 제휴기관 서버를 통하여 승인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분할금액 승인' 방식에서는 분할 금액의 합계가 구매자가 요청한 구매대금과 일치하기 때문에, 상술한 '소액 승인 금액' 방식에서 소액 금액에 대하여 청구가 되지 않는 반면에, 분할 금액 각각에 대해서는 대금 청구 및 정산이 이루어진다.
'소액 승인 금액' 방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할 금액을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통지받은 구매자가 통지받은 금액을 입력하면(S1016), 본 발명의 중개 시스템은 저장된 분할 승인 금액과 구매자가 입력한 금액을 비교, 검증한다(S1018). 비교, 검증 결과 일정 횟수 이내에 구매자가 저장된 분할 금액과 일치하는 금액을 입력하지 못한 경우에 해당 거래가 취소될 수 있다(S1022).
분할 금액의 검증결과(S1018), 구매자가 입력한 금액이 저장된 분할 금액과 일치하면, 본 발명의 거래 중개 시스템은 구매자 단말로 해당 신용카드 번호에 대응되는 단일 또는 가변적인 다수의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 전송하고(S1020), 구매자가 발급받은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면(S1026), 이를 검증하여(S1028) 구매자 인증 절차가 종료된다.
한편,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의 검증 결과(S1010), 이미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된 신용카드로 판단되면, 해당 신용카드에 대응되는 구매자 인증 코드의 유효기간이 경과된 것인지 또는 구매자가 갱신을 요청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24). 구매자 인증 코드의 유효기간은 예를 들어 최초로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받은 날로부터 1년일 수 있는데, 구매자 인증 코드의 유효기간 경과를 검증한 결과 유효기간이 경과되었거나 또는 구매자로부터 갱신 요청이 있으면,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할금액 승인 절차를 거쳐 새로운 구매자 인증 코드의 발급 또는 발급된 구매자 인증 코드의 갱신 절차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구매자 인증 절차가 종료되면, 도 9에 도시된 '소액금액 승인' 방식과 달리 승인된 각각의 분할 금액의 합계는 구매자가 요청한 총 거래대금과 일치하기 때문에 별도로 거래대금의 승인을 위한 절차는 요구되지 않는다. 즉, '분할 금액 승인' 방식에 의할 때, 구매자 인증 절차가 종료되면, 별도의 거래대금 승인 단계(도 9의 S926, S928) 없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은 구매자의 단말로 구매 정보 및 판매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송장과 해당 거래에 대한 판매자 인증 코드(예를 들어 "YVGP-6528")를 각각 전송하고(S1030), 저장된 구매자 정보 및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판매자 단말로 상품/서비스의 배송을 지시한다(S1032). 이후에 상품/서비스의 배송(S1034), 배송정보입력(S1036) 단계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다만,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에 대응하는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발급 된 경우라면 구매자 인증코드 입력 후, 해당 거래에 대한 승인 절차가 필요하다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구매자가 유효한 인증 코드가 발급된 신용카드로 거래대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분할금액 승인' 방식에 있어서도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매자 인증 코드 입력(S922) 이하의 단계와 동일한 절차를 통하여 거래가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에서는 구매자 인증 절차 외에도 판매자를 인증하는 절차를 설명한 바 있다. 특히 상기 도 10에서는 구매자 인증 후에 구매자 단말로 거래정보 등이 포함된 송장과 함께 해당 거래에 대한 판매자 인증 코드를 함께 전송한 바 있는데, 배송 완료 후 판매자 인증 절차를 간단히 설명한다. 도 11은 중개 시스템에서 상품/서비스 배송 완료 후의 판매자 인증 절차를 간략하게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구매자의 주문 요청에 대하여 상품/서비스의 배송이 완료되면(S1100), 구매자는 배송된 상품/서비스를 검토하여 배송 과정에서 상품/서비스가 훼손되었거나 또는 중개 시스템에 게시된 상품/서비스와 배송된 상품/서비스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개 시스템에 환불을 요청할 수 있다(S1102). 이와 같은 적법한 환불 요청에 대하여 중개 시스템은 해당 거래를 취소하고(S1104), 판매자 서버에 배송된 상품/서비스를 반품 처리하도록 지시한다.
배송된 상품/서비스에 대하여 구매자가 만족하여 환불의사가 없으면 구매자 는 중개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해당 거래의 판매자 인증 코드를 기 전송된 판매자의 e-메일이나 유무선 전화 등을 통하여 판매자 단말로 전송, 통지한다(S1106). 판매자는 구매자로부터 판매자 단말로 통지된 해당 거래의 판매자 인증 코드를 중개 시스템의 판매자 인증 페이지를 통하여 입력하고(S1108), 중개 시스템은 해당 거래에 대하여 저장된 판매자 인증 코드와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자료를 비교, 검증한다(S1110). 판매자 인증 코드 검증 결과 저장된 판매자 인증 코드와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자료가 일치하면 중개 시스템, 판매자 단말 및 제휴기관 서버는 구매대금을 정산 처리한다(S1112).
특히,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 완료가 통지되고, 구매자로부터 환불 요청이 없음에도 배송 완료 통지 후 소정의 기간, 예를 들어 배송 완료 후 15일이 경과되었음에도 판매자 단말로부터 해당 거래에 대한 판매자 인증 코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때는 구매자가 고의 또는 불가피하게 판매자 단말로 해당 거래에 대한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지 않았거나 아니면 판매자가 통지된 판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이다. 만약 구매자가 판매자 단말로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였음에도 판매자가 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판매자 단말로 거래대금이 입금되지 않는다.
반면, 구매자가 판매자 단말로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에 판매자는 중개 시스템으로 판매자 인증 코드가 전송되지 않았음을 통지하고, 중개 시스템은 판매자 단말 또는 배송회사 서버로부터 접수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 자에게 주문한 상품/서비스가 제대로 정확하게 배송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거나 필요한 경우 구매자와 접촉하여 배송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가 정확하게 배송된 것으로 판명되면 중개 시스템은 판매자 인증 코드의 입력과 무관하게 판매자 단말로 거래대금을 입금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0에서는 구매자가 상품/서비스를 선택한 이후에 안전 금액 승인(소액 금액 승인 또는 분할 금액 승인) 절차를 거쳐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받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구매자가 판매자 시스템 또는 중개 시스템에 게시된 상품/서비스를 실질적으로 구매하기 전에 사전 인증 절차를 통하여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받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상술한 상품/서비스 선택(S902, S1016) 및 구매 정보 입력(S904, S1008) 단계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품/서비스를 구매하기 전에 구매자가 임의로 본 중개 시스템에 접속하여 사전 구매자 인증 코드를 부여 받는 방식이 가능한데,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전 구매자 인증 코드 발급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 차트이다.
우선 구매자는 실질적으로 상품/서비스를 선택하여 구매함이 없이 상품/서비스 정보가 게시되어 있는 판매자 시스템 또는 중개 시스템 사이트에 접속한다(S1210). 이 때, 판매자 시스템 또는 중개 시스템이 회원제인 경우, 구매자는 식별정보(ID, 패스워드, 기타 구매자 정보)를 등록하거나 입력하는 등의 회원등록 절차 또는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판매자 시스템 또는 중개 시스템은 웹 서버를 통하여 구매자의 단말로 판매자 시스템 또는 중개 시스템을 통하여 결제 수단으로 채택한 신용카드에 대응되는 구매자 인증코드 발급 페이지를 보여주고, 구매자는 단말을 통하여 신용카드 정보 등을 입력한다(S1202). 신용카드 정보가 입력되면 판매자 시스템 또는 거래 중개 시스템은 실질적인 거래는 없지만, 임의의 안전 승인 금액(소액 승인 금액)을 생성, 저장하고,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면, 제휴기관 서버에서는 안전 금액을 승인 처리한다(S1204). 이와 같이 제휴기관 서버에서 승인 처리된 안전 승인 금액은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구매자의 어드레스로 통지된다(S1206). 안전 승인 금액을 통지받은 구매자가 통지받은 금액을 입력하면(S1208), 판매자 시스템 또는 거래 중개 시스템은 저장된 안전 승인 금액과 구매자가 입력한 금액을 비교, 검증한다(S1210). 비교, 검증 결과 일정 횟수 이내에 구매자가 저장된 분할 금액과 일치하는 금액을 입력하지 못한 경우에 사전 인증 절차가 종료될 수 있고(S1212), 분할 금액의 검증결과(S1210), 구매자가 입력한 금액이 저장된 분할 금액과 일치하면, 판매자 시스템 또는 거래 중개 시스템은 구매자 단말로 해당 신용카드 번호에 대응되는 단일 또는 가변적인 다수의 구매자 인증 코드를 발급, 전송한다(S1214).
이와 같이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된 이후에 구매자는 판매자 시스템 또는 중개 시스템에 게시된 상품/서비스를 선택하고 인증 코드가 발급된 신용카드를 결제수단으로 선택하면 별도의 안전 금액 승인 절차 없이 바로 구매자 인증 코드를 입력하고, 이를 검증하여 바로 구매자 인증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
한편, 상품/서비스를 게시하고 있는 판매자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시스템 내지는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도 13은 이와 같이 판매자 시스템과 독립되어 구매자 인증을 수행하는 별도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거래 시스템 중 상기 도 3 내지 도 8을 통하여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거래 시스템(1000)은 구매자 단말(1010)과, 구매자 단말(1010)로부터 제시된 결제수단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제휴기관 서버(1020)와,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를 배송하는 배송회사 서버(10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거래 시스템(1000)에서는 구매자 단말(1010), 제휴기관 서버(1020) 및 배송회사 서버(103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품/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게시하고 있는 판매자 시스템(1100)과, 구매자 단말(1010), 제휴기관 서버(1020) 및 판매자 시스템(11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구매자가 제시한 결제수단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시스템(1200)을 포함한다. 도 13에서는 상기 인증 시스템(1200)과 연결되는 판매자 시스템(1100)이 하나인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판매자 시스템(1200)과 각각 연결되는 "공통"인증 시스템이 또한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1100)은 구매자 단말(1010)로 상품/서비스 정보가 게시된 웹 페이지를 전송하는 판매자 웹 서버(1102)와, 상품/서비스 정보 등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1110)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이 판매자 시스템(1100) 내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판매자 웹 서버(1102)는 상품/서비스 정보와 직접 관련된 웹 페이지(상품/서비스 정보 게시 페이지, 구매자 정보 및 대금결제를 위한 결제정보 및 후술하는 구매자 인증코드 입력 페이지 등)를 구매자 단말(1010)로 전송하고, 실질적인 구매자 인증을 위한 인증 페이지는 인증 시스템(1200)에 의하여 구매자 단말(1010) 및 판매자 시스템(1020)으로 통지,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1100) 또한 회원제로 운영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판매자 웹 서버(1102)는 구매자 단말(1010)을 통하여 구매자 식별번호를 등록/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10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시스템(1100)에 구성된 상기 관리 서버(1110)에는 상품/서비스 정보, 구매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1130)와, 구매대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모듈(1170)과,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 배송을 관리하는 배송관리 모듈(1180)과, 인증 시스템(1200)을 통하여 수행된 구매자 인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구매자 인증 확인모듈(1160)과, 상술한 다양한 기능의 모듈 내지는 수단을 제어,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있는 관리 모듈(1120)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판매자 관리 서버(1110) 내에 구성되는 결제모듈(1170)은 인증 시스템(1200) 내의 구매자 인증 모듈(1240)에서의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금액에 대하여 제휴기관 서버(1020)로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의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제휴기관 서버(1020)로부터 해당 거래에 대한 승인을 받기 위한 수단과,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이 완료된 뒤에 제휴기관 서버(1020)와 거래대금을 정산하기 위한 결제 정산 수단, 인증 시스템(1200)의 구매자 인증에 따른 수수료 정산을 위한 수단 및 이들 각각의 수단들을 관리하기 위한 결제 관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관리 서버(1110)에는 구매자 인증모듈(1240)의 검증 및 제휴기관 서버(1020)로부터 거래 승인 후에, 배송회사 서버(1030)로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 배송을 지시, 관리하는 배송관리모듈(1180)이 포함되어 있는데, 배송관리모듈(1180)에는 배송지시수단, 배송정보 수신수단 및 배송정보 추적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자 관리 서버(1100)에는 다양한 모듈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모듈(1120)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통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1130)에는 판매자 시스템(1100)에 게시된 전체 상품/서비스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수단과, 구매자가 요청한 구매 정보(선택한 상품/서비스 및 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수단 및 구매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1010)을 통하여 판매자 시스템(1100)에 접속하여 상품/서비스를 선택하면 선택한 구매 정보와 상품/서비스 배송을 위한 구매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120)에 저장되고,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에 대한 인증은 인증 시스템(1200)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구매자가 상품/서비스를 선택하고, 배송을 위한 구매자 정보와 함께 선택한 상품/서비스에 대한 구매대금 결제를 위하여 신용카드 번호와 함께 인증 시스템(1200)에 의하여 해당 신용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코드를 입력하는 페이지(결제정보 입력 페이지)가 판매자 웹 서버(1102)를 통하여 구매자 단말(1010)로 전송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1200)에 의하여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구매자 인증코드가 발급되지 않은 경우라면, 구매자는 상기 결제정보 입력 페이지를 통하여 구매자 인증코드를 발급받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데, 일례로 결제정보 입력페이지에서 구매자 인증코드 등록 아이콘을 구성하여 구매자가 이를 클릭함으로써 인증 시스템(1200)에 의하여 구매자 인증 페이지가 구매자 단말(1010)로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 인증 페이지가 구매자 단말(1010)로 전송됨과 동시에 구매자가 입력한 신용카드 정보 및 구매 정보는 인증 시스템(1200)의 구매자 인증 모듈(1240)로 전송되고, 구매자 인증 모듈(1240)은 상술한 바 있는 안전금액 승인 절차를 통하여 구매자를 인증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1200)은 구매 자 인증을 행하는 것일 뿐,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대금과 관련한 결제처리는 판매자 시스템(1100)의 결제 모듈(1170)을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구매자 인증을 위한 절차로서 안전금액 승인은 '소액금액 승인'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한 구성 및 절차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매자 인증 시스템(1200)은 안전금액으로서의 소액금액을 구매자 단말(1010)을 통하여 구매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구매자 인증을 위한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1010)로 전송하는 인증 웹 서버(1210)와, 구매자 인증 모듈(1240), 상기 판매자 시스템(1100)과의 수수료 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결제 모듈(1260) 및 이들을 관리하는 인증 관리 모듈(1220)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인증 시스템(1200) 내에 구성되는 구매자 인증 모듈(1240)에는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에 매칭되는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 발급 여부를 확인하는 구매자 인증 확인부(1241)와,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정보와 함께 이에 매칭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구매자 인증코드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자 인증코드 데이터베이스(1242)와, 구매자 인증코드가 없는 경우에 구매자를 검증하기 위한 구매자 검증부(1243)와 함께 구매자 인증코드를 비교, 검증하기 위한 구매자 인증부(1250)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매자 인증을 위한 구매자 인증코드 발급을 위하여 구매자 단말(1010)로 구매자 인증 페이지(소액금액 입력페이지)가 전송됨과 동시에, 판매자 시 스템(1100)에서 구매자가 입력한 구매 정보 및 신용카드 정보가 인증 시스템(1200)으로 전송된다. 이어서 구매자 인증 모듈(1200) 내의 구매자 검증부(1243)에서 안전금액으로서의 소액금액 승인절차가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매자 검증부(1243)에는 인증 시스템(1200)으로 전송된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범위의 소액금액을 생성하여 인증 시스템(12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휴기관 서버(1020)로 소액금액의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 받는 안전금액 승인부(1244)와, 생성된 소액금액을 임시로 저장, 관리하는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1246)와, 상기 소액금액을 제휴기관 서버(1020)로부터 통지받은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1010)로 입력한 금액과 상기 안전 금액 데이터베이스(1246)에 저장된 안전 금액을 비교, 검증하는 안전 금액 검증부(1245)가 포함되어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안전 금액 승인부(1244)에는 매 거래마다 임의의 소액금액을 생성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소액금액이 생성되어 제휴기관 서버(1020)로 승인 요청과 함께 안전금액 데이터베이스(1246)에 저장된다.
소액금액 승인 요청에 대하여 제휴기관 서버(1020)는 이를 승인함과 동시에 결제정보 데이터베이스(1022)에 저장된 카드 발급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 있는 SMS 방식 등을 통하여 구매자의 어드레스로 통지한다. 구매자는 통지받은 소액금액에 기초하여 구매자 단말(1010)을 통하여 이를 입력하고, 구매자 검증부(1243)의 안전금액 검증부(1245)는 저장된 소액금액과 구매자 단말(1010)로부터 입력된 금액을 비교한다. 안전 금액 검증부(1245)에서 검증에 따라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 과 구매자가 입력한 금액이 일치하면, 일시 저장된 소액 승인 금액은 삭제될 수 있다. 즉, 소액 승인 금액은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거래가 현재 진정한 카드 발급자에 의하여 요청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1200)에 의하여 청구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안전금액 검증부(1245)에서의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 인증부(1250)는 신용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구매자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1010)로 전송/발급,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구매자 인증부(1250)는 구매자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구매자 인증코드를 구매자 단말(1010)로 전송하는 구매자 인증코드 전송부(1252)와,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코드를 수신, 검증하는 구매자 인증코드 검증부(1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자 인증코드 전송부(1252)에서 생성된 구매자 인증코드는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정보와 연계되어 구매자 인증 모듈(1240) 내의 구매자 인증코드 데이터베이스(1242)에 저장, 관리된다. 또한, 구매자가 입력한 코드와 저장된 구매자 인증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매자 시스템(1100) 및 구매자 단말(1010)로 통지할 수 있도록 판매자 시스템(1100)의 구매자 인증 확인 모듈(1160)과 연결되는 별도의 구매자 인증코드 검증 통지부(1256)가 구매자 인증 모듈(1240) 내에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소액승인 절차에 따라 구매자 단말(1010)로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전송되면, 구매자는 판매자 시스템(1100)에 의하여 전송된 바 있는 결제정보 입력 페이지에서 발급된 구매자 인증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구매자가 코드를 입력하면, 구매자가 입력한 코드가 구매자 인증 모듈(1240) 내의 구매자 인증코드 검증부(1254)를 통하여 구매자 인증코드 데이터베이스(1242)에 저장된 자료와 비교, 검증된다. 비교, 검증 결과 저장된 구매자 인증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구매자 인증코드 검증 통지부(1256)는 구매자 단말(1010)로 "구매자 인증코드가 일치하였다"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구매자 단말(1010)로 전송되었던 결제정보 입력 페이지는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입력된 것으로 검증되면, 판매자 시스템(1100)은 저장된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자 단말(1010)로 송장을 전송하고,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을 배송회사서버(1030)로 의뢰하고, 배송 완료 후에, 제휴기관 서버(1020) 및 인증 시스템(1200)과 각각 결제 대금 및 인증 수수료 정산을 수행한다.
한편,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1200)에 의하여 인증된 경우에는 구매자는 결제정보 입력 페이지에서 해당 신용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코드를 입력한다. 코드가 입력되면 인증 시스템(1200)의 구매자 인증 모듈(1240)의 구매자 인증 확인부(1241)는 구매자가 제시한 신용카드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코드가 발급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구매자 인증코드 검증부(1254)는 구매자가 입력한 코드와 구매자 인증코드 데이터베이스(1242)에 저장된 자료와 비교, 검증한다. 만약 구매자가 입력한 코드가 유효한 구매자 인증 코드인 경우에 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구매자가 입력한 코드에 매칭되는 구매자 인증코드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구매자 인증코드 검증 통지부(1256)는 구매자 인증코드 확인모듈(1160)을 통하여 "구매자 인증코드를 다시 입력하십시오."라는 메시지를 구매자 단말(1010)로 전송하여 다시 구매자 인증코드를 입력하도록 한다.
한편, 구매자에게 전송된 구매자 인증코드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구매자가 입력한 코드와 저장된 구매자 인증코드가 일치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구매자 인증코드를 갱신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구매자 인증코드 검증 통지부(1256)는 "구매자 인증코드를 갱신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구매자 단말(1010)로 전송하고, 구매자 인증코드 갱신을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구매자 인증코드 갱신절차는 최초의 구매자 인증코드 발급 절차와 유사하게 소액승인절차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가 입력된 것을 확인한 후에 판매자 시스템(1100)이 구매자 단말(1010)로 거래 정보 등이 포함된 송장을 전송하고, 구매자가 요청한 상품/서비스의 배송 및 결제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정한 신용카드의 사용으로 인한 위험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래 시스템(1200)에서 구매자 인증 절차가 판매자 시스템과 독립한 인증 시스템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구매자 인증 절차 및 거래 절차는 도 9 내지 도 12에서 도시한 절차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으로 명확히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구매자 단말로 거래 정보 및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기 위한 거래정보 송신부가 구매자 인증 모듈 내에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을 훼손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카드결제를 통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내지 그 방법에 있어서, 상품/서비스를 구입하기 위하여 주문 신청을 한 구매자가 진정한 카드 소지자인지의 여부를 사전에 인증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판매자로서는 도난카드나 위조카드에 의한 사기 주문 및 해킹 등에 의해 도용한 카드 정보를 이용한 사기 주문에 따른 피해를 극소화시킬 수 있다.
구매자로서도 배송된 상품/서비스를 확인한 뒤에 판매자 인증코드를 판매자에게 알려주고, 판매자가 그 코드를 입력한 뒤에야 비로소 거래 금액이 판매자에게 지불될 수 있기 때문에, 주문한 상품/서비스가 배달되지 않는다거나 광고한 것과 다른 품질의 상품/서비스가 배달되는 경우에는 바로 거래를 취소할 수 있어 거래의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일단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여 진정한 카드 소지자임이 인증되면 추후부터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판매자들과의 거래에 있어서 별도의 인증처리가 요구되지 않고 단지 유효한 구매자 인증코드를 입력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하게 안전한 전자상거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구매자와 판매자의 국적, 신용카드의 종류에 관계없이 통일되고 글로벌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1)

  1. 구매자 단말과, 상기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요청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승인하는 제휴기관 서버와 각각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판매자 시스템으로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와 인증 페이지를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웹 서버와;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와 구매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의 승인을 요청하고 이를 저장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과 상기 저장된 안전 금액을 비교, 검증하여 이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저장된 구매자 인증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구매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판매자 시스템.
  2.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과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구매를 승인하는 제휴기관 서버와 각각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거래 중개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와 구매자 인증을 위한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웹 서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상품 또는 서비스와,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요청한 거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의 승인을 요청하고 이를 저장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과 상기 저장된 안전 금액을 비교, 검증하여 이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저장된 구매자 인증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구매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거래 중개 시스템.
  3.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과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구매를 승인하는 제휴기관 서버와 각각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거래 중개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와 판매자 인증을 위한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웹 서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상품 또는 서비스와,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거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구매자 단말로 거래 정보 및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자료와 상기 저장된 판매자 인증 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판매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는 거래 중개 서버
    를 포함하는 거래 중개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중개 서버는 상기 구매자 인증 코드의 비교,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거래 정보 및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판매자 서버로부터 입력된 자료와 상기 저장된 판매자 인증 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판매자 인증 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거래 중개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중개 서버는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의 승인을 요청, 저장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과 상기 저장된 안전 금액을 비교, 검증하여 이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저장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구매자 인증 모듈과;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거래 정보 및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거래 정보 송신부와;
    상기 거래 정보 송신부로부터 구매자 단말로 전송된 판매자 인증 코드와 상기 판매자 서버로부터 입력된 자료를 비교, 검증하는 판매자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거래 중개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중개 서버는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의 승인을 요청, 저장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과 상기 저장된 안전 금액을 비교, 검증하여 이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저장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비교, 검증하여 이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거래 정보 및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구매자 인증 모듈과,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로부터 구매자 단말로 전송된 판매자 인증 코드와 상기 판매자 서버로부터 입력된 자료를 비교, 검증하는 판매자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거래 중개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중개 서버는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의 승인을 요청, 저장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과 상기 저장된 안전 금액을 비교, 검증하여 이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저장된 구매자 인증 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구매자 인증 모듈과;
    상기 구매자 인증 모듈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거래 정보 및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저장된 판매자 인증 코드와 상기 판매자 서버로부터 입력된 자료를 비교, 검증하는 판매자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거래 중개 시스템.
  8. 구매자 단말과;
    상기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요청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승인하는 제휴기관 서버와;
    상기 구매자 단말 및 상기 제휴기관 서버와 각각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판매자 시스템으로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웹 서버와;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와 구매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의 승인을 요청하고 이를 저장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과 상기 저장된 안전 금액을 비교, 검증하여 이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저장된 구매자 인증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구매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판매자 시스템
    을 포함하는 거래 시스템.
  9.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과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구매를 승인하는 제휴기관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휴기관 서버와 각각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거래 중개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와 구매자 인증을 위한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웹 서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상품 또는 서비스와, 상기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중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의 승인을 요청하고 이를 저장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과 상기 저장된 안전 금액을 비교, 검증하여 이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저장된 구매자 인증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구매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거래 중개 시스템
    을 포함하는 거래 시스템.
  10.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과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구매를 승인하는 제휴기관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제휴기관 서버와 각각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거래 중개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와 구매자 인증을 위한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웹 서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상품 또는 서비스와, 상기 구매자가 요청한 거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구매자 단말로 거래 정보 및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자료와 상기 저장된 판매자 인증 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판매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는 거래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거래 중개 시스템
    을 포함하는 거래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중개 서버는 상기 구매자 인증 코드의 비교,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거래 정보 및 판매자 인증 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판매자 서버로부터 입력된 자료와 상기 저장된 판매자 인증 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판매자 인증 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시스템.
  12. 구매자 단말과;
    상기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요청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승인하는 제휴기관 서버와;
    상기 구매자 단말 및 상기 제휴기관 서버와 각각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판매자 시스템으로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웹 서버와,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와 구매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요청된 상품/서비스의 배송을 관리하기 위한 배송관리모듈과, 상기 구매자가 요청한 구매대금의 처리를 위한 결제모듈을 포함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판매자 시스템과;
    상기 구매자 단말, 상기 판매자 시스템 및 상기 제휴기관 서버와 각각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의 승인을 요청하고 이를 저장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과 상기 저장된 안전 금액을 비교, 검증하여 이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코드를 전송, 저장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와 상기 저장된 구매자 인증코드를 비교, 검증하는 구매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는 인증 시스템
    을 포함하는 거래 시스템.
  13. 구매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게시하고 있는 판 매자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a) 상기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상기 판매자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d) 상기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결제수단을 관리하는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이 승인되는 단계;
    (e)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구매자의 어드레스로 승인된 안전 금액이 통지되는 단계;
    (f)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금액이 입력되는 단계;
    (g) 상기 승인된 안전 금액과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이 비교, 검증되는 단계;
    (h) 상기 (g) 단계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 저장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14.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게시하고 있는 거래 중개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a)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을 통하여 판매자가 상기 거래 중개 시스 템에 접속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와;
    (b) 상기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구매자가 상기 거래 중개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와;
    (c)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d) 상기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결제수단을 관리하는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이 승인되는 단계;
    (e)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구매자의 어드레스로 승인된 안전 금액이 통지되는 단계;
    (f)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금액이 입력되는 단계;
    (g) 상기 승인된 안전 금액과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이 비교, 검증되는 단계;
    (h) 상기 (g) 단계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 저장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SMS 또는 구매자의 e-메일로의 통지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16. 제 13항 또는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승인되는 안전 금액은 상기 구매자가 요청한 구매가격을 임의로 분할한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17. 제 13항 또는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승인되는 안전 금액은 상기 구매자가 요청한 구매가격보다 적은 액수의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18. 제 13항 또는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 이후에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암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구매자 인증 코드와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비교, 검증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구매자 인증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 이후에 (i)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암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j) 상기 저장된 구매자 인증 코드와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암호가 비교, 검증되는 단계와, (k) 상기 (j) 단계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 정보 및 판매자 인증 코드가 전송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k) 단계 이후에 (l) 상기 (j) 단계의 검증 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요청한 물품이 배송되면,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판매자 단말로 상기 판매자 인증 코드가 송신되는 단계와, (m)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자료가 입력되는 단계와, (n) 상기 입력된 자료와 상기 전송된 판매자 인증 코드가 비교, 검증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21.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게시하고 있는 거래 중개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a) 상기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상기 거래 중개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와;
    (b)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결제수단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와;
    (c) 상기 거래 중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결제수단을 관리하는 제휴기관 서버로 안전 금액이 승인되는 단계;
    (d) 상기 제휴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구매자의 어드레스로 승인된 안전 금액 이 통지되는 단계;
    (e)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금액이 입력되는 단계;
    (f) 상기 승인된 안전 금액과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금액이 비교, 검증되는 단계;
    (g) 상기 (g) 단계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매자 단말로 구매자 인증 코드가 발급, 저장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0050046270A 2005-05-31 2005-05-31 거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20060124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70A KR20060124375A (ko) 2005-05-31 2005-05-31 거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70A KR20060124375A (ko) 2005-05-31 2005-05-31 거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375A true KR20060124375A (ko) 2006-12-05

Family

ID=3772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270A KR20060124375A (ko) 2005-05-31 2005-05-31 거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43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241B1 (ko) * 2010-11-05 2011-06-30 (주)베스텍컴 신용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판매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WO2014018197A1 (en) * 2012-07-25 2014-01-30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Upstream and downstream data conversion
KR20200020442A (ko) * 2018-08-17 2020-02-26 박희영 결제 금액 설정이 가능한 카드 결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241B1 (ko) * 2010-11-05 2011-06-30 (주)베스텍컴 신용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판매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WO2014018197A1 (en) * 2012-07-25 2014-01-30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Upstream and downstream data conversion
US9846861B2 (en) 2012-07-25 2017-12-19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Upstream and downstream data conversion
KR20200020442A (ko) * 2018-08-17 2020-02-26 박희영 결제 금액 설정이 가능한 카드 결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5960B2 (en) System for facilitating a transaction
US7499889B2 (en) Transaction system
RU243817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двухфакторной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при транзакциях, связанных с заказами по почте и телефону
US20050177437A1 (en) E-commerce system
US20040148254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secure cash-free payment transaction and a cash-free payment system
US20010051902A1 (en) Method for performing secure internet transactions
US20080114684A1 (en) Termination of transactions
EP1421732B1 (en) Transaction system
WO2008018052A2 (en) Secure mechanism and system for processing financial transactions
JPH09500470A (ja) ディジタルアクティブ広告
WO2001069549A1 (en) Payment authoris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2543541A (ja) 電子資金振替ネットワークを用いてインターネット支払い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9532814A (ja) 消費者の支払を強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5779615B2 (ja) 多様な決済手段を用いるars認証ベースの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AU775065B2 (en) Payment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commerce
WO2001029637A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electronic transactions
KR100623429B1 (ko) 거래 중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거래 방법
KR20060124375A (ko) 거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20010090032A (ko) 온라인 직접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79714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의 사용자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85205A (ko) 전자상거래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64473A (ko) 전자지갑과 통합된 전자 지불 보증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EP1744518A2 (en) Transaction system
KR20060108269A (ko) 안전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전자상거래 중개 방법
KR20070107965A (ko) 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