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0032A - 온라인 직접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직접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032A
KR20010090032A KR1020010048752A KR20010048752A KR20010090032A KR 20010090032 A KR20010090032 A KR 20010090032A KR 1020010048752 A KR1020010048752 A KR 1020010048752A KR 20010048752 A KR20010048752 A KR 20010048752A KR 20010090032 A KR20010090032 A KR 20010090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terminal
buyer
sell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교
윤지영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태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교 filed Critical 강태교
Priority to PCT/KR2001/00138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2017178A1/en
Publication of KR2001009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032A/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신용카드 결제 방식이나 계좌 이체 결제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은 구매할 상품 정보 및 이를 결제할 결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요청을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아 결제하는 결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구매할 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기를 거쳐 전송되지만,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에게는 전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직접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ONLINE DIRECT SETTLEMENT SYSTEMS AND THE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 시, 신용카드나 계좌이체를 사용하여 결제를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품이나 용역의 구매자가 자신의 단말기로 카드 가맹점 등의 판매자 및 금융사의 결제 서버에 접속하여 구매 및 구매 승인을 요청하되, 구매자의 결제 정보를 판매자에게 노출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거래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용 카드를 이용한 오프 라인 상의 구매 시스템은, 구매자가 물품이나 용역을 구입한 후 카드 가맹점에 신용 카드를 직접 건내주면 판매자는 전용 단말기를 통해 카드 번호 및 유효 기간 등의 카드에 관한 정보 및 결제 액수를 카드 결제 시스템에 통보하고, 결제 승인을 득하여 거래를 완결하였다.
이러한 종래 오프 라인 상의 거래 방식은 몇 가지 문제를 안고 있는데, 가령 본인 확인을 제대로 하지 않고 카드 소유자가 본인임을 가정한 상태로 거래가 진행될 수 있어, 분실하거나 훔친 카드를 이용한 거래도 가능하였으며, 가맹점의 이중 결제도 가끔 문제가 되곤 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오프 라인상에서 카드 사용의 불편한 점은 항상 구매자와 판매자가 대면하는 상태로 거래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카드를 주고 받으며 판매자가 거래 승인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구매자가 영수증에 사인하여 서로 나눠 갖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온라인 거래가 확산되면서 신용 카드 결제를 온라인 상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가령, 원격지에서 인터넷이나 전화를 이용하여 주문 요청을 하는 경우에, 구매자의 신용 카드 번호 및 기타 개인 정보를 판매자에게 알려주면, 판매자는 가맹점 단말기를 통해 이를 카드 결제 시스템에 통보하고 거래 승인을 받아서 물품을 배송함으로써 거래를 완결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카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정보가 판매자 또는 P.G(payment gateway)에게 그대로 노출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여기서 P.G 란 구매자가 입력한 정보를 암호화해서 결제 시스템에 전송하는 제3 기관을 의미한다. 구매자가 입력한 결제 정보를 바탕으로 판매자가 결제를 요청하는 것이므로 판매자는 구매자의 카드 번호 및 기타 결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얼마든지 이중 결제가 가능하였으며, 또한 제3자에게 정보를 유출할 수도 있으므로 구매자가 판매자를 대단히 신뢰하지 않는 한 온라인에서 비접촉 상태로 자신의 카드 번호 및 비밀 번호 등을 알려주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이런 문제로 인해서 온라인 거래상에서 신용 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생각보다는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 카드 거래 방법이 등장하였다. 즉, 신용카드 전용 결제 단말기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에 연결한 무선 결제 시스템을 소지한 판매자가 구매자를 직접 찾아다니며 거래하는 오프라인 거래 시스템인데, 즉석에서 구매자의 카드를 전용 결제 단말기에 입력하면 이에 연결된 무선 장치의 무선 송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원거리 결제 서버에 연결하고 거래 승인을 받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주로 배달 용역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항상 판매자가 무선 장치와 전용 결제 단말기를 가지고 다녀야 하며, 판매체계와 배송체계가 다를 경우, 가령 배달하는 업체에서 판매자를 대행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 방법은 진정한 온라인 상의 비접촉 거래 방식, 즉 판매자와 구매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 거래 시스템이 아니라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이 방법 역시 구매자의 정보가 판매자측에 노출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카드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기존 사업 방식의 또 다른 문제점은 구매자의 승인 및 결제 요청부터 카드사의 결제까지 불필요한 중간 단계가 많다는 점이다. 대표적으로는 VAN(부가가치망)을 들 수 있는데, VAN은 사용자가 입력한 구매자나 판매자의 사용자 정보를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은 카드 결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가맹점의 신용 카드 결제 전용 단말기가 반드시 이런 중간 단계를 거치도록 설계되어 있어 이를 배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중간 단계 때문에 거래 수수료 등이 증가되며, 쉽사리 카드 수수료를 낮추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계좌이체 결제 방법도 전술한 카드결제 시스템이 갖는 것과 유사한 문제점들을 안고 있는데, 이러한 결제 방식들의 문제점을 전체적으로 종합하면, 판매자 측이 구매에 대한 거래 승인 또는 계좌 이체를 카드사나 은행에 요청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접촉식 거래인 경우에는 온라인 거래라는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으며, 비접촉식 거래인 경우에는 구매자의 신용 카드 정보가 직접 판매자에게 노출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상황이다. 즉, 개인의 카드 또는 계좌 정보를노출시켜야 하는 문제와 완전한 온라인 비접촉식 방법은 서로 트레이드 오프 관계이며 이 두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방식을 찾아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신용카드 가맹점의 전용 단말기는 복잡한 중간 단계들을 배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신용 카드 결제 방식이나 게좌 이체 결제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비 접촉식 온라인 거래이면서 동시에 구매자의 카드 정보 또는 계좌 정보가 판매자에게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신용 카드나 계좌 이체를 이용한 거래 및 결제를 할 수 있는 온라인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특징에 더하여 구매자 단말기 중에서 특히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온라인 카드 결제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특징에 더하여 카드 결제 전용 단말기 대신에 일반적인 인터넷 브라우징이 가능한 PC등의 단말기나 핸드폰 등의 무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중간 단계를 제거할 수 있는 혁신적인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특징에 더하여 인터넷으로 이용하는 쇼핑몰 뿐 아니라, 전화로 구매하는 홈쇼핑이나 통신판매에도 적용할 수 있는 온라인 카드 결제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드시 신용 카드 결제 뿐 아니라, 계좌이체 등을 통한 결제시에도 상기의 특징을 이용하여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계좌이체 직접결제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유선 단말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전화기를 이용하여 육성으로 상품 구매 요청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한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계좌이체를 이용한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카탈로그 판매 사업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Escrow 결제 방식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 판매자 측 단말 210: 구매자측 유선 단말기
220: 구매자측 무선 단말기 230: 무선 중계 게이트웨이
310: 금융권의 결제 시스템 400: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
410: 이동통신사의 서버 시스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은, 구매할 상품 정보 및 이를 결제할 결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요청을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아 결제하는 결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구매할 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기를 거쳐 전송되지만,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에게는 전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판매자 측은 구매할 상품 정보와 결제 후 승인확인 정보만 제공받을 뿐이다. 또한, 상기 구매자 단말기는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가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 시스템에 접속하고,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는 상기 구매할 상품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구매자가 사전에 제공한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는데, 이 연결 정보로는 이메일 주소나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시스템은 신용카드 결제, 또는 계좌이체 결제 시스템일 수 있으며, 상기 구매자 단말기는 유선 및 무선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 구성의 또 다른 특징 중의 하나는 상기 결제 요청에 사전에 구매자가 제공한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연결 정보, 가령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결제 시스템은 이 구매자 단말기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사 측에서 제공하는 구매자 정보를 바탕으로 구매자를 식별하여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만약 이 연결 정보가 이메일이라면, 해당 이메일 계정을 제공한 회사로부터 필요한 구매자 정보를 취득하여 동일한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상품이란, 인간이 관리할 수 있고 거래가 가능한 모든 재화 및 용역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점을 모식화하여 나타낸 대표적인 실시예이다.
도 1은 재화나 용역(이하 상품으로 통칭한다)을 온라인 상에서 구매하고 신용카드 결제 또는 계좌이체로 구매하는 구매자(200)와, 이 상품을 공급하는 판매자(100) 및 구매자(200)의 구매에 따른 결제를 승인하는 승인 및 결제 시스템(300, 이하 결제 시스템이라 한다)으로 구성된다.
결제 방법이 신용카드 결제인 경우의 구매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설명하면, 우선 구매자(200)는 단계(S1)에서 판매자에게 온라인으로 접속하거나 유무선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 상품 구매를 요청한다. 이 때, 구매자는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카탈로그나 홈쇼핑 방송 등을 통해 사전에 알고 있거나, 전화 상담을 통해 즉석에서 듣던지, 또는 즉석에서 판매자의 쇼핑몰 사이트 등을 통해 브라우징하여 알아낼 수 있다. 그 다음, 특정 상품 및 그 구매 갯수를 지정함으로써 이에 대한 구매 의사를 표시하는데, 이러한 구매 상품에 관한 정보를 이하에서는 상품정보라고 통칭한다. 상품은 상품명으로 지정될 수도 있지만, 구매자 측에서 제시하는 상품 코드를 대신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품 정보의 입력을 전후하여 구매자는 단계(S1)에서 이 구매를 결제할 신용카드의 종류를 선택하여 지정한다. 여기서 결제 신용카드의 종류 선택이란 어느 카드사에서 발행한 신용카드를 결제에 사용할 것인지를 정하는 것으로서, 카드 번호 등의 구체적인 카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것임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결제 카드 종류의 지정을 전후하여, 향후 판매자 측에서 보낼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입력받을 자신의 연락처, 가령 이메일로 전송받기를 원할 경우에는 이메일 주소이며 무선 단말기의 경우에는 그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이 연락처에 관한 정보는 후에 본인 확인에 필요한 정보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판매자(100)는 구매자(200)의 구매 요청을 유무선으로 접수 받은 후, 일단 자신이 해당 구매 요청에 대응할 수 있는지(가령 재고 상품이 남아 있는지) 등을 파악한 다음, 대응할 수 있으면 주문을 접수하였다는 확인과 함께 최종적으로 구매자의 구매 의사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구매자에게 반송한다(S2). 이 때, 단계(S1)에서 전달받은 구매자(200)의 연락처, 가령 구매자의 이메일이나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이 전송 메시지는 상기 구매자가 선택한 결제 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결제 시스템(300)에 구매자(200)를 자동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결제 시스템 연결 수단 및 상품 정보를 그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도 역시 상세히 후술한다.
단계(S2)에서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은 구매자(200)는, 이에 포함된 상품 정보를 확인한 후, 최종 구매를 결심하면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에 내장된 결제 시스템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카드사의 결제 시스템(300)에 접속한 후, 이 구매에 대한 승인 및 결제를 요청한다(S3, 이하 결제 요청이라 한다). 이 때 비로소 구매자는 자신의 결제 카드에 관련된 결제 정보를 입력한다.
이 결제 정보에는 신용카드의 번호, 구매자의 주민등록번호, 비밀번호, CVC(Card Verification Code) 번호, 카드 유효기간, 또는 카드 식별자,ID 등 다양한 카드 또는 사용자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S3)에서는 상기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 정보를 입력하는데, 번호나 ID의 전체 또는 일부를 입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카드 식별자란 본 발명의 직접 결제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해서 구매자가 사전에 카드사에 등록한 번호로서, 카드사의 결제 시스템은 이 카드 식별자를 입력받으면, 이 식별자에 연동되어 기록된 결제 카드의 전체 번호 및 기타 정보를 자체 DB 등에서 찾아내어 이를 바탕으로 결제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 카드 정보는 전혀 결제 시스템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카드 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할 때, 패스워드 기반의 전자 서명이나 공개키 기반의 전자 서명으로 이를 암호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입력된 결제 요청은 카드사의 결제 시스템(300)으로 전송되며(S3), 판매자(100)에게는 전달되지는 않는다. 전송된 결제 요청에 대해 결제 시스템(300)은필요한 확인 작업을 거쳐 구매자가 신용카드의 소유자임을 확인하고 결제 카드가 해당 거래에 적합한지를 판단한 다음, 유효한 결제 요청인 경우에 승인 및 결제 확인 메시지를 판매자(100) 또는 판매자(100) 및 구매자(200) 모두에게 전송한다(S4). 또한, 이를 전후하여 결제 시스템 내의 정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직접 결제 시스템 상의 각 주체의 행위가 완료된다.
도시되지 않은 후속 과정으로는 상기 승인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판매자가 구매된 상품을 구매자에게 송부하고 영수증을 교부받아 종래의 방법으로 카드사에 매입을 요청하는 후속 프로세스가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은 오프라인 상에서 실시되는 실제 행위이며, 본 발명인 온라인 상에서의 결제 요청 및 승인과는 직접적인 상관이 없는 행위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 후에 판매자가 카드사 결제 시스템에 전표 매입을 요청하는 행위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온라인 시스템 상에서 함께 구현될 수 있는 행위이다.
만약, 상기 도 1의 거래가 신용카드 결제 방식이 아니라 계좌이체 결제라면 다른 부분들은 특별히 달라질 것이 없으며, 단지 단계(S1)에서 결제 카드 종류 대신에 계좌이체를 수행할 계좌의 종류를 입력하고, 은행이나 금융권의 계좌이체 결제 시스템은 계좌이체 과정을 수행하여 결제를 하는 것이 다를 뿐이다. 또한, 계좌 이체 결제 시스템에서도 이체계좌를 식별할 계좌 식별자를 결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카드 결제시와 마찬가지로, 이 계좌 식별자도 사전에 사용자가 등록한 후, 이 식별자를 단계(S3)에서 입력하면 은행의 결제 시스템(300)은 사전에 저장된 실제 계좌 정보를 식별자를 이용하여 찾아낸 후 계좌 이체를 수행하게 된다. 수행후, 단계(S4)에서 구매자의 계좌로부터 판매자의 계좌로 계좌 이체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것도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요즘 유행하는 가상 계좌 시스템을 만들고 이로부터 계좌 이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예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신용카드 결제나 계좌이체 결제와는 달리 구매자의 카드 번호나 계좌 번호 등의 정보를 판매자가 전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정보는 단계(S3)에서 오로지 결제 시스템으로만 전달될 뿐, 판매자에게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구매자의 정보 유출을 염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거래 시스템은 이러한 구매자의 직접 결제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직접 결제라 약칭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완전한 비 접촉식 온라인 거래 행위라는 것이다. 즉, 구매자와 판매자는 서로 물리적으로 동일 장소에서 대면할 필요가 전혀 없다. 이것은 기존처럼 서로 카드를 건네받고, 카드를 이용하여 승인을 받은 다음 그 자리에서 영수증을 주고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은 전술한 종래의 온라인 카드 결제 또는 계좌이체 결제의 문제점들인 정보 유출과 접촉식 거래라는 문제점을 간단하면서도 훌륭하게 해결한 새로운 거래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다시 설명되겠지만, 도 1에서 구매자는 유무선 단말기를 사용하는 모든 경우을 포함하고, 판매자는 인터넷 쇼핑몰, 온라인 경매 사업자, 카탈로그 사업자, 홈쇼핑 사업자, 유무선 디지털 컨텐츠 데이터 공급자 등 인터넷이나 기타 공중망으로 상품을 선전하고 주문받아 판매하는 모든 사업자와, 음식점 등 오프라인 상품 공급을 위주로 하지만 배달이 가능한 사업의 경우나, 택시, 택배 등 즉석에서 카드결제나 계좌이체 결제가 가능하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오프라인 상에서 판매 행위를 수행하지만, 온라인 비접촉식 결제가 가능한 모든 사업 형태를 포함한다. 특히 판매자는 상품 DB 서버 및 기타 웹 서버 등의 시스템을 구축한 형태로 사업하는 경우 및 자체 시스템을 갖추지는 못했으나 제3 대행기관에 이를 의뢰하여 사업을 영위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직접 결제 방법을 좀 더 원활하고 전문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직접 결제 전용 게이트웨이를 네트워크 상에 설치하고 이 전용 게이트웨이가 구매자, 판매자 및 결제 시스템(무선일 경우 망 사업자까지 포함해서)간의 데이터 흐름을 조절하고, 필요한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푸쉬(push)하는 기능 및 전문 에이전트 솔루션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기존 판매자, 구매자 및 결제 시스템 운영 측은 단순히 전용 에이전트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정도 외에 추가적인 시스템 구축 노력이 필요치 않아 좀 더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용 게이트웨이를 포함한 시스템으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단, 전용 게이트웨이 등의 구성들은 본 발명인 직접 결제 시스템에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는 아니며, 단지 시스템의 편리성을 위한 선택 사항임을 주목해야 한다.
판매자나 구매자는 거래 발생 이전에 본 발명의 직접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겠다는 의사를 금융기관이나 카드사에 표시하고, 필요한 정보, 가령 카드번호나 계좌이체할 계좌 정보 및 전술한 카드 식별자 또는 계좌 식별자 등을 미리 등록하여 향후 사용토록 할 수 있다. 또한, 기타 필요한 입력 사항 중 일부는 이 때 미리 등록하여 향후 건마다 이것을 입력해야 할 불편함을 덜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단, 반드시 구매자의 결제 정보는 판매자에게 전달되는 일이 없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상품 정보라 함은 상품명이나 상품 코드와 같은 상품 자체와, 구매할 갯수, 판매 가맹점명 또는 카드사 등에서 부여한 가맹점 식별 번호, 금액, 할부 여부 등 거래 객체인 상품에 관련된 모든 객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결제 정보란 구매자의 신용카드 정보나 계좌 정보, 카드 유효기간, CVC 번호, 전술한 카드 식별자나 계좌 식별자 및 구매자의 주민등록번호, ID, 비밀번호 등 거래 주체를 확인하고 구분하는 모든 주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 중 유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이를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경우에 필요한 본 발명의 직접 결제 시스템의 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데, 판매자가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할 경우, 쇼핑몰 시스템의 DB 서버 등이 포함된 판매자 측의 서버(110)와, 구매자의 유선 단말기인 클라이언트 PC(210)와 카드 결제의 승인 및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시스템(310)과, DB를 구비하여 구매자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320)와, 직접 결제 전문 게이트웨이(40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시스템들간의 구체적인 거래 단계를 설명하면, 우선 구매자는 사전에 결제 카드사의 회원으로 가입하여 자신의 정보를 제출하고 카드를 발급받는다. 또한, 이 때 본 발명의 직접 결제를 이용할 의사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여러가지 정보를 제출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이미 도 1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판매자도 사전에 가맹점으로 등록되고, 본 발명의 직접 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역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거래를 시작하면, 단계(S1)에서 구매자는 자신의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판매자의 서버 측(110)에 접속한 후, 판매자가 제시하는 다양한 상품 정보를 브라우징하여 구매하고자 의도하는 상품 및 수량을 입력한다. 상품 선택 후, 구매자는 본 발명의 직접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하고 결제 카드의 종류(가령 BC, LG카드 등)를 선택한다. 이 때는 상기 구매의 결제를 일시불로 할지 아니면 할부로 할지를 결정하는 등의 신용카드 결제 요청 전 수행해야 할 일반적인 의사 결정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을 연락처, 가령 유선 단말기로 전송받는 경우에는 이메일 주소 등을 입력한다. 만약, 사전에 등록된 배달 장소 외에 제3의 장소로 상품이 배달되기를 원한다면 상품 배달 장소 및 배달을 원하는 시간대 등을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기타 구매에 필요한 추가적인 상황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입력을 전송받은 판매자 측의 서버(110)는 사전에 짜여진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상품 주문에 대해 자신이 대응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가령 상품에재고가 있는지, 기타 조건 등은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판단한 후 이 구매 요청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면, 직접 또는 상기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400)를 통해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상기 사전에 입력된 구매자의 연락처로 전송한다(S2, S3).
이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는 결제할 카드 종류 및 상품 정보, 상품의 액수, 상기 배달받을 주소나 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해당 구매 요청에 대해 부여된 고유한 거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식별자에는 상기 구매자 측(110)에 전달된 모든 상품 정보 및 후에 전송 받을 결제 승인 등이 연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향후 처리 프로세스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식별자는 판매자 측 서버(110)가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기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400)가 부여한 후, 구매자(210) 및 판매자(110), 그리고 향후 거래에 관여할 카드사 결제 시스템(310)에 통보해 줄 수도 있다. 이 거래 식별자는 거래 주체간의 통신 데이터에 대해 일종의 어드레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는 결제 카드로 선정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310)에 연결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수단이란 구매자가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검수한 후, 결제시스템에 유무선으로 연결하고자 할 때, 이를 자동적으로 수행해주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메시지 일부에 버튼 모양이나 아이콘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구매자는 이 연결 수단의 표시에 가령, 클릭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상품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310) 측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결 수단에 관한구성 방법은 후술한다. 상기 연결 수단은 반드시 아이콘 등으로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반드시 시각적으로 표현될 필요도 없다. 가령,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확인한 구매자가 음성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는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400)를 통해서 구매자(210)에게 전달될 수 있는데, 이 게이트웨이(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접 결제를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모듈이며, 구매자나 판매자가 복잡한 사전 시스템 구성을 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장점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인 시스템 구성 사항이다. 가령 거래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다운로드 시킬 수 있는 역할 및/또는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 전송을 판매자 측 서버로부터 의뢰받아 대신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사용자 인증을 별도로 수행하거나, 단말기 및 결제 시스템 간에 통신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의 경우, 패스워드나 공개키 기반의 전자 서명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전문적인 기능과 통신 게이트웨이로 작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에 결제 시스템 연결 수단을 믹싱(mixing)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카드사 또는 금융사의 결제 시스템의 URL을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가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에 첨부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400)가 본 발명의 구현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구매자, 판매자 및 결제 시스템이 직접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토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은 구매자는 메시지 내에 포함된 정보들이 맞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후, 상기 구매자는 상기 카드사 결제 시스템(310)에 접속하여 승인 및 결제 요청을 전송하는데(S4), 이 때 비로소 전술한 결제 정보를 입력한다. 결국, 카드사 결제 시스템(310)에 전송될 승인 및 결제 요청이 기본적으로 포함해야 할 정보는 상품에 관련된 상품 정보와 결제 정보인데, 상품 정보는 구매자의 거래 요청 단계(S1)에서 입력되어 판매자의 거래 승낙 의사 표시인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경유하여 구매자의 단말기를 통해 결제 시스템(310)으로 전달되고(S4), 결제 정보는 이 판매자의 거래 승낙 의사를 입력받은 후에 비로소 판매자 측에게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상품 정보와 함께 구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직접 결제 시스템으로 전송된다(S4). 또한, 판매자의 거래 승낙 의사의 표현인 동시에 구매자의 구매 요청을 확인하는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는 결제 시스템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구매자는 자동적으로 결제 시스템에 연결되고, 연결 후 다시 상품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제 요청을 전송받은 결제 시스템(310)은 직접 또는 제3 서버(320)에 연결하여 상기 입력된 정보들로써 구매자 및 판매자를 확인한다(S5). 가령, 구매자가 사전에 가입된 카드 사용자이며 신용 불량자는 아닌지, 해당 카드가 상기 구매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아울러 판매자가 가맹점이고 거래를 수행할 자격 및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카드사의 승인검사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본인 확인 및 거래 가능 여부 등의 상황을 사전에 짜여진 알고리즘에 대응시켜 판단한 후, 결제 시스템(310)은 상기 거래에 대해 승인을 하고 결제를 수행한다. 또한, 승인 및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승인 확인 메시지를 미리 입력된 가맹점 연락처로 판매자(110)에게 전송한다(S6-1). 그 후, 판매자는 이 승인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은 후, 상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하게 된다.
상기 승인 확인 메시지는 구매자에게도 전송할 수 있는데(S6-2), 구매자의 이메일 계정이나 무선 단말기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직접 결제 시스템에서 구매자에 대한 거래 승인 메시지 전달은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지만, 구매자도 참고적으로 승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결재 요청에 신뢰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인 확인 메시지를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400)를 거쳐서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S6-3). 다수의 판매자에게 동시에 승인 메시지를 전달해야 할 경우에는 승인 메시지 전달을 결제 시스템이 직접 수행하는 것보다 전문 게이트웨이에 의뢰하는 것이 결제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고, 데이터 전달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비록 도 2가 유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 쇼핑몰과 거래하고, 카드결제를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무선 단말기 및 전술한 광범위한 사업 형태 중 어떤 사업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계좌이체 결제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약간의 변형을 거치면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가령, 구매자가 최초에 판매자의 상품을 브라우징하고 구매 요청을 하는 단계(S1)에서는 PC 등 유선 단말기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지만,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말기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고, 또 그 반대도 가능하다. 어떠한 단말기를 사용하느냐는 구매자가 단계(S1)에서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을 단말기의 연락처를 무엇으로 하느냐에 의해 간단히 결정된다.
도 2에서 설명한 기타 다양한 변형예들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구매자가 무선 단말기(220)를 이용하여 즉석에서 구매를 요청하고 이를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구매자가 무선 단말기(220)를 이용하는 경우, 가령 http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이나 유선망과 연결된 판매자나 카드 결제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무선 단말기와 유선망을 연결해주는 게이트웨이(230)가 필요하다는 것이 도 2의 유선 단말기(210)를 사용한 경우와 가장 큰 차이점이다. 이 게이트웨이(230)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전환하여 유선망의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유선망의 서버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전환하여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로 가능한 것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방식 게이트웨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E(Mobile Explorer) 게이트웨이 등이 현재로선 가능하다. 특히, ME 게이트웨이는 물리적인 게이트웨이가 따로 필요 없으며, 이동 통신사의 중계 서버가 이 역할을 대신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게이트웨이(이하 '무선 중계 게이트웨이'라 한다)들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새로운 무선 단말기와 그에 적절한 새로운 프로토콜이 등장하면 시스템을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의 시스템 구성에서, 도 2와 동일한 부호를 가진 단계나 시스템 모듈들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단계를 수행하는 것들을 의미한다. 도 3의 실시예와 도 2의 실시예를 비교할 때, 특히 추가된 사항은 구매자의 무선 단말기(220)와 이 무선 단말기의 신호를 유선망의 서버들과 인터페이스 해주는 무선 중계 게이트웨이(230) 및 양자간의 통신 단계(S1')이다. 또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410)가 이 단계에서 추가될 수 있는데, 이것은 무선 단말기 사용자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면, 구매자는 무선 단말기(220)로 무선 중계 게이트웨이(230) 등을 거쳐(S1') 판매자의 서버(110)에 접속한다(S1). 접속 후 역시 도 2의 단계들과 마찬가지로 구매자는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검색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결제 카드 종류를 입력한다. 이 때, 무선 단말기(220)의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것은 향후 사용자 확인 기능 또는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 수신처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품 정보와 카드 종류에 관한 정보 및 구매자의 수신처 전화번호가 판매자 측의 서버(110)에 입력되면, 판매자 측 단말(110)은 도 2에서처럼 이 구매가 거래 가능한 것인지를 검토한 후, 거래 승낙 여부를 포함한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400) 및 무선 중계 게이트웨이(230)를 거쳐 다시 구매자의 무선 단말기(220) 쪽으로 전송한다(S2, S3).
이 때, 상기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400)는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410)에 연결하여 입력된 구매자 연결정보, 가령 무선 단말기 전화번호로 구매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0). 이 단계에서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410)에 구매자 확인을 의뢰하여 해당 상품 구매 요청이 당사자로부터 비롯된 것인지를 확인받고,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구매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무선 중계 게이트웨이(230)에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410)가 연결된 상태로 동일한 당사자 확인 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S15). 이렇게 되면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구매 요청 단계(S1)부터 부적절한 구매 요청을 필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 단계(S10, S15)에서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410)는 당사자 확인만 해 줄 뿐, 당사자에 대한 정보를 판매자(110)나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400)에 전달해 주는 것은 아니다.
구매자는 전송된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검토한 후, 타당하면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내에 포함된 결제 시스템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카드사의 결제 시스템(310)에 접속하면서, 이를 전후하여 결제 정보를 입력한다(S4).
카드사의 결제 시스템(310)은 상품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전송받으면 승인 및 결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직접 또는 제3 서버(320)에 연결하여 당사자 확인 단계를 거친다(S5). 이 때, 도 2의 검증 단계에 더하여 이동 통신사(410)에 연결하여 당사자 정보를 획득하고(S20), 획득된 당사자 정보를 추가 데이터로 이 확인 단계(S5)에서 사용하여 당사자 여부를 좀 더 확실하게 검사할 수 있다. 가령 이동 통신사에서 획득한 상기 무선 단말기 전화번호의 사용자와 상기 결제 카드 사용자의동일성을 비교하는 것 등 이다.
그 다음, 도 2에서 설명한 단계들과 동일한 단계를 거쳐 판매자 또는 판매자 및 구매자 모두에게 승인 여부를 통보한다(S6-1, S6-2). 이 때 구매자의 무선 단말기(220)로 승인 여부를 통보할 경우에는 다시 무선 중계 게이트웨이(230)를 거쳐 통보(S1')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판매자(110)에게 승인여부를 통보할 경우에는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통보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이다. 또한, 도 2의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단계(S1)에서의 접속은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지만,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S3)에서는 유선망을 이용하는 PC를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매자가 통신 판매 사업자나 홈쇼핑 사업자인 경우, 구매자가 전화기를 이용하여 육성으로 구매를 요청하고 이를 결제할 수 있는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초기 데이터 입력 단계(S11, S12)를 제외하고 다른 단계들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하다. 따라서 단계(S11, S12)를 중심으로 간단히 그 작동 방식을 설명하면, 통신 판매나 홈쇼핑은 전화를 걸어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므로, 단계(S11)에서는 구매자가 판매자의 연락처로 전화를 걸어 구매할 상품의 정보와 결제할 신용카드의 종류(계좌이체인 경우 이체할 계좌의 종류) 및 자신의 연락처, 가령 유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나 이메일 등을 통보한다.
주문을 받은 판매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24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자사의 시스템(110)이나 그에 준하는 시스템(가령 ARS 시스템)에 구매 요청에 관련된정보를 입력한다(S12). 입력된 주문 정보가 구매자(220)에게 전달되어 구매 의사를 다시 한 번 확인하는 등의 후속 단계(S2 - S7)부터는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도 4에서는 무선 단말기(220)를 도시하였으나 유선 전화기로 구매 요청을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 구매자는 이메일 계정 등으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2)에서 입력 장치(240)를 통해 구매 정보를 입력할 때, 이 정보는 시스템(110)을 거치지 않고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400)로 입력된 후, 후속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것은 영세한 판매자가 자신의 시스템(110)을 갖추지 못한 경우에, 상품 구매 요청의 접수 및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 발송을 전부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에게 의뢰하는 경우가 한 예이다.
도 5는 신용카드 결제 대신, 은행의 직접 결제 시스템을 결제 방법으로 이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실시예가 전술한 도 3 및 도 4의 시스템과 다른 점은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310) 대신에 계좌이체 대행 시스템(330)이 사용되고 상기 계좌이체 대행 시스템(330)을 통해 은행 전용 시스템(340)으로 계좌이체 요청이 입력되어(S8) 필요한 계좌이체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통보받으면(S8) 계좌이체 대행 시스템(330)이 다시 구매자 또는 구매자 및 판매자에게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것이다(S6-1, S6-2). 그 외 나머지 시스템 모듈들의 기능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시된 것은 무선 단말기를 사용한 경우이지만, 유선 단말기로 이러한 계좌이체 결제를 수행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을 이해한 당업자에게는 당연한것이다. 도 5의 계좌이체 시스템은 도 1내지 도 4의 모든 실시예에 결제 시스템만 대체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다른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실시예는 카탈로그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으로, 구매자는 자신의 유무선 단말기(220)를 통해 미리 카탈로그에서 선정한 상품 코드 등을 입력하고, 처음부터 결제 정보를 입력한 후, 이를 전후하여 카드사 결제 시스템에 구매 의사를 통보한다(S4). 따라서, 이 경우에는 구매자(220)가 판매자 측 시스템(110)과 온라인상으로도 접촉하지 않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들과 큰 차이가 나는 부분이다. 이것은 카탈로그 사업의 특징상, 이미 판매자가 얼마든지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는 의사를 표시하였다는 가정하에서 상품 카탈로그를 발매한 것이므로, 따로 구매자가 판매자의 거래 승낙 여부 등을 체크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입력된 상품 정보 및 구매자의 결제 정보들을 전송하면(S4), 이것은 곧바로 카드사의 결제 시스템(310)에서 승인 및 결제에 대한 검증을 거친 후(S5), 구매자 또는 구매자 및 판매자에게 승인 여부가 통보된다(S6-1, S6-2). 이 승인 여부의 답지 후, 판매자는 주문에 따라 구매자에게 상품을 배송하는 것으로 거래가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실시예의 특징은 단계(S1-S5)까지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지만, 단계(S6) 전에 결제 또는 계좌이체를 완료하지 않고, 단지 결제를 완료할 예정임을 단계(S7)에서 판매자(110)에게 통지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판매자(110)는 단계(S8)에서 상품을 구매자(210)에게 송부한다. 구매자(210)는 송부된 상품을 검사한 후, 자신이 예상한 정도의 품질에 맞다고 생각되면, 비로소 단계(S8)에서 결제 시스템(310)에 완전한 결제를 완료해 줄 것을 요청한다. 결제 시스템은 구매자(210)의 완전한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완전한 결제를 한 후, 단계(S9)에서 판매자에게 최종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을 일반적으로 Escrow방식이라 하는데, 도 7은 이 Escrow 거래 방식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전술한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의 구성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800)는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가 도달해야 할 구매자의 수신처(810), 즉, 전술한 구매자의 이메일 주소나 무선 단말기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해야 하고, 또한 구매자에게 확인받으면서 향후 결제 시스템에 전달되어야 할 상품 정보(820)를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결제 시스템에 전달되어야 할 결제 정보 입력란(830)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데, 어떤 정보를 필요로 할 것인가에 관해 당사자간에 미리 약속된 형태로 작성될 수 있도록 양식화된 것이다. 또한, 결제 시스템 연결 수단(840)을 내부에 포함하여야 한다. 보통 이 결제 시스템 연결 수단에 입력되어 있는 것은 구매자가 사전에 선정한 결제 신용 카드나 결제 계좌를 결제할 수 있는 금융사의 연락처 정보(가령 금융사 결제 시스템의 URL)이 포함된다.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은 구매자는 상품 정보를 확인한 후,결제 정보를 입력하고, 금융사의 결제시스템으로 연결하여 결제를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결제 시스템 연결 수단(840)에 포함된 금융사의 URL 등이 구매자 단말기의 전송부 입력 단자에 입력되어 자동적으로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들을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을 이해한 당업자라면 쉽게 코딩해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코딩예는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판매자 단말기는, 구매자가 구매할 상품 정보를 전송받는 주문 입력 수단과,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수단과,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에 상기 결제 시스템 연결 수단을 추가로 포함시키는 메시지 합성 수단과,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합성된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주문을 저장하여 둘 필요가 있으므로 저장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고, 또한 각 구매 요청마다 고유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합성 수단 및 전송 수단과 고유 식별자 부여 수단 등은 반드시 판매자 단말기가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가 대신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이 직접 결제 게이트웨이를 포함한 개념을 판매자 측 단말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매자, 판매자 및 결제 시스템 간의 데이터 통신에서 정보가 해킹 및 위/변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간에 암호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암호화키 및 상호인증을 위한 전자 인증키를 분배할 수 있으며, 또한 온라인상에서 상대방을 확인하기 위해서 전자인증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암호화 통신방법에는 알려진 바와 같은 단일키 암호화방식(예: DES, RC5, SEED) 또는 공개키 암호화(예: RSA)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인증 인증방법에는 제3의 인증 기관으로부터 자신의 공개키에 대해 전자서명을 받아 인증서(예: X509)를 기반으로 통신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종래의 결제 시스템에서는 카드 정보를 노출하지 않은 상태로 비접촉식 거래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였는데, 그 이유는 비 접촉식을 추구하는 방식이라면 일반적으로 판매자에게 구매 요청을 할 때 완전히 카드 정보를 노출해야 하거나(가령 amazon.com의 구매 방식), 또는 카드 정보를 노출하지 않기 위해서는 구매자가 자신의 카드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결제를 득한 후, 판매자와 대면/접촉하여 육안으로 이를 확인시켜 주어야 했기 때문이다. 즉, 이 두 문제는 서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놓여 있었다고 볼 수도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인터넷 등을 통한 전자상거래가 생각보다 활성화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본 발명에서는 판매자와 카드사 결제 시스템에 제공하는 정보를 차별화하고, 그 단계를 구분함으로써 기존의 신용카드 결제 방식, 또는 계좌이체 결제에서 문제가 되었던 구매자의 카드 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온라인 구매라는 장점을 충분히 소비자가 누릴 수 있는 완전한 비 접촉식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여 전술한 종래 결제 시스템의 단점을 단번에 해결하였다.
또한, 정보 노출을 제한하면서도 구매자 및 판매자와 카드사 결제 시스템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된 시스템을 제공하여, 복잡한 카드 결제에서 거래의 신뢰성및 정확성을 추구토록 하였다. 가령, 판매자의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는 거래 요청에 대한 판매자의 승낙 의사를 표시하며, 이러한 승낙 표시에 부가하여 상품 정보 등을 구매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품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결제 시스템에 자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수단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유기적인 연결 시스템이 손쉽게 구축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잡한 비접촉식 카드 결제를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활성화 될 모바일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카드결제 전용 단말기 대신에 일반적인 인터넷 브라우징이 가능한 PC등의 단말기나 휴대폰 등의 무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중간 단계를 과감히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 및 판매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반드시 신용 카드 결제 뿐 아니라, 계좌이체 등을 통한 결제시에도 상기의 특징을 이용하여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계좌이체 직접결제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구매자 측 단말기는 PC, 휴대폰 및 PDA 등 ,현재와 미래에 나타날 모든 유무선 단말기가 가능하며, 판매자 측도 구매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한, 무선 단말기를 통신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해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상기 제시된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들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4)

  1. 온라인 상에서 상품 주문을 결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구매할 상품 정보 및 이를 결제할 결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요청을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아 결제하는 결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구매할 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지만,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에게는 전송되지 않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를 경유한 상품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가 전송받은 후,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의해 결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결제 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기는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가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 시스템에 접속하고,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는 상기 구매할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구매자가 사전에 제공한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연결 정보를이용하여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시스템은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시스템은 계좌이체 결제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기는 유선 및 무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구매자가 구매할 상품 정보를 전송받는 주문 입력 수단과,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구매자에게 반송하여 구매 의사를 최종 확인하기 위한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수단과,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에 상기 결제 시스템 연결 수단을 추가로 포함시키는 메시지 합성 수단과,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합성된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상기 상품 주문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상기 상품 주문에 대해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는 구매 식별자 부여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입력 수단, 상기 메시지 생성 수단, 상기 메시지 합성 수단 및 상기 메시지 전송 수단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수단들이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은 구매자가 사전에 제공한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시스템은 이 구매자 단말기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경제적으로 가치있는 유무형의 모든 거래 가능한 대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와 구매자 단말기 사이에 연결되어 위치하면서,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중계하는 중계게이트웨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시스템.
  15. 온라인 상에서 상품 주문을 결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매자 단말기가 제공하는 상품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결제 시스템이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결제 시스템이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요청이 결제되었음을 증명하는 메시지를 판매자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품 정보는 판매자 단말기를 경유한 정보이며, 상기 결제 정보는 판매자 단말기에게는 전달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를 경유한 상품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가 전송받은 후,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결제 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결제 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기는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가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 시스템에 접속하고,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는 상기 구매할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구매자가 사전에 제공한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자의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구매 의사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시스템은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시스템은 계좌이체 결제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기는 유선 및 무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에는 구매자가 사전에 제공한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시스템은 이 구매자 단말기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경제적으로 가치있는 유무형의 모든 거래 가능한 대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이 결제되었음을 증명하는 메시지를 판매자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시스템과 상기 판매자 단말기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주문 결제 방법.
KR1020010048752A 2000-08-14 2001-08-13 온라인 직접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0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1/001381 WO2002017178A1 (en) 2000-08-14 2001-08-14 Online direct settlement system and the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896 2000-08-14
KR1020000046896A KR20000063971A (ko) 2000-08-14 2000-08-14 온라인 신용카드 역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032A true KR20010090032A (ko) 2001-10-18

Family

ID=196830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896A KR20000063971A (ko) 2000-08-14 2000-08-14 온라인 신용카드 역결제 시스템
KR1020010048752A KR20010090032A (ko) 2000-08-14 2001-08-13 온라인 직접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896A KR20000063971A (ko) 2000-08-14 2000-08-14 온라인 신용카드 역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0006397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878B1 (ko) * 2004-07-23 2007-01-04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Ic칩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0768843B1 (ko) 2003-10-20 2007-10-22 박양우 콜백 url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지로고지 및자가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6570B1 (ko) * 2000-05-22 2008-03-0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인터넷을 통한 신용카드 결제 서버
WO2008130153A2 (en) * 2007-04-19 2008-10-30 Jin Yong Joo Settlement system of accounts by on-line and settlement method thereof
WO2009061162A2 (en) * 2007-11-09 2009-05-14 Young-Su Kim Payment system and method using message transmis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574B1 (ko) * 2001-06-25 2004-06-19 주식회사 아이캐시 전자화폐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3859A (ko) * 2001-12-12 2002-03-29 박봉광 신용카드 사용자 직접 결제승인 신청 방법
KR20040011844A (ko) * 2002-07-30 2004-02-11 전재성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한 금융결제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96979B1 (ko) * 2002-10-11 2005-06-2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Uri 개념을 이용한 역지불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6214A1 (en) * 1996-08-08 1998-02-12 Raymond Anthony Joao Financial transaction, authorization, notification and security apparatus
KR20000012391A (ko) * 1999-12-02 2000-03-06 이재규 인터넷 상에서의 전자결제방법 및 시스템
KR20000037471A (ko) * 2000-04-26 2000-07-05 이재권 대금 결제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000036972A (ko) * 2000-04-03 2000-07-05 박병준 구매 의사 확인이 가능한 전자 상거래 방법
KR20000049648A (ko) * 2000-04-20 2000-08-05 이상빈 무선망 기반 결제승인장치 및 결제승인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6214A1 (en) * 1996-08-08 1998-02-12 Raymond Anthony Joao Financial transaction, authorization, notification and security apparatus
KR20000012391A (ko) * 1999-12-02 2000-03-06 이재규 인터넷 상에서의 전자결제방법 및 시스템
KR20000036972A (ko) * 2000-04-03 2000-07-05 박병준 구매 의사 확인이 가능한 전자 상거래 방법
KR20000049648A (ko) * 2000-04-20 2000-08-05 이상빈 무선망 기반 결제승인장치 및 결제승인방법
KR20000037471A (ko) * 2000-04-26 2000-07-05 이재권 대금 결제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570B1 (ko) * 2000-05-22 2008-03-0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인터넷을 통한 신용카드 결제 서버
KR100768843B1 (ko) 2003-10-20 2007-10-22 박양우 콜백 url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지로고지 및자가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64878B1 (ko) * 2004-07-23 2007-01-04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Ic칩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WO2008130153A2 (en) * 2007-04-19 2008-10-30 Jin Yong Joo Settlement system of accounts by on-line and settlement method thereof
WO2008130153A3 (en) * 2007-04-19 2008-12-18 Jin Yong Joo Settlement system of accounts by on-line and settlement method thereof
WO2009061162A2 (en) * 2007-11-09 2009-05-14 Young-Su Kim Payment system and method using message transmission
WO2009061162A3 (en) * 2007-11-09 2010-07-15 Young-Su Kim Payment system and method using message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971A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63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online payments based on an established payment agreement
JP5348711B2 (ja) サードパーティ支払い処理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60085328A1 (en) Secure online commerce transactions
US20060242058A1 (en) Transaction system
CA3049789C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ed consumer payment
CN104662569A (zh) 对非互联网连接的设备的电子支付及系统和方法
WO2000075843A1 (en) Internet payment system
JP2003514316A (ja) オンラインコマースのための支払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10090032A (ko) 온라인 직접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6708A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AU2011100451B4 (en) Online transaction system
KR20080048645A (ko) 은행의 에스크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24375A (ko) 거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JP5918995B2 (ja) 支払処理方法およびその支払処理に用いる銀行サーバ
KR20020064473A (ko) 전자지갑과 통합된 전자 지불 보증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AU2004100516A4 (en) Purchasing goods or services on the Internet
KR100372950B1 (ko) 인터넷상의 전자상거래 내역 통보방법
KR20020074534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
KR20220143616A (ko)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WO2002017178A1 (en) Online direct settlement system and the methods thereof
KR20050025762A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결제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JP2003044775A (ja) 電子商取引方法、電子商取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20000988A (ko) 전자 상거래 결재 및 과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결재 및과금 방법
KR20020027768A (ko) 인터넷 전자 상거래의 매출번호를 이용한 신용카드 승인방법 및 시스템
KR20010088518A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인증의 전자금융거래서비스방법 및 서비스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