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425A - Portable mobile station including a standby function and a standby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rtable mobile station including a standby function and a standby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425A
KR20060122425A KR1020050044888A KR20050044888A KR20060122425A KR 20060122425 A KR20060122425 A KR 20060122425A KR 1020050044888 A KR1020050044888 A KR 1020050044888A KR 20050044888 A KR20050044888 A KR 20050044888A KR 20060122425 A KR20060122425 A KR 20060122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ortable terminal
attempt
driving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8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89060B1 (en
Inventor
노세용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4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060B1/en
Publication of KR2006012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4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0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standby function and a standby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provided to enable a control unit to determine whether a us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sensing data, and to operate driving preparation for one or more components having the time required to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determination result, and to convert a mode of the components into a standby mode, thereby more accurately sensing the attempt and more promptly responding to the use attempt, and improving the accuracy of sensing. An input part(4) receives user's command. A communication part(10) forms communication channels with outer devices for receiving service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ext, a video, or a voice from an extra outer device. A memory(8) stores a driving program for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application program for converting the service data into an output data in order to provide the service data to users. An output part(6) outputs the output data. A sensor part(2) senses a use attempt that a us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duces sensing data. A control part(1) determines whether the us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or not by using the sensing data, and operates driving preparation for one or more components having the time required to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determination result, and converts a mode of the components into a standby mode.

Description

동작 대기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 방법{Portable Mobile Station Including A Standby Function And A Standby Method Thereof}Portable Mobile Station Including A Standby Function And A Standby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접촉 감지형, 압전형, 자기 감지형 센서부의 적용 경우를 나타낸 도면.Figure 2a is a diagram showing a case of applying a touch sensing, piezoelectric, magnetic sensing sensor.

도 2b는 도 2a의 센서를 사용할 경우, 센서부의 설치 위치분포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Figure 2b is a simplified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distribution of the sensor unit when using the sensor of Figure 2a.

도 2c는 이동 감지형, 가속도 감지형 센서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Figure 2c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movement-sensitive, acceleration-sensitive sensor.

도 3은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알고리즘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 chart briefly illustrating a sensing algorithm for detecting a user's usage attempt.

도 4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 주기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고려한 경우의 센서부 동작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 chart brief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ensor unit in consideration of a user's use period of a mobile terminal and a frequency of use of an application program.

도 5는 시간별 사용자의 이용시도 감지 횟수의 집중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5 is a view briefly showing the concentra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attempts to detect the use time.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방법을 나타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for driving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종래의 구동 준비 소요시간을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riving preparation time.

도 8은 본 발명의 구동준비소요시간을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a drive preparation time requ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선행 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preceding driving agent program for executing an operation wait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이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단말기 전력사용량은 최소화시키면서도 사용자의 이용요구에 즉각적으로 응답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through the sam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waiting for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 immediately respond to a user's use while minimizing terminal power consumption.

최근, 휴대 단말기 또는 이와 연관된 계통의 단말기들은 많은 사람들의 소지 물품 중 빼놓을 수 없는 필수적인 구성이 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종래의 음성통화서비스, 데이터 통신, 멀티미디어 서비스, MP3, 게임기와 같은 미디어 서비스를 비롯해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포괄적 기능의 단말기로 발전해가고 있다. 이는 사용자 계층의 확대, 사용 인구의 증가, 사용 및 휴대의 편리성 및 이에 부합하는 기술발전이 융합되어 이루어진 결과라 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or related systems of terminals have become an essential component indispensable among many people's belongings. Such portable terminals are being developed into a comprehensive function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cluding media services such as a conventional voice call service, data communication, multimedia service, MP3, and game machine. This is a result of the convergence of the expansion of the user base, the increase in the use population, the ease of use and portability, and the corresponding technological developments.

이와같은 휴대 단말기는 컴퓨터, 반도체 및 이와 관련된 전자 관련 산업의 기술발전과 접목되어 불과 몇년 전에는 고가, 고성능의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 PC)에서도 실현하지 못했던 프로그램들의 실행과 관련 기능의 수행이 가능해졌다. 또한, 사용자들의 확대 및 증가에 따른 다양한 요구의 수용과, 경쟁 기업과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종 서비스 관련 프로그램들이 휴대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와 연계된 시스템에서 실현가능하도록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These mobile terminals, combined with technological advances in computers, semiconductors, and related electronics industries, are able to execute programs and perform related functions that were not realized in expensive, high-performance personal computers (PCs) just a few years ago. . In addition, in order to accommodate various demands as users expand and increase and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s from competitors, various service-related programs are being developed to be realized in systems linked to mobile terminals and portable terminals. .

이러한 사용자 대상 서비스로는 최근 시험 방송을 마치고 본격적인 상용서비스에 돌입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이하 "DMB"라 함)을 포함하는 미디어 서비스(Media Service),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위치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하 "GIS"라 함), 각종 게임, 음악, 동영상 촬영, 정지영상 촬영 및 이와 같은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비롯해서, 기본적인 데이터 송수신, 메일, 인터넷 서비스가 포함된다.Such services for users include media services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s (GPS), includ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which has recently completed a test broadcast and entered a full-scale commercial service.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GIS"), various games, music, video recording, still image shooting and additional services related to the transmission of such data, including basic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il , Internet services are included.

이러한 각종 서비스는 많은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 복잡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의 실행,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고속처리가 가능해짐으로 인해 실현될 수 있게 되었다. 이와같은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처리는 집적도 및 용량이 증가된 메모리(Memory Device)의 개발과 보급, 고속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의 개발 및 소형의 대용량 배터리의 보급으로 가능해졌다.These various services can be realized due to the storage and processing of a lot of data, the execution of complex application programs, and the high-speed processing of various programs and data. Such processing of programs and data has been made possible by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memory devices with increased density and capacity,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central processing units (CPUs), and the dissemination of small, large-capacity batteries.

한편, 휴대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자체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일부 부가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며, 사용자의 기본 생활시간 동안 항시 이용 가능한 대기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이는 위와 같 은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건이다. 특히, 휴대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사용중에 상용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가 희박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되는 소형 전원 즉, 배터리의 용량과 사용시간을 고려해야만 하는 한계가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basically provides its own functions to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some additional data services are smoothly provided, and the mobile terminal has a limitation of keeping the standby state available at all times during the basic life time of the user. This is an essential requirement to be preceded even in the case of providing such a high quality servic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service, the mobile terminal rarely uses commercial power while in use, so that a small power source attach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a battery capacity and a use time are used. There are limitations that must be taken into account.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휴대 단말기를 개발하는 업체들 및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제한된 조건내에서도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보편적인 기능이 유휴시간(Idle State) 대의 소비전력 최소화를 목적으로 한 절전모드의 채택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와 키 패드의 전원 들을 수 초단위로 온 오프하여 사용전력을 최소화하거나, 유휴 상태에서 통신 시스템과의 최소 전력 통신을 위해 통신 절차의 간소화등을 통해 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Despite these limitations, companies developing mobile terminals and companies providing services using the mobile terminals offer various methods for providing the best service even under limited conditions. The most common among them is the adoption of a power saving mode for the purpose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in idle state. That is,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turned on and off every few seconds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or to simplify the communication procedure for the minimum power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idle state. hav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PC와 달리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시에만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끔 하고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항시 전력의 공급이 가능한 PC와 달리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형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소비전력의 감소를 위한 방안은 앞서 말한 고품질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시간적 지연이 뒤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최소전력 상태를 유지하기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최소화 또는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게 되면, 해당 시점에서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명령 입력 후에도 수 초 내지 수 분 정도의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처리장치의 성능 한계와, 전력 사용의 최소화로 인해 발생하는 필연적인 지연시간이다.In more detail, unlike a PC us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es a program only when used so that a user can use a service. This is beca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a small battery, unlike the PC that can always supply power as described above. However, such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has a problem that the above-described time delay for providing a high quality service.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kept in a state of minimizing or stopping execution of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to maintain the minimum power state when the user does not use it. In this state, when a user performs a procedure for using a specific service, a program for providing a service that the user wants to use at that time is executed. Therefore, the user must wait a few seconds to several minutes even after inputting a command for using the service. This is an inevitable delay caused by the performance limitations of processing devices mount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minimization of power usage.

이와 달리, 사용자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부응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항시 대기 상태(All Time Standby Mode)로 유지할 경우, 배터리의 소모로 인해 휴대 단말기를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kept in the All Time Standby Mode in order to immediately respond to the user's dem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tual time for which the mobile terminal can be actually used is drastically reduced due to battery consumption. .

이로인해, 휴대 단말기의 전력사용량은 최소화시키면서도 사용자의 이용요구에 즉각적으로 응답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제공방법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in th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mmediately responding to a user's use request while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우선, 단말기 전력사용량은 최소화시키면서도 사용자의 이용요구에 즉각적으로 응답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waiting for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can immediately respond to a user's use request while minimizing terminal power consumption.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제 1 목적의 달성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보다 명확히 감지하고 보다 즉각적인 대응 및 감지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과,센서의 동작 시점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using the various types of sensors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to more clearly detect the user's attempts to use, more immediate response and improved detection accuracy, and the timing of operation of the sensor And a method.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모두 포함하는 부분과, 다양한 휴대 단말기에서 전력사용량은 최소화시키면서 사용자의 이용요구에 즉각적인 응답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both the software and hardwar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tandby method for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mmediately responding to the user's request while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in various portable terminals. To provide.

한편,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센서부에서 작성되는 센싱 데이터의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여, 실제 이용시 적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cific example of the sensing data generated in the sensor unit,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in actual use.

그리고,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패턴 데이터를 누적하여 작성하고, 이 이용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지시점, 진위 이용시도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보다 명확하고 정확하게 감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mulate and use a user's use pattern data, and to provide a method of detecting a user's use attempt more clearly and accurately by using the use pattern data to determine a detection time point and authenticity use attempt. It is.

아울러, 본 발명의 제 6 목적은 이용패턴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용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서부를 제어하며, 구동준비소요기능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using a pre-drive agent program for creating the use pattern data, controlling the sensor unit using the use pattern data,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e preparation func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별도의 외부 장치로부터 문자,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통신부, 휴대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과,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상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용 시도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작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구동에 필요한 소요시간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동준비를 수행하여 상기 구성요소를 동작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n external device for receiving service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ext, an image, and a voice from an input unit to which a user's command is input and a separate external device.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form a memory, a driving program for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application program for converting the service data into output data for providing the service data to the user, and for outputting the output data. An output unit,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user's attempt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to create sensing data,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the sensing data, and required for driving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One or more with tim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driving preparation for the component and to switch the component to an operation standby st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 방법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단계와;In addition, the operation wait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a user's use attempt to use the mobile terminal, the step of detecting the use attempt;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휴대 단말기 진위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구동에 필요한 소요시간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동준비를 수행하여 동작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기능의 사용을 위한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대기 상태의 상기 구성요소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Creating sensing data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uses the authenticity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ensing data; and for at least one component having a time required for driving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Performing a driving preparation to switch to an operation standby state, inputting a user's command for use of the function, and driving the component in the operation standby state in response to the command.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Other features and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above object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 센서부(2), 입력부(4), 출력부(6), 메모리부(8) 및 통신부(1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 a sensor unit 2, an input unit 4, an output unit 6, a memory unit 8, and a communication unit 10.

센서부(2)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용 시도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Sensing Data)를 작성하고, 작성된 센싱 데이터를 제어부(1)에 제공한다. 이 센서부(2)는 유휴 상태(Idle State)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를 접촉 또는 이동하는 시점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2)는 접촉 감지형, 열 감지형, 이동 감지형, 압력 감지형 및 가속도 감지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센서부(2)는 제어부(1)로부터의 센싱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의 주기로 사용자의 이용 시도를 감지한다. 센서의 종류에 따른 센서부(2)의 구체적인 동작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sensor unit 2 detects a user's attempt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creates sensing data, and provides the generated sensing data to the controller 1. The sensor unit 2 detects a time when the user touches or moves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in an idle state. To this end, the sensor unit 2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types of sensors, including touch sensing, heat sensing, movement sensing, pressure sensing and acceleration sensing. Then, the sensor unit 2 detects a user's attempt to use at a predetermined cycle by the sens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1. Specific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sensor unit 2 according to the type of senso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제어부(1)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유휴 상태의 구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입력부(4), 통신부(10), 메모리부(8) 및 출력부(6)를 동작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1)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 데이터를 작성하여 메모리부(8)에 기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 주기와 자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장치 또는 기능의 사용빈도를 계산하여 메모리부(8)의 이용 패턴 데이터 영역에 기록한다. 그리고, 제어부(1)는 기록된 이용 패턴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할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시점에 센서부(2)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이용 시도를 감지한다. 아울러, 제어부(1)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 시도가 감지되면, 구동에 필요한 준비시간 즉, 구동 준비시간이 비교적 긴 구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입력부(4), 통신부(10), 메모리(8) 및 출력부(6)와 같은 구성요소 중 일부를 사용자의 명령 입력 시점 이전에 동작 대기 상태 로 전환시킨다. 이를 통해 제어부(1)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 전에 구성요소 중 일부를 구동시켜, 이 구성요소를 사용자의 사용 직전 상태 즉, 동작 대기 상태(Standby Mode)로 전환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1)는 사용자의 구성요소의 이용 명령 입력 후 발생 하는 구동 준시 시간을 사용자의 이용 시점 이전으로 앞당김으로써, 사용자 비교적 긴 시간을 대기함으로써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 determines whether the us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the sensing data,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idle program, the application program, the input unit 4, the communication unit 10, the memory unit 8, and the output unit. The unit 6 is switched to the operation standby stat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 creates the user's portable terminal use data and records it in the memory unit 8. For exampl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and the frequency of use of frequently used application programs, devices or functions are calculated and recorded in the usage pattern data area of the memory unit 8. In addition, the controller 1 determines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user attempts to detect the user using the recorded usage pattern data, and drives the sensor unit 2 to detect the user's attempt at using the determined time point. In addition, when the user's attempt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cted, the controller 1 may prepare a driving time required for driving, that is, a driving program having a relatively long driving preparation time, an application program, an input unit 4, a communication unit 10, and a memory 8. And some of the components such as the output unit 6 are switched to the operation standby state before a user inputs a command.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1 drives some of the components before the user inputs the command, and converts the components to a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user's use, that is, a standby mod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 may minimiz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waiting for a relatively long time of the user by advancing the drive dimming time generated after the input of the use command of the user's component to before the user's use time.

입력부(4)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아 제어부(1)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4)는 마이크와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음성 입력 장치와, 키패드(Key Pad), 터치패드(Touch Pad Or Touch Screen)와 같은 접촉식 입력 장치 및 카메라와 같은 촬열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4 receives a user's comman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 To this end, the input unit 4 includes a voice input device through which voice data from a user is input, such as a microphone, a touch input device such as a keypad, a touch pad or a touch pad, and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camera. It can be configured as.

출력부(6)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일 경우, 출력부(6)는 제어부(1)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 및 데이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는 각종 서비스를 영상 및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출력부(6)는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 장치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모니터와 같은 영상 출력장치를 구비한다.The output unit 6 outputs and provides a resul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output unit 6 provides the user with a video and audio output device through the video and audio output devices, the audio signal and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 and various services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provide. To this end, the output unit 6 includes an audio output device such as a speaker, and an image output device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ELD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monitor.

메모리부(8)는 휴대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과,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서, 구동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운용을 위한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 OS)과, 센서부(2), 입력부(4), 출력부(6), 메모리부(8) 및 통신부(10)의 초기화, 구동 및 운용을 위한 구동 드라이버(Driver)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응용 프로그램, Application Program)은 센싱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시도를 파악하고, 사용자에 의한 휴대 단말기 사용시 구동준비소요기능(LTNF)을 동작대기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선행구동 프로그램(Standby Program)을 포함한다. 그리고, 메모리부(8)의 이용패턴 데이터영역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 주기, 사용시간과 이용 빈도가 높은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이용 패턴 데이터가 저장된다.The memory unit 8 stores a driving program for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application program for converting the service data into output data in order to provide service data to the user. The driving program includes an operating system (OS), a sensor unit 2, an input unit 4, an output unit 6, a memory unit 8, and a communication unit 10 for overall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rive driver for initialization, driving, and operation. The application program (or application program) is a stand-by program for identifying a user's attempt to use by sensing data and for switching the driving readiness function (LTNF) to an operation standby state when the user uses a mobile terminal. ). The usage pattern data area of the memory unit 8 stores usage pattern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a user's portable terminal usage cycle, usage time, and programs with high usage frequency.

통신부(10)는 별도의 외부 장치로부터 문자, 영상 및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그리고, 통신부(10)는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에 제공함과 아울러, 제어부(1)를 통해 중계되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통신부(10)는 휴대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해 질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이면, 통신부(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통신채널 형성이 가능한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데이터 통신 전용 단말기일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 WLAN), 블루투스(Bluetooth), 유비쿼터스(Ubiquitous), 지그비(Zigbee)등의 데이터 통신망과 통신 가능한 데이터 통신 모듈이 구비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전파식별 기능을 가질 경우의 통신부(10)는 RFID 리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가 휴대용 영상/음향 재생장치나 휴대용 게임기일 경우 즉, 외부 장치와의 지속적인 통신이 불필요한 경우, 통신부(10)는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이 가능한 포트, 근거리 적외선 통신 포트, 휴대용 저장 장치의 소켓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unit 1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external device to receive service data for providing text, video, and voice services from a separate external devic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0 provides data received through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to the control unit 1 and transmits data relayed through the control unit 1 to an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10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portable terminal. That is, if the portabl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1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data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Bluetooth, Ubiquitous, Zigbee, etc. A data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has a radio wave identification function, the communication unit 10 may include an RFID reade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video / audio playback device or a portable game machine, that is, when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is unnecessary, the communication unit 1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by wire, a near-infrared communication port, or a portable storage device. It is possible t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ocket of the device.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센서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들로, 도 2a는 접촉 감지형, 압전형, 자기 감지형 센서부의 적용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센서를 사용할 경우, 센서부의 설치 위치분포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c는 이동 감지형, 가속도 감지형 센서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application of the touch sensing, piezoelectric, magnetic sensing sensor unit, Figure 2b is to use the sensor of Figure 2a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position distribution of the sensor unit is briefly shown. In addition, Figure 2c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movement-sensitive, acceleration-sensitive sensor.

이미 도 1에서 말한 바와 같이 센서부(2)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 시점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속도 감지형, 이동 감지형, 접촉 감지형, 열 감지형, 자기 감지형, 압전형 및 압력 감지형 센서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는 다른 종류의 센서를 둘 이상 사용하여 복합적으로 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already mentioned in FIG. 1, the sensor unit 2 is for detecting a user's point of use of a mobile terminal, and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ing type, a movement sensing type, a touch sensing type, a heat sensing type, a magnetic sensing type, a piezoelectric type, and a pressure sensing type. It can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a type sensor. In addition, the sensor unit 2 may be operated in combination by us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sensors.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통상의 휴대 단말기는 주머니, 가방과 같은 곳에 들어 있거나, 책상과 같은 물체에 놓여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단순히 이동시키거나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2a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불특정 부분을 쥐게 된다. 만약 이때,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의도가 있다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편리한 방향으로 고쳐잡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흔히 '폴더'라고 불리는 닫힌 형태의 단말기들은 케이스, 플립 또는 일부분을 개방하는 과정을 먼저 진행해야 한다. 이러한 개방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이동과 같은 경우와 달리 휴대 단말기의 외부 케이스를 잡는 방법을 도 2a와 같이 변경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기가 휴대용 영상/음향 재생기기일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바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키조작을 하게되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를 잡는 방법이나 손의 위치는 한정되게 된다.When a user uses a portable terminal,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in a state such as a pocket or a bag or placed on an object such as a desk. In this case, in order for a user to simply move or use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grasps an unspecified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2A. If this is the case, the user intends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er goes through a process of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in a convenient direction. For example, a portabl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losed terminals, commonly referred to as "folders", must first proceed with opening a case, flip, or part.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opening process, the user changes the method of holding the outer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2A, unlike the case of moving the portable terminal. Similarly, ev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video / audio reproducing apparatus, even when the user rotates or key-operates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right direction to drive the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of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or hand position is limited. do.

이와 같은 경우, 도 2b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이용할 경우에 사용자의 손이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12) 압력센서, 접촉센서, 열 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압전형 센서, 자계센서와 같은 접촉 감지형 센서를 설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초기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단계에서의 손의 위치 또는 잡는 방법과 이용을 위한 손의 위치 또는 잡는 방법을 구분하여 감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보다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서는 종류가 다른 센서를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B, when the user uses the components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the part 12 in which the user's hand is expected to be located is a pressure sensor, a touch sensor, a thermal sensor, an infrared sensor, a piezoelectric sensor, A touch sensing sensor such as a magnetic field sensor is install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distinguish and sense the position or the holding method of the hand in the step of initially moving or rota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sition or the holding method of the hand for use. In particular,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user's attempt to use it is preferable to use a mixture of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sensors.

한편, 도 2c와 같이 이동 감지형 센서(14)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이동 감지형 센서 중에서 가속도 센서의 경우, 소형으로 휴대 단말기 내에 실장하는 것이 용이하고,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최근 사용 범위가 확대됨으로 인해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되고 있으므로,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센서부를 구현할 경우 제조 비용의 상승에 따른 부담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c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14. In particular, the acceleration sensor among the movement sensing sensors can be easily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due to its small size, and can be driven at low power, thereby no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since the acceleration sensor has been widely distributed at a low price due to the recent expansion of the use rang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due to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when implementing the sensor unit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센서부(2)를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한 경우, 사용자가 가방, 주머니와 같은 보관장소에서 휴대 단말기를 꺼내거나, 테이블 등에 놓여진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이동 유무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이용 시도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2)에서 측정되는 휴대 단말기의 이동 유무와 제어부(1)에서 기록되는 이동 시간을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의 이용 시도를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확인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를 이동 시키는 시간은 1초이고,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이동 시키는 시간은 1.5초가 소요될 경우, 센서부(2)는 휴대 단말기의 이동 유무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작성하고, 작성된 센싱 데이터를 제어부(1)에 제공한다. 제어부(1)는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이동 유무 정보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이동한 시점의 시각을 기록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의 이동이 없음을 알리는 센싱 데이터가 제어부(1)에 제공되면, 제어부(1)는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이동 소요시간이 1초에 근접한지 1.5초에 근접한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외에도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의 가속 방향, 가속 방향의 전환 횟수, 가속의 지속시간, 가속 및 감속의 발생 간격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 시도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ensor unit 2 is implemented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moved when the user takes out the portable terminal from a storage place such as a bag or a pocket, or moves the portable terminal to use a portable terminal placed on a table or the like. The user's attempt to use is detected. In this case, the user's attempt to use may be determined by using the movement time of the portable termi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 and the movement time recorded by the control unit 1 together.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mobile terminal to confirm the mobile terminal for 1 second and the time for moving the mobile terminal to take 1.5 seconds, the sensor unit 2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moved. The sensing data is generated by sensing, and the generated sensing data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 The control unit 1 records the time at which the portable terminal mov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nsing data. On the other hand, when sensing data indicating that there is no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 the controller 1 calculates the time required for the movement,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vement time is close to 1 second or close to 1.5 seconds. Done. In addition,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is used, the user's attempt to use the mobile terminal can be determined us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acceleration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number of switching of the acceleration direction, the duration of the accelera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occurrence of the acceleration and the deceleration.

이 이동 감지 센서는 저주파, 초음파와 같은 가청 주파수 영역외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방식과 휴대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방식을 모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압력센서는 자계에 의해 유발되는 전계를 검출하는 방식의 홀 센(Hall Sensor)를 이용할 수 있다. 온도 센서의 경우, 망간, 니켈, 코발트와 같은 금속 산화물과 반도성 티탄산바륨을 이용하여 제작된 센서가 보 편화 되어있으며, 저렴한 제조 가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 온도 센서의 경우, 온도에 따른 저항변화를 통해 온도를 검출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용이하며, 대표적으로 온도 상승에 따라 저항값이 작아지는 NTC 서미스터(Negative Thermal Coefficient Thermister)와, 온도 상승에 따라 저항값이 커지는 PTC 서미스터(Positive Thermal Coefficient Thermister)가 있다. 아울러, 적외선 감지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 or IR Detector)의 경우, 사용자의 몸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것으로 단일 소자형(Single Element Type), 복수 소자형(Dual Element Type)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The movement sensor may use both a method using a frequency outside the audible frequency range, such as low frequency and ultrasonic waves, and a method of converting energ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nto electricity. 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may use a Hall sensor that detects an electric field caused by a magnetic field. In the case of a temperature sensor, a sensor made of metal oxides such as manganese, nickel, and cobalt and semiconducting barium titanate is widely used, and can be implemented at a low manufacturing price. In the case of this temperature sensor, it is easy to use a method of detecting temperature through a resistance change with temperature, typically a NTC thermistor (Negative Thermal Coefficient Thermister) whose resistance value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rises, and a resistance as the temperature rises. There is a PTC thermistor (Positive Thermal Coefficient Thermister) that increases in valu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assive infrared sensor or an IR detector, both a single element type and a dual element type may be used by detecting infrared rays generated from a user's body.

도 3은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알고리즘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briefly illustrating a sensing algorithm for detecting a user's use attempt.

휴대 단말기의 센서부(2)는 사용자의 단말기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센서부(2)는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센서부(2)를 항시 감지 대기 상태(All_Time Standby Mode)로 운용할 경우, 센서부(2)를 통해 많은 양의 전력이 소모되게 된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는 전원으로 소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제약이 따르는만큼, 휴대 단말기의 센서부(2)가 항시 감지 대기 상태로 유지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3은 이러한 센서부(2)의 센싱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간단한 흐름도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The sensor unit 2 of the portable terminal performs an important function of detecting a user's attempt to use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the sensor unit 2 may use various types of sensors. However, when the sensor unit 2 is always operated in a sensing standby state (All_Time Standby Mode), a large amount of power is consumed through the sensor unit 2. As mentioned above,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sensor unit 2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lways kept in a sensing standby state because the portable terminal is restricted from using a small battery as a power source. 3 illustrates a method for determining a sensing time of the sensor unit 2 through a simple flowchart.

도 3을 참조하면 전원을 켠 뒤의 휴대 단말기는 유휴 상태에서 사용자의 명령이나 외부 장치로부터의 접속을 대기하게된다(S10). 이때, 제어부(1)는 메모리 부(8)의 센싱 조건값(cond)을 초기화 한다. 여기서, 센싱 조건값(cond)은 시간과 같은 일정 조건에 따라 그 값이 변화하는 변수로서 휴대 단말기의 센싱 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값이다. 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terminal after turning on the power waits for a user's command or a connection from an external device in an idle state (S1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 initializes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of the memory unit 8. Here,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is a variable whose value chang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such as time, and is a value for determining a sensing period of the mobile terminal.

S10 단계에서 센싱 조건값이 초기화되면, 휴대 단말기의 센서부(2)는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게 된다(S20). 여기서, 감지 결과에 따라, 메모리부(8)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구동되거나, 하드웨어가 동작대기상태로 전환되는 등의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When the sensing condition value is initialized in step S10, the sensor unit 2 of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a user's use attempt (S20). Her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unit 8 is driven, or the hardware is switched to an operation standby state.

반면에 S20 단계에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는 센싱 조건값(cond)과 기준 조건값(Re_cond)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재감지할 것인지 판단하게 된다(S30). 여기서, 기준 조건값(Re_cond)는 감지 시점의 결정을 위해 센싱 조건값(cond)과 비교하기 위해 미리 저장되거나, 사용자의 이용주기 정보등에 의해 변화되는 값으로 시간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센싱 조건값(cond)이 기준 조건값(Re_cond)을 만족하는 경우 센서부(2)는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다시 감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s usage attempt is not detected in step S20, the controller 1 of the portable terminal compares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and the reference condition value Re_cond, and determines whether to redetect the user's usage attempt. It is made (S30). Here, the reference condition value Re_cond may be stored in advance to be compared with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detection time, or the time information may be recorded as a value changed by the user's use period information. In this case, when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satisfies the reference condition value Re_cond, the sensor unit 2 detects the user's use attempt again.

한편, S30 단계에서 센싱 조건값(cond)이 기준 조건값(Re_cond)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어부(1)는 센싱 조건값(cond)을 변화시키게 된다. 이때, 센싱 조건값(cond)으로 시간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1)는 센싱 조건값(cond)에 기록된 시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증가 또는 감소 시켜야할 시간 단위가 1초일 경우, 제어부(1)는 센싱 조건값(cond)에 기록된 시간 정보를 1초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게 된다(S40).Meanwhile, if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does not satisfy the reference condition value Re_cond in step S30, the controller 1 changes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In this case, when time information is used as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the controller 1 increases or decreases the time recorded in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For example, when the time unit to be increased or decreased is 1 second, the controller 1 increases or decreases the tim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ensing condition cond by 1 second (S40).

센싱 조건값(cond)이 변화되면, 변화된 센싱 조건값(cond)이 기준 조건값(Re_cond)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 즉, 센싱 조건값(cond)에 시간정보가 기록되고 S40 단계에서 센싱 조건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면, S30 단계에서 증가 또는 감소된 센싱 조건값(cond)에 포함된 시간정보와 기준 조건값(Re_cond)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비교하게 된다(S30). 예를들어, 100초의 주기로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할 경우, 기준 조건값(Re_cond)은 100초가 된다. 또한, 최도 이용시도 감지시의 센싱 조건값(cond)은 초기화 직후이므로 0이된다. 최초의 이용감지 시도 후 S30 내지 S40 단계를 반복하면서 센싱 조건값(cond)의 값은 0, 1, 2... 와 같이 1초단위로 증가하게 된다. 이후, 센싱 조건값(cond)이 기준 조건값(Re_cond)을 충족하는 값 즉, 센싱 조건값(cond)이 100초가 되면, 센서부(2)는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다시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준 조건값(Re_cond)를 조정함으로써 이용시도 감지주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통해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원활하게 감지하면서 소모되는 전력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is changed, it is again determined whether the changed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satisfies the reference condition value Re_cond. That is, when time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and the sensing condition value increases or decreases in step S40,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condition value Re_cond included in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increased or decreased in step S30. Compared with the time information stored in the (S30). For example, when the user attempts to use the device every 100 seconds, the reference condition Re_cond becomes 100 seconds. In addition, since the sensing condition cond at the time of detecting the maximum use is immediately after initialization,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becomes 0. After the first attempt to detect the use, the values of the sensing condition cond are increased in units of 1 second, such as 0, 1, 2, while repeating steps S30 to S40. Thereafter, when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satisfies the reference condition value Re_cond, that is, the sensing condition value cond is 100 seconds, the sensor unit 2 detects the user's attempt to use again. In this way, by adjusting the reference condition value Re_cond, the detection period can be changed even when using the devic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while smoothly detecting the user's use attempt.

도 4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 주기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고려한 경우의 센서부 동작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brief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ensor unit in consideration of a user's use period of a mobile terminal and a frequency of use of an application program.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이용시도 감지 주기는 일정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방식으로 간단하게 구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 3에서 언급한 방법에 사용자의 습관에 관한 정보를 추가할 경우 이용시도 감지 주기를 보다 정교하게 확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예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는 주기와 주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빈도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시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동작대기상태로 전환하여 사용자가 시간지연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shown in FIG. 3, the user's use attempt detection cycle may be simply implemented in a manner that elapses over a predetermined time. However, when the information on the user's habit is added to the method mentioned in FIG. 3, the detection period can be more precisely determined. This example is shown in FIG. 4. In FIG. 4, a user's use attempt is sensed in consideration of a period in which a user uses a terminal and a frequency of use of an application program mainly us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pplication program,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application program to the operation standby state when the us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inconvenience due to time delay.

도 4를 참조하면, 전원이 켜진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거나 외부로부터의 통신 요청을 대기하기 위한 유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00). 유휴 상태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시도를 일정시간마다 감지하게 된다(S120). 일정시간마다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항시 감지 대기 상태로 센서부(2)를 운용하게 될 경우 발생되는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다.Referring to FIG. 4, the powered-on portable terminal maintains an idle state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or waiting for a communication request from the outside (S100). The idle portable terminal detects a user's attempt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at a predetermined time (S120). As described above, detecting the user's attempt at a predetermined time is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generated when the sensor unit 2 is operated in a sensing standby state at all times.

S120 단계에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감지되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는 기존의 구성요소 중 사용빈도(n_app)가 가능 높은 기능을 동작대기상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사용빈도에 대한 데이터가 확보되어 있지 않거나, 동일한 사용빈도를 가지는 구성요소가 존재할 경우, 이 구성요소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판단 요소를 더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사용빈도를 가지는 구성요소로 바탕화면 정보 출력 프로그램과, 카메라 촬영기능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현재 시간대에 주로 사용하는 구성요소를 동작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최근에 사용한 구성요소에 우선권을 두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S150).When the user's usage attempt is detected in step S120, the controller 1 of the portable terminal switches a function having a high possible use frequency n_app among the existing components to an operation standby state. Here, when data on the frequency of use is not secured, or when there is a component having the same frequency of use, it is possible to further apply other determination factors for determining the priority of the component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re are desktop information output programs and camera shooting functions as components having the same frequency of use, the components that are mainly used in the current time zone are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or recently used components.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ethod to give priority to (S150).

휴대단말기가 사용빈도가 높은 구성요소를 동작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는 최근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한 시간과 현재시각을 이 용하여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간격(t_se)을 계산한다. 또한, 제어부(1)는 계산된 휴대 단말기 사용간격(t_se)을 이용하여, 평균 사용간격(t_seav)를 산출하게 된다(S160).When the portable terminal switches the frequently used components to the standby operation state, the controller 1 of the portable terminal calculates the interval of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t_se of the user using the time and current time the user recently used the terminal. do. In addition, the controller 1 calculates an average usage interval t_seav using the calculated mobile terminal usage interval t_se (S160).

아울러,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동작대기상태로 전환된 구성요소를 이용하는지, 다른 구성요소를 이용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이용한 구성요소의 사용빈도(n_app)를 산출한다(S170). 이때, 산출된 구성요소의 사용빈도(n_app)는 이후에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선행 구동될 구성요소의 선정을 위해 S150 단계에서 판단 근거로 사용된다. 제어부(1)에 의해 평균 이용시도 시간 주기(t_seav) 및 사용빈도(n_app)를 산출하는 동안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구성요소 또는 기타 기능을 이용한 뒤 휴대 단말기의 이용을 종료하게 된다(S180).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user uses the component that has been switched to the operation standby state or other components, and calculates the frequency of use (n_app) of the component used by the user (S170). In this case, the calculated frequency of use of the component (n_app) is used as a basis of determination in step S150 to select the component to be driven before, if the user lat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While calculating the average use time t_seav and the use frequency n_app by the controller 1, the user ends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after using the component or other function to be used (S180).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이용을 종료하며, 휴대 단말기는 다시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기 위해 일정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별도의 조건이 없다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최근 휴대 단말기를 사용한 후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이 경과했는지 또는 마지막 이용 시도 감지 이후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30).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이 경과될 때 까지 휴대 단말기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40).The user terminates the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check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order to detect the user's use attempt again. At this time, if there is no separate condition,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average usage attempt time t_seav has elapsed since the user recently used the portable terminal or whether the average usage attempt time t_seav has elapsed since the last use attempt detection. It becomes (S130). If the average usage attempt time t_seav has not elapsed, the portable terminal maintains a standby state until the average usage attempt time t_seav has elapsed (S140).

반면에,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이 경과했으면,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S120). 이때, 이용시도가 감지되지 않으면 S130, S140 및 S120 단계를 선택적으로 반복하여,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verage usage attempt time t_seav has elapsed, it is again determined whether the user's usage attempt is detected (S120). At this time, if the usage attempt is not detected, the steps S130, S140, and S120 may be selectively repeated to periodically detect the user's usage attempt.

도 5는 시간별 사용자의 이용시도 감지 횟수의 집중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briefly showing the concentra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attempts to detect use time.

도 5를 참조하면, 도 4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경우,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마다 1회의 이용시도 감지를 수행하면, 이용시도 감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의 전후의 일정한 기간에 이용시도 감지 횟수를 일정비율로 증가시켜 이용시도의 감지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의 그래프에서 마루와 마루 사이의 간격은 평균 이용시도 시간(t_seav)이 된다. 이 마루의 전후로 일정한 시간 동안, 센서부(2)를 일시적인 항시 감지 대기상태로 전환하여 사용자의 이용시도 발생을 대기한다. 또한, 일시적인 항시 감지 대기상태의 전후에는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2)의 구동을 짧은 시간 간격으로 수행하여, 평균 이 E시도 시간(t_seav)의 전후에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보다 정확히 감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when detecting a user's use attempt by the method as shown in FIG. 4, if one use attempt detection is performed for each average use try time t_seav, a problem may occur that the detection efficiency of the use decreases. have.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use attemp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detection attempts at a constant rate in a predetermined period before and after the average use attempt time t_seav. That is, in the graph of FIG. 5, the interval between the floor and the floor becomes the average use time t_seav.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is floor, the sensor unit 2 is temporarily switched to a standby state for waiting at all times to wait for a user's use attempt. In addition, before and after the temporary always-time detection standby state, the driving of the sensor unit 2 for detecting the user's usage attempt is performed at a short time interval, so that the user's use may occur before and after the average E attempt time t_seav. The degree is more accurately detected.

이와같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이용하기 위해 비교적 긴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구동준비소요기능은 구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와 입력부(4), 통신부(10), 메모리(8) 또는 출력부(6)와 같은 하드웨어(Hardware)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구동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휴대 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 OS), 각 장치 및 서비스 기능의 구동을 위한 구동 드라이버(Drvier)를 포함한다.In such a portable terminal, a driving preparation function that requires a relatively long time for a user to use is a software such as a driving program, an application program, an input unit 4, a communication unit 10, a memory 8, or an output. Applicable to all of the hardware (part 6). Here, the driving program includes an operating system (OS) for operating a basic mobile terminal, and a driving driver (Drvier) for driving each device and a service function.

또한,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주기는 휴대 단말기 사용 주기 즉, 평균 이용시도 주기(t_seav)의 대략 1 내지 1/1,000,000의 주기내에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용시도 감지주기를 평균 이용시도 주기(t_seav)의 1/100 내지 1/1000 주기내에서 결정하는 것이 사용자의 이용시도 감지 정확도를 높일 수 있어 더 바람직하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이용시도 감지주기를 평균 이용시도 주기(t_seav)의 1/1,000,000에 근접한 시간이나, 이보다 더 짧은 시간으로 하게 되면,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정확도는 높아지지만, 필요이상의 전력소모를 야기할 문제점이 있다. 이 이용시도 감지주기는 휴대 단말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빈번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평균 이용시도 주기(t_seav)가 매우 짧아지며,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적은 휴대용 게임기와 같은 경우는 평균 이용시도 주기(t_seav)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 개인의 성향에 따라 같은 종류의 단말기를 사용하더라도 평균 이용시도 주기(t_seav)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용시도 감지주기를 일정한 값으로 한정하는 것은 바람지하지 않다.In addition, the period of detecting the user's usage attempt is preferably determined within a period of approximately 1 to 1 / 1,000,000 of the portable terminal usage period, that is, the average usage attempt period t_seav.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o determine the usage detection period within 1/100 to 1/1000 periods of the average usage attempt period t_seav, since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usage time can be improved. As mentioned above, if the usage detection period is close to 1 / 1,000,000 of the average usage attempt period (t_seav) or shorter than this,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usage attempt is increased, but it may cause more power consumption than necessary. There is a problem. In this use, the detection period may vary depending on the mobile terminal. In case of frequent us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average use attempt period (t_seav) becomes very short, and in the case of a portable game machine with relatively low use frequency, the average use attempt period (t_seav) becomes longer than tha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ause it can. In addition, even if the same type of terminal is used according to the personal preference of the user, since the average use attempt period t_seav may vary, it is not recommended to limit the detection period to use at a constant value.

아울러, 본 발명에서 언급한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피디에이(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용 오디오 기기, 휴대용 정지/동영상 재생 기기, 휴대용 브이오디(VOD) 기기, 휴대용 게임기, 알에프아이디 리더(RFID Reader)와 같은 단말기들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구성요소와 같이 구동 준비에 비교적 긴 시간을 필요로하는 경우 손쉽게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DA, smart phone, portable audio device, portable still / video playback device, portable VOD device, portable game machine, RF ID Terminals such as a RFID reader. In addition, it can be easily applied if the component requires a relatively long time to prepare the drive.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 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for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용하지 않는 상태의 단말기는 유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310). 이 유휴 상태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이 입력되거나 이용 시도가 있기 전까지 유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유휴 상태의 단말기들은 사용 용도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가방, 핸드백, 의복의 주머니, 테이블, 책상과 같은 곳에 보관된다.Referring to FIG. 6, the terminal in a state that is not used by the user maintains an idle state (S310). The idle mobile terminal remains idle until a command from a user is input or an attempt is made. In addition, the terminals in the idle state may be stored in a place such as a bag, a handbag, a pocket of clothes, a table, a desk,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이와 같이 유휴 상태를 유지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한 시도(또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320). 예를 들어, 책상에 놓여 있는 휴대 단말기를 집어들거나, 주머니에 들어 있는 휴대 단말기를 꺼내어드는 과정,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바로 잡는 과정,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를 여는 과정, 휴대 단말기를 펼치는 과정등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시도의 예로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간단하게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원활히 사용하기 위해서, 위의 예와 같은 행동을 할 경우, 사용자의 신체가 휴대 단말기에 접촉되는 부분이나, 행동 절차등은 일정한 패턴을 나타내게 된다. 즉, 휴대 단말기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일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부 폴더를 위로 젖히는 행동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손으로 하부 폴더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상부 폴더를 열거나, 한손의 네 손가락과 손바닥은 휴대 단말기를 단단히 쥐고, 엄지손가락을 폴더 사이에 집어 넣는 행동을 통해 폴더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그 이전 단계 즉, 사용자가 테이블, 책상 또는 의복 주 머니에 들어있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유리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에서도 유사한 패턴을 찾아볼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바지 뒷 주머니에 휴대 단말기를 집어 넣고 다닌 경우 바지 뒷 주머니에 있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단말기를 바지 뒷 주머니로부터 꺼내는 행동을 취해야 한다. 이때, 바지 뒷 주머니에 들어있는 휴대 단말기는 특정할 수 없는 형태로 보관되므로, 이를 꺼낸 사용자는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손의 위치를 변경해야만 한다. 이러한 손의 위치 변경, 압력의 변화, 체온의 감지 등이 이용 시도로 간주될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use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maintain the idle state or to use the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performs an attempt (or a procedure) fo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S320). For example, picking up a mobile terminal on a desk, taking out a mobile terminal in a pocket, correcting the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opening a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nd unfolding the mobile terminal. It can be considered as an example of the usage attempt for using the terminal. As briefly mentioned above, in order for the user to use the mobile terminal smoothly, if the user acts as in the above example, the part where the user's body is in contact with the mobile terminal or the behavioral procedure may have a certain pattern. do. 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should act to flip the upper folder upward in order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To do this, the lower folder is held by one hand and the upper folder is opened by the other hand, or the four fingers and palms of one hand hold the mobile terminal firmly and the folder is opened by inserting a thumb between the folders. Similar patterns can also be found in the previous steps, i.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user's portable terminal in a table, desk or clothing pocket to an advantageous position. For example, when a user puts a mobile terminal in the back pocket of the pants, in order to use the mobile terminal in the back pocket of the pants, the user must take out the terminal from the back pocket of the pants. 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contained in the back pocket of the pants is stored in an unspecified form, so the user who takes it out must change the position of the hand for convenient use. Such hand changes, changes in pressure, sensing of body temperature, and the like may be considered attempts of use.

유휴 상태의 단말기에 위에서 언급한 예,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한 시도를 행할경우, 휴대 단말기는 이와같은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게 된다(S330).When the user attempts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above-described example or a similar method to the id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such a user's attempt (S330).

이용시도를 감지한 휴대 단말기의 센서부(2)는 센싱 데이터를 작성하게 된다(S340). 작성되는 센싱 데이터는 센서부(2)를 구성하는 센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작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와 열감지 센서가 혼합되어 구성된 센서부(2)의 경우,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발생한 시점에서의 압력 분포와, 열분포 또는 압력 변화, 열변화와 같은 센싱 데이터를 작성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를 사용한 경우, 휴대 단말기의 이동 유무, 가속도의 크기, 지속시간과 같은 내용이 센싱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성된 센싱 데이터는 센서부(2)로부터 제어부(1)에 제공된다.The sensor unit 2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detects the use attempt generates sensing data (S340). The generated sensing data may be gen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sensor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2.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ensor unit 2 in which a pressure sensor and a heat sensing sensor are mixed, sensing data such as pressure distribution, heat distribution or pressure change, and heat change at the time of a user's use attempt are generated. In addition,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is used, contents such as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moved,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and the d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data. The sensing data thus produced is provided from the sensor unit 2 to the control unit 1.

센싱 데이터를 제공받은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는, 센싱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한 진위 이용시도인지, 허위 이용시 도인지를 판별하게 된다(S350). 즉,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잡는 위치를 변경했는지, 휴대 단말기를 이동시키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인지와 같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이용 패턴 데이터에 의해 변경되는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가 실제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려 하는 것인지 파악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1 of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the sensing data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use attempt is an authentic use attempt or a false use attempt fo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S350). That is, the user actually attempts to use the mobile terminal by data that is set in advance, such as whether the user changes the holding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when the time for moving the mobile terminal is longer than the set time, or is changed by the user usage pattern data. Will figure out if you do.

판단 결과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진위 이용시도라고 판단되며, 휴대 단말기는 구성요소들 중 동작대기상태 대상 기능을 동작대기상태로 전환하게 된다(S360). 동작대기상태 대상 기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빈도(n_app)와 같은 데이터에 의해 결정하게 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use attempt is an authentic use attempt, and the portable terminal switches the operation standby state target function among the components to the operation standby state (S360).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standby state target function is determined by data such as the frequency of use (n_app) of the user.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일부 또는 전체가 동작대기상태로 전환되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된다(S370). 이때, 사용자는 동작대기상태로 전환된 구성요소를 이용할 경우, 별도의 대기 시간없이 이용하거나, 종래보다 짧아진 구동 시간을 기다렸다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동작대기상태로의 전환 종료시간보다 사용자의 명령 입력이 빠른 경우도 발생할 수 있지만, 이때에도 구성요소는 동작대기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종래보다 짧은 시간에 구성요소를 사용할 수 있게된다.When on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witched to the operation standby state, a user's command is input (S370). In this case, when the user uses the component switched to the operation standby state, the user may use the apparatus without a separate waiting time or wait for a driving time shorter than before. In this case, the user's command input may occur faster than the end time of switching to the operation standby state. However, since the component is a process of switching to the operation standby state, the user may use the component in a shorter time than before. Will be.

한편, S350 단계에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허위 이용시도일 경우 단말기는 사용자의 진위 이용시도가 입력될 때까지,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게 된다(S350, S330).Meanwhile, when the user's use attempt is a false use attempt in step S350, the terminal periodically detects the user's use attempt until the user's authentic use attempt is input (S350, S330).

도 7은 종래의 구동 준비 소요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driving preparation time required.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유휴상태(S310)에서 명령 입력(또는 명령선택)시점(S330)까지 유휴상태 즉, 예비준비시간(t1)을 유지하게 된다. 이 예비준비시간(t1) 동안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시도(S320)을 수행하게 되지만, 이를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감지하지 못했었다. 때문에,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이용시도 시점이 명령 입력시점(S330)과 동일하게 취급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된 후에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구동하게 된다. 이때, 구동완료(S340) 시점 즉,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기까지에는 구동 준비시간(t2)만큼의 지연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 구동 준비시간(t2)은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의 처리능력, 구동소요기능(LTNF)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의 처리량, 입력부(4), 출력부(6), 메모리부(8) 및 통신부(10)와 같은 장치군의 응답속도 및 처리속도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다양한 서비스 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일 수록 필연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구동준비시간(t2)만큼의 시간을 기다린 후 기능구동의 완료시점(S340)에서야 비로소 선택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된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동 및 활성시간(t3)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의 종료시점(S350)은 다시 휴대 단말기가 유휴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이 된다.Referring to FIG. 7,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maintains an idle state, that is, a preliminary preparation time t1, from an idle state S310 to a command input (or command selection) time point S330. During this preliminary preparation time t1, the user performs the use attempt S320 fo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but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did not detect this.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the user's use time is treated the same as the command input time (S330). Therefore, after the user's command is input,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riven. At this time, a delay of the driving preparation time t2 is inevitably generated until the driving completion time (S340), that is, the user-selected function becomes available. The driving preparation time t2 is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control unit 1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throughput of data and programs for executing the driving required function LTNF, the input unit 4, the output unit 6, and the memory unit 8 And there may b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sponse speed and processing speed of the device group, such as the communication unit 10, but the components that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or functions will necessarily be longer. After the user waits for the driving preparation time t2, the user can use the selected function only at the completion point of function driving (S340). Thereafter, the portable terminal maintains a driving and activation time t3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The end point S350 of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is a time poin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idle state.

이렇듯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구동준비시간(t2)와 구동준비소요시간(t_dr)이 동일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the driving preparation time t2 and the driving preparation time t_dr are the same.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구동준비소요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drive preparation time requ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예비 준비 시간이 도 7의 이용시도시간(t4) 만큼 감소된다. 즉 종래와 달리 본발영에서는 예비 준비시간(t1)이 이용시도시간(t4)만큼 앞당겨지게 되고, 그 결과 종래의 예비 준비시간(t1)에 비해 상당히 짧아진 시간을 가지는 예비준비시간(t1')으로 변경횐다. 그리고, 종래에는 실제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하고 해당 명령을 입력한 후 선택한 기능의 구동이 완료되는 구동 준비시간이 명령입력(S330)에서 기능 구동 완료(S340) 시점 사이의 기간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구동준비시간(t2')이 종래와 달리 이용시도시점(S420)에서 기능 구동시점(S430) 사이의 시간으로 변경된다. 특히, 기능구동시점(S430)이 명령입력시점(S430)이전이거나 적어도 명령입력시점(S430) 직후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대기시간이 없거나 매우 짧이지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좀 더 설명을 하자면, 종래에는 도 7에서와 같이 구동준비시간(t2)가 사용자의 대기 시간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 대기시간이 없거나, 매우 짧은 시간이 된다.Referring to FIG. 8, the preliminary preparation time is reduced by the use time t4 of FIG. 7. In other words, unlike the prior art, the preliminary preparation time t1 is advanced by the use time t4, and as a result, the preliminary preparation time t1 'having a significantly shorter time than the conventional preliminary preparation time t1. Changed to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a driving preparation time for completing driving of a selected function after the actual user selects a function and inputs a corresponding command was a period between a command input (S330) and a function driving completion (S340) time poin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preparation time t2 'is changed from the time point of use S420 to the time between function driving time S430 unlike the conventional art. In particular, since the function driving time S430 is before the command input time S430 or at least immediately after the command input time S430, the user's waiting time is very short or very short. More specifically, in the related art, the driving preparation time t2 may be used as the user's waiting time as in FIG. 7,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use waiting time or a very short time.

그리고, 사용자가 실제로 선택한 기능을 사용하게 되는 구동활성시간(t3')는 도 8에서와 같이 명령 입력시점(S440)부터 종료 시점(S450)까지의 시간이며, 오히려 기능구동완료시점(S430)과 명령입력시점(S440)의 사이에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대기하는 명령입력대기시간(t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는 낭비되던 이용시도시간(t4)를 활용함과 동시에, 구동준비시간(t2)이 명령입력시점(S440) 이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구동을 위한 지연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driving active time t3 'to use the function actually selected by the user is a time from the command input point S440 to the end point S450 as shown in FIG. 8, and rather, the function driving completion point S430. The command input waiting time t5 is formed between the command input time point S440 and the portable terminal waits for a user's command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wasted use time t4, which is wasted in the related art, and reduces the delay time for driving which the user feels by allowing the drive preparation time t2 to be located before the command input time S440. It becomes possible.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선행 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preceding driving agent program for executing an operation wait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좌측에 표현된 S610, S620, S630, S640, S650, S660 단계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이며, 우측의 S611, S621, S631, S641, S651은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구동을 나탠것이다. 또한, 이들 상호간의 정보 및 데이터 교환은 점선으로 나타내었다.Referring to FIG. 9, steps S610, S620, S630, S640, S650, and S660 represented on the left side of FIG. 9 represent ope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nd S611, S621, S631, S641, and S651 on the right side are pre-drive agents. The program will be run. In addition, the exchange of information and data between them is shown by a dotted line.

S600 단계에서 유휴상태를 유지하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이용하기 위한 시도를 행하게 된다(S610). 한편 S600 단계의 휴대 상태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최소 전력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구동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때,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만을 실행하게된다(S611). 즉, 항시 대기 상태로 유지할 경우, 전력 소모가 증가하는 구성요소의 구동은 정지하고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만을 실행하게 된다. 유휴상태의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된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할 시점을 결정하여 센서부(2)를 제어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주기적인 이용시점을 파악하여, 휴대 단말기가 해당 시점에 이르렀을때,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센서부(2)로 하여금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621). 이와같이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으로부터 감지명령(Sensing Order : SO)를 제공받은 센서부(2)는 S620 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이용시도 감지되지 않으면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센선부(2)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유휴상태로 전환하여 전력소를 줄인다. 또한,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이요패턴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시점을 판단하여 재 감 지 시점을 결정하게된다.In operation S600, an attempt is made by the user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maintaining the idle state (S610). Meanwhile, the portable state terminal of step S600 is not driven except for an operation program for the minimum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is time, only the pre-drive agent program is executed (S611). That is, if the standby state is always maintained, driving of the component that increases power consumption stops and executes only the pre-drive agent program. The pre-drive agent program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idle state determines the point of time when the user attempts to use the control unit 2 to control. That is, as described above, by identifying the user's periodic use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reaches the corresponding time, the pre-drive agent program controls the sensor unit 2 to detect the user's use attempt ( S621). As such, the sensor unit 2 that receives the sensing command (SO) from the preceding agent program detects the user's use attempt as in step S620. At this time, if the user's usage is not detected, the pre-drive agent program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nsor 2 or switches to the idle state to reduce the power station. In addition, the pre-drive agent program determines the point of re-detection by determining the point of time when the user is expected to use the user through the pattern data.

S620 단계에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감지되면, 센서부(2)는 센싱데이터를 작성하여 제어부(1)에 제공한다. S620단계에서 센싱데이터(SD)를 제공받으면, S631단계에서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진위 이용시도인지 허위 이용시도인지 판단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허위 이용시도를 판단될 경우,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S611, S621 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진위 이용시도를 감지할 때까지,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감지하게 된다.When the user's use attempt is detected in step S620, the sensor unit 2 generates the sensing data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1. When the sensing data SD is provided in step S620, the preceding driving agent program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use attempt is authentic or false use attempt in step S631. In this case, when the user's use attempt is determined to be a false use attempt, the pre-drive agent program detects the user's use attempt until the user's authentic use attempt is detected as in steps S611 and S621.

한편, S631 단계에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진위 이용시도라고 판단되면, S641단계에서, 선행 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사용자 이용패턴데이터에 포함된 구성요소 사용빈도와 같은 데이터를 통해 동작 대기상태로 전환할 구동준비소요기능을 선택하고, 선택된 구성요소를 동작대기상태로 전환시킨다. S641 단계에서 선택된 구성요소는 S640단계에서 동작대기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선택된 구성요소가 동작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S650 단계에서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됨과 동시에 명령에 해당되는 구성요소가 구동되어 사용자가 이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use attempt is the authentic use attempt in step S631, in step S641, the preceding driving agent program is ready to drive to the operation standby state through the data such as the component use frequency included in the user use pattern data Select the required function and put the selected component into the standby mode. The component selected in step S641 maintains the operation standby state in step S640. While the selected component maintains the operation standby state, the user's command is input in step S650 and the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is driven to be used by the user.

한편, 사용자이 이용명령이 입력되며, S651단계에서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이용패턴 데이터를 작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user inputs a usage command, and in step S651, the pre-drive agent program creates the usage pattern data of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은 단말기 전력사용량은 최소화시키면서도 사용자의 이용요구에 즉각적으로 응답하 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andby operation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immediately respond to the user's demand while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과,센서의 동작 시점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보다 명확히 감지하고 보다 즉각적인 대응 및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waiting for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using various types of sensors, and providing a timing and method of operating a sensor to more clearly detect a user's use attempt, and improve immediate response and detection accuracy. It becomes possible.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은 전력사용량은 최소화시키면서 사용자의 이용요구에 즉각적인 응답이 가능한 방법을 휴대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휴대 단말기에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waiting for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software and hardware of the portable terminal but also to various portable terminals.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은 센서부에서 작성되는 센싱 데이터의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여, 실제 이용시에도 적용이 용이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waiting for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specific example of the sensing data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it is easy to apply even in actual use.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은 사용자의 이용패턴 데이터를 누적하여 작성하고, 이 이용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지시점, 진위 이용시도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보다 명확하고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ethod of waiting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mulate and use the user's usage pattern data, and use the use pattern data to determine the detection time and the authenticity of the user's usage attempt to more clearly determine the user's usage attempt. It is possible to detect accurately.

아울러,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은 선행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의한 동작 대기방법을 제공하여 이용패턴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용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서부를 제어하며, 구동준비소요기능의 구동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operation wait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waiting operation by a pre-drive agent program to create the use pattern data, control the sensor unit using the use pattern data, It becomes easy to drive control.

Claims (15)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와;An input unit to input a user command; 별도의 외부 장치로부터 문자,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통신부와;A communication unit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external device to receive service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text, video, and voice from a separate external device; 휴대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과,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a driving program for driving a portable terminal and an application program for converting the service data into output data for providing the service data to the user; 상기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와;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output data; 상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용 시도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작성하는 센서부와;A sensor unit configured to generate sensing data by detecting a user's attempt to use the mobile terminal;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구동에 필요한 소요시간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동준비를 수행하여 상기 구성요소를 동작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Determining whether the us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the sensing data, and performing driving preparation for one or more components having a required time for driving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to switch the components to an operation standby state And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부는The sensor unit 가속도 감지형, 이동 감지형, 접촉 감지형, 열 감지형, 자기 감지형, 압전형 및 압력 감지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sensor of an acceleration sensing type, a movement sensing type, a touch sensing type, a heat sensing type, a magnetic sensing type, a piezoelectric type, and a pressure sensing ty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부는 소정의 주기로 상기 사용자의 이용 시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sensor unit detects the user's attempt to use at a predetermined cyc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성요소소는The component element is 상기 구동 프로그램,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t least one of the driving program, the application program, the input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memory, and the output un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사용주기를 산출하고,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usage period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상기 소정의 주기는 상기 사용주기의 대략 1 내지 1/1000의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predetermined period is a period of approximately 1 to 1/1000 of the use period.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휴대 단말기는The mobile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 피디에이(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용 오디오 기기, 휴대용 정지/동영상 재생 기기, 휴대용 브이오디(VOD) 기기, 휴대용 게임기, 알에프아이디 리더(RFID Rea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It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DA, smart phone, portable audio device, portable still / video playback device, portable VOD device, portable game machine, RFID reader. Portable terminal.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발생하는 단계와;Generating a user's attempt to use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단계와;Detecting the use attempt;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와;Creating sensing data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휴대 단말기 진위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user uses the authenticity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ensing data;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구동에 필요한 소요시간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동준비를 수행하여 동작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Performing driving preparation on one or more components having a time required for driving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switching to an operation standby state; 상기 기능의 사용을 위한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와;Inputting a user's command for using the function; 상기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대기 상태의 상기 구성요소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 방법.Driving the component in the standby state in response to the command.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센싱 데이터는,The sensing data, 압력 분포와, 열분포, 압력 변화, 열변화, 휴대 단말기의 이동 유무, 가속도의 크기,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At least one of a pressure distribution, heat distribution, pressure change, heat change, the presence or absence of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the du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진위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Determining whether the authenticity is used, 상기 사용자의 이용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진위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uses the authenticity using the use pattern data of the user. 제 7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진위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Determining whether the authenticity is used,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용시도가 허위 사용일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용시도를 재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And if the user's use attempt is a false use, re-detecting the user's use attemp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사용자의 이용시도가 발생하는 단계는,The user's attempt to use occurs, 상기 구동준비소요기능의 선행 구동을 위한 선행 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And a pre-drive agent program for pre-drive of the drive preparation function.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용시도를 감지하는 단계는,Detecting the use attempt of the user, 상기 선행 구동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이용시도의 감지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detection time of the use attempt by the preceding driving agent program; 상기 감지 시점 결정에 따른 감지 명령을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And generating a sensing command according to the sensing time point determination.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감지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Determining the detection time point, 상기 사용자에 의한 이전의 이용시도시 작성된 사용자 이용패턴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And the user use pattern data created by the user at the time of the previous use is used. 제 7 항 또는 제 8 하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구성요소를 동작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는The step of switching the component to the standby operation state 상기 사용자 이용패턴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구성요소의 사용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대기상태로 전환할 상기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And selecting the component to be switched to the operation standby state by us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mponent included in the user usage pattern data.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구성요소의 구동 단계는,The driving step of the component, 상기 구동된 구성요소를 확인하는 단계와,Identifying the driven component; 상기 사용자의 이용패턴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대기방법.And generating a usage pattern data of the user.
KR1020050044888A 2005-05-27 2005-05-27 Portable Mobile Station Including A Standby Function And A Standby Method Thereof KR100689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888A KR100689060B1 (en) 2005-05-27 2005-05-27 Portable Mobile Station Including A Standby Function And A Standb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888A KR100689060B1 (en) 2005-05-27 2005-05-27 Portable Mobile Station Including A Standby Function And A Standby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425A true KR20060122425A (en) 2006-11-30
KR100689060B1 KR100689060B1 (en) 2007-03-02

Family

ID=3770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888A KR100689060B1 (en) 2005-05-27 2005-05-27 Portable Mobile Station Including A Standby Function And A Standby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0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943B1 (en) * 2007-02-05 201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power controlling aaccording to user pattern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v
US9167527B2 (en) 2009-09-16 2015-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277B1 (en) 2013-07-04 2020-07-28 삼성전자 주식회사 Image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00A (en) * 2002-12-05 2004-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Pow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943B1 (en) * 2007-02-05 201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power controlling aaccording to user pattern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v
US9167527B2 (en) 2009-09-16 2015-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US9485735B2 (en) 2009-09-16 2016-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US9693310B2 (en) 2009-09-16 2017-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US9854530B2 (en) 2009-09-16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US10111175B2 (en) 2009-09-16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US10993185B2 (en) 2009-09-16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060B1 (en)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3182B2 (en) User identification in cell phones based on skin contact
US8793519B2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ased on motion sensor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00039214A1 (en) Cellphone display time-out based on skin contact
CN101656795B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the mobile terminal
EP2602981B1 (en) Hand-held mobile terminal standby method, micro processor and cellular phone thereof
CN105528055B (en) Run the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of object
WO2017032123A1 (en) Video playback control method and device
TW201141269A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ell searching
KR20130129745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487680B (e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for terminal screenshotss
CN104539009A (en) Charging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CN106604375A (en) Dormancy device and method
CN107422977A (en) Trigger ac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7439023A (en) Acquisition request and the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system information
CN110268755A (en) Inactivity timer timeout treatment method and device
KR100689060B1 (en) Portable Mobile Station Including A Standby Function And A Standby Method Thereof
CN1050939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rt-stop of smart apparatus
CN109922098A (en) A kind of content share method, device and the device for content share
CN110636598B (en) Terminal power sav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5824474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as well as mobile equipment
BRPI0803062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method and product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455002A (en) Wireless search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CN105653186A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13242352A (en) Method and device for closing music playing program and computer equipment
JP2001223514A (en)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directivity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transmission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