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610A - 시청자의 기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콘텐츠-처리 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Google Patents

시청자의 기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콘텐츠-처리 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610A
KR20060111610A KR1020067012509A KR20067012509A KR20060111610A KR 20060111610 A KR20060111610 A KR 20060111610A KR 1020067012509 A KR1020067012509 A KR 1020067012509A KR 20067012509 A KR20067012509 A KR 20067012509A KR 20060111610 A KR20060111610 A KR 20060111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od
processing system
user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잔 클라아센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11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은 사용자(104)에게 프리젠테이션하는(103) 콘텐츠(102)를 처리한다.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은 상기 처리 동작(101)을 제어하기 위하여(108) 상기 사용자(104)로부터 명령들(107)을 수신하는(106) 입력 수단(105)을 가진다.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은 수신된(106) 명령들(107)에 따라 처리 동작(101)을 변경하도록(111) 구성된다.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은 검출된 기분(110)에 프레젠테이션(103)하거나 또는 예컨대 콘텐츠(102)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104)의 기분(110)을 검출하는 기분 검출기(109)를 가진다. 기분 검출기(109)는 입력 수단(105)에 결합되고(112) 수신된(106) 명령들(107)에 기초하여 상기 기분(110)을 검출한다.
콘텐츠-처리 시스템, 기분 검출기, 사용자의 기분

Description

시청자의 기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콘텐츠-처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ntent-process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nitoring the viewer's mood}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콘텐츠-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처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기분 검출기(mood detector)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분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도입부에 기술된 콘텐츠-처리 시스템은 WO 02/43391A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헌은 사용자에게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한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텔레비전 처리 콘텐츠의 형태로 콘텐츠-처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텔레비전은 처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들을 수신하는 입력 수단, 예컨대 원격 제어를 포함한다. 명령들의 예들은 볼륨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 및 이전 또는 이후에 사전 세팅된 채널과 같은 다른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텔레비전은 콘텐츠의 처리를 변경함으로써 수신된 명령들에 따른다. 텔레비전은 또한 사용 자의 현재 기분을 검출하는 기분 검출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분의 검출은 카메라에 의하여 사용자의 얼굴의 이미지를 포착하는 것에 기초한다. 기분 검출기는 이미지에 제공된 안면 표정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포착된 이미지를 분석한다. 검출된 기분은 사용자의 기분에 적합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추천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알려져 있는 콘텐츠-처리 시스템의 단점은 카메라에 의하여 이미지를 포착하고 안면 표정을 분석하는 과정이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복잡성 및 비용을 증대시킨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입부에서 기술된 타입의 콘텐츠-처리 시스템을 저비용으로 단순하게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들을 수신하는 입력 수단, 및 사용자 기분을 검출하고 입력 수단에 접속된 기분 검출기를 포함하는 콘텐츠-처리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되며, 이 콘텐츠-처리 시스템은 수신된 명령들에 따라 처리 동작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며, 기분 검출기는 수신된 명령들에 기초하여 기분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입력 수단에 의하여 수신된 명령들로부터 기분이 검출될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특히,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콘텐츠의 처리 변화의 명령들이 발생하면, 지루함 상태가 검출될 수 있다.
이미지를 포착하는 개별 수단을 가지는 것 대신에, 처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입력 수단은 기분을 검출하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기분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이 비교적 단순하고 비교적 저비용일 수 있도록 이미지를 포착하는 개별 수단 없이, 그리고 이미지를 분석하지 않고 또한, 안면 표정들을 검출하지 않고 검출될 수 있다.
미국특허 제5,808,703호는 원격 제어가 과도하게 사용될 때(채널 서핑(channel surfing)이 과도하게 이루어질 때)를 지시하기 위하여 텔레비전에 대한 원격 제어 장치와 같은 원격 제어 장치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전송을 검출하고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이 전송들을 카운트한다.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미리 결정된 최대수의 명령들이 수신될 때, 이에 대한 지시가 시청자에게 제공된다. 이러한 지시는 메시지를 번쩍이는 것과 같은 시각적 지시, 청각적 알람, 적외선 신호를 재밍(jamming)하여 원격 제어 장치의 디스에이블, 또는 장치의 턴-오프를 포함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의 자동적 제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콘텐츠-처리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한 콘텐츠를 처리한다. 콘텐츠-처리 시스템은 예컨대 수신기, 텔레비전 세트, 미디어 플레이어, 통신 장치, 스마트폰, 범용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정지 엔터테인먼트 장치, 이동 또는 착용 엔터테인먼트 장치, 게임 장치 또는 홈 시네마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의 일부일 수 있다. 콘텐츠는 예컨대 오디오 성분, 비디오 성분, 텍스트 성분, 촉각 성분, 또는 멀티미디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및 콘텐츠의 예들은 방송 이벤트, 텔레비전 프로그램, 라디오 프로그램, CD의 트랙, DVD의 트랙, SMS 메시지, MMS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메일 메시지, MIME 메시지, 웹 페이지, 웹 서비스, 정지화상, 사진, 영화, 오디오 클립, 비디오 클립, 광고 또는 게임이다. 콘텐츠는 메모리 내에 또는 매체 상에 국부적으로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콘텐츠는 매체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매체는 예컨대, 공기, 케이블, 광섬유, 인터넷 스트림, 멀티미디어, 웹캐스트, 광디스크, 고체상태 메모리, 또는 메모리 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포맷, 예컨대 MP3 포맷, MIME 포맷, SMS 포맷, MMS 포맷, EMS 포맷, DVB 포맷, DAB 포맷, HTML 포맷 또는 자바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콘텐츠는 파들로, 프레임들로, 패캣들로 또는 패킷들의 스트림으로 분배될 수 있다. 콘텐츠는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로 분배될 수 있다.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는 매체는 콘텐츠의 분배를 획득하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콘텐츠-처리 시스템은 처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의 명령들을 수신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입력 수단은 컴퓨터 입력 장치, 예컨대 키, 버튼, 마우스,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레이저 비틀(laser beetle),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감지장치일 수 있다.
명령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처리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방식에서, 명령은 동일한 매체, 예컨대 트랙과 같은 콘텐츠의 이후 또는 이전 부분, 장면, 뷰포인트, 스냅사진, 또는 통행으로부터 다른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방식에서, 명령은 다른 매체, 예컨대 이후 또는 이전 채널, 스트림, 광디스크 또는 메모리 뱅크로부터 다른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제3 방식에서, 명령은 두 개 이상의 성분들을 단일 프리젠테이션, 예컨대 오버레이 이미지, 오디오 채널들의 혼합 또는 보이스-오버(voice-over)에 혼합하기 위한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제4 방식에서, 명령은 콘텐츠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예컨대 거실 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태블릿 PC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핸드헬드 또는 착용가능 장치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오디오 디스플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제 5 방식에서, 명령은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렌더링되는 방법, 예컨대 볼륨 레벨, 속도, 템포, 휘도 레벨, 크기, 색, 폰트, 음향효과, 예컨대 잔향, 공간효과,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 또는 예컨대 패닝, 주밍, 머핑, 래스터라이징, 컬러라이징, 포스터리징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을 변경하기 위한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콘텐츠-처리 시스템은 수신된 명령에 따라 처리 동작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수신된 명령들이 콘텐츠-처리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처리 시스템은 사용자 기분을 검출하는 기분 검출기를 포함한다. 검출된 기분은 예컨대 행복, 흥분, 줄거움, 지루함, 피로, 나태, 열망, 활기, 느긋함, 슬픔, 불안함, 힘없음의 상태일 수 있다. 검출된 기분은 예컨대 힘없음이 검출될 때 도움을 제공하거나 또는 지루함이 검출될 때 강제적인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 기분에 적합한 콘텐츠 추천을 생성함으로써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기분 검출기는 입력 수단에 결합된다. 기분 검출기는 케이블 또는 도체들의 쌍과 같은 물리적 접속을 사용하여 입력 수단에 접속될 수 있으나 또한 수신된 명령을 나타내는 이벤트 또는 소프트웨어 신호의 교환에 의하여 예컨대 소프트웨어에 접속될 수 있다.
기분 검출기 및 입력 수단은 결합되어 동작되는 동안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입력 수단은 인터넷에 의하여 접속되는 동안 예컨대 서버 컴퓨터에 제공된 기분 검출기에 접속된 PDA와 같은 예컨대 클라이언트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기분 검출기는 자체적으로 분배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수의 컴퓨터들은 기분을 검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기분 검출기는 수신된 명령들에 기초하여 기분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분 검출기는 수신된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을 처리할 수 있다. 제1 양상은 예컨대 수신된 명령의 시맨틱(semantic)이다. 만일 예컨대 수신된 명령이 오디오 볼륨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면, 사용자는 현재의 콘텐츠에 흥미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는 수신된 명령이 다른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면 사용자가 현재의 콘텐츠를 지루하게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예는 수신된 명령이 액션 게임을 시작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경우에 사용자가 활성적일 수 있다는 점이다. 제2 양상은 예컨대 명령이 수신된 콘텍스트 또는 명령이 수신되는 시간에 시스템의 상태이다. 예는 만일 텔레비전이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원격 제어로부터 많이 눌러진 디지트들을 수신하면 예컨대 텔레비전이 텔레텍스트 페이지들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지루하게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시스템의 상태는 콘텐츠의 처리에 대한 세팅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예컨대 수신된 명령이 오디오 볼륨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면, 사용자는 현재의 오디오 볼륨 레벨이 극단적으로 크지 않은 경우에 흥미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제3 양상은 명령이 수신되는 시간과 관련될 수 있다. 이는 절대 시간일 수 있으나 선택적으로 상대 시간일 수 있다. 예들은 하루 중 시간, 프로그램 시작 시간과 같은 프로그램 스케줄 시간과 관련한 시간, 또는 명령이 수신된 시간 및 이전 명령이 수신된 시간간의 경과 시간이다. 제4 양상은 명령이 수신되는 동안 제공된 콘텐츠일 수 있다. 만일 고속 표정 액션 영화가 제공되는 동안 콘텐츠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기분은 편안하게 보일 수 있다. 제5 양상은 예컨대 수신된 명령들의 히스토리 및 히스토리의 패턴 또는 히스토리로부터 유도된 상태이다. 사용자는 시스템에 명령할 때 습관을 노출시키며, 습관은 기분을 검출하기 위하여 고려될 수 있다. 만일 예컨대 사용자가 하루 중 동일한 시간에 콘텐츠를 매일 선택하는 습관을 노출시키면, 선택 명령은 예컨대 사용자의 지루함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된 관련성일 수 있다. 이들 및 또 다른 목적들은 기분 검출기의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리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분 검출기는 수신된 명령들에서 패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패턴 분석 수단을 포함하며, 기분 검출기는 패턴의 존재 검출에 기초하여 기분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패턴이 기분에 대한 비교적 신뢰성 있는 지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분 검출기의 정확성을 강화할 수 있다. 패턴의 예는 콘텐츠의 소비보다 오히려 콘텐츠를 조정하는데 집중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은 전형적으로 이용가능 콘텐츠의 인덱스들 또는 개요들을 조사함으로써 수행된다. 인덱스들 및 개요들은 콘텐츠를 기술하는 소위 메타-콘텐츠의 예들이다. 만일 콘텐츠를 제공할 때보다 오히려 메타-콘텐츠를 제공하는데 비교적 긴 기간이 소비되면, 이는 사용자가 그에게 흥미있는 콘텐츠를 검색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만족하지 못한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메타-콘텐츠의 예들은 텔레비전 프로그램 스케줄, 예컨대 EPG, 다른 텔레텍스트 페이지들의 페이지 번호들을 리스트하는 텔레텍스트 페이지, 단순한 링크들 또는 URL들을 웹 페이지들에 제공하는 웹 점프 스테이션, 영화들의 라이브러리의 인덱스 또는 노래들, 및 웹 탐색 엔진의 웹 포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분은 지루함의 상태이며, 패턴은 수신된 명령들의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이다. 사용자의 특별하게 관련된 기분은 콘텐츠-처리 시스템이 사용자를 재미있게 하기 위하여 특별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지루함의 상태이다. 만일 예컨대 사용자가 콘텐츠에 의하여 지루하게 되면, 사용자는 다른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다른 콘텐츠에 대해서도 여전히 지루함을 느끼면, 사용자는 또 다른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명령들을 수신하는 것을 야기한다. 이러한 패턴은 수신된 명령들의 빈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콘텐츠-처리 시스템은 기분 검출기에 의한 지루함 상태의 검출에 응답하여 대안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콘텐츠-처리 시스템이 검출된 기분에 대안 콘텐츠를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장점을 가진다. 콘텐츠-처리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으로 대안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방식에서, 대안 콘텐츠는 콘텐츠에 대한 오버레이로서 제공된다. 오버레이는 다른 콘텐츠에 대한 암시를 제공할 수 있다. 오버레이는 다른 콘텐츠가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지시하는 심볼 또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콘텐츠의 예는 저장 장치,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비디오레코더(VCR 또는 PVR)에 의하여 저장되는 콘텐츠이다. 다른 콘텐츠의 다른 예는 저장되나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는 콘텐츠이다. 오버레이는 예컨대 음성 합성기에 의하여 생성된 보이스-오버 또는 혼합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식에서, 콘텐츠-처리 시스템은 콘텐츠-처리 시스템의 부분이거나 또는 콘텐츠-처리 시스템의 부분이 아닐 수 있는 출력 장치를 통해 대안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처리 시스템은 검출된 기분에 기초하여 대안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분 검출기는 수신된 명령들의 측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을 포함하며, 기분 검출기는 측정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기분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패턴을 검출하기 위한 보다 단순한 방식일 수 있다. 측정치는 예컨대 마지막 분에 수신된 명령들의 수일 수 있거나, 또는 마지막 10초동안 수신된 명령들의 가중 평균치 또는 수신된 명령들의 함수의 시간에 대한 컨벌루션일 수 있다. 임계치는 정수 및 부동소수점일 수 있으며 음 또는 양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측정수단은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포함하며, 측정 수단은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값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과거 또는 지금까지 수신된 모든 명령들이 값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기분 검출기를 추가로 단순화할 수 있다. 이는 수신된 각각의 명령에 대한 개별 표정들을 최소화하기 위한 필요성을 완화시킨다. 이 값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포맷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들은 전압 또는 전류, 부동소수점, 어레이 또는 테이블이다. 저장수단은 예컨대 커패시터, 인덕터, 래치, 레지스터, 플립플롭,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값의 업데이트는 예컨대 증가, 감소, 곱셈, 가중 합, 평균 또는 시간에 따른 컨벌루션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임계치는 명령을 수신할 때만 초과된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상기 임계치는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값을 업데이트하는데 충분하다. 이는 최소수의 업데이트들이 수행되어 에너지와 같은 자원들, 대역폭 및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계산 복잡성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측정수단은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 및 값을 증가 및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측정 수단은 수신된 명령에 따라 값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며, 측정 수단은 시간에 따라 값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임계치를 초과하는 수신된 명령들의 빈도를 비교적 단순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증가는 정수 및 부동소수점일 수 있으며 음 또는 양일 수 있다. 동일한 사항이 감소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증가는 수신된 명령이 콘텐츠를 변화시키는 경우에 0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텐츠-처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앞의 목적 및 특징들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할 때 더욱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처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분 검출을 기술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순차도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에서,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은 사용자(104)에게 프리젠테이션(103)하기 위하여 콘텐츠(102)를 처리한다.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은 텔레비전 세트, 디스크맨 또는 MP3-플레이어와 같은 미디어 플레이어, 인터넷 브라우저, 인터넷 라디오용 수신기 또는 게임 콘솔일 수 있으며, 또한 콘텐츠(102)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104)를 재미있게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처리동작(101)은 프리젠테이션(103)을 사용자(104)의 소망들에 맞추기 위한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은 처리동작(101)을 제어하기 위하여(108) 사용자(104)로부터 명령들(107)을 수신하는(106) 입력 수단(105)을 가진다. 사용자(104)는 입력 수단(105)에 명령들(107)을 제공함으로써 프리젠테이션(103)을 적합하게 맞출 수 있다. 입력 수단(105)은 장치상의 원격 제어 또는 버튼들일 수 있다. 명령들(107)은 예컨대 텔레비전 세트의 원격 제어상의 채널-업 및 채널-다운 버튼들을 프리젠테이션(103)하기 위하여 다른 콘텐츠(102)를 선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콘텐츠(102)는 DVB 포맷의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트이거나 또는 윈도우즈 미디어 포맷과 같은 인터넷 스트리밍 포맷의 웹캐스트일 수 있다.
콘텐츠(102)는 국부 저장 매체상에 저장된 노래 또는 영화, 예컨대 고체상태 메모리에 저장된 MP3 트랙의 포맷의 노래 또는 광학 디스크 상에 DVD 포맷으로 저장된 영화일 수 있다.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은 사용자(104)의 기분(110)을 검출하는 기분 검출기(109)를 가진다. 검출된 기분(110)은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이 사용자(104)의 기분(110)에 콘텐츠(102)의 프리젠테이션(103) 또는 콘텐츠(102)에 맞추도록 하기 때문에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검출된 기분(110)과 콘텐츠(102)를 매칭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은 수신된(106) 명령들(107)에 따라 처리 동작(101)을 변경하도록(111) 구성된다. 튜너는 채널-업 명령(107)의 수신(106)에 응답하여 사전 세팅된 주파수들의 리스트에서 다음으로 사전 세팅된 주파수에 동조될 수 있다. 만일 채널-업 명령(107)이 수신될 때(106) 리스트의 마지막 주파수에 미리 동조되는 경우에, 튜너는 채널-업 명령(107)의 수신(106)에 응답하여 리스트의 제 1 주파수에 랩 어라운드되고 또한 동조될 수 있다. 유사하게, 튜너는 채널-다운 명령(107)의 수신(106)에 응답하여 다른 방향으로 랩 어라운드될 수 있다.
기분 검출기(109)는 입력 수단(105)에 접속된다(112). 이는 기분 검출기(109)가 수신된(106) 명령들(107)에 따라 기분(110)을 검출하도록 한다. 접 속(112)은 수신된(106) 명령들(107)이 입력 수단(105)으로부터 기분 검출기(109)로 효과적으로 통신되도록 한다.
기분 검출기(109)는 수신된(106) 명령들(107)에 기초하여 기분(110)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예컨대 수신된(106) 명령들(107)에서 패턴(115)의 존재를 검출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수신된(106) 명령들(107)을 검출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패턴 분석 수단(113)은 수신된(106) 명령들(107)에서 패턴(115)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패턴 분석 수단(113)은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루틴일 수 있다.
기분 검출기(109)는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수신된(106) 명령들(107)을 검출함으로써 지루함(116)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텔레비전 세트의 경우에, 만일 사용자(104)가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채널-업 또는 채널-다운 명령들(107)을 송출하면, 사용자(104)는 제공된 콘텐츠(102)에 만족되지 않고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은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에 접속되거나 또는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는 비디오 레코더 또는 PVR상의 프로그램들과 같은 대안 콘텐츠(118)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104)에게 프리젠테이션(103)을 위하여 저장되나 검색되지 않는 프로그램들은 오버레이 이미지를 사용자(104)에게 제시될 수 있다.
기분 검출기(109)는 수신된(106) 명령들(107)의 측정치를 결정하는 선택 측정 수단(119)을 가진다. 기분 검출기(109)는 측정치가 임계치(121)를 초과하는 경 우에 기분(110)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비교기는 임계치(121)를 초과하는 측정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측정치는 높은 빈도로 수신된(106) 명령들(107)과 짧은 간격들이 기분(110)의 검출을 직접 야기하지 않도록 시간에 대하여 평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텔레비전 세트에 대하여, 측정치는 마지막 5초에서 채널-변화 명령들(107)의 수일 수 있다.
측정 및 임계치(121)는 단일-값이 아니라 더 많은 크기들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크기를 가진 예는 마지막 분에 수신된(106) 명령들(107)의 수를 가진 제1 크기를 가지며, 마지막 5초에서 채널 변화 명령들(107)의 수를 가진 제2 값을 가진다. 임계치(121)는 예컨대 6인 제1 크기를 가지며, 예컨대 7인 제2 크기를 가진다. 임계치(121)와 측정치를 비교하기 위한 두 개의 대안이 존재한다. 제1 대안에서, 측정치는 각각의 크기들의 각 크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임계치(121)를 초과한다. 제2 대안에서, 측정치는 크기들의 일부 크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임계치(121)를 초과한다.
측정 수단(119)은 저장 수단(12)에 값(123)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값(123)은 수신된(106) 명령들(107)의 히스토리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측정 수단(119)은 명령(107)의 수신에 응답하여 값(123)을 업데이트한다(124).
시간에 대하여 평균 효과를 획득하기 위하여, 측정 수단(119)은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타이머(125) 및 값들(123)을 증가 및 감소시키는 수단(126)을 선택적으로 가진다. 일 예에서, 값(123)은 이전에 수신된(106) 명령(107) 이후로부터 초 단위로 각각의 수신된(106) 명령(107)에 의하여 증가되며, 수신된(106) 명령(107)이 다 른 콘텐츠(102)를 선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경우에 1만큼 증가된다. 이러한 예에서, 임계치(121)는 예컨대 5일 수 있다.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의 일례에서, 사용자(104)는 VCR의 비디오 테이프 또는 DVD-플레이어의 DVD-디스크를 본다. 영화를 반복적으로 고속 감기 또는 되감기를 수행할 때, 사용자(104)는 DVD-디스크의 특정 구획 또는 영화의 특정 부분 또는 장면을 찾을 수 있다. 이의 검출에 응답하여, 시스템은 사용자(104)에 대안 콘텐츠, 예컨대 영화의 개요, 테이프 또는 DVD, 또는 "분당 영화(movie-in-a-minute)" 개요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영화의 키 프레임들이 제공된다. 이는 오디오 테이프들 및 TiVO 박스에 적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디지털 포토북을 가진 시스템에서, 사용자(104)는 이미지들을 하나씩 스크롤링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104)가 잠시동안 고속으로 또는 역방향으로 또는 순방향으로 스크롤링하면, 시스템은 예컨대 날짜, 공급원, 주제 등에 의하여 정렬된 이미지들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들의 개요를 제공할 수 있다.
기분 검출기(109)는 수신된(106) 명령들(107)이 재핑, 채널 서핑, 텔레텍스트의 재정렬, 텔셀 프로그램들(TellSell programs)과 같이 제공된 광고들 또는 저녁 프로그램 캐루젤(evening program carrousel) 제공을 야기하면 지루함(116)의 상태 또는 흥미 부족을 검출할 수 있다.
기분 검출기(109)는 수신된(106) 명령들(107)이 볼륨 레벨의 증가, 두 개의 채널들간의 역방향 및 역방향 스위칭, 또는 특정 및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화제 페이지들과 같이 제공된 특정 텔레텍스트 페이지들을 야기하면 사용자(104)의 흥미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104)는 예컨대 원격 제어 상의 키들을 누름으로써 명령들(107)을 제공할 수 있다. 만일 디지트들을 가진 키들을 누름으로써 채널이 선택되어 적정 채널을 나타내는 번호를 입력하면, 기분 검출기(109)는 흥미를 검출할 수 있거나 값(123)은 감소될 수 있다. 만일 다음 또는 이전 채널이 선택되면, 값(123)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다음 또는 이전 채널이 선택되는 동안 광고들이 제공되면, 값(123)의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유사하게, 값(123)은 바로 이전에 제공된 프로그램과 관련된 텔레텍스트 페이지가 제공되지 않으면 사용된 텔레텍스트에 응답하여 증가될 수 있다. 두 개의 프로그램들 간의 순방향 및 역방향 스위칭에 응답하여, 기분 검출기(109)는 양 프로그램들의 흥미를 검출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들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기록을 제안하거나 또는 시작할 수 있다. 잠시 동안 콘텐츠(102)를 고속 감기 또는 되감기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기분 검출기(109)는 특정 장면을 찾는 사용자(104)를 검출할 수 있으며 시스템은 콘텐츠(102)의 콘텐츠들의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분 검출을 기술한 흐름도이다. 흐름은 값(123)을 0으로 세팅하는, 값(123)에 대한 저장 수단(122)의 초기화(200)와 함께 시작된다. 이러한 단계는 적절한 초기값으로 다른 레지스터들 또는 메모리를 세팅하는 단계, 예컨대 피연산자를 증가 또는 감소하여 레지스터를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예컨대 파워-업 또는 리셋 신호와 같은 다른 트리거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초기화 후에, 흐름은 명령(107)이 수신되었는지(106, 210)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단계는 흐름을 실행하는 제어기의 점유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목적을 위한 다른 단계(202)를 선택적으로 수행한 후에 반복된다. 그러나, 만일 명령(107)이 수신되면(106), 흐름은 명령(107)이 프리젠테이션(103)하기 위하여 다른 콘텐츠(102)를 선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경우에 결정(203) 단계로 계속된다. 증가 피연산자는 1만큼 증가된다. 다음으로, 증가 피연산자는 다른 콘텐츠(102)가 다른 콘텐츠(102)의 디지트들(204)을 직접 다이얼링함으로써 선택되는 경우에 2만큼 감소된다. 만일 현재의 콘텐츠(102)가 광고(205)이면, 증가 피연산자는 2로 나누어진다. 만일 텔레텍스트가 현재 제공되면(206), 증기 피연산자는 1만큼 증가된다. 만일 텔레텍스트 콘텐츠(102)가 텔레비전 프로그램들(207)과 관련하여 현재 제공되면, 증가 피연산자는 2 만큼 감소된다. 만일 명령(107)이 콘텐츠(102)를 고속감기를 수행하거나 또는 콘텐츠(102, 208)를 고속 되감기를 수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면, 증가 피연산자는 2만큼 증가된다.
다음 단계(209)에서, 값(123)은 타이머(125)에 의하여 계수되는 바와 같이 증가 피연산자를 값(123)에 가산하고 값(123)의 마지막 업데이트(124) 이후부터 경과된 초를 감산함으로써 업데이트된다.
결과적인 값(123)은 지루한 사용자(104)에 대한 지시자이다. 결과적인 값(123)은 임계치(121)와 비교된다(210). 만일 임계치(121)가 초과되지 않으면, 흐름은 추가 명령(107)이 수신되었는지(106)를 결정하는 이전에 기술된 단계(201)와 함께 계속된다. 만일 임계치(121)가 초과되면, 흐름은 대안 콘텐츠(212, 118)를 제공한 다음 이전에 기술된 동일한 단계(210)를 수행함으로써 흐름이 계속된다.
대안 콘텐츠(118)를 제공하는 단계는 콘텐츠(102) 제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102) 제안의 예들은 기록되나 아직 보이지 않는 프로그램들을 가진 오버레이 이미지, 사용자(104)의 기분(110)에 맞추어진 장치를 가진 EPG, 및 다음 10분에 시작하는 프로그램만을 도시하는 EPG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순차도에 대한 예(300)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수직 라인들(301)은 각각 좌측에서 우측으로 사용자(104), 프리젠테이션(103), 시스템 및 값(123)을 나타낸다. 이벤트들의 시퀀스는 상부에서 하부로 지시되며, 각각의 이벤트는 화살표로 표시된다. 시스템은 예컨대 사용자(104)로부터의 초기 파워-온 명령(302)으로 파워-업된다. 시스템은 예컨대 콘텐츠(102) 더비드 "BBC1", 예컨대 제1 영국 공영 텔레비전 채널을 사용자(104)에 제공함으로써(303) 그리고 값(123)을 초기화함으로써(304) 응답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예(300)에서, 사용자(104)는 다음 사전세팅을 수행하기 위하여 명령(305)을 송출한다. 시스템은 콘텐츠(102) 더비드 "BBC2"를 제공하고(306) 값(123)을 업데이트함으로써(307) 응답한다. 사용자(104)가 예컨대 5초 내에 5번 이전 명령(305)을 송출한 후에, 값(123)은 임계치(121)를 초과하며(309), 다른 콘텐츠에 대한 제안들을 가진 오버레이를 포함하는 대안 콘텐츠(118)가 제공된다(308).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실시예는 웹 브라우징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노드, 예컨대 범용 컴퓨터상에서 실행되며, 사용자(104)에 제공된 웹 페이지를 분석하며, 메타-콘텐츠 대 웹 페이지의 콘텐츠(102)의 비를 결정한다. 만일 비가 임계치(121)를 초과하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대안 콘텐츠(118), 예컨대 탐색 엔진의 포털을 제공한다. 비는 HTML와 같은 웹 페이지의 신택스를 분석하고 웹 페이지의 심볼들 또는 문자들의 전체 수에 의하여 링크들의 심볼들 또는 문자들의 수를 나눔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서, 임계치(121)는 제공된 연속 웹 페이지들의 비들의 평균에 적용된다. 평균은 시간에 따른 가중 평균을 획득하기 위하여 웹 페이지의 프리젠테이션(103) 시간을 고려할 수 있다. 가중 평균은 사용자(104)의 불안에 대한 지시자이다. 비를 결정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노드에서 보다 오히려 웹 브라우징 시스템이 서버 노드에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제한하는 것보다 오히려 예시적이며 당업자가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여러 대안 실시예들을 설계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청구범위에서, 괄호내에 삽입된 도면부호들은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구성되지 않을 것이다. 용어 "포함한다(comprise)" 및 이의 파생어들은 청구항에서 언급된 것들과 다른 엘리먼트들 및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수 엘리먼트 및 단계는 복수 엘리먼트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여러 개별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컴퓨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러 수단들을 열거하는 장치 청구항에서, 이들 수단들중 여러 수단은 하나의 하드웨어 및 동일한 종류의 하드웨어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측정치들이 서로 다른 종속항들에서 인용되는 단순한 사실은 이들 측정치들의 결합이 장점으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지시한다. "컴퓨 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은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가능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팔릴 수 있는 임의의 소프트웨어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104)에게 제시될(103) 콘텐츠(102)를 처리하는(101)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처리 동작(101)을 제어하기 위하여(108) 상기 사용자(104)로부터 명령들(107)을 수신하는(106) 입력 수단(105); 및
    사용자(104)의 기분(110)을 검출하는 기분 검출기(mood detector;109)로서, 상기 입력 수단(105)에 결합되는(112), 상기 기분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된(106) 명령들(107)에 따라 상기 처리 동작(101)을 변경하도록(111) 구성되며, 상기 기분 검출기(109)는 상기 수신된 명령들(107)에 기초하여 상기 기분(110)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처리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분 검출기(109)는 상기 수신된 명령들(107)에서 패턴(115)의 존재를 검출하는 패턴 분석 수단(113)을 포함하며, 상기 기분 검출기(109)는 상기 패턴(115)의 상기 존재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기분(110)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처리 시스템(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분(110)은 지루함(116)의 상태이며, 상기 패턴(115)은 수신된 명령들(107)의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인, 콘텐츠-처리 시스템(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은 상기 기분 검출기(109)에 의하여 상기 지루함(116)의 상태의 검출에 응답하여 대안 콘텐츠(118)를 제시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처리 시스템(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분 검출기(109)는 상기 수신된 명령들(107)의 측정치를 결정하는 측정 수단(119)을 포함하며, 상기 기분 검출기(109)는 상기 측정치가 임계치(121)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기분(110)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처리 시스템(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119)은 값(123)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122)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 수단(119)은 수신되는(106) 명령(107)에 응답하여 상기 값(123)을 업데이트(124)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처리 시스템(100).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119)은: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125); 및
    상기 값(123)을 증가 및 감소시키는 수단(126)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 수단(119)은 수신되는(106) 상기 명령(107)에 따른 증가(increment)를 사용하여 상기 값(123)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정 수단(119)은 상기 시간에 따른 감소(decrement)를 사용하여 상기 값(123)을 감소시키 도록 구성되는, 콘텐츠-처리 시스템(100).
  8. 제1항에 따른 상기 콘텐츠-처리 시스템(100)에서 사용하는 기분 검출기(109).
  9. 사용자(104)에 제시될(103) 콘텐츠(102)를 처리하는(101)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처리 동작(101)을 제어하기 위하여(108) 상기 사용자(104)로부터 명령들(107)을 수신하는 단계(106);
    - 상기 수신된 명령들(107)에 따라 상기 처리 동작(101)을 변경하는 단계(111); 및
    - 상기 수신된(106) 명령들(107)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104)의 기분(110)을 검출하는 단계(109)를 포함하는, 콘텐츠(102) 처리 방법.
  10. 프로그램 가능한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이 제9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동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67012509A 2003-12-22 2004-12-01 시청자의 기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콘텐츠-처리 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20060111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4879.6 2003-12-22
EP03104879 2003-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610A true KR20060111610A (ko) 2006-10-27

Family

ID=3471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509A KR20060111610A (ko) 2003-12-22 2004-12-01 시청자의 기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콘텐츠-처리 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89125A1 (ko)
EP (1) EP1745650A1 (ko)
JP (1) JP2007520110A (ko)
KR (1) KR20060111610A (ko)
CN (1) CN1898958A (ko)
WO (1) WO2005064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82965A1 (en) 2004-04-01 2005-10-05 Sony Deutschland Gmbh Emotion controlled system for processing multimedia data
US20070061309A1 (en) * 2005-08-05 2007-03-15 Real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or-based searching of media content
JP2007215046A (ja) * 2006-02-10 2007-08-23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041025B2 (en) * 2006-08-07 2011-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and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modes of audio devices based on user selectable parameters
US9032430B2 (en) * 2006-08-24 2015-05-12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lackout support in video mosaic environments
US7515456B2 (en) * 2006-09-11 2009-04-07 Infineon Technologies Ag Memory circuit,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a system comprising a memory and a floating point unit and a method for storing digital data
US9477666B2 (en) 2007-01-29 2016-10-25 Home Box Offic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hat's next” data
US20090048908A1 (en) * 2007-01-31 2009-02-19 Vulcan Portals, Inc. Media delivery system
US20080183575A1 (en) * 2007-01-31 2008-07-31 Vulcan Portals, Inc. Back-channel media delivery system
JP5243000B2 (ja) * 2007-11-19 2013-07-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取得端末、受信端末、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38756B2 (ja) * 2007-12-03 2010-09-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728735B2 (en) * 2007-12-04 2010-06-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stimating a mood of a user, using a mood of a user for network/service control, and presenting suggestions for interacting with a user based on the user's mood
US8249912B2 (en) * 2008-02-20 2012-08-21 Sebastian Elliot Method for determining, correlating and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media program and commercial content with response rates to advertising and product placement
EP2315439B1 (en) * 2008-08-22 2018-10-17 Saturn Licensing LLC Image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700451B2 (en) * 2008-10-29 2014-04-15 Vulcan Ip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consumers
WO2010049932A1 (en) * 2008-10-30 2010-05-06 Taboola.Com Ltd. A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sentation of alternative content to viewers of video content
EP2256967B1 (en) * 2009-05-27 2012-06-06 Alpine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US20110184723A1 (en) * 2010-01-25 2011-07-28 Microsoft Corporation Phonetic suggestion engine
US10051074B2 (en) * 2010-03-29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chniques for managing devices not directly accessible to device management server
US20110283189A1 (en) * 2010-05-12 2011-11-1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media guide interaction modes
WO2012063982A1 (ko) * 2010-11-09 2012-05-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심리적 상태를 고려한 스마트폰용 앱 자동 추천시스템
US9077458B2 (en) * 2011-06-17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on of advertisements via viewer feedback
GB2494945A (en) * 2011-09-22 2013-03-27 Ibm Targeted digital media content delivery based on emotional change
US9754268B2 (en) * 2011-12-08 2017-09-05 Yahoo Holdings, Inc. Persona engine
US9348479B2 (en) * 2011-12-08 2016-05-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ntiment aware user interface customization
US9378290B2 (en) 2011-12-20 2016-06-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cenario-adaptive input method editor
EP2864856A4 (en) 2012-06-25 2015-10-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IZURE METHOD EDITOR APPLICATION PLATFORM
US9460473B2 (en) * 2012-06-26 2016-10-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nt-sensitive notification icons
US8959109B2 (en) 2012-08-06 2015-02-17 Microsoft Corporation Business intelligent in-document suggestions
EP2891078A4 (en) 2012-08-30 2016-03-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HOICE OF CANDIDATE BASED ON CHARACTERISTICS
US10187254B2 (en) * 2012-10-09 2019-01-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ersonalization according to mood
KR20140046902A (ko) * 2012-10-11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 작방법
TW201426529A (zh) * 2012-12-26 2014-07-01 Hon Hai Prec Ind Co Ltd 通訊設備及其播放方法
JP2014130467A (ja) * 2012-12-28 2014-07-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5018055A1 (en) 2013-08-09 2015-02-12 Microsoft Corporation Input method editor providing language assistance
EP2857276B1 (en) * 2013-08-20 2018-12-12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river assistance system
KR102138525B1 (ko) * 2014-01-13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703962B2 (en) * 2014-10-09 2017-07-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behavioral analysis of mobile device behaviors based on user persona information
CN104811801A (zh) * 2015-04-23 2015-07-29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切换频道的方法及装置
CN108182624A (zh) * 2017-12-26 2018-06-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商品推荐方法、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9059B2 (ja) * 1990-09-13 1998-09-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面通信システム
SE502016C2 (sv) * 1993-11-22 1995-07-17 Jan Karlqvist Anordning för detektering av sändning från fjärrkontroll
JP3500741B2 (ja) * 1994-03-01 2004-02-23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放送の選局方法及び選局装置
US5534911A (en) * 1994-11-02 1996-07-09 Levitan; Gutman Virtual personal channel in a television system
US5878222A (en) * 1994-11-14 1999-03-0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audio and channel selection for a communication signal based on channel data indicative of channel contents of a signal
US5682511A (en) * 1995-05-05 1997-10-28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viewer interface for an interactive network system
US5945988A (en) * 1996-06-06 1999-08-3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nd dynamically updating user preferences in an entertainment system
DK0932398T3 (da) * 1996-06-28 2006-09-25 Ortho Mcneil Pharm Inc Anvendelse af topiramat eller derivater deraf til fremstilling af et lægemiddel til behandling af maniodepressive bipolære forstyrrelser
US6286140B1 (en) * 1997-11-20 2001-09-04 Thomas P. Ivanyi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storing information pertaining to television viewer or user behavior
KR100253252B1 (ko) * 1998-02-27 2000-04-15 구자홍 공중파 방송에 대한 사용자 시청습관 분석/검색방법
AU2002217973A1 (en) * 2000-11-28 2002-06-1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application with research features
JP3477450B2 (ja) * 2001-02-21 2003-12-10 淳 高橋 動画情報の反応解析システム
US20020178440A1 (en) 2001-03-28 2002-11-28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n alternate item based on user behavior
US20020144259A1 (en) * 2001-03-29 2002-10-0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edia player based on user activity
US20030110489A1 (en) * 2001-10-29 2003-06-12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TV remote control device click str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64941A1 (en) 2005-07-14
EP1745650A1 (en) 2007-01-24
CN1898958A (zh) 2007-01-17
JP2007520110A (ja) 2007-07-19
US20070089125A1 (en)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1610A (ko) 시청자의 기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콘텐츠-처리 시스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JP4551566B2 (ja) ジャンル毎の番組選択のための遠隔制御装置
JP5324664B2 (ja) 学習済みユーザプリファレンスに基づく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CN1735887B (zh) 用于相似视频内容跳转的方法和设备
JP2004519968A (ja) 画像シーケンス中の位置を選択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87937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enabling computer to execute same method
JP2008539513A (ja) メディアアイテムの可変速度スクロール
JP2001103383A (ja) 受信装置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JP2005538634A (ja) コンテンツ提示の方法及び装置
US20090094645A1 (en) Method of controlling remote-controlled electronic device using universal remote controller and universal remote controller thereof
US201100669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 summary of a content item
KR20090103111A (ko) Epg에 기초한 컨텐츠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US20030095792A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JP2004235847A (ja) Dtv装置
US8433180B2 (en) Search tool
US20130051776A1 (en) Search tool
JP5237803B2 (ja) ユーザにより定義された基準に基づきドキュメントのサマリを生成する方法及び関連する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装置
JP2008118328A (ja) コンテンツ再生
AU2006293677B2 (en) A search tool
JP4969207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録画装置
JP4865201B2 (ja) 受信装置
JP4951097B2 (ja)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50692B2 (ja)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68462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04007200A (ja) 放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