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147A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direction of multimedia contents play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direction of multimedia contents 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147A
KR20060099147A KR1020050020191A KR20050020191A KR20060099147A KR 20060099147 A KR20060099147 A KR 20060099147A KR 1020050020191 A KR1020050020191 A KR 1020050020191A KR 20050020191 A KR20050020191 A KR 20050020191A KR 20060099147 A KR20060099147 A KR 20060099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content
user
switching
service
targ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1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64935B1 (en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935B1/en
Publication of KR2006009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1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9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6Vacuum evaporation by resistance or inductive heating of the sourc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43Crucibles for sourc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coating;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the vacuum, e.g. vacuum locks
    • C23C14/564Means for minimising impurities in the coating chamber such as dust, moisture, residual g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위치 이동으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로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More particularly, when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needs to be switched due to a user's position shift,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selected based on a user's preference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multimedia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used by a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환 장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자동 전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 전환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 자동 전환 상황 발생 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할 전환 대상 장치를 검색하는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상기 검색된 전환 대상 장치에 재생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서비스 재생 체크부와, 상기 재생 여부에 따라 상기 검색된 전환 대상 장치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ice switching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occurs, and when the automatic switching situation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o search for the target device to display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A switching target device searching unit, a service reproducing checker for checking whether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on the searched switching target device, and controlling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to be displayed on the searched switching target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It includes a control unit.

멀티미디어 컨텐츠, 자동 전환 장치, 포털 서비스 서버 Multimedia content, automatic switching device, portal service server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direction of multimedia contents play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direction of multimedia contents play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정 내에서의 홈 서버와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디스플레이 전환 서비스의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splay switching service between devices using a home server and a home gateway in a hom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저장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ble storing information of a multimedia content player and preference information of a user in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multimedia content p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자동 전환 장치 110: 서비스 전환 판단부100: automatic switching device 110: service switching determination unit

120: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 130: 서비스 재생 체크부120: switch target device search unit 130: service playback check unit

140: 인증부 150: 저장부 140: authentication unit 150: storage unit

160: 정보 송신부 170: 제어부 160: information transmitter 170: controller

200: 포털 서비스 서버 300: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200: portal service server 300: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위치 이동으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로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More particularly, when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needs to be switched due to a user's position shift,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selected based on a user's preference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multimedia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 used by a user.

종래의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전환 방법은 가정 내에서 미디어 박스(Media Box) 또는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 등의 홈 서버(로컬 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유/무선의 기기들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간 디스플레이 전환 방법, 예를 들어 거실에서 보던 영화를 안방에서 디스플레이 전환해주는 방법 등이 일반적이다. Conventional digital content display switching method is a display switching method between devices using a wired / wireless device that serves as a home server (local server) such as a media box (Home Box), such as a home, For example, it is common to convert a movie from the living room to a display in a room.

이 방식은 홈 네트워크 상에 주소정보를 가지고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 간의 디스플레이 전환에만 국한되어 있고, 사용자의 명령이 있을 경우에만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제어장치를 통하여 전환이 이루어지는 제한적이고 수동적인 방식이다. This method is limited to display switching between devices connected with address information on a home network, and is limited and passive in that switching is performed through a control device connected on the network only when a user command is give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정 내에서의 홈 서버와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디스플레이 전환 서비스의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splay switching service between devices using a home server and a home gateway in a hom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서버(10)가 홈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디바이스들(21,22,23,24,25) 간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통제한다. As shown, the home server 10 provides and controls services between the devices 21, 22, 23, 24 and 25 connected o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home gateway.

또한, 모바일 콘트롤 패드(11)는 유선으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설정 및 현재의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고 상태를 변경할 수 있어서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가정 내에서 위치에 관계 없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홈 서버/홈 게이터웨이(10)와 각 디바이스들(21,22,23,24,25)은 블루투스나 유/무선 랜 또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유/무선 IP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ntrol pad 11 can monitor and change the setting and current state of the devic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by wire,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devic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regardless of the location in the home. Can be. Here, the home server / home gateway 10 and the devices 21, 22, 23, 24, and 25 are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IP network using Bluetooth, wired / wireless LAN, or radio frequency.

홈 서버(10)는 유/무선 컨텐츠를 제공하는 포털 서버와 연결되어 있어서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와 같은 디지털 컨텐츠의 저장이 가능하고, 저장된 컨텐츠를 홈 네트워크 내에 연결된 디바이스들(21,22,23,24,25)에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home server 10 is connected to a portal server that provides wired / wireless contents so that digital contents such as video, audio, and images can be stored, and the stored contents are connected to devices 21, 22, 23, 24, 25).

모바일 콘트롤 패드(110)는 홈 서버(10)를 통하여 무선으로 각 디바이스들의 설정 상태를 인가받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설정변경 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제어명령으로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각 디바이스에 인가한다. The mobile control pad 110 receives and displays a setting state of each device wirelessly through the home server 10, receives a setting change command from a user, and applies it to each device through a home gateway as a control command.

각각의 디바이스들(21,22,23,24,25,26)은 홈 네트워크 상의 IP주소 정보와 부가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모바일 콘트롤 패드(11)로부터 수신 가능 상태와 디스플레이 전환 가능 디바이스 여부가 확인된다. Each of the devices 21, 22, 23, 24, 25, and 26 has IP address information and additi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home network, so that the reception state and the display switchable device can be confirmed from the mobile control pad 11. do.

기존 디스플레이 전환 서비스의 방법은 홈 서버(10)가 유선 IP 네트워크에서 디스플레이 전환되는 디바이스의 수신 IP 어드레스를 바꾸어 바뀐 주소로 IP 패킷 을 전송하는 형태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The existing display switching service is a method in which the home server 10 transfers an IP packet to a changed address by changing a reception IP address of a device for display switching in a wired IP network.

그러나, 종래 디스플레이 전환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 이동 시 제한된 장소 내에서만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공간적 한계가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디바이스 간의 디스플레이 전환으로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단말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만 서비스 가능하다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display switching method has a spatial limitation that the service can be provided only in a limited place when the user moves the location, and there is a physical limitation that the service can be provided only when the user has a display terminal as a display switching between devices connected on the network. have.

또한, 사용자의 전환 명령이 있을 경우에 제어장치를 통하여 전환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명령 없이도 자동 전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이 미흡한 기능적인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a user's switching command can be switched through the control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functional limitation that the function of providing an automatic switching service environment without the user's command is insufficien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 이동으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로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media content used by a user to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user's preference, when switching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that provides the multimedia content due to the user's position shift.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보유 여부에 상관 없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자동 전환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receive the multimedia content used through the automatic switching service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owns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환 장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자동 전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 전환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 자동 전환 상황 발생 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할 전환 대상 장치를 검색하는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상기 검색된 전환 대상 장치에 재생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서비스 재생 체크부와, 상기 재생 여부에 따라 상기 검색된 전환 대상 장치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ervice switching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occurs, and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when the automatic switching situation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switching target device searching unit for searching for a switching target device to perform; a service playing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on the searched switching target devi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to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자동 전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자동 전환 상황이 발생된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할 전환 대상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전환 대상 장치에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재생시킬 것인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결과 사용자의 재생 요청 시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검색된 전환 대상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occurs, and if the automatic switching situation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Searching for the switching target device to be displayed; checking whether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ed by the user on the searched switching target device; and checking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ed by the user when the user requests playback. And displaying the detected switching target device on the devic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시스템은 자동 전환 장치(100), 포털 서비스 서버(200),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자동 전환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 또는 포털 서비스 서버(200)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multimedia contents playback apparatus includes an automatic switching apparatus 100, a portal service server 200, and a multimedia contents playback apparatus 300. Here,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may be located in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device 300 or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자동 전환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자동 전환 상황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 보유 여부 및 선호도를 기초로 하여 전환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선택하고,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로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한다.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checks whether or not an automatic switching situ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occurs, and if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device 300 that provides the multimedia content as a result, the user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device ( 300)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300 to be switched is selected based on the possession and the preference, and the multimedia content used by the user is provided to the selected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300. FIG.

여기서, 자동 전환 장치(100)는 서비스 전환 판단부(110),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120), 서비스 재생 체크부(130), 인증부(140), 저장부(150), 정보 송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3에서 자동 전환 장치(100)를 자세히 설명한 다. Here,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is a service switching determination unit 110, switching target device search unit 120, service playback check unit 130, authentication unit 140, storage unit 150, information transmitter 16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Hereinafter,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포털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비디오(영화, 드라마 등) 컨텐츠, 음악 컨텐츠 및 다양한 정보 등을 제공한다.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provides pre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For example,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provides video (movie, drama, etc.) content, music content, and various information.

또한, 포털 서비스 서버(2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전환 시 중단된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중단 위치를 저장해 둠으로써, 이후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요청 시 상기 중단된 컨텐츠 위치부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stores the interruption loc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used by the user who was interrupted when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300 was switched, and then the service is started from the interrupted content location when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request is made. To provide.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는 비디오 및 오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며, 사용자 인증 수단을 인식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유/무선 장치이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는 사용자 보유 기기 및 공유 자유 기기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multimedi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300 is a wired / wireless apparatus that reproduces multimedia contents such as video and audio, and recognizes a user who wants to use a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y recognizing a user authentication means. Here, the multimedia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300 may be understood as a user-owned device and a free sharing device.

즉, 사용자 보유 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가정 내에 위치된 장치로써, 예를 들어 TV, 개인용 컴퓨터, PDA, 노트북, 및 휴대폰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공유 자유 기기는 다수의 사용자들과 공유하여 사용하는 장치로써, 예를 들어 버스정류장의 멀티미디어 키오스크(Multimedia Kiosk), PC방의 디스플레이 기기, Hot Spot 내 Digital Pond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user-owned device is a device that the user carries or is located in the home, and may be understood as, for example, a TV, a personal computer, a PDA, a notebook, a mobile phone, and the like, and a shared free device is used to be shared with multiple users. For example, the device may be understood as a multimedia kiosk of a bus station, a display device of a PC room, a digital pond in a hot spot,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전환 장치(100)는 서비스 전환 판단부(110),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120), 서비스 재생 체크부(130), 인증부(140), 저장부(150), 정보 송신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is a service switching determination unit 110, switching target device search unit 120, service playback check unit 130, authentication unit 140, storage unit 150, information It comprises a transmitter 160, and a control unit 170.

서비스 전환 판단부(1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상태 등을 체크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자동 전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자동 전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가 사용자 인식수단을 인식한 결과 사용자의 이동이 포착된 경우, 현재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가 정지된 경우, 및 사용자가 전환 가능한 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권역 내로 진입한 경우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service switching determination unit 110 checks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multimedi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300 occurs. Here,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automatic switching occurs is when the movement of the user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300 recognizes the user recognition means, when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is stopped, and the user can switch It may be understood as the case where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300 enters the region.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120)는 서비스 전환 판단부(110)의 판단 결과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자동 전환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보유 여부 및 하기 설명할 저장부(150)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전환 대상 장치(즉, 전환되어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검색 및 선택한다. When the switching target device search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300 is automatically switch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service switch determination unit 110, whether the user holds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and the storage unit 150 to be described below. Search for and select the switching target device (that is,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300 that is switched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ed by the user).

즉,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120)는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 보유 여부(즉, 현재 사용자가 집안 내에 있는지 집 밖에 있는 지)를 체크한 후, 저장부(150)에 저장된 이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등을 기초로 전환 대상 장치를 선택한다. That is, the switching target device searcher 120 checks whether the user owns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300 (that is, whether the current user is in the home or outside the home) and then stores the available data stored in the storage 150. The switching target device is selected based on the multimedi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300 information and the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서비스 재생 체크부(130)는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120)가 검색한 전환 대상 장치에서 재생시킬 것인지의 여부 를 체크한다. The service playback checker 130 checks whether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ed by the user is played by the switching target device searched by the switching target device searcher 1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 시 PDA를 통해 영화(예를 들어, 메트릭스)를 시청하다가 집으로 들어온 경우, 서비스 전환 판단부(11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자동 전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자동 전환이 발생되면, 서비스 재생 체크부(130)는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120)가 검색한 전환 대상 장치로 사용자가 시청하던 영화(예를 들어, 메트릭스)를 계속 시청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체크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묻는 재생 여부 체크 화면은 사용자 PDA에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a user enters a home while watching a movie (eg, metrics) through a PDA when the user is out, the service switching determination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multimedi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300 occurs. 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result, when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er 300 occurs, the service playback checker 130 is a movie (eg, By displaying a screen asking the user whether to continue to watch the metrics). Here, the playback check screen asking whether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PDA.

인증부(14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자동 전환 상황이 발생되면 사용자 인증 수단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를 제어부(170)에게 전송한다. When the automatic switching state of the multimedi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300 occurs, the authenticator 140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user authentication means,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controller 17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통하여 이전에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 인증부(140)는 전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보유한 인증 수단을 인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인증 수단은 RFID(Radio Frequenty Identification) 태그, 홍체인식, 생체인식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previously used through the switched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300, the authenticator 140 is held by the user who wants to use the switched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300.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recognizing the authentication means. Here, the authentication means may be understood as a RFID (Radio Frequenty Identification) tag, iris recognition, biometrics.

저장부(15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재생하는 장치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의 기기 선호도 정보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부(15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 보유 기기(즉, 집안 내에 위치 된 기기 또는 사용자의 휴대 기기) 및 공유 자유 기기(집 밖에 위치된 기기)로 나누어 각각의 기기 종류별로 정보를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50 stores device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device preference information of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Here, the storage unit 150 is divided into a user-owned device (that is, a device located in the house or a user's mobile device) and a shared free device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us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300. Stores information by device type.

또한, 저장부(150)는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이용하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자동 전환 발생 시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명, 및 자동 전환 발생으로 인해 중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위치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50 stores information on the multimedia content file used by the user. Here, the information on the multimedia content file used by the user may include the name of the multimedia content file used by the user when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multimedi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300 occurs, and the multimedia content file interrupted due to the automatic switching. Location and the lik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재생 중단 위치를 저장해 둠으로써, 이 후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요청이 있을 경우, 재생이 중지된 부분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by storing the playback stop posi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file used by the user, the multimedia content file can be played from the portion where the playback is stopped when the user requests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또한,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 임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장치 이용도 등을 통해 제어부(170)가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하, 도 4에서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를 자세히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may be updated by the controller 170 through a user arbitrary setting or a user's device utilization. Hereinafter,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정보 송신부(160)는 포털 서비스 서버(200)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정보,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사용할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정보 송신부(160)는 자동 전환 장치(100)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위치될 때 동작되며, 자동 전환 장치(100)가 포털 서비스 서버(2000에 위치할 경우에는 동작되지 않는다. The information transmitter 16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er 300 to provide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to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and the user information to use the multimedia content player 300. Here,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60 is operated when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is located in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device 300, and does not operate when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is located in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 시 PDA를 통해 영화(예를 들어, 메트릭스)를 시청하다가 집으로 들어온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가 PDA에서 DTV로 변경되면, 정보 송신부(160)는 포털 서비스 서버(200)로 사용자 정보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전환 대상 장치가 DTV로 변경됨을 알림으로써, 포털 서비스 서버(200)가 해당 사용자가 시청하던 영화(예를 들어, 메트릭스)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DTV로 전송하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enters home while watching a movie (eg, a matrix) through the PDA when the user is out, when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300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s is changed from the PDA to the DTV, the information transmitter 160 ) Informs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that the switching target device to play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multimedia content is changed to DTV, so that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can receive multimedia information about a movie (eg, metrics) that the user was watching. The content service is transmitted to the DTV.

제어부(170)는 서비스 전환 판단부(110)가 판단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자동 전환 발생 여부에 따라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120)를 통해 저장부(150)에 저장된 전환 대상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선호도 정보 등을 이용하여 전환 대상 장치를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70 may switch information about the switching target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through the switching target device search unit 120 according to whether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300 determined by the service switching determination unit 110 occurs. And select the switching target device using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또한, 제어부(170)는 전환 대상 장치가 선택되면 서비스 재생 체크부(130)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전환 대상 장치에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재생시킬 것인지 여부를 체크하도록 제어하고, 재생 여부 체크 결과에 따라 선택된 전환 대상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when the switching target device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o check whether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ed by the user to the selected switching target device through the service playback checking unit 130, and checks whether the playback target device is selected. The multimedia content used by the user is controlled through the selected switching target device.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전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통하여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 인증부(14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authenticator 140 when the user wants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used through the switched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300.

또한, 제어부(170)는 자동 전환 상황 발생 시 포털 서비스 서버(200)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중단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재생 요청 시 정보 송신부(160)를 통해 포털 서비스 서버(200)로 사용자 정보 및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정보를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requests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to stop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when an automatic switching situation occurs, and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selected information are selected by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tter 160 when a user requests playback.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300 is transmitted.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이 포착된 경우, 재생되던 컨텐츠가 정지된 경우, 및 사용자가 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권역 내 진입한 경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자동 전환이 필요한 경우, 자동 전환 장치(100)는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 보유 여부 및 선호도를 기초로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전환 대상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환 대상 장치로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로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movement of the user is captured, when the content to be played is stopped, and when the user enters the domain of the other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300, etc. When the automatic switching is required,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selects a switching target device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used by the user based on whether the user owns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device 300 and the preference, and selects the user as the selected switching target device. By providing the multimedia content used by the user,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ed as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300 suitable for its location and status.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저장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ble storing information of a multimedia content player and preference information of a user in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multimedia content pla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50)에 저장된 테이블에는 사용자가 집안에 있을 경우와 집밖에 있을 경우를 구분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및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tab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stores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300 by distinguishing between a case where the user is in the home and a case outside the home, and also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300. Information indicating a user's preference and availability for the is stor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 시 PDA를 통해 영화(예를 들어, 메트릭스)를 시청하다가 집으로 들어온 경우,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12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테이블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정보, 사용자 선호도, 및 이용 가능 여부 등을 체크하고, 현재 이용 가능하고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예를 들어, 대형 TV)를 선택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comes home while watching a movie (eg, metrics) through a PDA when he is out of the house, the conversion target device searcher 120 may display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eg, a table stored in the storage 150). Information of the user 300, user preferences, and availability are checked, and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for example, a large TV) that is currently available and has high user preference is select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기서, 자동 전환 장치(100)는 소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 내에 위치된다고 가정한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t is assumed that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is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playing device 300.

먼저, 서비스 전환 판단부(110)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전환 여부를 판단한다(S100). 여기서, 자동 전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가 사용자 인식수단을 인식한 결과 사용자의 이동이 포착된 경우, 현재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가 정지된 경우, 및 사용자가 전환 가능한 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권역 내로 진입한 경우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First, the service switching determination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o switch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300 (S100). Here,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automatic switching occurs is when the movement of the user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300 recognizes the user recognition means, when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is stopped, and the user can switch It may be understood as the case where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300 enters the region.

판단 결과 자동 전환 상황이 발생된 경우(S110),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120)는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 보유 여부(즉, 현재 사용자가 집안 내에 있는지 집 밖에 있는 지)를 체크한 후, 저장부(150)에 저장된 이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등을 기초로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전환 대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검색 및 선택한다(S120). When the automatic switching situation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110), the switching target device search unit 120 checks whether the user has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300 (that is, whether the current user is in the house or out of the house). Afterwards, the multimedia object playback apparatus 300 for switching to display the multimedia contents used by the user is search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multimedia contents playback apparatus 300 stored in the storage 150 and the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And select (S1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한 후 집안에 들어온 경우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12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들 중 집안에서 이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체크하고, 체크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들 중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전환 대상 장치로 선택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enters the house after going out, the conversion target device search unit 120 selects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300 available in the home from among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s 300 stored in the storage 150.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300 having a high user preference among the checked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es 300 is selected as the switching target device.

그 다음, 제어부(170)는 정보 송신부(160)를 통해 포털 서비스 서버(200)에게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의 중단을 요청한다(S130). 이에, 포털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가 현재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중단 위치를 저장한 후,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종료한다. Next, the controller 170 requests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to stop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ed by the user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tter 160 (S130). Accordingly,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stores the playback stop posi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currently used by the user, and then terminates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content service.

그 다음, 인증부(140)는 소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가 사용자 인식수단을 인식한 정보를 통해 현재 전환 대상 장치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한다(S140). 여기서, 인증 수단은 RFID(Radio Frequenty Identification) 태그, 홍체인식, 생체인식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식을 수행하는 것은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통해 어느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인지, 또한 현재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검색하기 위해서이다. Next, the authentication unit 140 recognizes who is the user who wants to use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as the current switching target device through the information that the pre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300 recognizes the user recognition means (S140). Here, the authentication means may be understood as a RFID (Radio Frequenty Identification) tag, iris recognition, biometrics, and the like, and performing the user recognition may be performed by any user through the multimedi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300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This is to search for whether the playback device 300 is to be used or what multimedia content service the user is currently using.

그 다음, 서비스 재생 체크부(130)는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120)로부터 검색된 전환 대상 장치에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계속해서 재생시킬 것인지 여부를 묻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체크한다(S150). Next, the service playback checker 130 displays a screen inquiring whether to continue playing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ed by the user in the switching target device searched by the switching target device searcher 120. That is, it is checked whether the multimedia content is played back from the user (S150).

그 다음,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요청이 있을 경우(S160), 제어부(170)는 정보 송신부(160)를 통해 포털 서비스 서버(200)로 사용자 정보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전환 대상 장치의 정보를 전송한다. Next, when the user requests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S160), the controller 170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switching target device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to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tter 160. do.

그 다음, 포털 서비스 서버(200)는 제어부(170)로부터 전송받은 전환 대상 장치로 해당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전송하고, 이에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로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된다(S170). Next,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transmits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ed by the user to the switching target device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70, and thus the multimedia content used by the user is transferred to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300. It is reproduced (S170).

한편, 자동 전환 장치(100)는 포털 서비스 서버(200)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정보 송신부(160)는 동작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may be located in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in which case the information transmitter 160 does not operate.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이 포착된 경우, 재생되던 컨텐츠가 정지된 경우, 및 사용자가 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권역 내 진입한 경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자동 전환이 필요한 경우, 자동 전환 장치(100)는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 보유 여부 및 선호도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전환 대상 기기(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를 선택하고,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로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자동 전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다른 전환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위치 및 상태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로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movement of the user is captured, when the content to be played is stopped, and when the user enters the domain of the other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300, etc. When the automatic switching is required,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selects a switching target device (that is,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device 300)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based on whether the user has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device 300 and the preference. By automatically converting and providing the multimedia content used by the user to the selected multimedia content playing device 300, the user used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device 300 suitable for the location and state of the user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switching process. Content services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사용자 인식수단을 인식한 결과 사용자 이동 상황이 포착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자동 전환 장치(100)는 소정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위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 the case where the user movement situation is captured as a result of recognizing the user recognition mean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is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300.

사용자가 외출 시 PDA를 통해 영화(예를 들어, 메트릭스)를 시청하다가 집으로 들어오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전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자신의 방에 PDA를 놓고 거실로 이동 중이라고 할 경우, 사용자 인식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PDA에서 멀어지고, 현재 이동 중이라는 상황이 체크되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의 자동 전환 상황이 발생됨을 판단한다. When the user comes home while watching a movie (eg, metrics) through the PDA when the user is o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300 is switched. In this case, when the user places the PDA in his room and is moving to the living room, the user is moved away from the PDA through the user recognition means, and the situation that the current moving is checked so that the automatic switching state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device 300 is displayed. Judging that it occurred.

이에, 자동 전환 장치(100)는 사용자가 현재 집안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하고, 집안 내에서 이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300)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체크한다. 그 다음, 체크된 정보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대상 기기(예를 들어, DTV)를 선택한다. Accordingly,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in the house, and checks the information on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300 and the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house. Next, a target device (eg, a DTV) to display the multimedia content is selected based on the checked information.

그 다음, 사용자의 인증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선택된 DTV에 사용자가 시청하던 영화(예를 들어, 메트릭스)를 계속 시청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체크한다. Then, it recognizes the user's authentication means, and displays a screen inquiring whether to continue watching the movie (eg, metrics) that the user has been watching on the selected DTV to check whether the multimedia content is played back from the user.

체크 결과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요청이 있을 경우, DTV로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예를 들어, 메트릭스)가 재생된다. 여기서, 자동 전환 장치(100)는 포털 서비스 서버(200)로 사용자 정보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대상 기기(예를 들어, DTV)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DTV를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예를 들어, 메트릭스)가 재생된다. 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user requests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for example, the matrix) used by the user is played on the DTV. Here,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target device (eg, DTV) information to display the multimedia content to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thereby enabling the multimedia content (eg, DTV) used by the user through the DTV. For example, the matrix is reproduc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디카폰으로 찍은 사진을 더 큰 화면으로 보기 위하여 자동 전환 장치(100)에 이미지 전환을 요청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자동 전환 장치(100)는 포털 서비스 서버(200)에 위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ase where the user requests an image switching request from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to view a picture taken with a digital phone on a larger scree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is located in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사용자가 디카폰으로 찍은 사진을 더 큰 화면으로 보기 위하여 포털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이미지 전환을 요청하면, 포털 서비스 서버(200) 내에 위치한 자동 전환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현재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공유 자유 기기(예를 들어, 버스정류장의 멀티미디어 키오스크)의 위치들을 디카폰을 통하여 알려준다. When the user requests to switch the image by accessing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in order to view the picture taken with the decaphone on a larger screen,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located in the portal service server 200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e location of the shared free device (eg, multimedia kiosk at the bus station) closest to the current user is informed via the decaphone.

그 다음, 사용자가 버스정류장의 멀티미디어 키오스크에 위치하면, 멀티미디어 키오스크는 사용자 인증수단을 인식하고, 이에 자동 전환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키오스크를 통하여 사용자가 디카폰으로 찍은 사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Next, when the user is located in the multimedia kiosk of the bus stop, the multimedia kiosk recognizes the user authentication means, and the automatic switching device 100 displays the photographic image taken by the user through the multimedia kiosk.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로 자동 전환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현재 환경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when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needs to be switched,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so that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suitable for the current environment. There is an advantage.

둘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감상하는데 있어서 접속환경의 자유로움으로 공 간의 제약 없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enhanced by using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without restriction of space due to freedom of access environment in viewing multimedia content.

셋째,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보유 여부와 상관 없이 사용자의 위치 및 선호도에 따라 이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ultimedia contents can be provided to the multimedia contents playback apparatus tha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preference of the user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has the multimedia contents playback apparatus.

Claims (5)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자동 전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 전환 판단부; A service switch determin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an automatic switching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occurs; 상기 판단 결과 자동 전환 상황 발생 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할 전환 대상 장치를 검색하는 전환 대상 장치 검색부;A switching target device searching unit searching for a switching target device to display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when an automatic switching situation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상기 검색된 전환 대상 장치에 재생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서비스 재생 체크부; 및 A service reproduction checker for checking whether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on the searched switching target device; And 상기 재생 여부에 따라 상기 검색된 전환 대상 장치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환 장치.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to be displayed on the searched switching target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he playback is perform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환 대상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An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a user using the switch target device; And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정보, 사용자 정보, 사용자 선호도 정보, 및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환 장치. And a storage unit which stores information of a multimedia content player for playing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er informa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a multimedia content file used by a us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비스 전환 판단부는 사용자의 이동이 포착된 경우, 재생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정지된 경우, 및 사용자가 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권역 내 진입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상황일 때 자동 전환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환 장치. The service switching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automatic switching situation occurs when the user's movement is captured, when the multimedia content being played is stopped, or when the user enters the domain of another multimedia content playing apparatus. Automatic switc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자동 전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etermining whether automatic switching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pparatus occurs; 상기 판단 결과 자동 전환 상황이 발생된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할 전환 대상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Searching for a switching target device to display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when an automatic switching situation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상기 검색된 전환 대상 장치에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재생시킬 것인지 체크하는 단계; 및 Checking whether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ed by the user in the found conversion target device; And 상기 체크 결과 사용자의 재생 요청 시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검색된 전환 대상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방법. And displaying the multimedia content service used by the user on the searched conversion target device when the user requests a playback.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자동 전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Determining whether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occurs, 사용자의 이동이 포착된 경우, 재생되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정지된 경우, 및 사용자가 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의 권역 내 진입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상황일 때 자동 전환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 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방법.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an automatic switching situation occurs when the user's movement is captured, when the multimedia content that has been played is stopped, or when the user enters a domain of another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 How to automatically switch multimedia content playback devices.
KR1020050020191A 2005-03-10 2005-03-10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direction of multimedia contents play device KR1006649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191A KR100664935B1 (en) 2005-03-10 2005-03-10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direction of multimedia contents 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191A KR100664935B1 (en) 2005-03-10 2005-03-10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direction of multimedia contents 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147A true KR20060099147A (en) 2006-09-19
KR100664935B1 KR100664935B1 (en) 2007-01-04

Family

ID=3763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191A KR100664935B1 (en) 2005-03-10 2005-03-10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direction of multimedia contents 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935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368B1 (en) * 2006-05-16 2007-10-10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of streaming for continuous contents ser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WO2008026845A1 (en) * 2006-08-29 200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ice roaming system and method
KR100925513B1 (en) * 2007-12-07 2009-11-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witching contents
KR100935395B1 (en) * 2007-12-07 2010-01-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switching contents between portable terminal and fixe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KR100936672B1 (en) * 2007-11-15 2010-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rminal-shifted service
KR101064710B1 (en) * 2008-06-24 2011-09-16 주식회사 케이티 Home server system and home server switching method
KR101275589B1 (en) * 2011-12-28 2013-06-17 한국정보화진흥원 Method for estimating optimal viewable position of display device
KR101311418B1 (en) * 2011-12-23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ceiving Data Service
KR101437446B1 (en) * 2008-03-31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method of external device
US10489111B2 (en) 2017-03-28 2019-11-26 Lg Electronics Inc.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811B1 (en) 2010-09-02 2017-02-0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contents continuous play service based on locations of user's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8975A1 (en) 2001-07-18 2003-01-23 Stone Christopher J.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audio and video monitoring
KR20030082718A (en) * 2002-04-18 2003-10-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A mobile phone possessed of output-port for image
JP2004266453A (en) 2003-02-28 2004-09-24 Toshiba Corp Network system, serv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576943B1 (en) * 2003-12-12 2006-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for transmission and channel change of digital broadcast stream in the home network system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368B1 (en) * 2006-05-16 2007-10-10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of streaming for continuous contents ser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WO2008026845A1 (en) * 2006-08-29 200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ice roaming system and method
US8219083B2 (en) 2006-08-29 2012-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ice roaming system and method
US8117316B2 (en) 2007-11-15 2012-02-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rminal sh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936672B1 (en) * 2007-11-15 2010-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rminal-shifted service
KR100935395B1 (en) * 2007-12-07 2010-01-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switching contents between portable terminal and fixe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KR100925513B1 (en) * 2007-12-07 2009-11-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witching contents
KR101437446B1 (en) * 2008-03-31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method of external device
KR101064710B1 (en) * 2008-06-24 2011-09-16 주식회사 케이티 Home server system and home server switching method
KR101311418B1 (en) * 2011-12-23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ceiving Data Service
KR101275589B1 (en) * 2011-12-28 2013-06-17 한국정보화진흥원 Method for estimating optimal viewable position of display device
US10489111B2 (en) 2017-03-28 2019-11-26 Lg Electronics Inc.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1372619B2 (en) 2017-03-28 2022-06-28 Lg Electronics Inc.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1385861B2 (en) 2017-03-28 2022-07-12 Lg Electronics Inc.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935B1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9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direction of multimedia contents play device
JP4442681B2 (en) Control equipment, playback system, program
US83808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8104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data of peripheral device in portable terminal
JP3747910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8346057B2 (en) Recording/reading apparatus, method of generating tag list for recording/reading apparatus, and control unit for recording/reading apparatus
KR1018130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ating access in wireless network
US89144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803322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2021013653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20080002945A1 (en)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re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reproduction apparatus
EP1855290A1 (en) Access of data resources using pause points
US8458594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JP20110441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linkage-use information
US94177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JP20152225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linkage-use information
JP2007306088A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JP2007184745A (en) Remote control system, equipment to be remotely controlled, and computer system
JP4533020B2 (en) Multimedia content providing system, home content server, and viewing device
CN115968548A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5831176B2 (en) Server apparatus, karaoke song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server processing program
KR1015019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Data Transmission based on DLNA network
JP4244858B2 (en) Remote control system
JP2006311165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control system
KR100694396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reservation record of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