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513B1 - Apparatus for switching content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witch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513B1
KR100925513B1 KR1020070126623A KR20070126623A KR100925513B1 KR 100925513 B1 KR100925513 B1 KR 100925513B1 KR 1020070126623 A KR1020070126623 A KR 1020070126623A KR 20070126623 A KR20070126623 A KR 20070126623A KR 100925513 B1 KR100925513 B1 KR 100925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terminal
delete delete
switching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6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59651A (en
Inventor
최성종
전인찬
김인준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2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513B1/en
Publication of KR2009005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5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을 제어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이 아닌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게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한 지 판단하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와,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에서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2 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부와, 상기 컨텐츠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switching device for controlling a first display terminal, and generates a first content switching signal for controlling to provide a first content provided from the first display terminal to a second display terminal instead of the first display terminal. A second content control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ion unit and the first content switch signal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and to control the second display terminal to provide second content provided by the second display terminal; The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receiving the switch signal, the content acquiring /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content can be acquired, and the second content acquiring or not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that the second content can be obtained A content obtaining unit obtaining the second content and the content obtaining unit It relates to a content switching device including a display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display terminal to provide the second content.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 재생하던 컨텐츠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어서 컨텐츠의 확인 또는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played back between different display terminals can be interlocked and provided to facilitate confirmation of content or continuous playback of content.

디스플레이 단말, 컨텐츠, 컨텐츠 식별 정보, 방송 채널, POP(picture-out-of-picture) Display terminal, content,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broadcast channel, picture-out-of-picture

Description

컨텐츠 전환 장치{APPARATUS FOR SWITCHING CONTENTS}Content Switching Device {APPARATUS FOR SWITCH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전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 재생하던 컨텐츠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어서 컨텐츠의 확인 또는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switc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switching device that can easily provide content that is being played between different display terminals to easily check the content or continuously play the content.

정보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발전과 시청자의 수요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Various types of multimedia content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technology and changing demands of viewers.

예컨대 방송 서비스의 경우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형태에서 디지털 방송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For example, a broadcast service is changing from a conventional analog broadcast format to a digital broadcast format.

디지털 방송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 방식에 비해 용량을 4~8배로 늘릴 수 있으며, 자체 내장된 신호 처리 기능을 통하여 스포츠, 영화 등의 PPV(Pay-per-view) 서비스, 홈쇼핑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Digital broadcasting can increase the capacity by 4 ~ 8 time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nalog broadcasting method, and can add various fields such as PPV (Pay-per-view) service, sports shopping,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디지털 방송의 형태는 예컨대 지상파, 위성 및 케이블과 같은 기존의 아날로 그 방송의 디지털 전환 뿐만 아니라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위성 DMB와 같은 이동 상태에서의 방송 수신을 목적으로 하는 형태로도 확산되고 있다. 또한 초고속 통신 채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인 IP-TV 서비스 역시 디지털 방송의 하나의 형태로서 간주되고 있다.Digital broadcasting is spread in the form of not only digital conversion of existing analog broadcasting such as terrestrial, satellite and cable, but also for receiving broadcasting in mobile state such as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satellite DMB. It is becoming. In addition, IP-TV service, a multimedia content providing service using a high-speed communication channel, is also regarded as a form of digital broadcasting.

이러한 지상파 방송을 비롯하여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DMB 방송, IP-TV 등의 다양한 디지털 방송 형태가 제공됨에 따라 시청자의 방송 채널 선택 폭이 넓어지게 된다.In addition to such terrestrial broadcasting, various types of digital broadcasting, such as cable broadcasting, satellite broadcasting, DMB broadcasting, and IP-TV, are provided, thereby broadening a viewer's selection of broadcasting channels.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또는 방송 서비스 수신 기능을 내장한 휴대용 기기들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역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용 기기는 자체 내장된 동영상 코덱을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MB 수신 기능이 구비되는 휴대용 기기는 DMB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ervices that provide multimedia contents using portable devices hav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or a broadcast service reception function are also rapidly spreading. For example, a portable device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provide multimedia content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or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video codec embedded therein. In addition, a portable device having a DMB reception function may receive and provide DMB broadcast data to a user.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방송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개수는 증가하고 있다.As the multimedia contents providing environment changes, a user can receive a broadcasting service or a multimedia contents service anytime, anywhere, and the number of multimedia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s increasing.

예컨대 방송 서비스의 경우 방송 채널의 증가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개수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용 기기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개수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broadcast services, the number of multimedia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s increasing with the increase of broadcast channels, and the number of multimedia contents that can be accessed and provid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rom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lso exponentially increased. The situation is increasing.

그러나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공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화면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1개뿐이다. However, when providing such multimedia content, the number of screens that the display device can provide to the user is generally only one.

즉 예컨대 TV에서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하나의 방송 채널을 수신하여 TV 화면에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DMB 방송을 시청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는 동시에 하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만이 디스플레이된다.That is, for example, when watching a broadcast on a TV, one broadcast channel can be received and played on a TV screen. Also,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watching DMB broadcast or receives and provides multimedia conten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is performed. Only one multimedia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at the same time.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PIP(Picture-in-Picture) 기능이 도입되었다. To remedy this drawback, the Picture-in-Picture (PIP) function was introduced.

도 1은 종래의 PIP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IP function.

도시되듯이, PIP 기능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1개의 주요(main) 화면(110)과 1개 또는 그 이상의 부(sub) 화면(120)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As illustrated, the PIP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one main screen 110 and one or more sub screens 120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종래의 TV 서비스에 있어서, 주요 화면(110)은 예컨대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부화면(120)에는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지는 않지만 어떠한 내용이 방송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른 채널의 방송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다른 채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부화면(120)에는 TV에 연결되는 DVD 플레이어나 VTR 등에서 재생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In the conventional TV service, the main screen 110 displays, for example,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channel that the user is currently watching. In addition, the sub-screen 120 may display multi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other channels in order to display broadcast contents of other channels in order to check what contents are being broadcast, although the user is not currently watching. Alternatively, the sub screen 120 may display multimedia content played in a DVD player or a VTR connected to a TV.

그러나 이러한 PIP 기능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However, this PIP function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우선 디지털 방송에서 PIP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튜너를 이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튜너의 사용은 제조비용의 상승을 가져온다.First of all, in order to implement the PIP function in digital broadcasting, an additional tuner must be used. The use of such additional tuners leads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s.

또한 PIP 기능을 이용하여 부화면(120)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주요 화면(110)의 일부 부분을 가리게 되므로 사용자의 TV 시청시 불편함을 가져온다.In addition, when the sub-screen 120 is displayed using the PIP function, part of the main screen 110 is covered, which brings inconvenience to the user's TV viewing.

한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환경의 다변화에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s providing environment,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the multimedia contents in various forms.

예컨대 사용자는 퇴근길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다가 집에 들어와서는 좀 더 큰 화면을 제공하는 TV를 통하여 동일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may receive multimedia contents through his mobile terminal on his way home from work and may receive the same multimedia contents continuously through a TV that provides a larger screen.

이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A라는 DMB 채널에 대응되는 DMB 방송을 시청하던 경우라면, 사용자는 집에 돌아와서 TV의 전원을 켠 후, A라는 DMB 채널에 대응하는 지상파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의 채널로 전환하여 연속적으로 동일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이 가능할 것이다.In this case, for example, if the user watches DMB broadcasting corresponding to the DMB channel called A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returns to the home, turns on the TV, and then connects the terrestrial or cable broadcasting corresponding to the DMB channel called A. It will be possible to switch to the channel and watch the same multimedia content continuously.

그러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채널 정보 등을 일일이 기억하고 있다가 이를 입력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 user has to memorize channel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content and input the same.

또한 이러한 방송 서비스가 아니라,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에 B라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고, 또한 TV에 연결된 동영상 재생 장치에 B에 대응되는 B'라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사용 형태를 가정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multimedia service called B i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nd the multimedia content called B 'corresponding to B is stored in the video reproduc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TV, the same usage pattern is assumed. Can be.

이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B 컨텐츠를 시청하던 경우라면, 사용자는 집에 돌아와서 TV의 전원을 켠 후, 동영상 재생 장치에서 B'라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한 후 재생하는 것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이 가능할 것이다.In this case, if the user is watching the B conten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returns to the home, turns on the TV, and views the multimedia content by searching for and playing the multimedia content “B” in the video playback device. This will be possible.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저장 위치 등을 일일이 기억하고 있다가 이를 기초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even in such a case, the user has to memorize the storage location for the multimedia content one by one and has to play the multimedia content based on this.

따라서 PIP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확인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method of easily checking other multimedia contents without using the PIP function and continuously receiving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contents.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 재생하던 컨텐츠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어서 컨텐츠의 확인 또는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switching device that can provide contents interplayed between different display terminals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so as to easily check contents or continuously reproduce the content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을 제어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로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이 아닌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게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한 지 판단하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와,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에서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2 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부와, 상기 컨텐츠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switching device for controlling a first display terminal, and controls to provide the first content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i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instead of the first display terminal. A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content switchin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first content switching signal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second content provided by the second display terminal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The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to receive a second content switching signal to be controlled to provide a, the content acquisi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content can be obtained, and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determination unit for the second content A content stroke for acquiring the second cont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quisition of the second conten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econd content obtained in the unit, the content obtaining unit provides the content conversion apparatus comprising a terminal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display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ion unit, a user receiving a user input intended to provide the first content i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from the user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It may include an input recei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the first content switching signal only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by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1 디스 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원격 입력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device may include a user input interface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terminal or a user input interface provided in a first content playback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It may be any one of a user input interface provided in the remote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ion unit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or the first display terminal to obtain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acquiring the first content. And a content acquir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acquiring the first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first content switching signal may include the first content acquiring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I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a broadcast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I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is network addr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cquiring the first content, pa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toring the first content, or meta for acquiring the first content. Data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는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ent switching signal may includ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acquisition of the second cont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I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a broadcast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I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network addr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cquiring the second content, pa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toring the second content, or meta for acquiring the second content. Data information.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second content acquired by the content acquisition unit suitable for display on the first display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in the first display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일체형으로 구 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i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 재생하던 컨텐츠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어서 컨텐츠의 확인 또는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played back between different display terminals can be interlocked and provided to facilitate confirmation of content or continuous playback of content.

이하, 본 발명의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ontent switching device and a content switch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전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to 3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content switching using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nd the content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의 사용 환경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environment for using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nd the content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display terminal 130 and a second display terminal 140.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은 예컨대 TV, PC 모니터,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고정형 디스플레이 단말일 수 있다.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may be, for example, a fixed display terminal such as a TV, a PC monitor, or a display device of a navigation device.

또한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은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이동형 디스플레이 단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may be, for example, a mobile display terminal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DA.

그러나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이동통신 단말기일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TV일 수도 있다.However,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and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are merely exemplary, for example,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may be a TV. .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TV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은 도시되지는 않지만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 또는 IP-TV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셋탑박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is a TV,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may be connected to a set-top box (not shown) for receiving cable or satellite broadcasting or IP-TV service although not shown. have.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을 포함하는 사용 환경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5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6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이다.Referring to FIG. 2 in a usage environment including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and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he screen 150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I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he screen 16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ent is displayed.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도 3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는 제2 컨텐츠에 대 응하는 화면(16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15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재생 컨텐츠의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In such a situation, in the case of applying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nd the content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displays a screen 160 ′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ent. The display terminal 140 may switch the playback content so that the screen 150 ′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각 디스플레이 단말(130, 140)에서 재생하던 컨텐츠를 상호간에 전환하는 기능을 POP(picture-out-of-picture)라 지칭한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switching the contents played by the display terminals 130 and 140 to each other is referred to as picture-out-of-picture (POP).

이러한 POP 기능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 컨텐츠를 전환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에 대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nd the content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switching content between different display terminals including such a POP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4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와,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230)와, 컨텐츠 획득부(240)와,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250)와, 컨텐츠 변환부(260)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or 210 and a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220. As illustrated,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ent acquisition unit 230, a content acquisition unit 240, a display terminal controller 250, and a content conversion unit 260, respectively. It may includ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도록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한다.The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or 210 generates a first content switch signal to provide the first content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즉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1 컨텐츠를 재 생하도록 의도하는 신호이며, 예컨대 사용자 입력 등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ontent switching signal is a signal intended to reproduce the first content i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and may be received through, for example, a user input.

즉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도록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ion unit 210 may receive a user input intended to provide the first content o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from a user input devic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For this purpose, the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or 210 may include a user input receiver although not shown.

이 경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해당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or 21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first content switch signal only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by the user input receiver (not shown).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원격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user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is provided in a user input interface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or a first content reproduction devic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Any one of the user input interface or the user input interface provided in the remote input devic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TV 수신기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TV 수신기 자체에 내장되는 제어 입력 버튼일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이러한 TV 수신기에 연결된 셋탑박스 등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내장되는 제어 입력 버튼일 수도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이러한 TV 수신기 또는 셋탑박스에 대응되는 원격 입력 장치 즉 리모컨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예컨대 TV 수신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GUI 형태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is a TV receiver, the user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may be a control input button embedded in the TV receiver itself. Alternatively, the user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may be a control input button embedded in a content playback device such as a set-top box connected to the TV receiver. Alternatively, the user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may be a remote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V receiver or the set-top box, that is, a remote controller. In addition, the user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 user input interface of a GUI type displayed on the TV receiver.

또한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키버튼일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may be a key button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하여 컨텐츠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는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When a user input for switching content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he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or 210 may generate a first content switch signal.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게로 전송한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220 transmits the first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ed by the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or 210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한편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로 제1 컨텐츠 전환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은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기초로 제1 컨텐츠를 재생하여야 한다.Meanwhile, when the first content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220,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should play the first content based on the first content switching signal. do.

이러한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210)는 제1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easily perform such playback, the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ion unit 210 arranges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acquiring the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or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And a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not shown) that is obtained from a first content reproduction device (not shown) that reproduces the first content.

이 경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tent switch signal may includ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이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제1 컨텐츠가 예컨대 디지털 방송 또는 DMB 방송 또는 IP-TV 서비스 등의 서비스인 경우 컨텐츠의 식별 정보는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즉 각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은 해당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컨텐츠를 획득하여 재생이 가능하다.When the first content is a service such as a digital broadcast, a DMB broadcast, or an IP-TV ser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y be channel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broadcast channel is transmitted,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may acquire and reproduce the first content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 channel.

따라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broadcast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이러한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현재 재생 중인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즉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 현재 재생 중인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about the broadcast channel can be obtained by extracting information on the broadcast channel currently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not shown). That is, the first content acquiring information is allocated to a broadcast channel currently being played by a first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not shown)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or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o reproduce the first content. Can be obtained by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the

한편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제1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여 재생하던 경우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되어 연결된 컨텐츠 저장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receives and plays the first content through a network or receives and provides the first content from a content storage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have.

이 경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제1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제1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network addr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cquiring the first content, pa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first content is stored, or metadata information for acquiring the first content.

즉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홈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제1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경우라면,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 는 현재 재생 중인 제1 컨텐츠에 대해서 URL 형태의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에서 제1 컨텐츠를 수신해서 제공하는 경우라면,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는 현재 재생 중인 제1 컨텐츠에 대해서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 형태의 경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함께 포함하여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1 컨텐츠 재생 시 참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메타데이터는 예컨대 제1 컨텐츠의 형식, 내용, 재생 시작 지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content is provided from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hrough an internet network or a home network, the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not shown) identifies a network in the form of URL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Acquisition is possible by extracting information. In addition, if the storag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receives and provides the first content, the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not shown) may provide a path in the form of a file system directory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Acquisition is possible by 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metadata about the first content. That is,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metadata for the first content so that the second content can be referred to when the first content is played. The metadata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a format, content, a playback start point, and the like of the first content.

한편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전술한 POP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tent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can be provided by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However,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second content played i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i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POP function.

이를 위하여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220 may receive a second content switch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o provide the second content provided from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제1 컨텐츠 전환 신호와 마찬가지로,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2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Like the first content switch signal, the second content switch signal may includ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acquisition of the second content.

즉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2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제2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제2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at is,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a broadcast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be network addr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cquiring the second content, pa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toring the second content, or second information. 2 may include metadata information for obtaining content.

이러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be omitted since it may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described above.

한편 이러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획득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receiving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acquisition is possible i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예컨대 제2 컨텐츠가 DMB 방송 채널 등을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라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해당 DMB 방송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지 또는 해당 DMB 방송 채널에 대응하여 다른 형태로 전송되는 방송 채널, 예컨대 지상파 디지털 방송 채널 또는 케이블 방송 채널 또는 IP-TV 서비스 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For example, if the second content is transmitted through a DMB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is transmitted in a different form in response to whether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can receive the corresponding DMB broadcast channel or the corresponding DMB broadcast channel. It should be determined whether a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 channel, a cable broadcast channel or an IP-TV service channel can be received.

또한 제2 컨텐츠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라면, 해당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되지 않음)와의 통신 접속이 수행될 수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In addition, if the second content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content providing server (not shown) providing the second content may be performed.

또한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제2 컨텐츠 획득 정보가 생성된 경우라면, 실제로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야 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ssuming that the second content is stored i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or a storage device corresponding thereto, the second content is actuall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Should b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이러한 판단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2 컨텐츠 의 획득이 가능한 지 판단하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determinatio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acquisition determination unit 230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conten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2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230)에서 제2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2 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acquiring unit 240 for acquiring the second content when the second content acquiring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that the second content can be acquired. Can be.

컨텐츠 획득부(240)는 제2 컨텐츠가 지상파 방송 채널을 통하여 획득 가능하다고 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를 통하여 해당 지상파 방송 채널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If the second content is obtainable through the terrestrial broadcast channel, the content acquirer 240 receives the terrestrial broadcast channel through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or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o control.

컨텐츠 획득부(240)는 또한 제2 컨텐츠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가능하다고 하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를 통하여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ent obtaining unit 240 also corresponds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or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o receive the second cont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f the second content is receivabl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content throug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컨텐츠 획득부(240)를 통하여 획득한 제2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terminal controller 250 for controlling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o provide the second content obtained through the content obtaining unit 240. .

즉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250)는 컨텐츠 획득부(240)를 통하여 획득한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컨텐츠 재생이나 디스플레이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display terminal controller 250 may control a content reproduction or display process so that the second content obtained through the content obtaining unit 240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한편 컨텐츠 획득부(240)를 통하여 획득한 제2 컨텐츠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단 말(130)이 휴대용 기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 디스플레이 단말인 경우에, 제2 컨텐츠의 해상도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 가능한 것보다 높을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content acquired through the content acquirer 240 may not be suitable for providing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is a small display terminal used in a portable device or the like, the resolution of the second content may be higher than that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컨텐츠 획득부(240)에서 획득한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ent conversion unit 260 for converting the second content acquired by the content acquisition unit 240 to be suitable for display o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can do.

즉 컨텐츠 변환부(260)는 해상도의 조정 등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content converter 260 converts the second content to be suitable for displaying o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such as adjusting the resolution.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TV 수신기 등의 고정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고정형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PDA 등의 휴대용 기기인 경우 휴대용 기기 내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with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hat is, whe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is a fixed display device such as a TV receiver,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may be integrated into the fixed display device.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is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DA,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may be integrated into the portable device.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 내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TV 수신기인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는 예컨대 TV 수신기에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 또는 IP-TV의 수신을 위한 셋탑박스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in a content playback device (not shown)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is a TV receiver,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may be, for example, a set top box for receiving a cable or satellite broadcast or IP-TV connected to the TV receiver.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별도로 구성되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유무선 통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의 컨텐츠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and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o perform content switching of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를 통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를 통하여 전술한 POP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Through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receive the first content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from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and als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 The second content provided at 140 may be provided at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hat is, the above-described POP func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through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의 경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단말(130, 140)을 각각 제어하여 컨텐츠의 전환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경우라면,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POP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In the related ar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terminals 130 and 140 must be controlled to switch contents, respectively.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P func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through one user inpu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블록도이다.5 is another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320)와,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와,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330)와, 컨텐츠 획득부(340)와, 컨텐츠 변환부(360)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320 and a display terminal controller 350. In additio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or 310, the content acquisition determination unit 330, the content acquisition unit 340, the content conversion unit 360 Each may further includ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and 5.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다른 컨텐츠 전환 장치(도시되지 않 음)로터 전송되어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320)에서 수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320 receives a first content switch signal that controls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o provide the first content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he first content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or another content switching device (not shown)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o be received by the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320. Can be.

이 경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tent switch signal may includ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이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제1 컨텐츠가 예컨대 디지털 방송 또는 DMB 방송 또는 IP-TV 서비스 등의 서비스인 경우 컨텐츠의 식별 정보는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즉 각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은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수신한 해당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컨텐츠를 획득하여 재생이 가능하다.When the first content is a service such as a digital broadcast, a DMB broadcast, or an IP-TV ser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y be channel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broadcast channel is transmitted,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may acquire and reproduce the first content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 channel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320.

따라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broadcast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한편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이 제1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여 재생하던 경우 또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되어 연결된 컨텐츠 저장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receives and plays the first content through a network or receives and provides the first content from a content storage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have.

이 경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제1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제1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network addr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cquiring the first content, pa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first content is stored, or metadata information for acquiring the first content.

즉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홈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제1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경우라면,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해서 URL 형태의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에서 제1 컨텐츠를 수신해서 제공하는 경우라면,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해서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 형태의 경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함께 포함하여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1 컨텐츠 재생 시 참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메타데이터는 예컨대 제1 컨텐츠의 형식, 내용, 재생 시작 지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content is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hrough an internet network or a home network,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URL for the first content. In addition, when the storag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receives and provides the first content,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pa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file system directory for the first content. In this case,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metadata about the first content. That is,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metadata for the first content so that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can refer to it when playing the first content. The metadata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a format, content, a playback start point, and the like of the first content.

한편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350)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320)에서 수신한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기초로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재생하도록 제어한다.Meanwhile, the display terminal controller 350 controls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o play the first content based on the first content switching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320.

즉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350)는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기초로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컨텐츠 재생이나 디스플레이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display terminal controller 350 may control a content reproduction or display process so that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based on the first content switching signal.

한편 이러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1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Meanwhile, even when receiving the first content switch signal including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the content switch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ontent can be acquired by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Needs to be.

예컨대 제1 컨텐츠가 DMB 방송 채널 등을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라면,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해당 DMB 방송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지 또는 해당 DMB 방송 채널에 대응하여 다른 형태로 전송되는 방송 채널, 예컨대 지상파 디지털 방송 채널 또는 케이블 방송 채널 또는 IP-TV 서비스 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For example, if the first content is transmitted through a DMB broadcast channel or the like,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may receive the corresponding DMB broadcast channel or a broadcast channel transmitted in another form in correspondence to the DMB broadcast channel, for example. It should be determined whether a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 channel, a cable broadcast channel or an IP-TV service channel can be received.

또한 제1 컨텐츠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라면, 해당 제1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되지 않음)와의 통신 접속이 수행될 수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In addition, if the first content is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content providing server (not shown) providing the first content may be performed.

또한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제1 컨텐츠 획득 정보가 생성된 경우라면, 실제로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야 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ssuming that the first content is stored i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or a storage device corresponding thereto, the first content is actually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or the corresponding content. Should b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이러한 판단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1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한 지 판단하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determinatio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acquisition determination unit 330 tha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onten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330)에서 제1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1 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acquiring unit 340 for acquiring the first content when the content acquiring determination unit 330 determines that the first content can be acquired. .

컨텐츠 획득부(340)는 제1 컨텐츠가 지상파 방송 채널을 통하여 획득 가능하다고 하면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를 통하여 해당 지상파 방송 채널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If the content obtaining unit 340 is capable of acquiring the first content through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channel, the content acquiring unit 340 receives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channel through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or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o control.

컨텐츠 획득부(340)는 또한 제1 컨텐츠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가능하다고 하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를 통하여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ent obtaining unit 340 may also correspond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or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o receive the first cont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f the first content is receivabl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content through.

한편 컨텐츠 획득부(340)를 통하여 획득한 제1 컨텐츠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휴대용 기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 디스플레이 단말인 경우에, 제1 컨텐츠의 해상도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 가능한 것보다 높을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content acquired through the content acquirer 340 may not be suitable for providing i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For example, whe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is a small display terminal used in a portable device or the like, the resolution of the first content may be higher than that provided by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컨텐츠 획득부(340)에서 획득한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ent conversion unit 360 for converting the first content acquired by the content acquisition unit 340 to be suitable for display o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can do.

즉 컨텐츠 변환부(360)는 해상도의 조정 등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content converter 360 converts the first content to be suitable for displaying o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such as adjusting the resolution.

한편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tent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can be provided by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전술한 POP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재생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However,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second content played i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i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POP func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or 310.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한다.The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ion unit 310 generates a second content switch signal to provide the second content provided by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즉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2 컨텐츠를 재 생하도록 의도하는 신호이며, 예컨대 사용자 입력 등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content switch signal is a signal intended to reproduce the second content i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and may be received through, for example, a user input.

즉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or 310 may receive a user input intended to provide the second content o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from a user input devic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For this purpose, the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or 310 may include a user input receiver although not shown.

이 경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해당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or 31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second content switch signal only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by the user input receiver (not shown).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원격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user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is provided in a user input interface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or a second content reproduction devic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It may be any one of the user input interface or the user input interface provided in the remote input devic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이러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4를 참조로 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user input interface is similar to tha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4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컨텐츠 전환 신호가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에서 생성되면,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는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content switch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or 310 in this manner, the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320 may transmit the second content switch signal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이러한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10)는 제2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 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2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easily perform such playback, the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ion unit 310 corresponds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or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o obtain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acquisition of the second content. It may include a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not shown) obtained from a second content reproduction device (not shown) disposed to play the second content.

이 경우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는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content switch signal may includ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이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제2 컨텐츠가 예컨대 디지털 방송 또는 DMB 방송 또는 IP-TV 서비스 등의 서비스인 경우 컨텐츠의 식별 정보는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즉 각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은 해당 방송 채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컨텐츠를 획득하여 재생이 가능하다.When the second content is a service such as a digital broadcast, a DMB broadcast, or an IP-TV ser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y be channel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broadcast channel is transmitted,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may acquire and reproduce the second content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 channel.

따라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broadcast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ent.

이러한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현재 재생 중인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즉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제2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2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 현재 재생 중인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about the broadcast channel can be obtained by extracting information on the broadcast channel currently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not shown). That is,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be disposed in a broadcast channel currently being played by a second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not shown) dispo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or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o reproduce the second content. Can be obtained by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the

한편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제2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여 재생하던 경우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되어 연결된 컨텐츠 저장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receives and plays the second content through a network or receives and provides the second content from a content storage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have.

이 경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2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제2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제2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network addr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cquiring the second content, pa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second content is stored, or metadata information for acquiring the second content.

즉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홈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제2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경우라면,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는 현재 재생 중인 제2 컨텐츠에 대해서 URL 형태의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는 저장 장치에서 제2 컨텐츠를 수신해서 제공하는 경우라면,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는 현재 재생 중인 제2 컨텐츠에 대해서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 형태의 경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제2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함께 포함하여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2 컨텐츠 재생 시 참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메타데이터는 예컨대 제2 컨텐츠의 형식, 내용, 재생 시작 지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cond content is provided from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or the home network, the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not shown) identifies the network in the form of URL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Acquisition is possible by extracting information. In addition, if the storag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receives and provides the second content, the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not shown) may provide a path in the form of a file system directory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Acquisition is possible by 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metadata about the second content. That is,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includes metadata for the second content so that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can refer to the second content. The metadata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a format, content, a playback start point, and the like of the second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TV 수신기 등의 고정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고정형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PDA 등의 휴대용 기기인 경우 휴대용 기기 내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with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hat is, whe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is a fixed display device such as a TV receiver,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in the fixed display device. Alternatively, whe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is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DA,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in the portable device.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도시되지 않음) 내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이 TV 수신기인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는 예컨대 TV 수신기에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 또는 IP-TV의 수신을 위한 셋탑박스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in a content reproduction device (not shown)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For example, whe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is a TV receiver,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may be, for example, a set top box for receiving a cable or satellite broadcast or an IP-TV connected to the TV receiver.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별도로 구성되어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유무선 통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되어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의 컨텐츠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o perform content switching of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를 통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300)를 통하여 전술한 POP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Through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receive the second content provided by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from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and also the first display terminal ( The first content provided at 130 may be provided at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hat is, the above-described POP func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through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의 경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단말(130, 140)을 각각 제어하여 컨텐츠의 전환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경우라면,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POP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In the related ar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terminals 130 and 140 must be controlled to switch contents, respectively.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P func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through one user input.

도 4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200 또는 300)를 이용하면,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독립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o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is controlled,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provides the first content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can do. 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may control the second content provided from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independently or in parallel thereto.

이런 방식으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 사이에서 각각 재생하던 제1 컨텐츠와 제2 컨텐츠가 서로 전환되어 POP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제1 컨텐츠 또는 제2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획득이 실패하는 경우, 상호 전환되는 POP 기능이 제공되지 않더라도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140)에서는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140 또는 130)에서 재생하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played betwee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and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may be switched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POP function. Alternatively, when the acquisition of any one of the first content or the second content fails, at least one display terminal 130 or 140 may use another display terminal 140 or 130 even if the POP function is not switched. It can provide the content that was playin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6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content switch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시스템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장치(200')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content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and a second content switching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Device 300 '.

제1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The first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 controls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to provide the first content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The second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 controls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o provide the second content provided from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이 경우 1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할 수 있으며,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 may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content may be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and the second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content is the second display terminal ( In step 14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available.

이러한 판단을 거쳐서 제1 컨텐츠 전환 장치(200')에서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에서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 단하는 경우에만,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고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POP 기능이 구현될 경우에만 컨텐츠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한쪽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140))에서 해당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경우에 해당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140)에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구성 역시 가능할 것이다.Through this determination, the first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second content can be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and the second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determines that the first content is the second display terminal. Only when it is determined to be available at 140, the second content may be provided by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and the second content may be controll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That is, the content switching can be configured only when the POP function is implemented. However, when one of the display terminals 130 or 140 is capable of 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display terminal 130 or 140 to 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may be possib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장치(200')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구성 역시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content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 which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displays the second content provided by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in the first display. The second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 controlled to be provided by the terminal 130 and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receives the first content provided from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Configurations to control to provide at 140 would also be possible.

이 경우 1 컨텐츠 전환 장치(200')는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할 수 있으며,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는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 가능한 지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 may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content may be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and the second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content is the second display terminal ( In step 14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available.

이러한 판단을 거쳐서 제1 컨텐츠 전환 장치(200')에서 제2 컨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컨텐츠 전환 장치(300')에서 제1 컨텐츠가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만, 제1 컨텐츠를 제2 디스플레이 단말(140)에서 제공하고 제2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단말(130)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POP 기능이 구 현될 경우에만 컨텐츠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한쪽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140))에서 해당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경우에 해당 디스플레이 단말(130 또는 140)에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구성 역시 가능할 것이다.Through this determination, the first content switching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second content can be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and the second content switching device 300' determines that the first content is the second display terminal. Only when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140 that the first content can be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140 may be controlled to provide the second content in the first display terminal 130.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gured to switch content only when the POP function is implemented. However, when one of the display terminals 130 or 140 is capable of 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display terminal 130 or 140 to 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may be possible.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possibl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at all description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 재생하던 컨텐츠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어서 컨텐츠의 확인 또는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TV 등의 화면 크기가 큰 디스플레이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화면 크기가 작은 디스플레이 단말 사이에서 컨텐츠를 연속 재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played back between different display terminals can be linked to each other, thereby easily checking the content or continuously playing the content. In particular, content can be continuously played between a display terminal having a large screen size such as a TV and a display terminal having a small screen siz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PIP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PIP function.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 및 컨텐츠 전환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전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2 to 3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content switching using the content switching device and the content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4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블록도.5 is another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content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전환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6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 content switch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주요 화면 120: 부 화면110: main screen 120: secondary screen

130: 제1 디스플레이 단말 140: 제2 디스플레이 단말130: first display terminal 140: second display terminal

150, 160: 화면 200: 컨텐츠 전환 장치150, 160: screen 200: content switching device

210: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 220: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ion unit 220: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30: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 240: 컨텐츠 획득부230: Content acquisition determination unit 240: Content acquisition unit

250: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 260: 컨텐츠 변환부250: display terminal controller 260: content conversion unit

300: 컨텐츠 전환 장치 310: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300: content switching device 310: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ion unit

320: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 330: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320: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30: content acquisition determination unit

340: 컨텐츠 획득부 350: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340: content acquisition unit 350: display terminal control unit

360: 컨텐츠 변환부360: content conversion unit

Claims (37)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을 제어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로서,A content switching device for controlling a first display terminal,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1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이 아닌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와,A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content switch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content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terminal to be provided by the second display terminal instead of the first display terminal;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게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되던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 인터페이스부와,A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first content switching signal to the second display terminal and receiving a second content switch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display terminal to provide the second content provided from the second display terminal; Wealth,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한 지 판단하는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와,A content acquisition unit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content can be obtained;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여부 판단부에서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2 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부와,A content obtaining unit obtaining the second content when the second content obta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second content is obtained; 상기 컨텐츠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제어부A display terminal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first display terminal to provide the second content acquired by the content obtaining unit;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Content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The content switch signal generation unit,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제공하도록 의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User inpu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intended to provide the first content in the second display terminal from a user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Content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And the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or generates the first content switching signal only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by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는 원격 입력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The user input device may include a user input interface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terminal or a user input interface provided in a first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or a remote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Content switching device which is any one of the provided user input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전환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고,The content switching signal generation uni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or the first display terminal to obtain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acquiring the first content, from a first content reproduction device that reproduces the first content. It includes a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o obtain; 상기 제1 컨텐츠 전환 신호는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And the first content switch signal includes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And 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broadcast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1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1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The first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is network addr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cquiring the first content, pa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toring the first content, or metadata information for acquiring the first cont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컨텐츠 전환 신호는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에 필요한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And the second content switch signal includes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obtaining the second content.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And the second content acquisi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broadcast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ent.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2 컨텐츠 획득 정보는 상기 제2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 소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컨텐츠가 저장된 경로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의 획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인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The second content obtaining information is network addres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obtaining the second content, pa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ing the second content, or metadata information for obtaining the second cont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부A content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the second content acquired by the content acquirer to be suitable for displaying on the first display terminal;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전환 장치.Content switch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The content switching device is a content switching device that is integrally implemented on the first display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전환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단말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인 컨텐츠 전환 장치.The content switching device is a content switching device that is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content playback devic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126623A 2007-12-07 2007-12-07 Apparatus for switching contents KR1009255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23A KR100925513B1 (en) 2007-12-07 2007-12-07 Apparatus for switch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623A KR100925513B1 (en) 2007-12-07 2007-12-07 Apparatus for switching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651A KR20090059651A (en) 2009-06-11
KR100925513B1 true KR100925513B1 (en) 2009-11-05

Family

ID=4098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623A KR100925513B1 (en) 2007-12-07 2007-12-07 Apparatus for switching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51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177A1 (en) * 2011-08-11 2013-02-14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9088814B2 (en) 2011-08-11 2015-07-21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841B1 (en) * 2009-12-10 2016-08-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he Service Interworking Apparatus between Media and The Service Interworking Method between Media
KR101644598B1 (en) 2010-02-12 201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to control video system including the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KR101275589B1 (en) * 2011-12-28 2013-06-17 한국정보화진흥원 Method for estimating optimal viewable position of display device
KR101480300B1 (en) * 2012-11-30 2015-01-12 한국과학기술원 Interactive contents provision system and method using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main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KR102475167B1 (en) * 2015-11-11 2022-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esenting application us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device thereof
KR102269520B1 (en) * 2019-09-17 2021-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ng continuous viewing function by using a second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390A (en) * 1999-06-07 2001-02-16 Nokia Corp Connec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outside device with television device
KR20060099147A (en) * 2005-03-1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direction of multimedia contents 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390A (en) * 1999-06-07 2001-02-16 Nokia Corp Connec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outside device with television device
KR20060099147A (en) * 2005-03-1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redirection of multimedia contents pla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177A1 (en) * 2011-08-11 2013-02-14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9088814B2 (en) 2011-08-11 2015-07-21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9762842B2 (en) 2011-08-11 2017-09-12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651A (en)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513B1 (en) Apparatus for switching contents
CN112584198B (en)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with multiple devices
KR10124054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US20140068675A1 (en) Enhanced program preview content
US20040261136A1 (en) Multi-media receiving device and multi-media receiving system
MX2007015899A (en) Dynamic media guide listings.
US20070074269A1 (en) Video processing device, video recorder/playback module,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JP200805406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controlling method
US20190394508A1 (en)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related image content of primary image content
JP2006528438A (en) Interactive picture-in-picture video
CN102221959A (en) Multi-picture display 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embedded media player, and application
JP20075227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of interactive television by telephone
US200902549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virtual channel service
US20090162035A1 (en) Playback method and playback system of contents
KR20060068142A (en) System for bidirectional tv portal service using mobile phone
KR100859665B1 (en) Method for playing contents continuously
KR100735188B1 (en) Method for EPG display of Digital TV
JP2012023633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of displaying program listing
KR200436088Y1 (en) Settop box with customized multimedia data synchronization function
KR101102392B1 (en) Tunning system of TV using audience rating informations and tunning method thereof
KR100963837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picture-out-of-picture function layer structure
KR100935395B1 (en) Method for switching contents between portable terminal and fixe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KR201000093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mmercial data in ip broadcasting receiver
KR100579624B1 (en) Method for selecting channel in video display system
KR100785991B1 (en) Method for editing image signal including memo inserted by users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with hd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