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291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rotary microphone set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rotary microphone 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291A
KR20060073291A KR1020040112436A KR20040112436A KR20060073291A KR 20060073291 A KR20060073291 A KR 20060073291A KR 1020040112436 A KR1020040112436 A KR 1020040112436A KR 20040112436 A KR20040112436 A KR 20040112436A KR 20060073291 A KR20060073291 A KR 20060073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rotar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icrophone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12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3291A/en
Publication of KR20060073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2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 또는 타인의 동영상을 촬영할 때 음원의 위치에 따라 마이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ry microphone set to enable the rotation of a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sound source when capturing a video of oneself or another using a camera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음향 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 및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의 양측에는 회전을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마이크의 방향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microphone for inputting a sound signal and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 subject, wherein the microphone is included therein, and both sides of the microphone include a support for rotation.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ry microphone s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ry microphone set to enable the change of.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마이크 세트를 이용하여 동영상 촬영시 카메라 방향의 음향 신호가 효과적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동영상 촬영 모드의 전환 또는 해제시에 자동으로 카메라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정위치로 회전하도록 하여 마이크 세트의 수동 조작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rotatable microphone set including a microphone so that the sound signal in the direction of the camera can be effectively input during video recording, and also automatically rotated or fixed to the camera direction when switching or canceling the video recording mode Rotation to the position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manual operation of the microphone set.

이동통신 단말기, 회전식 마이크Mobile terminal, rotary microphone

Description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Rotary Microphone Set}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Rotary Microphone Set}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카메라폰의 정면도 및 배면도,1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 conventional slide-type camera phone,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시도,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세트의 정면도 및 배면도,2b and 2c are front and rear views of the microphon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세트와 회전 장치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2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microphone set and a rot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캠코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cor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종래의 마이크가 고정된 이동통신 단말기100: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xed microphone

110: 본체 120: 마이크110: main body 120: microphone

130: 키패드 140: 기능키130: keypad 140: function keys

150: LCD 160: 슬라이드부150: LCD 160: slide section

170: 이어피스 180: 카메라170: earpiece 180: camera

190: 가이드 레일 190: guide rail                 

200: 회전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ry microphone set

210: 마이크 세트 212: 마이크210: microphone set 212: microphone

214: 회전축 216: 케이블 인출구214: shaft 216: cable outlet

218: 회전 장치 연결부 220: 본체218: rotary device connection portion 220: the main body

222: 회전 장치 224: 기어드 모터 더미222: rotary device 224: geared motor pile

226: 기어드 모터 홀더 228: 기어드 모터226: geared motor holder 228: geared motor

230: 키패드 240: 기능키230: keypad 240: function keys

250: LCD 260: 슬라이드부250: LCD 260: slide section

270: 카메라 세트 280: 회전키 버튼270: camera set 280: rotation key button

310: 마이크 세트 410: 마이크 세트310: microphone set 410: microphone set

420: 카메라420: camera

본 발명은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 또는 타인의 동영상을 촬영할 때 음원의 위치에 따라 마이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ry microphone se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ry microphone set that enables the rotation of a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sound source when capturing a video of oneself or another using a camera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 통화 수단으로 기능하였으나, 최근 통신 기술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작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generally functioned as a voice call means, but a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rapidly developed recently, a multifunc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meeting various needs of consumers has been released and commercialized. .

최근 상용화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 기능 이외에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의 수신 및 발신, 대금 결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나아가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부가시킨 이동통신 단말기인 카메라폰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카메라폰을 이용하여 사물의 형상을 찍거나 자신의 모습을 찍어 저장할 수 있고, 촬영한 영상을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수도 있게 되었다.Recently commercializ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game, internet search, receiving and sending E-mail, payment, etc. in addition to voice call function. Is appearing. Accordingly, the user can take a shape of an object or take a picture of himself or herself using a camera phone, and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another person.

최근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카메라폰의 종류로는 액정 화면을 대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폴더형과 슬라이드형이 있다.Recently, the most popular type of camera phone is a folding type and a slide type configured to enlarge the LCD screen.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의 슬라이드형 카메라폰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1A and 1B are front and rear views of a conventional slide type camera phone, respectively.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드형 카메라폰(100)은 문자나 각종 기호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130) 및 음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20)를 전면에 구비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본체(110)의 전면에 겹쳐지도록 결합되며, 문자나 각종 기호 및 영상 등을 출력하기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 150), 음향의 출력을 위한 이어피스(170) 및 특수 기능 실행을 위한 기능키(140)를 전면에 구비하는 슬라이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A and 1B, a conventional slide-type camera phone 100 includes a keypad 130 for inputting text or various symbols and a microphone 120 for inputting a sound signal. 110 is coupled to overlap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n a slidable structure parallel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LCD (Liquid Crystal Display: 150) for outputting characters, various symbols and images, And a slide unit 160 having a front surface of the earpiece 170 for outputting sound and a function key 140 for executing a special function.

따라서 사용자는 슬라이드부(160)를 위로 슬라이딩시켜 본체(110)의 전면을 개방하여 키패드(130)와 마이크(120)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키패드(130)를 이용하여 문자나 각종 기호를 입력할 수 있고, 마이크(120)와 이어피스(170)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slide the slide unit 160 upward to ope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input characters or various symbols using the keypad 130 while the keypad 130 and the microphone 120 are exposed. In addition, a phone call may be made using the microphone 120 and the earpiece 170.

슬라이드부(160)는 슬라이딩 운동의 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90)을 후면에 구비하고, 본체(110)는 슬라이드부(160)와 결합시 가이드 레일(190)에 대응되는 부위에 가이드 레일(190)과 결합 가능하고, 가이드 레일(190)과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가이드 레일(190)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lide unit 160 has a guide rail 190 that guid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liding motion at the rear side, and the main body 110 is a guide rail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190 when coupled with the slide unit 160. It is coupled to the 190, and having a coupling portion (not shown) formed to enable the sliding movement in the state coupled with the guide rail 190 is configured to perform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90 have.

또한, 본체(110)의 후면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장착되며, 후면 상단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80)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battery for power supply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 and a camera 180 for capturing an image is provided at the upper rear.

위와 같은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전방의 특정 물체나 타인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 카메라를 전방의 물체나 타인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후 커버에 구비된 LCD에 출력되는 영상을 보면서 촬영 거리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와 같은 소위 '셀프 촬영'시에는 회전형 카메라 세트를 구비한 경우 카메라 세트를 자신의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커버에 구비된 LCD 영상을 보면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고정형 카메라의 경우에 있어서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반사하는 거울을 통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a specific object or another person in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mera as described above, point the camera in the direction of the object or other person in front of the camera and take a photographing distance while viewing the image output on the LCD provided in the cover. If you have a rotating camera set, you can rotate the camera set in your direction and then use the LCD on the cover. You can shoot while watching the video.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fixed camera, you can take a picture of yourself through a mirror reflecting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그런데 최근 카메라의 화소수가 증가하고 내장 메모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디지털 카메라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캠코더와 같이 동영상을 장시간 촬영할 수 있도록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However, as the number of pixels of a camera increases and an internal memory increases, a function of all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not only to function as a digital camera but also to record a video for a long time like a camcorder is expanded.                         

캠코더와 같이 동영상을 촬영할 경우에 있어서 정지 화상과는 달리 음향의 녹음이 필수적인데, 종래의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도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했으며 또한 동영상과 함께 음향의 녹음이 가능하였다.Unlike still images, sound recording is essential when shooting a video such as a camcorder.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mera, video recording is possible and sound recording is possible with the video.

종래의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영상 촬영시 음향 녹음을 위한 마이크(12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음성 통화시 사용하는 마이크를 그대로 이용하였다.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did not have a microphone 120 for sound recording when shooting a video, but used a microphone used for a voice call as it is.

종래의 음성 통화시 사용하는 마이크는 사용자가 음성 통화시에 가장 효과적으로 음성을 전달할 수 있도록 통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입이 위치하는 방향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으로 마이크가 장착되어 있다.The microphone used in a conventional voice call is generally located below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most effectively transmit the voice during the voice call, and the microphone is placed in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mouth. It is installed.

이와 같이 마이크가 한 방향으로 고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는 본인의 동영상을 직접 촬영하는 '셀프 촬영'에 있어서는 자신의 영상 및 음성을 동시에 촬영 및 녹음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방의 물체나 타인을 촬영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마이크의 위치가 전방을 향하고 있지 않아 촬영하고 있는 전방의 음향을 효과적으로 녹음을 할 수 없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microphone is fixed in one direction, the self-shooting of the user's video directly has the advantage of simultaneously recording and recording his or her own video and audio. If you need to shoot another person, the microphone's position does not face the front, so you can't effectively record the sound in front of you.

또한 최근에는 MP3 기능, 고화음의 스테레오 또는 3D 음향 기능을 포함하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성능이 고도화되는 경향에 비추어 촬영하고 있는 영상과 다른 방향의 음향이 녹음된다는 점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촬영된 동영상의 품질 향상에 한계를 드러내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in the light of the trend toward the advancement of the acoustic performan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P3 function, high-resolution stereo or 3D sound function, the sound recorde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image being recorded is recorded.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limitation of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video recorded by the terminal is revealed.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마이크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마이크 세트를 이용하여 동영상 촬영시 카메라 방향의 음향 신호가 효과적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기어드 모터를 포함한 회전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마이크 세트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 세트의 수동 조작의 불편함을 해소하며, 동영상 촬영 모드의 전환 또는 해제시에 자동으로 카메라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정위치로 회전하는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sing a rotatable microphone set including a microphone so that the sound signal in the direction of the camera can be effectively input when shooting a video, and also a rotating device including a geared motor The microphone set can be automatically rotated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manual operation of the microphone set, and a rotary microphone set which automatically rotates to the camera direction or rotates to the right position when the video recording mode is switched or released is provid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향 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 및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의 양측에는 회전을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마이크의 방향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microphone for inputting a sound signal and a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a subject, including the microphone therein, and support parts for rotation on both sides of the microphone.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ry microphone set comprising a rotary microphone set to enable the change of the direction of the microphone, includ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a는 마이크 세트가 분리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 고, 도 2b 및 도 2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세트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세트와 마이크 세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icrophone set is separated, and FIGS. 2B and 2C are front and rear views of the microphon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FIG. 2D is a microphon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rotating device for rotating a microphone se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 세트(210), 문자나 각종 기호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230)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는 본체(220)와 위 본체(22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특수 기능 실행을 위한 기능키(240), 각종 정보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LCD(250)를 구비하며,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세트(270)를 포함하는 슬라이드부(260)로 구성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A to 2D, a microphone set 210 for inputting an acoustic signal and a keypad 230 for inputting letters or various symbols are provided. And a main body 220 including a battery (not shown) for power supply and a structur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20, a function key 240 for executing a special function, and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and images. The LCD 250 includes a slide unit 260 including a camera set 270 for capturing a subject.

도 2b 와 도 2c를 참조하여 마이크 세트(2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microphone set 2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B and 2C.

마이크 세트(210)는 마이크(212)를 내부에 포함하고,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축(214)이 형성되며, 회전축(214)과 동축선상의 타측에는 후술할 마이크 세트(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222)와의 연결을 위한 회전 장치 연결부(218)를 구비한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microphone set 210 includes a microphone 212 therein, and has a rotation shaft 214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thereof, and rotates the microphone set 21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other side of the shaft 214 and coaxially. It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rotating device connecting portion 218 for connection with the rotating device 222 to make.

이때, 마이크(212)는 마이크 세트(210)에 삽입되어 최초에는 키패드와 같은 방향인 전면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microphone 212 is inserted into the microphone set 210 and is fixed to face the front surface which is initiall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keypad.

또한, 마이크 세트(210)에 형성된 회전축(214)에는 마이크(212)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의 통로 역할을 하는 슬릿 형상의 케이블 인출구(2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케이블 인출구(216)의 형상은 반드시 슬릿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블의 유형에 따라 적당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otary shaft 214 formed in the microphone set 210 is formed with a slit-shaped cable outlet 216 that serves as a cable passage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microphone 212.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cable outlet 216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lit shape, it can be changed to a suitable shape according to the type of cable.

이상에서 설명한 마이크 세트(210)는 단말기의 본체(220) 하단에 형성된 마이크 세트 장착구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The microphone set 210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microphone set mounting ho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20 of the terminal to achieve a rotatable state.

여기서 마이크 세트 장착구는 마이크 세트(210)가 장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마이크 세트(210)에 형성된 회전축(214)과 결합 가능한 회전축 수용홀을 구비하고, 회전축 수용홀과 동축선상의 타측에는 후술할 마이크 세트(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222)와 마이크 세트(210)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홀(미도시)을 구비한다.Here, the microphone set mounting hole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mounted to the microphone set 210, and has a rotating shaft receiving hole that can b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14 formed on the microphone set 210, coaxial with the rotating shaft receiving hole The other side of the lin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device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rotary device 222 and the microphone set 210 for rotating the microphone set 210 to be described later.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세트와 마이크 세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Figure 2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microphone set and the rotating device for rotating the microphon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d를 참조하여 마이크 세트(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222) 및 마이크 세트(210)와 회전 장치(222)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D, a rotation device 222 for rotating the microphone set 210 and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icrophone set 210 and the rotation device 2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전기 신호에 따라 마이크 세트(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222)는 마이크 세트(210)의 회전축(214)과 동축선상의 본체(220) 내에 장착되며, 감속 기어를 내장한 기어드 모터(228)와 기어드 모터(228)를 수용하는 기어드 모터 홀더(226) 및 마이크 세트(210)에 형성된 회전 장치 연결부(218)와 결합하여 기어드 모터(228)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드 모터 더미(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rotating device 222 for rotating the microphone set 210 in accordance with an electrical signal is mounted in the main body 220 coaxial with the rotation shaft 214 of the microphone set 210 and includes a geared motor 228 with a reduction gear. Geared motor holder 226 for accommodating the geared motor 228 and the rotating device connecting portion 218 formed in the microphone set 210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eared motor 228 to the geared motor dummy 224.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이때, 마이크 세트(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222)와 마이크 세트(210)의 연결은 본체(220)의 마이크 세트 장착구에 형성된 연결홀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기어드 모터(228)와 결합된 기어드 모터 더미(224)가 마이크 세트 장착구 에 형성된 연결홀을 통해 마이크 세트(210)에 형성된 회전 장치 연결부(218)와 결합함으로써 기어드 모터(228)의 회전력을 마이크 세트(210)에 전달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tary device 222 and the microphone set 210 for rotating the microphone set 210 is made through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microphone set mounting hole of the main body 220. That i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eared motor 228 by coupling the geared motor dummy 224 coupled with the geared motor 228 with the rotating device connecting portion 218 formed in the microphone set 210 through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microphone set mounting hole. It is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set 210 to be rotated.

한편, 마이크 세트(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222)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드에서만 작동되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음성 통화 모드 또는 정지 화상의 촬영 모드에서 마이크 세트(210)는 항상 전화 통화를 위한 정위치, 즉 마이크 세트(210)에 형성된 마이크(212)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을 향하도록 하는 위치로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device 222 for rotating the microphone set 210 is controlled by a controller (not shown) to operate only in the camera mode for video shooting. In the voice call mode or the still image capturing mode, the microphone set 210 is always fixed in the correct position for a telephone call,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microphone 212 formed in the microphone set 210 faces the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그러나 동영상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는 카메라의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마이크의 위치를 전환한다. 예를 들면 동영상 촬영을 위한 모드 중에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는 소위 '셀프 촬영'의 경우에는 카메라의 위치가 촬영하는 자신을 향하게 되므로 이 경우에 마이크(212)의 위치는 원래의 정위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을 향하도록 하여 자신의 음성을 녹음하면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반면에 전방의 타인 및 물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방의 타인의 음성이나 음향을 녹음할 필요가 있으므로 마이크(212)의 위치가 전방을 향하도록 마이크 세트(210)를 회전하여야 한다.However, when the video recording mode is switched,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switches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amera.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o-called 'self-shooting' to take a picture of yourself in the mode for shooting video, the position of the camera is directed toward the shooting self.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212 is the original home position mobile communication. You can take a picture of yourself while recording your voice facing the front of the termina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aking pictures of others in front of the object and the voice or sound of others in the front it is necessary to record the microphone set 21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212 toward the front.

이와 같은 마이크 세트(210)의 작동은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제어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 측면에 회전 키버튼(280)을 부착하는 방법에 의하여 동영상 촬영중에 마이크 세트(210)를 강제로 이동하여 상대방의 음성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음성을 선택적으로 녹음하면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에 따른 마이크 세트(210)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microphone set 210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set 210 during video recording by attaching the rotary key button 280 to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The microphone set 210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manually operated so that the user can take an image while selectively recording not only the other's voice but also his / her own voic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드가 해제되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회전 장치(222)가 작동되어 마이크 세트(210)가 전화 통화를 위한 정위치, 즉 마이크(212)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을 향하도록 하는 위치로 자동 조정된다. 따라서 영상 촬영을 위해 마이크 세트(210)를 회전시킨 후 전화 통화를 위해 다시 마이크 세트(210)를 재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mera mode for image capturing is released, the rotating device 222 is operated by the control of a controller (not shown) so that the microphone set 210 makes a phone call. For the correct position, that is, the microphone 212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position to face the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hassle of having to rotate the microphone set 210 to retake the image and then readjust the microphone set 210 again for a telephone call.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of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문자나 각종 기호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 특수 기능 실행을 위한 기능키,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기지국과의 교신을 위한 안테나,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음향 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여 회전 가능한 원통형 형상의 마이크 세트(310) 및 마이크 세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본체와 위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장치에 의해 연결되고, 음향 출력을 위한 이어피스, 각종 정보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LC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이다.As shown in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a keypad for inputting a character or various symbols, a function key for executing a special function, a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a subject, and a base station. Rotatable about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ncluding a rotatable cylindrical microphone set 310 and a rotating device for rotating the microphone set, including an antenna for the battery, a battery for power supply, a microphone for input of a sound signal It is connected to the hinge device so that it is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isting of an earpiece for sound output, a cover including a LCD for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and images.

이때, 마이크 세트(310) 및 회전 장치는 도 2a를 통해 설명한 마이크 세트(210) 및 회전 장치(222)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며, 마이크 세트(310)의 경우 본체의 하단에 형성된 마이크 세트 장착구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마이크 세트 장착구에 결합된다.In this case, the microphone set 310 and the rotating device have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e microphone set 210 and the rotating device 222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A, and the microphone set 310 is equipped with a microphone se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t is coupled to a microphone set fitting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sphere.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캠코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cor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코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인 이어피스, 키패드, 기능키, LCD, 마이크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의 배치에 있어서도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사하다. As shown in FIG. 4, the camcor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earpiece, a keypad, a function key, an LCD, a microphone, and the like which are components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ilar to a communication terminal.

다만, 카메라(420)의 방향에 있어서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또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와 달리 카메라(420)의 촬영 방향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을 향하도록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캠코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방향은 카메라(420)의 방향과 일치하는 측면을 향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 세트(410)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 또는 측하부면에 포함되도록 하여 일반 음성 통화시는 단말기의 전면을 향하도록 하며 동영상 촬영시에는 마이크의 방향이 측면을 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420 is directed toward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like the general slide type or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direction of the camera 420. Therefore, the microphone direction of the camcor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uld be directed toward the side that matches the direction of the camera 420. 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microphone set 410 is disposed on the side or side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included so that the general voice call is directed to the front of the terminal, and when the video recording, the direction of the microphone is directed to the sid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마이크 세트를 이용하여 동영상 촬영시 카메라 방향의 음향 신호가 효과적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기어드 모터를 포함한 회전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마이크 세트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 세트의 수동 조작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동영상 촬영 모드의 전환 또는 해제시에 자동으로 카메라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정위치로 회전하도록 하여 모드 변환시 마이크 세트의 회전을 위하여 별도로 키조작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rotatable microphone set including a microphone, the sound signal in the direction of the camera can be effectively input during video recording, and the microphone is automatically used by using a rotating device including a geared motor. The set can be rotated to alleviate the inconvenience of manual operation of the microphone set, and when the video recording mode is switched or released, the camera automatically rotates to the camera or rotates to the correct position.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perate the key separately.

Claims (8)

음향 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 및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icrophone for capturing a subject and a microphone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상기 마이크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의 양측에는 회전을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마이크의 방향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rotary microphone set including the microphone therein and a rotary microphone set on both sides of the microphone including a support for rotation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micropho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전식 마이크 세트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rotary microphone se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ry microphone set,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low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전식 마이크 세트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측면 또는 측하부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rotary microphone set is provided with a rotary microphone set,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side or side lower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전식 마이크 세트와 결합되며,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rotary device coupled to the rotary microphone set, the rotary microphone set rotating the rotary microphone set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회전 장치는 감속 기어를 내장한 기어드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rotary device for rotating the rotary microphone se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ry microphone s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eared motor with a built-in reduction gea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회전 장치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의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마이크의 방향이 회전하도록 제어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rotating device for rotating the rotary microphone se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otary microphone set, characterized in that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rotate the direction of the microphone automa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camera in the video recording mod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동영상 촬영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마이크의 방향이 음성 통화 가능한 상태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전면부를 향하도록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direction of the microphon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face the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voice communication state when the video recording mode is release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마이크 세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회전 장치를 구동하는 회전 키버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rotary key button for driving the rotary device for rotating the microphone set.
KR1020040112436A 2004-12-24 2004-12-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rotary microphone set KR200600732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436A KR20060073291A (en) 2004-12-24 2004-12-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rotary microphone 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436A KR20060073291A (en) 2004-12-24 2004-12-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rotary microphone 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291A true KR20060073291A (en) 2006-06-28

Family

ID=3716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436A KR20060073291A (en) 2004-12-24 2004-12-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rotary microphone 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329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042B1 (en) * 2006-11-23 200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ith protrusion type mic module
US20120041580A1 (en) * 2010-08-10 2012-02-1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uto-tracking sound source
CN110166661A (en) * 2018-02-13 2019-08-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CCD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042B1 (en) * 2006-11-23 200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ith protrusion type mic module
US20120041580A1 (en) * 2010-08-10 2012-02-1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uto-tracking sound source
US8812139B2 (en) * 2010-08-10 2014-08-1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uto-tracking sound source
CN110166661A (en) * 2018-02-13 2019-08-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CCD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217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US7084919B2 (en) Portable terminal with rotatable axial flip unit and dual lens arrangement
KR100703904B1 (en) Multifunctional mobile electronic device
JP3882687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040209645A1 (en) Portable terminal
JP2004015798A (en) Camera-driving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equipped with camera-driving device
JP200431238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0560885B1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ing type camera
JP3105939U (en) Handheld electronics
JP3751197B2 (en) Mobile phone
JP2002325127A (en) Mobile phone
JP4199576B2 (en) Foldable mobile terminal
JP2004274777A (en) Portable multifunctional electronic apparatus
JP2003018261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2006007329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rotary microphone set
KR200372675Y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utomatic Rotary Camera Set
KR100941537B1 (en) Mobile phone
KR200346601Y1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ing type camera
AU200720132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KR101622594B1 (en) Portable terminal
JP3751901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31877B1 (en) Mobile phone with camera apparatus
JP2003101619A (en) Portable terminal
KR20040069372A (en) Folder type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KR20060034016A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