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016A -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device - Google Patents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016A
KR20060034016A KR1020040083137A KR20040083137A KR20060034016A KR 20060034016 A KR20060034016 A KR 20060034016A KR 1020040083137 A KR1020040083137 A KR 1020040083137A KR 20040083137 A KR20040083137 A KR 20040083137A KR 20060034016 A KR20060034016 A KR 20060034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older
mobile communication
main body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4016A/en
Publication of KR20060034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0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키패드를 구비하는 본체와,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폴더와, 카메라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상부 및 상기 폴더 하부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 내에 실장성을 고려하여, 본체와 폴더 외에 카메라를 고정하는 촬영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는 가장 활용도가 높은 위치인 상부 면에 고정하여 실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에 2개의 힌지를 적용하여 폴더와 본체를 각각 동작함으로써 사진과 동영상촬영이 용이하며, 폴더의 외부에 구비된 보조액정화면의 출력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상기 보조액정화면을 바라보면서 자기 자신을 촬영할 수있으며 사용상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hotographing apparatus, the main body having a keypad on the front, a folder having a display device, and a camera, which is hing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folder, respectively. Provided is a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hotograph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fixing the camera in addition to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in consideration of the mountability in the terminal, the camera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mountability by fix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est utilization position. In addition, by applying two hinges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o operate the folder and the main body, respectively, it is easy to take a picture and a video, and the output direction of the sub-liquid crystal screen provided at the outside of the folder is the same, and the sub-liquid crystal screen is desired. You can take a picture of yourself while looking at it, and it will increase your convenience.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폴더, 촬영장치, 카메라, 힌지Mobile terminal, main unit, folder, camera, camera, hinge

Description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DEVIC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filming device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DEVICE}             

도 1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이 가능한 폴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lder capable of rotating a conventional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2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older of a conventional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open stat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폴더가 닫힌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of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los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90도 개방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older of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90 degree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폴더가 모두 개방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both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of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ned.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폴더의 개방각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8A to 8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the opening angles of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of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

이동통신 단말기 - A 본체 - 100Mobile communication terminal-A body-100

키패드 - 101 송화부 - 102Keypad-101 Transmitter-102

배터리 - 103 힌지너클 - 110, 110'Battery-103 Hinge Knuckles-110, 110 '

폴더 - 200 메인 액정화면 - 201Folder-200 Main LCD Screen-201

보조 액정화면 - 202 수화부 - 203Auxiliary LCD Screen-202 Earpiece-203

촬영장치 - 300 카메라 - 301Cinematography-300 Cameras-301

플래시 - 302 더미힌지 - 310b, 320bFlash-302 Dummy Hinge-310b, 320b

힌지 - 410, 420 제 1삽입부 - 411, 421Hinge-410, 420 Insert 1-411, 421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보조액정, 촬영장치를 구비하여 본인 촬영을 할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ubsidiary liquid crystal and a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s related to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hotographing itself.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로 격리된 위치에 있는 사용자가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장치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자 통신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디자인과 함께 새로운 기능의 추가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 전송은 물론이고, 인터넷접속도 가능하며 화상통화나 화상정보의 전송도 가능하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a user in a locat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communicate through a base station. 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industr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added with various designs and additions of new functions, and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to enable the transmission of text messages and various information as well as internet access.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video calls or image information.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특히 최근에는 피사체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전송 및 삭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행이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spread of 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become widespread in general, and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 photograph or video of a subject and storing the image data thereof, and then editing, transmitting and deleting them as necessary. The trend is spreading rapidly.

또한, 최근에는 광학줌이 가능한 카메라와,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메가급 카메라가 등장하고 있어, 촬영되는 영상의 품질 또한, 한층 향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촬영장치의 크기 또한 커지게 되고, 배선의 연결방법 또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어, 최근에는 본체의 후면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으며, 카메라의 사양이 높아짐으로써 부품실장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동작성 개발에 제한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a camera capable of optical zoom and a mega camera supporting high resolution have been introduced, and the quality of the image to be photographed is further improved, and thus the siz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also increased. In addition, as a problem has emerged, in recent years, the camera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as the specification of the camera is increased,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difficulty of mounting the compon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 operation.

도 1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이 가능한 폴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lder that can be rotated in the conventional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ure 2 is a rear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lder of the conventional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ed.

도 1의 도시와 같이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인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모습을 인지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본체(10)의 상측의 폴더(20)가 회전하여 메인 액정화면(21)을 통해 자신의 모 습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take a picture of one's own body, a structure capable of recognizing one's own body must be provided, so that the folder 20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rotates. The main LCD screen 21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his or her appearance, thereby enabling photographing.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통화시 그 통화 각을 유지하기 위하여 본체(10)로부터 폴더(20)의 개방각을 140°내지 150°로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미도시)의 출력방향과, 폴더(20)의 메인 액정화면(21)의 출력 방향이 달라 촬영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imited to the open angle of the folder 20 from the main body 10 to 140 ° to 150 ° in order to maintain the angle of the call during the phone call, the camera provid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 The output direction of the main LCD screen 21 of the folder 20 and the output direction of the folder 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ich causes a problem of being very inconvenient to photograph.

또한, 도 2의 도시와 같이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인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30')의 인접위치에 반사판(40')을 구비하여 상기 반사판(40')을 보면서 촬영이 가능하게 한 것들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 역시 자신의 모습을 인지하는 정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촬영의 불편함은 마찬가지이며, 또한 별도의 부품이 추가적으로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재료비의 상승은 물론, 상기 반사판(4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단말기의 외관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Also, as shown in FIG. 2, the conventional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reflector 40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camera 30' to photograph itself while photographing while viewing the reflector 40 '. Although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is is possible, this also has a limitation in the degree of perception of one's own appearance is the same as the inconvenience of shooting, and additional components need to be additionally mounted,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 material cost, the reflecting plate The installation of the 40 'cause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is adversely affect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내에 실장성을 고려하여, 본체와 폴더 외에 카메라를 고정하는 촬영장치을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는 가장 활용도가 높은 위치인 상부 면에 고정하여 실장성을 높일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fixing the camera in addition to the main body and folders in consideration of the mountability in the terminal, the camera has the highest utilization It is to provide a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 to increase the mountability

또한, 상기 촬영장치에 2개의 힌지를 적용하여 폴더와 본체를 각각 동작함으 로써 사진과 동영상촬영이 용이하며, 폴더의 외부에 구비된 보조액정화면의 출력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상기 보조액정화면을 바라보면서 자기 자신을 촬영할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by applying two hinges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t is easy to take a picture and a video by operating the folder and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to make the auxiliary liquid crystal screen the same as the output direction of the auxiliary liquid crystal scree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older. It is to provide a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take a picture of yourself while looking.

이러한 본 발명은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키패드를 구비하는 본체와,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폴더와, 카메라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상부 및 상기 폴더 하부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촬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keypad on the front surface, a folder having a display device, a camera, and a hing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lower portion of the folder,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hotographing device that is.

상기 카메라는 폴더가 닫혀 있을 때 폴더와 본체가 접하는 면의 길이 방향과 평행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폴더는, 본체가 닫혀 있는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90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며, 본체는, 폴더가 닫혀 있는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90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폴더와 본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며, 폴더와 본체는 각각 0도와 90도 사이의 소정의 각도에서 멈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각도는 60도로 설정된다.When the folder is closed, the camera is installed to 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where the folder and the body contact, the folder is rotatable upwards within 90 degrees from the position where the main body is closed, the main body, I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in a 90 degree range downward from the closed position of the folder. Further, the folder and the main body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the folder and the main body can each stop at a predetermined angle between 0 degrees and 90 degrees. Preferably, the predetermined angle is set to 60 degrees.

본체의 상부 및 폴더의 하부에는 각각 한조의 힌지 너클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 너클에 의해 상기 촬영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다.A pair of hinge knuckles ar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older, respectively, and a space portion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formed by the hinge knuckle.

상기 촬영장치의 양 측면에는 본체에 마련된 한조의 힌지 너클과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1힌지 결합 수단과, 폴더에 마련된 한조의 힌지 너클과의 힌지 결합 을 위한 제 2힌지 결합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Both side surface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re provided with first hinge coupling means for hinge coupling with a set of hinge knuckle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econd hinge coupling means for hinge coupling with a set of hinge knuckles provided in a folder. It consists of.

상기 촬영장치는 육면체로 구성가능하며, 이 경우에 상기 힌지 결합 수단이 마련된 면 이외의 일면에 카메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양 측면의 일측에 제 1힌지홈 및 제 2힌지홈이 구비되고, 타측에 제 1더미힌지 및 제 2더미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 마련된 한조의 힌지 너클의 한쪽에는 제 1힌지홈에 대응되는 제 3힌지홈이 마련되고, 다른쪽에는 제 1더미힌지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폴더에 마련된 한조의 힌지 너클의 한쪽에는 제 2힌지홈에 대응되는 제 4힌지홈이 마련되고, 다른쪽에는 제 2더미힌지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 1힌지홈과 제 3힌지홈 사이 및 제 2힌지홈과 제 4힌지홈 사이에는 각각 힌지가 삽입되어 본체 및 폴더가 독립적으로 촬영장치에 대해서 회동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may be configured of a hexahedron, and in this case, the camera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ther than the surface on which the hinge coupling means is provided. 2 hinge grooves are provided, the first pile hinge and the second pile hinge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one set of hinge knuckles provided 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third hing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inge groove, and on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dummy hinge, one side of the set of hinge knuckle provided in the folder is provided with a fourth hing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inge groove, the other side accommodates the second dummy hinge Insertion grooves are provided to each other, and hinges are inserted between the first hinge grooves and the third hinge grooves, and between the second hinge grooves and the fourth hinge grooves, respectively, so that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are rotated independently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힌지는 0도, 90도 및 0도와 90도 사이의 소정의 각도에서 멈출 수 있는 힌지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정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60도이다.The hin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can stop at a predetermined angle between 0 degrees, 90 degrees and 0 degrees and 90 degrees, the predetermined angle is preferably 60 degrees.

상기 촬영장치 상의 상기 카메라의 인접위치에는 카메라 촬영시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플래시가 마련되어 있다.A flash is provid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camera 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o provide illumination during camera shootin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 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폴더가 닫힌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of the terminal are closed.

도 3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는 크게 본체(100)와, 폴더(200) 및, 촬영장치(300)로 구분 형성된다.3 to 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main body 100, a folder 200, and a photographing apparatus 300.

본체(100)는 각종 전자소자의 내장이 가능하도록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101)가 구비되고, 하단 중앙에는 음성을 입력하는 송화부(102)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A)의 전원입력을 위한 배터리(10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an enclosure so that various electronic devices can be embedded therein, and a keypad 101 for inputting a signal is provided at a front side thereof, and a talker 102 for inputting voice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thereof.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the battery 103 for power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is detachably coupled.

그리고,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전파의 송, 수신을 위한 안테나(미도시)가 구비된다.In addition, an antenna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main bod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또한, 본체(100)의 상부 양측에는 상측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며 만곡한 호형 면을 이루는 한조의 힌지너클(110,110')이 형성되며, 한조의 힌지너클(110,110') 내부에는 제 3힌지홈(110a)과 삽입홈(110a')을 구비한다.In addition, a pair of hinge knuckles 110 and 110 'is form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face each other upward and form a curved arc surface. 110a) and insertion groove 110a '.

폴더(200)는 전면에 메인 액정화면(201)과, 상부 중앙에는 음성을 출력하는 송화부(203)를 구비하며, 후면에는 보조 액정화면(202)이 구비된다.The folder 200 includes a main LCD screen 201 at the front, a talker 203 for outputting voice at the upper center, and an auxiliary LCD screen 202 at the rear.

폴더(200)의 하부 양측에는 하측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며 만곡한 호형 면을 이루는 한조의 힌지너클(210,210')이 형성되며, 한조의 힌지너클(210,210')의 내부에는 제 4힌지홈(210a)과 삽입홈(21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pair of hinge knuckles 210 and 210 'is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folder 200 so as to face each other downward and form a curved arc surface, and a fourth hinge groove 210a is formed inside the set of hinge knuckles 210 and 210'. ) And the insertion groove 210a '.

촬영장치(300)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직육면체를 이루는 형상을 가지며, 각종 전자소자가 내장 가능하도록 함체형을 이루며, 상부 중앙에는 외부영상을 촬영 하기 위한 카메라(301)가 노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301)는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메가급 카메라(301)가 적용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has a shape of form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shown in FIG. 5, and forms an enclosure to allow various electronic devices to be embedded therein, and a camera 301 for capturing an external image is exposed to an upper center thereof. The camera 301 may be a mega camera 301 supporting high resolution.

또한, 카메라(301)의 인접 위치에는 플래시(302)가 구비되어 피사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어두운 곳에서 촬영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 flash 302 may be provid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camera 301 to make it easier to photograph in a dark place whe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a subject.

한편, 상기 촬영장치(300)의 양 측면에는, 본체(100)의 제 3힌지홈(110a)에 대응되는 제 1힌지홈(310a)과, 상기 제 1힌지홈(310a)에 반대쪽 면에 형성되며 본체(100)의 삽입홈(110a')에 대응되는 제 1더미힌지(310b)가 구비되어, 후술될 제 1힌지(41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the first hinge groove 310a corresponding to the third hinge groove 110a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irst hinge groove 310a are formed on opposite surfaces. The first dummy hinge 310b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110a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and is rotatably coupled by the first hinge 41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 1힌지홈과(310), 제 1더미힌지(310b)를 포함하여 제 1힌지 결합 수단을 구성한다.The first hinge groove 310 and the first dummy hinge 310b include a first hinge coupling means.

또한, 촬영장치(300)의 양 측면에는 폴더(200)의 제 4힌지홈(210a)에 대응되는 제 2힌지홈(320a)과, 상기 제 2힌지홈(320a)에 반대쪽 면에 형성되며 폴더(200)의 삽입홈(210a')에 대응되는 제 2더미힌지(320b)가 구비되어, 후술될 제 2힌지(4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econd hinge groove 320a corresponding to the fourth hinge groove 210a of the folder 200 and the second hinge groove 320a. A second dummy hinge 320b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210a 'of the 200 is provided, and is rotatably coupled by the second hinge 42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 2힌지홈(320a)과, 제 2더미힌지(320b)를 포함하여 제 2힌지 결합 수단을 구성한다.The second hinge groove 320a and the second dummy hinge 320b form a second hinge coupling means.

한편, 상기 제 1힌지 결합 수단과, 제 2힌지 결합 수단은 본체(100)와 폴더(200)와 결합하여 본체(100)와 폴더(200)가 각각 촬영장치(300)에 대해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first hinge coupling means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means are combined with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so that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respectively. It is composed.

제 1힌지(410)는, 촬영장치(300)에 구비된 제 1힌지홈(310a)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삽입부(411)와,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힌지너클(110)의 제 3힌지홈(110a)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2삽입부(412)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삽입부(411)와 제 2삽입부(412)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The first hinge 410 has a first insertion portion 411 having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hinge groove 310a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and a hinge knuckl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a second inserting portion 412 having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third hinge groove 110a of the 110, wherein the first inserting portion 411 and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412 rotate in the same rotation axis. This is formed into a possible structure.

제 2힌지(420)는, 촬영장치(300)에 구비된 제 2힌지홈(320a)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삽입부(421)와, 폴더(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힌지너클(210)의 제 4힌지홈(210a)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2삽입부(422)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삽입부(421)와 제 2삽입부(422)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The second hinge 420 includes a first insertion part 421 having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groove 320a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and a hinge knuckle provided below the folder 200. And a second inserting portion 422 having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ourth hinge groove 210a of 210, wherein the first inserting portion 421 and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422 are rotated in the same rotation axis. This is formed into a possible structure.

힌지(410,420)는, 일정주기의 각도를 갖고,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클릭힌지(Click type)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설정할 수 있는 프리스톱(Free-Stop)힌지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클릭(Two-click type)힌지로 60도와 90도에서 각각 정지 가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와 폴더의 개방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힌지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The hinges 410 and 420 may have an angle of a certain period, and a click hinge configured to be fixed or a free-stop hinge that may be set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may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two-click hinges can be stopped at 60 degrees and 90 degrees, respectively, an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 hinge that can be used by combining the opening angles of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러한, 일정 주기의 각도를 갖고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클릭힌지나, 다양한 각도에서도 고정을 이룰 수 있는 프리스톱힌지는 이미 종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내부 구조 및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lick hinge configured to be fixed with a fixed period of time and the free stop hinge which can be fixed at various angles is already widely used in the related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또한, 더미힌지(310b,320b)는 힌지(410,420)와 같이 고유기능을 갖지 않으며, 단지 폴더(200)와 본체(100)가 촬영장치(300)로부터 회동될 때 그 회동축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dummy hinges 310b and 320b do not have unique functions like the hinges 410 and 420, and serve only as the pivot shaft when the folder 200 and the main body 100 are rotated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한편, 촬영장치(300)를 중심으로 본체(100)와 폴더(200)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can be independently rotated aroun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90도 개방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폴더가 모두 개방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폴더의 개방각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folder of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90 degrees,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both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of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ned. 8A to 8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n opening angle of a main body and a folder of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도시와 같이, 폴더(200)를 촬영장치(300)로부터 90도로 개방시켜 세워놓고 상대방이나 기타 상대물을 촬영할 수 있으며, 동영상이나 미디어 관람에도 용이한 구성을 가진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folder 200 may be opened at an angle of 90 degrees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to photograph the other party or the other party, and may have an easy configuration for watching a video or media.

도 7의 도시와 같이, 촬영장치(300)로부터 본체(100)와 폴더(200)가 90도로 개방되어 본체(100)와 폴더(200)의 총개방각이 180도로 이루어지며, 촬영장치(300)의 카메라(301) 출력방향과 보조 액정화면(202)의 출력방향이 같아 자기 자신을 촬영을 할때 보조 액정화면(202)을 보면서 촬영할 수 있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 7,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are opened at 90 degrees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so that the total opening angl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is formed at 180 degrees. The output direction of the camera 301 and the output direction of the auxiliary LCD screen 202 of the same is the configuration that can be taken while looking at the auxiliary LCD screen 202 when photographing itself.

도 8a 내지 도 8b의 도시와 같이, 본체(100)와 폴더(200)가 촬영장치(300)에서 60도와 90도로 개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100)가 90도의 개방각을 가지면 폴더(200)는 60도의 개방각을 가지며, 본체(100)가 60도의 개방각을 가지면 폴더(200)의 개방각은 90도로 하여, 전체 개방각이 150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통화가 편한 각도를 사용자의 편의대로 조정할 수 있다.8A to 8B,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may be opened at 60 degrees and 90 degrees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and the main body 100 may open an opening angle of 90 degree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f the folder 200 has an opening angle of 60 degrees, if the main body 100 has an opening angle of 60 degrees, the opening angle of the folder 200 is set to 90 degrees, so that the entire opening angle is 150 degrees, thereby making the call comfortable. You can adjust it for your convenienc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 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attached claim.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내에 실장성을 고려하여, 본체와 폴더 외에 카메라를 고정하는 촬영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는 가장 활용도가 높은 위치인 상부 면에 고정하여 실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fixing a camera in addition to a main body and a folder in consideration of the mountability in the terminal, and the camera is fixed and mounted on an upper surface which is the most versatile position.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ex.

또한, 상기 촬영장치에 2개의 힌지를 적용하여 폴더와 본체를 각각 동작함으로써 사진과 동영상촬영이 용이하며, 폴더의 외부에 구비된 보조액정화면의 출력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상기 보조액정화면을 바라보면서 자기 자신을 촬영할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applying two hinges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o operate the folder and the main body, respectively, it is easy to take a picture and a video, and the output direction of the sub-liquid crystal screen provided at the outside of the folder is the same, and the sub-liquid crystal screen is desired. You can take a picture of yourself while looking at the camera, and it will increase your convenience.

Claims (13)

전면에 키패드를 구비하는 본체와,A main body having a keypad on the front surface,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폴더와,A folder having a display device, 카메라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상부 및 상기 폴더 하부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촬영장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amera and a photographing device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lower portion of the fold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메라는 폴더가 닫혀 있을 때 폴더와 본체가 접하는 면의 길이 방향과 평행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camera is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s installed so as to 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older when the folder is close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폴더는, 본체가 닫혀 있는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90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며,The folder can be rotated upwards within 90 degrees from the closed position. 본체는, 폴더가 닫혀 있는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90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main body is a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rotate within a range of 90 degrees downwar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older is close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폴더와 본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Folder and the main body is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ach independently rotatabl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폴더와 본체는 각각 0도와 90도 사이의 소정의 각도에서 멈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folder and the main body is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ach can stop at a predetermined angle between 0 degrees and 90 degrees.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소정의 각도는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predetermined angle is a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60 degre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본체의 상부 및 폴더의 하부에는 각각 한조의 힌지 너클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 너클에 의해 상기 촬영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A pair of hinge knuckles ar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lower portion of the folder, respectively, so that a space portion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formed by the hinge knuckl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촬영장치의 양 측면에는 본체에 마련된 한조의 힌지 너클과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1힌지 결합 수단과, 폴더에 마련된 한조의 힌지 너클과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2힌지 결합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Both side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re provided with first hinge coupling means for hinge coupling with a set of hinge knuckle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econd hinge coupling means for hinge coupling with a set of hinge knuckles provided in a folder.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촬영장치는 육면체이며, 상기 힌지 결합 수단이 마련된 면 이외의 일면에 카메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a hexahedron, and a fol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is provided on one surface other than the surface provided with the hinge coupling means.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양 측면의 일측에 제 1힌지홈 및 제 2힌지홈이 구비되고, 타측에 제 1더미힌지 및 제 2더미힌지가 구비되며,The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hinge groove and a second hinge groove on one side of the both side surfaces, a first pile hinge and a second pile hinge on the other side, 상기 본체에 마련된 한조의 힌지 너클의 한쪽에는 제 1힌지홈에 대응되는 제 3힌지홈이 마련되고, 다른쪽에는 제 1더미힌지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이 마련되며,A third hing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inge groov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t of hinge knuckles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an inser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dummy hing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상기 폴더에 마련된 한조의 힌지 너클의 한쪽에는 제 2힌지홈에 대응되는 제 4힌지홈이 마련되고, 다른쪽에는 제 2더미힌지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이 마련되며,A fourth hing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inge groov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t of hinge knuckles provided in the folder, and an inser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dummy hinge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상기 제 1힌지홈과 제 3힌지홈 사이 및 제 2힌지홈과 제 4힌지홈 사이에는 각각 힌지가 삽입되어 본체 및 폴더가 독립적으로 촬영장치에 대해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And a hinge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hinge groove and the third hinge groove and between the second hinge groove and the fourth hinge groove, respectively, so that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are independent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힌지는 0도, 90도 및 0도와 90도 사이의 소정의 각도에서 멈출 수 있는 힌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hinge is a hinge capable of stopping at a predetermined angle between 0 degrees, 90 degrees and 0 degrees and 90 degrees.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소정의 각도는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predetermined angle is a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60 degrees.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촬영장치 상의 상기 카메라의 인접위치에는 카메라 촬영시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플래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flash is provided for providing illumination when the camera is photograph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camera 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KR1020040083137A 2004-10-18 2004-10-18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device KR200600340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137A KR20060034016A (en) 2004-10-18 2004-10-18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137A KR20060034016A (en) 2004-10-18 2004-10-18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016A true KR20060034016A (en) 2006-04-21

Family

ID=3714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137A KR20060034016A (en) 2004-10-18 2004-10-18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401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0530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US7117564B2 (en)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KR100454965B1 (en) Portable phone with camera lenz opening means in closed folder
JP2006042396A (en) Portable phone with camera
EP1675362A2 (en) Foldable phone with a rotatable 3rd housing between the 2 folding housings
JP2001217908A (en) Portable wireless unit
JP4199576B2 (en) Foldable mobile terminal
KR20050113088A (en)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ual liquid crystal display
KR20050073163A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rotary type display device
KR20060034016A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device
KR10063950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ouble folders
KR100690717B1 (en) Ratatable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92182B1 (en) Folder type mobile phone which rotates an angle of 360 degrees
KR200339127Y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KR100536395B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KR100531936B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KR2007005741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KR20060019713A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74289A (en) Mobile terminal of slide type
KR10065085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57095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172578Y1 (en) Radiotelephone with digital camera function
KR2006007329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rotary microphone set
KR200340063Y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KR100467847B1 (en) Flip Type Mobile Phone Having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