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071A - Musical data edit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refor - Google Patents

Musical data edit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071A
KR20060050071A KR1020050062683A KR20050062683A KR20060050071A KR 20060050071 A KR20060050071 A KR 20060050071A KR 1020050062683 A KR1020050062683 A KR 1020050062683A KR 20050062683 A KR20050062683 A KR 20050062683A KR 20060050071 A KR20060050071 A KR 20060050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data
music
smaf
script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31232B1 (en
Inventor
다까히로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0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2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유저가 원하는 악곡의 소정 파트를 지정하여 메들리 악곡의 창작을 가능하게 하는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에서, 유저에 의해 SMAF Script를 이용하여 복수의 악곡의 소정 파트의 재생 순서가 지정되고, 해당 재생 순서에 따라 악곡의 재생이 행해진다. 재생 구간으로서는, 전주, 멜로디, 클라이막스 부분을 지정할 수 있으며, 또한, 통상의 재생뿐만 아니라, 정지, 일시 정지, 리와인드 등의 재생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휴대 정보 단말기의 경우, 복수의 착신 멜로디를 재생 순서에 따라 재생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한 악곡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 순서에 따라 재생할 수도 있다. In a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that designates a predetermined part of a piece of music desired by the user and enables creation of a medley piece of music, a playback order of predetermined parts of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is specified by a user using a SMAF Script, Thus, the music is reproduced. As the playback section, a pole, melody, and climax section can be designated, and not only normal playback but also playback control such as stop, pause, and rewind can be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 plurality of incoming melodies can be played back in the playback order, or music data downloaded through the network can be played back in the playback order.

사운드 미들웨어, 텐키부, 안테나, 음원부, 악곡 데이터 Sound middleware, tenki part, antenna, sound source part, music data

Description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 및 휴대 정보 단말기{MUSICAL DATA EDIT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REFOR}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MUSICAL DATA EDIT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ellular phone to which the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RAM에 기억되는 악곡 데이터 및 SMAF Script를 나타내는 도면. FIG. 2 is a diagram showing music data and SMAF Script stored in the RAM shown in FIG. 1; FIG.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처리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Fig.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n in FIG. 3;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처리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Fig. 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n in FIG. 5;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CPU1: CPU

1a : SMAF Script 플레이어1a: SMAF Script player

1b : 사운드 미들웨어1b: sound middleware

2 : ROM2: ROM

3 : RAM3: RAM

4 : 텐키부4: Tenkibu

5 : 표시부5: display unit

6 : 통신부6: communication unit

7 : 안테나7: antenna

10 : 음원부10: sound source

[참조 문헌 1] 일본 특개 제2000-89775호[Reference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89775

[참조 문헌 2] 일본 특개 제2002-169570호[Reference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169570

본 발명은, 메들리 악곡의 생성 등에 이용되는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ed for generating medley music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to which the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applied.

종래, 여러가지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참조 문헌 1에서는 메들리 악곡(medley)의 연주 제어 방법에 특징을 갖는 가라오케 장치(karaoke apparatus)를 개시하고 있고, 복수의 악곡의 일부를 편집하여 작성한 메들리 악곡에 기초하는 반주 음악을 생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가라오케 장치에서, 메들리 악곡을 편집할 수 있는 것은 소위 가라오케 업자뿐이며, 각 유저 가 그 가라오케 장치에서 기호의 악곡을 조합하여 원하는 메들리 악곡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는 않다. Conventionally, various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es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Reference Document 1 discloses a karaoke apparatus, which is characterized by a performance control method of a medley music. A part of the accompaniment music is produced based on the medley music created by editing. However, in this karaoke apparatus, only the so-called karaoke makers can edit the medley music, and each user is not configured to combine desired musical pieces in the karaoke apparatus to generate the desired medley music.

또한, 상기 참조 문헌 2는 오더 메이드의 메들리 악곡을 제공하는 음악 서버를 개시하고 있어서, 유저는 휴대 전화를 조작하여 메들리 악곡 생성 기능을 갖는 서버에 액세스하여, 복수의 악곡을 지정하면, 지정된 악곡에 의한 메들리 악곡이 해당 서버에 의해 생성되고, 휴대 전화에 다운로드된다. 그러나, 이 서버에서도 악곡의 어느 부분을 메들리 악곡으로서 사용할 수 있을지가 미리 결정되어 있어서, 유저가 악곡 중의 임의의 구간을 지정하여 메들리 악곡을 작성할 수는 없다. Further, Reference 2 discloses a music server that provides custom-made medley music, and when a user operates a mobile phone to access a server having a medley music generation function and specifies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By medley music is generated by the server and downloaded to the mobile phone. However, this server also determines in advance which part of the piece of music can be used as the medley piece of music, so that the user cannot create a medley piece of music by specifying an arbitrary section of the piece of music.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유저가 원하는 악곡의 임의의 부분을 지정하여 메들리 악곡을 생성할 수 있는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를 제공함과 함께, 해당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를 적용한 휴대 정보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designating an arbitrary portion of a desired music and generating a medley music, and the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t is to provide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o which the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는, 소정의 재생 구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한 복수의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악곡 데이터에 관한 것으로, 유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재생 구간의 재생 순서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재생 순서에 따라 악곡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재생 수단을 구비한다. The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means for sto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to which information indicating a predetermined playback section is added, and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selected by a user. Means for setting a reproduction order of a plurality of reproduction sections and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music data in accordance with the reproduction order.

여기서, 상기 재생 순서를 소정의 텍스트 형식을 갖는 SMAF Script에 의해 기술하고, 각 악곡의 복수의 파트를 해당 SMAF Script의 기술에 따라, 조합하여 재생한다. 또한, 복수의 재생 구간을 동시에 재생하도록 지정할 수도 있다. Here, the reproduction order is described by an SMAF Script having a predetermined text format, and a plurality of parts of each piece of music are combined and reproduced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SMAF Script.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ate a plurality of playback sections to be played back simultaneously.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는, 상기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를 적용한 것이며, 착신 시에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된 악곡을 착신음으로서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재생 순서를 미리 착신 멜로디로서 준비된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의 선택에 따라 설정한다. 혹은, 유저가 휴대 정보 단말기를 조작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재생 순서는 다운로드한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의 선택에 따라 설정한다.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generates the music reproduced by the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s the ringing tone upon reception. Here, the reproduction order is se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based on the music data prepared as the incoming melody in advance. Alternatively, the user operates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o access a predetermined server via a network to download the music data, and the reproduction order is se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based on the downloaded music data.

이에 의해, 유저가 원하는 악곡의 임의의 부분을 지정하여 메들리 악곡을 창작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휴대 정보 단말기에서 여러가지 변화가 풍부한 착신 멜로디를 생성할 수 있다. Thereby, the medley piece of music can be created by designating an arbitrary portion of the piece of music desired by the user, and therefore, the incoming melody rich in various changes can be generated in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실시예〉<Example>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를 내장한 휴대 전화기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1은 회로의 각 부를 제어하는 CPU(중앙 제어 장치)를 나타내며, 통상의 통신·통화 처리(communication/conversation processing)를 실행함과 함께, 악곡 데이터 편집 처리(musical data editing process)를 실행한다. 참조 부호 2는 CPU(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ROM(read-only memory)을 나타낸다. 이 ROM(2)은 통신 ·통화 처리 프로그램 및 악곡 데이터 편집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참조 부호 3은 데이터 기억용 불휘발성 RAM(volatile random-access memory)을 나타내며, CPU(1)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통화 처리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 기억함과 함께, 악곡 데이터 편집 처리에 사용되는 복수의 악곡 데이터, 및 SMAF(Synthetic music Mobile Application Format : 등록 상표) Script를 기억한다. 또한, SMAF Script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lephone incorporating a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CPU (central control unit) that controls each part of the circuit, and performs a normal communication / conversation processing, and also a music data editing process. ).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read-only memory (ROM) in which a program executed by the CPU 1 is stored. This ROM 2 stores a communication / call processing program and a music data editing program.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 volatile random-access memory (RAM) for data storage, which temporarily stores various data used for the communication / call processing executed by the CPU 1 and is used for music data editing processing.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and a SMAF (Synthetic music Mobile Application Format: registered trademark) script are stored. In addition, SMAF Script is mentioned later.

참조 부호 4는 전화 번호 입력용인 소위 텐키부(ten-key unit including numeric keys) 및 각종 기능 키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5는 액정 표시기(liquid crystal display)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부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6은 안테나(7)를 갖는 통신부를 나타내며, 송신 데이터를 반송파에 의해 안테나(7)를 통해 송신함과 함께, 안테나(7)를 통해 수신한 착신 데이터(incoming call data)를 복조하여 CPU(1) 또는 음성 처리부(speech processor)(8)에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8)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채취되어 출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또한 압축하고,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부(6)에 출력한다. 또한, 통신부(6)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에 공급한다. 참조 부호 10은 음원부를 나타내며, 버스 라인 B를 통해 공급되는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음 신호(musical tone signals)를 생성하고, 스피커(11)에 출력한다. 이 경우, 음원부(10)의 기능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되거나, 혹은,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된다. 또한, 음원 방식으로서 FM 음원이나 PCM 음원을 채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SMF(Standard MIDI File)나 SMAF와 같은 소 정의 악곡 데이터 포맷을 해석하고 재생할 수 있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악곡 데이터의 재생 방법으로서는, 동일한 시각에 단일한 악곡을 재생하는 것이어도 되며, 동시에 복수의 악곡을 재생하는 것이어도 된다.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n input portion including so-called ten-key unit including numeric keys and various function keys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reference numeral 5 denotes a display portion constitut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 Reference numeral 6 denotes a communication unit having an antenna 7, which transmits transmission data through the antenna 7 by a carrier wave, demodulates incoming call data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7, and decodes the CPU. (1) or to a speech processor (8). The voice processing unit 8 converts the voice signal collected by the microphone into digital data, compresses it, generates transmission data, and outputs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6. In addition, the audio data suppli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 is converted into an analog audio signal and supplied to the speaker.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sound source unit, and generates musical tone signals based on the music data supplied through the bus line B, and outputs them to the speaker 11. In this case, the function of the sound source unit 10 may be realized by software or by dedicated hardwar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FM sound source or a PCM sound source can be used as the sound source system, and that it is possible to interpret and reproduce a predetermined music data format such as SMF (Standard MIDI File) or SMAF. The music data reproducing method may be to reproduce a single piece of music at the same time or to reproduce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at the same time.

도 2는, 기억 수단인 RAM(3)에 기억된 악곡 데이터 및 SMAF Scrip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SMAF(Synthetic music Mobile Application Format)란 휴대 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단말기용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정의하기 위해, 야마하 주식회사에서 설계한 데이터 형식 사양으로, 예를 들면, 착신 멜로디용 악곡 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SMAF Script란 해당 SMAF(등록 상표)를 사용한 악음 데이터 편집용 언어를 말한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usic data and SMAF Script stored in the RAM 3 as the storage means. Synthetic music Mobile Application Format (SMAF) is a data format specification designed by Yamaha Corporation to define multimedia contents for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Used to describe. The SMAF Script refers to a language for editing sound data using the SMAF (registered trademark).

도 2에서, File1.mmf 및 File2.mmf는 각각 1곡분의 악곡 데이터의 파일명을 나타낸다. 각 악곡 데이터는, 소정의 시간 정보를 갖는 이벤트의 집합으로서 기술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전주(introduction part), A 멜로디(part-A melody), B 멜로디(part-B melody), 클라이막스(musical climax or chorus part), 및 엔딩 등의 소정 구간 이벤트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은, IN, AM, BM, SB, 및 EN 등의 태그 형식 데이터로서 유지된다. 또한, SMAF는, 그 옵션 기능으로서, 재생 구간을 지정하는 데이터를 Phase List로서 기억할 수 있다. 악곡 데이터 작성 시, 태그명(전주나 A 멜로디 등)에 계속해서 스타트 어드레스와 정지 어드레스(양자는, 시퀀스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나타냄)를 상기 Phase List에 기술함으로써, 재생 구간을 지정한다. In Fig. 2, File1.mmf and File2.mmf each represent a file name of music data for one piece. Each piece of music data is described as a set of events having predetermined time information, and for example, an introduction part, a part-A melody, a part-B melody, and a climax (for example). musical climax or chorus part), and ending interval events. These are held as tag format data such as IN, AM, BM, SB, and EN. The SMAF can also store, as its optional function, data specifying the playback section as a phase list. When music data is created, the playback section is designated by describing the start address and the stop address (both indicate the address of the sequence data) following the tag name (prelude or A melody) in the Phase List.

SMAF Script는 텍스트 파일이며, <> 정의에 의해 그 기술 내용의 종별을 구 별하고 있다. 즉, <INFO> 이후의 기술은 SMAF Script 파일 내의 파일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PLAY> 이후의 기술은 재생할 악곡 데이터의 파일명이나 악곡 파일 내의 구간 이벤트(태그)의 재생 순서를 지시한다. 악곡 데이터 파일명이나 악곡 데이터 파일 내의 구간 이벤트는, File1.mmf나 File2.mmf 등의 악곡 데이터의 파일명이나 그 악곡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로 태그를 묶고, 그 후에 「*숫자」를 기술함으로써, []로 묶인 구간의 이벤트의 재생 횟수를 지정한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AM, SB]*2로 되는 기술은 A 멜로디 이벤트 및 클라이막스 이벤트가 2회 재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SMAF Script is a text file that distinguishes the type of description by <> definition. That is, the description after <INFO> represents file information in the SMAF Script file. Note that the description after <PLAY> indicates the file name of music data to be reproduced or the order of reproduction of section events (tags) in the music file. The music data file name and the section event in the music data file are linked with file names of music data such as File1.mmf and File2.mmf and tags stored in the music data. In addition, the tag is enclosed in [], and after that, "* number" is described, so that the number of times of the event of the section enclosed in [] is specified. For example, the technique of [AM, SB] * 2 in FIG. 2 means that the A melody event and the climax event are reproduced twice.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휴대 전화기에서의 통신·통화 처리는 종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이 휴대 전화기의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cellular phone to which the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Since the communication and call processing in this mobile phone are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processing of this mobile phon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은,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처리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여기서, 참조 부호 3a는 유저에 의해 작성되어 RAM(3)에 기억된 SMAF Script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1a는 CPU(1)에 의해 구현화되는 SMAF Script 플레이어를 나타내며, SMAF Script(3a)를 판독하여 해석하고, 해당 SMAF Script에 기술되는 악곡 데이터와 그 재생 구간을 관리한다. 또한, SMAF Script 내에 기술된 이벤트의 시간 관리를 행하여, 해당 이벤트의 지정 시각에 도달하면 악곡의 재생 제어를 사운드 미들웨어(1b)에 지시한다.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music data editing reproduction processing. Here, reference numeral 3a denotes an SMAF Script created by the user and stored in the RAM 3. Reference numeral 1a denotes an SMAF Script player implemented by the CPU 1, which reads and analyzes the SMAF Script 3a, and manages the music data described in the SMAF Script and its playback section. In addition, time management of the events described in the SMAF Script is performed, and when the specified time of the event is reached, the sound middleware 1b is instructed to control playback of the music.

악곡 데이터(3b)는, 착신 멜로디 등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RAM(3) 내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악곡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 악곡 데이터의 등록에 대해서는, 유저가 휴대 전화기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악곡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여 다운로드한다. 또한, 미리 ROM(2)에 악곡 데이터를 기억시켜도 된다. 사운드 미들웨어(1b)는, CPU(1)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이며, SMAF Script 플레이어(1a)의 지시를 받아 악곡 데이터(3b)를 RAM(3)로부터 판독하고, 그 판독한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정지/일시 정지/리와인드 등의 재생 제어를 행한다. 음원(10)은, 사운드 미들웨어(1b)로부터 공급되는 시간 정보를 갖는 이벤트 열을 수취하며, 지정 시각에 도달하면, 이벤트를 해석하여 악음 신호를 생성하고, 스피커(11)에 출력한다. 이벤트로서, 발음 이벤트나 음색 변경 이벤트, 음량 변경 이벤트, 및 피치 변경 이벤트 등이 사용되며, 음원(10)은 이들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행한다. 이 동작은, 통상의 MIDI 데이터의 처리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시간 관리에 대해서는, 사운드 미들웨어(1b)에서 행하여도 된다. The music data 3b represents a plurality of music data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RAM 3 for use as an incoming melody or the like. For registration of the music data, the user accesses and downloads the music data server us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ellular phone. In addition, music data may be stored in the ROM 2 in advance. The sound middleware 1b is a function executed by the CPU 1, reads the music data 3b from the RAM 3 under the instruction of the SMAF Script player 1a, and plays / reads the read data on the read data. Playback control such as stop / pause / rewind is performed. The sound source 10 receives an event string having time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sound middleware 1b, and when a specified time is reached, the sound source 10 analyzes the event, generates a sound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11. As the event, a pronunciation event, a tone tone change event, a volume change event, a pitch change event, and the like are used, and the sound source 10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se events. This operation corresponds to normal MIDI data processing. The time management may be performed by the sound middleware 1b.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n in FIG. 3.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처리가 개시되면, 사운드 미들웨어(1b)는 기존의 악곡 데이터(3b)를 판독하고, 리스트를 작성하여 표시부(5)에 표시한다. 리스트에는 악곡 데이터(3b)에 등록된 악곡의 일람과 악곡마다 정의하고 있는 구간 정보가 나타난다(단계 Sa1). 유저는 리스트를 참조하여, CPU(1)에 의해 실행되는 SMAF Script 작성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원하는 메들리 악곡이 실현되도록 SMAF Script를 작성한다(단계 Sa2). 작성된 SMAF Script는 SMAF Script 플레이어(1a)에 판독된다(단계 Sa3). When the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tion processing is started, the sound middleware 1b reads the existing music data 3b, prepares a lis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5. FIG. The list shows a list of pieces of music registered in the piece of music data 3b and section information defined for each piece of music (step Sa1). The user creates a SMAF Script so that the desired medley music is realized according to the SMAF Script creation application executed by the CPU 1 with reference to the list (step Sa2). The created SMAF Script is read by the SMAF Script player 1a (step Sa3).

SMAF Script 플레이어(1a)는, SMAF Script에 의해 지정된 악곡 데이터를 사운드 미들웨어(1b)에 등록한다(단계 Sa4). SMAF Script 플레이어(1a)는, 해당 SMAF Script를 해석하고, 지정된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SMAF Script의 기술 시퀀스에 따라, 사운드 미들웨어(1b)에 대하여 재생 지시를 행한다(단계 Sa5).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SMAF Script의 경우, 먼저, 파일 1의 클라이막스(SB) 부분의 재생이 지시되고, 다음으로, 파일 2의 A 멜로디(AM) 및 클라이막스(SB)의 부분의 2회 재생이 지시되며, 다음으로, 파일 1의 클라이막스(SB), 전주(IN), 클라이막스(SB), 및 엔딩(EN) 부분의 순차적 재생이 지시된다. 사운드 미들웨어(1b)는, 음원(10)에 대하여 시간 정보를 갖는 이벤트 열을 송신하고, 음원(10)은 지정 시각에 도달하면 이벤트를 해석하여, 실제의 발음을 행한다(단계 Sa6). 전술한 단계 Sa5 및 Sa6은 SMAF Script의 종료까지 반복된다(단계 Sa7). 또한, 유저에 의해 작성된 SMAF Script를 RAM(3)에 기억할 수 있다. The SMAF Script player 1a registers the music data designated by the SMAF Script to the sound middleware 1b (step Sa4). The SMAF Script player 1a analyzes the SMAF Script, and issues a playback instruction to the sound middleware 1b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sequence of the SMAF Script based on the designated music data (step Sa5).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MAF Script shown in FIG. 2, first, reproduction of the climax SB portion of the file 1 is instructed, and next, the portion of the A melody AM and the climax SB portion of the file 2 is indicated. Twice playback is instructed, and then, sequential playback of the climax SB, electric pole IN, climax SB, and ending (EN) portion of file 1 is instructed. The sound middleware 1b transmits an event string having time information to the sound source 10, and when the sound source 10 reaches the designated time, the sound source 10 interprets the event and performs actual pronunciation (step Sa6). Steps Sa5 and Sa6 described above are repeated until the end of the SMAF Script (step Sa7). In addition, the SMAF Script created by the user can be stored in the RAM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며, 또한, SMAF Script의 기술 방법도 도 2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CPU(1)에서 실행되는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처리의 내용이다. 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1, and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SMAF Script is also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first embodiment is the content of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processing executed by the CPU 1.

도 5는, 제2 실시예에서의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처리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SMAF Script 플레이어(1c)는 상기한 SMAF Script(3a)를 판독하여 해석하고, RAM(3)에 등록된 악곡 데이터(3b)에 기초하여, SMAF Script에 의해 기술되는 메들리 악곡에 따른 악곡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후, 작성된 악곡 데이터를 사운드 미들웨어(1d)에 전송하여 재생 제어가 행해진다. 사운드 미들웨어(1d)는, SMAF Script 플레이어(1c)로부터 출력되는 메들리 악곡에 따른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여, 해당 악곡 데이터의 재생/정지/일시 정지/리와인드 등의 재생 제어를 행한다. 5 show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processing in the second embodiment. Here, the SMAF Script player 1c reads and analyzes the SMAF Script 3a described above, and based on the music data 3b registered in the RAM 3, the music data according to the medley music described by the SMAF Script. Create Thereafter, the created music data is transmitted to the sound middleware 1d to perform playback control. The sound middleware 1d stores music data corresponding to the medley music output from the SMAF Script player 1c, and performs reproduction control such as reproduction, stop, pause, and rewind of the music data.

음원(10)은, 사운드 미들웨어(1d)로부터 전송된 시간 정보를 갖는 이벤트 열을 수취하며, 지정 시각에 도달하면, 이벤트를 해석하여 악음 신호를 생성하고, 스피커(11)는 출력한다. 이벤트로서는, 발음 이벤트나 음색 변경 이벤트, 음량 변경 이벤트, 및 피치 변경 이벤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음원(10)은 이들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행한다. 이 동작은, 통상의 MIDI 데이터의 처리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시간 관리에 대해서는, 사운드 미들웨어(1d)에서 행하여도 된다. The sound source 10 receives an event sequence having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ound middleware 1d, and when a specified time is reached, analyzes the event to generate a sound signal, and the speaker 11 outputs it. As an event, a pronunciation event, a timbre change event, a volume change event, a pitch change event, etc. can be used, and the sound source 10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se events. This operation corresponds to normal MIDI data processing. The time management may be performed by the sound middleware 1d.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기능 블록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n in FIG. 5.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처리가 개시되면, SMAF Script 플레이어(1c)는 RAM(3)으로부터 악곡 데이터(3b)를 판독하고, 리스트를 작성하여 표시부(5)에 표시한다. 리스트에는 악곡 데이터의 일람과 악곡마다 정의되는 구간 정보가 나타난다(단계 Sb1). 유저는 리스트를 참조하여, CPU(1)에 의해 실행되는 SMAF Script 작성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원하는 메들리 악곡이 실현되도록 SMAF Script(3a)를 작성한다(단계 Sb2). 작성된 SMAF Script는 SMAF Script 플레이어(1c)에 판독된다(단계 Sb3). SMAF Script 플레이어(1c)는, 해당 SMAF Script를 해석하고, 지정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3b)에 기초하여, SMAF Script의 기술에 따라, 메들리 악곡에 따른 악곡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b4). When the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process is started, the SMAF Script player 1c reads the music data 3b from the RAM 3, creates a lis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5. The list shows music list and section information defined for each piece of music (step Sb1). The user creates a SMAF Script 3a so as to realize the desired medley music in accordance with the SMAF Script creation application executed by the CPU 1 with reference to the list (step Sb2). The created SMAF Script is read by the SMAF Script player 1c (step Sb3). The SMAF Script player 1c analyzes the SMAF Script and generates music data corresponding to the medley music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SMAF Script based on the designated music data 3b (step Sb4).

다음으로, SMAF Script 플레이어(1c)는, 생성한 악곡 데이터를 사운드 미들웨어(1d)에 기억한다(단계 Sb5). 다음으로, SMAF Script 플레이어(1c)는 사운드 미들웨어(1d)에 대하여 재생 지시를 행한다(단계 Sb6). 사운드 미들웨어(1d)는, 재생 지시를 받아, 음원(10)에 대하여 시간 정보를 갖는 이벤트 열을 송신한다. 음원(10)은, 지정 시간에 도달하면 이벤트를 해석하고, 실제의 발음을 행한다(단계 Sb7). 또한, 생성한 악곡 데이터와 SMAF Script는 기존의 악곡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RAM(3)에 기억할 수 있다. Next, the SMAF Script player 1c stores the generated music data in the sound middleware 1d (step Sb5). Next, the SMAF Script player 1c issues a playback instruction to the sound middleware 1d (step Sb6). The sound middleware 1d receives a playback instruction and transmits an event string having time information to the sound source 10. The sound source 10 analyzes an event when it reaches the predetermined time, and performs actual pronunciation (step Sb7). The generated music data and SMAF Script can be stored in the RAM 3 like the existing music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1) 1개의 악곡을 재생하는 방법의 배리에이션을 용이하게 늘릴 수 있다. (1) The variation of the method of reproducing one piece of music can be easily increased.

(2) 텍스트 파일의 편집에 의해 용이하게 악곡 내의 재생 구간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2) By editing the text file,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order of the playback sections in the music.

(3) 복수의 악곡 데이터를 소재로서 사용하여, 이에 따라, 유저가 기호의 악곡 데이터를 편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착신 멜로디를 베이스로 하여 새로운 착신 멜로디를 작성할 수 있다. (3) Using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as the material, the user can organize the music data of the preference accordingly. For example, a new incoming melody can be created based on the incoming melody already stored in the cellular phone.

(4) 본 발명의 기능을 휴대 전화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수의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여러가지 상황에 따른 원하는 악곡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전화기 등의 소형의 휴대 정보 단말기에서 메모리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4)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s an application of a mobile phone, whereby desired music data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can be constructed based on a small number of music data. As a result, the memory usa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a smal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5)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등록·유지된 기존의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 저는 텍스트 파일의 기술을 행하는 것만으로 기호의 악곡 데이터를 편성할 수 있다. (5) Based on the existing music data registered and maintained via the network, the user can organize music data of preferences only by describing the text file.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여러가지 설계 변경·응용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각 실시예에 따른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를 이하와 같이 응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designs can be changed and applied. For example, the music data editing /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can be applied as follows.

(a) 휴대 전화기의 착신 멜로디에의 적용. 즉, 유저에 의해 이미 다운로드되어 RAM(3)에 기억된 착신 멜로디용 악곡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유저가 기호의 악곡을 창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 등록되어 있는 착신 멜로디의 클라이막스 부분을 연속 재생하는 등의 응용이 가능하며, 그 밖에, 여러가지 이용에 제공할 수 있다. (a) Application to incoming melody of mobile phone. In other words, the user can create a piece of music by using the music data for the incoming melody already downloaded by the user and stored in the RAM 3 as a material. In this case, an application such as continuous playback of a climax portion of an incoming melody already registered is possible, and other applications can be provided for various uses.

(b)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등록·유지된 기존의 악곡 데이터를 소재로 하여, 유저가 기호의 악곡을 창작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을 휴대 전화기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퍼스널 컴퓨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b) The user can create a piece of music by using the existing piece of music data registered and maintained via the network as the material. The technique can also be applied not only to mobile phones but also to personal computers connected to a network.

(c) SMAF Script를 착신 멜로디로서 등록한다. 이에 따라, 휴대 전화기에 다운로드한 기존의 악곡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착신 멜로디를 정의할 수 있다. (c) Register the SMAF Script as an incoming melody. Accordingly, a new incoming melody can be defined based on the existing music data downloaded to the mobile phone.

(d) SMAF Script를 Java로 기술된 게임에 적용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악곡 데이터를 여러가지 게임 장면에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메모리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 Apply SMAF Script to games written in Java. As a result, the same piece of music data can be used for various game scenes, thereby improving memory usage efficiency.

(e) SMAF Script를 재생 트리거로서 사용하고, 시각이나 배터리 잔량 등의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소정 시각에 재생하는 SMAF Script를 미 리 설정한다. 또한, 배터리 잔량이 소정값에 도달하면 특정한 SMAF Script를 재생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1개의 악곡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시각에 따라 그 재생 구간을 변경하거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재생 구간을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저에 대하여 새로운 서빌을 제공할 수 있다. (e) The SMAF Script is used as a replay trigger and indicates values such as time and battery level. For example, SMAF Script to be played back at a predetermined time is set in advanc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o play a specific SMAF Script when the battery level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Accordingly, by using only one piece of music data, the playback section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ime, or the playback section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thereby providing a new service for the user.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 SMAF Script는 메들리 악곡을 작성하기 위해 이용하고 있지만, 해당 SMAF Script를 이용하여 악곡에 포함되는 각 악기의 연주 파트를 지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File1.mmf는 소정의 드럼 연주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드럼 파트만을 저장한 제1 드럼 파트에 따른 악곡 데이터를 지정하며, File2.mmf는 드럼 파트를 제외한 그 밖의 악기의 파트(멜로디 파트를 포함함)에 따른 악곡 데이터를 지정하고, File3.mmf는 제1 드럼 파트와는 상이한 드럼 연주 패턴을 나타내는 제2 드럼 파트에 따른 악곡 데이터를 지정하는 것이며, 또한, 각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IN, AM, SB, EN 등의 재생 구간을 지정한다. 여기서, SMAF Script에 각 파일의 임의의 부분을 동시에 재생하는 기술을 행한다.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기술을 하여도 된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MAF Script is used to create a medley piece of music, but the playing part of each musical instrument included in the piece of music may be designated using the SMAF Script. For example, File1.mmf specifies music data according to a first drum part that stores only a drum part consisting of a predetermined drum playing pattern, and File2.mmf includes parts of a musical instrument other than the drum part (melody part). Music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drum part representing a drum playing pattern different from the first drum part, and File3.mmf specifies music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drum part. Specifies a playback section such as SB and EN. Here, a technique of simultaneously playing back arbitrary portions of each file is given to the SMAF Script. For example, the following technique may be performed.

<PLAY>00000 File2.mmf IN & File1.mmf IN00001 File2.mmf AM & File3.mmf AM <PLAY> 00000 File2.mmf IN & File1.mmf IN00001 File2.mmf AM & File3.mmf AM

상기 기술에 의하면, File2.mmf의 IN 부분을 재생하고 있을 때에, File1.mmf의 IN부를 동시에 재생하고, 또한, File2.mmf의 IN부의 재생이 종료되면, 계속해서 File2.mmf의 AM부를 재생하고, 동시에 File3.mmf의 AM부를 재생한다. 즉, 악곡의 각 연주 파트의 소망 재생 구간을 자유롭게 조합하여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이러 한 재생 방법에서, 예를 들면, File1.mmf의 기억 내용을 변경함으로써, 악곡의 배리에이션도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술에서, 기호 「&」는 그 기호 앞의 기술 내용의 실행 중에, 그 기호 뒤의 기술 내용을 실행하는 것, 즉, 최초의 악곡 데이터의 재생 중에 다음의 악곡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que, when the IN portion of File2.mmf is played back, the IN portion of File1.mmf is played back simultaneously, and when the IN portion of File2.mmf is finished playing, the AM portion of File2.mmf is continuously played. At the same time, the AM section of File3.mmf is played. That is, the playback can be performed by freely combining the desired playback sections of each performance part of the piece of music. In such a reproduction method, for example, by changing the stored contents of File1.mmf, the variation of the music can also be chang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ymbol "&" executes the description contents after the symbol during execution of the description contents before the symbol, that is, the reproduction of the next piece of music data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piece of music data. I mean.

또한, 악곡 데이터 내에 해당 악곡 데이터를 특정하기 위한 유니크한 식별자(ID)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즉, ID를 이용하여 SMAF Script에 의한 악곡 데이터 파일의 지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Furthermore, a unique identifier (ID) for specifying the music data can be included in the music data. That is, the music data file may be designated by SMAF Script using the ID.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에서의 착신 멜로디의 생성, 특히, 유저에 의한 원하는 악곡의 생성 작업에서 현저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markable effect in the generation of the incoming melody in the mobile phone, in particular in the operation of generating the desired music by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가 원하는 악곡의 임의의 부분을 지정하여 메들리 악곡을 생성할 수 있는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를 제공함과 함께, 해당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를 적용한 휴대 정보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designating an arbitrary portion of a piece of music desired by a user and generating a medley piece of music, and to provide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o which the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applied.

Claims (8)

소정의 재생 구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한 복수의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Storage means for sto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to which information indicating a predetermined reproduction section is added;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악곡 데이터에 관한 것으로, 유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재생 구간의 재생 순서를 설정하는 수단과, Means for setting a reproduction order of a plurality of reproduction sections selected by the user, the plurality of mu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상기 재생 순서에 따라 악곡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재생 수단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music data in accordance with the reproduction order 을 구비하는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 A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재생 순서를 소정의 텍스트 형식으로 기술하도록 한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 A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 which the reproduction order is described in a predetermined text form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재생 순서에 의해 복수의 재생 구간을 동시에 재생하도록 지정하는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 A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hich specifies to simultaneously reproduce a plurality of reproduction sections in the reproduction ord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재생 순서를 SMAF Script에 의해 기술하고, 각 악곡의 복수의 파트를 상기 SMAF Script의 기술에 따라, 조합하여 재생하도록 한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 A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 which the reproduction order is described by an SMAF Script, and a plurality of parts of each music are reproduced in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SMAF Script. 소정의 재생 구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한 복수의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Storage means for sto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to which information indicating a predetermined reproduction section is added;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악곡 데이터에 관한 것으로, 유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재생 구간의 재생 순서를 설정하는 수단과, Means for setting a reproduction order of a plurality of reproduction sections selected by the user, the plurality of mu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상기 재생 순서에 따라 악곡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재생 수단을 구비하는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를 적용한 휴대 정보 단말기로서,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o which a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music data in accordance with the reproduction order is applied, 착신 시에 상기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된 악곡을 착신음으로서 발생하는 휴대 정보 단말기.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hich generates, as a ring tone, a piece of music reproduced by the piece of music data edit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t the time of incoming.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재생 순서를 소정의 텍스트 형식을 갖는 SMAF Script에 의해 기술하고, 각 악곡의 복수의 파트를 상기 SMAF Script의 기술에 따라, 조합하여 재생하도록 한 휴대 정보 단말기. And said reproduction order is described by a SMAF Script having a predetermined text format, and a plurality of parts of each piece of music are reproduced in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said SMAF Script.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기 재생 순서를 미리 착신 멜로디로서 준비된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의 선택에 따라 설정하도록 한 휴대 정보 단말기.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nfigured to set the reproduction orde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based on music data prepared as an incoming melody in advance.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재생 순서는 다운로드한 상기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의 선택에 따라 설정하도록 한 휴대 정보 단말기.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nfigured to access a predetermined server via a network to download the music data, and the reproduction order is se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based on the downloaded music data.
KR1020050062683A 2004-07-15 2005-07-12 Musical data edit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refor KR10073123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8570A JP2006030538A (en) 2004-07-15 2004-07-15 Musical piece data editing/reproducing device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ing same
JPJP-P-2004-00208570 2004-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071A true KR20060050071A (en) 2006-05-19
KR100731232B1 KR100731232B1 (en) 2007-06-22

Family

ID=3589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683A KR100731232B1 (en) 2004-07-15 2005-07-12 Musical data edit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ref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030538A (en)
KR (1) KR100731232B1 (en)
CN (1) CN174112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9075B2 (en) * 2006-11-28 2013-08-07 ソニー株式会社 Mashup device and content creation method
JP5259083B2 (en) * 2006-12-04 2013-08-07 ソニー株式会社 Mashup data distribution method, mashup method, mashup data server device, and mashup device
JP2010128138A (en) * 2008-11-27 2010-06-10 Daiichikosho Co Ltd System for display and coloration of karaoke lyric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364A (en) 1999-10-19 2001-04-27 Kenwood Corp Device for reproducing piece of music, and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information
JP3580210B2 (en) 2000-02-21 2004-10-20 ヤマハ株式会社 Mobile phone with composition function
KR100442946B1 (en) * 2001-12-29 200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ection repeat playing method in a computer multimedia player
KR20030073914A (en) * 2002-03-13 2003-09-19 김인권 how to make a sound resource into handset bell sound by user editing himsel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1129A (en) 2006-03-01
JP2006030538A (en) 2006-02-02
KR100731232B1 (en) 200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52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voice in synchronism with music piece
US7161081B2 (en) Portable telephony apparatus with music tone generator
US20060069572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sound in phone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KR100619826B1 (en) Music and audio synthesize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0224269A (en) Telephone set and telephone system
JPH11242490A (en) Karaoke (accompaniment to recorded music) playing device supplying music generating data for ringing melody
KR100457052B1 (en) Song accompanying and music play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terminal
KR100731232B1 (en) Musical data edit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refor
KR20050038714A (en) Downloading service system of self music file using radio internet and service method thereof
JP2002244654A (en) Device and system for distribution and play device
JP2002152329A (en) Portable terminal system
KR10050622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and playing music
JP2001195068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music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JP4574299B2 (en) Music player
KR20030029503A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handset with sound mixer and methods therefor
KR100509126B1 (en) Audio melody tune genera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it
JP200616277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araoke system and program
KR100605919B1 (en) Method for offering sound per function and mobile phone therefor
JP378828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97569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0330557A (en)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having melody function
JP433772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862126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3675361B2 (en)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341872A (en)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