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908A - Method for converting function of input part and slide type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verting function of input part and slide type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908A
KR20060037908A KR1020040087003A KR20040087003A KR20060037908A KR 20060037908 A KR20060037908 A KR 20060037908A KR 1020040087003 A KR1020040087003 A KR 1020040087003A KR 20040087003 A KR20040087003 A KR 20040087003A KR 20060037908 A KR20060037908 A KR 20060037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nput unit
slide
mobile communica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소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7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7908A/en
Publication of KR2006003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9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입력부 기능 전환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슬라이드가 열렸을 때 전면에 노출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하기 위한 기능 전환키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있으면 키패드에서 메뉴키로 또는 메뉴키에서 키패드로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에 메뉴키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표시부의 크기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Provided are an input unit function switching method and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the front when a slide is opened, an input unit for selecting a desired function or inputting information by the user, 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perate, and mobile communication A main body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 function switching key for switching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and a slid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switch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from the keypad to the menu key or from the menu key to the keypad when the function switching key is pres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ving the menu key portion on the slide of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size of the display.

입력부, 슬라이드, 본체, 기능, 전환키, 메뉴키, 키패드, 이동통신단말기.Input unit, slide, main unit, function, switch key, menu key, keypa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입력부 기능 전환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Method for converting function of input part and slide type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for converting input function and slide type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for converting function of input part and slide type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종래 슬라이드가 닫힌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도이다.2A is a front view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onventional slide is closed.

도 2b는 종래 슬라이드가 열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도이다.2B is a front view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nventional slide open.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가 닫힌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도이다.3A is a front view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lide 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가 열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도이다.3B is a front view of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lide o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부 기능을 전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witching an input uni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입력부 120: 표시부110: input unit 120: display unit

130: 메모리 140: 제어부130: memory 140: control unit

150: 무선회로부 160: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50: wireless circuit unit 160: analog voice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입력부 기능 전환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슬라이드에 위치하던 메뉴키 부분을 제거하고 본체에 있는 입력부를 키패드 또는 메뉴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unit function switching method and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a method of switching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to remove the menu key portion located on the conventional slide and to use the input unit in the main body as a keypad or a menu key; It relates to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mplementing this.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통화만이 가능하였으나, 최근들어 통신 기술 및 이동통신단말기 제작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에 상용화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이동통신단말기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대금결제 등 다양한 기능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 기능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이동통신단말기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generally available only for voice calls, but recently, a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ufacturing technologies are rapidly developed, multifunc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can satisfy various consumer needs have been commercialized. Recently, commercially avail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e various functions such as game, internet search, E-mail, payment, etc.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ntly, cameras are install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 camera phone function for taking a picture of an object with a terminal and a vide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for taking a picture of a user with a camera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counterpart are being added.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종류로는 액정화면을 대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폴더형과 슬라이드형이 있는데,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가 피사체의 형상을 보면서 촬영하기 위해서는 액정 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폴더를 개방시켜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가 장착된 제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re are two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are used in the form of a folding type and a slide type to enlarge the LCD screen. When the camera is mounted on the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can take a picture while viewing the shape of the subject. There is a hassle to open the upper folder so that the scree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use of products equipped with a camera in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ing.

도 2a는 종래 슬라이드(10)가 닫힌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도이다. 도 2b는 종래 슬라이드(10)가 열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도이다.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슬라이드(10)와 본체(20)로 이루어진다. 도 2a와 도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슬라이드(10)에 메뉴선택을 위한 메뉴키(11)가 구비되어 있었다. 따라서, 메뉴키(11)가 자리하고 있는 크기 만큼 표시부(13)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었다. 특히, VOD, MOD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에 대한 이용이 많은 요즘에는 표시부(13)의 대형화가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경향에 비추어 볼때 종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조로 인하여 표시부(13)의 크기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2A is a front view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onventional slide 10 is closed. 2B is a front view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onventional slide 10 is opened.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slide 10 and a main body 20. As shown in Figure 2a and Figure 2b, in the conventional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lide 10 was provided with a menu key 11 for menu selection. Therefore, the size of the display portion 13 is limited by the size where the menu key 11 is located. In particular, the use of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VOD, MOD, etc., which are frequently used, is require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3, and in view of this tendency,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3 is limit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wa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에 있던 메뉴키 부분을 제거하여서 종래보다 표시부를 크게하고, 별도의 기능 전환키를 구비하여 종래의 입력부에서 키패드와 메뉴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removing the menu key portion on the slide of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arger than the conventional display portion, and provided with a separate function switching key conventional input uni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simultaneously use the keypad and menu key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능 전환키를 이용하여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switching a function of an input unit using a function switch ke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가 열렸을 때 전면에 노출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하기 위한 기능 전환키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exposed to the front when the slide is opened, an input unit for selecting a function or input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and 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perate And a main body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function switching key for switching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and a slid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do.

상기 제어부는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있으면 키패드에서 메뉴키로 또는 메뉴키에서 키패드로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witch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from the keypad to the menu key or from the menu key to the keypad when the function switching key is pressed.

상기 기능 전환키는 슬라이드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unction switch key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sl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슬라이드가 열렸을 때 전면에 노출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하기 위한 기능 전환키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xposed on the front when the slide is opened, an input unit for selecting a desired function or inputting information by the user, and a program and data for sto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lide including a main body including a memory, a function switching key for switching a function of the input unit, a main body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can do.

상기 제어부는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있으면 키패드에서 메뉴키로 또는 메뉴키에서 키패드로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witch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from the keypad to the menu key or from the menu key to the keypad when the function switching key is pressed.

상기 기능 전환키는 본체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unction switch key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하는 방법은 슬라이드가 열리면 입력부를 키 패드 또는 메뉴키로 설정하는 제1단계와,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있으면, 설정된 입력부의 기능이 키패드이면 메뉴키로 기능을 전환하고, 설정된 입력부의 기능이 메뉴키이면 키패드로 기능을 전환하는 제2단계를 구비한다.The method of switching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step of setting the input unit using a keypad or a menu key when a slide is opened, and switching the function using a menu key when a function of the set input unit is a keypad when a function switching key is pressed. If the function of the set input unit is a menu key, a second step of switching the function to the keypad is provided.

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부를 키패드로 할 것인지 메뉴키로 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다.In the first step, the user may set whether the input unit is a keypad or a menu key.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 슬라이드가 열리면 입력부를 키패드로 설정하도록 디폴트 값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단계에서 슬라이드가 열리면 입력부를 메뉴키로 설정하도록 디폴트 값이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lide is opened in the first step, a default value may be set to set the input unit to the keypad. Alternatively, when the slide is opened in the first step, a default value may be set to set the input unit as a menu ke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무선회로부(150),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60) 등을 포함한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memory 130, a controller 140, a wireless circuit unit 150, an analog voice processor 160, and the like.

입력부(11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 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입력부(110)는 본체에 구비되어 있고, 슬라이드가 열렸을 때 전면에 노출된다.The input unit 110 may use various devices such as a keypad, a jog shuttle, a point stick, and a touch screen, and is used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function or inputs informa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11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s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when the slide is opened.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 The display unit 120 is for showing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is mainly used.

메모리(1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The memory 130 store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perate, and various devices such as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nd flash memory may be used.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또한 무선회로부(15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의 처리를 위한 기저대역신호처리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있으면 키패드에서 메뉴키로 또는 메뉴키에서 키패드로 입력부(110)의 기능을 전환시킨다.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 140 may be a microprocessor 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he control unit 140 also includes a baseband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processing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radio circuit unit 15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40 switches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110 from the keypad to the menu key or from the menu key to the keypad when the function switching key is pressed.

무선회로부(15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송하는 호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adio circuit unit 150 is a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control information with a base station wirelessly. Receives a call signal sent by an exter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n antenna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40, or transmits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130 to the call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antenna. .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6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The analog voice processor 160 converts and amplifies a digital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speaker SP, or amplifies the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and converts the digital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가 닫힌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가 열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도이다. 도 3a와 도3b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드(100)는 표시부(120)와 기능 전환키(170)를 포함하고, 본체(200)는 입력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A is a front view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lide 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front view of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lide o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FIGS. 3A and 3B, the slide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20 and a function switching key 170, and the main body 200 includes an input unit 110.

기능 전환키(170)는 입력부(100)의 기능을 전환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 3a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능 전환키(170)는 슬라이드(10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기능 전환키(170)의 키눌림이 있으면 키패드에서 메뉴키로 또는 메뉴키에서 키패드로 입력부(110)의 기능을 전환시킨다. The function switch key 170 is necessary to switch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100.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function switch key 17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lide 10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40 switches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110 from the keypad to the menu key or from the menu key to the keypad when the function switching key 170 is pressed.

도 3a와 도3b의 실시예에서는 기능 전환키(170)가 슬라이드(100)에 구비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기능 전환키(170)가 본체(2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기능 전환키(170)가 본체(200)에 구비될 경우, 기능 전환키(170)는 본체(20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3A and 3B, the function switch key 170 is provided in the slide 100.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switch key 170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200. When the function switching key 17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200, the function switching key 170 may be provided at the side of the main body 20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부 기능을 전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witching an input uni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닫혀있는 슬라이드를 연다(S410). 슬라이드를 열면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부가 전면에 노출된다. 초기 입력부는 키패드 또는 메뉴키일 수 있다. 초기 입력부를 설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부를 키패드로 할 것인지 메뉴키로 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슬라이드 가 열리면 입력부를 키패드로 설정하도록 디폴트(default)값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슬라이드가 열리면 입력부를 메뉴키로 설정하도록 디폴트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의 실시예는 슬라이드가 열리면 입력부를 키패드로 설정하도록 디폴트 값이 설정된 예이다.The user opens the closed slide (S410). Opening the slide exposes the input to the front surface as shown in FIG. 3B. The initial input unit may be a keypad or a menu key. There may be various ways to set the initial input unit.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whether the input unit is a keypad or a menu key. Alternatively, a default value may be set to set the input unit to the keypad when the slide is opened. Alternatively, a default value may be set to set the input unit as a menu key when the slide is opened.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default value is set to set an input unit to a keypad when a slide is opened.

슬라이드가 열리면 입력부를 키패드로 설정한다(S420). When the slide is opened, the input unit is set using the keypad (S420).

다음,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있는지 확인한다(S430).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없으면 입력부는 키패드의 기능을 계속 수행한다.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있으면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하여 입력부를 메뉴키로 설정한다(S440).Next, check whether there is a key press of the function switch key (S430). If there is no key press of the function switch key, the input unit continues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keypad. If the function switch key is pressed,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is switched to set the input unit as a menu key (S440).

다음,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있는지 확인한다(S450).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없으면 입력부는 메뉴키의 기능을 계속 수행한다.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있으면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하여 입력부를 다시 키패드로 설정한다(S420).Next, check whether there is a key press of the function switch key (S450). If there is no key press of the function switch key, the input unit continues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menu key. If there is a key press of the function switch key,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is switched to set the input unit to the keypad again (S420).

이와 같이,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있을 때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In this way,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whenever there is a key press of the function switch key.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에 메뉴키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표시부의 크기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 전환키를 이용하여 본체의 입력부를 키패드와 메뉴키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display can be maximized by removing the menu key portion from the slide of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use the input unit of the main body at the same time as the keypad and the menu key by using the function switch key.

Claims (10)

슬라이드가 열렸을 때 전면에 노출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When the slide is opened, it is exposed on the front side, and an input unit for selecting a desired function or inputting information, 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mobile terminal to operate, and an overall control for the mobile terminal are operated. A main body including a control unit; 상기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하기 위한 기능 전환키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A slide including a function switch key for switching a function of the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있으면 키패드에서 메뉴키로 또는 메뉴키에서 키패드로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And the control unit switches a function of an input unit from a keypad to a menu key or from a menu key to a keypad when a function switching key is pres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능 전환키는 슬라이드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The function switch key is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side of the slide. 슬라이드가 열렸을 때 전면에 노출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하기 위한 기능 전환키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It is exposed on the front when the slide is opened, an input unit for selecting a function or inputting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perate, and a function for switching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A main body including a switching ke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A slide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부는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있으면 키패드에서 메뉴키로 또는 메뉴키에서 키패드로 입력부의 기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And the control unit switches a function of an input unit from a keypad to a menu key or from a menu key to a keypad when a function switching key is presse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기능 전환키는 본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The function switching key is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슬라이드가 열리면 입력부를 키패드 또는 메뉴키로 설정하는 제1단계와,When the slide is opened, the first step of setting the input unit to the keypad or menu key, 기능 전환키의 키눌림이 있으면, 설정된 입력부의 기능이 키패드이면 메뉴키로 기능을 전환하고, 설정된 입력부의 기능이 메뉴키이면 키패드로 기능을 전환하는 제2단계If the function switching key is pressed, the function switches to the menu key if the function of the set input unit is a keypad, and the function switches to the keypad if the function of the set input unit is a menu key.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입력부 기능 전환 방법.Input unit function switch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first step 사용자가 입력부를 키패드로 할 것인지 메뉴키로 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입력부 기능 전환 방법Method for switching the input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set whether the input unit using the keypad or menu ke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first step 슬라이드가 열리면 입력부를 키패드로 설정하도록 디폴트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입력부 기능 전환 방법.When the slide is opened, the input unit function switching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ault value is set to set the input unit to the keypa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first step 슬라이드가 열리면 입력부를 메뉴키로 설정하도록 디폴트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입력부 기능 전환 방법.And a default value is set to set the input unit as a menu key when the slide is opened.
KR1020040087003A 2004-10-29 2004-10-29 Method for converting function of input part and slide type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KR200600379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003A KR20060037908A (en) 2004-10-29 2004-10-29 Method for converting function of input part and slide type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003A KR20060037908A (en) 2004-10-29 2004-10-29 Method for converting function of input part and slide type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908A true KR20060037908A (en) 2006-05-03

Family

ID=3714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003A KR20060037908A (en) 2004-10-29 2004-10-29 Method for converting function of input part and slide type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790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818B1 (en) * 2005-03-04 2011-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Sliding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818B1 (en) * 2005-03-04 2011-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Sliding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681B1 (en) Method for using rotation key apparatus in wireless terminal
US2006013522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operation mode based on opening direction of folder cover and method thereof
JP2006311224A (en) Folding mobile phone
JP2003319044A (en) Cellular phone
CN100579139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88496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2007008269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foldable and turnable housing members
JP486396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030155216A1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radio terminal
KR20060037908A (en) Method for converting function of input part and slide type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JP3942808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2006014074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411606Y1 (en) Cylindrical mobile phone
KR100539876B1 (e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rotation key apparatus in wireless terminal
KR20060043960A (en) Mobile phone with side key
KR100593988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multi-direction moving of character and direction controlling method using that
KR100709813B1 (en) Folder type mobile phone with touch screen
KR200411080Y1 (en) Mobile phone with camera
KR100655583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s zoom level by shifting a sliding part of that terminal
KR10100286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tive mode in wireless terminal typing slide
KR20060132196A (en) Mobile phone with two lcd's
KR100790061B1 (en) Method for using rotation key apparatus in wireless terminal
KR200411619Y1 (en) Slide type mobile phone
JP5625133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KR100770864B1 (en) Method for using rotation key apparatus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