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818B1 - Sliding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Sliding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818B1
KR101042818B1 KR1020050018315A KR20050018315A KR101042818B1 KR 101042818 B1 KR101042818 B1 KR 101042818B1 KR 1020050018315 A KR1020050018315 A KR 1020050018315A KR 20050018315 A KR20050018315 A KR 20050018315A KR 101042818 B1 KR101042818 B1 KR 101042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sliding
main body
terminal
sliding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7233A (en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818B1/en
Publication of KR20060097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2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8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본체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키패드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본체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의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다양한 키입력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전환시키는 키패드 전환 장치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단말기의 키패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단말기의 키패드에 제공되는 키들의 수를 줄여 단말기를 소형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keypad for sliding movement in a main body of a portable terminal, guide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guide the sliding keypad so as to be slidably moved,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main body, and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keypa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keypad switching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ed to switch to use a variety of key input functions, thereby improving the keypad function of the terminal, and perform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erminal can be miniaturized by reducing the number of keys provided on the keypad.

슬라이딩 키패드, 가이드 수단, 키패드 전환 장치부, 제 1, 2 인쇄면. Sliding keypad, guide means, keypad switching unit, first, second printing surface.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 {SLIDING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SLIDING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 중에서 폴더형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er of a clamshell terminal open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도 1의 A-A' 선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의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keypad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liding keypad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B-B' 선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의 구성 중 센서부와 접점단자부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unit and a contact terminal unit are connected during the configuration of a sliding keypad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의 구성 중 센서부와 접점단자부가 접속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unit and a contact terminal uni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configuration of a sliding keypad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다양한 키입력 기능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딩 키패드를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ing keypad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sliding keypad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a sliding movement and used for various key input functions.

통상적으로, 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나 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필수적으로 안테나 장치, 데이터 입출력 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물론,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는 주로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이 사용되기도 한다.Typically, a bar-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a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a bar-type, and a flip-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a flip or cover is rotatably configured by a hinge device in a bar-type housing, and a folder-type By wireless terminal it is meant that the folder is configured in a folding manner by rotatably connected by a hinge to a single bar-shaped housing.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essentially have an antenna device, a data input / output device,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Of course, the data input device is commonly used as a keypad for inputting data mainly by a finger pressing operati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is also used.

아룰러, 데이터 출력장치에 따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능은 엘씨디(LCD)를 보편적으로 사용한다.In addition, the data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data output device is commonly used LCD (LCD).

또한, 최근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기본적인 통화 모드 기능이외에 전화번호부나 메시지 관리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능 및 게임 모드 기능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기 위한 입력 방법도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In addition, recen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phone book, message management, multimedia function, and game mode function in addition to the basic call mode function. Therefore, the input method for using this is becoming more complicated.

복잡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라 하더라도 기본적으 로 통화, 종료, 메뉴, 메시지 등의 키는 반드시 갖추고 있어야 한다. Even if a mobile device does not support complex multimedia functions, it is essential to have keys such as call, end, menu, and message.

이것은 통신 장치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고 있는 추세에 장애가 될 수 있다. 크기에 맞추기 위하여 키패드의 크기가 작아지면 사용자에게 불편하고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반드시 20개이상의 키가 존재하기 때문에 디자인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This can be a barrier to the trend of smaller and smaller communication devices. If the size of the keypad is smaller to fit the size, the design is limited because there are more than 20 keys in terms of inconvenience and design.

상기와 같이, 기본적으로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는 사용하는 키패드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키들은 통화시작버튼인 센드(SND) 키, 취소 키, 수정 키(CLR), 숫자 키, 문자 키, 엔드(END) 키, 기능 키, 전원(PWR) 키, 인터넷 접속키등으로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keypad used for data input basically consists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These keys are composed of call start button Send (SND) key, Cancel key, Correction key (CLR), Numeric Key, Letter Key, End (END) Key, Function Key, Power (PWR) Key and Internet Access Key. .

또한, 상기 키들은 보통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상면에 15 내지 20정도 개수로 적소에 배열된다. 물론, 상기 키들은 상면에서 노출되어서 사용자는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keys are usually arranged in place in the number of 15 to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Of course, the keys are exposed from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user inputs the desired data by pressing a finger.

또한, 최근에는 카메라 렌즈 모듈, 블루투스, 무선 랜, MP3등의 기능으로 인하여 단축키들이 추가 되어 더욱 많은 버튼이 추가로 되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recently, due to the function of the camera lens module, Bluetooth, WLAN, MP3, shortcut keys are added to the trend that more buttons are added.

상기 키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은 본체(1)와 폴더(2)로 나누어진다. 상기 본체(1)에는 4방향 조정키 및 각종 기능키를 구비한 키버튼(1a), 숫자 키(1b) 및 마이크(1c)가 장착된다. 상기 폴더(2)에는 액정표시부(2a)와 스피커(2b)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1)로부터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와 폴더(2)사이에 힌지 장치(3)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1) 상단에는 안테나(4)가 제공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key, as follows.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conventional foldable cellular phone is divided into a main body 1 and a folder 2. The main body 1 is equipped with a key button 1a having a four-way adjustment key and various function keys, a numeric key 1b, and a microphone 1c. The folder 2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2a and a speaker 2b. A hinge device 3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1 and the folder 2 so as to be rotatable upward from the main body 1. An antenna 4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dy 1.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위치 장치는 작동감을 얻을 수 있도록 다수의 돔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돔 스위치(Dome switch)(6)는 상기한 키 작동에 의해 상기 본체(1)내의 회로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PCB)(5)에 마련되고, 상기 돔 스위치(6)가 인쇄회로기판(PCB)(5)의 접점(5a)과 접속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The switch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uses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to obtain a feeling of operation, and the dome switch 6 is a printed circuit having a circuit in the main body 1 by the above key operation. It is provided in the board | substrate (PCB) 5, and the said dome switch 6 is connected with the contact 5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5, and generate | occur | produces a signal.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돔 스위치(Dome switch)(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PCB)(5) 위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따라 접점신호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ome switch 6 is provided on the PCB 5 so as to detect a contac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pressing operation.

상기 돔 스위치(Dome switch)(6) 위에는 키버튼(1a)과 숫자 키(1d)가 구비되어 있다.On the dome switch 6, a key button 1a and a numeric key 1d are provided.

그러나, 종래의 폴더형, 슬라이드 및 로터리 타입의 휴대단말기의 경우 공간이 부족하여 20개이상의 버튼이 한 본체 전면에 모두 장착하기 어렵고, 이 때문에 키 버튼과 숫자 키들을 분리하여 장착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이유로 키패드 때문에 액정표시부의 크기에 제약을 받거나 전체 단말기의 크기가 커져 소형화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lamshell, slide, and rotary type portable terminals, there is not enough space, so it is difficult to mount all 20 or more buttons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keypad is restricted by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size of the entire terminal increases, which acts as a deterrent to miniaturiz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다양한 키입력 기능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딩 키패드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키패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keypad function of the terminal by configuring a sliding keypad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and used for various key input func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keypad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적 접속에 따라서 다양한 키입력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전환되는 슬라이딩 키패드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키패드 기능 및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단말기의 키패드에 제공되는 키들의 수를 줄여 단말기를 소형화 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sliding keypad that can be switched to use a variety of key input fun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thereby performing the keypad function of the terminal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he number of keys provided on the keypad of the terminal It is to provide a sliding keypad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to reduce the size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keypad,

본체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키패드;A sliding keypad slidingly moving in the main body;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 및Guide means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guide the sliding keypad to be slidable; And

상기 본체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전기적 접속 여부에 따라 다양한 키입력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전환시키는 키패드 전환 장치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t is moun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keypad switching device unit for switching to use a variety of key input func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keypad.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10)는 슬라이딩 키패드(20)와, 가이드 수단(30)과, 키패드 전환 장치부(4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는 상기 단말기의 본체(1)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수단(30)은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하도록 상기 본체(1)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키패드 전환 장치부(40)는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전기적 접속여부에 따라 다양한 키입력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3 and 4, the sliding keypad device 10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mposed of a sliding keypad 20, a guide means 30, and a keypad switching unit 40, the sliding keypad 20 is It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main body 1 of the terminal, and the guide means 3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 to guide the sliding keypad 20 to be slidably movable, and the keypad is switched. The device 4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apparatus 40 can be switched to use various key input functions according to whether the sliding keypad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keypad 20.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본체(1)에는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를 구비함과 아울러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이동 공간(50)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the sliding keypad 20 and a moving space 50 is formed to be slidably movable.

도 6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키(22)들의 배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키(21)들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면(22)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인쇄면(22)은 제 1, 2 인쇄면(22a)(22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인쇄면(22a)은 다양한 문자, 숫자 및 기호등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제 2 인쇄면(22b)은 특수 키을 표시하는 문자등이 인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an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keypad 20 is formed of an array of a plurality of keys 22. At least one printing surface 22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keys 21, and the printing surface. 22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printing surfaces 22a and 22b, and the first printing surface 22a is printed with various letters, numbers, and symbols, and the second printing surface 22b is Characters that indicate special keys are printed.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기 가이드 수단(30)은 가이드 부재(31)와, 가이드 레일(3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가이드 부재(31)는 상기 가이드 레일(32)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32)은 상기 가이드 부재(31)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하도록 상기 본체(1)내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5, the guide means 30 includes a guide member 31 and a guide rail 32, and the guide member 31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32. Protruding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keypad 20, the guide rail 32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main body 1 to guide the guide member 31 to be slidably movable.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키패드 전환 장치부(40)는 센서부(41)와, 접점단자부(42)와, 키패드 제어부(4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센서부(41)는 상기 접점단 자부(4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본체(1)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접점단자부(42)는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센서부(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키패드 제어부(43)는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의 접점단자부(42)와 상기 센서부(41)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에 따라서 다양한 키입력의 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게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keypad changer unit 40 includes a sensor unit 41, a contact terminal unit 42, and a keypad control unit 43, and the sensor unit 41 includes the contact unit. I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1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portion 42,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4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portion 41 in accordance wit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keypad 20. I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liding keypad 20, the keypad controller 43 is a variety of keys as the contact terminal 42 and the sensor 41 of the sliding keypad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Control to switch to the function of the input.

도 6과 같이, 상기 키패드 제어부(43)는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의 접점단자부(42)가 상기 센서부(41)에 접속되면, 상기 키패드(20)의 다양한 문자, 숫자 및 기호의 기능으로 사용할 있게 전환시키고, As shown in FIG. 6, when the contact terminal 42 of the sliding keypad 20 is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41, the keypad controller 43 functions as various characters, numbers, and symbols of the keypad 20. To use it,

도 7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센서부(41)의 접속을 분리시키면, 상기 키패드(20)의 특수 키로 사용할 수 있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sliding keypad 20 is slid and the connection of the sensor 41 is separated, the sliding keypad 20 can be switched to be used as a special key of the keypad 20.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s 3 to 7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keypad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도 3 및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의 키패드(20)를 게임이나 다른 모드 기능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를 하부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3 and 4, when the user uses the keypad 20 of the terminal as a game or other mode function, the sliding keypad 20 is slidably mov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이때, 도 3과 같이, 단말기의 본체(1)에는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이동 공간(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 (20)는 상기 이동 공간(50)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since the moving space 50 is formed in the main body 1 of the terminal so as to slide the sliding keypad 20, the sliding keypad 20 is located within the moving space 50. Go sliding.

도 5 및 도 7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부재(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31)와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1)에는 가이드 레일(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의 가이드 부재(31)는 상기 가이드 레일(32)에 의해 가이드 되어 슬라이딩 이동한다.5 and 7, guide members 31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sliding keypad 20, and guide rails 32 are formed on the main body 1 to be coupled to the guide members 31. Therefore, the guide member 31 of the sliding keypad 20 is guided by the guide rail 32 to slide.

이때, 도 7과 같이, 상기 본체(1) 하부면에 구비된 센서부(41)와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에 구비된 접점단자부(42)가 접속이 분리되고, 상기 센서부(41)와 연결된 키패드(20) 제어부(43)에 의해 상기 키패드(20)를 특수 키(22)로 사용할 수 있게 전환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the sensor unit 41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d the contact terminal unit 42 provided on the sliding keypad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sensor unit 41 is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41. The keypad 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3 so that the keypad 20 can be used as a special key 22.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20)의 키(22)들을 이용하여 메뉴, 확인, 통화, 종료등의 기본 특수키와 메시지, 전화번호부등의 내비게이션 키로 사용하고, 또한 게임이나 화면 스크롤 키를 위한 방향키로도 사용한다.In this state, the user uses the keys 22 of the keypad 20 as basic special keys such as menus, confirmations, calls, and terminations, and navigation keys for messages and phonebooks, and also uses a game or screen scroll key. It is also used as a direction key.

여기서,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키패드(20)를 문자, 숫자 및 기호의 기능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를 다시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의 접점단자부(42)가 상기 센서부(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센서부(41)와 연결된 키패드 제어부(43)는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20)를 문자, 숫자 및 기호의 기능으로 전환시킨다.Here, as shown in FIG. 6, when the user uses the keypad 20 as a function of letters, numbers, and symbols, when the sliding keypad 20 is slid back again, the contact terminal 42 of the sliding keypad 20 is moved. The keypad controller 43,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41 and at the same tim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41, converts the sliding keypad 20 into a function of letters, numbers, and symbols.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다양한 키입력 기능으로 전환시키는 키패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키패드 기능을 향상시키고, 단말기의 키수를 줄여 단말기를 소형화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a keypad device for switching to various key input functions according to sliding movement, the keypad function of the terminal can be improved, and the number of keys of the terminal can be reduced, thereby miniaturizing the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sliding keypad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예를 들어, 본 발명을 폴더형 단말기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to a foldable terminal, and can be applied to all portable terminal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sliding keypad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다양한 키입력 기능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딩 키패드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키패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단말기의 키패드에 제공되는 키들의 수를 줄여 단말기를 소형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constructing a sliding keypad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and used for various key input functions, the keypad function of the terminal can be improve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can be performed, and the number of keys provided on the keypad of the terminal can be reduced. The terminal can be miniaturized.

Claims (6)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keypad, 본체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키패드;A sliding keypad slidingly moving in the main body;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 및Guide means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guide the sliding keypad to be slidable; And 상기 본체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전기적 접속여부에 따라 다양한 키입력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전환시키는 키패드 전환 장치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And a keypad switching device unit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switch to be used as various key input functions according to whether electrical connection is caused by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keyp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이동 공간이 더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The sliding keypad device of claim 1, wherein a movement space is further provided on the main body so that the sliding keypad is slidably mov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키들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면이 제공되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keypad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keys, the top surface of the keys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printed surface, 상기 인쇄면은 다양한 문자, 숫자 및 기호를 인쇄하는 제 1 인쇄면으로 이루 어지고, The printing surface is composed of a first printing surface for printing various letters, numbers, and symbols, 상기 제 1 인쇄면의 이웃한 위치에는 특수 키의 문자를 인쇄하는 제 2 인쇄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And a second printing surface for printing a character of a special key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printing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부재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means, the guide member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keypad and 상기 본체내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Sliding keypad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rail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main body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전환 장치부는, 상기 본체에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센서부와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keypad changer unit comprises: a sensor uni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main body;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단자부와A contact terminal par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liding keypa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part according to a sliding movement;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의 접점단자부와 상기 센서부가 서로 접속함에 따라서 다양한 키입력의 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게 제어하는 키패드 제어부로 구성되어짐을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Sliding keypad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keypa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 between the contact terminal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sliding keypad to switch to a function of various key inpu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의 접점단자부가 상기 센서부에 접속되면, 상기 키패드의 다양한 문자, 숫자 및 기호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전환시키고,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keypad control unit is switched to use the function of the various letters, numbers and symbols of the keypad, when the contact terminal of the sliding keypad is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상기 슬라이딩 키패드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센서부와의 접속이 분리되면, 상기 키패드를 특수 키로 사용할 수 있게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And sliding the sliding keypad to separate the connection with the sensor unit, thereby switching the keypad to be used as a special key.
KR1020050018315A 2005-03-04 2005-03-04 Sliding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10428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315A KR101042818B1 (en) 2005-03-04 2005-03-04 Sliding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315A KR101042818B1 (en) 2005-03-04 2005-03-04 Sliding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233A KR20060097233A (en) 2006-09-14
KR101042818B1 true KR101042818B1 (en) 2011-06-20

Family

ID=3762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315A KR101042818B1 (en) 2005-03-04 2005-03-04 Sliding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8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055B1 (en) * 2012-06-21 2014-12-24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External recording device combined keypa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908A (en) * 2004-10-29 2006-05-03 주식회사 팬택 Method for converting function of input part and slide type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908A (en) * 2004-10-29 2006-05-03 주식회사 팬택 Method for converting function of input part and slide type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233A (en)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314B1 (en) Key input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P1665737B1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keypads
KR100938055B1 (en) Key inputting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4193411B2 (en) Mobile phone
EP1398940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EP2264984B1 (en) Telescopic telephone
EP172032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two bodies being both foldable and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JP5238654B2 (en) Mobile device
US20050124387A1 (en) Portable apparatus user interface
WO2007005506A1 (en) Movable user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100470B2 (en) Biasing component for raising and lowering a keyboar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KR100762635B1 (en) Key inputting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042818B1 (en) Sliding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JP2000236376A (en) Portable telephone device
CA2705660C (en) A biasing component for raising and lowering a keyboar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JP2002152347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100594104B1 (en) Sliding key 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214829Y1 (en) Slider Type Hand-help Phone with moving LCD Part
JPH08181749A (en) Portable radio equipment
EP1843557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689434B1 (en) Cordless telephone of folder type
KR20060030273A (en) Sliding key device for terminal
KR20070057547A (en)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movable keypad
GB2384132A (en) Multi-screen mobile telephone
CN1998122A (en) Integrated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and PDA, with swivel mechanism providing access to the interface elements of each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