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642A -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 - Google Patents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642A
KR20060011642A KR1020040060573A KR20040060573A KR20060011642A KR 20060011642 A KR20060011642 A KR 20060011642A KR 1020040060573 A KR1020040060573 A KR 1020040060573A KR 20040060573 A KR20040060573 A KR 20040060573A KR 20060011642 A KR20060011642 A KR 20060011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t
portable terminal
notification sound
call
ptt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6019B1 (ko
Inventor
서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01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투토크(PTT) 휴대용 단말기의 예약 시간에 맞춰 착신자에 따라 상이한 알림음으로 PTT콜이 수신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푸쉬투토크(PTT)서비스가 가능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에 있어서, 예약시간에 맞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PTT콜을 요청하는 PTT콜정보를 예약설정하는 과정과; 현재시간을 검출하여 그 검출한 현재시간이 상기 예약시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예약시간이면 상기 PTT콜정보에 따른 PTT알림음을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PTT휴대용 단말기, PTT, 자동알림, PTT콜, PTT콜정보, PTT알림음

Description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METHOD FOR AUTO ALARM IN THE PUST TO TALK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PTT자동알림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1: RF부
23: 모뎀 25: 오디오 처리부
27: 키패드 29: 메모리
80: 표시부 ANT: 안테나
MIC: 마이크 SPK: 스피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TT 휴대용 단말기의 예약 시간에 맞춰 착신자에 따라 상이한 알림음으로 PTT콜이 수신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한 PTT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전체 서비스지역을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영역으로 분할하여 소규모의 서비스 영역인 셀들(cells)로 구성하고, 기지국들은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으로 집중 제어하여 가입자가 셀간을 이동하면서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결합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중의 하나로 IP를 이용한 패킷 기반(Packet Base)의 음성 서비스를 VoIP(Voice over IP)라고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패킷 기반의 호 서비스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호를 설정하야여 하기 때문에 호 설정시간이 비교적 길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IP네트워크의 다중전송(Multicast) 기능을 이용하여 그룹호(Group Call) 및 개인호(Private Call)와 같은 인터액티브 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액티브 호 서비스란 사용자들의 상호간 동작에 의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는 호의 한 종류로서 예를 들어 워키토키(Walkie-talkie)에서와 같은 푸쉬투토크(PTT: Pust to talk 이하,"PTT"로 표기함) 기능이 있다. 또한 그룹호란 미리 정해지는 사용자들의 그룹내에서 사용자들간의 다자간 통화를 의미하며 개인호란 미리 정해지는 사용자들의 그룹내에서 사용자들간의 1:1통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PTT서비스는 다수의 사용자 또는 그룹을 대상으로 음성/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가능케 하는 서비스로서, PTT를 위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말하고자함을 표시하고, 사용자 장치 즉, PTT서비스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이하, "PTT휴대용 단말기"로 표기함)는 서비스 요청을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자원의 이용가능성, 요청한 사용자의 우선순위 등과 같은 소정의 판단기준을 기초로 상기 요청을 거절하거나, 또는 요청된 자원을 할당한다. 그외 동시에, 특정 가입자 그룹내의 모든 다른 활성 사용자들과의 접속이 설정된다. 음성 접속이 설정된 후에 요청한 사용자는 말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은 그 채널에서 들을 수 있다. 사용자가 PTT를 해제하면, 그 PTT를 해제한 해당 휴대용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해제(release) 메시지 신호를 전송하고, 자원들은 해제된다. 이러한 PTT통신 시스템은 지점-대-지점간 통신과 지점-대-다지점간 통신서비스가 가능하다.
우선, 발신측 PTT 휴대용 단말기가 착신측 PTT 휴대용 단말기로 PTT콜을 상대방에게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는 그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PTT알림음으로 PTT콜이 수신되었음을 통보한다. 이에,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PTT콜이 수신을 알리는 PTT알림음이 울림을 인지하고,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발신자와 PTT콜을 개시한다.
그러나, 종래 PTT휴대용 단말기는 PTT콜을 요청한 발신자에 관계없이 한번 설정한 알림음으로만 PTT콜이 수신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즉, PTT콜을 요청한 발신자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PTT알림음으로 PTT콜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PTT콜을 수신하는 착신자는 PTT알림음의 설정을 변경하기 이전까지는 설정된 PTT알림음으로 PTT콜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므로, PTT알림음이 단조로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PTT콜을 착신자가 수신하여 발신자와 통화하기 이전까지는 어떠한 상황의 PTT콜인지 확인하는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PTT콜 수신시, 발신자에 따라 상이한 PTT알림음으로 PTT콜이 수신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한 PTT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약시간에 맞춰 설정된 착신측 전화번호로 설정된 PTT알림음으로 PTT콜이 수신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자가 설정한 PTT알림음을 통해 어떠한 상황에서 PTT콜을 요구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푸쉬투토크(PTT)서비스가 가능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에 있어서, 예약시간에 맞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PTT콜을 요청하는 PTT콜정보를 예약설정하는 과정과; 현재시간을 검출하여 그 검출한 현재시간이 상기 예약시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예약시간이면 상기 PTT콜정보에 따른 PTT알림음을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푸쉬투토크(PTT)서비스가 가능한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부터 PTT콜 수신시, 발언권 획득여부에 따라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설정한 PTT알림음으로 PTT콜이 수신여부를 알리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푸쉬투토크(PTT)서비스가 가능한 발신측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예약시간에 맞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PTT콜을 요청하는 PTT콜정보를 예약설정하는 과정과; 현재시간을 검출하여 그 검출한 현재시간이 상기 예약시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예약시간이면 상기 PTT콜정보에 따른 PTT알림음을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PTT알림음 수신시, 발언권을 획득하여 상기 PTT콜정보에 따라 PTT콜 수신여부를 알리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 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저장시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TT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전화기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모뎀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모뎀23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제어부10으로부터 수신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10으로 전송한다. 또한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부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발신측 휴대용 단 말기가 설정한 PTT알림음을 PTT콜수신시 출력한다.
키패드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TT콜 자동알림에 따른 기능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TT콜 자동 알림에 관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설정되는 PTT콜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PTT콜정보는 PTT콜예약시간과 착신측 전화번호와 PTT알림음, 송출회수를 의미한다.
제어부10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모뎀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TT콜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설정한 PTT콜 정보에 따라 그 설정한 PTT콜 정보의 설정된 PTT콜 예약시간에 맞춰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PTT알림음을 송출하도록 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PTT콜 정보에 따라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가 발언권을 획득할때까지 주기적으로 PTT알림음을 송출하도록 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PTT콜을 수신하면 발언권 획득여부에 따라 상기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PTT알림음과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부8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배터리의 잔량과 수신감도율 및 모닝콜 설정유무를 나타내는 아이콘 및 현재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가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PTT콜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과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PTT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은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 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에 따른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은 설정한 PTT콜정보를 메모리29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설정한 PTT콜 예약시간에 맞춰 메모리29로부터 PTT콜정보를 독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발언권을 획득하여 설정한 착신측 전화번호로 상기 메모리29로부터 독출한 PTT콜정보에 따라 PTT알림음을 모뎀23을 통해 송출한후 PTT자동알림 기능을 종료한다.
전술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에 따른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은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부터 PTT콜과 함께 상기 PTT알림음을 수신한다. 그래서, 표시부80에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PTT콜에 대한 알림음을 오디오 처리부25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부80을 통해 상기 PTT콜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본 발명 PTT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에 대한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은 211단계에서 PTT콜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키가 입력되고, 그 메뉴키에 의해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메뉴중 PTT알림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PTT알림메뉴로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은 21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PTT콜정보를 메모리29에 저장하고, PTT콜정보 설정을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PTT콜정보는 PTT콜 예약시간, 착신측 전화번호, PTT알림음, 송출회수를 의미한다.
즉, PTT콜 착신측의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입력하고, 그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PTT알림음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PTT알림음을 전송하는 송출회수를 입력하여 PTT콜정보를 설정한다. 이러한 상기 PTT알림음은 사용자가 착신측 전화번호로 PTT콜이 어떠한 상황인지를 알리기 위해 녹음한 음성일 수 있으며, 벨소리/멜로디와 같은 오디오 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215단계에서 현재시간을 검출하고, 217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PTT콜 예약시간과 현재시간이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 이에, 상기 PTT콜 예약시간이 현재시간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215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PTT콜 예약시간과 현재시간이 일치할때까지 현재시간을 계속해서 검출한다.
그러나, 상기 PTT콜 예약시간이 현재시간과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10은 219단계에서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콜수신이 가능한가를 판단한다. 즉,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기능을 설정해놓았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PTT콜 수신가능여부는 PTT서버(PoC서버)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가능하고, 이러한 PTT콜 수신가능여부에 따른 신호흐름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219단계의 상기 판단결과, 상기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가 PTT콜수신이 가능하면,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은 221단계에서 PTT서버로부터 발언권 획득을 시도하여 223단계에서 상기 PTT서버로부터 발언권을 획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225단계에서 설정된 PTT알림음을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PTT알림음을 전송하는 과정은 하기의 227-229단계에 의해 상기 PTT알림음 송출회수가 결정된다.
우선, 상기 제어부10은 227단계에서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발언권을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발언권을 획득하지 않으면, 이는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알림 기능을 알아차리지 못한 경우로 인식하여 229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229단계에서 실행한 송출회수와 상기 PTT콜정보 설정시 설정된 송출회수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 이에, 상기 실행한 송출회수와 상기 설정된 송출회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225단계로 복귀하여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발언권을 획득할때까지 설정된 송출회수만큼 발언권을 획득/해제하며 PTT알림음을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발언권을 획득하지 않고, 상기 229단계에서의 실행한 송출회수와 설정된 송출회수가 일치하면 후술할 231단계로 진행 하여 이후 과정을 수행하고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알림기능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227단계에서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발언권을 획득하면 231단계로 진행하여 알림기능을 해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233단계에서 상기 213단계를 통해 설정한 PTT콜정보를 메모리29에서 삭제한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29에 PTT알림음으로 "일어날 시간입니다"라고 녹음한 음성 PTT알림음과, PTT콜예약시간 "14:00"과, 착신측 전화번호의 "012-345-6789"와, 송출회수의 "3번"으로 메모리29에 저장된 PTT콜정보를 상기 233단계에서 삭제한다.
한편, 상기 219단계의 판단결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콜이 수신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233단계로 진행해서 설정된 PTT콜정보를 메모리29로부터 삭제하고 PTT자동알림기능을 종료한다.
전술한 상기 도 2의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에 따른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PTT자동알림에 대한 처리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PTT자동알림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은 311단계에서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공급되어,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후, 키입력 또는 호착신를 대기하는 대기모드로 진입하여 3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313단계에서 PTT콜수신이 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PTT콜이 수신되었으면 315단계로 진행하여 발언권을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발언권을 획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17단계에서 발신 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설정한 PTT알림음으로 알림음을 출력하고, 그 알림음을 문자로 표시한 안내메시지를 표시부80에 표시한다.
예컨대,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에 설정된 PTT알림음이 "일어날 시간입니다"라고 가정하면,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는 발언권 획득시, 상기 PTT알림음의 "일어날 시간입니다" 라는 알림음을 PTT콜수신음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표시부80에 "일어날 시간입니다" 라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신자가 설정한 PTT알림음과 안내메시지로 상대방에게 PTT콜을 전송하여 상대방에게 어떠한 PTT콜 상황인지를 쉽게 알려 줄수 있으므로, PTT콜 통화이전에 상기 PTT알림음과 안내메시지를 통해 어떠한 상황으로 인한 PTT콜 요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신자가 PTT알림음을 설정하여 상대방에게 PTT콜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상기 PTT콜을 수신하는 착신자는 PTT알림음만을 듣고도 어떠한 이유에서 PTT콜 을 했는지 또는 착신자가 누군지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푸쉬투토크(PTT)서비스가 가능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에 있어서,
    예약시간에 맞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PTT콜을 요청하는 PTT콜정보를 예약설정하는 과정과;
    현재시간을 검출하여 그 검출한 현재시간이 상기 예약시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예약시간이면 상기 PTT콜정보에 따른 PTT알림음을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TT콜정보를 예약설정하는 과정은
    PTT콜 발신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PTT콜 발신측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PTT알림음을 설정하는 단계와;
    PTT콜 송출회수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TT알림음을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은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발언권을 획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발언권을 획득하면, 설정된 PTT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발언권을 획득하지 못하면 PTT콜정보에 따라 상기 PTT알림음을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PTT콜정보의 송출회수만큼 PTT알림음을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재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는 발언권을 획득한후 PTT알림음을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TT콜정보에 따른 PTT알림음을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실행한 송출회수가 설정된 송출회수와 일치하면 설정된 상기 PTT콜 정보를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TT콜정보는 PTT콜 예약시간, 착신측 전화번호, PTT알림음, 송출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TT알림음은 PTT콜정보 설정시 녹음된 음성 또는 설정된 벨/멜로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푸쉬투토크(PTT)서비스가 가능한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부터 PTT콜 수신시, 발언권 획득여부에 따라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설정한 PTT알림음으로 PTT콜이 수신여부를 알리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PTT알림음에 대응하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하여 PTT콜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푸쉬투토크(PTT)서비스가 가능한 발신측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예약시간에 맞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PTT콜을 요청하는 PTT콜정보를 예약설정하는 과정과;
    현재시간을 검출하여 그 검출한 현재시간이 상기 예약시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예약시간이면 상기 PTT콜정보에 따른 PTT알림음을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PTT알림음 수신시, 발언권을 획득하여 상기 PTT콜정보에 따라 PTT콜 수신여부를 알리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60573A 2004-07-30 2004-07-30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 KR100606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573A KR100606019B1 (ko) 2004-07-30 2004-07-30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573A KR100606019B1 (ko) 2004-07-30 2004-07-30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642A true KR20060011642A (ko) 2006-02-03
KR100606019B1 KR100606019B1 (ko) 2006-07-28

Family

ID=3712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573A KR100606019B1 (ko) 2004-07-30 2004-07-30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0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033A (ko) * 1996-06-14 1998-03-30 김광호 다양한 멜로디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무선호출기
US6259892B1 (en) * 1997-09-19 2001-07-10 Richard J. Helferich Pager transceiver and methods for performing action on information at desired times
KR20000001301A (ko) * 1998-06-10 2000-01-15 김영환 단말기에서의 예약전화 자동 발신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00009732U (ko) * 1998-11-10 2000-06-05 서평원 가입자별 착신벨을 제공하는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
KR20020076965A (ko) * 2001-03-31 2002-10-11 조현경 통신기기의 착신음을 이용한 수신자 구분 방법
KR20050077953A (ko) * 2004-01-30 2005-08-04 이남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용 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019B1 (ko) 200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978B1 (ko)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의 발언권자표시방법
US200402282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ll duplex dispatch
KR100640362B1 (ko) Ptt서비스 방법
US7536195B2 (en) Method for PTT servic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KR10072487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정보 처리방법
KR1006403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그룹 통화 방법
JP2007096989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2006001689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US20040192368A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a dispatch call
KR10062621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피티티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404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KR1007249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PTT(Push―To―Talk)방식의 통화 알림 장치및 방법
KR100606018B1 (ko)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
KR2007001818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제한장치 및 방법
KR100606019B1 (ko)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
KR100630125B1 (ko) Ptt콜 중재방법
KR100605832B1 (ko) Ptt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상태 알림방법
KR100640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알림 방법
JP2013172297A (ja) 電子機器、出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出力制御方法
JP2000261856A (ja) 簡易型携帯電話機
KR10080076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음성 사서함 연결 방법
KR10064032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KR100890262B1 (ko) 휴대 단말기의 푸쉬 투 톡 통신 방법.
KR20050041175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선점형 다자간 음성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062329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연결 중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