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362B1 - Ptt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Ptt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362B1
KR100640362B1 KR1020040065097A KR20040065097A KR100640362B1 KR 100640362 B1 KR100640362 B1 KR 100640362B1 KR 1020040065097 A KR1020040065097 A KR 1020040065097A KR 20040065097 A KR20040065097 A KR 20040065097A KR 100640362 B1 KR100640362 B1 KR 100640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t
call
group call
talk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598A (ko
Inventor
윤성재
강동한
신재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5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362B1/ko
Priority to US11/203,955 priority patent/US7536180B2/en
Priority to CNB2005100906661A priority patent/CN100358377C/zh
Publication of KR20060016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투토크(PTT) 서비스 이용시 그룹간에 통화내용을 저장하여 이후 그 저장된 그룹간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PTT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푸쉬투토크(PTT) 서버를 통한 PTT 휴대용 단말기의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3인이상의 참여자들간의 PTT그룹통화중 PTT그룹통화종료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종료 요구시, PTT서버로 통화내용 저장을 요구하며 PTT응용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PTT응용프로그램 종료후,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종료시에 PTT서버로부터 통화내용이 저장되었다는 안내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안내메시지를 통해 상기 저장된 통화내용을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PTT휴대용 단말기, PTT(푸쉬투토크), PTT그룹통화, 통화내용 저장

Description

PTT서비스 방법{METHOD FOR SERVING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초기 PTT콜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그룹통화시의 신호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TT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도 4b는 도 2에 있어서, PTT그룹통화시의 PTT휴대용 단말기의 PTT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도 4a에 있어서, PTT그룹통화내용을 재생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도 2에 있어서, PTT그룹통화시의 PTT서버의 서비스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1: RF부
23: 모뎀 25: 오디오 처리부
27: 키패드 29: 메모리
80: 표시부 ANT: 안테나
MIC: 마이크 SPK: 스피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투토크(PTT) 서비스 이용시 그룹간에 통화내용을 저장하여 이후 그 저장된 그룹간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PTT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전체 서비스지역을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영역으로 분할하여 소규모의 서비스 영역인 셀들(cells)로 구성하고, 기지국들은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으로 집중 제어하여 가입자가 셀간을 이동하면서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결합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중의 하나로 IP를 이용한 패킷 기반(Packet Base)의 음성 서비스를 VoIP(Voice over IP)라고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패킷 기반의 호 서비스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호를 설정하야여 하기 때문에 호 설정시간이 비교적 길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IP네트워크의 다중전송(Multicast) 기능을 이용하여 그룹호(Group Call) 및 개인호(Private Call) 와 같은 인터액티브 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액티브 호 서비스란 사용자들의 상호간 동작에 의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는 호의 한 종류로서 예를 들어 워키토키(Walkie-talkie)에서와 같은 푸쉬투토크(PTT: Pust to talk 이하,"PTT"로 표기함) 기능이 있다. 또한 그룹호란 미리 정해지는 사용자들의 그룹내에서 사용자들간의 다자간 통화를 의미하며 개인호란 미리 정해지는 사용자들의 그룹내에서 사용자들간의 1:1통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PTT서비스는 다수의 사용자 또는 그룹을 대상으로 음성/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가능케 하는 서비스로서, PTT를 위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말하고자함을 표시하고, 사용자 장치 즉, PTT서비스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이하, "PTT휴대용 단말기"로 표기함)는 서비스 요청을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자원의 이용가능성, 요청한 사용자의 우선순위 등과 같은 소정의 판단기준을 기초로 상기 요청을 거절하거나, 또는 요청된 자원을 할당한다. 그외 동시에, 특정 가입자 그룹내의 모든 다른 활성 사용자들과의 접속이 설정된다. 음성 접속이 설정된 후에 요청한 사용자는 말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은 그 채널에서 들을 수 있다. 사용자가 PTT를 해제하면, 그 PTT를 해제한 해당 휴대용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해제(release) 메시지 신호를 전송하고, 자원들은 해제된다. 이러한 PTT통신 시스템은 지점-대-지점간 통신과 지점-대-다지점간 통신서비스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지점-대-다지점간 통신서비스를 PTT서비스에서는 PTT그룹 통화라고 한다.
이러한, PTT 휴대용 단말기간의 PTT 콜은 발신측 PTT 휴대용 단말기가 착신측 PTT 휴대용 단말기로 PTT콜을 상대방에게 요청하면서부터 시작된다. 상기 PTT콜 요청은 PTT버튼을 누름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는 PTT알림음으로 PTT콜이 수신되었음을 통보한다. 이에,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PTT콜의 수신을 알리는 PTT알림음이 울림을 인지하고,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발신자와 PTT콜을 개시한다.
그러나, 종래 PTT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PTT서비스는 PTT그룹통화중에 통화를 종료하면, 통화 종료후의 PTT그룹간 통화내용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여행계획을 세우기위해 PTT그룹통화를 하고 있던 상황에서 PTT그룹통화를 할 수 없는 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참여자중 한명이 상기 PTT그룹 통화를 종료하면, 상기 PTT그룹통화를 종료한 참여자는 PTT그룹통화 종료이전까지의 여행계획을 세우기 위해 나눴던 대화만을 알 수 있고, 상기 PTT그룹통화 종료이후의 여행계획에 대해 나눴던 대화는 알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PTT그룹통화 종료이후의 여행계획에 대해 나눈 대화를 알고자하면, PTT그룹통화에 참여한 참여자들과의 PTT통화나 일반 음성통화 등을 통해서 여행 계획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PTT그룹통화자들간의 여행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대화내용은 알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푸쉬투토크(PTT) 서비스 이용시 그룹간에 통화내용을 저장하여 이후 그 저장된 그룹간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PTT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 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PTT그룹통화중에 통화를 종료하더라도 PTT그룹 통화중에 있는 나머지 참여자들의 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 PTT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TT그룹통화중에 통화를 종료한 참여자에게 상기 PTT그룹통화 종료이후의 상기 PTT그룹간의 통화내용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한 PTT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TT그룹통화를 통해 특정 그룹의 참여자들과의 통화를 종료한 이후 다시 PTT콜 접속시, 상기 그룹통화의 참여자들과 그룹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PTT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푸쉬투토크(PTT) 서버를 통한 PTT 휴대용 단말기의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3인이상의 참여자들간의 PTT그룹통화중 PTT그룹통화종료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종료 요구시, PTT서버로 통화내용 저장을 요구하며 PTT응용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PTT응용프로그램 종료후,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종료시에 PTT서버로부터 통화내용이 저장되었다는 안내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안내메시지를 통해 상기 저장된 통화내용을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푸쉬투토크(PTT) 서버를 통한 PTT 휴대용 단말기의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3인이상의 참여자들간의 PTT그룹통화중 PTT그룹통화종료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 종료 요구시, PTT서버로 통화내용 저장을 요구하며 PTT응용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PTT응용프로그램 종료후, PTT콜 접속시에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를 종료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통화를 종료했다면 저장된 통화 내용의 재생요구에 의해 통화 내용을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중이면, 그 참여자들과의 통화에 참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TT휴대용 단말기간의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푸쉬투토크(PTT) 서버의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3인이상의 참여자들간의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 서비스중,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하는 PTT휴대용 단말기의 시점부터 통화내용 저장을 시작하여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에 의해 통화가 종료될때 통화 내용 저장을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콜 접속시, 상기 저장된 통화내용을 재생하여 서비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TT휴대용 단말기간의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푸쉬투토크(PTT) 서버의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3인이상의 참여자들간의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 서비스중,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하는 PTT휴대용 단말기의 시점부터 통화내용 저장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콜 접속시, PTT콜에 접속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과의 통화 희망여부를 확인하여 통화를 희망을 희망하면 상기 PTT그룹통화 에 참여시키는 과정과; 상기 참여자들과의 통화를 희망하지 않으면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 종료시에 통화내용 저장을 종료하고 그 통화내용이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전송하여 그 안내메시지를 통해 저장된 통화내용을 서비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인이상의 푸쉬투토크(PTT)그룹통화를 수행하는 PTT휴대용 단말기들과, 그 PTT휴대용 단말기들에게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PTT서버를 통한 PTT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PTT서버를 통해 PTT휴대용 단말기들간의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들중 통화중 PTT그룹통화 종료를 PTT서버로 요구하고, 그 PTT그룹통화 요구에 의해 상기 PTT서버에서는 통화내용 저장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에 의해 PTT그룹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통화내용 저장을 종료하고, 상기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측으로 통화내용이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는 PTT서버로부터 저장된 통화내용을 서비스받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인이상의 푸쉬투토크(PTT)그룹통화를 수행하는 PTT휴대용 단말기들과, 그 PTT휴대용 단말기들에게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PTT서버를 통한 PTT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PTT서버를 통해 PTT휴대용 단말기들간의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들중 통화중 PTT그룹통화 종료를 PTT서버로 요구하고, 그 PTT그룹통화 요구에 의해 상기 PTT서버에서는 통화내용 저장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PTT콜 접속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결과 상기 PTT콜 접속시, 상기 PTT그룹통화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PTT그룹통화가 종료되면 PTT서버는 통화내용이 저장됨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전송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PTT휴대용 단말기는 그 안내메시지를 통해 상기 PTT서버로부터 저장된 통화내용을 서비스받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PTT그룹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PTT서버는 상기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통화희망 여부에 따라 이전에 참여한 PTT그룹통화에 참여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3명이상의 참여자간의 PTT그룹통화중에 상기 3명이상의 참여자중 한명이 PTT그룹통화를 종료하면, PTT서버는 그 PTT그룹통화 종료시점부터 PTT그룹 통화를 저장하여 추후에 상기 PTT그룹통화를 종료한 참여자에게 그 저장된 PTT그룹 통화를 재생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PTT그룹통화는 다음과 같은 초기 PTT콜 처리과정을 통해 PTT그롭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초기 PTT콜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111단계~145단계까지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이 각각 제1, 제2 기지국400,500과 서비스 옵션 네고를 수행하여 트래픽 채널을 셋업(setup)한후, SIP를 기반으로 PTT 응용프로그램으로 음성통화을 수행한다.
우선, 111단계에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이 SDB(Short Data Burst)형태로 PTT콜 요구신호(INVITE)를 제1 기지국400으로 전송한다. 상기 PTT콜 요구신호(INVITE) 전송직후, 113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은 PTT서비스를 위해 제1 기지국400과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SO_PTT)) 네고(nego)를 실시하면서 트래픽 채널(TCH; Traffic Channel) 셋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네고는 PPP 세션(session)을 포함한 물리계층부터 응용계층까지의 상위 네트워크 세션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Origination"으로 표기하였다.
이후, 115~117단계에서 상기 PTT콜 요구신호(INVITE)는 상기 제1 기지국400으로 전송된후 PTT서버300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가 서비스 받고 있는 제2 기지국500으로 전송된다. 이때, 119단계와 121단계에서 상기 제2 기지국500은 주기적으로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로 페이징 신호(General Page)를 송출하며,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은 상기 페이징 신호에 대한응답신호(Page Response)를 상기 제2 기지국500으로 전송하는 중에 있다. 이러한 페이징 수행중, 상기 117단계에서 제2 기지국은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으로 쇼트 데이터 버스트(SDB;Short Data Burst) 형태로 상기 PTT콜 요구신호(INVITE)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은 PTT콜이 형성되었음을 표시하여 이를 착신자에게 알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은 트래픽 채널이 셋업된 상태가 아니므로 어떠한 음성도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으로 전송되 지 않는다.
다음, 125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은 제2 기지국500으로 PTT콜 요구신호(INVITE)를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알리는 신호로 "MS L2 Ack"를 제2 기지국5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127단계에서 상기 제2 기지국500은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측으로 상기 "MS L2 Ack"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알리는 "BS L2 Ack"신호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으로 전송한다.
이후, 129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은 SDB형태로 "200 OK" 메시지(Message)를 제2 기지국5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200 OK" 메시지는 초기 PTT콜을 요구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에게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콜 요구신호(INVITE)를 수락했음을 알리는 메시지이다.
이때, 131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도 상기 "200 OK" 메시지를 보낸 직후, 상기 제2 기지국500과 연동하여 PTT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SO_PTT)) 네고를 실시하면서, 트래픽 채널 셋업을 실시한다.
다음, 133단계부터 137단계동안, 상기 "200 OK" 메시지는 제2 기지국500에서 PTT서버300과 제1 기지국400을 통해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으로 전송되고, 그 "200 OK"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은 트래픽 채널 셋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은 착신측에서 PTT콜 요구를 수락하여 PTT콜이 형성되었음을 표시한다.
이후, 139단계와 141단계에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은 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SIP Request"신호를 통해 PTT서버300측으로 발언권을 요청한후 143단계 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PTT서버300은 상기 발언권 요청을 제어하여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발언권을 준다.
143단계에서 상기 발언권을 획득한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은 RTP(Real Time Protocol)를 통해 실시간으로 발언내용(Talk Burst)을 PTT서버3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143단계를 통해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이 발언한 내용은 PTT서버300으로 전송되어 1차적으로 버퍼링(Buffering)된다. 이후, 상기 PTT서버300에 버퍼링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의 발언내용(Talk Burst)은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의 트래픽 채널 셋업의 완료여부에 따라 RTP를 통해 PTT서버에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으로 전송된다. 즉, 상기 PTT서버300은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의 트래픽 채널 셋업이 완료된 이후에 버퍼링하고 있던 발언내용을 전송하게 된다.
이후,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은 트래픽 채널 셋업이 완료된후에 따라 PTT서버300과 네고할 필요없이 전술한 상기 "SIP Ack"신호와 그 "SIP Request"신호에 응답신호의 "Ack"만으로 발언권을 부여받아 발언을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과정을 통해서 지점-대-다지점간 통신서비스를 PTT서비스에서는 PTT그룹통화라고 하며, 이러한 PTT그룹통화의 참여자중 PTT그룹통화를 종료하는 경우에 대한 신호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그룹통화시의 신호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여기서, 제1, 제2 PTT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1의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 기 또는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2에서는 제1, 제2 PTT휴대용 단말기만을 도시하였으나, PTT그룹통화를 위한 그 이상의 제3~제N PTT휴대용 단말기가 생략되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상기 제1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그롭통화중에 PTT그룹통화를 종료했다는 가정하에서 후술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의 초기 PTT콜 처리과정을 통해 211단계에서 PTT그룹통화가 형성되어 참여자들간의 PTT그룹통화(Talk)가 형성된다. 이후, 상기 PTT그룹통화(Talk)중에 상기 제1 PTT휴대용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상기 PTT그룹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PTT그룹통화(Talk)를 종료를 요구하면, 213단계에서 상기 제1 PTT휴대용 단말기110은 제1 기지국410으로 PTT그룹통화 종료 요구신호 "Call End Request"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1 기지국410은 215단계에서 상기 "Call End Request" 신호를 PTT서버310으로 전송한다. 이에, 217단계~219단계에서 상기 PTT서버310은 제1 기지국410으로 상기 PTT그룹통화 종료 요구신호에 대한 응답신호 "Ack"를 전송하고, 상기 제1 기지국410은 상기 "Ack" 신호를 제1 PTT휴대용 단말기110으로 전송한다. 이때, 제2 PTT휴대용 단말기210은 221단계에서 상기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참여자 즉, 제3~제N PTT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PTT그룹통화의 참여자가 될 수 있는 참여자들과 PTT그룹통화중에 있다.
이후, 상기 제1 PTT휴대용 단말기110은 상기 219단계에서 "Ack" 신호를 수신하여, 223단계~225단계에서 통화 저장요구신호 "Save Request"를 상기 제1 기지국410으로 전송하고, 그 제1 기지국410은 이를 PTT서버310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PTT서버310은 상기 "Save Request" 신호를 수신하여 227단계에서 이에 대한 응답신 호 "Ack"를 제1 기지국410으로 전송하는 시점부터 PTT그룹간의 통화내용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지국410은 229단계에서 "Ack"신호를 제1 PTT휴대용 단말기11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1 PTT휴대용 단말기110의 표시창에는 PTT그룹통화내용을 저장하겠다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후, 상기 PTT서버310은 상기 제1 PTT휴대용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저장된 PTT그룹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이러한 상기 제1 PTT휴대용 단말기110과 PTT서버310의 상세한 동작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PTT서버310은 231단계에서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에 의해 PTT그룹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PTT그룹통화내용 저장을 종료한다.
이후, 상기 PTT서버310에 저장된 PTT그룹통화내용은 제1 PTT휴대용 단말기110의 통화재생요구시에 재생된다. 이러한, 상기 PTT서버310에 저장된 PTT그룹통화내용을 서비스하는 PTT서버310과, 상기 PTT서버310으로부터 그룹통화내용을 서비스 받는 제1 PTT휴대용 단말기110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PTT서비스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TT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는 PTT휴대용 전화기가 될 수 있으며, 그 PTT휴대용 전화기는 상술한 도 2에서의 제1 PTT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RF부21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모뎀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모뎀23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제어부10으로부터 수신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10으로 전송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5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PTT그룹통화시에 마이크MIC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0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PTT콜 수신시, 제어부10의 제어하에 PTT알림음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한후 스피커SPK로 PTT알림음을 송출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PTT그룹통화시의 그룹통화내용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키패드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은 PTT그룹통화에 따른 기능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 PTT그룹통화을 요구하는 PTT버튼과, 상기 PTT그룹통화내용 저장요구시 입력되는 PTT그룹통화내용 저장키와, 상기 저장된 그룹통화내용의 재생을 요구하는 PTT그룹통화 내용 재생키와, 상기 PTT그룹통화내용 재생시 재생위치를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재생 조정키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PTT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PTT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PTT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PTT서버와 접속하거나, 음성서비스에 의해 저장된 PTT그룹통화내용을 재생하여 상기 오디오 처리부25의 스피커SPK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PTT응용프로그램에 의한 설정정보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PTT그룹통화내용이 저장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SMS;Short Messaging Service)(IM; Instant Message)들이 저장된다.
제어부10은 PTT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모뎀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PTT콜 착신시에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로 PTT콜 수신시 알림음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PTT그룹통화중, PTT그룹통화 종료요구시에 발생되는 메시지를 표시부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PTT서버에 저장된 PTT그룹통화내용을 RF부21와 모뎀23을 통해 수신하고, 그 수신한 PTT그룹통화의 통화내용을 스피커SPK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PTT서버에 저장된 PTT그룹통화내용의 재생위치를 상기 키패드27의 재생속도 조절키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PTT서버는 상기 재생속도 조절키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PTT그룹통화내용의 재생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PTT그룹통화후, 그 PTT그룹통화가 종료되기전에 PTT응용프로그램 실행시, 이전에 종료한 PTT그룹통화가 종료되지 않음을 표시부80에 안내메시지로 표시하고, 그 안내메시지에 따른 PTT그룹통화자와의 통화희망여부에 따라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석자들가의 통화를 재접속하도록 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부8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배터리의 잔량과 수신감도율 및 모닝콜 설정유무를 나타내는 아이콘들 및 현재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PTT그룹통화시 그 그룹통화중에 있는 참여자들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PTT그룹통화중 발언권을 획득한 참여자 정보에 상기 발언권 획득유무를 표시하여 참여자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PTT그룹의 참여자들이 통화중에 있을때 PTT그룹통화를 종료하고자 하면 PTT그룹통화가 종료되어 나머지 참여자들에 의해 PTT그룹통화가 이루어지는 통화내용의 저장여부를 묻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하고, 그 안내메시 지의 선택에 따라 상기 PTT그룹통화의 통화내용을 저장하겠다는 안내메시지 또는 PTT그룹통화를 종료한다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PTT그룹통화를 저장하고자 PTT그룹통화 저장을 선택하였으면, 참여자들간의 상기 PTT그룹통화가 종료되는시점에 상기 PTT그룹통화 저장이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안내메세지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PTT그룹통화 종료후, PTT응용프로그램 실행시 이전의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간의 PTT그룹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PTT그룹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는 일예로, 팝업창을 통해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과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도 3의 PTT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은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35 상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PTT응용프로그램에 따른 PTT그룹통화시의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PTD(Push To Data)를 통한 패킷 데이터의 통신 데이터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의 PTT그룹통화시에 통화내용을 저장하고, 그 PTT그룹통화종료후 이전에 PTT그룹통화자와의 통화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10은 PTT응용프로그램을 통해 RF부21과 모뎀23으로 입력되는 PTT그룹의 음성을 수신하여 오디오 처리부25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통해 마이크MIC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은 PTT서버로부터 발언권을 획득하여 스피커SPK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 처리하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모뎀23과 RF부21을 통해 상기 PTT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표시부80은 상기 발언권을 가진 참여자의 정보에 발언권유무를 표시해준다. 이러한, 상기 PTT그룹통화시의 발생되는 데이터들은 메모리29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후, PTT그룹통화중에 키패드27의 조작에 의해 PTT그룹통화를 종료하는 종료키 입력시, 제어부10은 상기 PTT그룹통화를 종료하며, 표시부80에 PTT그룹통화의 통화내용 저장을 시작한다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PTT그룹통화를 종료하면 상기 PTT그룹통화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IM(Instant Message)을 PTT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표시부80에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은 IM을 통해 저장된 PTT그룹통화의 내용을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PTT그룹통화를 종료하기 이전에 PTT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상기 제어부10은 이전에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의 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하고, 그 안내메시지에 따른 통화 희망여부를 묻는 안내메시지를 표시부80에 표시한다. 그래서, 상기 통화참여 희망여부에 따라 이전의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간의 PTT그룹통화를 개시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3를 통해 전술한 본 발명의 PTT그룹통화시의 PTT서비스에 대한 PTT휴대용 단말기와 PTT서버에 대한 처리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도 4b는 도 2에 있어서, PTT그룹통화시의 PTT휴대용 단말기의 PTT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4a-도 4b는 도 1과 도 2를 통해 전술한 PTT콜에 따른 신호처리과정을 통해서 가능하며, 이에 따른 신호처리과정은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기술하였으므로, 이하 PTT그룹통화에 따른 신호처리과정은 생략한다.
상기 도 4a-도 4b를 참조하면, 제어부10은 411단계에서 키패드27에 의해 선택된 PTT그룹통화 하고자 하는 참여자에게 PTT콜을 전송하여 PTT그룹통화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PTT그룹통화는 상기 도 1에서 전술한 바와같이 139~141단계를 통해 "SIP Ack"신호를 통해 발언권을 요구하면, PTT서버의 제어하에 발언권이 주어지고, 그 발언권에 의해 그룹통화를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413단계에서 PTT그룹통화를 종료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PTT그룹통화가 종료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PTT그룹통화가 종료될때까지 상기 411단계를 통해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과의 통화를 계속해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상기 PTT그룹통화를 종료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15단계에서 상기 PTT그룹통화내용의 저장여부를 묻는 안내메시지를 표시부8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PTT그룹통화내용의 저장여부를 묻는 안내메시지는 일예로 "상기 PTT그룹통화내용을 저장하시겠습니까?" 라고 표시되고, 그 PTT그룹통화내용 저장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예"와 "아니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예"와 "아니오"는 확인키 입력시의 커서위치에 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417단계에서 상기 안내메시지에 따라 선택되는 PTT그룹통화 내용의 저장여부를 확인하여 419단계 또는 421단계로 진행한다. 이에, 상기 PTT그룹통화 내용을 저장하지 않는다고 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419단계에서 PTT그룹통화를 종료했음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표시부80에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PTT그룹통화 내용을 저장하겠다고 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421단계로 진행하여 PTT그룹통화 저장요구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PTT그룹통화 저장요구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PTT그룹통화 저장요구신호를 PTT서버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PTT서버는 상기 PTT그룹통화 저장 요구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그 기지국은 상기 PTT그룹통화 저장요구신호를 전송한 PTT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PTT그룹통화 저장요구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응답신호는 "Ack"신호와 "NAck"신호중 하나가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은 423단계에서 PTT그룹통화 저장요구신호에 따른 응답신호가 승낙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승낙(Ack)신호가 아니면, 425단계로 진행한다. 이에, 상기 4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PTT그룹통화를 저장할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PTT그룹통화를 저장하겠다고 하면, 상기 421단계로 복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재차 PTT그룹통화 저장요구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나, PTT그룹통화를 저장히지 않겠다고 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재차 PTT그룹통화 저장요구신호를 전송을 요구하지 않고, PTT그룹통화를 종료한다.
반면, 상기 42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승낙(Ack)신호이면, 그룹통화 저장을 시작한다는 안내메시지를 표시부80에 표시하고, 427단계로 진행하여 PTT응용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대기모드로 진입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429단계에서 PTT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켜 PTT콜을 접속하였는지 판단한다. 이에, 상기 PTT콜을 접속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31단계에서 이전에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간의 통화 종료여부에 따른 PTT서버의 응답이 PTT그룹통화 종료인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간의 통화가 종료되었는지에 따른 PTT서버의 응답은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429단계에서 PTT콜을 접속하지 않았다면, 435 단계로 진행하여 이전에 PTT그룹통화중 종료하고 나간이후, 저장된 PTT그룹통화내용이 저장을 완료했다는 IM(Instant Message)를 PTT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부80에 이를 표시하고 43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31단계의 판단결과 PTT그룹통화 종료이면, 상기 제어부10은 433단계에서 이전에 PTT그룹통화중 종료한 시점부터 저장된 PTT그룹통화내용이 저장되었다는 안내메시지를 표시부80에 표시하고 437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437단계에서 PTT서버에 저장된 PTT그룹통화 재생을 요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PTT그룹통화 재생을 요구하면, 439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된 PTT그룹통화내용을 재생한다. 예컨대, 키패드27에 구비된 PTT그룹통화내용 재생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은 음성사서함(음성서비스)으로 통화를 시도하거나 혹은, 상기 PTT그룹통화가 저장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접속하여 PTT서버로부터 저장된 PTT그룹통화내용을 서비스 받는다. 이때, 상기 PTT그룹통화내용을 재생하는 과정에 대해 첨부한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0은 511단계에서 PTT그룹통화 내용이 재생되고, 513단계로 진행하여 재생 조정키의 입력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 이에, 상기 재생 조정키가 입력되면, 5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PTT서버로부터 재생되고 있는 PTT그룹통화 내용의 재생위치 및 재생속도 등을 조정할 수 있는 재생 조정키에 따른 해당 재생 조정신호를 PTT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PTT서버로부터 재생 조정키에 따라 변화되는 재생위치 및 재생속도의 PTT그룹통화 내용을 서비스받는다. 이에, 상기 제어부10은 517단계에서 이에 대한 PTT그룹통화 내용을 재생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이때, PTT휴대용 단말기는 재생 조정키입력에 따라 PTT서버측의 PTT그룹통화 내용의 재생위치와 재생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일예로, 상기 재생 조정키는 DTMF(Double Tone Multi Frequency)라는 2개(저주파와 고주파)의 고유 주파수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1'번을 눌렀을 경우 낮은 주파수는 697㎐, 높은 주파수는 1209㎐로, 이 두 주파수를 섞어 `1'이라는 신호를 PTT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PTT서버는 이를 인식하고, 상기 DTMF에 따른 PTT그룹통화의 재생위치를 조절하여 PTT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PTT그룹통화의 내용을 서비스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재생 조정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재생조정키입력이 발생하기전까지 511단계를 통해 순차적이고, 일정한 속도로 PTT그룹통화 내용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431단계의 판단결과 PTT그룹통화 종료가 아니면, 즉, PTT그룹통화를 종료한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간의 통화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제어부10은 441단계에서 PTT그룹통화자와의 통화희망여부를 묻는 안내메시지를 표시부80에 표시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10은 443단계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희망하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PTT그룹통화자와의 통화를 희망하면 44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TT그룹통화에 참여시킨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통화를 희망하지 않으면, 상기 433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상기 437~439단계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PTT그룹통화의 통화내용을 재생시키는 과정은 PTT서버와의 PTT그룹통화를 통해서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 PTT그룹통화시의 PTT서버의 서비스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PTT서버는 611단계에서 PTT휴대용 단말기간 PTT그룹통화서비스를 실시한다. 상기 PTT그룹통화서비스중, 상기 PTT서버는 613단계에서 통화를 종료하고자 하는 PTT휴대용 단말기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하고자 하면, 615단계로 진행하여 PTT그룹통화의 통화내용을 저장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PTT그룹통화를 종료하고자 하는 해당 PTT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도 함께 저장한다. 이때, 상기 PTT그룹통화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통화중 종료한 해당 PTT휴대용 단말기로부터 PTT그룹통화 저장요구신호를 수신해야 한다.
이후, 상기 PTT서버는 617단계에서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를 완전히 종료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PTT그룹통화를 종료했다면, 619단계에서 PTT그룹통화 저장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PTT서버는 621단계에서 저장된 PTT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독출하여 IM으로 PTT그룹통화종료를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상기 독출한 PTT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IM뿐만 아니라, PTD(Push To Data)로도 PTT그룹통화종료를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TD는 안내메시지와 함께 저장된 PTT그룹통화의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수신된 IM의 안내메시지에 의해 PTT그룹통화가 종료되었으며, 통화내용이 저장되었음을 알 수있게 된다.
이후, PTT서버는 623단계에서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콜에 접속하였는지의 판단하여 상기 PTT콜에 접속하였으면 625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된 PTT그룹통화 재생요구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에, 상기 재생요구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였으면, 상기 PTT서버는 저장된 PTT그룹통화내용을 재생하여 서비스 하게 된다. 이때, PTT서버는 음성사서함이나 URL을 통해서 서비스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621~623단계에서 상기 PTT그룹통화중에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615단계에서 PTT그룹통화 내용을 저장함과 동시에 함께 저장한 상기 PTT그룹통화중에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래서, 상기 PTT콜 접속한 PTT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PTT그룹통화중에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정보 일치여부에 따라 일치하면 IM를 해당 PTT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여 본 발명의 PTT서비스를 서비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를 종료하지 않았다면, 상기 PTT서버는 629단계에서 상기 PTT그룹통화중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콜을 접속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상기 PTT콜을 접속하였다면 상기 PTT서버는 631단계에서 PTT그룹통화의 통화희망여부에 따라 PTT그룹통화 참여자와의 통화에 참여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과 통화중 통화종료한 시점부터 참여자들의 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재중에 통화한 참여자들의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통화내용 확인중 통화내용의 재생위치와 재생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화내용을 확인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통화내용이 저장되면 통화내용이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안내메시즈를 표시하여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 종료했음을 알려줄뿐만 아니라, 통화내용이 저장되었음을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PTT그룹통화 종료후에 PTT콜 접속시, 상기 PTT그룹통화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의 대화가 진행중임을 알려주고, 그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과의 대화에 빠르게 참여시킬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푸쉬투토크(PTT) 서버를 통한 PTT 휴대용 단말기의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3인이상의 참여자들간의 PTT그룹통화중 PTT그룹통화종료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종료 요구시, PTT서버로 통화내용 저장을 요구하며 PTT응용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PTT응용프로그램 종료후,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종료시에 PTT서버로부터 통화내용이 저장되었다는 안내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안내메시지를 통해 상기 저장된 통화내용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TT서버로 통화내용 저장요구시, 그 PTT서버로부터 저장승낙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통화내용을 저장을 요구하는지 재차 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TT그룹통화종료 요구시 통화내용 저장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TT서버로 통화내용 저장을 요구하지 않을시, PTT그룹통화를 종료한다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하며 PTT응용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통화내용을 재생하는 과정은 통화내용 재생중 상기 통화내용의 재생 조정을 요구하는 키입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 조정을 요구하는 키입력이 발생하면 그 키입력에 따른 통화내용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조정은 키입력되는 디티엠에프(DTMF;Double Tone Multi Frequency)의 고유주파수를 수신하는 PTT 서버에 의해 통화내용의 재생이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조정은 재생위치와 재생속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8. 푸쉬투토크(PTT) 서버를 통한 PTT 휴대용 단말기의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3인이상의 참여자들간의 PTT그룹통화중 PTT그룹통화종료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종료 요구시, PTT서버로 통화내용 저장을 요구하며 PTT응용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PTT응용프로그램 종료후, PTT콜 접속시에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를 종료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통화를 종료했다면 저장된 통화 내용의 재생요구에 의해 통화 내용을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중이면, 그 참여자들과의 통화에 참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중임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 메시지에 따른 통화 희망여부에 따라 상기 참여자들과의 통화에 참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과의 통화를 희망하지 않을경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를 종료하는 시점에 저장을 종료한 통화내용의 재생 요구에 따라 그 저장된 통화내용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PTT콜 접속시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간의 통화가 종료되었으면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의 통화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하고, 그 안내메시지를 통해 상기 저장된 통화내용에 접속하여 통화 내용을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는 통화내용이 저장된 음성 사서함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접속하여 통화내용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PTT응용프로그램 종료후, PTT콜이 접속되지 않으면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를 종료하는 시점에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의 통화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14. PTT휴대용 단말기간의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푸쉬투토크(PTT) 서버의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3인이상의 참여자들간의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 서비스중,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하는 PTT휴대용 단말기의 시점부터 통화내용 저장을 시작하여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에 의해 통화가 종료될때 통화 내용 저장을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콜 접속시, 상기 저장된 통화내용을 재생하여 서비스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통화내용을 재생하여 서비스 하는 과정은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콜 접속시에 통화내용이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용 재생은 PTT휴대용 단말기의 재생 조정요구에 의해 상기 저장된 PTT그룹통화내용의 재생위치 또는 재생속도를 조정하여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조정요구는 PTT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키입력되는 디티엠에프(DTMF;Double Tone Multi Frequency)를 수신하여 그 디티엠에프의 고유주파수에 의해 통화내용의 재생이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용 서비스는 음성 사서함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통해 접속된 PTT휴대용 단말기에 통화내용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용 저장을 종료하는 과정은 통화내용 저장과 동시에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하는 PTT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용을 재생하여 서비스하는 과정은 PTT콜 접속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정보와 통화저장과 동시에 저장한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정보가 동일한가를 판단하여 동일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정보이면 저장된 통화내용을 서비스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21. PTT휴대용 단말기간의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푸쉬투토크(PTT) 서버의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3인이상의 참여자들간의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 서비스중,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하는 PTT휴대용 단말기의 시점부터 통화내용 저장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콜 접속시, PTT콜에 접속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과의 통화 희망여부를 확인하여 통화를 희망을 희망하면 상기 PTT그룹통화에 참여시키는 과정과;
    상기 참여자들과의 통화를 희망하지 않으면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이 통화 종료시에 통화내용 저장을 종료하고 그 통화내용이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전송하여 그 안내메시지를 통해 저장된 통화내용을 서비스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22. 3인이상의 푸쉬투토크(PTT)그룹통화를 수행하는 PTT휴대용 단말기들과, 그 PTT휴대용 단말기들에게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PTT서버를 통한 PTT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PTT서버를 통해 PTT휴대용 단말기들간의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들중 통화중 PTT그룹통화 종료를 PTT서버로 요구하고, 그 PTT그룹통화 요구에 의해 상기 PTT서버에서는 통화내용 저장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의 참여자들에 의해 PTT그룹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통화내용 저장을 종료하고, 상기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측으로 통화내용이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는 PTT서버로부터 저장된 통화내용을 서비스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23. 3인이상의 푸쉬투토크(PTT)그룹통화를 수행하는 PTT휴대용 단말기들과, 그 PTT휴대용 단말기들에게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PTT서버를 통한 PTT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PTT서버를 통해 PTT휴대용 단말기들간의 PTT그룹통화를 서비스하는 과정과;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들중 통화중 PTT그룹통화 종료를 PTT서버로 요구하고, 그 PTT그룹통화 요구에 의해 상기 PTT서버에서는 통화내용 저장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PTT콜 접속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결과 상기 PTT콜 접속시, 상기 PTT그룹통화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PTT그룹통화가 종료되면 PTT서버는 통화내용이 저장됨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전송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PTT휴대용 단말기는 그 안내메시지를 통해 상기 PTT서버로부터 저장된 통화내용을 서비스받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PTT그룹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PTT서버는 상기 PTT그룹통화중 통화를 종료한 PTT휴대용 단말기의 통화희망 여부에 따라 이전에 참여한 PTT그룹통화에 참여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PTT)서비스 방법.
KR1020040065097A 2004-08-18 2004-08-18 Ptt서비스 방법 KR100640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097A KR100640362B1 (ko) 2004-08-18 2004-08-18 Ptt서비스 방법
US11/203,955 US7536180B2 (en) 2004-08-18 2005-08-16 Push to talk (PTT) service method
CNB2005100906661A CN100358377C (zh) 2004-08-18 2005-08-18 即按即说业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097A KR100640362B1 (ko) 2004-08-18 2004-08-18 Ptt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598A KR20060016598A (ko) 2006-02-22
KR100640362B1 true KR100640362B1 (ko) 2006-10-30

Family

ID=3608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097A KR100640362B1 (ko) 2004-08-18 2004-08-18 Ptt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36180B2 (ko)
KR (1) KR100640362B1 (ko)
CN (1) CN10035837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1048A (ja) * 2004-09-29 2006-04-13 Nec Corp Ptt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会話開始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8145249B2 (en) 2005-11-04 2012-03-2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roxy media service
JP4502942B2 (ja) * 2005-11-29 2010-07-1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0562041C (zh) * 2006-02-06 2009-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半双工通话中实现语音记录的方法及系统
CN100450225C (zh) * 2006-03-01 2009-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工作群组的方法和系统
US7634286B2 (en) * 2006-04-28 2009-12-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vice and method including secondary actuator for push-to-talk application
US20070281725A1 (en) * 2006-05-30 2007-12-06 Hyatt Edward C Device and method for silent push-to-talk call pacing
CN101098516B (zh) * 2006-06-30 2012-06-06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无线一键通的系统、方法及网关转接装置
US7809390B2 (en) * 2006-10-30 2010-10-05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push-to-talk communication session
JP4829135B2 (ja) * 2007-01-19 2011-12-0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端末装置
CN101141707B (zh) * 2007-03-29 2011-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集群系统及其集群呼叫建立和释放方法
US8548433B1 (en) * 2007-06-27 2013-10-01 Smith Micro Software, Inc. Voice messaging service for network-based instant connect systems
CN102090085B (zh) * 2008-07-15 2015-06-24 高通股份有限公司 限制参与即按即讲(ptt)通信会话
US20120149359A1 (en) * 2010-12-09 2012-06-14 Huang jun-sheng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using mobile phone
JP2013172297A (ja) * 2012-02-21 2013-09-02 Kyocera Corp 電子機器、出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出力制御方法
US10349225B2 (en) * 2013-08-27 2019-07-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ivate multicast networks
EP3068120B1 (en) * 2013-11-07 2021-11-24 Icom Incorporated Relay device, voic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relay method
US9344861B1 (en) 2014-12-30 2016-05-1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ayed talk-back in PTT systems
KR102351495B1 (ko) 2015-06-26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US10123182B2 (en) * 2015-06-29 2018-11-06 Blackberry Limited Merging active group calls
CN107734470A (zh) * 2016-08-12 2018-02-23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集群通信的媒体录制方法和装置
JP7006433B2 (ja) * 2018-03-23 2022-01-2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無線機
CN108964997B (zh) * 2018-07-05 2021-08-10 泉州市新维电子有限公司 对讲机的无线写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3780A (en) * 1997-02-21 1999-08-03 Connor; James M.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logged supergroup/multigroup call retrieval
GB9808952D0 (en) * 1998-04-27 1998-06-24 Simoco Int Ltd Mobile radio system
US6516200B1 (en) * 1999-10-28 2003-02-04 Ericsson Inc. Controlling communications terminal response to group call page based on group call characteristics
US6996414B2 (en) * 2001-04-30 2006-02-07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of group calling in mobile communications
DE10130536B9 (de) * 2001-06-25 2013-08-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Nachrichtenübermittlung an Gruppen von Empfängern
US6873854B2 (en) * 2002-02-14 2005-03-29 Qualcomm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dding a new member to an active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6898436B2 (en) * 2002-02-14 2005-05-24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device for joining a user to a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20030153341A1 (en) * 2002-02-14 2003-08-14 Crockett Douglas M. Server for initiating a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20030153340A1 (en) * 2002-02-14 2003-08-14 Crockett Douglas M. Server for joining a user to a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WO2003101007A1 (en) * 2002-05-24 2003-12-04 Kodiak Networks, Inc. Dispatch service architecture framework
DE102004010368A1 (de) * 2004-03-03 2005-09-29 Siemens Ag Verfahren zum verspäteten Gesprächseinstieg oder Wiedereinstieg mindestens eines Funkkommunikationsgeräts in eine bereits laufende Push-To-Talk-Gruppendiskussion, Funkkommunikationsgerät, Vermittlungseinheit sowie Funkkommunikationsnetz
US20050202806A1 (en) * 2004-03-10 2005-09-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tomatic conference call replay
US7398079B2 (en) * 2004-06-30 2008-07-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rding push-to-talk (PTT) voice communications for replay
US20070155415A1 (en) * 2005-12-30 2007-07-05 Rosemary Sheehy Push-to-talk (PTT) voice lo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40689A1 (en) 2006-02-23
KR20060016598A (ko) 2006-02-22
CN1738449A (zh) 2006-02-22
CN100358377C (zh) 2007-12-26
US7536180B2 (en)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362B1 (ko) Ptt서비스 방법
US11096019B2 (en) Text alternative to established voice call session
US8681664B2 (en) Setting up a full-duplex communication session and transitioning between half-duplex and full-duplex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892146B2 (en) Selectively buffering voice data at a server during a voice communication session
KR20060016373A (ko)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의 발언권자표시방법
US200402282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ll duplex dispatch
US20060040695A1 (en) Method of group call service using push to talk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121925A1 (en) Method for processing convers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terminal
CN1328918C (zh) 在移动通信系统中使用即按即说方案进行通信的方法
US20040192368A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a dispatch call
KR100606018B1 (ko)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
KR100630125B1 (ko) Ptt콜 중재방법
KR100605832B1 (ko) Ptt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상태 알림방법
KR100606019B1 (ko)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