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912A - An menu selection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n menu selection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912A
KR20060007912A KR1020040057430A KR20040057430A KR20060007912A KR 20060007912 A KR20060007912 A KR 20060007912A KR 1020040057430 A KR1020040057430 A KR 1020040057430A KR 20040057430 A KR20040057430 A KR 20040057430A KR 20060007912 A KR20060007912 A KR 20060007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external
ke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4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7912A/en
Publication of KR2006000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9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개폐부의 외부면에 외부표시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출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표시부에 메뉴선택 화면을 출력하여 줌으로써 폴더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선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outpu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display uni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and more particularly, by outputting a menu selection screen to the external display unit to execute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without opening a fol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selection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선택 장치는, 개폐부의 외부면에 구비된 외부표시부 및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된 내부표시부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선택 장치는 상기 외부표시부에 메뉴항목 출력을 위한 외부메뉴 인터페이스와 상기 외부메뉴 인터페이스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메뉴의 기능 실행 명령을 출력하는 외부메뉴제어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메뉴제어부를 구동시키는 외부메뉴키와 상기 외부메뉴키에 의해 외부표시부에 출력된 외부메뉴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메뉴항목의 선택을 위한 방향키를 구비한 외부기능버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nu selec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displa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the inner displa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nu selection device is provided on an external menu interface for outputting a menu item on the external display and an external menu controller for outputting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of a corresponding menu when a menu of the external menu interface is selected and a cas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function button unit having an external menu key for driving the external menu control unit and a direction key for selecting a menu item displayed on an external menu interface output to the external display unit by the external menu key.

이동통신단말기, 외부표시부, 메뉴, 바로가기메뉴, 외부메뉴 Mobile terminal, external display, menu, shortcut menu, external menu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선택 장치 및 그 방법{An menu selection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An menu selection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도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이고,1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3은 폴더가 닫혀진 상태에서 외부표시부에 표시되는 외부메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external menu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unit in a closed state of a folder;

도4는 도3에서 전화번호부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하부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wer menu when the phone book menu is selected in FIG.

도5는 본원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표시부를 이용한 외부 메뉴 실행 방법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an external menu execution method using an external display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s *

100 : 이동통신단말기 110 : 프로세서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processor

113 : 외부메뉴제어부 120 : 외부기능버튼부113: external menu control unit 120: external function button unit

121 : 상향키 122 : 하향키121: Up Key 122: Down Key

123 : 외부메뉴키 130 : 키패드123: external menu key 130: keypad

140 : 저장부 141 : 외부메뉴인터페이스140: storage unit 141: external menu interface

200 : 외부LCD200: external LCD

본원발명은 외부면에 외부표시부가 구비된 개폐부와 내측면에 내부표시부를 구비한 본체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출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표시부에 메뉴선택 화면을 출력하여 줌으로써 폴더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선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outpu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having an external display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and an internal display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and more particularly, a folder by outputting a menu selection screen on the external display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selection device and a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xecute a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without opening.

통상적으로 핸드폰이나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ata Assistant)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는 내림차순으로 메뉴트리(menu tree)가 설정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가 있으면 순차적으로 내부표시부에 표시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ersonal data assistant has a menu tree set in descending order, and is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internal display when a user requests it.

점점 더 복잡해져 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여러 가지 기능과 함께 메뉴의 구성도 복잡해지고 있다. 상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는 개발자가 미리 설정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찾기 위해서는 메뉴트리의 상위 메뉴부터 시작해서 관련이 있는 하위 메뉴를 따라가며 찾게 된다. 그리고, 원하는 메뉴가 없으면 다시 상위로 올라가서 다른 상위 메뉴로부터 검색을 시작해야 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의 경우 전체 메뉴 개수는 수 십여 가지에 이르고 있으므로 그 메뉴 선택을 위한 상술한 과정은 사용자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들을 바로가기메뉴로 설정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메뉴트리의 상부메뉴에서 하부 메뉴까지 검색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하였다.In addition to the increasingly complex func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composition of menus is also complicated. The men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classified according to a category preset by the developer, and in order to find a menu desired by the user, the menu is searched starting from the upper menu of the menu tree and following the relevant lower menu. If there is no desired menu, the user must go back to the upper level and start searching from another upper menu. In the case of the terminal currently in use, the total number of menus is dozens, so the above-described process for selecting the menu is very troublesome for the user. For this reason, in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ser may frequently use menus as shortcut menus to solve the trouble of searching from the upper menu to the lower menu of the menu tree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메뉴 선택의 편리성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외부표시부와 내부표시부를 가지는 폴더 형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메뉴선택을 위한 메뉴화면이 내부표시부에만 표시되도록 구현되어 있어 폴더를 연 상태에서만 메뉴를 선택하여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은 해소되지 못 하고 있다.However, despite the efforts for convenience of user's menu selec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display unit and an internal display unit, the menu screen for menu selection is displayed only on the internal display unit. The problem of selecting and using the menu only when the folder is opened has not been solved.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표시부에 메뉴선택 화면을 출력하여 줌으로써 폴더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표시부를 이용한 메뉴 선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선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prior art, by selecting a menu using an external display unit to output the menu selection screen to the external display unit so that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used even without opening a fold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nu sel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선택 장치는 개폐부의 외부면에 구비된 외부표시부 및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된 내부표시부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The menu selec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displa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the internal displa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선택 장치는 상기 외부표시부에 메뉴항목 출력을 위한 외부메뉴 인터페이스와 상기 외부메뉴 인터페이스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메뉴의 기능 실행 명령을 출력하는 외부메뉴제어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메뉴제어부를 구동시키는 외부메뉴키와 상기 외부메뉴키에 의해 외부표시부에 출력된 외부메뉴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메뉴항목의 선택을 위한 방향키를 구비한 외부기능버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nu selec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external menu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of a corresponding menu when an external menu interface for outputting a menu item and a menu of the external menu interface are selected on the external display unit. An external function button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se and having an external menu key for driving the external menu control unit and a direction key for selecting a menu item displayed on an external menu interface outputted to the external display unit by the external menu key; It is done.

상기 외부메뉴키는 상기 외부표시부에 메뉴항목이 출력된 후에는 메뉴의 선택키로 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표시부에 출력되는 메뉴항목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기 설정된 바로가기 메뉴 또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바로가기 메뉴로 한정될 수 있다.The external menu key is configured to operate as a selection key of a menu after a menu item is output to the external display unit. The menu item output to the external display unit may be limited to a shortcut menu pre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shortcut menu registered by the user.

외부표시부의 크기 및 화소의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 상술한 외부메뉴제어부는 내부표시부에 메뉴를 출력하는 내부메뉴제어부와는 별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 of the size of the external display unit and the pixel, the above-described external menu control unit is preferably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internal menu control unit which outputs a menu to the internal display unit.

상술한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선택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표시부로 메뉴항목의 표시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외부메뉴구동신호입력과정과, 상기 외부메뉴구동신호입력과정 후 상기 개폐부가 닫힌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개폐부 개폐판단과정과, 상기 개폐부 개폐판단과정의 판단결과 개폐부가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외부표시부로 외부메뉴를 출력하여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메뉴기능구동과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menu selec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menu drive signal input process for inputting a display request signal of a menu item to an external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closed after the external menu drive signal input process. Opening and closing judging process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state, and i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opening and closing judging process, the external menu function driving process for outputting the external menu to the external display to select the menu. It features.

여기서, 상기 외부메뉴기능구동과정은, 상기 외부메뉴화면을 상기 외부표시부에 출력하는 외부메뉴출력단계와, 상기 상향키와 하향키를 방향키로 전환하고, 상기 외부메뉴키를 메뉴선택키로 전환하는 키기능변경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external menu function driving process, an external menu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external menu screen to the external display unit, a key for switching the up and down keys to the direction key, and the external menu key to a menu selection key It may further comprise a function change step.

그리고, 상기 외부메뉴출력단계에서 출력되는 메뉴항목은 사용자 등록 바로가기메뉴 또는 키패드에 기 설정된 바로가기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항목이 출력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nu item output in the external menu output step may output one menu item among a user registration shortcut menu or a shortcut menu preset on the keypa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이고, 도2는 도1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개폐부가 폴더로 구성된 것으로서 폴더의 외부면에 외부표시부로서의 외부LCD(200)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상방향키(121)와 하방향키(122)와 외부메뉴키(123)로 구성되는 외부기능버튼부(120)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외부기능버튼부(120)의 상향키(121) 및 하향키(122)는 평소에는 음량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되며, 외부메뉴키(123)는 외부메뉴 기능을 구동시키도록 동작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hown in FIG. 1 includes a folder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s an external display, and an external LCD 200 as an external display portion on an outer surface of the folder, and on one side thereof, an up arrow 121 and a down arrow 122 and an outer portion. An external function button unit 120 configured as a menu key 123 is provided. The up key 121 and the down key 122 of the external function button unit 120 are usually operated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volume control, and the external menu key 123 is operated to drive an external menu function. do.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의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프로세서(110)와 키패드(120)와 외부LCD(200)와 내부LCD(201)와 이동통신단말기의 구동을 위한 구동소프트웨어 및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저장하는 외부저장부(140)와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오디오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마이크, 리시버, 스피커를 가지는 오디오입출력부, 및 RF통신부 등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FIG. 1 moves with the processor 110, the keypad 120, the external LCD 200, and the internal LCD 201 for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external storage unit 140 for storing driving software and user input information for driv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 audio input / output unit having a microphone, a receiver, a speaker for input / output of an audio signal, and an RF communication unit It is provided.

상술한 프로세서(110)에는 외부LCD(200)에 하기에 설명될 외부메뉴인터페이스를 화면으로 출력하고, 외부메뉴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외부메뉴제어부(113)가 탑재되며, 저장부(140)에는 외부표시부의 메뉴표시를 위한 소프트웨어로서의 외부메뉴인터페이스(141)가 탑재된다. 상술한 외부메뉴인터페이스(113)는 외부기능버튼부(120)에 의해 구동된 외부메뉴제어부(113)에 의 해 외부표시부(200)에 외부메뉴를 표시하며, 외부메뉴제어부(113)는 외부기능버튼부(120)의 키입력에 따라 메뉴의 선택 및 실행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되는 것을 본원발명의 특징으로 한다.The processor 110 includes an external menu controller 113 for outputting an external menu interface to be described below to the external LCD 200 on a screen, and controlling a menu to be selected through the external menu interface. 140, an external menu interface 141 as software for menu display of the external display unit is mounted. The external menu interface 113 displays the external menu on the external display unit 200 by the external menu control unit 113 driven by the external function button unit 120, and the external menu control unit 113 displays the external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ted to perform a function of selecting and executing a menu according to a key input of the button unit 120.

여기서, 외부메뉴제어부(113)는 외부메뉴인터페이스(141)와 같이 프로세서(110)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서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external menu control unit 113 may be configured t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driven by the processor 110, such as the external menu interface 141.

상술한 외부메뉴제어부(113)는 외부기능버튼부(120) 중 외부메뉴키(123)의 눌림 신호가 있는 경우 구동되어 외부메뉴인터페이스(141)를 외부LCD(200)에 출력하고, 외부기능버튼부(120)의 기능을 외부메뉴 선택을 수행하도록 변경한다. 즉, 상술한 상향키(121)와 하향키(122)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음량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외부메뉴키(123)가 눌려 외부메뉴제어부(113)가 구동된 후에는 외부메뉴 선택을 위한 커서의 이동을 위한 상하 방향 이동키로 그 기능이 전환된다. 외부메뉴키(123) 또한, 외부메뉴제어부(113)가 구동된 후에는 메뉴선택키로 전환된다.The external menu control unit 113 is driven when there is a pressing signal of the external menu key 123 of the external function button unit 120 to output the external menu interface 141 to the external LCD 200, and the external function button The function of the unit 120 is changed to perform an external menu selection. That is, the above-mentioned up key 121 and down key 122 are set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volume control in the general case, but after the external menu key 123 is pressed and the external menu control unit 113 is driven. The function is switched by the up and down arrow keys for moving the cursor to select an external menu. The external menu key 123 is also switched to the menu selection key after the external menu control unit 113 is driven.

상술한 프로세서(110)는 또한, 외부LCD(200)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LCD제어부(112)와 키패드(130)의 키 입력 값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키패드제어부(111)가 구비되며, 이동통신신호처리를 위한 모뎀디에스피(modem DSP)와 응용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디에스피(application DSP), 동영상 제어를 위한 암코어(ARM CORE) 등이 탑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에 탑재되는 모뎀DSP, 암코어 등의 디지털신호처리부(DSP : digital siganl processor)들 은 본원발명의 해당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한 것이고, 그 도시가 본원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명료하게 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다.The processor 110 may further include an LCD controller 112 that controls screen output of the external LCD 200 and a keypad controller 111 that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value of the keypad 130. A modem DSP for mobile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an application DSP for performing an application program, an ARM CORE for video control, and the like are mounted. As described above, digital siganl processors (DSPs) such as modem DSP, ARM core, etc. mounted on the processor 110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scure the detailed illustration is omitted.

도3은 폴더가 닫혀진 상태에서 외부메뉴키(123)가 눌려진 경우 외부LCD(200)에 출력되는 외부메뉴인터페이스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3에서 외부메뉴는 텍스트 형의 메뉴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출력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원형으로 배열되는 순차번호의 선택에 따라 번호에 대응된 메뉴가 중앙에 출력되는 형태의 메뉴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4는 도3에서 전화번호부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하부메뉴를 나타낸다. 도3 내지 도4에서 사용자는 상향키 및 하향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n external menu interface output to the external LCD 200 when the external menu key 123 is pressed while the folder is closed. In FIG. 3, the external menu is illustrated as being output as a text-type menu interface screen, but a menu interface having a form in which a menu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s output at the center according to selection of a sequence number arranged in a circle is output. Modifications are possible. 4 shows a submenu when the phone book menu is selected in FIG. 3 to 4, the user can select a menu using an up key and a down key.

도3 내지 도4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에 구성된 바로가기 메뉴로서, 인터넷 접속, 문자메시지확인, 착발신번호 확인, 부재중 수신번호 확인 등이 초기에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사용자가 등록한 바로가기 메뉴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3 to 4 is a shortcut menu configured on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y be configured to initially output an internet connection, a text message check, a call number check, a missed call number check, and the like. The shortcut menu may be configured to be output.

도5는 본원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외부메뉴 출력 및 메뉴 기능의 실행을 위한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for outputting an external menu and executing a menu function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케이스의 외측에 상향키와 하향키 및 외부메뉴키가 구비되며, 외부표시부에 출력되는 외부메뉴인터페이스 및 외부메뉴인터페이스의 제어를 위한 외부메뉴제어부가 본체의 내부에 탑재된 것을 가정한다.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up key, a down key, and an external menu key on the outside of the case, and an external menu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external menu interface and an external menu interface output to the external display unit. Assume that it is mounted.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부메뉴키(123)의 입력이 있으면(S110), 폴더 등 의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개폐부가 닫힌 상태인지 열린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20).As shown, first, if there is an input of the external menu key 123 (S1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ning or closing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uch as a folder is closed or open (S120).

S120의 판단결과, 개폐부가 닫힌 상태인 경우에는, 외부메뉴제어부(113)가 구동되어 외부메뉴인터페이스(141)를 램으로 로딩한 후, 메뉴선택을 위한 외부메뉴인터페이스화면을 LCD제어부(112)를 통해 외부LCD(200)로 출력한다. 그리고, 외부기능버튼부(120)의 상향키(121) 및 하향키(121)를 커서의 방향이동을 위한 방향키로, 외부메뉴키(123)는 메뉴선택키로 그 기능을 변경한다. 상술한 처리과정에서 외부LCD(200)에 출력되는 외부메뉴인터페이스화면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주메뉴,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성된 바로가기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S13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120, w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is closed, the external menu control unit 113 is driven to load the external menu interface 141 into the RAM, and then the LCD control unit 112 displays the external menu interface screen for menu selection. Output to the external LCD 200 through. Then, the up key 121 and the down key 121 of the external function button unit 120 are direction keys for directional movement of the cursor, and the external menu key 123 changes its function to the menu selection key. The external menu interface screen output to the external LCD 200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configured as a main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shortcut menu configu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30).

이 후, 사용자의 상향키(121) 및 하향키(122) 입력 신호에 따라 메뉴검색을 수행하며(S140), 메뉴검색 중에 외부메뉴키의 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S150).Thereafter, menu search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up key 121 and down key 122 input signals (S14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xternal menu key is input during menu search (S150).

S150 단계에서 외부 메뉴키가 눌린 경우, 선택된 메뉴에 하부 메뉴가 있는지를 판단(S160)하여 하부메뉴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의 기능을 실행(S170)하고 종료한다.When the external menu key is pressed in step S15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lower menu in the selected menu (S160). If there is no lower menu,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menu is executed (S170) and ends.

S160 단계에서 하부메뉴가 있는 경우에는 하부메뉴를 출력S180)한 후, S140단계부터 반복 수행한다.If there is a lower menu in step S160, after outputting the lower menu (S180), the process is repeated from step S140.

상술한 처리과정 중 S120단계에서 개폐부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개폐부가 열려있는 상태일 경우 동작되도록 외부메뉴키(123)에 기 지정된 기능을 실행한 후 처리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개폐부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외부메뉴키(123)의 기능은 녹음실행 등으로 기 지정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 in step S120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after executing the function specified in the external menu key 123 to operat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in the open state, the processing is terminated. Since the function of the external menu key 123 in the open and closed state can be specified in advance, such as recording,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의 본원발명은 개폐부에 구성되는 외부표시부와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된 내부표시부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가 개폐부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중인 상황 등의 경우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부를 여는 것이 불편한 상황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allow the user to execute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display unit configur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the internal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even without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n the case of a moving situation, such as opening the open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onvenient to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7)

개폐부의 외부면에 구비된 외부표시부 및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된 내부표시부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뉴선택 장치는,In the menu selec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displa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the inner displa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menu selection device, 상기 외부표시부에 메뉴항목 출력을 위한 외부메뉴 인터페이스부와,An external menu interface unit for outputting a menu item to the external display unit; 상기 외부메뉴 인터페이스부의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메뉴의 기능 실행 명령을 출력하는 외부메뉴제어부와,An external menu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of a corresponding menu when a menu of the external menu interface unit is selected;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메뉴제어부를 구동시키는 외부메뉴키와 상기 외부메뉴키에 의해 외부표시부에 출력된 외부메뉴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메뉴항목의 선택을 위한 방향키를 구비한 외부기능버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An external func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ving an external menu key for driving the external menu control unit and a direction key for selecting a menu item displayed on an external menu interface outputted to an external display unit by the external menu key; Menu selection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메뉴키는 상기 외부메뉴제어부의 구동 후에 상기 외부메뉴제어부에 의해 메뉴선택키로 기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menu key is changed to a menu selection key by the external menu control unit after driving the external menu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키 및 하향키는 상기 외부메뉴제어부의 구동 후에 상기 외부메뉴제어부에 의해 상기 메뉴의 선택을 위한 방향이동키로 기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unction of the up key and the down key is changed by a direction moving key for selection of the menu by the external menu controller after driving the external menu controll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표시부에 출력되는 메뉴항목은 상기 본체의 키패드에 구성되는 바로가기 메뉴 또는 사용자 등록 바로가기 메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The menu selection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enu item outputted to the external display unit is one of a shortcut menu and a user registration shortcut menu configured on the keypad of the main body.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표시부로 메뉴항목의 표시 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외부메뉴구동신호입력과정과,An external menu drive signal input process of inputting a display request signal of a menu item to an external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외부메뉴구동신호입력과정 후 상기 개폐부가 닫힌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개폐부 개폐판단과정과,An opening / closing part opening and closing judging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opening or closing part is closed after the external menu driving signal input process; 상기 개폐부 개폐판단과정의 판단결과 개폐부가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외부표시부로 외부메뉴를 출력하여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메뉴기능구동과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And a method of driving an external menu function for outputting an external menu to the external display unit to select a menu w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is in a closed st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메뉴기능구동과정은,According to claim 5, The external menu function driving process, 상기 외부메뉴화면을 상기 외부표시부에 출력하는 외부메뉴출력단계와,An external menu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external menu screen to the external display unit; 상기 상향키와 하향키를 방향키로 전환하고, 상기 외부메뉴키를 메뉴선택키로 전환하는 키기능변경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And a key function changing step of converting the up and down keys into direction keys and converting the external menu keys into menu selection key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메뉴출력단계에서 출력되는 메뉴항목은 사용자 등록 바로가기 메뉴 또는 키패드에 기 설정된 바로가기 메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메뉴 선택 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enu item outputted in the external menu outputting step is one of a user registration shortcut menu or a shortcut menu preset on the keypad.
KR1020040057430A 2004-07-23 2004-07-23 An menu selection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KR200600079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430A KR20060007912A (en) 2004-07-23 2004-07-23 An menu selection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430A KR20060007912A (en) 2004-07-23 2004-07-23 An menu selection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912A true KR20060007912A (en) 2006-01-26

Family

ID=3711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430A KR20060007912A (en) 2004-07-23 2004-07-23 An menu selection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791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134B1 (en) * 2007-11-01 2014-06-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obile communication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134B1 (en) * 2007-11-01 2014-06-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obile communication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857B1 (en) Transparent layer application
JP5313962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program
US874452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al registration method and dial registration program therefor
KR20070010226A (en) Multi function hot key establishing apparatus, the method thereof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aid function
US20060139328A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a method therefor
JPH08237338A (en) Roller bar menu access equipment for cellular telephone set and its method
JP2001069223A (en)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686159B1 (e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ata processing method therefor
US8725215B2 (en) Mobile terminal and terminal operation program
US20130012268A1 (en) Interface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0735376B1 (en) Method of executing fast appl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82874A (en) Method for setting hot key of mi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32624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007912A (en) An menu selection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KR10086831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enu display method
JP2006244038A (en) Cellphone
JP2006277467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0584136B1 (en) An apparatus to set up the hot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866584B2 (en) Terminal device, scroll start method, and program
KR100701968B1 (en) Displaying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211266A (en) Mobile phone
KR100783114B1 (en) Method for scanning a list in mobile phone
KR100685792B1 (en) Method for emulating pointing input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400551B1 (en) Icon display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10073299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using Java V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