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082A -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during a call - Google Patents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during a c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082A
KR20060004082A KR1020040053063A KR20040053063A KR20060004082A KR 20060004082 A KR20060004082 A KR 20060004082A KR 1020040053063 A KR1020040053063 A KR 1020040053063A KR 20040053063 A KR20040053063 A KR 20040053063A KR 20060004082 A KR20060004082 A KR 20060004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rce data
call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46983B1 (en
Inventor
원경선
한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53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983B1/en
Publication of KR20060004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0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9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sound source data during a call and a method thereof.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통화 상대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과 다중화하여 전송함으로써, 통화중에 타 무선통신 단말기로 음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the sound source data during a call to transmit the sound data to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he call by decoding the sound sourc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call partner and then multiplexed with the voice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음원 데이터 전송신호 및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디코딩 수단에서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 수단; 상기 다중화 수단에서 다중화한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수단; 상기 인코딩 수단에서 인코딩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 수단; 및 통화중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음원 데이터 전송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와 상기 입력 수단 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함.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function during a call, comprising: storage means for storing sound source data; Decoding means for decoding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Input means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signal and voice data; Multiplexing means for multiplexing sound source data decoded by the decoding means and voice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Encoding means for encoding the data multiplexed by the multiplexing means; Wireless transmission mean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encoded by the encoding means; And decoding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input means during a call, and multiplexing and transmitting the decoded sound source data and the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Including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디코딩, 인코딩, 다중화, 무선통신 단말기During a call,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decoding, encoding, multiplex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during a call}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source data during a call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during a call}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function during a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sound source data during a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출력부 11 : 저장부10: output unit 11: storage unit

12 : 디코딩부 13 : 입력부12 decoding unit 13 input unit

14 : 다중화부 15 : 인코딩부14: multiplexer 15: encoder

16 : 무선 송신부 17 : 제어부16 wireless transmission unit 17 control unit

본 발명은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 상대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과 다중화하여 전송하기 위한,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sound source data during a call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decode sound source data to be transmitted to a call partner and then multiplex and transmit the received sound through an input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function during a call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성, 문자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IMT-2000) terminal, a wireless LAN terminal and the lik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Refers to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xt and image data.

또한, 본 발명에서 오디오 장치란 휴대용 엠피3(MP3) 플레이어, 씨디(CD) 플레이어, 카세트 플레이어 등과 같은 음향재생장치는 물론 텔레비전, 라디오, 홈시어터 등과 같이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들을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device is a device for outputting sound or sound by electric signals such as a television, a radio, a home theater, as well as a sound reproducing apparatus such as a portable MP3 player, a CD player, a cassette player, and the like. Say it.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통화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성에 최대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으로 인하여 무선통신 가입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근래에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일반인에게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Advantag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various, but above all, it is said that the greatest advantage is in the mobility provided to the user who is calling. Due to this mobility, the number of wireless communication subscribers has increased exponentially, and in recent year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re wide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이동성의 메리트(merit)는 점점 사라지고, 좀 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무 선통신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However, as time goes by, the merits of mobility have gradually disappeared to users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 multifun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mor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is required.

이에 따라, 최근 출시되고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대부분 카메라 기능은 물론,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 음악(일예로, MP3 : MPEG layer 3) 재생 기능, 지압 기능, 혈당량 감지 기능, 초음파 촬영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음악 재생 기능은 젊은 세대들로부터 각광을 받고 있는 부가 기능들 중 하나다. Accordingly, most recently release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camera function, radio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music (for example, MP3: MPEG layer 3) playback function, acupressure function, blood glucose detection function, ultrasonic imaging function, etc. It has a function. In particular, the music playback function is one of the additional features that are in the spotlight of the young generation.

한편,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종래의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전송하고자 하는 음원 데이터(일예로, MP3 데이터)를 외부의 오디오 장치를 통해 재생한 후 무선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일예로,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통화 상대에게 전송하였다.Meanwhile, referring to a method of transmitting sound source data during a call in a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ventional method of transmitting sound source data during a call reproduces sound source data (for example, MP3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an external audio device. It was input through an input unit (for example, a microph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ed to a call partne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방법은 마이크단에 위치한 필터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음원 데이터를 노이즈로 판단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음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method during the call has a problem in that the sound source data cannot be normally transmitted because the filter located at the microphone end judges and removes the sound source data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as nois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통화 상대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과 다중화하여 전송함으로써, 통화중에 타 무선통신 단말기로 음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 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decoding the sound sourc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call partner and then multiplexed with the voice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to transmit the sound source data to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during the cal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ound source data during a ca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음원 데이터 전송신호 및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디코딩 수단에서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 수단; 상기 다중화 수단에서 다중화한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수단; 상기 인코딩 수단에서 인코딩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 수단; 및 통화중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음원 데이터 전송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function during a call, comprising: storage means for storing sound source data; Decoding means for decoding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Input means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signal and voice data; Multiplexing means for multiplexing sound source data decoded by the decoding means and voice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Encoding means for encoding the data multiplexed by the multiplexing means; Wireless transmission mean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encoded by the encoding means; And decoding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input means during a call, and multiplexing and transmitting the decoded sound source data and the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단계; 상기 디코 딩한 음원 데이터와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다중화 단계; 상기 다중화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인코딩 단계; 및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ding step of decoding the sound source data; A multiplexing step of multiplexing the decoded sound source data and input voice data; An encoding step of encoding the multiplexed data; And a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encoded data.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function during a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음원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0), 다양한 종류의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1), 상기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부(12), 음성 데이터 및 음원 데이터 전송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 상기 디코딩부(12)에서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와 입력부(13)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부(14), 상기 다중화부(14)에서 다중화한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부(15), 상기 인코딩부(15)에서 인코딩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부 (16) 및 통화중 상기 입력부(13)로부터의 음원 데이터 전송신호에 따라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와 상기 입력부(13)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function during a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put unit 10 for outputting sound source data and voice data, and storing various kinds of sound source data. In the unit 11, the decoding unit 12 for decoding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 the input unit 13 for receiving the voice data and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signal, and in the decoding unit 12 A multiplexer 14 for multiplexing the decoded sound source data and the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 an encoding unit 15 for encoding the data multiplexed by the multiplexer 14, and the encoding unit 15. And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input unit 13 and the radio transmitter 16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data encoded by Decoding, and a controller 17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to transmit by multiplexing the audio data inputted through the decoding by the sound source data and the input unit 13.

여기서, 상기 다중화부(14)는 디코딩부(12)에서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와 입력부(13)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 또는/및 음성 데이터가 노이즈로 인식되지 않도록 한다.The multiplexer 14 multiplexes the sound source data decoded by the decoder 12 and the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 so that the sound source data and / or the voice data are not recognized as noise.

또한, 상기 입력부(13)는 키입력부 및 음성 입력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3 includes a key input unit and a voice input unit.

또한, 상지 제어부(17)는 상기 디코딩부(12)에서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를 타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지 않고 상기 출력부(1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타 무선통신 단말기 및 출력부(1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출력부(10)는 스피커, 리시버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pper limb control unit 17 may transmit and output the sound source data decoded by the decoding unit 12 to the output unit 10 without being transmitted to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nd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nd output units. It may be transmitted to (10) to be output. At this time, the output unit 10 includes a speaker, a receiver and the like.

한편, 상기 음원 데이터는 MP3(MPEG Audio Layer-3), OGG(Ogg Vorbis), WMA(Windows Media Audio) 등과 같은 다양한 형식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sound source data includes sound source data in various formats such as MP3 (MPEG Audio Layer-3), OGG (Ogg Vorbis), and WMA (Windows Media Audio).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MP3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고안된 압축 방식을 지칭하는 말로, CD(Compact Disk)급의 음질을 유지하면서 데이터의 크기를 10분의 1 이상으로 축소할 수 있는 압축률을 자랑한다. Looking more closely at this, MP3 refers to a compression scheme designed to effectively use signals, and has a compression ratio that can reduce data size to more than one tenth while maintaining CD (Compact Disk) level sound quality. do.

즉, 디지털 사운드를 미리 분석해서 인간의 두뇌가 걸러낼 사운드를 미리 잘라내는 방식으로, CD급의 음질을 유지하면서도 상당한 수준의 압축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디오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은 압축 전의 디지털 사운드와 MP3를 구 별해 내기 힘들다. 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digital sound in advance and pre-cutting the sound to be filtered out by the human brain, it has a significant level of compression while maintaining CD-quality sound. Difficult to distinguish.

한편, OGG는 다른 음악파일들과는 달리 무료 음악파일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MP3 파일의 인코딩에 이용되는 코덱(Codec)을 사용하는 MP3 관련업체는 MP3를 만들어낸 프랑스의 톰슨멀티미디어와 독일의 프라운호퍼 연구소에 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OGG has the advantage of free music files, unlike other music files. Indeed, MP3 companies that use the Codec used to encode MP3 files must pay royalties to Thomson Multimedia in France and the Fraunhofer Institute in Germany, which produced the MP3.

그러나, OGG는 MP3의 유료화에 반대해 만들어진 새로운 종류의 디지털 음악포맷으로, 프라운호퍼연구소가 MP3를 유료화할 것이라고 발표한 1998년, 미국 MIT의 학생이었던 크리스토퍼 몽고메리를 중심으로 일련의 자원자들이 MP3를 대신할 새로운 음악포맷을 연구하기 시작한 것을 그 기원으로 한다.However, OGG is a new kind of digital music format created against the charge of MP3, and in 1998, when Fraunhofer Institute announced that it would charge MP3, a series of volunteers would replace MP3, with Christopher Montgomery, a student at MIT, USA. Its origin is the beginning of researching the music format.

상기, OGG 음악포맷의 목표는‘MP3보다 더 높은 압축률’,‘MP3보다 더 뛰어난 음질’,‘오픈소스 형식으로 사용 및 배포, 개발에 제한 없음’등이 있는데, 이중 OGG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은 포맷자체의 사용에 어떠한 제한도 없다는 것이다.The goals of the OGG music format are 'higher compression rate than MP3', 'higher sound quality than MP3', and 'no limit to use, distribution and development in open source format'. The thing is that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use of the format itself.

따라서, OGG용 인코더와 디코더는 제작 및 배포, 사용에 있어서 사용료를 지불하거나 허가를 받을 필요가 전혀 없으며, 또한 개발용 툴도 공개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원한다면 직접 코드를 수정해 개선·보완할 수도 있다.As a result, the encoder and decoder for OGG need not be paid or licensed for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se, and development tools are also publicly available, allowing users to modify and supplement their own code if they wish.

또한, OGG 파일은 MP3와 똑같이 음악 CD를 통해 음악파일을 만들 수 있고, 윈앰프(WinAmp)와 같은 기존 MP3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재생할 수 있다. 게다가 MP3보다 음질은 더 뛰어난 반면 MP3 파일에 비해 평균 38%나 더 용량이 적은 장점이 있다.In addition, OGG files can be created from music CDs just like MP3s and can be played through existing MP3 playback programs such as WinAmp. In addition, it has better sound quality than MP3, but has an average of 38% smaller capacity than MP3 files.

또한, OGG 파일은 가변 비트레이트(VBR: Variable Bit Rate)를 기본으로 지원한다. 물론, MP3도 VBR 형식을 지원하지만 기존의 MP3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VBR이기 때문에 용량 절감에만 효과가 있다. 반면에, OGG 파일은 기본적으로 VBR를 지원하며, 그 비트레이트 폭도 매우 커 사용자는 손실없는 고음질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OGG files support Variable Bit Rate (VBR) by default. Of course, MP3 also supports the VBR format, but since it is a VBR based on the existing MP3, it is effective only in capacity reduction. On the other hand, OGG files basically support VBR, and the bitrate width is very large so that users can enjoy high quality music without loss.

한편, WMA는 "Microsoft 사"의 "Windows Media Technologies 4.0" 기술 중의 음성압축 포맷을 말하는데 스트리밍을 지원하며, 음성 파일을 MP3 절반의 용량으로 줄일 수 있는 압축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밖에 저작권 보호 기술인 "윈도 미디어 라이츠 매니저"를 내장하고 있고, 윈도 운영체제에 재생 플레이어가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WMA, on the other hand, is the voice compression format of the "Microsoft Media" "Windows Media Technologies 4.0" technology, which supports streaming and shows the compression rate that can reduce voice files to half the capacity of MP3. In addition, it has a built-in copyright protection technology, "Windows Media Rights Manager," and a built-in playback player in the Windows operating system.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sound source data during a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한다(201).First, a user makes a call with a counterpart using hi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1).

그러다가, 상대방에게 자신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음원 데이터)을 들려주기 위해 음원 데이터 전송신호를 입력한다(202). 즉, 무선통신 단말기는 입력부(13)를 통해 음원 데이터 전송신호를 입력받는다.Then,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signal is input to the other party to listen to music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2). That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13.

이후, 무선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해당 음원 데이터 저장부(11)에서 검색하여 디코딩부(12)를 통해 디코딩한다(203).Thereaft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earches for the sound source data storage 11 selected by the user and decodes the data through the decoding unit 12 (203).

이후, 상기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와 입력부(13)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 데이 터를 다중화한다(204).Thereafter, the decoded sound source data and the voice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3 are multiplexed (204).

이후, 상기 다중화한 데이터(음원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한 후 무선 송신부(16)를 통해 상대방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205, 206). Thereafter, the multiplexed data (sound source data and voice data) is encod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16 (205 and 20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음원 데이터를 타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신호에 따라 출력부(10)로만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고, 타 무선통신 단말기 및 출력부(1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data to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10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signal from the user to be outputted,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10 to be outpu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통화 상대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과 다중화함으로써, 통화중에 음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decoding the sound sourc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call partner and multiplexed with the voic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transmit the sound source data during the call.

또한, 본 발명은, 음원 데이터를 출력부 및 타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동시에 동일한 음악을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hare the same music with the other party at the same time by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data to the output unit and the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5)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function during a call,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수단;Storage means for storing sound source data;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Decoding means for decoding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음원 데이터 전송신호 및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Input means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signal and voice data; 상기 디코딩 수단에서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 수단;Multiplexing means for multiplexing sound source data decoded by the decoding means and voice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상기 다중화 수단에서 다중화한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딩 수단;Encoding means for encoding the data multiplexed by the multiplexing means; 상기 인코딩 수단에서 인코딩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 수단; 및Wireless transmission mean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encoded by the encoding means; And 통화중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음원 데이터 전송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Each of the components is configured to decode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input means during a call, and to multiplex and transmit the decoded sound source data and the voice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elements 을 포함하는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function during the cal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코딩 수단에서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되,Output means for outputting sound source data decoded by the decoding means, 상기 제어 수단은,The control means, 상기 디코딩 수단에서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And the output means controls the output means to output sound source data decoded by the decoding means.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transmitting sound source data during a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음원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단계;A decoding step of decoding the sound source data; 상기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와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다중화 단계;A multiplexing step of multiplexing the decoded sound source data and input voice data; 상기 다중화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인코딩 단계; 및An encoding step of encoding the multiplexed data; And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A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encoded data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방법.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method during a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해당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음원 데이터 검색 단계Sound source data search step of searching for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receiving 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signal during a call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방법.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method during a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디코딩한 음원 데이터를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음원 데이터 출력 단계A sound source data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decoded sound source data through an output means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음원 데이터 전송 방법.Sound source data transmission method during a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KR1020040053063A 2004-07-08 2004-07-08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during a call KR1006469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63A KR100646983B1 (en) 2004-07-08 2004-07-08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during a c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63A KR100646983B1 (en) 2004-07-08 2004-07-08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during a c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082A true KR20060004082A (en) 2006-01-12
KR100646983B1 KR100646983B1 (en) 2006-11-23

Family

ID=3711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063A KR100646983B1 (en) 2004-07-08 2004-07-08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during a c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98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792A (en) * 2014-01-20 2015-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sha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638127B2 (en) 2014-01-20 202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792A (en) * 2014-01-20 2015-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sha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638127B2 (en) 2014-01-20 202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871307B2 (en) 2014-01-20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983B1 (en)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1841B2 (en) Encoding device, decod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utilizing band expansion information
US6407325B2 (en) Background music 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mobile station
JP20102838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back audio file stored in mobile phone in another mobile phone
JP20035254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primary content audio and remaining audio performance of secondary content in digital audio generation process
KR20010017616A (en) Mobile wireles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recording and playback digital audio data
EP2839460A1 (en) Stereo audio signal encoder
CN102067210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s
JP2005253051A (en) Device and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to reproduce and store three-dimensional stereo sound
US2007006019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KR20090063608A (en) A method for performing a video conference in a portable terminal and an apparatus thereof
KR100950911B1 (en) Mobile terminal sharing decoded multimedia video and audio signal
KR100646983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during a call
KR1006177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three-dimensional sound i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287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sound of mp3 on busying in th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5989B1 (en) Earphone apparatus of complex potable phone having audio machinery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0644039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in real-time for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KR20010095712A (en) Method for playing music in phone
KR200414833Y1 (en) 3 dimension stereo sound regenerative apparatus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3590B1 (en) Method of playing a multimedia file using telematics and method of the same
KR101154948B1 (en) Method for notifying short message while playing music of mobile terminal
KR20060128203A (en) Method for halting reproduction at low battery stat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KR200341196Y1 (en) Apparatus for playing three-dimensional sound in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47188Y1 (en) Apparatus for playing/storing three-dimensional sound in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79360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laying ogg vorbis file and method thereof
CN111866543A (en) Audio encryptio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