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989B1 - Earphone apparatus of complex potable phone having audio machinery and us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arphone apparatus of complex potable phone having audio machinery and us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989B1
KR100605989B1 KR1019990034019A KR19990034019A KR100605989B1 KR 100605989 B1 KR100605989 B1 KR 100605989B1 KR 1019990034019 A KR1019990034019 A KR 1019990034019A KR 19990034019 A KR19990034019 A KR 19990034019A KR 100605989 B1 KR100605989 B1 KR 100605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audio
remote control
earphon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18184A (en
Inventor
김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4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989B1/en
Publication of KR20010018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1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9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휴대폰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을 갖는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잭과 데이터 송/수신 단자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분리 구성되어 있는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며, 다수의 키 및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키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복합휴대폰의 폰 기능 및 오디오 기능을 원격 제어하고, 상기 폰 기능 및 오디오 기능의 현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과 리드선으로 연결되며, 두 개로 구성된 이어-스피커와, 상기 리모콘과 상기 이어-스피커의 리드선 사이에 상기 휴대폰의 통화연결 및 통화종료를 위한 센드/엔드키 및 마이크가 일체로 구성된 바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rphone device having a remote control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 composite mobile phone having an audio function, comprising: an earphone interface in which a connector consisting of an audio jack and 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terminal is separated, and connected to the earphone interface; A remote controller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nd a display unit to remotely control a phone function and an audio function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and to display the current state of the phone function and the audio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and the lead wire, and composed of two ear-speaker, a body consisting of a send / end key and a microphone for connecting and terminating the call between the remote control and the lead wire of the ear-speaker It is characterized by.

복합휴대폰, 오디오, 이어폰, 리모콘Composite Mobile Phone, Audio, Earphone, Remote Control

Description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휴대폰의 이어폰 장치 및 그 운용방법{EARPHONE APPARATUS OF COMPLEX POTABLE PHONE HAVING AUDIO MACHINERY AND USING METHOD THEREOF} EARPHONE APPARATUS OF COMPLEX POTABLE PHONE HAVING AUDIO MACHINERY AND US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휴대폰용 이어폰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earphone

도 2는 종래 카세트용 이어폰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cassette earphone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휴대폰의 이어폰 구성도3 to 7 is a block diagram of the earphone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with an audio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으로 사용하는 리모콘을 갖는 이어폰 간략구성도 8 is a simplified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having a remote control for use in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갖는 이어폰을 운용하는 MP3휴대폰의 블록구성도Figure 9 is a block diagram of an MP3 mobile phone operating an earphone hav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블록구성도10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제어부의 동작구성도11 is an opera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mot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제어흐름도12 is a control flowchart of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동작에 따른 폰부와 MP3부의 동작 제어흐름도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hone unit and the MP3 unit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인터페이스 물리 프로토콜의 UART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14 illustrates a UART interface of a remote control interface physical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인터페이스 물리 프로토콜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15 illustrates a format of a remote control interface physical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인터페이스 링크 프로토콜의 리모콘의 데이터 송신 포맷을 도시한 도면16 illustrates a data transmission format of a remote controller of a remote control interface link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인터페이스 링크 프로토콜의 MP3폰 데이터 송신 포맷을 도시한 도면17 illustrates an MP3 phone data transmission format of a remote control interface link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오디오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휴대폰에서 통화와 오디오 기기의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이어폰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mobile phone having an audio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phone device capable of listening to music of a call and an audio device in a composite mobile phone having an audio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종래 휴대폰에서 핸즈프리(HANDSFREE) 용도로 이어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카세트 또는 라디오와 같은 오디오 기기에서 사용하는 이어폰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이어폰의 구성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은 종래 휴대폰용 이어폰 구성도로서, 상기 이어폰은 오디오 단자, 전원 단자, 그라운드 단자 및 데이터 단자로 구성된 이어폰 잭(11), 상기 이어폰 잭(11)에 리드선(12)으로 연결되어 센 드/엔드키(13)와 마이크(14)가 설치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리드선으로 연결된 하나의 이어-스피커(15)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이어폰 잭(11)이 휴대폰의 이어폰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면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휴대폰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Conventionally, mobile phones are using earphones for handsfree, and earphones are used in audio devices such as cassettes or radios. The configuration of such a conventional earphone is shown in Figs.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earphone for a mobile phone, wherei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11 including an audio terminal, a power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 data terminal by a lead wire 12 to the earphone jack 11. / An end key 13 and a microphone 14 is installed, the body portion and one ear-speaker 15 connected to the body and lead wires, the earphone jack 11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interface of the mobile phone If you do, you can make mobile phone calls without using your hands.

또한, 도 2는 종래 카세트용 이어폰 구성도로서, 상기 카세트/라디오용 이어폰은 오디오 단자, 전원 단자, 그라운드 단자 및 데이터 단자로 구성된 커넥터(21), 상기 커넥터(21)와 리드선(22)으로 연결되며, 오디오 기기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동작키(24)와 표시부(23)를 구비하여 상기 눌러지는 키 신호에 따라 오디오 기기의 본체와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기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부(23)에 표시하는 원격제어 인터페이스인 리모콘(20), 두 개의 이어-스피커(25, 26)를 상기 리모콘과 접속하는 리모콘 잭(27)으로 구성되어, 상기 리모콘에 구비된 키를 통해 음악 재생, 되감기, 빨리감기, 중지 및 볼륨조절, 라디오 채널조절 등의 기능키를 조작하여 카세트/라디오를 원격 제어하고, 이어-스피커를 통해 본체로부터의 음악 및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으며, 현재 본체의 동작상태를 표시부(23)에 표시한다.In addition, Figure 2 is a conventional cassette earphone configuration, the cassette / radio earphone is a connector 21 consisting of an audio terminal, a power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 data terminal, the connector 21 is connected to the lead wire 22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24 and a display unit 23 which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the audio device, and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main body of the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sed key signal. Remote control 20, which is a remote control interfac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 and two ear-speakers 25 and 26 are composed of a remote control jack 27 for connecting the remote control, the music is provided through the ke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Operate function keys such as play, rewind, fast forward, stop and volume control, and radio channel control to remotely control cassette / radio, and listen to music and radio from the unit via the ear-speaker. And, to display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main body to the display section 23.

최근 들어, 멀티미디어 통신망이 구축되어 인터넷망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휴대폰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연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고, 상기 휴대폰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복합휴대폰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휴대폰 중에서 요즘은 휴대폰에 MP3(ISO MPEG Standard I,II Layer 3) 플레이어를 복합 구성한 복합휴대폰(일명, MP3휴대폰)이 개발되어 휴대폰으로 통화를 수행할 수 도 있고, MP3 음악을 청취할 수도 있으며, MP3 외에 카세트 또는 라디오, TV 기능 등 오디오 기능이 구비되는 오디오 기기와 휴대폰의 복합 휴대폰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 multimedia communication network has been established to collect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 technology for connecting the Internet network using a mobile phone has been developed, and a composite mobile phone having various functions added to the mobile phone has been developed. Among these complex mobile phones, a complex mobile phone (aka MP3 mobile phone), which is composed of MP3 (ISO MPEG Standard I, II Layer 3) players, has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so that users can make calls and listen to MP3 music. In addition to the MP3, a composite mobile phone of an audio device and a mobile phone having an audio function such as a cassette or a radio and a TV function is being developed.

그러나, 상기 오디오 기기와 휴대폰의 복합휴대폰에서 오디오 기기에서 제공하는 음악을 청취하거나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휴대폰용 이어폰이나 오디오 기기용 이어폰과는 다른 휴대폰 기능과 오디오 기능이 구비된 새로운 이어폰이 필요하게 되었다. However, in order to listen to music or make a call from an audio device in a composite mobile phone of the audio device and the mobile phone, a new earphone having a mobile phone function and an audio function different from the earphone for a mobile phone or an audio device is required. Was don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디오 기기와 휴대폰의 복합휴대폰에서 오디오 기기에서 제공하는 음악을 청취할 수도 있고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는 이어폰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listen to music provided by an audio device and perform a call in a composite mobile phone of an audio device and a mobile phon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디오 기기와 휴대폰이 복합 구성된 복합휴대폰 본체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을 구비하는 이어폰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 complex mobile phone main body including a combination of an audio device and a mobile pho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휴대폰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을 갖는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잭과 데이터 송/수신 단자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분리 구성되어 있는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며, 다수의 키 및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키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복합휴대폰의 폰 기능 및 오디오 기능을 원격 제어하고, 상기 폰 기능 및 오디오 기능의 현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과 리드선으로 연결되며, 두 개로 구성된 이어-스피커와, 상기 리모콘과 상기 이어-스피커의 리드선 사이에 상기 휴대폰의 통화연결 및 통화종료를 위한 센드/엔드키 및 마이크가 일체로 구성된 바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rphone device having a remote control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 composite mobile phone having an audio function, comprising: an earphone interface in which a connector consisting of an audio jack and 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terminal is separated; It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interfac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and the display unit to remotely control the phone function and audio function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and the display unit to the current state of the phone function and audio function A remote controller, which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ler and a lead wire, is composed of two ear-speakers, a send / end key and a microphone for connecting and terminating a call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lead wires of the ear-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is configured integral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specific processing flow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휴대폰의 이어폰 구성도로서,3 to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arphone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with an audio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 및 도 4는 리모콘을 구비하는 이어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상기 도 3 내지 도 6은 이어폰 잭이 오디오 잭과 데이터 커넥터로 분리 구성된 이어폰 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상기 도 7은 리모콘을 구비하지 않고, 이어폰 잭으로만 구성된 이어폰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and 4 illustrate examples of an earphone device having a remote controller, and FIGS. 3 to 6 illustrate examples of an earphone device in which an earphone jack is divided into an audio jack and a data connector.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arphone device configured only with an earphone jack without a remote controller.

상기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각 이어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each ear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 to 7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도 3의 이어폰 장치는 오디오 단자(좌, 우 이어-스피커), 그라운드(GND) 단자, 마이크(MIC) 단자, 전원(VCC) 단자로 이루어진 오디오 잭(41)과 데이터 송/수신(Tx/Rx DATA) 단자로 이루어진 데이터 커넥터(42)가 분리 구성되어 있는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First, the earphone device of FIG. 3 includes an audio jack 41 consisting of an audio terminal (left and right ear-speakers), a ground (GND) terminal, a microphone (MIC) terminal, and a power supply (VCC) terminal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 An earphone interface in which a data connector 42 composed of a Tx / Rx DATA) terminal is separated;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리드선(43)으로 연결되며, 다수의 기능 키(45) 및 표시부(44), 일 예로 LCD를 구비하여 상기 다수의 기능 키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따라 복합휴대폰의 폰 기능 및 오디오 기능을 원격 제어하고, 복합휴대폰의 상태를 상기 표시부(44)에 표시하는 리모콘(40)과;It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interface and the lead wire 43,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45 and the display unit 44, for example, an LCD, the phone function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A remote controller 40 for remotely controlling an audio function and displaying a state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on the display unit 44;

좌, 우 두 개로 구성된 이어-스피커(49, 50)와;Ear-speakers 49 and 50 consisting of two left and right sides;

상기 리모콘(40)과 좌 또는 우의 한 쪽 이어 스피커와 리드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마이크(MIC)(48)와 상기 휴대폰의 통화연결 및 통화종료를 위한 센드/엔드키(47)가 일체로 형성된 바디(Body)와;The remote control 40 is connected to one of the left and right ear speakers and a lead wire, and a body in which a microphone (MIC) 48 and a send / end key 47 are integrally formed for connecting and terminating a call of the mobile phone. Body);

상기 이어 스피커(49, 50) 및 바디를 상기 리모콘(40)과 분리 또는 접속할 수 있는 리모콘 접속 잭(46)으로 구성된다.The ear speakers 49 and 50 and the body are configured with a remote control connecting jack 46 that can be separated or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40.

상기 도 4의 이어폰 장치는 상기 도 3의 이어폰 장치 구성에서 상기 마이크(48)와 센드/엔드키(47)가 일체로 형성되는 바디를 상기 이어-스피커(49, 50)의 양쪽에 연결되게 구성한 것이다.In the earphone device of FIG. 4, the body in which the microphone 48 and the send / end key 47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earphone device of FIG. 3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both of the ear-speakers 49 and 50. will be.

상기 도 5의 이어폰 장치는 오디오 단자, 그라운드 단자, 마이크 단자, 전원 단자로 이루어진 오디오 잭(61)과 데이터 송/수신 단자로 이루어진 커넥터(62)가 분리 구성되어 있는 이어폰 인터페이스와;The earphone device of FIG. 5 includes an earphone interface in which an audio jack 61 composed of an audio terminal, a ground terminal, a microphone terminal, and a power terminal is separated from a connector 62 composed of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리드선(73)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좌, 우 두 개의 이어-스피커(66, 67)와;Left and right two ear-speakers (66, 67) long connected to the earphone interface and the lead wire (73);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상기 좌, 우 양쪽 이어-스피커(66, 67) 사이에 바디를 형성하여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마이크(65)와 센드/엔드키(64)로 구성된다.A body is formed between the earphone interface and the left and right ear-speakers 66 and 67 and includes a microphone 65 and a send / end key 64 integrally formed on the body.

상기 도 6의 이어폰 장치는 상기 도 5의 이어폰 장치에서 상기 바디를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상기 이어-스피커(66, 67)의 좌 또는 우 어느 한 쪽 사이에 형성한 것이다. In the earphone device of FIG. 6, the body of the earphone device of FIG. 5 is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arphone interface and the ear-speakers 66 and 67.

상기 도 7의 이어폰 장치는 오디오 단자, 그라운드 단자, 마이크 단자, 전원 단자, 데이터 송/수신 단자로 구성되어 있는 이어폰 잭(81)과;The earphone device of FIG. 7 includes an earphone jack 81 composed of an audio terminal, a ground terminal, a microphone terminal,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상기 이어폰 잭(81)과 리드선(82)으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이어-스피커(85, 86)와,Two ear-speakers 85 and 86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81 and the lead wire 82;

상기 이어폰 잭(81)과 상기 이어-스피커(85, 86) 사이에 바디를 형성하여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마이크(84)와 센드/엔드키(83)로 구성된다.A body is formed between the earphone jack 81 and the ear-speakers 85 and 86 and includes a microphone 84 and a send / end key 83 integrally formed on the body.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으로 사용하는 리모콘을 갖는 이어폰 간략구성도로서, 오디오 기능과 폰 기능이 복합 구성된 복합휴대폰(100)의 이어폰 인터페이스부(110)에 리모콘 및 이어폰(200)을 접속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복합휴대폰(100)의 이어폰 인터페이스부(110)의 형상은 상기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인터페이스 및 이어폰 잭과 대응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복합휴대폰(100)의 이어폰 인터페이스부(110)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은 통상의 지식인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8 is a simplifi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arphone having a remote control for use in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 and earphone 200 in the earphone interface 110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100 is a combination of audio and phone functions ) Can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The shape of the earphone interface 110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100 form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and earphone jack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Since the specific shape of the earphone interface unit 110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100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omitted here.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갖는 이어폰을 운용하는 MP3휴대폰의 블록구성도로서,9 is a block diagram of an MP3 mobile phone operating an earphone hav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폰 모듈(102)은 휴대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패드(104)로부터 다운로드 선택키를 입력하여 RS232 포트(108)를 통해 연결된 도시하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MP3)를 기록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키패드(104) 또는 리모콘(200)으로부터 재생모드키가 선택되고 원하는 MP3파일을 선택할 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키패드(104)는 통화를 위한 각종 기능키 및 숫자키를 구비하고, 녹음키, 재생 및 정지키, 되감기(REW)키, 고속감기(FF)키를 구비한다. 표시부(114)는 표시부(106)는 휴대폰 모듈(102)에 의 해 제어되며 키패드(104)에서 발생되는 키입력 신호 및 휴대폰 모듈(102)로부터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06)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LCD)와, 야간에도 사용자에게 표시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다. RS232C 포트(108)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RS232C 케이블을 통해 상기 퍼스널 컴퓨터와 오디오 데이터(MP3파일) 및 기타 데이터를 교환한다. 리모콘을 구비하는 이어폰(200)은 휴대폰 모듈(102)에 연결되어 휴대폰 모듈(102)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어-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기능 키 신호를 상기 휴대폰 모듈(102)에 전달한다. MP3디코더(114)는 예컨데 STMIICROELECTRONICS사의 ST013으로 MP3 포맷으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PCM형태의 데이터로 복원하는데, 입력된 8∼320Kbps의 엔코드된 오디오 스티림중 제어데이터(CONTROL DATA)와 오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여 분리하고, 오디오데이터는 호프만방식 디코딩을 수행하여 런렝쓰코딩에 의해 압축된 신호를 원래의 길이의 신호로 복원하며, 서브밴드별로 각각 역양자화 및 리스케일링(RESCALING)을 제어데이터의 제어에 의해 수행한다. 결과의 데이터는 인버스 디스크리트 코싸인 트랜스폼(IDCT:Inverse Descrete Cosine Transform)에 의해 복원되고 서브밴드별 인버스 필터링(Inverse Filtering)을 수행하여 PCM데이터로 변환한다. D/A변환기(112)는 예컨데 크리스털(Crystal)사의 스테레오 오디오용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기인 CS4331로 구성할 수 있으며, MP3디코더(114)에서 출력되는 PCM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D/A변환기(112)는 디지털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 델타시그마(Delta-Sigma) D/A변환 디지털 디 엠퍼시스(Digital Deempasis) 및 필터링(Filtering)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CPU(116)는 예를들어 HITACHI사의 H8/2134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MP3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거나 기록된 MP3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118)는 CPU(116)의 제어에 의해 MP3포맷으로 변환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mobile phone module 102 controls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and records digital audio data (MP3) received from an unshown personal computer connected via the RS232 port 108 by entering a download selection key from the keypad 104. Control to play the digital audio data when the play mode key is selected from the keypad 104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and the desired MP3 file is selected. The keypad 104 includes various function keys and numeric keys for calling, and includes a recording key, a play and stop key, a rewind (REW) key, and a fast forward (FF) key. The display unit 114 is controlled by the mobile phone module 102 and receives and displays key input signals generated from the keypad 104 and various information signals from the mobile phone module 102.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06 is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for displa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a light emitting diode to enable the user to check the display information at night. The RS232C port 108 exchanges audio data (MP3 file) and other data with the personal computer through an RS232C cable under predetermined control. The earphone 200 having a remot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module 102 to output audio data reproduced by the mobile phone module 102 through an ear-speaker, and outputs a function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to the mobile phone module ( 102). The MP3 decoder 114 restores audio data compressed in MP3 format to PCM format, for example, ST013 by STMIICROELECTRONICS Co., Ltd. Demultiplexing and separating, audio data is Hoffman-based decoding to restore the signal compressed by run length coding to the signal of the original length, and control the control data by dequantization and rescaling for each subband Done by. The resulting data is recovered by an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IDCT) and transformed into PCM data by performing inverse filtering for each subband. The D / A converter 112 may be configured of, for example, CS4331, which is a digital / analog converter for stereo audio, and converts PCM-type audio data output from the MP3 decoder 114 into analog audio data. The D / A converter 112 includes digital interpolation, delta-sigma D / A conversion digital de-empasis, and filtering circuits. The CPU 116 can be implemented using, for example, H8 / 2134 manufactured by HITACHI, and controls to receive and record MP3 data or to reproduce recorded MP3 audio data. The memory 118 stores digital audio data converted into the MP3 format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16.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블록구성도로서,10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리모트 제어부(210)는 리모콘의 키입력부(240)에 구비된 다수의 키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에 대응되는 키 값, 입력되는 센드/엔드키(260)의 키신호에 대응되는 키 값, 마이크(27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MP3휴대폰 본체의 휴대폰 모듈(102)로 전송하고, 상기 MP3휴대폰 본체로부터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본체의 상태를 표시부(2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상기 도 3 내지 도 7에서 상술한 구성 예와 같다. 즉, 리모콘은 상기 복합휴대폰(MP3휴대폰) 본체와 이어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복합휴대폰의 신호를 상기 이어폰으로 전달해 주며, 또한, 사용자가 MP3 플레이어 동작을 원격 조절할 수 있도록 키가 설치되어 있으며,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LCD가 설치되어 있다.The remote controller 210 may include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a key signal input through a plurality of keys included in the key input unit 240 of the remote controller,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a key signal of the send / end key 260, and a microphone. The audio signal input from 27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module 102 of the MP3 mobile phone main body through the earphone interface 220, receives and processes audio signals and data from the MP3 mobile phone main body, and displays the state of the main body. Control to display on (230). The earphone interface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exampl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That is, the remote controller is installed between the main body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MP3 mobile phone) and the earphone to transfer the signal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to the earphone, and a key is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P3 player. LCD is installed to monitor.

이러한 상기 리모콘의 동작 구성을 도 11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상기 리모트 제어부(210)는 이어폰(250)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211)와, 표시 데이터 및 키 데이터와 클럭(CLOCK) 신호를 송/수신하는 CPU(212)로 구성된다.11 illustrates an operation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controller 210 includes a volume controller 211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earphone 250 and a CPU 212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isplay data, key data, and a clock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2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좌, 우 두 개의 이어-스피 커를 구비하는데, 종래 오디오용 이어폰과 같이 스테레오 및 모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Earphone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wo ear-speakers, as described above, it can perform a stereo and mono functions as a conventional audio earphone.

한편, 상기 리모콘의 키입력부(240)에 구비되는 키의 종류는 음성 메모 및 녹음을 위한 메모/녹음키, 대기시에는 재생, 재생중에는 정지시키는 재생/정지키, 이전 곡이나 듣던 곡의 시작점 및 처음곡으로 리턴하는 백워드키, 다른 곡의 시작점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스크롤하는 포워드키, 플레이(PLAY) 모드를 순서대로 바꾸는 플레이 모드키, 슬라이드 키인 MBB 키 및 홀드 키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리모콘 키입력부(240)와는 별도로 마이크(27)가 설치되는 바디에 센드/엔드 키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type of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240 of the remote control is a memo / recording key for voice memo and recording, playback / standby key to stop during playback, the starting point of the previous or listening to the song and The remote control key includes a backward key to return to the first song, a forward key to move or scroll to the beginning of another song, a play mode key to change the play mode in order, an MBB key and a hold key as slide keys, and the like. A send / end key is provided on the body in which the microphone 27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input unit 240.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제어흐름도로서, 상술한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도 12의 리모콘 제어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mote control control process of FIG.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1.

먼저, 301단계에서 상기 리모트 제어부(210)는 대기상태에서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상기 MP3휴대폰 본체(1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301단계에서 상기 본체(1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리모트 제어부(210)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처리한다. 아울러, 수신한 데이터의 처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230)에 표시한다.First, in step 301, the remote controller 210 checks whether data is received from the MP3 mobile phone body 100 through the earphone interface 220 in a standby state. When data is received from the main body 100 in step 301, the remote control unit 210 proceeds to step 303 to receive data and processes the received data.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30 displays information on processing of the received data.

한편, 상기 리모트 제어부(210)는 상기 301단계에서 상기 본체(1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3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5단계에서 상기 리모트 제어부(210)는 상기 키입력부(240) 또는 센드/엔드키(260)를 통해 키 입력이 있는 경 우 311단계로 진행하고, 키 입력이 없으면 307단계로 진행하여 리모콘 초기화(INITIAL) 중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307단계에서 상기리모콘 초기화 중이면 309단계로 진행하여 리모콘 초기화 데이터를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본체(100)로 전송한다.If the data is not received from the main body 100 in step 301, the remote controller 210 proceeds to step 305. In step 305, the remote control unit 210 proceeds to step 311 when there is a key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240 or the send / end key 260, and when there is no key input, the remote control unit proceeds to step 307. (INITIAL) Check if it is being done. If the remote controller is initialized in step 307,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309 and transmits remote controller initialization data 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earphone interface 220.

그러나, 상기 305단계에서 키 입력이 있으면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리모트 제어부(210)는 키 입력에 해당하는 메시지 또는 아이콘을 상기 표시부(230)에 디스플레이한 후, 313단계로 진행하여 키 입력된 해당 키 값을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220)의 해당 데이터 송신 단자를 통해 전송한 후 데이터 송/수신 대기상태를 유지한다.However, if there is a key input in step 305,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311, and the remote controller 210 displays a message or ic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on the display unit 230, and then proceeds to step 313. After the key value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data transmission terminal of the earphone interface 220,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tandby state is maintained.

상기 리모콘(200)은 상기 본체(100)에 연결과 동시에 리셋되면서 MP3와 폰의 정보를 이어폰 인터페이스(220)의 시리얼 포트를 통해서 수신하여 LCD(230)에 해당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본체(100)에서의 MP3 플레이가 수신되면 LCD(230)에 표시한다. 또한, 리모콘(200)에서 키가 눌러지면 결과를 상기 LCD(230)에 표시하고, 결과정보를 상기 본체(100)의 폰 또는 MP3으로 송출한다.The remote control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and reset at the same time while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MP3 and the phone through the serial port of the earphone interface 220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n the LCD 230, the main body 100 Is received on the LCD 230. In addition, when a key is pressed on the remote controller 200, the result is displayed on the LCD 230, and the resul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hone or MP3 of the main body 100.

만약, 본체(100)에서 직접 MP3을 플레이하면 상기 리모콘(200)은 상기 본체(100)로부터 재생된 MP3 동작 상태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 상태를 상기 LCD(230)에 표시하고, 이어폰(250)으로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스위칭한다. If the MP3 is directly played on the main body 100, the remote controller 200 receives the MP3 operation state data and audio signal reproduced from the main body 100,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n the LCD 230, and displays the earphone ( Switch to output audio.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동작에 따른 폰부와 MP3부의 동작 제어흐름도로서, 상술한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도 13의 리모콘 동작에 따른 폰부(400)와 MP3부(500)의 동작 제어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phone unit and an MP3 unit according to a remote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3 to 11, the phone unit 400 and the MP3 unit 500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of FIG. 13 are describ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폰부(400)의 동작을 보면;First,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phone unit 400;

대기상태에서 상기 휴대폰 모듈(102) 내의 휴대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401단계에서 상기 리모콘(200)이 접속되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리모콘(200)이 접속됨을 감지하면 4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3단계에서 상기 휴대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200)이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와 이후 상기 리모콘(200)으로부터 수신되는 리모콘 접속 정보(각종 키 값)를 상기 MP3부(500)로 송출한다. 이후, 상기 휴대폰 제어부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MP3이 동작 가능한가를 검사하여 동작 가능하면 407단계로 진행하고, 가능하지 않으면 다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In the standby state, the mobile phone controller (not shown) in the mobile phone module 102 checks whether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connected in step 401, and detects that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connected. In step 403, the mobile phone controller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connected and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information (various key value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200 to the MP3 unit 500. Thereafter, the mobile phon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405 and checks whether the MP3 is operable and proceeds to step 407 if it can be operated, and if not, maintains the standby state again.

상기 405단계에서 상기 MP3이 동작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휴대폰 제어부는 MP3이 온(ON)되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M3가 온 되면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P3부(500)와 MP3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와 아울러 MP3 동작 정보를 휴대폰에 구비된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 한다.If the MP3 is operable in step 405, the mobile phon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MP3 is on. If the M3 is turned on, the mobile phon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409 and transmits / receives the MP3 unit 500 and the MP3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P3 oper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6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한편, 상기 폰부(400)와 연동함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MP3부(500)의 동작 제어 과정을 보면;On the other hand, look at the operation control process of the MP3 unit 500 by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phone unit 400;

대기상태에서 상기 MP3부(500)의 CPU(116)는 501단계에서 상기 폰부(400)로부터 정보가 수신되면 503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정보가 리모콘 접속정보인가를 검사하여 리모콘 접속정보이면 507단계로 진행하고, 리모콘 접속정보가 아니면 505단계로 진행하여 MP3 플레이와 관련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standby state, the CPU 116 of the MP3 unit 500 proceeds to step 503 when th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hone unit 400 in step 501 and checks whether the received information is remote controller access information. If it is not the remote control access informa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05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related to the MP3 play.

상기 507단계에서 상기 CPU(116)는 리모콘 표시정보가 있는가를 검사하여 리 모콘 표시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리모콘(200)으로 정보를 송출하고, 511단계로 진행하여 폰부(400)로 응답 송출한 후 상기 501단계로 리턴한다.In step 507, the CPU 116 checks whether the remote controller display information exists. If there is remote controller display information, the CPU 116 proceeds to step 509 to send information to the remote controller 200, and proceeds to step 511. After the response is sen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501.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인터페이스 물리 프로토콜의 UART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인터페이스 물리 프로토콜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인터페이스 링크 프로토콜의 리모콘의 데이터 송신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인터페이스 링크 프로토콜의 MP3폰 데이터 송신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ART interface of a remote control interface physical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diagram showing a format of a remote control interface physical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llustrates a data transmission format of a remote controller of a remote control interface link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llustrates an MP3 phone data transmission format of a remote control interface link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drawing.

상기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P3휴대폰 본체(100)와 MP3이 내장된 휴대폰의 원격 제어를 위한 리모콘(200)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관한 규격을 정의한 것이다. 상기 본체(100)와 리모콘(200)간의 통신은 비동기 및 시리얼 통신을 하며, 상기 리모콘(200)은 폴링(Polling) 방식을 사용한다. MP3은 상기 리모콘(200)에 대해서 마스터(Master)로 동작하므로 송신할 메시지가 있는 경우 바로 송신하며, 상기 리모콘(200)에게 요청하는 경우는 없으며, 상기 리모콘(200)은 정보를 전송 또는 요청한 후 응답을 받아서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14 to 17 define a standard for an interf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P3 mobile phone main body 100 and the remote controller 200 for remote control of a mobile phone having an MP3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remote control 200 is asynchronous and serial communication, the remote control 200 uses a polling (Polling) method. Since the MP3 operates as a master for the remote controller 200, the MP3 is immediately transmitted when there i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The MP3 is not requested to the remote controller 200, and the remote controller 200 transmits or requests information. It is supposed to receive and process the response.

상기 MP3(500)과 리모콘(200)간의 물리 프로토콜은 상기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UART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여기서 사용하는 항목 및 규격은 상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physical protocol between the MP3 500 and the remote controller 200 uses a UART interface as shown in FIG. 14, and the items and standards used here are as shown in FIG. 14.

상기 MP3(500)과 리모콘(200)간의 물리 프로토콜의 포맷은 상기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시리얼 데이터의 단위 유니트(one unit)가 스타트 비트 1bit, 송신 또는 수신 8bit, 패러티 비트 None, 스탑 비트 1/3 bit로 구성된다.The format of the physical protocol between the MP3 500 and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that one unit of serial data includes a start bit 1 bit, a transmission or reception 8 bit, a parity bit None, and a stop bit 1 as shown in FIG. 15. It consists of 3 bits.

한편, 상기 MP3부(500)와 리모콘(200)간의 링크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는 상기 리모콘(200)의 송신 포맷과 MP3부(500)의 송신 포맷이 다른데, 상기 리모콘(200)의 송신 포맷은 도 16에, 상기 MP3부(500)의 송신 포맷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도 16에서 Dummy는 대기상태에 있는 상기 MP3부(500)에 송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린다. STX는 메시지 헤더로서 메시지의 시작을 나타낸다. 메시지 ID는 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낸다. 그리고 Checksum은 메시지 ID와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structure of the link protocol between the MP3 unit 500 and the remote control 200 is different from the transmission format of the remote control 200 and the transmission format of the MP3 unit 500, the transmission format of the remote control 200 is shown in FIG. 16, the transmission format of the MP3 unit 500 is as shown in FIG. In FIG. 16, the dummy informs the MP3 unit 500 in the standby state that there is transmission data. STX is a message header indicating the start of a message. The message ID indicates the content of the message. And checksum is same as message ID.

또한, 상기 도 17에서 Message Length는 메시지 ID(1) + 정보 Bytes를 나타낸다. 메시지 ID는 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며, Information 1,2,3은 본체(100)와 리모콘(200)간 주고받는 각종 메시지 정보를 나타낸다. 그리고, Checksum은 (Message Length + ID) xor Information(s)을 나타낸다.In addition, in FIG. 17, Message Length indicates message ID (1) + information Bytes. The message ID indicates the content of the message, and the information 1,2 and 3 indicate various message information exchanged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remote controller 200. And Checksum represents (Message Length + ID) xor Information (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디오 기기와 휴대폰을 복합하여 구성한 복합휴대폰에서 통화 및 오디오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이어폰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구현하여 오디오 기기와 복합되어 있는 복합휴대폰에 적합한 이어폰 장치를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n earphon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call and an audio function together in a composite mobile phon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n audio device and a mobile phone, and an earphone device suitable for a composite mobile phone complexed with an audio device. It is effective to operate.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오디오 기기와 휴대폰이 복합 구성된 복합휴대폰의 이어폰에 본체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을 구비함으로써 이어폰을 통해 음악 청취 및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고, 원격에서 리모콘을 이용하여 본체를 제어할 수도 있어 편리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for remote control of the main body in the earphone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is a combination of the audio device and the mobile phone can also listen to music and call through the earphone, remotely using the remote control It can also be controll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Claims (13)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휴대폰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을 갖는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An earphone device having a remote control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 composite mobile phone having an audio function, 오디오 잭과 데이터 송/수신 단자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분리 구성되어 있는 이어폰 인터페이스와,An earphone interface with a separate connector consisting of an audio jack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며, 다수의 키 및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키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복합휴대폰의 폰 기능 및 오디오 기능을 원격 제어하고, 상기 폰 기능 및 오디오 기능의 현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리모콘과,It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interfac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and the display unit to remotely control the phone function and audio function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and the display unit to the current state of the phone function and audio function With the remote control to display in, 상기 리모콘과 리드선으로 연결되며, 두 개로 구성된 이어-스피커와,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and the lead wires, consisting of two ear-speakers, 상기 리모콘과 상기 이어-스피커의 리드선 사이에 상기 휴대폰의 통화연결 및 통화종료를 위한 센드/엔드키 및 마이크가 일체로 구성된 바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의 이어폰 장치. Earphone device of the mobile phone with an audi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remote control and the lead wire of the ear-speaker is composed of a body consisting of a send / end key and a microphone for the call connection and termination of the cal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어 스피커, 마이크, 센드/엔드키를 상기 리모콘과 분리 또는 접속할 수 있는 리모콘 접속 잭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의 이어폰 장치.Earphone device of the mobile phone with an audi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 connection jack for separating or connecting the ear speaker, microphone, send / end key with the remote control.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디는 상기 이어-스피커의 한 쪽에만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의 이어폰 장치.The body is an earphone device of a mobile phone with an audi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only one side of the ear-speak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디는 상기 이어-스피커의 양쪽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의 이어폰 장치.Earphone device of the mobile phone with an audi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is connected to both of the ear-speaker.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휴대폰의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In the earphone device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with an audio function, 오디오 잭과 데이터 송/수신 단자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분리 구성되어 있는 이어폰 인터페이스와,An earphone interface with a separate connector consisting of an audio jack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이어-스피커와,Two ear-speakers connected to the earphone interface,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상기 이어-스피커 사이에 바디를 형성하여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마이크와 센드/엔드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의 이어폰 장치. The earphone device of the mobile phone with an audi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is formed between the earphone interface and the ear-speaker and integrally formed in the body and the microphone and send / end key.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마이크와 센드/엔드키는 상기 이어-스피커의 한 쪽에만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의 이어폰 장치.A microphone and a send / end key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are connected to only one side of the ear-speaker.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마이크와 센드/엔드키는 상기 이어-스피커의 양쪽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의 이어폰 장치.A microphone and a send / end key, which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body,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ear-speaker. 삭제delete 오디오 잭과 데이터 송/수신 단자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분리 구성되어 있는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며, 다수의 키 및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키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따라 복합휴대폰의 폰 기능 및 오디오 기능을 원격 제어하고, 상기 폰 기능 및 오디오 기능의 현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리모트 제어부를 구비하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과 리드선으로 연결되며, 두 개로 구성된 이어-스피커와, 상기 리모콘과 상기 이어-스피커의 리드선 사이에 구성되는 마이크와, 상기 리모콘과 상기 이어-스피커의 리드선 사이에 상기 휴대폰의 통화연결 및 통화종료를 위한 센드/엔드키가 하나의 키로 구성된 센드/엔드키로 구성된 리모콘을 갖는 이어폰 장치를 운용하여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휴대폰을 원격 제어하는 이어폰 장치의 운용방법에 있어서,A phone function of a composit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which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interface, which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interface, and which has a connector composed of an audio jack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remote control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an audio function and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of the phone function and the audio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a remote speaker connected to a lead wire, and consisting of two ear-speakers; A remote control including a microphone configured between a lead wire of the ear-speaker and a send / end key having a single key between the remote control and the lead wire of the ear-speaker, a send / end key for a call connection and termination of the call. Remote control a composite mobile phone with audio function by operating the earphone device It is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arphone, 상기 이어폰 장치의 리모콘이 상기 복합휴대폰 본체에 연결되면 리셋되면서 상기 복합휴대폰의 폰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의 시리얼 포트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Resetting when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earphone devic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and receiving phon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through the serial port of the earphone interface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상기 복합휴대폰 본체로부터 오디오 기능에 따른 플레이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플레이 동작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the current play operation state on the display unit when 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udio function is received from the composite mobile phone main body; 상기 리모콘의 키입력부나 센드/엔드키가 눌러지면 그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결과정보를 상기 복합휴대폰 본체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휴대폰의 이어폰 장치 운용방법.When the key input unit or send / end key of the remote control is pressed, the resul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resul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mplex mobile phone main body. Way.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오디오 기능은 MP3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휴대폰의 이어폰 장치 운용방법.The audio function is an earphone device operating method of a composite mobile phone with an audi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P3 function.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리모콘과 상기 복합휴대폰 본체간의 통신은 비동기 통신과 시리얼 통신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휴대폰의 이어폰 장치 운용방법.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and the main body of the composite mobile phone is an earphone device operating method with an audi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synchronous communication and serial communication. 오디오 단자, 그라운드 단자, 마이크 단자, 전원 단자로 이루어진 오디오 잭과 데이터 송/수신 단자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분리 구성되어 있는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와 리드선으로 연결되며, 다수의 키 및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다수의 키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따라 MP3휴대폰의 폰 기능 및 MP3 기능을 원격 제어하고, 상기 폰 기능 및 MP3 기능의 현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리모트 제어부를 구비하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과 연결되며, 두 개로 구성된 이어-스피커와, 상기 리모콘과 상기 이어-스피커 사이에 구성되는 마이크와, 상기 리모콘과 상기 이어-스피커의 리드선 사이에 상기 휴대폰의 통화연결 및 통화종료를 위한 센드/엔드키 및 마이크가 하나의 키로 구성된 센드/엔드키로 구성된 리모콘을 갖는 이어폰 장치를 운용하여 MP3 기능을 구비한 MP3휴대폰을 원격 제어하는 이어폰 장치의 운용방법에 있어서,An earphone interface in which an audio jack consisting of an audio terminal, a ground terminal, a microphone terminal, and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 connector consisting of 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terminal is separated, and connected to the earphone interface by a lead wire, has a plurality of keys and a display part.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remote control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a phone function and an MP3 function of an MP3 mobile phone according to key signals input through the plurality of keys, and displaying a current state of the phone function and the MP3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A send / end for connecting and terminating a call between the mobile phone between the two ear-speakers, a microphone configured between the remote control and the ear-speakers, and a lead wire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ear-speakers. Earphone cabinet with remote control consisting of send / end key with one key and microphone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arphone device to remotely control the MP3 mobile phone with the MP3 function by operating the device, 상기 리모트 제어부에서 상기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MP3휴대폰 본체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Processing data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when the data is received from the MP3 mobile phone main body through the earphone interface,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data processing on the display unit; 상기 리모트 제어부에서 상기 키입력부나 상기 센드/엔드키를 통해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입력된 키 정보에 해당하는 메시지나 아이콘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해당 키 값을 상기 MP3휴대폰 본체로 전송하는 과정과,Displaying a message or ic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and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key value to the MP3 mobile phone main body when a key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or the send / end key by the remote control unit; 상기 MP3휴대폰 본체에서 직접 상기 MP3을 플레이하면 상기 리모콘 제어부에서 상기 MP3휴대폰 본체에서 재생된 MP3 동작상태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이어-스피커로 오디오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휴대폰의 이어폰 장치 운용방법.Playing the MP3 directly on the MP3 mobile phone body, receiving the MP3 operation state and audio signal reproduced by the MP3 mobile phone body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and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n th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audio to the ear-speaker; Earphone device operation method of a composite mobile phone with an audi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1019990034019A 1999-08-12 1999-08-12 Earphone apparatus of complex potable phone having audio machinery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06059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019A KR100605989B1 (en) 1999-08-12 1999-08-12 Earphone apparatus of complex potable phone having audio machinery and u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019A KR100605989B1 (en) 1999-08-12 1999-08-12 Earphone apparatus of complex potable phone having audio machinery and us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184A KR20010018184A (en) 2001-03-05
KR100605989B1 true KR100605989B1 (en) 2006-07-26

Family

ID=1960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019A KR100605989B1 (en) 1999-08-12 1999-08-12 Earphone apparatus of complex potable phone having audio machinery and us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9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104B1 (en) 2007-02-27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Headse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682A (en) * 2001-08-30 2003-03-06 (주) 엘지텔레콤 Mobile terminal having liquid crystal display remote controller type handfree kit
KR20040034742A (en) * 2002-10-15 2004-04-29 주식회사 팬택 Ear-Phone for Using Mobile Phone
KR100556881B1 (en) * 2003-08-29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phone with terminal connected with remote-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device therefor
KR101259477B1 (en) 2006-08-07 2013-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Headset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770A (en) * 1999-04-23 1999-07-05 최성남 earphone for handphone having transmission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770A (en) * 1999-04-23 1999-07-05 최성남 earphone for handphone having transmission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104B1 (en) 2007-02-27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Headse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184A (en)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327B1 (en) Wireless stereo head set system
KR100547820B1 (en) Mobile wireless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recording and playback digital audio data
JP2001197173A (en) Cordless telephone set and method for integrating digital bit stream music player into the same
WO2002065738A1 (en) Portable radio terminal and sound delivery method and sound intake method
US9374450B2 (en)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fil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07006019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JP2001007900A (en) Multi-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715874B2 (en) Portable handsfree device for cable connection to a mobile terminal
KR100605989B1 (en) Earphone apparatus of complex potable phone having audio machinery and using method thereof
JP439600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20010059527A (en) Ear microphone of mobile phone
US200701959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data using wireless terminal
KR100312955B1 (en) Method for reserving internet data downlink in a portablecommunication terminal
JP2002033797A (en) Device for switching hands-free portable telephone set, and audio device
JP2007104184A (en) Information storage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0644039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in real-time for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JP7042389B1 (en) New earphone device
KR101002636B1 (en) Earmicrophone with assistant memory in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and management method of it
KR100617834B1 (en)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 equalizer in mobile phone capable of reproducing digital audio data
JP2001069205A (en) Acoustic device using portable radio telephone terminal
KR100689455B1 (en) Memory expansion pack for offering contents to wireless terminal
KR20000056051A (en) A combined mobil telephone and portable digital audio data player
KR20010091560A (en) Audio data replay function in mobile phone charger
JP2004254023A (en) Music reproduction system
KR20050053931A (en) A mobile phone charging system having function of audio signal outp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