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105A -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105A
KR20050077105A KR1020040004742A KR20040004742A KR20050077105A KR 20050077105 A KR20050077105 A KR 20050077105A KR 1020040004742 A KR1020040004742 A KR 1020040004742A KR 20040004742 A KR20040004742 A KR 20040004742A KR 20050077105 A KR20050077105 A KR 20050077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remote control
control code
code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47870B1 (en
Inventor
금지은
김진희
이종화
송재연
이윤선
임세윤
권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870B1/en
Publication of KR2005007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87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전송된 원격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며 수신한 원격제어 메시지에 따라 해당 설치된 장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와, 이동통신망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기능을 수행하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 각각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제어대상 장치로 해당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구비하며, 이러한 원격제어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원격제어 모드시에 저장된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디스플레이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미리 설정된 선택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선택된 제어대상 장치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trol target devices for receiving a wirelessly transmitted remote control message and controlling operations of a corresponding installed device according to the received remote control message, 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conne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remote control terminal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message including a corresponding control code to a control target devic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by providing a control code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ntrol target devices. The remote control terminal displays a plurality of items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stored in the preset remote control mode, and selects preset keys to select one of the items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displayed when the item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is displayed. If there is an input of, it is the use of the selected controlled device. Wirelessly transmits a remote control message including an increase control code.

Description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무선으로 제어대상 장치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제어대상 장치를 동작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종류의 제어대상 장치의 동작을 모두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operating a control target device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a control target device wirelessly from a remote lo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all operations of various types of control target devices. will be.

최근들어, 문이나 차량의 잠금 장치의 개폐나, 전등의 온/오프(on/off) 스위칭, 또는 가전 제품의 구동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치들에게 그 동작을 원격지에서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해 원격제어 시스템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 시스템은 리모콘 등을 구비하며 통상 적외선(IR: Infra Red)이나 RF(Radio Frequency) 등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제어대상 장치들에게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그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원격제어 시스템은 통상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를 하려는 제어대상 장치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어 신호를 적외선이나 RF 신호에 실어 전송하는 원격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미리 저장된 제어 신호와 비교하여 수신한 제어 신호에 의해 해당 설치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대상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원격제어 시스템은 그 편리성으로 인해 보다 다양한 장치들에게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the remote control system to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remotely to various devices, including opening and closing the lock of the door or vehicle, on / off switching of lights, or driving of home appliances Is adopted. Such a remote control system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and generally uses a method of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remote control target devices using infrared (IR) or RF (Radio Frequency) to control its operation. Such a remote control system typically includes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preset to a control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by a user's operation in an infrared or RF signal,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control target device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by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comparing the control signal with the pre-stored. The remote control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being employed in a variety of devices due to its convenience.

그런데 상기 원격제어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그 종류나 제조 회사 및 신호를 보내는 방식 등에 따라서 다른 기종과 서로 호환이 안되며, 제어 신호가 통상 한 장치 내에서만 존재하므로. 이에 따른 사용상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관문의 개폐 장치를 제어하는 적외선 송수신 장치는 차량의 문을 개폐 할 수 있는 다른 적외선 개폐 장치와 호환이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각의 제어대상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 장치를 개별적으로 소지하여야 함으로, 이에 따른 구비 비용상의 문제와 그러한 원격제어 장치의 소지, 보관 및 분실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각 가정(또는 빌딩 등)의 출입문 개폐와 같은 장치에 적용되는 원격제어 장치는 해당 가족(및 출입 인증자)별로 각각 원격제어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구비 비용이 들게 된다.By the way, the remote control system is generally not compatible with other models depending on the type, the manufacturer and the way of sending a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is usually present only in one device. Accordingly, there may be various inconveniences in use. For example, the infrared transceiver that control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not compatible with other infrared switching devices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vehicle. Accordingly, the user must individually possess a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each control target devic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erms of installation cost and inconvenience in carrying, storing and losing such a remote control device. In particular, the remote control device applied to the device such as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each home (or building, etc.) is required to have a remote control device for each family (and access certifier), so there is a significant installation cost.

한편, 최근들어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오디오,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정 내의 다양한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여러 개의 리모콘을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하는 일명 유니버셜 리모콘 등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유니버셜 리모콘 등은 새로운 가전 제품을 새로 구입할 경우에 이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그 제어대상이 가전 제품 등에 한정되는바 통상 댁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출입문 개폐나 차량의 문을 개폐하기 위한 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a universal remote control, such as a TV, video tape recorder, audio, air conditioner, etc., which integrates and operates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applied to various home appliances, has been developed and spread. However, such a universal remote control is often not applicable to a new purchase of new home appliances, and in particular, the control object is limited to home appliances, etc., and can usually be used only in the home, for examp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It was not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 무선 장치의 구비 비용을 줄이며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reducing the cost of providing a remote wireless device and controlling various types of devices in an integrated mann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지 및 보관이 편리하며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are easy to carry and store, and which collectively control various kinds of devic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로운 제어대상 장치의 추가 및 원격제어 장치의 추가가 용이하며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easily adding a new control target device and adding a remote control device and controlling various types of devices in an integrated mann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전송된 원격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원격제어 메시지에 따라 해당 설치된 장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와, 이동통신망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 각각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제어대상 장치로 해당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trol targets for receiving a wirelessly transmitted remote control message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corresponding installed device according to the received remote control messag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connected to a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a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control code includes a control code for use authentic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and includes a corresponding control code. And a remote control terminal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message.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이동통신망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기능을 수행하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 각각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구비하는 원격제어 단말기의 무선 원격제어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원격제어 모드시에 상기 저장된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디스플레이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미리 설정된 선택키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선택된 제어대상 장치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remote control method of a remote control terminal,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has a control code for authentic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control target devices, wherein the preset remote control Displaying the items of the plurality of stored control devices in the mode; and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 preset key set to select one of the items of the controlled device displayed when the items of the controlled device are displayed. And when there is an input of the selection key, wirelessly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message including a control code for authentication of use of the selected control target devi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se specific details may be changed or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in Esau.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시스템은 크게 다양한 종류의 각종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인터넷 상에서 관리하는 네트워크 상의 제어코드 관리 서버(웹서버)(150)와, 상기 웹서버(150)로 무선망을 통해 접속하여 웹서버(150)로부터 각종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거나 자체 저장된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업로드하며 제어대상 장치와 RF 또는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대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제어 단말기(110)와,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110)로부터 제어 신호에 의해 자체 장착된 장치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대상 장치(17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대상 장치(170)는 차량이나 출입문 및 캐비닛 등의 잠금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1 is a schematic overall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code management server (web server) 150 on a network that manages control codes of various kinds of various control target devices on the Internet. Access to the web server 150 through a wireless network to download the control code of the various control target device from the web server 150 or upload the control cod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stored in itself and performs RF or infrared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target devic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and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lf-mounted device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In the above,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may be applied to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may be installed in a locking device, such as a vehicle or door and cabinet.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무선망의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120)와, 이동통신 서버(130) 및 WAP 서버(14)를 거쳐 상기 제어코드 관리 서버(웹서버)(150)과 접속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passes through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gateway 120,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30, and a WAP server 14 of a wireless network. (Web server) 150 can be connected.

도 2는 도 1 중 원격제어 단말기(110) 및 원격제어대상 장치(170)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다. 원격제어 단말기(110)에서, 무선부(112)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채널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을 하강변환하고, 채널별로 구별하여 제어부(111) 및 음성처리부(114)로 출력한다. 무선부(112)로부터 제어부(111)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페이징 신호 및 시그널링 신호 등이 된다. 그리고 음성처리부(114)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음성 호가 설정된 경우에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된다. 또한 무선부(112)는 제어부(111)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음성처리부(114)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대역 상승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적절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remote control target device 170 of FIG. 1.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shown in FIG. 2 shows an exampl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the wireless unit 112 down-converts the frequency band of the radio channel data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1, distinguishes each channel by the control unit 111 and the voice processing unit ( 114). The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unit 112 to the control unit 111 may be data received through a traffic channel or a paging signal and a signaling signal received through a control channel. The data output to the voice processor 114 becomes voice data received when a voice call is set. In addition, the wireless unit 112 performs band-up conversion to transmit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11 or the coded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voice processing unit 114,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 wireless signal having an appropriate frequency band through an antenna. .

음성처리부(114)는 일반적으로 보코더(Vocoder)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무선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스피커(SPK)는 수신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음성처리부(114)는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무선부(112)로 출력한다. The speech processing unit 114 generally includes a vocoder or the like,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1, decodes coded speech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unit 112, converts the encoded speech data into an electrical speech signal, and then generates a speaker (SPK). ) The speaker SPK converts the received electric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sound. In addition, the voice processing unit 114 encodes the electrical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and outputs it to the wireless unit 112.

표시부(117)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진행 상태 등을 문자 또는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는 장치와, 진동 모터 및 알람 램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117)의 액정표시장치는 원격제어 단말기(110)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 시 입력되는 데이터 등을 문자 또는 아이콘 및 캐릭터로 변환하여 이를 표시한다. 키 입력부(118)는 일반적으로 키 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을 조작받기 위한 기능 키 등으로 구성된다. The display unit 117 includes a device for displaying a progress stat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with a character or an icon, a vibration motor, an alarm lamp, and the like.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display unit 117 displays the current state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converts the data, etc. inputted at the time of key input by the user, into characters or icons and characters to display them. The key input unit 118 generally has a key matrix structure and includes a numeric key for dialing, a function key for receiving various functions, and the like.

메모리부(119)는 롬(ROM)과 램(RAM)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어부(111)의 동작 프로그램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과, 사용자에 의해 저장되는 영역 및 제어부(111)의 각종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영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원격제어 동작을 위한 동작 프로그램과, 원격제어 동작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조작받을 수 있도록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상기 표시부(117)에 표시될 메뉴 및 동작 설정 관련 데이터 및 각종 제어대상 장치(110)의 제어코드를 저장한다. 원격제어신호 출력부(115)는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제어대상 장치(170)로 원격제어 메시지를 적외선 신호 또는 RF 신호로 무선 송출한다. The memory unit 119 may include a ROM, a RAM,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n area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an operation program of the controller 111, an area stored by a user, and a controller 111. It may be divided into an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according to various operations of the. 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program for a remote control operation, menus and operation setting related data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7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1 so as to receive a remote control operation setting from a user, and The control codes of the various control target devices 110 are stored. The remote control signal output unit 115 wirelessly transmits a remote control message as an infrared signal or an RF signal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1.

제어부(111)는 원격제어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19)에 저장된 원격제어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 동작 설정시에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포함한 원격제어 메시지가 상기 원격제어신호 출력부(115)를 통해 해당 원격제어대상 장치(170)로 무선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등 원격제어 동작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11 performs the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nd in particular, when sett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unit 119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control cod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target device 170 through the remote control signal output unit 115. .

상기와 같이, 원격제어 단말기(110)의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음으로 제어대상 장치(17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대상 장치(170)는 제어신호 수신부(175), 제어코드 비교부(177), 제어코드 관리부(176), 제어신호 출력부(178) 및 전원부(17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어대상 장치(170)에서, 전원 공급부(173)는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가 설치되는 장치의 동작 전원 공급부와 연동하도록 구성 되거나, 배터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의 상기와 같은 각 기능부들로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신호 수신부(175)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코드 관리부(176)와 제어코드 비교부(177)로 제공한다. 제어코드 관리부(173)는 초기 제어대상 장치 설치시에 원격제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될 수 있는 원격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해두며, 이후 제어코드 변경에 대한 원격제어 메시지의 수신시에 제어코드를 변경한다. 제어코드 비교부(177)는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175)에서 전달받은 원격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코드와 상기 제어코드 관리부(173)에 저장된 제어코드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며, 동작신호 출력부(178)는 상기 제어코드 비교부(177)의 비교 결과 신호에 따라 해당 설치된 장치의 동작 수행을 위한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 동작신호 출력부(178)에서 출력되는 동작 신호에 따라 제어대상 장치(170)가 설치된 해당 출입문 개폐 장치, 차량 도어 개폐 장치, 차고 출입문 개폐 장치 등이 동작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may be made. Next,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may include a control signal receiver 175 and a control code comparison unit 177. ), A control code management unit 176, a control signal output unit 178 and a power supply unit 173. In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ower supply unit 173 may be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an operating power supply unit of a device in which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is installed, or may be formed of a battery, and the like. Supply operating power to each functional unit such as The control signal receiver 175 receives the remote control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provides the control code manager 176 and the control code comparator 177. The control code manager 173 receives and stores the control code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message tha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when the initial control target device is installed, and then receives the remote control message for the control code change. Change the control code at the time. The control code comparing unit 177 outputs a comparison result signal by comparing the control code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message received from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175 with the control code stored in the control code managing unit 173, and an operation signal. The output unit 178 outputs an operation signal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installed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of the control code comparison unit 177.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signal output unit 178, the correspon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garag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stalled with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is operated.

상기와 같은 구성의 원격제어 단말기(110) 및 제어대상 장치(170)를 구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은 크게, 원격 제어 단말기(110)에서 제어대상 장치(170)를 제어하는 동작과, 원격제어 단말기(110)에서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변경하는 동작과, 원격제어 단말기(110)에서 상기 웹서버(150)에 접속하여 원하는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받는 동작 및 원격 제어 단말기(110)간에 선택된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주고받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각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largely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changing the control cod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i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nd controlling the control code of the desired control target device 170 by accessing the web server 150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Upload or download the operation and the control code of the selected control target device 170 betwee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performs the operation. Hereinafter, each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110)에서 원격제어대상 장치(170)의 원격제어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동작은 먼저 사용자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가지는 원격제어 단말기(110)에 미리 설정된 다수의 동작 설정 메뉴 중에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미리 제공되는 원격제어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사용자는 원격제어 단말기(110)의 표시부(117)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확인하면서 키입력부(118)의 키들을 조작하여,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110)에 미리 설정된 다수의 메뉴 항목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5 is a flowchart of a remote control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target device 170 i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remote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a plurality of operation setting menus preset in a remote control terminal 110 hav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is is done by selecting a remote control menu provided in advance. At this time, the user operates the keys of the key input unit 118 while check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7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the present invention among a plurality of menu items preset i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You can select the remote control menu.

이러한 원격제어 메뉴가 선택되면, 510단계에서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미리 저장되어진 제어대상 장치(170)에 대한 항목을 적절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3에서는 이러한 원격제어 단말기(110)에서 원격제어 모드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의 일 예가 도시되고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어대상 장치(170)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 적절한 디자인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각 아이콘들에게 번호를 부여하여 사용자가 키입력부(118)에 구비된 숫자키 등을 조작함으로 적절한 아이콘, 즉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형태로 각 제어대상 장치(170)의 항목이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단순히 문자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화면상에 터치스크린 등을 구비하여 해당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remote control menu is selected,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displays an item for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which is stored in advance in an appropriate manner in step 510. In FIG. 3,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configuration for a user interface in a remote control mode i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is illustrated. As illustrated in FIG. 3, each control target device 170 can be easily identified. Each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n icon of a suitable design. In addition, each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given a number so that a user may select an appropriate icon, that is,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by manipulating a numeric key or the like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18. As shown in FIG. 3, an item of each control target device 170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In addition, the item may be simply configured as a character, and a corresponding icon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on the screen.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o select.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대상 장치(170) 항목을 디스플레이한 다음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키입력시까지 대기하며 키입력이 있을 경우에 이를 512단계에서 확인하여 이후 514단계로 진행한다. 514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키가 미리 적절히 설정된 제어대상 선택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대상 선택키일 경우에는 이후 516단계로 진행한다. 516단계에서는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로 미리 설정된 제어코드를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에서 제어대상 장치(170)가 차량일 경우에 해당 차량의 아이콘에는 2번이 설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자동차 형태의 아이콘을 확인하고 키입력부(118)의 숫자키에서 2번 숫자키를 입력하면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차량 제어대상 장치(170)로 미리 설정된 제어코드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코드를 포함한 각 제어대상 장치(170)의 초기 등록 정보는 각 제어대상 장치(170)를 원격제어 단말기(110)에 새로이 등록할 때에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조회사나 판매소 등에 구비될 수 있는, 본 발명이 채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단말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After display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item in the manner as shown in FIG. 3,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waits until a key is input. If there is a key input,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checks it in step 512 and then proceeds to step 514. Proceed. In step 514, it is checked whether the input key is a control target selection key that is appropriately set in advance. In the case of the control target selection key,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516. In step 516, the control code set in advanc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when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is a vehicle, it can be seen that the icon 2 of the vehicle is set to No. 2. FIG. At this time, when the user checks the icon of the car type and inputs the number 2 key from the number key of the key input unit 118,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transmits a preset control code to the vehicle control target device 170. The initial registration information of each control target device 170 including such a control code may be provided to a manufacturer or a sales offic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when newly registering each control target device 170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by a terminal capable of interfac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한편, 상기에서 제어코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격제어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원격제어 메시지는 제어대상 장치 ID(Identification) 영역과 제어코드 영역으로 구성되며, 이외에도 부가적으로 제어명령 영역이 첨부될 수 있다. 제어대상 장치(170)는 미리 설정된 대역의 RF 신호 또는 적외선 신호를 검색하여 입력되는 무선 신호 중에서 상기 제어대상 ID를 화인하고 해당 제어대상 ID가 자신의 ID일 경우에 제어코드를 확인하여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코드는 사용자 인증용 암호일 수 있으며,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수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code is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message as shown in Figure 4 and transmitted. Referring to FIG. 4, the remote control message includes a control target device identification area and a control code area, and in addition, a control command area may be attached.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searches for an RF signal or an infrared signal of a predetermined band, and inputs the control target ID among wireless signals inputted therein, and checks the control code when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ID is its own ID.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control code may be a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so that the user can change from time to time through the operation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110)로부터 제어대상 장치(170)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며, 한편, 상기 도 5에 도시된 514단계에서 입력된 키의 확인 결과 제어대상 선택키가 아닐 경우에는 이후 518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키가 미리 설정된 제어코드 변경키인지 확인하여 제어코드 변경키일 경우에는 이후 60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코드 변경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코드 상기 518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제어코드 변경키가 아닐 경우에는 이후 5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입력된 키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상기 600단계에서의 제어코드 변경모드의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is performe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target selection result of the confirmation of the key input in step 514 shown in FIG. If it is not a key,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518 and checks whether the input key is a preset control code change key. If the key is a control code change key, proceeds to step 600 and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code change mode. If the control result is not the control code change key,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519 to perform a function according to the input key.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code change mode in step 6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원격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 변경 동작의 흐름도이다. 제어코드 변경모드에서는 먼저 612 및 614단계에서 상기 도 5의 510 및 512단계에서와 같이, 설정된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며 키 입력을 대기하며 키 입력이 있을 경우에 615단계로 진행한다. 616단계에서는 해당 입력된 키가 제어대상 선택키인지 확인하여 제어대상 선택키일 경우에 이후 617단계로 진행한다. 617단계에서는 해당 제어대상의 설정된 제어코드를 디스플레이하며, 변경할 제어코드를 입력받게 된다. 이후 618단계에서는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로 변경된 제어코드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 변경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어대상 장치(170)로 전송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격제어 메시지에서 상기 제어코드 영역에는 이전의 제어코드가 입력되며, 제어명령 영역에는 새로운 제어코드의 변경을 알리는 명령어와 새로운 제어코드의 내용이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는 입력되는 신호 중에서 자신의 ID를 가진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제어코드를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며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 관리부(176)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코드를 변경하게 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code change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 target device in a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rol code change mode, first, in step 612 and 614, as shown in step 510 and 512 of FIG. 5, an item of the set control target device is displayed, a key input is waited, and when there is a key input, step 615 is performed. In step 616, if the input key is a control target selection key,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input key is a control target selection key. In step 617, the control code of the control target is displayed and the control code to be changed is received. Thereafter, in step 618, the changed control cod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Through this process, a control code change opera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may be performed. At this time, in the remote control message as shown in FIG. 4 transmitted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the previous control code is input in the control code area, and a command and a new control code for notifying the change of the new control code in the control command area. Can be entered. Accordingly,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receives a signal having its own ID from among the input signals, checks the control code, and authenticates the user. The control code manager 176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controls the control. The control co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mmand.

한편, 상기와 같은 각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는 웹서버(150)상에서 관리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웹서버(150)에 접속하여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단계를 거친 다음 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거나, 또한 제어코드의 소유자임을 인증한 다음 제어코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code of each control target device 170 as described above may be managed on the web server 150. That is,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ccesses and accesses the web server 150 as shown in FIG. 1, passes through the user authentication step, downloads the control code, or authenticates the owner of the control code, and then the control code. You can also change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110)에서 웹서버(150)로의 원격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 업로드 및 다운로드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웹서버(150)에 접속하여 먼저 710단계에서 사용자 인증 동작을 거친다. 이후 720단계에서는 웹서버(150)에 설정된 다수의 서비스 기능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코드 관리 기능을 선택하고 이러한 제어코드 관리 기능 중에서 제어코드 다운로드 또는 제어코드 변경 항목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제어코드 다운로드 기능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이후 기 저장된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먼저 722단계에서 제어대상 장치(170)를 선택하고 이후 724단계에서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제어대상 장치(170)의 ID 등에 대한 정보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720단계에 기능 선택시 제어코드 변경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는 이후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변경하여 변경한 정보를 업로드하는데 먼저 732단계에서는 제어대상 장치(170)를 선택하고 이후 734단계에서는 상기 선택한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업로드하게 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웹서버(150)를 이용한 제어코드 관리 동작은 해당 원격제어 단말기(110)의 분실 및 기기변경이나 또는 타 단말기로 적절한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제공하여 줄 때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code upload and download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target device 170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to the web server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accesses the web server 150 and first undergoes a user authentication operation in step 710. Thereafter, in step 720, a control code management function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functions set in the web server 15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control code download or control code change item is selected from the control code management functions.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 code download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rol code of the pre-stored control target device 170 is downloaded. In step 722,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is selected. The control code of the device 170 may be downloaded. Of course, in this case, information about the ID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may also be downloaded.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 code change item is selected when the function is selected in step 720, the control code of the control device 170 is changed and the changed information is uploaded. In the step, the control code of the selected control target device 170 is uploaded. The control code management operation using the web server 150 as shown in FIG. 7 is convenient whe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loses or changes the device or provides a control code of an appropriate control target device to another terminal. Can be used.

한편, 상기와 같이 각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본 발명이 채용된 원격제어 단말기에 해당 저장하고 있는 제어대상 장치(170)의 제어코드를 곧바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코드 전달기능은 출입문 개폐 장치에 설치되는 제어대상 장치(170)와 같이 인증된 사용자가 다수일 경우에 각 사용자의 원격제어 단말기(110)로 해당 제어대상 장치(170)(또는 모든 제어대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which stores the control code of each control target device 17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that is stored in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terminal employing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ntrol code can be passed immediately. The control code transfer function is a remote control terminal 110 of each user when the number of authenticated users, such as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install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evice 170 (or all control targets). It can be useful to control the device).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간의 제어코드 전달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간의 제어코드 전달 동작은 먼저 사용자가 먼저 원격제어 단말기(110)에 미리 설정된 다수의 동작 설정 메뉴 중에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미리 제공되는 이동기기간 제어코드 전달 메뉴를 설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제어코드 전달 메뉴가 설정되면, 먼저 812단계에서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미리 저장되어진 제어대상 장치(170)에 대한 항목을 적절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원격제어 단말기(110)는 키입력시까지 대기하며 키입력이 있을 경우에 이를 814단계에서 확인하여 이후 816단계로 진행한다. 816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키가 미리 적절히 설정된 제어대상 선택키 또는 전체 제어대상 선택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대상 선택키 또는 전체 제어대상 선태키일 경우에는 이후 817단계로 진행한다. 817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제어코드를 전송할 상대방 원격제어 단말기(이동기기)의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이후 818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받은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 원격제어 단말기(이동기기)로 상기 선택된 제어코드(또는 전체 선택된 제어코드)를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 제어코드 전달 메시지 포맷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원격제어 단말기간의 제어코드 전달시에 상대방 단말기는 수신하는 메시지가 상기 제어코드 전달 메시지임을 확인하여 이를 적절히 저장하게 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code transfer operation between remote control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8, the control code transfer oper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provid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a plurality of operation setting menus previously set i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first; By setting the mobile period control code delivery menu. If the control code transfer menu is set, first, in step 812,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displays an item for the control target device 170, which is stored in advance, in an appropriate manner. Thereafter, the remote control terminal 110 waits until the key input and if there is a key input checks in step 814 and proceeds to step 816. In step 816,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key is a control target selection key or an entire control target selection key that is appropriately set in advance. In step 817, the phone number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mobile device) of the other party to which the control code is to be transmitted is received from the user. In step 818, the selected control code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remote control terminal (mobil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phone number. (Or all selected control codes) are transmitted in a control code delivery message format appropriately set up in accordance wi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code is transmitted between the remote control terminals, the counterpart terminal checks that the received message is the control code transfer message and stores the message properly.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t can b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원격제어 방식은 구비 비용을 줄이며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소지 및 보관이 편리하며 특히 웹서버를 통해 제어코드를 관리함으로 제어코드(및 이를 저장한 기기)의 분실시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제어대상 장치의 추가 및 원격제어 장치의 추가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remot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and control various types of devices in an integrated manner. In addition, it is convenient to carry and store, and in particular, it can easily cope with loss of control code (and the device which stores it) by managing control code through web server. In addition, it is easy to add a new control target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 구성도1 is a schematic overall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 중 원격제어 단말기 및 원격제어대상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 target device of FIG.

도 3은 도 1 중 원격제어 단말기의 원격제어 모드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의 일 예시도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screen for a user interface in a remote control mode of a remote control terminal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원격제어대상 장치로 전송되는 원격제어 메시지의 일 예시 포맷도4 is an exemplary format diagram of a remote control message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 terminal to a remote control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원격제어대상 장치의 원격제어 동작의 흐름도5 is a flowchart of a remote control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 target device in a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원격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 변경 동작의 흐름도6 is a flowchart of a control code change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 target device in a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웹서버로의 원격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 업로드 및 다운로드 동작의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code upload and download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 target device from a remote control terminal to a web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간의 제어코드 전달 동작의 흐름도8 is a flowchart of a control code transfer operation between remote control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In a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무선 전송된 원격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원격제어 메시지에 따라 해당 설치된 장치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와,A plurality of control target devices that receive a wirelessly transmitted remote control message and respectively control an operation of a corresponding installed device according to the received remote control message; 이동통신망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 각각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제어대상 장치로 해당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시스템.A remote control including a corresponding control code, the control target device being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a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having a control code for use authentic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 device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Wireless remote system compri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for transmitting a message wireless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인터넷 상에서 관리하는 네트워크 상의 제어코드 관리 서버를 더 구비하며,Further comprising a control code management server on the network for managing the control codes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 devices on the Internet,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는 상기 제어코드 관리 서버로 무선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다운로드 받거나 자체 저장된 제어대상 장치의 제어코드를 업로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시스템.The remote contro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ntrol code management server via a wireless network to download a control cod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target devices or upload a control cod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stored in itself.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 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device is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원격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와,A control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the remote control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원격제어 메시지를 제공받아, 초기 제어대상 장치 설치시에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수 있는 원격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해두며, 제어코드 변경에 대한 원격제어 메시지의 수신시에 제어코드를 변경하는 제어코드 관리부와,Receives the remote control message received from the control signal receiver, receives and stores the control code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message tha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t the time of initial control target device installation, and remotely for the control code change A control code management unit for changing a control code upon reception of a control message;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원격제어 메시지를 제공받아, 해당 원격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코드와 상기 제어코드 관리부에 저장된 제어코드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코드 비교부와,A control code comparing unit receiving a remote control message received by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and comparing a control code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message with a control code stored in the control code managing unit and outputting a comparison result signal; 상기 제어코드 비교부의 비교 결과 신호에 따라 해당 설치된 장치의 동작 수행을 위한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신호 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시스템.And an operation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n operation signal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of the control code comparison unit. 이동통신망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기능을 수행하며,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 각각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구비하는 원격제어 단말기의 무선 원격제어 방법에 있어서,In a wireless remote control method of a remote control terminal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a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having a control code for use authentic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control target devices, 미리 설정된 원격제어 모드시에 상기 저장된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Displaying the stored items of the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in a preset remote control mode; 상기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디스플레이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미리 설정된 선택키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 selection key preset to select one of the items of the controlled device displayed when the item of the controlled device is displayed; 상기 선택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선택된 제어대상 장치의 사용 인증용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방법.And when there is an input of the selection key, wirelessly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message including a control code for authentication of use of the selected control target devic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미리 설정된 원격코드 변경 모드시에 상기 저장된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Displaying the stored items of the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in a preset remote code change mode; 상기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디스플레이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미리 설정된 선택키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 selection key preset to select one of the items of the controlled device displayed when the item of the controlled device is displayed; 상기 선택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 변경할 제어코드를 입력받는 과정과,Receiving a control code to be changed when there is an input of the selection key;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 장치로 변경된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메시지를 무선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And remotely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changed control code to the selected control target devic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미리 설정된 제어코드 다운로드/업로드 모드시에, 무선망을 통해 제어코드 관리 서버로 접속하는 과정과,In the preset control code download / upload mode, accessing the control cod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상기 접속한 제어코드 관리 서버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과,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with the connected control code management server; 상기 제어코드 관리 서버에 저장된 제어코드 정보를 다운로드 받거나 변경될 제어코드에 대한 정보를 업로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Remote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ownloading the control cod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rol code management server or uploading information on the control code to be change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미리 설정된 제어코드 전달 모드시에 모드시에 상기 저장된 다수의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Displaying the stored items of the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in the control mode in a preset control code delivery mode; 상기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디스플레이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대상 장치의 항목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선택을 입력받는 과정과,Receiving at least one selection from among items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displayed when the item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is displayed; 선택된 제어대상 장치 항목의 제어코드를 전송할 상대방 원격제어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과정과,Receiving a telephone number of the remote control terminal of the other party to which the control code of the selected control target device item is to be transmitted; 상기 입력받은 전화번호로 상기 선택된 제어코드를 구비한 제어코드 전달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And transmitting a control code transfer message having the selected control code to the received telephone number.
KR1020040004742A 2004-01-26 2004-01-26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KR1005478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742A KR100547870B1 (en) 2004-01-26 2004-01-26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742A KR100547870B1 (en) 2004-01-26 2004-01-26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105A true KR20050077105A (en) 2005-08-01
KR100547870B1 KR100547870B1 (en) 2006-01-31

Family

ID=3726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742A KR100547870B1 (en) 2004-01-26 2004-01-26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87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22B1 (en) 2006-02-24 2007-06-12 (주) 엘지텔레콤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message service and provide method thereof
WO2012129064A1 (en) * 2011-03-18 2012-09-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rface for local configuration and monitoring of an industrial field device with support for provisioning onto an industrial wireless network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8818417B2 (en) 2011-10-13 2014-08-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wireless device location using automatic location update via a provisioning device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US9065813B2 (en) 2011-03-18 2015-06-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dapter device for coupling an industrial field instrument to an industrial wireless network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4474B1 (en) * 1999-09-10 2011-02-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downloading of a control inte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 mobile station
JP3914668B2 (en) * 1999-09-24 2007-05-16 日本電気株式会社 Wireless portable terminal
KR20020050490A (en) * 2000-12-21 2002-06-27 구자홍 Union remote controlle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using method of the same
KR20020080013A (en) * 2001-04-10 2002-10-23 멀티웨이시스템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Function of Infrared Ray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KR100450251B1 (en) * 2001-11-22 2004-09-24 최형락 Multi-purpose remote controller used toge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75029A (en) * 2002-03-15 2003-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Remote control function with handpho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22B1 (en) 2006-02-24 2007-06-12 (주) 엘지텔레콤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message service and provide method thereof
WO2012129064A1 (en) * 2011-03-18 2012-09-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rface for local configuration and monitoring of an industrial field device with support for provisioning onto an industrial wireless network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9065813B2 (en) 2011-03-18 2015-06-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dapter device for coupling an industrial field instrument to an industrial wireless network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9405285B2 (en) 2011-03-18 2016-08-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rface for local configuration and monitoring of an industrial field device with support for provisioning onto an industrial wireless network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10015826B2 (en) 2011-03-18 2018-07-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dapter device for coupling an industrial field instrument to an industrial wireless network
US8818417B2 (en) 2011-10-13 2014-08-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wireless device location using automatic location update via a provisioning device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7870B1 (en)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1207B2 (en) Electronic lock with user interface
US5201067A (en)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remote control capability
CA2888971C (en) Electronic lock having a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US7027881B2 (en) Remote control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US8359069B2 (en) One button access to network services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US20070167138A1 (en) Garage door opener communications gateway module for enabling communications among vehicles, house devices, 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20100134240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10102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pairing and enabling the reciprocal locating of keys and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KR20010111166A (en) A method of changing menu icon and editing menu configuration for a mobile telephone
WO2001073720A1 (en) Remote control interface for converting radio remote control signals into infrared remote control signals
KR20020048960A (en) Combined wireless telephone and remote controller with voice commands
JP2006217227A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device
US20080001774A1 (en) Remote control with UPnP suppor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JP2006129219A (en) Network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US73127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vironment detection
KR100547870B1 (en)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JP4626475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operation method
KR200700025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vehicle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15719B1 (en)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nd vehicle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2002186063A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obile wireless terminal
KR20070072671A (en) Remot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method that use portable telephone to control vehicles of short distance by wireless
KR20040023923A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vehicle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66559A (en) Starting/Door control device using a handphone and method thereof using it
KR100474692B1 (en) A method of editing menu configuration for a mobile telephone
KR20120012887A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key materializ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