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719B1 -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nd vehicle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nd vehicle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719B1
KR100715719B1 KR1020050026332A KR20050026332A KR100715719B1 KR 100715719 B1 KR100715719 B1 KR 100715719B1 KR 1020050026332 A KR1020050026332 A KR 1020050026332A KR 20050026332 A KR20050026332 A KR 20050026332A KR 100715719 B1 KR100715719 B1 KR 100715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ehicle
control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4299A (en
Inventor
양미화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26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719B1/en
Publication of KR2006010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2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7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행하면서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또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포맷의 제어키를 저장 혹은 변경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면서, 각종 이상 상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는 홈 통제장치(3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차량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고,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면서, 각종 이상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장치(50)와; 상기 홈 통제장치(30) 및 차량 제어장치(50)의 제어시 사용되는 제어키(key),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름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어키의 등록 및 변경 등을 관리하는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제어키 관리서버(70)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 상기 홈 통제장치(30), 상기 차량 제어장치(50) 및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70)를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90)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required for controlling a home or a vehicle while perform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nd has a predetermined format required for controlling the home or a vehic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or storing or changing a control key; A home control device which receives variou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ransmits various abnormal condition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hile opening / closing a door installed in a front door and turning on / off an indoor / outdoor light. 30);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tarting and stopping the vehicle engine, opening and closing the vehicle door or trunk, turning on / off the vehicle lights, outputting various warning sounds to the outside, and various abnormal conditions are output. A vehicle control device (50) for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 control key used to control the home control device 30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a database for storing various data such as a telephone number and a nam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ration and change of the control key, etc. 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7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home control device 30,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and 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70 including a control key management program for managing the It provides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for connecting the wired and wireless).

홈, 차량,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도어, 제어키, 송신, 수신. Home, Vehicle, Mobile Terminal, Remote, Control, Door, Control Key, Send, Receiv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nd vehicle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nd vehicle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제어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홈 통제장치(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home control device 30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제어장치(5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50 shown in FIG. 1.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홈 통제장치(30) 또는 차량 제어장치(50)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home control device 30 or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홈 통제장치(30) 또는 차량 제어장치(50)을 제어하는 제어키(key)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key change for controlling the home control device 30 or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이동통신 단말기, 30 홈(Home) 제어장치,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30 home control devices,

50 차량 제어장치, 70 제어키 관리서버,50 vehicle control unit, 70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90 유무선 통신망.90 wired and wireless networks.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 내부의 현관의 도어 개폐, 실내 조명의 점/소등 및 경보 발생이나 혹은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및 경보 발생 등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rticular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to open or close a door in a home, to turn on / off an alarm and to start or stop a vehicle engine, or to operate a vehicle. It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and trunks and alarms.

일반적으로, 원격지에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및 경부 발생 등을 행하는 원격 제어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시스템은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 송신장치(또는 리모컨)와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기기들을 구동하는 원격 수신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식은 주로 무선 적외선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remote control system for starting and stopping a vehicle engine,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door or trunk, and generating a neck using a remote controller at a remote location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he remote control system includes a remote transmitter (or a remote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and a remote receiver for receiving other remote control signals and driving other devices. In this case, a wireless infrared method is mainly used as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최근에는,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되면서 PDA나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차량용 리모콘 등과 같은 각종 원격 제어장치의 기능들이 탑재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functions of various remote control devices such as a vehicle remote controller are install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DA or a mobile phone.

이와 같이, 원격 제어장치의 기능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합되면서 원격 제어장치를 별개로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일반 음성 및 데이터통신이나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 및 트렁크의 개폐 등을 실현하고 있다.As such, as the functions of the remote control unit are integrated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emote control unit is not separately provided, and a sing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for starting and stopping general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or vehicle engin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vehicle door and trunk. Etc. are realized.

그러나,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 음성이나 데이터 통신 혹은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의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및 경보 발생 등과 같은 제어는 가능하지만, 홈에 설치된 현관 및 실내의 도어 개폐,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별도의 원격 제어장치를 구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ontrol general voice or data communication or start and stop of a vehicle engine, open and close a vehicle door or trunk, and generate an alarm. In order to control the on / off,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remote control device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또한, 홈이나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 및 조명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는 경우, 이들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소정 포맷의 제어키(key)도 함께 분실되기 때문에, 이들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motely control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digital door and a light installed in a home or a vehicle is lost, control keys of a predetermined format for controlling these electronic devices are also lost.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can not control th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이나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remotely control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 a home or a vehicle using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이나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키를 제어키 관리서버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관하여 제어키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prevent the loss of the control key by storing a control key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 the home or vehicle in 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or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vide a remote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신규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Among the inventions disclo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n outline of typical ones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행하면서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또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포맷의 제어키를 저장 혹은 변경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수신하여,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면서, 각종 이상 상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홈 통제장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수신하여,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차량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고,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면서, 각종 이상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장치와; 상기 홈 통제장치 및 차량 제어장치의 제어시 사용되는 제어키(key),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름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어키의 등록 및 변경 등을 관리하는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제어키 관리서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홈 통제장치, 상기 차량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를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required for controlling a home or a vehicle while perform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toring or changing a control key of a predetermined format required to control the vehicle; A home control device which receives signals and control key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various abnormal condition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opening and closing doors and turning on / off lights of the doors; Receives signals and control key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arts and stops the vehicle engine, opens and closes the vehicle door or trunk, turns on / offs the vehicle lights, and outputs various warning sounds to the outside to display various abnormal states. A vehicle control apparatus for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key management used to control the home control device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a database for storing various data such as a telephone number, a nam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key for managing registration and change of the control key.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program and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ome control device,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by wire and wireles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키, 방향키 및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패드부,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소정의 절차에 따라 각종 연산이나 주변기기 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텍스트나 화상 등의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음성을 입력하고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무선 송신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unit consisting of numeric keys, direction keys and function keys, a memory unit for storing various data or programs, a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s or peripheral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and tex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arious data such as an image, a voice input / output unit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 a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홈 통제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무선 수신부, 상기 홈의 실내외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홈 서버와 같은 홈 제어장치,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부, 실내외에 설치된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실내외 조명부 및 상기 도어부나 실내외 조명부에서 발생되는 도어의 이상 열림이나 실내외 조명의 이상 점등 등과 같은 각종 이상 상황을 센서 등으로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 경보 송신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m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reles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home control device such as a home server for controll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home, installed in the entrance The door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the indoor / outdoor ligh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indoor / outdoor lighting installed in the indoor / outdoor, and various abnormal conditions such as abnormal opening of the door or abnormal lighting of the indoor / outdoor lighting generated by the door unit or the indoor / outdoor light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alarm transmitter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게다가, 상기 홈 통제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제1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me contro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wireless receiv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엔진 제어장치, 속도 표시장치 및 연료량 표시장치 등의 각종 기계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장치,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시동부, 차량 도어 및 트렁크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차량의 실내외에 설치된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차량 조명부 및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riety of machines a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second wireless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ngine controller installed in the vehicle, a speed display device and a fuel amount display device.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starting part for controlling start and stop of vehicle engine, door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door and trunk, speaker for outputting various warning sounds to outside, lighting on / off of light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Vehicle lighting unit to control and

상기 시동부, 상기 도어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조명부 등에서 발생되는 차량의 각종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2 경보 송신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alarm transmitter for detecting various abnormal conditions of the vehicle generated by the starter, the door controller, and the vehicle light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abnormal stat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게다가, 상기 차량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제2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wireless receiving unit.

또한, 상기 무선 송신부는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수신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는 일반 신호뿐만 아니라 적외선 신호도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less transmitter may transmit an infrared signal, and the first wireless receiver or the second wireless receiver may receive and process an infrared signal as well as a general signal.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제어키 관리서버는,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제어키 및 상기 제어키에 관련된 데이터,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이름, 주소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어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갱신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키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관리하는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key in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rol key Registering and updating data, such as a database storing data such as a number, name, address, et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arious data related to the control key in the database, and simultaneously managing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key to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 control key management progra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all the drawings for demonstrating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thing with the same function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제어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 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은 크게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홈 통제장치(30)와; 차량 제어장치(50)와; 제어키 관리서버(70)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home control device 30; A vehicle controller 50;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70 and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is includ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행하면서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면서, 각종 이상 상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는 홈 통제장치(3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차량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고,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면서, 각종 이상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장치(50)와; 상기 홈 통제장치(30) 및 차량 제어장치(50)의 제어시 사용되는 제어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름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어키의 등록 및 변경 등을 관리하는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제어키 관리서버(70)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 상기 홈 통제장치(30), 상기 차량 제어장치(50) 및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70)를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90)을 구비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required for controlling a home or a vehicle while perform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in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w; A home control device which receives variou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ransmits various abnormal condition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hile opening / closing a door installed in a front door and turning on / off an indoor / outdoor light. 30);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tarting and stopping the vehicle engine, opening and closing the vehicle door or trunk, turning on / off the vehicle lights, outputting various warning sounds to the outside, and various abnormal conditions are output. A vehicle control device (50) for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ontrol key used in the control of the home control device 30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a database for storing a variety of data such as a phone number, name, et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manage the registration and change of the control key, etc. A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70 including a control key management program and the lik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home control device 30,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and 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70 wired And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for wirelessly connecting.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홈 통제장치(30), 상기 차량 제어장치(50) 및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70)와는 유무선 통신망(90) 통해서만 신호를 송 수신하지만, 상기 홈 통제장치(30) 및 차량 제어장치(50)와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각종 신호를 직접 송수신 할 수 있다.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only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with the home control device 30,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and 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70, but controls the home control. The device 30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may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signals using infrared signal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hown in FIG.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숫자키, 방향키 및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패드부(1),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 소정의 절차에 따라 각종 연산이나 주변기기 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 텍스트나 화상 등의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4), 음성을 입력하고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5),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6) 및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무선 송신부(7) 등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unit 1 composed of numeric keys, direction keys, and function keys, a memory unit 2 for storing various data or programs, and a predetermined procedure. The microprocessor 3 for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s and peripherals, the display unit 4 for displaying various data such as texts and images,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5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s, and transmitting signals wirelessly. And a wireless transmitter 7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여기서, 상기 표시부(4)로는 LCD 또는 O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7)로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o use an LCD or an OLED as the display unit 4, and to use the infrared transmitt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infrared signal as the wireless transceiver 7.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홈 통제장치(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home control device 30 shown in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홈 통제장치(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무선 수신부(31), 상기 홈(H)의 실내외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홈 서버와 같은 홈 제어장치(33),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부(35), 실내외에 설치된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실내외 조명부(37) 및 상기 도어부(35)나 실내외 조명부(37)에서 발생되는 도어의 이상 열림이나 실내외 조명의 이상 점등 등과 같은 각종 이상 상황 을 센서 등으로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는 제1 경보 송신부(39) 등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3, the home control devic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wireless receiving unit 31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various kinds of indoor and outdoor installed in the home (H) A home control device 33 such as a home server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a door part 35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installed at a front door, an indoor / outdoor lighting part 37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indoor / outdoor lighting installed indoors and outdoors, and A first alarm transmission unit for detecting various abnormal conditions such as abnormal opening of the door or abnormal lighting of the indoor / outdoor lighting generated by the door unit 35 or the indoor / outdoor lighting unit 37 by a sensor or the like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 39) and the like.

또한, 상기 홈 통제장치(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원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에서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제1 무선 수신부(31)에서 수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에서 송신되는 신호, 예컨대 적외선 신호를 제1 무선 수신부(31)에서 직접 수신한다.In addition, the home control device 30, when located at a long distanc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6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The first wireless receiver 31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7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hen it is located nea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for example, an infrared signal. Receive directly at 31.

여기서, 상기 도어부(35) 및 상기 실내외 조명부(37)에는 외부 침입에 의한 도어의 이상 열림이나 실내외 조명의 이상 점등을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경보 송신부(39)는 홈(H)내에 설치된 랜(LAN)이나 모뎀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외부의 무선 통신망(90)과 접속되며, 상기 도어부(35) 및 상기 실내외 조명부(37)에서 발생되는 도어의 이상 열림이나 실내외 조명의 이상 점등과 같은 각종 이상 상황을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한다. 즉, 홈(H)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상 상황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4)에 문자나 화상으로서 표시된다.Here, the door unit 35 and the indoor and outdoor lighting unit 37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abnormal opening of the door due to external intrusion or abnormal lighting of the indoor and outdoor lighting. In addition, the first alarm transmitter 39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through a network device such as a LAN or a modem installed in a home H, and includes the door part 35 and the indoor / outdoor lighting part. Various abnormal situations, such as abnormal opening of a door or abnormal lighting of indoor and outdoor lighting generated at 37,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That is, various abnormal situations generated in the home H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s text or images.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제어장치(5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50 shown in FIG.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제어장치(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51), 상기 차량(C)에 설치된 엔진 제어장치, 속도 표시장치 및 연료량 표시장치 등의 각종 기계나 전자기 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장치(53),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시동부(54), 차량 도어 및 트렁크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55),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56), 차량의 실내외에 설치된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차량 조명부(57) 및 상기 시동부(54), 상기 도어 제어부(55) 및 상기 차량 조명부(57) 등에서 발생되는 차량(C)의 각종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는 제2 경보 송신부(59) 등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vehicle controll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wireless receiver 51 that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an engine controller installed in the vehicle C. , An electronic controller 53 for controlling various machines or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speed display device and a fuel amount display device, a starter 54 for controlling start and stop of a vehicle engine, and a do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vehicle door and a trunk (55), a speaker 56 for outputting various warning sounds to the outside, the vehicle lighting unit 57 and the starter 54, the door control unit 55 and the do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light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And a second alarm transmitter 59 for detecting various abnormal states of the vehicle C generated by the vehicle lighting unit 57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abnormal stat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또한, 상기 차량 제어장치(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원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에서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제2 무선 수신부(51)에서 수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에서 송신되는 신호, 예컨대 적외선 신호를 제2 무선 수신부(51)에서 직접 수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is located at a long distanc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The second wireless receiver 51 receives the second wireless receiver 51 and transmits a signal, for example, an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7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hen located nea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ceive directly at 51.

여기서, 상기 시동부(54), 상기 도어 제어부(55) 및 상기 차량 조명부(57)에는 차량 도어의 이상 열림, 차량 엔진의 이상 시동 및 조명의 이상 점등 등과 같은 각종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경보 송신부(59)는 외부의 유무선 통신망(90)과 무선으로 접속되며, 상기 시동부(54), 상기 도어 제어부(55) 및 상기 차량 조명부(57)에서 발생되는 차량 도어의 이상 열림, 차량 엔진의 이상 시동 및 조명의 이상 점등 등과 같은 각종 이상 상황을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한다. Here, sensors for detecting various abnormal conditions such as abnormal opening of the vehicle door, abnormal starting of the vehicle engine, abnormal lighting of lighting,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 the starting unit 54, the door control unit 55 and the vehicle lighting unit 57. It is desirable to be. In addition, the second alarm transmitter 59 is wirelessly connected to an external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and the starter 54, the door controller 55, and the vehicle lighting unit 57 of the vehicle door generated from the vehicle. Various abnormal situations such as abnormal opening, abnormal starting of the vehicle engine, abnormal lighting of lighting, etc.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그리고,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7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제어키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유무선 통신망(90)을 접속되는 통신수 단 및 각종 데이터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메모리 수단은 소정의 자릿수를 가지는 제어키(Key),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홈 통제장치(30)이나 차량 제어장치(50) 등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코드 및 가입자 이름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어키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70 stores a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and stores various data or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related to the control key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t is preferred to include means. The memory means may include a control key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digits, a nu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a home control device 30 or a vehicle control device 50, a subscriber name,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o store a database and a program for managing the control keys.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홈 통제장치(30) 또는 차량 제어장치(50)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home control device 30 or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홈(H)이나 차량(C)을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원격 제어모드를 선택한 후, 제어하고자 하는 홈(H)이나 차량(C)을 선택한다.As shown in (a) of FIG. 5, when the user wants to remotely control the home (H) or the vehicle (C), the user selects the remote control mode by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n the home to be controlled. Select (H) or vehicle (C).

먼저, 도 5의 (b)를 참조하여 홈(H)을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키패드부(1)에 설치된 방향키나 기능키에 의해 홈(H)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4)에는 소정 자릿수의 제어키(key)를 입력하라는 안내문이 표시된다. 이어서, 상기 키패드부(1)를 통해 소정 자릿수의 제어키(key)를 입력하면, 메모리부(2)에 저장된 홈의 제어키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화면이 상기 표시부(4)상에 표시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4)에 에러 메시지나 제어키를 다시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First, a case of controlling the groove 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B. When the home H is selected by the direction key or the function key installed in the keypad unit 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display unit 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trol keys (key). You will be prompted to enter). Subsequently, when a control key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digits is input through the keypad 1, the screen shown in FIG. 5B is compared with the control key of the groove stored in the memory 2.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4, otherwise, a message for inputting an error message or control key aga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4.

다음에, 상기 표시부(4)에 표시되는 도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홈(H)이 원거리에 있으면, 도어의 개폐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10)의 신호 송/수신부(6)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홈 통제장치(30)의 제1 무선 수신부(31)로 송신되고, 홈 제어장치(33)에서 처리된 후 도어부(35)를 통해 도어를 열거나 닫게 된다. Next,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do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groove H are at a long distance, the opening / closing command of the door sends / receives the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wireless receiving unit 31 of the home control device 30 through the receiving unit 6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and processed by the home control device 33 to enumerate the door through the door unit 35. I will close.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홈(H)이 근거리에 있으면, 적외선 방식으로 도어의 개폐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를 통해 홈 통제장치(30)의 제1 무선 수신부(31)로 송신되고, 홈 제어장치(33)에서 처리된 후 도어부(35)를 통해 도어를 열거나 닫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home H are located at a short distance, an opening / closing command of the door is transmitted to the home control device 3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7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an infrared manner. 1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receiving unit 31, and processed by the home control device 33 is to open or close the door through the door unit 35.

그리고, 상기 표시부(4)에 표시되는 실내 조명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홈(H)이 원거리에 있으면, 실내 조명의 점등/소등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홈 통제장치(30)의 제1 무선 수신부(31)로 송신되고, 홈 제어장치(33)에서 처리된 후 실내조명부(37)를 통해 실내 조명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게 된다. When the indoor ligh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is select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home H are at a long distance, an on / off command of the indoor ligh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wireless receiver 31 of the home control device 30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processed by the home control device 33, and then through the indoor lighting unit 37. The room lights are turned on or off.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홈(H)이 근거리에 있으면, 적외선 방식으로 실내 조명의 점등/소등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를 통해 홈 통제장치(30)의 제1 무선 수신부(31)로 송신되고, 홈 제어장치(33)에서 처리된 후 실내조명부(37)를 통해 실내 조명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게 된다. In additio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home (H) is located at a short distance, the home control device 30 via the wireless transmitter 7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turned on / off command of the indoor lighting in an infrared mann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wireless receiver 31, and processed by the home control device 33 to turn on or off the indoor lighting through the indoor lighting unit 37.

한편, 제1 경보 송신부(39)는 상기 도어부(35) 및 상기 실내조명부(37)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도어의 이상 개폐나 실내 조명의 이상 점등/소등을 검출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한다. 즉, 홈(H)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상 상황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4)에 문자나 화상으로서 표시된다.Meanwhile, the first alarm transmitter 39 detects an abnormal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or abnormal lighting / off of an indoor light through sensors installed in the door part 35 and the indoor lighting part 37 to connect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wire or wirelessly. Transm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90. That is, various abnormal situations generated in the home H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s text or images.

또한, 도 5의 (c)를 참조하여 차량(C)을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차량(C)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4)에는 소정 자릿수의 제어키(key)를 입력하라는 안내문이 표시된다. 이어서, 상기 키패드부(1)를 통해 소정 자릿수의 제어키(key)를 입력하면, 메모리부(2)에 저장된 홈의 제어키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 5의 (c)에 도시된 화면이 상기 표시부(4)상에 표시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4)에 에러 메시지나 제어키를 다시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In addition, a case of controlling the vehicle 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C. When the vehicle C is sel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 guide for inputting a control key having a predetermined dig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ubsequently, when a control key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digits is input through the keypad 1, the screen shown in FIG. 5C is compared with the control key of the home stored in the memory 2.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4, otherwise, a message for inputting an error message or control key aga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4.

이어서, 상기 표시부(4)에 표시되는 시동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원거리에 있으면, 차량 엔진의 시동 개시나 정지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시동부(54)를 통해 차량 엔진의 시동을 개시하거나 정지시킨다. Subsequently, when selecting the star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vehicle C are at a long distance, the start or stop command of the vehicle engine is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receiver 51 of the vehicle controller 50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6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processed by the electronic controller 53, and then through the starter 54. Start or stop the vehicle engine.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근거리에 있으면, 적외선 방식으로 차량 엔진의 시동 개시나 정지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를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시동부(54)를 통해 차량 엔진의 시동을 개시하거나 정지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vehicle C are located at a short distance, a vehicle control apparatus (starting or stopping command of the vehicle engine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7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an infrared manner). 5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receiving unit 51, and is process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53 and then starts or stops the start of the vehicle engine via the starting unit 54.

계속해서, 상기 표시부(4)에 표시되는 도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원거리에 있으면, 차량 도어의 개폐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도어 제어부(55)를 통해 차량 도어를 열거나 닫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do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is selected,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vehicle C are at a long distance, the opening / closing command of the vehicle door sends a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second wireless receiver 51 of the vehicle controller 50 via the receiver 6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processed by the electronic controller 53, and then through the door controller 55 Will open or close.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근거리에 있으면, 적외선 방식으로 차량 도어의 개폐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를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도어 제어부(55)를 통해 차량 도어를 열거나 닫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vehicle C are located at a short distance, an opening / closing command of the vehicle door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7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an infrared manner. The vehicl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door controller 55 after being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receiver 51 and processed by the electronic controller 53.

이어서, 상기 표시부(4)에 표시되는 차량 조명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원거리에 있으면, 차량 조명의 점등/소등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차량 조명부(57)를 통해 차량 조명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vehicle lightin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is selected,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vehicle C are at a long distance, the on / off command of the vehicle lighting is execu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receiver 51 of the vehicle controller 50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6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and processed by the electronic controller 53 and then through the vehicle lighting unit 57. The vehicle lights are turned on or off.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근거리에 있으면, 적외선 방식으로 차량 조명의 점등/소등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를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차량 조명부(57)를 통해 차량 조명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vehicle C are located at a short distance, the on / off command of the vehicle light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7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an infrared manner.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receiver 51, and is processed by the electronic controller 53 to turn on or off the vehicle light through the vehicle lighting unit 57.

계속해서, 상기 표시부(4)에 표시되는 내차 찾기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원거리에 있으면, 차량 스피커의 경고음 발생 및 정지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 에서 처리된 후 스피커(56)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정지시키게 된다. Subsequently, when selecting the finding my ca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vehicle C are at a long distance, a warning sound generation and a stop command of a vehicle speaker is generated.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receiver 51 of the vehicle controller 50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6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and processed by the electronic controller 53 and then the speaker 56. This will generate a warning sound or stop it.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근거리에 있으면, 적외선 방식으로 차량 스피커의 경고음 발생 및 정지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를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스피커(56)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정지시키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vehicle C are located at a short distance, a warning sound generation and a stop command of the vehicle speaker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7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an infrared manner. 5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receiving unit 51, and processed by the electronic controller 53, and generates or stops a warn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56.

한편, 제2 경고 송신부(59)는 상기 시동부(54), 상기 도어 제어부(55) 및 상기 차량 조명부(57)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차량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여, 상기 차량(H)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상 상황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4)에 문자나 화상으로서 표시된다.Meanwhile, the second warning transmitter 59 detects various abnormal conditions generated in the vehicle through sensors installed in the starter 54, the door controller 55, and the vehicle lighting unit 57, and is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via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various abnormal situations generated in the vehicle H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s text or images.

다른 한편, 주차중인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각종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전자 제어장치(54)로 입력되어, 상기 스피커(56)에서는 각종 경고음이 발생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경보 송신부(59)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차량의 이상 상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4)에 문자나 화상으로서 표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a parked vehicle, signals detected by various sensors are input to the electronic controller 54, and various warning sounds are generated in the speaker 56, and the second alarm transmitter 59 The abnormal situation of the vehic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s a character or an image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홈 통제장치(30) 또는 차량 제어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키(key)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hange of a control key for controlling the home control device 30 or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홈 통제장치(30) 또는 차량 제어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키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 process of changing the control key for controlling the home control device 30 or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우선, 사용자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홈 통제장치(30) 또는 차량 제어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키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상에 표시되는 메뉴상에서 제어키 변경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0).First,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control key for controlling the home control device 30 or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carried by the user, the control key change is selected on the menu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S10).

이 판정 결과, 제어키 변경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상에서 제어키 변경 메뉴를 종료한다.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when the control key change is not selected, the control key change menu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nds.

그러나, 이 판정 결과, 제어키 변경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상에서 키패드부(1)를 통해 소정 포맷, 예컨대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4~12 자리수의 종래 제어키와 신규 제어키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신규 제어키를 적용시키고(S30), 이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모리부(1)에 저장한다.However,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when the control key change is selected, the conventional control key and the new control of 4 to 12 digits in a predetermined format,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numbers or letters, through the keypad unit 1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By inputting the key, a new control key is applied (S30), and then stored in the memory unit 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이와 동시에, 신규 제어키는 신호 송수신부(6)와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제어키 관리서버(70)로 송신되고,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70)에 탑재된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홈 통제장치(30) 및 차량 제어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키로서 저장된다.At the same time, the new control key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70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6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90 and processed by the control key management program mounted on 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70. And stored in a database as a control key for controlling the home control device 30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50.

이와 같이, 제어키 관리서버(70)에서 신규 제어키가 저장되면, 상기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신규 제어키를 공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70)에 저장된 제어키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제어키는 메시지 형태로 전송되거나 혹은 파일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new control key is stored in 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70, the control stored in 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70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aring the new control key stored in the database by the control key management program. The key will be sent. In this case, the control key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message or in the form of a fi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홈이나 차량에 각종 이상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원격지에서도 정확히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원격지에서도 홈이나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occurrence of various abnormal conditions in the home or the vehicle at a remote location, and control the home or the vehicle at a remote loc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이나 차량을 근거리에서는 직접 제어하고, 원거리에서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와 홈 및 차량의 위치 관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홈이나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to directly control a home or a vehicle at a short distance and remotely controlled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a long distanc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home and the vehicle is 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ome or vehicle can be remotely controlled in various way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지에서도 홈이나 차량의 이상 상황을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확인하고, 이와 상황에 대응하여 홈이나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check the abnormal situation of the home or vehicl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in a remote location, and remotely control the home or vehicle in response to the situation.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홈이나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키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더라도 제어키 관리서버나 다른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어키가 보관되어 있으므로, 제어키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trol key for controlling a home or a vehicle is lost, the control key is stored in 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or another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Claims (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In th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행하면서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또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포맷의 제어키를 저장 혹은 변경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necessary for controlling a home or a vehicle while perform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nd stores or changes a control key of a predetermined format required to control the home or a vehicl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수신하여,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면서, 홈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상 상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홈 통제장치와;Receiving a signal and a control key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ome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various abnormalities generated in the hom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e interior and exterior lighting is turned on / off Wow;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수신하여,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차량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고,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면서, 각종 이상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장치와;Receives signals and control key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arts and stops the vehicle engine, opens and closes the vehicle door or trunk, turns on / offs the vehicle lights, and outputs various warning sounds to the outside to display various abnormal states. A vehicle control apparatus for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홈 통제장치 및 차량 제어장치의 제어시 사용되는 제어키(key), 제어키를 공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름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어키의 등록 및 변경 등을 관리하는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 등을 탑재하는 제어키 관리서버 및;A control key used for controlling the home control device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a database for storing various data such as a telephone number and a nam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aring the control key, and registration and change of the control key. A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equipped with a control key management program and the lik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홈 통제장치, 상기 차량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를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구비하고,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ome control device,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by wire and wirelessly;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는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어키의 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변경된 제어키를 상기 제어키 공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The control key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changed control key to the control key shar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a change of the control key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키, 방향키 및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패드부, 상기 제어키 및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소정의 절차에 따라 각종 연산이나 주변기기 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텍스트나 화상 등의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음성을 입력하고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 무선으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일정한 유효거리를 갖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keypad unit consisting of numeric keys, direction keys and function keys,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ontrol keys and various data or programs, a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s or peripheral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text o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arious data such as an image, a voice input / output unit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 a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signals wirelessly,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signals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having a certain effective distanc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wireless transmit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홈 통제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무선 수신부, 상기 홈의 실내외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홈 서버와 같은 홈 제어장치, 상기 홈의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이나 기름 또는 가스 보일러 등과 같은 냉난방장치를 기동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냉난방 제어부,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 상기 홈의 실내에 설치되는 텔레비전,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가동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가전제품 제어부, 실내외에 설치된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실내외 조명 제어부 및 상기 도어부나 실내외 조명부에서 발생되는 도어의 이상 열림이나 실내외 조명의 이상 점등 등과 같은 각종 이상 상황을 센서 등으로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 경보 송신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The hom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first wireless receiver that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home control device such as a home server that controls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home, and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inside the home. Heating and cool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art or stop of heating and cooling devices such as oil or gas boilers, do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installed in the entrance, operation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televisions, refrigerators, washing machines, etc. The controller controls home appliances for controlling the stop, the indoor / outdoor ligh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indoor / outdoor lighting installed in the indoor / outdoor, and various abnormal conditions such as abnormal opening of the door or abnormal lighting of the indoor / outdoor lighting generated by the door unit or indoor / outdoor lighting unit. First alarm to be detec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bride and the lik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홈 통제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제1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The home control device is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 signal and a control key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홈 통제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제1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The home control device is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 signal and a control key transmitted from a wireless transmit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first wireless receiv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엔진 제어장치, 속도 표시장치 및 연료량 표시장치 등의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장치,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시동부, 차량 도어 및 트렁크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차량의 실내외에 설치된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차량 조명부 및 상기 시동부, 상기 도어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조명부 등에서 발생되는 차량의 각종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2 경보 송신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The vehicle control device is an electronic control for controll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second wireless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and a control key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ngine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a speed display device and a fuel amount display device. A device, a starter for controlling the start and stop of the vehicle engine, a do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and the trunk, a speaker for outputting various warning sounds to the outside, and a vehicle ligh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light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And a second alarm transmitter which detects various abnormal conditions of the vehicle generated by the starter, the door controller, and the vehicle lighting unit, and transmits them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차량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제2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is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 signal and a control key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차량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제2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is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 signal and a control key transmitted from a wireless transmit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econd wireless receiver.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무선 송신부는 적외선 신호 및 제어키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수신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는 일반 신호뿐만 아니라 적외선 신호도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And the wireless transmitter transmits an infrared signal and a control key, and the first wireless receiver or the second wireless receiver receives and processes an infrared signal as well as a general signal.
KR1020050026332A 2005-03-30 2005-03-30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nd vehicle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7157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332A KR100715719B1 (en) 2005-03-30 2005-03-30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nd vehicle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332A KR100715719B1 (en) 2005-03-30 2005-03-30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nd vehicle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299A KR20060104299A (en) 2006-10-09
KR100715719B1 true KR100715719B1 (en) 2007-05-08

Family

ID=3763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332A KR100715719B1 (en) 2005-03-30 2005-03-30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nd vehicle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7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799B1 (en) * 2009-02-17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in the same
KR101320618B1 (en) * 2010-12-21 2013-10-23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key management
CN105427423A (en) * 2015-11-17 2016-03-23 宗科惠 Automatic car door opening method and system
JP6954005B2 (en) 2017-10-30 2021-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DE102018000318A1 (en) 2018-01-17 2019-07-18 Daimler Ag Control of lighting sys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558A (en) * 2000-02-16 2001-09-01 정명식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 remotely using mobil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KR20030043083A (en) * 2001-11-26 2003-06-02 윤재웅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85602A (en) * 2002-04-25 2003-1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network and methods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558A (en) * 2000-02-16 2001-09-01 정명식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 remotely using mobil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KR20030043083A (en) * 2001-11-26 2003-06-02 윤재웅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85602A (en) * 2002-04-25 2003-1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network and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299A (en)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54815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 device in domestic network system
US6970539B2 (en) Remote operation system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es, remote operating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es and base station for performing remote operation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es
US7778604B2 (en) Garage door opener communications gateway module for enabling communications among vehicles, house devices, 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20210065534A1 (en) In-field sensor programming
EP2113886A2 (en) Remote monitoring, interrogation and control apparatus for stationary and mobile systems
US20110102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pairing and enabling the reciprocal locating of keys and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US200400365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KR100715719B1 (en)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nd vehicle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48188A (en) Air-conditioner's control system using telephone network and its operating method
US8000727B1 (en) Optical image processing for accessing building control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484196B1 (en) System component installation
NO314376B1 (en) Access control system
KR20040082822A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for Remote Control and Remote Control Apparatus
CN106444413A (en) Smart hom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router
JP4626475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operation method
KR200412280Y1 (en) Voice message system of Door Rock who uses the Door Phone
KR100547870B1 (en)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U20022480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packet
KR100756358B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bluetooth and method thereof
JP7442437B2 (en)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method, program
US7227461B2 (en) Security confi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872073B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product in remote by using video information
KR10062627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remo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nternet
KR100826826B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bluetooth and method thereof
AU20022480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p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