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778A - Apparatus for support a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ommunication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ort a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ommunic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778A
KR20050067778A KR1020030098796A KR20030098796A KR20050067778A KR 20050067778 A KR20050067778 A KR 20050067778A KR 1020030098796 A KR1020030098796 A KR 1020030098796A KR 20030098796 A KR20030098796 A KR 20030098796A KR 20050067778 A KR20050067778 A KR 20050067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voice
speaker
dual
ear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원익
박완근
홍준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9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7778A/en
Publication of KR20050067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77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설치하여 벨소리나 음악 등을 스테레오 음향으로 출력하고, 각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통한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테레오 음향 및 이중 음성 통화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utput a ringtone or music in stereo sound, and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nable a voice call through the speaker combined with each earpiece A support device.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테레오 음향 및 이중 음성 통화 지원 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스테레오 전용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이용하여 벨소리나 음악 등을 스테레오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단말기 적정 가격 유지와 공간 활용이 가능해 질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스테레오 음향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apparatus for supporting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all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ngtone or music is output as stereo sound by using a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using a separate stereo speaker. This will enable the terminal to maintain a reasonable price and utilize space, as well as provide multimedia services in stereo sound.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폴더 크로스 또는 오픈 상태에 따라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 중에서 대응하는 하나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선택하여 음성 통화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상태에 따른 이중 음성 통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ng one of the earpiece combined speaker from the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according to the folder cross or open state to provide a voice call, the dual voice call according to the folder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can be supported.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테레오 음향 및 이중 음성 통화 지원 장치{Apparatus For Support A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ommunications}Apparatus For Support A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설치하여 벨소리나 음악 등을 스테레오 음향으로 출력하고, 각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통한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테레오 음향 및 이중 음성 통화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speaker combined with an earpiece, and in particular, by installing a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utput a ringtone or music, such as stereo sound, voice call through each earpiece combined speak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all supporting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PCS 폰이나 셀룰러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기술 발전과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음성 통화나 문자 송수신 서비스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테레오(stereo) 음향의 재생 기능이 제공되면서 다양한 벨소리 및 음악 출력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Recently, most people u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PCS phones, cellular phones, PDAs, etc. Also, due to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technolog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not only voice communication and text transmission / reception services but als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s the stereo sound playback function is provided, various ringtones and music outputs are possible.

그리고,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벨소리 및 음악 등의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해서 별도의 스테레오 겸용 스피커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있으나, 가격 상승 및 공간 부족 등으로 성능이 뛰어난 스테레오 스피커의 사용에는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어 만족할만한 성능을 얻지 못하고 있으며, 아무리 고성능의 스테레오 겸용 스피커라 할지라도 하나의 스피커로는 양질의 스테레오 음향을 재생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forementio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s a separate stereo speaker for stereo sound reproduction such as ringtones and music,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limitation on the use of a high performance stereo speaker due to an increase in price and lack of space. No satisfactory performance is obtained, and no matter how high-performance stereo speakers are, a single speaker cannot produce high quality stereo sound.

전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의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음성 통화 모드인 경우 음성 출력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기 폴터의 윗면에 리시버(Receiver) 겸용 스피커 또는 양방향 스피커를 사용하거나, 이어피스(Earpiece)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용 리시버로 사용하고 있으며, 폴더 외면 또는 밧데리가 있는 뒷면에도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하여 벨소리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적으로는 스테레오 음향의 재생 기능을 제공하지만 실제적으로 스피커를 통한 스테레오 음향의 출력 기능은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Due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most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e a receiver or two-way speaker on the top of the terminal folder to perform a voice output function in the voice call mode, or use an earpiece. It is used as a receiver for voice calls, and a separate speaker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older or on the back of the battery for rington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utput function of the stereo sound through is not supported.

또한,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4극 이어잭을 구현한 후에 그 4극 이어잭에 헤드폰(또는 좌우측 이어폰)을 연결하여 스테레오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헤드폰을 연결하여 벨소리를 듣는 사람은 거의 없으므로 실질적인 스테레오 기능이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conventionally, after implementing a 4-pole ear jack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eadphone (or left and right earphones) is connected to the 4-pole ear jack to listen to stereo sound. Since there are few listen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tual stereo function is not implement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별도의 스테레오 전용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단말기에 설치된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이용하여 벨소리나 음악 등에 대한 스테레오 음향 출력을 지원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use a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installed in the terminal without using a separate stereo dedicated speak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utput stereo sound for ringtone or music, etc. It is to suppo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해 줌으로써, 저렴한 가격과 공간 활용으로 스테레오 음향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스테레오 음향의 VOD 시청, 영화 및 음악, 게임시 TV 시청 등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utputting stereo sound using a dual earpiece speak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upport stereo sound at a low price and space utilization, through which VOD viewing of stereo sound, movies and music, It is to provide multimedia services such as watching TV during gam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폴더 크로스 또는 오픈 상태에 따라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 중에서 대응하는 하나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선택하여 음성 통화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상태에 따른 이중 음성 통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ice call by selecting a corresponding earpiece combined speaker among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s according to a folder cross or open stat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to enable dual voice call mod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나 멀티미디어 음향을 단말기 사용자가 스테레오 음향으로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해 주는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와; 상기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통해 벨소리나 멀티미디어 음향의 스테레오 출력을 지원하는 멜로디 IC와;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해 주는 음성 코덱과; 상기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와, 멜로디 IC 및 음성 코덱 사이에 아날로그 스위치 방식으로 설치되며, 폴더 상태에 따른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음성 코덱의 출력을 대응하는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로 연결해 주는 스위칭부와; 호 착신이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시에 상기 멜로디 IC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함으로써 벨소리나 멀티미디어 음향의 스테레오 출력을 지원하며, 상기 벨소리 출력 상태에서 통화 시작 요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멜로디 IC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에 해당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 코덱으로 전달하여 음성 통화를 지원하고, 상기 폴더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테레오 음향 및 이중 음성 통화 지원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is a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for outputting the ringtone or multimedia sou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user can listen to the stereo sound; A melody IC for supporting stereo output of a ring tone or multimedia sound through the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A voice codec for converting digital voice data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analog voice signal; A switch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a melody IC, and a voice codec, and connecting the output of the voice codec to a corresponding earpiece combined speaker through a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a folder state; Supports stereo output of a ringtone or multimedia sound by output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melody IC and adjusting the volume of the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when a call is received or a multimedia service is provided. If it is detected that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elody IC to pass the corresponding voice data to the voice codec to support a voice call, and comprises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folder opening and closing sta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all support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상기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는, 폴더 외측에 설치되어 폴더 크로스 상태에서의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리시버용 스피커로 사용되는 하나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와; 폴더 내측에 설치되어 폴더 오픈 상태에서의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리시버용 스피커로 사용되는 다른 하나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one earpiece combined speaker which is installed outside the folder and used as a speaker for supporting a voice call in the folder cross state; It is installed inside the f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other earpiece combined speaker used as a speaker for supporting a voice call in the folder open state.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는, 중앙 제어부의 스위칭 동작 제어에 따라 폴더 크로스 상태에서는 상기 음성 코덱의 음성 신호 출력을 폴더 외측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로 연결해 주고, 폴더 오픈 상태에서는 상기 음성 코덱의 음성 신호 출력을 폴더 내측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로 연결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tching unit connects the voice signal output of the voice codec to the earpiece combined speaker outside the folder in the folder cross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entral controller, and in the folder open state, outputs the voice signal output of the voice codec to the folder. The inner earpiece is characterized by connecting to the speaker.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는, 폴더 크로스 상태인 경우 음성 코덱의 출력을 폴더 외측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로 연결하도록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폴더 오픈 상태인 경우 상기 음성 코덱의 출력을 폴더 내측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로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이중 음성 통화 모드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to connect the output of the voice codec to the earpiece combined speaker outside the folder in the folder cross state, and to connect the output of the voice codec to the ear inside the folder in the folder open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supporting the dual voice call mode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to be connected to the dual-piece speak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설치하여 벨소리 또는 음향을 별도의 전용 스테레오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폴더 내외측 스피커의 음량 조절을 통하여 구현하고, 또한 폴더 개폐 상태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선택하여 리시버용 스피커로 사용함으로써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이러한 스테레오 음향 출력 및 이중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는 첨부한 도면 도 1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mplement the ringtone or sound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inside and outside the folder without using a separate dedicated stereo speaker, and also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folder opening and closing By using the earpiece combined speaker as a speaker for the receiver to enable a voice call, the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upporting such a stereo sound output and dual voice call is as shown in FIG.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의 (가) 및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음향의 출력을 위해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 12)를 구비하고 있는데, 하나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 즉, 제1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는 폴더 외측의 서브 LCD 창 상단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 즉,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2)는 폴더 내측의 메인 LCD 창 상단에 설치된다.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 1, is provided with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s 11 and 12 for outputting stereo sound. The dual-piece speaker, that is, the first earpiece dual speaker 11,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ub LCD window outside the folder, and the other earpiece dual speaker, that is, the second earpiece dual speaker 12, is the main LCD inside the folder. Installed at the top of the window.

이때, 폴더 외측에 설치된 제1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는 폴더 크로스 상태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리시버용 스피커로 사용되고, 폴더 내측에 설치된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2)는 폴더 오픈 상태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리시버용 스피커로 사용된다. 또한 단말기 키패드 하단에는 음성 통화를 위한 마이크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first earpiece combined speaker 11 installed outside the folder is used as a speaker for a voice call in a folder cross state, and the second earpiece combined speaker 12 installed inside the folder is a voice call in a folder open state. Used as a speaker for the receiver. In addition, a microphone for a voice call is installed below the terminal keypad.

그리고, 상술한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 12)로 단말기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고, 이중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멜로디 IC(21)와, 음성 코덱(22)과, 스위칭부(23) 및 중앙 제어부(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outputting a stereo sound so that the terminal user can hear the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11, 12), and to support a dual voice call as shown in FIG. Similarly, the melody IC 21, the voice codec 22, the switching unit 23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24 are provided.

멜로디 IC(21)는 중앙 제어부(24)로부터 동작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제1 및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 12)를 통해 벨소리나 음향 등의 스테레오 출력을 지원한다.The melody IC 21 receive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24 and supports stereo output such as a ring tone or soun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arpiece combined speakers 11 and 12.

음성 코덱(22)은 중앙 제어부(24)로부터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전달받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부(23) 측으로 출력해 주며, 이때 중앙 제어부(24)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증폭 이득이 조절되기도 한다.The voice codec 22 receives the digital voice data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24, converts the digital voice data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audio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23. In this case,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analog voice signal is adjust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24. Sometimes.

스위칭부(23)는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와, 멜로디 IC(21) 및 음성 코덱(22) 사이에 아날로그 스위치 방식으로 설치되며, 중앙 제어부(24)의 스위칭 동작 제어에 따라 폴더 크로스 상태에서는 스위칭 접점을 1번 핀으로 접속하여 음성 코덱(22)의 출력을 제1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로 연결함으로써 음성 통화시 음성 코덱(22)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제1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로 출력해 주고, 폴더 오픈 상태에서는 스위칭 접점을 2번 핀으로 접속하여 음성 코덱(22)의 출력을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2)와 연결함으로써 음성 통화시 음성 코덱(22)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2)로 출력해 준다.The switching unit 23 is installed between the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the melody IC 21 and the voice codec 22 by an analog switch method, and the switching contact in the folder cross stat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4. Pin 1 to connect the output of the voice codec 22 to the first earpiece combined speaker 11 to connect an analog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codec 22 during a voice call to the first earpiece combined speaker 11. Outputted from the voice codec 22 during voice call by connecting the switching contact with pin 2 and connecting the output of the voice codec 22 with the second earpiece speaker 12 in the folder open state. The analog audio signal is output to the second earpiece combined speaker 12.

중앙 제어부(24)는 호 착신시나 멀티미디어 서비스시 동작 제어 신호를 멜로디 IC(21)로 출력하여 그 멜로디 IC(21)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 12)의 음량을 조절함으로써 벨소리나 멀티미디어 음향의 스테레오 출력을 지원하며, 벨소리 출력 상태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폴더 오픈이나 통화 키 선택이 감지되는 경우 멜로디 IC(2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The central control unit 24 outpu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a melody IC 21 when a call is received or a multimedia servic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elody IC 21,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earpiece speakers 11 and 12.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it supports stereo output of the ringtone or multimedia sound,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melody IC 21 when a folder open for a voice call or a call key selection is detected in the ringtone output state.

또한, 중앙 제어부(24)는 안테나 및 RF 처리부(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음성 코덱(22)으로 전달하여 음성 통화를 지원하고, 음성 통화시 폴더 개폐 상태에 따라 스위칭부(23)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음성 통화를 지원하되, 폴더 크로스 상태인 경우에는 음성 코덱(22)의 출력을 제1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로 연결하도록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폴더 오픈 상태인 경우에는 음성 코덱(22)의 출력을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2)로 연결하도록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24 transmits the voice data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the RF processing unit (not shown) to the voice codec 22 to support voice calls, and in response to the folder opening and closing state, the switching unit ( 23 to support the voice call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operation, in the case of the folder cross state, the switching operation is controlled to connect the output of the voice codec 22 to the first earpiece combined speaker 11, the folder open state In this case, the switching operation is controlled to connect the output of the voice codec 22 to the second earpiece speaker 12.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고, 이중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처리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for outputting stereo soun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d supporting dual voice call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 모드에 있다가 임의의 호가 착신되어 착신 모드로 천이하게 되면(스텝 S31), 중앙 제어부(24)에서는 벨소리 출력을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멜로디 IC(21)로 출력하게 된다.Firs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standby mode and an arbitrary call is received and transitions to the incoming mode (step S31), the central control unit 24 outpu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ring tone to the melody IC 21. .

이때, 멜로디 IC(21)는 중앙 제어부(24)의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지정된 벨소리를 제1 및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 12)로 출력하게 되고, 중앙 제어부(24)에서는 제1 및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 12)의 출력 음량을 조절함으로써 멜로디 IC(21)로부터 출력되는 벨소리를 스테레오 음향으로 출력시키게 된다(스텝 S32).At this time, the melody IC 21 outputs a ring tone design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4 to the first and second earpiece combined speakers 11 and 12. The sound volume output from the melody IC 21 is output as stereo sound by adjusting the output volume of the 2nd earpiece combined speaker 11 and 12 (step S32).

이후, 중앙 제어부(24)는 멜로디 IC(21)의 벨소리 출력 상태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폴더 오픈이나 통화 키 선택 등과 같은 통화 시작 요청이 감지되면 멜로디 IC(21)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해당되는 벨소리의 스테레오 출력을 차단시킨 후(스텝 S33), 해당되는 폴더 개폐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34).Subsequently, the central control unit 24 stops the operation of the melody IC 21 when a call start request such as opening a folder for a voice call or selecting a call key in the ring tone output state of the melody IC 21 is detected. After the stereo output is cut off (step S33), the corresponding folder opening / closing state is checked (step S34).

이때, 폴더 개폐 상태를 확인한 결과, 폴더 크로스(close)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즉,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통화 키 조작을 통해 통화 시작을 요청한 경우 중앙 제어부(24)는 스위칭부(23)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스위칭 접점이 1번 핀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음성 코덱(22)의 출력을 폴더 외측에 설치된 제1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로 연결하도록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게 되고(스텝 S35), 또한 안테나 및 RF 처리부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음성 코덱(22)으로 전달함으로써, 해당되는 음성 코덱(22)으로 하여금 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부(23) 측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older is opened and closed, that is, when the folder is closed, that is, when the call is requested to start through an external call key operation when the folder is closed, the central control unit 24 switches The switching operation is controlled to connect the output of the voice codec 22 to the first earpiece combined speaker 11 installed outside the folder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contact to pin 1 (step S35). Also, by transmitting the voice data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the RF processing unit to the voice codec 22, the corresponding voice codec 22 is converted to an analog voice signal to control the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23 side Done.

이로써, 음성 코덱(22)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스위칭부(23)의 1번 핀을 통해 제1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로 출력되고, 이때 폴더 외측의 제1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단말기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음성으로 출력해 줌으로써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스텝 S36).As a result, the analog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codec 22 is output to the first earpiece combined speaker 11 through pin 1 of the switching unit 23, and at this time, the first earpiece combined speaker 11 outside the folder. In this case, the voice call service is provided by outputting the analog voice signal as voice so that the terminal user can hear it (step S36).

하지만, 스텝 S34에서 폴더 개폐 상태를 확인한 결과, 폴더 오픈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즉, 폴더를 오픈하여 통화 시작을 요청하거나, 폴더를 오픈한 상태에서 통화 키 조작을 통해 통화 시작을 요청한 경우 중앙 제어부(24)는 스위칭부(23)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스위칭 접점이 2번 핀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음성 코덱(22)의 출력을 폴더 내측에 설치된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2)로 연결하도록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게 되고(스텝 S37), 또한 안테나 및 RF 처리부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를 음성 코덱(22)으로 전달함으로써, 해당되는 음성 코덱(22)으로 하여금 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부(23) 측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34 that the folder is opened and closed, it is determined that the folder is in the open state, that is, when the call is requested to start a call by opening the folder or when the call is requested by operating a call key while the folder is opened, the central control unit The switch 24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23 so that the switching contact is connected to pin 2 so that the output of the voice codec 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earpiece combined speaker 12 installed inside the folder. The operation is controlled (step S37), and the voice data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the RF processor is transferred to the voice codec 22, so that the corresponding voice codec 22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an analog voice signal. It is controlled to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23 side.

이로써, 음성 코덱(22)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스위칭부(23)의 2번 핀을 통해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2)로 출력되고, 이때 폴더 내측의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2)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단말기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음성으로 출력해 줌으로써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스텝 S38).As a result, the analog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codec 22 is output to the second earpiece combined speaker 12 through the second pin of the switching unit 23, and at this time, the second earpiece combined speaker 12 inside the folder. In step S38, a voice call service is provided by outputting an analog voice signal as a voice so that a user of the terminal can hear it (step S38).

한편, 본 발명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중앙 제어부(24)는 멜로디 IC(21) 또는 별도의 오디오 칩셋을 통해 멀티미디어 음향 처리를 수행한 후에 이를 제1 및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 12)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스테레오 음향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hen the multimedia service is t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24 performs the multimedia sound processing through the melody IC 21 or the separate audio chipset, and then combines the first and second earpiece speaker 11, By outputting through 12, it is possible to support stereo sou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및 제2이어피스 겸용 스피커(11, 12)의 설치 위치는 폴더 내외측 만이 아닌 폴더 내측과 밧데리가 있는 뒷면 등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carried out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earpiece combined speaker (11, 12) may be installed not only inside and outside the folder, but also inside the folder and the back of the batter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테레오 음향 및 이중 음성 통화 지원 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스테레오 전용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이용하여 벨소리나 음악 등을 스테레오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supporting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al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stereo dedicated speaker, using a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ing or music, etc. Stereo sound can be output.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해 줌으로써, 단말기 적정 가격 유지와 공간 활용이 가능해 지고, 나아가 VOD 시청, 영화 및 음악, 게임시 TV 시청 등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스테레오 음향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stereo sound by using a dual earpiece speak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ppropriate price and space utilization of the terminal, and furthermore, multimedia services such as watching VOD, movie and music, TV during games, etc. Can be provided in stereo sound.

나아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폴더 크로스 또는 오픈 상태에 따라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 중에서 대응하는 하나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선택하여 음성 통화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상태에 따른 이중 음성 통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ng a corresponding earpiece combined speaker from among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s according to a folder cross or open state, a voice call is provided according to a folder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can be suppor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음향 출력 및 이중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upporting stereo sound output and dual voice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테레오 음향 및 이중 음성 통화 지원 장치를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supporting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all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고, 이중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처리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ing operation for outputting stereo sound and supporting dual voice call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12 :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 21 : 멜로디 IC11, 12: Earpiece combined speaker 21: Melody IC

22 : 음성 코덱 23 : 스위칭부22: voice codec 23: switching unit

24 : 중앙 제어부(24) 24: central control unit 24

Claims (4)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나 멀티미디어 음향을 단말기 사용자가 스테레오 음향으로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해 주는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와;A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for outputting a ring tone or a multimedia sou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user can listen to the stereo sound; 상기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를 통해 벨소리나 멀티미디어 음향의 스테레오 출력을 지원하는 멜로디 IC와;A melody IC for supporting stereo output of a ring tone or multimedia sound through the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해 주는 음성 코덱과;A voice codec for converting digital voice data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analog voice signal; 상기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와, 멜로디 IC 및 음성 코덱 사이에 아날로그 스위치 방식으로 설치되며, 폴더 상태에 따른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음성 코덱의 출력을 대응하는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로 연결해 주는 스위칭부와;A switch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a melody IC, and a voice codec, and connecting the output of the voice codec to a corresponding earpiece combined speaker through a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a folder state; 호 착신이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시에 상기 멜로디 IC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함으로써 벨소리나 멀티미디어 음향의 스테레오 출력을 지원하며, 상기 벨소리 출력 상태에서 통화 시작 요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멜로디 IC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에 해당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 코덱으로 전달하여 음성 통화를 지원하고, 상기 폴더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테레오 음향 및 이중 음성 통화 지원 장치.Supports stereo output of a ringtone or multimedia sound by output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melody IC and adjusting the volume of the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when a call is received or a multimedia service is provided, and a call start request is made at the ringtone output state. If it is detected that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elody IC transfers the corresponding voice data to the voice codec to support a voice call, and comprises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according to the fold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upporting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듀얼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는, 폴더 외측에 설치되어 폴더 크로스 상태에서의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리시버용 스피커로 사용되는 하나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와;The dual earpiece combined speaker includes: one earpiece combined speaker installed outside the folder and used as a speaker for supporting a voice call in a folder cross state; 폴더 내측에 설치되어 폴더 오픈 상태에서의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리시버용 스피커로 사용되는 다른 하나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테레오 음향 및 이중 음성 통화 지원 장치.An apparatus for supporting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all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installed inside a folder and is composed of another earpiece combined speaker used as a speaker for supporting a voice call in a folder open sta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칭부는, 중앙 제어부의 스위칭 동작 제어에 따라 폴더 크로스 상태에서는 상기 음성 코덱의 음성 신호 출력을 폴더 외측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로 연결해 주고, 폴더 오픈 상태에서는 상기 음성 코덱의 음성 신호 출력을 폴더 내측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로 연결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테레오 음향 및 이중 음성 통화 지원 장치.The switching unit connects the voice signal output of the voice codec to the earpiece combined speaker outside the folder in the folder cross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he voice signal output of the voice codec inside the folder in the folder open state. Device for supporting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all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to the earpiece combined speak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폴더 크로스 상태인 경우 음성 코덱의 출력을 폴더 외측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로 연결하도록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폴더 오픈 상태인 경우 상기 음성 코덱의 출력을 폴더 내측의 이어피스 겸용 스피커로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이중 음성 통화 모드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테레오 음향 및 이중 음성 통화 지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entral control unit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to connect the output of the voice codec to the earpiece combined speaker outside the folder in the folder cross state,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voice codec in the folder open state. And a dual voice call mode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peaker inside the folder.
KR1020030098796A 2003-12-29 2003-12-29 Apparatus for support a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ommunications KR200500677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796A KR20050067778A (en) 2003-12-29 2003-12-29 Apparatus for support a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ommunic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796A KR20050067778A (en) 2003-12-29 2003-12-29 Apparatus for support a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ommunic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778A true KR20050067778A (en) 2005-07-05

Family

ID=3725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796A KR20050067778A (en) 2003-12-29 2003-12-29 Apparatus for support a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ommunica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777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73B1 (en) * 2005-11-28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 of Speaker Operater On/Off in Mobi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73B1 (en) * 2005-11-28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 of Speaker Operater On/Off in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299B1 (en) Remote speaker controller with microphone
JP3542955B2 (en) Mobile phone
CN100531242C (en) Sound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i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CN101263703A (en) Wireless hom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devcie
US20070121606A1 (en) VOIP Hub Using Existing Audio or Video Systems
US20220286538A1 (en) Earphon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GB2447493A (en) User-controllable operation of local outgoing and incoming message stores
JP3159321B2 (en) Mobile phone
JP2003018267A (en) Mobile telephone set
KR20050067778A (en) Apparatus for support a stereo sound and dual voice communications
KR10061998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radio antenna and radio recieving method thereof
KR100469847B1 (en) Multi-function signal video/audio phone
KR100713352B1 (en) Wireless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ler with hands free for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10025183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uto gain audio in digital cellular radio multi-function terminal
KR20020011488A (en) Receiver-loud part integrating speaker and mobile phone including the same
KR200258287Y1 (en) Multi-function signal video/audio phone
KR10073656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10056429A (en) Folder type mobile station
KR100624787B1 (en) Mobile Phone equipped Bi-Polar Speaker
KR200252094Y1 (en) hands free phone
KR20030076041A (en)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audio device with a function of hands-free
KR10063933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ound switch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0262874Y1 (en) An earphone with receiver
KR100413537B1 (en) hands free phone
JPH09261331A (en)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