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787B1 - Mobile Phone equipped Bi-Polar Speaker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equipped Bi-Polar 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787B1
KR100624787B1 KR1020040101257A KR20040101257A KR100624787B1 KR 100624787 B1 KR100624787 B1 KR 100624787B1 KR 1020040101257 A KR1020040101257 A KR 1020040101257A KR 20040101257 A KR20040101257 A KR 20040101257A KR 100624787 B1 KR100624787 B1 KR 10062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peaker
sound
output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2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62424A (en
Inventor
이택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787B1/en
Priority to CNA2005100775769A priority patent/CN1783910A/en
Publication of KR20060062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4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스피커폰 기능 및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사용시 대신호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외부 스피커와, 통화시 소신호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스피커폰 기능 및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사용시 대신호의 사운드가 출력 가능한 고출력 특성의 스피커로 이루어진 리시버용 스피커와, 상기 대신호의 사운드가 사용자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폴더 열림/닫힘 선택신호 및 대신소/소신호 선택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대신호 및 소신호의 사운드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폴더의 온/오프 상태에 관계없이 스피커폰 기능 또는 벨소리에 의한 사운드 출력이 사용자측으로 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운드의 청취감을 향상시키며 양방향 스피커로서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way speaker, and an external speaker that outputs a large signal sound when using a speakerphone function and other multimedia functions, and a speaker signal function and other multimedia while simultaneously outputting a small signal sound during a call. When the function is used, a receiver speaker made of a speaker having a high output characteristic capable of outputting a large signal sound, and a folder open / close selection signal and a small / small signal selection signal are applied so that the sound of the large signal is output toward the user side. And a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 sound signal output of the call and the small signal,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by directing the sound output by the speakerphone function or the ring tone to the user regardless of the on / off state of the folder. When improving the feeling It sai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a two-way speaker.

리시버용 스피커, 외부 스피커, 양방향 스피커 Speaker, external speaker, two-way speaker

Description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equipped Bi-Polar Speaker}  Mobile phone equipped Bi-Polar Speaker with two-way speaker             

도 1은 종래의 양방향 스피커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wo-way speaker;

도 2는 종래의 양방향 스피커의 신호입출력을 나타내는 도,2 is a view showing the signal input and output of a conventional two-way speaker,

도 3은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의 음성출력방향을 나타내는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oice output direction when a folder is open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피커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idirectional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피커의 신호 입출력을 나타내는 도,5 is a view illustrating a signal input and output of a bidirectional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스피커폰 기능을 구현한 경우의 사운드 출력방향을 나타내는 개략도,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ound output direction when the speakerphone function is implemented in a closed state f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 스피커폰 기능을 구현한 경우의 사운드 출력방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output direction when the speakerphone function is implemented in a folder ope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11: 외부 스피커10: clamshell mobile terminal 11: external speaker

12: 리시버용 스피커 12: Speaker for receiver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영상통화 또는 스피커폰 및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작동시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사운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운드 청취감을 향상시켜 양방향 스피커로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a sound output is made in a direction in which a user is positioned when a video call or a speakerphone and other multimedia functions are operated, thereby improving a user's listening sound and improving performance of a bidirectional speak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way speaker that can be maximized.

일반적으로 단순히 음성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었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진보하여 카메라 기능, MP3 기능 및 스피커폰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도입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In general, the mobile terminal has been developed to promote user convenience by introduc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a camera function, an MP3 function, and a speakerphone function.

특히 근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뿐만 아니라 영상 정보에 관한 데이터의 고속 전송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동영상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TV 시청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영상통화 기능이 구비된 첨단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는 등 상기 단말기의 사용분야가 날로 팽창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apable of high-speed transmission of data related to voice as well as video information, thereby enhancing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transmitting / receiving video information or watching TV. Accordingly, advanc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quipped with a video call function are provided. The market for such terminals is expanding day by day.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능에 대응할 수 있는 고출력 스피커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채택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특히 통화시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어 주로 상대방의 음성신호인 소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리시버(receiver)용 스피커와 벨소리 또는 기타 스피커 폰 기능 사용시 대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고출력 특성의 외부 스피커로 구성되는 양방향 스피커를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develop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nhanced multimedia functions generally makes it possible to adopt a high output speaker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multimedia func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common to adopt a two-way speaker consisting of a speaker for receiving a signal and a high output external speaker for outputting a large signal sound signal when using a ringtone or other speaker phone function.

상기 양방향 스피커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bidirectional speak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s follows.

도 1은 종래의 양방향 스피커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양방향 스피커의 신호입출력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의 음성출력방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wo-way speaker,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ignal input and output of the conventional two-way speaker,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voice output direction in the open state of the fold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스피커(1)는 주로 상대방의 음성신호인 소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리시버용 스피커(1a)와, 벨소리, 스피커폰 기능 또는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작동시 대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스피커(1b)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two-way speaker 1 mainly receives a speaker 1a for outputting a small signal sound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and a sound signal of a large signal when a ring tone, speakerphone function, or other multimedia functions are operated. It consists of the external speaker 1b which outputs.

특히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a)는 고저항 특성의 스피커를 적용하여 상기 스피커의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힘에 비례하는 전류의 값을 낮춤으로써,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가 대체적으로 작은 출력값을 갖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a)가 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최적의 출력상태를 갖도록 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a)는 32옴(Ω)의 저항특성을 갖는다.In particular, the receiver speaker (1a) by applying a high resistance speaker to reduce the value of the current proportional to the force to vibrate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so that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has a generally small output value Accordingly, the receiver speaker 1a has an optimum output state when the receiver speaker 1a is u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ear. In general, the receiver speaker 1a has a resistance characteristic of 32 ohms.

한편, 상기 외부 스피커(1b)는 벨소리, 스피커폰 기능 또는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작동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있는 경우에도 청취가 가능하도록 대략 8옴(Ω)의 저항특성을 갖는 고출력 스피커를 적용하여 상기 외부 스피커(1b)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가 큰 출력값을 갖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speaker (1b) is a high-power speaker having a resistance characteristic of approximately 8 ohm (하도록) so that even when the user is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portable terminal when operating the ringtone, speakerphone function or other multimedia functions In this way,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external speaker 1b has a large output valu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양방향 스피커(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신호+, 대신호- 가 외부 스피커(1b)로, 소신호+, 소신호- 가 리시버용 스피커(1a)로 각각 인가됨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상태에 적합하도록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a)와 외부 스피커(1b)가 선택적으로 사운드를 출력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주로 리시버용 스피커(1a)는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어 사용되도록 소신호의 사운드를 출력하고, 외부 스피커(1b)는 사용자와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사용되도록 대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As shown in FIG. 2, the bidirectional speaker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large signal + and a large signal as an external speaker 1b, and a small signal + and small signal as a speaker 1a for a receiver, respectively. As applied, the receiver speaker 1a and the external speaker 1b selectively output sound to suit the user's use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er speaker 1a is mainly u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ear. Outputs a small signal sound, the external speaker 1b outputs a large signal sound signal to be used away from the us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그러나, 상기 양방향 스피커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외부 스피커(1b)가 상기 대신호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방향이 사용자의 반대측으로 향하게 되어 청취감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owever, when the bidirectional speaker is applied to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xternal speaker 1b outputs the sound of the large signal to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 so that the listening sensitivity is lowered.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방향 스피커가 적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스피커폰 기능 또는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을 동작하기 위하여 폴더를 오픈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상기 외부 스피커(1b)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청취하게 되는데, 상기 외부 스피커(1b)가 폴더의 외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사운드가 사용자의 반대측을 향하여 출력되어진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uses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two-way speaker is applied,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while the folder is opened to operate the speakerphone function or other multimedia functions. The sound output from the external speaker 1b is heard, and the external speaker 1b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r so that the sound is output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소리의 감이 멀게 느껴질 뿐 아니라 실제로 소리가 작게 들림으로써 멀티미디어 기능에 대응하도록 장착된 양방향 스피커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As a result, the user may not feel a sense of sound far from the sound, and the sound actually sounds small,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bidirectional speaker mounted to cope with the multimedia function cannot be maximized.

또한, 상기 대신호의 사운드를 사용자측을 향하여 출력되도록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a)를 통해 출력하는 경우,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a)의 저항특성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출력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In addition, when the sound of the larg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receiver speaker 1a so as to be output toward the user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output the desired degree due to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 of the receiver speaker 1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선된 양방향 스피커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시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가 사용자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양방향 스피커의 성능을 극대화하여 사용자의 청취감도를 높일 수 있는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applying the improved two-way speaker to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rect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to the user side,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the two-way speaker To provide a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way speaker that can increase the user's listening sensitivity.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스피커폰 기능 및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사용시 대신호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외부 스피커와, 통화시 소신호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스피커폰 기능 및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사용시 대신호의 사운드가 출력 가능한 고출력 특성의 스피커로 이루어진 리시버용 스피커와, 상기 대신호의 사운드가 사용자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폴더 열림/닫힘 선택신호 및 대신소/소신호 선택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대신호 및 소신호의 사운드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 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idirectional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external speaker for outputting the sound of a large signal when using the speakerphone function and other multimedia functions, and at the same time outputs the sound of a small signal during a call When using the speakerphone function and other multimedia functions, a receiver speaker comprising a high output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a large signal sound, and a folder open / close selection signal and a small / small signal selection so that the large signal sound is output toward the user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computer for receiving a signal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sound signal of the large signal and the small signal.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신호 및 소신호의 사운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상기 마이컴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기 양방향 스피커로 대신호 및 소신호의 사운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 1스위치와 제 2스위치의 두 개의 스위치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switch means controlled by the microcomputer to control the output of a large signal and a small signal sound signal, wherein the switch means is a sound of the large signal and the small signal to the bidirectional speaker. Preferably, the switch comprises two switch mean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ig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양방향 스피커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양방향 스피커(10)는 주로 통화시에 상대방의 음성신호인 소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리시버용 스피커(11)와, 벨소리, 스피커폰 기능 또는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작동시 대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스피커(12)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1)는 저저항 특성의 고출력 스피커를 적용한다.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bidirectional speak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bidirectional speaker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receiver speaker 11 for outputting a small signal sound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and a ring tone, speakerphone function, or the like. The external speaker 12 outputs a large signal sound signal when the multimedia function is activated. In particular, the receiver speaker 11 applies a high output speaker having a low resistance characteristic.

즉,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1)는 종래와 달리 저저항 특성의 스피커를 적용하며, 특히 상기 스피커의 저항특성은 대략 8옴(Ω)의 고출력 특성을 갖도록 설계하여 스피커폰 기능 또는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작동시 사용자가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도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1)를 통해 만족할만한 수준의 출력으로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receiver speaker 11 uses a low resistance speaker unlike the prior art, in particular,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 of the speaker is designed to have a high output characteristic of approximately 8 ohm (Ω) when operating the speakerphone function or other multimedia functions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at a satisfactory level through the receiver speaker 11 even when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predetermined distance.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스피커폰 기능 또는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작동시 대신호의 사운드를 청취하는 경우, 상기 양방향 스피커(10)를 통한 소신호 및 대신호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대신호의 사운드 신호가 사용자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하는데,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sound of the large signal when the speakerphone function or other multimedia functions are operat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mall signal and the large signal through the two-way speaker 10 of the large signal The sound signal is output in a direction toward the user sid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양방향 스피커(10) 및 상기 양방향 스피커(10)로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의 흐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of a sound signal applied to the bidirectional speaker 10 and the bidirectional speaker 10 is as shown in FIG. 5.

고출력 특성을 갖는 리시버용 스피커(11) 및 외부 스피커(12)로 대신호+, 대신호- 및 소신호+, 소신호- 가 인가되며, 상기 대신호 및 소신호는 폴더 열림/닫힘 선택신호 및 대신소/소신호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1) 또는 외부 스피커(12)로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A large signal +, a large signal-and a small signal +, a small signal-are applied to the receiver speaker 11 and the external speaker 12 having a high output characteristic, and the large signal and the small signal are a folder open / close selection signal and Instead, it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receiver speaker 11 or the external speaker 12 by a small / small signal selection signal.

특히 상기 폴더 열림/닫힘 선택신호 및 대신소/소신호 선택신호는 양방향 스피커(1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미도시)으로 인가되며, 상기 대신호 및 소신호가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1) 또는 외부 스피커로 각각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치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folder open / close selection signal and instead the small / small signal selection signal are applied to a microcomputer (not shown)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idirectional speaker 10, and the large signal and the small signal ar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speaker 11. Or switch means for selectively applying each to an external speaker.

또한, 상기 스위치 수단은 폴더 열림/닫힘 선택신호 및 대신소/소신호 선택신호의 상태에 따라 마이컴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스위치 수단은 대신호의 흐름 및 소신호의 흐름 각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 1스위치(21) 및 제 2스위치(22)의 두 개의 스위치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위치 수단은 아날로그 신호 출력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일반적인 아날로그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means is controlled by the microcompute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older open / close selection signal and instead of the small / small signal selection signal, the switch means to control the flow of the large signal and the flow of the small signal,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 21 and the second switch 22 is composed of two switch means, and the switch means may be made of a general analog switch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analog signal output.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동작은 다음과 같다. Opera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이동동신 단말기 폴더의 개방여부에 따라 폴더의 열림 또는 닫힘 신호가 마이컴으로 인가되며,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단말기의 기능에 따라 소신호 또는 대신호 선택신호가 상기 마이컴으로 인가되고, 상기 폴더 열림/닫힘 선택신호 및 소신호/대신호 선택신호에 따라 마이컴이 상기 제 1스위치 수단(21) 및 제 2스위치 수단(22)을 제어한다. The open or close signal of the folder is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according to whether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ned, and the small signal or the large signal selec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folder open / close selection is performed. The microcomputer controls the first switch means 21 and the second switch means 22 according to the signal and the small signal / large signal selection signal.

특히 상기 마이컴은 단말기의 폴더가 닫혀있어 폴더 닫힘신호가 마이컴으로 인가되는 경우, 상기 대신호에 관련된 신호인 대신호+ 및 대신호-가 제 1스위치(21)을 통해 외부 스피커(21)로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닫은채로 스피커폰 기능 또는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동작시 상기 대신호에 의한 고출력의 사운드를 외부 스피커(21)를 통해 듣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folder of the terminal is closed and the folder closing signal is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the large signal + and the large signal-which are signals related to the large signal, are applied to the external speaker 21 through the first switch 21. By doing so, when the user operates the speakerphone function or other multimedia functions while closing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hears the high output sound by the large signal through the external speaker 21.

또한, 상기 마이컴은 단말기의 폴더가 열려있어 폴더 열림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 1스위치(21)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대신호+ 및 대신호-가 제 2스위치(22)로 인가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folder of the terminal is open and the folder opening signal is applied, the microcomputer controls the first switch 21 to allow the large signal + and the large signal − to be applied to the second switch 22.

특히 상기 제 2스위치(22)로 인가된 대신호는 리시버용 스피커(11)를 통하여 출력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폴더를 연 상태로 상기 단말기와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서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1)는 단말기를 이용한 일반적인 통화상태에 따라 저출력을 갖는 소신호의 사운드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신호/소신호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제 2스위치(22)가 제어되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large signal applied to the second switch 22 is output through the receiver speaker 11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sou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from the terminal with the folder of the terminal open. The speaker 11 allows the second switch 22 to be controlled by a large signal / small signal selection signal in order to selectively output a small signal sound having a low output according to a general call state using a terminal. .

따라서, 마이컴은 상기 대신호 선택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상기 제 1스위치(21)로부터 인가된 대신호의 사운드 신호가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1)로 인가되도록 하고, 소신호 선택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상기 소신호 사운드 신호가 리시버용 스피커(11)로 인가되도록 제 2스위치(22)를 제어한다. Therefore, when the large signal selection signal is applied, the microcomputer makes the sound signal of the large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switch 21 be applied to the receiver speaker 11, and when the small signal selection signal is applied. The second switch 22 is controlled so that the small signal sound signal is applied to the receiver speaker 11.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양방향 스피커를 통한 사운드의 출력상태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utput state of the sound through the bidirectional speak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스피커폰 기능을 구현한 경우의 사운드 출력방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 스피커폰 기능을 구현한 경우의 사운드 출력방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output direction when the speakerphone function is implemented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ound output direction when the speakerphone function is implemented when a folder is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20)에서 폴더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대신호의 사운드가 양방향 스피커(10)의 외부 스피커(1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folder is closed in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signal sound is output through the external speaker 12 of the bidirectional speaker 10.

그러나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 스피커폰 기능 및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을 동작하는 경우,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에 의한 대신호 사운드가 리시버용 스피커(11)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11)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가 사용자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speakerphone function and other multimedia functions are operated while the folder is open, the loudspeaker 11 by the function is output through the receiver speaker 11 as shown in FIG. 7. The sound output through) can be directed toward the user.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의 폴더가 열려있거나 닫혀있는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와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소리를 청취하는 경우에 상기 출력되는 소리의 방향이 사용자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청취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양방향 스피커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regardless of whether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open or closed, the direction of the output sound is directed toward the user side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sou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wa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s a result, the listening sensitivity of the user can be improved, thereby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the bidirectional speak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bidirectional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tion is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의 온/오프 상태에 관계없이 스피커폰 기능 또는 벨소리에 의한 사운드 출력이 사용자측으로 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운드의 청취감을 향상시키며 양방향 스피커로서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idirectional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gardless of the on / off state of the folder, the speakerphone function or the sound output by the ringtone is directed to the user to improve the user's listening feeling of the sound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performance as a two-way speaker.

Claims (8)

스피커폰 기능 및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사용시 대신호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외부 스피커와,An external speaker that outputs a large signal sound when using the speakerphone function and other multimedia functions, 통화시 소신호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스피커폰 기능 및 기타 멀티미디어 기능 사용시 대신호의 사운드가 출력 가능한 고출력 특성의 스피커로 이루어진 리시버용 스피커와, A receiver speaker comprising a high output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a small signal sound during a call and simultaneously outputting a large signal sound when using the speakerphone function and other multimedia functions; 상기 대신호의 사운드가 사용자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폴더 열림/닫힘 선택신호 및 대신소/소신호 선택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대신호 및 소신호의 사운드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And a micom configured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large signal and the small signal by receiving the folder open / close selection signal and the small / small signal selection signal so that the sound of the large signal is outpu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user side.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idirectional speak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신호 및 소신호의 사운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상기 마이컴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switch means controlled by the microcomputer to control the output of a large signal and a small signal sound sign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기 양방향 스피커로 대신호 및 소신호의 사운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 1스위치와 제 2스위치의 두 개의 스위치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switch means is a bidirec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idirectional speaker comprising two switch mean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 large signal and a small signal sound signal to the bidirectional speaker; .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1스위치는 폴더 열림/닫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대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외부 스피커 또는 제 2스위치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first switch is a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way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selectively output the sound signal of the large signal to an external speaker or a second switch according to the folder open / close selection signa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1스위치는 상기 마이컴이 폴더 닫힘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대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고, 폴더 열림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상기 대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제 2스위치로 출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first switch is controlled to output a sound signal of a large signal to an external speaker when the microcomputer receives the folder closing signal, and to output a sound signal of the large signal to a second switch when the folder opening signal is applied.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way speake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 2스위치는 소신호/대신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소신호의 사운드 신 호 또는 상기 제 1스위치로부터 인가된 대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상기 리시버용 스피커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And wherein the second switch is controlled to selectively output a sound signal of the small signal or a sound signal of a large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switch to the receiver speaker according to the small signal / large signal selection signal.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peak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2스위치는 소신호 선택신호 인가시 소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리시버용 스피커로 출력하고, 대신호 선택신호 인가시 대신호의 사운드 신호를 리시버용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second switch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small signal sound signal to the receiver speaker when the small signal selection signal is applied, and output a sound signal of the large signal to the receiver speaker when the large signal selection signal is applied. Equipped with a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위치 수단은 아날로그 신호 출력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switch means is a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way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analog switch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analog signal output.
KR1020040101257A 2004-12-03 2004-12-03 Mobile Phone equipped Bi-Polar Speaker KR1006247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257A KR100624787B1 (en) 2004-12-03 2004-12-03 Mobile Phone equipped Bi-Polar Speaker
CNA2005100775769A CN1783910A (en) 2004-12-03 2005-06-20 Turnover lid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wo-way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257A KR100624787B1 (en) 2004-12-03 2004-12-03 Mobile Phone equipped Bi-Polar Sp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424A KR20060062424A (en) 2006-06-12
KR100624787B1 true KR100624787B1 (en) 2006-09-18

Family

ID=3677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257A KR100624787B1 (en) 2004-12-03 2004-12-03 Mobile Phone equipped Bi-Polar Speak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4787B1 (en)
CN (1) CN1783910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1029B (en) * 2018-11-15 2022-05-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3910A (en) 2006-06-07
KR20060062424A (en)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8776B2 (en) Transceiver
JP3262727B2 (en) earphone
JP3542955B2 (en) Mobile phone
JPH08214050A (en) Wireless telephone head set
JP2010527541A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function
CN211047222U (en) Hearing aid system switching control circuit for Bluetooth headset and PCBA circuit board
WO2003105450A1 (en) Collapsible mobile telephone
US20110045874A1 (en) Mobile device having acoustic shock prevention circuit and related operation method
JP4688701B2 (en) Communication terminal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KR100624787B1 (en) Mobile Phone equipped Bi-Polar Speaker
JP2003018267A (en) Mobile telephone set
JPS5868329A (en) Switching device for receiving speech volume of car telephone set
JP426902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9195044B (en) Noise reduction earphone, call terminal, noise reduc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thod
CN100531448C (en) Headset dedicate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10345B1 (en) Circuit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dual mode using a dual earphone in a composed potable phone comprising a functional unit providing another audio signal and a phone unit
KR20030069471A (en) Sound input/output device and microphone-integrated earphone employing the same
KR10073656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274361B2 (en) Mobile phone terminal
KR20010056429A (en) Folder type mobile station
KR2004002690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listening music and calling telephone at the same time
KR200209082Y1 (en)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input/output of a internet-phone
KR200193178Y1 (en) The hands-free which make use of audio
KR100787973B1 (en) Method For Control of Speaker Operater On/Off in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