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534A - Car call servic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car with customer - Google Patents

Car call servic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car with custo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1534A
KR20050041534A KR1020030076737A KR20030076737A KR20050041534A KR 20050041534 A KR20050041534 A KR 20050041534A KR 1020030076737 A KR1020030076737 A KR 1020030076737A KR 20030076737 A KR20030076737 A KR 20030076737A KR 20050041534 A KR20050041534 A KR 20050041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communication
call service
customer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64291B1 (en
Inventor
최행곤
Original Assignee
상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291B1/en
Publication of KR2005004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5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2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2Dispatching vehicles on the basis of a location, e.g. taxi disp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에게 차량을 자동으로 연결시켜주는 차량 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콜 서비스 제어서버가 고객에게 차량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차량 콜 서비스를 요청받으면, 상기 고객의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고객이 위치한 셀에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의 회원인 차량들이 있는지 검색하고, 상기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에게 상기 차량들의 운행상태를 문의하는 단계; (c) 상기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이 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요금정산기들로부터 차량들의 운행 상태를 확인한 다음 그 결과를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운행 대기중인 차량들을 검출하고, 이들 중 상기 고객과 가장 인접한 곳에 위치한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 (e) 상기 고객의 위치 및 전화번호를 상기 선택된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정보를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인건비가 절감되고, 최단 시간 내에 고객에게 차량을 연결시켜준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all servic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vehicle to a customer, wherein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provides a vehicle call service to a customer, the method comprising: (a) a vehicle call service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ustomer; Requesting, storing and storing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b) searching whether there are vehicles that are members of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in the cell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and inqui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vehicles about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s; (c) check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vehicle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s from the charge calculators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d) detecting vehicles waiting to run among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vehicles and selecting a vehicle located closest to the customer among them; (e) transmitting the location and telephone number of the customer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elected vehicle; And (f) transmitting the selected vehicle-related information to the custom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reducing labor costs and connecting the vehicle to the customer in the shortest time.

Description

고객에게 차량을 자동으로 연결시켜주는 차량 콜 서비스 방법{Car call servic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car with customer}Car call servic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car with customer}

본 발명은 차량 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객이 차량을 콜할 때 운송을 제공하는 차량기사의 확인없이 자동으로 대기 차량을 찾아서 고객에게 연결시켜주는 차량 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all servic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all service method that automatically finds a standby vehicle and connects it to a customer without confirmation of a vehicle driver providing transportation when a customer calls a vehicle.

현재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세계 각국에서 이용되고 있는 콜택시 연결 시스템은 대부분 주파수공용 무선통신 시스템(Trunked Radio System; 이하, TRS)을 이용하고 있다. 주파수공용 무선통신 시스템은 고객이 무전기나 휴대폰 또는 유선전화를 이용하여 콜 센터에 자동차 콜 서비스를 요청하면, 콜 센터에서 근무하는 직원이 주파수공용 무선통신 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택시기사들에게 일일이 무선으로 전화를 걸어서 대기중인 차량을 선별한 다음, 그 중에서 자동차 콜 서비스를 요청한 고객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차량 운전기사에게 고객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을 통하여 고객들에게 인접차량을 연결하여 주는 수동적인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다. Currently, call taxi connection systems that are used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 are using a TRS (Trunked Radio System). In the frequency comm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en a customer requests a car call service to a call center by using a radio, a mobile phone, or a landline, an employee who works at the call center is wireless to a taxi driver who is a member of the frequency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ll the customer to select the waiting vehicle, and then instruct the vehicle driver closest to the customer who requested the car call service to move to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It is operated in a way.

여기에서 조금 더 발전된 방법으로써, 고객의 전화번호와 위치 등의 정보를 무선망을 통하여 차량 기사에게 알려줌으로써 고객과 택시기사가 직접 통화하도록 유도하는 방식도 있다. As a more advanced method, there is a method of inducing a customer and a taxi driver to talk directly to a vehicle driver by informing a vehicle operator of information such as a telephone number and a location of the custom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이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 콜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콜 센터에 항시 근무요원이 대기하고 있으면서 자동차 콜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택시기사들을 고객과 중계해 주어야하는 중계업무를 실시해야 하므로, 상기 근무요원에 대한 인건비가 많이 들어가며, 이러한 인건비는 결국 고객이나 회원으로 가입한 택시기사가 부담해야만 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ar call service method, since a worker is always waiting in a call center and a car driver needs to be relayed with a customer every time a car call service request is requested, Labor costs for Koreans are high, and these labor costs must be borne by taxi drivers who are members or members.

또한, 택시기사가 택시를 운전하면서 무선 단말기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사고가 발생할 경우도 있다. In addition, the taxi driver not only has the inconvenience of operating the wireless terminal while driving a taxi, but also causes an accident.

고객 입장에서는 콜 센터의 전화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기억해야만 자동차 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불편함이 따른다. For customers, it is inconvenient to remember at least one phone number of the call center in order to receive a car call service.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건비를 절감하고, 차량기사의 조작없이 차량의 운행 상태를 확인하며, 자동차 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provides a car call service method for reducing labor costs, check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driver, and improves the convenience of customers using the car call service Its purpose is to.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콜 서비스 제어서버가 고객에게 차량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차량 콜 서비스를 요청받으면, 상기 고객의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고객이 위치한 셀에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의 회원인 차량들이 있는지 검색하고, 상기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에게 상기 차량들의 운행상태를 문의하는 단계; (c) 상기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이 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요금정산기들로부터 차량의 운행 상태를 확인한 다음 그 결과를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운행 대기중인 차량들을 검출하고, 이들 중 상기 고객과 가장 인접한 곳에 위치한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 (e) 상기 고객의 위치 및 전화번호를 상기 선택된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정보를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vehicle call service to a customer by a call service control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a) identifying and storing a location of the customer when a vehicle call service is reques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ustomer; (b) searching whether there are vehicles that are members of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in the cell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and inqui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vehicles about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s; (c) check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vehicle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from the fee setters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d) detecting vehicles waiting to run among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vehicles and selecting a vehicle located closest to the customer among them; (e) transmitting the location and telephone number of the customer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elected vehicle; And (f) transmitting the selected vehicle-related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ustomer.

바람직하기는,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차량 콜 서비스 메뉴를 설정하는 단계; (a-2) 상기 고객이 상기 차량 콜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자체 화면에 콜택시, 대리운전, 화물/택배, 기타운송 아이콘을 디스플래이하는 단계; (a-3) 상기 고객이 상기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는 해당되는 콜 서비스를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a-4)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는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차량 콜 서비스 요청을 받으면, 저장된 자료 중에서 이에 해당되는 차량들을 검색하며, 이동통신 기지국에 상기 고객의 위치를 요청 및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step (a) comprises the steps of (a-1) setting a vehicle call service menu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ustomer; (a-2) when the customer selects the vehicle call service menu, displaying, by the custom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all taxi, a surrogate operation, a cargo / courier, or other transportation icons on its own screen; (a-3) when the customer selects one of the icons, the custom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a corresponding call service from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And (a-4) when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receives a vehicle call service reques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ustomer, searches for corresponding vehicles from the stored data, requests and receives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toring.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c) 단계는 (c-11) 상기 요금정산기가 상기 차량의 운행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운행제어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요금정산기 사이에 연결된 핸즈프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c-12) 상기 핸즈프리 장치가 상기 운행제어신호를 받으면 이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지 또는 대기중인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c-13) 상기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상태를 문의받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핸즈프리 장치로 동일한 문의를 하는 단계; (c-14) 상기 핸즈프리 장치가 현재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지 또는 대기중인지를 상기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c-15) 상기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핸즈프리 장치로부터 받은 상기 차량의 운행 상태를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step (c) further includes the step (c-11) of transmitting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hands-free device connect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fare calculator whenever the fare state of the vehicle is changed. step; (c-12) when the hands-free device receives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alyz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or waiting and storing the result; (c-13)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receives an inquiry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from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kes the same inquiry to the hands-free device; (c-14) retrieving the data stored in the hands-free device and transmitting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or wai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And (c-1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transmitt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hands-free device to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콜 서비스 시스템(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는 이동통신 기지국(121)을 통해 고객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111a∼111n) 및 차량들(141a∼141n)에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과 통신한다.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는 고객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111a∼111n)의 전화번호들과 차량들(141a∼141n)에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의 전화번호들 및 기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33)를 구비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call service system 101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1a mou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11a to 111n and the vehicles 141a to 141n of customer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121. 151n).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includes the telephone number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11a to 111n of the customers and the telephone numbers and other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to 151n provided in the vehicles 141a to 141n. It has a database 133 for storing.

차량들(141a∼141n)에는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 및 요금정산기들(161a∼161n)이 설치된다.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은 인터페이스들(171a∼171n)을 통하여 요금정산기들(161a∼161n)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171a∼171n)은 요금정산기들(161a∼161n)에서 발생되는 신호들을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에 적합한 신호들로 변환한다. The vehicles 141a to 141n are provided wi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to 151n and fee checkers 161a to 161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through 151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ee setters 161a through 161n through the interfaces 171a through 171n. The interfaces 171a to 171n convert signals generated by the charge calculators 161a to 161n into signals suitabl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to 151n.

요금정산기들(161a∼161n)에는 운행 버튼들(a1∼an), 대기 버튼들(b1∼bn), 부재 버튼들(c1∼cn) 및 표시판들(d1∼dn)이 설치된다. 운행 버튼들(a1∼an)은 차량들(141a∼141n)이 운행중일 때 사용된다. 손님이 차량(141a)에 탑승하게 되면 차량기사가 운행버튼(a1)을 누르고 차량(141a)을 운행하며, 이 과정에서 요금정산기(161a)는 운행요금을 계산한다. 이 때, 표시판(d1)에는 손님이 탑승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게 한다. 대기 버튼들(b1∼bn)은 차량들(141a∼141n)이 손님들을 대기하고 있을 때 사용된다. 즉, 대기 버튼들(b1∼bn)이 눌러지면, 표시판들(d1∼dn)에 손님들을 대기하고 있다는 어구, 예컨대 빈차라는 어구를 디스플래이한다. 부재 버튼들(c1∼cn)이 눌러지면 차량 기사들이 차량들(141a∼141n)에 탑승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Toll calculators 161a to 161n are provided with travel buttons a1 to an, standby buttons b1 to bn, member buttons c1 to cn, and display panels d1 to dn. The driving buttons a1 to an are used when the vehicles 141a to 141n are in operation. When the guest boards the vehicle 141a, the vehicle driver presses the driving button a1 and operates the vehicle 141a. In this process, the fare calculator 161a calculates the driving fare. At this time, nothing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d1 to indicate that the guest is in a boarding state. The standby buttons b1-bn are used when the vehicles 141a-141n are waiting for the guests. That is, when the standby buttons b1 to bn are pressed, the phrase “waiting for a guest” on the display panels d1 to dn is displayed. When the member buttons c1 to cn are pressed, it indicates that the vehicle drivers are not in the vehicles 141a to 141n.

운행 버튼들(a1∼an), 대기 버튼들(b1∼bn), 부재 버튼들(c1∼cn) 중 어느 하나가 눌러지면 요금정산기들(161a∼161n)은 그에 해당되는 신호들을 발생하여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로 전송하며,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은 이 신호들을 받아서 차량들(141a∼141n)의 상태를 파악하여 각각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해놓는다. When any one of the operation buttons a1 to an, the standby buttons b1 to bn, and the absent buttons c1 to cn is pressed, the toll setters 161a to 161n generat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to 151n receive these signals and grasp the state of the vehicles 141a to 141n and store them in a memory provided in each of them.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141a)에 설치된 요금정산기가 핸즈프리 장치를 통해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51a)와 요금정산기(161a) 사이에 핸즈프리 장치(2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핸즈프리 장치(211)는 이동통신단말기(151a) 및 요금정산기(16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핸즈프리 장치(211)는 요금정산기(161a)에 설치된 운행 버튼(a1), 대기 버튼(b1), 부재 버튼(c1) 중 어느 하나가 눌러질 때 요금정산기(161a)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받아서, 차량(141a)의 상태 즉, 차량(141a)이 운행중인지, 대기중인지, 차량(141a)의 기사가 차량(141a)에 부재중인지를 파악하여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해놓는다. 이동통신단말기(151a)가 핸즈프리 장치(211)에 장착되어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151a)가 핸즈프리 장치(211)에 차량의 운행 상태를 물어보면, 핸즈프리 장치(211)는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141a)의 운행 상태를 읽어내어 이동통신단말기(151a)에 알려준다. FIG. 2 shows a state where a toll setter installed in the vehicle 141a shown in FIG. 1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hands free device. As shown in FIG. 2, a hands free device 21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1a and the fare setter 161a. In this case, the hands-free device 2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1a and the rate checker 161a. The hands-free device 211 receives a signal generated by the toll setter 161a when any one of the operation button a1, the standby button b1, and the member button c1 installed in the toll setter 161a is pressed, thereby receiving a signal. The state of the vehicle 141a, that is, whether the vehicle 141a is running or waiting, and whether the driver of the vehicle 141a is absent from the vehicle 141a is stored and stored in the built-in memor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1a is mounted on the hands-free device 21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1a asks the hands-free device 211 for a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141a stored in the stored memory is read and notif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1a.

이와 같이, 핸즈프리 장치(211)의 기능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As such, the functions of the hands-free device 211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configured in the above manner, or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uch as an electronic circuit.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111a)에 차량 콜 서비스를 위한 메뉴가 디스플래이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111a)에는 차량 콜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즉, 콜택시(311), 대리운전(321), 화물/택배(331), 기타운송(341) 등이 표시되며, 고객이 상기 메뉴 중 하나를 클릭하면 이동통신단말기(111a)는 이에 해당되는 차량 콜 서비스를 콜 서비스 제어서버(도 1의 131)로 요청한다. 이 과정은 모두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a menu for a vehicle call service is display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1a of the customer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1a of the customer has a menu for selecting a vehicle call service, that is, a call taxi 311, a surrogate operation 321, a freight / courier 331, and other transportation 341. When the customer clicks one of the menu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1a requests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of FIG. This process is all implemented in software.

고객이 상기와 같은 차량 콜 서비스를 받으려면, 콜 서비스 제어서버(도 1의 131)를 운영하는 운영사의 회원으로 가입하여야 하며, 이 때 상기 운영사는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111a)로 차량 콜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In order to receive the vehicle call service as described above, the customer must be registered as a member of an operator operating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of FIG. 1), and the operator is dir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1 a of the customer who is registered as a member. Provides software for vehicle call servic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콜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차량 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4 is a flowchart of a vehicle call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call service method illustrated in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콜 서비스 방법은 제1 내지 제6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vehicle call service method includes first to sixth steps.

차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차량 콜 서비스를 이용하기 원하는 고객과 차량기사들은 콜 서비스 제어서버(도 1의 131)를 운영하는 운영사에 회원으로 가입하여야 한다. 차량기사들 중에는 콜택시 기사. 대리운전 기사, 화물/택배 기사, 기타 운송기사들이 모두 포함된다. Before providing the vehicle call service, customers and vehicle drivers who want to use the vehicle call service must register as a member of the operator who operates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of FIG. 1). Among the driver, call taxi driver. Proxy drivers, freight / courier drivers and other transport drivers are all included.

제1 단계로써,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는 고객으로부터 차량 콜 서비스 요청을 대기하다가(411),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111a)로부터 차량 콜 서비스를 요청받으면(413),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111a)의 위치를 파악하여(415), 데이터베이스(1133)에 저장한다. 제1 단계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a first step,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waits for a vehicle call service request from the customer (411), and receives a vehicle call service request from the custom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1a) (413), the mobile communication of the custome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11a is detected (415) and stored in the database 1133. The first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5.

제2 단계(421)로써,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는 고객이 위치한 셀 안에 회원 차량들(141a∼141n)이 있는지를 검색하고, 회원 차량들(141a∼141n)의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에게 신호를 송신하여, 회원 차량들(141a∼141n)의 운행상태를 문의한다. 만일, 고객이 위치한 셀 안에 회원 차량들(141a∼141n)이 하나도 없을 경우에는, 상기 고객과 가장 인접한 셀을 검출하고, 그 셀에 회원 차량들이 있는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회원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에게 신호를 송신하여 이들의 운행상태를 문의한다.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는 평상시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회원 차량들의 위치를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해놓기 때문에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언제든지 회원 차량들(141a∼141n)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 second step 421,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searches for whether there are member vehicles 141a to 141n in the cell where the customer is locat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of the member vehicles 141a to 141n. A signal is sent to 151n to inquire about the driving state of the member vehicles 141a to 141n. If there are no member vehicles 141a to 141n in the cell in which the customer is located, detecting the cell closest to the customer, searching for the presence of member vehicles in the cell, and searching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found member vehicles. Send a signal to them to ask about their driving status. Since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usually locates the member vehicles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stores them in the database 133,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may provide the positions of the member vehicles 141a to 141n whenever requested. .

제3 단계(431)로써, 고객이 위치한 셀에 위치한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은 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요금정산기들로부터 차량들의 운행상태 여부를 확인한 다음, 그 결과를 콜 서비스 제어서버로 전송한다. 제3 단계(431)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 third step 43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vehicles located in the cell in which the customer is located check whether the vehicles are in operation from the rate calculators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and then transmit the result to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The third step 43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제4 단계(441)로써,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는 고객의 셀 안에 위치한 이동통신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운행 대기중인 차량들만을 검출하고, 이들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고객과 가장 인접한 곳에 위치한 차량을 선택한다. 이 때 상기 고객과 가장 인접한 차량이 2대 이상일 경우에는 당일에 상기 고객과 연결시켜준 횟수를 파악하여 연결 수가 가장 적은 차량을 상기 고객과 연결시켜준다. In a fourth step 441,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detects only vehicles that are waiting to be driven from among data received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ed in a cell of a customer, and determines a location of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to be closest to the customer. Select the car located in the location. In this case, when there are two or more vehicles closest to the customer, the number of connections with the customer is determined on the same day to connect the vehicle having the smallest number of connections with the customer.

제5 단계(451)로써,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가 상기 고객의 위치와 전화번호를 상기 선택된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는 지도를 저장하며, 상기 지도에 고객의 위치를 표시하여 상기 선택된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은 각각 지도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있다. 이 기술은 현재 차량에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 fifth step 451,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transmits the location and telephone number of the custom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elected vehicle.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stores the map, and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on the map and transmits the loc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elected vehic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to 151n of the vehicles each have software for displaying a map on the screen. Since this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is widely used in vehicles at pres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6 단계(461)로써,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가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정보를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111a)로 전송한다.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정보는 상기 선택된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상기 선택된 차량의 번호, 상기 선택된 차량이 상기 고객에게 도착하는데 걸리는 예상시간 등을 포함한다. In a sixth step 461,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transmits the selected vehicle-related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1a of the customer. The selected vehicle-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elephone number of the selected vehicle, the number of the selected vehicle, an estimated time for the selected vehicle to arrive at the customer, and the like.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객의 차량 콜 서비스 요청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를 설명하기로 한다.FIG. 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questing a vehicle call service of a customer illustrated in FIG. 4. The flowchart shown in FIG.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제1 단계(511)로써,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도 1의 111a∼111n)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 콜 서비스 메뉴들이 설정된다. 고객들은 각각 차량 콜 서비스 메뉴를 디스플래이하는 소프트웨어를 콜 서비스 제어서버(도 1의 131)로부터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다운로드받거나, 아니면 차량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에서 제공받는다. In a first step 511, vehicle call service menus as shown in FIG. 3 are se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11a to 111n in FIG. 1) of customers who have registered as members. Each customer downloads the software displaying the vehicle call service menu from his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of FIG. 1) to h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is provided at a service center that provides a vehicle call service.

제2 단계로써, 이동통신단말기(111a)는 메뉴 선택을 대기하고 있다가(521), 고객이 차량 콜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523), 자체 화면에 콜택시 아이콘(311), 대리운전 아이콘(321), 화물/택배 아이콘(331), 기타운송 아이콘(341)을 디스플래이한다(525). As a second step,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1a waits for a menu selection (521), and when a customer selects a vehicle call service menu (523), a call taxi icon 311 and a surrogate operation icon 321 on its own screen. ), The cargo / courier icon 331, and other transportation icon 341 is displayed (525).

제3 단계로써, 이동통신단말기(111a)는 아이콘 선택을 대기하고 있다가(531), 상기 고객이 아이콘들(511∼541) 중 하나를 선택하면(533), 그에 해당되는 차량 콜 서비스를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로 요청한다(535). In a third step,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1a is waiting for an icon selection (531), and when the customer selects one of the icons (511 to 541) (533), the corresponding vehicle call service is called. Request to the service control server 131 (535).

제4 단계(541)로써,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는 이동통신단말기(151a)로부터 차량 콜 서비스 요청을 받으면,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된 자료 중에서 이에 해당되는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의 전화번호들을 검색하며, 이동통신 기지국(121)에 상기 고객의 위치를 요청 및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한다.In a fourth step 541, when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receives a vehicle call service reques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1a, the call number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vehicles corresponding to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33 are received. The mobile station searches for and receives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121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133.

상기와 같이, 고객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151a)에 표시되는 차량 콜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기만 하면, 차량 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고객은 차량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전화번호를 모르는 상태에서 차량 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은 매우 편리함을 느낀다. As described above, the customer can be provided with the vehicle call service only by selecting the vehicle call service menu displayed on h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1a. That is, the customer feels very convenient because the customer can receive the vehicle call service without know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ompany providing the vehicle call service.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차량 운행 상태 확인 방법의 제1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를 설명하기로 한다. FIG. 6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checking a vehicle driving state illustrated in FIG. 4. The flowchart shown in FIG. 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제1 단계로써, 요금정산기들(161a∼161n)은 차량들(141a∼141n)의 운행상태가 변경되면(611), 운행제어신호들을 발생하여(615)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로 전송한다. 즉, 요금정산기들(161a∼161n)에 설치된 운행 버튼들(a1∼an), 대기 버튼들(b1∼bn), 부재 버튼들(c1∼cn) 중 하나가 눌려질 때마다 그에 해당하는 운행제어신호들을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로 전송한다. As a first step, when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s 141a to 141n is changed (611), the toll setters 161a to 161n generate driving control signals (615) to allow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to 151n of the vehicles. To send). That is, whenever one of the operation buttons a1 to an, the standby buttons b1 to bn, and the member buttons c1 to cn installed in the tollers 161a to 161n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ontrol is performed. The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to 151n of the vehicles.

제2 단계(621)로써,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은 각각 운행제어신호를 받으면 이를 분석하여 차량이 운행중인지, 대기중인지, 차량기사가 부재중인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한다. As a second step 62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to 151n of the vehicles, respectively, receive a driving control signal and analyze it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waiting or not, and the driver is absent. Store in memory.

제3 단계로써,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은 각각 대기 상태로 있다가(631),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로부터 운행상태를 문의 받으면(633), 현재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차량이 운행중인지, 대기중인지 또는 차량기사가 부재중인지를 확인하여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로 전송한다(635). As a third step,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to 151n of the vehicles are respectively in a waiting state 631, and when a driving state is inquired from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633), they are currently stored in the memory. The data is searched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waiting, or the vehicle driver is absent and transmitted to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635).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는 차량들(141a∼141n)의 운행 상태를 차량 기사들의 손을 거치지 않고 요금정산기들(161a∼161n)로부터 직접 받음으로써, 차량들(141a∼141n)의 운행 상태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운행 상태 확인 시간 또한 매우 빠르다. 뿐만 아니라, 차량 기사들이 운전 중 운행 상태를 알려주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른 차량 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method,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receive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s 141a to 141n directly from the tollers 161a to 161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ands of the driver. It is possible to know the running condition of ˜141n) accurately, and the running time checking time is also very fas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vehicle accidents caused by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nform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driver while driving.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차량 운행 상태 확인 방법의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를 설명하기로 한다. FIG. 7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checking a vehicle driving state illustrated in FIG. 4. The flowchart shown in FIG.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제1 단계로써, 요금정산기들(161a∼161n)은 차량들(141a∼141n)의 운행상태가 변경되면(711), 운행제어신호들을 발생하여(715) 핸즈프리 장치(211)들로 전송한다. 즉, 요금정산기들(161a∼161n)에 설치된 운행 버튼들(a1∼an), 대기 버튼들(b1∼bn), 부재 버튼들(c1∼cn) 중 하나가 눌려질 때마다 그에 해당하는 운행제어신호들을 핸즈프리 장치(211)들로 전송한다. As a first step, when the driving states of the vehicles 141a to 141n are changed (711), the toll setters 161a to 161n generate and transmit driving control signals to the hands free device 211. That is, whenever one of the operation buttons a1 to an, the standby buttons b1 to bn, and the member buttons c1 to cn installed in the tollers 161a to 161n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ontrol is performed. Send signals to the hands free devices 211.

제2 단계(721)로써, 핸즈프리 장치(211)들은 운행제어신호들을 받으면 이들을 분석하여 차량들(141a∼141n)이 운행중인지, 대기중인지, 차량기사가 부재중인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내장된 메모리들에 저장한다. In a second step 721, the hands-free device 211 analyzes the driving control signals when they receive the driving control signals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s 141a to 141n are running, waiting or not, and stores the results. Store in the field.

제3 단계로써,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은 대기 상태로 있다가(731),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로부터 차량들(141a∼141n)의 운행 상태를 문의받으면(733), 핸즈프리 장치(211)들로 동일한 문의를 한다(735). As a third step,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to 151n are in a waiting state (731), and when the service state of the vehicles 141a to 141n are inquired from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733), hands free. The same query is made to the devices 211 (735).

제4 단계(741)로써, 핸즈프리 장치(211)들이 현재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차량들(141a∼141n)이 운행중인지, 대기중인지, 차량의 기사가 차량에 부재중인지를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로 전송한다. In a fourth step 741, the hands-free devices 211 retrieve the currently stored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s 141a to 141n are in operation, waiting, or if the driver of the vehicle is absent from the vehicle. To the fields 151a to 151n.

제5 단계(751)로써,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은 핸즈프리 장치(211)들로부터 받은 차량들(141a∼141n)의 운행 상태를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로 전송한다.In a fifth step 75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to 151n of the vehicles transmit a driving state of the vehicles 141a to 141n received from the handsfree devices 211 to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콜 서비스 제어서버(131)는 차량들(141a∼141n)의 운행 상태를 차량 기사들의 손을 거치지 않고 요금정산기들(161a∼161n)로부터 직접 확인함으로써 차량들(141a∼141n)의 운행 상태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또한, 운행 상태 확인 시간이 매우 빠르다. 뿐만 아니라, 차량 기사들이 운전 중 운행 상태를 알려주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른 차량 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method,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131 check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s 141a to 141n directly from the tollers 161a to 161n without going through the hands of the driver. 141n) can accurately know the operating state, and also the operation state checking time is very fas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vehicle accidents caused by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nform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driver while driving.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um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n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or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고객들과 차량들(141a∼141n) 사이에 중계하는 인원이 필요없으므로 인건비가 대폭 절감된다. First, labor costs are greatly reduced because no personnel are required to relay between customers and vehicles 141a to 141n.

둘째, 차량기사의 손을 거치지 않고 요금정산기들(161a∼161n)로부터 차량들(141a∼141n)의 운행 상태를 직접 확인하기 때문에 차량들(141a∼141n)의 운행상태 파악이 정확하며, 차량기사들의 운전 중 이동통신단말기들(151a∼151n)의 조작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Second, since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vehicles 141a to 141n are directly checked from the fare checkers 161a to 161n without going through the hand of the vehicle driver, the driving states of the vehicles 141a to 141n are accurate, This prevents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manipul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51a to 151n during their operation.

셋째, 고객들은 자동차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사의 전화번호를 몰라도 차량 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고객에게 매우 편리함을 제공한다. Third, the customers can be provided with the vehicle call service without know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operator providing the car call service, thus providing a very convenient to the customer.

넷째, 고객과 가장 인접한 차량을 매우 빠른 시간에 검색하여 보내주기 때문에 고객이 기다리는 시간이 단축된다. 그에 따라 많은 고객을 회원으로 확보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수익 증대를 가져온다. Fourth, since the vehicle nearest to the customer is searched and sent in a very short time, the waiting time for the customer is shortened. As a result, it can attract many customers as members, thereby increasing profits.

다섯째,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차량 콜 서비스를 요청한 고객의 위치를 지도를 이용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차량 기사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고객의 위치를 일일이 물어보는 수고를 덜게 되어 그만큼 편리할 뿐만 아니라 차량 기사가 고객에게 도착하는 시간이 단축된다. Fifth, since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who requested the vehicle call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is displayed using a map, the vehicle driver can save the trouble of asking the customer's loc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not only convenient, but also the vehicle driver. The time to arrive to the customer is shorten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콜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call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에 설치된 요금정산기가 핸즈프리 장치를 통해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FIG.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toll setter installed in the vehicle illustrated in FIG. 1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hands free devic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차량 콜 서비스를 위한 메뉴가 디스플래이된 상태를 보여준다.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a menu for a vehicle call service is displayed on a custom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콜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vehicle call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객의 차량 콜 서비스 요청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questing a vehicle call service of a customer illustrated in FIG. 4.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차량 운행 상태 확인 방법의 제1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checking a vehicle driving state illustrated in FIG. 4.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차량 운행 상태 확인 방법의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checking a vehicle driving state illustrated in FIG. 4.

Claims (4)

콜 서비스 제어서버가 고객에게 차량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to provide a vehicle call service to a customer, (a)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차량 콜 서비스를 요청받으면, 상기 고객의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하는 단계; (a) when the vehicle call service is reques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ustomer, identifying and storing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b) 상기 고객이 위치한 셀에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의 회원 차량들이 있는지 검색하고, 상기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에게 상기 차량들의 운행상태를 문의하는 단계;(b) searching for whether there are member vehicles of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in a cell in which the customer is located, and inqui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vehicles about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s; (c) 상기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이 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요금정산기들로부터 차량들의 운행 상태를 확인한 다음 그 결과를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c) check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vehicle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s from the charge calculators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d) 상기 차량들의 이동통신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운행 대기중인 차량들을 검출하고, 이들 중 상기 고객과 가장 인접한 곳에 위치한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d) detecting vehicles waiting to run among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vehicles and selecting a vehicle located closest to the customer among them; (e) 상기 고객의 위치 및 전화번호를 상기 선택된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e) transmitting the location and telephone number of the customer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elected vehicle; And (f)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정보를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콜 서비스 방법.(f) transmitting the selected vehicle related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ustom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a) (a-1)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차량 콜 서비스 메뉴를 설정하는 단계;(a-1) setting a vehicle call service menu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ustomer; (a-2) 상기 고객이 상기 차량 콜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자체 화면에 콜택시, 대리운전, 화물/택배, 기타운송 아이콘을 디스플래이하는 단계;(a-2) when the customer selects the vehicle call service menu, displaying, by the custom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all taxi, a surrogate operation, a cargo / courier, or other transportation icons on its own screen; (a-3) 상기 고객이 상기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는 해당되는 콜 서비스를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a-3) when the customer selects one of the icons, the custom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a corresponding call service from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And (a-4)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는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차량 콜 서비스 요청을 받으면, 저장된 자료 중에서 이에 해당되는 차량들을 검색하며, 이동통신 기지국에 상기 고객의 위치를 요청 및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콜 서비스 방법.(a-4) When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receives the vehicle call service reques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ustomer,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searches for the corresponding vehicles from the stored data, requests and receives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stores them. Vehicle call servic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c) (c-1) 상기 요금정산기가 상기 차량의 운행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운행제어신호를 상기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c-1) the rate calculator transmitting a driving control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whenever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s changed; (c-2) 상기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운행제어신호를 받으면 이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지 또는 대기중인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c-2)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receives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alyz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or waiting and storing the result; And (c-3) 상기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로부터 운행상태를 문의 받으면, 현재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지 또는 대기중인지를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콜 서비스 방법. (c-3)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receives an inquiry of a driving state from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searching for currently stored data and transmitting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or waiting to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Vehicle call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c) (c-11) 상기 요금정산기가 상기 차량의 운행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운행제어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요금정산기 사이에 연결된 핸즈프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c-11) the rate calculator transmitting a driving control signal to a hands-free device connect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ate calculator whenever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s changed; (c-12) 상기 핸즈프리 장치가 상기 운행제어신호를 받으면 이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지 또는 대기중인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c-12) when the hands-free device receives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alyz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or waiting and storing the result; (c-13) 상기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상태를 문의받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핸즈프리 장치로 동일한 문의를 하는 단계;(c-13)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receives an inquiry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from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kes the same inquiry to the hands-free device; (c-14) 상기 핸즈프리 장치가 현재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지 또는 대기중인지를 상기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c-14) retrieving the data stored in the hands-free device and transmitting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or wai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And (c-15) 상기 차량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핸즈프리 장치로부터 받은 상기 차량의 운행 상태를 상기 콜 서비스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콜 서비스 방법. (c-1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vehicle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hands-free device to the call service control server.
KR1020030076737A 2003-10-31 2003-10-31 Car call servic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car with customer KR1005642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737A KR100564291B1 (en) 2003-10-31 2003-10-31 Car call servic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car with custo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737A KR100564291B1 (en) 2003-10-31 2003-10-31 Car call servic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car with custo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534A true KR20050041534A (en) 2005-05-04
KR100564291B1 KR100564291B1 (en) 2006-03-27

Family

ID=3724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737A KR100564291B1 (en) 2003-10-31 2003-10-31 Car call servic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car with custo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29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1076A1 (en) * 2005-07-07 2007-02-22 Agaram.Com Co., Ltd. Negotiations for taxi-fares and safety-taxi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760656B1 (en) * 2005-07-15 2007-09-20 이광민 Taxi call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 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778B1 (en) 2016-05-10 2017-12-27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serving taxi taking on passang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1076A1 (en) * 2005-07-07 2007-02-22 Agaram.Com Co., Ltd. Negotiations for taxi-fares and safety-taxi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760656B1 (en) * 2005-07-15 2007-09-20 이광민 Taxi call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 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291B1 (en) 2006-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50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a call using a communications network
US6549833B2 (en) Repair and maintenance support system and a car corresponding to the system
US616725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 data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US8370054B2 (en) User location driven identification of service vehicles
CN101625570A (en) Fault diagnosis server,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iagnosing vehicle fault
WO20000071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ions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CN105225468A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determining position
CN106004444A (en) Intelligent prompting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faults
CN102509450A (en) Handheld interactive taxi real-time call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038795B1 (en) Car matching system
CN103618838B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utilizing mobile terminal auxiliary to drive
JP2006338465A (en) Taxi reservation system, and taxi reserving method, device, and program
KR100564291B1 (en) Car call service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car with customer
CN105318883B (en)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KR20010058728A (en) System for calling car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JP2006301799A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vehicle,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vehicle
KR20190103908A (en) Emergency rescue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20100006262A (en) Taxi call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 of
CN105847414A (en) Automobile service system based on cloud server platform
CN102227144A (en) Intelligent taxi taking system for using mobile phone to call taxi
KR20100010430A (en) Mobile network mediation system and the method using gps data
JP2007049543A (en) In-vehicle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and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vehicle
JP2006276961A (en) Vehicle dispatch management device
KR20010109686A (en)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Taxi Call Service
KR20010097444A (en) Calling method for neighboring vehicles using mobile telephone, telephone or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