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485A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수신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수신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485A
KR20050032485A KR1020040078230A KR20040078230A KR20050032485A KR 20050032485 A KR20050032485 A KR 20050032485A KR 1020040078230 A KR1020040078230 A KR 1020040078230A KR 20040078230 A KR20040078230 A KR 20040078230A KR 20050032485 A KR20050032485 A KR 20050032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cording
storage means
recording device
down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486B1 (ko
Inventor
기이마나부
후쿠시마다카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11B20/007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 G11B20/0076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wherein copy control information is used, e.g. for indicating whether a content may be copied freely, no more, once, or never, by setting CGMS, SCMS, or CCI fla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컨텐츠를 수신하고 기록하는 동시에, 수신된 컨텐츠를 또한 다른 기록 장치에도 전송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컨텐츠의 수신 개시 요구를 낸 후, PC에 접속된 PD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한 컨텐츠를 PC 내에만 기록한다. 존재하는 경우, PD의 미디어 타입을 판단하여 내장 타입이면, 수신한 컨텐츠를 PC 내에 기록하는 동시에 PD에도 전송하고 PD 내의 기억 매체에 기록시킨다. 미디어 타입이면, 기억 매체가 PD에 장전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장전되어 있으면, 수신한 컨텐츠를 PC 내에 기록하는 동시에 PD에도 전송하고 PD 내의 기억 매체에 기록시킨다. 장전되어 있지 않으면, 기억 매체를 장전하도록 재촉한다. 수신한 컨텐츠의 PC 내에의 기록과 PD 내에의 기록이 자동적으로 실행되어 이들 처리를 별도로 행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수신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 수신 시스템{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RECEPTION PROGRAM, RECORDING MEDIA AND RECEPTION SYSTEM }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분배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기록하는 동시에, 수신된 컨텐츠를 또한 다른 기록 장치에도 전송하도록 한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수신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환경이 발달하고, 음악 데이터 등의 컨텐츠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네트워크상의 분배 서버로부터 분배된 컨텐츠를 네트워크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라는 정보 기기로 수신(다운로드)하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 장치에 기억한다. 컨텐츠에 카피 허가 회수 등의 저작권 관리 정보가 부가되어 있을 때는, 이들 정보도 모두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다운로드되어 퍼스널 컴퓨터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컨텐츠는, 다른 기록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컨텐츠가 음악 데이터의 경우에는, 다운로드한 컨텐츠를 예를 들면 소형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내장한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종래의 MD(Mini Disc)와 동 사이즈의 디스크를 사용하고, 보다 대용량을 실현함과 동시에, 음악 데이터의 기록을 FAT 파일 시스템의 관리하에서 실시하는 퍼스널 컴퓨터 등과 보다 친화성이 높은 차세대의 MD 시스템도 제안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이 차세대의 MD 시스템에 대응하는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에 다운로드한 컨텐츠를 전송하고, 디스크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다운로드한 컨텐츠를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에 전송하고 기록 매체에 기록함으로써, 옥외에 있을지라도, 해당 컨텐츠를 재생 해 즐길 수가 있다. 특허 문헌 특개2002-175664호의 공보에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 등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다운로드된 컨텐츠 데이터를, 반도체 메모리나 MD를 기록 매체로서 사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해서 전송하고,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분배된 컨텐츠를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기기(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기기 A로 한다)이외의 기기(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 기기 B로 한다)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데는, 종래에서는, 기기 A로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후에, 기기 A로부터 기기 B에 대한 컨텐츠의 전송 작업을 사용자가 행할 필요가 있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전송해야 할 기기 B를 사용자가 복수 보유하고 있는 예도 많지만, 이와 같은 경우, 기기 B의 보유 대수 분의 수고나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되고, 번거로움이 배가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운로드된 컨텐츠가 저작권 관리 정보를 가지는 경우는, 컨텐츠가 다운로드를 행한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동시에,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관리 정보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상의 지정 장소에 기억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 컨텐츠를 다른 기기 B에 전송할 때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된 해당 컨텐츠와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할 필요가 있다. 다운로드한 컨텐츠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시킬 때에, 이들 데이터의 기억 장소를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지정하지 않으면 목적의 컨텐츠 및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 정보를 찾아내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실시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에 통달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이 작업은 특히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다른 기기에 전송하는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수신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 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기억 수단과, 기록 장치를 접속 가능한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통신 수단에 의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접속 수단에 기록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기록 장치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접속 수단에 기록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기록 장치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는 수신 프로그램에 있어서, 수신 방법은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접속 수단에 기록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기록 장치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프로그램이다.
또,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는 수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수신 방법은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접속 수단에 기록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기록 장치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이다.
또,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제1의 기억 수단과,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제2의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통신 수단에 의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제2의 기억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이다.
또,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제1의 기억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는 수신 프로그램에 있어서, 수신 방법은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제1의 기억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프로그램이다.
또,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는 수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수신 방법은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제1의 기억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9, 10 및 11에 기재된 발명은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접속 수단에 기록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기록 장치에 기억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접속된 기록 장치에도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기록시킬 수가 있다.
또, 청구항 12, 21, 22 및 23에 기재된 발명은 수신 방법은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기억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이용 가능한 상태에 있는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기억 수단에도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기록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텐츠 분배 시스템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다. 분배 가능한 컨텐츠가 다수 축적된 컨텐츠 분배 서버(1)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2)에 접속된다. 네트워크(2)에는, 또한, 사용자가 가지는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정보 기기(3)가 접속된다.
컨텐츠 분배 서버(1)은 사용자에게로부터 정보 기기(3)로부터 네트워크(2)를 통하여 행해진 컨텐츠 분배 요구에 따라, 요구된 컨텐츠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송신된 컨텐츠는 네트워크(2)를 통하여 정보 기기(3)에 수신된다. 정보 기기(3)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를 가지고, 수신된 컨텐츠를 이 기억 매체에 기억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컨텐츠 분배 서버(1)로부터 분배되는 컨텐츠를 음악 데이터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것은 일례로서, 컨텐츠 분배 서버(1)로부터 분배되는 컨텐츠는 음악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데이터이어도 된다.
정보 기기(3)는 컨텐츠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 장치(4)(도 1에서는, PD: Portable Device로 기술)를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록 재생 장치(4)는, 광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내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반도체 메모리라 말하는 기억 매체에 컨텐츠를 기록하고, 기억 매체에 기억된 컨텐츠를 재생한다. 정보 기기(3)와 기록 재생 장치(4)의 접속 인터페이스로서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를 사용할 수 있다. 기록 재생 장치(4)는, 접속된 정보 기기(3)로부터의 명령을 받아들임과 동시에, 정보 기기(3)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컨텐츠)를 기억 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 재생 장치(4)는 기록 재생 장치(4A)와 같이, 휴대 가능하도록 소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나, 기록 재생 장치(4B)와 같이, 거치형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있다. 또,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4A, 4B, …)와 같이, 복수대의 기록 재생 장치(4)를 1대의 정보 기기(3)에 동시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보 기기(3)는 네트워크(2)를 통하여 컨텐츠 분배 서버(1)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했을 때에,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정보 기기(3)의 기억 매체에 저장하는 동시에, 정보 기기(3)에 대해서 기록 재생 장치(4)가 접속되어 있으면, 해당 컨텐츠를 해당 기록 재생 장치(4)에도 전송하고, 기록 재생 장치(4)가 가지는 기억 매체에 기록하도록 기록 재생 장치(4)에 명령한다. 정보 기기(3)에 복수의 기록 재생 장치(4A, 4B, …)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속된 복수의 기록 재생 장치(4A, 4B, …)에 대해서 각각 컨텐츠를 전송하고, 전송한 컨텐츠를 전송처의 기록 재생 장치가 가지는 기억 매체에 기록한다.
사용자는 컨텐츠 분배 서버(1)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정보 기기(3)에 대해서,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기록하게 하고 싶은 기록 재생 장치(4A, 4B, …)를 미리 접속하여 두는 것만으로, 컨텐츠의 다운로드와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기록 재생 장치(4A, 4B, …)에의 전송 및 기록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2는 정보 기기(3)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다. 정보 기기(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로서, 버스(10)에 대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1), ROM(Read Only Memory)(12), RAM(Random Access Memory)(13), 통신 I/F(14), 입력 I/F(15), 데이터 기억부(17), 그래픽부(18), USB I/F(20) 및 드라이브 장치(22)가 접속된다.
ROM(12)는 CPU(11)의 기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이 미리 기억된다. RAM(13)는 CPU(11)의 워크 메모리로서 이용된다. 데이터 기억부(17)는 이 정보 기기(3)에 있어서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기억 매체이다. 데이터 기억 매체(17)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로서, CPU(11)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되는 동시에 데이터가 기억된다. CPU(11)는 RAM(13)을 워크 메모리로서 이용하면서, 데이터 기억부(17)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고, 정보 기기(3)의 각 부를 제어한다.
입력 I/F(15)에는, 예를 들면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나, 키보드라는 입력부(16)가 접속된다. 입력부(16)에 대한 입력에 대응한 제어 신호가 입력 I/F(15)를 통하여 CPU(11)에게 건네 진다. 또, 그래픽부(18)에는, CRT(Cathode Ray Tube)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에 의한 표시부(19)가 접속된다. CPU(11)에 의해 소정 표시를 행하도록 생성된 표시 제어 신호가 그래픽부(18)에 공급되고, 표시부(19)로 표시 가능한 신호로 변환되어 표시부(19)에 공급되고, 표시부(19)에서 소정 표시가 이루어진다.
통신 I/F(14)는 CPU(11)의 명령에 따라 소정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2)와의 사이에서 교환을 행하고, 정보 기기(3)의 네트워크(2)에 대한 통신을 제어한다. USB I/F(20)는 USB 케이블(21)을 통하여 접속된 외부의 기기와의 교환을 제어한다. USB I/F(20)는 예를 들면 USB 허브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외부 기기를 접속할 수 있다.
드라이브 장치(22)는 CD-R(Compact Disc-Recordable)나 CD-RW(Compact Disc-ReWritable)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을 행한다. 또 드라이브 장치(22)는 이들 CD-R 및 CD-RW, 및, CD-ROM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을 행한다. 그리고, 드라이브 장치(22)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DVD(Digital Versatile Disc)중 기록 가능한 타입의 디스크에 데이터의 기록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슬롯 등에 반도체 메모리를 삽입하고, 해당 반도체 메모리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정보 기기(3)가 퍼스널 컴퓨터인 것으로 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보 기기(3)는 네트워크(2)와의 통신 기능과 USB에 의한 통신 기능을 가지는 다른 정보 기기라도 된다. 예를 들면, 가정용 게임 기기를 정보 기기(3)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데이터 기억부(17)로서,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컨텐츠 분배 서버(1)로부터의 컨텐츠 다운로드 전용의 기기를, 도 2와 동일하게 해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정보 기기(3)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다운로드(DL) 어플리케이션(41)은 OS(Operating System)(40)의 상위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컨텐츠 분배 서버(1)로부터의 컨텐츠의 다운로드의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USB I/F(20)를 통하여 접속된 기록 재생 장치(4)에 대해서, 기록 재생 장치(4) 내의 기억 매체에의 데이터의 기입이나 해당 기억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삭제 등을 요구하는 커맨드를 출력한다. UI(User Interface)(42)는 DL 어플리케이션(41)의 상위 어플리케이션으로서, 표시부(19)에 대한 표시나, 입력부(16)로부터 입력 I/F(15)를 통하여 되는 입력의 접수 등,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맡는다. USB 드라이버(43)는 OS(40)의 하위 어플리케이션으로서, 하드웨어인 USB I/F(20) 및 USB I/F(20)에 접속된 USB 디바이스의 제어를 행한다.
DL 어플리케이션(41) 및 UI(42)는,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으로서 제공된다. 정보 기기(3)에 있어서, CD-R드라이브(22)에 해당 CD-ROM를 장전하고, 해당 CD-ROM에 기록된 DL 어플리케이션(41) 및 UI(42)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정보 기기(3)의 데이터 기억부(17)에 소정에 인스톨한다. CPU(11)에 의해, 데이터 기억 매체(17)에 인스톨된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그리고, DL 어플리케이션(41) 및 UI(42)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CD-ROM에 기록되어 제공되지 않아도, 미리 정보 기기(3)의 데이터 기억부(17)에 인스톨된 상태로 제공되어도 되고, 네트워크(2)를 통하여 소정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고 정보 기기(3)에 인스톨할 수도 있다.
도 4는 기록 재생 장치(4)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기록 재생 장치(4)는 컨텐츠로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한다. 시스템 컨트롤러(32)는 예를 들면 CPU, ROM 및 CPU의 워크 메모리로서의 RAM를 가지고, ROM에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 기록 재생 장치(4)의 전체를 제어한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32)에 접속되는 ROM(37)은 이 기록 재생 장치(4)의 프로퍼티 정보가 미리 기록된다.
데이터 매니저(30)는 시스템 컨트롤러(32)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기억 매체 제어부(33)를 제어한다. 또, 데이터 매니저(30)는 메모리(31)를 사용하여, 기억 매체(34)로부터 판독된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부호 및 에러 정정 부호의 복호화, 및, 기억 매체(34)에 기억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및 에러 정정 부호화 등을 행한다. 또, 메모리(31)는 기억 매체(34)에 기록하는 데이터 및 기억 매체(34)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버퍼로도 이용된다.
기억 매체 제어부(33)는 기억 매체(34)에 대해서 기입되는 데이터의 에러 정정 부호화나 기록 부호화를 행하는 동시에, 기억 매체(34)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에러 정정 부호나 기록 부호의 복호화를 행한다. 또, 기억 매체 제어부(33)는 기억 매체(34)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제어한다.
오디오부(35)는 예를 들면 A/D변환기, D/A 변환기, 음질 조정부 및 앰프를 가지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에의 변환 처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의 변환 처리, 음질 조정 처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헤드폰이나 스피커로 재생 가능하게 하기 위한 증폭 처리 등을 한다.
기록 시에는, 예를 들면 오디오부(35)에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A/D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데이터 매니저(30)에 공급된다. 데이터 매니저(30)는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메모리(31)를 사용하여 압축 부호화 및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기억 매체 제어부(33)에 공급한다. 기억 매체 제어부(33)는 데이터 매니저(30)의 제어에 따라,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 매체(34)에 기록한다.
재생 시에는, 기억 매체 제어부(33)의 제어에 의해 기억 매체(34)로부터 판독된 오디오 데이터가 데이터 매니저(30)에 공급되고, 메모리(31)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 부호의 복호화 및 압축 부호의 복호화를 한다. 데이터 매니저(3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부(35)에 공급되고, D/A 변환 처리나 음질 조정 처리가 이루어진다. D/A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앰프에 의해 증폭 처리되어 도시되지 않은 헤드폰이나 스피커에 공급된다.
또, 시스템 컨트롤러(32)에 대해서 USB I/F(36)가 접속되고, 이 기록 재생 장치(4)와 외부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USB에 의한 통신을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기록 재생 장치(4)는 USB I/F(36)를 통하여 전술한 정보 기기(3)와 접속되었을 때에는 정보 기기(3)에 대한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면, 정보 기기(3)와 USB I/F(36)를 통하여 접속된 기록 재생 장치(4)는 정보 기기(3)로부터 공급되는 커맨드에 의해 제어된다.
기억 매체(34)는 기록 재생 장치(4)에 내장되는 내장 타입과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4)에 장전해서 사용하는 미디어 타입의 2종류로 대별된다. 내장 타입의 기억 매체(34)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타입으로서는, 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기록 재생 장치(4)가 기억 매체(34)로서 내장 타입과 미디어 타입의 어느 편에게 대응하고 있는지는, 예를 들면 ROM(37)에 프로퍼티 정보로서 미리 기억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기록 재생 장치(4)의 구성은 전형적인 일례로서, 이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의한 컨텐츠의 다운로드 시의 일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그리고, 이 플로 차트에 의한 처리는, 정보 기기(3)에 있어서 실행된다. 도 4에서는, 정보 기기(3)가 「PC」로서, 기록 재생 장치(4)가 「PD」로서 각각 기술되어 있다.
먼저, 이 플로 차트의 처리에 앞서, 정보 기기(3)에 있어서 DL 어플리케이션(41)이 기동되어 정보 기기(3)와 컨텐츠 분배 서버(1)의 접속 처리가 개시되는 동시에, DL 어플리케이션(41)에 의해 UI(42)가 기동되어 표시부(19)에 대해서 소정 화면(예를 들면 컨텐츠 구입 화면)이 표시된다. 컨텐츠 분배 서버(1)와의 접속이 확립되면, 예를 들면, 컨텐츠 분배 서버(1)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의 리스트가 송신된다. 이 리스트에 따라, 정보 기기(3)에 있어서 UI(42)에 의해 컨텐츠 구입 화면에 대해서 리스트의 내용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리스트 표시에 따라 다운로드하고 싶은 컨텐츠를 선택한다.
사용자로부터, 선택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취지가 입력되면, 스텝 S10에서, 정보 기기(3)로부터 컨텐츠 분배 서버(1)에 대해서, 컨텐츠의 수신 개시 요구가 송신된다. 다음에, 스텝 S11에서, 현재 정보 기기(3)에 대해서 USB I/F(2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기록 재생 장치(4)가 존재하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예를 들면,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UI(42)에 대해서, 예를 들면 컨텐츠 구입 화면상에 배치된 구입 버튼을 조작하고, 선택한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지시하면, UI(42)로부터 DL 어플리케이션(41)에 대해서 다운로드가 지시된 취지가 통지된다(S110). DL 어플리케이션(41)은 이 통지를 받아, OS(40)에 대해서, USB I/F(20)에 대해서 어떠한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한다(S111). 한편, OS(40)는 USB 드라이버(43)에 대해서 항상 폴링을 행하고 있다(S 112). DL 어플리케이션(41)으로부터의 문의에 대해서 폴링 결과를 돌려주는 것으로, DL 어플리케이션(41)은 USB I/F(20)에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알 수가 있다.
만약 USB I/F(20)에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USB 디바이스가 기록 재생 장치(4)인지의 여부가 조사된다. OS(40)는 USB I/F(20)에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면, 접속된 USB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를 캐쉬한다. 이 캐쉬된 디바이스 ID를 조사함으로써, 접속되어 있는 USB 디바이스의 종류(카테고리)를 알 수가 있다. 만약, 정보 기기(3)에 대해서 기록 재생 장치(4)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 S12로 이행된다.
한편, 스텝 S11에서, 정보 기기(3)에 대해서 기록 재생 장치(4)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 S16으로 이행되어 전술한 스텝 S10에 대응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개시된다. 이 스텝 S16에서는,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정보 기기(3)가 가지는 데이터 기억부(17)에만 기록한다.
스텝 S12에서는, 접속되어 있는 기록 재생 장치(4)의 기억 매체(34)의 타입이 판단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4)의 ROM(37)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퍼티 정보에 따라 된다. 즉, 전술한 스텝 S11에 의한 처리에서는, USB의 규격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디바이스 ID를 조사함으로써, 접속되어 있는 USB 디바이스의 종류(예를 들면 스토리지 장치)를 알 수가 있었다. 한편, 기억 매체(34)의 타입은 USB에 의해 정의되어 있지 않고, 기록 재생 장치(4)의 레벨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DL 어플리케이션(41)으로부터 접속되어 있는 기록 재생 장치(4)에 대해서, 프로퍼티 정보를 취득하는 커맨드를 건네주어 해당 기록 재생 장치(4)의 기억 매체(34)의 타입을 조사한다.
만약 기억 매체(34)의 타입이 내장 타입이면, 처리는 스텝 S15로 이행되어 전술한 스텝 S10에 대응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개시된다. 이 스텝 S15에서는,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정보 기기(3)의 데이터 기억부(17)에 기록하는 동시에, 정보 기기(3)에 접속되어 있는 기록 재생 장치(4)의 기억 매체(34)에도 기록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정보 기기(3)의 데이터 기억부(17)에 일단 버퍼링하고, 버퍼링 양이 소정 이상이 되면, 버퍼링된 데이터를 USB I/F(20)를 통하여 기록 재생 장치(4)에 전송한다. 데이터 기억부(17)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그대로 남기는 것으로, 다운로드된 컨텐츠는, 데이터 기억부(17)에 기록되게 된다. 기록 재생 장치(4)에서는, 전송된 데이터를 USB I/F(36)에 의해 수신한다. 수신된 데이터는 시스템 컨트롤러(32)를 통하여 데이터 매니저(30)에 공급된다. 데이터 매니저(30)는 공급된 데이터를 메모리(31)에 버퍼링하면서 소정 처리를 실시하고, 기억 매체 제어부(33)를 통하여 기억 매체(34)에 기록한다.
그리고, 다운로드된 컨텐츠 데이터의 기억 매체(34)에의 기록 방법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데이터 기억부(17)에 기록하는 처리와 해당 데이터를 USB I/F(20)를 통하여 기록 재생 장치(4)에 전송하는 처리를 병렬적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기록 재생 장치(4)의 기억 매체(34)가 미디어 타입이면, 처리는 스텝 S13으로 이행되어 기억 매체(34)가 기록 재생 장치(4)에 장전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이 판단은 예를 들면, 소정 커맨드를 기록 재생 장치(4)에 대해서 건네주어, 그 커맨드에 대한 기록 재생 장치(4)의 응답을 조사함으로써 된다. 만약, 기억 매체(34)가 기록 재생 장치(4)에 이미 장전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 S15로 이행되어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정보 기기(3)가 가지는 데이터 기록부(17)와 기록 재생 장치(4)가 가지는 기억 매체(34)에의 기록이 전술한 바와 같이 해 행해진다.
한편, 스텝 S13에서, 기억 매체(34)가 기록 재생 장치(4)에 장전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 S14로 이행된다. 스텝 S14에서는, 예를 들면 UI(42)에 의한 다이얼로그 박스의 표시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대해 기억 재생 장치(4)에 대한 기억 매체(34)의 장전을 촉구 받는다. 만약, 사용자에게로부터, 기억 매체(34)를 장전하는 것이 선택되었으면, 도시되지 않는 스텝에 의해 기억 매체(34)의 장전이 대기된 후, 처리가 스텝 S13으로 되돌려진다. 한편, 기억 매체(34)를 장전하지 않는 것이 선택되었으면, 처리는 스텝 S16으로 이행된다.
이와 같이, 스텝 S11~S14의 처리에 의해, 정보 기기(3)에 대해서 컨텐츠의 기록에 이용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4)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조사하여, 이용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4)가 있으면, 정보 기기(3)와 동시에, 해당 이용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4)에도, 다운로드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리고, 다운로드되는 컨텐츠에 저작권 관리 정보가 부가되어 있고, 해당 컨텐츠의 다른 기억 매체에의 예를 들면 카피에 관해서 회수 제한 등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행한 정보 기기(3)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기록 재생 장치(4)에 전송하고 기억 매체(34)에 기록할 때에, 체크아웃이라고 칭해지는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체크아웃은 어느 기억 매체로부터 다른 기억 매체에 데이터가 카피되어 카피원 데이터의 카피 허가 회수를 나타내는 카피 회수 권리가 1 감소되는 것을 말한다. 또, 체크아웃 된 데이터를 체크아웃처로부터 삭제하고, 체크아웃 원래의 데이터의 카피 회수 권리를 되돌리는 것을 체크인이라고 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전술한 스텝 S15의 처리 시에, 체크아웃 처리도 동시에 행한다. 즉,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기록 재생 장치(4)에 전송하는 때에, 정보 기기(3)의 데이터 기억부(17)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카피 허가 회수를 자동적으로 1 감소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면, 스텝 S10에서 다운로드를 요구한 컨텐츠의 카피 허가 회수가 3회이면,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했을 때에, 데이터 기억부(17)에 기록되는 해당 컨텐츠의 카피 허가 회수가 3회부터 1회분 줄여지고 2회로 되어, 정보 기기(3)로부터 기록 재생 장치(4)에 전송되고 기억 매체(34)에 기록되는 컨텐츠의 카피 허가 회수가 1회로 여겨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의 한 형태에서는, 정보 기기(3)에 대해서 1대의 기록 재생 장치(4)가 접속된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 실시의 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정보 기기(3)에 대해서 복수대의 기록 재생 장치(4A, 4B, …)를 접속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복수대의 기록 재생 장치(4A, 4B, …)를 접속한 경우의 일례의 처리를,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6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도 5의 설명과 대응하는 부분은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적당히 설명을 생략한다.
정보 기기(3)에 있어서 DL 어플리케이션(41)이 기동되어 정보 기기(3)와 컨텐츠 분배 서버(1)와의 접속 처리가 개시된다. UI(42)에 의해 표시부(19)에 대해서 표시된 컨텐츠 구입 화면에 따라, 사용자에게로부터, 다운로드하고 싶은 컨텐츠가 선택된다. 해당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결정되면, 스텝 S20에서, 정보 기기(3)로부터 컨텐츠 분배 서버(1)에 대해서, 컨텐츠의 수신 개시 요구가 송신된다. 다음에, 스텝 S21에서, 현재 정보 기기(3)에 대해서 USB I/F(2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기록 재생 장치(4)가 존재하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이 때, 접속되어 있는 기록 재생 장치(4)의 수가 확인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DL 어플리케이션(41)으로부터 OS(40)에 대해서, USB I/F(20)에 어떠한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문의를 한다. OS(40)에 의한 USB 드라이버(43)에 대한 폴링의 결과 얻어진 디바이스 ID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기록 재생 장치(4)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정보 기기(3)에 대해서 1대 이상의 기록 재생 장치(4)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 S22로 이행된다.
스텝 S22에서는, 접속되어 있는 기록 재생 장치(4)의 기억 매체(34)의 타입이 기록 재생 장치(4)의 ROM(37)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퍼티 정보에 따라 판단된다. 정보 기기(3)에 복수의 기록 재생 장치(4A, 4B, …)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4A, 4B, …)가 정보 기기(3)에 접속된 순서로, 스텝 S22 이하의 처리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OS(40)에 의해, USB I/F(20)에 대한 접속의 이력을 기록한 로그를 작성하고, 이 로그에 기록된 차례로, 스텝 S22 이하의 처리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스텝 S22 이하의 처리의 순서는 접속 차례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는, 기록 재생 장치(4A, 4B, …)의 순서로, 처리를 하는 것으로 한다.
만약, 기록 재생 장치(4A)의 기억 매체(34)의 타입이 내장 타입이면, 처리는 스텝 S25로 이행되어 전술한 스텝 S20에 대응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개시된다. 이 스텝 S25에서는,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정보 기기(3)의 데이터 기억부(17)에 기록하는 동시에, 정보 기기(3)에 접속되어 있는 기록 재생 장치(4A)에 전송하고, 기록 재생 장치(4A)의 기억 매체(34)에도 기록하도록 제어된다.
단, 이 스텝 S25의 처리는, 정보 기기(3)에 접속된 복수의 기록 재생 장치(4A, 4B, …)의 각각에 대해 반복되는 처리 중, 최초의 1회째 때만 행해진다. 환언하면, 반복의 2번째 이후는, 스텝 S25에서는, 정보 기기(3)에서 2대째 이후의 기록 재생 장치(4)에의 컨텐츠의 전송 및 해당 기록 재생 장치(4)가 가지는 기억 매체(34)에의 컨텐츠의 기록만을 한다. 이 때, 2대째 이후의 기록 재생 장치(4)에 전송되는 컨텐츠는, 컨텐츠 분배 서버(1)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이 아니고, 1회째의 처리 시에 정보 기기(3)의 데이터 기억부(17)에 기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스텝 S25의 처리 후, 처리는 스텝 S27로 이행한다.
한편, 기록 재생 장치(4A)의 기억 매체(34)가 미디어 타입이면, 처리는 스텝 S23으로 이행되어 기억 매체(34)가 기록 재생 장치(4A)에 장전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만약, 기억 매체(34)가 기록 재생 장치(4A)에 이미 장전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 S25로 이행되어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정보 기기(3)가 가지는 데이터 기록부(17)에의 기록과 기록 재생 장치(4A)에의 전송 및 전송된 컨텐츠의 기록 재생 장치(4A)의 기억 매체(34)에의 기록을 한다.
한편, 스텝 S23에서, 기억 매체(34)가 기록 재생 장치(4A)에 장전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 S24로 이행된다. 스텝 S24에서는, 예를 들면 UI(42)에 의한 다이얼로그 박스의 표시 등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 기억 재생 장치(4A)에 대한 기억 매체(34)의 장전을 촉구 받는다. 만약, 사용자에게로부터, 기억 매체(34)를 장전하는 것이 선택되었으면, 도시되지 않는 스텝에 의해 기억 매체(34)의 장전이 대기된 후, 처리가 스텝 S23으로 되돌려진다. 한편, 기억 매체(34)를 장전하지 않는 것이 선택되었으면, 처리는 스텝 S26으로 이행된다.
스텝 S26에서는, 전술한 스텝 S20에 대응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개시된다. 이 스텝 S26에서는,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정보 기기(3)가 가지는 데이터 기억부(17)에만 기록한다. 단, 이 스텝 S26의 처리는, 정보 기기(3)에 접속된 복수의 기록 재생 장치(4A, 4B, …)의 각각에 대해 반복되는 처리 중, 최초의 1회째 때만, 행해진다. 스텝 S26의 처리 후, 처리는 스텝 S27로 이행된다.
스텝 S27에서는, 정보 기기(3)에 접속된 복수의 기록 재생 장치(4A, 4B, …)의 모두에 대해서 컨텐츠의 기록이 종료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만약, 모든 기록 재생 장치(4A, 4B, …)에 대한 기록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 S22로 되돌려져 다음의 기록 재생 장치(4)(이 예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4B))대한 처리가 개시된다.
그리고, 전술한 스텝 S21에서, 정보 기기(3)에 대해서 기록 재생 장치(4)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 S26으로 이행되어 전술한 스텝 S20에 대응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개시된다. 그리고,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정보 기기(3)가 가지는 데이터 기억부(17)에만 기록하고, 처리가 스텝 S27로 이행된다. 스텝 S21로부터 직접적으로 이 스텝 S26으로 처리가 이행되었을 경우는, 정보 기기(3)에 기록 매체 장치(4)가 1대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으므로, 다음의 스텝 S27에서도, 정보 기기(3)에 접속된 모든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컨텐츠의 기록이 행해졌는지 아닌 지의 판단은 생략되어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
또, 스텝 S27에 있어서, 사용자의 UI(42)에 대한 지시에 따라, 처리를 중지하고, 정보 기기(3)에 접속된 모든 기록 재생 장치(4A, 4B, …)에 대한 컨텐츠의 기록이 종료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일련의 처리를 종료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의 변형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의 한 형태와 동일하게, 전술한 스텝 S25의 처리 시에, 체크아웃 처리도 동시에 행한다. 즉,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기록 재생 장치(4)에 전송할 때에, 정보 기기(3)의 데이터 기억부(17)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카피 허가 회수를 자동적으로 1 감소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면, 스텝 S20에서 다운로드를 요구한 컨텐츠의 카피 허가 회수가 3회이면, 1회째의 처리로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했을 때에, 데이터 기억부(17)에 기록되는 해당 컨텐츠의 카피 허가 회수가(3)회부터 1회분 줄여지고 2회로 되어, 정보 기기(3)로부터 기록 재생 장치(4A)에 전송되고 기억 매체(34)에 기록되는 컨텐츠의 카피 허가 회수가 1회로 여겨진다.
그리고, 2번째의 처리의 스텝 S25에 있어서 컨텐츠가 정보 기기(3)로부터 기록 재생 장치(4B)에 전송되고 해당 기록 재생 장치(4B)가 가지는 기억 매체(34)에 기록될 때, 정보 기기(3)의 데이터 기억부(17)에 기록된 컨텐츠의 카피 허가 회수가 또한 1회분 감소되어 1회로 되는 동시에, 기록 재생 장치(4B)에 전송되고 기억 매체(34)에 기록되는 컨텐츠의 카피 허가 회수가 1회로 여겨진다.
그리고, 정보 기기(3)에 접속된 기록 재생 장치(4)의 대수에 대해서 카피 허가 회수가 적은 경우는, 정보 기기(3)의 데이터 기억부(17)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카피 허가 회수가 예를 들면 0회가 될 때, UI(42)에 대해서 그 취지를 통지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면 된다. 또 이 때, 컨텐츠를 추가 구입하는지, 전송 처리를 중지하는 지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 및 실시의 한 형태의 변형예에 적용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4)의 보다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도 7 ~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기록 재생 장치(4)에서는, 기록 매체로서 광자기 디스크가 사용되어 전술한 미디어 타입에 해당한다. 폼 팩터와 같은 디스크의 물리적 속성은 이른바 MD(Mini-Disc)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디스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와, 그 데이터가 어떻게 디스크 상에 배치되어 있는가에 대해서는, 종래의 MD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기록 재생 장치(4)는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재생하기 위해, 파일 관리 시스템으로서 FAT(File Allocation Table)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에 따라, 해당 장치는 현행의 퍼스널 컴퓨터에 대해서 호환성을 보증할 수 있다.
또, 이 기록 재생 장치(4)에서는, 현행의 MD 시스템에 대해서, 에러 정정 방식이나 변조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데이터의 기록 용량의 증대를 도모하는 동시에,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기록 재생 장치(4)에서는, 컨텐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동시에, 부정 카피를 방지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저작권의 보호가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기록 재생의 포맷으로서는, 현행의 MD 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는 디스크와 완전히 동일한 디스크(즉, 물리 매체)를 사용하도록 한 차세대 MD1의 사양과 현행의 MD 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는 디스크와 폼 팩터 및 외형은 동일하지만, 자기초해상도(MSR)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선기록 방향의 기록 밀도를 올려, 기록 용량을 보다 증대한 차세대 MD2의 사양이 있다.
차세대 MD1의 사양에서는, 디스크 1매 당의 데이터 총기록용량은 약 300M 바이트(80분 디스크를 사용한 경우)가 된다. 변조 방식이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로부터 RLL(1, 7)PP(RLL; Run Length Limited , PP; Parity Preserve/Prohibit rmtr(repeated minimum transition run length))(이하, 1-7pp 변조라고 칭한다)로 여기지는 것에서, 윈도우 마진이 0.5에서 0.666이 되며, 이 점으로, 1.33배의 고밀도화가 실현될 수 있다. 또, 에러 정정 방식으로서, ACIRC(Advanced 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e) 방식으로부터 BIS(Burst Indicator Subcode)와 LDC(RS-LDC: Reed Solomon-Long Distance Code)를 조합한 것으로 함으로써, 데이터 효율이 상승하고, 이 점에서, 1.48배의 고밀도화가 실현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는, 완전히 동일한 디스크를 사용하여, 현행의 MD 시스템에 비해, 약 2배의 데이터 용량이 실현된 것이 된다.
자기초해상도를 이용한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에서는, 또한 선밀도 방향의 고밀도화가 도모되어, 데이터 총기록용량은 약 1G 바이트가 된다.
또, 해당 기록 재생 장치(4)는, 현행 MD의 사양에도 대응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차세대 MD1의 디스크의 구성을 나타낸다. 차세대 MD1의 디스크는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를 그대로 유용한 것이다. 즉, 디스크는, 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기판 상에, 유전체막과, 자성막과, 유전체막과, 반사막을 적층해서 구성된다. 또한, 그 위에, 보호막이 적층된다.
차세대 MD1의 디스크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의 내주(디스크의 레코더블 영역의 가장 내측의 주(「가장 내측」은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는 방향에 있어서 가장 내측을 나타냄)의 리드 인 영역에, P-TOC(프리 마스타드 TOC(Table Of Contents)) 영역이 설치된다. 여기는, 물리적인 구조로서는 프리 마스타드 영역으로 된다. 즉, 엠보스 피트에 의해, 컨트롤 정보 등이, 예를 들면, P-TOC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P-TOC 영역이 설치되는 리드 인 영역의 외주(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는 방향에 있어서 외측의 주)는 레코더블 영역(광자기 기록 가능한 영역)으로 되어, 기록 트랙의 안내홈으로서 그루브가 형성된 기록 재생 가능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 레코더블 영역의 내주에는, U-TOC(사용자 TOC)가 설치된다.
U-TOC는, 현행의 MD 시스템으로 디스크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은 U-TOC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것이다. U-TOC는, 현행의 MD 시스템에 있어서, 트랙(오디오 트랙/데이터 트랙)의 곡 순서, 기록, 소거 등에 따른 재기입 관리 정보이며, 각 트랙(트랙을 구성하는 파트)에 대하여, 개시 위치, 종료 위치, 및 모드를 관리하는 것이다.
U-TOC의 외주에는, 얼라이트 트랙이 설치된다. 이 트랙에는, 디스크가 현행의 MD 시스템에 로드되었을 경우에, MD 플레이어에 의해 기동(출력)되는 경고음이 기록된다. 이 경고음은 그 디스크가 차세대 MD1방식으로 사용되어 현행의 시스템에서는 재생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레코더블 영역의 나머지의 부분(상세하게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은 리그 아웃 영역까지, 방사상으로 뻗는 방향으로 퍼지고 있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차세대 MD1의 사양의 디스크의 레코더블 영역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코더블 영역의 선두(내주측)에는, U-TOC 및 얼라이트 트랙이 설치된다. U-TOC 및 얼라이트 트랙이 포함되는 영역은 현행의 MD 시스템의 플레이어에서도 재생할 수 있도록, EFM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된다. EFM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의 외주에, 차세대 MD1방식의 1-7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이 설치된다. EFM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과 1-7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의 사이는 소정 거리의 사이만큼 이간되어 있고, 「가이드 밴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밴드가 설치되므로, 현행의 MD 플레이어에 차세대 MD1의 사양의 디스크가 장착되어,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1-7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의 선두(내주측)에는, DDT(Disc Description Table) 영역과 리저브 트랙이 설치된다. DDT 영역에는, 물리적으로 결함이 있는 영역에 대한 교체 처리를 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DDT 영역에는 또한 유닉 ID(UID)가 기록된다. UID는 기록 매체마다 고유의 식별 코드로서, 예를 들면 소정에 발생된 난수에 근거한다. 리저브 트랙은 컨텐츠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1-7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에는, FAT(File Allocation Table) 영역이 설치된다. FAT 영역은 FAT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영역이다. FAT 시스템은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로 사용되고 있는 FAT 시스템에 따른 데이터 관리를 행하는 것이다. FAT 시스템은 루트에 있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엔트리 포인트를 나타내는 디렉토리와 FAT 클러스터의 연결 정보가 기술된 FAT 테이블을 사용하여, FAT 체인에 의해 파일 관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FAT의 용어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에서 사용된다, 여러 가지 상이한 파일 관리 방법을 나타낸 바와 같이 총괄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차세대 MD1의 사양의 디스크에 있어서는, U-TOC 영역에는, 얼라이트 트랙의 개시 위치의 정보와, 1-7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의 개시 위치의 정보가 기록된다.
현행의 MD 시스템의 플레이어에, 차세대 MD1의 디스크가 장착되면, U-TOC 영역이 판독되고, U-TOC의 정보로부터, 얼라이트 트랙의 위치를 알 수 있어, 얼라이트 트랙이 액세스되어 얼라이트 트랙의 재생이 개시된다. 차세대 MD1에 따른 플레이어에, 차세대 MD1의 디스크가 장착되면, U-TOC 영역이 판독되고, U-TOC의 정보로부터, 1-7pp 변조로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의 개시 위치를 알 수 있어, DDT, 리저브 트랙, FAT 영역이 판독된다. 1-7pp 변조의 데이터의 영역에서는, U-TOC를 사용하지 않고 , FAT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관리를 한다.
도 9는 차세대 MD2의 디스크를 나타내는 것이다. 디스크는 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기판 상에, 유전체막과, 자성막과, 유전체막과, 반사막을 적층하여 구성된다. 또한, 그 위에 보호막이 적층된다.
차세대 MD2의 디스크에서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의 내주(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는 방향에 있어서 내측의 주)의 리드 인 영역에는, ADIP(Address in Pregroove) 신호에 의해, 컨트롤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차세대 MD2의 디스크에는, 리드 인 영역에는 엠보스 피트에 의한 P-TOC는 설치되지 않고, 그 대신에, ADIP 신호에 의한 컨트롤 정보가 이용된다. 리드 인 영역의 외주로부터 레코더블 영역이 개시되어 기록 트랙의 안내홈으로서 그루브가 형성된 기록 재생 가능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 레코더블 영역에는, 1-7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된다.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에서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성막으로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층으로 되는 자성층(101)과, 절단층(102)과, 정보 재생용의 자성층(103)이 적층된 것이 이용된다. 절단층(102)은 교환 결합력 조정용 층으로 된다. 소정 온도가 되면, 절단층(102)이 자기적으로 뉴트럴인 상태가 되어, 기록층(101)에 전사되어 있던 자벽이 재생용의 자성층(103)에 전사된다. 이로써, 기록층(101)에서는 미소한 마크가 재생용의 자성층(103)의 빔 스폿 중에 확대되어 보이게 된다.
차세대 MD1인가 차세대 MD2인가는, 예를 들면, 리드 인의 정보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즉, 리드 인에 엠보스 피트에 의한 P-TOC가 검출되면, 현행의 MD 또는 차세대 MD1의 디스크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리드 인에 ADIP 신호에 의한 컨트롤 정보가 검출되고 엠보스 피트에 의한 P-TOC가 검출되지 않으면, 차세대 MD2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세대 MD1과 차세대 MD2의 판별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 트랙 때와 오프 트랙 때의 트래킹 에러 신호의 위상으로부터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디스크 식별용의 검출공 등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도 10은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의 레코더블 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코더블 영역에서는 모두 1-7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고, 1-7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의 선두(내주측)에는, DDT 영역과 리저브 트랙이 설치된다. DDT 영역은 물리적으로 결함이 있는 영역에 대한 교체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교체 영역 관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DDT 영역은 물리적으로 결함이 있는 상기 영역에 바뀌는 레코더블 영역을 포함하는 치환 영역을 관리하는 관리 테이블을 기록한다. 이 관리 테이블은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논리 클러스터를 기록하고, 그 결함이 있는 논리 클러스터로 바뀌는 것으로서 할당하여 치환 영역내의 논리 클러스터(1개 또는 복수)도 기록한다. 또한, DDT 영역에는, 전술한 UID가 기록된다. 리저브 트랙은 컨텐츠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1-7pp 변조로 데이터가 변조되어 기록되는 영역에는, FAT 영역이 설치된다. FAT 영역은 FAT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영역이다. FAT 시스템은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로 사용되어 있는 FAT 시스템에 따른 데이터 관리를 행하는 것이다.
차세대 MD2의 디스크에 있어서는, U-TOC 영역은 설치되지 않았다. 차세대 MD2에 따른 플레이어에, 차세대 MD2의 디스크가 장착되면, 소정 위치에 있는 DDT, 리저브 트랙, FAT 영역이 판독되고, FAT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관리를 한다.
그리고,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디스크에서는, 시간이 걸리는 초기화 작업은 불필요하다. 즉,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에서는, DDT나 리저브 트랙, FAT 테이블 등의 최저한의 테이블의 작성 이외에, 초기화 작업은 불필요하여, 미사용의 디스크로부터 레코더블 영역의 기록 재생을 직접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전술한 차세대 MD1 시스템, 차세대 MD2 시스템 및 현행 MD 시스템에 의한 디스크를 기억 매체(34)로서 사용한 기록 재생 장치(4)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다. 기록 재생 장치(4)는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와 차세대 MD1의 디스크와 차세대 MD2의 디스크가 장전되는 턴테이블을 가지고 있고, 턴테이블에 장전된 디스크(100)를 스핀들 모터(103)에 의해 CLV(Constant Linear Velocity) 방식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이 디스크(100)에 대해서는 기록/재생 시에 광학 헤드(104)에 의해 레이저광이 조사된다.
광학 헤드(104)는 기록 시에는 기록 트랙을 퀴리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고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행하고, 또 재생 시에는 자기 카 효과에 의해 반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비교적 저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행한다. 그러므로, 광학 헤드(104)에는, 여기서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레이저 출력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 편광 빔 분할기나 대물 렌즈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계, 및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디텍터가 탑재되어 있다. 광학 헤드(104)에 구비되어 대물 렌즈로서는, 예를 들면 2축 기구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 및 디스크에 접근 및 이간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디스크(100)를 협지하여 광학 헤드(104)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자기 헤드(101)가 배치되어 있다. 자기 헤드(101)는 기록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자계를 디스크(100)에 인가하는 동작을 행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광학 헤드(104) 전체 및 자기 헤드(101)를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레드 모터 및 스레드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광학 헤드(104) 및 자기 헤드(101)는 차세대 MD2의 디스크의 경우에는, 펄스 구동 자계 변조를 행함으로써, 미소한 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현행 MD의 디스크나, 차세대 MD1의 디스크의 경우에는, DC 발광의 자계 변조 방식으로 여겨진다.
이 기록 재생 장치(4)에서는, 광학 헤드(104), 자기 헤드(101)에 의한 기록 재생 헤드계, 스핀들 모터(103)에 의한 디스크 회전 구동계 외에, 기록 처리계, 재생 처리계, 서보계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디스크(100)로서는, 현행의 MD사양의 디스크와 차세대 MD1의 사양의 디스크와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가 장착될 가능성이 있다. 이들 디스크에 의해, 선속도가 차이가 난다. 스핀들 모터(103)는 이들 선속도의 상이한 복수 종류의 디스크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턴테이블에 장전된 디스크(100)는 현행의 MD 사양의 디스크의 선속도와 차세대 MD1의 사양의 디스크의 선속도와 차세대 MD2의 사양의 디스크의 선속도에 대응하여 회전된다.
기록 처리계에서는,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의 경우에, 오디오 트랙의 기록 시에, ACIRC로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EFM로 변조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의 경우에, BIS와 LDC를 조합된 방식으로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1-7pp 변조로 변조하여 기록하는 기록 드라이버(107)가 설치된다. 기록 드라이버(106)는 디스크(100)가 현행 MD 시스템에 의한 것인지,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에 의한 것인지에서, 대응하는 부위가 교체되게 되어 있다.
재생 처리계에서는,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의 재생 시에, EFM의 복조와 ACIRC에 의한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고,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 시스템의 디스크의 재생 시에, 파셜 리스펀스 및 비터비 복호를 사용한 데이터 검출에 근거하는 1-7복조와, BIS와 LDC에 의한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는 재생 드라이버(127)가 설치된다. 재생 드라이버(127)는 디스크(100)가 현행 MD 시스템에 의한 것인지,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에 의한 것인지에서, 대응하는 부위가 교체되게 되어 있다.
광학 헤드(104)의 디스크(100)에 대한 레이저 조사에 의해 그 반사광으로서 검출된 정보(포토디텍터에 의해 레이저 반사광을 검출하여 얻어지는 광 전류)는 RF앰프(107)에 공급된다.
RF 앰프(107)에서는, 입력된 검출 정보에 대해서 전류-전압 변환, 증폭, 매트릭스 연산 등을 행하고, 재생 정보로서의 재생 RF 신호, 트래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 그루브 정보(디스크(100)에 트랙의 워블링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ADIP 정보) 등을 추출한다.
현행의 MD 시스템의 디스크를 재생할 때는, RF 앰프로 얻어진 재생 RF 신호는, 재생 드라이버(127)에 공급되어, 2치화 되고 EFM 신호열로 된 후, EFM 복조되며, 또한 ACIRC 디코더에서 에러 정정 및 디인터리브 처리된다. 즉 이 시점에서 ATRAC 압축 데이터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그 복조된 ATRAC 압축 데이터가 디스크(100)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로 된다. 이 재생 데이터는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에 공급된다.
한편,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의 디스크를 재생할 때는, RF앰프(107)에서 얻어진 재생 RF 신호는, 재생 드라이버(127)에 공급되고, PR(1, 2, 1) ML 또는 PR(1, -1) ML 및 비터비 복호를 사용한 데이터 검출에 의해 RLL(1-7) 부호열로서의 재생 데이터를 얻고, 이 RLL( 1-7) 부호열에 대해서 RLL(1-7) 복조 처리를 한다. 그리고 또한, RS-LDC 디코더에서 에러 정정 및 디인터리브 처리된다. 그리고, 그 복조된 데이터가 디스크(100)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이 재생 데이터는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에 공급된다.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에 공급된 재생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130)를 사용하여 압축 부호가 복호화되어 재생 오디오 데이터로 된다. 이 재생 오디오 데이터는 도시되지 않는 D/A 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앰프(115)에 공급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앰프(115)에 의해 헤드폰이나 스피커를 구동 가능하게 증폭되어 출력단(116)에 도출된다.
RF 앰프(107)로부터 출력되는 트래킹 에러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는 서보 회로(108)에 공급되고, 그루브 정보는 어드레스 디코더(128)에 공급된다. 어드레스 디코더(128)에서는, 그루브 정보에 대해서 밴드 패스 필터에 의해 대역 제한하여 워블 성분을 추출한 후, FM복조, 바이페이즈 복조를 행하여 ADIP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ADIP 신호를 사용하여, 어드레스의 디코드를 행한다.
그리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현행 MD 시스템의 디스크 및 차세대 MD1의 디스크와 차세대 MD2의 디스크는, 디스크(100) 상의 어드레스의 구성이 상이하다. 그래서, 어드레스 디코더(128)는 각각의 현행 MD 시스템 및 차세대 MD1 시스템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디코더와 차세대 MD2 시스템 시스템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디코더를 가진다.
ADIP 신호로부터 디코드된 ADIP 어드레스는 도시되지 않는 드라이브 컨트롤러에 공급되고, ADIP 어드레스에 따라, 필요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또 그루브 정보는 스핀들 서보 제어를 위해 서보 회로(108)에 공급된다.
서보 회로(108)는 예를 들면 그루브 정보에 대해서 재생 클록(디코드 시의 PLL계 클록)과의 위상 오차를 적분하여 얻어지는 오차 신호에 따라, CLV 또는 CAV 서보 제어를 위한 스핀들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또 서보 회로(108)는 스핀들 에러 신호나, RF 앰프(107)로부터 공급된 트래킹 에러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또는 드라이브 컨트롤러로부터의 트랙 점프 지령, 액세스 지령 등에 따라 각종 서보 제어 신호(트래킹 제어 신호, 포커스 제어 신호, 스레드 제어 신호, 스핀들 제어 신호 등)를 생성하고, 모터 드라이버(105)에 대해서 출력한다. 즉 상기 서보 에러 신호나 지령에 대해서 위상 보상 처리, 게인 처리, 목표치 설정 처리 등의 필요 처리를 행하여 각종 서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모터 드라이버(105)에서는, 서보 회로(27)로부터 공급된 서보 제어 신호에 따라 필요한 서보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의 서보 드라이브 신호로서는, 2축 기구를 구동하는 2축 드라이브 신호(포커스 방향, 트래킹 방향의 2종), 스레드 기구를 구동하는 스레드 모터 구동 신호, 스핀들 모터(103)를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구동 신호로 된다. 이와 같은 서보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디스크(100)에 대한 포커스 제어, 트래킹 제어, 및 스핀들 모터(100)에 대한 CLV 또는 CAV 제어를 하게 된다.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시에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라인(MIC/LINE) 입력단(113)으로부터 입력되고, 앰프(112)를 통하여 ADC(Analog/Digital Converter)(111)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에 공급된다. 또,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면 광 디지털 신호(OPT) 입력단(114)으로부터 입력되고,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에 직접적으로 공급된다. ADC(111)에서 샘플링 레이트 등을 변환하고 나서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에 공급하여도 된다.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는 버퍼 메모리(130)를 사용하여, 공급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예를 들면 ATRAC 방식에 의해 압축 부호화 한다.
현행 MD 시스템의 디스크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는, 기록 드라이버(106)에 있어서, 현행 MD 시스템에 대응한 부위가 기능되고, 따라서 ACIRC 인코더 및 EFM 변조부가 기능하는 것이 된다. 이 경우,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ACIRC 인코더로 인터리브 및 에러 정정 코드 부가를 한 후, EFM 변조부에서 EFM 변조를 한다. 그리고 EFM 변조 데이터가 자기 헤드 드라이버(102)에 공급되고, 자기 헤드(101)가 디스크(100)에 대해서 EFM 변조 데이터에 따른 자계 인가를 행함으로써 오디오 트랙의 기록을 한다.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는, 기록 드라이버(106)에 있어서, 차세대 MD1 또는 차세대 MD2에 대응한 부위가 기능되고, 따라서 RS-LDC 인코더 및 RLL(1-7)pp 변조부가 기능하는 것이 된다. 이 경우,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로부터 공급된 고밀도 데이터는 RS-LDC 인코더에서 인터리브 및 RS-LDC 방식의 에러 정정 코드 부가를 한 후, RLL(1-7)pp 변조부에서 RLL(1-7) 변조를 한다.
그리고 RLL(1-7) 부호열로서의 기록 데이터가 자기 헤드 드라이버(102)에 공급되고, 자기 헤드(101)가 디스크(100)에 대해서 변조 데이터에 따른 자계 인가를 행함으로써 데이터 트랙의 기록을 한다.
광학 헤드(104)는 도시되지 않는 레이저 드라이버/APC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재생 시 및 기록 시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의 레이저 발행 동작이 실행된다. 또, 광학 헤드(104) 내에는 레이저 파워 모니터용의 디텍터가 설치되고, 그 모니터 신호가 레이저 드라이버/APC에 피드백됨으로써 APC 동작이 실현되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파워가 설정치로 안정되도록 제어된다.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109)에는 또한 USB I/F(117)가 접속된다.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는 USB I/F(117)를 통하여 접속된 정보 기기(3)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게 되어, 기입 요구, 판독 요구 등의 커맨드의 수신이나, 스테이터스 정보 그 외의 필요 정보의 송신 등을 행한다.
정보 기기(3)로부터의 판독 요구를 수신하면,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는 이 요구에 따라 디스크(100)로부터 데이터를 디스크의 기록 단위(예를 들면 64kB마다의 클러스터 단위)로 판독하고, 버퍼 메모리(130)에 모은다. 버퍼 메모리(130)에 모은 데이터는, FAT 시스템의 데이터 단위(예를 들면 2kB마다의 섹터 단위)로 버퍼 메모리(130)로부터 판독된다. 이로써, 디스크(100)에 대한 FAT 시스템에 의한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버퍼 메모리(130)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USB I/F(117)를 통하여 정보 기기(3)에 공급된다. 디스크(100)에의 데이터의 기입도 마찬가지로 하여 행해져 예를 들면, FAT 시스템의 섹터 단위로 기입이 요구된 데이터가, 정보 기기(3)로부터 USB I/F(117)를 통하여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에 공급되고, 버퍼 메모리(130)에 기입된다.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는 버퍼 메모리(130)에 기입된 데이터를 클러스터 단위로 판독하고, 디스크(100)에 기록한다.
또,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에 접속된 ROM(110)에는, 이 기록 재생 장치(4)의 프로퍼티 정보가 미리 기억된다. 정보 기기(3)는 USB I/F(117)를 통하여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109)에 대해서 ROM(110) 내의 프로퍼티 정보의 판독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ROM(110)에 기억된 프로퍼티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으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2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도 12는 차세대 MD1 및 차세대 MD2에 적용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의 예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예에서의 관리 방식에서는, 디스크 상에는, 트랙 인덱스 파일과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생성된다. 트랙 인덱스 파일 및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FAT 시스템으로 관리되는 파일이다.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복수의 음악 데이터가 1개의 파일로서 납입할 수 있던 것이며, FAT 시스템으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보면, 거대한 파일로 보인다.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그 내부가 파트로서 단락지어져, 오디오 데이터는 파트의 집합으로서 취급된다.
트랙 인덱스 파일은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 납입할 수 있던 음악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의 정보가 기술된 파일이다. 이 제1의 관리 방식에서는, 각 음악 데이터의 정보나 각 음악 데이터의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 각 음악 데이터의 저작자 정보나 카피 제한 정보 등으로 되는 저작권 관리 정보 등이 트랙 인덱스 파일에 저장된다.
정보 기기(3)에 의해 컨텐츠 분배 서버(1)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오디오 데이터)가 기록 재생 장치(4)에 전송되고, 이 제1의 관리 방식이 적용된 디스크(100)에 기록되려면,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최후미에 연결되어 트랙 인덱스 파일이 새롭게 추가된 오디오 데이터를 반영하도록 재기입된다. 이와 동시에, 트랙 인덱스 파일 중의 저작권 관리 정보가 소정에 재기입된다.
도 13은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의 예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의 예에서의 관리 방식에서는, 디스크 상에는, 트랙 인덱스 파일과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생성된다. 트랙 인덱스 파일 및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FAT 시스템으로 관리되는 파일이다.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원칙적으로는 1곡이 1파일의 음악 데이터가 납입할 수 있던 것이다. 이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는 헤더가 형성되어 있다. 헤더에는, 타이틀과 복호 키 정보와, 저작권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동시에, 인덱스 정보가 설치된다. 인덱스는, 1개의 트랙의 악곡을 복수에 분할하는 것이다. 헤더에는, 인덱스에 의해 분할된 각 트랙의 위치가 인덱스 넘버에 대응하여 기록된다. 인덱스는 예를 들면, 255개 설정할 수 있다.
정보 기기(3)에 의해 컨텐츠 분배 서버(1)로부터 다운로드된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 재생 장치(4)에 전송되고, 이 제2의 관리 방식이 적용된 디스크(100)에 기록되려면,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가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 파일로서 추가되어 기록되고, 트랙 인덱스 파일이 새롭게 추가된 오디오 데이터를 반영하도록 재기입된다. 이와 동시에, 추가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헤더 내의 저작권 관리 정보가 소정에 재기입된다.
그리고, 전술에서는, 본 발명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정보 기기(3)가 가지는 데이터 기억부(17)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정보 기기(3)에 접속된 기록 재생 장치(4)에 전송하고, 기록 재생 장치(4)의 기억 매체(34)에 기억하도록 설명했지만, 이것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보 기기(3)의 데이터 기억부(17)에 다운로드한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동시에, 해당 정보 기기(3)가 가지는 드라이브 장치(22)에 장전된 예를 들면 CD-R에 컨텐츠를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분배 서비스를 받을 때에, 정보 기기(기기 A)에 있어서 기록 장치(기기 B)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조사하여, 접속되어 있으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기기 A의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동시에, 접속된 기기 B에 전송하여 기억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기기 A로부터 컨텐츠를 재생하려는 다른 기기 B에 컨텐츠를 전송하고 기록하는 작업을, 컨텐츠 분배 서비스를 받은 후에 별도로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하면, 기기 A에 복수대의 기기 B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기기 A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동시에 기기 A에 접속된 복수의 기기 B에 대해서 각각 전송하여 기억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복수대의 기기 B에 대한 컨텐츠의 전송 및 기록의 작업을, 컨텐츠 분배 서비스를 받은 후에 별도로 실시하지 않아도 되는 동시에, 한번의 작업으로 끝마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텐츠 분배 시스템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 약선도이다.
도 2는 정보 기기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정보 기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4는 기록 재생 장치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의한 컨텐츠의 다운로드 시의 일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복수대의 기록 재생 장치가 접속되었을 경우에 컨텐츠의 다운로드 시의 일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7은 차세대 MD1 시스템의 사양의 디스크의 설명에 이용되는 도면이다.
도 8은 차세대 MD1 시스템의 사양의 디스크의 기록 영역의 설명에 이용되는 도면이다.
도 9는 차세대 MD2 시스템의 사양의 디스크의 설명에 이용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차세대 MD2 시스템의 사양의 디스크의 기록 영역의 설명에 이용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차세대 MD1 시스템, 차세대 MD2 시스템 및 현행 MD 시스템에 의한 디스크를 기억 매체로서 사용한 기록 재생 장치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1의 예의 설명에 이용되는 도면이다.
도 13은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식의 제2의 예의 설명에 이용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컨텐츠 분배 서버
2 : 네트워크
3 : 정보 기기
4 : 기록 재생 장치
14 : 통신 I/F
17 : 데이터 기억부
20 : USB I/F
22 : 드라이브 장치
34 : 기억 매체
36 : USB I/F
37 : ROM
40 : OS
41 : DL 어플리케이션
42 : UI
43 : USB 드라이버
100 : 디스크
109 : 데이터 매니저/시스템 컨트롤러부
110 : ROM
117 : USB I/F

Claims (23)

  1.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기억 수단과,
    기록 장치를 접속 가능한 접속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상기 접속 수단에 상기 기록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상기 기록 장치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가 사용하는 기억 매체가 상기 기록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타입인지, 상기 기록 장치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 가능한 타입인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가 사용하는 기억 매체가 상기 기록 장치에 대해서 상기 장착 및 분리 가능한 타입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기억 매체가 상기 기록 장치에 장전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복수의 상기 기록 장치를 접속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기록 장치에 각각 전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의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기억은 상기 복수의 기록 장치에 대해서 이루어지는 상기 전송에 대해서 1회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전송에 따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체크아웃을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에 상기 기록 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상기 기억 수단에만 기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9.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접속 수단에 기록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상기 컨텐츠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상기 기록 장치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10.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방법을 컴퓨터 장치로 실행시키는 수신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방법은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접속 수단에 기록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상기 컨텐츠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상기 기록 장치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프로그램.
  11.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방법을 컴퓨터 장치로 실행시키는 수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방법은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접속 수단에 기록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상기 컨텐츠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상기 기록 장치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제1의 기억 수단과,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제2의 기억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기록 장치를 접속 가능한 접속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은 상기 접속 수단에 접속되는 상기 기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가 사용하는 기억 매체가 상기 기록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타입인지, 상기 기록 장치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 가능한 타입인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가 사용하는 기억 매체가 상기 기록 장치에 대해서 상기 장착 및 분리 가능한 타입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기억 매체가 상기 기록 장치에 장전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제2의 기억 수단에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의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기억은 상기 복수의 제2의 기억 수단에 대해서 이루어지는 상기 전송에 대해서 1회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대한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전송에 따라,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체크아웃을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이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만 기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
  21.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제1의 기억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22.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방법을 컴퓨터 장치로 실행시키는 수신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방법은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제1의 기억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프로그램.
  23.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수신 방법을 컴퓨터 장치로 실행시키는 수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방법은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제1의 기억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고정적으로 이용되는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040078230A 2003-10-01 2004-10-01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KR101166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3672 2003-10-01
JP2003343672A JP4036177B2 (ja) 2003-10-01 2003-10-01 受信装置、受信方法、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ならびに、受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485A true KR20050032485A (ko) 2005-04-07
KR101166486B1 KR101166486B1 (ko) 2012-07-19

Family

ID=3430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230A KR101166486B1 (ko) 2003-10-01 2004-10-01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69158B2 (ko)
EP (1) EP1521266A1 (ko)
JP (1) JP4036177B2 (ko)
KR (1) KR101166486B1 (ko)
CN (1) CN10040127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3772A (ja) 2006-01-11 2007-08-23 Sony Corp 記録転送プログラム、記録転送装置及び記録転送方法
JP2008301393A (ja) * 2007-06-04 2008-12-11 Funai Electric Co Ltd 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320A (ja) 1995-03-11 1996-09-27 Ricoh Co Ltd 原稿読み取り制御装置
US7047302B1 (en) * 1999-12-02 2006-05-16 Sony Corporation Entertainment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optional customer election of auxiliary content provided on detachable local storage media during access of primary content over a network and for collecting data concerning viewed auxiliary content
JP3906535B2 (ja) * 1997-11-07 2007-04-18 ソニー株式会社 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2000163865A (ja) 1998-11-26 2000-06-16 Ricoh Co Ltd 情報転送装置
JP4356178B2 (ja) 1999-03-09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2001061019A (ja) * 1999-08-20 2001-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ウンロードプログラムによる音楽データ再現システム
JP2001093226A (ja) * 1999-09-21 2001-04-06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1110171A (ja) * 1999-10-13 2001-04-20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端末装置、送受信方法、ならびに、記憶媒体
US6324659B1 (en) * 1999-10-28 2001-11-2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critical faults in machines
JP4325102B2 (ja) 1999-11-12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3281920B2 (ja) * 2000-03-14 2002-05-13 東北大学長 アリルフラ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2002024071A (ja) 2000-07-07 2002-01-2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データバックアップ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JP4300705B2 (ja) 2000-12-05 2009-07-2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方法、記録媒体
JP2002175665A (ja) 2000-12-06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US8458754B2 (en) * 2001-01-22 2013-06-0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stant start multimedia content
JP2002222536A (ja) 2001-01-25 2002-08-09 Sony Corp 光スポット整形装置及び方法、光ピックアップ装置、並びに光ディスク装置
JP3959972B2 (ja) * 2001-02-09 2007-08-15 ソニー株式会社 光スポット進行方向判定装置及び方法、光学ヘッド装置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4686870B2 (ja) 2001-02-28 2011-05-25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情報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20020143907A1 (en) * 2001-03-30 2002-10-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acquiring apparatus, downloading server and trigger server
JP2003085893A (ja) 2001-09-07 2003-03-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84030B2 (ja) * 2001-09-21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
TWI304970B (en) * 2002-08-28 2009-0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Networked apparatus, content dupl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recorded therein content duplication management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75901A1 (en) 2005-04-07
JP2005108385A (ja) 2005-04-21
KR101166486B1 (ko) 2012-07-19
CN100401276C (zh) 2008-07-09
CN1619515A (zh) 2005-05-25
EP1521266A1 (en) 2005-04-06
US8069158B2 (en) 2011-11-29
JP4036177B2 (ja)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308B1 (ko) 컨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컨텐츠 데이터 전송 방법
US20070086284A1 (en) Storage medium initialization method,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166486B1 (ko)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JPWO2003088228A1 (ja) 光ディスク判別装置、光ディスク判別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並びに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4179093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
WO2004109687A1 (ja)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およびファイル転送方法
TW200306528A (en) Reproducing method,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anagement table
TW200306533A (en) Storage medium initialization and cancellation method
JP4264949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
US7549176B2 (e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JP4292988B2 (ja) 記録装置及び方法
WO2005066960A1 (ja) 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ファイル管理方法
RU2305330C2 (ru)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и способ записи на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JP4269841B2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4214886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RU2303822C2 (ru) Способ записи данных на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JP2005196882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2004094993A (ja) 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方法、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録媒体
JP2005302072A (ja) 記録再生装置、管理情報読出方法
JP2004094815A (ja) 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方法、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プログラム、記録媒体、電子機器、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制御方法、ならびに、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2005196850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2005216439A (ja) 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4079091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200521643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5276241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