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491Y1 - Combined structure for vehicle navigation installation - Google Patents

Combined structure for vehicle navigation instal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491Y1
KR200496491Y1 KR2020200003678U KR20200003678U KR200496491Y1 KR 200496491 Y1 KR200496491 Y1 KR 200496491Y1 KR 2020200003678 U KR2020200003678 U KR 2020200003678U KR 20200003678 U KR20200003678 U KR 20200003678U KR 200496491 Y1 KR200496491 Y1 KR 200496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cradle
bracket
vehicle
coup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67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0872U (en
Inventor
신문기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2020200003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91Y1/en
Priority to CN202122446208.4U priority patent/CN216546009U/en
Publication of KR20220000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7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9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모니터에 부착되는 브라켓, 차량의 대시보드에 부착되고, 브라켓을 통해 모니터의 일 부분과 결합되어, 모니터를 거치시키는 거치대, 및 거치대에 체결되어, 모니터와 거치대의 결합된 부분을 덮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거치대는 차량의 차종에 따라 상이하게 제조되면서, 차량의 차종과 관계 없이 단일 규격으로 각각 제조되는 모니터 및 커버와 결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bracket attached to a monitor of the vehicle navigation device, a cradle attached to a vehicle dashboard, coupled to a part of the monitor through the bracket, and holding the monitor, and A cover fastened to the cradle and covering a coupled portion of the monitor and the cradle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radle may be manufactured to be coupled with a monitor and a cover that are each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regardless of the vehicle model while being manufact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ehicle model.

Description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COMBINED STRUCTURE FOR VEHICLE NAVIGATION INSTALLATION}Combined structure for vehicle navigation installation {COMBINED STRUCTURE FOR VEHICLE NAVIGATION INSTALLATION}

다양한 실시예들은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Various embodiments relate to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navigation system for a vehicle.

차량이 일반에 널리 보금됨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에게 각종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차량용 내비게이션이 있다. 차량용 내비게이션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을 위한 경로 안내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그런데, 차량 내부의 심미성을 확보하면서 차량에 차량용 내비게이션을 장착하기는 어렵다. 아울러, 차량과 차량용 내비게이션 사이의 결합 안정성이 점차로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BACKGROUND ART As vehicles are widely used in general, various devices for providing various conveniences to vehicle drivers are being developed. As an example, there is a navigation system for a vehicle. A vehicle navigation system is mounted on a vehicle and provides a route guidance service for the vehic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mount a vehicle navigation system to a vehicle while securing aesthetics inside the vehicl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upling stability betwee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navigation is gradually weakened.

다양한 실시예들은, 차량에 차량용 내비게이션을 장착시키는 데 있어서 결합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Various embodiments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coupling stability in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to a vehicle.

다양한 실시예들은, 차량 내부의 심미성을 확보하면서 차량에 차량용 내비게이션을 장착시킬 수 있는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Various embodiments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to a vehicle while securing aesthetics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부착되고, 상기 모니터의 일 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모니터를 거치시키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된 부분을 덮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cradle attached to a dashboard of a vehicle, coupled to a portion of the monitor, and holding the monitor, and fastened to the cradle to the coupled portion. It may include a cover covering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결합 구조는, 상기 모니터에 부착되어, 상기 모니터의 일 부분이 상기 거치대에 결합되도록 중개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upling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that is attached to the monitor and intermediaries such that a portion of the monitor is coupled to the cradl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합 구조가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모니터를 차량의 대시보드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니터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대시보드에 결합되는 거치대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 구조가 외부의 충격에 대해 높은 내구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결합 구조는 높은 안정성을 기반으로, 모니터를 대시보드에 장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커버가 모니터와 거치대 사이의 결합된 부분을 덮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커버는, 거치대에 의해 노출되는, 모니터와 브라켓 사이의 결합된 부분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결합 구조는 차량 내부의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거치대는 차량의 차종에 따라 상이하게 제조되면서, 차량의 차종과 관계 없이 단일 규격으로 각각 제조되는 모니터 및 커버와 결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coupling structure may couple a monitor of a vehicle navigation system to a dashboard of a vehicle. To this end, the bracket coupled to the monitor and the cradle coupled to the dashboard may be firmly coupled, and thus the coupled structure may have high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Therefore, the combination structure can mount the monitor on the dashboard based on high stability. In addition, a cover may be provided to cover a coupled portion between the monitor and the cradle. At this time, the cover may also cover a coupled portion between the monitor and the bracket, which is exposed by the cradle. Therefore, the coupling structure can secure the aesthetics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t this time, while the cradle is manufact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it may be manufactured to be combined with a monitor and a cover that are each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regardless of the type of vehicle.

도 1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후면도이다.
도 1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의 브라켓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의 거치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의 브라켓과 도 3의 거치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2의 브라켓과 도 3의 거치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의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의 후면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C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1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navigation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1B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navigation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1C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acket of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adle of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ure 4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bracket of Figure 2 and the holder of Figure 3;
Figure 4b is a rear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bracket of Figure 2 and the cradle of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ver of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6A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6B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6A.
7A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7B is an enlarged view of area B of FIG. 7A.
7C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C of FIG. 7A.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100)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100)의 브라켓(11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100)의 거치대(1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 도 4b는 도 2의 브라켓(110)과 도 3의 거치대(120)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100)의 커버(13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A, 1B, and 1C are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100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acket 110 of a coupling structure 100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adle 120 of a coupling structure 100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bracket 110 of FIG. 2 and the holder 120 of FIG. 3 .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ver 130 of a coupling structure 100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결합 구조(100)는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도 3의 30)에의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모니터(monitor)(10)를 대시보드(30)에 장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결합 구조(100)는 대시보드(30)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인출되는 전기선을 통과시키며, 이를 통해 전기선은 모니터(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합 구조(100)는, 브라켓(도 2의 110), 거치대(120), 또는 커버(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110)은 결합 구조(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모니터(10), 브라켓(110) 및 커버(130)의 각각은 미리 정해지는 단일 규격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거치대(120)는 차량의 차종에 따라 상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모니터(10), 브라켓(110) 및 커버(130)의 각각에 대한 단일 규격을 기반으로 모니터(10), 브라켓(110) 및 커버(130)의 각각과 결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거치대(120)는 차량의 차종에 따라 상이하게 제조되면서, 차량의 차종과 관계 없이 단일 규격으로 각각 제조되는 모니터(10) 및 커버(130)와 결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A, 1B, and 1C, a coupling structur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on a dashboard (30 in FIG. 3) of a vehicle, and substantially It may be provided to mount the monitor 10 on the dashboard 30 . 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100 passes an electric wire drawn from the vehicle through the dashboard 30, and through this, the electric wire can be connected to the monitor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upling structur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acket ( 110 in FIG. 2 ), a cradle 120 , or a cover 130 . Here, the bracket 11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structure 100 . At this time, each of the monitor 10, the bracket 110, and the cover 130 may be manufactured in a single predetermined standard. Meanwhile, the cradle 120 may be manufact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but the monitor 10, the bracket 110 are based on a single standard for each of the monitor 10, the bracket 110, and the cover 130. ) And it can be manufactured to be coupled with each of the cover 130. In other words, while the cradle 120 is manufact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it may be manufactured to be combined with the monitor 10 and the cover 130, which are each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regardless of the vehicle type.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브라켓(110)은 모니터(10)가 거치대(120)에 결합되도록 중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브라켓(110)은 제 1 브라켓(111), 제 2 브라켓(113),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115),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홀(117), 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118, 11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 4a and 4b , the bracket 110 may be provided to mediate the coupling of the monitor 10 to the cradle 120 . The bracket 11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bracket 111, the second bracket 113,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115, at least one guide hole 117, or at least one fastening member 118, 119. may contain one.

제 1 브라켓(111)은 거치대(120)에 결합될 모니터(10)의 일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니터(10)의 일 부분은 모니터(10)의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브라켓(111)은 거치대(120)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브라켓(111)은 차량으로부터 인출되는 전기선을 모니터(10)로 통과시키는 오프닝(opening)(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브라켓(111)은, 실질적으로 모니터(10)의 일 부분이 거치대(120)에 결합되도록 중개할 수 있다. The first bracket 111 may be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monitor 10 to be coupled to the cradle 120 .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monitor 10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onitor 10 . Also, the first bracket 111 may be attached to the cradle 120 . At this time, the first bracket 111 may include an opening 112 through which electric wires drawn from the vehicle pass through the monitor 10 . Through this, the first bracket 111 may substantially mediate a portion of the monitor 10 to be coupled to the cradle 120 .

제 2 브라켓(113)은 제 1 브라켓(111)에 연결되며, 거치대(120)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모니터(10)의 다른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니터(10)의 다른 부분은 모니터(10)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브라켓(113)은 모니터(10)에 대한 브라켓(11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second bracket 113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111 and may be attached to another part of the monitor 10 that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cradle 120 . For example, another part of the monitor 10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10 . Through this, the second bracket 113 can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bracket 110 to the monitor 10 .

결합 돌기(115)는 브라켓(110)의 거치대(120)에의 결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결합 돌기(115)는 제 1 브라켓(1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0)이 모니터(10)에 부착된 후에 거치대(120)에 결합되도록 배치될 때, 결합 돌기(115)는 거치대(12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be provided for coupling of the bracket 110 to the cradle 120 . 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protrude from the first bracket 111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A , when the bracket 110 is attached to the monitor 10 and then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cradle 120, 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protrude toward the cradle 120. .

가이드 홀(117)은 거치대(120)에 대한 브라켓(11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브라켓(110)의 거치대(120)에의 결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홀(117)은 제 1 브라켓(111)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0)이 모니터(10)에 부착된 후에 거치대(120)에 결합되도록 배치될 때, 가이드 홀(117)은 거치대(120)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guide hole 117 guides the position of the bracket 110 relative to the cradle 120 and may be provided for coupling of the bracket 110 to the cradle 120 . The guide hole 117 may be formed in the first bracket 111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B, when the bracket 110 is attached to the monitor 10 and then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cradle 120, the guide hole 117 may be disposed to face the cradle 120. there is.

체결 부재(118)는 제 1 브라켓(111) 또는 제 2 브라켓(113)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 부재(118)는 제 1 브라켓(111) 또는 제 2 브라켓(113)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면서, 제 1 브라켓(111) 또는 제 2 브라켓(113)을 사이에 두고 모니터(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119)는 제 1 브라켓(111)을 거치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 부재(119)는 제 1 브라켓(111)을 통과하면서, 거치대(1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118 may fix at least one of the first bracket 111 or the second bracket 113 to the monitor 10 .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118 passe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bracket 111 and the second bracket 113, and the monitor 10 has the first bracket 111 or the second bracket 113 therebetween. ) can be screwed on. Also, the fastening member 119 may fix the first bracket 111 to the cradle 120 .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119 may be screwed to the holder 120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bracket 111 .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거치대(120)는 차량의 대시보드(30)에 모니터(10)를 결합시켜, 모니터(10)를 거치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거치대(120)에 의해, 모니터(10)에 대한 거치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이한 거치 각도들을 갖는 다양한 거치대(120)들이 제조되고, 원하는 거치 각도를 갖는 거치대(120)가 선택되어 대시보드(30)에 부착됨에 따라, 모니터(10)에 대해 원하는 거치 각도가 제공될 수 있다. 거치대(120)는 크래들 바디(121),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125),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127), 적어도 하나의 충격 완화 부재(도 7a 및 도 7c의 1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12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 4A and 4B , a cradle 120 may be provided to mount the monitor 10 by coupling the monitor 10 to the dashboard 30 of the vehicle. At this time, a mounting angle for the monitor 10 may be determined by the holder 120 . For example, as various cradle 120 having different mounting angles are manufactured, and the cradle 120 having the desired mounting angle is selected and attached to the dashboard 30, the desired mounting angle for the monitor 10 is changed. can be provided. The cradle 120 includes a cradle body 121,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125,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127, at least one shock absorbing member (128 in FIGS. 7A and 7C), or at least one fastener. At least one of the members 129 may be included.

크래들 바디(121)는 대시보드(3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래들 바디(121)의 하부면이 대시보드(3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크래들 바디(121)에는, 브라켓(110)이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크래들 바디(121)는 차량으로부터 인출되는 전기선을 통과시키는 관통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0)이 모니터(10)에 부착된 후에 거치대(120)에 결합되도록 배치될 때, 관통홀(122)은 브라켓(110)의 오프닝(112)과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크래들 바디(121)는, 크래들 바디(121)를 보강하여 크래들 바디(121)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크래들 바디(121)의 측면에서 크래들 바디(121)의 내벽에 설치되는 크래들 리브(12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radle body 121 may be attached to the dashboard 30 .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121 may be attached to the dashboard 30 . Also, a bracket 110 may be attached to the cradle body 121 . At this time, the cradle body 121 may include a through hole 122 through which electric wires drawn from the vehicle pass. Here, as shown in FIG. 4B, when the bracket 110 is attached to the monitor 10 and then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cradle 120, the through hole 122 is formed between the opening 112 of the bracket 110 and Can be arranged coaxially. In some embodiments, the cradle body 121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radle body 121 at the side of the cradle body 121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cradle body 121 by reinforcing the cradle body 121. A cradle rib 121a may be further included.

결합 홈(125)은 거치대(120)의 브라켓(110)과의 결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결합 홈(125)은 크래들 바디(121)에서 브라켓(110)의 결합 돌기(115)와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브라켓(110)이 모니터(10)에 부착된 후에 거치대(120)에 결합되도록 배치될 때, 결합 홈(125)은 브라켓(110)의 결합 돌기(115)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110)이 거치대(120)에 안착되면, 결합 돌기(115)가 결합 홈(12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coupling groove 125 may be provided for coupling with the bracket 110 of the cradle 120 . The coupling groove 125 may be formed to engage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115 of the bracket 110 in the cradle body 121 . At this time, when the bracket 110 is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cradle 120 after being attached to the monitor 10, the coupling groove 125 may be disposed to face the coupling protrusion 115 of the bracket 110. Through this, when the bracket 110 is seated on the holder 120, the coupling protrusion 115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5 and fixed.

가이드 돌기(127)는 거치대(120)에 대한 브라켓(11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거치대(120)의 브라켓(110)과의 결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7)는 크래들 바디(121)에서 브라켓(110)의 가이드 홀(117)과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0)이 모니터(10)에 부착된 후에 거치대(120)에 결합되도록 배치될 때, 가이드 돌기(127)는 브라켓(110)의 가이드 홀(117)과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110)이 거치대(120)에 안착되면, 가이드 돌기(127)가 가이드 홀(117)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guide protrusion 127 guides the position of the bracket 110 relative to the cradle 120 and may be provided for coupling with the bracket 110 of the cradle 120 . The guide protrusion 127 may be formed to engage with the guide hole 117 of the bracket 110 in the cradle body 121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B, when the bracket 110 is attached to the monitor 10 and then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cradle 120, the guide protrusion 127 forms a guide hole 117 of the bracket 110. It can be arranged coaxially with Through this, when the bracket 110 is seated on the holder 120, the guide protrusion 127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17 and fixed.

충격 완화 부재(128)는 외력에 의해 거치대(120)와 대시보드(30)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충격 완화 부재(128)는 거치대(120)와 대시보드(30) 사이에 개재되도록, 크래들 바디(121)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격 완화 부재(128)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 또는 구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hock mitigating member 128 may be provided to mitigate an impact generated between the cradle 120 and the dashboard 30 by an external force.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8 may be mounted on the cradle body 121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cradle 120 and the dashboard 30 . For example,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8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a material or structure having elasticity.

체결 부재(129)는 크래들 바디(121)를 대시보드(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 부재(129)는 크래들 바디(121)를 통과하면서, 크래들 바디(121)를 사이에 두고 대시보드(3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129 may fix the cradle body 121 to the dashboard 30 .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129 may pass through the cradle body 121 and be screwed to the dashboard 30 with the cradle body 121 interposed therebetween.

도 5를 참조하면, 커버(130)는 모니터(10)와 거치대(120) 사이의 결합된 부분을 덮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커버(130)는, 거치대(120)에 의해 노출되는, 모니터(10)와 브라켓(110) 사이의 결합된 부분도 덮을 수 있다. 커버(130)는 커버 바디(131),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133),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링 부재(13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cover 130 may be provided to cover a coupled portion between the monitor 10 and the cradle 120 . At this time, the cover 130 may also cover a coupled portion between the monitor 10 and the bracket 110 exposed by the cradle 120 . The cove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ver body 131 , at least one fastening member 133 , or at least one covering member 135 .

커버 바디(131)는 모니터(10)와 거치대(120) 사이의 결합된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이 때 커버 바디(131)는, 거치대(120)에 의해 노출되는, 모니터(10)와 브라켓(110) 사이의 결합된 부분도 덮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 바디(131)가 실질적으로 거치대(1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커버 바디(131)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132)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132)는 거치대(120)의 크래들 바디(121)의 내측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 바디(131)는 후크(132)를 이용하여, 거치대(120)의 크래들 바디(121)에 장착될 수 있다. The cover body 131 may cover a coupled portion between the monitor 10 and the cradle 120 . At this time, the cover body 131 may also cover a coupled portion between the monitor 10 and the bracket 110 exposed by the cradle 120 . To this end, the cover body 131 may be substantially mounted on the cradle 120 . In this case, the cover body 131 may include at least one hook 132 . The hook 132 may be implement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radle body 121 of the cradle 120 and caught. Through this, the cover body 131 may be mounted on the cradle body 121 of the holder 120 using the hook 132 .

체결 부재(133)는 커버 바디(131)를 거치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 부재(133)는 커버 바디(131)를 통과하면서, 커버 바디(131)를 사이에 두고 거치대(120)의 크래들 바디(12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133 may fix the cover body 131 to the cradle 120 . For example, while passing through the cover body 131 , the fastening member 133 may be screwed to the cradle body 121 of the holder 120 with the cover body 131 interposed therebetween.

커버링 부재(135)는 커버 바디(131)의 표면에서 체결 부재(133)를 덮을 수 있다. The covering member 135 may cover the fastening member 133 on the surface of the cover body 131 .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의 후면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C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6A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6B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6A. 7A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7B is an enlarged view of area B of FIG. 7A, and FIG. 7C is an enlarged view of area C of FIG. 7A.

도 6a, 도 6b,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결합 구조(100)가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모니터(10)를 차량의 대시보드(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니터(10)가 결합 구조(100)에 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라켓(110)과 거치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브라켓(110)은 모니터(10)에 결합되어 있고, 거치대(120)는 대시보드(30)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0)의 결합 돌기(115)가 거치대(120)의 결합 홈(12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도 7a,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20)의 가이드 돌기(127)가 브라켓(110)의 가이드 홀(117)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110)과 거치대(12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 구조(100)가 외부의 충격에 대해 높은 내구력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7a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완화 부재(128)가 거치대(120)와 대시보드(30) 사이에서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결합 구조(100)의 내구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구조(100)는 높은 안정성을 기반으로, 모니터(10)를 대시보드(30)에 장착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A, 6B, 7A, 7B, and 7C , a coupling structure 100 may couple the monitor 10 of the vehicle navigation system to the dashboard 30 of the vehicle. Through this, the monitor 10 can be mounted on the coupling structure 100 . To this end, the bracket 110 and the cradle 120 may be coupled. At this time, the bracket 110 may be coupled to the monitor 10, and the cradle 120 may be attached to the dashboard 3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6A and 6B , the coupling protrusion 115 of the bracket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5 of the cradle 120 and fix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A, 7C, and 7D, the guide protrusion 127 of the holder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17 of the bracket 110 and fixed. Through this, the bracket 110 and the cradle 120 can be firmly coupled, and thus the coupling structure 100 can have high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A and 7C , the impact mitigating member 128 relieves the impact generated by an external force between the cradle 120 and the dashboard 30,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coupling structure 100. this can be improved further. Therefore, the coupling structure 100 can mount the monitor 10 on the dashboard 30 based on high stability.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합 구조(100)가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모니터(10)를 차량의 대시보드(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니터(10)에 결합되는 브라켓(110)과 대시보드(30)에 결합되는 거치대(12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 구조(100)가 외부의 충격에 대해 높은 내구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결합 구조(100)는 높은 안정성을 기반으로, 모니터(10)를 대시보드(3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커버(130)가 모니터(10)와 거치대(120) 사이의 결합된 부분을 덮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커버(130)는, 거치대(120)에 의해 노출되는, 모니터(10)와 브라켓(110) 사이의 결합된 부분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결합 구조(100)는 차량 내부의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거치대(120)는 차량의 차종에 따라 상이하게 제조되면서, 차량의 차종과 관계 없이 단일 규격으로 각각 제조되는 모니터(10) 및 커버(130)와 결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upling structure 100 may couple the monitor 10 of the vehicle navigation to the dashboard 30 of the vehicle. To this end, the bracket 110 coupled to the monitor 10 and the cradle 120 coupled to the dashboard 30 can be firmly coupled, and thus the coupling structure 100 has high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can have Therefore, the coupling structure 100 can mount the monitor 10 on the dashboard 30 based on high stability. In addition, a cover 130 may be provided to cover a coupled portion between the monitor 10 and the cradle 120 . At this time, the cover 130 may also cover a coupled portion between the monitor 10 and the bracket 110 exposed by the cradle 120 . Thus, the coupling structure 100 can secure the aesthetics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cradle 120 may be manufact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and may be manufactured to be combined with the monitor 10 and the cover 130 each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regardless of the type of vehicl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결합 구조(100)는, 모니터(10)를 갖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차량의 대시보드(30)에 부착되고, 모니터(10)의 일 부분과 결합되어, 모니터(10)를 거치시키는 거치대(120), 및 거치대(120)에 체결되어, 결합된 부분을 덮은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for mounting a navigation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monitor 10, is attached to a dashboard 30 of a vehicle, is coupled to a part of the monitor 10, and monitors ( 10), and a cover 130 fastened to the holder 120 and covering the coupled portion.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합 구조(100)는, 모니터(10)에 부착되어, 모니터(10)의 일 부분이 거치대(120)에 결합되도록 중개하는 브라켓(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upling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110 that is attached to the monitor 10 and mediates a portion of the monitor 10 to be coupled to the cradle 120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브라켓(110)은, 거치대(120)를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115)를 포함하고, 거치대(120)는, 모니터(10)가 거치대(120)에 안착되면, 모니터(10)에 부착된 브라켓(110)의 결합 돌기(115)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125)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racket 110 includes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115 protruding toward the cradle 120, and the cradle 120 allows the monitor 10 to be seated on the cradle 120. When this is don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125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15 of the bracket 110 attached to the monitor 10 is inserted and fixed.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거치대(120)는, 모니터(10)의 일 부분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127)를 포함하고, 브라켓(110)은, 모니터(10)의 일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모니터(10)가 거치대(120)에 안착될 때, 가이드 돌기(127)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홀(117)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radle 120 includes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127 protruding toward a portion of the monitor 10, and the bracket 110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monitor 10. It may include at least one guide hole 117 disposed correspondingly and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127 is inserted and fixed when the monitor 10 is seated on the cradle 120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거치대(120)는, 거치대(120)와 대시보드(30)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완화 부재(128)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radle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shock absorbing member 128 interposed between the cradle 120 and the dashboard 30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거치대(120)는, 모니터(10)에 대해 미리 정해진 거치 각도를 제공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radle 120 may be manufactur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mount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monitor 10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니터(10) 및 커버(130)는, 단일 규격으로 각각 제조되고, 거치대(120)는, 차량의 차종에 따라 상이하게 제조되면서, 단일 규격으로 각각 제조되는 모니터 및 커버와 결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onitor 10 and the cover 130 are each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and the cradle 120 is manufact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while the monitor and the cover are each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It can be made to be combined with.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브라켓(110)은, 모니터(10)에 대응하여, 단일 규격으로 제조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racket 110, corresponding to the monitor 10, may be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거치대(120)는, 모니터(10)에 연결되도록 대시보드(30)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인출되는 전기선을 통과시키는 관통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radle 120 may include a through hole 122 through which electric wires drawn from the vehicle pass through the dashboard 30 to be connected to the monitor 10 .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브라켓(110)은, 관통홀((122)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관통홀(122)로부터의 전기선을 통과시키는 오프닝(112)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racket 110 may include an opening 112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through hole 122 and passing an electric wire from the through hole 122 .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 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 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 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예: 제 3 구성 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substitutes of the embodiment.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like ele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or B", "A, B or C" or "at least one of A, B and/or C" refer to all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Possible combinations may be included.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may modify the elements in any order or importance,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When a (e.g., first)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element, i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e.g., second)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onent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erm "module" used in this document includes a unit composed of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for example. A module may be an integral part or a minimum unit or part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the module may be composed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술한 구성 요소들의 각각의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 요소는 복수의 구성 요소들 각각의 구성 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통합 이전에 복수의 구성 요소들 중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계들이 추가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module or program) of the 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ular object or a plurality of entiti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components or steps among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step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modules or programs) may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among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integ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step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ar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iterative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steps ar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 or one or more other steps may be added.

Claims (10)

모니터를 갖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대시보드에 부착되고, 상기 모니터의 일 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모니터를 거치시키는 거치대;
상기 모니터에 부착되어, 상기 모니터의 일 부분이 상기 거치대에 결합되도록 중개하는 브라켓; 및
상기 거치대에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을 덮으면서, 상기 모니터와 상기 거치대 사이의 결합된 부분을 덮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모니터의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모니터의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때 상기 모니터의 후면 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거치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제 1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구분하며, 상기 모니터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제 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거치대와 결합되고 상기 커버가 장착된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결합 구조.
In the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a vehicle navigation having a monitor,
a cradle attached to a dashboard of a vehicle, combined with a portion of the monitor, and holding the monitor;
a bracket attached to the monitor and mediating a portion of the monitor to be coupled to the cradle; and
A cover fastened to the cradle and covering a coupled portion between the monitor and the cradle while covering the bracket;
The bracket is
A first part attached to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onitor and a second part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ide of the monitor and be coupled with the cradle when the first part is attached to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onitor. A first bracket comprising a; and
a second bracket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to divide the first part from the second part and attached to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integrally configured,
Wherein the bracket is coupled to the cradle and is configured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is mount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거치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모니터가 상기 거치대에 안착되면, 상기 모니터에 부착된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을 포함하는, 결합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rt of the bracket,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cradle,
the cradle,
and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attached to the monitor is inserted and fixed when the monitor is seated on the cra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모니터의 일 부분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모니터의 일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모니터가 상기 거치대에 안착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하는, 결합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cradle,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a portion of the monitor;
The second part of the bracket,
and at least one guide hole disposed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monitor and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when the monitor is seated on the cra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대와 상기 대시보드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완화 부재를 포함하는, 결합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cradle,
A coupling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shock absorb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cradle and the dash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모니터에 대해 미리 정해진 거치 각도를 제공하도록 제조되는, 결합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cradle,
A coupling structure manufactur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mounting angle for the moni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및 상기 커버는,
단일 규격으로 각각 제조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차량의 차종에 따라 상이하게 제조되면서, 상기 단일 규격으로 각각 제조되는 상기 모니터 및 상기 커버와 결합되도록 제조되는, 결합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 and the cover,
Each is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the cradle,
A coupling structure that is manufact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and is manufactured to be coupled with the monitor and the cover, each manufactured in the single standar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모니터에 대응하여, 단일 규격으로 제조되는, 결합 구조.
According to claim 7,
The bracket is
Corresponding to the monitor, a coupling structure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모니터에 연결되도록 상기 대시보드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출되는 전기선을 통과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결합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cradle,
A coupling structure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n electric wire led out from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dashboard to be connected to the monito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로부터의 상기 전기선을 통과시키는 오프닝을 더 포함하는, 결합 구조.
According to claim 9,
The first part of the bracket,
The coupling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passing the electric wire from the through hole.
KR2020200003678U 2020-10-14 2020-10-14 Combined structure for vehicle navigation installation KR200496491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78U KR200496491Y1 (en) 2020-10-14 2020-10-14 Combined structure for vehicle navigation installation
CN202122446208.4U CN216546009U (en) 2020-10-14 2021-10-11 Combination structure for mounting vehicle-mounted navig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78U KR200496491Y1 (en) 2020-10-14 2020-10-14 Combined structure for vehicle navigation instal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72U KR20220000872U (en) 2022-04-21
KR200496491Y1 true KR200496491Y1 (en) 2023-02-13

Family

ID=8138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678U KR200496491Y1 (en) 2020-10-14 2020-10-14 Combined structure for vehicle navigation install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6491Y1 (en)
CN (1) CN216546009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0047A1 (en) * 2020-06-03 2021-12-09 Nifco Inc. On-board bracket for on-board device at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693B1 (en) * 2023-01-12 2023-11-29 제이씨현오토 주식회사 Navigation cradle that can hold a mobile ph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542B1 (en) * 2012-07-05 2013-10-23 양준묵 A navigation supporter for ca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05Y1 (en) * 2013-06-20 2015-02-06 (주)칼전자 Sectional fixing apparatus for navigation
KR101964306B1 (en) * 2017-02-22 2019-04-01 주식회사 이도 Embedded apparatus for in-vehicle infotainment
KR20190107864A (en) * 2018-03-13 2019-09-23 주식회사 이도 Infotainment supporting apparatus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542B1 (en) * 2012-07-05 2013-10-23 양준묵 A navigation supporter for ca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0047A1 (en) * 2020-06-03 2021-12-09 Nifco Inc. On-board bracket for on-board device at vehicle
US11890994B2 (en) * 2020-06-03 2024-02-06 Nifco Inc. On-board bracket for on-board device at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72U (en) 2022-04-21
CN216546009U (en)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6491Y1 (en) Combined structure for vehicle navigation installation
US11524646B2 (en) Vehicle
JP2010203499A (en) Clip
US7118412B2 (en) Apparatus for fixing connector for airbag module
CN109565162B (en) Vehicle-mounted component
US20130257109A1 (en) Vehicular ceiling assembly and vehicular roof assembly
US11890994B2 (en) On-board bracket for on-board device at vehicle
WO2012176603A1 (en) Substrate case structure
US8567728B2 (en) In-vehicle device mounting structure
JP7064331B2 (en) Drive device mounting structure
JP2010132242A (en) Door trim board for automobile, and back door for automobile
JP5287660B2 (en) Wire harness mounting structure
JP5045079B2 (en) Electric wire holder
JP6036060B2 (en) Part latching structure
US20230311789A1 (en) Grommet
WO2016117365A1 (en) Harness protector
US11002964B2 (en) Heads up display unit assembly guide and protector
JP2012120311A (en) Bracket structure
JP5543141B2 (en) Current sensor fixing clip and current sensor fixing structure
JP7118528B2 (en) Battery row harness routing structure
JP2016060278A (en) Inner mirror structure for vehicle
JPH10285766A (en) Wiring harness attaching structure
KR200431362Y1 (en) Protector for wire harness
JP5305813B2 (en) instrument panel
CN115706291A (en) Battery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