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155Y1 -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55Y1
KR200454155Y1 KR2020110003615U KR20110003615U KR200454155Y1 KR 200454155 Y1 KR200454155 Y1 KR 200454155Y1 KR 2020110003615 U KR2020110003615 U KR 2020110003615U KR 20110003615 U KR20110003615 U KR 20110003615U KR 200454155 Y1 KR200454155 Y1 KR 200454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rotating body
rotating
body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6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동일
Original Assignee
최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일 filed Critical 최동일
Priority to KR2020110003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5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55Y1/en
Priority to PCT/KR2011/008218 priority patent/WO20121480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을 차량 등의 핸들, 대쉬 보드 또는 송풍 그릴 등에 쉽게 장착 보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의 배면이 전면에 끼워 고정되는 끼움 구멍을 일측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원형의 외주면을 형성하며, 후면 중앙에 회전축을 형성한 회전체; 상기 회전체가 전면에 끼워지도록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일치하는 내주면을 전면에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이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관통공을 형성하며, 후면은 고정하기 위한 접착부를 형성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관통공 배면에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둘레에 끼워지며, 그 전단은 몸체부의 관통공이 형성된 삽입홈의 내측에서 지지되고, 그 후면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 삽입고정되는 스크류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회전체를 몸체부측으로 항상 밀착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탄성부; 및 상기 회전체의 배면에서 회전축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관통공 주위에 원주방향 90도 간격으로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의 돌기가 몸체부의 요홈에 차례차례 끼워져서 회전체가 몸체부에 대해서 차례차례 90도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휴대폰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 휴대폰 장착기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easily mounting and storing a mobile phone, such as a vehicle handle, dash board or a ventilation grille,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is inserted into the front fixing hole to form a projection on one side, to form a circular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rotating body having a rotating shaft formed at the rear center there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so that the rotating body is fitt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ody is rotatable in the center is formed, and the rear side forms an adhesive part for fixing. One body portion; It is fitted around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ody at the rear of the through-hole of the body portion, the front end is supported by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through-hol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the rear side is supported by the screw member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ody An elastic portion having a coil spring which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ng body toward the body portion; And projections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o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around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ortion at intervals of 90 degre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projections of the rotating body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grooves of the body por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for rotatable mounting of the mobile phone, including; an angle adjustment unit is rotated at a 90-degree angle to the body portion in turn.

Description

휴대폰 장착기구{FIXTURE FOR A CELLPHONE CASE}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FIXTURE FOR A CELLPHONE CASE}

본 고안은 휴대폰을 차량 등의 핸들, 대쉬 보드 또는 송풍 그릴 또는 자전거의 핸들 등에 쉽게 장착 보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대형의 휴대폰 거치대를 차량 내부에 설치할 필요 없이 인테리어 장식 효과를 가진 엠블럼 타입의 세련된 소형 장착구를 차량 내부의 핸들, 대쉬 보드 또는 송풍 그릴에 고정하고, 필요에 따라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된 클립을 이용해 장착구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며, 나아가 휴대폰의 장착 후에는 휴대폰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과 동시에 부가적인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휴대폰 장착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asily mounting and storing a mobile phone on a handle of a vehicle, a dashboard, a ventilation grille, or a handle of a bicycle. More specifically, an emblem having an interior decoration effect without having to install a large mobile phone holder inside a vehicle. The compact, compact mounting bracket of the type is secured to the steering wheel, dash board or ventilation grille inside the vehicle, and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mounting slot using the clip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or the mobile phone case as necessa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capable of rotating the mobile phone in a desired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obtaining additional advertising effects.

현대 사회는 휴대폰과 같은 각종 전자통신기구의 발달로 인하여 차량을 이용한 이동 중에 자유롭게 무선 통화가 가능하며, 이와 같은 휴대폰은 대부분의 운전자가 소지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In modern society,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can be used to wirelessly talk on the go while using a vehicle. Such mobile phones are used by most drivers.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폰을 운전 중에 사용하면, 운전자의 부주위를 야기시켜서 대형 교통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운전 중에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엄격하게 법으로 금지하는 추세에 있다.However, when using such a mobile phone while driving, it may cause a driver's discomfort and cause a large traffic accident, and therefore, there is a tendency to strictly prohibit the use while driving.

따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이와 같은 휴대폰을 차량에 거치시켜서 보관하기 위한 휴대폰 거치대를 차량 내에 구비하고 있으며, 차량 운전시에는 이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보관 유지하고 있다.Therefore, most drivers are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holder in the vehicle for storing such a mobile phone mounted on the vehicle, and maintains the mobile phone by using this when driving the vehicle.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 장착기구는 차량의 대시 보드 등에 고정된 브라켓과 같은 거치식의 대형 구조물을 구비한 것이고, 휴대폰을 단순 고정하는 방식이며,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장착기구는 대형 액정을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 장착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large mounting structure such as a bracket fixed to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nd is a method of simply fixing the mobile phone, such a conventional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is a variety of types using a large liquid crystal Has a problem that does not respond properly to the installation of the mobile phone.

특히, 대형 액정화면의 휴대폰인 경우, 액정 화면을 세로로 세워서 각종 문자나, 동영상 또는 사용자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액정 화면을 가로로 눕혀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having a large LCD screen, the LCD screen is vertically placed to transmit / receive various characters, videos, or user information. However, in many cases, the LCD screen is laid horizontally.

이와 같은 경우, 종래의 휴대폰 장착기구는 이와 같은 다양한 휴대폰 사용 용도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어 있지 못한 비 회전식 또는 단순 고정식의 구조이어서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실정이다.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is a non-rotating or simple fixed structure that has not been developed for such a variety of mobile phone applications, causing the inconvenience in use.

또한, 종래의 휴대폰 장착기구는 차량의 이동중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지 못하여 휴대폰이 장착기구로부터 탈락되어 파손되는 등 고가의 휴대폰 보관상의 문제점도 갖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has a problem of expensive mobile phone storage, such as failing to stably fix the mobile phone from the external shock transmit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he mobile phone is dropped from the mounting mechanism and damaged.

뿐만 아니라, 종래의 휴대폰 장착부는 단순하게 휴대폰을 거치 보관하는 거치대 기능만 하는 것으로서, 각종 제품이나 특정 기업을 사용자에게 광고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mounting portion is merely a cradle function for holding a mobile phone, and has had a problem of not advertising various products or a specific company to a use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폰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여 차량 등의 이동중에 발생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의 탈락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휴대폰 보호 기능이 탁월하고, 휴대폰의 거치 후에는 이를 자유롭게 360° 회전시켜 편리한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액정화면을 세로 또는 가로로 배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 장착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secure the fixed of the mobile phone to prevent the fall of the mobile phone from the external shock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such as excellent protection of the mobile phone, After the mounting of the mobile phone can be freely rotated 360 ° to fix at a convenient angle to provide a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placing the LCD screen vertically or horizontally.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면에 각종 제품이나 특정 기업의 광고효과를 사용자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고, 휴대폰을 차량 등의 핸들, 대쉬 보드 또는 송풍 그릴 등 사용하기 편리한 곳에 쉽게 장착 보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휴대폰 장착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ffect that can easily convey the advertising effect of various products or specific companies to the user on the front, and to easily install and store the mobile phone in a convenient place, such as the handle of the vehicle, the dashboard or the ventilation gril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의 내부에 휴대폰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vice for fixing the mobile phone in the vehicle,

휴대폰의 배면이 전면에 끼워 고정되는 끼움 구멍을 일측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원형의 외주면을 형성하며, 후면 중앙에 회전축을 형성한 회전체;A rotating body in which a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front surface to form a protrusion at one side, a circul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rotation shaft at a rear center thereof;

상기 회전체가 전면에 끼워지도록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일치하는 내주면을 전면에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이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관통공을 형성하며, 후면은 차량의 내부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부를 형성한 몸체부;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is formed on the front side so that the rotating body is fitted on the front side, and the through shaft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ody in the center, and the rear side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portion formed for the adhesive portion;

상기 몸체부의 관통공 배면에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둘레에 끼워지며, 그 전단은 몸체부의 관통공이 형성된 삽입홈의 내측에서 지지되고, 그 후면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 삽입고정되는 스크류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회전체를 몸체부측으로 항상 밀착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탄성부; 및It is fitted around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ody at the rear of the through-hole of the body portion, the front end is supported by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through-hol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the rear side is supported by the screw member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ody An elastic portion having a coil spring which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ng body toward the body portion; And

상기 회전체의 배면에서 회전축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관통공 주위에 원주방향 90도 간격으로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의 돌기가 몸체부의 요홈에 차례차례 끼워져서 회전체가 몸체부에 대해서 차례차례 90도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휴대폰을 차량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 휴대폰 장착기구를 제공한다.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to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around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art at intervals of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protrusions of the rotating body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grooves of the body part. It provides a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that is rotatably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including; an angle adjusting unit that is rotated at an angle of 90 degrees in turn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부는 몸체부의 배면에 부착되는 이중배지의 접착지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몸체부를 차량 내부의 송풍 그릴에 고정시키는 클램프 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클램프 부는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나사 고정되는 원판을 구비하고, 상기 원판에는 후면측으로 그 일측이 원판에 일체식으로 결합된 고정 서포트와, 이동 서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 서포트는 상기 원판의 배면에 고정된 너트부재 상에서 나사 결합한 볼트부재의 선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고정 서포트에 대해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상기 고정 서포트와 이동 서포트의 사이에서 상기 송풍 그릴을 압착시켜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휴대폰 장착기구를 제공한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the adhesive portion is made of a double-sheet adhesive paper attached to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or may be made of a clamp portion for fixing the body portion to the ventilation grille inside the vehicle, the clamp portion is screwed on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It is provided with a fixed disk, the disk has a fixed support tha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disk with one side to the rear side, and the movable support, the movable support is a bolt member screwed on the nut member fixed to the back of the disk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xed support to provide a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configured to squeeze and fix the blowing grill between the fixed support and the moving support by being mounted.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체는 돌출부의 전면에 오목홈을 형성하여 광고용 엠블럼을 부착하도록 구성된 휴대폰 장착기구를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vides a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configured to attach the advertising emblem by forming a concave groove in the front of the projection.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폰은 그 배면부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부에 클립부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의 끼움 구멍에 끼워지며, 상기 클립부는 일정길이 연장하고, 그 중간에는 오목한 단차의 절곡면을 형성하며, 박판형의 구조로서 탄성력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폰 장착기구를 제공한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the mobile phone is formed in the rear portion or the back portion of the mobile phone case is clipped to the fitting hole of the rotating body, the clip portion extends a certain length, in the middle of the concave step forming a curved surface And, it provides a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consisting of a structure having a elastic force as a thin plate structure.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에 고정되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에 회전 및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회전체를 장착하며, 상기 회전체 상에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를 탈착식으로 고정한 다음, 휴대폰을 차량 내부에서 편리하게 회전시켜 사용한다.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body portion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e rotating body is mounted to enable the rotation and angle adjustment to the body portion, the mobile phone or mobile phone case on the rotating body removable After fixing, the phone can be conveniently rotated inside the car.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에 의하면 휴대폰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여 차량의 이동중에 발생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의 탈락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휴대폰 보호 기능이 탁월하고, 휴대폰의 거치 후에는 이를 자유롭게 360° 회전시켜 편리한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액정화면을 세로 또는 가로로 편리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can be stably fixed, thereby stably preventing the mobile phone from falling off from the external shock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y rotating and fixing at a convenient angle, it ha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be conveniently placed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LCD scree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에 의하면 회전체의 전면에 엠블럼을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각종 제품이나 특정 기업의 광고효과를 사용자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고, 몸체부의 배면에는 이중 배지의 접착지를 형성하거나, 또는 몸체부를 차량 내부의 송풍 그릴에 고정시키는 클램프 부의 접착부를 형성하고 있어서, 휴대폰을 차량의 핸들, 대쉬 보드 또는 송풍 그릴 등 사용하기 편리한 곳에 쉽게 장착 보관시켜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emblem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rotating body, it is possible to easily convey the advertising effect of various products or specific companies to the user,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 double badge adhesive paper, Or, it forms an adhesive part of the clamp part that fixes the body part to the ventilation grille inside the vehicle,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easily installed and stored in a convenient place such as the handle of the vehicle, the dashboard, or the ventilation grille to obtain the convenience of use. do.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차량 실내에 거치시킨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에 구비된 각도 조절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에 구비된 각도 조절부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에 구비된 클램프 부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 송풍 그릴에 고정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ounting the mobile phone in the vehicle interior using the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gle adjuster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mobile phone using the angle adjuster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fixed to the indoor ventilation grille of the vehicle using the clamp unit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차량이라 함은 일반적인 자동차를 포함함은 물론이고,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 등과 같이 운송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 the term "vehicle" includes not only a general automobile, but also a broad concept including everything that can be used as a vehicle such as a bicycle or a motorcycle.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100)는 휴대폰(H)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H)의 배면이 장착되는 회전체(110)를 구비한다.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n order to fix the mobile phone (H),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H) has a rotating body 110 is mounted.

이와 같은 회전체(110)는 그 전면에 끼움 구멍(122)을 형성한 돌출부(120)를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돌출부(120)의 끼움 구멍(122)으로는 휴대폰(H)의 배면부 또는 휴대폰 케이스(C)의 배면부에 형성된 클립부(130)가 끼워지는 구조이다.The rotating body 110 forms a protrusion 120 having a fitting hole 122 in the front thereof, and the fitting hole 122 of the protrusion 120 is a rear portion of the mobile phone H or a mobile phone case.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clip part 130 formed in the back part of (C) is fitted.

이와 같이 상기 휴대폰(H)의 배면부 또는 휴대폰 케이스(C)의 배면부에 형성된 클립부(130)는 휴대폰(H)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하고, 그 중간에는 오목한 단차의 절곡면(132)을 형성하며, 박판형의 구조로서 탄성력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In this way, the clip portion 130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phone (H) or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phone case (C)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phone (H), the middle of the bent surface 132 of the concave step It is formed, it is made of a structure having an elastic force as a thin plate-like structure.

이와 같은 클립부(130)는 그 중간의 절곡면(132)이 상기 회전체(110)의 끼움 구멍(122) 내에 안정된 상태로 끼워져서 고정 유지되고, 그에 따라서 휴대폰(H)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여 차량 등의 이동중에 발생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H)의 탈락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휴대폰 보호 기능이 탁월하게 된다. Such a clip portion 130 is fixed in the middle of the bending surface 132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122 of the rotating body 110 in a stable state, thereby allowing a stable fixing of the mobile phone (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prevent the drop of the mobile phone (H) from the external shock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he mobile phone protection function is excellent.

또한, 이와 같은 회전체(110)는 끼움 구멍(122)이 형성된 돌출부(120)의 전면으로 오목 홈(126)을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오목 홈(126)으로는 광고용 엠블럼(140)을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20)의 전면에 엠블럼(140)이 부착되기 때문에, 각종 제품이나 특정 기업의 광고효과를 사용자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어서 유익한 것이다.In addition, such a rotating body 110 forms a concave groove 126 to the front of the protrusion 120 in which the fitting hole 122 is formed, such a recess groove 126 to attach the advertising emblem 140 to. It is composed. Therefore, since the emblem 140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protrusion 120, it is advantageous to be able to easily convey the advertising effect of various products or specific companies to the user.

그리고, 이와 같은 회전체(110)는 원형의 테두리, 즉 원형 외주면을 형성하며, 그 후면 중앙에는 회전축(150)을 일정길이 후방으로 돌출형성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ng body 110 forms a circular edge, that is, a circul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rotating shaft 150 is protruded to the rear of the predetermined length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thereof.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100)는 상기 회전체(110)가 전면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몸체부(16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몸체부(160)는 그 전면에 상기 회전체(110)의 외주면에 일치하는 원형 내주면을 전면에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110)의 회전축(150)이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관통공(162)을 형성하며, 그 후면은 차량 등의 내부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부(170)를 형성한 구조이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portion 160 is fitted so that the rotating body 110 is rotatable on the front. The body portion 160 has a circula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10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the through shaft 150 is fitted to be rotatable in the center of the rotating body 110. The ball 162 is formed, and a rear side thereof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dhesive part 17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이와 같은 몸체부(160)는 회전체(110) 둘레를 에워싸는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회전체(110) 둘레에 형성되는 전면 모서리에는 다수의 장식 홈(164)들이 형성되어 더욱더 고급스러운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내측 중앙에는 상기 회전체(110)의 후면이 밀착되어 지지되고, 관통공(162)을 통해서 회전체(110)의 회전축(150)이 끼워지는 단턱부(166)를 형성하고 있다.The body 160 is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body 110, a plurality of decorative grooves 164 are formed at the front edge formed around the rotator 110 to provide a more elegant front appearance. In the inner center,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tepped portion 166 is formed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150 of the rotating body 110 is fit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62. .

그리고 이와 같은 몸체부(160)는 상기 단턱부(166)의 배면에 상기 회전체(110)를 몸체부(160)측으로 항상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부(180)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탄성부(180)는 도 3에서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60)의 관통공(162) 배면에서 상기 회전체(110)의 회전축(150) 둘레에 끼워지며, 그 전단은 몸체부(160)의 관통공(162)이 형성된 단턱부(166)의 삽입 홈(166a)의 내측에서 지지되고, 그 후면은 상기 회전체(110)의 회전축(150)에 삽입고정되는 스크류 부재(184)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회전체(110)를 몸체부(160)측으로 항상 밀착시키는 코일 스프링(182)을 구비한 구조이다.And the body portion 16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180 on the back of the stepped portion 166 to always adhere the rotor 110 to the body portion 160 side, such an elastic portion 180 As shown in cross-sectional view in Figure 3, the through hole 162 of the body portion 160 is fitted around the axis of rotation 150 of the rotating body 110,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160 Is supported by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66a of the stepped portion 166, the through hole 162 of which is formed by the screw member 184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150 of the rotating body 110 It is a structure having a coil spring 182 that is supported and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ng body 110 toward the body portion (160).

즉 이와 같은 탄성부(180)는 상기 회전체(110)의 회전축(150)이 관통공(162)을 통해서 몸체부(160)에 끼워지면, 코일 스프링(182)이 단턱부(166)의 배면에서 회전축(150)의 둘레에 끼워지며, 코일 스프링(182)의 전단은 몸체부(160)의 관통공(162)이 형성된 단턱부(166)의 후면 삽입 홈(166a)의 내측에서 지지된다. That is, the elastic portion 180 is such that when the rotary shaft 150 of the rotating body 110 is fitted to the body portion 160 through the through hole 162, the coil spring 182 is the back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166. In the periphery of the rotary shaft 150, the front end of the coil spring 182 is supported inside the rear insertion groove 166a of the stepped portion 166, the through hole 162 of the body portion 160 is formed.

또한 이와 같은 코일 스프링(182)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체(110)의 회전축(150)에는 스크류 부재(184)가 고정되는데, 상기 스크류 부재(184)는 회전축(150)의 후면 중앙에 형성된 나사 구멍(152)으로 와셔(186)와 함께 나사결합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fix the coil spring 182, the screw member 184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150 of the rotating body 110, the screw member 184 is a screw formed on the rear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150 It is screwed with washer 186 into hole 152.

이와 같은 스크류 부재(184)와 함께 결합되는 와셔(186)는 코일 스프링(182)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삽입 홈(166a)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로서, 스크류 부재(184)에 의해서 상기 코일 스프링(182)의 후단에 밀착되어 코일 스프링(182)의 후단을 지지한다.The washer 186 coupled with the screw member 184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il spring 182 and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groove 166a.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182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coil spring 182.

따라서 상기 탄성부(180)의 코일 스프링(182)은 그 전단이 몸체부(160)의 관통공(162)이 형성된 삽입 홈(166a)의 내측에서 지지되고, 그 후면은 상기 회전체(110)의 회전축(150)에 삽입고정되는 스크류 부재(184), 즉 와셔(186)에 의해서 지지되어 몸체부(160)에 대해서 와셔(186)를 밀어내려는 작용력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와셔(186)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이와 같은 와셔(186)는 스크류 부재(184)를 통하여 이에 연결된 회전체(110)의 회전축(150)을 후방으로 당기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상기 회전체(110)를 몸체부(160) 측으로 항상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Therefore, the coil spring 182 of the elastic portion 180 is supported in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 groove 166a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162 of the body portion 160,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10 It is supported by the screw member 184, that is, the washer 186, which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otation shaft 150, to apply an action force to push the washer 186 against the body portion 160. When the washer 186 is pushed to the rear as described above, the washer 186 pulls the rotary shaft 150 of the rotating body 110 connected thereto through the screw member 184 and consequently the rotating body. The elastic force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110 to the body portion 160 sid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100)는 이와 같이 회전체(110)가 몸체부(160)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110)가 몸체부(160)에 대해서 차례차례 90도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각도 조절부(19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ody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160, the rotating body 110 in turn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60 90 degrees It includes an angle adjusting unit 190 to be rotated at an angle.

이와 같은 각도 조절부(190)는 도 3에서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10)의 배면에서 회전축(150)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돌기(192)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160)의 관통공(162) 주위에 원주방향 90도 간격으로 다수의 요홈(194)을 형성한 구조이다.As shown in an enlarged view in FIG. 3, the angle adjusting unit 190 includes a protrusion 19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110 to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150, and the body 160. A plurality of grooves 194 is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162 at intervals of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회전체(110)가 탄성부(180)의 코일 스프링(182)에 의해서 몸체부(160)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체(110)의 돌기(192)가 몸체부(160)의 다수의 요홈(194)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이 회전체(110)의 돌기(192)와 요홈(194)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몸체부(160)에 대한 회전체(110)의 회전이 방지된다.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rotor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160 by the coil spring 182 of the elastic part 180, the protrusion 192 of the rotor 110 is formed of the body 160.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194, and in this way the projection 192 and the grooves 194 of the rotating body 110 is coupled to the body of the rotating body 110 to 160 Rotation is prevented.

한편, 이와 같이 몸체부(160)에 대한 회전체(110)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회전체(110)의 회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10)를 몸체부(160)의 전방으로 당겨서 회전체(110)의 돌기(192)가 몸체부(160)의 요홈(194)으로부터 빠지도록 한 다음, 회전체(110)를 회전시키면 회전체(11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코일 스프링(182)은 압축상태로 삽입 홈(166a)의 내부에서 수축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체(110)의 당김 상태를 해제시키면, 코일 스프링(182)의 탄성 복원력으로서 회전체(110)가 몸체부(160) 측으로 다시 밀착되고, 회전체(110)의 돌기(192)는 요홈(194) 중의 어느 하나로 삽입되어 회전이 방지되며,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차례차례 휴대폰(H)을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장착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60 in this way, to achiev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as shown in FIG. Pull the front of the 160 so that the protrusion 192 of the rotating body 110 is released from the groove 194 of the body portion 160, and then rotating the rotating body 110 i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Is done. At this time, the coil spring 182 is contract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166a in a compressed state, and in such a state, when the pulled state of the rotor 110 is released, the rotor 110 as an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82.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160, the protrusion 192 of the rotating body 11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grooves 194 to prevent rotation, and rotates the mobile phone (H) in turn through such operation It is mounted in the desired direction.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100)는 몸체부(160)를 고정되기 위한 접착부(170)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상기 접착부(1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60)의 배면에 부착되는 이중 배지의 접착지(172)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adhesive portion 170 for fixing the body portion 160, the adhesive portion 170 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body It may be made of an adhesive paper 172 of the double medium attached to the back of the unit 160.

이와 같은 이중 배지의 접착지(172)는 차량 핸들의 중앙부 또는 대쉬 보드(P) 등에 접착지(172)의 부착력을 이용하여 몸체부(160)를 쉽게 부착 고정할 수 있다. The adhesive sheet 172 of the dual medium can be easily attached and fixed to the body portion 160 us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sheet 172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vehicle handle or the dash board (P).

또한 이와 같은 접착부(170)는 상기 몸체부(160)를 차량 내부의 송풍 그릴(Pa)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 부(200)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클램프 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60)의 배면에 나사(202) 고정되는 원판(210)을 구비하고, 상기 원판(210)에는 후면측으로 그 일측이 원판(210)에 일체식으로 결합된 고정 서포트(220)와, 이동 서포트(230)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adhesive part 170 may be formed of a clamp part 200 for fixing the body part 160 to a ventilation grille Pa inside the vehicle. Such a clamp part 200 is illustrated in FIG. 5. As described above,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160 is provided with a disc 210 is fixed to the screw 202, the disc 210 has a fixed support tha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disc 210 one side to the rear side ( 220 and a moving support 230.

이와 같은 고정 서포트(220)와 이동 서포트(230)는 그 사이에서 집음 작동을 하기 위한 것인데, 그 내측면에는 각각 탄성력이 우수한 실리콘 재료의 패드(222,232) 등이 부착되어 집음 작동시, 그 사이에 위치된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The fixed support 220 and the movable support 230 are intended to perform a collection operation therebetween, and inner pads 222 and 232 of silicon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r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thereof, respectively, during the collection opera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positioned structure.

이와 같은 클램프 부(200)는 상기 이동 서포트(230)가 원판(210)의 배면에 고정된 너트부재(240) 상에서 나사(202) 결합한 볼트부재(242)의 선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고정 서포트(220)에 대해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구조이다.The clamp unit 20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bolt member 242 coupled with the screw 202 on the nut member 240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c 210. The support 220 is a structure that is mounted so that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is possible.

따라서 너트부재(240) 상에서 볼트부재(242)를 회전시키면, 볼트부재(242)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서 이동 서포트(230)가 전후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고정 서포트(220)와 이동 서포트(230)의 사이에서 차량 내부의 송풍 그릴(Pa)을 압착시켜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Therefore, when the bolt member 242 is rotated on the nut member 240, the movable support 230 is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f the bolt member 242, the fixed support 220 and the movable support 230 It is configured to press and fix the blowing grill (Pa) in the vehicle betwee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100)는 몸체부(160)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부(170)를 이용하여 차량 핸들의 중앙부 또는 대쉬 보드(P), 또는 송풍 그릴(Pa)등에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or dash board (P) of the vehicle handle, or blowing grill (Pa), etc. by using the adhesive portion 170 formed on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160 Will be used.

즉, 몸체부(160)의 배면에 형성된 접착부(170)가 이중 배지의 접착지(172)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중 배지를 제거한 다음, 차량 핸들의 중앙부 또는 대쉬 보드(P) 등에 접착지(172)의 부착력을 이용하여 부착 고정하고 사용한다. That is, when the adhesive part 170 formed on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160 is formed of the adhesive paper 172 of the double badge, after removing the double badge, the adhesive paper 172 or the like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vehicle handle or the dash board (P) It is attached and fixed by using the attachment force of).

그러나 상기 접착부(170)가 클램프 부(200)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고정 서포트(220)로 부터 이동 서포트(230)를 벌려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송풍 그릴(Pa)과 같은 곳에 끼운 다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너트부재(240) 상에서 볼트부재(242)를 회전시키면, 볼트부재(242)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서 이동 서포트(230)가 전후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고정 서포트(220)에 대해서 이동 서포트(230)가 이동하여 그 사이에서 송풍 그릴(Pa)을 압착시켜 고정되는 것이다.However, when the adhesive portion 170 is formed of the clamp portion 200, as shown in Figure 5 by opening the movable support 230 from the fixed support 220, such as the blowing grill (Pa) inside the vehicle And then it will be fixed. At this time, when the user rotates the bolt member 242 on the nut member 240, the moving support 230 is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f the bolt member 242, and moves relative to the fixed support 220 The support 230 moves and is fixed by pressing the blower grille Pa therebetween.

그리고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110)의 끼움 구멍(122)으로는 휴대폰(H) 또는 휴대폰 케이스(C)의 배면에 형성된 클립부(130)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10)의 전면에 형성된 끼움 구멍(122)에 끼워서 고정시키게 된다.And as shown in Figure 2 using the clip portion 130 formed on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H) or mobile phone case (C) as the fitting hole 122 of the rotating body 110 in the fixed state as described above. It is fixed to the insertion hole 122 formed in the front of the rotating body 110.

이와 같은 상태에서 대형 액정화면의 휴대폰(H)을 고정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화면을 세로로 세워서 각종 문자나, 동영상 또는 사용자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액정 화면을 90°로 회전시키고 가로로 눕혀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mobile phone H of the large LCD screen is fixed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4, the user stands vertically on the LCD screen to transmit / receive various characters, videos, or user information, or the LCD screen 90 It can be rotated by ° and laid horizontally.

이때에는 휴대폰(H) 또는 휴대폰 케이스(C)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클립부(130)를 통하여 회전체(110)가 몸체부(160)의 전방으로 당겨지고, 상기 회전체(110)의 배면에 형성된 돌기(192)가 몸체부(160)의 요홈(194)으로부터 빠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휴대폰(H) 또는 휴대폰 케이스(C)를 회전시키면 몸체부(160)에 대한 회전체(11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when the mobile phone (H) or the mobile phone case (C) is pulled forward, the rotating body 110 is pulled to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160 through the clip portion 130, the back of the rotating body 110 The protrusion 192 formed in the main body 160 is removed from the recess 194 of the body part 160. In this state, when the mobile phone H or the mobile phone case C is rotate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160 is performed. Rotation takes place.

이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폰(H) 또는 휴대폰 케이스(C)의 당김 상태를 해제시키면, 탄성부(180)에 구비된 코일 스프링(182)의 탄성 복원력으로서 회전체(110)가 몸체부(160) 측으로 다시 밀착되고, 회전체(110)의 돌기(192)는 요홈(194) 중의 어느 하나로 삽입되어 회전이 방지되며, 이와 같은 휴대폰(H) 또는 휴대폰 케이스(C)의 당김 및 회전 동작을 통하여 차례차례 휴대폰(H)을 차량 내부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장착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such a state, when the pulled state of the mobile phone H or the mobile phone case C is released, the rotating body 110 moves toward the body part 160 a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82 provided in the elastic part 180. Again close contact, the protrusion 192 of the rotating body 11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grooves 194 to prevent rotation, and in turn through the pulling and rotating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H) or mobile phone case (C) The mobile phone H can be mounted and used by rotating in a desired direction inside the vehicle.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100)는 휴대폰(H)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여 차량 등의 이동중에 발생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H)의 탈락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휴대폰 보호 기능이 탁월하고, 휴대폰(H)의 거치 후에는 이를 자유롭게 360° 회전시켜 편리한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액정화면을 세로 또는 가로로 배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mou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tably fixing the mobile phone H, thereby stably preventing the drop of the mobile phone H from external shocks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hereby providing excellent protection of the mobile phone. And, after the mounting of the mobile phone (H) it can be freely rotated 360 ° can be fixed at a convenient angle to arrange the LCD screen vertically or horizontally to be used conveniently.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장착기구(100)는 회전체(110)의 전면에 엠블럼(140)을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폰(H)을 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엠블럼(140)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각종 제품이나 특정 기업의 광고효과를 사용자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emblem 140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10, the emblem 14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mobile phone H is not mounted. You get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easily convey the advertising effect of a product or a specific company to users.

본 고안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각도 조절부(190)의 요홈(194)은 원주 방향 90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휴대폰(H)을 보다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structure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the groove 194 of the angle adjuster 190 is not form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ut can be adjusted to various angles, and thus can be used by rotating the mobile phone H at various angles. There will be. Nevertheless, it is intended that such simple design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be clear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휴대폰 장착기구 110...... 회전체
120...... 돌출부 122...... 끼움 구멍
126...... 오목 홈 130...... 클립부
132....... 절곡면 140...... 엠블럼
150...... 회전축 160....... 몸체부
162...... 관통공 164....... 장식 홈
166...... 단턱부 166a..... 삽입 홈
170...... 접착부 172...... 접착지
180....... 탄성부 182...... 코일 스프링
184....... 스크류 부재 186....... 와셔
190...... 각도 조절부 192...... 돌기
194...... 요홈 200...... 클램프 부
202...... 나사 210...... 원판
220....... 고정 서포트 222,232...... 패드
230...... 이동 서포트 240...... 너트부재
242....... 볼트부재 C....... 휴대폰 케이스
H....... 휴대폰 P....... 대쉬 보드
Pa....... 송풍 그릴
100 ......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110 ...... Rotating body
120 ...... projection 122 ...... fitting hole
126 ... recessed groove 130 ... clip
132 ....... Bending plane 140 ...... Emblem
150 ...... rotation axis 160 ....... body
162 ...... Through holes 164 ....... Decorative groove
166 ...... step 166a ..... Insertion groove
170 ...... Adhesive 172 ...... Adhesive
180 ....... elastic part 182 ...... coil spring
184 ....... screw member 186 ....... washer
190 ...... Angle Adjuster 192 ...... Turning
194 ...... recess 200 ...... clamp
202 ...... screw 210 ...... disc
220 ....... Fixed support 222,232 ...... Pad
230 ...... Moving support 240 ...... Nut member
242 ....... Bolt member C ....... Cell phone case
H ....... Mobile Phone P ....... Dashboard
Pa ....... Blown Grill

Claims (4)

휴대폰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끼움 구멍이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후면 중앙에 회전축을 형성한 회전체;
상기 회전체가 전면에 끼워지도록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일치하는 내주면을 전면에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이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관통공을 형성하며, 후면에는 고정하기 위한 접착부를 형성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관통공 배면에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둘레에 끼워지며, 그 전단은 몸체부의 관통공이 형성된 삽입홈의 내측에서 지지되고, 그 후면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 삽입고정되는 스크류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회전체를 몸체부측으로 항상 밀착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탄성부; 및
상기 회전체의 배면에서 회전축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관통공 주위에 원주방향 90도 간격으로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의 돌기가 몸체부의 요홈에 차례차례 끼워져서 회전체가 몸체부에 대해서 차례차례 90도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휴대폰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장착기구.
In the device for fixing a mobile phone,
A rotating body having a protrusion formed so that the fitting hole protrudes, and having a rotating shaft formed at the rear center there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so that the rotating body is fitt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ody is rotatable in the center, and an adhesive part for fixing the rear surface is formed. One body portion;
It is fitted around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ody at the rear of the through-hole of the body portion, the front end is supported by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through-hol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the rear side is supported by the screw member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ody An elastic portion having a coil spring which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ng body toward the body por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to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around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art at intervals of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protrusions of the rotating body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grooves of the body part.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body is mounted to rotate the mobile 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몸체부의 배면에 부착되는 이중배지의 접착지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몸체부를 차량 내부의 송풍 그릴에 고정시키는 클램프 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클램프 부는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나사 고정되는 원판을 구비하고, 상기 원판에는 후면측으로 그 일측이 원판에 일체식으로 결합된 고정 서포트와, 이동 서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 서포트는 상기 원판의 배면에 고정된 너트부재 상에서 나사 결합한 볼트부재의 선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고정 서포트에 대해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상기 고정 서포트와 이동 서포트의 사이에서 상기 송풍 그릴을 압착시켜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장착기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is made of a double-sheet adhesive paper attached to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or may be made of a clamp portion for fixing the body portion to the ventilation grille inside the vehicle, the clamp portion is screwed to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It has a disk, and the disk has a fixed support coupled to the disk integrally on one side to the rear side, and the movable support, the movable support of the bolt member screwed on the nut member fixed to the back of the disk And a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 and configured to press and fix the blower grille between the fixed support and the movabl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돌출부의 전면에 오목홈을 형성하여 광고용 엠블럼을 부착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장착기구.The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of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body is configured to attach an advertising emblem by forming a concave groove in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휴대폰은 그 배면부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부에 클립부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의 끼움 구멍에 끼워지며, 상기 클립부는 일정길이 연장하고, 그 중간에는 오목한 단차의 절곡면을 형성하며, 박판형의 구조로서 탄성력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장착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phone is formed in the back portion or the back portion of the mobile phone case is clipped to the fitting hole of the rotating body, the clip portion extends a certain length, in the middle of which forms a concave stepped bent surface,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hin plate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with elastic force.
KR2020110003615U 2011-04-27 2011-04-27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KR200454155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15U KR200454155Y1 (en) 2011-04-27 2011-04-27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PCT/KR2011/008218 WO2012148052A1 (en) 2011-04-27 2011-10-31 Device for mounting a portab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15U KR200454155Y1 (en) 2011-04-27 2011-04-27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155Y1 true KR200454155Y1 (en) 2011-06-17

Family

ID=4448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615U KR200454155Y1 (en) 2011-04-27 2011-04-27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4155Y1 (en)
WO (1) WO201214805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959A (en) * 2020-01-17 2021-07-27 심재성 Holder for mobile with improved setup of a magn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360B1 (en) * 2015-04-29 2016-08-25 차우-런 창 Fixing device
KR102388722B1 (en) * 2015-11-20 2022-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324Y1 (en) 2000-12-28 2001-06-15 이영호 Apparatus for fixing portable telephone hands-free set on instrument panel of vehicle
KR20020026324A (en) * 2002-03-07 2002-04-09 황현 Business Model by Lottery Ticket
KR20030089092A (en) * 2002-05-16 200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gram Update
KR200389092Y1 (en) 2005-04-18 2005-07-07 권영모 Vehicle for custody plate
KR20090065606A (en) * 2007-12-18 2009-06-23 박병훈 Case pho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503B1 (en) * 2004-05-18 2006-05-22 주식회사 아트랑 rest for hanging mobile phone
KR200370879Y1 (en) * 2004-10-05 2004-12-17 팅크웨어(주) Holding devic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hing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KR200424288Y1 (en) * 2006-06-02 2006-08-17 (주)중앙티앤씨 the belt clip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324Y1 (en) 2000-12-28 2001-06-15 이영호 Apparatus for fixing portable telephone hands-free set on instrument panel of vehicle
KR20020026324A (en) * 2002-03-07 2002-04-09 황현 Business Model by Lottery Ticket
KR20030089092A (en) * 2002-05-16 200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gram Update
KR200389092Y1 (en) 2005-04-18 2005-07-07 권영모 Vehicle for custody plate
KR20090065606A (en) * 2007-12-18 2009-06-23 박병훈 Case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959A (en) * 2020-01-17 2021-07-27 심재성 Holder for mobile with improved setup of a magnet
KR102294844B1 (en) * 2020-01-17 2021-08-27 심재성 Holder for mobile with improved setup of a mag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8052A1 (en)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7511B (en) Adjustable clamping seat
KR200454155Y1 (en) Mobile phone mounting mechanism
US20100213335A1 (en) Swivelable fixing seat
KR20140069684A (en) A mobile phone mount for vehicles
KR101572101B1 (en) Smartphone cradle for handle of vehicle
KR20120005428U (en) Mobile terminal supporter of automotive steering wheel
KR200468284Y1 (en) Fixture for a cellphone case by using a clip
US3343772A (en) Attachment device for small appliances
US20090090821A1 (en) Cradle for automobile
KR20120124740A (en) Stands mobile devices
KR101738615B1 (en) Apparatus for mounting mobile phone
KR100922169B1 (en) Machine support for car the inside portable
JP3148956U (en) Support stand
JP2009018638A (en) On-vehicle apparatus mounting device
CN210822081U (en) Vehicle-mounted folding mobile phone support
JP5196331B2 (en) In-vehicle device support
KR20080000283U (en) Apparatus for mounting a multimedia device in vehicle
KR101902424B1 (en) supporter for smart phone
KR101543532B1 (en) Holder for controling angle of mobile device
KR20180135618A (en) Holder for vehicles
KR20110042722A (en) Cradle for automatic vehicle
CN207674040U (en) A kind of vehicle-mounted bracket
KR20130080201A (en) Smartphone navigation holder
CN207617633U (en) Plug-in type handset bracket
KR20070120470A (en) Multi purpose stand by vehicle's cd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