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763Y1 - Receive terminal including voicetransformation device - Google Patents

Receive terminal including voicetransform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763Y1
KR200424763Y1 KR2020060015891U KR20060015891U KR200424763Y1 KR 200424763 Y1 KR200424763 Y1 KR 200424763Y1 KR 2020060015891 U KR2020060015891 U KR 2020060015891U KR 20060015891 U KR20060015891 U KR 20060015891U KR 200424763 Y1 KR200424763 Y1 KR 200424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voice
converting
unit
receiv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8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20060015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76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76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03Changing voice quality, e.g. pitch or form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03Changing voice quality, e.g. pitch or formants
    • G10L21/007Changing voice quality, e.g. pitch or formant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used
    • G10L21/013Adapting to target pitch
    • G10L2021/0135Voice conversion or morp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화중 다수의 사용자 각각이 선호하는 조건에 따라 수신되는 음색을 변경할 수 있는 음색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ing terminal including a tone changing device capable of changing a tone received according to a condition preferred by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during a call.

본 고안에 따른 음색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기는 수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 각각이 선호하는 조건에 따라 음색 변경조건이 설정된 다수의 음색 모드를 갖는 사용 음색 설정부와; 상기 사용 음색 설정부로부터 사용자가 수신 전 또는 수신 중에 미리 설정된 다수의 음색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음색 선택부; 및 상기 음색 선택부에서 선택된 음색 모드에 따라 수신자 전화선을 통해 발신자의 음색을 변환하는 음색 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ing terminal including a tone changing device includes: a usage tone sett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tone modes in which tone tone changing conditions are set according to a condition preferred by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receiver terminal; A ton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tone modes preset before or during reception by the use tone setting unit; And a ton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tone of the caller through the receiver telephone line according to the tone mode selected by the tone selection unit.

본 고안에 따른 음색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기를 통해 통신 시스템의 음성 교환을 위한 단말기 사용 중 송신부으로부터 전달된 굉음이나 격한 소리(성난 목소리)나 청각 특성이 일반인보다 떨어지는 수신자나 청각에 문제를 지닌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통화를 기분 좋게 할 수 있다. Problems with the receiver or hearing in which the loudness or violent sound (angry voice) or hearing characteristic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during the use of the terminal for voice exchange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receiving terminal including the tone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lower than those of the general public People can choose the mode they want to make the call pleasant.

음색 변경, 수신자 Voice change, receiver

Description

음색 변경 기능을 구비한 수신 단말기{RECEIVE TERMINAL INCLUDING VOICETRANSFORMATION DEVICE}Receive terminal with voice change function {RECEIVE TERMINAL INCLUDING VOICETRANSFORMATION DEVICE}

도 1은 종래의 단말기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terminal,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색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ceiving terminal including a tone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색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기의 키패드와, 키패드에 미리 프리셋된 다수의 사용자의 선호조건 및 기능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pad of a receiving terminal including a tone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reference conditions and function keys of a plurality of users preset in advance on the keypa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키입력부 12 : 표시부10: key input unit 12: display unit

14 : 제어부 16 : 제어 메모리14 control unit 16 control memory

18 : 수신부 20 : 송신부18: receiver 20: transmitter

22 : 듀플렉서 24 : 음성 메모리22: duplexer 24: voice memory

26 : 음성 처리부 120 : 송화기26: voice processing unit 120: a talker

122 : A/D 변환부 124 : D/A 변환부122: A / D converter 124: D / A converter

126 : 하이브리드 회로부 128 : 수화기126: hybrid circuit portion 128: handset

130 : 음색 설정부 132 : 키패드130: tone setting unit 132: keypad

133 : 메모리 134 : 음색 선택부133: memory 134: voice selection unit

140 : 음색 변환부 142 : CPU140: tone conversion unit 142: CPU

144 : DSP144: DSP

본 고안은 수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중 다수의 사용자 각각이 선호하는 조건에 따라 수신되는 음색을 변경할 수 있는 음색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ing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eiving terminal including a tone changing device capable of changing the tone received according to a condition preferred by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during a call.

음색 변경기법은 음성에 대한 피치(Pitch)를 변경함으로써 음성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으나 음색의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주로 TV 방송이나 라디오 방송에서 화자의 신원을 보호하는 경에 주로 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음성 변조 기법은 넓은 의미로는 음성신호에 대한 피치 조절뿐만 아니라 원음에 대한 에코처리 및 바이브레이션 처리, 로봇 음성 처리 등을 들을 수 있다.Voice change technique is to change the pitch of the voice so that the contents of the voice can be recognized but the voice cannot be identified. This technique is mainly used to protect the identity of the speaker in TV or radio broadcasting. to be. This voice modulation technique can be broadly described as echo control, vibration processing, and robot voice processing for the original sound as well as pitch control for the voice signal.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또는 데이터 교환을 위해 단말기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와,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와, 메뉴키 등으로 구성된 키입력부(10)와, 다수의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음성 메모리(16)와,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음성 메모리(16)로부터 독출된 음성 메시지를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음성 처리부(26)와, 제어부(14)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 무선 변조하여 듀플렉서(22)로 전달하는 송신부(20)와, 송신부(20)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듀플렉서(22)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부(18)로 구성된다.In general,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terminal for voice or data exchange. The communication system shown in FIG. 1 includes a control unit 14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s of a terminal, a key input unit 10 including a plurality of dialing digit keys, a menu key, and a voice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voice messages ( 16 and a voice processing unit 26 for analog processing a voice message read out from the voice memory 1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 and transmitting the same through a speaker, and inputs a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4 to digital wireless. Transmitter 20 modulates and delivers to duplexer 22, duplexer 22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received from transmitter 20 through an antenna, and receiver 18 for receiv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It is composed.

이러한 통신 시스템의 음성 교환을 위한 단말기 사용 중 송신부(20)으로부터 전달된 굉음이나 격한 소리(성난 목소리)를 수신부(18)에서 청취함에 있어서 불쾌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청각 특성이 일반인보다 떨어지는 수신자나 청각에 문제를 지닌 사람들은 전화상에서 상대방의 음성을 정확히 듣기 어려운 통화중 문제점이 있다.While using the terminal for voice exchange of such a communication system, there is a problem of feeling unpleasant in listening to the loudspeaker or loud sound (an angry voic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 at the receiver 18. In addition, the receiver having a lower hearing characteristics than those of the general public or those with hearing problems have problems during a call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hear the other party's voice on the telephone.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화중 다수의 사용자 각각이 선호하는 조건에 따라 수신되는 음색을 변경할 수 있는 음색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ing terminal including a tone changing device capable of changing a tone received according to a condition preferred by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during a call.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색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기는 수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 각각이 선호하는 조건에 따라 음색 변경조건이 설정된 다수의 음색 모드를 갖는 사용 음색 설정부와; 상기 사용 음색 설정부로부터 사용자가 수신 전 또는 수신 중에 미리 설정된 다수의 음색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음색 선택부; 및 상기 음색 선택부에서 선택된 음색 모드에 따라 수신자 전화선을 통해 발신자의 음색을 변환하는 음색 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receiving terminal including a tone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ne setting having a plurality of tone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preference of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receiving terminal Wealth; A ton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tone modes preset before or during reception by the use tone setting unit; And a ton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tone of the caller through the receiver telephone line according to the tone mode selected by the tone selection unit.

여기서, 상기 음색 설정부는 다수의 사용자 각각이 선호하는 음색 조건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색 조건에 대응되는 음색 조건별 단축키와 하나 이상의 음색 변경 기능키가 형성된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ne setting unit may include: a memory in which a tone condition preferred by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is stored; And a keypad on which the tone condi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tone condition stored in the memory and one or more tone change function keys are formed.

또한, 상기 음색 변경 기능키는 맑은 소리모드, 솔음 모드, 점점 크게 변환되는 소리모드 및 점점 작게 변환되는 소리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ne change function ke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lear sound mode, a solo sound mode, a gradually changing sound mode, and a gradually decreasing sound mode.

상기 음색 선택부는 상기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음색으로 발신자의 음성을 변환시키기 위한 음색 변환 알고리즘을 갖는 CPU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ne selector has a CPU having a tone conversion algorithm for converting a caller's voice into a ton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keypad.

상기 음색 변환부는 상기 키패드를 통해 선택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발신자의 음성을 음색 변환시키는 DS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ne converting unit may include a DSP for converting a tone of a caller by a user of the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algorithm selected through the keypad.

상기 기술적 과제 외에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 및 이점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technical problem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technical problem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색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ceiving terminal including a tone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색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기는 송화기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디지털화하는 A/D 변환부(122)와, A/D 변환부(122)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수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 각각이 선호하는 조건이 저장된 메모리(133) 및 상기 메모리(133)에 대응되는 음색 조건을 지닌 키패드(132)를 포함하는 음색 설정부(130)와, 음색 설정부(130)로부터 선택된 음색을 CPU(142)의 제어에 따라 변환하는 DSP(144) 및 발신자의 음성이 키패드(132)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음색으로 변환되도록 DSP(144)를 제어하는 CPU(142)를 포함하는 음색 변환부와, DSP(144)에서 변화된 신호를 아날로그화하는 D/A변환부와, D/A 변환부(124)에서 아날로그화된 음성을 전화선을 통해 송출하는 하이브리드 회로부(126)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a receiving terminal including a tone changing device includes an A / D converter 122 for digitizing voices input from a talker, and a receiver terminal for receiving voices input from the A / D converter 122. A tone setting unit 130 and a tone setting unit 130 including a memory 133 storing a preferred condi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to use, and a keypad 132 having a tone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memory 133. DSP 144 for converting the tone selected from the voic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PU 142 and the CPU 142 for controlling the DSP 144 so that the caller's voice is converted to the tone selected by the user via the keypad 132; A tone converter, a D / A converter for analogizing the signal changed by the DSP 144, and a hybrid circuit unit 126 for transmitting the voice analogized by the D / A converter 124 through a telephone line. .

A/D 변환부(122)는 송화기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사용자의 음색을 수신하여 디지털화한 후 DSP(144)로 전송한다. The A / D converter 122 receives the analog tone of the user input from the talker, digitizes it, and transmits the digitized tone to the DSP 144.

음색 설정부(130)는 수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 각각이 선호하는 조건이 저장된 메모리(133)와, 메모리(133)에 대응되는 조건을 지닌 키패드(132)로 구성된다.The tone setting unit 130 includes a memory 133 in which a condition preferred by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using a receiving terminal is stored, and a keypad 132 having a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memory 133.

도 3에 도시된 음색 설정부(130)는 단말기 상에 일측에는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와, 메뉴키, 송출키 등을 구비하며, 타측에는 음성을 변환시키는 음색 조건별 단축키와 하나 이상의 음색 변경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워드(132)로 구성된다.The tone setting unit 130 shown in FIG. 3 includes a plurality of dialing digit keys, a menu key, a transmission key, and the like on one side of the terminal, and a shortcut key for each tone condition for converting voice and one or more tone changing functions on the other side. It consists of a keyword 132 containing a key.

여기서 음색 설정부(130)의 음색 조건별 단축키는 하나의 단말기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가정을 예로 할 때, 시끄러운 소리이나 환경에 예민한 아버지만을 위한 기분이 좋게 하는 음색으로 변환시키는 모드와, 할머니나 할아버지와 같이 청각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 있을 경우 굉음 소리를 줄일 수 있게 변환시키는 모드와, 혼자 집을 지키는 자녀의 안전을 위해 어른의 목소리로 변환시키는 모드와, 누구나 받았을 때 노멀한(nomal)상태로 변환시키는 모드 등으로 프리셋(Preset)된다.Here, the tone setting key for each tone condition of the tone setting unit 130 is a mode for converting into a tone that makes a pleasant sound only for a father who is sensitive to a loud sound or an environment when taking an example of using a single terminal by multiple users. If you have a hearing problem, such as grandfather, the mode to reduce the sound of the noise, the mode to convert to the voice of adults for the safety of children who keep their homes alone, and normal when received It is preset by the mode to convert.

또한, 음색 변경 기능키는 맑은 소리, '솔'음 모드, 점점 크게 변환되는 소리 및 점점 작게 변환되는 소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one change function key includes at least one of a clear sound, a 'sole' sound mode, a sound that is gradually louder, and a sound that is gradually smaller.

이러한 음색 설정부(130)를 통해 수신자는 수신 전 또는 수신 중에 음색 설정부(130)의 음색에 대응되는 음색 조건별 단축키와 하나 이상의 음색 변경키를 사용할 수 있다. Through the tone setting unit 130, the receiver may use a shortcut key for each tone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tone of the tone setting unit 130 and at least one tone change key before or during reception.

음색 선택부(134)는 음색 설정부(130)로부터 선택된 음색을 CPU(142)의 제어에 따라 변환하는 DSP(144)와, 발신자의 음성이 키패드(132)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음색으로 변환되도록 DSP(144)를 제어하는 CPU(142)로 구성된다. 이러한 CPU(142)는 다양한 음색을 생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비하여 알고리즘에 따라 DSP(144)를 조작한다. 즉, 선택된 모드의 음색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CPU(142)는 DSP(144)의 디지털 신호처리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The tone selector 134 is a DSP 144 for converting a tone selected from the tone setter 13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PU 142 and a caller's voice is converted into a ton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keypad 132. The CPU 142 controls the DSP 144. The CPU 142 includes an algorithm capable of generating various tones to manipulate the DSP 144 according to the algorithm. That is, the CPU 142 controls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operation of the DSP 144 to generate the tone of the selected mode.

음색 변환부(140)는 키패드(132)를 통해 선택된 알고리즘에 따라 수신 단말 기의 사용자가 송신 단말기의 발신자의 음성을 음색 변환하는 DSP(144)로 구성된다.The tone converting unit 140 includes a DSP 144 for converting a tone of the caller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by the user of the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algorithm selected through the keypad 132.

여기서, DSP(144)는 디지털화된 사용자의 음성을 CPU(142)의 제어에 따라 조작하게 된다. 즉, DSP(144)에 의해 조작된 음성은 수신자의 모드 선택에 의한 음성으로 수신자에게 입력된다. Here, the DSP 144 operates the digitized voice of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42. In other words, the voice operated by the DSP 144 is input to the receiver as the voice by mode selection of the receiver.

D/A 변환부(124)는 디지털화된 음색을 다시 아날로그화된다. 이때 음성은 송화기로 입력된 음성과 다르게 변환할 수 있다.The D / A converter 124 analogizes the digitized timbre again. In this case, the voice may be converted differently from the voice input to the talker.

하이브리드 회로부(126)는 D/A 변환부(124)에서 출력된 음성을 전화선으로 송출시킨다. The hybrid circuit unit 126 transmits the voice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124 to the telephone line.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수신 단말기는 다수의 사용자 각각의 선호 조건에 따라 음색 변경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적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adapt to the various needs of the user by changing the ton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cond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색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기는 다수의 사용자 각각의 선호 조건에 따라 음색을 변경함으로써 통화 품질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terminal including the tone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call quality by changing the ton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cond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즉, 통신 시스템의 음성 교환을 위한 단말기 사용 중 송신부으로부터 전달된 굉음이나 격한 소리(성난 목소리)나 청각 특성이 일반인 보다 떨어지는 수신자나 청각에 문제를 지닌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통화를 기분 좋게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receiver who has a loud or violent sound (an angry voice) or hearing characteristics that are less than the general public or who has a hearing problem while using a terminal for voice exchange of a communication system selects a desired mode and feels like a call. You can do it nicely.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From the above descrip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5)

수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 각각이 선호하는 조건에 따라 음색 변경조건이 설정된 다수의 음색 모드를 갖는 사용 음색 설정부와; A used tone sett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tone modes in which tone tone changing conditions are set according to a condition preferred by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receiving terminal; 상기 사용 음색 설정부로부터 사용자가 수신 전 또는 수신 중에 미리 설정된 다수의 음색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음색 선택부; 및A ton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tone modes preset before or during reception by the use tone setting unit; And 상기 음색 선택부에서 선택된 음색 모드에 따라 수신자 전화선을 통해 발신자의 음색을 변환하는 음색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 변경 기능을 구비한 수신 단말기.And a tone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a tone of a caller through a receiver telephone line according to the tone mode selected by the tone selec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색 설정부는The tone setting unit 다수의 사용자 각각이 선호하는 음색 조건이 저장된 메모리; 및A memory in which a tone condition preferr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is stored; And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색 조건에 대응되는 음색 조건별 단축키와 하나 이상의 음색 변경 기능키가 형성된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 변경 기능을 구비한 수신 단말기.And a keypad on which a tone condition key corresponding to a tone condition stored in the memory and at least one tone change function key are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색 변경 기능키는 맑은 소리모드, '솔'음 모드, 점점 크게 변환되는 소리모드 및 점점 작게 변환되는 소리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음색 변경 기능을 구비한 수신 단말기.And the tone change function key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lear sound mode, a 'sole' sound mode, a gradually changing sound mode, and a gradually decreasing sound mode.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음색 선택부는 상기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음색으로 발신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변환시키기 위한 음색 변환 알고리즘을 갖는 CP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 변경 기능을 구비한 수신 단말기.And the tone selector comprises a CPU having a tone conversion algorithm for converting a voice of a caller terminal user into a ton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keypa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음색 변환부는 상기 키패드를 통해 선택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송신 단말기에 발신자의 음성을 음색 변환시키는 DS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 변경 기능을 구비한 수신 단말기.And the tone converting unit comprises a DSP for converting a caller's voice to a transmitting terminal by a user of the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algorithm selected through the keypad.
KR2020060015891U 2006-06-13 2006-06-13 Receive terminal including voicetransformation device KR20042476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891U KR200424763Y1 (en) 2006-06-13 2006-06-13 Receive terminal including voicetransform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891U KR200424763Y1 (en) 2006-06-13 2006-06-13 Receive terminal including voicetransform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763Y1 true KR200424763Y1 (en) 2006-08-28

Family

ID=4177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891U KR200424763Y1 (en) 2006-06-13 2006-06-13 Receive terminal including voicetransform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76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521B1 (en) Voice processing method, telephone using the same and relay station
KR20050028992A (en) Method for changing ringing mode of remote mobile phone
KR200424763Y1 (en) Receive terminal including voicetransformation device
JP3479252B2 (en) Portable wireless telephone and sound conversion method
JP3743357B2 (en) Mobile phone
TW512642B (en) Cellular phone
JP2006245693A (en) Telephone set
KR20010061331A (en) Mobile teminal having function of background music
JP380659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406326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28638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vailable composition of musical note and method for composition and performance of musical note using the same
KR100240319B1 (en) Music transmission device for alarm in a pager
KR100605936B1 (en) Method for changing key tone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195B1 (en) Method for notifying situation in manner mode of wireless terminal
US20040266487A1 (en) Voice signal processing methods and systems
KR100623435B1 (en) A telephone with calling ringer bell during communication of voice conversation
KR101093834B1 (en) Method of sound-output depending on use frequency
KR19990014385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ringing sound of communication device
KR10060674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versation using thereof
JPH10313356A (en) Telephone set
JP2005150909A (en) Key telephone set with reception tone quality adjusting function
JP2008124972A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device
KR20000049342A (en) Method for changing telephone ring back tone
JPH01177760A (en) Data processor
JP2005217540A (en) Interpho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