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024A - Display power management control circuit - Google Patents

Display power management control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024A
KR20040107024A KR1020030037803A KR20030037803A KR20040107024A KR 20040107024 A KR20040107024 A KR 20040107024A KR 1020030037803 A KR1020030037803 A KR 1020030037803A KR 20030037803 A KR20030037803 A KR 20030037803A KR 20040107024 A KR20040107024 A KR 20040107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ing
output
transform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81197B1 (en
Inventor
김주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197B1/en
Publication of KR20040107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0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19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05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our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power controlling system is provided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a power saving circuit in a DPM(Display Power Mode) mode, and to automatically switch on or off the power, supplied from a power transformer, at an output end of the power transformer. CONSTITUTION: The system comprises a transformer(21), the first power smoothing device(22), an output power switch(23), the second power smoothing device(24), the third power smoothing device(25), a switch controller(26), and a microcomputer(27). The first power smoothing device(22) smooths the second power supplied by the transformer(21). The output power switch(23) switches on or off the power supplied by the first power smoothing device(22). The second power smoothing device(24) smooths the power supplied by the output power switch(23). The third power smoothing device(25) smooths the first power supplied by the transformer(21). The switch controller(26) switches on or off the power supplied by the third power smoothing device(25), and at the same time, controls the output power switch(23) by using the first power. The microcomputer(27) supplies a power control signal to the switch controller(26)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a DPM mod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DISPLAY POWER MANAGEMENT CONTROL CIRCUIT}DISPLAY POWER MANAGEMENT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PM(Display Power Management) 모드에서 비디오에 공급되는 B+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요구되는 소비전력 절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trol apparatus for a video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power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satisfying a power saving condition required by cutting off B + power supplied to a video in a DPM mode. It is about.

일반적인 모니터는 퍼스널 컴퓨터(PC) 전체 전력 소모량 중에서 약 50% 내지 80%의 전력을 소모한다. 이러한 모니터는 소비되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스크린 형광면에서 가시광 발광, 열 소모, 전자기 방사, 고 에너지 방사 및 음향 에너지로 발산하지만, 이렇게 소비되는 에너지 중에서 오직 형광면 발광만이 영상 정보의 표현에 유용한 에너지이며 또한 사용자에게 상기 영상이 보여질 때에만 유용하게 기능한다. 즉, 사용자가 PC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장시간 자리를 비워두는 경우에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자체가 의미를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Typical monitors consume about 50% to 80%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a personal computer (PC). While these monitors dissipate most of the energy consumed from the screen fluorescent surface into visible light, heat consump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high energy radiation and acoustic energy, only the fluorescent surface emission is the energy that is useful for the presentation of image information. It is useful only when the image is shown to the user.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PC,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left for a long time, the display of the image itself loses meaning.

한편, 상기 방사 발진에 오랫동안 노출될 때의 건강상 문제는 이슈가 되어 왔으며, 모니터 메이커들은 모니터의 방사 발진을 줄이기 위해 많은 연구를 수행하여 왔다. 또한, PC의 사용은 계속 증가하고 있고, 이제는 전기 에너지의 주 소모원이 되었다. 미국 환경보호 연합은 컴퓨터 생산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라고 압력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저전압 IC와 마이컴 파워 관리 기술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소모가 줄어들도록 기여하였다. 그러나, CRT에 대한 적절한 대체 품이나 좀 더 효율적인 CRT가 나올 때까지는 PC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On the other hand, health problems when exposed to the radiation rash for a long time has been an issue, monitor manufacturers have been doing a lot of research to reduce the radiation rash of the monitor. In addition, the use of PCs continues to increase and is now a major consumer of electrical energ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s pressing computer producers to develop new systems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Thus, low-voltage ICs and microcomputer power management technologies have contributed to reducing consumption when the computer is not in use. However, improving the energy efficiency of a PC is not an easy task until a suitable alternative to the CRT or a more efficient CRT is available.

에너지 절약을 위해 필요한 것은 디스플레이가 사용되지 않을 때 모니터의 고 에너지 소비 회로를 셧 다운시키는 방법이다. 이것은 모뎀,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로부터의 비활동 기간에 의해 정해진다. 많은 컴퓨터와 모니터 단말기는 스크린 블랭킹 회로나 화면 보호기 기능 같은 기술을 사용한다. 즉, 키를 누르거나 마우스를 움직이면 이전 화면이 다시 활성화된다.What is needed to save energy is how to shut down the monitor's high energy consumption circuitry when the display is not in use. This is determined by the period of inactivity from input devices such as modems, mice, keyboards, and the like. Many computers and monitor terminals use technologies such as screen blanking circuitry and screen saver functions. In other words, pressing a key or moving the mouse activates the previous screen again.

이와 같은 절전기능을 DPM 모드(Display Power Management Mode)라 하며, DPM 모드는 수직 또는 수평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모니터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판단하는데, 수직 동기신호와 수평 동기신호 각각의 입력 유/무에 따라 서스펜드(Suspend)/스탠바이(Stand-By) 모드와 오프(off) 모드로 구분하고,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가 모두 모니터로 입력되지 않으면 오프 모드로 구분하여 모니터 내부의 마이컴 동작대기를 위한 최소한의 필수 구성요소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그 외의 구성요소, 특히 대전력을 소비하는 히터, 편향 IC 등의 구성요소에는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동작모드이다.This power saving function is called DPM mode (Display Power Management Mode). In DPM mode, it is determined that the monitor is not us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In this case, it is classified into Suspend / Stand-By mode and off mode, and if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sync signals are not inputted to the monitor, it is classified into off mode. It is an operation mode that supplies power only to essential components and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other components such as heaters and deflection ICs that consume large power.

에너지 규격 'ENERGY 2000'을 보면 모니터의 DPM off 모드시 소비전력을 3W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국제적 추세에 따라 소비자 및 구매자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DPM off 모드시 소비전력을 3W 이내로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 to the energy standard 'ENERGY 2000',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monitor's DPM off mode is limited to within 3W. Therefore, in order to respond quickly to the demands of consumers and buyers according to this international tre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echnology development to satisfy power consumption within 3W in the DPM off mode.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종래의 모니터의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ower control method of the conventional monitor using this principle as follows.

모니터의 마이컴은 PC로부터의 수평/수직 동기신호 입력을 모니터링한다.The microcomputer in the monitor monitor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 signal inputs from the PC.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PC로부터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고 있으면 정상 모드로 판단하고 모든 회로에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i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s are normally input from the PC,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mode and power is supplied to all circuits normally.

한편, 상기 모니터링 결과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가 모두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중 어느 한 신호만 정상적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수직/수평 동기신호중 어느 하나만 정상일 경우 스탠바이 또는 서스펜드 모드로 판단하고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외한 모든 전력 회로를 오프 시킨다.On the other hand, i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s are not normally input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it is determined whether only on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s is normally input. Turn off all power circuits except the supplied power.

즉, 수직 동기 신호의 각 쌍 사이에서 수평 동기 신호를 체크하고 수평 동기신호의 인터벌 카운트가 모니터의 최대 비디오 스캔 비율(rate)을 크게 초과하면 수직 동기신호가 없다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모니터의 전력 소모는 약 80% 내지 90% 감소된다.That is,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checked between each pair of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and if the interval count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greatly exceeds the maximum video scan rate of the monitor,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n this cas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s reduced by about 80% to 90%.

그리고, 모든 동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는 오프 모드로 판단하고, 히터 전원을 포함한 모든 전력 회로를 오프 시킨다. 이와 같은 오프 모드에서의 모니터 소비 전력은 약 98% 이상 감소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메인 전원이 차단되지 않을 경우 반복하게 된다.When all the synchronization signals are not input, it is determined to be in the off mode and all power circuits including the heater power are turned off. Monitor power consumption in this off mode is reduced by more than 98%. This process is repeated if the main power is not cut off.

도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비디오 전원 공급을 위하여 주전원 트랜스를 스위칭 제어하는 주전원 제어IC(11)와, 상기 주전원 제어IC(11)의 스위칭 제어를 받아 비디오 80V, 12V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주전원 트랜스(12)와, 보조 전원 공급을 위하여 보조 전원 트랜스를 스위칭 제어하는 보조 전원 제어IC(13)와, 상기 보조 전원 제어IC(13)의 스위칭 제어를 받아 5V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 트랜스(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1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isplay power control device. A main power control IC 11 for switching the main power transformer for video power supply, a main power transformer 12 for supplying video 80V and 12V voltages under the switching control of the main power control IC 11,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The auxiliary power control IC 13 for switching the auxiliary power transformer for switching, and the auxiliary power transformer 14 for supplying a 5V voltage under the switching control of the auxiliary power control IC (13).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display power control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정상 동작의 경우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시 생략된 마이컴이 PC로부터의 수평/수직 동기신호 입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PC로부터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고 있으면 정상 모드로 판단하고 모든 회로에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주전원 제어IC(11) 및 보조 전원 제어IC(13)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주전원 제어IC(11)의 스위칭 제어가 이루어지고 SMPS(Switchin Mode Power Supply) 주전원 트랜스(12)는 80V 비디오 출력전압 및 12V 출력전압을 생성하여 회로 각부에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보조 전원 제어IC(13)의 스위칭 제어가 이루어지고 SMPS 보조 전원 트랜스(14)는 5V 출력전압을 생성하여 회로 각 부분에 5V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기기는 정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First, in the normal operation, that is, the microcomputer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monitors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from the PC, and i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s are normally input from the PC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the normal mode is returned to the normal mode. The main power supply control IC 11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control IC 13 are operated to judge and supply power normally to all circuits. Accordingly, switching control of the main power supply control IC 11 is performed, and the SMPS main switch transformer 12 generates an 80 V video output voltage and a 12 V output voltage to supply power to each circuit normally. In addition, switching control of the auxiliary power control IC 13 is performed, and the SMPS auxiliary power transformer 14 generates a 5V output voltage to supply 5V power to each part of the circuit so that the device performs normal operation.

한편, 상기 모니터링 결과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가 모두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중 어느 한 신호만 정상적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수직/수평 동기신호중 어느 하나만 정상일 경우 스탠바이 또는 서스펜드 모드로 판단하고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외한 모든 전력 회로를 오프 시키며, 모든 동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는 오프 모드로 판단하고, 히터 전원을 포함한 모든 전력 회로를 오프 시킨다. 즉, DPM 모드(서스펜드, 스탠바이, 오프 모드)의 경우에는 주전원 제어IC(11) 및 주전원 트랜스(12)가 동작하지 않고 보조 전원 제어IC(13) 및 보조 전원 트랜스(14)만 동작시켜서 주전원 트랜스(12)에 의한 80V 및 12V 출력전압은 차단되고, 보조 전원 트랜스(14)에 의한 5V 전원만 공급해 주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s are not normally input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it is determined whether only on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s is normally input. Turn off all power circuits except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When all the synchronization signals are not input, determine the off mode, and turn off all power circuits including the heater power. That is, in the DPM mode (suspend, standby, off mode), the main power control IC 11 and the main power transformer 12 do not operate, and only the auxiliary power control IC 13 and the sub power transformer 14 operate to operate the main power transformer. The 80V and 12V output voltages by 12 are cut off, and only 5V power is supplied by the auxiliary power transformer 14.

이와 같은 과정은 메인 전원이 차단되지 않을 경우 반복하게 된다.This process is repeated if the main power is not cut off.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는 보조 전원 제어IC 및 보조 전원 트랜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 제품 가격 상승의 부담이 있고, 보조 전원 제어IC 및 보조 전원 트랜스에 의한 소비전력의 부담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ventional display power controller uses the auxiliary power control IC and the auxiliary power transformer, not only the circuit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but also the product price is increased, and the auxiliary power control IC and the auxiliary power transformer are used. There is a burden on power consumption.

또한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가 주전원 제어IC 및 주전원 트랜스와, 보조 전원 제어IC 및 보조 전원 트랜스로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부품이 적용되고 제어 프로그램도 증가하게 되어 생산성 및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power control is dualized into the main power control IC and the main power transformer, and the auxiliary power control IC and the sub power transformer, many parts are applied and the control program is increased, which causes the productivity and workability to be reduced.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DPM 모드에서 절전 제어를 위한 회로 구성을 간소화하고, 요구되는 소비전력 수준을 만조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power supply control device which can simplify a circuit configuration for power saving control in a DPM mode of a video display device and to make a required power consumption level high.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컴으로부터의 DPM 신호를 이용해서, 전원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의 공급 여부를 전원 트랜스 출력단에서 자동적으로 스위칭 온, 오프시켜 공급 또는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display power supply by using a DPM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to automatically switch on or off the supply voltage or output the power supply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transformer.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 트랜스 출력단에서 비디오 출력전압을 스위칭하는 수단과, 마이컴으로부터의 DPM 신호 레벨에 따라 상기 스위칭수단을 온 또는 오프시켜 주전원 트랜스로부터의 출력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switching the video output voltage at the power transformer output stage, and control means for supplying or blocking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from the main power transformer by turning on or off the switch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DPM signal level from the microcomputer. To provide a display powe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도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의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display power control device

도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의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of a display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 전원 트랜스 22: 제1 평활부21: power transformer 22: first smoothing part

23: 출력전압 스위칭부 24: 제2 평활부23: output voltage switching unit 24: second smoothing unit

25: 제3 평활부 26: 스위칭 제어부25: third smoothing unit 26: switching control unit

27: 마이컴27: Mico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는, 기기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트랜스와, 상기 전원 트랜스의 출력단에서 기기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는 스위칭 수단과, DPM 모드에 따라 마이컴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위칭 수단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칭 제어수단과, DPM 모드를 판정하여 상기스위칭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play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ower transformer for supplying the device power, switching means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device power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transformer and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according to the DPM mode And switching control means for turning on or off the switching means, and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control means by determining a DPM mod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는, DPM 모드를 판정하여 전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기기 전원 공급을 위하여 제1 전원전압 및 제2 전원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트랜스와, 상기 전원 트랜스의 출력단에서 제1 전원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제1 스위칭수단과,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전원 제어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1 스위칭수단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2 스위칭수단과, 상기 전원 트랜스의 출력단에서 제2 전원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제3 스위칭수단과, 상기 제1 스위칭수단의 출력 여부에 따라 상기 제3 스위칭수단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4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power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icrocomputer to determine the DPM mode and output a power control signal, and a power transformer for generating a first power supply voltage and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for supplying the device power; First switching means for supplying or blocking a first power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transformer; and second switching means for turning on or off the first switching means by inputting a power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And third switching means for supplying or blocking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transformer, and fourth switching means for turning on or off the third switching means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switching means is outpu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에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전원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전원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전원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전원전압 중에서 다른 하나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isplay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means is a switching element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any one o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voltages output from a power transformer, and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voltages output from the power transform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itching device for turning on or off the switching device depending on whether the power supply.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에서, 상기 스위칭 제어수단은 전원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전원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DPM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isplay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control means is a switching element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any one o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voltages output from a power transformer and the DPM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as the input And a switching device for turning on or off the switch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에서, 상기 전원 트랜스로부터 회로 각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안정화를 위하여 리플 성분을 제거하는 평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power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moothing means for removing the ripple component for stabilization of the power supplied to each circuit portion from the power transformer.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에서, 상기 전원 트랜스로부터 회로 각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안정화를 위하여 복수개의 전원 각각에 대하여 리플 성분을 제거하는 평활수단을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moothing means for removing the ripple compone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ower sources for stabilizing the power supplied to each circuit portion from the power transformer.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에서, 상기 전원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원전압의 리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평활수단과, 상기 전원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원전압의 리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평활수단을 각각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display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oothing means for removing the ripple component of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transformer, and the smoothing means for removing the ripple component of the second power supply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transformer. Each of which further compris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의 구성 및 그 동작을 실시예로써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isplay power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의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configuration of a display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는, 기기 전원 공급을 위한 트랜스(21)와, 상기 트랜스(21)에서 출력되는 제2 전원전압(80V)의 평활을 위한 제1 평활부(22)와, 상기 제1 평활부(22)를 거쳐서 출력되는 제2 전원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시켜 주기 위한 출력전압 스위칭부(23)와, 상기 출력전압 스위칭부(23)에서 출력되는 제2 전원전압을 평활시켜 주기 위한 제2 평활부(24)와, 상기 전원 트랜스(21)에서 출력되는 제1 전원전압(12V)의 평활을 위한 제3평활부(25)와, 상기 제2 평활부(25)를 거쳐서 출력되는 제1 전원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시켜 줌과 함께 상기 제1 전원전압을 이용해서 상기 출력전압 스위칭부(23)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부(26)와, DPM 모드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제어부(26)에 전원 제어신호(DPM 신호)를 공급해 주기 위한 마이컴(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power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ormer 21 for supplying device power and a first smoothing unit 22 for smoothing the second power voltage 80V output from the transformer 21. ), An output voltage switching unit 23 for supplying or blocking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output through the first smoothing unit 22, and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voltage switching unit 23. The second smoothing part 24 for smoothing the second smoothing part, the third smoothing part 25 for smoothing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12V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transformer 21, and the second smoothing part 25. And a switching control section 26 for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switching section 23 using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and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output through Accordingly, a microcomputer for supplying a power control signal (DPM signal) to the switching controller 26. (27) is made.

한편, 상기 스위칭 제어부(26)는 전원 트랜스(21)의 출력단에서 제1 전원전압(12V)을 공급 또는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제1 스위칭 소자(Q2)와, 상기 마이컴(27)에서 출력되는 전원 제어신호(DPM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소자(Q2)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2 스위칭 소자(Q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switching controller 26 is a first switching element (Q2) for supplying or blocking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12V)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transformer 21, and the power contro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27)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Q4 for turning on or of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2 as a signal (DPM signal).

그리고 상기 출력전압 스위칭부(23)는 상기 전원 트랜스(21)의 출력단에서 제2 전원전압(80V)을 공급 또는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제3 스위칭 소자(Q1)와, 상기 제1 스위칭 소자(Q2)의 제1 전원전압(12V) 출력 여부에 따라 상기 제3 스위칭 소자(Q1)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4 스위칭 소자(Q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voltage switching unit 23 may include a third switching element Q1 and a first switching element Q2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second power supply voltage 80V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transformer 21.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switching element (Q3) for turning on or off the third switching element (Q1) according to whether the output of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12V).

도2에서 부호 D1,D2,D3는 다이오드, C1,C2,C3는 콘덴서, R1~R6은 저항이다.In Fig. 2, symbols D1, D2 and D3 are diodes, C1, C2 and C3 are capacitors, and R1 to R6 are resistors.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ower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전원 트랜스(2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MPS를 토대로 하여 소정의 전원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로써 12V의 제1 전원전압과 80V의 제2 전원전압(비디오 출력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power transformer 21 generates and outputs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voltage based on the SMP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21 generates a first power supply voltage of 12V and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video output voltage) of 80V. It is assumed to output.

먼저, 모니터의 마이컴(207)은 PC로부터의 수평/수직 동기신호 입력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PC로부터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고 있으면 정상 모드로 판단하고 모든 회로에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First, the microcomputer 207 of the monitor monitors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from the PC.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i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s are normally input from the PC,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mode and power is supplied to all circuits normally.

정상 모드의 경우 마이컴(27)에서 DPM 신호를 하이(High)로 출력한다. DPM 하이 신호가 제2 스위칭 소자(Q4)의 베이스에 인가되면 제2 스위칭 소자(Q4)는 온된다. 제2 스위칭 소자(Q4)가 온되면 제1 스위칭 소자(Q2)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이 걸려서 제1 스위칭 소자(Q2)가 온된다. 이에 따라 전원 트랜스(21)에서 출력된 제1 전원전압(12V)은 제1 스위칭 소자(Q2)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이 때 제3 평활부(25)의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2)는 전원 트랜스(21)에서 출력되는 제1 전원전압(12V)의 공급시 리플 성분을 제거하여 안정된 DC 전압 12V를 출력해 준다.In the normal mode, the microcomputer 27 outputs the DPM signal high. When the DPM high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4,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4 is turned on. Whe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4 is turned on, a bias voltage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2 to turn o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2. Accordingly,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12V output from the power transformer 21 is normally output throug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2. At this time, the diode D3 and the capacitor C2 of the third smoothing part 25 remove the ripple component when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12V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transformer 21 is output and output a stable DC voltage 12V. give.

한편, 상기 제1 스위칭 소자(Q2)가 온되어 12V의 제1 전원전압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면 이 전압 12V가 제4 스위칭 소자(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제4 스위칭 소자(Q3)가 온된다. 제4 스위칭 소자(Q3)가 온되면 제3 스위칭 소자(Q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이 걸려서 제3 스위칭 소자(Q1)가 온된다. 이에 따라 전원 트랜스(21)에서 출력된 제2 전원전압(80V)은 제3 스위칭 소자(Q1)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2 is turned on and the 12V first power supply voltage is normally output, the voltage 12V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Q3 to turn on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Q3. When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Q3 is turned on, a bias voltage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third switching element Q1 to turn on the third switching element Q1. Accordingly, the second power supply voltage 80V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transformer 21 is normally output through the third switching element Q1.

이 때 제1 평활부(22)의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는 전원 트랜스(21)에서 출력되는 제2 전원전압(80V)의 공급시 리플 성분을 제거하여 제3 스위칭 소자(Q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해주고, 제2 평활부(24)의 다이오드(D2) 및 콘덴서(C3)는 제3 스위칭 소자(Q1)를 통해서 출력되는 80V 전압 공급시 리플 성분을 제거하여 안정된 DC 80V 전압을 출력해 준다.At this time, the diode D1 and the capacitor C1 of the first smoothing part 22 remove the ripple component when the second power supply voltage 80V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transformer 21 is applied to the third switching element Q1. The diode D2 and the capacitor C3 of the second smoothing part 24 remove the ripple component when supplying the 80V voltage output through the third switching element Q1 to stabilize the DC 80V voltage. Will print

한편, 상기 모니터링 결과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가 모두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중 어느 한 신호만 정상적으로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수직/수평 동기신호중 어느 하나만 정상일 경우 스탠바이 또는 서스펜드 모드로 판단하고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외한 모든 전력 회로를 오프 시키며, 모든 동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는 오프 모드로 판단하고, 히터 전원을 포함한 모든 전력 회로를 오프 시킨다.On the other hand, if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s are not normally input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it is determined whether any on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s is normally input, and if only on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s is normal, it is determined as a standby or suspend mode and the heater Turn off all power circuits except the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When all the synchronization signals are not input, determine the off mode, and turn off all power circuits including the heater power.

즉, DPM 모드(서스펜드, 스탠바이, 오프 모드)에서는 마이컴(27)에서 DPM 신호를 로우(Low)로 출력하고 이 DPM 로우 신호에 의해서 전원 공급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DPM mode (suspend, standby, off mode), the microcomputer 27 outputs the DPM signal low and the power supply is automatically cut off by the DPM low signal.

마이컴(27)에서 출력된 DPM 로우 신호에 의해서 제2 스위칭 소자(Q4)는 오프된다. 제2 스위칭 소자(Q4)가 오프되면 제1 스위칭 소자(Q2)의 베이스 바이어스 전압이 차단되므로 제1 스위칭 소자(Q2)도 오프된다. 그러므로 전원 트랜스(21)로부터 출력되던 제1 전원전압(12V)은 차단된다. 한편, 제1 스위칭 소자(Q2)가 오프되어 제1 전원전압(12V)의 공급이 차단되면 제4 스위칭 소자(Q3)의 베이스 바이어스 전압이 차단되므로 제4 스위칭 소자(Q3)도 오프된다. 제4 스위칭 소자(Q3)가 오프되면 제3 스위칭 소자(Q1)의 베이스 바이어스 전압이 차단되므로 제3 스위칭소자(Q1)도 오프된다. 제3 스위칭 소자(Q1)가 오프되면 전원 트랜스(21)로부터 출력되던 제2 전원전압(80V)이 차단된다.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4 is turned off by the DPM low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27. Whe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4 is turned off, the base bias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2 is cut off, so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2 is also turned off. Therefore,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12V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transformer 21 is cut off. Meanwhile, whe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2 is turned off and the supply of the first power supply voltage 12V is cut off, the base bias voltage of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Q3 is cut off, so that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Q3 is also turned off. When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Q3 is turned off, the base bias voltage of the third switching element Q1 is cut off, so the third switching element Q1 is also turned off. When the third switching element Q1 is turned off, the second power supply voltage 80V output from the power transformer 21 is cut off.

따라서, 서스펜드, 스탠바이, 오프 모드인 경우에는 비디오 B+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DPM에 대한 요구 소비전력 절전 제어를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suspend, standby, and off modes, the video B + power is not supplied, thereby satisfying the required power saving control for the DPM.

본 발명은 DPM 모드에서 비디오에 공급되는 B+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시켜 줌으로써 절전 제어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1개의 전원 트랜스로부터 회로 각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절전 제어함에 있어, 전원 트랜스 출력단에서 스위칭 수단을 이용해서 전원 공급 여부를 자동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함으로써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DPM 절전 제어 조건을 만족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power saving control is possible by automatically cutting off the B + power supplied to the video in the DPM mod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er saving control of the power supplied to each part of the circuit from one power transformer, by using a switching means in the power transformer output stage by automatically supplying or blocking the power supply to control the DPM power saving control conditions with a simple circuit configuration Satisfied.

본 발명은 영상 표시기기에서 에너지 절약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SMPS 트랜스의 2차측에서 출력되는 12V, 80V 등의 비디오 B+ 전압을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DPM 신호를 이용해서 조정함으로써 소비전력 절감에 충분하게 기여할 수 있다.In order to satisfy the energy saving deman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video B + voltages such as 12V and 80V output from the secondary side of the SMPS transformer may be adjusted by using the DPM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to sufficiently reduce power consumption. Can be.

Claims (8)

기기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트랜스와, 상기 전원 트랜스의 출력단에서 기기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 제어하는 스위칭 수단과, DPM 모드에 따라 마이컴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위칭 수단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칭 제어수단과, DPM 모드를 판정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A power transformer for supplying device power, switching means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device power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transformer, switching control means for turning on or off the switching means under control of a microcomputer according to the DPM mode, and a DPM. And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control means by determining a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전원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전원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전원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전원전압 중에서 다른 하나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The switch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means supplies a switching element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any one o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voltages output from a power transformer, and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voltages output from the power transformer. And a switching element for turning on or off the switching el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수단은 전원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전원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DPM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The switch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control unit turns on the switching device by inputting a switching device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any one o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voltages output from a power transformer, and a DPM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Or a switching device for turning off the display power supp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트랜스로부터 회로 각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안정화를 위하여 리플 성분을 제거하는 평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The display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smoothing means for removing a ripple component for stabilizing power supplied to each circuit part from the power transfor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트랜스로부터 회로 각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안정화를 위하여 복수개의 전원 각각에 대하여 리플 성분을 제거하는 평활수단을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The display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smoothing means for removing a ripple component for each of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for stabilizing power supplied to each circuit part from the power transformer. DPM 모드를 판정하여 전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기기 전원 공급을 위하여 제1 전원전압 및 제2 전원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트랜스와, 상기 전원 트랜스의 출력단에서 제1 전원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제1 스위칭수단과,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전원 제어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1 스위칭수단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2 스위칭수단과, 상기 전원 트랜스의 출력단에서 제2 전원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제3 스위칭수단과, 상기 제1 스위칭수단의 출력 여부에 따라 상기 제3 스위칭수단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4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A microcomputer for determining a DPM mode and outputting a power control signal, a power transformer for generating a first power voltage and a second power voltage for supplying device power, and a first power voltage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transformer; A first switching means for giving, a second switching means for turning on or off the first switching means by inputting a power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and supplying or blocking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transformer; And a fourth switching means for turning on or off the third switching means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switching means is output or no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원전압의 리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평활수단과, 상기 전원 트랜스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전원전압의 리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평활수단을 각각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7. The apparatus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smoothing means for removing a ripple component of a first power supply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transformer and smoothing means for removing a ripple component of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transformer. Display powe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칭수단의 전후단 각각에 상기 제2 전원전압의 리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평활수단을 각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장치.7. The display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smoothing means for removing the ripple component of the second power supply voltage is provided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third switching means.
KR1020030037803A 2003-06-12 2003-06-12 Display power management control circuit KR1009811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803A KR100981197B1 (en) 2003-06-12 2003-06-12 Display power management control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803A KR100981197B1 (en) 2003-06-12 2003-06-12 Display power management control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024A true KR20040107024A (en) 2004-12-20
KR100981197B1 KR100981197B1 (en) 2010-09-10

Family

ID=3738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803A KR100981197B1 (en) 2003-06-12 2003-06-12 Display power management control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19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0189A1 (en) * 2017-06-26 2019-01-03 Tridonic Gmbh & Co Kg Adap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N116704944A (en) * 2022-09-27 2023-09-05 荣耀终端有限公司 Screen brightness adjus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675Y1 (en) * 1995-09-30 1998-11-16 배순훈 Auxiliary power circuit of monitor
KR200173058Y1 (en) 1997-06-26 2000-03-02 전주범 Energy saving circuit for monitor
KR100287846B1 (en) * 1999-01-12 2001-04-16 구자홍 Apparatus for Reducing DPM Mode Consumption Power of Moni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0189A1 (en) * 2017-06-26 2019-01-03 Tridonic Gmbh & Co Kg Adap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N110809896A (en) * 2017-06-26 2020-02-18 赤多尼科两合股份有限公司 Adapter and control method of adapter
EP3636009A4 (en) * 2017-06-26 2020-07-01 Tridonic GmbH & Co KG Adap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N110809896B (en) * 2017-06-26 2022-09-02 赤多尼科两合股份有限公司 Adapter and control method of adapter
CN116704944A (en) * 2022-09-27 2023-09-05 荣耀终端有限公司 Screen brightness adjusting method
CN116704944B (en) * 2022-09-27 2023-12-05 荣耀终端有限公司 Screen brightness adjus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197B1 (en)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5364B1 (en) Power supply of display apparatus with universal serial bus device
KR20040046218A (en) A Power Supply
US861278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097378A (en) Video display apparatus with audio circuitry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in
KR101759345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a monitor having deep sleep mode
KR101298185B1 (en) Socket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of electronincs products
KR100981197B1 (en) Display power management control circuit
KR101773489B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4800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in display
KR102051949B1 (en) A controling method of monitor apparatus for saving the power by controling Sync signals
KR200200851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Monitor
KR10039400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Monitor
KR100287846B1 (en) Apparatus for Reducing DPM Mode Consumption Power of Monitor
KR100248289B1 (en) Monitor power supply circuit
JP2002258811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9990003854A (en) Minimizing power of display device and device using same
KR100488521B1 (en) Power control system for Display apparatus
KR100732165B1 (en) The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a video apparatus
KR200173058Y1 (en) Energy saving circuit for monitor
KR100208990B1 (en) An apparatus for instantaneously controlling a monitor of power-savings type
KR200156527Y1 (en) Circuit for supplying audio b+ voltage mode in a monitor
KR100786077B1 (en) The display device for reducing the consumed wattage of Display Power Manegement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0161136B1 (en) Power supply circuit
KR100327387B1 (en) Power circuit of monitor
KR19980030297A (en) Power-saving mon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