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136B1 - Power supply circuit - Google Patents

Power supply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136B1
KR0161136B1 KR1019950055085A KR19950055085A KR0161136B1 KR 0161136 B1 KR0161136 B1 KR 0161136B1 KR 1019950055085 A KR1019950055085 A KR 1019950055085A KR 19950055085 A KR19950055085 A KR 19950055085A KR 0161136 B1 KR0161136 B1 KR 0161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node
unit
outpu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50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49296A (en
Inventor
주용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5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136B1/en
Publication of KR970049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2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1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모드시에도 동일한 전원전압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의 내부회로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 전압 출력회로의 권선부보다 10배 이상 높은 전압을 출력하는 보조 권선부와, 절전모드시에 상기 보조 권선부의 출력전압을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전압 전달부와, 상기 출력단의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전압 전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압전달 제어부와, 상기 전압 전달부와 전압 전달 제어부의 접속노드에 장착되어 상기 전압전달 제어부의 오동작으로 노멀모드시에 상기 전압 전달부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화 방지부로 구현된 보조전압 출력회로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xiliary winding unit for outputting a voltage 10 times higher than the winding unit of the main voltage output circuit in order to be able to supply a stable power to the internal circuit of the electronic device that requires the same power supply voltage in the power saving mode; A voltage transfer unit for supplying an output voltage of the auxiliary winding unit to an output terminal in a power saving mode, a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voltage transfer unit by sensing a voltage change of the output terminal, and a voltage transfer unit and a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is implemented as a ignition prevention unit mounted on a connection node to prevent the voltage transfer unit from operating in the normal mode due to a malfunction of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Description

발화 방지형 보조전압 출력회로Ignition-proof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제1도는 종래의 보조전압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유니트를 도시한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conventional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전압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유니트를 도시한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n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외부전원 입력부 20 : 1차측 권선부10: external power input unit 20: primary winding unit

30 : 전원 안정화부 40 : 2차측 주 권선부30: power stabilization part 40: secondary main winding part

50 : 전압 조정부 60 : 2차측 보조 권선부50: voltage adjusting unit 60: secondary auxiliary winding unit

70 : 전압 전달부 80 : 전압전달 제어부70: voltage transfer unit 80: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90 : 비교단 100 : 발화 방지부90: comparison stage 100: fire prevention unit

200A, 200B : 보조전압 출력회로200A, 200B: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본 발명은 절전모드시에 전자기기의 내부회로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압 출력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전원 전압 중의 최고전압이 변화함에 따라 다른 내부 전원전압의 전위가 변화하여 보조전압 출력회로를 오동작시킴으로써 내부회로가 발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화 방지부를 포함시켜 구현한 보조전압 출력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for supplying stable power to an internal circuit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power saving mode. In particular, an auxiliary voltage is changed by changing a potential of another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as a maximum voltage of the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chang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including an ignition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an internal circuit from being ignited by malfunctioning an output circuit.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기기 내부에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내부회로에 공급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전위를 갖는 내부전원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절전모드로 내부회로를 구동하기도 한다.In general, the electronic device converts an A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 DC voltage inside the device and supplies the same to an internal circuit, and uses an internal power source having various electric potential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vice. It also drives internal circuits in mode.

그중에서도 컴퓨터 주변기기중의 하나인 모니터가 그 대표적인 예로, 이하에서는 모니터의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mong them, a monitor, which is one of computer peripheral devices, is a representative example. Hereinafter, the monito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컴퓨터가 대중화됨에 따라 많은 분야에서 컴퓨터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경량의 노트북 피씨(notebook PC)나, 랩탑(laptop) 컴퓨터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으며, 컴퓨터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소모되는 전력과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력 소모는 컴퓨터의 효율적인 사용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휴대용 전지나 충전형으로 설계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력손실은 사용에 직접적으로 연향을 미치므로 더욱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이다.As computers become more popular, the necessity of computers is increasing in many fields, and the use of lightweight notebook PCs or laptop computers to handle tasks efficiently is increasing. The power consumed when performing a function and the power consumed by a portable computer are increasing due to the effect on the efficient use of the computer. In particular, power loss in a portable battery or a portable computer designed as a rechargeable battery has a tendency to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since it directly affects the use.

따라서,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화면상에 정보가 표시됨으로 인해 소모되는 전력과 컴퓨터와 모니터 간의 접속이 불안정하여 불완전한 합성 영상신호가 모니터로 들어오는 경우에서의 전력소모를 줄여주기 위한 자동 절전 모드를 모니터의 새로운 기능으로 구현하는 것이 현 추세이다.Therefore, even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compu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unnecessarily, and power consumption when an incomplete composite video signal enters the monitor due to un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monitor. The current trend is to implement automatic power saving modes to reduce monitor power.

상기에서 새로 추가된 절전모드를 실현하기 위해, 모니터의 전원 공급회로를 적절히 동작시키는 것이 표시 전력 제어 시스템(DPMS : Display Power Management System)이며, 상기 절전모드는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수평, 수직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세가지 모드로 구분된다.(이하에서 예시되는 소모전력은 모니터가 15인치 이하인 경우를 예로든 것이다.)In order to realize the newly added power saving mode, the proper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circuit of the monitor is a display power management system (DPMS), and the power saving mode is used fo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It is divided into three mod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the power consumption exemplified below is an example in which the monitor is 15 inches or less).

첫번째로 수평, 수직 동기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는 경우는 노멀(normal)모드로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내부회로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약 80∼100W 정도의 전력소모가 생긴다.First, wh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are normally transmitted, it is a normal mode, and all internal circuits necessary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creen operate normally, and power consumption of about 80 to 100W is generated.

두번째로 수평, 수직 동기신호가 모두 전달되지 않은 경우는 오프(off)모드로서, 이때는 모니터에 최소한의 전력(약 5W)이 소모된다.Secondly, when neither the horizontal nor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transmitted, it is an off mode. At this time, the monitor consumes minimum power (about 5 W).

세번째로 수평, 수직 동기신호 중의 하나만이 전달되는 경우는 서스펜드(suspend)모드로서, 꼭 필요한 회로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오프모드보다는 약간 높은 전력(약 15W)이 필요하다.Third, when only on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s is transmitted, it is a suspend mode, which requires slightly higher power (about 15 W) than the off mode to operate necessary circuits.

상기에서 노멀모드 즉, 수평, 수직 동기신호가 모두 입력되는 경우는 화면상에 정보가 표시되지만, 오프모드나 서스펜드모드에서는 잘못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음극선관의 전자빔을 편향하거나 색신호를 증폭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전원 공급회로에서 수직, 수평 편향에 관여하는 내부회로로 전달되는 구동전원을 차단시키거나 그 전압을 강하시키게 되는데, 저전압의 구동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최고치의 약 10% 정도로 줄여서 공급함으로써 실제적으로 내부회로로는 전력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In the normal mode, that is, whe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are input,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However, in the off mode or the suspend mode, the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 is no reason to amplify the color signal. Therefore, in such a case,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the dr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supply circuit to the internal circuits involved in vertical and horizontal deflection is cut off or the voltage is lowered. By reducing the supply by about 10%, power is not properly supplied to the internal circuits.

그러나, 모니터가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라하더라도 전자빔을 편향시키는데에 사용되는 히터(heater)나 동기 아이씨칩,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은 정상적으로 동작해야 하므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은 노멀모드시와 동일한 전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높은 전위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회로의 출력을 오프모드나 서스펜드 모드와 같은 절전모드시에 상기 히터, 동기 아이씨칩,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전원전압단으로 전달하는 방법이 사용되거나, 정상동작시에 상기 부분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전압보다 10배 이상의 높은 전위를 계속 출력하는 보조전압 출력회로를 사용하여 절전모드시에 상기의 높은 전위가 10% 정도로 강하되면 그것을 이용하여 절전모드시에도 정상적으로 동작해야하는 부분들을 구동하는 방법이 사용된다.However, even when the monitor is operating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heater, synchronous IC chip, microprocessor, etc. used to deflect the electron beam should operate normally. Therefore, the supplied power supply voltage maintains the same potential as in the normal mode. Should be maintained. To this end, a method of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power supply circuit that outputs a high potential to a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such as a heater, a synchronous IC chip, a microprocessor, or the like in a power saving mode such as an off mode or a suspend mode is used, or during normal operation. If the high potential drops to about 10% in the power saving mode by using an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that continuously outputs a potential higher than 10 times high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required by the above part, it should operate normally even in the power saving mode. A method of driving the parts is used.

제1도는 상기의 두번째 방법을 실현한 보조전압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종래의 전원 공급 유니트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모니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교류전압을 내부로 전달하는 외부전원 입력부(10)와, 상기 외부 전원 입력부(10)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전압을 평활하여 내부회로로 전달하기 위한 1차측 권선부(20)와, 내부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안정되게 출력시키기 위해, 상기 1차측 권선부(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안정화부(30)와, 내부회로로 공급되는 내부전원을 유도하는 2차측 주 권선부(40)와, 상기 주 권선부(4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내부회로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조정하여 일정전위의 전원전압(Vn)을 출력하는 전압 조정부(50)와, 절전모드시에 상기 전원전압(Vn)을 대신하여 내부전원단에 안정된 전압(Vs)을 전달하기 위한 보조전압 출력회로(200A)를 포함하고 있다.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n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which realizes the second method described above, wherein an external power input unit 10 for transferring an AC voltag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monitor to the inside and the external The primary winding unit 20 for smoothing the external voltage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10 to the internal circuit and the primary winding unit 20 for stably outputting the power voltage supplied to the internal circuit. Power supply stabilization unit 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the secondary main winding unit 40 for inducing the internal power supplied to the internal circuit, and the voltage output from the main winding unit 40 is required in the internal circuit A voltage adjusting unit 50 for outputting a power supply voltage Vn of a constant potential by adjusting to a voltage equal to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a stable voltage Vs to an internal power supply terminal in plac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n in the power saving mode. Auxiliary voltage output And including a (200A).

상기 각 부분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전원 안정화부(30)의 제어하에 1차측 권선부(20)가 외부전원 입력부(10)를 통해 인가된 외부전원을 2차측으로 전달하면 2차측 주 권선부(40)는 내부 회로에 공급할 전원전압을 출력하고, 전원 조정부(50)에서는 상기 주 권선부(40)의 출력전압을 받아들여 내부회로에서 필요로 하는 일정전위의 전원전압(Vn)으로 재조정하여 내부 전원전압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주 권선부(40)가 동작하는 것과 동시에 보조전압 출력회로(200A)도 동작하여 주 권선부(40)의 출력전압 보다 10배 이상의 높은 전위를 갖는 전원전압을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보조전압 출력회로(200A)를 통해 출력되는 높은 전압은 절전모드시에만 내부 전원전압단으로 전달되도록 제어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each part schematically, first, if the primary winding unit 20 delivers the external power applied through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0 to the secondary 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power stabilizer 30. The main winding unit 40 outputs a power supply voltage to be supplied to the internal circuit, and the power adjustment unit 50 receives the output voltage of the main winding unit 40 and supplies a power supply voltage Vn of a constant potential required by the internal circuit. After readjustment, it is transferred to the internal power voltage terminal. Simultaneously with the operation of the main winding unit 40,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200A also operates to output a power supply voltage having a potential 10 times higher than the output voltage of the main winding unit 40. However, the high voltage output through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200A is controlled to be transferred to the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only in the power saving mode.

절전모드시에 내부 전원전압단에 안정된 전압을 전달하는 상기 보조전압 출력회로(200A)는 다시, 절전모드시에 필요한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2차측 보조 권선부(60)와, 상기 2차측 보조 권선부(6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절전모드 전원전압단(Vs)으로 전달하는 전압 전달부(70)와, 절전모드시에만 전원전압단(Vs)으로 보조 권선부(60)의 출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전압 전달부(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압전달 제어부(80)로 구분될 수 있다.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200A, which delivers a stable voltage to an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stage in a power saving mod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ary auxiliary winding unit 60 for supplying a power supply voltage required in a power saving mode, and the secondary side auxiliary winding. The voltage transfer unit 70 transfer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winding unit 60 to the power saving mod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Vs, and the output of the auxiliary winding unit 60 is transferr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Vs only in the power saving mode. It may be divided into a voltage transfer controller 8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oltage transfer unit 70 so as to.

상기 2차측 보조 권선부(60)는 2차측 주 권선부(40)와 동일한 구조로, 변압 코일(L2)과, 상기 변압 코일(L2)에서 노드(N1)로 순방향 접속된 다이오드(D2)와, 상기 노드(N1)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접속된 캐패시터(C2)를 포함하고 있다.The secondary auxiliary winding unit 6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ary main winding unit 40, and includes a transformer coil L2 and a diode D2 connected forward from the transformer coil L2 to the node N1. And a capacitor C2 connected between the node N1 and the ground voltage terminal.

상기 전압 전달부(70)는 보조 권선부(60)의 출력노드(N1)에 접속된 저항(R3)과, 상기 저항(R3)의 다른쪽 노드(N11)와 보조전압 출력회로(200A)의 출력단(Vs) 사이에 연결되며 베이스단이 노드(N14)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2)와, 상기 노드(N1)와 노드(N13) 사이에 연결되며 베이스단이 노드(N12)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1)와, 상기 노드(N1)와 상기 노드(N12) 사이에 접속된 저항(R4)과, 상기 노드(N13)와 노드(N14) 사이에 접속된 저항(R5)과, 상기 노드(N14)와 출력단(Vs) 사이에 접속된 저항(R6)과, 상기 노드(N12)와 노드(N15) 사이에 연결되며 베이스단이 전압전달 제어부(80)의 출력노드(N2)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3)와, 상기 노드(N15)에서 접지전압단으로 순방향 접속되어 있는 제너다이오드(ZD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압전달 제어부(80)는 전압 조정부(50)의 출력단(Vn)의 전압이 다이오드(Dc)를 통해 전달되면이를 적절히 전압강하시키는 입력부하단(R1, R2)과 상기 입력 부하단(R1, R2)에서 전달되는 전압의 전위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비교단(9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 전달부(70)와 전압전달 제어부(80)가 연결된 노드(N2)는 고정전압단(Vcc)에 접속되어 있다.The voltage transfer part 70 includes a resistor R3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N1 of the auxiliary winding part 60, the other node N11 of the resistor R3, and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200A. A transistor Q2 connected between an output terminal Vs and a base end connected to a node N14, a transistor connected between the node N1 and a node N13 and a base end connected to a node N12 ( Q1), a resistor R4 connected between the node N1 and the node N12, a resistor R5 connected between the node N13 and a node N14, and the node N14. Resistor R6 connected between and output terminal Vs, and transistor Q3 connected between node N12 and node N15 and having a base terminal connected to output node N2 of voltage transfer controller 80. ) And a zener diode ZD1 connected forward from the node N15 to the ground voltage terminal, wherein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80 has a voltage at the output terminal Vn of the voltage adjusting unit 50. (Dc) is composed of an input load stage (R1, R2) to properly drop the voltage when it is transmitted through (Dc) and a comparison stage 90, the operation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potential of the voltage delivered from the input load stage (R1, R2) The node N2 to which the voltage transfer unit 70 and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80 are connected is connected to a fixed voltage terminal Vcc.

상기에서 고정전압단(Vcc)으로는 모니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전원전압단을 흔히 사용하며, 상기 다이오드(Dc)는 보조 권선부(60)에서 출력된 높은 전압이 상기 전압 조정부(50)의 출력단(Vn)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s the fixed voltage terminal Vcc, a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for driving the microprocessor of the monitor is commonly used, and the diode Dc has a high voltage output from the auxiliary winding unit 60 of the voltage adjusting unit 50. It prevents the transfer to the output terminal (Vn).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보조전압 출력회로(200A)의 동작을 노멀모드시와 절전모드시로 나누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200A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divided into the normal mode and the power saving mode as follows.

우선, 모니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노멀모드시에는 전압 조정부(50)에서 출력되는 전압(Vn)이 일정한 전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다이오드(Dc)를 거쳐 상기 전압전달 제어부(80)의 비교단(90)에 전달된 전압은 비교단(90)의 내부 기준전압보다 높아지므로 비교단(90)이 동작하여 전압전달 제어부(80)의 출력노드(N2)는 로우 상태가 된다. 상기 노드(N2)가 로우상태를 갖게 되면 전압 전달부(70)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1, Q2, Q3)가 모두 턴-오프되어 보조 권선부(60)에서 출력되는 높은 전압은 보조전압 출력단(Vs)로 전달되지 못한다.First, in the normal mode in which the monitor operates normally, the voltage Vn output from the voltage adjusting unit 50 maintains a constant potential, and thus, the comparison stage of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80 via the diode Dc is thus maintained. Since the voltage delivered to 90 is higher than the internal reference voltage of the comparison unit 90, the comparison unit 90 operates so that the output node N2 of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80 becomes low. When the node N2 has a low state, all of the transistors Q1, Q2, and Q3 constituting the voltage transfer unit 70 are turned off, and the high voltage output from the auxiliary winding unit 60 is applied to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terminal ( Vs) is not delivered.

그러나, 노멀모드로 동작하던 모니터가 절전모드로 전환되면 주 권선부(40)와 보조 권선부(60)에서 출력되던 전압은 노멀모드시에 비해 10% 정도로 강하되어 출력되므로, 내부 전원전압단의 전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주 권선부(40)에서 출력되는 전압보다 10배 이상의 높은 전압을 출력하는 보조 권선부(60)의 출력전압을 내부 전원전압단으로 전달해야 하는데, 상기에서 주 권선부(40)의 출력전압이 절전모드시에 노멀모드시의 10% 정도로 강하되므로 전압 조정부(50)의 출력(Vn) 또한 낮아지게 되고, 이로인해 전압전달 제어부(80)로 인가되는 전압이 강하되므로, 비교단(90)에 전달된 전압이 내부 기준전압보다 낮아지게 되어 비교단(90)은 더이상 동작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노드(N2)의 전위가 고정전압단(Vcc)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높아져서 전압 전달부(70)의 각 트랜지스터(Q3, Q1, Q2)가 연쇄적으로 턴-온되므로 보조 권선부(60)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보조전압 출력회로(200A)의 출력단(Vs)으로 전달된다.However, when the monitor operating in the normal mode is switched to the power saving mode, the voltage output from the main winding part 40 and the auxiliary winding part 60 drops by about 10% compared to the normal mode, so that the internal power voltage In order to keep the potential constant at all times, the output voltage of the auxiliary winding part 60 outputting a voltage 10 times higher tha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main winding part 40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stage. Since the output voltage of the unit 40 drops to about 10% in the normal mode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output Vn of the voltage adjusting unit 50 is also lowered, thereby lower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80. Therefore, the voltage transmitted to the comparison stage 90 becomes lower than the internal reference voltage, so that the comparison stage 90 no longer operates. Then, the potential of the node N2 is increased by the current applied from the fixed voltage terminal Vcc, so that the transistors Q3, Q1, and Q2 of the voltage transmission unit 70 are sequentially turned on so that the auxiliary winding unit ( The voltage output from the 60 is transferred to the output terminal Vs of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200A.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내부 전원전압단에는 상기 전압 조정부(50)의 출력전압(Vn) 대신에 보조전압 출력회로(200A)의 출력전압(Vs)이 인가되는 것이다.Therefore, as a result, the output voltage Vs of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200A is applied to the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instead of the output voltage Vn of the voltage adjusting unit 50.

모니터가 절전모드에서 다시 노멀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다이오드(Dc)를 통해 전달되는 전위가 다시 높아져서 전압전달 제어부(80)의 비교단(90)을 동작시키므로 전압 전달부(70)의 각 트랜지스터가 다시 턴-오프되어 보조 권선부(60)의 출력전압은 더이상 보조전압 출력회로(200A)의 출력단(Vs)으로 전달되지 못한다.When the monitor is switched from the power saving mode to the normal mode again, the potential delivered through the diode Dc is increased again to operate the comparison terminal 90 of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80, so that each transistor of the voltage transfer unit 70 is operated. It is turned off again so that the output voltage of the auxiliary winding unit 60 is no longer transmitted to the output terminal Vs of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200A.

모니터가 계속적으로 모드 전환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이 되풀이 수행되면서 내부 전원전압단에 항상 일정한 전압을 출력시키게 된다.When the monitor continuously switches the mode,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and a constant voltage is always output to the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그러나, 제1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원 공급 유니트에서 출력되는 내부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내부회로에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로 인해 상기 전압 조정부(50)의 출력(Vn)이 노멀모드시에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전압전달 제어부(80)의 비교단(90)이 동작을 멈추게 되므로 노드(N2)의 전위가 높아져서 전압 전달부(70)의 각 트랜지스터(Q1, Q2, Q3)가 턴-온되므로, 노멀모드시에 주 권선부(40)의 출력전압 보다 10배 이상 높은 전위를 갖는 보조 권선부(60)의 출력전압이 전압 전달부(70)를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전압 전달부(70)의 각 부분들이 과도한 전압에 견디지 못하고 파괴되어 발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output Vn of the voltage adjusting unit 50 is below the threshold value in the normal mode due to various problems occurring in the internal circuit to which the internal power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is applied. Since the comparison terminal 90 of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80 stops the operation, the potential of the node N2 increases so that the transistors Q1, Q2 and Q3 of the voltage transfer unit 70 are turned on. In the normal mode, since the output voltage of the auxiliary winding unit 60 having a potential 10 times higher than the output voltage of the main winding unit 40 passes through the voltage transfer unit 70, the voltage transfer unit 70. Each part of the unit does not withstand excessive voltage and is destroyed, causing a problem of igni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내부회로에서 발생하는 오류 등으로 인해 전압 조정부의 출력전압이 임계치 이하로 강하되더라도 전압전달 제어부의 출력노드의 전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발화 방지부를 포함하는 보조전압 출력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보조전압 출력회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adjusting unit drops below a threshold due to an error occurring in an internal circuit to which a power supply voltage is applied, an auxiliary voltage including an ignition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the potential of the output node of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from increasing By implementing the output circuit, there is a purpos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보조전압을 출력하는 보조 권선부와, 상기 보조 권선부에 접속되며 절전모드시에 상기 보조 권선부의 출력전압을 출력단으로 전달하는 전압 전달부와, 주 권선부의 출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전압 전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압전달 제어부와; 상기 전압 전달부와 전압전달 제어부가 접속되는 노드에 장착되어 노멀모드시에 상기 접속노드를 항상 접지전압단에 연결시키는 발화 방지부를 포함하는 보조전압 출력회로를 구현하였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winding unit for outputting an auxiliary voltage, a voltage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auxiliary winding unit and transferring an output voltage of the auxiliary winding unit to an output terminal in a power saving mode, and a main winding unit A voltage transfer controller which senses an output change and controls an operation of the voltage transfer unit;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includes a ignition prevention unit mounted on a node to which the voltage transfer unit and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are connected to always connect the connection node to the ground voltage terminal in the normal mo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전압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유니트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제1도에서와 마찬가지로, 모니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교류전압을 내부로 전달하는 외부전원 입력부(10)와, 상기 외부 전원 입력부(10)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전압을 평활하여 내부회로로 전달하기 위한 1차측 권선부(20)와, 내부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안정되게 출력시키기 위해, 상기 1차측 권선부(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안정화부(30)와, 내부회로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유도하는 2차측 주 권선부(40)와, 상기 주 권선부(4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내부회로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조정하여 일정전위의 전원전압(Vn)을 출력하는 전압 조정부(50)를 구비하고 있으며, 절전모드시에 상기 전원전압(Vn)을 대신하여 내부 전원전압단에 안정된 전압을 전달하고, 상기 전압 조정부(50)의 출력전압이 임계치 이하로 강하되는 이상동작이 발생하는 노멀모드시에도 안정된 동작을 실현하는 본 발명의 보조전압 출력회로(200B)를 포함하고 있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n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n FIG. 1, an external power input unit 10 for transferring an AC voltag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monitor to the inside thereof; The primary winding unit 20 for smoothing the external voltage transmitted through the external power input unit 10 and transmitting the internal voltage to the internal circuit, and the primary winding unit for stably outputting the power voltage supplied to the internal circuit. The power supply stabilization unit 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20, the secondary main winding unit 40 for inducing a power supply voltage supplied to the internal circuit, and the voltage output from the main winding unit 40 to the internal circuit It is provided with a voltage adjusting unit 50 for outputt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n) of a constant potential by adjusting to the voltage required by the, and in the power saving mode, a stable voltage at the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in plac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n) Delivering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200B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stable operation even in a normal mode in which an abnormal operation in which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adjusting unit 50 drops below a threshold occurs.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보조전압 출력회로(200B)는 제1도와 동일한 구조의 2차측 보조 권선부(60), 전압 전달부(70), 전압전달 제어부(80)와, 상기 전압 전달부(70)와 전압전달 제어부(80)가 접속된 노드에 장착된 발화 방지부(100)로 구성되어 있다.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200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ary side auxiliary winding unit 60, a voltage transfer unit 70, a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80, and the voltage transfer unit 70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FIG. 1. And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80 is composed of a ignition prevention unit 100 mounted to the node to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상기 보조 권선부(60)와 전압 전달부(70)와 전압전달 제어부(80)의 구성과 동작은 제1도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발화 방지부(100)의 구성과 동작에 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uxiliary winding unit 60, the voltage transfer unit 70 and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8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further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Only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100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의해 새로 첨가된 발화 방지부(100)는, 노멀모드시에 전압전달 제어부(80)로 인가되는 전압이 임계치 이하로 낮아짐으로 인해 출력노드(N2)의 전위가 최저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전압 전달부(70)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위로 높아지게 되어 발생하는 발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노드(N2)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4)와, 상기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에 접속된 입력부하단(R7, R8)으로 구성되어 인가되는 절전모드신호(SUSb)로 상기 트랜지스터(Q4)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조이다.In the newly added ignition prevent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applied to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80 in the normal mode is lowered below the threshold value, so that the potential of the output node N2 cannot maintain the lowest state. It is to prevent the ignition phenomenon caused by being raised to the potential to operate the voltage transfer unit 70, the transistor (Q4) connected between the node (N2) and the ground voltage terminal, and the base of the transistor (Q4) The operation of the transistor Q4 is controlled by the power saving mode signal SUSb, which is composed of the input load stages R7 and R8 connected to the stage.

그러므로, 노멀모드 동작시는 상기 절전모드신호(SUSb)가 하이상태로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어 노드(N2)를 최저상태로 항상 유지시키고, 절전모드시는 로우상태로 인가되는 절전모드신호(SUSb)에 의해 트랜지스터(Q4)가 턴-오프되어 상기 노드(N2)의 전위는 제1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전압단(Vcc)에 의해 높아지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power saving mode signal SUSb is applied in the high state during the normal mode operation, the transistor Q4 is turned on to always maintain the node N2 at the lowest state, and is applied in the low state during the power saving mode. The transistor Q4 is turned off by the power saving mode signal SUSb so that the potential of the node N2 is increased by the fixed voltage terminal Vcc as described in FIG.

이상, 제2도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보조전압 출력회로를 절전모드 동작을 실행하는 모니터와 같은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 유니트에 장착하게 되면, 모드전환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동작을 하는 내부회로에 동일한 전위의 전원전압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노멀모드시에 내부회로의 이상동작으로 주 전원전압이 임계치 이하로 낮아져서 상기 보조전압 출력회로가 발화되는 것을 발화 방지부의 동작으로 미리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s mounted on a power supply unit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nitor which executes a power saving mode operation, the internal circuit always performs a constant operation regardless of mode switching. Not only can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same potential be supplied, but also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internal circuit in the normal mode lowers the main power supply voltage below the threshold, thereby preventing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from being ignited by the operation of the ignition prevention section. Can be.

Claims (6)

노멀모드시에 내부 전원전압단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주 전압 출력회로와, 절전모드시에 내부 전원전압단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보조전압 출력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주 전압 출력회로의 출력단에서 보조전압 출력회로의 출력단으로 순방향 접속된 다이오드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전원 공급 유니트에 있어서, 주 전압 출력회로의 권선부보다 10배 이상 높은 전압을 출력하는 보조 권선부와, 절전모드시에 상기 보조 권선부의 출력전압을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전압 전달부와, 상기 출력단의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전압 전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압전달 제어부와, 상기 전압 전달부와 전압전달 제어부의 접속노드에 장착되어 상기 전압전달 제어부의 오동작으로 노멀모드시에 상기 전압 전달부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화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압 출력회로.A main voltage output circuit for supplying a voltage to the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in the normal mode, and an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for supplying a voltage to the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in the power saving mode, and an auxiliary voltage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main voltage output circuit. A power supply unit comprising a diode component forwar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an output circuit, the power supply unit comprising: an auxiliary winding portion for outputting a voltage 10 times higher than the winding portion of the main voltage output circuit; and an output of the auxiliary winding portion in a power saving mode. A voltage transfer unit for supplying a voltage to an output terminal, a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nse a voltage change of the output terminal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voltage transfer unit, and a connection node of the voltage transfer unit and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to be mounted on the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Comprising a ignition prevention portion for preventing the voltage transfer portion from operating in the normal mode due to malfunction of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권선부는, 변압동작이 이루어지면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변압코일과, 상기 변압코일에서 출력단으로 순방향 접속된 다이오드 성분과, 상기 출력단과 접지전압단 사이에 접속된 캐패시터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압 출력회로.2. The auxiliary winding unit of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winding unit comprises: a transformer coil for generating an induced voltage when a transformer operation is performed, a diode component forwardly connected from the transformer coil to an output terminal, and a capacitor component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ground voltage terminal.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전달부는, 상기 보조 권선부의 출력노드에 접속된 제1저항과, 상기 제1저항의 다른쪽 노드와 보조전압 출력회로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베이스단이 제1노드에 접속된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보조 권선부의 출력노드와 제2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베이스단이 제3노드에 접속된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보조 권선부의 출력노드와 상기 제3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2저항과, 상기 제2노드와 제1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3저항과, 상기 제1노드와 출력단 사이에 접속된 제4저항과, 상기 제3노드와 제4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베이스단이 전압전달 제어부의 출력노드에 접속된 제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4노드에서 접지전압단으로 순방향 접속되어 있는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압 출력회로.The first node of claim 1, wherein the voltage transfer unit is connected between a first resistor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the auxiliary winding unit, the other node of the first resistor,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A first transistor connected to the first transistor, a second transistor connected between an output node of the auxiliary winding part and a second node, and having a base end connected to a third node, and connected between an output node of the auxiliary winding part and the third node. Connected second resistor, a third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node and the first node, a fourth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output terminal, and connected between the third node and the fourth node. And a third transistor connected at a base end to an output node of the voltage transfer controller, and a zener diode connected to the ground voltage terminal at the fourth node in a forward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트랜지스터는 제2트랜지스터와 정반대의 동작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압 출력회로.4. The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and third transistors have opposite operating characteristics from the second transis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전달 제어부는, 입력단으로 전달된 주 전압 출력회로의 출력전압을 적절히 강하시키는 입력 부하단과, 상기 입력 부하단에서 전달되는 전압과 내부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비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압 출력회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oltage transfer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by comparing an input load stage for appropriately lowe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main voltage output circuit delivered to the input stage with a voltage transmitted from the input load stage and an internal reference voltage. An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comprising a comparison st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부는, 상기 전압 전달부와 전압전달 제어부의 접속노드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접속된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접속되어, 인가된 절전모드신호를 상기 베이스단으로 전달하는 입력 부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압 출력회로.The base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ignition prevention unit is configured to connect a transistor connected between a connection node of the voltage transfer unit, a voltage transfer control unit, and a ground voltage terminal, and a power saving mode signal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 auxiliary voltage output circuit comprising an input load stage for transmitting to the stage.
KR1019950055085A 1995-12-22 1995-12-22 Power supply circuit KR01611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085A KR0161136B1 (en) 1995-12-22 1995-12-22 Power supply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085A KR0161136B1 (en) 1995-12-22 1995-12-22 Power supply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296A KR970049296A (en) 1997-07-29
KR0161136B1 true KR0161136B1 (en) 1999-01-15

Family

ID=1944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5085A KR0161136B1 (en) 1995-12-22 1995-12-22 Power supply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1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958B1 (en) 2018-03-22 2019-09-06 김용로 Disk for brak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958B1 (en) 2018-03-22 2019-09-06 김용로 Disk for br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296A (en)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5364B1 (en) Power supply of display apparatus with universal serial bus device
KR100224085B1 (en) Power sav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US6097378A (en) Video display apparatus with audio circuitry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in
US5691630A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KR100598412B1 (en) Power sa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system
GB2343823A (en) Power saving circuit for computer monitor has separate power supply and control for CRT heater
KR0161136B1 (en) Power supply circuit
KR0161135B1 (en) Auxiliary power circuit
KR100280790B1 (en) Surge protection circuit of display device
KR20020082529A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US6327161B1 (en) Power-saving circuit
KR0151490B1 (en) Monitor power stabilization circuit
KR0151486B1 (en) Monitor power stabilization circuit
KR100598124B1 (en) A power-saving circuit of a display system
KR100287846B1 (en) Apparatus for Reducing DPM Mode Consumption Power of Monitor
KR100845839B1 (en) A circuit for suppling a heater with voltage of monitor
KR100327387B1 (en) Power circuit of monitor
JP3732313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having audio circuit and power control method for the apparatus
KR200247737Y1 (en) Circuit for stablizing a feedback voltage of a video display apparatus
KR200156527Y1 (en) Circuit for supplying audio b+ voltage mode in a monitor
KR100574117B1 (en) H-drive stabilization circuit for crt monitor
KR19980022759U (en) Power Stabilization Circuit in Suspend Mode for Monitors
KR100497396B1 (en)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KR19980064879U (en) Audio Power Protection Circuit of Monitor
KR970002217Y1 (en) Transferring circuit between main power circuit and subsidiary power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