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445A -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 Google Patents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445A
KR20040025445A KR1020020057416A KR20020057416A KR20040025445A KR 20040025445 A KR20040025445 A KR 20040025445A KR 1020020057416 A KR1020020057416 A KR 1020020057416A KR 20020057416 A KR20020057416 A KR 20020057416A KR 20040025445 A KR20040025445 A KR 20040025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file
sharing
grou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마빈
박진석
신중호
정우재
박준식
김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위즈
Priority to KR1020020057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5445A/ko
Publication of KR20040025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4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일을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자신의 단말기에 P2P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웹사이트를 통해 공유된 파일을 검색 및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제한 대상에게만 공유하고자 할 때는 공유그룹 등을 지정하여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각 파일 공유자들의 파일의 추가, 삭제 등의 정보를 관리하는 파일 색인서버, 각 사용자들의 접근 권한 정보를 관리하는 공유그룹 관리서버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스템이 구성된다. 색인서버 및 공유그룹 관리서버는 목적에 따라서 웹서버와 같은 중앙서버 방식이나, 사용자들의 단말기를 활용하는 P2P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제공자가 P2P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정보를 기타 사용자들이 P2P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없이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공유파일의 검색 및 다운로드를 할 수 있다. 또한 공유파일의 정보에 대한 검색 및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관리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nd Searching Files with P2P by Using Web Site and Managing of Access Authority to Sharing Files with Sharing Group}
본 발명은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들의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파일을 웹서버가 검색하고, 공유파일의 목록이 포함되어 있는 검색 결과 화면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공유그룹의 설정을 통하여 제한 대상에게만 공유파일의 정보에 대한 검색 및 접근 권한을 허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인터넷은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수천 수만 개의 작은 통신망들을 상호 연결한 거대한 통신망이다.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은 서로간의 통신을 위해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통신 규약을 사용한다. 최근 들어 초고속 통신망과 이동통신 서비스의 활발한 보급에 의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초고속 통신이 가능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온라인 게임(Online Game)이나 화상 채팅을 즐기거나, 실시간으로 음악이나 영화 등의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대용량의 파일을 원할하게 송수신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한 각종 파일의 송수신은 인터넷의 한 호스트(Host) 컴퓨터에서 다른 호스트 컴퓨터로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 File Transfer Protocol, 이하 'FTP'라 칭함)을 이용하여 주로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FTP를 이용하여 파일의 내려받기가 가능한 특정 웹사이트에서 파일을 내려받거나 특정한 파일 송수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과 기능을 설정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대용량의 파일까지도 원할하게 송수신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P2P(Peer to Peer) 서비스가 등장하여 매우 많은 사람들이 P2P 서비스를 이용하여 파일의 송수신을 하고 있다. P2P 서비스는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개인 대 개인의 파일 공유 기술 및 행위를 총칭하는 말로서, 기존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개념이나 공급자와 소비자 개념에서 벗어나 각 개인들의 컴퓨터끼리 직접 연결하고 공유파일을 검색함으로써 모든 참여자가 파일의 공급자인 동시에 수요자가 되는 형태이다. 즉, 기존의 웹 검색으로는 웹사이트에서만 정보를 검색하고 웹사이트에 등록된 정보와 파일을 이용할 수 있었지만, P2P 서비스 방식은 웹사이트 뿐만 아니라 개인이나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베이스를 포괄적으로 검색하여 원하는 정보를 곧바로 자신의 컴퓨터로 가져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P2P 서비스는 1999년 미국 냅스터(www.napster.com)이라는 웹사이트가 개인들이 각자 보유하고 있는 음악 파일(MP3)들을 인터넷을 통해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시작함으로써 등장하였다. 국내에서는 '냅스터'와 유사하게 음악 파일의 P2P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소리바다(www.soribada.co.kr)와 모든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P2P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씨프렌드(www.seefriend.co.kr) 등의 웹사이트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P2P 서비스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하나는 일정 부분 서버의 도움을 얻어서 사용자간 접속을 실현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 상호간에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의 개인 정보를 미리 공유하여 서버의 도움없이 사용자끼리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전자의 방식으로는 냅스터와 소리바다 등이 있고, 후자의 방식으로는 그누텔라(Gnutella)가 대표적이다.
먼저, 서버를 사용하는 방식은 특정 서버가 동시에 자신에게 접속해 있는 모든 사용자들의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종류의 파일을 검색하여 검색된 파일의 목록을 관리하고, 사용자가 특정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 명령을 내리면 파일의 목록을 검색하여 검색 결과로서 해당되는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은 미리 공유된 사용자들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들끼리 파일을 공유하고 검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을 찾기 위하여 특정 검색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검색어가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들의 컴퓨터로 전송되어 각각의 컴퓨터마다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설명한 P2P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간에 파일을 공유하고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각 사용자들의 컴퓨터에 반드시 P2P 프로그램을 설치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다른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파일을 검색하고 내려받기 위해서는 P2P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구동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P2P 서비스의 특성 상 동일한 P2P 프로그램을 설치한 불특정 다수에게 파일이 공유되어 여러 가지 법률적, 사업적, 보안적 문제점을 일으킨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들의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파일을 웹서버가 검색하고, 공유파일의 목록이 포함되어 있는 검색 결과 화면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유그룹의 지정을 통해 제한적 사용자에게만 공유파일 정보의 검색 및 접근권한을 허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를 통해 검색된 공유파일의 목록을 나타내는 예시 화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디렉토리형 서비스를 나타내는 예시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P2P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P2P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P2P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P2P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용자 컴퓨터 120 : 웹서버
122 : 색인정보 수집 모듈 124 : 검색 수행 모듈
126 : 검색 결과 제공 모듈 130 : 데이터베이스 서버
132 :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134, 530 : 색인정보 데이터베이스
400 : 공유그룹 520 : 색인/검색 서버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기로 공유파일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이용한 공유파일의 검색 시스템으로서,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고, 검색어를 입력하여 공유파일의 검색을 요청하거나 상기 공유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단말기; 자신에게 접속하는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색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HTML 문서로 해당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웹서버; 및 상기 웹서버에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의 신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웹서버가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색인 정보가 저장 및 갱신되는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 상기 각각의 단말기의 색인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웹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환경에서의 공유파일의 검색 방법으로서, (a) 상기 각각의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고, 사용자 인증을 거치는 단계; (b) 상기 웹서버가 자신에게 접속 중인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색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c) 특정 단말기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어 상기 웹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d) 상기 웹서버는 상기 검색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색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HTML 문서로 상기 특정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특정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웹브라우저가 수신한 상기 HTML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100), 웹서버(12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30)가 인터넷(11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컴퓨터(100)에는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터넷(110)에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100)를 이용하여 웹서버(120)를 통해 다른 사용자 컴퓨터(100)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파일을 검색하거나 내려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에서는 공유파일의 검색 및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컴퓨터를 예로 들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피디에이(PDA)나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도 사용될 수 있다.
웹서버(120)는 웹사이트를 통해 파일 공유 및 다양한 검색 서비스를 사용자 컴퓨터(100)에 제공한다. 웹서버(120)는 색인 정보 수집 모듈(122), 검색 수행 모듈(124) 및 검색 결과 제공 모듈(126)을 내장하여 파일 공유 및 검색 서비스를 수행한다.
색인 정보 수집 모듈(122)은 웹서버(120)에 접속 중인 사용자 컴퓨터(100)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파일 정보(공유파일의 명칭, 포맷 종류, 크기 등) 및 사용자 정보(사용자의 ID, 대화명, 접속 여부 등)를 수집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색인 정보 수집 모듈(122)은 특정 사용자 컴퓨터가 웹서버(120)에 접속할 때마다 공유파일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색인 정보로서 후술할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검색 수행 모듈(124)은 웹서버(120)에 접속중인 사용자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된 질의어를 이용하여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30)를 검색하고, 해당되는 공유파일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추출한다.
검색 결과 제공 모듈(126)은 검색 수행 모듈(124)을 이용하여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한 공유파일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를 질의어를 전송한(검색을 요청한) 사용자 컴퓨터(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웹서버(120)로부터 검색 결과 화면을 제공받은 사용자는 검색 결과 화면에서 소정의 공유파일을 선택하여 자신의 컴퓨터로 내려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32)와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34)가 구비되어 있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3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120)에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들의 이름, 생년원일, ID, 비밀번호,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 주소 등의 신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에는 웹서버(120)의 색인 정보 수집 모듈(122)이 웹서버(120)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100)를 검색하여 추출한 공유파일 정보와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인 통합 검색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유된 파일 검색 서비스 뿐만 아니라 검색된 공유파일별로 상세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음악 파일을 검색하면 해당 음악 파일의 노래가사, 가수, 음반 관련 정보 등 다양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각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는 파일들을 '알파벳'이나 '가나다' 순 등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렉토리(Directory)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120)를 통해 검색된 공유파일의 목록을 나타내는 예시 화면이다.
도 2를 보면, 웹서버(120)에 접속한 특정 사용자가 통합검색 화면에서 특정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웹서버(120)가 데이터베이스 서버(130)를 검색하여 추출한 공유파일의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또한, 웹사이트, 웹페이지, 동호회/팬클럽 등 일반적인 검색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통합검색 결과도 함께 제공되고 있음 알 수 있다.
도 2에서 공유파일의 검색 결과에는 검색어와 관련된 공유파일의 이름(공유파일의 확장자 포함), 크기(Mbyte), 사용자 정보, 접속 여부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즉, 웹서버(120)에 접속하고 있지 않은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공유파일도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 색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검색 결과에 포함된다. 또한, 검색 결과에 표시된 공유파일을 저장하고 있으면서도 웹서버(120)에 접속하고 있지 않던 사용자가 웹서버(120)에 접속하면 해당 공유파일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에게 상대방의 접속 사실을 자동으로 알려준다. 따라서, 상대방의 접속 사실을 통보받은 사용자는 웹서버(120)를 통해 바로 해당 공유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120)에서 제공하는 디렉토리형 서비스를 나타내는 예시 화면이다.
도 3의 예시 화면을 보면,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공유파일의 목록이 '가나다' 순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예시 화면을 보면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는 12,400 개의 음악 파일(mp3)의 목록이 저장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모음 '아'에 속하는 공유파일의 이름, 분류, 크기, 사용자 정보, 접속 여부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물론, '가나다'순 보기에서 다른 자모를 선택하거나 '알파벳'순 보기의 특정 알파벳을 선택하면, 선택된 자모나 알파벳에 속하는 공유파일의 목록이 도 3의 예시 화면과 같은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한편, 예시 화면의 좌측에는 검색하고자 하는 공유파일의 포맷을 선택하는 영역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유파일의 포맷으로는 음악(mp3), 동영상(mpg, avi, rm, wmv 등), 이미지(jpg, tif, gif, bmp 등), 문서 파일(hwp, doc, txt 등), 소프트웨어, 기타 등 거의 모든 포맷의 파일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좌측 화면의 하단에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공유파일과 관련된 검색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검색어 입력창이 제공되어 공유파일의 검색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설명한 디렉토리형 공유파일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면, 공유파일의 포맷의 종류를 특정하여 검색할 수 있고, 특정 글자나 알파벳을 하나씩 선택하는 방법으로 공유된 모든 파일을 일목요연하게 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은 도 1에서 설명한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에 공유그룹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추가된 것이다. 여기서, 공유그룹이란 사용자 상호 간에 파일이나 기타 정보의 공유를 사전에 합의한 사용자들의 집단을 지칭하는 말로서, 공유그룹 내 사용자의 수는 제한적이고 서로 다른 공유그룹에 속해 있는 사용자 사이에서는 파일이나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유그룹의 형성은 웹사이트에서 사용자간에 사용자 ID, 대화명, 이메일 주소, 접속 여부 등의 정보를 서로 공유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능, 예컨대, '친구 등록' 기능을 이용하거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동호회나 팬클럽 등의 커뮤니티(Community)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끼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에 등록된 친구들의 목록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MS-OUTLOOKTM) 등과 같은 이메일 송수신 프로그램의 공유 주소록에 이메일 계정 등이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보면, 도 1에서 설명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 다수 개의 공유그룹(400, 410)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공유그룹(400, 410)은 두 대 이상의 사용자 컴퓨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에서는 어느 공유그룹에도 가입되지 않은 사용자들의 목록과 하나 이상의 공유그룹에 가입된 사용자들의 목록이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32)에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다. 즉,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32)에는 각각의 사용자별로 어떤 공유그룹에 가입되어 있는지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각각의 공유그룹별로 어떤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는지의 정보도 저장되어 있다.
물론,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34)에 저장되는 공유파일의 목록 또한 어떠한 공유그룹에도 속하지 않은 공유파일과 각각의 공유그룹별로 속해 있는 공유파일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웹서버(120)에 접속하여 회원 인증을 거치면 웹서버(120)는 사용자가 공유그룹에 속해 있는지와 어떤 공유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32)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를 근거로 사용자에게 검색결과를 제공한다. 즉, 특정 공유그룹에 속해 있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공유파일은 해당 공유그룹에 속해 있는 사용자들 사이에서만 검색 및 공유가 가능하다. 물론, 한명의 사용자가 두 군데 이상의 공유그룹에 속해 있는 경우에는 자신이 속해 있는 모든 공유그룹에서의 검색 결과를 통합하여 제공받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사용자나 공유그룹이 공유하고 있는 공유파일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각 사용자나 공유그룹별로 맞춤형 컨텐츠나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에게 맞춤형 파일을 개별적으로 판매하거나 각 공유그룹에 소속된 사용자들에게 맞춤형 파일을 공동으로 판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각각의 사용자나 공유그룹별로 공유파일의 개수, 공유파일의 다운로드 횟수 및 업로드(Upload) 횟수 등을 체크하여 파일을 많이 공유시켜 놓거나 다운로드 및 업로드 횟수가 많은 공유파일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나 공유그룹에게 소정의 보상 제도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이용하면 도 2에서 설명한 공유파일의 검색 결과 화면은 해당 사용자가 가입된 하나 이상의 공유그룹에서 검색된 공유그룹별 공유파일의 목록이 포함된 화면으로 변경될 것이다. 한편, 소속된 공유그룹이 없는 사용자는 검색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검색결과가 제공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디렉토리형 검색 서비스에 적용하면 사용자가 가입된 공유그룹별로 공유파일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디렉토리형 검색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가입된 '오 필승 코리아'라는 그룹을 선택하면 해당 공유그룹에서 공유되고 있는 공유파일의 목록이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도입한 공유그룹의 개념은 일반 P2P 서비스에도 적용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P2P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파일 공유 및 검색 서비스는 두 대 이상의 사용자 컴퓨터로 구성된 다수의 공유그룹(예컨대 A 그룹, B 그룹 등)과 공유그룹 내의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파일들을 검색 및 색인하는 색인/검색 서버(520)가 인터넷(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색인/검색 서버(520)는 도 1에서 설명한 웹서버(120)와 마찬가지로 공유그룹별로 공유파일의 정보와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 및 색인하고,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색인/검색 서버(520)로부터 수집된 색인 정보가 저장되고 갱신된다. 즉,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색인/검색 서버(520)에 사용자 컴퓨터가 새로 접속되거나 색인/검색 서버(520)에 접속중인 사용자 컴퓨터의 접속이 끊길 때마다 새로운 색인 정보가 저장되거나 저장 중인 색인 정보가 삭제된다.
또한,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공유그룹별로 특정 공유파일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ID 목록이 저장되어 있고, 각 공유그룹별로 속해 있는 사용자 ID 목록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사용자 ID별로 해당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공유그룹의 목록이 저장되어 있다.
도 5를 설명하면, 사용자 컴퓨터 1 내지 사용자 컴퓨터 3(510 내지 514)는 A 그룹에 속해 있고, 사용자 컴퓨터 4 내지 사용자 컴퓨터 6(540 내지 544)는 B 그룹에 속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 그룹이나 B 그룹 내의 사용자 컴퓨터끼리는 색인/검색 서버(520)를 통해 공유파일의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A 그룹과 B 그룹 간의 사용자 컴퓨터끼리는 파일의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예컨대, A 그룹 내의 사용자 컴퓨터 1(510)과 사용자 컴퓨터 3(514) 사이에는 공유파일의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A 그룹의 사용자 컴퓨터 2(512)와 B 그룹의 사용자 컴퓨터 5(542)와는 공유파일의 송수신이 불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컴퓨터에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와는 달리 공유파일의 검색 및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소정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는 각종 인스턴트 메신저나 P2P 서비스용 프로그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P2P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예시된 파일 공유 및 검색 서비스는 도 5에서 설명한 각 공유그룹별로 공유파일의 색인 및 검색을 수행하는 색인/검색 서버(520)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도 6의 파일 공유 및 검색 서비스는 도 5에서 설명한 색인/검색 서버(520)의 기능을 각 공유그룹 단위로 세분하여 제공한다. 즉, 각각의 공유그룹마다 특정 사용자 컴퓨터가 해당 공유그룹의 공유파일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관리한다. 도 6의 A 그룹에서는 사용자 컴퓨터 1(610)이, B 그룹에서는 사용자 컴퓨터 5(630)가 각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620, 640)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각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620, 640)를 관리하는 사용자 컴퓨터 1(610) 및 사용자 컴퓨터 5(630)는 도 5에서 설명한 색인/검색 서버(5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620, 640)을 관리하는 사용자 컴퓨터(610, 630)와 나머지 사용자 컴퓨터들에는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물론, A 그룹에 속해 있는 사용자 컴퓨터와 B 그룹에 속해 있는 사용자 컴퓨터 간에는 공유파일의 공유 및 검색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도 5와 동일하다.
도 6에서의 파일 공유 및 검색 과정을 설명하면, A 그룹의 사용자 컴퓨터 2(612)에서 질의어가 입력되면 사용자 컴퓨터 1(610)은 사용자 컴퓨터 2(612)로부터 질의어를 수신하여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62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 2(612)로 전송하면, 사용자 컴퓨터 2(612)는 질의한 파일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해당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P2P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에 예시된 파일 공유 및 검색 서비스는 앞에서 설명한 도 5 및 도 6과는 달리 모든 공유그룹이나 공유그룹별로 공유파일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관리하는 어떠한 장치도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각 공유그룹에는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 컴퓨터는 해당 공유그룹 내에서 인터넷(미도시)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 컴퓨터의 공유파일을 일일이 검색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A 그룹에서 사용자 컴퓨터 1(710)이 예컨대, information.dat 파일을 얻고자 한다면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모든 다른 사용자 컴퓨터(712, 714, 716)로 질의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일일이 information.dat 파일이 공유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야 한다.
한편, 도 7에 예시된 파일 공유 및 검색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컴퓨터에는 도 5와 도 6에서 설명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는 다른 기능을 갖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즉, 도 7의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도 5와 도 6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질의어 전송 기능,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 수신 기능 및 공유파일의 송수신 기능을 갖는다. 하지만,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특정 장치가 없기 때문에 각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는 다른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질의어에 해당하는 자신의 공유파일을 검색하는 기능과 검색 결과를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검색 결과 제공 기능이 추가로 구비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P2P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에 예시된 파일 공유 및 검색 서비스는 앞에서 설명한 도 7의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을 약간 변형시킨 구조이다. 지금까지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은 각 공유그룹 내의 사용자 컴퓨터 사이에서만 공유파일의 검색 및 송수신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도 8의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은 특정 사용자 컴퓨터를 매개로 하여 각 공유그룹 사이에서도 인터넷(미도시)을 통해 파일의 검색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다른 공유그룹에서 검색된 파일은 직접적으로 해당 파일의 검색을 요청한 사용자 컴퓨터로는 전송되지 않는다.
한편, 도 8의 파일 공유 및 검색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도 8을 보면, 사용자 컴퓨터 3(820)은 A 그룹과 B 그룹에 동시에 속해 있다. 따라서, 사용자 컴퓨터 3(820)을 매개로 하여 A 그룹의 다른 사용자 컴퓨터(810, 812)와 B 그룹의 다른 사용자 컴퓨터(830, 832) 사이에서도 공유파일의 검색 및 송수신이 가능하다.
예컨대, A 그룹의 사용자 컴퓨터 1(810)이 information.dat 파일을 찾기 위해 A 그룹 내의 사용자 컴퓨터 3(820)로 해당 질의어를 보내면 사용자 컴퓨터 3(820)은 수신한 질의어에 해당하는 공유파일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 때, 사용자 컴퓨터 3(820)은 자신의 공유 폴더에 해당 파일이 없으면 자신이 속해 있는 다른 공유그룹인 B 그룹의 사용자 컴퓨터 4(830) 및 사용자 컴퓨터 5(832)로 해당 질의어를 전송한다. 만약, 그룹 B의 사용자 컴퓨터 5(832)에 information.dat 파일이 공유되어 있으면 사용자 컴퓨터 5(832)는 사용자 컴퓨터 3(820)에게 검색 결과를전송하고, 사용자 컴퓨터 3(820)은 사용자 컴퓨터 5(832)로부터 수신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 컴퓨터 1(810)에게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P2P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컴퓨터에 반드시 P2P용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P2P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없이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들 사이에서 공유파일을 검색 및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공유그룹별로 단순 나열식이나 디렉토리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공유파일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거나, 인기 공유파일이나 인기 사용자 목록 등을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웹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0)

  1. 다수의 단말기로 공유파일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이용한 공유파일의 검색 시스템으로서,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설치되어 있고, 검색어를 입력하여 공유파일의 검색을 요청하거나 상기 공유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단말기;
    자신에게 접속하는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색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HTML 문서로 해당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웹서버; 및
    상기 웹서버에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의 신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웹서버가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색인 정보가 저장 및 갱신되는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색인 정보를 수집하는 색인 정보 수집 모듈, 상기 검색어를 이용하여 상기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검색 수행 모듈 및 검색 결과를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검색 결과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공유파일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ID, 상기 공유파일의 확장자를 포함한 이름 및 크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컴퓨터, 피디에이(PDA), 휴대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파일의 검색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공유그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그룹은 임의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사용중인 상기 단말기를 포함하는 묶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공유그룹별로 각각의 상기 공유파일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ID의 목록, 상기 공유그룹별로 소속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ID의 목록 및 상기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공유그룹명 목록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
  8. P2P(Peer to Peer) 기술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공유그룹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말기, 상기 각각의 단말기가 서로 연결되는 인터넷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단말기에는 P2P 기술이 적용된 소정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동일한 공유그룹에 속하는 상기 각각의 단말기 사이에서는 공유파일의 검색 및 송수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그룹 내에서의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특정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상기 공유그룹에 속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단말기가 특정 공유그룹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질의어를 수신하면 상기 특정 단말기는 자신이 속해 있는 다른 상기 공유그룹의 단말기로 상기 질의어를 전송하여 검색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특정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그룹 내에서의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입력된 질의어를 상기 동일한 공유그룹에 속한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질의어를 수신하여 자신이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의 공유파일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송수신하고, 다른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해 상기 공유파일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그룹 내에서의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
  11. P2P 기술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공유그룹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말기, 상기 공유그룹별로 색인 정보가 저장 및 갱신되는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각각의 단말기가 서로 연결되는 인터넷을 포함하며;
    상기 공유그룹에 속해 있는 특정 단말기는 색인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며,상기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고, 상기 각각의 단말기에는 P2P 기술이 적용된 소정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동일한 공유그룹에 속해 있는 상기 각각의 단말기 사이에서는 공유파일의 검색 및 송수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그룹 내에서의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 정보는 특정 공유그룹에 속해 있는 사용자 ID, IP 주소 및 접속 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특정 공유그룹에서 공유되고 있는 파일명, 파일 크기, 파일 포맷을 포함하는 공유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그룹 내에서의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기에 설치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동일한 공유그룹에 속해 있는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색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색인 정보를 상기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그룹 내에서의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
  14. P2P 기술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및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공유그룹을 형성하고, P2P 기술이 적용된 소정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동일한 공유그룹에 속해 있는 단말기 간에는 공유파일의 검색 및 송수신이 가능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말기;
    각각의 공유그룹별로 수집된 색인 정보가 저장 및 갱신되는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자신에게 접속하는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색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색인 정보를 상기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색인/검색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 정보는 하나 이상의 상기 공유그룹명, 각각의 상기 공유그룹에 속해 있는 사용자 ID, IP 주소 및 접속 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특정 공유그룹에서 공유되고 있는 파일명, 파일 크기, 파일 포맷을 포함하는 공유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16. 제 8 항, 제 11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소정의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나 소정의 P2P 서비스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17.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 상기 각각의 단말기의 색인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웹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환경에서의 공유파일의 검색 방법으로서,
    (a) 상기 각각의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고, 사용자 인증을 거치는 단계;
    (b) 상기 웹서버가 자신에게 접속 중인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색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c) 특정 단말기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어 상기 웹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d) 상기 웹서버는 상기 검색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색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HTML 문서로 상기 특정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특정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웹브라우저가 수신한 상기 HTML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검색 결과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추출된 상기 공유파일의 확장자를 포함하는 이름 및 크기와 상기 공유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의 ID 및 상기 사용자의 접속 여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검색된 상기 공유파일의 목록을 '가나다' 순이나 '알파벳' 순으로 정렬하여 상기 특정 단말기로 제공하는 디렉토리(Directory)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형 서비스는 상기 공유파일의 포맷을 선택하고 한글 자모나 영어 알파벳을 선택하고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선택된 포맷별로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한글 자모, 상기 영어 알파벳 및 상기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한 상기 공유파일의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통한 P2P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 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KR1020020057416A 2002-09-19 2002-09-19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040025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416A KR20040025445A (ko) 2002-09-19 2002-09-19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416A KR20040025445A (ko) 2002-09-19 2002-09-19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445A true KR20040025445A (ko) 2004-03-24

Family

ID=3732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416A KR20040025445A (ko) 2002-09-19 2002-09-19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5445A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253B1 (ko) * 2004-11-01 2007-05-15 이영식 멀티미디어 파일의 사용 권리를 처리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
KR100801069B1 (ko) * 2007-07-10 2008-02-04 주식회사 미디어 웹 피투피 컨텐츠 공유/유통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0811187B1 (ko) * 2006-02-23 2008-03-07 정의철 인터넷주소(url)를 매개로 한 사이트 독립적 방문자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844742B1 (ko) * 2006-08-30 2008-07-07 (주)컴스타 피어투피어 서비스의 신뢰성을 위한 사용자 평판관리 방법
CN100407627C (zh) * 2005-09-15 2008-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端到端文件共享的系统及方法
KR20090038105A (ko) * 2007-10-15 2009-04-20 권진욱 분산저장방식을 이용한 웹상에서의 파일공유방법
WO2009061063A1 (en) * 2007-11-09 2009-05-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ata sharing system in peer to peer environment
KR100954963B1 (ko) * 2003-06-30 2010-04-23 주식회사 케이티 P2p 방식에 의한 인적 정보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52137A (ko) * 2009-11-12 2011-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KR101065980B1 (ko) * 2004-12-10 2011-09-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2p 방식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유무선 인터넷 연동시스템 및 방법
KR101065939B1 (ko) * 2008-09-01 2011-09-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KR101130434B1 (ko) * 2003-10-24 2012-03-2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그룹 공유 공간
KR101626474B1 (ko) * 2015-02-09 2016-06-0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90048368A (ko) 2017-10-31 2019-05-09 최재호 공유폴더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66230A (ko) 2017-12-05 2019-06-13 최재호 스마트 로그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84543A (ko) 2018-01-08 2019-07-17 최재호 폴더 메모장 제공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메모장 제공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90084905A (ko) 2019-02-26 2019-07-17 최재호 폴더 메모장 제공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메모장 제공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90086913A (ko) 2018-01-15 2019-07-24 최재호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90087337A (ko) 2018-01-15 2019-07-24 최재호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210008132A (ko) 2019-02-26 2021-01-20 최재호 폴더 메모장 제공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메모장 제공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896A (ko) * 2001-05-12 2001-08-22 유인오 인터넷 쇼핑몰 상에서의 코브라우징(Co-Browsing) 기법을이용한 공동구매 및 이벤트성 상품 판매 방법
KR20010078921A (ko) * 2001-05-17 2001-08-22 박준상 순수 p2p 서비스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운영시스템
KR20020067721A (ko) * 2001-02-17 2002-08-24 주식회사 액트시스템 온라인 정보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41637A (ko)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웹사이트 방문자 자동 연결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721A (ko) * 2001-02-17 2002-08-24 주식회사 액트시스템 온라인 정보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8896A (ko) * 2001-05-12 2001-08-22 유인오 인터넷 쇼핑몰 상에서의 코브라우징(Co-Browsing) 기법을이용한 공동구매 및 이벤트성 상품 판매 방법
KR20010078921A (ko) * 2001-05-17 2001-08-22 박준상 순수 p2p 서비스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운영시스템
KR20030041637A (ko)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웹사이트 방문자 자동 연결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963B1 (ko) * 2003-06-30 2010-04-23 주식회사 케이티 P2p 방식에 의한 인적 정보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1130434B1 (ko) * 2003-10-24 2012-03-2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그룹 공유 공간
KR100717253B1 (ko) * 2004-11-01 2007-05-15 이영식 멀티미디어 파일의 사용 권리를 처리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065980B1 (ko) * 2004-12-10 2011-09-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2p 방식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유무선 인터넷 연동시스템 및 방법
CN100407627C (zh) * 2005-09-15 2008-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端到端文件共享的系统及方法
KR100811187B1 (ko) * 2006-02-23 2008-03-07 정의철 인터넷주소(url)를 매개로 한 사이트 독립적 방문자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844742B1 (ko) * 2006-08-30 2008-07-07 (주)컴스타 피어투피어 서비스의 신뢰성을 위한 사용자 평판관리 방법
KR100801069B1 (ko) * 2007-07-10 2008-02-04 주식회사 미디어 웹 피투피 컨텐츠 공유/유통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090038105A (ko) * 2007-10-15 2009-04-20 권진욱 분산저장방식을 이용한 웹상에서의 파일공유방법
WO2009061063A1 (en) * 2007-11-09 2009-05-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ata sharing system in peer to peer environment
KR101065939B1 (ko) * 2008-09-01 2011-09-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KR20110052137A (ko) * 2009-11-12 2011-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KR101626474B1 (ko) * 2015-02-09 2016-06-0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90048368A (ko) 2017-10-31 2019-05-09 최재호 공유폴더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66230A (ko) 2017-12-05 2019-06-13 최재호 스마트 로그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84543A (ko) 2018-01-08 2019-07-17 최재호 폴더 메모장 제공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메모장 제공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90086913A (ko) 2018-01-15 2019-07-24 최재호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90087337A (ko) 2018-01-15 2019-07-24 최재호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90084905A (ko) 2019-02-26 2019-07-17 최재호 폴더 메모장 제공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메모장 제공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210008132A (ko) 2019-02-26 2021-01-20 최재호 폴더 메모장 제공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메모장 제공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5445A (ko)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US9348918B2 (en) Searching content in distributed computing networks
US7779073B2 (en) Computer network
US7797295B2 (en) User content feeds from user storage devices to a public search engine
JP5069730B2 (ja) イベント通知機能提供装置、イベント通知機能提供方法及びイベント通知機能提供プログラム
US8140506B2 (en) File sharing based on social network
US72695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views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ocial network user
US10769101B2 (en) Selective data migration and sharing
EP2149847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sharing and processing digital media content in a scaleable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201000426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nd presenting representative content of a user
JP5121194B2 (ja) 組織内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組織内情報検索プログラム
WO2008061121A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internet-accessible content
JP2007172490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KR100714504B1 (ko)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 단말의 컨텐츠 검색 시스템및 방법
von der Weth et al. COBS: Realizing decentralized infrastructure for collaborative browsing and search
KR101128623B1 (ko) 협업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EP2420968A1 (en) Service system
US20150026266A1 (en) Share to stream
EP1644840A2 (en) Peer-to-peer content sharing
JP5199952B2 (ja) 情報利用履歴共有方法、情報利用履歴共有装置、情報利用履歴共有プログラムおよ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60077727A1 (en) Online Protocol Community
JP5193977B2 (ja) イベント通知機能提供システム
JP2007122504A (ja) 情報処理装置閲覧支援装置
KR20050096422A (ko) 인스턴트 메신저와 웹 연동 시스템 및 방법
JP4346276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およ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